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7134B1 -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Service Syster And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Service Syster And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7134B1
KR100597134B1 KR1020040088666A KR20040088666A KR100597134B1 KR 100597134 B1 KR100597134 B1 KR 100597134B1 KR 1020040088666 A KR1020040088666 A KR 1020040088666A KR 20040088666 A KR20040088666 A KR 20040088666A KR 100597134 B1 KR100597134 B1 KR 1005971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broadcast
link
digital multimedia
mobil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866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60039548A (en
Inventor
이승호
송희원
윤정민
박용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텔레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텔레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텔레콤
Priority to KR10200400886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7134B1/en
Publication of KR200600395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954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71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713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40Support for services o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65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for broadcast
    • H04H20/71Wireless systems
    • H04H20/72Wireless systems of terrestrial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35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 H04H60/37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for identifying segments of broadcast information, e.g. scenes or extracting programme ID
    • H04H60/372Program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6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transport stream, by combining a video stream with other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inserting a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into a video stream, multiplexing software data into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Insertion of stuffing bits into the multiplex stream, e.g. to obtain a constant bit-rate; Assembling of a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04N21/41407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embedded in a portable device, e.g. video client on a mobile phone, PDA, lapt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86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broadcast information itself
    • H04H20/93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broadcast information itself which locates resources of other pieces of information, e.g.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0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1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broadcast system
    • H04H2201/11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broadcast system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Abstract

본 발명은 지상파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과 이동통신 시스템을 이용하여 양방향 방송 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한 방송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roadcast service system and method for implementing a two-way broadcast service using a terrestrial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and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시스템은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시스템에 있어서, 유레카-147 규격에 의해 정의된 패스트 인포메이션 채널에 포함된 패스트 인포메이션 그룹내의 규정되지 않은 영역을 정의하고, 상기 영역에 상기 방송 관련정보와 연결되는 링크 정보를 포함하는 링크 데이터와,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데이터, 상기 방송 데이터 관련 정보 및 상기 링크 데이터를 작성하는 방송 서비스 센터와, 상기 방송 서비스 센터로부터의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데이터, 상기 방송 데이터 관련 정보 및 상기 방송 데이터에 부가되는 상기 링크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디지털 멀티미디어 시스템과, 상기 링크 데이터에 의해 상기 방송 관련정보에 접속하기 위한 통신채널을 형성하는 이동통신 시스템과,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및 상기 링크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과 통신채널을 형성하며, 상기 통신채널을 통해 수신된 상기 방송 관련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구비한다.In th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system, an undefined region in the fast information group included in the fast information channel defined by the Eureka-147 standard is defined, and the broadcasting related information is defined in the region. A link service including link information to be connected, a broadcast service center for creating th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 data, the broadcast data related information, and the link data, th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 data from the broadcast service center, and the broadcast data related A digital multimedia system for providing a user with information and the link data added to the broadcast data,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for establishing a communication channel for accessing the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by the link data, and the digital An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receiving a multimedia broadcast and the link data, establishing a communication channel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providing the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channel to a user.

Description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Service Syster And Method Thereof}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Service Syster And Method Thereof}             

도 1은 하나의 멀티플렉스를 나타낸 도면.1 shows one multiplex.

도 2는 하나의 방송 채널에 할당되는 DMB 채널을 나타낸 도면.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MB channel allocated to one broadcast channel.

도 4는 DMB 멀티플렉스의 FIC를 상세히 나타낸 도면.4 shows the details of the FIC of the DMB multiplex.

도 5는 MSC를 상세히 나타낸 도면.5 shows the MSC in detail.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DMB 방송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MB broadcast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이동통신 단말기를 보다 자세하게 나타낸 도면.7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more detail.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DMB 서비스 방법을 나타낸 도면.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bidirectional DMB servic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9a 내지 9g는 본 발명의 서비스 제공 방법의 예를 나타낸 도면.9A to 9G illustrate examples of the service provid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s>

1 : DMB 1 채널 2 : 가드 밴드1: DMB 1 channel 2: Guard band

5 : 방송 서비스 센터 7 : DMB 시스템5: broadcasting service center 7: DMB system

9 : 이동통신 시스템 11 : 이동통신 단말기9: mobile communication system 11: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3 : DMB 모듈 15 : 이동통신 모듈13: DMB module 15: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7 : 제어부 19 : 메모리17: control unit 19: memory

21 : 출력장치21: output device

본 발명은 이동통신 및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지상파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과 이동통신 시스템을 이용하여 양방향 방송 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한 방송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mobile communication and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and more particularly, to a broadcast service system and method for implementing a two-way broadcasting service using a terrestrial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and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최근 이동통신 시스템의 관련 기술 개발에 따른 성능 향상과 차세대 방송 시스템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 이하 "DMB"라 함)의 등장으로 휴대 단말장치를 이용한 동영상등 멀티미디어의 접근이 용이해졌다. 이동통신은 고속화된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하여 방송, 음악, 화상을 전송하여 사용자가 이용하도록 하고 있으며, DMB는 곧 상용서비스가 시작됨으로서 고품격 동영상 및 음악등의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Recently, with the improvement of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related technology developmen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the appearance of the next generation broadcasting system,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hereinafter referred to as "DMB"), the access of multimedia such as video using a portable terminal device has become easier. Mobile communication transmits broadcasting, music, and images by using a high-speed data service to be used by a user, and DMB can use services such as high-quality video and music by commencing commercial service soon.

DMB는 동영상, 음악 등의 프로그램 제작에서부터 시청자까지의 경로를 디지털화하여 전송하므로, 아날로그 방식보다 복원력이 뛰어나 고품질의 화면과 음향 및 부가 데이터 서비스의 제공이 가능하다. 또한, 방송이 디지털화 됨에 따라 CD(Compact Disk) 수준의 음질과 다양한 데이터 및 영상의 전송이 가능하다. 특 히, DMB는 DMB 전용 단말장치로 사용할 수 있을뿐 아니라, DMB 모듈(Module)과 이동 통신 모듈을 단말장치 하나에 구현하여 겸용 단말장치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DMB는 양방향 멀티미디어의 구현을 더욱 용이하게할 수 있는 매체로 간주된다. DMB 시스템은 디지털 데이터화되어 전송되는 영상 및 음원에 각종 정보를 포함시켜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 인해 종래의 아날로그 방송에서 지녔던 정보공유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DMB digitizes and transmits the path from the production of programs such as video and music to viewers, so that it is more resilient than the analog method, and it is possible to provide high quality screen, sound, and additional data services. In addition, as broadcasting becomes digital, it is possible to transmit a CD (Compact Disk) level sound quality and various data and images. In particular, the DMB can be used not only as a DMB dedicated terminal device but also as a dual terminal device by implementing a DMB module and 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in one terminal device. Such a DMB is regarded as a medium that can facilitate the implementation of interactive multimedia. The DMB system provides a method for overcoming the limitations of information sharing in the conventional analog broadcasting by providing various information in the image and sound source transmitted through digital data.

또한, 이동통신 시스템은 IMT2000 과 같은 제 3 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의 등장으로 멀티미디어 구현이 더욱 용이해졌다. 제 3 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은 데이터 통신 분야의 괄목할만한 기술 향상으로, 이전에 비해 데이터 처리 속도와 처리할 수 있는 데이터의 양이 종래의 이동통신과는 비교할 수 없을만큼 증가하였다. 이러한 데이터 처리 능력의 향상은 이동통신 단말기를 사용하는 사용자에게 고품질 동영상, 음악 등의 멀티미디어 서비스와 무선 인터넷과 같은 데이터 통신을 제공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더불어 DMB 시스템과 마찬가지로 이동통신 시스템도 망과 단말기 간의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여, 동영상, 음악등을 사용자에게 제공시 부가적인 정보를 포함시켜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무선 인터넷의 경우, 사용자가 노트북,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 이하 'PDP'라 함)등의 단말장치를 이용하여, 장소와 시간에 구애 받지 않고 인터넷과 같은 공용 데이터 통신 시스템에 접속 가능한 기반을 마련해 주었다. 또한, 최근 서울시 관악구 일대에서 버스에 설치된 이동단말기를 통해 DMB 서비스의 개통을 위한 서비스 테스트를 진행하고 있다.In addi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has become easier to implement multimedia with the appearance of the third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such as IMT2000. The third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is a remarkable technology improvement in the field of data communication, and the data processing speed and the amount of data that can be processed have increased in comparison with the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his improvement in data processing capability has provided an opportunity to provide users with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multimedia services such as high-quality video and music and data communication such as wireless Internet. In addition, like a DMB system,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an communicate data between a network and a terminal, and can provide additional information when providing a video or music to a user. In the case of the wireless Internet, the user can use a terminal device such as a laptop or PDA (PDP) to access a public data communication system such as the Internet regardless of a place or time. I prepared. In addition, recently, the service test for the opening of the DMB service is being carried out through a mobile terminal installed on a bus in Gwanak-gu, Seoul.

하지만, 현재의 이동통신에서의 DMB 방송 서비스는 그 큰 특징 중의 하나인 양방향 방송 서비스를 구현하지 못하고 있다. 국내에서 DMB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할당하고 있는 채널은 기존 VHF 채널 중 사용하지 않고 있는 8번과 12번 채널이다. 이 채널의 대역폭은 각각 6MHz이며, 하나의 채널에 3개 채널의 DMB 채널이 수용되어, 총 6개의 채널이 수용될 예정이다. 이와 같이 하나의 방송 채널에 3개 채널이 수용될 수 있는 까닭은 하나의 DMB 채널이 갖는 대역폭이 대략 1.536MHz이기 때문이다. 이 DMB 채널에 방송 데이터가 전송되기 위한 데이터구조를 멀티플렉스(Multiplex) 또는 앙상블(Ensemble)라고 하는데, 방송 및 주파수 등의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영역과 실제 방송을 위한 데이터영역으로 구성이된다. 도 1은 하나의 멀티플렉스를 나타낸 도면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하나의 멀티플렉스는 정보영역과 데이터영역으로 구성된다.However, the DMB broadcasting service in the current mobile communication does not implement the bidirectional broadcasting service which is one of its great features. Channels allocated in Korea to provide DMB service are channels 8 and 12 which are not used among existing VHF channels. Each channel has a bandwidth of 6MHz, and one channel will accommodate three channels of DMB channels, for a total of six channels. As such, three channels can be accommodated in one broadcast channel because the bandwidth of one DMB channel is approximately 1.536 MHz. A data structure for transmitting broadcast data on this DMB channel is called a multiplex or ensemble, and is composed of an information area including information such as broadcast and frequency and a data area for actual broadcast. 1 is a diagram illustrating one multiplex, and as described above, one multiplex includes an information area and a data area.

도 2는 하나의 방송 채널에 할당되는 DMB 채널을 나타낸 도면이다.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MB channel allocated to one broadcast channel.

도 2를 참조하면, 8번과 12번을 제외한 채널은 기존의 VHF 채널로 사용중이다. 8번과 12번 채널은 각각 3개의 DMB 채널(1)이 수용된다. 이 각각의 DMB 채널은 그 대역폭이 1.536MHZ이며, 실제로 방송을 위해 사용되는 대역폭은 1.1MHz 정도이다. 왜냐하면, 방송을 위한 데이터 송수신의 안정을 위해, 에러 코렉션코드(Error Correction Code)나 정보가 포함되어 전송되기 때문이다. 각각의 DMB 채널(1)의 사이에는 주파수간의 혼선을 배제하기 위해 가드밴드(Guard Band)(2)가 설정되어 그림과 같이 각각의 DMB 채널(1)은 간격을 두고 설정된다.Referring to FIG. 2, channels except for 8 and 12 are used as existing VHF channels. Channels 8 and 12 accommodate three DMB channels 1, respectively. Each of these DMB channels has a bandwidth of 1.536 MHz, and the bandwidth actually used for broadcasting is about 1.1 MHz. This is because an error correction code or information is transmitted for stability of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for broadcasting. A guard band 2 is set between each DMB channel 1 to prevent crosstalk between frequencies, and each DMB channel 1 is set at intervals as shown in the figure.

이러한, DMB는 그 기본 규격으로 유럽의 디지털 오디오 방송(Digital Audio Broadcasting : 이하 "DAB"라 함) 규격인 Eureka-147 EN 300, 401 규격을 채택하고 있다. 유럽에서 사용하던 DAB에서 최근 H-264와 같은 압축 기술의 발달로 기존의 대역폭에 더 많은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게 되면서 DMB가 실용화 되는 계기가 되었다. 이 Eureka-147 규격의 데이터 포맷은 도 3과 같다. E-147은 상술한 바와 같이 하나의 멀티플렉스로 이루어지는데 이 멀티플렉스에 포함되는 데이터는 오디오, 비디오, 정지화상, 텍스트정보 등이다. 이들을 전송하기 위한 압축기술이 정의되어야 하며, 동영상을 압축하기 위한 H.264와 오디오 압축을 위한 MPEG4 규격의 Part 10인 BSAC(Bit Sliced Arithmatic Coding)이 사용된다. 여기서, MPEG4와 같은 압축 기술은 미들웨어(Middle Wear)라 하며, 데이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멀티플렉스는 피지컬 레이어(Phsycal Layer)로 다른 개념임을 밝혀둔다.The DMB adopts the Eureka-147 EN 300, 401 standard, which is the European Digital Audio Broadcasting (DAB) standard. In the DAB used in Europe, the recent development of compression technology such as H-264 has allowed DMB to become practical as more data can be transmitted over existing bandwidth. The data format of this Eureka-147 standard is shown in FIG. The E-147 is composed of one multiplex as described above. The data contained in the multiplex is audio, video, still picture, text information, and the like. Compression techniques for transmitting them must be defined, and Bit Sliced Arithmatic Coding (BSAC), which is part 10 of the MPEG4 specification for audio compression and H.264 for video compression, is used. Here, a compression technique such as MPEG4 is called middleware, and it is clear that a multiplex representing a data structure is a different concept as a physical layer.

상술한 DMB 방송은 아직까지 단방향, 즉 사용자에게 송신하는 부분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하지만, DMB는 모든 데이터가 디지털화 되어 송수신되기 때문에 양방향성을 구현하기가 용이하다. 이유는, 방송데이터와 함께 각종 정보데이터와 링크데이터(Link Data)의 전송이 가능하고, 수신하는 단말기에서의 처리가 용이하기 때문이다.The above-described DMB broadcasts still focus on one-way transmission, i. However, DMB is easy to implement bidirectional because all data is digitized and transmitted. This is because various information data and link data can be transmitted together with the broadcast data, and processing at the receiving terminal is easy.

하지만, 최근 DMB 방송을 위한 포럼등에서 이러한 양방향 특성을 활용하기 위한 방안으로 삼고 있는 것이 BIFS(Binary Information For Scene)이다. 이것은 미들웨어적인 접근방식으로 비디오, 오디오 외에 양방향 통신 또는 이에 부가되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미들웨어 구성을 추가하는 방법이다. 하지만 이 방법은 구현될 서비스와 방법 등만을 정의한 것으로, 방송 서비스의 화려함만을 추구하고 있다. 이 BIFS는 다수의 방송국, Net & TV, ALTI Cast 등이 참여하는 차세대 방송 포럼에서 나온 안으로, 구현을 위해 최소 2~3년이 필요하다. 또한, BIFS를 적용할 경우, 사용자 단말기의 고 사양화를 요구하며, 고 사양 단말기를 사용함에 있어서도, 서로 간의 통신을 위한 커뮤티케이션 엔진(Communication Engine)이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recently, BIFS (Binary Information For Scene) has been used as a way to utilize these two-way features in a forum for DMB broadcasting. This is a middleware approach that adds a middleware configuration to provide two-way communication or services in addition to video and audio. However, this method defines only the services and methods to be implemented, and only pursues the splendor of broadcast services. The BIFS is from a next-generation broadcast forum involving multiple stations, Net & TV, and ALTI Cast, and requires at least two to three years to implement. In addition, when applying the BIFS, a high specification of the user terminal is required, and even when using a high-end terminal, there is a problem that a communication engine for communication between each other (Communication Engine) is required.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지상파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과 이동통신 시스템을 이용하여 양방향 방송 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한 방송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roadcast service system and method for implementing a two-way broadcast service using a terrestrial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and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시스템은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시스템에 있어서, 유레카-147 규격에 의해 정의된 패스트 인포메이션 채널에 포함된 패스트 인포메이션 그룹내의 규정되지 않은 영역을 정의하고, 상기 영역에 상기 방송 관련정보와 연결되는 링크 정보를 포함하는 링크 데이터와;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데이터, 상기 방송 데이터 관련 정보 및 상기 링크 데이터를 작성하는 방송 서비스 센터와; 상기 방송 서비스 센터로부터의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데이터, 상기 방송 데이터 관련 정보 및 상기 방송 데이터에 부가되는 상기 링크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디지털 멀티미디 어 시스템과; 상기 링크 데이터에 의해 상기 방송 관련정보에 접속하기 위한 통신채널을 형성하는 이동통신 시스템과;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및 상기 링크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과 통신채널을 형성하며, 상기 통신채널을 통해 수신된 상기 방송 관련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구비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system, defines an undefined region in the fast information group included in the fast information channel defined by the Eureka-147 standard, and the region. Link data including link information connected to the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in a; A broadcast service center for creating th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 data, the broadcast data related information, and the link data; A digital multimedia system for providing a user with th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 data, the broadcast data related information, and the link data added to the broadcast data from the broadcast service center;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for forming a communication channel for accessing the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by the link data; An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receiving th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and the link data, establishing a communication channel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providing the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channel to a user.

상기 규정되지 않은 영역은 상기 패스트 인포메이션 그룹 타입 번호 2 내지 4번이다.The undefined area is the fast information group type number 2 to number 4.

상기 영역은 상기 패스트 인포메이션 그룹의 데이터 필드이며, 상기 필드에는 멀티플렉스 채널을 구분하는 앙상블 아이디(ID)와, 방송 프로그램을 구분하기 위한 서비스 아이디와, 상기 링크 데이터를 사용을 위해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선택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아이디와, 상기 링크 데이터의 출력시간을 제한하기 위한 액티브 듀레이션과, 상기 링크 정보가 기록되는 링크 패스와, 상기 링크 데이터의 내용을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한 팝업 메시지와, 상기 패스트 인포메이션 그룹과 다른 패스트 인포메시션 그룹을 함께 사용하기 위한 에프아이지(FIG) 연속여부와 추후의 확장성을 고려한 예비부를 포함한다.The area is a data field of the fast information group, and the field includes an ensemble ID for identifying a multiplex channel, a service ID for distinguishing a broadcast program, and an application program for using the link data. An application ID, an active duration for limiting the output time of the link data, a link path for recording the link information, a pop-up message for notifying a user of the link data, and a fast information group different from the fast information group. Includes a FIG continuity for use of the informationation group together and a spare for future scalability.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에스엠에스(SMS), 엠엠에스(MMS), 음성통화, 왑브라우저(WAT Browser), 전화번호부 어플리케이션 등이다.The application program is an SMS, an SMS, a voice call, a WAT browser, a phone book application, and the like.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데이터, 상기 링크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디엠비 모듈(DMB Module)과, 상기 링크 데이터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와, 상기 방송 데이터, 상기 방송 데이 터 관련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장치와, 상기 방송 데이터 관련 정보의 수신을 위해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과 통신채널을 형성하는 이동통신 모듈과, 상기 디엠비 모듈, 상기 이동통신 모듈 및 출력장치를 제어하고, 상기 링크 데이터로부터 상기 링크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이동통신 모듈로 하여금 통신채널을 형성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es a DMB module for receiving th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ata and the link data, a memory for storing the link data and the application program, the broadcasting data and the broadcasting data related information. An output device for outputting a signal, 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for establishing a communication channel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for receiving the broadcast data related information, and controlling the DMB module,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and an output device, And a control unit for extracting the link information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to form a communication channel.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 방법은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시스템에 있어서, 유레카-147 규격에 의해 정의된 패스트 인포메이션 채널에 포함된 패스트 인포메이션 그룹내의 규정되지 않은 영역을 정의하는 단계와; 상기 영역에 상기 방송 관련정보와 연결되는 링크 정보를 포함하는 링크 데이터를 작성하는 단계와; 방송 서비스 센터에 의해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데이터, 상기 방송 데이터 관련 정보 작성하는 단계와; 디지털 멀티미디어 시스템을 이용하여 상기 방송 서비스 센터로부터의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데이터, 상기 방송 데이터 관련 정보 및 상기 방송 데이터에 부가되는 상기 링크 데이터를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와; 이동통신 시스템을 이용하여 상기 링크 데이터에 의해 상기 방송 관련정보에 접속하기 위한 통신채널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과 상기 통신채널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통신채널을 통해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및 상기 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방송 관련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servic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ing: defining an undefined region in a fast information group included in a fast information channel defined by the Eureka-147 standard; Creating link data including link information connected to the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in the area; Creating th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ata and the broadcasting data related information by a broadcasting service center; Providing a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ata from the broadcasting service center, the broadcasting data related information, and the link data added to the broadcasting data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a user using a digital multimedia system; Establishing a communication channel for accessing the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by the link data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Establishing the communication channel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eceiving th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and the link data via the communication channel; And providing the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to a user.

상기 목적들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이점들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하게 드러나게 될 것이다.Other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other than the above objects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 도 4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4 to 9.

도 4는 DMB 멀티플렉스의 FIC를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MSC를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4 is a detailed view of the FIC of the DMB multiplex, and FIG. 5 is a detailed view of the MSC.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DMB 멀티플렉스는 컨트롤정보 및 오버헤드(OverHead)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영역인 FIC(Fast Information Chanel : 이하 "FIC"라 함)과 방송을 위한 데이터가 포함되는 MSC(Main Service Chanel : 이하 "MSC"라 함)으로 구성된다.4 and 5, the DMB multiplex includes an FIC (Fast Information Chanel), which is an information area including control information and overhead information, and an MSC including data for broadcasting. (Main Service Chanel: hereinafter referred to as "MSC").

FIC는 다수의 비디오, 오디오 및 부가 데이터를 구분하기 위한 각종 정보와 양방향 방송 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한 링크 데이터(Link Data)를 포함하는 정보 영역이 포함된다.The FIC includes an information area including various information for distinguishing a plurality of video, audio and additional data, and link data for implementing a two-way broadcast service.

링크 데이터는 양방향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자가 시청하는 방송 데이터와 관계된 정보와 사용자의 단말기를 연결하기 위한 데이터이다. 여기서, 방송데이터와 관계된 정보란, 예를 들어 사용자가 연예인 소개 프로를 시청하고 있을 경우 해당 연예인의 사진, 신상, 영화, 드라마등을 의미한다. 사용자와 단말기를 연결하는 데이터는 URL이 대표적이며, 사용자가 해당 데이터를 취득하고자 할 경우 경로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정보를 의미한다.The link data is data for connecting the terminal of the user with information related to the broadcast data that the user watches to provide the interactive service. Here,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broadcast data means, for example, when the user is watching a celebrity introduction program, a picture, an image, a movie, a drama, etc. of the celebrity. The URL connecting the user and the terminal is representative and means information that provides a path for the user to access the data when the user wants to acquire the data.

MSC는 하나 이상의 비디오 채널, 하나 이상의 오디오 채널과, 별도의 데이터 채널을 다수포함하는 미들웨어적 구성을 갖는다. MSC에 포함되는 채널의 수는 각 방송사의 정책에 따라 달라진다. 이러한 비디오 채널, 오디오 채널 및 별도의 데 이터 채널을 위한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해, MSC의 피지컬 레이어는 다수의 서브 채널로 구성이 된다.The MSC has a middleware configuration that includes one or more video channels, one or more audio channels, and multiple separate data channels. The number of channels included in the MSC depends on the policies of each broadcaster. In order to transmit data for such a video channel, an audio channel and a separate data channel, the physical layer of the MSC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subchannels.

서브 채널(Sub Chanel)은 각각의 채널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하며, 한 서브채널의 길이는 담고있는 데이터의 크기와 종류에 따라 달라진다. 이 서브채널은 FIC에 저정된 정보에 의해 각각의 비디오, 오디오, 별도의 데이터 채널을 이루는 데이터로 조합된다.The sub channel includes data for each channel, and the length of one sub channel depends on the size and type of data contained therein. These subchannels are combined into data that constitutes each video, audio, and separate data channel by information stored in the FIC.

FIC는 MSC의 데이터를 방송 데이터로 사용하기 위한 각종 정보가 저장되어 제어신호로 사용되는 것으로 다수의 FIB(Fast Information Block : 이하 "FIB"라 함)으로 이루어지고 FIB는 다수의 FIG(Fast Information Group : 이하 "FIG"라 함)로 이루어진다.FIC stores various information for using MSC data as broadcast data and is used as a control signal. The FIC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fast information blocks (hereinafter referred to as "FIBs") and a plurality of FIG. (Hereinafter referred to as "FIG").

이 FIG는 3bit 정도의 FIG 타입(FIG Type), 대략 5bit의 데이터길이(Length) 및 사업자에 의해 정의가 가능한 FIG 데이터필드(FIG Data Field)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FIC 하위의 이 FIG를 새롭게 정의하여 양방향 멀티미디어 DMB 서비스를 구현한다.This FIG is composed of a FIG type (FIG Type) of about 3 bits, a data length (Length) of approximately 5 bits, and a FIG data field (FIG Data Field) that can be defined by the operator. The present invention newly defines this FIG under the FIC to implement the interactive multimedia DMB service.

FIG의 3bit는 FIG 타입을 결정하는 것으로 전송단과 수신단과의 전송규약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다. 이 FIG는 현재는 3비트로 정의 되어 있어서, 8가지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현재 정의되어 사용하고 있는 것은 FIG Type 0, 1, 5, 6, 7이며, FIG Type 2, 3, 4는 사용하지 않고 있다. 이 FIG Type 2, 3, 4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양방향 DMB 서비스를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The 3 bits of FIG determine the FIG type, and information on the transmission protocol between the transmitting end and the receiving end is stored. This FIG is currently defined as 3 bits, and can contain eight types of information. Currently defined and used FIG FIG. 0, 1, 5, 6, 7, FIG. 2, 3, 4 is not used. It is possible to implement the bidirectional DMB ser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using the FIG Types 2, 3 and 4.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FIG Type NumberFIG Type Number FIG TypeFIG Type FIG ApplicationFIG Application 00 000000 MCI and Part Of The SIMCI and Part Of The SI 1One 001001 Labels, etc.(Part Of The SI)Labels, etc. (Part Of The SI) 22 010010 ReservedReserved 33 011011 ReservedReserved 44 100100 ReservedReserved 55 101101 FIC Data Channel(FIDC)FIC Data Channel (FIDC) 66 110110 Conditional Access(CA)Conditional Access (CA) 77 111111 In houseIn house

표 1은 FIG 타입 넘버, FIG 3bit 및 각각의 할당내역을 나타낸 표이다. 표 1을 참조하면, FIG 타입 1번은 MCI(Multiplex Configuration Information : 이하 "MCI"라 함)와 SI(Service Identifier : 이하 "SI"라 함)를 위해 할당되어 있다.Table 1 is a table showing FIG type numbers, FIG 3 bits, and their respective assignments. Referring to Table 1, FIG type 1 is allocated for MCI (Multiplex Configuration Informa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MCI") and SI (Service Identifi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SI").

MCI는 MSC에 포함된 여러개의 채널 중 특정 채널을 구성하기 위한, 비디오, 오디오 및 별도의 데이터 데이터에 의해 구성되는 서비스 컴포넌트(Service Component) 정보와 해당 채널을 구성하는 서브채널의 정보가 기록된다.The MCI records service component information composed of video, audio, and separate data data for constituting a specific channel among several channels included in the MSC, and information on subchannels constituting the corresponding channel.

SI는 각각의 서비스 프로그램에 대한 상세 정보, 즉 방송국 정보, 프로그램 제목 등의 각종 프로그램 관련정보가 기록된다.The SI records detailed information on each service program, that is, various program related information such as broadcasting station information and program title.

FIDC(FIC Data Channel : 이하 "FIDC"라 함)는 FIC 채널을 이용하여 방송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타입이다.FIDC (FIC Data Channel: hereinafter referred to as "FIDC") is a type for transmitting broadcast data using the FIC channel.

CA(Conditional Access)는 유료 서비스 채널 등의 사업 모델을 위하여 가입자를 구분하여 해당 서비스 채널의 플레이(Play) 가능 여부를 정의하기 위해 할당한 타입이다.CA (Conditional Access) is a type allocated to define subscribers for the business model such as a paid service channel to define whether the corresponding service channel is playable.

In-House는 FIG의 2, 3, 4 타입과 마찬가지로 DMB 방송 전송주체와 수신기 사이의 임의의 약속에 의해 별도의 용도로 사용하기 위해 정의한 타입이다. 여기 서, 상술한 FIG의 2, 3, 4 타입과 인-하우스 항목을 사용하여 본 발명의 양방향 DMB 서비스를 구현한다.In-House, like the 2, 3, and 4 types of FIG, is a type defined for a separate use by an arbitrary appointment between a DMB broadcast transmitter and a receiver. Here, the bidirectional DMB ser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by using the above-described types 2, 3, and 4 of FIG.

이와 같은 다섯 가지의 FIG 타입은 DMB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기 규약된 것으로 사용자 또는 사업자에 의해 임의적으로 변경이 불가능하다. 하지만, FIG 타입 2, 3, 4는 공간만 할당되어 사용하지 않는 유저필드로서 본 발명에서는 이부분에 링크 데이터 또는 링크 관련 정보를 기록하여 양방향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These five FIG types are protocols for providing DMB broadcasting services and cannot be arbitrarily changed by a user or an operator. However, FIG types 2, 3, and 4 are user fields that do not use only space, and thus, in the present invention, link data or link related information is recorded in this portion to provide an interactive service.

상술한 바와 같이 FIG 2, 3, 4는 공간만 할당되어 있을뿐 종래에는 사용하지 않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 FIG 2, 3, 4를 활용하여 양방향 DMB 서비스를 제공한다.As described above, FIGs 2, 3, and 4 are allocated only spaces and have not been used conventionally.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G 2, 3, 4 is utilized to provide a bidirectional DMB service.

예를 들어,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 이하 "CDMA"라 함)형 이동통신 시스템을 사용하는 경우, FIG 타입 넘버 2는 CDMA라고 정의한다. FIG 타입 넘버가 결정되면, 길이(Length)가 결정된다. 그리고, FIG 데이터 필드에는 CDMA에서 양방향 서비스를 위한 각종 데이터가 기록된다.For example, in the case of using a CDMA (Code Division Multi Access: "CDMA") typ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FIG type number 2 is defined as CDMA. Once the FIG type number is determined, the length is determined. In the FIG data field, various types of data for bidirectional services are recorded in CDMA.

FIG 데이터 필드에 기록되는 데이터는 우선 앙상블 ID(Ensenble Ideneification : 이하 "ID"라 함), 서비스 ID, 어플리케이션 ID, 액티브 듀레이션(Active Duration), 링크 패스(Link Path), 팝업 메시지(POP Up Message), 예비부(Reserved)로 나뉘어진다.The data recorded in the FIG data field is firstly an ensemble ID (hereinafter referred to as "ID"), a service ID, an application ID, an active duration, a link path, and a pop up message. It is divided into Reserved.

앙상블 ID는 서비스 채널을 구분하는 것으로, 특정 채널을 시청 중인 사용자에게 해당 채널에 적합한 링크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한 구분자로 사용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MBC 방송의 프로를 시청하고 있다면, MBC의 시청 프로에 대한 링크 데이터를 확인하기 위해 방송과 링크데이터의 적합성 관계를 점검하는 구분값이 기록된다.The ensemble ID identifies a service channel and is used as a separator for providing link data suitable for the channel to a user who is watching a particular channel. For example, if the user is watching the MBC broadcast pro, a division value for checking the suitability relationship between the broadcast and the link data is recorded to confirm the link data for the MBC broadcast pro.

서비스 ID는 하나의 멀티 플렉스에 다수의 채널이 형성될 경우, 해당 채널에 적합한 링크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해, 링크데이터와 채널의 적합성 여부를 판단하는 구분값이 기록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음식 만들기 프로를 시청하고 있다면, 링크 데이터는 연예인의 사진과 같은 잘못된 링크데이터가 제공되지 않고, 음식재료와 같은 방송에 적합한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한 구분값이 기록된다.When a plurality of channels are formed in one multiplex, the service ID records a division value for determining whether the link data is suitable for the channel in order to provide link data suitable for the corresponding channel. For example, if the user is watching a food making pro, the link data is not provided with incorrect link data such as a photograph of a celebrity, and a division value for providing data suitable for broadcasting such as food ingredients is recorded.

어플리케이션 ID는 각 링크데이터에 의해 사용자가 원하는 데이터를 얻을 수 있도록 각종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선택하기 위한 구분값이다. 예를 들어 시청 중인 사용자에게 정지 화상, 이미지 형식의 방송 관계 데이터가 제공될 경우, 어플리케이션 ID는 정지화상 또는 이미지를 취득할 수 있는 뷰어(Viewer) 프로그램에 대한 구분값이 기록된다. 이 어플리케이션 ID로 표현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는 SMS(Short Message Service), 전화(Call), 전화번호부(Phone Book), URL 링크를 위한(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Browser : 이하 "WAP 브라우저"라 함), MMS(Multimedia Message Service) 어플리케이션 등을 포함한다.The application ID is a division value for selecting various application programs so that the user can obtain desired data by each link data. For example, when broadcasting relationship data in the form of a still picture or an image is provided to a user who is watching, the application ID records a division value for a viewer program capable of acquiring a still picture or an image. The application program represented by this application ID includes SMS (Short Message Service), Call, Phone Book, URL Link (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Browser) or MMS (Multimedia). Message Service) applications, and the like.

액티브 듀레이션은 어플리케이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또는 사용자에게 방송 데이터 관련 정보가 있음을 알리는 메시지가 표시되는 시간을 정의한다. 예를 들어 30초 정도의 광고를 시청하면, 액티브 듀레이션에 기록되는 표시 시간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구동시간은 이보다 짧게 설정될 수 있으며, 이러한 구동 및 표시 시간이 액티브 듀레이션에 기록된다.The active duration defines a time at which a message indicating that there is broadcast data related information to an application application program or a user is displayed. For example, when watching an advertisement for about 30 seconds, the display time recorded in the active duration or the driving time of the application program can be set shorter than this, and the driving and display time are recorded in the active duration.

링크 패스(Link Path 또는 리턴패스(Return Path))는 방송 데이터 관련정보와 사용자의 단말기가 연결될 수 있는 실질적인 연결정보이다. 예를 들어 WAP 브라우저를 사용할 경우, 이 링크패스에는 URL이 저장되며, SMS, MMS, CLL을 사용할 경우 이 링크패스에는 전화번호가 저장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토론프로를 시청하고 있을 때, 방송에서 사용자의 의견을 물어오면 사용자는 단말기에 자신의 의견을 입력한다. 이 입력된 의견이 링크패스에 의해 방송국과 연결되어 해당 방송프로그램을 전달하는 제작국에 전달되어, 방송에 적용되도록 한다. 예를들어, 시청자 의견을 방송 게시판에 등록하는 프로그램의 경우 링크패스(또는 리턴패스)는 해당 방송국 프로그램의 시청자 게시판 URL 주소가 되고 이에 따라 시청자는 해당 게시판에 글을 등록할 수 있다. 이 외에 드라마 시청 중 해당 연예인의 사진을 다운로드 받고자 할 경우에는 해당 연예인의 사진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무선 인터넷 URL 페이지로 접속하여 사진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도록 한다.A link path or a return path is substantial connection information to which broadcast data related information and a user's terminal can be connected. For example, if you use a WAP browser, this link path stores a URL. If you use SMS, MMS, or CLL, this link path stores a phone number. For example, when a user is watching a discussion program, when the user asks for the user's opinion in the broadcast, the user inputs his or her opinion in the terminal. The inputted opinion is connected to the broadcasting station by the link path and transmitted to the producing station delivering the corresponding broadcasting program, so that the inputted opinion is applied to the broadcasting.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program that registers a viewer's opinion on a broadcast bulletin board, the link path (or return path) becomes a viewer bulletin URL address of the corresponding broadcast station program, and thus the viewer can register a post on the bulletin board. In addition, if you want to download the picture of the celebrity while watching the drama, go to the wireless Internet URL page where you can download the picture of the celebrity to download the picture.

팝업 메시지는 사용자가 시청중인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프로그램의 어느 부분에서 방송 데이터 관련 정보가 존재할 경우, 이를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한 메시지에 대한 데이터가 저장된다. 이 팝업 메시지는 텍스트, 아이콘을 포함하는 이미지, 간단한 동영상 등으로 표현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아이콘으로 표현될 경우, 방송 데이터 관련 정보가 음악 또는 소리이면 스피커 형 아이콘을 사용하고, 사진 또는 동영상이면 필름을 나타내는 아이콘을 사용하여 표현한다.The pop-up message stores data about a message for notifying the user when there is broadcast data related information in a broadcast program that the user is watching or any part of the broadcast program. This pop-up message can be expressed as text, an image containing an icon, or a simple video. For example, if the information is represented by an icon, a speaker-type icon is used when the broadcasting data related information is music or sound, and an icon representing a film is used when a picture or a video.

FIG 연속 여부는 상술한 링크 데이터를 전송할 경우 팝업 메시지 등의 데이터 크기가 커서 하나의 FIG에 모두 기록되지 않을 경우, 그 다음 또는 이후의 FIG 데이터 프레임을 이어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데이터 필드이다.Whether the FIG is continuous or not is a data field for allowing subsequent or subsequent FIG data frames to be used continuously when the data size such as a pop-up message is large when the above-mentioned link data is transmitted and thus are not all recorded in one FIG.

예비부(Reserved)는 추후의 확장성을 고려하여 남겨둔 데이터 필드이다.Reserved (Reserved) is a data field that is left in consideration of future scalability.

도 5에서 비디오 1과 2 오디오 1과 2와 기타정보(etc)는 서비스 컴포넌트를 나타낸다. 서비스 컴포넌의 비디오, 오디오 및 기타정보를 실제 구현하기 위해 물리계층 상에서는 다수의 서브 채널로 나뉘어 진다. 이러한 서브 채널을 묶어서 하나의 비디오, 오디오 또는 기타정보 채널로 형성하기 위한 링크정보가 FIC에 기록되어 전송된다. 실제로 시스템 상에서 오고가는 데이터 형식은 Eureka-147 규약이 적용된 이 서브필드들이며, 이들에 의해 DMB 서비스가 사용자에게 제공된다.In FIG. 5, video 1 and 2 audio 1 and 2 and other information (etc) indicate a service component. In order to actually implement video, audio, and other information of a service component, the physical layer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ubchannels. Link information for grouping these subchannels and forming one video, audio or other information channel is recorded in the FIC and transmitted. In fact, the data formats coming and going on the system are these subfields with the Eureka-147 protocol, whereby the DMB service is provided to the user.

이하, 상술한 멀티플렉스를 이용하여 양방향 DMB 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한 방송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broadcast service system and method for implementing an interactive DMB service using the aforementioned multiplex will be described.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DMB 방송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MB broadcast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방송 시스템은 방송 서비스센터(5), DMB 시스템(7), 이동통신 시스템(9) 및 이동통신 단말기(11)를 구비한다.Referring to FIG. 6, the broadcast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roadcasting service center 5, a DMB system 7,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9, an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

방송 서비스센터(5)는 링크데이터(Link Data)를 포함한 방송 데이터를 제작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방송사 등으로부터 제작되어 방송 서비스 센터(5)로 방송 데이터가 제공되면, 방송 데이터에 링크 데이터를 부가하여 DMB 시스템(7)에 제공한다. 이를위해 방송 서비스센터(5)는 링크 데이터를 제작할여 부가할 수 있는 저작 툴(Authoring Tool 또는 Editing Tool)을 구비하며, DMB 시스템(7)과 접속된다. 또한, 링크 데이터에 포함된 리턴 패스에 의해 사용자와 연결되기 위하여 이동통신 시스템(9)과 접속된다.The broadcast service center 5 produces broadcast data including link data and provides the same to the user. When broadcast data is produced from a broadcaster or the like and is provided to the broadcast service center 5, link data is added to the broadcast data and provided to the DMB system 7. To this end, the broadcast service center 5 is provided with an authoring tool (Authoring Tool or Editing Tool) that can add and produce link data, and is connected to the DMB system 7. It is also connec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9 to be connected with the user by the return path included in the link data.

이동통신 단말기(11)는 사용자에게 DMB 서비스를 제공하며, 방송 데이터에 저장된 링크 데이터에 의해 사용자가 방송 데이터 관련 정보를 취득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이동통신 단말기(11)는 DMB 시스템(7)으로부터 DMB 방송 데이터와 이에 부가된 링크 데이터를 수신한다. 또한, 링크 데이터에 의해 사용자가 방송 데이터 관련 정보를 취득하도록 이동통신 시스템(9)에 접속한다. 아울러, 이동통신 단말기(11)는 링크 데이터를 해성하여 사용자에게 링크 데이터에 의한 방송 데이터 관련 정보가 있음을 알리고, 해당 정보를 다운로드 또는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링크 데이터 에이전트(Link Data Agent) 프로그램을 구비한다.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 provides a DMB service to the user, and allows the user to acquire broadcast data related information by link data stored in the broadcast data. To this e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 receives DMB broadcast data and link data added thereto from the DMB system 7. Further,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9 is connected so that the user acquires broadcast data related information by link data. In addi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 decompresses the link data to inform the user that there is broadcast data related information by the link data, and includes a link data agent program for downloading or displaying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DMB 시스템(7)은 방송 서비스 센터(5)로부터의 DMB 방송 데이터와 이에 부가된 링크 데이터를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11)에 제공한다.The DMB system 7 provides the user'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 with DMB broadcast data from the broadcast service center 5 and link data added thereto.

이동통신 시스템(5)은 이동통신 단말기(11)로부터의 링크 데이터에 의한 접속 요청에 응답하여 방송 서비스 센터(5)와 이동통신 단말기(11)를 연결한다. 또한, 사용자가 방송 데이터 관련 정보를 요청할 경우, 방송 서비스 센터(5)로부터 이를 제공받아 이동통신 단말기(11)에 제공한다.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5 connects the broadcast service center 5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 in response to a connection request by the link data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 In addition, when a user requests broadcast data related information, the user receives the broadcast data related information from the broadcast service center 5 and provides the same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

도 7은 이동통신 단말기를 보다 자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7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more detail.

도 7을 참조하면, 이동통신 단말기(11)는 DMB 모듈(13), 이동통신 모듈(15), 메모리(19), 출력장치(21) 및 제어부(17)을 구비한다.Referring to FIG. 7,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 includes a DMB module 13, 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5, a memory 19, an output device 21, and a controller 17.

DMB 모듈(13)은 DMB 방송 데이터와 이에 부가된 링크 데이터를 수신하여 제어부(17)에 제공한다. 이를 위해,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DMB 수신 안테나와 변복조기를 구비한다.The DMB module 13 receives the DMB broadcast data and the link data added thereto and provides the same to the controller 17. To this end, a DMB receiving antenna and a modulator for receiving broadcast data are provided.

이동통신 모듈(15)은 제어부(17)의 제어하에 링크 데이터에 기록된 링크 패스에 해당하는 대상과 접속하도록 이동통신 시스템(9)와 통신 채널을 형성한다.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5 forms a communication channel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9 so as to connect with an object corresponding to the link path recorded in the link data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7.

출력장치(21)는 제어부(17)의 제어하에 DMB 방송 데이터, 팝업 메시지, 방송 데이터 관련 정보를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이를 위해, 화상의 표현이 가능한 화면 표시장치, 음원의 출력이 가능한 스피커 등을 포함한다.The output device 21 outputs the DMB broadcast data, the pop-up message, and the broadcast data related information to the user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7. To this end, a screen display device capable of representing an image, a speaker capable of outputting a sound source, and the like.

메모리(19)는 DMB 방송 데이터와 링크 데이터가 저장되며, 이를 구동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저장된다. 또한, 링크 데이터와 방송 데이터 관련 정보를 사용자가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링크 데이터 에이젼트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제어부(17)의 요청시 이 프로그램들과 데이터를 제공한다.The memory 19 stores DMB broadcast data and link data, and an application program for driving the same is stored. In addition, a link data agent program for allowing a user to use the link data and the broadcast data related information is stored to provide the programs and data upon request of the controller 17.

제어부(17)는 DMB 모듈(13)로부터 제공되는 DMB 방송 데이터를 출력장치(21)에 제공하며, DMB 방송 데이터와 함께 수신되는 링크 데이터의 사용 여부를 판단한다. 제어부(17)는 링크 데이터의 사용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FIG의 앙상블 ID, 서비스 ID, 어플리케이션 ID, 액티브 듀레이션을 판단한다. 또한, 방송 데이터 관련 정보가 존재할 경우, 링크 패스에 의한 연결 경로를 판단하여 이동통신 모듈(15)로 하여금 해당 연결경로로 접속되는 통신 채널을 형성하도록 한다.The controller 17 provides the DMB broadcast data provided from the DMB module 13 to the output device 21, and determines whether to use the link data received together with the DMB broadcast data. The controller 17 determines an ensemble ID, a service ID, an application ID, and an active duration of FIG to determine whether link data is used. In addition, if there is broadcast data related information, the connection path by the link path is determined so that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5 forms a communication channel connected to the corresponding connection path.

또한, 사용자로부터 방송 데이터 관련 정보의 수신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입력장치를 더 구비한다.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n input device for receiving a command for receiving broadcast data related information from a user.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DMB 서비스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bidirectional DMB servic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방송 시청을 이동통신 단말기(11)로 DMB 방송 데이터와 링크 데이터를 수신한다. 여기서, DMB 방송 데이터와 링크 데이터는 방송 서비스 센터(5)로부터 작성 및 부가되어 완성된 데이터를 의미한다.(S1)Referring to FIG. 8, a user receives DMB broadcast data and link data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 to watch a broadcast. Here, the DMB broadcast data and link data refer to data created and added from the broadcast service center 5 and completed. (S1)

방송 데이터가 수신되면, 이동통신 단말기(11)의 DMB 모듈(13)은 DMB 방송 데이터와 링크 데이터를 제어부(17)에 제공한다. 제어부(17)는 링크 데이터의 FIC를 우선적으로 디코딩(Decoding : 복조)한다. 여기서, 복조부가 DMB 모듈(13) 내에 있는 경우, 이 단계는 DMB 모듈(13)에서 진행되어, 복조된 데이터가 제어부(17)에 제공된다.(S2)When the broadcast data is received, the DMB module 13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 provides the DMB broadcast data and link data to the controller 17. The controller 17 preferentially decodes the FIC of the link data. Here, if the demodulator is in the DMB module 13, this step is carried out in the DMB module 13, and the demodulated data is provided to the control unit 17 (S2).

FIC를 복조하면, 제어부(17)는 링크 데이터가 부가여부를 판단한다. 즉, FIG 타입이 0, 1, 5, 6, 7 이면, 제어부(17)는 디코딩된 데이터가 DMB 방송 데이터라고 판단하며, 2, 3, 4이면 제어부(17)는 디코딩된 데이터가 링크 데이터라고 판단한다. 여기서, FIG 타입의 정의는 사업자에 의해 이루어지며, 그 예로 2는 CDMA 기반 단말기, 3은 GSM(Global System For Mobile Telecommunication : 이하, "GSM"이라 함), 4는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 이하 "TDMA"라 함)과 같이 설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FIG 타입 2인 CDMA 기반 통신을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링크 데이터가 부가되어 있다고 판단되면, 제어부(17)는 그 링크 데이터가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11)와 호응되는 타입인지를 판단한다. 즉, CDMA 단말기에 FIG 타입이 4(즉, TDMA)로 설정된 링크 데이터가 들어오면, 제어부(17)는 CDMA에 호응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고 링크 데이터가 없는 것으로 판단한다. 반면에 FIG 타입이 2(즉, CDMA)로 설정되어 있다고 판단되면, 제어부(17)는 링크데이터가 부가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S3)When demodulating the FIC, the controller 17 determines whether link data is added. That is, if the FIG type is 0, 1, 5, 6, or 7, the controller 17 determines that the decoded data is DMB broadcast data. If the FIG type is 2, 3, or 4, the controller 17 determines that the decoded data is link data. To judge. Here, the type of FIG is defined by an operator. For example, 2 is a CDMA-based terminal, 3 is GSM (Global System For Mobile Telecommunica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GSM"), and 4 is TDMA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hereinafter). And "TDMA". In describ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scription will be mainly given of CDMA-based communication of FIG. If it is determined that link data is added, the controller 17 determines whether the link data is of a type compatible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 That is, when link data in which the FIG type is set to 4 (that is, TDMA) enters the CDMA terminal, the control unit 17 determines that the CDMA terminal is not compatible with the CDMA terminal and determines that there is no link data. 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FIG type is set to 2 (that is, CDMA), the controller 17 determines that link data is added (S3).

링크 데이터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면, 제어부(17)는 FIG 이후의 MSC를 디코 딩한다. 즉, MSC의 각 서브채널을 FIC의 헤더 정보를 이용하여 하나의 방송 채널이 되도록 조합한다.(S4)Upon determining whether link data exists, the controller 17 decodes the MSC after FIG. That is, each subchannel of the MSC is combined to be one broadcast channel using the header information of the FIC (S4).

MSC를 디코딩하면, 제어부(17)는 오디오/비디오 데이터를 정의된 압축 규격에 의해 디코딩하여 출력장치(21)로 출력하여, 사용자가 시청하도록 한다.(S5, S6)When the MSC is decoded, the controller 17 decodes the audio / video data by using a defined compression standard and outputs the output to the output device 21 so that the user can watch it (S5, S6).

한편, S3 단계에서 FIG 타입이 2로 판단되어 링크 데이터가 수신된다고 판단되면, DMB 방송 데이터와 다른 절차에 의한 처리를 하기 위한 단계를 수행한다.(S31)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3 that the FIG type is 2 and link data is received, a step for processing by a procedure different from the DMB broadcast data is performed (S31).

제어부(17)는 DMB 모듈(13)으로부터 제공되는 링크 데이터를 디코딩한다.(S32) 여기서, CDMA 모듈(15)에서 링크 데이터의 디코딩이 가능한 경우, 제어부(17)는 DMB 모듈(13)에서 제공되는 링크 데이터를 CDMA 모듈(15)에 제공하여 링크 데이터를 디코딩할 수 있다.(S32)The controller 17 decodes the link data provided from the DMB module 13. (S32) Here, when the CDMA module 15 can decode the link data, the controller 17 provides the DMB module 13. The link data can be provided to the CDMA module 15 to decode the link data (S32).

링크 데이터를 디코딩하면, 제어부(17)는 앙상블 ID 또는 서비스 ID를 확인하여 사용자가 수신되는 링크 데이터와 호응하는 DMB 방송을 시청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33)When the link data is decoded, the controller 17 checks the ensemble ID or service ID to determine whether the user is watching a DMB broadcast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link data (S33).

링크 데이터와 시청중인 방송 데이터가 호응 된다고 판단되면, 제어부(17)는 어플리케이션 ID를 확인하여, 링크 데이터를 이용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시킨다.(S34) S34 단계에서는, 링크 데이터를 이용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실행되면,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의해 FIG 데이터 필드에 기록된 팝업 메시지가 출력장치(21)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된다.(S34)If it is determined that the link data and the broadcast data being viewed are compatible, the controller 17 checks the application ID and executes an application program for using the link data. (S34) In step S34, the application for using the link data When the program is executed, the pop-up message recorded in the FIG data field by the application program is provided to the user through the output device 21 (S34).

반면에, 앙상블 ID 또는 서비스 ID가 시청 중인 방송 데이터와 일치하지 않 으면, 해당 링크 데이터는 사용하지 않게 된다.(S40)On the other hand, if the ensemble ID or service ID does not match the broadcast data being viewed, the corresponding link data is not used (S40).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구동되면, 사용자의 입력이 있거나, 액티브 듀레이션에 기록된 시간이 경과할 때 까지 제어부(17)는 대기한다. 여기서, 액티브 듀레이션이 경과하면, 사용자의 입력이 없는 것으로 간주하여, 팝업 메시지의 출력을 중단하고, 링크 데이터를 사용하지 않는다. 사용자가 방송 데이터 관련 정보의 수신 명령을 입력장치로 입력하면,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FIG 데이터 필드의 링크 패스 정보를 이용하여, 제어부(17)의 제어에 의해 이동통신 모듈(15)이 통신채널을 형성하도록 한다. 통신채널이 형성되어 방송 데이터 관련정보를 수신하면, 이동통신 모듈(17)은 수신된 정보를 제어부(17)에 제공한다.(S35)When the application program is driven, the controller 17 waits until there is a user input or a time recorded in the active duration has elapsed. Here, when the active duration has elapsed, it is assumed that there is no user input, the output of the pop-up message is stopped, and the link data is not used. When the user inputs a command for receiving broadcast data related information to the input apparatus, the application program uses the link path information of the FIG data field so that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5 forms a communication channel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7. do. When the communication channel is formed to receive broadcast data related informa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7 provides the received information to the controller 17. (S35)

이동통신 모듈(17)로부터 방송 데이터 관련정보를 수신하면, 제어부(17)는 이를 메모리(19)에 저장하거나, 출력장치(21)를 통해 출력한다.(S36)When receiving the broadcast data related information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7, the controller 17 stores it in the memory 19 or outputs it through the output device 21 (S36).

저장 또는 출력이 종료되면, 제어부(17)는 다른 링크 데이터의 수신을 대기하고, 사용자는 계속해서 DMB 방송을 시청하게 된다.(S6)When the storage or output ends, the controller 17 waits for receiving the other link data, and the user continues to watch the DMB broadcast. (S6)

여기서, 링크 데이터를 디코딩하는 과정(S32)에서부터 사용자가 확인 또는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는 각 절차를 다양한 이동통신 단말기(11)에서 처리가 가능하도록 제어하는 링크 데이터 에이전트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링크 데이터 에이전트 프로그램은 링크 데이터 수신시 제어부(17)에 의해 실행되며, 상술한 링크 데이터 처리 절차(S32 내지 S36)의 진행 및 어플리 케이션 프로그램의 선택 및 실행을 하게 된다.Here, the step of decoding the link data (S32) from the user to confirm or store in the memory is preferably performed by a link data agent program that controls each procedure to be processed in the variou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 . In this case, the link data agent program is executed by the control unit 17 when receiving the link data, and proceeds with the above-described link data processing procedures (S32 to S36) and selects and executes the application program.

상술한 링크 패스가 특정 포맷 예를 들어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일 경우, 이를 이동통신 단말기(11)에서 출력 가능한 언어로 표현하는 파싱(Parssing) 엔진이 필요하다. When the above-described link path is a specific format, for example, HTML (Hyper Text Markup Language) or XML (eXtensible Markup Language), a parsing engine is required to express it in a language output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

도 9는 본 발명의 서비스 제공 방법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9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service provid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11)의 출력장치(21)를 통해 DMB 방송을 시청한다. 시청중에 링크데이터가 수신되면 도 9b와 같이 출력장치(21)에 필름을 나타내는 아이콘이 활성화 되고, 하단부에는 팝업 메시지가 출력된다. 사용자가 입력장치를 통해 메뉴를 선택하면, 도 9c와 같이 해당 링크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는 링크 패스에 해당하는 접속주소(예를 들어 URL 주소)로 자동 연결된다. 사용자가 선택하고픈 방송 데이터 관련 정보를 선택하면, 도 9d와 같이 이동통신 시스템(9)과 형성된 통신채널을 통해 방송 데이터 관련 정보가 다운로드(Download) 된다. 이때, 사용자는 다운로드 현황을 지켜보며 DMB 방송을 시청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운로드가 완료되면 도 9e와 같이 다운로드 완료를 알리는 메시지가 출력장치(21)를 통해 출력되고, 다운로드된 방송 데이터 관련 정보는 메모리(21)에 저장된다. 사용자는 DMB 시청을 종료한 후 또는 시청 중에 다운로드된 방송 데이터 관련 정보를 도 9f와 같이 확인한다. 도 9e는 출력장치에 표시되는 아이콘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Referring to FIG. 9, a user views DMB broadcast through the output device 21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 When the link data is received while watching, the icon representing the film is activated on the output device 21 as shown in FIG. 9B, and a pop-up message is output at the lower end. When the user selects a menu through the input device, as shown in FIG. 9C, the user is automatically connected to an access address (eg, a URL address) corresponding to a link path included in the link data. When the user selects the broadcast data related information to be selected, the broadcast data related information is downloaded through a communication channel formed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9 as shown in FIG. 9D.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user watches DMB broadcasting while watching the download status. When the download is completed, as shown in FIG. 9E, a message indicating the completion of the download is output through the output device 21, and the downloaded broadcast data related information is stored in the memory 21. The user checks the broadcasting data related information downloaded after or during DMB viewing as shown in FIG. 9F. 9E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n icon displayed on an output device.

본 발명은 상술한 방법에 의해 기존의 접근 방식인 미들웨어적 접근 방식이 아니라 피지컬레이어 즉, 유레카-147(Eureka-147) 규격 내에 이미 할당된 FIC 정보 영역을 활용함으로서 좀더 간편하고, 용이하게 양방향 DMB 방송 서비스를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FIC에 포함된 FIG의 미설정 영역을 사용함으로 인해, 기존 시스템과 호환성이 좋고 사이드이펙트(Side Effect)의 염려가 없다. 또한, 미들웨어적 서비스 콤퍼넌트 또는 필드의 정의가 없으므로,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엔진을 개발하지 않고도 양방향 DMB 방송 서비스를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미들웨어적 서비스 방법과 병행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좀더 다양하고, 고품위의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The present invention utilizes the FIC information region already allocated in the physical layer, that is, the Eureka-147 standard, rather than the middleware approach, which is the conventional approach, by the above-described method.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 broadcast service. In particular, by using the unset region of FIG included in the FIC, it is compatible with the existing system and there is no fear of side effects. In addition, since there is no definition of a middleware service component or a field,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n interactive DMB broadcasting service without developing a new communication engine. In addition, since it is possible to be parallel with the middleware service method, it becomes possible to provide a more diverse and high quality service to the user.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DMB 방송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은 유레카-147규격을 이용함으로 인해 용이하게 양방향 DMB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the bidirectional DMB broadcasting service system and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provide the bidirectional DMB broadcasting service by using the Eureka-147 standard.

또한, 새로운 필드의 정의 또는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엔진의 개발을 하지 않고도, 종래의 이동통신 및 DMB 시스템을 이용하여 양방향 DMB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아울러, 새로운 필드의 정의 또는 새로운 엔진의 개발에 따른 비용 부담 및 부작용을 감소시키며, 이들과의 병행이 가능하여 보다 고품위의 방송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bidirectional DMB broadcasting service using a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and DMB system without defining a new field or developing a new communication engine. In addition, the cost burden and side effects due to the definition of a new field or the development of a new engine can be reduced, and it can be combined with these to provide a higher quality broadcasting service.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 져야만 할 것이다.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pecification but should be defined by the claims.

Claims (7)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In th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service system, 유레카-147 규격에 의해 정의된 패스트 인포메이션 채널에 포함된 패스트 인포메이션 그룹내의 규정되지 않은 영역을 정의하고, 상기 영역에 상기 방송 관련정보와 연결되는 링크 정보를 포함하는 링크 데이터와;Link data defining an undefined region in the fast information group included in the fast information channel defined by the Eureka-147 standard, wherein the link data includes link information connected to the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데이터, 상기 방송 데이터 관련 정보 및 상기 링크 데이터를 작성하는 방송 서비스 센터와;A broadcast service center for creating th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 data, the broadcast data related information, and the link data; 상기 방송 서비스 센터로부터의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데이터, 상기 방송 데이터 관련 정보 및 상기 방송 데이터에 부가되는 상기 링크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디지털 멀티미디어 시스템과;A digital multimedia system for providing a user with th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ata, the broadcasting data related information, and the link data added to the broadcasting data from the broadcasting service center; 상기 링크 데이터에 의해 상기 방송 관련정보에 접속하기 위한 통신채널을 형성하는 이동통신 시스템과;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for forming a communication channel for accessing the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by the link data;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및 상기 링크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과 통신채널을 형성하며, 상기 통신채널을 통해 수신된 상기 방송 관련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 시스템.An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nfigured to receive th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and the link data, form a communication channel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provide the user with the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channel. Multimedia Broadcasting Service System.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규정되지 않은 영역은 상기 패스트 인포메이션 그룹 타입 번호 2 내지 4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 시스템.And the undefined area is the fast information group type number 2 to 4.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규정되지 않은 영역은 상기 패스트 인포메이션 그룹 타입 번호 7인 인-하우스(In-Hous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 시스템.The undefined area is a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service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in-house (In-House) of the fast information group type number 7.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영역은The area is 상기 패스트 인포메이션 그룹의 데이터 필드이며,A data field of the fast information group, 상기 필드에는 멀티플렉스 채널을 구분하는 앙상블 아이디(ID)와,The field includes an ensemble ID for identifying a multiplex channel, 방송 프로그램을 구분하기 위한 서비스 아이디와,A service ID for identifying a broadcast program, 상기 링크 데이터를 사용을 위해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선택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아이디와,An application ID for selecting an application program for using the link data; 상기 링크 데이터의 출력시간을 제한하기 위한 액티브 듀레이션과,An active duration for limiting an output time of the link data; 상기 링크 정보가 기록되는 링크 패스와,A link path in which the link information is recorded; 상기 링크 데이터의 내용을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한 팝업 메시지와,A pop-up message for notifying the user of the contents of the link data; 상기 패스트 인포메이션 그룹과 다른 패스트 인포메이션 그룹을 함께 사용하기 위한 에프아이지(FIG) 연속여부와,Whether or not the FIG (FIG) sequence for using the fast information group and another fast information group together; 추후의 확정성을 고려한 예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 시스템.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service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reliminary part in consideration of future determinism. 제 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The application program 에스엠에스(SMS), 엠엠에스(MMS), 음성통화, 왑브라우저(WAT Browser), 전화번호부 어플리케이션 등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 시스템.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service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SMS (MMS), MMS (MMS), voice calls, WAT Browser, phone book applications and the lik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데이터, 상기 링크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디엠비 모듈(DMB Module)과,A DMB module for receiving th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ata and the link data; 상기 링크 데이터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와,A memory for storing the link data and the application program; 상기 방송 데이터, 상기 방송 데이터 관련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장치와,An output device for outputting the broadcast data and the broadcast data related information; 상기 방송 데이터 관련 정보의 수신을 위해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과 통신채널을 형성하는 이동통신 모듈과,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for establishing a communication channel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for receiving the broadcast data related information; 상기 디엠비 모듈, 상기 이동통신 모듈 및 출력장치를 제어하고, 상기 링크 데이터로부터 상기 링크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이동통신 모듈로 하여금 통신채널을 형성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 송 서비스 시스템.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DMB module,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and an output device, extracting the link information from the link data, and allowing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to form a communication channel. Service system.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에 있어서,In th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service, 유레카-147 규격에 의해 정의된 패스트 인포메이션 채널에 포함된 패스트 인포메이션 그룹내의 규정되지 않은 영역을 정의하는 단계와;Defining an undefined region within the fast information group included in the fast information channel defined by the Eureka-147 standard; 상기 영역에 상기 방송 관련정보와 연결되는 링크 정보를 포함하는 링크 데이터를 작성하는 단계와;Creating link data including link information connected to the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in the area;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데이터, 상기 방송 데이터 관련 정보 작성하는 단계와;Creating th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ata and the broadcasting data related information;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데이터, 상기 방송 데이터 관련 정보 및 상기 방송 데이터에 부가되는 상기 링크 데이터를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와;Providing th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ata, the broadcasting data related information, and the link data added to the broadcasting data to a user'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상기 링크 데이터에 의해 상기 방송 관련정보에 접속하기 위한 통신채널을 형성하는 단계와;Establishing a communication channel for accessing the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by the link data; 상기 통신채널을 통해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데이터 및 상기 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와;Receiving th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ata and the link data through the communication channel; 상기 방송 관련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 방법.And providing the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to a user.
KR1020040088666A 2004-11-03 2004-11-03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Service Syster And Method Thereof KR10059713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8666A KR100597134B1 (en) 2004-11-03 2004-11-03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Service Syster And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8666A KR100597134B1 (en) 2004-11-03 2004-11-03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Service Syster And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9548A KR20060039548A (en) 2006-05-09
KR100597134B1 true KR100597134B1 (en) 2006-07-05

Family

ID=371467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8666A KR100597134B1 (en) 2004-11-03 2004-11-03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Service Syster And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97134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3032B1 (en) * 2005-05-09 2006-11-10 (주) 엘지텔레콤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for instant messaging chatting service and bulletin board service real time linked with digital multimedia broadcast program and a method thereof
KR101314597B1 (en) * 2006-01-11 2013-10-14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for implementing interactive service in digital broadcast and receiver therefor
KR101158434B1 (en) * 2006-02-08 2012-06-22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for Webpage browsing of Broadcasting Data Service and Mobile Terminal of that
KR100785951B1 (en) * 2006-05-08 2007-12-14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duplex contents service in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system
KR100842671B1 (en) * 2006-07-13 2008-06-30 주식회사 케이티 System and method for interactive TDMB service by using return link of the Portable Internet
KR100867279B1 (en) * 2006-12-05 2008-11-1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The method for offering and extracting link information using fic
KR100856787B1 (en) * 2006-12-11 2008-09-05 주식회사 문화방송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broadcasting signal and method thereof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8800A (en) * 2001-04-10 2002-10-19 (주) 엘지텔레콤 apparatus for multimedia service using mobile communication
KR20040084508A (en) * 2003-03-28 2004-10-0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Apparatus and Its Method of Multiplexing Multimedia Data to DAB Data
KR20050019630A (en) * 2003-08-20 2005-03-0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System & Method for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KR20050041489A (en) * 2003-10-31 2005-05-04 삼성전자주식회사 Receiver for digital audio/multimedia broadcasting
KR20060002096A (en) * 2004-07-01 2006-01-09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storing/searching broadcasting stream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8800A (en) * 2001-04-10 2002-10-19 (주) 엘지텔레콤 apparatus for multimedia service using mobile communication
KR20040084508A (en) * 2003-03-28 2004-10-0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Apparatus and Its Method of Multiplexing Multimedia Data to DAB Data
KR20050019630A (en) * 2003-08-20 2005-03-0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System & Method for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KR20050041489A (en) * 2003-10-31 2005-05-04 삼성전자주식회사 Receiver for digital audio/multimedia broadcasting
KR20060002096A (en) * 2004-07-01 2006-01-09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storing/searching broadcasting strea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9548A (en) 2006-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81685C (en) Navigation system for multichannel digital television system
KR100697187B1 (en) Full duplex service system and method of ground wav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linked 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
EP2288170A2 (en) Content transmission method and display device
US7623485B2 (en) Method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using received terrestrial digital broadcasting data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20060075430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dvertisement music
US20090328099A1 (en) Broadcast system with a local electronic service guide generation
KR100597134B1 (en)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Service Syster And Method Thereof
US2007006779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dvertisement in digital broadcasting system
CN101262293B (en) A transmission method and system for multi-language program prompt message
EP1961219A1 (en) Broadcast receiver for and method of providing broadcast channel information
KR100716577B1 (en) A mobile terminal for displaying a program information including AD data, and its control method And its supply method
US2006000239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toring and searching broadcasting stream
CN101335885A (en) Transmission method of multimedia broadcast subtitle information and transmitting/receiving apparatus
CN102413234A (en) Mobile terminal media resource loading method and mobile terminal
KR101271086B1 (en) Systems for viewing multimedia, apparatus for receiving a broadcasting signal, methods for viewing multimedia thereof, and methods for receiving a broadcasting signal thereof
CN101361364B (en) Electronic programming guide providing apparatus and method
EP2352288B1 (en)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the service data of handset tv
JP2011244268A (en) Broadcast apparatus, broadcast receiver, broadcast method, and broadcast reception method
EP1631077B1 (en) Digital multimedia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KR100703852B1 (en) A system for supplying a program information for a cell phone capable of receiving digital broadcast
JP2003018579A (en) Contents providing method, reception terminal equipment and contents providing server
JPWO2006006219A1 (en) Content transmission apparatus and content distribution system
KR101229896B1 (en) Device and method for scanning channel of digital broadcasting receiver with multi-frequency channel
KR101358709B1 (en) Device and method for scanning service channel of digital broadcasting receiver
KR100739372B1 (en) Apparatus for transmitting contents, apparatus for outputting contents, method for transmitting contents and method for outputting cont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51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