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84150B1 -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장치의 오류진단 방법 - Google Patents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장치의 오류진단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84150B1
KR100584150B1 KR1019990053961A KR19990053961A KR100584150B1 KR 100584150 B1 KR100584150 B1 KR 100584150B1 KR 1019990053961 A KR1019990053961 A KR 1019990053961A KR 19990053961 A KR19990053961 A KR 19990053961A KR 100584150 B1 KR100584150 B1 KR 1005841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block
unit
terminal
sequent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39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49043A (ko
Inventor
서석장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900539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4150B1/ko
Publication of KR200100490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90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41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41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6Testing, supervising or monitoring using simulated traff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09Measuring or estimating channel quality parameters
    • H04B17/318Received signal streng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52TPC using AGC [Automatic Gain Control] circuits or amplifi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onitoring And Testing Of Transmission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장치의 오류진단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은 무선단말기 RF부의 섹터 전력을 설정하고 측정을 위한 각 블록의 순차적인 순위를 결정한 다음 테스트용 신호를 발생시켜 상기 무선단말기 RF부에 입력하는 제1단계와; 상기 테스트용 신호가 입력된 상기 무선단말기 RF부 내의 순차적인 순위가 결정된 블록에서 전력레벨을 입력받아 변환/디지타이징부에 인가하여 AC의 RF신호를 정류하여 DC 전압으로 변환시켜 준 다음 DC 전압 신호가 일정한 범위의 값을 갖도록 스케일링하고 여러 단계의 전압레벨로 나누는 디지타이징을 수행하는 제2단계와; 상기 디지타이징된 신호에서 상기 무선단말기 RF부 내의 순차적인 순위가 결정된 각 블록의 레벨 값 및 이득에 대한 정보를 PC로 전송하여 결과를 디스플레이하는 제3단계를 수행함으로써, 무선장치내의 각 블록을 하나씩 측정해보지 않고 자체진단회로를 이용하여 무선부 각 블록의 상태를 파악하여 설계 오류 및 고장(불량)원인을 파악하여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장치의 오류진단 방법{Method for error diagnosis of RF device in communication system}
도1은 일반적인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장치의 블록구성도이고,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장치의 오류진단 방법을 보인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무선단말기 RF부 11 : 송신부
12 : 발진부 13 : 수신부
14 : 변환/디지타이징부 15 : 듀플렉서
16 : 메인 프로세서 17 : 데이터 송수신부
18 : 제어부
본 발명은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장치의 오류진단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무선장치내의 각 블록을 하나씩 측정해보지 않고 자체진단회로를 이용하여 무선부의 각 블록의 상태를 파악하여 설계 오류 및 고장(불량)원인을 파악함으로써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키기에 적당하도록 한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장치의 오류진단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1은 일반적인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장치의 블록구성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단말기의 RF(Radio Frequency)부(10)는 크게 송신부(11)와 발진부(12)와 수신부(13)로 나누어질 수 있다. 그리고 송신부는 PA(Power Amplifier, 전력 증폭기), BPF(Band Pass Filter, 대역통과 여파기), AMP(Amplifier, 증폭기), MIXER 등으로 구성되고, 수신부(13)는 LNA(Low Noise Amplifier, 저잡음 증폭기), BPF, MIXER 등으로 구성된다. 또한 무선단말기에는 변환/디지타이징부(14)와 듀플렉서(15)와 메인 프로세서(16)와 데이터 송수신부(17) 등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그래서 종래에는 무선단말기의 RF부(10)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부위별로 신호 경로를 절단한 후, 스펙트럼 분석기(Spectrum Analyzer)나 네트워크 분석기(Network Analyzer)를 이용하여 각 블록을 모두 시험해야 하였다.
즉, 무선부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부위별로 신호 경로를 절단한 다음 각 블록 별로 입력부에 신호 발생기(Signal Generator)를 연결하고, 출력단에 스펙트럼 분석기를 연결하여 각 블록에서 정상적인 이득이나 손실 또는 정상적인 출력세기가 나오는지를 모두 시험하여야 했다. 또한 네트워크 분석기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부위별로 신호 경로를 절단한 다음 각 블록의 입력과 출력의 양단에 네트워크 분석기를 연결하여 각 블록에서의 상태를 시험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시험방식에서는 생산과정에서 각 부위를 모두 시험할 시간 및 장비가 부족하여 시행착오(trial and error)를 통한 부품교체를 하거나 불량처리를 할 수 밖에 없었으므로, 생산에 필요한 시간이 많이 소요되거나 수율이 좋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설계오류나 생산성의 효율을 개선할 필요가 대두되었으나 무선 RF부의 특성상 효과적인 장비나 혁신적인 방법이 그 동안 제시되지 못하였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무선장치내의 각 블록을 하나씩 측정해보지 않고 자체진단회로를 이용하여 무선부의 각 블록의 상태를 파악하여 설계 오류 및 고장(불량)원인을 파악함으로써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장치의 오류진단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장치의 오류진단 방법은,
무선단말기 RF부의 섹터 전력을 설정하고 측정을 위한 각 블록의 순차적인 순위를 결정한 다음 테스트용 신호를 발생시켜 상기 무선단말기 RF부에 입력하는 제1단계와; 상기 테스트용 신호가 입력된 상기 무선단말기 RF부 내의 순차적인 순위가 결정된 블록에서 전력레벨을 입력받아 변환/디지타이징부에 인가하여 AC의 RF신호를 정류하여 DC 전압으로 변환시켜 준 다음 DC 전압 신호가 일정한 범위의 값 을 갖도록 스케일링하고 여러 단계의 전압레벨로 나누는 디지타이징을 수행하는 제2단계와; 상기 디지타이징된 신호에서 상기 무선단말기 RF부 내의 순차적인 순위가 결정된 각 블록의 레벨 값 및 이득에 대한 정보를 PC로 전송하여 결과를 디스플레이하는 제3단계를 수행함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이하, 상기와 같은 본 발명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장치의 오류진단 방법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일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장치의 오류진단 방법을 보인 흐름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단말기 RF부(10)의 섹터 전력을 설정하고 측정을 위한 각 블록의 순차적인 순위를 결정한 다음 테스트용 신호를 발생시켜 상기 무선단말기 RF부(10)에 입력하는 제1단계(ST11)(ST12)와; 상기 테스트용 신호가 입력된 상기 무선단말기 RF부(10) 내의 순차적인 순위가 결정된 블록에서 전력레벨을 입력받아 변환/디지타이징부(14)에 인가하여 AC의 RF신호를 정류하여 DC 전압으로 변환시켜 준 다음 DC 전압 신호가 일정한 범위의 값을 갖도록 스케일링하고 여러 단계의 전압레벨로 나누는 디지타이징을 수행하는 제2단계(ST13 ~ ST15)와; 상기 디지타이징된 신호에서 상기 무선단말기 RF부(10) 내의 순차적인 순위가 결정된 각 블록의 레벨 값 및 이득에 대한 정보를 PC로 전송하여 결과를 디스플레이하는 제3단계(ST16 ~ ST18)를 수행한다.
상기에서 순차적인 순위는, 출력되는 전력의 세기만 측정하도록 발진부(12)를 가장 먼저 수행하고, 상기 발진부(12)의 출력전력 세기측정 후에 일정한 입력신호를 설정하고 송신부(11)와 수신부(13)의 전력세기를 측정하여 이득과 손실을 측정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장치의 오류진단 방법의 동작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무선단말기의 RF부(10)는 크게 송신부(11), 발진부(12), 수신부(13)로 나눌 수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이 세부분에 대하여 순차적인 과정을 통해 성능평가를 수행한다. 즉, 송수신부(11)(13)의 경우에는 각단의 전력의 세기와 전단에 대비한 출력을 비교하여 이득이나 손실을 평가하고, 발진부(12)의 경우는 발진신호의 유무 및 출력 세기를 판별하여 PC 인터페이스를 통한 순차적인 처리를 함으로서 각 부분을 평가하여 전체의 성능까지 최종 판단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한다.
그래서 각 단의 전력 세기를 일정한 간격으로 나누어 디지타이징하기 위하여 AC 신호를 DC 신호로 변환시키고, DC 신호로 변환된 신호를 일정한 간격으로 나누는 변환/디지타이징부(14)와; PC와 인터페이스를 수행하는 시리얼(Serial) 데이터 송수신부(17)와; 측정결과를 디스플레이 해주고 제어해주는 제어부(18)가 필요하다. 그리고 변환/디지타이징부(14)와 데이터 송수신부(17)는 무선단말기의 RF부(10)에 속해있어야 하며, 제어부(18)는 각 과정을 PC 인터페이스를 통해 모든 부분을 제어해 줄 수 있는 별도의 소프트웨어로 구성된다.
한편 각 부분의 기능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변환/디지타이징부(14)에서는 각 블록단에서 받은 AC의 RF신호를 정류하여 DC 전압으로 변환시켜 준 다음 이 DC 전압 신호가 일정한 범위의 값을 갖도록 스케일링(Scaling)하고 여러 단계의 전압레벨로 나누는 디지타이징 과정을 수행한다.
그러면 메인 프로세서(17)에서는 그 값에 일치하는 전력 레벨 값으로 변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직렬 데이터 송수신부(17)는 PC의 직렬 포트와 무선단말기에 내장된 RS232 드라이버와 연결되어, 데이터를 주고받는 역할을 수행한다.
더불어 제어부(18)에서는 사용자가 원하는 일련의 과정에 대하여 각 부분의 전력레벨을 디스플레이 해주는 사용자 인터페이스화된 별도의 소프트웨어 툴에 의해 동작된다. 제어부(18)에 실리는 소프트웨어는 RF부(10)의 송신부(11)와 수신부(13) 및 발진부(12)에 대해 환경을 설정해주고 순차적인 순위를 정해주어 각 과정에 대한 결과를 볼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출력 전력세기를 측정하기 위한 환경설정 및 상기한 순차적인 순위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발진부(12)는 입력신호를 넣어줄 필요가 없고, 출력되는 전력의 세기만 측정하면 되기 때문에 가장 먼저 수행한다. 그리고 CDMA 송수신기(11)(13)의 경우 송신되는 출력신호는 수신되는 전력신호에 대비하여 계산을 통해 일정한 송신 신호를 전송하도록 규정되어 있기 때문에 송신부(11)에서의 출력신호와 동일하게 수신 부(13)에 일정한 입력신호를 설정하여 각 부위의 전력세기를 측정하여 각 단의 이득이나 손실을 측정한다. 또한 그 측정 결과를 통해 송신부(11)에서 출력되는 송신신호의 출력레벨이 결정된다.
따라서 일정한 수신신호에 대해 송신신호는 순차적으로 IF(Intermediate Frequency) 단에서 RF 단까지 측정하여 각 단의 이득 및 손실을 측정하게 된다.
또한 최초에 입력신호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부호 분할 다원 접속) 신호를 발생할 수 있는 전용 신호발생기나 CDMA 단말기를 측정하기 위한 통신 테스트 세트(Communication Test Set)인 HP8924C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무선장치내의 각 블록을 하나씩 측정해보지 않고 자체진단회로를 이용하여 무선부의 각 블록의 상태를 파악하여 설계 오류 및 고장(불량)원인을 파악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장치의 오류진단 방법은 종래의 시험방식이 생산과정에서 각 부위를 모두 시험하는 것에 비 해 무선장치내의 각 블록을 하나씩 측정해보지 않고서도 자체진단회로를 이용하여 무선부 각 블록의 상태를 파악하여 설계 오류 및 고장(불량)원인을 파악함으로써 설계 및 생산성 측면에서 매우 효율적인 효과가 있게 된다.

Claims (2)

  1. 무선단말기 RF부의 섹터 전력을 설정하고 측정을 위한 각 블록의 순차적인 순위를 결정한 다음 테스트용 신호를 발생시켜 상기 무선단말기 RF부에 입력하는 제1단계와;
    상기 테스트용 신호가 입력된 상기 무선단말기 RF부 내의 순차적인 순위가 결정된 블록에서 전력레벨을 입력받아 변환/디지타이징부에 인가하여 AC의 RF신호를 정류하여 DC 전압으로 변환시켜 준 다음 DC 전압 신호가 일정한 범위의 값을 갖도록 스케일링하고 여러 단계의 전압레벨로 나누는 디지타이징을 수행하는 제2단계와;
    상기 디지타이징된 신호에서 상기 무선단말기 RF부 내의 순차적인 순위가 결정된 각 블록의 레벨 값 및 이득에 대한 정보를 PC로 전송하여 결과를 디스플레이하는 제3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장치의 오류진단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순차적인 순위는,
    출력되는 전력의 세기만 측정하도록 발진부를 가장 먼저 수행하고, 상기 발진부의 출력전력 세기측정 후에 일정한 입력신호를 설정하고 송신부와 수신부의 전 력세기를 측정하여 이득과 손실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장치의 오류진단 방법.
KR1019990053961A 1999-11-30 1999-11-30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장치의 오류진단 방법 KR1005841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3961A KR100584150B1 (ko) 1999-11-30 1999-11-30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장치의 오류진단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3961A KR100584150B1 (ko) 1999-11-30 1999-11-30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장치의 오류진단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9043A KR20010049043A (ko) 2001-06-15
KR100584150B1 true KR100584150B1 (ko) 2006-05-26

Family

ID=196227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3961A KR100584150B1 (ko) 1999-11-30 1999-11-30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장치의 오류진단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8415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4462A (ko) * 1992-08-31 1994-03-15 카알 실버맨 컴퓨터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식별하는 장치 및 방법
WO1997002665A2 (en) * 1995-06-30 1997-01-23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Automatic power control system for 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communications system
KR19990038096A (ko) * 1997-11-03 1999-06-05 김영환 디지털 이동통신 교환기의 통화로품질 시험장치
JPH11331130A (ja) * 1998-05-19 1999-11-30 Hitachi Ltd ビットエラーレート測定方式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4462A (ko) * 1992-08-31 1994-03-15 카알 실버맨 컴퓨터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식별하는 장치 및 방법
WO1997002665A2 (en) * 1995-06-30 1997-01-23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Automatic power control system for 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communications system
KR19990038096A (ko) * 1997-11-03 1999-06-05 김영환 디지털 이동통신 교환기의 통화로품질 시험장치
JPH11331130A (ja) * 1998-05-19 1999-11-30 Hitachi Ltd ビットエラーレート測定方式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9043A (ko) 2001-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63286B2 (en) Fast testing system for optical transceiver and testing method thereof
CN102946286A (zh) 一种控制设备检测的方法、装置及系统
JP2015128300A (ja) 信号を送受信する回路のための動作試験
CN114217279A (zh) 一种便携式雷达应答器测试仪及测试方法
CN109451509B (zh) Nb-iot基站信号测量设备及其测量处理方法
JP6552806B2 (ja) スマート機器の無線送信を試験する方法と無線送信ネットワーク分析ツール
US7756516B2 (en) High-frequency measuring system having spatially separated high-frequency modules
KR100584150B1 (ko)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장치의 오류진단 방법
US645315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a base station's performance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N1731714B (zh) 一种测试射频模块上行通道增益和隔离度的方法
EP1400064A2 (en) Receiving unit for searching for at least one unused transmission channel in a communications device, and a method for use
KR20040090590A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성위치확인 신호 수신 성능 측정장치 및 방법
CN211352199U (zh) 一种自动控制的多通道信号选择器的测试装置
CN107835057B (zh) 一种跳频接收系统的硬件性能测试系统及方法
CN217213114U (zh) 一种便携式雷达应答器测试仪
KR20020054518A (ko) 이동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의 송/수신 스펙트럼및 전력원격 모니터링 장치
CN1980103B (zh) 一种收发信机指标的测试装置及系统
CN113075465B (zh) 一种标签编码天线反射系数测量方法
CN113747494B (zh) 一种无线终端的功率检测方法和装置
CN215728437U (zh) 高速印制电路板阻抗参数全自动测试设备
SU1339392A1 (ru) Бесконтактное тензометрическое устройство
KR970009010A (ko) 이동 통신기기의 자동 시험방법 및 그 장치
KR20020030521A (ko) 이동통신 중계기 측정 장치
KR100355774B1 (ko) 무선 이동 통신용 기지국의 성능 측정 방법
KR100407333B1 (ko) 기지국 상태 측정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2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