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0770B1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requesting safety-call and its operating method - Google Patent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requesting safety-call and its operating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0770B1
KR100600770B1 KR1020040095316A KR20040095316A KR100600770B1 KR 100600770 B1 KR100600770 B1 KR 100600770B1 KR 1020040095316 A KR1020040095316 A KR 1020040095316A KR 20040095316 A KR20040095316 A KR 20040095316A KR 100600770 B1 KR100600770 B1 KR 1006007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safety
frequ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531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60056057A (en
Inventor
강영명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953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0770B1/en
Publication of KR200600560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605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07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077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4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 H04M1/2745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 H04M1/27453Directories allowing storage of additional subscriber data, e.g. metadata
    • H04M1/2746Sorting, e.g. according to history or frequency of u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1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schedules, e.g. using calenda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54Arrangements for diverting calls for one subscriber to another predetermined subscrib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부전화 요청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각 전화번호에 따른 안부전화 주기가 설정되어 저장되는 메모리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전화번호의 통화빈도를 감지하여, 상기 안부전화 주기 이내에 해당 전화번호로의 발신이 없는 경우 안부전화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생성하는 마이컴을 포함하여 구성됨에 따라, 사용자가 안부전화 상대를 일일이 기억하지 않아도 요청 메시지에 따라 안부전화를 걸 수 있으며, 일정 기간 연락이 없었던 상대방을 쉽게 확인할 수 있어 대인관계 개선 및 유지가 용이하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call request function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wherein a memory call cycle is set and stored according to each phone number, and a call frequency of the phone number stored in the memory is detected. If there is no outgoing call to the phone number within the call cycle,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microcomputer that generates a message requesting a call, so users can make a call according to the request message even if they do not remember the call partner. In addition, since the other party has not been contact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it is easy to improve interpersonal relations and maintain the user's convenience.

이동통신 단말기, 주소록, 통화빈도감지 Mobile terminal, address book, call frequency detection

Description

안부전화 요청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requesting safety-call and its operating metho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request call function and its operation metho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requesting safety-call and its operating method}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안부전화 요청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이 도시된 블록도,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a call request function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안부전화 요청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요청메시지의 실시예가 도시된 도,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request messag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a call request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안부전화 요청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주소록의 실시예가 도시된 도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n address book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a call request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안부전화 요청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operat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a call request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on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마이컴 11: 통화빈도 감지부10: micom 11: call frequency detector

12: 요청메시지 생성부 13: 출력 제어부12: request message generation unit 13: output control unit

20: 메모리 30: 출력부20: memory 30: output unit

40: 입력부 50: 통신모듈40: input unit 50: communication module

본 발명은 안부전화 요청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빈도를 체크하여 주소록에 저장된 사람들에게 주기적으로 안부를 전할 수 있도록 안부전화를 요청하는 요청메시지가 출력되도록 하는 안부전화 요청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a call request function and a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and in particular, a request for requesting a call request to check a call frequency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periodically send a greeting to people stored in an address book.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safety telephone request function for outputting a message,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의 주소록은 단말기 사용중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키입력을 통해 수동으로 주소록을 작성하며, 작성된 주소록을 이용하여 통화나 SMS 송신 시에 활용된다. In general, an address book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manually created by a user through key input as necessary while the user is using the terminal.

일부 이동통신 단말기의 경우 케이블을 통해 퍼스널 컴퓨터에 접속하여, 퍼스널 컴퓨터 상에서 편집된 주소록을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여 사용하거나 이동통신 단말기 주소록을 퍼스널 컴퓨터에 저장하여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In som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 personal computer is connected to a personal computer via a cable, and an address book edited on the personal computer is transmit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ddress book is stored and used in the personal computer.

종래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사용자에 의해 주소록 또는 메시지 등을 작성할 수 있도록 하는 키 입력부와, 상기 키 입력부에 의해 데이터가 표시되는 출력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comprises a key input unit for allowing a user to create an address book or a message, and an output unit for displaying data by the key input unit.

또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키 입력부에 의해 입력되는 주소록 또는 메시지 등이 저장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urther includes a memory in which an address book or a message input by the key input unit is stored.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사용자가 기록하고자 하는 사람의 이름, 전화번호 등이 기록되며, 이메일 또는 생일과 같이 상대방의 신상정보가 함께 저장되기도 한다.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name, a phone number, etc. of a person to be recorded by the user is recorded, and personal information of the other party, such as an e-mail or a birthday, may be stored together.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사용자가 상기 주소록에서 통화 또는 메시지를 전송하고자 하는 상대방을 찾고자 할 때, 상기 키 입력부를 통해 상대방의 이름 또는 전화번호의 일부를 입력받아 상기 주소록을 검색하여 그 결과를 상기 출력부를 통해 디스플레이 하게 된다. When the user wants to find a counterpart to which a call or message is to be transmitted from the address book, the mobile terminal receives a part of the counterpart's name or phone number through the key input unit, searches the address book, and outputs the result to the output unit. Will be displayed.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전화번호를 검색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다단계에 걸친 조작에 의해 상대방의 신상정보를 디스플레이 하기도 한다.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erforms a function of searching for a telephone number at the request of a user, and may display personal information of the other party by a multi-step operation.

그러나, 상기와 같이 동작되는 종래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상대방의 전화번호를 검색하는 기능만을 제공할 뿐, 사용자의 인맥을 관리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로의 역할은 수행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invention operated as described above provides only a function of searching for the phone number of the counterpart by the user's request, and does not play a role as a database for managing the user's network. There is this.

예를 들면, 일정 기간 간격으로 부모님에게 안부전화를 드리거나 또는 절친한 친구와 주기적으로 통화를 하고자 하더라도 바쁜 생활로 인하여 의도하지 않게 장기간 전화 통화를 하지 못하게 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게 된다. For example, even if you want to say hello to your parents at regular intervals or have regular calls with your best friend, you may not be able to make unintended long-term phone calls because of your busy lif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 로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주소록에 등록된 사람에 따른 통화빈도에 따라 주기적으로 전화를 할 수 있도록 요청메시지를 발생시켜 사용자가 이를 상기할 수 있도록 하는 안부전화 요청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by generating a request message to periodically call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call according to the person registered in the address book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user sai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a call request function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안부전화 요청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는 각 전화번호에 따른 안부전화 주기가 설정되어 저장되는 메모리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전화번호의 통화빈도를 감지하여, 상기 안부전화 주기 이내에 해당 전화번호로의 발신이 없는 경우 안부전화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생성하는 마이컴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a call request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a memory that is set and stored in the regards to the phone call period for each phone number, by detecting the frequency of the phone number stored in the memory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micom to generate a message requesting a safety call when there is no call to the phone number within the safety call cycle.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안부전화 요청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방법은 전화번호에 따른 안부전화주기를 설정하는 제 1단계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각 전화번호에 따라 발신빈도 및 발신주기를 감지하여 안부전화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생성하는 제 2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method of operat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a call request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step of setting a call cycle according to a phone number and a call frequency and a call cycle according to each phone number stored in the memory. And detecting and generating a message requesting a safety call.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구성 및 동작방법에 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안부전화 요청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이 도시된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안부전화 요청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요청메시지의 실시예가 도시된 도이며, 도 3은 본 발 명에 따른 안부전화 요청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주소록의 실시예가 도시된 도이다. Hereinafter, a configuration and an operation metho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a call request function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mbodiment of a request messag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a request call function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n address book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a call request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문자 또는 숫자를 입력받는 입력부(40)와, 상기 입력부(40)에 의해 입력된 전화번호가 주소록으로 저장되는 메모리(20)와, 상기 메모리(20)에 저장된 전화번호 주소록을 표시하여 사용자가 확인 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하는 출력부(30)와, 인터넷 망 또는 이동통신 망을 통해 타 사용자와 음성통화 및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통신모듈(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As shown in FIG. 1,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put unit 40 for receiving a letter or number by a user, and a memory 20 for storing a phone number input by the input unit 40 as an address book. ), An output unit 30 for displaying a phone number address book stored in the memory 20 for display by the user, and a voice call and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with another user through an internet network or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communication module 50.

또한, 상기 메모리(20)에 저장된 전화번호 각각에 대한 발신빈도 및 발신주기 등의 통화빈도를 감지하여 설정된 안부전화 주기마다 안부전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 하도록 하는 마이컴(1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In addition, the microcomputer 10 is configured to detect the call frequency, such as the call frequency and call cycle for each of the phone numbers stored in the memory 20 to display a call message every time set call telephone cycle.

상기 입력부(40)는 숫자 또는 문자를 입력하거나 기능을 설정하는 다수의 숫자 키 및 기능키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메모리(20)에 전화번호를 입력하거나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소정의 기능을 사용하기 위한 메뉴설정이 가능하도록 한다.The input unit 40 includes a plurality of numeric keys and function keys for inputting numbers or letters or setting functions to input a phone number to the memory 20 or to use a predetermined func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nable menu setting for

상기 출력부(30)는 상기 메모리(20)에 저장된 주소록에 따라 설정된 일정 주기마다 안부전화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출력하며, 이때 상기 메시지는 문자 또는 이미지로 디스플레이 된다. The output unit 30 outputs a message for requesting a safety call every set period according to the address book stored in the memory 20, wherein the message is displayed as a text or an image.

또한, 상기 출력부(30)는 화면을 통한 디스플레이 외에도 음성, 멜로디 또는 경보음을 출력하는 스피커를 포함하며, 상기 요청메시지가 음성, 멜로디, 알람의 형태로 출력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output unit 30 includes a speaker for outputting a voice, melody or alarm sound in addition to the display through the screen, so that the request message is output in the form of voice, melody, alarm.

상기 메모리(20)는 상기 입력부(40)를 통해 키 입력되는 데이터 이외에 타 이동통신 단말기 또는 컴퓨터와 무선통신 또는 케이블로 연결되어 수신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으며 상기 타 이동통신 단말기 또는 컴퓨터에 기 저장된 주소록을 수신 받아 저장한다. The memory 20 may store data received by being connected to anothe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r a computer by wireless communication or a cable in addition to data inputted through the input unit 40, and an address book previously stored in the othe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r the computer. Receive and save.

또한, 상기 메모리(20)는 사용자가 일정 주기마다 안부전화를 걸기 원하는 전화번호마다 각각의 안부전화 주기가 상기 주소록과 함께 설정되어 저장된다. In addition, the memory 20 is stored with the respective address book period is set with the address book for each phone number that the user wants to make a call every time.

이때, 안부전화 주기는 사용자가 상기 메모리(20)에 저장된 주소록의 전화번호마다 친분의 정도에 따라 혹은 중요도에 따라 설정된 특정 주기이며, 상기 메모리(20)에 저장된다. In this case, the safety call cycle is a specific period set by the user according to the degree of acquaintance or the importance of each telephone number of the address book stored in the memory 20, and is stored in the memory 20.

상기 마이컴(10)은 상기 입력부(40)를 통해 입력된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20)에 저장하고, 저장된 내용을 상기 출력부(30)를 통해 디스플레이 할 뿐 아니라, 상기 통신모듈(50)을 통해 특정 사람 또는 외부 인터넷과 연결되어 음성 통화 및 데이터 통신을 수행함으로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반적인 기능을 제어한다. The microcomputer 10 stores the data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40 in the memory 20, not only displays the stored contents through the output unit 30, but also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50. By connecting to a specific person or the external Internet and performing a voice call and data communication, the overall func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controlled.

상기 마이컴(10)은 상기 메모리(20)에 저장된 주소록의 각 전화번호에 따른 발신빈도 및 발신주기등의 통화빈도를 감지하는 통화빈도 감지부(11)와, 상기 통화빈도 감지부(11)의 감지 결과에 따라 안부전화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생성하는 요청메시지 생성부(12)와, 상기 요청메시지 생성부(12)에 의해 생성된 메시지가 상기 출력부(30)를 통해 디스플레이 되도록 하는 출력 제어부(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microcomputer 10 includes a call frequency detector 11 for detecting a call frequency such as a call frequency and a call cycle according to each phone number of the address book stored in the memory 20, and the call frequency detector 11. A request message generation unit 12 for generating a message for requesting a safety call according to a detection result, and an output control unit for displaying a message generated by the request message generation unit 12 through the output unit 30; 13) is configured to include.

상기 통화빈도 감지부(11)는 상기 메모리(20)에 저장된 주소록 중 안부전화 주기가 설정된 각각의 전화번호의 발신빈도 및 발신주기를 감지하여 안부전화주기가 설정된 해당 전화번호의 통화빈도를 감지한다. The call frequency detecting unit 11 detects the call frequency and the call frequency of each phone number in which the phone call cycle is set among the address books stored in the memory 20 to detect the call frequency of the corresponding phone number in which the call phone period is set. .

또한, 상기 통화빈도 감지부(11)는 각 해당 전화번호의 발신빈도 및 발신주기 감지결과를 상기 메모리(20)로 전달하여 저장되도록 한다. In addition, the call frequency detecting unit 11 transmits the transmission frequency and the transmission cycle detection result of each corresponding telephone number to the memory 20 to be stored.

상기 요청메시지 생성부(12)는 상기 통화빈도 감지부(11)에 의해 감지된 각 전화번호의 통화빈도를 바탕으로 상기 메모리(20)에 저장된 해당 전화번호의 안부전화 주기 동안에 해당 전화번호로의 발신여부를 판단하여 발신이 감지되는 않는 경우 안부전화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생성한다. The request message generating unit 12 transfers to the corresponding telephone number during the safety call cycle of the corresponding telephone number stored in the memory 20 based on the calling frequency of each telephone number detected by the call frequency detecting unit 11. If the transmission is not detected by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call is generated generates a message requesting a safety call.

또한, 상기 요청메시지 생성부(12)는 상기 메모리(20)에 설정 저장된 안부전화 주기가 근접한 전화번호가 존재하는 경우 해당일 이전에 안부전화주기가 근접하였음을 사용자에게 알리는 메시지를 생성한다. In addition, the request message generation unit 12 generates a message informing the user that the telephone call cycle is close before the corresponding day, when there is a telephone number close to the telephone call cycle set in the memory 20.

상기 요청메시지 생성부(12)는 문자, 이모티콘, 이미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형태로 요청메시지를 생성한다.The request message generator 12 generates the request message in at least one of a text, an emoticon, and an image.

또한, 상기 요청메시지 생성부(12)는 문자 또는 이미지 형태의 메시지 뿐 아니라, 음성, 멜로디, 경고음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형태로 요청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request message generator 12 may generate a request message in at least one of a voice, a melody, and a warning sound as well as a message in a text or image form.

상기 출력 제어부(13)는 상기 요청메시지 생성부(12)에 의해 생성된 문자, 이모티콘, 이미지 등의 메시지를 디스플레이 창에 출력한다.The output control unit 13 outputs a message such as a text, an emoticon, an image generated by the request message generation unit 12 to a display window.

또한, 상기 출력 제어부(13)는 안부전화 주기가 경과함에 따라 상기 출력부(30)의 디스플레이창으로 표시되는 주소록의 해당 전화번호 또는 이름의 색을 변경하거나 농도를 변화시키도록 하여 안부전화 주기가 근접하였거나 이미 경과하였음을 표시하여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output control unit 13 changes the color or the density of the corresponding telephone number or name of the address book displayed on the display window of the output unit 30 as the safety call cycle elapses, Indicates that the user is near or has already elapsed so that the user can check.

상기 출력 제어부(13)는 상기 요청메시지 생성부(12)에 의해 생성된 메시지가 소리로 출력될 때, 안부전화 주기의 경과 정도에 따라 스피커로 출력되는 요청메시지의 음량이 상이하게 출력되도록 한다. When the message generated by the request message generator 12 is output as a sound, the output control unit 13 outputs a different volume of the request message output to the speaker according to the elapse of the safety telephone cycle.

상기 출력부(30)를 통해 출력되는 요청 메시지 및 주소록의 디스플레이 형태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형태로 나타날 수 있으며 이는 도면에 도시된 특정 형태에 국한되지 않는다. The display form of the request message and the address book output through the output unit 30 may appear in various forms, as shown in FIGS. 3 and 4, which are not limited to the specific forms shown in the drawings.

상기 출력부(30)를 통해 출력되는 요청메시지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정된 해당주기에 도달하는 경우 해당 전화번호로의 안부전화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 한다. (a, d)As shown in FIG. 2, the request message output through the output unit 30 displays a message requesting a safety call to the corresponding telephone number when the set period is reached. (a, d)

또한, 해당 전화번호의 설정된 안부전화 주기가 경과하여 장기간 발신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요청메시지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 한다. (b)In addition, if a long-time outgoing call is detected after the set call cycle of the corresponding phone number, a request message is generated and displayed. (b)

설정된 안부전화 주기가 근접한 전화번호가 존재하는 경우 해당 주기가 근접했음을 알리는 요청메시지가 출력된다. (c)If there is a phone number close to the set call cycle, a request message indicating that the cycle is close is output. (c)

상기 출력부(30)를 통해 디스플레이 되는 주소록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화번호 리스트에 해당 전화번호 또는 이름의 색이 변경되거나, 농도 또는 명암이 변경되도록 디스플레이 함으로서 안부전화 주기에 따른 발신상태를 확인 할 수 있도록 한다. As shown in FIG. 3, the address book displayed through the output unit 30 displays the phone number or the name of the phone number or name in the phone number list or changes the density or contrast so that the status of the call is generated according to the cycle of the call. To check.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이동통신 단말기는 설정된 주기에 따라 안부전화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 함으로서, 친분 또는 중요도에 따라 안부전화를 걸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안부전화 할 상대를 일일이 기억하지 않고도 대인관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Therefor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displays a message requesting a safety call according to a set period, so that the user can make a safety call according to an acquaintance or importance, so that the user does not have to remember the person to be regarded as a person. To maintain.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안부전화 요청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Looking at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operat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a call request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키입력 또는 케이블 연결을 통해 주소록에 전화번호를 입력하고, 주소록에 저장된 전화번호에 따라 안부전화 주기를 설정한다. (S1)Enter the phone number in the address book by key input or cable connection, and set the safety call interval according to the phone number stored in the address book. (S1)

상기 주소록의 전화번호에 안부전화 주기가 설정된 해당 전화번호의 발신 빈도 및 발신 주기를 감지하고 이를 저장한다. (S2)It detects and stores the calling frequency and the calling cycle of the corresponding telephone number in which a telephone call cycle is set in the telephone number of the address book. (S2)

상기와 같이 감지된 발신빈도 및 발신주기를 바탕으로 해당 전화번호로의 안부전화 주기에 따라 메시지 생성 여부를 판단하여, 설정된 안부전화 주기 동안 해당전화번호로의 발신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안부전화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생성한다. (S3, S4)Determines whether to generate a message according to the call frequency to the corresponding phone number based on the detected frequency and outgoing cycle as described above, and requests a regards call if the call to the corresponding phone number is not detected during the set call period. Produce a message that says (S3, S4)

상기 주소록 중 안부전화 주기가 근접한 전화번호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주기가 근접한 전화번호가 존재하는 경우 안부전화를 걸 시기가 근접하였음을 해당 일 이전에 이미 알리는 메시지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In the address book, it is determined whether there is a telephone number close to the cycle, and if there is a telephone number close to the cycle, it generates and outputs a message that informs the user that the time to make a telephone call is near.

또한, 설정된 안부전화 주기가 일정 기간 경과하여도 발신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안부전화 주기가 일정 기간 경과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생성하여 사용자가 해당 전화번호로의 발신이 없었음을 인지하도록 한다. In addition, if a call is not detected even afte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the user may generate a message indicating that the user's call period has elapsed for a certain period so that the user recognizes that there is no call to the corresponding phone number.

이때, 생성된 메시지는 문자, 이미지, 경보음, 멜로디, 음성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생성되어 출력되며, 이때 경보음, 멜로디 또는 음성의 경우에는 발생되는 소리의 크기가 설정 된 해당주기의 근접, 도래, 경과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되어 출력된다. (S5)At this time, the generated message is generated and output in the form of at least one of a text, an image, an alarm sound, a melody, and a voice. It is differently set and output as time passes. (S5)

상기와 같이 출력되는 메시지 이외에도 사용자가 키 입력을 통해 주소록을 확인하는 경우에는 해당 전화번호의 이름 또는 전화번호의 색이 상이하게 나타나거나, 글자의 농도 또는 명암이 상이하게 나타나도록 함으로서, 해당 전화의 발신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S6)In addition to the message output as described above, when the user checks the address book through a key input, the name of the telephone number or the color of the telephone number may be different, or the density or contrast of the characters may be different. Allows you to check outgoing status. (S6)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안부전화 요청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에 대하여 예시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은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보호되는 범위 이내에서 응용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llustrated with respect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method for operating the mobile phone with a request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embodiments and drawings disclosed herein, It can be applied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invention.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안부전화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은 설정된 안부전화 주기에 따라 해당 전화번호로의 발신을 감지하여 발신여부에 따라 안부전화 요청메시지를 생성함으로서, 사용자가 안부전화 상대 를 일일이 기억하지 않아도 요청 메시지에 따라 안부전화를 걸 수 있으며, 일정 기간 연락이 없었던 상대방을 쉽게 확인할 수 있어 대인관계 개선 및 유지가 용이하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its operation method equipped with a safety telephone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detects an outgoing call to a corresponding telephone number according to a set safety telephone cycle, and generates a safety telephone request message according to whether or not the user is sent. Even if you do not memorize each other's call partner, you can make a call according to the request message, and it is easy to check the other party who has not been contact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so it is easy to improve and maintain interpersonal relationship, which greatly improves the user's convenience.

Claims (10)

각 전화번호에 따른 안부전화 주기가 설정되어 저장되는 메모리와; A memory for storing and setting a safety telephone cycle according to each telephone number;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전화번호의 통화빈도를 감지하여, 상기 안부전화 주기 이내에 해당 전화번호로의 발신이 없는 경우 안부전화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생성하는 마이컴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부전화 요청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Regarding the call frequency of the phone number stored in the memory, if there is no outgoing call to the phone number within the phone call cycle, the call request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micom to generate a message for requesting a safety call The provide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마이컴은 상기 각 전화번호에 설정된 안부전화 주기 이내에 해당 전화번호로의 발신여부 및 발신 주기를 감지하여 해당 전화번호의 통화빈도를 감지하는 통화빈도 감지부와; The microcomputer includes a call frequency detecting unit for detecting a call frequency of the corresponding phone number by detecting whether or not a call is made to the corresponding phone number within a set call cycle set in each phone number; 상기 통화빈도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통화빈도에 따라 안부전화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생성하는 요청메시지 생성부와; A request message generation unit for generating a message requesting a safety call according to the call frequency detected by the call frequency detection unit; 상기 요청메시지 생성부에서 생성된 요청메시지에 따라 그래픽 또는 음량상태를 제어하는 출력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부전화 요청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a request call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output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graphic or volume state in accordance with the request message generated by the request message generating unit.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요청메시지 생성부는 소정의 전화번호에 대해 안부전화 주기가 근접함 을 미리 알려주는 메시지를 더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부전화 요청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The request message generating unit i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safety telephone request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urther configured to generate a message in advance telling that the telephone call cycle is close to a predetermined telephone number. 제 2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요청메시지 생성부는 문자, 이모티콘, 이미지, 음성, 멜로디, 경고음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형태로 상기 요청메시지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부전화 요청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The request message generating unit i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a request call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generate the request message in at least one of the form of text, emoticon, image, voice, melody, alert sound. 제 2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출력 제어부는 안부전화 주기가 경과함에 따라 상기 출력부의 디스플레이창으로 표시되는 전화번호 리스트의 해당 전화번호 또는 이름의 색, 농도 또는 명암을 가변시키켜 통화빈도에 따른 발신상태를 나타내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부전화 요청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The output control unit is configured to change the color, density or contrast of the corresponding telephone number or name of the telephone number list displayed on the display window of the output unit as the safety telephone cycle elapses to indicate an outgoing state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call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a call request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제 2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출력 제어부는 안부전화 주기가 경과함에 따라 스피커로 출력되는 요청메시지의 음량을 변경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부전화 요청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The output control unit i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safety telephone request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change the volume of the request message output to the speaker as the safety telephone cycle elapses. 전화번호에 따른 안부전화주기를 설정하는 제 1단계와;A first step of setting a safety telephone cycle according to the telephone number;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각 전화번호에 따라 발신빈도 및 발신주기를 감지하여 안부전화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생성하는 제 2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부전화 요청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방법.And a second step of generating a message requesting a safety call by detecting a frequency and a frequency of transmission according to each phone number stored in the memory. . 제 7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안부전화 요청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방법은 감지된 통화빈도에 따라 출력되는 전화번호 리스트의 색상 또는 명암이 가변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부전화 요청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방법.The operation metho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the call request function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varying the color or contrast of the telephone number list output according to the detected call frequency. Operating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제 7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제 1단계는 메모리에 저장된 전화번호에 따라 안부전화 주기를 입력하는 제 1과정과;The first step includes a first step of inputting a safety telephone cycle according to the telephone number stored in the memory; 문자, 이모티콘, 이미지, 음성, 멜로디, 경고음 등의 요청메시지가 출력되는 형태를 선택하도록 설정하는 제 2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부전화 요청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방법.Operating metho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a request call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step of setting to select the output form of the request message, such as text, emoji, image, voice, melody, warning sound. 제 7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제 2단계는 전화번호에 따른 발신빈도 또는 발신주기 등의 통화빈도를 감지하는 제 3과정과; The second step may include a third step of detecting a frequency of call, such as a call frequency or a call cycle according to a telephone number; 감지된 통화빈도에 따라 안부전화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생성하는 제 4과정과;A fourth step of generating a message requesting a safety call according to the detected call frequency; 생성된 메시지를 설정된 소정의 형태로 출력하는 제 5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부전화 요청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방법.And a fifth process of outputting the generated message in a predetermined form.
KR1020040095316A 2004-11-19 2004-11-19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requesting safety-call and its operating method KR10060077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5316A KR100600770B1 (en) 2004-11-19 2004-11-19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requesting safety-call and its operating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5316A KR100600770B1 (en) 2004-11-19 2004-11-19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requesting safety-call and its operating metho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6057A KR20060056057A (en) 2006-05-24
KR100600770B1 true KR100600770B1 (en) 2006-07-18

Family

ID=371519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5316A KR100600770B1 (en) 2004-11-19 2004-11-19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requesting safety-call and its operating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0770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9887B1 (en) * 2005-02-21 2011-12-28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of persuading rare contact person to contact in mobile phone
KR100738417B1 (en) * 2006-04-07 2007-07-1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providing buddy management function by using address book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8114A (en) * 2001-08-27 2003-03-06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Method for storing automatically speed dial in mobile phon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8114A (en) * 2001-08-27 2003-03-06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Method for storing automatically speed dial in mobile pho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6057A (en) 2006-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97960B2 (en) Method for displaying status information on a mobile terminal
CN104378498B (en) Method of displaying contact information, method of handling lost call and electronic apparatus using the same
KR20130084856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a call service of mobile terminal
KR100617756B1 (en) Method for displaying status information in wireless terminal
KR20140052863A (en) Advanced calling
WO2006123753A1 (en) Cellular phone
KR100600770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requesting safety-call and its operating method
KR101161442B1 (en) Method for preventing reception of spam call in mobile phone
JP2006345409A (en) Automatic answering telephone and method of controlling it
JP5448473B2 (en) Communication device and control method
KR100850991B1 (en) Method for input receiver number of messaging services using shortening dial
JP4877595B2 (en) Mobile terminal, schedule notification method, and program
KR101050049B1 (en)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recording cellular telephones, mail sending methods and computer programs
JP6001109B2 (en) Mobile phone
KR100531945B1 (en) Method for marking forwarded or replied SMS with icon
KR101058299B1 (en) How to send address book from mobile terminal
KR20090026991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gistering phone number using unregistered message list
JP2002244980A (en) Method and device for notifying received mail in mobile body communicating terminal unit
KR100966553B1 (en) method for sending short message using conclusion
KR100324274B1 (en) Method of Managing Short Paragraph in the Terminal Contained a Touch Panel
JP6001001B2 (en) Mobile phone
JP5579560B2 (en) Mobile phone
KR20060057370A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message preview and its operating method
KR100790127B1 (en) Method for language studying in wireless terminal
JP2003152826A (en) Sound volume adjustment method for mobile telephone and mobile telephone provided with sound volume setting fun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4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