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80755B1 -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receiving voice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receiving voice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80755B1
KR100580755B1 KR1020040093998A KR20040093998A KR100580755B1 KR 100580755 B1 KR100580755 B1 KR 100580755B1 KR 1020040093998 A KR1020040093998 A KR 1020040093998A KR 20040093998 A KR20040093998 A KR 20040093998A KR 100580755 B1 KR100580755 B1 KR 1005807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ume
voice
unit
communication terminal
hands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399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재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to KR10200400939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0755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07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075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16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in the receiver circu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context-related or environment-related cond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수화음의 크기를 자동 조절하도록 한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수화음 조절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음성 출력 장치부를 제어하여 수화음의 크기를 조절하기 위한 수화음 조절부를 구비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수화음 조절 장치에 있어서, 메모리부에서는 사용자의 음성 크기에 따라 수화음의 크기를 자동 조절하기 위한 기준 음량 및 수화음 자동 조절 모드를 수행하기 위한 제어 프로그램을 저장하며; 이에 음량 측정부에서는 사용자의 입력 음성에 대한 파장을 분석하여 해당 분석된 파장 및 그 크기를 통보하며; 이에 따라 MSM(Mobile Station Modem)에서는 상기 메모리부의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 상기 음량 측정부로부터 통보된 파장 및 그 크기와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기준 음량을 비교한 후에, 해당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수화음 조절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함으로써, 사용자의 주변 상황에 따라서 상대방의 목소리가 잘 들리는 정도의 크기로 수화음을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adjusting a handset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automatically adjusting the size of a handset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andset for adjusting the size of a handset by controlling a voice output devi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an apparatus for adjusting a sign language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n adjusting unit, the memory unit stores a control program for performing a reference volume for automatically adjusting the size of a sign language according to a user's voice and a mode for automatically adjusting a sign sound. ; The volume measuring unit analyzes the wavelength of the input voice of the user and notifies the analyzed wavelength and its magnitude; Accordingly, the mobile station modem (MSM) compares the wavelength and the magnitude notified from the volume measuring unit according to the control program of the memory unit with the reference volume stored in the memory unit, and then,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By controlling the operation, according to the surrounding situation of the user can be automatically adjusted to the sign language to the extent that the voice of the other party can hear well.

Description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수화음 조절 장치 및 방법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Receiving Voice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Receiving Voice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1은 종래의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수화음 조절 장치를 나타낸 구성 블록도.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device for adjusting a dial tone in a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수화음 조절 장치를 나타낸 구성 블록도.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device for adjusting a dial tone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수화음 조절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adjusting a dial tone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21 : 키 입력부 22 : 음량 측정부21: key input unit 22: volume measurement unit

23 : 수화음 조절부 24 : MSM(Mobile Station Modem)23: the sound control unit 24: MSM (Mobile Station Modem)

25 : 메모리부 26 : 송수신부25 memory unit 26 transceiver unit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수화음 조절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수화음의 크기를 자동 조절하도록 한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수화음 조절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adjusting a dial tone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adjusting a dial tone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이동 통신 단말기의 수화음을 자신에게 맞게 설정하여 사용하게 되는데, 이런 경우에는 변하는 주변 상황에 대해서 빠르게 대응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In general, a user sets and uses a handset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be suitable for them. In this case,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the user cannot quickly respond to a changing surrounding situation.

예를 들어, 평상시에 사무실과 같은 조용한 곳에서 통화하기 위한 크기로 수화음을 설정한 경우에, 주변이 조용한 곳에서는 해당 설정된 크기의 수화음으로 통화를 수행해도 별 무리가 없으나, 시끄러운 곳에서는 해당 설정된 크기의 수화음으로는 통화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해당 수화음을 조금 더 크게 조절해야 한다.For example, if you normally set the handset to the size of the call in a quiet place such as an office, it is okay to make a call with the set size of the handset in the quiet place, but in the noisy place Since the call cannot be made with a set-tone handset, you need to adjust the handset a little louder.

이와 같은 종래의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수화음 조절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 입력부(11)와, 수화음 조절부(12)와, 송화음량 제어신호 생성부(13)와, MSM(14)와, 메모리부(15)와, 송수신부(16)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In the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s shown in FIG. 1, the apparatus for adjusting a dial tone includes a key input unit 11, a dial tone control unit 12, a call volume control signal generator 13, and an MSM ( 14), a memory unit 15, and a transceiver unit 16 are included.

상기 키 입력부(11)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키패드에 형성되어 있는 수화음 조절 버튼 또는 송화음량 제어 버튼의 입력을 감지한 후에,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수화음 조절 버튼 또는 송화음량 제어 버튼을 상기 MSM(14)에 통보해 준다.The key input unit 11 detects an input of a dial tone control button or a call volume control button formed on a keypa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n inputs a call tone control button or a call volume control button input by a user to the MSM ( 14).

상기 수화음 조절부(12)는 상기 MSM(14)의 제어에 따라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음성 출력 장치부(설명의 편의상으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를 제어하여 수화음의 크기를 조절시켜 해당 조절된 크기의 수화음으로 출력해 준다.The handset adjusting unit 12 controls the voice output device unit (not shown in the drawing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MSM 14 to adjust the size of the handset so that the adjusted Outputs a loud sign language.

상기 송화음량 제어신호 생성부(13)는 상기 MSM(14)의 제어에 따라 송화음량 제어신호를 생성시켜 상기 송수신부(16)로 인가해 준다.The talk volume control signal generator 13 generates a talk volume control signal under the control of the MSM 14 and applies it to the transceiver 16.

상기 MSM(14)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하는데, 상기 키 입력부(11)를 통해 수화음 조절 버튼 입력을 통보받아 해당 통보받은 수화음 조절 버튼에 따라 상기 수화음 조절부(12)의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키 입력부(11)를 통해 송화음량 제어 버튼 입력을 통보받아 해당 통보받은 송화음량 제어 버튼에 따라 상기 송화음량 제어신호 생성부(13)의 동작을 제어한다.The MSM 14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MSM 14 is notified of a handset control button input through the key input unit 11 and according to the received handset control button. Control the operation of (12), and receives the call volume control button input through the key input unit 11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call volume control signal generator 13 according to the received call volume control button.

상기 메모리부(15)는 상기 MSM(14)의 제어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memory unit 15 stores a program and data necessary for the control operation of the MSM 14.

상기 송수신부(16)는 상기 MSM(14)의 제어에 따라 상기 송화음량 제어신호 생성부(13)로부터 인가되는 송화음량 제어신호를 안테나를 통해 송신측 이동 통신 단말기(설명의 편의상으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로 전송해 준다.The transmitter / receiver 16 transmits a talk volume control signal applied from the talk volume control signal generator 13 under an control of the MSM 14 through an antenna. Not sent).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종래의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수화음 조절 방법은 크게 두 가지가 있는데, 수화음 조절 버튼을 이용하는 방법과, 송화음량 제어 버튼을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In the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re are two methods of adjusting a dial tone, a method of using a dial tone control button and a method of using a call volume control button.

첫 번째로 수화음 조절 버튼을 이용하는 방법의 경우, 사용자가 통화 중에 상대방의 목소리가 잘 들리는 정도로 수화음을 조절하기 위해서 수화음 조절 버튼을 누르게 되면, MSM(14)에서 이를 인지하여 수화음 조절부(12)의 동작을 제어함으 로써, 해당 수화음 조절부(12)는 해당 MSM(14)의 제어에 따라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음성 출력 장치부를 제어하여 수화음의 크기를 조절시켜 해당 조절된 크기의 수화음으로 출력하게 된다.First, in the case of using the handset control button, when the user presses the handset control button to adjust the handset so that the other party's voice is heard well during a call, the MSM 14 recognizes this and the handset control unit recognizes it. By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12), the corresponding sound control unit 12 controls the voice output device uni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nder the control of the corresponding MSM 14 to adjust the size of the sound by the corresponding adjusted size It will be output as a sign language.

예를 들어, 상대방의 목소리가 작은 경우에 수화음 조절 버튼 중 소리 키움 버튼을 눌러 수화음을 크게 할 수 있으며, 반대로 상대방의 목소리가 큰 경우에 수화음 조절 버튼 중 소리 낮춤 버튼을 눌러 수화음을 작게 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other party's voice is small, you can press the voice up button to increase the handset, and if the other party's voice is loud, press the lower button to adjust the handset sound. It can be made small.

그런데, 상기 첫 번째의 경우에는 사용자가 수화음 조절 버튼을 통해 수화음을 조절하여도 상대방의 목소리 자체가 작거나 송화음의 출력 자체가 작으면 그 수화음의 크기를 키우는 것에는 한계가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However, in the first case, even if the user adjusts the handset through the handset control button, there is a limit in increasing the size of the handset if the voice of the other party itself or the output of the handset is small. There are disadvantages.

두 번째로 송화음량 제어 버튼을 이용하는 방법의 경우, 사용자가 통화 중에 자신의 이동 통신 단말기(즉, 수신측 단말기)의 스피커를 통해 들리는 수화음이 적절하지 않아, 상대방의 목소리가 잘 들리는 정도로 송화음량을 조절하기 위해서 송화음량 제어 버튼을 누르게 되면, MSM(14)에서 이를 인지하여 송화음량 제어신호 생성부(13)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해당 송화음량 제어신호 생성부(13)는 해당 MSM(14)의 제어에 따라 송화음량 제어신호를 생성시켜 송수신부(16)를 거쳐 안테나를 통해 상대방 측의 이동 통신 단말기(즉, 송신측 단말기)로 전송해 주게 된다.Secondly, in the method of using the call volume control button, the user cannot hear the sound of the sound heard through the speaker of hi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e., the receiving terminal) during a call, so that the voice of the other party can be heard well. When the talk volume control button is pressed in order to adjust, the MSM 14 recognizes this and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talk volume control signal generator 13, so that the talk volume control signal generator 13 corresponds to the corresponding MSM 14. ) Generates a call volume control signal and transmits it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e, the transmitting terminal) of the other party via the antenna via the transceiver 16.

이에, 상기 송신측 단말기는 상기 수신측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송화음량 제어신호에 따라 송화음량을 조절한 후에 해당 조절된 송화음량을 가진 음성 신호를 상기 수신측 단말기로 전송하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수신측 단말기는 상기 송신측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음량 조절된 음성 신호를 수화음으로 출력해 주게 된 다.Accordingly, the transmitting terminal adjusts the calling volume according to the calling volume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receiving terminal, and then transmits a voice signal having the adjusted calling volume to the receiving terminal. The terminal outputs a volume-adjusted voice signal received from the transmitting terminal as a sign language.

예를 들어, 상대방의 목소리가 작은 경우에 송화음량 제어 버튼 중 소리 키움 버튼을 눌러 송화음량 키움 제어신호를 송신측 단말기로 전송함으로써 송화음량을 크게 조절하여 수신측 단말기의 수화음을 크게 할 수 있으며, 반대로 상대방의 목소리가 큰 경우에 송화음량 제어 버튼 중 소리 낮춤 버튼을 눌러 송화음량 낮춤 제어신호를 송신측 단말기로 전송함으로써 송화음량을 낮게 조절하여 수신측 단말기의 수화음을 작게 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other party's voice is small, the voice volume raising control signal can be transmitted to the transmitting terminal by pressing the voice raising button among the volume control buttons to increase the handset volume of the receiving terminal. On the contrary, when the other party's voice is loud, by pressing the sound down button among the talk volume control buttons, the talk volume reduction control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sender terminal, thereby reducing the talk volume of the receiver terminal.

그런데, 상기 두 번째의 경우에는 자동으로 송화음량을 조절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 자신의 이동 통신 단말기가 아닌 상대방의 이동 통신 단말기의 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사용자가 일일이 송출시켜 상대방의 이동 통신 단말기를 제어해야 하기 때문에, 통화 음질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단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second case, instead of automatically adjusting the volume of the call, the user transmits a signal for controlling the outpu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other party rather than the user's ow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send the signal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other party. Because of the need to control, there was a disadvantage that problems may occur in the call quality.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수화음의 크기를 자동 조절하도록 한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수화음 조절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an effort to provide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adjusting a phonetic tone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automatically adjust the size of a phonetic tone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또한,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통화자의 음량을 측정하여 수화음을 해당 측정된 음량에 맞게 자동으로 그 크기를 조절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easure the volume of the caller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automatically adjust its size according to the measured volume, an object thereof.

또한,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수신자의 음성 크기를 분석하여 해당 분석된 음성 크기에 따라 수화음의 크기를 자동으로 조절함으로써, 사용자의 주변 상황에 따라서 상대방의 목소리가 잘 들리는 정도의 크기로 수화음을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nalyzes the voice size of the receiver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utomatically adjusts the size of the sign language according to the analyzed voice size, so that the voice of the other party can be heard well according to the surrounding situation of the user. It allows you to adjust the chords automatically, for this purpose.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수화음 조절 장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음성 출력 장치부를 제어하여 수화음의 크기를 조절하기 위한 수화음 조절부를 구비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수화음 조절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의 음성 크기에 따라 수화음의 크기를 자동 조절하기 위한 기준 음량 및 수화음 자동 조절 모드를 수행하기 위한 제어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부와; 사용자의 입력 음성에 대한 파장을 분석하여 해당 분석된 파장 및 그 크기를 통보하는 음량 측정부와; 상기 메모리부의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 상기 음량 측정부로부터 통보된 파장 및 그 크기와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기준 음량을 비교한 후에, 해당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수화음 조절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MSM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object as described above, the device for adjusting the handset sound control unit for adjusting the size of the handset by controlling the voice output device uni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 apparatus for adjusting a sign language in a communication terminal, the apparatus comprising: a memory unit configured to store a reference volume for automatically adjusting a volume of a sign language according to a user's voice volume and a control program for performing a sign language automatic adjustment mode; A volume measuring unit for analyzing a wavelength of a user's input voice and notifying the analyzed wavelength and its magnitude; And an MSM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handset sound control unit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after comparing the wavelength and its magnitude notified from the volume measurement unit with the reference volume stored in the memory unit according to the control program of the memory unit. It is characterized by.

다르게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수화음 조절 장치는 사용자에 의해 키패드를 통해 입력되는 상기 기준 음량을 설정하기 위한 음성 녹음 버튼 및 상기 수화음 자동 조절 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모드 설정 버튼을 감지하여 상기 MSM에 통보하는 키 입력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Alternatively,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pparatus for adjusting a dial tone includes a voice recording button for setting the reference volume input through a keypad by a user and a mode setting for setting the automatic dial tone adjustment mode. And a key input unit for detecting a button and notifying the MSM.

바람직하게는, 상기 MSM은 상기 키 입력부로부터 음성 녹음 버튼 입력을 통보받아 디스플레이 장치부 또는 음성 출력 장치부를 제어하여 음성 입력을 통보함 과 동시에, 상기 음량 측정부를 제어하여 상기 기준 음량을 설정 및 저장하도록 하며, 상기 키 입력부로부터 모드 설정 버튼 입력을 통보받아 상기 제어 프로그램을 상기 메모리부로부터 판독해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MSM receives the voice recording button input from the key input unit to control the display unit or the voice output unit to notify the voice input and to control and set the reference volume by controlling the volume measurement unit. And receiving a mode setting button input from the key input unit and reading the control program from the memory unit.

더욱이 바람직하게는, 상기 MSM은 현재 이동 통신 단말기의 상태가 통화 중인지를 확인하고 수화음 자동 조절 모드 설정 여부를 확인한 후에, 상기 음량 측정부를 제어하여 사용자의 입력 음성에 대한 파장을 분석하도록 하며, 상기 음량 측정부에서 분석된 파장 및 그 크기를 통보받아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기준 음량을 판독하여 서로 비교하며, 상기 음량 측정부로부터 통보받은 음량이 상기 메모리부로부터 판독한 기준 음량보다 큰 경우에 상기 수화음 조절부를 제어하여 수화음을 크게 조절하도록 하며, 상기 음량 측정부로부터 통보받은 음량이 상기 메모리부로부터 판독한 기준 음량보다 작은 경우에 상기 수화음 조절부를 제어하여 수화음을 작게 조절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preferably, the MSM checks whether the current stat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in a call and confirms whether the automatic dial tone adjustment mode is set, and then controls the volume measurement unit to analyze the wavelength of the input voice of the user. The volume and the magnitude analyzed by the volume measuring unit are notified and the reference volumes stored in the memory unit are read and compared with each other, and when the volume received from the volume measuring unit is greater than the reference volume read from the memory unit, the number is measured. Control the chord control unit to adjust the loudness of the handset, and if the volume received from the volume measuring unit is less than the reference volume read out from the memory unit to control the handset adjuster to adjust the handset sound smaller It is done.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수화음 조절 방법은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상대방과 통화 중인 경우에 수화음 자동 조절 모드의 설정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수화음 자동 조절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받아 그 파장 및 크기를 분석하는 과정과; 기 설정된 사용자의 기준 음량을 판독한 후에, 상기 분석된 음량을 해당 판독한 기준 음량과 비교하는 과정과;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수화음의 크기를 자동 조절하여 해당 크기 조절된 수화음을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On the other han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method of adjusting the dial tone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en the call to determine whether the automatic control mode setting mode; ; Analyzing a wavelength and a magnitude of a user's voice when the dial tone automatic adjustment mode is set; After reading the reference volume of the preset user, comparing the analyzed volume with the read reference volume; And automatically adjusting the size of the handset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to output a corresponding scaled handset.

다르게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수화음 조절 방법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상기 기준 음량을 설정하기 위한 음성 녹음 버튼을 감지하여 음성 입력을 사용자에게 통보하는 과정과;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상기 수화음 자동 조절 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모드 설정 버튼을 감지하여 상기 수화음 자동 조절 모드를 수행하기 위한 제어 프로그램을 판독해 실행시켜 주는 과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Alternatively, a method for adjusting a dial tone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detecting a voice recording button for setting the reference volume input by a user and notifying a user of a voice input;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detecting a mode setting button for setting the dial tone automatic adjustment mode input by a user and reading out and executing a control program for performing the dial tone automatic adjustment mode.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화음 출력 과정은 상기 분석된 음량이 상기 판독된 기준 음량보다 큰 경우에 수화음의 크기를 상승시켜 출력하며, 상기 분석된 음량이 상기 판독된 기준 음량보다 작은 경우에 수화음의 크기를 하강시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process of outputting a sign language raises and outputs the volume of a sign sound when the analyzed volume is greater than the read reference volume, and when the analyzed volume is smaller than the read reference volume. It is characterized by outputting the size of the lowering.

더욱이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화음 출력 과정은 상기 분석된 음량과 상기 판독된 기준 음량 간의 차이 값에 대응하는 수화음 크기 조절 폭을 미리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수화음 크기 자동 조절 시에 상기 분석된 음량과 상기 판독된 기준 음량 간의 차이 값을 구하는 단계와; 상기 구한 차이 값에 대응하는 크기 조절 폭을 판독하여 해당 크기 조절 폭만큼 수화음의 크기를 조절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preferably, the process of outputting a sign language includes: presetting a sign volume adjustment width corresponding to a difference value between the analyzed volume and the read reference volume; Obtaining a difference value between the analyzed volume and the read reference volume upon automatically adjusting the loudness of the dialect; And adjusting the size of the sign sound by the corresponding adjustment width by reading the adjustment width corresponding to the obtained difference value.

다르게는, 상기 수화음 출력 과정은 상기 분석된 음량과 상기 판독된 기준 음량을 계속적으로 비교하여 수화음의 크기를 단계적으로 조절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lternatively, the sign language output process may be configured to continuously compare the analyzed volume with the read reference volume to adjust the volume of the sign language in a stepwise manner.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수신자의 음성 크기를 분석하여 해당 음성 크기가 일정량 이상인지 아니면 미만인지를 확인하여 이에 따라 수화음의 크기를 조절하도록 하는 기능을 추가시켜 준다. 다시 말해서,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사용자의 평상 시 음성 크기를 기설정해 둔 후에, 통화 중 수신자의 음성을 인가받아 해당 수신자의 음성 크기를 분석하여 기설정된 음성 크기와 비교하며, 해당 수신자의 음성 크기가 기설정된 음성 크기보다 큰 경우에는 사용자가 시끄러운 곳에 있다고 판단하여 자동으로 수화음의 크기를 키우도록 조절하며, 반면에 해당 수신자의 음성 크기가 기설정된 음성 크기보다 작은 경우에는 사용자가 조용한 곳에 있다고 판단하여 자동으로 수화음의 크기를 낮추도록 조절해 준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present invention adds a function to analyze the voice size of the receiver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determine whether the corresponding voice size is above a certain amount or less, and to adjust the size of the sign language accordingly. In other word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fter the user's usual voice size is preset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voice of the receiver is received during the call, and the voice size of the corresponding receiver is analyzed and compared with the preset voice size. If the loudness is larger than the preset voice volume,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is in a noisy place and automatically adjusts the loudness of the handset. If the voice size of the receiver is smaller than the preset loudness, the user is said to be quiet. It judges and adjusts to lower the volume of the sign language automatically.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수화음 조절 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 입력부(21)와, 음량 측정부(22)와, 수화음 조절부(23)와, MSM(24)와, 메모리부(25)와, 송수신부(2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2, the apparatus for adjusting a sign tone includes a key input unit 21, a volume measuring unit 22, a sign language adjusting unit 23, and an MSM ( 24, a memory unit 25, and a transceiver 26.

상기 키 입력부(21)는 사용자의 기준 음성을 녹음하기 위한 음성 녹음 버튼 또는 사용자의 주변 상황에 따라 수화음의 크기를 자동으로 조절하는 수화음 자동 조절 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모드 설정 버튼의 입력을 감지한 후에,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음성 녹음 버튼 또는 모드 설정 버튼을 상기 MSM(24)에 통보해 준다.The key input unit 21 detects an input of a voice recording button for recording a reference voice of a user or a mode setting button for setting an automatic sound control mode for automatically adjusting the size of a handset sound according to a user's surroundings. After that, the MSM 24 is notified of the voice recording button or the mode setting button input by the user.

상기 음량 측정부(22)는 상기 MSM(24)의 제어에 따라 이동 통신 단말기에 구비되어 있는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음성에 대한 파장을 분석하여 해당 분석된 파장 및 그 크기를 상기 MSM(24)에 통보해 준다.The volume measuring unit 22 analyzes the wavelength of the user's voice input through the microphone provid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nder the control of the MSM 24, and analyzes the corresponding wavelength and the magnitude thereof in the MSM 24. I inform you.

상기 수화음 조절부(23)는 상기 MSM(24)의 제어에 따라 이동 통신 단말기에 구비되어 있는 음성 출력 장치부(설명의 편의상으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를 제어하여 수화음의 크기를 조절시켜 해당 조절된 크기의 수화음으로 출력해 준다.The handset adjusting unit 23 controls a voice output device unit (not shown in the drawing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provided under the control of the MSM 24 to adjust the size of the handset. Outputs the sound with the adjusted scale.

상기 MSM(24)은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하는데, 상기 키 입력부(21)를 통해 음성 녹음 버튼 입력을 통보받아 이동 통신 단말기에 구비되어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부(설명의 편의상으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 또는 음성 출력 장치부의 동작을 제어하여 음성 입력 메시지를 사용자에게 통보함과 동시에 상기 음량 측정부(22)의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키 입력부(21)를 통해 모드 설정 버튼 입력을 통보받아 수화음 자동 조절 모드를 수행하기 위한 제어 프로그램을 상기 메모리부(25)로부터 판독해 수행시켜 주며, 현재 이동 통신 단말기가 상대방과 통화 중인지를 확인한 후에 수화음 자동 조절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지를 확인하여 상기 음량 측정부(22)의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음량 측정부(22)에서 분석된 파장 및 그 크기를 통보받아 상기 메모리부(25)에 저장된 기준 음량을 판독하며, 상기 음량 측정부(22)에서 분석된 음량이 상기 메모리부(25)로부터 판독한 기준 음량보다 큰지 아니면 작은지를 비교하여 해당 비교한 결과에 따라 상기 수화음 조절부(23)의 동작을 제어한다.The MSM 24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MSM 24 receives a voice recording button input through the key input unit 21 and is provided with the display device unit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Not shown in the drawing) or by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voice output device unit to notify the user of the voice input message and at the same time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volume measuring unit 22, the mode input button input through the key input unit 21 Reads from the memory unit 25 and executes a control program for executing the automatic dial tone adjustment mode. After confirming tha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currently in communication with the other party,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automatic dial tone adjustment mode is set. Check and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volume measuring unit 22, and the wavelength and the size analyzed by the volume measuring unit 22 Reads the reference volume stored in the memory unit 25 and compares whether the volume analyzed by the volume measuring unit 22 is larger or smaller than the reference volume read from the memory unit 25. As a result, the operation of the sign language control unit 23 is controlled.

상기 메모리부(25)는 상기 MSM(24)의 제어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하는데, 특히 이동 통신 단말기의 사용 시(즉, 통화 중)에 사용자의 주변 상황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음성 크기에 따라 수화음의 크기를 자 동 조절할 수 있는 기준 음량을 저장하며, 수화음 자동 조절 모드를 수행하기 위한 제어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이때, 해당 기준 음량은 상기 음량 측정부(22)의 분석 동작에 의해 설정되어진다.The memory unit 25 stores a program and data necessary for the control operation of the MSM 24. In particular, the memory unit 25 corresponds to a user's surrounding situation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used (that is, during a call). It stores the reference volume that can automatically adjust the volume of the sign language according to the volume of the voice, and stores a control program for performing the automatic control mode of the sign language. At this time, the reference volume is set by the analysis operation of the volume measuring unit 22.

상기 송수신부(26)는 상기 MSM(24)의 제어에 따라 안테나를 통해 기지국(설명의 편의상으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을 거쳐 상대방의 이동 통신 단말기(설명의 편의상으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와 무선 통신을 수행한다.The transceiver 26 is connected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not shown in the drawings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rough a base station (not shown in the drawings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rough an antenna under the control of the MSM 24. Perform wireless communication.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수화음 조절 방법을 도 3의 순서도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flowchart of FIG. 3, a method for adjusting a sign language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먼저, 사용자가 통화 중에 상대방의 목소리가 잘 들리는 정도로 수화음의 크기를 자동으로 조절하기 위한 기준을 설정하기 위해서, 해당 기준이 되는 자신의 음성을 입력하기 위한 키 입력부(21)의 음성 녹음 버튼을 누르게 되면, MSM(24)에서 이를 인지한 후에(단계 S31), 이동 통신 단말기에 구비되어 있는 음성 출력 장치부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부의 동작을 제어하여 '평상 시의 음성 크기로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하라'는 메시지를 사용자에게 통보해 준다(단계 S32).First, in order to set a criterion for automatically adjusting the size of a phonetic sound to the extent that the user hears the other party's voice well during a call, the voice recording button of the key input unit 21 for inputting a voice of the corresponding criterion is used. When pressed, the MSM 24 recognizes this (step S31), and then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voice output device or the display device provid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put the user's voice in the usual voice size'. Notifies the user of the message (step S32).

이 때,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하도록 하는 이유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사용 시(즉, 통화 중)에 상대방의 목소리가 잘 들리지 않으면 사용자가 큰 소리로 되묻게 되거나 사용자 주변 상황이 시끄러운 경우에 사용자가 큰 소리로 묻게 되고, 반면에 사용자 주변 상황이 조용하게 통화해야 하는 경우에 사용자가 작은 소리로 묻게 되는 경향이 일반적이므로, 해당 사용자의 주변 상황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음성 크기에 따라 수화음의 크기를 자동 조절할 수 있는 기준을 설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At this time, the reason for inputting the user's voice is that when the user's voice is not heard well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in use (that is, during a call), the user is asked loudly or the user is noisy. It is usually asked loudly, whereas the user tends to be quiet when the situation around the user needs to speak quietly. This is because you can set an adjustable standard.

예를 들어, 사용자가 공연장 등과 같은 시끄러운 장소에서 상대방의 음성이 잘 들리지 않게 되면 자신의 목소리도 주변 소음에 의해 잘 전달되지 않는다고 판단하여 큰 소리로 '여보세요'라고 통화를 수행하게 되며, 반면에 사용자가 회의장 등과 같은 조용한 장소에서는 작은 소리로 '여보세요'라고 통화를 수행하게 되므로, 해당 사용자의 음성 크기에 따라 수화음의 크기를 자동 조절하여 시끄러운 장소에서는 수화음을 크게 조절하고 조용한 장소에서는 수화음을 작게 조절함으로써, 상대방의 목소리를 보다 잘 들을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주변 사람에게 피해를 주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For example, if a user cannot hear the other party's voice in a noisy place such as a performance hall, the user may determine that his or her voice is not well transmitted by the surrounding noise, and call the user 'Hello' loudly. In a quiet place, such as a conference room, the user makes a small call to 'hello', so that the volume is automatically adjusted according to the volume of the user's voice. By making the chords smaller, you will not only be able to hear the other person better, but also avoid harming those around you.

이에, 사용자가 이동 통신 단말기에 구비되어 있는 마이크를 통해 자신의 음성을 입력하게 되면, 음량 측정부(22)에서는 상기 MSM(14)의 제어에 따라 해당 마이크를 통해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받아(단계 S33) 해당 입력된 사용자의 음량을 측정하는데, 즉 사용자의 음성에 대한 파장을 분석한 후에(단계 S34). 해당 분석된 파장 및 그 크기를 기준 음량으로 설정하여 메모리부(25)에 저장해 준다(단계 S35).Accordingly, when the user inputs his or her own voice through a microphone provid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volume measuring unit 22 receives the user's voice through the microphone under the control of the MSM 14 (step S33) After measuring the volume of the input user, that is, after analyzing the wavelength for the user's voice (step S34). The analyzed wavelength and its magnitude are set as the reference volume and stored in the memory unit 25 (step S35).

그리고, 사용자는 자신의 주변 상황에 따라 수화음의 크기를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수화음 자동 조절 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키 입력부(21)의 모드 설정 버튼을 누르게 되면, 상기 MSM(24)에서 이를 인지한 후에(단계 S36), 상기 메모리부(25) 내에서 저장되어 있는 수화음 자동 조절 모드를 수행하기 위한 제어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해당 판독된 제어 프로그램을 수행시켜 해당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 수화음 자동 조절 동작을 수행하도록 한다(단계 S37).In addition, when the user presses the mode setting button of the key input unit 21 for setting the auto dial tone control mode so that the user can automatically adjust the volume of the dial tone according to the surrounding situation, the MSM 24 After recognizing this in step S36, a control program for performing the automatic sound control mode stored in the memory unit 25 is read, and the read control program is executed to perform the read control program according to the control program. The automatic adjustment operation is performed (step S37).

이에 따라, 사용자가 상대방과 통화를 수행하게 되면, 상기 MSM(24)에서는 이를 감지하여(단계 S38) 수화음 자동 조절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지를 확인하게 되는데(단계 S39), 이때 해당 제39단계(S39)에서 수화음 자동 조절 모드로 설정되어 있지 않는 경우에는 종래의 기술과 동일하게 수화음을 수동으로 조절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해 준다(단계 S40).Accordingly, when the user makes a call with the other party, the MSM 24 detects this (step S38) and checks whether the automatic dial tone adjustment mode is set (step S39). If it is not set to the automatic dial tone control mode in S39) it is made to perform the operation of manually adjusting the dial tone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prior art (step S40).

반면에, 상기 제39단계(S39)에서 수화음 자동 조절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MSM(24)에서는 상기 음량 측정부(22)의 동작을 제어하여 사용자 자신의 음성을 상기 마이크를 통해 입력받도록 하며, 이에 상기 음량 측정부(22)에서는 상기 MSM(14)의 제어에 따라 상기 마이크를 통해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받아(단계 S41) 해당 입력된 사용자의 음성에 대한 파장을 분석한 후에(단계 S42). 해당 분석된 파장 및 그 크기를 상기 MSM(24)으로 통보해 준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where it is set to the automatic dial tone control mode in step 39 (S39), the MSM 24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volume measuring unit 22 to send the user's own voice through the microphone. The volume measurement unit 22 receives the user's voice through the microphone under the control of the MSM 14 (step S41), and then analyzes the wavelength of the input user's voice (step S41). Step S42). The MSM 24 is informed of the analyzed wavelength and its magnitude.

그러면, 상기 MSM(24)에서는 상기 음량 측정부(22)에서 분석된 파장 및 그 크기를 통보받아 상기 메모리부(25)에 설정되어 있는 기준 음량(즉, 기준 파장 및 그 크기)을 판독한 후에(단계 S43), 상기 음량 측정부(22)로부터 통보된 파장 및 그 크기와 상기 메모리부(25)로부터 판독한 기준 음량을 비교한다.Then, the MSM 24 receives the wavelength analyzed by the volume measuring unit 22 and the magnitude thereof, and reads the reference volume set in the memory unit 25 (that is, the reference wavelength and its magnitude). (Step S43), the wavelength notified from the volume measuring section 22 and its magnitude are compared with the reference volume read out from the memory section 25. FIG.

다시 말해서, 상기 MSM(24)에서는 상기 음량 측정부(22)로부터 통보된 파장 및 그 크기가 상기 메모리부(25)로부터 판독한 기준 음량보다 큰지 아니면 작은지를 비교하며(단계 S44), 해당 비교한 결과에 따라 수화음 제어 신호를 생성시켜 수 화음 조절부(23)로 인가하여 해당 수화음 조절부(23)의 동작을 제어하게 된다.In other words, the MSM 24 compares the wavelength reported from the volume measuring section 22 and whether the magnitude is larger or smaller than the reference volume read out from the memory section 25 (step S44). According to the result, a sound signal control signal is generated and applied to the sound signal controller 23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sound signal controller 23.

만약에, 상기 제44단계(S44)에서 상기 음량 측정부(22)로부터 통보된 파장 및 그 크기가 상기 메모리부(25)로부터 판독한 기준 음량보다 큰 경우, 상기 MSM(24)에서는 수화음이 작아 잘 들리지 않는 경우로 판단하여 수화음 제어 신호 중의 소리 키움 제어 신호를 생성시켜 상기 수화음 조절부(23)에 인가함으로써, 상기 수화음 조절부(23)는 상기 MSM(24)의 소리 키움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음성 출력 장치부를 제어해 수화음의 크기를 상승 조절하여 보다 큰 크기의 수화음으로 출력되도록 한다(단계 S45).If, in the 44th step (S44), the wavelength reported from the volume measuring unit 22 and its magnitude are larger than the reference volume read out from the memory unit 25, the MSM 24 receives a sign sound. It is determined that the sound is difficult to be heard, and the sound raising control signal of the sound control signal is generated and applied to the sound control unit 23, so that the sound control unit 23 controls the sound raising of the MSM 24. The voice output device is controlled according to the signal to increase and adjust the size of the sign language so as to be output as a louder sign language (step S45).

이 때, 상기 수화음의 상승 조절은, 상기 음량 측정부(22)로부터 통보된 파장 및 그 크기와 상기 메모리부(25)로부터 판독한 기준 음량 간의 차이 값에 대응하는 수화음 크기 조절 폭을 미리 상기 메모리부(25)에 설정해 둔 후에, 실제 조절 시에는 상기 음량 측정부(22)로부터 통보된 파장 및 그 크기와 상기 메모리부(25)로부터 판독한 기준 음량 간의 차이 값을 구하여 해당 차이 값에 대응하는 크기 조절 폭을 판독하고 해당 크기 조절 폭만큼 수화음을 상승시켜 준다.At this time, the adjustment of the loudness of the sign language may be performed in advance by adjusting the amplitude of the sign language volume corresponding to the difference value between the wavelength and the magnitude notified from the volume measuring section 22 and the reference volume read out from the memory section 25. After the setting in the memory unit 25, the actual value is adjusted to obtain a difference value between the wavelength and the magnitude notified from the volume measuring unit 22 and the reference volume read out from the memory unit 25. Read the corresponding scaling width and raise the melody by that scaling width.

다르게는, 상기 음량 측정부(22)에서 분석된 파장 및 그 크기를 계속적으로 통보받아 상기 메모리부(25)로부터 판독한 기준 음량과 계속적으로 비교하여 수화음의 크기를 단계적으로 상승시켜 사용자가 원하는 수화음의 크기로 조절하도록 한다.Alternatively, the wavelength and the magnitude analyzed by the volume measuring unit 22 are continuously informed and continuously compared with the reference volume read from the memory unit 25 to increase the loudness of the sign language step by step. Adjust the loudness of the sign language.

반면에, 상기 제44단계(S44)에서 상기 음량 측정부(22)로부터 통보된 파장 및 그 크기가 상기 메모리부(25)로부터 판독한 기준 음량보다 작은 경우, 상기 MSM(24)에서는 수화음이 큰 경우로 판단하여 수화음 제어 신호 중의 소리 낮춤 제어 신호를 생성시켜 상기 수화음 조절부(23)에 인가함으로써, 상기 수화음 조절부(23)는 상기 MSM(24)의 소리 낮춤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음성 출력 장치부를 제어해 수화음의 크기를 하강 조절하여 보다 작은 크기의 수화음으로 출력되도록 한다(단계 S46). 이때, 상기 수화음의 하강 조절은, 상술한 수화음의 상승 조절과 유사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wavelength and the size of the signal notified from the volume measuring unit 22 are smaller than the reference volume read out from the memory unit 25 in the 44th step S44, the MSM 24 receives a sign sound. It is determined that the loudness control signal of the sound control signal is generated and applied to the sound control unit 23, so that the sound control unit 23 according to the sound control signal of the MSM (24) The voice output device is controlled to adjust the size of the sign language to be lowered to output the smaller sized sign sound (step S46). At this time, since the fall control of the sign language is similar to the rise control of the sign language, the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수화음 조절 방법은 통화자가 평상 시보다 큰 소리 또는 작은 소리로 말하게 되는 경우에 이미 저장되어 있는 파장과 비교/분석하여 이에 대응하는 파장 및 크기로 수화음의 출력을 조절하게 되는데, 즉 통화자 자신이 말하는 음량의 크기와 동일하게 상대방의 목소리를 들을 수 있도록 조절하여 의사소통이 원활하도록 해 준다.As described above,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hod for adjusting a phone call tone is compared with / analyzes a wavelength already stored when the caller speaks with a louder or smaller sound than usual. And to adjust the output of the sign language to the size, that is, the caller himself to adjust the volume so that you can hear the other party's voice equal to the volume of the talking to facilitate the communication.

예를 들어, 상대방의 목소리가 작게 들리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이 큰 소리로 통화를 수행하게 되어 이에 대응하는 크기로 수화음을 자동으로 크게 조절하여 상대방의 목소리가 잘 들리도록 하며, 반면에 조용한 장소 등의 이유로 사용자가 작은 소리로 통화를 수행하게 되면 해당 사용자의 목소리에 대응하는 크기로 수화음을 자동으로 작게 조절하여 상대방의 목소리도 작게 들리도록 해 준다.For example, if the other party's voice is heard in a small way, the user himself / herself makes a loud call and automatically adjusts the handset to a corresponding size so that the other party's voice can be heard well, while the quiet place etc. For this reason, when a user makes a call with a small sound, the handset sound is automatically adjusted to a size corresponding to the voice of the user so that the other party's voice is also heard small.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수화음 조절 방법은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수화음을 자동 또는 수동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데, 이때 상기 수화음 자동 조절 모드로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에라도, 사용자가 이동 통신 단말기의 키패드에 형성되어 있는 수화음 조절 버튼 또는 송화음량 제어 버튼 을 입력하게 되면, 인터럽트로 판단하여 통화음량을 수동으로도 조절할 수 있도록 해 준다.An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for adjusting a dial tone enables a user to selectively or automatically control a dial tone, even when the operation is performed in the dial tone automatic adjustment mode. When the user inputs a call tone control button or a call volume control button formed on the keypa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call volume is determined by an interrupt so that the call volume can be manually adjusted.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해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통화자의 음량을 측정하여 해당 측정된 음량에 맞게 수화음의 크기를 자동으로 조절함으로써, 사용자의 주변 상황에 따라서 상대방의 목소리가 잘 들리는 정도의 크기로 수화음을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easures the volume of the caller and automatically adjusts the size of the handset sound according to the measured volume, so that the voice of the other party can be heard according to the surrounding situation of the user. The tone can be adjusted automatically.

Claims (9)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음성 출력 장치부를 제어하여 수화음의 크기를 조절하기 위한 수화음 조절부를 구비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수화음 조절 장치에 있어서,In the handset sound control device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ing a handset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volume of the handset by controlling the voice output device uni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사용자의 음성 크기에 따라 수화음의 크기를 자동 조절하기 위한 기준 음량 및 수화음 자동 조절 모드를 수행하기 위한 제어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부와;A memory unit for storing a reference volume for automatically adjusting a volume of a handset according to a voice volume of a user and a control program for performing a mode of automatically adjusting a handset; 사용자의 입력 음성에 대한 파장을 분석하여 해당 분석된 파장 및 그 크기를 통보하는 음량 측정부와;A volume measuring unit for analyzing a wavelength of a user's input voice and notifying the analyzed wavelength and its magnitude; 상기 메모리부의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 상기 음량 측정부로부터 통보된 파장 및 그 크기와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기준 음량을 비교한 후에, 해당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수화음 조절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MSM(Mobile Station Modem)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수화음 조절 장치.MSM (Mobile Station Modem)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handset sound control unit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after comparing the wavelength and the magnitude notified from the volume measurement unit and the reference volume stored in the memory unit according to the control program of the memory unit The apparatus for adjusting a sound tone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사용자에 의해 키패드를 통해 입력되는 상기 기준 음량을 설정하기 위한 음성 녹음 버튼 및 상기 수화음 자동 조절 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모드 설정 버튼을 감지하여 상기 MSM에 통보하는 키 입력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수화음 조절 장치.And a key input unit configured to detect a voice recording button for setting the reference volume input through the keypad by a user and a mode setting button for setting the handset automatic adjustment mode to notify the MSM. A device for adjusting a dial tone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MSM은 상기 키 입력부로부터 음성 녹음 버튼 입력을 통보받아 디스플레이 장치부 또는 음성 출력 장치부를 제어하여 음성 입력을 통보함과 동시에, 상기 음량 측정부를 제어하여 상기 기준 음량을 설정 및 저장하도록 하며, 상기 키 입력부로부터 모드 설정 버튼 입력을 통보받아 상기 제어 프로그램을 상기 메모리부로부터 판독해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수화음 조절 장치.The MSM receives a voice recording button input from the key input unit to control a display device unit or a voice output unit unit to notify a voice input, and simultaneously controls the volume measuring unit to set and store the reference volume. And receiving a mode setting button input from an input unit to read and execute the control program from the memory unit.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MSM은 현재 이동 통신 단말기의 상태가 통화 중인지를 확인하고 수화음 자동 조절 모드 설정 여부를 확인한 후에, 상기 음량 측정부를 제어하여 사용자의 입력 음성에 대한 파장을 분석하도록 하며, 상기 음량 측정부에서 분석된 파장 및 그 크기를 통보받아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기준 음량을 판독하여 서로 비교하며, 상기 음량 측정부로부터 통보받은 음량이 상기 메모리부로부터 판독한 기준 음량보다 큰 경우에 상기 수화음 조절부를 제어하여 수화음을 크게 조절하도록 하며, 상기 음량 측정부로부터 통보받은 음량이 상기 메모리부로부터 판독한 기준 음량보다 작은 경우에 상기 수화음 조절부를 제어하여 수화음을 작게 조절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수화음 조절 장치.The MSM checks whether the stat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currently in a call and confirms whether to set a dial tone automatic adjustment mode, and then controls the volume measurement unit to analyze a wavelength of a user's input voice, and analyzes the volume measurement unit. Read and compare the reference volumes stored in the memory unit with the received wavelength and the magnitude thereof, and control the sign language control unit when the volume received from the volume measuring unit is greater than the reference volume read from the memory unit.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greatly adjusting a handset sound, and controlling the handset sound control unit to adjust the handset sound to be smaller when the volume notified from the volume measuring unit is smaller than a reference volume read from the memory unit. Sound control device.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상대방과 통화 중인 경우에 수화음 자동 조절 모드의 설정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과;Checking whether the automatic dialing mode is set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talking to the other party; 상기 수화음 자동 조절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받아 그 파장 및 크기를 분석하는 과정과;Analyzing a wavelength and a magnitude of a user's voice when the dial tone automatic adjustment mode is set; 기 설정된 사용자의 기준 음량을 판독한 후에, 상기 분석된 음량을 해당 판독한 기준 음량과 비교하는 과정과;After reading the reference volume of the preset user, comparing the analyzed volume with the read reference volume;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수화음의 크기를 자동 조절하여 해당 크기 조절된 수화음을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수화음 조절 방법.And adjusting the size of the handset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and outputting the adjusted handset. 제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상기 기준 음량을 설정하기 위한 음성 녹음 버튼을 감지하여 음성 입력을 사용자에게 통보하는 과정과;Detecting a voice recording button for setting the reference volume input by the user and notifying the voice input to the user;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상기 수화음 자동 조절 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모드 설정 버튼을 감지하여 상기 수화음 자동 조절 모드를 수행하기 위한 제어 프로그램을 판독해 실행시켜 주는 과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수화음 조절 방법.And detecting a mode setting button for setting the dial tone automatic adjustment mode input by a user and reading out and executing a control program for performing the dial tone automatic adjustment mode. How to adjust the dial tone in a communication terminal. 제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수화음 출력 과정은 상기 분석된 음량이 상기 판독된 기준 음량보다 큰 경우에 수화음의 크기를 상승시켜 출력하며, 상기 분석된 음량이 상기 판독된 기준 음량보다 작은 경우에 수화음의 크기를 하강시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수화음 조절 방법.The sign language output process outputs by raising the loudness of the sign language when the analyzed volume is greater than the read reference volume, and lowers the sign volume when the analyzed volume is smaller than the read reference volume. And a method for adjusting a sign language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제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수화음 출력 과정은 상기 분석된 음량과 상기 판독된 기준 음량 간의 차이 값에 대응하는 수화음 크기 조절 폭을 미리 설정하는 단계와;The method for outputting a sign language may include presetting a sign volume adjustment width corresponding to a difference value between the analyzed volume and the read reference volume; 상기 수화음 크기 자동 조절 시에 상기 분석된 음량과 상기 판독된 기준 음량 간의 차이 값을 구하는 단계와;Obtaining a difference value between the analyzed volume and the read reference volume upon automatically adjusting the loudness of the dialect; 상기 구한 차이 값에 대응하는 크기 조절 폭을 판독하여 해당 크기 조절 폭만큼 수화음의 크기를 조절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수화음 조절 방법.And adjusting and outputting the loudness of the handset by the corresponding scaled width by reading the scaled width corresponding to the obtained difference value. 제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수화음 출력 과정은 상기 분석된 음량과 상기 판독된 기준 음량을 계속적으로 비교하여 수화음의 크기를 단계적으로 조절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수화음 조절 방법.The method for outputting a sign language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characterized by continuously adjusting the volume of the sign language by comparing the analyzed volume with the read reference volume.
KR1020040093998A 2004-11-17 2004-11-17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receiving voice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58075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3998A KR100580755B1 (en) 2004-11-17 2004-11-17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receiving voice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3998A KR100580755B1 (en) 2004-11-17 2004-11-17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receiving voice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80755B1 true KR100580755B1 (en) 2006-05-15

Family

ID=371816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3998A KR100580755B1 (en) 2004-11-17 2004-11-17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receiving voice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80755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68304B2 (en) 2011-01-03 2014-07-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etiquette call mode in mobile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68304B2 (en) 2011-01-03 2014-07-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etiquette call mode in mobile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94744B2 (en) System and methods for adaptively switching a mobile device's mode of operation
CN201369757Y (en) Automatic sound volume regulating device for mobile terminal and mobile terminal
JP3225918B2 (en) Mobile terminal device
US6834107B1 (en) Telephone apparatus
CN101552823B (en) Volume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5842139A (en) Telephone communication terminal and communication method
US6223161B1 (en) Method for setting terminal specific parameters of a communication terminal
EP1089526A2 (en) Telephone with sound customizable to audiological profile of user
KR100580755B1 (en)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receiving voice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P1838075B1 (en) System and methods for adaptively switching a mobile device's mode of operation
JP2002223268A (en) Voice control device and mobile telephone using the same
KR20050120390A (en) Speaker phone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mobile station using proximity sensor
US2007003225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voice amplitude feedback in a communications device
JP2004165865A (en) Telephone set and received tone volume adjustment method
JP4269019B2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JPH11194797A (en) Speech recognition operating device
KR100640459B1 (en) Sign Language Volume Control Device and Method
JPH10290282A (en) Hands-free control circuit
KR200226155Y1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receipt volume automatically for mobile phone
KR20000056077A (en) Automatic Gain Controlling Apparatus and Method of Voice signal amplifier
JPH07231276A (en) Portable radio telephone set
JP3058135B2 (en) Telephone
KR100566199B1 (en) Telephone control automatic telephone call volume and its method
JP3469800B2 (en) Communication device
JP2000196710A (en) Communication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7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