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84343B1 - Method for controlling earphone combined speaker in wireless terminal - Google Patents

Method for controlling earphone combined speaker in wireless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84343B1
KR100584343B1 KR1020030091431A KR20030091431A KR100584343B1 KR 100584343 B1 KR100584343 B1 KR 100584343B1 KR 1020030091431 A KR1020030091431 A KR 1020030091431A KR 20030091431 A KR20030091431 A KR 20030091431A KR 100584343 B1 KR100584343 B1 KR 1005843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arphone
call
speaker
portable terminal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9143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50059716A (en
Inventor
양인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914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4343B1/en
Publication of KR200500597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971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43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434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피커 겸용 이어폰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에서 상기 이어폰을 통한 동작수행 방법이, 상기 휴대단말기에 콜이 발생되면, 상기 이어폰의 인출/인입을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이어폰이 인출되면, 일정레벨로 통화음량이 조절되는 통화모드로 전환하는 과정과; 상기 이어폰이 인입되면, 스피커모드로 전환하여 벨소리를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performing an operation through the earphone in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earphone with a speaker, when a call is generated in the portable terminal, determining the withdrawal / retraction of the earphone; Switching to a call mode in which the call volume is adjusted to a predetermined level when the earphone is withdrawn; When the earphone is retracted, switching to the speaker mod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the step of outputting a ringtone.

이어폰, 센서, 이어폰 모드, 스피커 모드Earphone, sensor, earphone mode, speaker mode

Description

휴대단말기에서 스피커 겸용 이어폰의 제어방법 {METHOD FOR CONTROLLING EARPHONE COMBINED SPEAKER IN WIRELESS TERMINAL} Control method of earphone with speaker in mobile terminal {METHOD FOR CONTROLLING EARPHONE COMBINED SPEAKER IN WIRELESS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a 및 도 2b는 스피커 겸용 이어폰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를 나타낸 도면.2a and 2b are views showing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speaker and earphone.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피커 겸용 이어폰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에서 통화를 수행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performing a call in a mobile terminal having a speaker and earph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피커 겸용 이어폰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에서 이어폰의 이탈상태를 알리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notifying the detached state of the earphone in the mobile terminal having the earphone with spe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피커 겸용 이어폰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에서 음악청취 중 통화를 수행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5 is a view illustrating a process of performing a call while listening to music in a mobile terminal having a speaker and earph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이어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스피커 겸용 이어폰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에서, 상기 이어폰을 통해 스피커 모드 및 이어폰모드에서 동작 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arphone of a portable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of operating in a speaker mode and an earphone mode through the earphone in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speaker with a dual-use speaker.

종래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들은 상기 휴대 단말기의 스피커 및 마이크를 통해 통화를 수행하거나, 따로 이어폰을 휴대하고 다니며 통화를 수행하였다. 특히 통화수행의 편리함으로 상기 이어폰을 통한 통화를 많이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이어폰을 통한 통화수행은 상기 이어폰을 따로 휴대 하거나 목에 걸고 다녀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The user of the conventional portable terminal performs the call through the speaker and the microphone of the portable terminal, or carry the call separately carrying the earphone. In particular, the call through the earphone is used a lot as the convenience of the call. However, performing a call through the earphone is inconvenient to carry the earphone separately or hang around the neck.

또한 화상통화의 발전으로 상기 이어폰을 통한 통화수행은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화면을 보면서 통화를 하기 위해서는 휴대 단말기의 송수신부로부터 얼굴을 이격 시켜야 하기 때문에 상기 이어폰의 사용빈도는 더욱 확대 될 것이며, 종래 이어폰의 사용은 상기와 같은 불편함을 더욱 증가 시킬 것이다.In addition, the development of the video call can be said to perform the call through the earphone. In order to make a call while looking at the screen, the frequency of use of the earphones will be further increased because the face must be separated from the transceiver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use of conventional earphones will further increase the inconvenience.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스피커 겸용 이어폰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에서 상기 이어폰을 통해 스피커 동작모드 및 이어폰 동작모드를 수행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performing a speaker operation mode and an earphone operation mode through the earphone in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speaker with a speaker combined.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스피커 겸용 이어폰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에서 상기 이어폰을 통한 동작수행 방법이, 상기 휴대단말기에 콜이 발생되면, 상기 이어폰의 인출/인입을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이어폰이 인출되면, 일정레벨로 통화음량이 조절되는 통화모드로 전환하는 과정과; 상기 이어폰이 인입되면, 스피커모드로 전환하여 벨소리를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ethod for performing an operation through the earphone in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speaker with earphone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f the call is generated in the portable terminal, determining the withdrawal / retraction of the earphone; Switching to a call mode in which the call volume is adjusted to a predetermined level when the earphone is withdrawn; When the earphone is retracted, switching to the speaker mod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the step of outputting a ringtone.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스피커 겸용 이어폰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에서 상기 이어폰을 통한 동작수행 방법이, 상기 이어폰이 인출되면, 상기 이어폰의 동작수행을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이어폰이의 동작수행 없이 일정시간이 경과되면, 사용자에게 상기 이어폰의 인출을 알리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method for performing an operation through the earphone in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speaker with earphone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process of detecting the operation performance of the earphone when the earphone is pulled out; If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without performing the operation of the earphon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tep of notifying the withdrawal of the earphone to the user.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스피커 겸용 이어폰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에서 상기 이어폰을 통한 동작수행 방법이, 상기 휴대단말기에서 음악청취 중 콜이 발생되면, 상기 이어폰의 인출/인입을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이어폰이 인출되면, 사용자에게 콜 발생을 알리는 과정과; 상기 이어폰이 인입되면, 스피커 모드로 전환하여 벨소리를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method of performing the operation through the earphone in the portable terminal having a speaker with a speaker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process of determining the withdrawal / retraction of the earphone when a call occurs while listening to music in the portable terminal; When the earphone is withdrawn, informing a user of a call occurrence; When the earphone is inserte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the step of outputting the ringtone by switching to the speaker mode.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을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DETAILED DESCRIPTION Hereinafter, detailed descriptions of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components in the figures represent the same numerals wherever possibl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피커겸용 이어폰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으로써, 카메라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2a는 본 발의 실시 예에 따라 스피커겸용 이어폰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스피커 모드를 도시한 도면이며, 상기 도 2b는 본 발의 실시 예에 따라 스피커겸용 이어폰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이어폰 모드를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speaker and earph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camera. FIG. 2A illustrates a speaker mode of a mobile terminal having a speaker and earph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B illustrates an earphone mode of a mobile terminal including a speaker and earph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drawing.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RF부123은 휴대 단말기의 무선 통신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RF부123은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RF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변환하는 RF수신기등을 포함한다. 데이터처리부120은 상기 송신되는 신호를 부호화 및 변조하는 송신기 및 상기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하는 수신기 등을 구비한다. 즉, 상기 데이터 처리부123은 모뎀(MODEM) 및 코덱(CODDEC)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코덱은 패킷데이터 등을 처리하는 데이터 코덱과 음성 등의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오디오 코덱을 구비한다. 오디오 처리부125는 상기 데이터 처리부120의 오디오 코덱에서 출력되는 수신 오디오신호를 재생하거나 또는 마이크로부터 발생되는 송신 오디오신호를 상기 데이터 처리부120의 오디오 코덱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Referring to FIG. 1, the RF unit 123 performs a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The RF unit 123 includes an RF transmitter for upconverting and amplifying a frequency of a transmitted signal, and an RF receiver for low noise amplifying and downconverting a received signal. The data processor 120 includes a transmitter for encoding and modulating the transmitted signal and a receiver for demodulating and decoding the received signal. That is, the data processor 123 may be configured of a modem and a codec CODDEC. The codec includes a data codec for processing packet data and an audio codec for processing an audio signal such as voice. The audio processor 125 reproduces the received audio signal output from the audio codec of the data processor 120 or transmits a transmission audio signal generated from the microphone to the audio codec of the data processor 120.

메모리130은 프로그램 메모리, 데이터 메모리들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는 휴대 단말기의 일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들 및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휴대 단말기에 구비된 스피커 겸용 이어폰200(이하 "이어폰"이라 함)의 인출 및 인입에 따라 이어폰 모드 및 스피커 모드로 전환하도록 제어하는 프로그램들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 메모리는 상기프로그램들을 수행하는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들을 일시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memory 130 may include program memory and data memories. The program memory is a earphone mode and a speaker according to the withdrawal and withdrawal of the program for controlling the general ope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speaker dual earphone 200 (hereinafter referred to as "earphone") provided in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You can store programs that control you to switch to mode. The data memory also temporarily stores data generated during the execution of the programs.

제어부110은 휴대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0은 상기 데이터처리부120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센서170으로부터 상기 이어폰200의 인출 및 인입을 감지하여 이어폰모드 및 스피커모드로 전환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콜 발생 시 상기 이어폰200이 인출되면 음량을 일정레벨로 조절한 후 자동으로 통화모드로 전환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이어폰200이 동작수행 없이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사용자에게 상기 이어폰200의 인출을 알리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이어폰 모드에서 음악 청취 중 콜이 발생하면 사용자에게 콜 발생을 알리도록 제어한다. The controller 11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In addition, the controller 10 may include the data processor 120.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10 detects the withdrawal and withdrawal of the earphone 200 from the sensor 170 and controls to switch to the earphone mode and speaker m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10 controls to automatically switch to the call mode after adjusting the volume to a certain level when the earphone 200 is drawn out when a call occu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he controller 110 controls the earphone 200 to notify the user of the withdrawal of the earphone 200 when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without performing an ope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he controller 110 controls the user to notify the call when a call occurs while listening to music in the earphone m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카메라부(camera module)140은 영상 데이터를 촬영하며, 촬영된 광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카메라 센서와, 상기 카메라센서로부터 촬영되는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신호처리부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카메라 센서는 CCD센서라 가정하며, 상기 신호처리부는 DSP(Digital Signal Processor: DSP)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 센서 및 신호처리부는 일체형으로 구현할 수 있으며, 또한 분리하여 구현할 수도 있다. The camera module 140 includes a camera sensor for capturing image data, converting the photographed optical signal into an electrical signal, and a signal processor for converting the analog image signal photographed from the camera sensor into digital data. Herein, it is assumed that the camera sensor is a CCD sensor, and the signal processor may be implemented by a digital signal processor (DSP). In addition, the camera sensor and the signal processor may be integrally implemented or may be separately implemented.

영상처리부150은 상기 카메라부140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표시하기 위한 화면 데이터를 발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영상처리부150은 상기 카메라부40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프레임 단위로 처리하며, 상기 프레임 영상데이터를 상기 표시부160의 특성 및 크기에 맞춰 출력한다. 또한 상기 영상처리부50은 영상코덱을 구비하며, 상기 표시부160에 표시되는 프레임 영상데이터를 설정된 방식으로 압축하거나, 압축된 프레임 영상데이터를 원래의 프레임 영상데이터로 복원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영상코덱은 JPEG 코덱, MPEG4 코덱, Wavelet 코덱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영상처리부150은 OSD(On Screen Display) 기능을 구비한다고 가정하며, 상기 제어부110의 제어하여 표시되는 화면크기에 따라 온스크린 표시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The image processor 150 performs a function of generating screen data for displaying an image signal output from the camera unit 140. The image processor 150 processes the image signal output from the camera unit 40 in units of frames, and outputs the frame image data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and size of the display unit 160. In addition, the image processor 50 includes an image codec and performs a function of compressing the frame image data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60 in a set manner or restoring the compressed frame image data to the original frame image data. The image codec may be a JPEG codec, an MPEG4 codec, a wavelet codec, or the like. It is assumed that the image processor 150 has an On Screen Display (OSD) function, and may output on-screen display data according to a screen size displayed by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10.

표시부160은 상기 영상처리부50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화면으로 표시하 며, 상기 제어부110에서 출력되는 사용자 데이터를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표시부160은 LCD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런 경우 상기 표시부160은 LCD제어부(LCD controller), 영상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및 LCD표시소자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LCD를 터치스크린(touch screen) 방식으로 구현하는 경우, 입력부로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표시부16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이어폰200이 동작모드 없이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이어폰200이 인출됨을 알리는 메시지를 표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부16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이어폰 모드에서 음악청취 중 콜 발생을 알리는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키입력부127은 숫자 및 문자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키들 및 각종 기능들을 설정하기 위한 기능키들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키입력부127은 상기 이어폰200을 인출시킬 수 있는 키를 구비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160 displays the image signal output from the image processing unit 50 on the screen, and displays the user data output from the control unit 110. The display unit 160 may use an LCD. In this case, the display unit 160 may include an LCD controller, a memory capable of storing image data, and an LCD display device. In this case, when the LCD is implemented using a touch screen method, the LCD may operate as an input unit. In addition, the display unit 160 may display a message informing the user that the earphone 200 is drawn out after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without the operation mod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he display unit 160 may display a message indicating the call generation during listening to music in the earphone m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key input unit 127 includes keys for inputting numeric and character information and function keys for setting various functions. In addition, the key input unit 127 may be provided with a key for withdrawing the earphone 200.

상기 센서170은 상기 휴대 단말기에 구비된 이어폰200의 인출 및 인입을 감지하여 상기 감지정보를 상기 제어부110에 전송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센서170은 홀 이펙트 센서(HALL EFFECT IC)를 사용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상기 이어폰200은 스피커 겸용 이어폰으로써, 상기 이어폰200이 상기 도 2a와 같이 상기 휴대 단말기에 인입되어 있으면 스피커 모드로 전환하여 콜 발생을 알리는 벨소리 및 음악을 출력한다. 또는 상기 이어폰200이 상기 도 2b와 같이 상기 휴대 단말기에 인출되어 있으면 이어폰 모드로 전환하여 통화를 수행하거나 음악을 출력한다.The sensor 170 detects the withdrawal and withdrawal of the earphone 200 provided in the portable terminal and transmits the detection information to the controller 110.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t is assumed that the sensor 170 uses a Hall effect sensor (HALL EFFECT IC). The earphone 200 is a speaker combined earphone. When the earphone 200 is inserted into the mobile terminal as shown in FIG. 2A, the earphone 200 switches to a speaker mode and outputs a ring tone and music indicating a call occurrence. Alternatively, when the earphone 200 is withdrawn from the portable terminal as shown in FIG. 2B, the earphone 200 is switched to the earphone mode to perform a call or output music.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피커 겸용 이어폰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에서 통화를 수행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performing a call in a mobile terminal having a speaker and earph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도 1 및 도 2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상기 도 3을 참조하여, 대기모드인 301단계에서 콜 이 발생하면 상기 제어부110은 302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휴대 단말기에 이어폰200이 인출 또는 인입되어 있는지 판단한다. 상기 도 2a와 같이 상기 휴대 단말기로부터 상기 이어폰200이 인출되어 있으면 상기 제어부110은 303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304단계의 이어폰모드로 전환하다. 이때 상기 제어부110은 상기 휴대 단말기를 자동 통화모드로 전환하며, 305단계에서 통화음량을 일정레벨로 조절하여 상기 사용자의 귀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한다. 상기 일정레벨의 통화음량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상기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가 306단계에서 인출된 이어폰200을 통해 통화를 수행 한 종료키를 입력하면 상기 제어부110은 307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301단계를 진행한다.Referring to FIG. 3, when a call occurs in step 301 in the standby mode, the controller 110 detects this in step 302 and determines whether the earphone 200 is withdrawn or drawn in the mobile terminal. If the earphone 200 is withdrawn from the portable terminal as shown in FIG. 2A, the controller 110 detects it in step 303 and switches to the earphone mode in step 304. In this case, the controller 110 switches the portable terminal to the automatic call mode, and adjusts the call volume to a predetermined level in step 305 so that the user's ear is not overwhelmed. The call volume at the predetermined level may be preset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When the user of the portable terminal inputs an end key for making a call through the earphone 200 drawn out in step 306, the controller 110 detects it in step 307 and proceeds to step 301.

또는 콜 발생 시, 상기 도 2a와 같이 상기 이어폰200이 상기 휴대 단말기에 인입되어 있으면 상기 제어부110은 303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스피커 모드로 전환하는 308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스피커모드로 전환한 상기 이어폰200은 309단계에서 벨소리를 출력하며 상기 사용자에게 콜 발생을 알린다. 상기 벨소리의 출력으로 콜 발생을 인지한 상기 사용자가 통화키를 입력하면 상기 제어부110은 이를 감지하고 상기 사용자가 통화를 수행할 수 있는 306단계를 진행하다. 상기 306단계에서 상기 사용자는 상기 휴대 단말기의 마이크 및 스피커를 통해 통화를 수행하거나, 상기 이어폰200을 인출하여 통화를 수행할 수 있다.Alternatively, when a call occurs, if the earphone 200 is inserted into the portable terminal as shown in FIG. 2A, the controller 110 detects it in step 303 and proceeds to step 308 to switch to the speaker mode. The earphone 200 which has switched to the speaker mode outputs a ringtone in step 309 and notifies the user of a call occurrence. When the user who has recognized the call occurrence as the output of the ringtone inputs a call key, the controller 110 detects this and proceeds to step 306 in which the user can make a call. In step 306, the user may perform a call through a microphone and a speaker of the portable terminal, or withdraw the earphone 200 to perform a call.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피커 겸용 이어폰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 에서 이어폰의 이탈상태를 알리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notifying the detached state of the earphone in the mobile terminal having the earphone with spe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도 1 및 도 2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10은 상기 휴대 단말기로부터 이어폰200이 인출되었는지 판단한다. 상기 도 2a와 같이 상기 이어폰200이 상기 휴대 단말기로부터 인입되어 있으면 상기 제어부110은 401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이어폰200을 스피커 모드로 전환하는 411단계를 진행한다. Referring to FIG. 4, the controller 110 determines whether the earphone 200 is withdrawn from the portable terminal. If the earphone 200 is inserted from the portable terminal as shown in FIG. 2A, the controller 110 detects it in step 401 and proceeds to step 411 in which the earphone 200 is switched to the speaker mode.

그렇지 않고 상기 도 2b와 같이 상기 이어폰200이 상기 휴대 단말기로부터 인출되어 있으면 상기 제어부110은 401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이어폰200을 통해 통화수행 및 음악청취등의 동작모드가 수행중인지 판단한다. 상기 이어폰200을 통해 동작모드가 수행중이면 상기 제어부110은 402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통화수행 및 음악청취등의 해당동작을 수행하는 405단계를 진행한다. Otherwise, if the earphone 200 is withdrawn from the portable terminal as shown in FIG. 2B, the controller 110 detects it in step 401 and determines whether an operation mode such as call execution and music listening is performed through the earphone 200. If the operation mode is being performed through the earphone 200, the controller 110 detects it in step 402 and proceeds to step 405 in which a corresponding operation such as call performance and music listening is performed.

또는 상기 이어폰200이 아무런 동작을 수행하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110은 402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일정경과 되었는지 판단한다. 상기 일정시간 경과동안 상기 이어폰200을 통해 아무런 동작이 수행되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110은 403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이어폰200이 인출되었음을 알리는 404단계를 진행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110은 벨소리, 진동 및 상기 표시부160을 제어하여 알림메시지 표시를 통해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이어폰200이 인출되었음을 알릴 수 있다. Alternatively, if the earphone 200 does not perform any operation, the controller 110 detects it in step 402 and determines whether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If no operation is performed through the earphone 200 during the predetermined time, the controller 110 detects this in step 403 and proceeds to step 404 informing the user that the earphone 200 has been withdrawn. In this case, the controller 110 may control the ringer, vibration, and the display unit 160 to inform the user that the earphone 200 is drawn out through a notification message display.

만약 상기 일정시간 경과되기 전에 콜이 발생하면 상기 제어부110은 406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인출된 이어폰200을 강제로 스피커모드로 전환하는 407단 계를 진행한다. 상기 스피커모드로 전환된 상기 이어폰200은 408단계에서 벨소리를 출력하며 상기 사용자에게 콜 발생을 알린다. 상기 벨소리의 출력으로 콜 발생을 인지한 상기 사용자가 통화키를 입력하면 상기 제어부110은 이를 감지하고 상기 사용자가 통화를 수행할 수 있는 409단계를 진행하다. 상기 409단계에서 상기 사용자는 상기 휴대 단말기의 마이크 및 스피커를 통해 통화를 수행하거나, 상기 키입력부127에서 특정키를 눌러 상기 이어폰200을 이어폰 모드로 전환한 후 상기 이어폰200을 통해 통화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가 상기 409단계에서 통화를 수행 한 종료키를 입력하면 상기 제어부110은 410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401단계를 진행한다.If a call occurs before the predetermined time elapses, the control unit 110 detects it in step 406 and proceeds to step 407 to forcibly switch the drawn earphone 200 to the speaker mode. The earphone 200 which has been switched to the speaker mode outputs a ringtone in step 408 and notifies the user of a call occurrence. When the user who recognizes the call occurrence as the output of the ringtone inputs a call key, the controller 110 detects this and proceeds to step 409 in which the user can make a call. In step 409, the user performs a call through the microphone and the speaker of the mobile terminal, or presses a specific key in the key input unit 127 to switch the earphone 200 to the earphone mode, and then perform the call through the earphone 200. have. When the user of the portable terminal inputs an end key for making a call in step 409, the controller 110 detects it in step 410 and proceeds to step 401.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피커 겸용 이어폰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에서 음악청취 중 통화를 수행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performing a call while listening to music in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speaker and earph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도 1 및 도 2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상기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휴대 단말기를 통해 음악청취 중인 501단계에서 콜이 발생하면 상기 제어부110은 502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이어폰200의 모드를 판단한다. 상기 도 2b와 같이 상기 이어폰200이 이어폰모드이면 상기 제어부110은 503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사용자에게 콜 발생을 알리는 504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504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10은 일정시간마다 벨소리를 출력하거나, 진동 및 상기 표시부160에 콜 발생을 알리는 메시지를 표시함으로써, 상기 사용자에게 콜 발생을 알릴 수 있다. 상기 콜 발생을 인지한 상기 사용자가 통화키를 입력하면 상기 제어부110은 505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506단계를 진행한다. 상 기 506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10은 통화음량을 일정레벨로 조절하여 상기 사용자의 귀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한다. 상기 일정레벨의 통화음량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상기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가 507단계에서 상기 인출된 이어폰200을 통해 통화를 수행 한 종료키를 입력하면 상기 제어부110은 508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501단계를 진행한다.Referring to FIG. 5, when a call occurs in step 501 while listening to music through the portable terminal, the controller 110 detects it in step 502 and determines the mode of the earphone 200. If the earphone 200 is in the earphone mode as shown in FIG. 2B, the controller 110 detects it in step 503 and proceeds to step 504 informing the user of a call occurrence. In step 504, the control unit 110 outputs a ringtone at a predetermined time or displays a message for notifying the call occurrence of the vibration and the display unit 160, thereby notifying the call generation to the user. When the user who recognizes the call is input, the controller 110 detects it in step 505 and proceeds to step 506. In step 506, the controller 110 adjusts the call volume to a predetermined level so that the user's ear is not overwhelmed. The call volume at the predetermined level may be preset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When the user of the portable terminal inputs an end key for making a call through the extracted earphone 200 in step 507, the controller 110 detects this in step 508 and proceeds to step 501.

또는 상기 음악청취 중 콜 발생 시, 상기 도 2a와 같이 상기 이어폰200이 스피커 모드이면, 상기 제어부110은 509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스피커모드로 전환된 상기 이어폰200을 통해 벨소리를 출력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콜 발생을 알리는 510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벨소리의 출력으로 콜 발생을 인지한 상기 사용자가 통화키를 입력하면 상기 제어부110은 이를 감지하고 상기 사용자가 통화를 수행할 수 있는 507단계를 진행하다. 상기 507단계에서 상기 사용자는 상기 휴대 단말기의 마이크 및 스피커를 통해 통화를 수행하거나, 상기 이어폰200을 인출하여 통화를 수행할 수 있다.Alternatively, when a call occurs while listening to the music, if the earphone 200 is in the speaker mode as shown in FIG. 2A, the controller 110 detects it in step 509 and outputs a ring tone through the earphone 200 which is switched to the speaker mode to the user. Proceed to step 510 to notify the call occurrence. When the user who recognizes the call as an output of the ringtone inputs a call key, the controller 110 detects this and proceeds to step 507 in which the user can make a call. In step 507, the user may make a call through a microphone and a speaker of the portable terminal, or withdraw the earphone 200 to perform a call.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휴대 단말기와 같은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In 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specific embodiment such as a mobile terminal has been described, bu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defined by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by the equivalent of claims and claims.

즉,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에 스피커 겸용 이어폰을 구비 함으로써, 상기 이어폰으로 스피커 동작모드와 이어폰 동작모드의 겸용이 가능하며, 이어폰을 따로 휴대 할 필요가 없어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at is,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peaker-compatible earphone in the mobile terminal, so that the earphone and the earphone operation mode can be used as the earphone, and there is no need to carry the earphone separately so that the user can conveniently use the earphone. It works.

Claims (8)

스피커 겸용 이어폰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에서 상기 이어폰을 통한 동작수행 방법에 있어서, In the portable terminal equipped with a speaker with a earphone in the operation performing method through the earphone, 상기 휴대단말기에 콜이 발생되면, 상기 이어폰의 인출/인입을 판단하는 과정과,Determining a withdrawal / retraction of the earphone when a call is generated in the portable terminal; 상기 이어폰이 인출되면, 일정레벨로 통화음량이 조절되는 통화모드로 전환하는 과정과,When the earphone is withdrawn, the process of switching to a call mode in which the call volume is adjusted to a predetermined level, 상기 이어폰이 인입되면, 스피커모드로 전환하여 벨소리를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에서 스피커 겸용 이어폰의 제어방법.When the earphone is inserted, the control method of the speaker combined earphone in a portable terminal comprising the step of outputting a ringtone by switching to the speaker mode. 삭제delete 삭제delete 스피커 겸용 이어폰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에서 상기 이어폰을 통한 동작수행 방법에 있어서, In the portable terminal equipped with a speaker with a earphone in the operation performing method through the earphone, 상기 이어폰이 인출되면, 상기 이어폰의 동작수행을 감지하는 과정과,Detecting the performance of the earphone when the earphone is withdrawn, 상기 이어폰이의 동작수행 없이 일정시간이 경과되면, 사용자에게 상기 이어폰의 인출을 알리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에서 스피커 겸용 이어폰의 제어방법.If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without performing the operation of the earphone, the control method of a speaker combined earphone in a mobile terminal, comprising the step of informing the user of the withdrawal of the earphone. 제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일정시간이 경과되기 전에 콜이 발생되면, 스피커 모드로 전환하여 벨소리를 출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에서 스피커 겸용 이어폰의 제어방법. If the call occurs before the predetermined time elapses, the control method of the earphone combined with the speaker in the portab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outputting the ringtone to the speaker mode. 스피커 겸용 이어폰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에서 상기 이어폰을 통한 동작수행 방법에 있어서, In the portable terminal equipped with a speaker with a earphone in the operation performing method through the earphone, 상기 휴대단말기에서 음악청취 중 콜이 발생되면, 상기 이어폰의 인출/인입을 판단하는 과정과, Determining a withdrawal / retraction of the earphone when a call is generated while listening to music in the portable terminal; 상기 이어폰이 인출되면, 사용자에게 콜 발생을 알리는 과정과,When the earphone is withdrawn, informing a user of a call occurrence; 상기 이어폰이 인입되면, 스피커 모드로 전환하여 벨소리를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에서 스피커 겸용 이어폰의 제어방법.When the earphone is inserted, the control method of the speaker combined earphone in a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the step of outputting a ringtone by switching to the speaker mode. 제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콜 발생에 따라 통화가 선택되면, 일정레벨로 통화음량을 조절하여 통화모드로 전환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에서 스피커 겸용 이어폰의 제어방법.If a call is selected according to the call occurrence, the method of controlling a speaker combined earphone in a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switching to a call mode by adjusting the call volume to a certain level. 삭제delete
KR1020030091431A 2003-12-15 2003-12-15 Method for controlling earphone combined speaker in wireless terminal KR10058434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1431A KR100584343B1 (en) 2003-12-15 2003-12-15 Method for controlling earphone combined speaker in wireless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1431A KR100584343B1 (en) 2003-12-15 2003-12-15 Method for controlling earphone combined speaker in wireless termin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9716A KR20050059716A (en) 2005-06-21
KR100584343B1 true KR100584343B1 (en) 2006-05-26

Family

ID=372525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91431A KR100584343B1 (en) 2003-12-15 2003-12-15 Method for controlling earphone combined speaker in wireless termi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84343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17834B2 (en) * 2005-06-01 2009-08-19 株式会社カシオ日立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 Sound output device and sound output control progra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9716A (en) 2005-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53893B1 (en) Method for controlling camera mode in wireless terminal
KR100800792B1 (en) Method for performing call in wireless terminal
KR100735290B1 (en) Method for controlling image?in video telephone mode of wireless terminal
KR100735289B1 (en) Method for performing call in wireless terminal
KR100605994B1 (en) Method for indicating memory in wireless terminal
KR100584390B1 (en) Method for performing camera function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547741B1 (en) Speaker device of mobile terminal
KR100800689B1 (en) Method for controlling alarm in wireless terminal
KR100584343B1 (en) Method for controlling earphone combined speaker in wireless terminal
KR100678130B1 (en) Method for performing call in wireless terminal
KR20060136235A (en) Method for performing call in wireless terminal
KR100557096B1 (en) Method for displaying data in wireless terminal with both camera
KR100678261B1 (en) Method for performing multitasking in wireless terminal
KR100606092B1 (en) Method for preventing howling in wireless terminal
KR100713438B1 (en) Method for calling between wireless terminal and headset
KR100689409B1 (en) Method for displaying data in external display unit of wireless terminal
KR100678118B1 (en) Method for checking miss external memory in wireless terminal
KR20070044426A (en) Method for controlling image in video telephone mode of wireless terminal
KR100630101B1 (en) Method for controlling portable home theater with multi-function in wireless terminal
KR101002864B1 (en) Method for controlling active mode in wireless terminal typing slide
KR100606068B1 (en) Method for controlling of power off in wireless terminal
KR20050023558A (en) Method for displaying of constructing background image in wireless terminal
KR20070076029A (en) Method for transmitting message n wireless terminal
KR20070031132A (en) Method for displaying display mode in portable terminal
KR100810362B1 (en) Method for performing file of external memory in wireless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