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7841B1 - 단말장치 및 단말장치의 입력 기기 자동 재구성 방법 - Google Patents

단말장치 및 단말장치의 입력 기기 자동 재구성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7841B1
KR100607841B1 KR1020017009950A KR20017009950A KR100607841B1 KR 100607841 B1 KR100607841 B1 KR 100607841B1 KR 1020017009950 A KR1020017009950 A KR 1020017009950A KR 20017009950 A KR20017009950 A KR 20017009950A KR 100607841 B1 KR100607841 B1 KR 1006078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input mode
attribute information
mode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099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89639A (ko
Inventor
나카츠치마사하루
야마모토마사아키
Original Assignee
엔티티 도꼬모 인코퍼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티티 도꼬모 인코퍼레이티드 filed Critical 엔티티 도꼬모 인코퍼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100896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96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78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78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software upgrading or downloa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45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supporting Internet browse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selection means, e.g. keys, having functions defined by the mode or the status of the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휴대전화기(및 단말장치)는, 복수의 입력모드를 가짐과 동시에 조작키를 구비하여, 현재의 입력모드에 관련된 종류의 데이터를 조작키의 조작에 응하여 입력하는 조작수단(25), 조작수단(25)에 의한 데이터의 입력을 허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프로세스(23),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프로세스(23)의 지시에 따라 조작수단(25)에 있어서 현재의 입력모드를 전환하는 입력모드 설정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프로세스(23)는 수신수단(21)에 의해 수신된 HTML 데이터를 해석/실행수단(22)이 해석 ·실행하는 것으로 생성된다. 상기 조작수단(25)에 의해 입력되는 데이터의 종류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프로세스(23)의 지시에 따라 전환될 수 있다.

Description

단말장치 및 단말장치의 입력 기기 자동 재구성 방법{A TERMINAL EQUIPMENT AND A METHOD FOR AUTOMATICALLY RECONFIGURING AN INPUT DEVICE OF TERMINAL EQUIPMENT}
본 발명은, 복수의 입력모드를 전환하여 각종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는 휴대전화기 및 단말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이동통신망을 경유하여 인터넷 등의 컴퓨터 네트웍에 액세스하는 이동 데이터 통신 시스템이 존재하고 있다. 이러한 종류의 시스템으로는, 휴대전화기를 단순한 어댑터로 간주, 데이터 단말장치로서 노트북형 또는 랩탑형 컴퓨터 등을 사용하는 시스템이나, 휴대전화기 자체를 데이터 단말장치로서 사용하는 시스템 등이 존재한다.
휴대전화기를 단순한 어댑터로 간주하는 시스템에서, 사용자는 휴대전화기 외에도 데이터 단말장치를 휴대해야 하기 때문에 휴대성이 떨어지고, 휴대전화기와 데이터 단말장치를 물리적으로 접속하는 작업이 필요하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부담이 크다는 결점이 있다. 한편, 주변기술의 진보에 의해, 데이터 단말장치로서 필요한 기능을 휴대전화기에 설치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있다. 이러한 것으로부터, 근년에는 휴대전화기 자체를 데이터 단말장치로서 사용하는 시스템의 제안 ·개발이 활발히 행해지고 있다.
실제로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는 시스템으로는, 휴대전화기에 데이터 열람용 소프트웨어인 브라우저를 탑재하여, 이동통신망을 통해 인터넷의 WWW (World Wide Web) 서비스를 휴대전화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시스템이 존재하고 있다. 이 시스템에서는, 인터넷상의 서버가 제공하는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로 기술된 데이터(이하, HTML 데이터)를 휴대전화기가 수신하면, 휴대전화기에서는 해당 HTML 데이터가 해석 ·실행되어 해당 HTML 데이터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예컨대,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생성되어 휴대전화기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그런데, WWW에서는 인터넷상의 서버가 사용자의 입력 데이터를 취득하는 방법으로서 폼(form)을 이용하는 방법이 널리 보급되고 있다. 이 폼은 HTML 데이터를 해석 ·실행하는 것에 의해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고, 통상, 사용자가 텍스트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텍스트 입력필드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텍스트 입력필드에 대한 데이터 입력작업은, 통상, 다음과 같다.
사용자는 표시장치에 표시된 폼을 참조하면서 커서이동수단을 조작하여 데이터를 입력하고자 하는 텍스트 입력필드를 선택한 다음, 해당 필드에 데이터를 입력한다. 이 처리를, 데이터 입력을 요하는 텍스트 입력필드의 수만큼 반복한 다음, 입력한 데이터를 송신하라는 지시를 입력한다. 이것에 의해, 폼에 입력된 데이터는 인터넷상의 서버에 송신된다.
그러나, 특정한 종류의 데이터의 입력만을 허용하는 텍스트 입력필드에 데이터를 입력하는 경우, 사용자는 해당 특정한 종류의 데이터를 입력하도록 데이터 입력수단(예컨대, 키보드)을 조작해야 한다. 예컨대, 선택한 텍스트 입력필드가 일본 국내의 주소를 입력하기 위한 필드이면 한자 및 가나를 입력할 수 있도록, 그리고 연령을 입력하기 위한 필드이면 숫자를 입력할 수 있도록 데이터 입력수단을 조작해야 한다.
특히, 일본어의 경우에는, 입력순서(조작자의 조작순서)는 완전히 같더라도 히라가나와 가타카나로서 표시되는 문자(입력되는 문자코드)가 다르기 때문에, 어느 쪽의 문자를 입력하는지를 사용자가 지정하지 않으면 안 된다. 또한, 일본어의 입력에 있어서는 로마자를 표음문자로 하여, 입력된 로마자를 필요에 따라 가나나 한자로 변환하는 방법도 널리 채용되고 있다. 즉, 일본어의 입력에는 표시되는 문자를 선택하는 조작이 필요하다. 이러한 조작은, 일본어 외에 다른 언어(예컨대, 아시아 지역에서 사용되고 있는 일본어 이외의 언어의 일부)의 문자를 입력하는 경우에도 행해지고 있다. 이와 달리, 숫자와 알파벳의 입력만을 허용하는 입력 시스템에서는 표시되는 문자를 선택하는 조작을 불필요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컨대, 숫자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모드와, 알파벳의 대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모드, 및 알파벳의 소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모드를 마련하여, 이들로부터 하나를 선택하고 나서 입력을 하는 것과 같은 입력 시스템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일본어 주소나 연령의 입력과 같이, 입력모드를 전환하는 조작이 필요하다. 물론, 컴퓨터에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키보드와 같이 충분히 많은 조작키를 구비한 입력수단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기만 하면 상기 조작을 적게 할 수 있지만, 입력수단의 휴대성이 희생된다.
상기 조작은 사용자의 부담을 크게 하고, 특히, 각종 데이터 입력에 충분한 수의 조작키를 마련하는 것, 및 각 조작키를 데이터 입력이 용이하도록 배치하는 것이 물리적으로 곤란한 휴대전화기에 있어서는 사용자에게 큰 부담이 따른다. 즉, 휴대전화기 등의 단말장치에서는, 입력모드 등의 단말장치의 기능(자원)을 변경하고자 할 경우의 작업이 매우 번거로우므로, 예컨대, 폼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입력할 경우에는 사용자에게 적지 않은 부담이 따르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 중 하나는, 조작체계를 복잡하게 하는 일 없이, 데이터 입력 시에 사용자의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는 휴대전화기 등의 단말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장치내의 자원을 사용자 자신이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는 단말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전화기나 단말장치는, 복수의 입력모드를 가짐과 동시에 조작키를 구비하여 현재의 입력모드와 관련된 종류의 데이터를 상기 조작키의 조작에 의해 입력하는 조작수단; 상기 조작수단에 의한 데이터의 입력을 허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수단; 및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응하여 상기 현재의 입력모드를 설정하는 입력모드 설정수단을 구비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따라 현재의 입력모드가 설정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수동으로 입력모드를 변경할 필요가 없다.
또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시각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할 수도 있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복수의 입력개소를 가져, 상기 각 입력개소가 특정한 종류의 데이터의 입력을 허용하는 속성을 가지며, 상기 복수의 입력개소에서 1개의 입력개소를 선택하는 선택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입력 모드 설정수단이 상기 선택수단에 의해 선택된 입력개소의 속성에 따라 입력모드를 상기 현재의 입력모드로서 설정하도록 할 수도 있다. 전자의 경우에는 시각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채용한 기존의 많은 컨텐츠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후자의 경우에는 보다 정확한 입력모드의 전환을 실현할 수 있다.
더욱이, 후자의 경우에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시각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하고 상기 입력개소를 공간적인 넓이를 가진 영역으로 하면, 기존의 많은 컨텐츠를 이용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각 구성에 있어서, 이동통신망(또는 통신망) 측에서 무선통신로를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수단이 상기 수신수단에 의해 수신된 데이터에 따라 상기 조작수단에 의한 데이터의 입력을 허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조작수단의 조작에 의해 입력된 데이터를 무선통신로(또는 통신로)를 통해 이동통신망(또는 통신망) 측으로 송신하는 송신수단을 구비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유연한 데이터 통신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별도의 형태에 따른 단말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자원; 상기 자원을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수단; 및 상기 수신수단에 의해 수신된 데이터에 따라 상기 자원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또 별도의 형태에 따른 단말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자원;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수단; 상기 수신수단에 의해 수신된 데이터에 따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수단; 및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따라 상기 자원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 각 형태의 단말장치에 있어서, 상기 자원을 하드웨어 자원으로 할 수도 있고, 상기 수신수단이 통신단말을 통해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휴대전화기(MS)를 사용한 이동 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상기 휴대전화기(MS)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상기 휴대전화기(MS)의 기능구성을 본 발명의 특징적인 부분에 관해서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는, 상기 휴대전화기(MS)에 의해 표시되는 화면의 예를 게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폼 데이터를 수신하고 나서, 사용자의 입력내용을 송신하기까지의 상기 휴대전화기(MS)의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6은, 상기 휴대전화기(MS)에서 오브젝트 테이블(OT)의 구성 예를 게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상기 휴대전화기(MS)에 의해 수신되는 폼 데이터 중 입력모드 지정태그의 기술 예를 게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입력모드 지정태그에 대하여 상기 휴대전화기(MS)가 행하는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9는, 데이터가 입력되는 오브젝트가 텍스트 입력필드인 경우에 상기 휴대전화기(MS)가 행하는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0은, 입력모드를 전환하는 다른 처리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입력모드를 전환하는 다른 처리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해서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그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변경이 가능하다.
A: 이동 데이터 통신 시스템
A-1: 이동 데이터 통신 시스템의 구성
먼저, 본 실시예에 의한 휴대전화기를 사용한 이동 데이터 통신 시스템 전체의 구성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휴대전화기를 사용한 이동 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상기 도면에 있어서, MS는 이동 패킷 통신망(MPN)의 패킷통신서비스를 받는 휴대전화기이다. 이 휴대전화기(MS)는 이 도면에 나타낸 이동 패킷 통신망(MPN) 및 이동전화망(MTN)에 접속되어 있다. 이동전화망(MTN)은 일반적인 이동전화의 통화서비스를 제공하는 망이고, 휴대전화기(MS)는 해당 통화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휴대전화기(MS)의 구성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또, 이동전화망(MTN)은 후술하는 기지국(BS)과 회선교환서비스를 제공하는 디지털 이동 통신용 교환기(MLS)로 구성되어 있다.
이동 패킷 통신망(MPN)은, 기지국(BS), 패킷가입자처리장치(PS), 게이트웨이 서버(GWS), 및 이들을 접속하는 통신회선으로 구성되어 있다.
기지국(BS)은, 지상을 예컨대 반경 500 m 등의 범위로 분할한 소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고, 각각이 형성하는 무선 존에 속하는 휴대전화기(MS)와 무선통신을 한다.
패킷가입자처리장치(PS)는, 복수의 기지국(BS)을 수용하는 패킷가입자교환국에 구비된 컴퓨터 시스템이고, 휴대전화기(MS)에서의 패킷교환요구를 접수함과 동시에, 이동 패킷 통신망(MPN) 내에서의 패킷교환을 중계한다.
게이트웨이 서버(GWS)는, 이동 패킷 통신망(MPN)과 인터넷(INET) 등의 다른 네트웍을 상호 접속하기 위한 이동 패킷 게이트웨이 중계교환국에 구비된 컴퓨터 시스템이고, 네트웍간에 다른 통신 프로토콜을 변환한다. 여기서 말하는 통신 프로토콜의 변환은, 구체적으로, 이동 패킷 통신망(MPN)이 따르는 이동 패킷 통신망용 전송 프로토콜과, 인터넷(INET) 등의 다른 네트웍이 따르는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와의 상호 변환을 말한다.
또한, 게이트웨이 서버(GWS)는, 휴대전화기(MS)에서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의 GET 요구를 받아들이면, 해당 GET 요구에 포함되는 URL(Uniform Resource Locator)를 조사하여, 해당 URL이 전용선을 통해 게이트웨이 서버(GWS)에 접속된 IP 서버(W) 내의 기억위치를 나타내는 것인 경우에는, 그 GET 요구를 해당 IP 서버(W)에 전송하고, 그 응답을 휴대전화기(MS)에 반송한다. 또한, GET 요구 중의 URL이 인터넷(INET) 상의 일반적인 URL인 경우에는, 인터넷(INET)에 해당 GET 요구를 전송하고, 이 GET 요구에 응하여 인터넷(INET)에서 송신된 응답을 휴대전화기(MS)에 반송한다.
더욱이, 게이트웨이 서버(GWS)는 IP 서버(W)와 연동하여, 전자메일의 송수신 등의 정보분배서비스 및 각종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제어를 한다.
IP 서버(W)는, IP(Information Provider)가 운용하는 서버 시스템이고, 사용자에게 제공해야 할 정보를 HTML 데이터로서 네트웍에 송출한다. 이 IP 서버(W)는, 인터넷(INET)을 통해 게이트웨이 서버(GWS)에 접속되거나, 전용선을 통해 게이트웨이 서버(GWS)에 접속될 수 있다. 또한, IP 서버(W)를 게이트웨이 서버(GWS) 내부에 마련하는 것도 가능하다.
A-2: 이동 데이터 통신 시스템의 동작 예
다음에, 상기 구성의 이동 데이터 통신 시스템의 동작 예에 관해 설명한다.
휴대전화기(MS)에서 인터넷(INET)에 접속된 IP 서버(W)로 GET 요구가 송출되면, 게이트웨이 서버(GWS)는 이 GET 요구를 해당 IP 서버에 전송한다. IP 서버(W)는 해당 GET 요구에 응하는 응답을 게이트웨이 서버(GWS)를 통해 휴대전화기(MS)에 반송한다. 이때에 반송되는 응답이 사용자 데이터의 입력을 요구하는 HTML 데이터(이후, 폼 데이터)인 경우에는, 해당 응답을 수신한 휴대전화기(MS)에서 사용자 데이터의 입력처리가 행해지고 입력된 사용자 데이터가 일괄적으로 IP 서버(W)에 반송된다.
B: 휴대전화기(MS)의 구성
B-1: 휴대전화기(MS)의 하드웨어 구성
도 2는 휴대전화기(MS)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이 도면에 나타낸 것과 같이, 휴대전화기(MS)는 기지국(BS)과 무선통신을 행하는 송수신부(예컨대, 안테나, 무선부, 송신기 및 수신기 등)(11), 소리를 입력하기 위한 집음부(예컨대, 마이크)(12), 소리를 내기 위한 발음부(예컨대, 스피커)(13),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조작키를 구비한 조작패널(14), 액정패널 등을 갖는 액정 디스플레이(15), 및 이들 각 부를 제어하는 제어부(16)를 내장하고 있다.
상기 조작패널(14)은 전화번호나 각종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10개의 키, 전원의 온/오프를 지시하기 위한 전원버튼, 통화를 하기 위한 음성통화모드와 데이터 통신을 하기 위한 데이터 통신모드를 전환하기 위한 통신모드 전환버튼, 및 입력모드의 전환을 지시하기 위한 입력모드 전환버튼 등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제어부(16)는 각종 제어를 하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161), CPU(161)에 의해 실행되는 각종 프로그램과 특정 URL 등을 저장하는 ROM(Read Only Memory)(162), 및 전화번호부 데이터나 현재의 입력모드 등을 저장하는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163)을 내장하고 있어, 전원버튼을 눌러 도시하지 않은 전원이 투입되면, CPU(161)는 ROM(162)에 저장된 기본 제어 프로그램을 독출하고 실행하여, ROM(162), SRAM(163), 송수신부(11), 집음부(12), 발음부(13), 조작패널(14) 및 액정 디스플레이(15)를 제어한다. 여기서, 상기 SRAM(163)은 일례에 지나지 않고, 현재의 입력모드를 기억하는 수단은 EEPROM 등의 다른 종류의 불 휘발성 메모리가 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휴대전화기(MS)는 통신모드로서 통화를 하기 위한 통화모드와 데이터 통신을 하기 위한 데이터모드를 구비하고 있고, 통신모드가 데이터모드로 변경될 때에는 ROM(162)에 저장된 문서 데이터 열람용 프로그램(소위 브라우저)을 독출하여 해당 브라우저를 실행함으로써, HTML 데이터에 따라 액정 디스플레이(15)에 대화화면(이하, 초기화면)을 표시한다. 또한, 조작패널(14) 및 액정 디스플레이(15)는 통화모드와 데이터모드에 공용된다.
B-2: 휴대전화기(MS)의 기능구성
다음에, 본 발명의 특징적인 부분에 관해서 휴대전화기(MS)가 구비한 기능을 설명한다. 여기서 설명하는 기능은, 데이터 모드에서 CPU(161)가 브라우저를 실행하는 것에 의해 제공되는 기능이다. 또, 다른 기능에 관해서는, 일반적인 휴대전화기가 구비되어 있지만, 주지되어 있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특징적인 부분에 관해서 휴대전화기(MS)의 기능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고, 데이터 모드에서 CPU(161)가 브라우저를 실행하는 것에 의해 제공되는 기능요소가 블록으로서 도시된다.
이 도면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기능요소로는, 이동 패킷 통신망(MPN)으로부터 HTML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수단(21), 수신수단(21)에 의해 수신된 HTML 데이터를 해석하고, 그 해석결과에 따른 처리를 실행하는 해석/실행수단(22), 해석/실행수단(22)의 실행결과로서 생성되는 프로세스인 사용자 인터페이스 프로세스(23), 사용자 인터페이스 프로세스(23)로부터 출력된 표시 데이터를 표시하는 표 시수단(24), 모드전환지시에 따라 입력모드를 변경하는 조작수단(25), 사용자 인터페이스 프로세스(23)로부터의 모드지정지시에 따라 모드전환지시를 조작수단(25)에 출력하는 입력모드 설정수단(26),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프로세스(23)로부터의 송신 데이터를 이동 패킷 통신망(MPN)에 송신하는 송신수단(27)이 존재한다.
상기 기능요소에 있어서, 수신수단(21) 및 송신수단(27)은 도 2의 송수신부(11)에 의해 실현되는 기능, 표시수단(24)은 액정 디스플레이(24)에 의해 실현되는 기능, 해석/실행수단(22)은 브라우저를 실행하는 CPU(161)에 의해 실현되는 기능이다. 또, 해석/실행수단(22)은, 나중에 상세히 설명하는 오브젝트 테이블(OT)을 작성하여, 이것을 이용하는 처리도 행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프로세스(23)는, 브라우저를 실행한 CPU(161)가 송수신부(11)에 의해 수신된 HTML 데이터에 따라 생성하는 프로세스이고, 그 기능은 해당 HTML 데이터의 내용에 따른 기능이 된다. 예컨대, 텍스트 입력필드를 갖는 폼을 나타내는 HTML 데이터가 송수신부(11)에 의해 수신된 경우에는, 텍스트 입력필드를 갖는 페이지 및 데이터 입력용 커서가 표시수단(24)에 표시되어, 해당 텍스트 입력필드에 데이터를 입력하는 것이 허용된다. 또, 여기서 입력이 허용되는 데이터의 종류는, 텍스트 입력필드의 속성으로서 HTML 데이터에 기술된 종류가 된다.
조작수단(25)은 조작패널(14), 기본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한 CPU(161), 및 SRAM(163)에 의해 실현되는 기능이고, 조작패널(14)의 10개의 키 조작에 의해 입력되는 신호와 SRAM(163)의 소정 영역에 기억된 현재의 입력모드에 따라 CPU(161)가 입력 데이터를 확정하는 처리와, 조작패널(14)의 입력모드 전환버튼을 누르는 것으 로 CPU(161)가 SRAM(163)에 기억된 현재의 입력모드를 다음 입력모드로 전환하는 처리를 실현한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 입력모드는 입력모드 전환버튼이 눌릴 때마다, 예컨대, 숫자 →알파벳 →가나(한자) →숫자 →‥‥와 같이 순회적으로 바뀐다.
입력모드 설정수단(26)은 브라우저를 실행한 CPU(161) 및 SRAM(163)에 의해 실현되는 기능이고, 사용자 인터페이스 프로세스(23)로써 결정된 새로운 입력모드(모드지정지시로 표시된 모드)가 현재의 입력모드가 되도록 CPU(161)가 SRAM(163)의 소정 영역에 기억된 현재의 입력모드를 갱신하는 처리를 실현한다. 또, 조작수단(25)은 입력모드 설정수단(26)으로부터 모드전환지시를 받을 때마다, SRAM(163)의 소정 영역에 기억된 현재의 입력모드를 순회적으로 갱신한다. 예컨대, 현재의 입력모드가 숫자 입력모드이고 사용자 인터페이스 프로세스(23)로써 결정된 새로운 입력모드가 가나 입력모드인 경우에는, 입력모드 설정수단(26)으로부터 조작수단(25)으로 모드전환지시가 2회 공급되어, 현재의 입력모드가 알파벳 입력모드를 거쳐 가나 입력모드로 바뀐다.
C: 휴대전화기(MS)의 동작
휴대전화기(MS)는, 도 4에 예시한 것과 같은 대화화면을 제공하는 폼 데이터를 수신하면 도 5에 나타낸 처리를 실행한다. 또한, 도 4에서 RB는 라디오버튼이고, 복수의 버튼 중 1개(도 4에서는 "여성"에 해당하는 버튼)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다. TIF1∼TIF4는 각각 텍스트 입력필드이고, 사용자에 의해 텍스트 입력필드 TIF1에는 이름, 텍스트 입력필드 TIF2 및 TIF3에는 우편번호, 텍스트 입력필드 TIF4에는 주소가 입력된다. SB는 송신버튼이고, 사용자가 해당 버튼을 누르면 폼에 입력된 사용자 데이터가 송신된다. CB는 취소 버튼이고, 사용자가 해당 버튼을 누르면 폼이 초기화된다.
도 5는 폼 데이터를 수신하고 나서, 사용자의 입력내용을 송신하기까지의 휴대전화기(MS)의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순서도이고, 이 도면에 나타내는 각 처리는 전술한 각 수단이 연동하여 실현된다.
수신수단(21)이 폼 데이터를 수신하면, 해석/실행수단(22)이 해당 폼 데이터를 구성하고 있는 명령을 해석하고 실행한다. 이것에 의해, 사용자 인터페이스 프로세스(23)가 생성된다(단계 SA1). 폼 데이터의 해석과정에서 해석/실행수단(22)은, 폼 상의 모든 오브젝트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정보와 오브젝트의 종류(체크박스, 버튼, 텍스트 입력필드 등)나 속성(크기, 색깔 등) 등을 나타내는 속성정보를 대응시켜 오브젝트 테이블(OT)(도 6 참조)을 생성한다. 또한, 폼 상의 송신버튼에 대한 속성에는 입력된 데이터의 송신지도 포함된다.
더욱이, 오브젝트 테이블(OT)의 생성과정에서 해당 폼 중에 입력모드 지정태그가 부여된 텍스트 입력필드가 존재하는 경우에, 해석/실행수단(22)은 입력모드 지정태그에 의해 지정된 입력모드를 해당 태그가 부여된 텍스트 입력필드의 속성으로서 오브젝트 테이블(OT) 내에 저장한다.
폼 데이터 중의 입력모드 지정태그의 기술 예를 도 7에 나타내고 있다. 이 도면에 나타낸 기술 예는 도 4에서 텍스트 입력필드 TIF4에 해당하는 것이다. 이 기술 예에서 "INPUT TYPE"으로 시작되는 문자열은 일반적인 기술이지만, "INPUTMODE"로 시작되는 문자열은 본 실시예 특유의 기술이 된다. 여기서는, 텍스트 입력필드 TIF4에 대한 입력모드를 가나(한자) 모드로 하는 것을 규정하고 있다.
도 8은 입력모드 지정태그에 대한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순서도이고, 해석/실행수단(22)은 입력모드 지정태그가 부여된 텍스트 입력필드를 찾아낼 때마다 해당 순서도에 나타낸 처리를 한다. 이 도면에 나타낸 것과 같이, 해석/실행수단(22)은 우선 입력모드 지정태그에 의해 지정된 입력모드를 특정화한다(단계 SB1). 다음에, 해석/실행수단(22)은, 해당 태그가 부여된 텍스트 입력필드의 속성으로서, 단계 SB1에서 특정화된 입력모드를 오브젝트 테이블(OT)에 저장한다(단계 SB2).
다시 도 3에서, 해석/실행수단(22)에 의해 생성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프로세스(23)는 폼 데이터에 따른 화면, 즉 폼(도 4참조)을 표시수단(24)에 의해 표시한다(단계 SA2). 이후, 폼에 입력된 데이터의 송신지시가 입력될 때까지, 데이터 입력이 허용된 오브젝트에 대한 데이터의 입력처리가 조작수단(25) 및 입력모드 설정수단(26)에 의해 행해진다(단계 SA3).
데이터의 입력처리는 입력될 오브젝트의 종류나 속성에 따라 다르다. 입력될 오브젝트가 라디오박스나 리스트 등인 경우에, 사용자의 조작은 복수의 선택지 중에서 원하는 선택지를 선택하는 것만으로 완료한다. 그 결과, 선택된 선택지를 나타내는 정보가 해당 오브젝트에 대한 입력 데이터로서 오브젝트 테이블(OT)에 저장된다.
입력될 오브젝트가 텍스트 입력필드인 경우에는, 도 9에 나타낸 것과 같이, 사용자는 우선 해당 오브젝트를 선택한다(단계 SC1). 이것에 의해, 사용자 인터페이스 프로세스(23)가 입력 대상인 오브젝트의 식별정보를 취득한다. 식별정보를 취득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프로세스(23)는 오브젝트 테이블(OT)을 참조하여 해당 오브젝트가 텍스트 입력필드인 것을 인식하면, 해당 텍스트 입력필드에 대한 데이터 입력을 가능하게 한다. 그 결과, 표시수단(24)에 의해, 예컨대, 해당 텍스트 입력필드의 선두에서 커서가 점멸 표시된다.
더욱이, 해당 텍스트 입력필드의 속성으로서 입력모드가 설정된 경우(단계 SC2), 사용자 인터페이스 프로세스(23)는 텍스트 입력모드를 설정입력모드로 변경하라는 모드지정지시를 입력모드 설정수단(26)에 공급한다(단계 SC3). 모드지정지시를 받은 입력모드 설정수단(26)은, 입력모드의 전환 순서와 현재의 입력모드 및 모드지정지시에 따른 회수만 모드전환지시를 조작수단(25)에 공급한다. 모드전환지시를 받은 조작수단은, 해당 지시를 받을 때마다 입력모드를 바꾼다. 이것에 의해, 최종적으로는 모드지정지시에 의해 지정된 모드로 입력모드가 바뀐다(단계 SC4). 이후, 데이터의 입력이 허용된다(단계 SC5).
또한, 해당 텍스트 입력필드의 속성으로서 입력모드가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단계 SC2), 사용자 인터페이스 프로세스(23)는 현재의 입력모드를 유지한 채로 단계 SC5의 처리로 진행한다.
이렇게 하여 텍스트 입력필드에 데이터가 입력되어 도 4의 송신버튼이 눌러지면, 도 5의 단계 SA4의 판정 결과가 "YES"가 되어 송신처리가 행해진다(단계 SA5).
단계 SA5의 송신처리에서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프로세스(23)에 의해, 데이터가 입력된 오브젝트의 식별정보와 그에 해당하는 입력 데이터로부터 송신 데이터가 생성되고, 이 송신 데이터를 송신버튼에 대응시켜 저장된 송신지로 송신하라는 지시가 송신수단(27)으로 공급된다. 이 지시를 받아들인 송신수단(27)은 해당 송신 데이터를 해당 송신지(IP 서버(W))에 송신한다.
D: 보충설명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입력모드 지정태그를 사용하여 텍스트 입력필드에 대한 데이터의 입력모드를 지정하도록 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컨대, 도 10에 나타낸 것과 같이, 텍스트 입력필드의 입력 예를 폼 데이터에 포함시켜, 이 입력 예에 포함되는 문자열의 종류에 따라 텍스트 입력필드의 입력모드를 지정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고, 도 11에 나타낸 것과 같이 문장 중에 텍스트 입력필드를 배치하여, 전후 문자열의 종류에 따라 텍스트 입력필드의 입력모드를 지정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입력모드 전환의 지정자의 예로서 "INPUTMODE"라는 문자열을 들었지만, 다른 문자열을 지정자로서 정의 및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해석/실행수단(22)이 오브젝트 테이블(OT)을 작성 및 이용하는 것으로 휴대전화기(MS)의 입력모드가 바뀌는 예를 들었지만, 이것 은 휴대전화기(MS)에의 설치의 일례에 지나가지 않고, 다른 설치형태를 채용할 수도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HTML 데이터를 이용한 화상에 의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예를 게시하였지만, 문자 기반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더욱이, HTML 형식 이외의 형식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입력모드로서, 숫자, 알파벳 및 가나(한자)를 예시하였지만, 본 발명의 대상이 되는 입력모드는 이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일본어와는 다른 언어체계(예컨대 중국어)를 지원한 휴대전화기에 본 발명을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예컨대, 러시아어 모드, 북경어 모드, 광동어 모드 등의 복수의 언어를 지원한 휴대전화기라면, 각 언어모드를 입력모드로서 파악하여 본 발명을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마찬가지로, 복수의 코드체계에 해당하는 입력모드를 지원하는 휴대전화기에 본 발명을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화상이나 음성, 도형문자 등을 사용자가 입력할 수 있는 휴대전화기에 본 발명을 적용하여, 이들을 포함하는 입력모드로 전환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컨대, 디지털카메라를 구비한 휴대전화기에 폼을 표시하여, 화상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필드가 선택되었을 때, 또는 폼 상의 소정의 오브젝트(예컨대, "사진촬영"이라는 문자열)가 선택되었을 때에, 해당 카메라를 자동적으로 작동시켜 사용자를 촬영하고, 촬영된 화상을 나타내는 화상 데이터를 해당 필드에 입력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물론, 폼 상의 소정의 오브젝트(예컨대, "음성입력"이라는 문자열) 가 선택되었을 때, 집음부로부터 입력된 음성 데이터를 해당 필드에 입력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것들의 실시예에서는, 사용자의 프라이버시를 보호하기 위해 화상 데이터나 음성 데이터의 자동입력 여부를 사용자가 미리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더욱이, 각 입력모드에서 입력 가능한 데이터는 배타적으로 구분될 필요가 없다. 예컨대, 금융에 관한 키워드의 입력을 용이하게 한 입력모드나 쇼핑에 관한 키워드의 입력을 용이하게 한 입력모드 등을 구비한 휴대전화기에 본 발명을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예컨대, 각종 서비스를 제공하는 메뉴를 표시한 휴대전화기를 조작하여 사용자가 은행 서비스에 관한 메뉴항목을 선택하면, 휴대전화기의 입력모드가 금융에 관한 키워드의 입력을 용이하게 한 입력모드로 자동적으로 전환되는 서비스의 제공이 가능해진다.
또한,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시각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한하지 않는다. 예컨대, 음성안내에 따라서 메뉴항목을 선택하는 등의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될 수도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폼에 입력된 데이터를 폼 데이터의 송신원으로 반송하는 예를 게시하였지만, 폼의 송신원과는 다른 서버에 송신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휴대전화기(MS)에 컴퓨터 등의 외부장치를 접속하여, 송신수단(27)을 이용하는 일 없이(즉, 이동통신망(MPN)을 경유하지 않고) 해당 외부장치에 입력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더욱이, 입력 데이터의 송신지를 휴대전화기(MS) 내부로 할 수도 있다. 즉, 처리시스템이 허용하는 범위 내로, 입력된 데이터의 송신지를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수신수단(21)을 경유하여(즉, 이동통신망(MPN)을 통해) 폼 데이터를 수신하는 예를 게시하였지만, 폼 데이터를 휴대전화기(MS)에 미리 기억시켜 놓을 수도 있고, 이동통신망(MPN) 이외의 통신로(예컨대, RS-232C)를 경유하여 수신하도록 할 수도 있다.
더욱이,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입력 대상인 오브젝트를 선택하고 나서 사용자 데이터를 입력하는 예를 게시하였지만, 폼 상에 입력 대상인 오브젝트가 1개밖에 존재하지 않은 경우에는, 해당 오브젝트를 자동으로 선택하여 사용자의 선택동작을 생략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오브젝트와 관계없이 데이터의 입력모드를 설정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컨대, HTML 데이터에 입력모드를 지정하는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해당 HTML 데이터로 표현된 페이지 내의 모든 오브젝트에 대한 입력모드를 해당 정보에 따라 전환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HTML 데이터(컨텐츠) 단위로 입력모드를 전환할 수도 있다.
또한, 예컨대, 복수의 대기화면을 갖는 휴대전화기가 특정한 사이트의 홈페이지에 액세스하면, 이 홈페이지에 기술된 대기화면의 변경지시에 따라 휴대전화기의 대기화면이 자동적으로 변경되는 것과 같은 형태도 실현 가능하다. 이 형태에서는, 예컨대, 특정한 사이트의 홈페이지의 내용(즉 변경지시)을 4분기마다 재작성 함으로써, 해당 사이트에 액세스하는 휴대전화기의 대기화면을 계절에 따라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설명으로부터 분명하듯이,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전환 대상은 입력모드에만 한하지 않는다. 예컨대, 디지털카메라를 구비한 휴대전화기에 있어서, 촬영된 화상을 나타내는 화상 데이터를 폼에서 지정된 크기(및 데이터 크기)의 화상 데이터로 변환하고 나서 해당 필드에 입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것이 음성에도 적합하여, 집음부로부터 입력된 음성 데이터의 샘플링 속도 등을 변환하고 나서 해당 필드에 입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더욱이, 영상재생모드, 음악재생모드, 전화전용모드 등을 구비한 휴대전화기에 적용하여, 이것들의 모드를 전환 대상으로 할 수도 있다. 예컨대, 휴대전화기가 컨텐츠를 분배하는 사이트에 액세스하여, 분배 대상이 되는 컨텐츠를 선택하기 위한 화면이 휴대전화기에 표시되고,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원하는 컨텐츠가 선택되었을 때, 휴대전화기의 모드가 자동적으로 영상재생모드로 전환되어, 액정 디스플레이나 발음부의 설정이 영상재생에 알맞은 설정이 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형태는, 컨텐츠 선택 시에 해당 컨텐츠의 종류에 해당하는 명령이 실행되도록 컨텐츠 선택화면을 작성해 놓고, 이러한 명령을 해석 ·실행하여 그 장치의 설정을 변경할 수 있는 휴대전화기에 이러한 선택화면을 표시하도록 함으로써 실현 가능하다. 또한, 공공장소에서 타인에게 폐를 끼치지 않도록 하는 모드와 통상의 모드를 구비한 휴대전화기에 적용하여, 특정한 사이트에 액세스하여 모드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물론, 이러한 모드전환은 수동으로 행해질 수도 있지만, 조작이 복잡한 휴대전화기에 있어서 특정한 사이트에 액세스하여 휴대전화기의 모드 또는 기능을 바꾸는 쪽이 사용자에게 있어 이해하기 쉽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모드보다 상세한 수준으로 설정을 바꾸는 것이 가능한 휴대전화기에 본 발명을 적용하는 경우에는, 컨텐츠 재생 시의 화면 크기나 음량, 재생속도 등의 설정을 컨텐츠에 따라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 더욱이, 분배 대상이 되는 컨텐츠의 선택 시에, 해당 컨텐츠에 따라 설정된 제어명령(휴대전화기의 하드웨어 자원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휴대전화기가 실행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것에 의해, 컨텐츠에 따라 액정 디스플레이의 백라이트를 점등/소등하여, 컨텐츠에 따른 음악 데이터(예컨대 착신을 알리는 적어도 하나의 음악으로부터 선택된 음악의 데이터)를 재생하거나, 컨텐츠에 따른 타이밍으로 착신램프(전화나 전자메일 등의 착신 시에 점등 또는 점멸하는 램프)를 점멸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물론, 설정의 변경 대상은 하드웨어 자원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컨대, 전자메일을 송수신하기 위한 소프트웨어를 가지며, 해당 소프트웨어를 사용하기 위한 설정이 행해지지 않은 휴대전화기에 의해 특정한 사이트에 액세스하여, 해당 사이트의 홈페이지에 포함되어 있는 설정명령(휴대전화기에서 해당 소프트웨어를 사용 가능하게 설정하기 위한 명령)을 휴대전화기가 실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휴대전화기를 보수하는 사이트에 해당 휴대전화기로 액세스하여, 해당 사이트로부터 송신된 제어명령에 따라 송신전력 등이 사양을 만족하는지 여부의 시험을 하고, 그 시험결과에 따라 송신전력 등을 제어하는 전자볼륨을 자동적으로 조작하는 형태도 실현 가능하다. 또한, 휴대전화기의 소프트웨어를 갱신하는 특정한 사이트에 해당 휴대전화기로 액세스하여, 해당 사이트로부터 송신된 제어명령에 따라 새로운 소프트웨어를 해당 사이트에서 다운로드하여 휴대 전화기에 설치하는 형태도 실현 가능하다.
또한, 조작의 복잡화의 배제를 목표로 하여 간소화된 메뉴와 통상의 메뉴를 갖는 휴대전화기로 특정한 사이트에 액세스하여, 해당 사이트로부터 송신된 데이터에 기초를 둔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메뉴를 전환할 오브젝트를 사용자가 선택하면 휴대전화기에서 사용되는 메뉴가 전환되는 형태도 실현 가능하다. 또한, 복수의 메뉴항목에 해당하는 기능을 갖는 휴대전화기로 특정한 사이트에 액세스하여, 해당 사이트로부터 송신된 데이터에 기초를 둔 사용자 인터페이스(모든 메뉴항목을 선택 가능하게 제시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로부터 원하는 메뉴항목을 체크박스 등을 사용하여 선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휴대전화기의 메뉴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해당 사이트에 액세스하기 위한 기능만을 사용 가능하게 하여 휴대전화기를 출하할 수 있다.
또한, 조작의 복잡화의 배제라는 관점에서도,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어 대상은 소프트웨어 자원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휴대전화기의 출하 시에는, 조작의 복잡화의 배제를 목표로 하여 착신램프의 발색 가능한 색의 수를 한가지 색으로 하고, 해당 휴대전화기로부터 특정한 사이트에 액세스한 뒤에는 해당 색의 수를 복수로 변경하여 각 색에 다른 의미를 부여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설명으로부터 분명하듯이, 휴대전화기가 갖는 자원의 활성화, 비활성화 및 설정 등의 제어를 원격지의 서버로부터 한다는 점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더욱이, 전술한 실시예 및 각 변형 예에서는 본 발명을 휴대전화기에 적용한 예를 들었지만, 본 발명의 적용은 휴대전화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예컨대, 통신기능을 구비한 PDA(Personal Digital (Data) Assistants)나, 통신기능을 구비한 휴대형 또는 데스크탑 컴퓨터 등도 가능하다. 물론, 통신기능을 구비하지 않은 PDA나 컴퓨터 등의 데이터단말과, 휴대전화기나 고정망에 호환되는 모뎀 등의 통신단말을 접속하여 구성되는 단말장치에 본 발명을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Claims (60)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단말장치의 입력기기를 자동으로 재구성하는 방법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를 갖는 폼에 액세스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에 대해 속성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속성 정보에 응답하여 상기 입력기기에 대해 입력모드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입력모드를 위해 상기 입력기기를 자동으로 재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장치는 이동 전화 기능을 구비하며,
    상기 폼은 이동통신망으로부터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의 입력기기 자동재구성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오브젝트는 입력필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의 입력기기 자동재구성 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속성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에 대한 입력형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의 입력기기 자동재구성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형태는, 체크박스, 버튼, 리스트 및 텍스트 입력필드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의 입력기기 자동재구성 방법.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속성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에 대한 입력모드를 포함하고,
    입력모드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에 대한 입력모드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의 입력기기 자동재구성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모드는 언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의 입력기기 자동재구성 방법.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모드는 언어에 있는 문자세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의 입력기기 자동재구성 방법.
  21.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속성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에 대한 속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의 입력기기 자동재구성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속성은, 크기, 색깔 및 송신지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의 입력기기 자동재구성 방법.
  23.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에 대한 속성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와 관련된 입력모드 지정태그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의 입력기기 자동재구성 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모드 지정태그는 문자 스트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의 입력기기 자동재구성 방법.
  2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장치는 이동전화를 포함하고,
    상기 폼에 액세스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전화의 메모리로부터 상기 폼에 액세스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의 입력기기 자동재구성 방법.
  2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장치는 이동 전화를 포함하고,
    폼에 액세스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전화의 표시장치로부터 상기 폼에 액세스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의 입력기기 자동재구성 방법.
  27. 제26항에 있어서,
    표시장치로부터 폼에 액세스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전화의 표시장치에 표시된 오브젝트에 커서를 위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의 입력기기 자동재구성 방법.
  28. 제14항에 있어서,
    입력모드를 결정하는 단계는, 사용가능한 다수의 입력모드로부터 상기 입력모드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기기를 자동으로 재구성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된 입력모드에 기초하여 상기 입력기기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의 입력기기 자동재구성 방법.
  29.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장치는 이동전화를 포함하고,
    상기 폼은 HTML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의 입력기기 자동재구성 방법.
  30.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모드는 숫자와 문자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의 입력기기 자동재구성 방법.
  31.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폼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의 입력기기 자동재구성 방법.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폼은 상기 속성정보에 기초하여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의 입력기기 자동재구성 방법.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속성정보는 텍스트 입력필드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는 점멸하는 커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의 입력기기 자동재구성 방법.
  34.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속성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를 표시하는 단계는, 사용자가 상기 오브젝트를 선택한 후 상기 속성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오브젝트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의 입력기기 자동재구성 방법.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속성정보는 텍스트 입력필드를 포함하고,
    상기 속성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오브젝트를 선택한 후 상기 오브젝트에 점멸하는 커서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의 입력기기 자동재구성 방법.
  36.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속성정보는 리스트를 포함하고,
    상기 속성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는, 사용자가 다수의 선택지로부터 선택지를 선택할 수 있도록 다수의 선택지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의 입력기기 자동재구성 방법.
  3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모드에서 상기 오브젝트에 대해 데이터를 입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의 입력기기 자동재구성 방법.
  3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폼 상의 오브젝트와, 상기 오브젝트에 해당하는 속성의 테이블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의 입력기기 자동재구성 방법.
  39.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속성은, 크기와 색깔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의 입력기기 자동재구성 방법.
  40.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장치는 이동전화를 포함하고,
    상기 오브젝트 중의 하나는 송신버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의 입력기기 자동재구성 방법.
  41.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속성정보는 송신지를 포함하고,
    데이터를 상기 폼으로 입력하고, 입력된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분을 상기 송신지로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의 입력기기 자동재구성 방법.
  42.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기기는 키패드를 포함하고,
    상기 결정된 입력모드에 대해 상기 입력기기를 자동으로 재구성하는 단계는, 상기 결정된 입력모드에 기초하여 상기 키패드에 키를 지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의 입력기기 자동재구성 방법.
  43. 단말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를 갖는 폼을 저장하는 메모리;
    다수의 입력모드를 갖는 조작수단;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에 대한 속성정보에 기초하여, 입력모드를 결정하는 모드 결정 수단;
    상기 결정된 입력모드를 위해 상기 조작수단을 자동으로 재구성하는 재구성 수단; 및
    이동통신망으로부터 상기 폼을 수신하는 수신기를 구비하고,
    상기 단말장치는 이동 전화 기능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44.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오브젝트는 입력필드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필드를 표시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45.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속성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에 대한 입력형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46.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속성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에 대한 입력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모드 결정 수단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에 대한 입력모드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47.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결정 수단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와 관련된 입력모드 지정태그를 판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48. 제43항에 있어서,
    표시장치를 더 구비하고,
    상기 폼은 상기 오브젝트와 관련된 속성정보를 갖는 다수의 오브젝트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장치는 상기 다수의 오브젝트를 표시하고,
    상기 조작수단은 다수의 오브젝트 중의 하나를 선택하는 선택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모드 결정 수단은 상기 선택된 오브젝트에 대한 입력모드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49. 제48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수단은, 커서를 표시장치 상의 다수의 오브젝트 중의 하나로 이동시키는 커서 이동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50.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장치는 이동전화를 포함하고,
    상기 폼은 HTML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51.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모드는, 숫자와 문자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52. 제43항에 있어서,
    결정된 입력모드에 기초하여 상기 오브젝트를 표시하는 표시장치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53. 제52항에 있어서,
    상기 속성정보는 텍스트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장치는 점멸하는 커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54. 제52항에 있어서,
    표시된 오브젝트를 선택하는 선택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표시장치는, 사용자가 상기 선택수단으로 상기 오브젝트를 선택한 후 상기 결정된 입력모드에 기초하여 상기 오브젝트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55. 제54항에 있어서,
    상기 속성정보는 텍스트 입력필드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장치는, 사용자가 상기 선택수단으로 상기 오브젝트를 선택한 후 점멸하는 커서를 상기 오브젝트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56. 제54항에 있어서,
    상기 속성정보는 리스트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장치는 다수의 선택지를 표시하여, 사용자가 상기 선택수단으로 상기 다수의 선택지로부터 선택지를 선택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57.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결정 수단은, 상기 폼 상의 오브젝트와, 상기 오브젝트에 해당하는 속성의 테이블을 생성하는 테이블 생성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58.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오브젝트 중의 하나는 송신버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59.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장치는 이동전화를 포함하고,
    상기 조작수단으로 입력된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분을 이동통신망을 통해 송신하는 송신기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60.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수단은 키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KR1020017009950A 1999-12-08 2000-12-07 단말장치 및 단말장치의 입력 기기 자동 재구성 방법 KR10060784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1999-00349460 1999-12-08
JP34946099 1999-12-08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9604A Division KR100742525B1 (ko) 1999-12-08 2000-12-07 무선 통신 단말 및 무선 통신 단말의 디스플레이 및 오디오 출력 중 적어도 하나를 자동으로 재구성하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9639A KR20010089639A (ko) 2001-10-06
KR100607841B1 true KR100607841B1 (ko) 2006-08-04

Family

ID=1840390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9950A KR100607841B1 (ko) 1999-12-08 2000-12-07 단말장치 및 단말장치의 입력 기기 자동 재구성 방법
KR1020047019604A KR100742525B1 (ko) 1999-12-08 2000-12-07 무선 통신 단말 및 무선 통신 단말의 디스플레이 및 오디오 출력 중 적어도 하나를 자동으로 재구성하는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9604A KR100742525B1 (ko) 1999-12-08 2000-12-07 무선 통신 단말 및 무선 통신 단말의 디스플레이 및 오디오 출력 중 적어도 하나를 자동으로 재구성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2) US6826413B1 (ko)
EP (2) EP1152583A4 (ko)
JP (1) JP5143851B2 (ko)
KR (2) KR100607841B1 (ko)
CN (3) CN1791129B (ko)
AU (2) AU780246B2 (ko)
CA (1) CA2359131C (ko)
HK (1) HK1039010A1 (ko)
HU (1) HUP0105486A2 (ko)
IL (3) IL144790A0 (ko)
NO (1) NO20013587D0 (ko)
PL (1) PL349194A1 (ko)
SG (1) SG123599A1 (ko)
TW (1) TW486658B (ko)
WO (1) WO200104340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288297A1 (en) * 1999-08-12 2006-12-21 Robert Haitani System, method and technique for enabling users to interact and edit address fields of messaging applications
AU2003265400A1 (en) * 2002-08-13 2004-02-25 Drs Communications Company, Llc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relative positions of networked mobile communication devices
US20040085370A1 (en) * 2002-10-31 2004-05-06 Microsoft Corporation Input mode selector on a mobile device
US7295852B1 (en) 2003-05-01 2007-11-13 Palm, Inc. Automated telephone conferencing method and system
JP2005167909A (ja) 2003-12-05 2005-06-23 Sanyo Electric Co Ltd 携帯型電話装置
KR100706313B1 (ko) * 2005-06-02 2007-04-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메시지 입력 중 문자입력방법
BRPI0520298B1 (pt) 2005-06-10 2019-04-16 Nokia Technologies Oy Dispositivo eletrônico e método para reconfigurar a tela de espera de um dispositivo eletrônico
US7680513B2 (en) * 2005-08-08 2010-03-16 Palm, Inc. Contact-centric user-interface features for computing devices
JP2007094853A (ja) * 2005-09-29 2007-04-12 Seiko Epson Corp 編集装置、携帯電話、編集方法および編集プログラム
US20070130153A1 (en) * 2005-12-02 2007-06-07 Palm, Inc. Techniques to communicate and process location information from communications networks on a mobile computing device
US8005194B2 (en) 2005-12-21 2011-08-23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Technique for handling incoming reply messages
US20070257888A1 (en) * 2006-05-03 2007-11-08 Chan Weng C Adaptive text input modes for mobile electronic device
EP2024872A4 (en) * 2006-05-14 2011-07-27 Hewlett Packard Development Co SYSTEM, METHOD AND TECHNIQUE FOR USERS TO INTERACT AND EDIT ADDRESS FIELDS OF MESSAGING APPLICATIONS
US20080046839A1 (en) * 2006-06-27 2008-02-21 Pixtel Media Technology (P) Ltd. Input mode switching methods and devices utilizing the same
JP2008211492A (ja) * 2007-02-26 2008-09-11 Toshiba Corp 携帯表示装置及び携帯表示方法
US20080281583A1 (en) * 2007-05-07 2008-11-13 Biap , Inc. Context-dependent prediction and learning with a universal re-entrant predictive text input software component
FR2943883A1 (fr) * 2009-03-30 2010-10-01 France Telecom Procede de negociation pour la delivrance d'un service a un terminal.
US20110087962A1 (en) * 2009-10-14 2011-04-14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automatic predictive selection of input methods for web browsers
CN101963842A (zh) * 2010-05-31 2011-02-02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的文本输入方法、装置
ES2735273T3 (es) 2011-05-23 2019-12-17 Huawei Device Co Ltd Método de entrada, dispositivo de entrada y dispositivo terminal
JP2012182796A (ja) * 2012-04-02 2012-09-20 Kyocera Corp 携帯型電子機器
CN103677308A (zh) * 2013-12-25 2014-03-26 中国航空工业集团公司第六三一研究所 基于嵌入式设备的三个按键组合字符输入方法
US10592096B2 (en) * 2014-12-23 2020-03-17 Lenovo (Singapore) Pte. Ltd. Cursor indicator for overlay input applications
US9696817B2 (en) * 2015-07-09 2017-07-04 Blackberry Limited Port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keyboard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CN107300986B (zh) * 2017-06-30 2022-01-18 联想(北京)有限公司 输入法切换方法及装置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63992A (ja) * 1984-06-13 1985-12-27 富士通株式会社 デイスプレイシステムの制御方法
JPH09116605A (ja) * 1995-10-16 1997-05-02 Sony Corp 電話装置
JPH09116602A (ja) * 1996-07-01 1997-05-02 Mazda Motor Corp 無線式電話機
US5861823A (en) * 1997-04-01 1999-01-19 Granite Communications Incorporated Data entry device having multifunction keys
KR20000047230A (ko) * 1998-12-31 2000-07-25 강병호 통신단말기용 문자입력방법 및 그 장치
KR20010015939A (ko) * 1999-09-17 2001-03-05 김성태 통신용 멀티키입력 장치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85282A (en) * 1977-06-02 1980-01-22 Am International, Inc. Displayed keyboard indicia
US5184315A (en) * 1983-01-21 1993-02-02 The Laitram Corporation Comprehensive computer data and control entries from very few keys operable in a fast touch typing mode
JPS63245709A (ja) 1987-04-01 1988-10-1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文字入力装置
JPS6488732A (en) * 1987-09-30 1989-04-03 Toshiba Corp Information processor
US5235637A (en) 1989-01-26 1993-08-10 Plantronics, Inc. Voice communication link interface
FI85776C (fi) 1990-08-20 1992-05-25 Nokia Oy Ab Transportabel personlig arbetsstation.
US5361083A (en) 1991-04-16 1994-11-01 Robicon Systems Data input device and method
JP3222503B2 (ja) 1991-10-03 2001-10-29 株式会社東芝 無線電話機および無線電話システム
US5500643A (en) 1993-08-26 1996-03-19 Grant; Alan H. One-hand prehensile keyboard
US6249809B1 (en) * 1993-08-30 2001-06-19 William L. Bro Automated and interactive telecommunications system
US5696699A (en) * 1995-02-13 1997-12-09 Intel Corporation Integrated cellular data/voice communication system working under one operating system
US5923736A (en) * 1996-04-02 1999-07-13 National Semiconductor Corporation Hypertext markup language based telephone apparatus
JPH1069409A (ja) * 1996-04-26 1998-03-10 Fujitsu Ltd 可換記憶媒体及び制御方法及び計算機システム
US5761280A (en) * 1996-09-04 1998-06-02 8×8, Inc. Telephone web browser arrangement and method
US6525734B2 (en) * 1996-09-17 2003-02-25 Fujitsu Limited Display control apparatus, display control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US5930719A (en) * 1996-09-19 1999-07-27 Wireless Logic, Inc. Data and voice cordless telephone system
US5946376A (en) * 1996-11-05 1999-08-31 Ericsson, Inc. Cellular telephone including language translation feature
JPH10150505A (ja) * 1996-11-19 1998-06-02 Sony Corp 情報通信処理方法及び情報通信処理装置
US6088598A (en) 1996-12-17 2000-07-11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Method and system for displaying greetings in a mobile radio communications system
JPH10260992A (ja) 1997-01-16 1998-09-29 Fujitsu Ltd データベース処理装置および記憶媒体
US6314565B1 (en) * 1997-05-19 2001-11-06 Intervu, Inc.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ed identification, retrieval, and installation of multimedia software components
US6011967A (en) * 1997-05-21 2000-01-04 Sony Corporation Cellular telephone alarm
US6285364B1 (en) * 1997-06-03 2001-09-04 Cisco Technolog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organizing and displaying internet and telephone information
JP3966944B2 (ja) 1997-06-30 2007-08-29 富士通株式会社 データ転送制御装置
US6640306B1 (en) * 1997-08-15 2003-10-28 Sony Corporation Data transmitter, data reproduction method, terminal, and method for transferring data transmitter
AU9214698A (en) 1997-09-10 1999-03-29 Motorola, Inc. Wireless two-way messaging system
US6253061B1 (en) * 1997-09-19 2001-06-26 Richard J. Helferich Systems and methods for delivering information to a transmitting and receiving device
US6169911B1 (en) 1997-09-26 2001-01-02 Sun Microsystems, Inc.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a portable telephone
JPH11122648A (ja) 1997-10-09 1999-04-30 Oi Electric Co Ltd 画像表示機能付き選択呼出受信装置
US6571054B1 (en) * 1997-11-10 2003-05-27 Nippon Telegraph And Telephone Corporation Method for creating and utilizing electronic image book and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ed therein a program for implementing the method
JPH11250009A (ja) * 1998-03-04 1999-09-17 Uniden Corp サーバ装置及びウェブデータ変換方式
WO1999045722A1 (fr) * 1998-03-06 1999-09-10 Sony Corporation Terminal d'information portatif et son procede de reglage
US6173316B1 (en) * 1998-04-08 2001-01-09 Geoworks Corporatio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with markup language based man-machine interface
WO1999054663A1 (fr) * 1998-04-17 1999-10-28 Hagiwara Sys-Com Co., Ltd. Dispositif de reproduction
US6081780A (en) * 1998-04-28 2000-06-2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TTS and prosody based authoring system
US6246672B1 (en) * 1998-04-28 2001-06-1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 Singlecast interactive radio system
US6040829A (en) * 1998-05-13 2000-03-21 Croy; Clemens Personal navigator system
US6522352B1 (en) * 1998-06-22 2003-02-18 Motorola, Inc. Self-contained wireless camera device, wireless camera system and method
JP2000032168A (ja) * 1998-07-16 2000-01-28 Sharp Corp 情報提供サービスシステム
GB2342816B (en) * 1998-10-13 2003-04-23 Nokia Mobile Phones Ltd Accessing a server computer
US6671738B1 (en) * 1998-11-16 2003-12-30 Vantageport, Inc System and method of associating an object with a world wide web (WWW) site
US6594484B1 (en) * 1998-12-17 2003-07-15 Openwave Systems Inc. Automated access by mobile device to automated telephone information services
US6996603B1 (en) * 1999-08-31 2006-02-07 Qwest Communications International, Inc. Automatic desktop audio/video/data conferencing distributor
EP1091543A1 (en) * 1999-10-08 2001-04-1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of using a cellular telephone for playback of audio signals downloaded from the network
US6763247B1 (en) * 1999-12-01 2004-07-13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Portable telecommunication apparatus for controlling an electronic utility device
US6633314B1 (en) * 2000-02-02 2003-10-14 Raja Tuli Portable high speed internet device integrating cellular telephone and palm top computer
US6490439B1 (en) * 2000-10-04 2002-12-03 3Com Corporation Lighted antenna for transceiver device
JP2002207561A (ja) * 2001-01-05 2002-07-26 Sony Corp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記録媒体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63992A (ja) * 1984-06-13 1985-12-27 富士通株式会社 デイスプレイシステムの制御方法
JPH09116605A (ja) * 1995-10-16 1997-05-02 Sony Corp 電話装置
JPH09116602A (ja) * 1996-07-01 1997-05-02 Mazda Motor Corp 無線式電話機
US5861823A (en) * 1997-04-01 1999-01-19 Granite Communications Incorporated Data entry device having multifunction keys
KR20000047230A (ko) * 1998-12-31 2000-07-25 강병호 통신단말기용 문자입력방법 및 그 장치
KR20010015939A (ko) * 1999-09-17 2001-03-05 김성태 통신용 멀티키입력 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1732601A (en) 2001-06-18
CA2359131C (en) 2006-02-07
IL144790A (en) 2006-08-01
HK1039010A1 (zh) 2002-04-04
IL174055A0 (en) 2006-08-01
JP2010141902A (ja) 2010-06-24
CN1791129A (zh) 2006-06-21
US6826413B1 (en) 2004-11-30
EP1786179A3 (en) 2007-10-17
KR20010089639A (ko) 2001-10-06
TW486658B (en) 2002-05-11
NO20013587L (no) 2001-07-20
WO2001043403A1 (fr) 2001-06-14
IL174055A (en) 2009-09-22
US20050136984A1 (en) 2005-06-23
PL349194A1 (en) 2002-07-01
JP5143851B2 (ja) 2013-02-13
AU2005200457B2 (en) 2007-12-20
KR20040106592A (ko) 2004-12-17
IL144790A0 (en) 2002-06-30
EP1786179A2 (en) 2007-05-16
CN1340266A (zh) 2002-03-13
CA2359131A1 (en) 2001-06-14
HUP0105486A2 (en) 2002-04-29
KR100742525B1 (ko) 2007-08-02
AU780246B2 (en) 2005-03-10
EP1152583A4 (en) 2006-12-13
SG123599A1 (en) 2006-07-26
CN1520127A (zh) 2004-08-11
US7151952B2 (en) 2006-12-19
NO20013587D0 (no) 2001-07-20
EP1152583A1 (en) 2001-11-07
CN1791129B (zh) 2011-04-13
AU2005200457A1 (en) 2005-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07841B1 (ko) 단말장치 및 단말장치의 입력 기기 자동 재구성 방법
KR100459544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의 html문서 표시방법
KR100588623B1 (ko) 숫자 및 문자열의 동시 입력을 통한 선택 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
MXPA04010107A (es) Entrada multimodal secuencial.
JP2003271507A (ja) モバイル向けマークアップ言語を記述するシステム及び表示用コンテンツを作成する情報処理装置、プログラム
JP2011511479A (ja) 携帯電話コンテンツ実時間翻訳システムおよびその方法
JP2006067620A (ja) 携帯電話機および端末装置
KR20040105032A (ko) 휴대폰의 원격 기능변경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10083834A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인터넷 접속방법
JP3600844B2 (ja) 入力文字の制限方法、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及び移動情報端末
CN100490453C (zh) 在无线应用协议-无线标识语言浏览器电话中显示动画的方法和系统
KR20150082720A (ko) 코드를 이용한 개인정보 자동입력 시스템 및 그 방법
JP3805928B2 (ja) 地図表示方法及び経路案内方法
JPH11127261A (ja) 設備機器情報送受信システム
JPH11122674A (ja) 情報通信方法、情報通信システム、携帯無線通信端末およびサーバ装置
JP5219270B2 (ja) ネット対応テレビシステム
KR100673220B1 (ko) 사진관리 기능을 갖는 모바일 홈페이지 서비스 시스템 및이의 운용 방법
CA2491595A1 (en) Portable telephone and terminal equipment
KR20020048522A (ko) 웹 브라우저로 제어 가능한 휴대용 무선 전화기 및 그제어방법
KR20020063976A (ko) 디스플레이 된 웹 페이지를 제어할 수 있는 전용브라우저와 이를 이용한 정보전달 시스템 및 정보전달제어방법
KR20020019699A (ko) 외부 입력장치를 이용한 휴대폰의 부가정보 편집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41129

Effective date: 20060106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