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5952B1 - Method for displaying input character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Google Patents

Method for displaying input character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5952B1
KR100605952B1 KR1020040070773A KR20040070773A KR100605952B1 KR 100605952 B1 KR100605952 B1 KR 100605952B1 KR 1020040070773 A KR1020040070773 A KR 1020040070773A KR 20040070773 A KR20040070773 A KR 20040070773A KR 100605952 B1 KR100605952 B1 KR 1006059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character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predetermi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077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60022021A (en
Inventor
이현주
최승철
김동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707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5952B1/en
Publication of KR200600220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202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59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595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 H04M1/7243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for text messaging, e.g. short messaging services [SMS] or e-m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2Illumination; Arrangements for improving the visibility of characters on di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7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methods for entering alphabetical characters, e.g. multi-tap or dictionary disambigu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의 입력 문자 표시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요청에 의거하여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에 입력되는 문자의 크기를 확대하여 표시하는 실버 문자 입력 모드로 전환하는 과정과, 상기 실버 문자 입력 모드에서 소정 문자가 입력되면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 표시부의 확대창에 상기 입력된 소정 문자의 크기를 확대하여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에 입력되는 문자의 크기를 별도의 팝업창을 통해 확대하여 표시함과 동시에 입력된 문자를 음성으로 출력할 수도 있으므로 사용자는 작은 글자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고 유아들의 언어 학습에도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노인들이나 시력이 좋지 않은 사람들도 자신들이 입력한 문자를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으므로 이동 통신 단말기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displaying an input character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method comprising: switching to a silver character input mode in which a size of a character input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enlarged and displayed according to a user's request; In the case that a predetermined character is input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enlarged window size of the input predetermined character is displayed on the enlarged window.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can expand and display the size of the text input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a separate pop-up window and at the same time output the input text as a voice, so that the user can easily check the small letters, even in language learning of the infants Can be effectively used. In addition, elderly people or people with poor eyesight can check the characters they input accurately, so that the user can conveniently us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이동 통신 단말기, 문자, 확대 표시Mobile terminal, text, enlarged display

Description

이동 통신 단말기의 입력 문자 디스플레이 방법{METHOD FOR DISPLAYING INPUT CHARACTER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ow to Display Input Characters on a Mobile Terminal {METHOD FOR DISPLAYING INPUT CHARACTER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에 입력된 문자 표시 화면을 나타낸 예시도. 1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character display screen input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2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입력 문자 디스플레이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input character display process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입력 문자 디스플레이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들.4 (a) to 4 (d) are exemplary views for explaining an input character display process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의 입력 문자 표시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 통신 단말기의 입력 문자를 확대하여 표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displaying input characters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of enlarging and displaying input characters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일반적으로 이동 통신 단말기는 셀룰러 폰(Cellular Phone), 개인용 정보 단 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개인용 통신 서비스 폰(PCS: 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s Phone), IMT-2000 단말기(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단말기 등과 같이, 이동하면서 통화를 하거나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는 통신 기능을 제공하는 기기를 말한다. In general,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es a cellular phone,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 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s phone (PCS), an IMT-2000 terminal (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It refers to a device that provides a communication function such as a GSM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can communicate or exchange data while moving.

상기와 같은 이동 통신 단말기는 남녀노소를 막론하고 전 세계 어디에서도 통용되는 기기로서, 항시 휴대하고 다녀야 할 필수품으로 인식되어 가고 있다. 때문에 이동 통신 단말기는 휴대성을 고려하여 소형화, 슬림화 및 경량화 되어가는 추세에 있으며, 보다 다양한 기능을 추구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s described above is a device commonly used anywhere in the world regardless of gender and age, and is recognized as a necessity to carry around at all times. Therefor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s become a miniaturized, slim, and light weight in consideration of portability, and is moving toward multimedia for pursuing more various functions.

한편, 이동 통신 단말기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패널과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상에 이동 통신 단말기의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나 각종 텍스트, 그래픽 등을 화상으로 디스플레이 할 뿐만 아니라 동영상도 디스플레이 하여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하고 있다.On the other h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s a display device such as an LCD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to display not only images indicating information on the operation stat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ut also various texts and graphics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device as well as a video. It is displayed so that the user can see it.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에 입력된 문자 표시 화면을 나타낸 예시도이다.1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text display screen input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 1은 이동 통신 단말기의 메시지 입력 모드에서 사용자의 키 조작에 의거하여 입력된 "가 나 다 라 마 바"라는 문자들을 표시한 화면의 예를 나타낸다. Referring to FIG. 1, FIG. 1 illustrates an example of a screen displaying characters “bars on a bar” input based on a user's key operation in a message input mod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상기 도 1과 같이 종래에는 사용자가 이동 통신 단말기에 소정 문자를 입력 하면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는 특별한 기능 없이 상기 입력된 소정 문자를 기 설정된 크기로 화면에 디스플레이 하였다. 여기서 화면에 디스플레이 되는 소정 문자의 크기는 보통의 젊은 연령층 사용자를 기준으로 설정된 것이다. As shown in FIG. 1, when a user inputs a predetermined character in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isplays the input predetermined character on a screen with a predetermined size without a special function. Here, the size of the predetermined text displayed on the screen is set based on a normal young age user.

하지만 이동 통신 단말기는 그 크기의 소형화 추세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크기도 점점 제한되고 있다. 때문에 디스플레이 장치 화면상에 가능한 한 많은 양의 정보를 한번에 디스플레이 하기 위해서 디스플레이 되는 문자 크기를 작게 할 수 밖에 없는데, 그러면 사용자가 화면에 디스플레이 되는 문자를 식별하기 어려운 경우가 발생한다. 특히 안경이나 돋보기가 필요한 시력을 가진 사람이나 노약자 같은 경우에는 디스플레이 되는 문자를 보기 어려워 이동 통신 단말기의 메시지 입력 기능을 아예 사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However, as the siz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ecomes smaller, the screen size of the display device is also increasingly limited. Therefore, in order to display as much information as possible on the display device screen at the same time, the displayed text size must be made smaller, which makes it difficult for the user to identify the text displayed on the screen.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the elderly or the elderly who need glasses or a magnifying glass, it is difficult to see the displayed characters, a problem that can not use the message input func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t all.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 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화면상에 디스플레이 되는 문자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볼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a user to easily view a character displayed on a screen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동 통신 단말기에 입력되는 문자를 확대하여 디스플레이 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enlarging and displaying a character input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의 입력 문자 표시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요청에 의거하여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에 입력되는 문자 의 크기를 확대하여 표시하는 실버 문자 입력 모드로 전환하는 과정과, 상기 실버 문자 입력 모드에서 소정 문자가 입력되면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 표시부의 확대창에 상기 입력된 소정 문자의 크기를 확대하여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displaying an input character of a mobile terminal, the method comprising: switching to a silver character input mode in which a size of a character input to the mobile terminal is enlarged and displayed according to a request of a user; And when the predetermined character is input in the silver character input mode, expanding and displaying the size of the input predetermined character in the enlarged window of the display uni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입력 문자 표시 방법은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가 실버 문자 입력 모드로 전환되면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키패드에 구비된 키들 중 소정 키들의 기본 백라이트(Back-Light) 색을 변환하여 출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in the method of displaying an input charact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switched to a silver character input mode, a basic backlight color of predetermined keys among the keys provided in the keypa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converted. I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process of outputting.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입력 문자 표시 방법은 상기 실버 문자 입력 모드에서 소정 문자가 입력되면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 표시부의 확대창에 상기 입력된 소정 문자의 크기를 확대하여 표시함과 동시에 상기 입력된 문자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when the predetermined character is input in the silver character input mode, the input character display metho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nlarges and displays the size of the input predetermined character in the enlarged window of the display uni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outputting the text as a voice.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elements in the figures are represented by the same numerals wherever possible. In addi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well-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that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이동 통신 단말기는 키입력부(10), 표시부(20), 카메라부(30), 제어부(40), 메모리(50), 무선송수신부(60) 및 오디오 처리부(70)를 포함한다.The illustrate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es a key input unit 10, a display unit 20, a camera unit 30, a control unit 40, a memory 50, a wireless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60, and an audio processing unit 70.

키입력부(10)는 키 매트릭스 구조(도시하지 않음)를 가지며 문자 키, 숫자 키와 각종 기능 키 및 외부 볼륨 키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입력하는 키에 대응하는 키 입력 신호를 제어부(40)로 출력한다. The key input unit 10 has a key matrix structure (not shown), and includes a character key, numeric keys, various function keys, and an external volume key to output a key input signal corresponding to a key input by a user to the controller 40. do.

또한 키입력부(10)는 상기 구비된 각종 키들의 기본 백라이트 색(예컨대, 청색)을 발생하는 발광부(예컨대, LED(Light Emitting Diode))를 구비하고 있는데,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키입력부(10)는 한글의 자음이 할당된 키와 모음이 할당된 키를 백라이트 색으로서 구분하기 위하여 자음이 할당된 키에 기본 백라이트 색(예컨대, 청색)이 아닌 다른 색(예컨대, 적색)의 백라이트를 발생하는 자음 LED(11) 또는 모음이 할당된 키에 다른 색의 백라이트를 발생하는 모음 LED(13)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key input unit 10 includes a light emitting unit (eg, a light emitting diode (LED)) that generates a basic backlight color (eg, blue) of the various keys. 10) generates a backlight of a color (eg, red) other than the default backlight color (eg, blue) on the key assigned to the consonant to distinguish the key assigned to the consonant of Korean and the key assigned to the vowel as the backlight color.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sonant LED 11 or the vowel LED 13 for generating a backlight of a different color to the key to which the vowel is assigned.

표시부(20)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출력하는 각종 표시정보를 출력하기 위해 LCD(Liquid Crystal Display) 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때 표시부(20)의 LCD에는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터치스크린(Touch Screen)이 채용될 수도 있다. The display unit 20 is preferably made of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or the like for outputting various display information output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this case, although the LCD of the display unit 20 is not shown, a touch screen is provided. It may be employed.

또한 표시부(20)는 제어부(40)의 제어에 의해 무선송수신부(60)로 수신되는 각종 정보들을 출력한다.In addition, the display unit 20 outputs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received by the wireless transmitter / receiver 6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40.

카메라부(30)는 영상 촬영 시에 감지되는 광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카메라 센서(도시하지 않음)와, 상기 카메라 센서로부터 촬영되는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신호처리부(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카메라 센서는 CCD(Charge Coupled Device: 이하 'CCD'라 한다.)센서라 가정하며, 상기 신호처리부는 DSP(Digital Signal Processor)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 센서 및 신호처리부는 일체형으로 구현할 수 있으며, 또한 분리하여 구현할 수도 있다.The camera unit 30 may include a camera sensor (not shown) for converting an optical signal detected at the time of image capturing into an electrical signal, and a signal processor (not shown) for converting an analog image signal captured from the camera sensor into digital data. ). The camera sensor is assumed to be a charge coupled device (CCD) sensor, and the signal processor may be implemented by a digital signal processor (DSP). In addition, the camera sensor and the signal processor may be integrally implemented or may be separately implemented.

제어부(4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제어부(40)는 키입력부(10)를 통한 메뉴 키 입력 등과 같은 사용자 요청에 의거하여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를 키입력부(10)에 입력되는 소정 문자의 크기를 확대하여 표시부(20)에 디스플레이 하는 실버 문자 입력 모드로 전환한다. 상기 소정 문자는 한글, 영어 알파벳, 특수문자 및 아라비아 숫자를 포함한다. The controller 4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particular, the controller 40 enlarges the size of a predetermined character input to the key input unit 10 and displays it on the display unit 20 based on a user request such as a menu key input through the key input unit 10. Switch to silver character input mode. The predetermined characters include Korean, English alphabets, special characters, and Arabic numerals.

제어부(40)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가 실버 문자 입력 모드로 전환하면 표시부(20) 기본 문자 표시창의 소정 위치(예컨대, 기본 문자 표시창의 우측 하단)에 확대창을 별도로 생성한다. 상기 확대창은 키입력부(10)에 입력되는 소정 문자의 크기를 확대(예컨대, 2배)하여 표시하는 팝업(Pop-Up)창으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팝업창은 키입력부(10)에 입력되는 문자가 완성될 때까지 그 입력 문자를 디스플레이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witches to the silver character input mode, the controller 40 separately creates an enlargement window at a predetermined position (for example, the lower right side of the basic character display window) of the display unit 20. The enlarged window may be implemented as a pop-up window that enlarges (eg, doubles) the size of a predetermined character input to the key input unit 10, and the pop-up window is provided on the key input unit 10. It is preferable to display the input characters until the input characters are completed.

이후 제어부(40)는 상기 실버 문자 입력 모드에서 키입력부(10)를 통해 소정 문자가 입력되면 표시부(20)의 기본 문자 표시창 및 상기 생성된 확대창에 상기 소정 문자를 각각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Thereafter, the controller 40 controls to display the predetermined characters on the basic character display window of the display unit 20 and the generated enlarged window when the predetermined character is input through the key input unit 10 in the silver character input mode.

한편, 제어부(40)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가 실버 문자 입력 모드로 전환되면, 한글의 자음이 할당된 키와 모음이 할당된 키를 백라이트 색으로서 구분하기 위해 상기 키입력부(10)에 구비된 자음 LED(11) 또는 모음 LED(13)를 제어하여 기 본 백라이트 색을 변환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switched to the silver character input mode, the control unit 40 is a consonant provided in the key input unit 10 to distinguish between the key assigned to the Korean consonant and the key assigned to the vowel as a backlight color; It is also possible to control the LED 11 or the vowel LED 13 to convert the default backlight color.

즉,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기본 백라이트 색이 청색이라면, 한글의 자음이 할당된 키의 백라이트 색을 적색으로 변환하거나 모음이 할당된 키의 백라이트 색을 적색으로 변환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자음이 할당된 키와 모음이 할당된 키를 용이하게 판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That is, if the default backlight colo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blue, the user converts the backlight color of the key to which the Korean consonant is assigned to red or converts the backlight color of the key to which the vowel is assigned to red to allow the user to assign the key to which the consonant is assigned. And vowels make it easy to determine the assigned key.

메모리(5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해 필요한 각종 정보를 저장하기 위해 프로그램 메모리, 데이터 메모리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50)는 사용자가 이동 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 모드에서 문자를 입력할 때 필요한 각종 문자들을 저장한다. The memory 50 may be configured as a program memory, a data memory, and the like to store various kinds of information necessary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he memory 50 stores various characters required when the user inputs a character in the character input mod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무선송수신부(60)는 RF(Radio Frequency)부로서, 고주파 처리부와 중간주파수 처리부 및 기저대역 처리부의 포괄적 구성부를 의미한다. 무선송수신부(60)는 제어부(40)의 제어 하에 음성 데이터, 문자 데이터, 영상 데이터 및 제어 데이터의 송수신을 담당한다. The radio transmitter / receiver 60 is an RF (Radio Frequency) unit and means a comprehensive component of a high frequency processor, an intermediate frequency processor, and a baseband processor. The wireless transmitter / receiver 60 is responsible for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voice data, text data, video data and control data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40.

오디오처리부(70)는 마이크(Microphone)로부터 입력된 전기신호를 변조하여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고, 무선송수신부(60)로부터 입력된 부호화된 음성 데이터를 전기신호로 복조하여 스피커(Speaker)로 출력한다. 또한 오디오처리부(70)는 무선송수신부(60)로 수신되는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재생하거나 마이크로부터 발생되는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디지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기 위해 코덱(Codec)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코덱은 패킷 데이터 등을 처리하는 데이터 코덱과 음성 등의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오디오 코덱으로 구성 된다. 또한 오디오처리부(70)는 제어부(40)의 제어에 의해 키입력부(10)를 통해 입력되는 문자를 예컨대, 한글 "ㄱ"이 입력되면 스피커를 통해 음성 "기윽"으로 출력할 수 있다. The audio processor 70 modulates an electrical signal input from a microphone and converts the electrical signal into voice data. The audio processor 70 demodulates the encoded voice data input from the wireless transmitter / receiver 60 into an electrical signal and outputs it to a speaker. . In addition, the audio processor 70 may include a codec for converting and playing a digital audio signal received by the wireless transmitter / receiver 60 into an analog signal or converting an analog audio signal generated from a microphone into a digital audio signal. desirable. The codec includes a data codec for processing packet data and an audio codec for processing an audio signal such as voice. In addition, the audio processing unit 70 may output a character input through the key input unit 1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40, for example, a voice “gi 윽” through a speaker when the Korean letter “a” is input.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입력 문자 디스플레이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input character display process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이동 통신 단말기는 사용자의 문자 입력 모드 요청이 있는지 검사한다(S110). 상기 사용자의 문자 입력 모드 요청은 메뉴 키 입력이나 음성 입력 등이 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ecks whether there is a text input mode request from the user (S110). The text input mode request of the user may be a menu key input or a voice input.

이동 통신 단말기는 사용자의 문자 입력 모드 요청이 있으면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에 입력되는 소정 문자의 크기를 확대하여 디스플레이 하는 실버 문자 입력 모드의 선택여부를 검사한다(S120).When the user inputs a text input mode reques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ecks whether to select a silver text input mode to enlarge and display the size of a predetermined text input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120).

이동 통신 단말기는 사용자가 상기 실버 문자 입력 모드를 선택하지 않으면 일반적인 문자 입력 모드를 수행한다(S130).If the user does not select the silver character input mod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erforms a general character input mode (S130).

이동 통신 단말기는 상기 과정(S120)에서 사용자에 의해 실버 문자 입력 모드가 선택되면 실버 문자 입력 모드로 전환하여 이를 수행한다(S140). If the silver character input mode is selected by the user in step S120,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witches to the silver character input mode and performs this operation (S140).

이동 통신 단말기는 실버 문자 입력 모드로 전환되면,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출력하는 각종 표시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기본 문자 표시창(즉, 표시부(20))의 소정 위치에 상기 실버 문자 입력 모드에서 입력되는 소정 문자의 크기를 확대하여 표시하는 확대창을 생성한다(S150). 상기 확대창은 팝업(Pop-Up)형태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기본 문자 표시창의 우측 하단부나 중앙부에 생성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switched to the silver character input mode, a predetermined character input in the silver character input mode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a basic character display window (that is, the display unit 20) displaying various display information output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magnification window is displayed to enlarge and display the size (S150). The enlarged window is preferably implemented in a pop-up form, and is preferably generated at a lower right portion or a center portion of the basic text display window.

이동 통신 단말기는 실버 문자 입력 모드 수행 중에는 키패드(즉, 키입력부(10))에 구비된 다양한 키들 중 한글 자음이 할당된 키 또는 모음이 할당된 키의 백라이트 색을 변환하여 출력한다(S160). 이는 사용자가 문자를 입력할 때 입력할 자음과 모음의 구분을 용이하게 위함이다.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nverts and outputs a backlight color of a key to which a Korean consonant is assigned or a vowel to which a Korean consonant is allocated among various keys included in the keypad (ie, the key input unit 10) during the silver character input mode (S160). This is to easily distinguish between consonants and vowels to be input when the user inputs a character.

예를 들어 상기 키패드의 구비된 키들의 기본 백라이트 색이 청색이라면, 이동 통신 단말기는 한글 자음이 할당된 키의 백라이트 색을 적색으로 변환하여 출력하거나 모음이 할당된 키의 백라이트 색을 적색으로 변환하여 출력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자음이 할당된 키와 모음 할당된 키를 용이하게 판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For example, if the basic backlight color of the keys provided in the keypad is blu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utputs by converting the backlight color of the key to which the Korean consonant is assigned to red or converts the backlight color of the key to which the vowel is assigned to red. By outputting, the user can easily determine the key assigned to the consonant and the key assigned to the vowel.

이동 통신 단말기는 사용자의 키 조작에 의거하여 소정 문자가 입력되는지 검사한다(S170).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ecks whether a predetermined character is input based on the user's key operation (S170).

이동 통신 단말기는 소정 문자가 입력되면 상기 기본 문자 표시창 및 상기 생성된 확대창(즉, 팝업창)에 상기 입력된 소정 문자를 각각 디스플레이 한다(S180). 이 때 이동 통신 단말기는 상기 소정 문자가 입력됨과 동시에 상기 확대창을 생성하여 입력된 소정 문자를 디스플레이 할 수도 있다. 또한 이동 통신 단말기는 소정 문자가 입력되면 상기 기본 문자 표시창 및 상기 생성된 확대창에 상기 입력된 소정 문자를 각각 디스플레이함과 동시에 상기 입력된 문자를 음성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When a predetermined character is inpu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isplays the input predetermined character on the basic text display window and the generated enlarged window (ie, a popup window) (S180). In this cas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ay generate the enlargement window and display the inputted text while the predetermined text is input. In addition, when a predetermined character is inpu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ay display the input predetermined character on the basic text display window and the generated enlargement window, and simultaneously output the input text as a voice.

한편, 이동 통신 단말기는 상기 과정(S180)에서 소정 문자가 입력될 때, 입 력된 소정 문자가 한글의 자음인 경우 모음이 할당된 키의 백라이트 색을 변환하거나 상기 입력된 소정 문자가 한글의 모음인 경우 자음이 할당된 키의 백라이트 색을 변환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a predetermined character is input in step S180,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nverts a backlight color of a key to which a vowel is assigned or the inputted character is a vowel of Korean when the inputted character is a consonant of Korean. In this case, the backlight color of the key to which the consonants are assigned may be converted.

예를 들어 키입력부(10)에 구비된 키들의 백라이트 색이 청색인 이동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문자 "김"을 입력한다고 가정한다. For example, it is assumed that a us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ose backlight color of the keys provided in the key input unit 10 is blue inputs the character “Lim”.

사용자가 먼저 자음 "ㄱ"을 입력하면,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는 상기 입력된 "ㄱ"이 자음임을 인식하고, 사용자로 하여금 다음에 입력하고자 하는 모음이 할당된 키(즉, "ㅣ")를 용이하게 판별하도록 하기 위해 모음이 할당된 키들의 백라이트 색을 적색으로 변환한다. 이어 이동 통신 단말기는 "ㅣ"키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문자 "ㅣ"가 모음임을 인식하고 문자 "기"를 디스플레이 한 후, 사용자가 다음에 입력할 자음 "ㅁ"키를 용이하게 판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자음이 할당된 키들의 백라이트 색을 적색으로 변환한다. When the user first inputs the consonant "", the mobile terminal recognizes that the input "a" is the consonant, and facilitates the user to assign a key to which the next vowel to be assigned is assigned (ie, "|"). The vowel converts the backlight color of the assigned keys to red to make it easier to determine. Subsequently, when the "ㅣ" key is input, the mobile terminal recognizes that the input character "ㅣ" is a vowel and displays the letter "ki", and then the user can easily determine the next consonant "ㅁ" key. To do this, the backlight color of the keys to which the consonants are assigned is converted to red.

이와 같이 이동 통신 단말기가 소정 문자가 입력될 때 입력된 소정 문자가 한글의 자음인 경우 모음이 할당된 키의 백라이트 색을 변환하거나 상기 입력된 소정 문자가 한글의 모음인 경우 자음이 할당된 키의 백라이트 색을 변환함으로써, 시력이 약한 사용자나 노약자들도 자신들이 입력한 문자를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when the predetermined character is inpu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nverts the backlight color of the key to which the vowel is assigned, or when the input character is the vowel of the Korean character. By converting the backlight color, users with low vision or the elderly can see exactly what they type.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입력 문자 디스플레이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들이다.4 (a) to 4 (c) are exemplary diagrams for explaining an input character display process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a) 내지 도 4(c)를 참조하면, 도 4(a)는 "실버 문자 입력 모드를 수행 할까요?" 라는 메시지와 함께 상기 실버 문자 입력 모드 수행 유무를 선택하기 위한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Referring to Figs. 4 (a) to 4 (c), Fig. 4 (a) shows "Do you want to execute the silver character input mode?" A screen for selecting whether or not to execute the silver character input mode is shown.

이동 통신 단말기는 사용자가 도 4(a)에 도시된 화면처럼 실버 문자 입력 모드를 선택하면, 도 4(b)와 같이 기본 문자 표시창의 소정 위치에 상기 실버 문자 입력 모드에서 입력되는 소정 문자의 크기를 확대/표시하는 확대창을 생성한 화면을 디스플레이 한다. 도 4(b)의 화면에서 하단에 위치한 항목 /가/는 한글, /A/는 영어대문자, /a/는 영어소문자, /특/은 특수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항목을 나타낸다.When the user selects the silver character input mode as shown in FIG. 4 (a),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s a size of a predetermined character input in the silver character input mode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basic character display window as shown in FIG. 4 (b). Displays the screen on which the enlarged window to enlarge / display is created. In the screen of FIG. 4 (b), the items / a / are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screen, and Korean / A / are English uppercase letters, / a / is an English lowercase letter, and / special / is an item for inputting a special character.

이동 통신 단말기는 도 4(b)의 화면에서 사용자의 키 조작에 의거하여 문자 "ㄱ"이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문자 "ㄱ"을 상기 도 4(c)의 화면과 같이 기본 문자 표시창 및 상기 생성된 확대창(22)에 각각 디스플레이 한다. 이 때 이동 통신 단말기는 확대창(22)에 디스플레이 하는 문자 "ㄱ"을 상기 기본 문자 표시창에 디스플레이 하는 문자 "ㄱ"보다 그 크기를 크게(예컨대, 2배) 확대하여 디스플레이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확대창(22)은 사용자가 입력하고자 하는 문자가 완성될 때까지 그 입력 문자를 디스플레이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When the character "a" is input based on the user's key operation on the screen of FIG. 4 (b),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generates the input character "a" as shown in the screen of FIG. Display on the enlarged window 22, respectively.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isplays the letter “a” displayed on the enlarged window 22 in a larger size (eg, twice) than the letter “a” displayed on the basic text display window. 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enlarged window 22 displays the input characters until the character which a user wants to input is completed.

한편. 이동 통신 단말기는 문자 "ㄱ"이 디스플레이 된 도 4(c)의 화면에서 사용자의 키 조작에 의거하여 문자 "ㅏ"가 입력되면 기 입력된 문자 "ㄱ"에 상기 입력된 문자 "ㅏ"를 병합한 문자 "가"를 도 4(d)의 화면과 같이 기본 문자 표시창 및 상기 생성된 확대창(22)에 각각 디스플레이 한다.Meanwhile. When the character "ㅏ" is input based on the user's key operation on the screen of FIG. 4 (c) in which the character "a" is displaye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erges the input character "ㅏ" with the previously input character "a". One character "a" is displayed on the basic character display window and the created enlarged window 22 as shown in the screen of FIG.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로 한글 문자 입력에 관해 설 명하였으나, 영어 알파벳, 특수문자 및 아라비아 숫자의 입력 등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In 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specific example has been described with respect to Korean character input, but various modifications such as input of an English alphabet, special characters, and Arabic numerals can be implement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defined by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not only by the claims but also by the equivalents of the claims.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에 입력되는 문자의 크기를 별도의 팝업창을 통해 확대하여 표시함과 동시에 입력된 문자를 음성으로 출력할 수도 있으므로 사용자는 작은 글자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고 유아들의 언어 학습에도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may enlarge and display the size of the text input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a separate pop-up window and simultaneously output the input text as a voice so that the user can easily check the small letters and It can also be used effectively for language learning.

또한 노인들이나 시력이 좋지 않은 사람들도 자신들이 입력한 문자를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으므로 이동 통신 단말기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In addition, elderly people or people with poor eyesight can check the characters they input accurately, so that the user can conveniently us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laims (7)

이동 통신 단말기의 입력 문자 표시 방법에 있어서,In the input character display metho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사용자의 요청에 의거하여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에 입력되는 문자의 크기를 확대하여 표시하는 실버 문자 입력 모드로 전환하는 과정과,Switching to a silver character input mode in which a size of a character input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enlarged and displayed according to a user's request; 상기 실버 문자 입력 모드에서 소정 문자가 입력되면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 표시부의 확대창에 상기 입력된 소정 문자의 크기를 확대하여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입력 문자 표시 방법.And when the predetermined character is input in the silver character input mode, expanding and displaying the size of the input predetermined character on the enlarged window of the display uni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소정 문자는 한글, 영어 알파벳, 특수문자 및 아라비아 숫자 중 어느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입력 문자 표시 방법.The predetermined character is an input character display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any one of Hangul, English alphabet, special characters and Arabic numeral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대창은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magnifying window 상기 표시부 기본 문자 표시창의 소정 위치에 구현되며, 상기 입력된 소정 문자의 크기를 확대하여 표시하는 팝업창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입력 문자 표시 방법.And a pop-up window implement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basic character display window of the display unit to enlarge and display the size of the input predetermined tex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과정은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marking process is performed. 이동 통신 단말기가 상기 실버 문자 입력 모드로 전환되면 상기 표시부의 소정 위치에 상기 확대창을 별도로 생성하는 단계와,Generating the enlarged window separately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display unit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switched to the silver character input mode; 상기 실버 문자 입력 모드에서 소정 문자가 입력되면 상기 표시부의 기본 문자 표시창 및 상기 생성된 확대창에 상기 소정 문자를 각각 표시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입력 문자 표시 방법.And displaying the predetermined text on the basic text display window and the generated enlarged window of the display unit when the predetermined text is input in the silver text input mod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사용자 요청에 의거하여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가 실버 문자 입력 모드로 전환되면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키패드에 구비된 키들 중 소정 키들의 기본 백라이트(Back-Light) 색을 변환하여 출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입력 문자 표시 방법.I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switched to a silver character input mode according to a user's request, converting and outputting a basic back-light color of predetermined keys among the keys provided in the keypa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input character display metho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키는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predetermined key is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키패드에 구비된 자음키 및 모음키들 중 어느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입력 문자 표시 방법.And a consonant key and a vowel key included in a keypa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실버 문자 입력 모드에서 소정 문자가 입력되면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 표시부의 확대창에 상기 입력된 소정 문자의 크기를 확대하여 표시함과 동시에 상기 입력된 문자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입력 문자 표시 방법.If the predetermined character is input in the silver character input mode, the method further includes a step of displaying the enlarged size of the predetermined character on the enlarged window of the display uni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outputting the input character by voice. An input character display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20040070773A 2004-09-06 2004-09-06 Method for displaying input character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60595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0773A KR100605952B1 (en) 2004-09-06 2004-09-06 Method for displaying input character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0773A KR100605952B1 (en) 2004-09-06 2004-09-06 Method for displaying input character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2021A KR20060022021A (en) 2006-03-09
KR100605952B1 true KR100605952B1 (en) 2006-08-02

Family

ID=371286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0773A KR100605952B1 (en) 2004-09-06 2004-09-06 Method for displaying input character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5952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24829A (en) 2022-02-19 2023-08-28 주식회사 에듀체인 Smartphone application learning method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1426B1 (en) * 2006-06-08 2007-07-20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font auto control in mobile phone
KR100924178B1 (en) * 2007-12-27 2009-10-28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Monitor adjustment system for the readability of the old us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24829A (en) 2022-02-19 2023-08-28 주식회사 에듀체인 Smartphone application learning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2021A (en) 2006-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03777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haracter input using touch screen in a portable terminal
KR100704153B1 (en) Method for changing character size of message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682331B1 (en) Method for searching phone-book in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US756190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 and numerals to display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P1923775A1 (en) Device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s or numbers in mobile terminal
KR100605952B1 (en) Method for displaying input character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790159B1 (en) Method for inputting special character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30005546A (en) Method for input a chinese character of mobile phone
KR20060122208A (en) Apparatus for simplified and traditional chinese exchange method thereof
KR100641139B1 (en) Ezeng word edit popup window display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chinese language
KR101389588B1 (en) Method of zooming-in image or/and text and mobile telephone using the same
KR20070094044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s in portable terminal
JP4728992B2 (en)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and display method
JP2000276288A (en) Portable terminal
JP2005122499A (en) Portable terminal device
KR100795952B1 (en) Method for character input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667533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chinese character using pinyin and stroke
KR100251719B1 (en) Apparatus for inputing and outputing character in keyphone system
JP2011081545A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430922B1 (en) Character input keypad
KR100672343B1 (en) Character input apparatus and method of inputting thereof
KR20050015897A (en) Character display method of mobile terminal
KR100447590B1 (en) Input device of character for mobile phone and inputting method thereof
KR200289468Y1 (en)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lcd including enlarged window
KR100912736B1 (en) Character input installation of touch phone and character input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9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