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76048B1 - Assembling method of hot-key for preventing from position changing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hot-key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Assembling method of hot-key for preventing from position changing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hot-key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76048B1
KR100576048B1 KR1020040059730A KR20040059730A KR100576048B1 KR 100576048 B1 KR100576048 B1 KR 100576048B1 KR 1020040059730 A KR1020040059730 A KR 1020040059730A KR 20040059730 A KR20040059730 A KR 20040059730A KR 100576048 B1 KR100576048 B1 KR 1005760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key
key
hot key
hot
suc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973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60011062A (en
Inventor
김기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to KR10200400597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76048B1/en
Publication of KR200600110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106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60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604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78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characterised by the contacts or the contact sites
    • H01H13/785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characterised by the contacts or the contact sit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contacts, e.g. conductive polym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ufacture Of Switche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위치변동방지를 위한 핫키 조립방법 및 그를 이용한 핫키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방향키 내부에 핫키를 조립하는 공정에 있어서, 조립공정 도중에 핫키의 배치가 변경되는 것을 방지하고, 설계상 제약이 없는 위치변동방지를 위한 핫키 조립방법 및 그를 이용한 핫키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assembling a hotkey for preventing displacement and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hotkey using the same. In the process of assembling a hotkey inside a direction key, the arrangement of the hotkeys is prevented from being changed during the assembly process.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for assembling a hotkey for preventing positional variation without a phase restriction an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hotkey using the sam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방향키 내부로 핫키를 조립하는 조립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향키를 미리 제작된 하부지그에 안착시키고, 그 위에 두개로 분할된 한 쌍의 상부지그를 접촉시키며, 상기 상부지그에 상기 핫키를 안착시키는 단계; 상기 핫키의 상방에 구비된 제1흡입장치에 의해 상기 핫키의 위치를 유지시키면서, 상기 핫키에 남아 있는 런너 및 게이트를 제거하는 단계; 상기 상부지그를 벌려 상기 핫키를 방향키 내부로 위치시키는 단계; 상기 핫키의 하방에서 제2흡입장치에 의해 상기 핫키의 위치를 유지시키면서, 상기 핫키와 방향키를 동시에 키패드러버에 접착시키는 단계; 및 상기 하부지그에 안착되어 있던 핫키와 방향키를 상기 하부지그와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위치변동방지를 위한 핫키 조립방법 및 그를 이용한 핫키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ssembly method for assembling a hot key into the direction key, the seating of the direction key to the pre-fabricated lower jig, and contacting the pair of upper jig divided into two thereon, Mounting the hotkey on an upper jig; Removing runners and gates remaining in the hotkey while maintaining the position of the hotkey by a first suction device provided above the hotkey; Spreading the upper jig to position the hot key into a direction key; Bonding the hot key and the direction key to the keypad rubber at the same time while maintaining the position of the hot key by a second suction device below the hot key; And a method for assembling a hotkey for preventing displacement, and a hotkey using the same, the method comprising: separating a hotkey and a direction key seated on the lower jig from the lower jig.

이동통신 단말기, 핫키, 방향키, 지그, 키패드러버, 흡입장치Mobile terminal, hot key, direction key, jig, keypad rubber, suction device

Description

위치변동방지를 위한 핫키 조립방법 및 그를 이용한 핫키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Assembling method of hot-key for preventing from position changing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hot-key using the same} Assembling method of hot-key for preventing from position changing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hot-key using the same}             

도1a 내지 도1c는 각각 종래의 위치변동방지를 위한 핫키를 도시한 정면도, 측단면도 및 배면도.1A to 1C are front, side and cross sectional views, respectively, of a conventional hotkey for preventing displacement.

도2a 및 도2b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위치변동방지를 위한 핫키 및 그를 위한 부가장치를 도시한 평면도 및 측단면도.2A and 2B are a plan view and a sectional side view, respectively, showing a hotkey for preventing displacement and an additional device theref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3a 내지 도3c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위치변동방지를 위한 핫키의 일예를 도시한 정면도, 측단면도 및 배면도.Figures 3a to 3c is a front view, a side cross-sectional view and a rear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hotkey for preventing the position shif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00: 방향키 110: 투광부100: arrow keys 110: light emitting unit

120: 불투명부 200: 핫키120: opaque 200: hotkey

210: 지지리브 250: 게이트210: support rib 250: gate

260: 런너 300: 키패드러버260: runner 300: keypad rubber

500: 하부지그 600a, 600b: 상부지그 500: lower jig 600a, 600b: upper jig

700a, 700b: 커터 710a, 710b: 커너날 700a, 700b: cutter 710a, 710b: canal

800a, 800b: 흡입장치800a, 800b: suction

본 발명은 위치변동방지를 위한 핫키 조립방법 및 그를 이용한 핫키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방향키 내부에 핫키를 조립하는 공정에 있어서, 조립공정 도중에 핫키의 배치가 변경되는 것을 방지하고, 설계상 제약이 없는 위치변동방지를 위한 핫키 조립방법 및 그를 이용한 핫키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assembling a hotkey for preventing a change of position an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hotkey using the same. More particularly, in the process of assembling a hotkey inside an arrow key, the arrangement of the hotkey is changed during the assembling proces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tkey assembling method and a hotkey using the same.

핫키(hot-key)란 이동통신 단말기를 비롯한 유무선 단말기에 구비된 기능키의 한 종류로서, 통상 여러 번 기능키를 눌러 인터넷접속 등의 기능을 구현하던 수고를 덜기 위하여, 한 번의 키 누름으로 원하는 환경으로 바로 찾아갈 수 있는 기능을 가진 기능키이다.Hot-key is a type of function key provided in wired / wireless terminals includ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In order to save the trouble of implementing Internet access function by pressing a function key several times, one key press is required. This function key has the ability to go directly to the environment.

이동통신 단말기에서는, 통상 숫자키, 메뉴키, 확인키, 통화키, 전원키는 필수적으로 구성되어 있고, 또한 방향키도 추가로 구성되고 있는 실정이다.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numeric key, a menu key, a confirmation key, a call key, and a power key are essentially configured, and a direction key is also additionally configured.

네이비키(navi-key)라고도 하는 방향키는 문자메시지를 작성할 경우, 또는 전화번호 검색 등의 기능을 사용할 경우, 실행되고 있는 열을 바꾸기 위해 사용된다.The arrow keys, also known as navi-keys, are used to change the running rows when creating text messages or when using functions such as phone number search.

또한, 방향키는 통상, 타원형으로 이루어져, 상하좌우 네 지점에서 신호를 가하는 구조를 가지고, 그 중앙에는 핫키가 일체로 구비되어 방향키의 중앙, 즉 핫키를 누름으로 인터넷 접속 등이 한 번의 키누름으로 될 수 있도록 한 구성을 가진다.In addition, the direction keys are generally oval, and have a structure that applies signals at four points in the upper, lower,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a hotkey is integrally formed at the center thereof so that the Internet connection or the like can be made by pressing a hotkey in one direction. It has one configuration to make it possible.

도1a 내지 도1c를 참조하여, 종래의 핫키의 구성을 설명한다.Referring to Figs. 1A to 1C, the configuration of a conventional hotkey will be described.

도1a를 참조하면, 종래의 핫키(10)는 타원형의 방향키(20) 중심에 배치되어, 방향키(20)와는 별도로 작동되는 것이 일반적이다.Referring to FIG. 1A, a conventional hot key 10 is disposed at the center of an elliptical direction key 20, and is operated separately from the direction key 20.

그러나, 상기 핫키(10)는 방향키(20) 중심에 조립하기 위한 공정에서, 위치가 변동되거나 장착상태가 변동되어 제조자가 원하는 배치를 이루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However, in the process of assembling the hot key 10 at the center of the direction key 20, the position is changed or the mounting state is often changed to achieve a desired arrangement by the manufacturer.

따라서, 도1b 및 도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핫키(10)의 둘레부에는 복수 개(도면에서는 3개)의 지지리브(11)가 구비되고, 이 지지리브(11)로 인해서 상기 핫키(10)는 상기 방향키(20) 중심에 안착되고, 상기 방향키(20)와 함께 키패드러버(30)에 결합되므로 어느 정도의 미끌림이나 위치가 변경될 수 있는 힘이 가해져도, 제조자가 의도했던 위치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as shown in Figs. 1B and 1C, a plurality of support ribs 11 (three in the drawing) are provided at the periphery of the hot key 10, and the support keys 11 cause the hot keys. 10 is seated at the center of the direction key 20, and coupled to the keypad rubber 30 together with the direction key 20, even if a certain amount of sliding or position force is applied, the position intended by the manufacturer Will be able to maintain.

그러나, 상기와 같이 핫키(10)에 지지리브(11)를 3개 이상 구비하는 것은 설계상 제약이 될 수 있다. However, providing three or more support ribs 11 on the hotkey 10 as described above may be a design limitation.

또한, 상기 핫키(1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지지리브(11)의 상부를 폐쇄하는 걸림부(23)를 구비해야 하고, 상기 걸림부(23) 근방의 영역(이하, "불투명영역"이라 칭함)(22)은 상기 지지리브(11)가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해야하므로, 불투명한 소재로 사출성형을 하거나 도금하여 불투명하게 만들어야 하는 등의 설계상의 제약이 생기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in order to prevent the hot key 10 from being separated, a locking portion 23 for closing an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rib 11 must be provided, and an area in the vicinity of the locking portion 23 (hereinafter, an “opaque region”). Since the support ribs 11 should not be visible from the outside, there is a problem that design restrictions such as injection molding or plating the opaque material to make it opaque occur.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핫키의 둘레부에 다수의 지지리브를 구비하지 않고도 조립공정에서 핫키의 위치가 변경되지 않고, 제조자가 원하는 위치에 정확하게 조립될 수 있도록 한 위치변동방지를 위한 핫키 조립방법 및 그를 이용한 핫키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does not change the position of the hotkey in the assembling process without providing a plurality of support ribs at the periphery of the hotkey, and accurately assembles it at the position desired by the manufacturer.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for assembling a hotkey for preventing a change in position an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hotkey using the sam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방향키 내부로 핫키를 조립하는 조립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향키 미리 제작된 하부지그에 안착시키고, 그 위에 두개로 분할된 한 쌍의 상부지그를 접촉시키며, 상기 상부지그에 상기 핫키를 안착시키는 단계; 상기 핫키의 상방에 구비된 제1흡입장치에 의해 상기 핫키의 위치를 유지시키면서, 상기 핫키에 남아 있는 런너 및 게이트를 제거하는 단계; 상기 상부지그를 벌려 상기 핫키를 방향키 내부로 위치시키는 단계; 상기 핫키의 하방에서 제2흡입장치에 의해 상기 핫키의 위치를 유지시키면서, 상기 핫키와 방향키를 동시에 키패드러버에 접착시키는 단계; 및 상기 하부지그에 안착되어 있던 핫키와 방향키를 상기 하부지그와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위치변동방지를 위한 핫키 조립방법 및 그를 이용한 핫키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ssembly method for assembling a hotkey into the direction key, the direction key is seated on the pre-fabricated lower jig, a pair of two upper jig contact thereon, the upper Seating the hotkey on a jig; Removing runners and gates remaining in the hotkey while maintaining the position of the hotkey by a first suction device provided above the hotkey; Spreading the upper jig to position the hot key into a direction key; Bonding the hot key and the direction key to the keypad rubber at the same time while maintaining the position of the hot key by a second suction device below the hot key; And a method for assembling a hotkey for preventing displacement, and a hotkey using the same, the method comprising: separating a hotkey and a direction key seated on the lower jig from the lower jig.

상기 런너의 제거는 상기 상부지그 상에서 슬라이딩 이동되면서, 소정 부위에 커터날이 구비된 제1커터에 의해 이루어지고, 상기 게이트의 제거는 상기 핫키 상에 위치되어, 상기 핫키의 상방에서 하방으로 이동되면서, 소정 부위에 커터날이 구비된 제2커터에 의해 이루어진다.The removal of the runner is made by a first cutter provided with a cutter blade at a predetermined portion while slidingly moving on the upper jig, and the removal of the gate is located on the hotkey, while moving downwardly from above the hotkey. , By a second cutter provided with a cutter blade at a predetermined portion.

상기 제1흡입장치는 상기 제2커터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제2커터의 이동에 따라 함께 이동된다.The first suction device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second cutter and moves together with the movement of the second cutter.

상기 제2흡입장치는 상기 하부지그의 상기 핫키가 안착될 위치에 상면에서 저면까지 관통되게 형성된 구멍을 통해 삽입 고정된다.The second suction device is inserted and fixed through a hole formed to penetrate from an upper surface to a lower surface at a position where the hot key of the lower jig is to be seated.

상기 핫키의 상하면 중 어느 일면 또는 양면에 도전성 물질로 도금시키고, 상기 핫키의 상방 또는 하방에 자성체를 설치하여 상기 런너 및 게이트를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 키패드러버에 접착시키는 단계에서 상기 핫키의 위치를 유지시킨다.Plating a conductive material on one or both of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hotkey with a conductive material, and installing a magnetic material above or below the hotkey to remove the runner and the gate and maintain the position of the hotkey in the step of adhering to the keypad rubber. Let's do it.

상기 제2흡입장치가 상기 핫키의 둘레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핫키가 위치되는 상기 하부지그의 하방에 상기 핫키에 인쇄된 문자를 인식하는 폰트인식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폰트인식장치의 인식에 의해 상기 제2흡입장치가 회전되면서 상기 핫키의 위치를 재정렬한다.The second suction device is configured to be rotatable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hot key, provided with a font recognition device for recognizing a character printed on the hot key below the lower jig where the hot key is located, the recognition of the font recognition device The second suction device is rotated by the rearrangement of the hot key.

이하, 첨부된 도2a 내지 도3c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2A to 3C.

본 발명에 따른 핫키는 전자기기에 있어서, 한 번의 키누름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환경으로 접속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The hot ke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ans for connecting to an environment desired by a user with a single key press in an electronic device. In the present embodiment,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도2a 및 도2b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위치변동방지를 위한 핫키 및 그를 위한 부가장치를 도시한 평면도 및 측단면도이다.2A and 2B are a plan view and a side cross-sectional view, respectively, showing a hotkey for preventing displacement and an additional device theref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2a 및 도2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위치변동방지를 위한 핫키 조립방법은 방향키(100) 내부로 핫키(200)를 조립하는 조립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향키(100)와 핫키(200)를 소정 형상으로 성형하는 단계; 상기 방향키(100)를 미리 제작된 하부지그(500)에 안착시키고, 그 위에 두 개로 분할된 한 쌍의 상부지그(600a, 600b)를 접촉시키며, 상기 상부지그(600a, 600b)에 상기 핫키(200)를 안착시키는 단계; 상기 핫키(200)의 상방에 구비된 제1흡입장치(800a)에 의해 상기 핫키(200)의 위치를 유지시키면서, 상기 핫키(200)에 남아 있는 런너(260) 및 게이트(250)를 제거하는 단계; 상기 상부지그(600a, 600b)를 벌려 상기 핫키(200)를 방향키(100) 내부로 위치시키는 단계; 상기 핫키(200)의 하방에서 제2흡입장치(800b)에 의해 상기 핫키(200)의 위치를 유지시키면서, 상기 핫키와 방향키를 동시에 키패드러버에 접착시키는 단계; 및 상기 하부지그(500)에 안착되어 있던 핫키(200)와 방향키(100)를 상기 하부지그(500)와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2A and 2B, the method for assembling a hotkey for preventing displace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ssembling method for assembling the hotkey 200 into the direction key 100. The direction key 100 and the hotkey 200 are as follows. Molding to a predetermined shape; The direction key 100 is seated on a prefabricated lower jig 500, and a pair of upper jigs 600a and 600b divided into two are contacted thereon, and the hot key (600a and 600b) contacts the upper jig 600a and 600b. Mounting 200); Removing the runner 260 and the gate 250 remaining in the hot key 200 while maintaining the position of the hot key 200 by the first suction device 800a provided above the hot key 200. step; Spreading the upper jig (600a, 600b) to position the hot key (200) into the direction key (100); Attaching the hot key and the direction key to the keypad rubber at the same time while maintaining the position of the hot key 200 by the second suction device 800b below the hot key 200; And separating the hot key 200 and the direction key 100 seated on the lower jig 500 from the lower jig 500.

상기 방향키(100)는 통상, 타원형상을 이루고, 내부에 핫키(200)가 안착될 핫키 삽입공(미도시)이 형성된다.The direction key 100 has an elliptical shape, and a hot key insertion hole (not shown) in which the hot key 200 is seated is formed.

상기 핫키(200)는 상기 방향키(100)의 중심에 형성된 핫키 삽입공을 통해 상기 방향키(100)의 중심에 위치되고, 그 위치가 유지되면서 상기 키패드러버(300)에 상기 방향키(100)와 동시에 접착된다.The hot key 200 is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direction key 100 through a hot key insertion hole formed at the center of the direction key 100, and at the same time the direction key 100 on the keypad rubber 300 while maintaining the position Are glued.

상기 방향키(100) 및 핫키(200)는 사출성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이 통상적이고, 따라서 런너(260) 및 게이트(250)의 제거는 필수적이다.The direction key 100 and the hot key 200 are typically manufactured by injection molding, and therefore, the removal of the runner 260 and the gate 250 is essential.

상기 런너(260)의 제거는 상기 상부지그(600a, 600b)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제1커터(700a)에 의해 이루어진다.Removal of the runner 260 is made by the first cutter 700a which is slidably moved from one side of the upper jig 600a, 600b to the other side.

상기 제1커터(700a)는 소정 부위에 커터날(이하, "제1커터날"이라 칭함)(710a)이 구비된다. The first cutter 700a is provided with a cutter blade (hereinafter referred to as "first cutter blade") 710a at a predetermined portion.

다시 말하면, 상기 제1커터(700a)는 일단에 제1커터날(710a)을 구비하고, 상기 상부지그(600a, 600b) 상에서 수평이동 되면서 런너(260)를 제거한다.In other words, the first cutter 700a has a first cutter 710a at one end and removes the runner 260 while being horizontally moved on the upper jigs 600a and 600b.

상기 게이트(250)의 제거는 상기 핫키(200) 상에 위치되어, 상기 핫키(200)의 상방에서 하방으로 이동되면서, 소정 부위에 커터날(이하, "제2커터날"이라 칭함)(710b)이 구비된 제2커터(700b)에 의해 이루어진다. The removal of the gate 250 is located on the hot key 200 and moves downwardly from the hot key 200 to the cutter blade (hereinafter referred to as “second cutter blade”) 710b at a predetermined portion. ) Is provided by the second cutter 700b.

다시 말하면, 상기 제2커터(700b)는 소정 부위에 제2커터날(710b)을 구비하고, 상기 상부지그(600a, 600b) 상에서 어느 정도 수직이동 되면서 게이트(250)를 제거한다.In other words, the second cutter 700b includes a second cutter 710b at a predetermined portion and removes the gate 250 while being vertically moved to some extent on the upper jigs 600a and 600b.

상기 제1흡입장치(800a)는 상기 제2커터(700b)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제2커터(700b)의 이동에 따라 함께 이동된다.The first suction device 800a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second cutter 700b and moves together with the movement of the second cutter 700b.

즉, 상기 제2커터(700b)는 상하면이 개방된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1흡입장치(800a)를 그 내부에 수용하는 형상을 이룬다.That is, the second cutter 700b has a hollow cylindrical shape having an upper and lower surface open, and forms a shape for accommodating the first suction device 800a therein.

상기 제2흡입장치(800b)는 상기 하부지그(500)의 상기 핫키(200)가 안착될 위치에 상면에서 저면까지 관통되게 형성된 구멍을 통해 삽입 고정된다.The second suction device 800b is inserted and fixed through a hole formed to penetrate from an upper surface to a lower surface at a position where the hot key 200 of the lower jig 500 is to be seated.

상기 핫키(200)의 상하면 중 어느 일면 또는 양면에 도전성 물질로 도금시키고, Plate one or both of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hot key 200 with a conductive material,

상기 흡입장치(800a, 800b) 대신 상기 핫키(200)의 상방 또는 하방에 자성체(미도시)를 설치하여 상기 런너(260) 및 게이트(250)를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 키패드러버(300)에 접착시키는 단계에서 상기 핫키(200)의 위치를 유지시킬 수 있다.Removing the runner 260 and the gate 250 by installing a magnetic material (not shown) above or below the hot key 200 instead of the suction devices 800a and 800b and adhering to the keypad rubber 300. In this step, the position of the hotkey 200 may be maintained.

또한, 상기 제2흡입장치(800b)가 상기 핫키(200)의 둘레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핫키(200)가 위치되는 상기 하부지그(500)의 하방에 상기 핫키(200)에 인쇄된 문자를 인식하는 폰트인식장치(미도시)를 구비하여, 상기 폰트인식장치의 인식에 의해 상기 제2흡입장치(800b)가 회전되면서 상기 핫키(200)의 위치를 재정렬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suction device (800b) is configured to be rotatable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hot key 200, printed on the hot key 200 under the lower jig 500 where the hot key 200 is located A font recognition device (not shown) for recognizing a character may be provided, and the position of the hot key 200 may be rearranged while the second suction device 800b is rotated by the recognition of the font recognition device.

도3a 내지 도3c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위치변동방지를 위한 핫키의 일예를 도시한 정면도, 측단면도 및 배면도로서, 본 발명의 핫키 조립방법에 의해 조립된 방향키(100) 및 핫키(200)의 조립양태를 도시한 것이다.3A to 3C are front, side and cross sectional views showing an example of a hot key for preventing displace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the direction key 100 and the hot key 200 assembled by the hot key assembly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ssembly mode of) is shown.

도3a 내지 도3c를 참조하면, 상기 핫키(200)는 지지리브(210)를 구비하지 않아도 조립과정에서 그 위치가 변경되지 않으므로, 상기 방향키(100)에소 상기 핫키(200)의 지지리브(210)를 수용하는 걸림부(미도시)를 구비하지 않아도 된다.3A to 3C, since the position of the hot key 200 is not changed during the assembling process even if the hot key 200 does not have the support rib 210, the support rib 210 of the hot key 200 is placed on the direction key 100. It is not necessary to have a locking portion (not shown) for accommodating).

또한, 상기 방향키(100)의 상기 핫키(200)를 수용하는 핫키 삽입공 둘레 근방(이하, "투광부"라 칭함)은 투명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vicinity of a hot key insertion hol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light emitting portion”) for accommodating the hot key 200 of the direction key 100 may be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따라서, 상기 키패드러버(300) 방향에서 조사되는 광원은 상기 투광부(110)를 거쳐 외측으로 조사될 수 있다.Therefore, the light source irradiated in the direction of the keypad rubber 300 may be irradiated to the outside via the light transmitting unit 110.

상기 방향키(100)의 상기 투광부(110)를 제외한 부분은 도금 등으로 불투명부(120)로 이루어질 수 있다.A portion of the direction key 100 except for the light transmitting portion 110 may be formed of the opaque portion 120 by plating or the like.

또한, 상기 핫키(200)의 둘레에는 상기 키패드러버(30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지지리브(210)가 하나만 구비되어 있다.In addition, only one support rib 210 is provided around the hot key 200 to prevent the keypad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keypad rubber 300.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위치변동방지를 위한 핫키 조립방법 및 그를 이용한 핫키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지지리브(210)를 구비하지 않은 단순한 형상의 핫키(200)를 이용한 키패드를 구성할 수 있으므로, 제조 공정에서 시간 및 비용이 크게 절감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method for assembling a hotkey for preventing the change of 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the hotkey using the same may constitute a keypad using a hotkey 200 having a simple shape without a support rib 210. Therefore, time and cost can be greatly reduced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또한, 제조자가 원하는 위치에 정확하게 핫키를 배치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nufacturer can place the hotkey exactly where desired.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various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changes are possible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clear to those of ordinary knowledge.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위치변동방지를 위한 핫키 조립방법 및 그를 이용한 핫키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핫키의 둘레부에 다수의 지지리브를 구비하지 않고도 조립공정에서 핫키의 위치가 변경되지 않고, 제조자가 원하는 위치에 정확하게 조립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Hotkey assembling method for preventing the change of 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an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hotkey using the same does not change the position of the hotkey in the assembly process without having a plurality of support ribs in the circumference of the hotkey Therefore, there is an effect that the manufacturer can be assembled exactly in the desired position.

Claims (7)

방향키 내부로 핫키를 조립하는 조립방법에 있어서,In the assembling method of assembling the hotkey inside the direction key, 상기 방향키를 미리 제작된 하부지그에 안착시키고, 그 위에 두 개로 분할된 한 쌍의 상부지그를 접촉시키며, 상기 상부지그에 상기 핫키를 안착시키는 단계;Seating the direction key on a prefabricated lower jig, contacting a pair of upper jigs divided thereon, and seating the hot key on the upper jig; 상기 핫키의 상방에 구비된 제1흡입장치에 의해 상기 핫키의 위치를 유지시키면서, 상기 핫키에 남아 있는 런너 및 게이트를 제거하는 단계;Removing runners and gates remaining in the hotkey while maintaining the position of the hotkey by a first suction device provided above the hotkey; 상기 상부지그를 벌려 상기 핫키를 방향키 내부로 위치시키는 단계;Spreading the upper jig to position the hot key into a direction key; 상기 핫키의 하방에서 제2흡입장치에 의해 상기 핫키의 위치를 유지시키면서, 상기 핫키와 방향키를 동시에 키패드러버에 접착시키는 단계; 및Bonding the hot key and the direction key to the keypad rubber at the same time while maintaining the position of the hot key by a second suction device below the hot key; And 상기 하부지그에 안착되어 있던 핫키와 방향키를 상기 하부지그와 분리하는 단계Separating the hot key and the direction key seated on the lower jig from the lower jig 를 포함하는 위치변동방지를 위한 핫키 조립방법.Hotkey assembly method for preventing the position shift including a.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런너의 제거는 상기 상부지그 상에서 슬라이딩 이동되면서, 소정 부위에 커터날이 구비된 제1커터에 의해 이루어지고,Removal of the runner is made by a first cutter provided with a cutter blade on a predetermined portion while slidingly moving on the upper jig, 상기 게이트의 제거는 상기 핫키 상에 위치되어, 상기 핫키의 상방에서 하방으로 이동되면서, 소정 부위에 커터날이 구비된 제2커터에 의해 이루어지는,The removal of the gate is made by a second cutter located on the hotkey and moved downwardly from the hotkey, with a cutter blade provided at a predetermined portion. 위치변동방지를 위한 핫키 조립방법.How to assemble hotkeys to prevent position fluctuations.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제1흡입장치는 상기 제2커터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제2커터의 이동에 따라 함께 이동되는The first suction device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second cutter and moves together with the movement of the second cutter. 위치변동방지를 위한 핫키 조립방법.How to assemble hotkeys to prevent position fluctuations.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제2흡입장치는 상기 하부지그의 상기 핫키가 안착될 위치에 상면에서 저면까지 관통되게 형성된 구멍을 통해 삽입 고정되는The second suction device is inserted and fixed through a hole formed to penetrate from an upper surface to a lower surface at a position where the hot key of the lower jig is to be seated. 위치변동방지를 위한 핫키 조립방법.How to assemble hotkeys to prevent position fluctuations.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핫키의 상하면 중 어느 일면 또는 양면에 도전성 물질로 도금시키고, Plate one or both of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hot key with a conductive material, 상기 핫키의 상방 또는 하방에 자성체를 설치하여 상기 런너 및 게이트를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 키패드러버에 접착시키는 단계에서 상기 핫키의 위치를 유지시키는Installing a magnetic material above or below the hotkey to remove the runner and the gate, and to maintain the position of the hotkey in the step of adhering to the keypad rubber. 위치변동방지를 위한 핫키 조립방법.How to assemble hotkeys to prevent position fluctuations.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2흡입장치가 상기 핫키의 둘레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고,The second suction device is configured to be rotatable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hotkey, 상기 핫키가 위치되는 상기 하부지그의 하방에 상기 핫키에 인쇄된 문자를 인식하는 폰트인식장치를 구비하며,A font recognition device for recognizing a character printed on the hot key under the lower jig in which the hot key is located, 상기 폰트인식장치의 인식에 의해 상기 제2흡입장치가 회전되면서 상기 핫키의 위치를 재정렬하는,The second suction device is rotated by the recognition of the font recognition device to rearrange the position of the hot key, 위치변동방지를 위한 핫키 조립방법.How to assemble hotkeys to prevent position fluctuations. 제1항에 따른 위치변동방지를 위한 핫키 조립방법을 이용한 핫키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hotkey using the hotkey assembly method for preventing the positional change according to claim 1.
KR1020040059730A 2004-07-29 2004-07-29 Assembling method of hot-key for preventing from position changing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hot-key using the same KR10057604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9730A KR100576048B1 (en) 2004-07-29 2004-07-29 Assembling method of hot-key for preventing from position changing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hot-key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9730A KR100576048B1 (en) 2004-07-29 2004-07-29 Assembling method of hot-key for preventing from position changing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hot-key us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1062A KR20060011062A (en) 2006-02-03
KR100576048B1 true KR100576048B1 (en) 2006-05-03

Family

ID=371211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9730A KR100576048B1 (en) 2004-07-29 2004-07-29 Assembling method of hot-key for preventing from position changing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hot-key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76048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1354A (en) * 2001-06-26 2003-01-06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Control device for an electronic apparatu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1354A (en) * 2001-06-26 2003-01-06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Control device for an electronic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1062A (en) 2006-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39780B1 (en) Key pad of mobile phon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0576048B1 (en) Assembling method of hot-key for preventing from position changing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hot-key using the same
KR200326795Y1 (en) A key-input part for mobile phone
KR100270881B1 (en) How to manufacture keypad for mobile phone
JP4486439B2 (en) Resin key top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0647981B1 (en) structure for key pad rubber to fabricate of handphone
JP3099977U (en) Input key members for mobile phones
KR100289034B1 (en) How to make keypad for mobile communication
KR200184577Y1 (en) Structure for fixing side key assembly in portable radiotelephone
KR101126380B1 (en) Keypad apparatus for mobile phone
KR200371189Y1 (en) Structure for assembling button of communication terminal
KR20050120550A (en) Unified key button structure with cantilever metal plate for cellular phone
KR200256011Y1 (en) A mobile communication apparatus
KR200341126Y1 (e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keypad for mobile phone
KR200386895Y1 (en) Mobile communication keypad with improved click touch apparatus
KR101085757B1 (en) Keypad apparatus for mobile phone
KR200333652Y1 (en) Structure of tact switch
JP2006040746A (en) Keytop structure of electronic apparatus
KR0135731B1 (en) Key button of electric device
KR200210426Y1 (en) Die apparatus for moulding button assembly having a plurality of buttons
KR100344970B1 (en) Keypad for cellular phon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KR200295370Y1 (en) A waterproofing structure of mobile phone
KR19980024783U (en) Communication device
KR200156554Y1 (en) Packed button in a telephone
KR100800656B1 (en) Key pad for portable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5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