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5614B1 - 휴대용 장치의 키눌림 방지방법 - Google Patents

휴대용 장치의 키눌림 방지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5614B1
KR100595614B1 KR1020030081627A KR20030081627A KR100595614B1 KR 100595614 B1 KR100595614 B1 KR 100595614B1 KR 1020030081627 A KR1020030081627 A KR 1020030081627A KR 20030081627 A KR20030081627 A KR 20030081627A KR 100595614 B1 KR100595614 B1 KR 1005956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press
mode
prevention
key
key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16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47827A (ko
Inventor
김찬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816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5614B1/ko
Priority to US10/983,707 priority patent/US7602377B2/en
Priority to CN200410094792XA priority patent/CN1619471B/zh
Publication of KR200500478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78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56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56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6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with mean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or fraudulent calling
    • H04M1/667Preventing unauthorised calls from a telephone set
    • H04M1/67Preventing unauthorised calls from a telephone set by electronic means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장치의 키눌림 방지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블클릭을 사용하여 키눌림 방지모드를 반동작모드로 전환시키고, 그 반동작모드에서는 일반적인 방법으로 외부키들을 연속적으로 눌러서 해당 키동작을 실행하며, 외부키의 입력이 일정시간 동안 발생하지 않므면 자동으로 키 눌림 방지 상태로 복귀시킴으로써, 휴대시, 키눌림에 의한 오동작 및 전원소모를 방지하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외부에 키 입력수단을 구비한 휴대용 장치에 있어서, 키입력이 발생하면, 키눌림 방지모드가 설정되어 있는지를 판단하는 제1 과정과; 상기 제1 과정의 판단결과, 키눌림 방지모드가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해당 키에 대응되는 동작을 실행하고, 키눌림 방지모드가 설정되어 있으면 키입력이 더블클릭인지를 판단하는 제2 과정과; 상기 제2 과정의 판단결과, 키입력이 더블클릭이면 반동작모드로 전환한 다음, 다시 키입력이 발생하면 해당키에 대응되는 동작을 실행하는 제3 과정으로 수행한다.

Description

휴대용 장치의 키눌림 방지방법{KEY PUSHING PREVENTION METHOD FOR PORTABLE APPARATUS}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장치의 키눌림 방지방법에 대한 동작흐름도.
도2는 도1에 있어서, 키눌림 방지모드의 설정 또는 해제를 표시한 모습을 보인 개략도.
도3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슬라이드폰과 스마트폰의 구성을 보인 개략도.
도4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PDA와 CDP 및 미니카세트의 구성을 보인 개략도.
도5는 도1에 있어서, 키눌림 방지모드와 반동작모드 및 완전동작모드의 전환을 보인 개략도.
본 발명은 휴대용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시, 키눌림에 의한 오동작 및 전원소모를 방지하도록 한 휴대용 장치의 키눌림 방지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플립 타입이나 폴더 타입의 이동통신단말기의 경우는, 키가 외부로 많이 노출되지 않으나 최근의 PDA나 혹은 슬라이드 타입등의 이동통신단말기 의 경우는 외부키가 많이 밖으로 노출된다.
이렇게, 외부키가 노출되는 경우에, 키눌림 방지 장치를 하지 않거나, 또는 키눌림을 방지하기 위해 잠금키를 하드웨어적으로 만들거나, 또는 키눌림을 방지하기 위해 롱키를 이용한다.
상기 키눌림 방지장치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는, 외부키를 그대로 일반적인 쇼트키에 의해 실행되도록 한 것으로, 가장 사용자의 입장에서 사용이 편하고 작동도 편하나, 휴대시 눌림에 의해 장치가 오동작을 일으키는 문제점이 있는데, 예를 들어, 휴대용 카세트 플레이어가 버튼이 잘못 눌려 계속 플레이가 되어 배터리가 다 되는 경우나 휴대전화가 휴대시 버튼이 눌려 원치 않는 전화가 걸리는 것들이 해당된다.
그리고, 상기 키눌림을 방지하기 위해 잠금키를 하드웨어적으로 만드는 경우, 즉 키잠금 걸 수 있는 스위치를 장치하여 휴대시에는 키잠금을 온시켜서 키들의 눌림을 방지하고 사용시에는 키잠금스위치를 오프시켜서 키를 자유롭게 사용하는 것으로, 이러한 키 잠금 스위치를 이용한 방식은 약간의 하드웨어적인 추가로써 구현 가능한 것이 장점이 있으나, 사용자가 휴대용 장치를 사용한 뒤 키 잠금을 하는 것을 잊어버리고 휴대를 시작하는 경우에, 휴대시 눌림에 의해 장치가 오동작하는 문제점이 있는데, 이러한 방법은 휴대용 카세트 플레이어등에서 많이 사용되는 방법이나 휴대 전화등과 같이 자주 휴대했다가 꺼내는 장치에서는 사용이 불편하여 많이 사용되지 않는다.
그리고, 키눌림을 방지하기 위해 롱키를 이용하는 경우, 즉, 외부 노출키에 롱키를 이용하여 동작하게 하고, 슬라이드폰의 경우 슬라이드를 닫은 상태의 외부 키는 롱키로 동작하도록 하였으며 슬라이드를 열면 자유롭게 키들을 동작시키도록 하는데, 이러한 롱키를 이용하는 방식은 휴대시 의도치 않게 장기간 특정키가 눌리는 경우는 별로 없다는 가정하에 외부키는 롱키를 눌러야 동작을 하는 것이지만, 실제의 경우, 휴대용 장치를 한 위치에 계속 휴대할 경우 키가 눌리는 상태로 장기간 그 상태가 지속될 수도 있어 키눌림 방지 역활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더블클릭을 사용하여 키눌림 방지모드를 반동작모드로 전환시키고, 그 반동작모드에서는 일반적인 방법으로 외부키들을 연속적으로 눌러서 해당 키동작을 실행하며, 외부키의 입력이 일정시간 동안 발생하지 않으면 자동으로 키 눌림 방지 상태로 복귀시킴으로써, 휴대시 키 눌림에 의한 오동작 및 전원소모를 방지하도록 한 휴대용 장치의 키눌림 방지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외부에 키 입력수단을 구비한 휴대용 장치에 있어서,
키입력이 발생하면, 키눌림 방지모드가 설정되어 있는지를 판단하는 제1 과정과;
상기 제1 과정의 판단결과, 키눌림 방지모드가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해당 키에 대응되는 동작을 실행하고, 키눌림 방지모드가 설정되어 있으면 키입력이 더블클릭인지를 판단하는 제2 과정과;
상기 제2 과정의 판단결과, 키입력이 더블클릭이면 반동작모드로 전환한 다음, 다시 키입력이 발생하면 해당키에 대응되는 동작을 실행하는 제3 과정으로 수행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장치의 키눌림 방지방법에 대한 작용 및 효과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장치의 키눌림 방지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1에 도시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키입력이 발생하면, 키눌림 방지모드가 설정되어 있는지를 판단하는 제1 과정(SP1,SP2)과; 상기 제1 과정의 판단결과, 키눌림 방지모드가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해당 키에 대응되는 동작을 실행하고, 키눌림 방지모드가 설정되어 있으면 키입력이 더블클릭인지를 판단하는 제2 과정(SP3,SP4)과; 상기 제2 과정의 판단결과, 키입력이 더블클릭이면 반동작모드로 전환한 다음, 다시 키입력이 발생하면 해당키에 대응되는 동작을 실행하는 제3 과정(SP8,SP9,SP10)과; 키눌림 방지모드가 설정되어 있고, 새로운 키입력이 더블클릭이 아니면 그 키입력이 키눌림 방지 해제키인지를 판단하는 제4 과정(SP5)과; 상기 제 판단결과(SP5), 키입력이 키눌림 방지 해제키가 아니면 키입력을 무시하고, 키입력이 키눌림 방지 해제키이면 완전동작 모드로 전환하는 제5 과정(SP6,SP7)과; 상기 반동작 모드로 전환한후, 일정시간 동안 키입력이 없으면 키눌림 방지모드로 복귀하는 제6 X과정(SP11,SP12)으로 이루어지며, 이와같은 본 발명의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키입력이 발생하면(SP1), 키눌림 방지모드가 설정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 (SP2).
여기서,상기 키눌림 방지모드는, 키눌림 방지 모드가 등록된 특정키를 사용자가 선택하여 설정한다.
상기 판단결과(SP2), 키눌림 방지모드가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해당키에 대응되는 동작을 실행하고(SP3), 키눌림 방지모드가 설정되어 있으면 상기 키입력이 더블클릭인지를 판단한다(SP4).
상기 판단결과(SP4), 키입력이 더블클릭이면 반동작 모드로 전환한 다음 (SP8), 다시 키입력이 발생하면 해당키에 대응되는 동작을 실행한다(SP10).
상기 판단결과(SP4), 키눌림 방지모드가 설정되어 있고, 새로운 키입력이 더블클릭이 아니면 그 키입력이 키눌림 방지 해제키인지를 판단한다(SP5)
상기 판단결과(SP5), 상기 키입력이 키눌림 방지 해제키가 아니면 해당 키입력을 무시하고(SP6), 상기 키입력이 키눌림 방지 해제키이면 완전동작모드로 전환한다.
상기에서 반동작 모드로 전환한 다음(SP8), 일정시간 동안 키입력이 있는지를 판단하여, 일정시간 동안 키입력이 없으면 키눌림 방지모드로 복귀한다(SP11 ,SP12).
이때, 휴대장치의 현재모드가 키눌림 방지모드인지 또는 반동작모드인지를 외부에 알리기 위해, 키눌림 방지모드로 전환 시점 또는 반동작 모드 전환시점에 특정표시(색상)를 외부 표시장치에 표시하여 외부에 알리는데, 예를 들어, 도2와 같이 지금 키눌림 방지모드가 설정되어 있으면 외부 표시장치에 'X'를 표시하고, 반동작모드이면 외부장치에 'O'를 표시한다.
또한, 휴대장치의 키 키눌림 방지모드 도는 반동작 모드를 알리기 위하여, 엘이디를 온/오프시킬 수 있다.
또한, 휴대장치의 현재모드가 키눌림 방지모드인지를 외부에 알리기 위해, 키눌림 방지모드시 키입력이 발생하면 특정음을 발생시키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본 발명에 적용되는 실시예의 장치는, 도3에 도시한 스마트폰, 도4에 도시한 PDA,CDP,미니카세트등과 같이 외부키들이 밖으로 노출되어 있는 장치는 모두 포함된다.
여기서, 주요 버튼이 외부에 드러나 있는 슬라이드 폰의 경우에, 일반적인 동작은 상술한 동작과 동일하고, 다만 슬라이드형 이동단말기의 경우, 슬라이드를 닫는 동작에 의해 키눌림 방지모드를 설정하고, 또한 키눌림 방지 해제키를 선택하여 키눌림 방지모드를 해제하는 대신에, 슬라이드를 여는 동작에 의해 키눌림 방지모드를 해제한다.
도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키의 키눌림 방지모드에서 더블클릭이 발생하면 반동작 모드로 전환하고, 그 반동작 모드시 모든 키들은 더블 클릭을 누르지 않고도 쇼트키(Short Key)를 누르면 동작되도록 하고, 이러한 반동작 모드에서는 마지막으로 버튼을 누른지 일정시간이 지나면 다시 키눌림 방지모드로 복귀시킨다.
이때 상기 키눌림 방지모드 또는 반동작 모드에서 곧바로 완전동작모드로 전환될 수 있는데, 즉 슬라이드폰의 경우에는 사용자가 슬라이드를 열면 완전동작모드로 전환되고, 카세트 플레이어와 같은 장치는 사용자가 키눌림 방지모드 해제키(키눌림 방지모드잠금키를 해제)를 선택하면 완전동작 모드로 전환된다.
상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행해진 구체적인 실시 양태 또는 실시예는 어디까지나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명확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구체적 실시 예에 한정해서 협의로 해석해서는 안되며, 본 발명의 정신과 다음에 기재된 특허 청구의 범위내에서 여러가지 변경 실시가 가능한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롱키 대신에 더블클릭을 사용하여 키눌림 방지모드를 해제하고 반동작모드로 전환되도록 하고, 그 반동작모드에서는 편하게 외부키들을 연속적으로 눌러서 동작을 시킬 수 있으며, 외부키의 입력이 일정시간동안 발생하지 않으면 자동으로 키 눌림 방지 상태로 복귀시킴으로써, 휴대시 발생하는 키눌림에 의한 오동작과 전원소모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9)

  1. 외부에 키 입력수단을 구비한 휴대용 장치에 있어서,
    키입력이 발생하면, 키눌림 방지모드가 설정되어 있는지를 판단하는 제1 과정과;
    상기 제1 과정의 판단결과, 키눌림 방지모드가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해당 키에 대응되는 동작을 실행하고, 키눌림 방지모드가 설정되어 있으면 키입력이 더블클릭인지를 판단하는 제2 과정과;
    상기 제2 과정의 판단결과, 키입력이 더블클릭이면 반동작모드로 전환한 다음, 다시 키입력이 발생하면 해당키에 대응되는 동작을 실행하는 제3 과정으로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장치의 키 눌림 방지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키눌림 방지모드가 설정되어 있고, 새로운 키입력이 더블클릭이 아니면 그 키입력이 키눌림 방지 해제키인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판단결과, 키입력이 키눌림 방지 해제키가 아니면 키입력을 무시하고, 키입력이 키눌림 방지 해제키이면 완전동작 모드로 전환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장치의 키눌림 방지방법.
  3. 제1 항에 있어서, 반동작 모드로 전환한후, 일정시간 동안 키입력이 없으면 키눌림 방지모드로 복귀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장치의 키눌림 방지방법.
  4. 제1 항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키눌림 방지 모드가 등록된 특정키를 눌러 키의 눌림 방지를 설정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장치의 키눌림 방지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슬라이드형 이동단말기의 경우, 슬라이드를 닫는 동작에 의해 키눌림 방지모드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장치의 키눌림 방지방법.
  6. 제2 항에 있어서, 키입력이 키눌림 방지 해제키이면 완전동작 모드로 전환하는 과정은,
    슬라이드형 이동단말기의 경우, 슬라이드를 여는 동작에 의해 키눌림 방지모드를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장치의 키눌림 방지방법.
  7. 제1 항에 있어서, 휴대장치의 현재모드가 키눌림 방지모드인지 또는 반동작모드인지를 외부에 알리기 위해, 키눌림 방지모드로 전환 시점 또는 반동작 모드 전환시점에 특정표시(색상)를 외부 표시장치에 표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장치의 키눌림 방지방법.
  8. 제1 항에 있어서, 휴대장치의 현재모드가 키눌림 방지모드인지 또는 반동작모드인지를 외부에 알리기 위해, 키눌림 방지모드로 전환 시점 또는 반동작 모드 전환시점에 특정 엘이디를 온 또는 오프시키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장치의 키눌림 방지방법.
  9. 제1 항에 있어서, 휴대장치의 현재모드가 키눌림 방지모드인지를 외부에 알리기 위해, 키눌림 방지모드시 키입력이 발생하면 특정음을 발생하도록 설정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장치의 키눌림 방지방법.
KR1020030081627A 2003-11-18 2003-11-18 휴대용 장치의 키눌림 방지방법 KR1005956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1627A KR100595614B1 (ko) 2003-11-18 2003-11-18 휴대용 장치의 키눌림 방지방법
US10/983,707 US7602377B2 (en) 2003-11-18 2004-11-09 Mobile device and method for preventing undesired key depression in the same
CN200410094792XA CN1619471B (zh) 2003-11-18 2004-11-18 移动设备和用于在该设备中防止不希望按键按压的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1627A KR100595614B1 (ko) 2003-11-18 2003-11-18 휴대용 장치의 키눌림 방지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7827A KR20050047827A (ko) 2005-05-23
KR100595614B1 true KR100595614B1 (ko) 2006-06-30

Family

ID=345677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1627A KR100595614B1 (ko) 2003-11-18 2003-11-18 휴대용 장치의 키눌림 방지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602377B2 (ko)
KR (1) KR100595614B1 (ko)
CN (1) CN1619471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7213B1 (ko) 2006-11-30 2011-09-22 모토로라 모빌리티, 인크. 슬라이더 폼 팩터 디바이스에서의 키프레스 검증을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1402199B1 (ko) 2007-05-11 2014-06-02 삼성전자주식회사 입력감지모드에 따른 입력 방법 및 휴대단말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185060B (zh) * 2005-05-25 2010-06-09 Nxp股份有限公司 为终端上电的方法、存储器及其终端
JP4349341B2 (ja) * 2005-08-05 2009-10-21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入力表示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7860538B2 (en) * 2006-02-28 2010-12-28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US7996050B2 (en) * 2006-02-28 2011-08-09 Lg Electronics Inc. Input device for an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US7536201B2 (en) * 2006-03-29 2009-05-19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Motion sensor character generation for mobile device
US8223126B2 (en) * 2007-04-17 2012-07-17 Nokia Corporation Apparatuses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user designation of device functions
JP4916959B2 (ja) * 2007-06-19 2012-04-18 富士通株式会社 キー制御回路、電子機器、携帯装置及びキー制御方法
US8589149B2 (en) * 2008-08-05 2013-11-19 Nuance Communications, Inc. Probability-based approach to recognition of user-entered data
US10048921B2 (en) * 2010-03-02 2018-08-14 Qualcomm Incorporated Controlling a multimedia device in remote display mode
FR2960087B1 (fr) * 2010-05-12 2013-08-30 Compagnie Ind Et Financiere Dingenierie Ingenico Dispositif portable comprenant un ecran tactile et procede d'utilisation correspondant.
CN102004559A (zh) * 2010-11-30 2011-04-06 汉王科技股份有限公司 使用按键输入信息的方法以及设置有按键的电子设备
US20130036377A1 (en) * 2011-08-05 2013-02-07 Nokia Corporation Controlling responsiveness to user inputs
CN103037096A (zh) * 2012-12-19 2013-04-10 Tcl通讯(宁波)有限公司 一种触摸式侧键及其功能实现方法和手机
CN104076889A (zh) * 2014-05-28 2014-10-01 赵海林 一种电子设备及基于电子设备恢复默认配置的方法
US9377871B2 (en) 2014-08-01 2016-06-28 Nuance Communications, Inc. System and methods for determining keyboard input in the presence of multiple contact points
CN104714736A (zh) * 2015-03-26 2015-06-17 魅族科技(中国)有限公司 一种退出全屏锁定状态的控制方法及终端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1354A (ja) * 1985-07-09 1987-01-20 Alpine Electron Inc 自動車電話システムの機能ロツク方法
GB2243117B (en) * 1990-04-20 1994-04-20 Technophone Ltd Portable radio telephone
FI101846B1 (fi) 1995-10-13 1998-08-31 Nokia Mobile Phones Ltd Näppäimistölukon aktivointi
SE507449C2 (sv) * 1996-03-01 1998-06-08 Ericsson Telefon Ab L M Förfarande och anordning för aktivering och automatisk inaktivering av knappsats till en mobilradioterminal
KR100193829B1 (ko) 1996-06-26 1999-06-15 윤종용 이동무선전화기의 키잠금 제어장치 및 방법
KR100236596B1 (ko) 1997-05-29 2000-01-15 서평원 디지탈 이동전화기의 키 잠금방법
GB2334850A (en) * 1998-02-27 1999-09-01 Nokia Mobile Phones Ltd A communication device with a keyboard cover mounted upon sliding rods
EP0973310A1 (fr) * 1998-07-16 2000-01-19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Radiotéléphone ayant une fonction de verrouillage du clavier
US8064886B2 (en) * 1999-08-12 2011-11-2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Control mechanisms for mobile devices
US6449492B1 (en) * 1999-12-02 2002-09-10 Qualcomm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 for preventing inadvertant operation of a manual input device
KR100391769B1 (ko) * 2000-09-02 2003-07-16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입력 방법
KR20020031572A (ko) 2000-10-21 2002-05-02 윤종용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버튼 홀딩장치
US6874094B2 (en) * 2000-12-19 2005-03-29 Microsoft Corporation Method for locking user input elements for a small computer device by ignoring input signals if a locking signal is generated by a calendar-type application program
US6892081B1 (en) * 2001-05-31 2005-05-10 Nokia Corporation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operation using content sensitive menu keys in keypad locked mode
JP3906044B2 (ja) 2001-08-22 2007-04-18 三洋電機株式会社 携帯電子機器
US7414613B2 (en) * 2002-03-04 2008-08-19 Nokia Corporation Method for intermediate unlocking of a keypad on a mobile electronic device
DE10235546A1 (de) * 2002-03-25 2003-10-09 Agere Syst Guardian Corp Automatische Tastaturentriegelung für Mobiltelefone auf der Basis von mehreren Tasteneingaben
JP2003319042A (ja) * 2002-04-25 2003-11-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携帯端末機器
JP4080395B2 (ja) * 2002-08-02 2008-04-23 シャープ株式会社 携帯型情報処理装置
US6782251B2 (en) * 2002-09-26 2004-08-24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a lost mobile communication device
US7099684B2 (en) * 2002-12-30 2006-08-29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tecting against an inadvertent keystrok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7213B1 (ko) 2006-11-30 2011-09-22 모토로라 모빌리티, 인크. 슬라이더 폼 팩터 디바이스에서의 키프레스 검증을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1402199B1 (ko) 2007-05-11 2014-06-02 삼성전자주식회사 입력감지모드에 따른 입력 방법 및 휴대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7827A (ko) 2005-05-23
CN1619471B (zh) 2010-05-26
US7602377B2 (en) 2009-10-13
CN1619471A (zh) 2005-05-25
US20050107126A1 (en) 2005-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95614B1 (ko) 휴대용 장치의 키눌림 방지방법
KR101555511B1 (ko) 압전 센서를 이용한 휴대 단말기의 홀드 기능 제어 방법 및장치
US712047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mobile device by using a pivoting input switch
US5241583A (en) Portable radio telephone which terminates an electronic keypad lock function upon sensing an incoming call
KR101050642B1 (ko) 와치 폰 및 상기 와치 폰에서 통화수행 방법
TWI517656B (zh) 在螢幕鎖定狀態下的來電處理方法、通話裝置及其儲存媒體
AU2010296787B2 (en) Electronic device
US9160831B2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operation in wireless terminal with removable case
KR20090024006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휴대 단말기의 터치 인식 방법
CN100388213C (zh) 应用程序切换方法及系统
KR20030046891A (ko) 상폴더 외부에 터치스크린과 기능키를 구비하는 폴더형이동통신단말기
KR20090011503A (ko) 휴대단말기 및 그 메뉴 아이콘 디스플레이 방법
US8285323B2 (en)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for input interface auto-lock thereof
KR100238130B1 (ko) 휴대형 전화기 및 휴대형 정보 단말기가 복합된 휴대형 복합무선 단말기와 그의 디스플레이 제어방법
US20060019706A1 (en) Mobile phone with mouse device
KR101332329B1 (ko) 디바이스 제어 기능을 갖춘 모바일 디바이스용 보호 케이스
JP4138849B1 (ja) 電子機器
KR100666264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외부 키 잠금 제어 방법 및 그이동통신 단말기
US7379709B2 (en) Bluetooth smart mode switching for security and privacy
JP5902898B2 (ja) 携帯電話、実行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2330198A (ja) 携帯電話機
KR101144350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오동작 방지 장치 및 방법
JP2004260486A (ja) 携帯電話機
JPH11298571A (ja) 携帯電話機
JP2010109892A (ja) 携帯端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2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