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3985B1 - The method of short message service in mobile station - Google Patents

The method of short message service in mobile st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3985B1
KR100593985B1 KR1020020011289A KR20020011289A KR100593985B1 KR 100593985 B1 KR100593985 B1 KR 100593985B1 KR 1020020011289 A KR1020020011289 A KR 1020020011289A KR 20020011289 A KR20020011289 A KR 20020011289A KR 100593985 B1 KR100593985 B1 KR 1005939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rt message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message
visual eff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128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30072444A (en
Inventor
김현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112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3985B1/en
Publication of KR200300724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244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39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398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9Accessories therefor, e.g. mouse pads
    • G06F3/0395Mouse pa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end.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belongs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문 메시지 서비스 전송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transmitting a short message servic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나.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I. Th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invention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자신만의 단문메시지를 강조하여 표현할 수 있는 기능을 부여하여 단문메시지 서비스 사용을 다양하게 이용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문메시지 서비스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of providing a short message servic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y providing a function of emphasizing a user's own short message.

다.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All. Summary of Solution of the Invention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문메시지 서비스 이용 시, 상기 단문메시지를 시각적인 효과와 함께 표시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문메시지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단문메시지를 송신하는 송신측 이동통신 단말기가 송신할 단문메시지에 시각적인 효과를 부가하는 과정과, 상기 단문메시지에 상기 시각적 효과가 부가됨을 지시하는 전송메시지를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생성된 전송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과, 수신측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전송메시지를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전송메시지에 포함된 단문메시지에 상기 전송메시지에 포함된 시각적 효과를 부가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발명이다.In the short message service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ich displays the short message with a visual effect when the short message servi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used, the short message to be transmitted by the transmitting mobile terminal which transmits the short message is visualized. Adding an effect, generating a transmission message indicating that the visual effect is added to the short message, transmitting the generated transmission message, and receiving the transmission message by a receiv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dding a visual effect included in the transmission message to the short message included in the transmission message and displaying the same.

라. 발명의 중용한 용도la. Critical use of the invention

무선통신을 통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단문메시지 송, 수신시 이용할 수 있다. It can be used for sending and receiving short messages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단문메시지 서비스, 이동통신 단말기, 텔레서비스 계층 Short message service, mobile terminal, teleservice layer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문메시지 서비스 방법{THE METHOD OF SHORT MESSAGE SERVICE IN MOBILE STATION} Short message service method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METHOD OF SHORT MESSAGE SERVICE IN MOBILE STATION}             

도 1은 통상적인 이동통신 단말기의 블록구성도.1 is a block diagram of a typic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단문메시지 작성 시, 단문메시지의 효과기능 설정 과정을 도시한 화면 순서도.2 is a screen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setting an effect function of a short message when creating a short message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송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단문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메시지 작성 시, 단문메시지의 효과기능을 설정하는 제어 흐름도. 3 is a control flowchart of setting an effect function of a short message when creating a message for transmitting a short message in a transmitting-sid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수신된 단문메시지를 표시하는 제어 흐름도.
4 is a control flowchart of displaying a short message received at a receiving-sid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문메시지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for short message servic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현재 이동통신 단말기의 주용도는 무선통신을 통한 음성통화와 데이터 송수 신의 기능을 기본으로 하고 있으며 이와 관련된 응용기술을 통해 다양한 부가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상기 부가서비스의 일환으로 단문메시지 서비스(Short Message Service: SMS)가 있다. 상기 단문메시지 서비스는 그 처리 방법에 있어 많은 발전을 거듭하여 현재 그림, 사진, 멜로디뿐만 아니라 동영상까지도 가능해져 가는 추세이다. Currently, the main use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based on the functions of voice communication and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and provides various additional services through related application technology. As part of the supplementary service, there is a short message service (SMS). The short message service has been continuously developed in its processing method, and now it is possible to not only pictures, pictures, melodies but also videos.

현재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는 단순 텍스트 메시지 서비스는 메시지 전달에 필요한 각각의 문자들을 일련의 이진 또는 십육진 숫자로 부호화하여 정의한 뒤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작성된 단문메시지를 미리 정의한 바에 따라 부호화하여 이동통신사로 데이터가 송신된다. 상기 이동통신사는 다시 목적한 수신 이동통신 단말기로 부호화된 메시지를 중계하여 송신한다. 상기 수신 이동통신 단말기는 수신한 단문메시지를 디스플레이 장치인 LCD(Liquid Crystal Display) 또는 액정화면에 표현하는 방법을 취하고 있다. Currently, the simple text message service that is used most often is defined by encoding each character necessary for message transmission as a series of binary or hexadecimal digits, and then encoding the short message prepared by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defined definition so that the data is transmitted to the mobile carrier. Is sent. The mobile communication company relays and transmits the encoded message to the intended receiv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receiv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dopts a method of expressing the received short message on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or a liquid crystal display.

현재 단문메시지 서비스는 단지 문자를 부호화하여 전송하는데 그 기능을 다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는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의 내용을 보다 다양한 형태로 가공하여 보내기를 원하고 있다. 최근 그림, 사진 전송 등의 다양한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어 자신의 개성을 표현하기 위해 많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아직은 대중적이지 않으며, 또한 부가 이용요금이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단문메시지 서비스는 단순한 의사전달을 위한 텍스트 문자 서비스로 이용되고 있으며, 다른 용도로는 젊은층에서 유행하는 특수문자 등을 이용한 이모티콘 등을 만들어 전송하는데 많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기능은 단순히 LCD 에 고정된 채로 표시되어지므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로 하여금 지루한 느낌을 줌으로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 자신의 단문메시지를 강조할 수 있는 기능을 원하게 된다.
Currently, the short message service performs only its function of encoding and transmitting a character. However, the us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ants to process the contents of the message to be delivered in a variety of forms. Recently, various services such as painting and picture transmission have been provided, and thus they have been used a lot to express their personality. However, it is not yet popular, and additional charges are required. Therefore, the short message service is used as a text character service for simple communication, and for other purposes, it is widely used to make and transmit emoticons using special characters popular among young people. However, since the above function is simply displayed fixed on the LCD, the us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bored, and thus, the user wants a function that can emphasize the user's own short messag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다양한 자신의 단문메시지를 표현할 수 있는 기능을 부여하여 단문메시지 서비스 사용을 다양하게 이용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문메시지 서비스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hort message service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y which a us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n give various functions of a short message so as to use the short message service in various way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문메시지 서비스 이용 시, 상기 단문메시지를 시각적인 효과와 함께 표시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문메시지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단문메시지를 송신하는 송신측 이동통신 단말기가, 송신할 단문메시지에 대해 수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그 내용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시각적인 효과 기능을 부가하는 과정과, 상기 송신할 단문메시지와 상기 시각적인 효과가 부가되었음을 지시하는 지시메시지를 포함하는 전송메시지를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생성된 전송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문메시지 서비스 방법을 제안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hort message service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ich displays the short message together with a visual effect when using a short message servic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erein the transmitting side mobile communication transmits a short message. The terminal includes a step of adding a visual effect function for displaying the contents of the short message to be transmitted at the receiv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n indication message indicating that the short message to be transmitted and the visual effect have been added.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short message service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ing a process of generating a transmission message and a process of transmitting the generated transmission message.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should be noted that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nly parts necessary for understanding the ope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nd descriptions of other parts will be omitted so as not to distract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통상적인 이동통신 단말기의 블록구성도이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어부(100)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 송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부(100)는 단문메시지 전송 시, 키 입력부(110)로부터 효과 기능이 설정됨을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송신측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어한다. 또한 수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부(100)는 수신된 단문메시지에 효과 기능이 존재하는지 판단하여 상기 판단결과에 따라 표시부(120)에 표시하여 상기 수신측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에게 표시한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typic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ereinafter, referring to FIG. 1, the controller 10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particula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100 of the transmitting mobile terminal determines that the effect function is set from the key input unit 110 when the short message is transmitted, and controls the transmitting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00 of the receiving sid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termines whether an effect function exists in the received short message, and displays it on the display unit 120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to display the receiving sid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er.

키 입력부(110)는 다수의 숫자 키와 각종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기능키들(*, # 등)로 이루어져 있으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키에 대응하는 키 데이터의 전기적 신호를 제어부(100)로 출력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 송신측 이동통신 단말기는 단문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해 키 입력부(110)를 이용하여 메시지를 작성하고, 상기 메시지 작성에 있어서 효과 기능 설정 시 이용된다. The key input unit 110 includes a plurality of numeric keys and function keys (*, #, etc.) for performing various functions, and outputs an electrical signal of key data corresponding to a key input by a user to the controller 100. do. In particula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nsmitting-sid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poses a message using the key input unit 110 to transmit a short message, and is used when setting an effect function in preparing the message.

표시부(120)는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및 LED(Light Emitting Diode)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장치로 구성할 수 있다. 표시부(120)는 제어부(10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태나 프로그램의 진행과정을 표시한다. The display unit 120 may be configured as a display device such as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nd a light emitting diode (LED). The display unit 120 displays the stat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r the progress of the program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00.

무선 처리부(Radio Frequency Part : 130)는 안테나로부터 송신되는 신호를 무선 신호에서 중간 주파수 신호로, 송신되는 신호를 중간 주파수 신호에서 무선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음성 처리부(140)는 상기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무선 신호를 무선 처리부(130)로부터 입력받아 복조하고 스피커(SP)에 의해 음성신호를 출력하며, 마이크(MIC)로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변조하여 상기 무선 처리부(130)를 거쳐 안테나에 의해 송신한다. The radio processor 130 converts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antenna into the intermediate frequency signal and converts the transmitted signal into the radio frequency signal. The voice processor 140 receives and demodulates a wireless signal received through the antenna from the wireless processor 130, outputs a voice signal by a speaker SP, modulates a voice signal input through a microphone MIC, and The transmission is performed by the antenna via the radio processing unit 130.

메모리부(150)는 메모리부(260)는 상기 제어부(20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 및 동작 중에 처리되는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한다. 예를 들어, 단문메시지 작성 시, 최근 작성된 단문메시지를 메모리부(150)에 저장한다.The memory unit 150 temporarily stores a program for the operation of the controller 200 and data processed during the operation. For example, when creating a short message, the recently prepared short message is stored in the memory unit 150.

송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단문메시지를 전송 시, 수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에 수신된 상기 단문메시지를 표시부(120)에 다양하게 표현하기 위해 또는 강조하여 표현하기 위해 상기 송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단문메시지 작성 시, 단문메시지 관리 기능의 메뉴에 효과 기능이 구비되어야 한다. 그리고 송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효과 기능을 설정하여 단문메시지를 전송 시, 수신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수신한 단문메시지에 효과 기능이 설정되어 있음을 확인 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상기 방법으로 텔레서비스 계층상에 서브파라미터를 추가하거나 또는 이미 존재하는 서브파라미터의 일부분을 새로 정의하는 방법이 있다. When the short message is transmitted by the transmitting mobile terminal, the short message received by the receiving mobile terminal is variously expressed on the display unit 120 or the short message is created by the transmitting mobile terminal in order to express the highlighted message. In the menu of the short message management function, an effect function should be provided. In addition, when transmitting a short message by setting an effect function in the transmitting mobile terminal, a method for confirming that the effect function is set in the short message received by the receiv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needed. In this way, there is a method of adding a subparameter on the teleservice layer or newly defining a part of an existing subparameter.

메시지 표시 방법How to display the message Field   Field Length(bits)   Length (bits) SUBPARAMETER_ID   SUBPARAMETER_ID 8   8 SUBPARAMETER_LEN   SUBPARAMETER_LEN 8   8 MSG_DISPLAY_MODE   MSG_DISPLAY_MODE 2   2 MSG_DISPLAY_EFFECT   MSG_DISPLAY_EFFECT 3   3 RESERVED   RESERVED 3   3

상기 표 1은 텔레서비스 계층상에 표시 방법에 대한 효과를 나타내는 서브파라미터를 추가한 예이다. 상기 표 1의 MSG_DISPLAY_EFFECT는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단문메시지에 효과 기능을 나타내는 서브파라미터이다. Table 1 is an example of adding a sub-parameter representing the effect on the display method on the teleservice layer. MSG_DISPLAY_EFFECT of Table 1 is a sub-parameter representing the effect function in the short message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MSG_DISPLAY_EFFECTMSG_DISPLAY_EFFECT MSG_DISPLAY_EFFECT   MSG_DISPLAY_EFFECT Function   Function 000   000 기본   basic 001   001 오른쪽 이동   Move right 010   010 왼쪽 이동   Move left 011   011 위로 이동   Move up 100   100 아래로 이동   Go down 101   101 깜빡이기   Flashing 110, 111   110, 111 Reserve   Reserve

상기 표 2는 단문메시지를 다양하게 표현할 수 있는 효과 기능을 나타내는 표 1의 서브파라미터인 MSG_DISPLAY_EFFECT의 일실시 예이다. 단문메시지 효과 기능을 설정함에 있어 표 1은 MSG_DISPLAY_EFFECT의 bit를 3bit로 설정하였으나, 상기 MSG_DISPLAY_EFFECT의 bit를 늘려 더 다양한 효과 기능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과 깜빡임을 동시에 설정할 수 있고, 폰트 사이즈의 변화, 글자색의 변화 등으로 설정할 수 도 있다. Table 2 is an embodiment of MSG_DISPLAY_EFFECT, which is a subparameter of Table 1 representing an effect function that can variously express a short message. In setting the short message effect function, Table 1 sets the bit of the MSG_DISPLAY_EFFECT to 3 bits, but more various effect functions can be set by increasing the bit of the MSG_DISPLAY_EFFECT. For example, movement and blinking can be set at the same time, or can be set by changing the font size or changing the color of the font.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단문메시지 작성 시, 단문메시지의 효과기능 설정 과정을 도시한 화면 순서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송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단문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단 문메시지 작성 시, 단문메시지의 효과기능을 설정하는 과정을 도시한 제어 흐름도이다. 2 is a screen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setting an effect function of a short message when creating a short message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ontrol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setting an effect function of a short message when a short message is sent for transmitting a short message in a transmitting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하기에서는 도 1내지 도 3, 그리고 표 1과 표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1 to 3, and Tables 1 and 2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opera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00단계에서 제어부(100)는 대기 상태에서 키 입력부(110)로부터 단문메시지 관리 기능 단축키의 신호가 입력됨을 판단한다. 상기 단문메시지 관리 기능 단축키는 현재 일반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되어 있다. 상기 판단에 따라 305단계에서 제어부(100)는 210단계와 같이 단문메시지 관리 기능의 메뉴를 표시부(120)에 표시한다. 310단계에서 제어부(100)는 단문메시지를 작성하기 위해 210단계의 메뉴에서 '새 메시지 입력' 또는 '문장 불러오기'에 해당하는 키 신호가 키 입력부(110)에 의해 입력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판단에 따라 315단계와 220단계와 같이 키 입력부(110)의 다양한 키들에 의해 단문메시지가 작성된다. 그런 후 320단계에서 제어부(100)는 상기 키 입력부(110)에 의해 확인에 해당하는 키 신호가 입력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확인키에 해당하는 키 신호가 입력되면 325단계로 진행하고 확인키에 해당하는 키 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305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325단계에서 제어부(100)는 상기 키 입력부(110)에 의해 210단계의 메뉴에서 '효과 설정'에 해당하는 키 신호가 키 입력부(110)에 의해 입력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다시 말해,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에 의해 전송할 메시지가 작성되고 확인키를 입력된 후, 제어부(100)는 효과 기능을 나타내는 키 신호가 키 입력부(110)에 의해 입력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효과 설정'을 나타내는 키 신호의 입력 시, 330단계로 진행하여 제어부(100)는 230단계의 효과 기능 중 선택되는 기능에 해당하는 키 신호를 인지한다. 그리고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효과 기능을 설정하지 않을 시, 335단계로 진행한다. 335단계에서 제어부(100)는 상기 210단계의 메뉴에서 '미리보기'에 해당하는 키 신호가 키 입력부(110)에 의해 입력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미리보기'에 해당하는 키 신호의 입력이 있을 시, 340단계로 진행하여 표시부(120)에 디스플레이한다. 그리고 상기 335단계에서 '미리보기'에 해당하는 키 신호가 키 입력이 없을 시, 350단계로 진행한다. 240단계 내지 260단계는 송신할 단문메시지를 작성하고 효과 기능을 설정한 후, 미리보기 기능의 설정 시, 표시부(110)에 디스플레이 되는 화면이다. 상기 240 내지 260단계는 효과 기능의 일실시 예로서, 효과 기능 중 '깜빡이기'기능을 선택한 것이다. 상기 '깜빡이기'기능은 글자색을 주기적으로 바탕색으로 바꾸었다가 다시 글자색으로 바꿈으로서, 상기 단문메시지가 깜빡거리는 효과를 줄 수 있도록 한다. 345단계에서 제어부(100)는 확인에 해당하는 키 신호가 입력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확인에 해당하는 키 신호가 입력되면 350단계로 진행하고 확인에 해당하는 키 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325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350단계에서 제어부(100)는 상기 작성된 메시지 전송을 위한 전송키, 일 예로 통화키, 가 키 입력부(110)에 의해 입력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전송키가 입력되면 355단계로 진행하여 전송을 한다. 한편, 상기 전송키가 입력되지 않으면 305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도 3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효과 기능 설정 시, 단문메시지 작성 후에 설정하지 않고 미리 효과 기능을 설정한 후 단문메시지를 작성하는 또다른 실시예도 있을 수 있다. In step 300, the controller 100 determines that a signal of a short message management function shortcut key is input from the key input unit 110 in the standby state. The short message management function shortcut key is currently provided in a gener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step 305, the control unit 100 displays a menu of the short message management function on the display unit 120 in step 305. In step 310, the controller 100 determines whether a key signal corresponding to 'enter a new message' or 'load a sentence' is input by the key input unit 110 in the menu of step 210 to create a short message. . In accordance with the determination, as in steps 315 and 220, a short message is generated by various keys of the key input unit 110. After that, in step 320, the controller 100 determines whether a key signal corresponding to confirmation is input by the key input unit 110, and when a key signal corresponding to a confirmation key is input, the controller 100 proceeds to step 325. If the corresponding key signal is not input, the flow proceeds to step 305. In step 325, the control unit 100 determines whether a key signal corresponding to 'effect setting' is input by the key input unit 110 in the menu of step 210 by the key input unit 110. In other words, after a message to be transmitted by the us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prepared and a confirmation key is input, the controller 100 determines whether a key signal indicating an effect function is input by the key input unit 110. When the key signal indicating 'effect setting' is input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the controller 100 proceeds to step 330 and the controller 100 recognizes a key signal corresponding to a function selected from the effect functions of step 230. If the effect function is not set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step 335 is performed. In step 335, the controller 100 determines whether a key signal corresponding to 'preview' is input by the key input unit 110 in the menu of step 210. When there is an input of a key signal corresponding to the 'preview'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340 and displays on the display unit 120. In step 335, if there is no key input, the key signal corresponding to 'preview' proceeds to step 350. Steps 240 to 260 are screens that ar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10 when the preview function is set after creating a short message to be transmitted and setting an effect function. Step 240 to step 260 is an embodiment of the effect function, the 'blinking' function of the effect function is selected. The 'blinking' function periodically changes the text color to the background color and then back to the text color, so that the short message can flicker. In step 345, the control unit 100 determines whether the key signal corresponding to the confirmation is input. If the key signal corresponding to the confirmation is input, the control unit 100 proceeds to step 350, and if the key signal corresponding to the confirmation is not input, the controller 100 proceeds to step 325. do. In step 350, the control unit 100 determines whether a transmission key for transmitting the created message, for example, a call key, is inputted by the key input unit 110, and if the transmission key is input, proceeds to step 355 and transmits it. Do it. On the other hand, if the transmission key is not input proceeds to step 305. Although not shown in FIG. 3, there may be another embodiment in which the short message is created after setting the effect function in advance without setting the short message after setting the short message.

송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효과 기능을 설정한 단문메시지를 송신 시, 텔레서비스 계층의 메시지 표시 방법을 나타내는 서브파라미터인 MSG_DISPLAY_EFFECT를 상기 송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설정한 효과 기능에 맞게 세팅된다. 일 예로, 상기 송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단문메시지의 텍스트가 오른쪽으로 이동하기를 원하면 330단계와 230단계의 메뉴에서 '오른쪽 이동'을 선택한다. 그리고 상기 표 2의 텔레서비스 계층의 표시 방법을 나타내는 서브파라미터인 MSG_DISPLAY_EFFECT가 '001'로 세팅된다. 그리고 상기 세팅된 메시지는 수신측 이동통신 단말기로 송신된다. 상기 수신측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수신된 메시지를 분석하면서 텔레서비스 계층의 파라미터인 메시지 표시 방법의 MSG_DISPLAY_EFFECT가 '001'로 세팅되었는지를 확인하여 상기 수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의 표시부(120)에 표시한다. 상기 수신된 단문메시지를 표시부(120)에 표시할 시, 상기 수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단문메시지를 보는 동안 계속적으로 오른쪽으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표시부(120)에 표시되는 단문메시지의 이동시간 간격 또는 깜빡임 간격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에 의해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When transmitting a short message in which an effect function is set in the transmitting mobile terminal, MSG_DISPLAY_EFFECT, which is a sub-parameter indicating a message display method of the teleservice layer, is set according to the effect function set in the transmitting mobile terminal. For example, if the text of the short message is to be moved to the right in the transmitting mobile terminal, the user selects 'move to the right' from the menus of steps 330 and 230. In addition, MSG_DISPLAY_EFFECT, which is a subparameter representing the display method of the teleservice layer of Table 2, is set to '001'. The set message is transmitted to the receiving mobile terminal. The receiving mobile terminal checks whether the MSG_DISPLAY_EFFECT of the message display method, which is a parameter of the teleservice layer, is set to '001' while analyzing the received message and displays it on the display unit 120 of the receiving mobile terminal. When displaying the received short message on the display unit 120, the user of the receiving mobile terminal continuously moves to the right while viewing the short message. The moving time interval or blinking interval of the short messag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20 may be arbitrarily set by the us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수신된 단문메시지를 표시부(120)에 표시하는 과정을 도시한 제어 흐름도이다. 이하 도 1 및 도 4그리고 표 1과 표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4 is a control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displaying a short message received in a receiving sid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n the display unit 12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 and 4 and Table 1 and Table 2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opera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10단계에서 제어부(100)는 단문메시지가 수신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상 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단문메시지가 수신될 시, 420단계로 진행한다. 420단계는 상기 수신된 단문메시지의 정보 및 부가적인 속성을 지닌 텔레서비스 계층의 서브파라미터를 검색한다. 430단계에서 상기 텔레서비스 계층의 서브파라미터인 MSG_DISPLAY_EFFECT에 효과 기능이 설정되어 있는지 판단한다.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효과 기능이 설정되어 있으면 440단계로 진행하고, 효과 기능이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450단계로 진행한다. 440단계에서 제어부(100)는 상기 효과 기능에 따라 표시부(120)에 표시한다. 그리고 450단계에서 제어부(100)는 효과 기능 없이 기본 설정으로 표시부(120)에 표시한다. In step 410, the controller 100 determines whether a short message is received. When the short message is received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step 420 is performed. In step 420, the subparameter of the teleservice layer having the information and additional attributes of the received short message is searched. In step 430, it is determined whether an effect function is set in MSG_DISPLAY_EFFECT, which is a sub parameter of the teleservice layer. If the effect function is set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440, and if the effect function is not set,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450. In step 440, the control unit 100 displays the display unit 120 according to the effect function. In operation 450, the controller 100 displays the display unit 120 on the display unit 120 as a default setting without an effect function.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Meanwhile,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but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not only by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but also by the equivalents of the claims.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하기와 같은 효과를 가질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may have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무선통신을 통해 단문메시지를 전달할 시, 다양한 효과 기능을 설정할 수 있음으로서,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만의 개성이 있는 단문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고급화 및 다변화를 꾀하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의 기대에 부응하는 이점이 있다. First,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ransmits a short message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various effect functions can be set, so that the user can transmit a short message having a personality unique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er, thereby improving and diversify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 is an advantage that meets the expectations of the us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둘째, 기업의 광고를 위하여 방송용 단문메시지를 전송할 시, 다양한 표시 효과 기능을 설정함으로써 정보 전달을 보다 명확하게 할 수 있어 광고의 효과를 한 차원 높일 수 있다.Second, when transmitting a short message for broadcasting for a company's advertising, by setting a variety of display effect functions can be more clearly communicated information can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the advertisement.

Claims (4)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문메시지 서비스 이용 시, 상기 단문메시지를 시각적인 효과와 함께 표시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문메시지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In the short message service metho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display the short message with a visual effect when using the short message servi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단문메시지를 송신하는 송신측 이동통신 단말기가, 송신할 단문메시지에 대해 수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그 내용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시각적인 효과 기능을 텔레서비스 계층상에 서브파라미터를 추가하거나, 이미 존재하는 서브파라미터의 일부분을 새로 정의하여 부가하는 과정과,The sender mobile terminal that transmits the short message adds a sub-parameter on the teleservice layer or adds a sub-parameter on the teleservice layer to display the contents of the short message to be transmitted at the receiver mobile terminal. Defining and adding a part of the parameter newly, 상기 송신할 단문메시지와 상기 시각적인 효과 기능이 부가되었음을 지시하는 지시메시지를 포함하는 전송메시지를 생성하는 과정과,Generating a transmission message including the short message to be transmitted and an indication message indicating that the visual effect function has been added; 상기 생성된 전송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문 메시지 서비스 방법.The short message service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by comprising the step of transmitting the generated transmission message.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문메시지 서비스 이용 시, 상기 단문메시지를 시각적인 효과와 함께 표시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문메시지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In the short message service metho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display the short message with a visual effect when using the short message servi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수신측 이동통신 단말기가, 송신측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단문메시지와 시각적인 효과 기능이 부가되었음을 지시하는 지시메시지를 포함하는 전송메시지를 수신하여 상기 전송메시지를 검사하는 과정과,Receiving, by the receiv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transmission message including an indication message indicating that a short message and a visual effect function have been added from the transmitting mobile terminal, and inspecting the transmission message; 상기 전송메시지에 포함된 단문메시지에 상기 전송메시지에 포함된 지시메시지에 따른 시각적 효과를 부가하여 디스플레이 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문메시지 서비스 방법.The short message servic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hort message included in the transmission message is displayed by adding a visual effect according to the indication message included in the transmission messag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시각적인 효과 기능을 부가하는 과정은,The process of adding the visual effect function, 송신할 단문메시지를 입력받는 단계와,Receiving a short message to be sent; 상기 단문메시지에 대한 시각적인 효과를 부여하기 위한 기능키를 입력받는 단계와,Receiving a function key for giving a visual effect on the short message; 상기 기능키의 입력에 따라 상기 단문메시지에 부여할 시각적 효과의 목록을 제공하는 단계와,Providing a list of visual effects to be applied to the short message according to the input of the function key; 상기 제공된 목록 중의 하나를 선택함으로써, 상기 단문메시지에 대한 시각적인 효과를 부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문 메시지 서비스 방법.And selecting one of the provided lists to give a visual effect on the short message. 제 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시각적 효과의 목록은,The list of visual effects, "오른쪽으로 이동", "왼쪽으로 이동", "위로 이동", "아래로 이동" 및 "깜빡이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문 메시지 서비스 방법.A short message service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ing: "move to right", "move to left", "move up", "move down", and "flashing".
KR1020020011289A 2002-03-04 2002-03-04 The method of short message service in mobile station KR10059398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1289A KR100593985B1 (en) 2002-03-04 2002-03-04 The method of short message service in mobile st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1289A KR100593985B1 (en) 2002-03-04 2002-03-04 The method of short message service in mobile st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2444A KR20030072444A (en) 2003-09-15
KR100593985B1 true KR100593985B1 (en) 2006-07-03

Family

ID=292446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1289A KR100593985B1 (en) 2002-03-04 2002-03-04 The method of short message service in mobile sta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93985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0065B1 (en) * 2002-10-15 2005-03-31 엘지전자 주식회사 Color short message transmission method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59496A (en) * 1999-12-30 2001-07-06 윤종용 Method and device for displying received state in mobile wireless terminal
KR20020070761A (en) * 2001-10-08 2002-09-11 엠브릿지 주식회사 Message creating apparatus for mobile phon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59496A (en) * 1999-12-30 2001-07-06 윤종용 Method and device for displying received state in mobile wireless terminal
KR20020070761A (en) * 2001-10-08 2002-09-11 엠브릿지 주식회사 Message creating apparatus for mobile pho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2444A (en) 2003-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06308B2 (en)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for identifying and indicating short message types using indicator icons and method thereof
CA2420779C (en) Handset personalisation
AU723988B2 (en) A communication network terminal supporting a plurality of applications
KR100639020B1 (en) Apparatus enabling usage of external display monitor with a mobile telephone
AU2012339426A1 (en)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ically deleting instant messaging information
CN100377616C (en) Text message preview method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593985B1 (en) The method of short message service in mobile station
KR10060588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Alphanumeric Messages In Mobile Device
KR100572475B1 (en) How to display incoming short message on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KR100724414B1 (en) Method for displaying received message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608725B1 (en) Method for sending and receiving message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748991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nable to chat with message and its operating method
KR100964667B1 (en) Method for inputting synchronous message and celluar phone using the same
KR100459172B1 (en) Method for transmitting message in mobile terminal
KR101046075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transmitting broadcast message
KR20040046258A (en) Character message transmission method in a mobile phone
KR100606766B1 (en) Method for Managing a short message
KR100635767B1 (en) Mobile phone for management of text message by geometric shape and methodd thereof
KR100563708B1 (en) Method for input the phone number for multi-address calling in idle screen of mobile phone
KR100820548B1 (en) Method for emboding instant message in handset
KR101474414B1 (en) Timeline based conversational character message box and apparatus and message for displaying character message using the same
KR100782508B1 (en) Message transmission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60031932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ms message transmitting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50119833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 short message
KR100606071B1 (en) Method for message transmission of mobile st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40828

Effective date: 20051129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