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6154B1 - System and method for fixing subscriber based ring-back-tone sound source - Google Patents

System and method for fixing subscriber based ring-back-tone sound sour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6154B1
KR100606154B1 KR1020040018993A KR20040018993A KR100606154B1 KR 100606154 B1 KR100606154 B1 KR 100606154B1 KR 1020040018993 A KR1020040018993 A KR 1020040018993A KR 20040018993 A KR20040018993 A KR 20040018993A KR 100606154 B1 KR100606154 B1 KR 1006061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source
tone
mobile communication
subscriber
s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899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50093518A (en
Inventor
박재영
이상연
함희혁
김기문
노영태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189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6154B1/en
Publication of KR200500935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351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61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615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7/00Signs, name or number plates, letters, numerals, or symbols; Panels or boards
    • G09F7/18Means for attaching 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to a supporting structure
    • G09F7/20Means for attaching 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to a supporting structure for adjustably mount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7/00Signs, name or number plates, letters, numerals, or symbols; Panels or boards
    • G09F7/18Means for attaching 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to a supporting structur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7/00Signs, name or number plates, letters, numerals, or symbols; Panels or boards
    • G09F7/18Means for attaching 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to a supporting structure
    • G09F2007/1843Frames or housings to hold sig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착신 가입자가 단문메시지 서비스 기능을 이용하여 통화 연결음의 변경을 위한 연결음 변경 코드를 설정함에 의해 통화 연결음의 간단한 변경이 가능하도록 하는 가입자 기반 링백톤 음원 설정 시스템과 그 방법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착신 가입자가 설정한 특정 음원의 링백톤 통화 연결음을 호발신을 수행한 발신측 가입자에게 제공하는 가입자 기반 링백톤 서비스 시스템으로서, 통화 연결음의 음원을 변경하기 위해 연결음 변경 정보가 포함된 단문메시지(SMS)를 전송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받은 단문 메시지에서 연결음 변경 정보를 추출하여 통화 연결음의 음원 변경을 위해 전달하는 단문메시지 처리수단과 상기 단문메시지 처리수단을 통한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의 연결음 변경 정보에 따라 변경하고자 하는 음원을 통화 연결음으로 변경적으로 설정하기 위한 처리를 수행하는 컨텐츠 제공 수단 및 상기 컨텐츠 제공 수단으로부터의 음원 설정 처리에 따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변경하고자 하는 음원을 해당 단말기 가입자별 통화 연결음으로서 변경적으로 설정하는 음원 제공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단문 메시지에 포함된 연결음 변경 정보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패드에 구비된 기능 버튼 조작에 따라 입력이 가능한 디지트 코드(Digit Code)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ubscriber-based ringback tone sound source setting system and a method for allowing a simple change of the ring back tone by setting a ring tone change code for changing the ring back tone using a short message service function. 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is a subscriber-based ringback tone service system for providing a calling party a ringback tone ring back tone of a specific sound set by a called party, and includes ring tone change information to change the sound source of the ring back tone. And a short message processing means for extracting connection tone change information from a short message receiv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ransmitting the changed short tone message (SMS) to the sound source of the call tone. Content providing means for performing a process for configurably setting a sound source to be changed to a call connection sound according to the connection sound change information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chang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sound source setting processing from the content providing means. The sound source you want to use It comprises a sound source providing means for changing the call connection sound for each subscriber, the connection tone chang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short message is a digit code that can be input according to the function button operation provided on the keypa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igit) Code) in the form of.

링백톤, 통화 연결음, 음원, 변경, 코드Ringback tone, ring back tone, sound recording, change, chord

Description

가입자 기반 링백톤 음원 설정 시스템과 그 방법{SYSTEM AND METHOD FOR FIXING SUBSCRIBER BASED RING-BACK-TONE SOUND SOURCE} Subscriber-based ringback tone source setup system and its method {SYSTEM AND METHOD FOR FIXING SUBSCRIBER BASED RING-BACK-TONE SOUND SOURCE}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입자 기반 링백톤 음원 설정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1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ubscriber-based ringback tone sound source sett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라 발신 가입자별, 그룹별, 시간대별로 통화연결음의 음원을 음원 변경 코드의 가입자 직접 입력에 의해 설정하는 코드 입력예를 나타낸 도면, 2 to 4 is a view showing a code input example for setting the sound source of the call connection sound by the subscriber direct input of the sound source change code according to the calling subscriber, group, time z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입자 기반 링백톤 음원 설정 방법의 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a subscriber-based ringback tone sound source sett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입자 기반 링백톤 음원 설정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6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ubscriber-based ringback tone sound source setting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입자 기반 링백톤 음원 설정 방법의 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a subscriber-based ringback tone sound source setting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12:이동통신 단말기, 14,16:이동통신 기지국,10,12: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4,16: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18,20:기지국 제어기, 22,24:이동통신 교환기,18,20: base station controller, 22, 24: mobile switching center,

26:음성/IP 통합부, 28:홈위치 등록기,26: voice / IP integration, 28: home location register,

30:IP 서버. 32:CRBT 서버,30: IP server. 32: CRBT server,

34:CP 서버, 36:단문메시지 센터.34: CP server, 36: short message center.

본 발명은 가입자 기반 링백톤 음원 설정 시스템과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착신 가입자의 간단한 연결음 변경 코드 설정에 의해 통화 연결음을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가입자 기반 링백톤 음원 설정 시스템과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bscriber-based ringback tone sound source setting system and a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a subscriber-based ringback tone sound source setting system and a method for easily changing a ring back tone by setting a simple ring tone change code of a called party. It is about.

주지된 바와 같이, 기존의 이동 통신망에서 발신자가 전화 통화를 시도한 경우 착신 가입자의 교환기는 획일적인 링백톤을 발신자에게 들려주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는 바, 이와 같은 종래의 링백톤 방식은 획일적으로 동일한 톤을 제공하므로 착신자의 응답 이전까지는 발신자가 오접속 유무를 판단할 수 없으며, 나아가 사용자의 특성에 부합하는 다양한 링백톤 대체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As is well known, when a caller attempts to make a phone call in a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he switching subscriber of the called subscriber adopts a method in which a uniform ringback tone is heard to the caller. Such a conventional ringback tone method uses a uniformly identical tone. Since the caller cannot determine whether the caller has a wrong connection until the answer of the called party, there is also a problem that can not provide a variety of ringback tone replacement service to meet the characteristics of the user.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최근에는 상기와 같은 획일적인 링백톤 대신에 착신 가입자가 이동 통신망 상에서 특정한 음원을 선택하여 등록하게 되면, 발신자의 호발신시에 등록된 특정 음원을 링백톤의 통화 연결음으로서 제공할 수 있도록 하여, 발신자가 착신자의 응답전에 오접속 유무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착신 가입자의 특성에 부합하는 다양한 링백톤 통화 연결음을 제공하도록 되어 있다. 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recently, when a called subscriber selects and registers a specific sound source o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nstead of the uniform ringback tone, the specific sound source registered at the caller's call originates as a ringback tone ring tone. It is possible to provide, so that the caller can determine whether there is a wrong connection before the answer of the called party, and also provide various ringback tone ring tones that match the characteristics of the called party.

이러한 링백톤 통화 연결음을 설정하는 경우에는 이동 통신망의 자동응답 서 비스(ARS) 또는 WAP을 통하여 다수의 음원중에서 가입자가 원하는 특정 음원을 선택하여 링백톤 통화 연결음으로서 설정하도록 되어 있고, 해당 이동통신 사업자가 지정하는 인터넷 사이트에 접속하여 음원 컨텐츠 공급자가 제시하는 다수의 음원 중에서 원하는 특정 음원을 선택하여 통화 연결음으로서 설정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When the ringback tone ring tone is set, the subscriber selects a specific sound source among a plurality of sound sources through an auto answering service (ARS) or a WAP of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sets the ringback tone ring back tone as the ringback tone ring tone. By connecting to the Internet site specified by the user to select a specific sound source from the plurality of sound sources presented by the sound source content provider can be set as the ring back tone.

그러나, 이러한 가입자 기반 링백톤 서비스에서는 특정 음원을 가입자가 통화 연결음으로서 설정하고자 하는 경우에, 이동 통신망의 자동 응답 서비스 또는 WAP에 접속하여 다수의 링백톤 음원을 조회하여 반복적인 설정과정에 의해 통화 연결음을 설정하거나, 별도의 네트워크 접속이 가능한 컴퓨터 단말기를 이용하여 이동통신 사업자가 지정한 인터넷 사이트에 접속하여 원하는 링백톤 음원을 통화 연결음으로서 설정해야 하기 때문에, 통화 연결음을 설정하거나 변경하기 위해서는 번거로운 네트워크 접속 과정과, 원하는 음원의 장시간 조회에 의한 선택과정, 통화 연결음을 설정하는 과정을 반복하게 되면서, 가입자에게 시간적, 금전적으로 불이익을 줄 수 밖에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in the subscriber-based ringback tone service, when a subscriber wants to set a specific sound source as a ring back tone, the subscriber connects to the answering machine or the WAP of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inquires a plurality of ring back tone sources and repeats the call ring tone by the repeated setting process. In order to set up or change the ring back tone, a cumbersome network connection process is required because the user needs to set the ringback tone source as the ring back tone by connecting to the Internet site designated by the mobile operator using a computer terminal capable of separate network connection. And, while repeating the selection process by the long-term inquiry of the desired sound source, the process of setting the ring back tone,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inevitably disadvantageous to the subscriber in time and money.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착신 가입자가 직접 통화 연결음을 변경하기 위한 연결음 변경 코드를 설정하는 것만으로 통화 연결음의 간단한 변경이 가능하도록 하는 가입자 기반 링백톤 음원 설정 시스템과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circumstances, and an object thereof is that a subscriber-based ringback tone enables a simple change of the ring back tone by simply setting a ring tone change code for the called subscriber to change the ring back tone. It is to provide a sound source setting system and its method.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착신 가입자가 단문메시지 서비스 기능을 이용하여 통화 연결음의 변경을 위한 연결음 변경 코드를 설정함에 의해 통화 연결음의 간단한 변경이 가능하도록 하는 가입자 기반 링백톤 음원 설정 시스템과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ubscriber-based ringback tone sound source setting system and method for enabling a simple change of ring back tone by setting a ring tone change code for changing ring back tone using a short message service function. It is.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시스템은, 착신 가입자가 설정한 특정 음원의 링백톤 통화 연결음을 호발신을 수행한 발신측 가입자에게 제공하는 가입자 기반 링백톤 서비스 시스템으로서, 통화 연결음의 음원을 변경하기 위해 연결음 변경 정보가 포함된 단문메시지(SMS)를 전송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받은 단문 메시지에서 연결음 변경 정보를 추출하여 통화 연결음의 음원 변경을 위해 전달하는 단문메시지 처리수단과 상기 단문메시지 처리수단을 통한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의 연결음 변경 정보에 따라 변경하고자 하는 음원을 통화 연결음으로 변경적으로 설정하기 위한 처리를 수행하는 컨텐츠 제공 수단 및 상기 컨텐츠 제공 수단으로부터의 음원 설정 처리에 따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변경하고자 하는 음원을 해당 단말기 가입자별 통화 연결음으로서 변경적으로 설정하는 음원 제공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단문 메시지에 포함된 연결음 변경 정보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패드에 구비된 기능 버튼 조작에 따라 입력이 가능한 디지트 코드(Digit Code)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subscriber-based ringback tone service system for providing a calling party a ringback tone ringback tone of a specific sound set by a called party to a calle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transmitting a short message (SMS) including the connection sound change information to change the sound source of the; and extracting the connection sound change information from the short message receiv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transferring the sound source of the call connection sound Content providing means for performing a process for variably setting a sound source to be changed to a ring back tone according to the connection tone change information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the short message processing means and the short message processing means and from the content providing mean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 sound source setting process And a sound source providing means for variably setting a sound source to be changed as a call connection sound for each subscriber of the terminal, and the connection sound chang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short message is applied to a function button operation provided in the keypa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for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 the form of a digit code (Digit Code) that can be input.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방법은, 착신 가입자가 설정한 특정 음원의 링백톤 통화 연결음을 호 발신을 수행한 발신측 가입자에게 제공하는 가입자 기반 링백톤 서비스 방법으로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상기 통화 연결음의 음원을 변경하기 위한 연결음 변경 정보를 단문 메시지에 포함시켜서 전송하는 제 1단계와, 단문메시지 처리수단에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받은 단문메시지에서 연결음 변경 정보를 추출하여 컨텐츠 제공 수단에 제공하는 제 2단계와 상기 컨텐츠 제공 수단에서 단문메시지로부터 추출된 연결음 변경 정보를 수신받아, 변경하고자 하는 음원을 통화 연결음으로 설정하기 위한 처리를 수행하는 제 3단계 및 음원 제공 수단에서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의 음원 변경 처리에 따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변경하고자 하는 음원을 해당 단말기 가입자별 통화 연결음으로서 변경적으로 설정하는 제 4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 1단계에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연결음 변경 정보를 해당 단말기의 키패드에 구비된 기능 버튼 조작에 따라 입력이 가능한 디지트 코드의 형태로 단문메시지에 입력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method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subscriber-based ringback tone service method for providing a calling party a ringback tone ringback tone of a specific sound set by a called party to a calling party. Providing a content by extracting connection tone change information from a short message receiv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a first step of transmitting a ring tone change information for changing a sound source of the ring tone in a terminal in a short message; The third step of providing the means and the connection sound change information extracted from the short message in the content providing means, and performing the processing for setting the sound source to be changed to the ring back tone and the content in the sound source providing means. According to the sound source change processing of the provision server, the mobile communication And a fourth step of variably setting a sound source to be changed at a terminal as a call connection sound for each terminal subscriber. In the first step,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es the connection sound change information on a keypad of the corresponding terminal. In the form of a digit code that can be input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of the function butt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input to the short message and transmit.

삭제delete

삭제delete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즉,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입자 기반 링백톤 음원 설정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That is, Figure 1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ubscriber-based ringback tone sound source sett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입자 기반 링백톤 음원 설정 시스템은,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0)와,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2), 이동통신 기지국(Base Transceiver Station; BTS)(14,16), 기지국 제어기(Base Station Controller; BSC)(18,20), 이동통신 교환기(Mobile Switching Center; MSC)(22,24), 음성/IP 통합부(TIIS)(26), 홈위치 등록기(Home Location Register; HLR)(28), IP(Intelligent Peripheral) 서버(30) 및, CRBT 서버(32), CP(Contents Provider) 서버(34)로 구성된다. As shown in FIG. 1, a subscriber-based ringback tone sound source sett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lled-party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a calling-party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2, and a base transceiver station (Base Transceiver). Station; BTS (14, 16), Base Station Controller (BSC) (18, 20), Mobile Switching Center (MSC) 22, 24, Voice / IP Integration (TIIS) ( 26), a Home Location Register (HLR) 28, an IP (Intelligent Peripheral) server 30, a CRBT server 32, and a CP (Contents Provider) server 34.

상기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0)는 특번 다이얼링에 의해서 이동 통신망과 접속하여 링백톤 통화 연결음의 변경을 위한 연결음 변경 코드의 입력에 의해, 변경을 원하는 특정 음원을 선택적으로 변경할 수 있도록 한다. The called party'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is connec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by special dialing so as to selectively change a specific sound source to be changed by inputting a connection tone change code for changing a ringback tone call connection tone.

여기서, 상기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0)에서 링백톤 통화 연결음의 변경을 위해 입력하는 연결음 변경 코드는, 착신 가입자가 신문이나, 잡지, 별도의 코드집 등과 같은 오프라인 상의 매체를 통해 입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고, 무선 인터넷 콘텐츠 서비스나 유선 인터넷 콘텐츠 서비스를 통해서도 미리 연결음 변경 코드에 대한 정보를 입수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동 통신망으로부터 정기적으로 또는 비정기적으로 수신받는 음원 콘텐츠 공급가로부터의 단문 메시지(SMS)를 통해서도 얼마든지 입수가 가능하다. Here, the ring tone change code input by the called party's mobile terminal 10 to change the ringback tone ring tone may be received by the called party through an offline medium such as a newspaper, a magazine, or a separate code collection. It is also possible to obtain information about the ring tone change code in advance through a wireless Internet content service or a wired Internet content service, and to receive a short message (SMS) from a sound source content provider that is regularly or irregularly received from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You can also get as much as you can.

상기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2)는 이동 통신망을 통해 상기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0)와의 음성통화를 위한 호발신을 수행함에 따라, 상기 착신 가입자가 변경적으로 등록한 특정 음원의 통화 연결음을 수신받아 재생하게 된다. The calling mobile terminal 12 receives a call connection sound of a specific sound source registered by the called subscriber as the call is made for the voice call with the called mobile terminal 10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Receive and play.

상기 각 이동통신 기지국(14,16)은 기저대역의 신호처리와, 유무선 변환 및 무선신호의 송수신 등을 수행하여 가입자의 단말기와 직접 연결되는 망 종단 장치로서, 이는 RF무선 신호의 처리에 의해 각각의 이동통신 단말기(10,12)에 대한 음 성 또는 데이터신호의 송수신을 수행한다. Each of the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s 14 and 16 is a network termination device that is directly connected to a subscriber terminal by performing baseband signal processing, wired / wireless conversion, and transmission / reception of radio signals, which are respectively processed by processing RF radio signals. Performs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voice or data signals fo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10, 12).

상기 각 기지국 제어기(18,20)는 상기 각각의 이동통신 기지국(14,18)과 각 착신측 및 발신측 이동통신 교환기(22,26)의 사이에 위치하여 해당되는 이동통신 기지국(14,16)의 관리 및 제어를 담당하는 것으로서, 이는 각 이동통신 단말기(10,12)에 대한 무선채널 할당 및 해제기능과, 단말기 및 기지국의 송신출력 제어기능, 셀간의 핸드오프 결정, 이동통신 기지국(14,18)의 운용 및 유지보수 기능을 수행하고, EVRC 코덱을 통한 보코딩 방식이나 QCELP를 통한 혼합 부호화 방식 등에 의한 채널 코딩을 수행하여 통화 음성신호를 압축처리하여 전송하도록 한다. The base station controllers 18 and 20 are located between the respective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s 14 and 18 and the called and calling mobile communication exchanges 22 and 26, respectively. , Which is responsible for the management and control of the mobile station, and the radio channel allocation and release functions fo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10 and 12, transmission output control functions of the terminal and the base station, handoff determination between cells,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14 18) and performs channel coding by vocoding through EVRC codec or mixed coding through QCELP to compress and transmit a call voice signal.

상기 착신측 및 발신측 이동통신 교환기(22,24)는 이동통신 단말기 가입자의 착/발신 호처리 기능을 수행함과 더불어, 각각의 방문가입자 위치 등록기(Visitor Location Register; VLR) 또는 홈위치 등록기(28)를 통한 단말기의 위치등록 절차 및 핸드오프 절차를 수행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0)로부터의 특번 다이얼링에 의한 연결음 변경 코드 입력에 따라 상기 홈위치 등록기(28)에 연결음 변경 코드와, 모바일 디렉토리 번호(Mobile Directory Number; MDN)를 제공하여 해당 착신 가입자가 원하는 음원의 변경이 가능하도록 한다. The called and calling mobile communication exchangers 22 and 24 perform incoming / outgoing call processing functions of the subscriber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nd each visitor location register (VLR) or home location register (28). For performing the location registration procedure and handoff procedure of the terminal through), the connection tone change code to the home location register 28 according to the connection tone change code input by the special dialing from the called party'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And, it provides a mobile directory number (Mobile Directory Number; MDN) so that the recipient can change the desired sound source.

상기 음성/IP 통합부(26)는 음성 기반의 이동 통신망과 IP 망 사이의 게이트웨이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이는 가입자의 연결음 변경 코드 입력에 의한 통화 연결음의 변경 처리와, 변경된 음원을 통화 연결음으로서 발신 가입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정보처리 상의 중계 역할을 수행한다. The voice / IP integrator 26 serves as a gateway between the voice-based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IP network, which processes the change of the ring back tone by inputting the ring tone change code of the subscriber and sends the changed sound source as the ring back tone. It acts as a relay in the processing of information for provision to subscribers.

상기 홈 위치 등록기(28)는 이동통신 서비스에 등록된 전체 단말기 가입자에 대한 가입자 정보와 위치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것으로서, 이는 단말기 가입자에 대한 링백톤 대체 유무의 정보와, 상기 IP 서버(30)로의 라우팅 정보를 상기 착신측 이동통신 교환기(22)로부터 수신받아 저장하게 된다. The home location register 28 stores subscriber informa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for all terminal subscribers register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which indicates information on whether a ringback tone is substituted for the terminal subscriber and the IP server 30. Routing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called mobile communication switch 22 and stored.

여기서, 상기 홈위치 등록기(28)는 상기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0)의 통화 연결음 변경 요청에 의한 연결음 변경 코드의 입력에 따라, 상기 착신측 이동통신 교환기(22)로부터 연결음 변경 코드와 모바일 디렉토리 번호(MDN)를 수신받아서 음성/IP 통합부(26)를 통해 상기 CP 서버(34)에 제공한다. Here, the home location register 28 is connected to the ring tone change code and the mobile directory from the called party mobile communication switch 22 according to the input of the ring tone change code by the call ring tone change request of the called party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It receives the number (MDN) and provides it to the CP server 34 through the voice / IP integration unit 26.

상기 IP 서버(30)는 링백톤 통화 연결음을 설정하는 각 단말기 가입자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 가입자 데이터베이스를 갖추고서, 발신 가입자별, 그룹별, 시간대별로 음원을 차별적으로 송출하기 위해 링백톤 음원과 연결된 음원 코드를 제공한다. The IP server 30 has a subscriber database in which information on each terminal subscriber who sets up a ringback tone ring tone is stored, and a sound source connected to the ringback tone source for differentially transmitting sound by calling subscriber, group, and time zone. Provide the code.

상기 CRBT 서버(32)는 각 가입자별로 통화 연결음의 대체음으로서 설정 가능한 다수의 음원을 갖추고서, 상기 IP 서버(30)에서 제공되는 음원 코드에 대응하는 음원을 발신 가입자에게 제공하는 것으로서, 이는 상기 착신 가입자로부터의 통화 연결음 변경을 위한 연결음 변경 코드 입력에 따라 상기 CP 서버(34)로부터 음원 코드와 모바일 디렉토리 번호(MDN)를 수신받아 해당 착신 가입자에 대해 설정되어 있는 통화 연결음으로서의 음원을 해당 착신 가입자가 변경하고자 하는 음원으로 변경처리한다. The CRBT server 32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ound sources that can be set as a substitute sound of the ring back tone for each subscriber, and provides a sound source corresponding to the sound source code provided from the IP server 30 to the calling subscriber, which is the Receiving a sound source code and a mobile directory number (MDN) from the CP server 34 according to a ring tone change code input for changing a ring tone from a called party, and receiving a sound source as a ring tone set for the called party. Changes to the sound source you want to change.

한편, 상기 IP 서버(30)에서는 발신 가입자별, 그룹별, 시간대별로 통화 연 결음에 사용되는 음원을 차별적으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는 바, 상기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0)에서 통화 연결음의 변경을 발신 가입자별로 수행하는 경우에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10)의 키패드에 구비된 기능버튼 조작에 따라, 발신 가입자별 변경 설정을 구분하기 위한 예컨대 "1#"의 발신 가입자 입력 구분 코드(CD1)와, 예컨대 "011 234 5678"의 발신 가입자 입력 코드(CD2), 발신 가입자 입력 코드와 연결음 변경 코드를 구분하기 위한 예컨대 "*"의 항목 구분코드(CD3), 예컨대 "2# 1234"의 변경하고자 하는 특정 음원코드를 지정한 연결음 변경 코드(CD4), 예컨대 "#"의 종료 구분 코드(CD5)가 순차적으로 입력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IP server 30, it is possible to set the sound source used for the call connection sound for each calling party, group, and time zone differently, and the call connection sound of the called mobile terminal 10 When the change is performed for each calling subscriber, as shown in FIG. 2, according to a function button operation provided on the keypa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for example, "1 #" for distinguishing the change setting for each calling subscriber. An originating subscriber input identification code (CD1) and an originating subscriber input code (CD2) of, for example, " 011 234 5678, " The connection sound change code CD4 designating the specific sound source code to be changed to "2 # 1234", for example, the termination classification code CD5 of "#", may be sequentially input.

또한, 상기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0)에서 통화 연결음의 변경을 착신 가입자가 임의로 설정한 발신자 그룹별로 설정하는 경우에,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10)의 키패드에 구비된 기능버튼 조작에 따라, 그룹별 변경 설정을 구분하기 위한 예컨대 "2#"의 그룹 입력 구분 코드(CD6)와, 예컨대 "05"의 발신 그룹 입력 코드(CD7), 발신 그룹 입력 코드와 연결음 변경 코드를 구분하기 위한 예컨대 "*"의 항목 구분코드(CD3), 예컨대 "2# 1234"의 변경하고자 하는 특정 음원코드를 지정한 연결음 변경 코드(CD4), 예컨대 "#"의 종료 구분 코드(CD5)가 순차적으로 입력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where the change of the ringing tone is set for each caller group arbitrarily set by the called subscriber in the called mobile terminal 10, the keypad of the correspond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is provided as shown in FIG. 3. According to a function button operation, for example, a group input division code (CD6) of "2 #" for distinguishing the change setting for each group, a call group input code (CD7) of "05", a call group input code and a ring tone change code, for example. For example, an item identification code (CD3) of "*", for example, a connection sound change code (CD4) designating a specific sound source code to be changed of "2 # 1234", for example, an end identification code (CD5) of "#" Can be input sequentially.

또, 상기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0)에서 통화 연결음의 변경을 임의의 시간대별로 설정하고자 하는 경우에,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10)의 키패드에 구비된 기능버튼 조작에 따라, 착신 시간대별 변경 설정을 구분하기 위한 예컨대 "3#"의 착신 시간대 입력 구분 코드(CD8)와, 예컨대 "07 # 14"(즉, "07"은 개시시간이고, "14"는 종료 시간)의 착신 시간대 입력 코드(CD9), 착신 시간대 입력 코드와 연결음 변경 코드를 구분하기 위한 예컨대 "*"의 항목 구분코드(CD3), 예컨대 "2# 1234"의 변경하고자 하는 특정 음원코드를 지정한 연결음 변경 코드(CD4), 예컨대 "#"의 종료 구분 코드(CD5)가 순차적으로 입력된다.In addition, in the case where it is desired to set a change of the call connection tone at an arbitrary time zone in the called-party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as shown in FIG. 4, the function button operation provided in the keypad of the correspond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is used. Therefore, for example, "3 #" is the destination time zone input classification code CD8 for distinguishing the setting for each destination time zone, and "07 # 14" (that is, "07" is the start time and "14" is the end time). A ring tone specifying a specific sound source code to be changed, e.g., an item delimiter code (CD3) of "*", for example, "2 # 1234" for distinguishing the incoming time zone input code (CD9), the incoming time zone input code and the ring tone change code. The change code CD4, for example, the end discrimination code CD5 of "#", is sequentially input.

이어,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다른 동작에 대해 도 5의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Next, another operation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de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flowchart of FIG. 5.

먼저, 착신측 이동통신 교환기(22)에서는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0)의 특번 입력을 통해 변경하고자 하는 특정 음원을 지정한 연결음 변경 코드와 해당 단말기(10)의 모바일 디렉토리 번호(MDN)가 입력되도록 하게 되는 바,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10)가 변경하고자 하는 음원을 발신 가입자별이나, 그룹별 또는 시간대별로 차별적으로 지정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로 코드 입력이 진행되도록 한다(단계 S10).First, the called party mobile communication switch 22 inputs a ring tone change code that designates a specific sound source to be changed through a special input of the called party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and a mobile directory number (MDN) of the corresponding terminal 10. I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intends to discriminate the sound source to be changed by calling subscriber, group, or time zone, the code input proceeds as shown in FIGS. 2 to 4. (Step S10).

그 상태에서, 상기 착신측 이동통신 교환기(22)는 홈위치 등록기(28)에 통화 연결음의 음원 변경 요청 정보를 전송하면서, 연결음 변경 코드와 모바일 디렉토리 번호(MDN)를 전송하게 된다(단계 S11).In this state, the called party mobile communication switch 22 transmits the ring tone change code and the mobile directory number (MDN) while transmitting the sound source change request information of the ring back tone to the home location register 28 (step S11). .

상기 홈위치 등록기(28)에서는 상기 착신측 이동통신 교환기(22)로부터의 통화 연결음의 음원 변경 요청에 따라, 음성/IP 통합부(26)에 음원 변경 요청을 진행하면서 상기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0)가 입력한 연결음 변경 코드와 모바일 디렉토리 번호(MDN)를 음성/IP 통합부(26)에 전송하게 되고(단계 S12), 상기 음성/IP 통합부(26)에서는 상기 홈위치 등록기(28)에 음원변경 요청에 대한 응답정보를 전송한다(단계 S13).The home location register 28 proceeds with a sound source change request to the voice / IP integrator 26 in response to a sound source change request of the ring back tone from the called mobile communication exchange 22, and the called party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The connection tone change code and the mobile directory number (MDN) input by 10) are transmitted to the voice / IP integrator 26 (step S12), and the home / location register 28 in the voice / IP integrator 26 is used. In response to the sound source change request, response information is transmitted (step S13).

그 다음에, 상기 음성/IP 통합부(26)에서는 게이트웨이를 통해 CP 서버(34)에 서비스 정보의 다이렉트 메시지(Service Information Directive Message)로서 연결음 변경 코드와 모바일 디렉토리 번호(MDN)를 제공한다(단계 S15).Then, the voice / IP integrator 26 provides the CP server 34 with the connection tone change code and the mobile directory number (MDN) as a service information directive message through the gateway (step). S15).

그에 따라, 상기 CP 서버(34)에서는 CRBT 서버(32)에 상기 착신 가입자가 변경하고자 하는 통화 연결음의 음원 코드와 모바일 디렉토리 번호(MDN)를 전송하면서 음원 설정 요청을 진행하게 되고(단계 S16), 상기 CRBT 서버(32)는 상기 CP 서버(34)로부터의 음원 설정 요청에 따라 상기 모바일 디렉토리 번호(MDN)에 대응하는 가입자에 대한 통화 연결음의 음원을 변경적으로 설정함과 더불어, IP 서버(30)에 음원의 변경 사실을 통보하게 된다(단계 S17).Accordingly, the CP server 34 transmits a sound source code and a mobile directory number (MDN) of the ring back tone to be changed by the called subscriber to the CRBT server 32 and proceeds with the sound source setting request (step S16), The CRBT server 32 variably sets the sound source of the ring back tone for the subscriber corresponding to the mobile directory number (MDN) according to the sound source setting request from the CP server 34, and the IP server 30. Is informed of the change of the sound source (step S17).

단, 상기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0)에서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신 가입자별이나, 그룹별 또는 시간대별로 음원을 차별적으로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에, 상기 IP 서버(30)에서는 상기 착신측 이동통신 교환기(22)로부터 단말기의 입력코드에 따라 CRBT 서버(32)에서 변경된 음원을 발신 가입자별이나 그룹별 또는 시간대별로 변경되도록 설정한다.However, when the destinatio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is to change the sound source for each calling subscriber, group, or time zone as shown in FIGS. 2 to 4, the IP server 30 The sound source changed in the CRBT server 32 is set to be changed by calling subscriber, group, or time zone according to the input code of the terminal from the called mobile communication switch 22.

다음에,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Next,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즉,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입자 기반 링백톤 음원 설정 시 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동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도 1에 도시된 일실시예와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면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That is, 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subscriber-based ringback tone sound source setting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For the configura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will be given, and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입자 기반 링백톤 음원 설정 시스템은,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0)와,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2), 이동통신 기지국(14,16), 기지국 제어기(18,20), 이동통신 교환기(22,24), 음성/IP 통합부(26), 홈위치 등록기(28), IP 서버(30), CRBT 서버(32), CP 서버(34) 및, 단문 메시지 센터(SMSC/VSMSS)로 구성된다. As shown in FIG. 6, the subscriber-based ringback tone sound source setting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lled-party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a calling-party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2, and a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14. 16, base station controllers 18 and 20, mobile communication switches 22 and 24, voice / IP integrator 26, home location register 28, IP server 30, CRBT server 32, CP server 34, and a short message center (SMSC / VSMSS).

상기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0)는 변경하고자 하는 통화 연결음의 음원에 대한 연결음 변경 정보를 단문 메시지(SMS)에 기재하여 이동 통신망에 전송하게 되는 바, 상기 단문 메시지에 포함되는 연결음 변경 정보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언급한 연결음 변경 코드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변경하고자 하는 음원을 발신 가입자별이나, 그룹별 또는 시간대별로 차별적으로 적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설명한 디지트 코드를 단문 메시지에 동일하게 입력하여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called party'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transmits the connection tone change information for the sound source of the call connection tone to be changed in a short message (SMS) and transmits it to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nection sound change code is formed in the form of the above-mentioned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when the sound source to be changed is to be differentially applied by calling subscriber, group, or time zone, as shown in FIGS. 2 to 4. As described above, it is preferable to input the digit code describe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hort message in the same manner.

동 도면에서, 상기 단문 메시지 센터(36)는 이동 통신망을 통해 상기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0)로부터의 단문 메시지를 수신받아서, 그 단문 메시지에 포함된 연결음 변경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CP 서버(34)에 제공한다. In the figure, the short message center 36 receives a short message from the called mobile terminal 10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extracts connection tone chang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short message, and extracts the CP server 34. To provide.

여기서, 상기 단문 메시지 센터(36)에서는 상기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0) 에 의해 통화 연결음의 변경이 발신 가입자별이나, 그룹별 또는 시간대별로 차별적으로 적용하기 위해, 도 2 내지 도 4와 같은 디지트 코드를 단문 메시지에 포함시킨 경우에는 상기 단문 메시지로부터 발신 가입자나, 그룹 또는 시간대 별로 입력된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IP 서버(30)에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Here, in the short message center 36, a digit as shown in FIGS. 2 to 4 in order to apply the change of the ring back tone by the called-party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differently by calling subscriber, group, or time zone. In the case where the code is included in the short message, the information inputted by the calling subscriber, the group or the time zone can be extracted from the short message and provided to the IP server 30.

이어,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다른 동작에 대해 도 7의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Next, another operation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de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flowchart of FIG.

먼저, 착신측 이동통신 교환기(22)에서는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0)로부터 통화 연결음의 링백톤 음원 변경을 위해 단문 메시지에 변경하고자 하는 음원에 대응하는 연결음 변경 정보를 기재하여 전송되도록 하게 되는 바,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10)가 변경하고자 하는 음원을 발신 가입자별이나, 그룹별 또는 시간대별로 차별적으로 지정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의 디지트 코드가 단문 메시지에 포함되어 전송되도록 하게 된다(단계 S20). First, the receiving side mobile communication exchange 22 is to transmit the connection tone chang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ound source to be changed in the short message for changing the ringback tone sound source of the ring back tone from the receiving sid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to be transmitted. I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intends to discriminate the sound source to be changed by calling subscriber, group, or time zone, the digit code of the type shown in FIGS. 2 to 4 is included in the short message. To be transmitted (step S20).

이에, 상기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0)에서는 상기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0)로부터 수신받은 연결음 변경 정보가 포함된 단문 메시지를 모바일 디렉토리번호(MDN)와 함께 단문 메시지 센터(36)에 제공하게 되고(단계 S21), 상기 단문 메시지 센터(36)에서는 상기 착신측 이동통신 교환기(22)에 단문 메시지의 수신에 대한 응답 정보를 전송한다(단계 S22).Accordingly, the called party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provides the short message message including the connection tone chang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called party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to the short message center 36 together with the mobile directory number (MDN). (Step S21), the short message center 36 transmits the response information on receipt of the short message to the called party's mobile communication switch 22 (step S22).

그 다음에, 상기 단문 메시지 센터(36)는 상기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0)로부터 수신받은 단문 메시지에 포함된 연결음 변경 정보를 추출하여 모바일 디렉토리 번호(MDN)와 함께 CP 서버(34)에 전송하게 되고(단계 S23), 상기 CP 서버(34) 에서는 상기 단문 메시지 센터(36)에 연결음 변경 정보의 수신 응답을 진행하게 된다(단계 S24).Then, the short message center 36 extracts the connection tone chang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short message received from the called-party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and transmits it to the CP server 34 together with the mobile directory number (MDN). (Step S23), the CP server 34 proceeds to receive the connection tone change information reception response to the short message center 36 (step S24).

그에 따라, 상기 CP 서버(34)에서는 CRBT 서버(32)에 상기 착신 가입자가 변경하고자 하는 통화 연결음의 음원 코드와 모바일 디렉토리 번호(MDN)를 전송하면서 음원 설정 요청을 진행하게 되고(단계 S25), 상기 CRBT 서버(32)는 상기 CP 서버(34)로부터의 음원 설정 요청에 따라 상기 모바일 디렉토리 번호(MDN)에 대응하는 가입자에 대한 통화 연결음의 음원을 변경적으로 설정함과 더불어, IP 서버(30)에 음원의 변경 사실을 통보하게 된다(단계 S26).Accordingly, the CP server 34 transmits a sound source code and a mobile directory number (MDN) of the ring back tone to be changed by the called subscriber to the CRBT server 32 and proceeds with the sound source setting request (step S25). The CRBT server 32 variably sets the sound source of the ring back tone for the subscriber corresponding to the mobile directory number (MDN) according to the sound source setting request from the CP server 34, and the IP server 30. ), The fact that the sound source has been changed is notified (step S26).

한편, 상기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0)에서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신 가입자별이나, 그룹별 또는 시간대별로 음원을 차별적으로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에, 상기 IP 서버(30)에서는 상기 단문 메시지 센터(36)로부터 제공되는 단말기의 입력코드에 따라 CRBT 서버(32)에서 변경된 음원을 발신 가입자별이나 그룹별 또는 시간대별로 변경되도록 설정한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s. 2 to 4 in the called-party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in case of trying to change the sound source differently by calling subscriber, group or time zone, the IP server 30 According to the input code of the terminal provided from the short message center 36, the CRBT server 32 sets the changed sound source to be changed by calling subscriber, group, or time zone.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링백톤 대체음으로서 통화 연결음의 음원을 변경하는 기능을 이동 통신망에 대해서만 적용하여 설명하고 있지만, 유선의 공중 전화망을 이용한 유선 전화 단말기간 또는 유선 전화 단말기와 이동통신 단말기간의 가입자 기반 링백톤 서비스에서도 유선전화 가입자의 키패드 조작에 의한 연결음 변경 정보의 간편한 입력만으로 통화 연결음의 음원을 용이하게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de as described above, the function of changing the sound source of the ring back tone as a ring back tone replacement sound is described by applying only to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but between wired telephone terminals or wired telephone terminals using a wired public telephone network. In the subscriber-based ringback tone service betwe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it is preferable to easily change the sound source of the call connection sound by simply inputting the connection sound change information by the keypad operation of the landline telephone subscriber.

본 발명은 전술한 전형적인 바람직한 실시예들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임은 당해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에 의한 실시가 이하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범주에 속하는 것이라면 그 기술사상 역시 본 발명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xemplary preferred embodiments, but may be embodied in various way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f you have it, you can easily understand it. If the implementation by such improvement, change, replacement or addition falls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the technical idea should also be regarded as belong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링백톤 통화 연결음을 특정 음원으로 설정하여 사용하는 가입자 기반 링백톤 음원 제공 서비스에 있어서, 착신 가입자의 간단한 단말기 조작에 의한 연결음 변경 정보의 입력이나 연결음 변경 정보가 포함된 단문 메시지의 제공에 의해, 착신 가입자가 변경하고자 하는 음원을 통화 연결음에 변경적으로 적용하는 것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착신 가입자가 변경하고자 하는 음원을 유료 컨텐츠 서비스나 번거로운 설정 과정을 거치지 않고서도 간편하게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면서, 착신 가입자에 대해 시간적, 금전적인 부담을 경감시키는 것이 가능하다는 효과를 갖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 subscriber-based ringback tone sound source providing service using ringback tone ringback tones as a specific sound source, ringtone change information input or ringtone change information is included by simple terminal manipulation of a called party. By providing a short message, it is easy to apply the sound source that the called party wants to change to the ring back tone, so that the sound source that the called party wants to change does not need to go through the paid content service or the troublesome setting process. As it is possible to easily chang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time and money burden on the called party.

Claims (19)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착신 가입자가 설정한 특정 음원의 링백톤 통화 연결음을 호 발신을 수행한 발신측 가입자에게 제공하는 가입자 기반 링백톤 서비스 시스템으로서, A subscriber-based ringback tone service system that provides ringback tone ring back tone of a specific sound set by a called party to a calling party subscriber who has originated a call. 통화 연결음의 음원을 변경하기 위해 연결음 변경 정보가 포함된 단문메시지(SMS)를 전송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transmitting a short message (SMS) including ring tone change information to change a sound source of the ring tone;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받은 단문 메시지에서 연결음 변경 정보를 추출하여 통화 연결음의 음원 변경을 위해 전달하는 단문메시지 처리수단;Short message processing means for extracting the connection sound change information from the short message receiv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transferring the sound source of the call connection sound; 상기 단문메시지 처리수단을 통한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의 연결음 변경 정보에 따라 변경하고자 하는 음원을 통화 연결음으로 변경적으로 설정하기 위한 처리를 수행하는 컨텐츠 제공 수단; 및Content providing means for performing processing for variably setting a sound source to be changed to a call connection sound according to the connection sound change information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the short message processing means; And 상기 컨텐츠 제공 수단으로부터의 음원 설정 처리에 따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변경하고자 하는 음원을 해당 단말기 가입자별 통화 연결음으로서 변경적으로 설정하는 음원 제공 수단;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Sound source providing means for selectively setting a sound source to be chang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s a call connection sound for each terminal subscriber in accordance with a sound source setting process from the content providing means; It is made, including 상기 단문 메시지에 포함된 연결음 변경 정보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패드에 구비된 기능 버튼 조작에 따라 입력이 가능한 디지트 코드(Digit Code)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입자 기반 링백톤 음원 설정 시스템.Connection tone chang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short message is a subscriber-based ringback tone sound source sett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form of a digit code (Digit Code) that can be input according to a function button operation provided on the keypa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삭제delete 제 13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3,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변경하고자 하는 음원의 연결음 변경 정보를 발신 가입자별이나, 그룹별 또는 착신 시간대별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구분하여 변경하기 위한 발신 가입자 입력 정보를 단문 메시지에 함께 포함시켜서 전송하고,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ransmits the short message by including the calling subscriber input information for changing and changing the connection tone change information of the sound source to be changed into at least one of the calling subscriber, the group, or the incoming time zone. , 상기 음원 제공 수단은 상기 발신 가입자 입력 정보에 따라, 변경 음원을 발신 가입자별이나, 그룹별 또는 착신 시간대별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차별적으로 구분하여 변경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입자 기반 링백톤 음원 설정 시스템.The sound source providing means sets the subscriber-based ringback tone sound source according to the calling party input information, and sets and changes the changed sound source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calling party, the group, or the incoming time zone. system. 착신 가입자가 설정한 특정 음원의 링백톤 통화 연결음을 호 발신을 수행한 발신측 가입자에게 제공하는 가입자 기반 링백톤 서비스 방법으로서, A subscriber-based ringback tone service method that provides ringback tone ring back tone of a specific sound set by a called party to a calling party that has made a call.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상기 통화 연결음의 음원을 변경하기 위한 연결음 변경 정보를 단문 메시지에 포함시켜서 전송하는 제 1단계;A first step of including, in a short message, connection tone change information for changing a sound source of the call connection tone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단문메시지 처리수단에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받은 단문메시지에서 연결음 변경 정보를 추출하여 컨텐츠 제공 수단에 제공하는 제 2단계;A second step of extracting connection tone change information from the short message receiv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the short message processing means and providing the same to the content providing means; 상기 컨텐츠 제공 수단에서 단문메시지로부터 추출된 연결음 변경 정보를 수신받아, 변경하고자 하는 음원을 통화 연결음으로 설정하기 위한 처리를 수행하는 제 3단계; 및A third step of receiving, by the content providing means, the connection sound change information extracted from the short message and performing a process for setting the sound source to be changed to the call connection sound; And 음원 제공 수단에서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의 음원 변경 처리에 따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변경하고자 하는 음원을 해당 단말기 가입자별 통화 연결음으로서 변경적으로 설정하는 제 4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A fourth step of selectively setting a sound source to be chang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s a call connection sound for each subscriber of the terminal according to a sound source change process of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in a sound source providing means; It is made, including 상기 제 1단계에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연결음 변경 정보를 해당 단말기의 키패드에 구비된 기능 버튼 조작에 따라 입력이 가능한 디지트 코드의 형태로 단문메시지에 입력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입자 기반 링백톤 음원 설정 방법.In the first step,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a subscriber-based ring, characterized in that for inputting the connection tone change information in a short message in the form of a digit code that can be input according to the function button operation provided on the keypad of the terminal; How to set the back tone sound source. 삭제delete 제 16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6, 상기 제 1단계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변경하고자 하는 음원의 연결음 변경 정보를 발신 가입자별이나, 그룹별 또는 착신 시간대별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구분하여 변경하기 위한 발신 가입자 입력 정보를 단문메시지에 함께 입력하여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In the first step,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hort-circuits outgoing subscriber input information for dividing and changing the connection sound change information of the sound source to be changed into at least one form by calling subscriber, by group, or by incoming call time. And further comprising the steps of sending together, 상기 제 4단계는, 상기 음원 제공 수단에서 상기 발신 가입자 입력 정보에 따라, 변경 음원을 발신 가입자별이나, 그룹별 또는 착신 시간대별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차별적으로 구분하여 변경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입자 기반 링백톤 음원 설정 방법.The fourth step may further include, in the sound source providing means, separately changing and setting the changed sound source into at least one of the calling subscriber, the group, and the incoming time zone according to the calling subscriber input information. Subscriber-based ringback tone sound source sett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made. 삭제delete
KR1020040018993A 2004-03-19 2004-03-19 System and method for fixing subscriber based ring-back-tone sound source KR10060615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8993A KR100606154B1 (en) 2004-03-19 2004-03-19 System and method for fixing subscriber based ring-back-tone sound sour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8993A KR100606154B1 (en) 2004-03-19 2004-03-19 System and method for fixing subscriber based ring-back-tone sound sour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3518A KR20050093518A (en) 2005-09-23
KR100606154B1 true KR100606154B1 (en) 2006-08-01

Family

ID=372746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8993A KR100606154B1 (en) 2004-03-19 2004-03-19 System and method for fixing subscriber based ring-back-tone sound sour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6154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04200B2 (en) 2008-09-03 2012-06-19 Core Wireless Licensing S.à.r.l.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overriding a ring back signal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6232B1 (en) * 2005-05-09 2006-11-2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Method for Setting Service of Ring-Back-Tone Using Feature Code
KR100827126B1 (en) 2005-11-07 2008-05-06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multimedia portal contents on a communication system
KR100899756B1 (en) * 2005-11-07 2009-05-27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multimedia portal contents on a communication system
KR100964211B1 (en) * 2005-11-14 2010-06-17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multimedia portal contents and addition service in a communication system
KR100784068B1 (en) * 2006-04-26 2007-12-1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Method for Changing Ring Back Tone Using Short Message and Ring Back Tone Providing System therefo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04200B2 (en) 2008-09-03 2012-06-19 Core Wireless Licensing S.à.r.l.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overriding a ring back signal
US8989362B2 (en) 2008-09-03 2015-03-24 Core Wireless Licensing, S.a.r.l.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overriding a ring back sig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3518A (en) 2005-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478735B (en) System and method for implementing incoming call refusing information notification service based on USSD pushing menu
KR100706486B1 (en) System and method for changing calling number using intelligent network
KR20060105597A (en) Repeat dialing in wireless networks to called parties that are powered off
KR100606154B1 (en) System and method for fixing subscriber based ring-back-tone sound source
KR20040100927A (en) Notification of calling party when mobile called party becomes available
KR100569029B1 (en) A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all-connecting and call-effect sound services together by using AIN and conference call function of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10097838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necting call signals according to priority of telephone numbers, and telecommunications system and terminal using the same
KR100471121B1 (en) Using method by change ring back tone into back ground music during call
KR100673243B1 (en) System and Method for changing color ring from receiver&#39;s to sender&#39;s by the sender while listening color ring provided from the receiver
KR101006332B1 (en) Device for converting message, call method and system using the same
KR100348291B1 (en) Wireless local loop system for multi user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ystem
KR100378088B1 (en) Method for confirming RBT Source in Subscriber-based Ring-Back-Tone Service
EP1388250B1 (en) Services in a telephony system
KR100978114B1 (en) Call waiting service method based on user
KR2001003289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out of band dialed digit signaling for caller interface in a fixed cellular communications system
KR101092829B1 (en) Method for displaying the person himself to assigned group and system the same
KR100233914B1 (en) Method for disposing of call hold in a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KR100641331B1 (en) method for the discrimination of redirection number on the call forwarding service
KR20080012196A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 caller&#39;s or a receiver&#39;s phone with a supplementary service while trying to connect a call
KR20050011658A (en) Method, system and terminal for providing customized information during call setup process in telecommunication systems
KR100566299B1 (en) Method for providing dual sound of subscriber based ring-back-tone service
KR100958872B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all information on busy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101003529B1 (en) Method for setting a communication link between originating user terminal and terminating user terminal and system using the same
KR20040054065A (en) Cellular communication system for group call function and service method thereof
KR100813809B1 (en) Method for call processing in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8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