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7785B1 - In-building common use communication network service system and method therefore - Google Patents

In-building common use communication network service system and method therefo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7785B1
KR100597785B1 KR1020030065060A KR20030065060A KR100597785B1 KR 100597785 B1 KR100597785 B1 KR 100597785B1 KR 1020030065060 A KR1020030065060 A KR 1020030065060A KR 20030065060 A KR20030065060 A KR 20030065060A KR 100597785 B1 KR100597785 B1 KR 1005977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building
network
digital
mobil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506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40080896A (en
Inventor
이덕형
김인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파인디지털
주식회사 캠프넷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파인디지털, 주식회사 캠프넷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파인디지털
Publication of KR200400808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089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77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778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2Inter-network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초고속 디지털 통신망과 이동통신망을 빌딩 내의 하위단에서 상호 통합적으로 공용화시켜서 비용절감과 더불어 효율화된 통신망의 구축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인빌딩 공용 통신망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유선 디지털 통신망 및 공중전화망과 연결된 디지털 통신장치 및 공중전화 단국장치와, 무선 이동통신망과 연결된 인빌딩용 무선기지국을 갖춘 빌딩 내에서의 통신망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인빌딩용 무선기지국과 연결되고서, 무선 이동통신망의 이동통신 신호와 디지털 통신망 간을 디지털 정합시키기 위한 통신신호 정합수단과, 상기 디지털 통신장치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통신신호 정합수단과 연결되고서, 디지털 정합된 무선 이동통신망의 이동통신 신호와 디지털 통신망을 통합적으로 공용화하는 신호분배 수단 및, 상기 신호분배 수단과 연결되고서, 무선 이동통신 신호의 전송에 의한 무선통신 서비스의 수행이 가능하도록 빌딩의 각 층에 설치되어 있는 안테나 단국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n-building public telecommunication network service system and method for enabling the construction of an efficient telecommunication network with cost reduction by integrating a high-speed digital communication network and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t a lower level in a building. 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mmunication network service system in a building having a digital communication device and a public telephone terminal device connected to a wired digital communication network and a public telephone network, and an in-building wireless base station connected to a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 communication signal matching means for digitally matching a mobile communication signal and a digital communication network of a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with a base station, and connected with the communication signal matching means in a state of being connected with the digital communication device, Signal distribution means for integrating a mobile communication signal and a digital communication network of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is connected to the signal distribution means, installed on each floor of the building to perform a wireless communication service by transmitting a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signal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n antenna end means.

초고속 디지털 통신(VDSL), 이동통신망, 인빌딩(In-Building), 유선망 신호분배 장치(MDF), 메인 허브 유니트(MHU)High Speed Digital Communication (VDSL), Mobile Network, In-Building, Wired Network Signal Distribution Unit (MDF), Main Hub Unit (MHU)

Description

인빌딩 공용 통신망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IN-BUILDING COMMON USE COMMUNICATION NETWORK SERVICE SYSTEM AND METHOD THEREFORE } In-building public telecommunication network service system and method thereof {IN-BUILDING COMMON USE COMMUNICATION NETWORK SERVICE SYSTEM AND METHOD THEREFORE}             

도 1은 일반적인 빌딩 내의 초고속 디지털 통신망(VDSL망)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1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high-speed digital communication network (VDSL network) in a typical building,

도 2는 일반적인 인빌딩 이동통신망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2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general in-building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도 3은 일반적인 상위단에서의 초고속 디지털 통신망과 이동통신망의 연결 구성을 나타낸 도면,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nection configuration between a high speed digital communication network and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n a general upper stage;

도 4는 빌딩 내에서의 2세대/2.5세대(2G/2.5G) 유무선 통신망의 연결 구성을 나타낸 도면, 4 is a diagram showing a connection configuration of a second generation / 2.5 generation (2G / 2.5G)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in a building;

도 5는 빌딩 내에서의 3세대(3G) 유무선 통신망의 연결 구성을 나타낸 도면, 5 is a view showing a connection configuration of a third generation (3G) wired and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in a building,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법이 적용되는 초고속 디지털 통신망과 이동통신망의 공용 통신망 구조를 나타낸 도면,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mmon communication network structure of a high speed digital communication network and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o which a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라 유선망 신호분배 장치(MDF)와 인빌딩용 기지국 장비와의 연결구성을 나타낸 도면, 7 is a view showing a connection configuration between a wired network signal distribution device (MDF) and in-building base station equip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라 유/무선 통합 공용 통신망에서의 신호처리 구성을 나타낸 도면, 8 is a view showing a signal processing configuration in a wired / wireless integrated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용 통신망에 대한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public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s>

90:빌딩, 92:전화국,90: building, 92: telephone office,

94:공중전화망, 96:이동통신 교환기,94: public telephone network, 96: mobile communication switchboard,

98:가입자정보 등록부, 100:무선 제어국(RNC)98: subscriber information register, 100: radio control station (RNC)

102:무선접속 관리장치(SGSN), 104:패킷망 관리장치(GGSN), 102: wireless access management device (SGSN), 104: packet network management device (GGSN),

106:IP코어망, 108:홈 에이전트(HA),106: IP core network, 108: home agent (HA),

110:인터넷망, 112:인빌딩용 무선기지국,110: Internet network, 112: in-building wireless base station,

114:안테나 단국장치(RU), 116:초고속 디지털 통신장치,114: antenna end station (RU), 116: high speed digital communication device,

118:공중전화망 단국장치, 122:메인 허브 유니트(MHU), 118: public telephone network end station, 122: main hub unit (MHU),

124:유선망 신호분배 장치(MDF).124: wired network signal distribution unit (MDF).

본 발명은 인빌딩 공용 통신망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빌딩 내에 설치되는 초고속 디지털 통신망(VDSL)과 이동 통신망을 유/무선망으로 통합한 공용 통신망을 구축하기 위한 인빌딩 공용 통신망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building public telecommunication network service system and a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n-building public telecommunication network for establishing a high-speed digital telecommunication network (VDSL) installed in a building and a mobile telecommunication network in a wired / wireless network. A network service system and a method thereof are provided.

주지된 바와 같이, 국내 이동통신 가입자의 수가 누적가입자를 기준으로 3,000만명을 넘어서면서 이동통신 서비스는 우리 일상생활에서 없어서는 안되는 하나의 행동양식으로 변해가고 있다. As is well known, as the number of domestic mobile telecommunication subscribers exceeds 30 million based on cumulative subscribers, mobile telecommunication services are becoming an integral part of our daily lives.

특히, 이동통신 서비스의 중심이 단순한 음성통화에서 VOD(Video On Demand), AOD(Audio On Demand) 등의 데이터 서비스 위주로 옮겨가면서 더욱더 이동통신망의 영역이 확대되고 있는 상황이고, 건물 내 이동통신 서비스인 인빌딩 서비스의 경우에는 차세대 이동 통신 서비스인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의 상용화가 가속화 되면서 대형건물 내에서의 데이터 서비스 확대 가능성이 대두되고 있어서, 2세대(2nd Generation; 2G) 이동통신 서비스보다는 한층 더 중요한 서비스로서 각광을 받고 있다. In particular, as the focus of mobile communication services shifts from simple voice calls to data services such as VOD (Video On Demand) and AOD (Audio On Demand), the area of mobile communication networks is expanding. in the case of building service of IMT-2000 (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2000) as commercially available is accelerated in the potential expansion of data services within large buildings is emerging, second generation next-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ervices (2 nd generation; 2G) mobile It is getting more attention as a more important service than communication service.

이러한 3세대(3rd Generation; 3G)의 이동통신 서비스에서 데이터 서비스가 차지하는 비율이 중요시 되고 있는 한편, 대표적인 유선통신망을 이용한 데이터 서비스로서 초고속 디지털 통신망(Very high-data rate Digital Subscriber Line; VDSL) 서비스의 경우에는 초고속 인터넷 가입자 또한 1,000만명을 넘어서고 전송속도 또한 괄목한 만한 증대를 이어와 현재는 50Mbps(bit per second) 이상의 전송속도가 가능하도록 상용화 되어 적용되고 있는 상황이다. While the proportion of data services in the 3 rd generation (3G)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is becoming important, a very high data rate digital subscriber line (VDSL) service as a data service using a typical wired communication network. In the case of high-speed Internet subscribers, the number of subscribers has also exceeded 10 million, and the transmission speed has increased remarkably, and is currently being commercially applied to enable transmission speeds of 50 Mbps (bit per second) or more.

즉, 도 1은 일반적인 빌딩 내의 초고속 디지털 통신망(VDSL망)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동 도면에 따르면 빌딩(10) 내에 전화국(12)과 공중전화 라인(PSTN Line)을 데이터 라인으로 사용하여 초고속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초고 속 디지털 통신장치(14)가 설치되고, 그 초고속 디지털 통신장치(14)는 50핀(Pin)의 DSL 라인을 통해 유선망 신호분배 장치(18)와 연결되는 한편, 50핀의 공중전화 라인을 통해 공중전화 단국장치(16)와 연결된다. That is, FIG. 1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high speed digital communication network (VDSL network) in a general building, and according to the drawing, a high speed using a telephone station 12 and a public telephone line (PSTN Line) as a data line in a building 10. A high speed digital communication device 14 for performing data communication is installed, and the high speed digital communication device 14 is connected with a wired network signal distribution device 18 through a 50-pin DSL line, and 50 pins. It is connected to the public telephone station apparatus 16 through the public telephone line.

상기 공중전화 단국장치(16)는 해당 빌딩(10) 내의 각 층에 설치된 유선전화 단말기(20)와 연결되어 공중 전화망을 통한 외부와의 음성통화가 가능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유선망 신호분배 장치(18)는 해당 빌딩(10) 내의 각 층에 설치된 초고속 디지털 통신용 어댑터가 설치된 컴퓨터 단말(22)과 연결되어 초고속 디지털 통신망을 통한 외부 통신망과의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The public telephone end station device 16 is connected to a wired telephone terminal 20 installed on each floor of the building 10 to enable voice communication with the outside through a public telephone network, and the wired network signal distribution device 18 ) Is connected to a computer terminal 22 provided with a high-speed digital communication adapter installed on each floor in the building 10 to enable data communication with an external communication network through a high-speed digital communication network.

또한, 도 2는 일반적인 인빌딩 이동통신망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동 도면에 따르면 빌딩(10)의 내부에는 외부의 지상망 기지국(32)과 EL/T1(Time Division Multiplexing, Level1) 라인을 통해 인빌딩용 기지국(34)이 연결되어 있고, 상기 인빌딩용 기지국(34)은 메인 허브 유니트(Main Hub Unit; MHU)(36)와 연결되어 있다.In addition, 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general in-building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the drawing, the building 10 has an internal terrestrial base station 32 and an EL / T1 (Time Division Multiplexing, Level 1) line. An in-building base station 34 is connected, and the in-building base station 34 is connected to a main hub unit (MHU) 36.

도 2에서, 상기 빌딩(10) 내의 메인 허브 유니트(36)는 해당 빌딩(10) 내의 각 층에 설치된 안테나 단국장치(38)와 광 케이블이나 동축 케이블을 통해 연결되어 있는 한편, 각 안테나 단국장치(38)는 해당 층에서 동축 케이블을 통해 안테나(40,42)와 각각 연결되어 있다. In FIG. 2, the main hub unit 36 in the building 10 is connected to an antenna station device 38 installed on each floor of the building 10 through an optical cable or a coaxial cable, and each antenna station device. 38 is connected to the antennas 40 and 42, respectively, via a coaxial cable at that floor.

여기서, 상기 빌딩(10) 내의 통신망 장비와 연결되는 이동통신망이 일반적인 유선망과 상위단에서 연결되는 구성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다. Here,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network equipment in the building 10 is connected to the general wired network and the upper end is as shown in FIG. 3.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빌딩(10) 내의 인빌딩용 기지국(34)과 연 결된 외부의 지상망 기지국(32)은 가입자정보 등록부(48)와 연계된 이동통신 교환기(46)와 연결되고, 상기 이동통신 교환기(46)는 전화국(12)과 연결된 공중전화망(44)과 연계됨과 동시에 인터넷망(50)과 연결된다. That is, as shown in FIG. 3, the external terrestrial base station 32 connected to the in-building base station 34 in the building 10 may be connec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switch 46 associated with the subscriber information registration unit 48. The mobile communication switch 46 is connected to the public telephone network 44 connected to the telephone station 12 and to the internet network 50 at the same time.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통신망의 이동통신 교환기(46)는 유선의 공중전화망(44)과 인터넷망(50)과 상위단에서만 연계되어 있는 것이다. As shown in FIG. 3, the mobile communication switch 46 of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s only connected to the wired public telephone network 44 and the Internet network 50 at a higher level.

이러한 인빌딩 이동통신망에서는 빌딩 내에서의 무선구간이 일반적인 지상망보다 전파의 환경이 열악하여 별도의 장비를 두어 빌딩내의 신호를 처리하게 구성되어 있는 바, 이러한 인빌딩 장비는 인빌딩용 기지국(34)과 메인 허브 유니트(36) 및 각 층에 설치된 안테나 단국장치(38)가 이에 해당된다. In such an in-building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 radio section in a building has a poorer radio wave environment than a general land network, so that a separate device is provided to process signals in the building. The in-building equipment is an in-building base station 34. And the main hub unit 36 and the antenna station apparatus 38 installed on each floor.

한편, 이러한 인빌딩 이동통신망의 경우에는 광케이블을 이용하거나 동축케이블 등을 이용하여 망을 구성하므로 서비스에 필요한 장비의 가격보다 설치 공사에 필요한 비용이 더 많이 소요된다.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such an in-building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using a fiber cable or a coaxial cable to configure the network requires more installation cost than the price of the equipment required for the service.

이러한 인빌딩 이동통신망은 같은 건물에 적용된다는 공통점에도 불구하고 초고속 디지털 통신망과는 상위 코어 통신망을 통해서만 연결되어 있고 하위 레벨에서는 독자적인 방식을 이용하여 망을 구성하고 있다. Despite the commonality that the in-building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s applied to the same building, it is connected to the high-speed digital communication network only through the upper core communication network, and at the lower level, the network is constructed using a unique method.

즉, 이러한 이동통신 서비스와 초고속 디지털 통신망 서비스는 하나의 건물 내에서 동일한 목적을 가지지만 서비스의 형태는 완전히 다른 두 가지 통신방식으로서 중복되어 사용되고 있는 바, 인빌딩(In-Builing)의 이동통신 인프라와 초고속 인터넷용 인프라는 상위의 코어 통신망(core network)에서만 일부 통신망을 공유하고 있을 뿐 완전히 별개의 방향으로 사업이 진화하는 경향이 있으며, 또한 유무선 사업자의 주체가 서로 틀려 서로가 경쟁하는 관계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게 됨에 따라 경쟁적으로 서로의 영역을 확대하기 위해 막대한 투자를 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에 따라 불필요한 중복투자가 지속되고 지나친 투자과열로 인하여 초기 수익구조가 생성되지 않아 초기 사업진행 시 많은 실패를 겪는 등 난점이 존재한다. In other words, thes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s and high-speed digital communication network services have the same purpose in one building, but the two types of services are overlapping and used in an in-building mobile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And infrastructure for high-speed Internet only share some networks in the upper core network, and the business tends to evolve in completely separate directions. As a result, the government is investing enormously to expand each other's territory competitively. As a result, unnecessary overlapping investment continues and excessive investment overheating prevents the initial profit structure from being generated.

따라서, 유/무선 통신망의 구축을 각각 개별적으로 진행해야 하는데 따른 중복투자의 손실을 절감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각각의 통신 사업이 합의점을 찾아 공용화를 진행하기 위한 노력이 절실히 요구되는 실정이다. Therefore, each communication business is urgently required to find a consensus point and proceed with publicization so that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loss of overlapping investment due to the establishment of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individually.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초고속 디지털 통신망과 이동통신망을 빌딩 내의 하위단에서 상호 통합적으로 공용화시켜서 비용절감과 더불어 효율화된 통신망의 구축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인빌딩 공용 통신망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circumstances, and an object thereof is to provide a cost-effective and efficient communication network by using an integrated high-speed digital communication network and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t lower levels in a building. It is to provide an in-building public network service system and a method thereof.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초고속 디지털 통신망과 이동통신망을 빌딩 외부의 상위단에서 효율적으로 통합하여 공용화하기 위한 인빌딩 공용 통신망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building common communication network service system for efficiently integrating and sharing a high-speed digital communication network and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t an upper end of a building outsid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에 의하면, 유선 디지털 통신망 및 공중전화망과 연결된 디지털 통신장치 및 공중전화 단국장 치와, 무선 이동통신망과 연결된 인빌딩용 무선기지국을 갖춘 빌딩 내에서의 통신망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인빌딩용 무선기지국과 연결되고서, 무선 이동통신망의 이동통신 신호와 디지털 통신망 간을 디지털 정합시키기 위한 통신신호 정합수단과, 상기 디지털 통신장치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통신신호 정합수단과 연결되고서, 디지털 정합된 무선 이동통신망의 이동통신 신호와 디지털 통신망을 통합적으로 공용화하는 신호분배 수단 및, 상기 신호분배 수단과 연결되고서, 무선 이동통신 신호의 전송에 의한 무선통신 서비스의 수행이 가능하도록 빌딩의 각 층에 설치되어 있는 안테나 단국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빌딩 공용 통신망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digital communication device and a public telephone terminal device connected to a wired digital communication network and a public telephone network, and an in-building wireless base station connected to a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 communication network service system in a building, comprising: a communication signal matching means for digitally matching a mobile communication signal and a digital communication network of a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connected to the in-building wireless base station, and connected to the digital communication device; A signal distribution means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signal matching means, wherein the mobile communication signal of the digitally matched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digital communication network are commonly used, and the signal distribution means. Installed on each floor of the building to enable wireless communication services It provides an in-building service system, a public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zed in that the antenna is configured Dankook means.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법에 의하면, 디지털 통신장치 및 공중전화 단국장치가 유선 디지털 통신망 및 공중전화망과 연결되어 있고, 인빌딩용 무선기지국이 무선 이동통신망과 연결되어 있는 빌딩 내에서의 통신망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인빌딩용 무선기지국이 통신신호 정합수단을 통하여, 상기 디지털 통신장치 및 해당 빌딩내 각 층의 안테나 단국수단과 연결되어 있는 신호분배 수단과 연결되어, 상기 통신신호 정합수단에 의한 이동통신 신호의 디지털 정합에 의해, 신호분배 수단을 통하여 상기 인빌딩용 무선기지국과 각 층의 안테나 단국수단 간에 무선 이동통신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빌딩 공용 통신망 서비스 방법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digital communication device and a public telephone station device is connected to a wired digital communication network and a public telephone network, the in-building wireless base station is connected to a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 communication network service method in a building, wherein the in-building wireless base station is connected to a signal distribution means connected to the digital communication device and the antenna end means of each floor in the building through a communication signal matching means. And digitally matching the mobile communication signal by the communication signal matching means to enable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between the in-building wireless base station and the antenna end means of each floor through a signal distribution means. It provides an in-building public network service method.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에 의하면, 전화국과 데이터 라인/공중전화 라인을 통하여 연결된 디지털 통신장치 및 공 중전화 단국장치에 의해 인빌딩 유선 디지털 통신망 및 공중전화망을 형성하도록 이루어진 빌딩 내에서의 통신망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전화국에는, 무선 이동통신망과 연결된 무선기지국과, 상기 무선기지국의 이동통신 신호를 디지털 통신망과 디지털 정합시키는 통신신호 정합수단을 전화 교환기와 연결하여 구성되고, 상기 빌딩 내의 디지털 통신장치는 상기 전화국의 전화 교환기와 데이터 라인/공중전화 라인을 통해 이동통신 신호를 전달받도록 연결되고서, 유선망 신호분배 장치(MDF)를 통하여 빌딩 각 층의 안테나 단국수단과 연결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빌딩 공용 통신망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in-building wired digital communication network and public telephone network by the digital communication device and the public telephone end station device connected through a telephone line and a data line / public telephone line In a communication network service system in a building, the telephone station includes: a wireless base station connected to a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a communication signal matching means for digitally matching a mobile communication signal of the wireless base station with a digital communication network. And a digital communication device in the building is connected to receive a mobile communication signal through a telephone exchange and a data line / public telephone line of the telephone station, and an antenna end means of each floor of the building through a wired network signal distribution device (MDF). Inbuilding common,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in connection with It provides trust services system.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즉, 도 4는 빌딩 내에서의 2세대/2.5세대(2G/2.5G) 유무선 통신망의 연결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That is, FIG.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nection configuration of a second generation / 2.5 generation (2G / 2.5G)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in a building.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빌딩 내에 구축되는 현재의 2세대와 CDMA2000 1x로 칭해지는 2.5세대의 유/무선 통신망은 전화국(62)과 데이터 라인을 통해 연결된 초고속 디지털 통신장치(80)가 공중전화 단국장치(82) 및 유선망 신호분배 장치(84)와 연결되어 인빌딩 초고속 디지털 통신망의 연결구조를 형성한다. As shown in Fig. 4, the current 2nd generation built in the building and the 2.5th generation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referred to as CDMA2000 1x have a high-speed digital communication device 80 connected to a telephone station 62 through a data line. It is connected to the station device 82 and the wired network signal distribution device 84 to form a connection structure of the in-building high speed digital communication network.

또한, 이동통신 교환기(66)와, 가입자정보 등록부(68), 지상망 기지국(72)을 갖춘 이동통신망과 연결된 인빌딩용 기지국(76)이 빌딩(60) 내에 설치되어 상기 인빌딩 초고속 디지털 통신망의 연결 구조와는 완전히 별도의 통신망 구조를 갖는다. In addition, an in-building base station 76 connected to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ncluding a mobile communication switch 66, a subscriber information registration unit 68, and a land network base station 72 is installed in the building 60 to provide the in-building high-speed digital communication network. Has a completely separate network structure.

또한, 도 5는 빌딩 내에서의 3세대(3G) 유무선 통신망의 연결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nection configuration of a third generation (3G) wired and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in a building.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빌딩 내에 구축되는 현재의 3세대 유/무선 통신망은 전화국(92)과 데이터 라인을 통해 연결된 초고속 디지털 통신장치(116)가 공중전화 단국장치(118) 및 유선망 신호분배 장치(120)와 연결되어 인빌딩 초고속 디지털 통신망의 연결구조를 형성한다. As shown in FIG. 5, the current third generation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constructed in a building includes a high-speed digital communication device 116 connected to a telephone station 92 and a data line through a public telephone end station device 118 and a wired network signal distribution. It is connected to the device 120 to form a connection structure of the in-building high-speed digital communication network.

또한, 이동통신 교환기(96)와, 무선 제어국(100), 무선접속 관리장치(102), 패킷망 관리장치(104), IP코어망(106)을 갖춘 3세대 이동통신 패킷망과 연결된 인빌딩용 무선기지국(112)이 빌딩(90) 내에 설치되어 상기 인빌딩용 초고속 디지털 통신망의 연결 구조와는 완전히 별도의 통신망 구조를 갖는다. In addition, for in-building connected with the third-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packet network including the mobile communication switch 96, the radio control station 100, the radio access management device 102, the packet network management device 104, and the IP core network 106. The wireless base station 112 is installed in the building 90 to have a completely separate network structure from 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in-building high speed digital communication network.

상기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개의 빌딩 내에서 유선망과 무선망 서비스를 하기 위하여 별도의 장비와 공사가 진행됨을 알 수 있는 바, 일반적으로 초고속 디지털 통신망과 같은 유선망은 빌딩의 설계 시부터 고려가 되지만, 무선의 이동통신망은 건물 완공 후 설치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추가의 공사비가 더 소요되게 되어 비용적으로도 낭비일 뿐만 아니라, 건물의 내외장을 다시 공사함으로 인해 공사 중 건물의 가치를 저하시키는 요소가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 As shown in FIG. 4 and FIG. 5, it can be seen that separate equipment and construction are performed to provide a wired network and a wireless network service in a building. In general, a wired network such as a high-speed digital communication network is a design of a building. Although it is considered from the city, the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s usually installed after the completion of the building, so additional construction costs are required, which is not only a waste of cost, but also due to the reconstruction of the interior and exterior of the building. There is a good chance that a factor that degrades value will occur.

하지만, 무선망의 경우에는 지상의 무선망과의 관계를 고려하여 설치되어야 하므로 건물 설계 초기단계에서부터 고려되기는 불가능하므로, 추가적으로 무선망 서비스가 빌딩 내에서 필요하게 되더라도 최소한의 변경만으로 빌딩 내에 무선망 서비스를 추가하는 형식을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owever, in case of wireless network, it should not be considered from the early stage of building design because it should be installed in consideration of the relationship with the ground wireless network. It is desirable to take the form of adding.

즉,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법이 적용되는 초고속 디지털 통신망과 이동통신망의 공용 통신망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That is, 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mmon communication network structure of a high speed digital communication network and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o which the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초고속 디지털 통신망과 이동통신망의 공용 통신망 구조는 전화국(92)과 데이터 라인/공중전화 라인을 통해 연결된 초고속 디지털 통신장치(116)가 공중전화 단국장치(118) 및 유선망 신호분배 장치(120)와 연결되어 있고, 이동통신 교환기(96)와, 무선 제어국(100), 무선접속 관리장치(102), 패킷망 관리장치(104), IP코어망(106)을 갖춘 3세대 이동통신 패킷망과 연결된 인빌딩용 무선기지국(112)이 정합장치로서 메인 허브 유니트(122)를 매개하여 상기 유선망 신호분배 장치(124)와 연결되어 있다. As shown in FIG. 6, a common communication network structure of a high speed digital communication network and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high speed digital communication device 116 connected to a telephone station 92 through a data line / public telephone line. It is connected to the telephone terminal device 118 and the wired network signal distribution device 120, and has a mobile communication switch 96, a wireless control station 100, a wireless connection management device 102, a packet network management device 104, IP An in-building wireless base station 112 connected to a third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packet network having a core network 106 is connected to the wired network signal distribution device 124 via a main hub unit 122 as a matching device.

동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유선망 신호분배 장치(124)를 중심으로 하여 상기 빌딩(90) 내의 초고속 디지털 통신장치(116)와 공중전화 단국장치(118)에 의해 형성된 인빌딩 초고속 디지털 통신망 및 공중전화망과, 상기 인빌딩용 무선기지국(112) 및 메인 허브 유니트(122)에 의해 형성된 인빌딩 이동통신망이 공용으로 연결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다. As shown in the figure, an in-building high-speed digital communication network and a public network formed by the high-speed digital communication device 116 and the public telephone station device 118 in the building 90 centered on the wired network signal distribution device 124. The telephone network and the in-building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formed by the in-building wireless base station 112 and the main hub unit 122 are configured to be connected in common.

상기 유선망 신호분배 장치(124)는 해당 빌딩(90) 내의 각 층에 설치된 다수개의 안테나 단국장치(114)와 VDSL 통신을 이용한 유선 전화라인/데이터라인을 통해 연결되는 바, 상기 인빌딩용 무선기지국(112) 및 메인 허브 유니트(122)를 통한 이동통신 신호가 유선망 신호분배 장치(124)와 각 층의 안테나 단국장치(114)의 사이에 형성된 초고속 디지털 통신망의 카퍼 코어(Copper Core)를 통하여 각 층으로 전송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유선망 신호분배 장치(124)는 다수개의 안테나 단국장치(114)와 유선 전화라인/데이터라인을 통해 연결되도록 하고 있지만, 이더넷(Ethernet) 통신을 이용한 UTP 케이블이나 TV 케이블, RF 케이블 등과 같은 각종 유선 케이블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예컨대 RF신호나 마이크로 파 등을 사용하는 무선망을 통해 연결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하다. The wired network signal distribution device 124 is connected to a plurality of antenna end devices 114 installed on each floor in the building 90 through a wired telephone line / data line using VDSL communication, the wireless base station for in-building The mobile communication signals through the 112 and the main hub unit 122 are each transmitted through a copper core of a high speed digital communication network formed between the wired network signal distribution unit 124 and the antenna station 114 of each layer. It is intended to be transmitted to the floor. Here, the wired network signal distribution device 124 is connected to a plurality of antenna stations 114 and a wired telephone line / data line, but such as UTP cable, TV cable, RF cable, etc. using Ethernet (Ethernet) communication It is possible to apply various wired cables, for example, it is also possible to connect via a wireless network using an RF signal or microwave.

동 도면에서, 본 발명에 따른 공용 통신망의 연결 구조는 초고속 디지털 통신망의 단자함인 유선망 신호분배 장치(124)를 통하여 이동통신망의 인빌딩용 무선기지국(112)으로부터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초고속 디지털 통신망 및 공중전화망의 유선망이 빌딩(90)의 공사시에 이미 설치되어 있으므로 일반적인 인빌딩 이동통신망처럼 대규모의 공사가 불필요하게 된다. 즉 이미 설치되어 있는 유선망을 이용하여 서비스하고자 하는 층으로 이통통신망의 데이터를 전송하고, 각 층의 최종단에서만 RF신호의 무선망 서비스가 가능한 장비를 설치하면 되는 구조이다. In the figure, 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common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transmitting data from the in-building wireless base station 112 of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hrough a wired network signal distribution device 124 which is a terminal box of a high-speed digital communication network Since the wired network of the high-speed digital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public telephone network is already installed at the time of construction of the building 90, large-scale construction is unnecessary as a general in-building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n other words, it is a structure to transmit the data of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o the floor to be serviced using the wired network already installed, and to install the equipment capable of serving the RF signal wireless network only at the end of each floor.

한편, 상기 메인 허브 유니트(122)는 공용통신망의 형성을 위해 초고속 디지털 통신망과 인빌딩 무선 이동통신망간에 디지털 정합이 이루어지도록 하게 되는 바, 이는 인빌딩용 무선기지국(112)으로부터의 아날로그 RF신호를 디지털 변환하여 상기 유선망 신호분배 장치(124)에 전송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the main hub unit 122 is to achieve a digital matching between the high-speed digital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in-building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o form a public communication network, which is an analog RF signal from the in-building wireless base station 112 Digital conversion is transmitted to the wired network signal distribution device 124.

다음에,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라 유선망 신호분배 장치와 인빌딩용 기지국 장비와의 연결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Next, FIG.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nection configuration between a wired network signal distribution device and an in-building base station equipmen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 허브 유니트(122)는 상기 인빌딩용 무선기지국(112)으로부터의 아날로그 형태의 RF신호를 디지털 변환하여 유선망 신호 분배 장치(124)에 전송하게 되고, 상기 유선망 신호분배 장치(124)는 디지털 형태의 신호를 유선 전화라인을 통해 해당 빌딩(90)의 각 층에 설치된 다수의 안테나 단국장치(114-1∼114-n)에 전송하게 된다. As shown in FIG. 7, the main hub unit 122 digitally converts an analog RF signal from the in-building wireless base station 112 and transmits the digital signal to the wired network signal distribution device 124. The signal distribution device 124 transmits a digital signal to a plurality of antenna station devices 114-1 to 114-n installed on each floor of the building 90 through a wired telephone line.

상기 각 안테나 단국장치(114-1∼14-n)는 디지털 형태의 신호를 아날로그 형태의 RF신호로 변환하여 각기 해당되는 층에서 안테나(126-1∼126-n, 128-1∼128-n)와 연결되고서, 인빌딩 공용 통신망 서비스를 수행하게 된다. Each of the antenna station devices 114-1 to 14-n converts a digital signal into an analog RF signal and antennas 126-1 to 126-n and 128-1 to 128-n at respective layers. ), And performs the in-building public network service.

즉, 상기 빌딩(90)의 각 층에 위치한 컴퓨터단말에서는 무선통신용 어댑터를 장착함에 의해, 상기 안테나 단국장치(114-1∼114-n) 와의 사이에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고, 이동통신 단말기도 인빌딩 공용 통신망의 서비스를 이용하여 음성통화나 무선 데이터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That is, the computer terminal located on each floor of the building 90 can carry out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antenna station apparatuses 114-1 to 114-n by mounting an adapter for wireless communication. A voice call or wireless data communication may be performed using a service of an in-building public telecommunication network.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인빌딩 무선망 서비스가 진행되면, 일반 유선 전화기와 같은 유선 단말장치도 별도의 부가수단을 구비하지 않고서도 무선 통신 서비스가 가능하게 되는 바, 예컨대 상기 유선망 신호분배 장치(124)를 안테나 단국장치에 연결하지 않고, 유선 전화기와 같은 유선 단말장치와 직접 연결하게 되면 무선 통신 서비스를 진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In addition, when the in-building wireless network service proceeds as described above, a wired terminal device such as a general landline telephone also enables a wireless communication service without additional means, for example, the wired network signal distribution device. If 124 is not directly connected to the antenna terminal device, and directly connected to a wired terminal device such as a wired telephone, the wireless communication service can be performed.

한편, 상기 메인 허브 유니트(122)와 안테나 단국장치(114)와의 통신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구성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다. On the other hand, the configuration for processing the communication signal between the main hub unit 122 and the antenna station 114 is as shown in FIG.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 허브 유니트(122)는 주파수 하향 변환기(130)와,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132), 전송 커넥터(134), 수신 커넥터(136),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138) 및, 주파수 상향 변환기(140)로 구성된다. As shown in FIG. 8, the main hub unit 122 includes a frequency down converter 130, an analog / digital converter 132, a transmission connector 134, a receiving connector 136, and a digital / analog converter 138. ) And a frequency upconverter 140.

상기 메인 허브 유니트(122)의 주파수 하향 변환기(130)는 상기 인빌딩용 무선기지국(112)으로부터의 고주파 형태의 RF신호를 중간주파수(Intermediate Frequency; IF) 신호로 하향 변환하게 되고,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132)는 상기 아날로그 형태의 중간주파수 신호를 디지털 변환하여 상기 전송 커넥터(134)를 통해 유선망 신호분배 장치(124)의 커넥터(142A)에 전송한다. The frequency down converter 130 of the main hub unit 122 converts the RF signal of the high frequency form from the in-building radio base station 112 into an intermediate frequency (IF) signal, and converts the analog / The digital converter 132 digitally converts the analog frequency signal of the analog type and transmits the digital signal to the connector 142A of the wired network signal distribution device 124 through the transmission connector 134.

상기 유선망 신호분배 장치(124)는 그 커넥터(142A)와 연결된 메인 허브 유니트(122)의 전송 커넥터(134)로부터 디지털 중간주파수 신호를 인가받아 커넥터(142B)를 통해 상기 안테나 단국장치(114)에 전송한다.The wired network signal distribution device 124 receives a digital intermediate frequency signal from the transmission connector 134 of the main hub unit 122 connected to the connector 142A and transmits the digital intermediate frequency signal to the antenna terminal device 114 through the connector 142B. send.

상기 메인 허브 유니트(122)의 수신 커넥터(136)는 상기 유선망 신호분배 장치(124)의 커넥터(142C)와 연결되고서, 그 유선망 신호분배 장치(124)를 통한 안테나 단국장치(114)로부터의 디지털 중간주파수 신호를 수신받게 되고, 상기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138)는 상기 수신 커넥터(136)로부터의 디지털 중간주파수 신호를 아날로그 변환하게 된다. The receiving connector 136 of the main hub unit 122 is connected to the connector 142C of the wired network signal distribution device 124, and from the antenna end station 114 through the wired network signal distribution device 124. A digital intermediate frequency signal is received, and the digital-to-analog converter 138 analog converts the digital intermediate frequency signal from the receiving connector 136.

상기 주파수 상향 변환기(140)는 상기 아날로그 변환된 중간주파수 신호를 고주파의 RF신호로 주파수 상향 변환하여 상기 인빌딩용 무선기지국(112)에 전송한다. The frequency up-converter 140 frequency-converts the analog-converted intermediate frequency signal into a high frequency RF signal and transmits the frequency up-converter to the in-building radio base station 112.

한편, 상기 안테나 단국장치(114)는 수신 커넥터(144)와,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146), 주파수 상향 변환기(148), 주파수 하향 변환기(150),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152) 및, 전송 커넥터(154)로 구성된다. On the other hand, the antenna station 114 is a receiving connector 144, digital / analog converter 146, frequency up converter 148, frequency down converter 150, analog / digital converter 152, and transmission connector 154.

상기 안테나 단국장치(114)는 그 수신 커넥터(144)가 상기 유선망 신호분배 장치(124)의 커넥터(142B)와 연결되고서, 그 유선망 신호분배 장치(124)를 통해 메인 허브 유니트(122)로부터 수신받은 디지털 신호를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146)를 통해 아날로그 변환하여 주파수 상향 변환기(148)를 통해 고주파의 RF신호로 주파수를 상향 변환한 다음 안테나(126)를 통해 해당 층으로 무선 전송되도록 한다. The antenna end station 114 has a receiving connector 144 connected to the connector 142B of the wired network signal distribution device 124, and from the main hub unit 122 through the wired network signal distribution device 124. The received digital signal is analog-converted through the digital-to-analog converter 146 to up-convert the frequency into a high-frequency RF signal through the frequency up-converter 148, and then wirelessly transmitted to the corresponding layer through the antenna 126.

또한, 상기 안테나 단국장치(114)는 안테나(128)를 통해 수신받은 해당 층에서의 무선 단말장치로부터의 RF신호를 주파수 하향 변환기(150)에 의해 중간주파수 신호로 주파수를 하향 변환하고,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152)를 통해 중간주파수 신호를 디지털 변환 한 다음에, 전송 커넥터(154)에 의해 상기 유선망 신호분배 장치(124)의 커넥터(142D)로 전송한다. In addition, the antenna station device 114 down-converts the frequency of the RF signal from the wireless terminal device in the corresponding layer received through the antenna 128 to the intermediate frequency signal by the frequency down converter 150, and analog / The intermediate frequency signal is digitally converted through the digital converter 152 and then transmitted to the connector 142D of the wired network signal distribution device 124 by the transmission connector 154.

그에 따라, 상기 유선망 신호분배 장치(124)는 그 커넥터(142)D)가 연결된 안테나 단국장치(114)의 전송 커넥터(154)로부터의 디지털 신호를 그 커넥터(142C)가 연결된 메인 허브 유니트(122)의 수신 커넥터(136)를 통해 전송하게 된다. Accordingly, the wired network signal distribution device 124 transmits a digital signal from the transmission connector 154 of the antenna station device 114 to which the connector 142D is connected, and the main hub unit 122 to which the connector 142C is connected. Is transmitted through the Receive connector 136.

다음에,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Next,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즉,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용 통신망에 대한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That is, FIG.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public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선 통신망의 종합 관리소로서 기능하는 전화국(162) 내에는 전화 교환기(164)와, 메인 허브 유니트(168) 및, 무선기지국(170)이 배치되는 바, 상기 전화 교환기(164)는 외부의 공중전화망(166)과 연결됨과 동시에 메인 허브 유니트(168)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메인 허브 유니 트(168)는 무선기지국(170)과 연결되어 있다. As shown in Fig. 9, a telephone exchange 164, a main hub unit 168, and a wireless base station 170 are disposed in a telephone station 162 serving as a comprehensive management station of a wired communication network. 164 is connected to the external public telephone network 166 and at the same time connected to the main hub unit 168, the main hub unit 168 is connected to the wireless base station 170.

동 도면에서, 상기 무선기지국(170)은 무선 제어국(172), 이동통신 교환기(174), 무선접속 관리장치(178), 패킷망 관리장치(180), IP코어망(182), 홈에이전트(184)를 갖춘 3세대 이동통신 패킷망과 연계되어 이동통신 데이터 서비스의 수행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In the figure, the wireless base station 170 is a wireless control station 172, mobile communication switch 174, wireless access management device 178, packet network management device 180, IP core network 182, home agent ( 184 is connected to the third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packet network having a mobile communication data service is made possible.

즉, 본 발명에 따른 전화국(162)에서는 유선망의 종합적인 관리와 더불어, 무선 이동통신망에 의한 통신을 담당하는 기지국 시설이 공용으로 설치되어 있도록 하고, 그 기지국 시설에 따른 무선기지국(170)과 메인 허브 유니트(168)는 빌딩(160)에 대한 무선망 서비스를 집중화하여 이용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That is, in the telephone station 162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the comprehensive management of the wired network, the base station facility in charge of the communication by the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s installed in common, and the radio base station 170 and the main station according to the base station facility The hub unit 168 may be configured to centralize and use a wireless network service for the building 160.

상기 전화 교환기(164)는 이동통신 신호의 송수신이 공용으로 가능한 데이터 라인/공중전화 라인을 통하여 빌딩(160) 내의 초고속 디지털 통신장치(188)와 연결되고, 상기 초고속 디지털 통신장치(188)는 해당 빌딩(160) 내에서 공중전화 단국장치(190)와 50핀의 디지털 통신라인을 통해 연결됨과 더불어, 유선망 신호분배 장치(192)와 50핀의 유선 전화라인을 통해 연결된다. The telephone exchange 164 is connected to the high-speed digital communication device 188 in the building 160 via a data line / public telephone line, which is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mobile communication signals in common, and the high-speed digital communication device 188 corresponds to the corresponding high-speed digital communication device 188. In addition, the building 160 is connected to the public telephone station apparatus 190 through a 50-pin digital communication line, and is connected through a wired network signal distribution device 192 and a 50-pin wired telephone line.

상기 빌딩(160) 내에서의 유선망 신호분배 장치(192)는 해당 빌딩(160)의 각 층에 설치된 안테나 단국장치(194)와 유선 전화라인을 통하여 초고속 디지털 통신망을 형성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공중전화 단국장치(190)는 각 층의 유선 전화 단말기와 유선 전화망을 형성하도록 연결된다. The wired network signal distribution device 192 in the building 160 is connected to form a high-speed digital communication network through a wired telephone line with an antenna terminal device 194 installed in each floor of the building 160, the public telephone The station apparatus 190 is connected to form a wired telephone network with a wired telephone terminal of each floor.

한편, 본 발명은 전술한 전형적인 바람직한 실시예들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임은 당해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에 의한 실시가 이하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범주에 속하는 것이라면 그 기술사상 역시 본 발명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typical preferred embodiments, but can be carried out in various way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modifications, alterations, substitutions or additions are common in the art Those who have knowledge will easily understand. If the implementation by such improvement, change, replacement or addition falls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the technical idea should also be regarded as belong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빌딩 내의 초고속 디지털 통신망과 이동통신망을 통합적으로 공용화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인빌딩용 통신망의 시설공사가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됨과 더불어 그 시설공사에 소요되는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게 되고, 차후의 통신망 관리에 소요되는 인원 및 비용도 크게 절감되는 것이 가능하다는 효과를 갖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allowing the high-speed digital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n a building to be used in common, the construction of the in-building communication network can be made easily, and the cost required for the facility construction is greatly reduced. It is possible to do this, it is possible to significantly reduce the number of people and costs for future network management.

또한, 본 발명에서는 인빌딩 무선망 서비스를 위해 각 층마다 설치된 안테나 단국장치와의 연결구조가 빌딩 내에 이미 설치되어 있는 유선 전화라인을 그대로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면서, 인빌딩 무선망 서비스의 진행을 위한 종래의 광케이블 또는 동축 케이블의 배설보다 저렴한 비용으로 통신망 설비공사를 진행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게 된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use the wired telephone line already installed in the building as the connection structure with the antenna end device installed in each floor for the in-building wireless network service, for the progress of the in-building wireless network service There is an effect that the construction of the communication network can be carried out at a lower cost than the conventional optical cable or coaxial cable excretion.

또, 본 발명에서는 전화국과 같은 유선망 종합 관리소 내에 유선 통신망은 물론, 무선 통신망을 담당하는 기지국 시설을 공용으로 설치하여 다수개의 빌딩에 대한 무선망 서비스를 집중화시켜서 이용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각 빌딩에 무선망 통신 서비스를 위해 별도의 기지국 시설을 설치할 필요성이 없게 되면서 통신망 설비에 필요한 부가적인 비용이 절감될 수 있게 됨과 더불어, 다수개의 인빌딩용 기지국 장비를 중앙에서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면서 기지국 집중화가 가능하게 되어 유지보수가 간편해 짐과 동시에 보수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게 된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installing a base station facility in charge of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s well as a wired communication network in a wired network general management office such as a telephone station, the wireless network services for a plurality of buildings can be centralized and used. As there is no need to install a separate base station facility for network communication services, additional costs required for communication network facilities can be reduced, and centralized base stations can be managed centrally and collectively by managing multiple in-building base station equipment. It is possible to simplify the maintenance and reduce the cost of maintenance.

Claims (10)

유선 디지털 통신망 및 공중전화망과 연결된 디지털 통신장치 및 공중전화 단국장치와, 무선 이동통신망과 연결된 인빌딩용 무선기지국을 갖춘 빌딩 내에서의 통신망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A communication network service system in a building having a digital communication device and a public telephone station device connected to a wired digital communication network and a public telephone network, and an in-building wireless base station connected to a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상기 인빌딩용 무선기지국과 연결되고서, 무선 이동통신망의 이동통신 신호와 디지털 통신망 간을 디지털 정합시키기 위한 통신신호 정합수단과, A communication signal matching means connected to the inbuilding wireless base station, for digital matching between a mobile communication signal and a digital communication network of a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상기 디지털 통신장치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통신신호 정합수단과 연결되고서, 디지털 정합된 무선 이동통신망의 이동통신 신호와 디지털 통신망을 통합적으로 공용화하는 신호분배 수단 및, A signal distribution means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signal matching means in a state of being connected with the digital communication device, for integrating a mobile communication signal and a digital communication network of a digital matched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상기 신호분배 수단과 연결되고서, 무선 이동통신 신호의 전송에 의한 무선통신 서비스의 수행이 가능하도록 빌딩의 각 층에 설치되어 있는 안테나 단국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빌딩 공용 통신망 서비스 시스템.And an antenna single station means connected to the signal distribution means and installed on each floor of the building to perform a wireless communication service by transmitting a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signal.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통신신호 정합수단은 무선 이동통신 신호를 디지털 정합시키는 메인 허브 유니트(Main Hub Unit; MHU)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빌딩 공용 통신망 서비스 시스템.And said communication signal matching means is a main hub unit (MHU) for digitally matching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signals. 제 2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통신신호 정합수단은 고주파수의 이동통신 신호를 중간주파수 신호로 주파수 하향 변환하는 주파수 하향 변환기와, The communication signal matching means includes a frequency down converter for down converting a high frequency mobile communication signal into an intermediate frequency signal; 상기 아날로그 형태의 중간주파수 신호를 디지털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 Analog-to-digital converter for digitally converting the intermediate frequency signal of the analog form, 상기 신호분배 수단을 통해 안테나 단국수단으로부터 전송되는 디지털 중간주파수 신호를 아날로그 변환하는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 A digital-to-analog converter for analog-converting the digital intermediate frequency signal transmitted from the antenna end means through the signal distribution means, 상기 아날로그 변환된 중간주파수 신호를 고주파의 이동통신 신호로 주파수 상향 변환하는 주파수 상향 변환기 및, A frequency up-converter for up-converting the analog-converted intermediate frequency signal into a high frequency mobile communication signal; 상기 신호분배 수단과 직접 연결되어 중간주파수 신호의 송/수신을 담당하는 송/수신 커넥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빌딩 공용 통신망 서비스 시스템.And a transmission / reception connector directly connected to the signal distribution means and configured to perform transmission / reception of an intermediate frequency signal.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3, 상기 안테나 단국수단은 상기 신호분배 수단과 각각 연결되어 중간주파수 신호의 송/수신을 담당하는 송/수신 커넥터와, The antenna terminal means is connected to each of the signal distribution mean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connector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intermediate frequency signals; 상기 신호분배 수단을 통해 수신 커넥터로 수신되는 통신신호 정합수단으로부터의 디지털 형태의 중간주파수 신호를 아날로그 변환하는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 A digital-to-analog converter for analog-converting a digital frequency signal from a communication signal matching means received through a signal distribution means to a receiving connector; 상기 아날로그 변환된 중간주파수 신호를 고주파 이동통신 신호로 주파수 상향 변환하는 주파수 상향 변환기, A frequency up converter for up-converting the analog-converted intermediate frequency signal into a high frequency mobile communication signal;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빌딩내의 해당 층으로부터의 고주파 이동통신신호를 중간주파수 신호로 주파수 하향 변환하는 주파수 하향 변환기 및, A frequency down converter for down-converting a high frequency mobile communication signal from a corresponding floor in a building received through an antenna into an intermediate frequency signal; 상기 아날로그 형태의 중간주파수 신호를 디지털 변환하여 상기 송신 커넥터를 통해 통신신호 정합수단으로 출력되도록 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빌딩 공용 통신망 서비스 시스템.And an analog-to-digital converter configured to digitally convert the analog-type intermediate frequency signal and output the digital signal to the communication signal matching means through the transmission connector.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신호분배 수단은 디지털 통신망의 단자함으로 적용되는 유선망 신호분배 장치(MDF)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빌딩 공용 통신망 서비스 시스템.And said signal distribution means is a wired network signal distribution device (MDF) applied to a terminal box of a digital communication network.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신호분배 수단과 안테나 단국수단은 VDSL 통신을 이용한 유선 전화 라인이나 이더넷 통신을 이용한 UTP 케이블, TV 케이블, RF 케이블과 같은 유선 케이블이나, RF신호나 마이크로 파를 사용하는 무선망 중에 어느 하나를 사용하여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빌딩 공용 통신망 서비스 시스템.The signal distribution means and the antenna end means may use any one of a wired telephone line using VDSL communication, a wired cable such as a UTP cable, a TV cable and an RF cable using an Ethernet communication, or a wireless network using an RF signal or a microwave. In-building public network service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connected to. 디지털 통신장치 및 공중전화 단국장치가 유선 디지털 통신망 및 공중전화망과 연결되어 있고, 인빌딩용 무선기지국이 무선 이동통신망과 연결되어 있는 빌딩 내에서의 통신망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A communication network service method in a building in which a digital communication device and a public telephone station device are connected to a wired digital communication network and a public telephone network, and an in-building wireless base station is connected to a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상기 인빌딩용 무선기지국이 통신신호 정합수단을 통하여, 상기 디지털 통신장치 및 해당 빌딩내 각 층의 안테나 단국수단과 연결되어 있는 신호분배 수단과 연결되고, The in-building wireless base station is connected to a signal distribution means connected to the digital communication device and the antenna end means of each floor in the building through a communication signal matching means; 상기 통신신호 정합수단에 의한 이동통신 신호의 디지털 정합에 의해, 신호분배 수단을 통하여 상기 인빌딩용 무선기지국과 각 층의 안테나 단국수단 간에 무선 이동통신 서비스가 수행되도록 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빌딩 공용 통신망 서비스 방법.And digitally matching the mobile communication signal by the communication signal matching means to perform a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between the in-building wireless base station and the antenna end means of each floor through signal distribution means. In-building public network service method. 제 7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과정에서, 상기 통신신호 정합수단은 인빌딩용 무선기지국으로부터의 고주파 이동통신 신호를 중간주파수 신호로 주파수 하향 변환하고, 아날로그 형태의 중간주파수 신호를 디지털 변환하여 상기 신호분배 수단을 통해 안테나 단국수단으로 전송하는 제 1과정과, In this process, the communication signal matching means down-converts the high-frequency mobile communication signal from the in-building radio base station into an intermediate frequency signal, digitally converts an analog-type intermediate frequency signal, and performs antenna end-station means through the signal distribution means. The first process of transmitting to, 상기 신호분배 수단을 통해 안테나 단국수단으로부터의 디지털 중간주파수 신호를 수신받아 아날로그 변환하고, 고주파 이동통신 신호로 주파수 상향 변환하여 상기 인빌딩용 무선기지국으로 전송하는 제 2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빌딩 공용 통신망 서비스 방법.And receiving a digital intermediate frequency signal from the antenna end means through the signal distribution means, performing analog conversion, converting the frequency up into a high frequency mobile communication signal, and transmitting the frequency to the in-building wireless base station. In-building public network service method.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7 or 8, 상기 과정에서, 상기 안테나 단국수단은 상기 제 1과정에 의해 상기 신호분배 수단을 통해 통신신호 정합수단으로부터 수신받은 디지털 중간주파수 신호를 아날로그 변환하고, 고주파 이동통신 신호로 주파수 상향 변환하여 안테나를 통해 빌딩의 해당 층으로 방사하는 제 3과정과, In the above process, the antenna end means converts the digital intermediate frequency signal received from the communication signal matching means through the signal distribution means through the signal distribution means by analog, and converts the frequency up-converted into a high frequency mobile communication signal to build the building through the antenna. The third process of radiating to the corresponding layer of, 빌딩의 해당 층으로부터 수신받은 고주파 이동통신 신호를 중간주파수 신호로 주파수 하향 변환하고, 아날로그 형태의 중간주파수 신호를 디지털 변환하여 상기 신호분배 수단을 통해 통신신호 정합수단으로 전송하는 제 4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빌딩 공용 통신망 서비스 방법.A fourth step of converting the high frequency mobile communication signal received from the corresponding floor of the building into an intermediate frequency signal, converting the intermediate frequency signal in analog form into a digital signal, and transmitting the digital signal to the communication signal matching means through the signal distribution means; In-building public network service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made. 전화국과 데이터 라인/공중전화 라인을 통하여 연결된 디지털 통신장치 및 공중전화 단국장치에 의해 인빌딩 유선 디지털 통신망 및 공중전화망을 형성하도록 이루어진 빌딩 내에서의 통신망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A communication network service system in a building configured to form an in-building wired digital communication network and a public telephone network by a digital communication device and a public telephone station device connected through a telephone line and a data line / public telephone line. 상기 전화국에는, 무선 이동통신망과 연결된 무선기지국과, 상기 무선기지국의 이동통신 신호를 디지털 통신망과 디지털 정합시키는 통신신호 정합수단을 전화 교환기와 연결하여 구성되고, The telephone station comprises a wireless base station connected to a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a communication signal matching means for digitally matching the mobile communication signal of the wireless base station with a digital communication network, 상기 빌딩 내의 디지털 통신장치는 상기 전화국의 전화 교환기와 데이터 라인/공중전화 라인을 통해 이동통신 신호를 전달받도록 연결되고서, 유선망 신호분배 장치(MDF)를 통하여 빌딩 각 층의 안테나 단국수단과 연결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빌딩 공용 통신망 서비스 시스템.The digital communication device in the building is connected to receive the mobile communication signal through the telephone exchange and data line / public telephone line of the telephone station, and is connected to the antenna end means of each floor of the building through a wired network signal distribution device (MDF). In-building public network service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KR1020030065060A 2003-03-10 2003-09-19 In-building common use communication network service system and method therefore KR100597785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30014919 2003-03-10
KR1020030014919 2003-03-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0896A KR20040080896A (en) 2004-09-20
KR100597785B1 true KR100597785B1 (en) 2006-07-06

Family

ID=373654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5060A KR100597785B1 (en) 2003-03-10 2003-09-19 In-building common use communication network service system and method therefo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97785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63950B2 (en) 2016-07-07 2020-09-01 Kt Corporation 5G in-building relay system and 5G in-building relay method for sharing RF cable in building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1524B1 (en) * 2003-04-28 2007-02-09 (주)에프알텍 In-Building Signal Repeater using TV Antenna Cable
KR100835321B1 (en) * 2006-12-11 2008-06-04 고남옥 System for offering mobile telecommunication service using internet network with utp cable
KR101464324B1 (en) * 2008-08-07 2014-11-25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in building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63950B2 (en) 2016-07-07 2020-09-01 Kt Corporation 5G in-building relay system and 5G in-building relay method for sharing RF cable in build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0896A (en) 2004-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03322B2 (en) Architecture for digital shared antenna system to support existing base station hardware
US6587479B1 (en) Architecture for signal distribution in wireless data network
US9179006B2 (en) Access point with controller for billing and generating income for access point owner
US20080186881A1 (en) System For Distributing Radio Signal
US20040198451A1 (en) Tower top antenna structure with fiber optic communications link
KR20080055987A (en) Two tier hi-speed wireless communication link
US9402196B2 (en) Integrated repeater for integratedly relaying various types of communication signals, and integrated relay system
CN205566359U (en) Empty communication system in very high frequency ground
KR20050012225A (en) Radio system having distributed real-time processing
CN101212388A (en) Communication system
JP2001526472A (en) Waveform and frame structure for fixed wireless subscriber line system with synchronous CDMA communication system
US7474637B2 (en) Signal supply apparatus and method for public and privat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102463989B1 (en) Data transmission reception wireless relay equipment for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0597785B1 (en) In-building common use communication network service system and method therefore
US8379569B2 (en) Architecture for signal distribution in wireless data network
JP5296009B2 (en) Base station apparatus and communication method
CN100461925C (en) Repeater operation maintenance method and system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JP2960650B2 (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JP2004064655A (en)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microcell apparatus
RU2372235C1 (en) System of temporary radio communication via digital combined linear channels (versions)
AU2020202728B2 (en) Transmission Network
CN219980963U (en) Base station
EP3228027B1 (e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pparatus and method of transmitting communications traffic in simple format
CN106487616A (en) Update standby interface method and Wireless Telecom Equipment that application icon is located
KR101037734B1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Relaying Mobile Service using Passive Optical Networ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3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