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4770B1 - Reverse link data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in a signal repeater - Google Patents

Reverse link data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in a signal repeat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4770B1
KR100594770B1 KR1019990034720A KR19990034720A KR100594770B1 KR 100594770 B1 KR100594770 B1 KR 100594770B1 KR 1019990034720 A KR1019990034720 A KR 1019990034720A KR 19990034720 A KR19990034720 A KR 19990034720A KR 100594770 B1 KR100594770 B1 KR 1005947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digital
sector
repeater
optical repe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472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10018675A (en
Inventor
홍성철
신성호
김후종
이충우
김용훈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900347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4770B1/en
Publication of KR200100186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867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47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477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29Repea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85Space-based or airborne stations; Stations for satellite systems
    • H04B7/1853Satellite systems for providing telephony service to a mobile station, i.e. mobile satellite service
    • H04B7/18532Arrangements for managing transmission, i.e. for transporting data or a signalling mess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stronomy & Astrophysic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데이터 처리 기술을 이용하여 기지국과 중계기로부터 생성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시킨 후, 광선로를 통해 전송하는 디지털 광중계기의 역방향 링크에서의 데이터 처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무선 수신된 고주파신호를 담당 섹터의 디지털데이터로 변환하는 A/D변환기(321); 후단의 디지털 광중계기(330)로부터 입력되는 역방향 디지털스트림을 각 섹터별 데이터로 분리하는 디먹스(322); 상기 변환된 디지털 데이터의 전송경로를 절환하는 스위치(323); 상기 스위치(323)를 통한 디지털데이터와 상기 분리된 각 섹터 데이터의 합산을 위한 섹터 데이터 합산기(324a,324b,324c); 상기 스위치(323)를 통한 디지털 데이터와 상기 각 데이터 합산기(324a,324b,324c)로부터 출력된 각 섹터 데이터를 단일 전송 스트림으로 변환하여 전단의 디지털 광중계기(310)로 전송하는 먹스(325); 및 상기 디먹스(322)에 의해 분할된 각 섹터 데이터의 유/무 및 섹터 종류에 의거하여 상기 스위치(323)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고, 해당 광중계기(320)의 상기 담당 섹터의 설정 및 상기 담당 섹터 데이터의 유효 데이터 비트 수를 제어하는 제어부(326)로 구성되어, 역방향 링크 통화품질을 향상시킨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ata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in a reverse link of a digital optical repeater that converts an analog signal generated from a base station and a repeater to digital data using digital data processing technology and then transmits the optical signal through an optical path. An A / D converter 321 for converting the received high frequency signal into digital data of a corresponding sector; Demux 322 for separating the reverse digital stream input from the rear digital optical repeater 330 into data for each sector; A switch 323 for switching a transmission path of the converted digital data; Sector data summers (324a, 324b, 324c) for summing digital data through the switch (323) and the separated respective sector data; The mux 325 converts the digital data through the switch 323 and the sector data output from each of the data summers 324a, 324b, and 324c into a single transport stream and transmits the digital data to the digital optical repeater 310 of the front end. ; And controlling the switching operation of the switch 323 based on the presence / absence of each sector data divided by the demux 322 and the type of sector, and setting the sector in charge of the optical repeater 320. And a control unit 326 for controlling the number of valid data bits of the responsible sector data, thereby improving reverse link call quality.

이동전화 기지국, 디지털 광중계기, 섹터, 역방향 링크, 데이지 체인Mobile base stations, digital repeaters, sectors, reverse links, daisy chains

Description

디지털 광중계기의 역방향 링크 데이터 처리 장치 및 방법{Reverse link data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in a signal repeater} Reverse link data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in a signal repeater

도 1은 종래의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아날로그 중계기를 사용하여 기지국을 확장하는 일예를 도시한 도면,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extending a base station using an analog repeater in a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system,

도 2는 도 1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2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FIG.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단일의 이동 통신 기지국과 복수의 디지털 광중계기가 광선로를 매개로 하여 데이지 체인 방식으로 연결되어 있는 도면,3 is a diagram in which a single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and a plurality of digital optical repeaters are daisy-chained via a light pat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도 3의 디지털 광중계기의 역방향 링크 데이터 처리장치의 블록도,4 is a block diagram of a reverse link data processing apparatus of the digital optical repeater of FIG.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역방향 링크 데이터 프레임 구조를 나타낸 도면,5 illustrates a reverse link data fram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 내지 도 8은 도 4의 디지털 광중계기가 모두 기지국의 동일한 섹터에 할당되어 있을 경우의 역방 링크 데이터 처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데이터 구조도로서,6 to 8 are data structure diagrams for describing reverse link data processing when all the digital optical repeaters of FIG. 4 are allocated to the same sector of a base station.

도 6의 (A)(B)(C)는 도 4의 각 중계기에서 디지털 변환된 데이터 구조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6A, 6B, and 6C illustrate an example of a data structure digitally converted in each repeater of FIG.

도 6의 (D)는 도 4의 제 3 디지털 광중계기의 출력 데이터 프레임 구조도,6D is an output data frame structure diagram of the third digital optical repeater of FIG. 4,

도 7의 (A)(B)(C)는 도 4의 제 2 디지털 광중계기에서의 합산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디지털 데이터 구조도,7A, 7B, and 7C are digital data structure diagrams for explaining a summing process in the second digital optical repeater of FIG.

도 7의 (D)는 도 4의 제 2 디지털 광중계기의 출력 데이터 프레임 구조도,7D is an output data frame structure diagram of the second digital optical repeater of FIG. 4,

도 8의 ( A)(B)는 도 4의 제 1 디지털 광중계기에서의 합산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디지털 데이터 구조도,8A and 8B are digital data structure diagrams for explaining a summing process in the first digital optical repeater of FIG.

도 8의 (C)는 도 4의 제 1 디지털 광중계기의 출력 데이터 프레임 구조도,FIG. 8C is a structure diagram of an output data frame of the first digital optical repeater of FIG.

도 9의 (A)-(F)는 도 4의 디지털 광중계기가 각각 다른 섹터로 할당되어 있을 경우의 역방향 링크 데이터 처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데이터 구조도,9 (A)-(F) are data structure diagrams for explaining a reverse link data processing process when the digital optical repeaters of FIG. 4 are allocated to different sectors;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광중계기들의 역방향 유효 데이터 bit수가 다른 경우의 역방향 링크 데이터 처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FIG. 10 is a diagram for describing a reverse link data processing process when the number of reverse valid data bits of digital optical repeate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ifferent;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광중계기의 역방향 링크 처리장치의 제어부를 설명하는 도면,11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ntrol unit of the reverse link processing apparatus of the digital optical repea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2 내지 도 14는 도 10의 디지털 광중계기들의 역방향 링크 데이터 처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데이터 구조도로서,12 to 14 are data structure diagrams illustrating a reverse link data processing process of the digital optical repeaters of FIG. 10.

도 12의 (A)는 도 10의 제 3 디지털 광중계기에서의 디지털 합산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데이터 구조도,12A is a data structure diagram for explaining a digital summation process in the third digital optical repeater of FIG. 10;

도 12의 (B)는 도 10의 제 3 디지털 광중계기로부터 제 2 디지털 광중계기로 전송되는 디지털 프레임의 구조도,12B is a structural diagram of a digital frame transmitted from the third digital optical repeater of FIG. 10 to the second digital optical repeater,

도 13의 (A)는 도 10의 제 2 디지털 광중계기에서의 디지털 합산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데이터 구조도,FIG. 13A is a data structure diagram illustrating a digital summation process in the second digital optical repeater of FIG. 10;

도 13의 (B)는 도 10의 제 2 디지털 광중계기로부터 제 1 디지털 광중계기로 전송되는 디지털 프레임의 구조도,13B is a structural diagram of a digital frame transmitted from the second digital optical repeater of FIG. 10 to the first digital optical repeater,

도 14의 (A)는 도 10의 제 1 디지털 광중계기에서의 디지털 합산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데이터 구조도,14A is a data structure diagram for explaining a digital summation process in the first digital optical repeater of FIG. 10;

도 14의 (B)는 도 10의 제 1 디지털 광중계기로부터 기지국으로 전송되는 디지털 프레임의 구조도 이다.FIG. 14B is a structural diagram of a digital frame transmitted from the first digital optical repeater of FIG. 10 to the base sta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code for main part of drawing

300 : 이동전화 기지국 310,320,330,340 : 디지털 광중계기   300: mobile phone base station 310,320,330,340: digital optical repeater

311,321,331,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 312,322,332 : 디먹스(DEMUX)   311,321,331, Analog-to-Digital Converters 312,322,332: Demux

313,323,333 : 스위치    313,323,333: switches

314a,324a,334a : α섹터 데이터 합산기   314a, 324a, 334a: α sector data summer

314b,324b,334b : β섹터 데이터 합산기   314b, 324b, 334b: β sector data summer

314c,324c,334c : γ섹터 데이터 합산기   314c, 324c, 334c: γ sector data summer

315,325,335 : 먹스(MUX) 316,326,336 : 제어부   315,325,335: MUX 316,326,336: control unit

본 발명은 디지털 광중계기의 역방향 링크 데이터 처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디지털 데이터 처리 기술을 이용하여 기지국과 중계기로부터 생성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시킨 후 광선로를 통해 전송하는 디지털 광중계기에 있어서, 그 광중계기의 역방향 링크에서의 데이터 처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reverse link data processing of a digital optical repeater, and more particularly, to convert analog signals generated from a base station and a repeater to digital data using digital data processing technology, and then transmit the digital signals through optical paths. In an optical repeate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ata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in a reverse link of the optical repeater.

최근 이동전화 가입자의 증가와 더불어 소비자의 다양한 사용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이동전화 사업자는 전파 음영지역을 최소화하기 위한 노력을 계속하고 있다. 전파 음영지역을 줄이기 위한 한 방안으로 광중계기, 마이크로웨이브 중계기, 및 레이저 중계기 등 각종 방식의 중계기들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들 중계기들은 광섬유, 마이크로웨이브, 레이저와 같이 각각 다른 형태의 전송매체를 사용하고 있지만, 각각의 매체를 통해 전송되는 신호의 형태는 모두 동일한 아날로그 신호 형태를 사용하고 있다.Recently, with the increase of mobile subscribers, in order to satisfy various needs of consumers, mobile phone operators continue to make efforts to minimize the radio shadow area. In order to reduce the radio shadow area, various types of repeaters such as optical repeaters, microwave repeaters, and laser repeaters are widely used. Although these repeaters use different types of transmission media such as optical fibers, microwaves, and lasers, the types of signals transmitted through each medium use the same analog signal type.

도 1은 종래의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아날로그 중계기를 사용하여 기지국을 확장하는 일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일 이동 통신 기지국(10)과 복수개의 중계기(11)가 광케이블(Optic cable)을 매개로 각각 일대일로 연결되어 각 영역에 설치됨으로써, 기지국의 서비스 영역을 확장하는 것이다. 1 illustrates an example of extending a base station using an analog repeater in a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s shown in the figure, a single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10 and a plurality of repeaters 11 are optical cables (Optic). It is connected to each other one by one via a cable) to be installed in each area, thereby extending the service area of the base station.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이동 통신 기지국의 영역 확장 방식은, 중계기의 추가 설치가 필요할 경우, 그 추가 설치되는 수만큼의 별도의 전송 선로가 필요하고, 또한 기지국으로부터 원거리에 중계기를 설치할 경우 전송선로의 길이가 매우 길어지게 되어 설치의 어려움과 아울러 비용이 증가되는 문제가 있었다.By the way, in the conventional area expansion metho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when additional repeaters are required to be installed, as many additional transmission lines as the additional numbers are installed, and when repeaters are installed at a long distance from the base station, The length is very long, there was a problem of increasing the cost and difficulty of installation.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종래의 기지국 확장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신호를 복수개의 방향으로 분리하고 복수 광신호를 합성하여 전송하는 광 결합기(Optic coupler)(21)를 각 중계기(20)내에 구비하고, 단일 기지국(10)과 상기 복수개의 중계기(20)가 광 케이블에 의해 일렬로 유선 연결되도록 하였다. 따라서, 기지국(10)으로부터 광케이블을 통해 중계기(20)로 송출된 아날로그 광신호가, 광 결합기(optic coupler)(21)에 의해 해당 중계기(20)내의 광파장 분할 다중화기(미도시)로 입력되도록 하는 동시에, 광 케이블을 통해 상기 중계기(20)의 후단에 유선 연결된 타 중계기들로 입력되도록 하며, 역방향의 경우에는 후단의 중계기에서 전단의 중계기로 신호가 넘어갈 때마다 해당 중계기가 자체 수신한 고주파 신호에 상응하는 광신호를, 후단의 중계기에서 수신하여 변환된 광신호와 함께 전단의 중계기로 송신하는 과정을 거쳐 기지국에 입력되도록 하였다.The conventional base station expansion apparatus proposed to solve such a problem, as shown in Figure 2, the optical coupler (Optic coupler) 21 for separating the optical signal in a plurality of directions and synthesized and transmitted a plurality of optical signals Is provided in each repeater 20, and a single base station 10 and the plurality of repeaters 20 are wired in a line by an optical cable. Accordingly, the analog optica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base station 10 to the repeater 20 through the optical cable is input to the optical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er (not shown) in the repeater 20 by the optical coupler 21. At the same time, it is input to other repeaters connected to the rear end of the repeater 20 through an optical cable, and in the reverse case, each time the signal is passed from the repeater at the rear end to the repeater at the front end, the corresponding repeater receives the high frequency signal itself received. The corresponding optical signal is inputted to the base station through a process of receiving the converted optical signal and transmitting the converted optical signal to the preceding repeater.

이와 같은 방식에 따라 중계기를 추가 설치하는 경우, 추가 설치되는 중계기와 기존에 설치되는 중계기간의 전송선로만을 추가 설치하면 되고, 따라서 중계기 확장에 따른 전송선로의 길이를 최소화함으로써 이전에 비해 보다 경제적인 확장성을 제공하게 되었다.When additional repeaters are installed in this way, only additional transmission lines for additional repeaters and existing repeater periods need to be additionally installed, thus minimizing the length of transmission lines due to repeater expansion, which is more economical than before. It provides scalability.

그러나, 상기와 같이 제안된 종래의 기지국 확장장치는 아날로그 전송 방식 이기 때문에, 중계기 각각이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신호의 감쇠비가 모두 틀리게 되고, 역방향의 신호 전송시 각 중계기를 거칠 때마다 해당 중계기에서 발생된 잡음이 계속 누적적으로 더해짐으로써, 신호의 합성에 비례하여 기지국이 수신하는 신호의 잡음이 커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since the conventional base station extension apparatus proposed as described above is an analog transmission method, the attenuation ratios of the signals received from the base station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each time the repeater passes through each repeater in reverse signal transmission, As noise continues to accumulat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noise of the signal received by the base station increases in proportion to the synthesis of the signal.

이와 같이, 기존에 사용되어 온 중계기들은 기지국과 중계기 간 전송되는 신호의 형태로 아날로그 신호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기지국과 중계기 간 전송거리에 상응하여 신호가 감쇠되는 문제가 발생되고, 이로 인해 중계기는 기지국으로부터 전송 손실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만 설치되어야 했다. 따라서, 중계기의 위치 선정에 많은 제약이 따르게 되며, 또한 기지국에 하나 이상의 중계기를 연결하여 사용할 경우 연결된 중계기 수가 증가할수록 역방향 노이즈가 증가하게 되어, 통화품질이 저하되므로, 하나의 기지국에 연결할 수 있는 중계기의 개수에 제한이 있었다. As such, since the repeaters used in the past use analog signals in the form of signals transmitted between the base station and the repeater, a problem arises in that the signal is attenuated in accordance with the transmission distance between the base station and the repeater. It had to be installed only to the extent that transmission loss from the base station was acceptable. Therefore, a lot of restrictions are placed on the location of the repeater, and when one or more repeaters are connected to the base station, as the number of connected repeaters increases, the reverse noise increases as the call quality decreases. There was a limit on the number of.

아날로그 전송방식을 택함으로써 발생하게되는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최근 들어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디지털 전송방식을 이용한 디지털 광중계기가 제안된 바 있는 데, 디지털 광중계기는 디지털로 변환된 데이터를 전송하므로, 전송거리에 비례한 신호의 감쇠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수의 중계기 연결 사용에 의한 역방향 신호의 잡음 증가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또한, 디지털 데이터를 사용함에 따라 원격에서 디지털 광중계기의 감시 및 제어를 쉽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order to solve the fundamental problem caused by adopting the analog transmission method, a digital optical repeater using a digital transmission method that converts an analog signal into digital data and transmits it has recently been proposed. By transmitting the data converted into, it is possible not only to solve the problem of attenuation of the signal proportional to the transmission distance, but also to solve the problem of increasing the noise of the reverse signal by using a plurality of repeater connections. Has the advantage of easy monitoring and control of digital optical repeater.

본 발명은 디지털 광중계기의 장점을 모두 획득하면서 상기와 같은 기존의 아날로그 광중계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작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하나의 기지국에 복수의 디지털 광중계기들을 일렬로 유선 연결하여, 상기 기지국과 디지털 광중계기들 간의 신호 송수신이 디지털 방식으로 수행되도록 하되, 각 디지털 광중계기에 대한 다양한 섹터 할당이 가능하도록 하고, 할당된 각 섹터의 역방향 신호 데이터의 유효 비트 수를 제어할 수 있도록 된 디지털 광중계기의 역방향 링크 데이터 처리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analog optical repeater while acquiring all the advantages of the digital optical repeater, and an object thereof is to connect a plurality of digital optical repeaters in a line to a single base station, Digital transmission and reception between the base station and the digital optical repeater is performed digitally, allowing various sector allocations for each digital optical repeater and controlling the number of effective bits of reverse signal data of each allocated sector.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verse link data processing apparatus for an optical repeater.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광중계기의 역방향 링크 데이터 처리 장치는, 기지국과 단말기간의 송/수신 신호를 중계하는 장치에 있어서, 단말기 측으로부터 무선 수신된 고주파신호를 담당 섹터의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수단; 후단의 디지털 광중계기로부터 입력되는 역방향 디지털 스트림을 각 섹터별 데이터로 역다중화하는 역다중화수단;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수단에 의해 변환된 디지털 데이터의 전송섹터를 선택하는 선택수단; 상기 섹터 선택된 디지털 데이터를 상기 역다중화된 섹터 데이터 중 해당 섹터 데이터에 합산하는 합산수단; 상기 변환된 비합산 디지털 데이터와 해당 섹터 데이터에 합산된 데이터 중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합산수단으로부터 출력된 나머지 섹터 데이터와 다중화시켜 단일 전송 스트림으로 변환한 후, 전단의 디지털 광중계 기로 전송하는 다중화수단; 및 상기 역다중화된 각 섹터 데이터의 유/무 및 섹터 종류에 의거하여 상기 선택수단의 섹터 선택과 상기 다중화 수단의 비합산 또는 합산 신호의 선택 및 상기 변환된 디지털 데이터의 유효 데이터 비트 수를 설정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특히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해당 광중계기의 트래픽 부하에 따라 상기 유효 데이터 비트 수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reverse link data processing apparatus of a digital optical repea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device for relaying a transmission / reception signal between a base station and a terminal. Analog / digital conversion means for converting into digital data; Demultiplexing means for demultiplexing a reverse digital stream input from a rear digital repeater into data for each sector; Selecting means for selecting a transmission sector of digital data converted by said analog / digital converting means; Summing means for summing the sector selected digital data to corresponding sector data of the demultiplexed sector data; Multiplexing means for selecting one of the converted non-summing digital data and the data added to the corresponding sector data and multiplexed with the remaining sector data output from the summing means converted to a single transport stream, and then transmitted to the digital optical repeater of the front end ; And based on the presence / absence of each demultiplexed sector data and a sector type, selecting a sector of the selection means, a non-summing or summation signal of the multiplexing means, and setting the number of valid data bits of the converted digital data. And the control means, in particular,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rol means sets the number of valid data bits according to the traffic load of the optical repeater.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광중계기의 역방향 링크 데이터 처리 방법은, 단일 기지국에 복수의 디지털 광중계기가 광선로를 매개로 일렬로 연결되어, 상기 광중계기로부터 생성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시킨 후 상기 광선로를 통해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디지털 데이터 통신 방법에 있어서, 단말기 측으로부터 무선 수신된 고주파신호를 담당 섹터의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제 1 단계; 상기 디지털 데이터에 의한 트래픽 부하에 따라 상기 변환된 디지털 데이터의 유효 비트 수를 조정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유효 비트 조절된 디지털 데이터를 후단의 디지털 광중계기로부터 입력되는 디지털 스트림의 해당 섹터 데이터에 결합한 후, 전단의 디지털 광중계기로 전송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특히 상기 제 2 단계에서의 상기 유효 데이터 비트수의 조절은, 전송 프레임의 길이, 상기 복수의 디지털 광중계기의 총 개수 및 각 트래픽 크기에 근거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in the reverse link data processing method of a digital optical repea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digital optical repeaters are connected in a line to a single base station via a light path, thereby receiving an analog signal generated from the optical repeater. A digital data communication method for converting digital data and then transmitting the digital data to the base station, the digital data communication method comprising: a first step of converting a radio frequency signal wirelessly received from a terminal to digital data of a corresponding sector; Adjusting a number of valid bits of the converted digital data according to the traffic load by the digital data; And a third step of combining the effective bit-adjusted digital data with the corresponding sector data of the digital stream input from the digital repeater of the next stage, and then transmitting the digital data to the front end of the digital optical repeater, in particular in the second step. The control of the number of effective data bits of the control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ransmission frame length, the total number of the plurality of digital optical repeaters and the size of each traffic.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광중계기의 역방향 링크 데이터 처리 장치 및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n apparatus and method for reverse link data processing of a digital optical repeat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단일의 이동 통신 기지국(300)과 복수의 디지털 광중계기(310,320,330,340)가 광선로(350)를 매개로 하여 데이지 체인(daisy-chain) 방식으로 연결되어 있는 도면을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기지국(300)과 상기 디지털 광중계기(310,320,330,340)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데이터 신호로 변환함과 아울러 디지털 데이터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신호 변환기(AD/DA)(301,311,321,331,341)를 각각 구비하고 있다.3 illustrates a single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300 and a plurality of digital optical repeaters 310, 320, 330, and 340 connected in a daisy-chain manner via a light path 35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the base station 300 and the digital optical repeater (310, 320, 330, 340) is a signal converter (AD / DA) (301, 311, 321, 331, 341) for converting an analog signal into a digital data signal, and also converts the digital data signal into an analog signal. Each is provided.

상기 기지국(300)은 자체의 무선 송.수신 기능에 더하여 상기 디지털 광중계기(310-340)와 디지털 스트림 신호로 유선 통신하기 위한 기능 즉, 아날로그 중간주파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이것을 상기 광선로(350)의 채널 용량에 적합한 디지털 스트림으로 신호처리하거나, 이와 반대로 수신된 디지털 스트림을 아날로그 중간주파 신호로 변환 처리하는 기능을 갖으며, 상기 각 디지털 중계기(310-340)는 해당 디지털 광중계기와 상기 기지국(300)( 또는 전단(前段)의 디지털 광중계기 ) 및 후단(後段)의 디지털 광중계기와의 디지털 스트림의 송·수신을 수행한다.The base station 300 has a function for wired communication with the digital optical repeater 310-340 as a digital stream signal in addition to its own wireless transmission / reception function, that is, converts an analog intermediate frequency signal into a digital signal and converts it into the optical path. Signal processing into a digital stream suitable for the channel capacity of 350, or vice versa converts the received digital stream into an analog intermediate frequency signal, each of the digital repeater (310-340) and the corresponding digital optical repeater The digital stream is transmitted and received to the base station 300 (or the digital optical repeater at the front end) and the digital optical repeater at the rear end.

도 4는 도 3의 각 디지털 광중계기에 구비된 역방향 링크 데이터 처리 장치의 블록 구성도로서. 모든 디지털 광중계의 구성은 동일하므로 참조번호 320의 디지털 광중계기내에 구비된 역방향 링크 데이터 처리장치를 대표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FIG. 4 is a block diagram of a reverse link data processing apparatus included in each digital optical repeater of FIG. 3. FIG. Since all digital optical repeaters have the same configuration, a reverse link data processing apparatus provided in the digital optical repeater 320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역방향 링크 데이터 처리장치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미도시) 측으로부터 안테나(Ant.)를 통해 무선 수신된 고주파신 호를 담당 섹터의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털(A/D) 변환기(321); 후단의 디지털 광중계기(330)로부터 입력되는 역방향 디지털 스트림을 각 섹터별 데이터로 분리하는 디먹스(DEMUX)(322);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321)에 의해 변환된 디지털 데이터의 전송경로를 선택하는 스위치(323); 상기 스위치(323)를 통한 디지털 데이터를 상기 디먹스(322)에 의해 분리된 각 섹터 데이터의 해당 섹터 데이터에 합산하기 위하여, 상기 분리되는 각 섹터에 대응 설치된 α섹터 데이터 합산기(324a),β섹터 데이터 합산기(324b) 및 γ섹터 데이터 합산기(324c); 상기 스위치(323)를 통한 디지털 데이터와 상기 각 디지털 합산기(324a,324b,324c)로부터 출력된 각 섹터 데이터를 시분할로 순차선택하고 단일 전송 스트림으로 변환하여 전단의 디지털 광중계기(310)로 전송하는 먹스(MUX)(325); 및 상기 디먹스(322)에 의해 분할된 각 섹터 데이터의 유/무 및 섹터 종류에 의거하여 상기 스위치(323)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먹스(325)의 비합산 또는 합산 신호의 선택 및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321)에 의해 변환된 디지털 데이터의 유효 데이터 비트 수를 설정하는 제어부(326)로 구성되어 있다.In the reverse link data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4, a radio frequency signal wirelessly received from the terminal (not shown) through an antenna (Ant.) Is converted into digital data of a corresponding sector. An analog / digital (A / D) converter 321 for converting; A demux (DEMUX) 322 for separating the reverse digital stream input from the rear digital optical repeater 330 into data for each sector; A switch 323 for selecting a transmission path of the digital data converted by the analog / digital converter 321; [Alpha] sector data adder 324a, [beta] provided corresponding to each sector to be separated in order to sum the digital data through the switch 323 to the corresponding sector data of each sector data separated by the demux 322. Sector data summer 324b and gamma sector data summer 324c; The digital data through the switch 323 and the sector data output from each of the digital summers 324a, 324b, and 324c are sequentially selected in time division, converted into a single transport stream, and transmitted to the digital optical repeater 310 at the front end. Mux 325; And controlling the switching operation of the switch 323 based on the presence / absence of each sector data divided by the demux 322 and the sector type, and selecting a non-summing or summation signal of the mux 325. And a control unit 326 for setting the number of valid data bits of the digital data converted by the analog-digital converter 321.

이어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광중계기의 역방향 링크 데이터 처리 장치의 동작 및 그에 따른 방법에 대하여 각각의 운용 상황 별로 구분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Next, the operation and method thereof of the reverse link data processing apparatus of the digital optical repea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for each operation situation.

첫째, <도 4의 디지털 광중계기(310,320,330)가 모두 기지국의 동일한 섹터에 할당되어 있을 경우> First, when the digital optical repeaters 310, 320, and 330 of FIG. 4 are all allocated to the same sector of the base station >

도 4에서 3개의 디지털 광중계기(310,320,330)가 단일 기지국(300)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디지털 광중계기(310,320,330) 모두가 기지국의 α섹터에 할당 된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상기 각 광중계기의 섹터 할당은 상기 제어부(326)를 통하여 원격 또는 현장에서 변경 조정할 수 있다.In FIG. 4, three digital optical repeaters 310, 320, 330 are connected to a single base station 300, and all of the digital optical repeaters 310, 320, 330 are allocated to an α sector of the base station. Here, the sector allocation of each optical repeater can be changed or adjusted remotely or on-site through the control unit 326.

또한, 역방향 링크를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의 프레임 구조는 도 5와 같은 형태로 각 섹터 신호는 8bit 길이를 가진 디지털 데이터로 표현되어지고(구현 방법에 따라서 데이터의 길이는 달라질 수 있음. 이하 8bit로 가정) 3개의 섹터 데이터는 시분할다중화 방식으로 합쳐져서 하나의 전송프레임을 구성한다.In addition, the frame structure of the data transmitted through the reverse link is shown in FIG. 5, and each sector signal is represented by 8-bit digital data (depending on the implementation method, the data length may vary. The three sector data are combined in a time division multiplexing scheme to form one transport frame.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각 디지털 광중계들(310,320,330)이 모두 기지국(300)의 동일한 α 섹터에 할당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각 디지털 광중계기(310,320,330)에서 생성되는 데이터는 기지국에서 결국 α섹터로 하나의 동일한 섹터 데이터이다. 따라서, 각각의 디지털 광중계기(310,320,330)의 데이터는 역방향 링크를 통해서 기지국으로 전송되는 과정 중 디지털 합산 과정을 거쳐 하나의 섹터 데이터로 표현되어 진다.As described above, when each of the digital optical relays 310, 320, 330 is all allocated to the same α sector of the base station 300, the data generated by each of the digital optical repeaters 310, 320, 330 is eventually transmitted to the α sector at the base station. The same sector data. Therefore, the data of each digital optical repeater (310, 320, 330) is represented as one sector data through a digital summation process of the process transmitted to the base station through the reverse link.

먼저, 도 4에 표시된 제 3 디지털 광중계기(330)의 안테나(Ant.3)를 통해서 들어온 제 3 아날로그 신호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331)에서 도 6의 (A)와 같은 형태의 8bit 디지털 데이터로 바뀌게 된다. 상기 제 3 디지털 광중계기(330)는 도 4에 나타난 것과 같이 연결된 디지털 광중계기들(310-330) 중 최종단에 위치한 중계기이므로, 디지털 합산 과정을 거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331)의 출력 데이터는 제어부(336)의 제어에 따른 스위치(333)의 스위칭 동작 에 의해 전송프레임을 만드는 장치인 먹스(335)로 보내지게 된다. First, the third analog signal inputted through the antenna Ant. 3 of the third digital optical repeater 330 shown in FIG. 4 is 8-bit digital data having the form as shown in FIG. 6A in the analog / digital converter 331. Will change to The third digital optical repeater 330 is a repeater located at the last stage of the connected digital optical repeaters 310-330 as shown in FIG. 4, and thus does not undergo a digital summation process. Therefore, the output data of the analog-to-digital converter 331 is sent to the mux 335 which is a device for creating a transmission frame by the switching operation of the switch 333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336.

상기 먹스(335)는 각각 8bit로 구성된 3개의 섹터 데이터를 시분할 다중화 방식을 통해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전송프레임으로 만드는 장치이다. 상기 제 3 디지털 광중계기(330)는 α섹터로 할당되어진 중계기이므로, 상기 먹스(335)는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331)로부터 전달받은 8bit 데이터를 전송프레임에서 α섹터가 할당되어 있는 자리에 채우고, 나머지 β섹터와 γ섹터 가 할당되어 있는 자리에는 0을 채운 후 도 6의 (D)와 같은 형태의 전송프레임을 만들어 전단의 제 2 디지털 광중계기(320)로 전송한다.The mux 335 is a device that makes three sector data each composed of 8 bits into a transmission frame as shown in FIG. 5 through time division multiplexing. Since the third digital optical repeater 330 is a repeater allocated to the α sector, the mux 335 fills the 8-bit data received from the analog-to-digital converter 331 in the position where the α sector is allocated in the transmission frame. Next, the remaining β sector and the gamma sector are filled with zeros, and then a transmission frame having a shape as shown in FIG. 6 (D) is made and transmitted to the second digital optical repeater 320 of the front end.

상기 제 2 디지털 광중계기(320)의 제어부(326)는, 후단에 연결된 상기 제 3 디지털 광중계기(330)와 자신이 모두 α섹터로 할당되어 있다는 정보를 가지고 있으므로, 이들 2개 중계기(320,330)의 디지털 데이터를 합산하기 위한 과정을 수행한다. 먼저, 상기 제 3 디지털 광중계기(330)로부터 전달받은 전송 프레임(총 24bit, 3개 섹터 정보)은 섹터별로 디지털 합산이 수행되어질 수 있도록 디먹스(322)에서 시분할 다중화 방식을 통해 α,β,γ섹터 각각 8bit 데이터로 분리되어 진다. 분리되어진 3개 섹터의 데이터들은 스위치를 통해 해당하는 디지털 데이터 합산기(324a)(324b)(324c)로 전달된다. The control unit 326 of the second digital optical repeater 320 has information that both the third digital optical repeater 330 connected to the rear end and the self are allocated to the sector, and thus, the two repeaters 320 and 330. Performs the process of summing up the digital data. First, the transmission frame (24 bits in total, 3 sector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third digital optical repeater 330 is demux 322 through time division multiplexing so that digital summation can be performed for each sector. Each gamma sector is separated into 8 bit data. The data of the three sectors separated are transferred to the corresponding digital data summers 324a, 324b, and 324c through the switch.

한편 상기 제 2 디지털 광중계기(320)의 안테나(Ant.2)를 통해서 수신된 제 2 아날로그 신호 또한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321)를 통해 도 6의 (B)와 같은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된다. 상기 제 2 디지털 광중계기(320) 또한 α섹터로 할당되어 있으므로, 이 데이터는 상기 제 3 디지털 광중계기(330)로부터 전송되어 진 데이터 와 합쳐지기 위해 상기 제어부(326)의 제어에 따른 스위치(323)를 통해 α섹터 데이터 합산기(324a)로 전달된다.Meanwhile, the second analog signal received through the antenna Ant. 2 of the second digital optical repeater 320 is also converted into digital data as shown in FIG. 6B through the analog / digital converter 321. Since the second digital optical repeater 320 is also allocated to the α sector, this data is a switch 323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326 to merge with the data transmitted from the third digital optical repeater 330. Is transmitted to the α sector data summer 324a.

상기 α섹터 데이터 합산기(324a)는 전달 받은 두개의 8bit 디지털 데이터에서 각각의 최하위비트(LSB) 2bit를 제거하여 도 7의 (A)(B)와 같이 6bit 유효 데이터를 가진 8bit 데이터로 변형시키기 위해 우측 시프트(LRS : Logical Right Shift)를 2회 수행한다. (현재 동일한 섹터로 할당된 디지털 광중계기 3개가 연결되어 있으므로, 상기 각 제어부(326)(336)의 제어에 따라 제 2 및 제 3 디지털 광중계기(320)(330)의 역방향 링크 유효 데이터 길이를 미리6bit로 만들면 연결된 3개의 디지털 광중계기의 데이터를 모두 합산한 후의 데이터 길이가 8bit가 되므로 전송프레임의 α섹터에 할당된 8bit 공간에 맞게 들어갈 수 있다.) 상기 α섹터 데이터 합산기(324a)는 6bit 유효 데이터를 가진 2개의 8bit 데이터를 도 7의 (C) 와 같이 합산한다. 이때 제 2 디지털 광중계기(320)는 α섹터로 할당되어 있으므로 β섹터 데이터 합산기(324b)와 γ섹터 데이터 합산기(324c)는 합산을 수행하지 않고 상기 제 3 디지털 광중계기(330)로부터 입력받은 데이터(데이터가 모두 0인 8bit 데이터)를 그대로 전송 프레임을 만드는 장치인 먹스(325)로 보내게 된다. 상기 제 2 디지털 광중계기(320)의 상기 먹스(325)는 상기 3개의 합산기(324a,324b,324c) 각각의 출력 데이터를 도 7의 (D)와 같은 데이터 형태로 시분할 다중화 방법을 통해 배열한 후 전단의 제 1 디지털 광중계기(310)로 전달한다. The α-sector data summer 324a removes the least significant bits (LSB) 2 bits from the two 8-bit digital data received and transforms them into 8-bit data having 6-bit valid data as shown in FIG. 7 (A) (B). Two logical shifts (LRS). Since three digital optical repeaters allocated to the same sector are currently connected, the effective lengths of the reverse link effective data of the second and third digital optical repeaters 320 and 330 are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s 326 and 336. If the data is made into 6 bits in advance, the data length after adding all the data of the three connected digital optical repeaters becomes 8 bits so that the data can fit into the 8-bit space allocated to the α sector of the transmission frame.) The α sector data adder 324a Two 8-bit data having 6-bit valid data are summed as shown in FIG. At this time, since the second digital optical repeater 320 is allocated to the α sector, the β sector data summer 324b and the gamma sector data summer 324c do not add the inputs from the third digital optical repeater 330. The received data (8-bit data of which all data is 0) is sent to the mux 325 which is a device for creating a transmission frame. The mux 325 of the second digital optical repeater 320 arranges the output data of each of the three summers 324a, 324b, and 324c in the form of data as shown in FIG. It is then transferred to the first digital optical repeater 310 of the front end.

상기 제 1 디지털 광중계기(310)는 상기 제 2 디지털 광중계기(320)에서 수행된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안테나(Ant.1)를 통해 수신된 아날로그 데이터를 도 8의 (A)와 같이 변환한 다음, 도 8의 (B)(C)와 같이 상기 제 2디지털 광중계기(320)로부터 전달받은 데이터와 합산한 후 전송프레임을 만들어 이동전화 기지국(300)으로 전달한다.The first digital repeater 310 converts the analog data received through the antenna Ant.1 in the same manner as the method performed in the second digital repeater 320 as shown in FIG. Next, as shown in (B) and (C) of FIG. 8, the data is added with the data received from the second digital optical repeater 320, and then a transmission frame is created and transmitted to the mobile telephone base station 300.

연결된 디지털 광중계기가 모두 기지국의 동일한 섹터에 할당되어 있을 경우의 역방향 링크 데이터는 지금까지 설명한 방법과 같이 처리되어 진다.When all the connected digital optical repeaters are allocated to the same sector of the base station, the reverse link data is processed as described above.

둘째, <도 4의 디지털 광중계기(310,320,330)가 기지국의 다른 섹터로 각각 할당되어 있을 경우, 즉 제 1디지털 광중계기(310)는 α, 제 2디지털 광중계기(320)는 β, 제 3 디지털 광중계기(330)는 γ섹터로 할당된 경우> Second, when the digital optical repeaters 310, 320, 330 of FIG. 4 are allocated to different sectors of the base station, that is, the first digital repeater 310 is α, the second digital repeater 320 is β, and the third digital When the optical repeater 330 is assigned to γ sector >

이와 같은 경우, 각각의 중계기들(310,320,330)은 기지국의 다른 섹터로 할당되어 있으므로, 역방향 링크를 통해 데이터가 전송될 경우 각각의 데이터들은 합산과정을 거칠 필요가 없다. 또한, 합산과정을 거치지 않으므로, 합산 후 데이터 길이가 늘어나는 것에 대비해 미리 최하위비트(LSB)를 제거해서 유효 데이터 길이를 줄이는 과정도 생략되게 된다.In this case, since each of the repeaters 310, 320, 330 is allocated to a different sector of the base station, when the data is transmitted through the reverse link, the data do not need to be summed up. In addition, since the summation process is not performed, the process of reducing the effective data length by eliminating the least significant bit (LSB) in advance is omitted in preparation for the increase in the data length after the summation.

먼저, 제 3 디지털 광중계기(330)의 안테나(Ant.3)를 통해서 들어온 제 3 아날로그 신호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331)를 통과한 다음 도 9의 (C)와 같은 형태의 디지털 데이터로 바뀌게 된다. 상기 제 3디지털 광중계기(330)의 제어부(336)는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331)의 출력을 스위치(333)를 통해 먹스(335)로 바로 보내게 된다. 상기 제 3 디지털 광중계기(330)는 γ섹터로 할당되어진 최종단의 중계기이므로 전송 프레임을 만들 때 α섹터와 β섹터의 데이터가 들어갈 자리 는 0으로 채워지게 된다. 그 결과 도 9의 (D)와 같은 형태의 프레임이 디지털 전단의 제 2 디지털 광중계기(320)로 전송되어진다. First, the third analog signal introduced through the antenna (Ant. 3) of the third digital optical repeater 330 passes through the analog-to-digital converter 331 and then is converted into digital data in the form as shown in FIG. do. The control unit 336 of the third digital optical repeater 330 sends the output of the analog / digital converter 331 directly to the mux 335 through the switch 333. Since the third digital optical repeater 330 is a repeater of the final stage allocated to the sector γ, the positions for the data of the sectors α and β sectors are filled with zeros when creating a transmission frame. As a result, a frame having a form as shown in FIG. 9D is transmitted to the second digital optical repeater 320 of the digital front end.

상기 제 2 디지털 광중계기(320)의 제어부(326)는 상기 제 3 디지털 광중계기(330)가 γ섹터라는 정보와 제 2 디지털 광중계기(320)인 자신은 β섹터라는 정보를 가지고 있으므로, 이들 두 중계기(320,330)의 데이터는 합산할 필요가 없음을 판단하고, 상기 제 3 디지털 광중계기(330)로부터 온 프레임을 디먹스(322)를 통해 각 섹터별 데이터로 분할되도록 하고, 분할된 각 섹터별 데이터는 각 섹터별 데이터 합산기(324a,324b,324c)를 통하여 전송 프레임을 만드는 장치인 먹스(325)로 입력된다.The control unit 326 of the second digital optical repeater 320 has information that the third digital optical repeater 330 is gamma sector and the second digital optical repeater 320 is information beta sector. It is determined that the data of the two repeaters 320 and 330 do not need to be summed up, the frames from the third digital optical repeater 330 are divided into data for each sector through the demux 322, and the divided sectors. The star data is inputted to the mux 325 which is a device for creating a transmission frame through the data summers 324a, 324b and 324c for each sector.

한편, 상기 제 2 디지털 광중계기(320)의 안테나(Ant.2)를 통해서 수신된 제 2 아날로그 신호 또한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321)을 통해 도 9의 (B)와 같이 디지털 데이터로 바뀐 후 상기 먹스(325)로 전달된다. 상기 전달된 데이터는 상기 먹스(325)에 의해서 상기 제 3 디지털 광중계기(330)로부터 전송된 프레임의 β섹터 데이터 자리에 도 9의 (E)와 같은 형태로 저장된 후 제 1 디지털 광중계기(310)로 전송된다.Meanwhile, the second analog signal received through the antenna Ant. 2 of the second digital optical repeater 320 is also converted into digital data as shown in FIG. 9B through the analog / digital converter 321. Delivered to the mux 325. The transmitted data is stored in the β sector data position of the frame transmitted from the third digital optical repeater 330 by the mux 325 in the form as shown in FIG. 9E, and then the first digital optical repeater 310. Is sent.

상기 제 1 디지털 광중계기(310)의 제어부(316)는 상기 제 3 디지털 광중계기(330)가 γ섹터라는 정보와 상기 제 2 디지털 광중계기가 β라는 정보를 가지고 있고, 제 1 디지털 광중계기(310) 자신은 α섹터라는 정보를 가지고 있으므로, 이들 세 중계기(310,320,330)의 데이터는 합산 할 필요가 없음을 판단하고, 상기 제 2 디지털 광중계기(320)로부터 전달되어 디먹스(312)에 의해 각 섹터별 데이터로 분할된 각 섹터별 데이터를 각 섹터별 데이터 합산기(314a,314b,314c)를 통하여 전송 프레임을 만드는 장치인 먹스(315)로 전달되도록 한다.The control unit 316 of the first digital optical repeater 310 has information that the third digital optical repeater 330 is gamma sector and that the second digital optical repeater is β, and the first digital optical repeater ( 310, since it has information of α sector, it is determined that the data of these three repeaters 310, 320, 330 do not need to be summed up, and is transmitted from the second digital repeater 320 to be decoded by the demux 312. The sector-specific data divided into sector-by-sector data is transmitted to the mux 315, which is a device for creating a transmission frame, through the sector-specific data summers 314a, 314b, and 314c.

한편, 상기 제 1 디지털 광중계기(310)의 안테나(Ant.1)를 통해서 수신된 제 1 아날로그 신호 또한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311)를 통해 도 9의 (A) 형태로 바뀐 후 상기 먹스(315)로 전달되게 된다. 상기 전달된 데이터는 상기 제 2 디지털 광중계기(320)로부터 전송된 프레임의 α섹터 데이터 자리에 도 9의 (F)와 같은 형태로 저장된 후 이동전화 기지국(300)으로 전송된다.Meanwhile, the first analog signal received through the antenna Ant.1 of the first digital optical repeater 310 is also changed into the form of FIG. 9A through the analog-to-digital converter 311, and then the mux 315. Will be delivered. The transmitted data is stored in the α sector data position of the frame transmitted from the second digital optical repeater 320 in the form as shown in FIG. 9F and then transmitted to the mobile telephone base station 300.

셋째, 디지털 광중계기가 도 3에 나타난 그림과 같이 하나의 광선로(350)에 동일한 섹터로 할당된 중계기가 두 개 이상 연결되어 있고, 동시에 다른 섹터로 할당된 중계기도 같이 연결되어 있을 경우에는 상술된 첫번째 경우 및 두 번째의 경우를 모두 사용하여 역방향 링크 데이터를 전송하게 된다. Third , when the digital optical repeater is connected to two or more repeaters allocated to the same sector to one optical fiber 350 as shown in FIG. The reverse link data is transmitted using both the first case and the second case.

지금까지는 동일한 광선로에 연결된 모든 디지털 광중계기들의 유효 데이터 길이가 일정한 경우의 역방향 링크의 데이터 처리 및 전송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며, 이어서 각 광중계기들의 역방향 유효 데이터 비트수가 다른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Up to now, the data processing and transmission of the reverse link when the effective data length of all digital optical repeaters connected to the same optical path are constant has been described, and then the case where the reverse effective data bits of the respective optical repeaters are different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 연결된 디지털 광중계기들의 역방향 유효 데이터 bit수가 다른 경우 ><When the number of reverse effective data bits of connected digital optical repeaters is different>

지금부터는 도 10과 같이 하나의 광링크(350)에 디지털 광중계기(310-340)가 모두 동일한 섹터로 할당되어 연결되어 있을 경우, 상술된 방식과 같이 중계기들의 유효 데이터 길이를 모두 동일하게 만든 후 합산하는 것이 아니라, 각 중계기 마다 유효 데이터 길이를 다르게 변경시킨 후 합산하여 전송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From now on, when the digital optical repeaters 310-340 are all allocated to the same sector and connected to one optical link 350 as shown in FIG. 10, the effective data lengths of the repeaters are the same as described above. Rather than summing, the method of transmitting the data after changing the effective data length differently for each repeater will be described.

도 10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각각의 디지털 광중계기들(310-340)이 위치한 지역 마다 통화량의 분포가 다르게 나타날 경우, 통화량이 가장 많은 지역을 서비스하고 있는 디지털 광중계기(320)에는 역방향 링크의 유효 데이터 길이를 7bit로 하고 상대적으로 통화량이 적은 디지털 광중계기(310)(330)(340)에는 유효 데이터 길이를 6bit, 5bit가 되도록 운용자가 유효 데이터 bit수를 조정할 수 있는 기능이다. 이 기능은 동일 섹터로 할당된 디지털 광중계기를 하나 이상 연결하여 운용할 경우, 다른 디지털 광중계기들 보다 상대적으로 통화량이 많은 지역을 서비스하는 디지털 광중계기의 데이터에 상대적으로 많은 유효 데이터 bit수를 할당함으로써, 통화품질에 가중치를 주는 기능이다.As shown in FIG. 10, when the distribution of call volume is different for each region where each of the digital optical repeaters 310-340 is located, a reverse link is effective for the digital optical repeater 320 serving the region with the highest call volume. The digital optical repeater (310, 330, 340) having a data length of 7 bits and a relatively small amount of communication is a function that allows the operator to adjust the number of valid data bits so that the effective data length is 6 bits and 5 bits. This function allocates a relatively large number of effective data bits to the data of a digital optical repeater serving an area with a relatively high traffic volume than other digital optical repeaters when operating one or more digital optical repeaters allocated to the same sector. By doing so, weighting the call quality is a function.

도 4를 보면, 각각의 디지털 광중계기(310-330) 내부에는 도 11과 같은 제어부(316,326,336)가 구비되어 있어서 8bit 입력 데이터를 각각 5bit, 6bit, 7bit, 또는 8bit 유효 데이터를 가진 8bit 데이터로 변환시킨 후 4개의 데이터 중 하나의 데이터를 선택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Referring to FIG. 4, each digital optical repeater 310-330 is provided with a control unit 316, 326, 336 as shown in FIG. 11 to convert 8bit input data into 8bit data having 5bit, 6bit, 7bit, or 8bit valid data, respectively. After that, one of the four data can be selected.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각 제어부(316,326,336)를 통해 각각의 디지털 광중계기들(310,320,330)의 유효 데이터 bit수를 설정하였을 경우, 역방향 링크의 데이터 처리는 아래와 같이 된다. As shown in FIG. 11, when the number of valid data bits of the digital optical repeaters 310, 320, 330 is set through the controllers 316, 326, 336, data processing of the reverse link is as follows.

도 10의 제 4 디지털 광중계기(340)의 안테나로 입력된 아날로그 신호는 아 날로그/디지털 변환기를 거친 후 8bit 디지털 데이터로 표현되고 제 3 디지털 광중계기(330)로 전송되어진다. 제 3 디지털 광중계기(330)의 안테나로 입력된 아날로그 신호 또한 아나로그/디지털 변환기(331)를 거친 후 8bit 데이터로 표현된다. 상기 제 4 및 제 3 디지털 광중계기(340)(330)는 각각 5bit로 유효 데이터 길이가 정해져 있으므로, 각각의 8bit 디지털 데이터들은 합산이 이루어지기 전에 먼저 내부 제어부(미도시)(336)를 이용하여 5bit의 유효 데이터 길이를 가진 8bit디지털 데이터로 변환된 다음 도 12의 (A)와 같이 합산이 이루어진다. 합산이 이루어진 후의 데이터는 6bit 길이의 유효 데이터를 가진 8bit 데이터로 표현되어 진다. 합산이 이루어진 데이터는 도 12의 (B)와 같은 전송 프레임으로 만들어진 후 제 2 디지털 광중계기(320)로 전송되어 진다.The analog signal input to the antenna of the fourth digital optical repeater 340 of FIG. 10 is represented by 8-bit digital data after passing through an analog-to-digital converter and transmitted to the third digital optical repeater 330. The analog signal input to the antenna of the third digital optical repeater 330 is also represented as 8-bit data after passing through the analog / digital converter 331. Since the effective data lengths of the fourth and third digital optical repeaters 340 and 330 are set to 5 bits, respectively, each 8-bit digital data is first used by using an internal control unit (not shown) 336 before being summed. After conversion into 8-bit digital data having an effective data length of 5 bits, the sum is performed as shown in FIG. The data after the summation is represented by 8-bit data having 6 bits of valid data. The summed data is made into a transmission frame as shown in FIG. 12B and then transmitted to the second digital optical repeater 320.

한편, 상기 제 2 디지털 광중계기(320)의 안테나(Ant.2)에서 수신된 아날로그 신호 또한 8bit 데이터로 표현되어진다. 상기 제 2 디지털 광중계기(320)는 유효 데이터가 7bit로 할당되어 있는 중계기이므로 내부 제어부(326)에서 7bit의 유효 데이터를 가진 8bit 데이터로 변환한 후 상기 제 3 디지털 광중계기(330)에서 전송되어 온 데이터와 함께 상기 제 2 디지털 광중계기(320) 내부의 디지털 합산기로 보내진 후, 도 13의 (A)와 같이 합산되어진다.On the other hand, the analog signal received from the antenna (Ant. 2) of the second digital optical repeater 320 is also represented by 8bit data. Since the second digital optical repeater 320 is a repeater in which valid data is allocated to 7 bits, the second digital optical repeater 320 is converted into 8-bit data having valid data of 7 bits by the internal controller 326 and then transmitted from the third digital optical repeater 330. The data is sent to the digital summer in the second digital repeater 320 together with the on data, and then summed as shown in FIG. 13A.

합산이 이루어진 후의 데이터는 8bit 길이의 유효 데이터를 가진 8bit 데이터로 표현되어 진다. 이 데이터는 도 13의 (B)와 같은 전송 프레임으로 만들어 진 후 제 1 디지털 광중계기(310)로 전송되어 진다.The data after the summation is represented by 8-bit data having 8 bits of valid data. This data is made into a transmission frame as shown in FIG. 13B and then transmitted to the first digital repeater 310.

마지막으로, 상기 제 1 디지털 광중계기(310)의 안테나(Ant.1)로 입력된 아 날로그 신호는 6bit의 유효 데이터를 가진 8bit 데이터로 표현이 되고, 이 데이터는 상기 제 2 디지털 광중계기(320)로부터 전송되어 온 데이터와 도 14의 (A)와 같이 합산이 이루어진 후 8bit 유효 데이터를 가진 8bit 데이터로 표현이 된다. 합산이 이루어지는 두개의 데이터는 도 14의 (B)와 같은 프레임 형태로 이동전화 기지국(300)으로 전송되어 진다Finally, the analog signal input to the antenna (Ant. 1) of the first digital optical repeater 310 is represented by 8-bit data having valid data of 6 bits, and the data is represented by the second digital optical repeater ( 320 is summed as shown in FIG. 14A, and then represented as 8-bit data having 8-bit valid data. The two pieces of data that are added up are transmitted to the mobile telephone base station 300 in the form of a frame as shown in FIG.

전송 프레임에서 하나의 섹터를 표현할 수 있는 데이터 길이가 8bit 이고, 동일한 섹터 데이터를 가진 디지털 광중계기를 4개 연결하였을 경우, 4개의 디지털 광중계기들의 데이터를 디지털 합산 한 후 전송 프레임에 할당된 8bit 데이터 길이를 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디지털 광중계기에 5bit, 5bit, 6bit, 7bit와 같이 유효 데이터 bit를 할당하는 경우와, 6bit, 6bit, 6bit, 6bit 의 유효 데이터 bit를 할당하는 경우가 생긴다. 이와 같은 유효 데이터 bit수의 조합은, 전송 프레임의 길이와, 연결된 디지털 광중계기의 총 개수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When a data length that can represent one sector in a transmission frame is 8 bits and four digital optical repeaters having the same sector data are connected, 8 bit data allocated to the transmission frame after digital summation of the data of the four digital optical repeaters In order not to exceed the length, valid data bits such as 5 bits, 5 bits, 6 bits, and 7 bits are allocated to each digital optical repeater, and valid data bits of 6 bits, 6 bits, 6 bits, and 6 bits are allocated. The combination of the number of effective data bits may vary depending on the length of the transmission frame and the total number of connected digital optical repeaters.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운용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operation example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various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in the technical field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evident to those of ordinary knowledge

이상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광중계기의 역방향 링크 데이터 처리 장치 및 방법에 의하면, 첫째, 하나의 광선로에 동일 섹터로 할당 된 중계기를 하나 이상 연결하여 운용할 경우, 기존의 아날로그 전송방식에서는 각각의 중계기 마다 독립된 주파수를 할당하여 역방향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을 취함으로써, 역방향 링크에서의 전송 용량이 증가하게 되나, 본 발명에서는 동일 섹터로 할당된 중계기들의 데이터를 디지털 합산을 이용하여 전송함으로써, 연결된 중계기의 개수에 관계없이 일정한 전송 용량을 가진다. 따라서, 기존 전송방식 보다 전송 용량 측면에서 효율적일 뿐만 아니라, 중계기를 증설할 경우에도 전송 용량이 늘어나지 않음으로 경제적으로 중계기를 증설할 수가 있다. 둘째, 본 발명에서는 중계기와 기지국간에 연결 가능한 모든 상황에서의 역방향 링크 데이터 처리법을 정의하였으므로, 운용자가 디지털 광중계기를 실제 현장에 설치, 운용함에 있어서, 다양한 현장 상황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해줄 뿐만 아니라, 디지털 광중계기의 다양한 운용 가능성을 제시한다. 셋째, 동일 섹터로 할당된 디지털 광중계기를 하나 이상 연결하여 운용할 경우, 다른 중계기들 보다 상대적으로 통화량이 많은 지역을 서비스하는 중계기에 상대적으로 많은 유효 데이터 bit수를 할당함으로써, 운용자의 의도에 따라 특정 중계기의 역방향 통화품질에 가중치를 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디지털 광중계기에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표현하는 과정에서 유효 데이터 bit 수를 운용자가 변경할 수 있게 함으로써, 운용자의 의도에 따라 디지털 광중계기가 서비스하는 지역의 역방향 링크 통화품질을 조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in detail above, according to the reverse link data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of the digital optical repea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rst, when one or more repeaters allocated to the same sector are operated in one optical path, the conventional analog transmission scheme By transmitting the reverse data by allocating independent frequencies for each repeater, the transmission capacity of the reverse link is increased, but in the present invention, by transmitting the data of the repeaters allocated to the same sector by using digital summation, It has a constant transmission capacity regardless of the number of connected repeaters. Therefore, not only is it more efficient in terms of transmission capacity than the existing transmission method, and even when the repeater is added, the repeater can be economically expanded since the transmission capacity is not increased. Second, the present invention has defined the reverse link data processing method in all situations that can be connected between the repeater and the base station, so that the operator can flexibly cope with various field situations in the installation and operation of the digital optical repeater in the actual site. This paper presents various operational possibilities of digital optical repeater. Third, when connecting and operating one or more digital optical repeaters allocated to the same sector, by assigning a relatively large number of effective data bits to the repeater serving an area with a relatively high call volume than other repeaters, depending on the intention of the operator It can weight the reverse call quality of a specific repeater.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operator to change the number of effective data bits in the process of representing the analog signal as digital data in the digital optical repeater, thereby adjusting the reverse link call quality of the area serviced by the digital optical repeater according to the operator's intention. It can be effective.

Claims (4)

기지국과 단말기간의 송/수신 신호를 중계하는 장치에 있어서,An apparatus for relaying a transmission / reception signal between a base station and a terminal, 단말기 측으로부터 무선 수신된 고주파신호를 담당 섹터의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수단;Analog / digital conversion means for converting a radio frequency signal wirelessly received from the terminal side into digital data of a corresponding sector; 후단의 디지털 광중계기로부터 입력되는 역방향 디지털 스트림을 각 섹터별 데이터로 역다중화하는 역다중화수단;Demultiplexing means for demultiplexing a reverse digital stream input from a rear digital repeater into data for each sector;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수단에 의해 변환된 디지털 데이터의 전송섹터를 선택하는 선택수단;Selecting means for selecting a transmission sector of digital data converted by said analog / digital converting means; 상기 섹터 선택된 디지털 데이터를 상기 역다중화된 섹터 데이터 중 해당 섹터 데이터에 합산하는 합산수단;Summing means for summing the sector selected digital data to corresponding sector data of the demultiplexed sector data; 상기 선택수단을 통한 디지털 데이터와 해당 섹터 데이터에 합산된 데이터 중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합산수단으로부터 출력된 나머지 섹터 데이터와 다중화시켜 단일 전송 스트림으로 변환한 후, 전단의 디지털 광중계기로 전송하는 다중화수단; 및Multiplexing means for selecting one of the digital data through the selection means and the data added to the corresponding sector data, multiplexed with the remaining sector data output from the adding means to convert into a single transport stream, and then transmitted to the digital optical repeater of the front end ; And 상기 역다중화수단에 의해 분할된 각 섹터 데이터의 유/무 및 섹터 종류에 따라 상기 선택수단의 섹터 선택 제어와, 상기 다중화 수단의 데이터 합산 제어 및, 상기 변환된 디지털 데이터의 유효 데이터 비트 수를 설정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광중계기의 역방향 링크 데이터 처리 장치.The sector selection control of the selection means, the data summation control of the multiplexing means, and the number of valid data bits of the converted digital data are set according to the presence / absence of each sector data divided by the demultiplexing means and the sector type. Reverse link data processing apparatus for a digital optical repeat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ntrol means.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어수단은 자신이 속한 디지털 광중계기가 여타 디지털 광중계기에 비해 통화량이 많거나 적음에 따라 유효 데이터 비트 수를 상대적으로 많거나 적게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광중계기의 역방향 링크 데이터 처리 장치.And the control means sets the number of effective data bits relatively large or small as the digital optical repeater to which the digital repeater belongs is more or less talked than other digital repeaters. 단일 기지국에 복수의 디지털 광중계기가 광선로를 매개로 일렬로 연결되어, 각 디지털 광중계기로부터 생성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시킨 후 상기 광선로를 통해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디지털 데이터 통신 방법에 있어서,A digital data communication method in which a plurality of digital optical repeaters are connected in a line to a single base station through a light path, converts analog signals generated from each digital optical repeater into digital data, and then transmits them to the base station through the optical path. 단말기 측으로부터 무선 수신된 고주파신호를 담당 섹터의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제 1 단계;A first step of converting a radio frequency signal wirelessly received from a terminal side into digital data of a corresponding sector; 상기 디지털 데이터에 의해 자신이 속한 디지털 광중계기의 통화량이 여타 디지털 광중계기보다 많거나 적음에 따라 상기 변환된 디지털 데이터의 유효 비트 수를 많거나 적게 조정하는 제 2 단계; 및A second step of adjusting the number of effective bits of the converted digital data according to the digital data according to the amount of calls of the digital optical repeater to which the digital optical repeater belongs is more or less than other digital optical repeaters; And 상기 유효 비트 조절된 디지털 데이터를 후단의 디지털 광중계기로부터 입력되는 디지털 스트림의 해당 섹터 데이터에 결합한 후, 전단의 디지털 광중계기로 전송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광중계기의 역방향 링크 데이터 처리 방법.And combining the effective bit-adjusted digital data with the corresponding sector data of the digital stream input from the digital repeater of the next stage, and transmitting the digital data to the digital repeater of the previous stage. How to handle link data. 제 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유효 데이터 비트수의 조절은, 전송 프레임의 길이, 상기 복수의 디지털 광중계기의 총 개수 및 각 트래픽 크기를 조정함에 의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광중계기의 역방향 링크 데이터 처리 방법.And adjusting the number of effective data bits by adjusting the length of a transmission frame, the total number of the plurality of digital optical repeaters, and the size of each traffic.
KR1019990034720A 1999-08-20 1999-08-20 Reverse link data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in a signal repeater KR10059477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4720A KR100594770B1 (en) 1999-08-20 1999-08-20 Reverse link data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in a signal repea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4720A KR100594770B1 (en) 1999-08-20 1999-08-20 Reverse link data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in a signal repeat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8675A KR20010018675A (en) 2001-03-15
KR100594770B1 true KR100594770B1 (en) 2006-07-03

Family

ID=196081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4720A KR100594770B1 (en) 1999-08-20 1999-08-20 Reverse link data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in a signal repeat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94770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99269B2 (en) 2015-11-12 2019-12-03 Commscope Technologie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assigning controlled nodes to channel interfaces of a controller
US10498434B2 (en) 2000-07-19 2019-12-03 CommScope Technolgies LLC Point-to-multipoint digital radio frequency transport
USRE49377E1 (en) 2002-12-03 2023-01-17 Commscope Technologies Llc Distributed digital antenna syste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9412B1 (en) * 2000-12-28 2004-1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Received apparatus for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optic repeater using transmisson apparatus of digital signal
KR100998190B1 (en) * 2005-11-29 2010-12-03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digital i/q signal transmission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53896A (en) * 1992-07-31 1994-02-25 Furukawa Electric Co Ltd:The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
JPH09284233A (en) * 1996-04-11 1997-10-31 Toyo Commun Equip Co Ltd Optical transmission repeater
KR19990064537A (en) * 1999-04-03 1999-08-05 오용훈 Optic repeater of digital type
KR19990066603A (en) * 1998-01-31 1999-08-16 정장호 Optical relay system for extended service coverage
KR20000047039A (en) * 1998-12-31 2000-07-25 이상철 Intelligent optical distribution system
KR20000046200A (en) * 1998-12-31 2000-07-25 정장호 Method for centralizing base stations
KR20010011489A (en) * 1999-07-28 2001-02-15 허진호 Apparatus for Multi-Drop of Optical Transmission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53896A (en) * 1992-07-31 1994-02-25 Furukawa Electric Co Ltd:The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
JPH09284233A (en) * 1996-04-11 1997-10-31 Toyo Commun Equip Co Ltd Optical transmission repeater
KR19990066603A (en) * 1998-01-31 1999-08-16 정장호 Optical relay system for extended service coverage
KR20000047039A (en) * 1998-12-31 2000-07-25 이상철 Intelligent optical distribution system
KR20000046200A (en) * 1998-12-31 2000-07-25 정장호 Method for centralizing base stations
KR19990064537A (en) * 1999-04-03 1999-08-05 오용훈 Optic repeater of digital type
KR20010011489A (en) * 1999-07-28 2001-02-15 허진호 Apparatus for Multi-Drop of Optical Transmissio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98434B2 (en) 2000-07-19 2019-12-03 CommScope Technolgies LLC Point-to-multipoint digital radio frequency transport
US10505635B2 (en) 2000-07-19 2019-12-10 Commscope Technologies Llc Point-to-multipoint digital radio frequency transport
USRE49377E1 (en) 2002-12-03 2023-01-17 Commscope Technologies Llc Distributed digital antenna system
US10499269B2 (en) 2015-11-12 2019-12-03 Commscope Technologie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assigning controlled nodes to channel interfaces of a controll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8675A (en) 2001-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K1807939T3 (en)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JP5474943B2 (en) Signal compression in base transceiver systems.
JP5474942B2 (en) Baseband signal compression in base transceiver systems.
KR100257184B1 (en) Optic relay system for extending coverage
US6937878B2 (en)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system using digital optical link
US7039314B2 (en) Communication system
JPH06204943A (en) Radio communication system
US11356190B2 (en) Configurable wide area distributed antenna system
KR100594770B1 (en) Reverse link data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in a signal repeater
KR20020037291A (en) Fiber optic repeater and method for fiber optic relay in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KR100615419B1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for increasing reverse link capacity
KR100363552B1 (en) Apparatus for distribution base station using the digital optic transmission in imt-2000 system
WO2022259319A1 (en) Wavelength cross-connect device and wavelength cross-connect method
KR100375837B1 (en) Multidirectional sector-type mobile communication repeater
US7062252B2 (en) Capacity optimization of a wired cellular network
KR100316811B1 (en) A BTS extending coverage in itself
US20040208567A1 (en) Optical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 transmission system
WO2022259318A1 (en) Wavelength cross-connect device and wavelength cross-connect method
KR20010010595A (en) Apparatus for allocating sectors dynamically in a connected base station of optical repeater system for mobile telephone and method thereof
KR100470443B1 (en) Unified repeater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KR2002009595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ulti-Signal Optical Transmission using Wave Division Multiplexing and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KR20020019180A (en) Dynamic channel assignment apparatus of base station using time switch
JP3235043B2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010010902A (en) A BTS extender being able to change its belonging sector
JPH08316931A (en) Circuit setting control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3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3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0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