KR100608779B1 - Satellite broadcast receiving antenna of mobile terminal and cradle for it for mobile terminal - Google Patents

Satellite broadcast receiving antenna of mobile terminal and cradle for it for mobile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8779B1
KR100608779B1 KR1020040032338A KR20040032338A KR100608779B1 KR 100608779 B1 KR100608779 B1 KR 100608779B1 KR 1020040032338 A KR1020040032338 A KR 1020040032338A KR 20040032338 A KR20040032338 A KR 20040032338A KR 100608779 B1 KR100608779 B1 KR 1006087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enna
terminal
coupled
rail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233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50107129A (en
Inventor
이정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323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8779B1/en
Publication of KR200501071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712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87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877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4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2Foundation pits
    • E02D17/04Bordering surfac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foundation p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02Sheet piles or sheet pile bulkheads
    • E02D5/03Prefabricated parts, e.g. composite sheet piles
    • E02D5/10Prefabricated parts, e.g. composite sheet piles made of concrete or reinforced concret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3/00Falsework, forms, or shuttering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e.g. stairs, steps, cornices, balconies foundations, sills
    • E04G13/04Falsework, forms, or shuttering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e.g. stairs, steps, cornices, balconies foundations, sills for lintels, beams, or transoms to be encased separately; Special tying or clamping mean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Variable-Direction Aerials And Aerial Arrays (AREA)
  • Support Of A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위성 방송 수신용 안테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안테나간의 간섭을 방지하며 최적의 다이버시티를 구현할 수 있으며, 단말기의 수신 성능을 향상시켜 고속의 데이터 서비스를 효과적으로 제공받을 수 있는 위성 방송 수신용 안테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 본체와; 단말기 본체에 구비되는 제 1안테나와; 단말기 본체가 거치되는 단말기 거치대에 설치되고, 단말기 본체와 신호 연결됨으로써 상기 제 1안테나와 함께 다이버시티를 구현하는 제 2안테나;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 방송 수신용 안테나 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ntenna device for satellite broadcast reception, which can prevent interference between antennas and implement optimal diversity, and improves the reception performance of a terminal so that the satellite broadcast reception antenna can be effectively provided with high-speed data service. Relates to a device. 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the portable terminal body; A first antenna provided in the terminal body; It is installed on the terminal holder to which the terminal body is mounted, and the signal is connected to the terminal body to provide a satellite broadcasting receiving antenna device comprising a; and a second antenna for implementing diversity with the first antenna.

휴대용 단말기, 위성 방송, 안테나, 다이버시티, 단말기 거치대Portable terminals, satellite broadcasting, antennas, diversity, terminal holders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의 위성 방송 수신용 안테나 장치 및 이를 위한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대{SATELLITE BROADCAST RECEIVING ANTENNA OF MOBILE TERMINAL AND CRADLE FOR IT FOR MOBILE TERMINAL}SATELLITE BROADCAST RECEIVING ANTENNA OF MOBILE TERMINAL AND CRADLE FOR IT FOR MOBILE TERMINAL}

도 1은 종래 휴대용 단말기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1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conventional portable terminal.

도 2는 종래 위성 방송 수신용 안테나가 구비된 휴대용 단말기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portable terminal equipped with a conventional satellite broadcasting reception antenna.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위성 방송 수신용 안테나 장치의 제 1실시예를 도시한 도면.3 is a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an antenna apparatus for receiving a satellite broadca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위성 방송 수신용 안테나 장치의 제 2실시예를 도시한 도면.4 is a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an antenna device for receiving a satellite broadca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위성 방송 수신용 안테나 장치로서, 제 2안테나 또는 제 3안테나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5 is a view illustrating a modification of a second antenna or a third antenna as an antenna apparatus for receiving a satellite broadca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도 5의 제 2안테나 또는 제 3안테나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도면.FIG. 6 is a view illustrating a coupled state of a second antenna or a third antenna of FIG. 5.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위성 방송 수신용 안테나 장치의 제 3실시예를 도시한 도면.7 is a view showing a third embodiment of the antenna device for receiving a satellite broadca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10 : 단말기 본체 112 : 접속단자110: terminal body 112: connection terminal

140 : 제 1안테나 150: 제 2안테나140: first antenna 150: second antenna

151 : 플러그 151a : 결합레일151: plug 151a: coupling rail

151b : 돌기홈 160 : 제 3안테나151b: projection groove 160: the third antenna

161 : 플러그 170 : 단말기 거치대161: plug 170: terminal holder

171 : 잭 171a : 레일홈171: jack 171a: rail groove

171b : 돌기 172 : 접속단자171b: protrusion 172: connection terminal

본 발명은 위성 방송 수신용 안테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안테나간의 간섭을 방지하며 최적의 다이버시티를 구현할 수 있으며, 단말기의 수신 성능을 향상시켜 고속의 데이터 서비스를 효과적으로 제공받을 수 있는 위성 방송 수신용 안테나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ntenna device for receiving a satellite broadcast, and more particularly, to prevent interference between antennas, to implement optimal diversity, and to improve the reception performance of a terminal so as to effectively receive a high speed data service. An antenna device for broadcast reception.

첨부한 도 1은 종래 휴대용 단말기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conventional portable terminal.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 휴대용 단말기는 정보를 입력하고 통신을 제어하는 본체(10)와, 정보를 화상으로 출력하고 본체(10)와 접철되어 본체를 여닫을 수 있도록 형성된 폴더(20)와, 본체(10)에 대하여 폴더(20)를 일정한 회전 범위 내에서 여닫을 수 있도록 연결 고정하는 힌지장치(30)로 구성되어 있다.As shown in the drawing, a conventional portable terminal includes a main body 10 for inputting information and controlling communication, a folder 20 formed so as to be able to open and close the main body by folding the main body 10 and outputting information as an image, and the main body ( It is composed of a hinge device 30 for fixing and connecting the folder 20 so as to open and close within a certain rotation range.

상기 본체(10)는 휴대용 단말기의 통신 제어 등을 위하여 형성된 회로부가 장착된 메인피시비(도시하지 않음)와, 상기 메인피시비를 감싸도록 형성된 본체 케이싱(15)과, 본체 케이싱(15)의 후면에 착탈 가능하도록 충/방전되는 배터리(12)와, 본체 케이싱(15)의 전면 상단부에 장착된 카메라 장치(18)와, 무선 통신 신호 를 송수신하기 위하여 본체 상단부에 본체(10)의 상면(15b)으로부터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안테나 장치(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main body 10 includes a main PCB (not shown) equipped with a circuit portion formed for communication control of a portable terminal, a main body casing 15 formed to surround the main PCB, and a rear surface of the main body casing 15. A battery 12 that is detachably charged / discharged, a camera device 18 mounted on the front upper end of the main body casing 15, and an upper surface 15b of the main body 10 on the upper end of the main body 10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wireless communication signals.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n antenna device 40 protruding from the vertical direction from.

상기 폴더(20)는 다양한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주(主)액정 화면(도시하지 않음)을 감싸도록 형성된 폴더 케이싱(22)과, 폴더 케이싱(22)의 전면 중앙부에 기본적인 단말기 정보를 제공하는 보조 액정 화면(21)과, 폴더 케이싱(22)의 내부에 장착된 스피커로부터 음파를 전달하도록 폴더 케이싱(22)의 전면 하단부에 형성된 음파 전달공(23)을 구비한다.The folder 20 includes a folder casing 22 formed to surround a main liquid crystal screen (not shown) for displaying a variety of information, and an auxiliary liquid crystal for providing basic terminal information to the front center of the folder casing 22. The screen 21 and the sound wave transmission hole 23 formed in the front lower end of the folder casing 22 to transmit sound waves from the speaker mounted inside the folder casing 22.

한편, 상기 안테나 장치(40)로는 송수신 성능의 향상을 위해 헬리컬 와이어를 감은 와이어 보빈을 포함하는 헬리컬(helical) 안테나와, 신호 전송용 와이어가 내장되고 본체로부터 발출/삽입 가능하게 장착되는 송수신 막대를 포함하는 휩(whip) 안테나가 함께 장착될 수 있는데, 최근에는 안테나 제작기술의 발달로 휩 안테나 없이 헬리컬 안테나만으로 송수신할 수 있는 고정식 헬리컬 안테나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Meanwhile, the antenna device 40 includes a helical antenna including a wire bobbin wound around a helical wire to improve transmission and reception performance, and a transmission / reception bar having a signal transmission wire embedded therein and mounted to be ejected / inserted from the main body. Including a whip (whip) antenna can be mounted together, in recent years due to the development of the antenna manufacturing technology, a fixed helical antenna that can be transmitted and received only by the helical antenna without the whip antenna is used a lot.

상기와 같이 구성된 휴대용 단말기는 안테나 장치(40)를 통해 무선전파를 송수신하게 되는 바, 상기 안테나 장치(40)를 통해 송수신된 신호는 상기 메인피시비와 안테나 장치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연결수단(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전송되며, 최종적으로는 회로부가 장착된 메인피시비로 전송되어 전기적 신호를 음성으로 변환 송출함으로써 통화가 가능해진다.The portable terminal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to transmit and receive radio waves through the antenna device 40, the signal transmitted and received through the antenna device 40 is connected means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main PCB and the antenna device (not shown) Is transmitted to the main PCB equipped with a circuit unit, and the call is converted by transmitting the electrical signal to voice.

한편, 이와 같은 휴대용 단말기는 무선의 음성 통신용으로 사용되기 시작했으나, 급변하는 소비자의 욕구에 부응하기 위해 점차 그 기능 영역이 다양화됨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에는 음성 통신 기능과 함께 인터넷, 영상 등의 멀티미디어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위성을 이용한 위성방송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On the other hand, such portable terminals have been used for wireless voice communication, but as the functional areas are gradually diversified to meet the rapidly changing needs of consumers, the portable terminals have voice services and multimedia services such as Internet and video. Is being provided, and recently, a satellite broadcasting service using a satellite has been provided.

이에 따라, 최근에는 휴대용 단말기의 소형화 및 경량화에 대한 관심과 함께 무선전파의 효율적 사용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특히 위성을 이용한 PMSB(Personal Mobile Satellite Broadcasting) 단말기의 경우 기지국에서 뿐만 아니라, 위성에서 바로 받을 수 있도록 해야 하므로 단말기의 수신성능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Accordingly, with the interest in miniaturization and light weight of portable terminals, interest in the efficient use of radio waves is increasing. Especially, in the case of PMSB (Personal Mobile Satellite Broadcasting) terminals using satellites, not only at base stations but also at satellites. Since it should be able to receive the interest in the receiving performance of the terminal is increasing.

이와 아울러 위성 등을 통한 고속 데이터 통신시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문제점 중의 하나로서 다중경로 페이딩(multi-path fading)의 대책이 중요한 관심사로 떠오르고 있다.In addition, as one of the problems that have emerged as an important problem in high-speed data communication through satellites, the countermeasure of multi-path fading has emerged as an important concern.

다중 경로란 여러 개의 송신신호가 공중에서 여러 갈래의 경로를 거쳐 수신 안테나에 수신됨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여러 신호들이 서로 다른 경로를 거쳐 수신되면 서로 다른 진폭 감쇄와 위상 변화를 겪게 되고, 이런 신호들이 수신시 합쳐지면 시간 변화에 따라 신호 세기가 송신신호와 다르게 변하게 되는데 이것을 페이딩이라 한다.Multipath means that multiple transmission signals are received by the receiving antenna through various paths in the air. When multiple signals are received through different paths, they undergo different amplitude attenuation and phase changes. When combined, the signal strength changes from the transmitted signal over time, which is called fading.

이와 같은 페이딩을 극복하기 위한 대표적인 기법으로서 다이버시티(diversity) 기법이 이용되고 있는 바, 다이버시티 기법은 서로 독립적인 페이딩의 영향을 받는 여러 개의 신호를 수신하여 적절히 결합하는 방법으로 페이딩을 극복한다.As a representative technique for overcoming such fading, a diversity technique is used. The diversity technique overcomes fading by receiving a plurality of signals affected by independent fading and combining them properly.

즉, 다이버시티 기법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수신 신호의 품질을 높이기 위해 사용되는 기법으로서, 2개 이상의 독립된 전파 경로(즉, 2개 이상의 안테나)를 통해 전송된 여러개의 수신 신호 중에서 가장 양호한 특성을 가진 신호를 이용하는 방법이다.In other words, the diversity technique is a technique used to improve the quality of a received signa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has the best characteristics among a plurality of received signals transmitted through two or more independent propagation paths (ie, two or more antennas). This is how you use the signal.

이하, 첨부한 도 2를 참조하여 종래 위성 방송 수신용 안테나가 구비된 휴대용 단말기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 portable terminal equipped with a conventional satellite broadcasting reception antenna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 휴대용 단말기에는 위성 방송 수신시 페이딩을 극복하기 위해 다이버시티 기법 중의 하나인 공간 다이버시티(space diversity) 기법을 이용한 안테나가 장착되었다.As shown, conventional portable terminals are equipped with an antenna using a space diversity technique, which is one of diversity techniques, in order to overcome fading when satellite broadcasting is received.

공간 다이버시티란 공간적으로 충분히 떨어진 거리(적어도 10λ이상)에 2개 이상의 수신 안테나를 이용하여 수신하는 방법으로서, 휴대용 단말기의 본체(10)에는 외장형 안테나로서 고정형 헬리컬 안테나(또는 헬리컬 안테나와 휩 안테나가 함께 장착된 안테나 장치)로 이루어진 제 1안테나(40)와, 제 2안테나(50)가 설치되어 있다.Spatial diversity is a method of receiving by using two or more receiving antennas at a distance that is sufficiently spaced apart (at least 10 lambda or more). A fixed helical antenna (or a helical antenna and a whip antenna) are provided on the main body 10 of the portable terminal as an external antenna. The first antenna 40 and the second antenna 50 made of the antenna device attached together are provided.

즉, 상기와 같은 제 1안테나(40)와 제 2안테나(50)를 통해 다이버시티의 구현이 가능하게 되고, 이를 통해 페이딩 영향을 저감 시킬 수 있는 바, 종래와 같이 페이딩 영향을 줄이기 위하여 기지국에서 파워를 높여 보내지 않아도 되므로 결과적으로 기지국 설비 비용 절감 효과 등의 부수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다.That is, the diversity can be implemented through the first antenna 40 and the second antenna 50 as described above, and thus the fading effect can be reduced. Since the power does not have to be increased, consequent effects such as base station equipment cost savings can be obtained.

그러나, 종래 위성 방송 수신용 안테나의 경우에는, 즉 두개의 외장형 안테나(40,50)에 의한 다이버시티 구조에 있어서는, 단말기 본체(10) 외부로 돌출 형성 되는 두개의 안테나(40,50)에 의해 미관이 불량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이의 보관 및 사용이 불편하며, 외부 충격에 쉽게 손상될 수 있다는 구조적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antenna for receiving satellite broadcasts, that is, in the diversity structure by the two external antennas 40 and 50, by the two antennas 40 and 50 protruding to the outside of the terminal body 10,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aesthetics are poor, there is a structural problem that its storage and use is inconvenient, and can be easily damaged by external shocks.

한편, 종래 다른 위성 방송 수신용 안테나의 하나로서, 외장형 안테나와 내장형 안테나로 조합된 다이버시티 안테나가 있다.On the other hand, one of the conventional antenna for receiving satellite broadcasting, there is a diversity antenna combined with an external antenna and an internal antenna.

즉, 휴대용 단말기의 본체에는 외장형 안테나로서 고정형 헬리컬 안테나(또는 헬리컬 안테나와 휩 안테나가 함께 장착된 안테나 장치)로 이루어진 제 1안테나와, 내장형 안테나의 하나인 세라믹 칩 안테나(chip antenna) 또는 역에프 안테나(inverted-F antenna)로 구성된 제 2안테나가 설치되었다.That is, the main body of the portable terminal has a first antenna made of a fixed helical antenna (or an antenna device equipped with a helical antenna and a whip antenna) as an external antenna, and a ceramic chip antenna or an inverted antenna, which is one of the internal antennas. A second antenna consisting of an inverted-F antenna was installed.

그러나, 상기 제 1안테나와 함께 다이버시티를 구현하기 위해 설치되는 제 2안테나로서 내장형 안테나의 하나인 세라믹 칩 안테나가 적용된 경우에는, 안테나 이득(gain)이 작아 위성 방송 수신용 안테나로는 적합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when a ceramic chip antenna, which is one of built-in antennas, is applied as a second antenna installed together with the first antenna to implement diversity, the antenna gain is small, which is not suitable as an antenna for satellite broadcasting reception. There was a problem.

또한, 상기 제 1안테나와 함께 다이버시티를 구현하기 위해 설치되는 제 2안테나로서 내장형 안테나의 하나인 역에프 안테나가 적용된 경우에는, 넓은 대역폭 특성을 가지는 장점이 있는 반면, 안테나가 차지하는 부분이 커서 소형 안테나로 사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던 바, 이에 따라 불가피하게 단말기의 중량 및 크기가 커져 단말기의 소형화 및 경량화에 역행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when the inverted-f antenna, which is one of the built-in antennas, is applied as the second antenna installed to implement diversity together with the first antenna, it has the advantage of having a wide bandwidth characteristic, while the portion occupied by the antenna is large and small. There wa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use as an antenna, which inevitably increases the weight and size of the terminal, and thus has a problem in that it is reversed to the miniaturization and light weight of the terminal.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한 것으로서, 안테나간의 간섭을 방지하며 최적의 다이버시티를 구현할 수 있으며, 단말기의 수 신 성능을 향상시켜 고속의 데이터 서비스를 효과적으로 제공받을 수 있는 위성 방송 수신용 안테나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interference between the antenna and to implement the optimal diversity, and to improve the reception performance of the terminal can be effectively provided a high-speed data servic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ntenna device for receiving a satellite broadcast.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 본체와; 단말기 본체에 구비되는 제 1안테나와; 단말기 본체가 거치되는 단말기 거치대에 설치되고, 단말기 본체와 신호 연결됨으로써 제 1안테나와 함께 다이버시티를 구현하는 제 2안테나;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portable terminal body; A first antenna provided in the terminal body; And a second antenna installed on the terminal holder to which the terminal main body is mounted, and having a signal connection with the terminal main body to implement diversity together with the first antenna.

또한, 상기 제 2안테나는 상기 단말기 거치대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econd antenna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detachable coupling from the terminal holder.

또한, 상기 단말기 거치대에는 플러그가 결합될 수 있는 잭이 구비되고, 상기 제 2안테나에는 상기 잭에 결합 가능한 플러그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terminal holder is provided with a jack that can be coupled to the plug, the second antenna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lug is coupled to the jack is provided.

또한, 상기 제 2안테나에는 결합레일이 구비되고, 상기 단말기 거치대에는 상기 결합레일이 슬라이딩 결합될 수 있도록 레일홈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econd antenna is provided with a coupling rail, the terminal hold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rail groove is provided so that the coupling rail is slidingly coupled.

아울러, 상기 단말기 본체가 상기 단말기 거치대에 거치될 시 상기 제 2안테나가 상기 단말기 본체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단말기 본체와 단말기 거치대를 연결하는 접속단자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terminal body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connection terminal for connecting the terminal body and the terminal cradle so that the second antenna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erminal body when mounted on the terminal holder.

또한,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 본체와; 단말기 본체에 구비되는 제 1안테나와; 단말기 본체가 거치되는 단말기 거치대에 설치되고, 단말기 본체와 신호 연결됨으로써 제 1안테나와 함께 다이버시티를 구현하는 제 2안테나 및 제3안테나;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portable terminal body; A first antenna provided in the terminal body; And a second antenna and a third antenna that are installed in the terminal holder to which the terminal body is mounted and which are connected to the terminal body to implement diversity together with the first antenna.

또한, 상기 제 2안테나와 제 3안테나는 상기 단말기 거치대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econd antenna and the third antenna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detachable coupling from the terminal holder.

또한, 상기 단말기 거치대에는 플러그가 결합될 수 있는 잭이 적어도 두개가 구비되고, 상기 제 2안테나와 제 3안테나에는 상기 잭에 결합 가능한 플러그가 각각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terminal holder is provided with at least two jacks to which the plug can be coupled, and the second antenna and the third antenna are characterized in that each of the plugs that can be coupled to the jack is provided.

또한, 상기 제 2안테나와 제 3안테나에는 결합레일이 각각 구비되고, 상기 단말기 거치대에는 상기 결합레일이 슬라이딩 결합될 수 있도록 적어도 2개의 레일홈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econd antenna and the third antenna are provided with a coupling rail, respectively, and the terminal hold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at least two rail grooves are provided so that the coupling rail is slidingly coupled.

아울러, 상기 단말기 본체가 상기 단말기 거치대에 거치될 시 상기 제 2안테나와 제 3안테나가 상기 단말기 본체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단말기 본체와 단말기 거치대를 연결하는 접속단자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when the terminal body is mounted on the terminal holder further comprises a connection terminal for connecting the terminal body and the terminal holder so that the second antenna and the third antenna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erminal body. do.

또한, 본 발명은 제1안테나를 갖는 단말기 본체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착탈부를 갖는 거치대 본체와; 상기 거치대 본체에 장착되어 상기 제1안테나와 함께 상기 단말기 본체의 다이버시티를 구현시키는 제2안테나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 방송 수신용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대를 개시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lder main body having a detachable portion so that the terminal main body having a first antenna can be detachably coupled; Disclosed is a cradle of a portable terminal for receiving a satellite broadcast, comprising a second antenna mounted on the cradle main body and configured to implement diversity of the terminal body together with the first antenna.

또한, 상기 단말기 본체에는 플러그가 결합될 수 있는 잭이 구비되고, 상기 제 2안테나에는 상기 잭에 결합 가능한 플러그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terminal body is provided with a jack that can be coupled to the plug, the second antenna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lug that is coupled to the jack is provided.

또한, 상기 제 2안테나에는 결합레일이 구비되고, 상기 단말기 본체에는 상기 결합레일이 슬라이딩 결합될 수 있도록 레일홈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econd antenna is provided with a coupling rail, the terminal body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rail groove is provided so that the coupling rail is slidingly coupled.

또한, 상기 결합레일과 레일홈의 결합상태를 고정시키는 고정장치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fixing device for fixing the coupling state of the coupling rail and the rail groove.

아울러, 상기 고정장치는 상기 결합레일과 레일홈의 상호 접촉면 중 어느 하나로부터 다른 하나로 돌출 형성되는 돌기와, 상기 결합레일과 레일홈의 상호 접촉면 중 다른 하나에 상기 돌기가 수용되며 걸려질 수 있도록 함몰 형성되는 돌기홈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ixing device is a protrusion formed to protrude from one of the mutual contact surface of the coupling rail and the rail groove to the other, and the depression is formed so that the projection is accommodated on the other one of the mutual contact surface of the coupling rail and the rail groove.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include a projection groove.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첨부한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위성 방송 수신용 안테나 장치의 제 1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위성 방송 수신용 안테나 장치의 제 2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3 is a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an antenna device for receiving a satellite broadca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antenna device for receiving a satellite broadca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위성 방송 수신용 안테나 장치로서, 제 2안테나 또는 제 3안테나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5의 제 2안테나 또는 제 3안테나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5 is a view illustrating a modified example of a second antenna or a third antenna as an antenna device for receiving a satellite broadca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view illustrating a coupling state of a second antenna or a third antenna of FIG. Figure is shown.

한편,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위성 방송 수신용 안테나 장치의 제 3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On the other hand, Figure 7 is a view showing a third embodiment of the antenna device for receiving a satellite broadca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해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However,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or configurations will be omitted to clarify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위성 방송 수신용 안테나 장치는 휴대용 단말기 본체(110)와, 상기 단말기 본체(110)에 구비되는 제 1안테나(140)와, 상기 단말기 본체(110)가 거치되는 단말기 거치대(170)에 구비되 어 상기 제 1안테나(140)와 함께 다이버시티를 구현하는 제 2안테나(15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 3, the antenna device for receiving a satellite broadca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ortable terminal body 110, a first antenna 140 provided in the terminal body 110, and the terminal body 110. It is provided in the terminal holder 170 is mounted is configured to include a second antenna 150 to implement diversity together with the first antenna 140.

즉, 본 발명의 휴대용 단말기는, 정보를 입력하고 통신을 제어하는 본체(110)와, 정보를 화상으로 출력하고 본체(110)와 접철되어 본체를 여닫을 수 있도록 형성된 폴더(120)와, 본체(110)에 대하여 폴더(120)를 일정한 회전 범위 내에서 여닫을 수 있도록 연결 고정하는 힌지장치(130)로 구성되어 있다.That is, the portab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110 for inputting information and controlling communication, a folder 120 formed so as to be able to open and close the main body by folding the main body 110 and outputting information as an image. Consists of a hinge device 130 for fixing the connection to the folder 120 to open and close within a certain rotation range.

상기 본체(110)는 휴대용 단말기의 통신 제어 등을 위하여 형성된 회로부가 장착된 메인피시비와, 상기 메인피시비를 감싸도록 형성된 본체 케이싱과, 본체 케이싱의 후면에 착탈 가능하도록 충/방전되는 배터리와, 본체 케이싱의 전면 상단부에 장착된 카메라 장치와, 무선 통신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하여 본체 상단부에 본체(110)의 상면으로부터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제 1안테나(14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The main body 110 includes a main PCB equipped with a circuit portion formed for communication control of a portable terminal, a main body casing formed to surround the main PCB, a battery charged / discharged to be detachable from the rear of the main body casing, and a main body. It comprises a camera device mounted on the front upper end of the casing, and the first antenna 140 protru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110 in the upper end of the main body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wireless communication signals.

상기 폴더(120)는 다양한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주(主)액정 화면을 감싸도록 형성된 폴더 케이싱과, 폴더 케이싱의 전면 중앙부에 기본적인 단말기 정보를 제공하는 보조 액정 화면과, 폴더 케이싱의 내부에 장착된 스피커로부터 음파를 전달하도록 폴더 케이싱의 전면 하단부에 형성된 음파 전달공을 구비한다.The folder 120 includes a folder casing formed to surround a main liquid crystal screen displaying various information, an auxiliary liquid crystal screen providing basic terminal information in the front center of the folder casing, and a speaker mounted inside the folder casing. And a sound wave transmission hole formed in the front lower end of the folder casing to transmit sound waves from the front side.

또한, 상기 제 1안테나(140)는 무선 통신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안테나로서, 헬리컬 안테나(또는 헬리컬 안테나와 휩 안테나가 함께 장착된 안테나 장치)로 이루어져 있다.In addition, the first antenna 140 is an antenna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wireless communication signal, and consists of a helical antenna (or an antenna device equipped with a helical antenna and a whip antenna).

한편,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충전하거나 거치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단말기 거치대(170)는 단말기 본체(110)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착탈부(174)를 갖는 거치대 본체(175)와, 위성 방송을 수신할 수 있게 되어 있으며 거치대 본체(175)에 장착되어 제1안테나(140)와 함께 단말기 본체(110)의 다이버시티를 구현시키는 제2안테나(150)로 이루어져 있다. 제2안테나(150)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제2안테나(150)는 헬리컬 안테나(또는 헬리컬 안테나와 휩 안테나가 함께 장착된 안테나 장치)로 이루어져 있으며, 단말기 거치대(170) 일측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Meanwhile, the terminal holder 170 used to charge or mount the portable terminal includes a holder body 175 having a detachable part 174 so that the terminal body 110 can be detachably coupled thereto, and receives a satellite broadcast. The second antenna 150 may be mounted on the cradle main body 175 to implement diversity of the terminal main body 110 together with the first antenna 140. In more detail, the second antenna 150, the second antenna 150 is composed of a helical antenna (or an antenna device equipped with a helical antenna and whip antenna),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terminal holder 170. Removably coupled.

즉, 상기 단말기 거치대(170) 일측에는 플러그가 삽입되며 결합될 수 있도록 잭(171)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제 2안테나(150)에는 상기 잭(171)에 삽입 결합 가능한 플러그(151)가 구비되어 있는 바, 이를 통해 제 2안테나(150)는 단말기 거치대(17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That is, one side of the terminal holder 170 is provided with a jack 171 to be inserted and coupled to the plug, the second antenna 150 is provided with a plug 151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jack 171. As such, the second antenna 15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erminal holder 170 and detachably coupled thereto.

아울러,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단말기 거치대(170)에 거치될 시 제 2안테나(150)가 단말기 본체(1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단말기 본체(110)와 단말기 거치대(170)에는 각각 외부로 노출되는 접속단자(112,172)가 구비되어 있는 바, 휴대용 단말기가 단말기 거치대(170)에 거치됨에 따라 각 접속단자(112,172)가 접촉되면 제 2안테나(150)는 단말기 본체(1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 1안테나(140)와 함께 다이버시티가 구현될 수 있게 한다.In addition, when the portable terminal is mounted on the terminal holder 170, the second antenna 150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terminal body 110 and the terminal holder 170 so as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erminal body 110. As the connection terminals 112 and 172 are provided, when the connection terminals 112 and 172 are contacted as the portable terminal is mounted on the terminal holder 170, the second antenna 15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erminal main body 110. Diversity can be implemented together with one antenna 140.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첨부한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위성 방송 수신용 안테나 장치는 휴대용 단말기 본체(110)와, 상기 단말기 본체(110)에 구비되는 제 1안테나(140)와, 상기 단말기 본체(110)가 거치되는 단말기 거치대(170)에 구비되어 다이버시티를 구현하는 제 2안테나(150)와 제 3안테나(16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Meanwhile,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4, the antenna device for receiving a satellite broadca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ortable terminal body 110 and a first terminal provided in the terminal body 110. The antenna 140 and the terminal holder 170 on which the terminal body 110 is mounted are configured to include a second antenna 150 and a third antenna 160 to implement diversity.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평상시에 즉, 위성 방송을 수신하지 않을 시에는 단말기 본체(110)에 구비되는 제 1안테나(140)를 통해 무선 통신 신호를 송수신하게 되고, 위성 방송을 수신하고자 할 시에는 휴대용 단말기를 단말기 거치대(170)에 거치시킨 후 단말기 거치대(170)에 구비된 제 2안테나(150)와 제 3안테나(160)로 구현되는 다이버시티에 의해 위성 방송을 수신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such a configuration, when not normally receiving satellite broadcasts, the wireless communication signal is transmitted / received through the first antenna 140 provided in the terminal body 110, and portable when the satellite broadcasts are to be received. After the terminal is mounted on the terminal holder 170, satellite broadcasting can be received by diversity implemented by the second antenna 150 and the third antenna 160 provided in the terminal holder 170.

이때, 상기 제 2안테나(150)와 제 3안테나(160)는 전술한 실시예와 같이 헬리컬 안테나(또는 헬리컬 안테나와 휩 안테나가 함께 장착된 안테나 장치)로 이루어져 있고, 잭(151,161)과 플러그(171)의 결합에 의해 단말기 거치대(170) 일측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접속단자(112,172)를 통해 단말기 본체(1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바, 전술한 제 1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At this time, the second antenna 150 and the third antenna 160 is composed of a helical antenna (or an antenna device equipped with a helical antenna and whip antenna) a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jacks 151 and 161 and a plug ( 171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and detachab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terminal holder 170, and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erminal body 110 through connection terminals 112 and 172. The same parts a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한편, 전술한 제 1실시예 및 제 2실시예와 같이 단말기 거치대(17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안테나(150) 또는 제 3안테나(160)의 변형예를 첨부한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ttached to a modification of the second antenna 150 or the third antenna 160 tha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erminal holder 170 and detachably coupled A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5 to 6 as follows.

도시한 바와 같이, 단말기 거치대(170)에는 단말기 본체(110)에 구비되는 제 1안테나(140)와 함께 다이버시티를 구현하며 위성 방송을 수신할 수 있도록 제 2안테나(150)가 구비되는 바, 상기 제 2안테나(150)는 결합레일(151a)과 레일홈(171a)의 결합을 통해 단말기 거치대(17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As shown, the terminal holder 170 is provided with a second antenna 150 to implement diversity with the first antenna 140 provided in the terminal body 110 to receive satellite broadcasts, The second antenna 15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and detachably attached to the terminal holder 170 through the coupling of the coupling rail 151a and the rail groove 171a.

즉, 상기 제 2안테나(150) 일측 단부에는 소정 크기를 갖는 결합레일(151a) 이 일체로 구비되어 있고, 상기 단말기 거치대(170)의 일측에는 상기 결합레일(151a)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결합레일(151a)이 슬라이딩 결합될 수 있도록 그 슬라이딩 방향을 따라 일측이 개구된 레일홈(171a)이 구비되어 있으며, 또 이와 같은 결합레일(151a)과 레일홈(171a)의 결합을 통해 제 2안테나(150)가 단말기 거치대(17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결합레일(151a)과 레일홈(171a)은 전기 전도성이 양호한 금속제로 이루어져 있다.That is, the coupling rail 151a having a predetermined size is integrally formed at one end of the second antenna 150, and the coupling rail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coupling rail 151a at one side of the terminal holder 170. A rail groove 171a having one side opened along the sliding direction thereof is provided to allow the 151a to be slidably coupled thereto, and further, through the coupling of the coupling rail 151a and the rail groove 171a to the second antenna ( The coupling rail 151a and the rail groove 171a are made of metal with good electrical conductivity so that the 15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erminal holder 170.

아울러, 상기와 같이 결합레일(151a)과 레일홈(171a)의 결합을 통해 단말기 거치대(170)에 결합되는 제 2안테나(150)의 결합상태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고정장치가 구비되는 바, 첨부한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장치는 결합레일(151a)과 레일홈(171a)의 상호 접촉면 중 어느 하나로부터 다른 하나로 돌출 형성되는 돌기(171b)와, 결합레일(151a)과 레일홈(171a)의 상호 접촉면 중 다른 하나에 돌기(171b)가 수용되며 걸려질 수 있도록 함몰 형성되는 돌기홈(151b)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In addition, a fixing device is provided to fix the coupling state of the second antenna 150 coupled to the terminal holder 170 through the coupling of the coupling rail 151a and the rail groove 171a as described above. As shown in FIG. 6, the fixing device includes a protrusion 171b protruding from one of mutual contact surfaces of the coupling rail 151a and the rail groove 171a to the other, the coupling rail 151a and the rail groove. The projection 171b is accommodated in the other of the mutual contact surface of the (171a) is configured to include a projection groove (151b) recessed to be caught.

또한, 상기 제 3안테나(160)의 경우에도 전술한 제 2안테나(150)의 변형예와 같이 결합레일(151a)과 레일홈(171a)의 결합을 통해 단말기 거치대(170)에 결합될 수 있는 바, 이에 대한 중복적인 설명은 생략하고자 한다.In addition, the third antenna 160 may be coupled to the terminal holder 170 through the coupling of the coupling rail 151a and the rail groove 171a as in the modification of the second antenna 150 described above. The duplicat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첨부한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위성 방송 수신용 안테나 장치는 휴대용 단말기 본체(110)와, 상기 단말기 본체(110)에 구비되는 제 1안테나(140)와, 상기 단말기 본체(1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 1안테나(140)와 함께 다이버시티를 구현하는 제 2안테나(15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Meanwhile, as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7, the antenna device for receiving a satellite broadca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ortable terminal main body 110 and a first terminal provided in the terminal main body 110. A first antenna 140 and a second antenna 150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erminal body 110 and detachably coupled to implement diversity with the first antenna 140 are included.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평상시에 즉, 위성 방송을 수신하지 않을 시에는 단말기 본체에 구비되는 제 1안테나(140)를 통해 무선 통신 신호를 송수신하게 되고, 위성 방송을 수신하고자 할 시에는 단말기 본체에 제 2안테나(150)를 결합시킨 후, 제 1안테나(140)와 제 2안테나(150)에 의해 다이버시티가 구현되게 하며 위성 방송을 수신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such a configuration, when not normally receiving satellite broadcasts, the wireless communication signal is transmitted and received through the first antenna 140 provided in the terminal body, and when the satellite broadcast is to be transmitted to the terminal body. After the two antennas 150 are combined, diversity can be realized by the first antenna 140 and the second antenna 150 and the satellite broadcasting can be received.

아울러, 상기와 같이 단말기 본체(110)에 결합되는 제 2안테나(150)는 전술한 실시예 및 변형예와 같이 잭(151,161)과 플러그(171)의 결합 또는 결합레일(151a)과 레일홈(171a)의 결합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바, 이에 대한 중복적인 설명은 생략하고자 한다.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the second antenna 150 coupled to the terminal body 110 may be coupled to or coupled to the coupling rails 151a and the rail grooves of the jacks 151 and 161 and the plug 171 as described above. Bars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and detachably coupled through the coupling of 171a, and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단말기 본체에 구비되는 제 1안테나(140)와 함께 다이버시티를 구현하며 위성 방송을 수신할 수 있게 하는 제 2안테나(150)를 단말기 거치대(170) 또는 단말기 본체(1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함으로써, 안테나간의 간섭을 방지하며 최적의 다이버시티를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게 하고, 이와 아울러 휴대용 단말기의 송수신 성능(광대역, 안테나 이득)을 향상시켜 고속의 데이터 서비스를 효과적으로 제공받을 수 있게 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mplements diversity together with the first antenna 140 provided in the terminal body, and the terminal holder 170 or the terminal body 110 includes a second antenna 150 that enables satellite broadcasting to be received. By detachably attaching to the antenna, interference between antennas can be prevented and optimal diversity can be easily implemented, and the transmission / reception performance (broadband, antenna gain) of the portable terminal can be improved to provide high-speed data service effectively. To be.

특히, 단말기 본체에 구비되는 제 1안테나(140)와 함께 다이버시티를 구현하는 제 2안테나(150)를 단말기 거치대(170)에 결합함으로써, 휴대용 단말기의 외관을 미려하게 함과 아울러 단말기의 소형화 및 경량화에 기여할 수 있으며, 전파 송신시 두뇌에 미치는 전자파 영향 즉, 휴대용 단말기에서 나오는 전자파가 인체 두 부(頭部)에 흡수되는 에너지의 양을 의미하는 전자파 흡수율(Specific Absorption Ratio; SAR)을 종래 대비 현저하게 저감시킬 수 있게 한다.In particular, by combining the second antenna 150, which implements diversity with the first antenna 140 provided in the terminal body, to the terminal holder 170, the appearance of the portable terminal is beautiful and the size of the terminal is reduced and It can contribute to the weight reduction, and compared the conventional Absorption Ratio (SAR), which means the amount of energy absorbed from the portable terminal by the effect of electromagnetic waves on the brain during radio wave transmission. It can be significantly reduced.

아울러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위성 방송 수신을 위해 단말기 거치대(170)에 설치되는 제 2안테나(150) 또는 제 3안테나(160)로서 외장형 안테나의 하나인 헬리컬 안테나가 적용된 것으로 기술되어 있지만, 이와 같은 외장형 안테나 이외에 종래 단말기의 소형화 및 경량화 등의 이유로 장착이 기피되었던 내장형 안테나의 하나인 역에프 안테나 또는 패치 안테나 등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addition,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helical antenna, which is one of the external antennas, is applied as the second antenna 150 or the third antenna 160 installed in the terminal holder 170 to receive the satellite broadcast. In addition to the antenna, a reverse antenna or a patch antenna, which is one of the built-in antennas, which has been avoided due to the miniaturization and light weight of the conventional terminal, may be applied.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이 충전용 단말기 거치대(170)에 적용된 것으로 기술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핸즈프리용 키트의 거치대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addition,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as being applied to the charging terminal holder 170,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the holder of the hands-free kit is a matter of course.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히 변경 가능한 것이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by way of exampl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specific embodiments, and may be appropriately changed within the scope described in the claims.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위성 방송 수신용 안테나 장치에 의하면, 단말기 본체에 구비되는 제 1안테나와 함께 다이버시티를 구현하며 위성 방송을 수신할 수 있게 하는 제 2안테나를 단말기 거치대 또는 단말기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함으로써, 안테나간의 간섭을 방지하며 최적의 다이버시티를 구현할 수 있으며, 이와 아울러 단말기의 수신 성능을 향상시켜 고속의 데이터 서비스를 효과적으로 제공받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antenna device for receiving a satellite broadca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terminal holder or a terminal having a second antenna that implements diversity together with the first antenna provided in the terminal body and can receive satellite broadcasts By detachably attaching to the main body, interference between antennas can be prevented and optimal diversity can be realized. In addition, high-speed data service can be effectively provided by improving reception performance of the terminal.                     

또한, 단말기 본체에 구비되는 제 1안테나와 함께 다이버시티를 구현하는 제 2안테나를 단말기 거치대에 결합함으로써, 휴대용 단말기의 외관을 미려하게 함과 아울러 단말기의 소형화 및 경량화에 기여할 수 있으며, 전파 송신시 두뇌에 미치는 전자파의 영향을 종래 대비 저감시킬 수 있다.In addition, by combining the second antenna that implements diversity with the first antenna provided in the main body of the terminal to the terminal holder, it is possible to enhance the appearance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contribute to miniaturization and light weight of the terminal, The effect of electromagnetic waves on the brain can be reduced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Claims (15)

휴대용 단말기 본체와;A portable terminal body; 상기 단말기 본체에 구비되는 제 1안테나와;A first antenna provided in the terminal body; 상기 단말기 본체가 거치되는 단말기 거치대에 설치되고, 상기 단말기 본체와 신호 연결됨으로써 상기 제 1안테나와 함께 다이버시티를 구현하는 제 2안테나;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 방송 수신용 안테나 장치.And a second antenna installed on the terminal holder to which the terminal body is mounted, and connected to the terminal body to implement diversity together with the first antenna. 2.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 2안테나는 상기 단말기 거치대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 방송 수신용 안테나 장치.And the second antenna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terminal holder. 제 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단말기 거치대에는 플러그가 결합될 수 있는 잭이 구비되고, 상기 제 2안테나에는 상기 잭에 결합 가능한 플러그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 방송 수신용 안테나 장치.The terminal holder is provided with a jack that can be coupled to the plug, the second antenna antenna apparatus for receiving a satellite, characterized in that the plug is coupled to the jack. 제 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제 2안테나에는 결합레일이 구비되고, 상기 단말기 거치대에는 상기 결합레일이 슬라이딩 결합될 수 있도록 레일홈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 방 송 수신용 안테나 장치.The second antenna is provided with a coupling rail, and the terminal cradle is an antenna apparatus for receiving a satellite transmiss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rail groove is provided so that the coupling rail is slidingly coupled. 제 1항 내지 제 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상기 단말기 본체가 상기 단말기 거치대에 거치될 시 상기 제 2안테나가 상기 단말기 본체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단말기 본체와 단말기 거치대를 연결하는 접속단자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 방송 수신용 안테나 장치.And a connection terminal for connecting the terminal body and the terminal holder so that the second antenna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erminal body when the terminal body is mounted on the terminal holder. Device. 휴대용 단말기 본체와;A portable terminal body; 상기 단말기 본체에 구비되는 제 1안테나와;A first antenna provided in the terminal body; 상기 단말기 본체가 거치되는 단말기 거치대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단말기 본체와 신호 연결됨으로써 상기 제 1안테나와 함께 다이버시티를 구현하는 제 2안테나 및 제 3안테나;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 방송 수신용 안테나 장치.And a second antenna and a third antenna respectively installed on the terminal holder to which the terminal main body is mounted, and connected to the terminal main body to implement diversity together with the first antenna. Credit antenna device. 제 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제 2안테나와 제 3안테나는 상기 단말기 거치대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 방송 수신용 안테나 장치.And the second antenna and the third antenna are detachably coupled from the terminal holder. 제 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단말기 거치대에는 플러그가 결합될 수 있는 잭이 적어도 두개가 구비 되고, 상기 제 2안테나와 제 3안테나에는 상기 잭에 결합 가능한 플러그가 각각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 방송 수신용 안테나 장치.The terminal holder is provided with at least two jacks to which the plug can be coupled, and the second antenna and the third antenna antenna apparatus for receiving a satellite broadcast, characterized in that each of the plugs are coupled to the jack. 제 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제 2안테나와 제 3안테나에는 결합레일이 각각 구비되고, 상기 단말기 거치대에는 상기 결합레일이 슬라이딩 결합될 수 있도록 적어도 2개의 레일홈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 방송 수신용 안테나 장치.The second antenna and the third antenna are provided with a coupling rail, respectively, and the terminal cradle is provided with at least two rail grooves so that the coupling rail can be coupled to the satellite broadcasting receiving antenna device. 제 6항 내지 제 9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6 to 9, 상기 단말기 본체가 상기 단말기 거치대에 거치될 시 상기 제 2안테나와 제 3안테나가 상기 단말기 본체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단말기 본체와 단말기 거치대를 연결하는 접속단자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 방송 수신용 안테나 장치.And a connection terminal connecting the terminal body and the terminal holder so that the second antenna and the third antenna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erminal body when the terminal body is mounted on the terminal holder. Antenna device for broadcast reception. 제1안테나를 갖는 단말기 본체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착탈부를 갖는 거치대 본체와;A cradle main body having a detachable portion such that a terminal main body having a first antenna can be detachably coupled; 상기 거치대 본체에 장착되고, 상기 단말기 본체에 신호 연결됨으로써 상기 제1안테나와 함께 상기 단말기 본체의 다이버시티를 구현시키는 제2안테나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 방송 수신용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대.And a second antenna mounted on the cradle main body and connected to the terminal main body to implement diversity of the terminal main body together with the first antenna. 제 1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단말기 본체에는 플러그가 결합될 수 있는 잭이 구비되고, 상기 제 2안테나에는 상기 잭에 결합 가능한 플러그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 방송 수신용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대.The terminal body is provided with a jack that can be coupled to the plug, the cradle of the portable terminal for satellite broadcast recep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antenna is provided with a plug that can be coupled to the jack. 제 1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제 2안테나에는 결합레일이 구비되고, 상기 단말기 본체에는 상기 결합레일이 슬라이딩 결합될 수 있도록 레일홈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 방송 수신용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대.The second antenna is provided with a coupling rail, and the terminal body is a cradle of the portable terminal for satellite broadcast recep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rail groove is provided so that the coupling rail is slidingly coupled. 제 4항 또는 제 9항 또는 제 1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or 9 or 13, 상기 결합레일과 레일홈의 결합상태를 고정시키는 고정장치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 방송 수신용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대.The cradle of the portable terminal for receiving a satellite broadcas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fixing device for fixing the coupling state of the coupling rail and the rail groove. 제 1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4, 상기 고정장치는 상기 결합레일과 레일홈의 상호 접촉면 중 어느 하나로부터 다른 하나로 돌출 형성되는 돌기와, 상기 결합레일과 레일홈의 상호 접촉면 중 다른 하나에 상기 돌기가 수용되며 걸려질 수 있도록 함몰 형성되는 돌기홈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 방송 수신용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대.The fixing device includes a protrusion protruding from one of the mutual contact surfaces of the coupling rail and the rail groove to the other, and a protrusion formed so that the protrusion is received and hooked to the other of the mutual contact surfaces of the coupling rail and the rail groove. A cradle of a portable terminal for receiving satellite broadcasts, comprising a groove.
KR1020040032338A 2004-05-07 2004-05-07 Satellite broadcast receiving antenna of mobile terminal and cradle for it for mobile terminal KR10060877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2338A KR100608779B1 (en) 2004-05-07 2004-05-07 Satellite broadcast receiving antenna of mobile terminal and cradle for it for mobi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2338A KR100608779B1 (en) 2004-05-07 2004-05-07 Satellite broadcast receiving antenna of mobile terminal and cradle for it for mobile termin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7129A KR20050107129A (en) 2005-11-11
KR100608779B1 true KR100608779B1 (en) 2006-08-08

Family

ID=372837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2338A KR100608779B1 (en) 2004-05-07 2004-05-07 Satellite broadcast receiving antenna of mobile terminal and cradle for it for mobile termi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8779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54302A1 (en) * 2012-04-13 2013-10-17 Park Jong In Satellite terminal cradl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35222B (en) * 2019-10-25 2024-03-26 上海乐今通信技术有限公司 Optimizing device and method for external antenna of police terminal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58020A (en) * 1997-12-30 1999-07-15 윤종용 Detachable dual mod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JPH11251981A (en) 1998-03-06 1999-09-17 Sony Corp Mobile communication equipment
KR200292197Y1 (en) 2002-07-10 2002-10-18 주식회사 프리눅스 charging equipment for wireless data communication and Internet connect devic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58020A (en) * 1997-12-30 1999-07-15 윤종용 Detachable dual mod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JPH11251981A (en) 1998-03-06 1999-09-17 Sony Corp Mobile communication equipment
KR200292197Y1 (en) 2002-07-10 2002-10-18 주식회사 프리눅스 charging equipment for wireless data communication and Internet connect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54302A1 (en) * 2012-04-13 2013-10-17 Park Jong In Satellite terminal crad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7129A (en) 2005-1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750257B2 (en) Multiple frequency band antenna
EP1211749B1 (en) Foldable portable cellular phone
US8253634B2 (en) Radio apparatus
US20080039043A1 (en) Mobile Telephone Device
EP1306921A2 (en) Antenna apparatus for folder type mobile phone
US6882320B2 (en) Diversity antenna apparatus for portable wireless terminal
US7639188B2 (en) Radio antenna for a communication terminal
US6995719B2 (en) Mobile radio terminal containing two antenna elements
JP3891831B2 (en) Portable radio
CN114335998A (en) Antenna assembly and electronic equipment
US20070008231A1 (en) Antenna device using support for portable terminal
KR100608779B1 (en) Satellite broadcast receiving antenna of mobile terminal and cradle for it for mobile terminal
JP2003526975A (en) Hybrid antenna system for portabl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KR100641140B1 (en) Diversity antna structure of mobile phone
JP2000049649A (en) Antenna system
KR100619995B1 (en) Antenna apparatus for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JP2004356895A (en) External antenna connection structure for radio communication terminal
US7994989B2 (en) Handheld device with switchable signal receiving modes
KR100575920B1 (en) Diversity antenna apparatus for portable wireless terminal
JP2004096302A (en) Built-in antenna structure of portable telephone
KR100629878B1 (en) Mobile telecommunication terminal
US7903032B2 (en) Antenna for a communication terminal
JPH1198051A (en) Antenna system for portable radio equipment and portable radio equipment incorporatated with the same
KR20060014657A (en) Multi channel device and method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722468B1 (en) Intenna assembling structure for telecommunication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4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