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73037B1 - 알에스에스 기반의 컨텐츠 추출 서버와 방법 및 그 서버관리 장치, 이를 이용하는 이동통신 단말장치의 대기화면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알에스에스 기반의 컨텐츠 추출 서버와 방법 및 그 서버관리 장치, 이를 이용하는 이동통신 단말장치의 대기화면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73037B1
KR100573037B1 KR1020050099226A KR20050099226A KR100573037B1 KR 100573037 B1 KR100573037 B1 KR 100573037B1 KR 1020050099226 A KR1020050099226 A KR 1020050099226A KR 20050099226 A KR20050099226 A KR 20050099226A KR 100573037 B1 KR100573037 B1 KR 1005730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rss
server
update
manag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92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창석
Original Assignee
(주)인트로모바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인트로모바일 filed Critical (주)인트로모바일
Priority to KR10200500992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730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30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3037B1/ko
Priority to CNB2006800022733A priority patent/CN100517293C/zh
Priority to JP2008536495A priority patent/JP2009512934A/ja
Priority to US12/090,748 priority patent/US8131276B2/en
Priority to PCT/KR2006/004248 priority patent/WO2007046638A1/en
Priority to EP06122567A priority patent/EP1777632A3/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7Browsing optimisation, e.g. caching or content distillation
    • G06F16/9577Optimising the visualization of content, e.g. distillation of HTML docu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알에스에스 기반의 컨텐츠 추출 서버와 방법 및 그 서버 관리 장치, 이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장치의 대기화면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알에스에스 이동통신 단말장치의 대기화면 제공 시스템은 RSS 피드로 작성되는 업데이트 컨텐츠를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서버; 상기 업데이트 컨텐츠를 수집하고 분석 및 분류하고 크기 및 데이터 형식 중 적어도 하나를 변환하여 모바일 컨텐츠를 생성하는 컨텐츠 메니지먼트 서버; 상기 변환 컨텐츠를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 및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모바일 컨텐츠를 이동통신 단말장치에 제공하는 대기화면 제공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컨텐츠 메니지먼트 서버는 RSS 피드로 작성되는 업데이트 컨텐츠를 수집하는 RSS 수집기, 상기 업데이트 컨텐츠 중에 태그를 부분적으로 추출하는 컨텐츠 수집기, 및 상기 추출된 태그가 전송되는 단말장치에 적용할 수 있도록 크기 및 데이터 형식 중 적어도 하나를 변환하여 사용자 컨텐츠를 생성하는 컨텐츠 변환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RSS 방식이 적용되는 다양한 컨텐츠로부터 업데이트되는 정보를 사용자가 원하는 시간에 보다 편리한 방법으로 획득할 수 있도록 하고, RSS 방식을 적용한 다양한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을 지원할 수 있다.
RSS, RSS 피드, HTML, 컨텐츠 메니지먼트 서버, 컨텐츠 메니지먼트 서버 관리 장치, 컨텐츠 업데이트 시스템

Description

알에스에스 기반의 컨텐츠 추출 서버와 방법 및 그 서버관리 장치, 이를 이용하는 이동통신 단말장치의 대기화면 제공 시스템{CONTENT EXTRACTION SERVER ON THE RSS AND METHOD THEREOF, SERVICE SYSTEM FOR IDLE SCREEN ON MOBILE US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RSS 기반의 컨텐츠 메니지먼트 서버를 도시하는 구성도.
도 2는 도 1의 각 구성 간에 전송되는 컨텐츠 흐름을 도시하는 구성도.
도 3은 도 1의 컨텐츠 수집기의 업데이트 컨텐츠를 다양한 패턴 기준으로 분석 및 분류하는 흐름도.
도 4는 도 1의 컨텐츠 변환기의 새로운 사용자 컨텐츠를 생성하는 순서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5는 제 1 컨텐츠 패턴을 도시하는 화면 구성도.
도 6은 제 2 컨텐츠 패턴을 도시하는 화면 구성도.
도 7은 제 3 컨텐츠 패턴을 도시하는 화면 구성도.
도 8은 제 4 컨텐츠 패턴을 도시하는 화면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RSS 기반의 컨텐츠 메니지먼트 서버의 운용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RSS 기반의 컨텐츠 메니지먼트 서버의 관리 장치를 도시하는 구성도.
도 11은 관리자 입력 테이블에 입력되는 항목을 도시하는 구성도.
도 12는 도 11의 관리자 입력 테이블 항목 중 필수 입력 항목이 표시되는 화면을 도시하는 화면 구성도.
도 13은 관리자 권한에 속하는 항목을 도시하는 구성도.
도 14는 CP 입력 테이블에 입력되는 항목을 도시하는 구성도.
도 15는 도 14의 CP 입력 테이블 항목 중 필수 입력 항목이 표시되는 화면을 도시하는 화면 구성도.
도 16은 CP 리스트를 가나다 정렬순으로 정렬시키는 화면을 보여주는 화면 구성도.
도 17은 RSS 채널 관리 항목들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화면을 보여주는 화면 구성도.
도 18은 RSS 채널 입력 테이블에 입력되는 항목을 도시하는 구성도.
도 19는 컨텐츠 입력 테이블에 입력되는 항목을 도시하는 구성도.
도 20은 게시판 입력 테이블에 입력되는 항목을 도시하는 구성도.
도 21은 도 20의 게시판 항목들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화면을 보여주는 화면 구성도.
도 22는 히스토리 입력 테이블에 입력되는 항목을 도시하는 구성도.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RSS 기반의 업데이트 시스템을 도시하는 구성도.
도 2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RSS 기반의 컨텐츠 업데이트 시스템을 도시하는 구성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컨텐츠 메니지먼트 서버 110 : RSS 수집기
120 : 업데이트 스케줄러 130 : 컨텐츠 수집기
1140 : 컨텐츠 변환기 150 : 데이터 베이스
200 : 컨텐츠 메니지먼트 서버 관리 장치
300 : 이동통신 단말기
본 발명은 RSS 기반의 컨텐츠 메니지먼트 서버와 그 운용방법 및 컨텐츠 메니지먼트 서버 관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컨텐츠 업데이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RSS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새롭게 업데이트 정보만은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컨텐츠 메니지먼트 서버 및 그 운용방법과, 이러한 컨텐츠 메니지먼트 서버를 포함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대기화면 상에 업데이트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RSS 기반의 컨텐츠 메니지먼트 서버와 그 운용방법 및 컨텐츠 메니지먼트 서버 관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컨텐츠 업데이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들어, 인터넷의 비약적인 발전을 통하여 많은 정보가 공유되어가고 있다. 이에 따라 이제는, 지구 반대쪽에서 발생하는 일 조차도 인터넷의 엄청난 확장성에 기대어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는 시대가 도래되었다. 이러한 인터넷의 보급과 맞물려 인터넷 상에 정보 및 컨텐츠를 제공함으로써 새로운 이윤을 창출하는 다양한 컨텐츠 제공업체들이 등장하고 있다. 이러한 다양한 컨텐츠 제공업체들이 제공하는 다양한 정보 및 컨텐츠들은 시시각각 새로운 정보로 업데이트되고 있으며, 이용자들은 새롭게 업데이트 정보를 획득하기 위하여 컨텐츠 제공업체들의 사이트에 접속하여 정보를 검색하고 있다. 여기서, 이용자들은 새롭게 업데이트 정보 만을 획득하기 원하는 경우에도 불구하고, 컨텐츠 제공업체들로부터 제공되는 업데이트 정보 및 이전 정보를 모두 다운로드 받아서 보게 된다. 이러한 이용자들의 욕구를 만족시키기 위하여 RSS 어플리케이션이 등장하게 되었다. RSS 란 RDF Site Summary, Rich Site Summary 등의 약칭으로 뉴스나 블로그와 같이 컨텐츠 업데이트가 자주 일어나는 웹사이트에서, 업데이트 정보를 쉽게 사용자들에게 제공하기 위해 XML을 기초로 만들어진 데이터 형식이다. 이 RSS 방식은 사이트가 제공하는 주소를 자신의 RSS 어플리케이션에 등록하면, 업데이트 정보를 찾기 위해 사이트에 매번 방문할 필요 없이 RSS 어플리케이션이 사이트로부터 업데이트 정보를 확인하고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현재 RSS 방식은 국제 표준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으며, 이러한 RSS 방식을 이용한 다양한 응용사업 창출이 기대되고 있다. 이에 따라, RSS 방식을 적용한 다양한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의 개발이 절실히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RSS 피드를 제공하는 컨텐츠 서버로부터 RSS 피드를 수집하고, 수집된 RSS 피드를 각 이동통신 단말장치가 가지는 데이터 형식 및 크기에 맞게 가공하여 각 이동통신 단말장치의 대기화면에 제공함으로써, 이동통신 사용자가 원하는 시기에 원하는 업데이트 컨텐츠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는 RSS 기반 이동통신 단말장치의 대기화면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RSS 피드로 작성되는 업데이트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서버, 컨텐츠 서버로부터 수집되는 업데이트 컨텐츠를 분석, 분류하고 필요한 태그를 추출하여 수신될 단말장치에 적용되는 크기 및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하는 컨텐츠 메니지먼트 서버, 변환된 컨텐츠를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변환된 컨텐츠를 지정된 단말장치에 전송하는 업데이트 컨텐츠 서버를 구비하여 다종다양한 단말장치에 적응적으로 업데이트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RSS 기반 이동통신 단말장치의 대기화면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RSS 피드로 작성되는 업데이트 컨텐츠를 단말장치가 이동통신 단말장치, 무선 단말장치, 유비쿼터스 네트웍 단말장치 등 통신채널을 형성할 수 있는 다양한 단말장치들에 적용될 수 있는 크기 및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함으로써, 인터넷 망에 접속되는 컴퓨터 단말기 뿐만 아니라, 이동이 가능한 이동 단말장치에 적절한 업데이트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RSS 기반 이동통신 단말장치의 대기화면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컨텐츠 메니지먼트 서버가 RSS 피드로 작성되는 업데이트 컨텐츠를 수집하고, 수집된 업데이트 컨텐츠로부터 내용을 추출하여, 수신되는 단말장치의 특성에 따라 추출된 컨텐츠의 크기 및 데이터 형식을 변환하여 제공함으로써,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 상의 컨텐츠 서버에서 제공하는 업데이트 정보를 효율적으로 이동통신 등의 이종의 통신망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RSS 기반의 컨텐츠 추출 서버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수집된 컨텐츠를 디스크립션 필드 내에 내용이 포함된 제 1 컨텐츠 패턴, 타이틀 위치를 기준으로 내용 추출이 가능한 제 2 컨텐츠 패턴, 다양한 태그에 일정한 점수를 부여하고, 일정 점수 이상을 획득한 태그로부터 내용 추출이 가능한 제 3 컨텐츠 패턴 및 수집된 컨텐츠를 직접적으로 드래그하여 태그를 추출하는 제 4 컨텐츠 패턴으로 구분함으로써, 업데이트 컨텐츠를 분류 및 분석하는데 있어서, 보다 보편화 되고, 일반화된 형식에 따라 정리함으로써, 업데이트 컨텐츠의 수집 및 분석 단계를 간소화하고 전문화할 수 있는 RSS 기반의 컨텐츠 추출 서버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컨텐츠 메니지먼트 서버를 관리하는 관리 장치를 구비하여, 컨텐츠 메니지먼트 서버에 관리자 및 업데이트되는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서버 등을 등록하고, 등록된 이후, 수정 및 삭제 등을 할 수 있도록 하는 RSS 기반의 컨텐츠 추출 서버 관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RSS 기반 이동통신 단말장치의 대기화면 제공 시스템은 RSS 피드로 작성되는 업데이트 컨텐츠를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서버; 상기 업데이트 컨텐츠를 수집하고 분석 및 분류하고 크기 및 데이터 형식 중 적어도 하나를 변환하여 모바일 컨텐츠를 생성하는 컨텐츠 메니지먼트 서버; 상기 변환 컨텐츠를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 및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모바일 컨텐츠를 이동통신 단말장치에 제공하는 대기화면 제공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컨텐츠 메니지먼트 서버는 RSS 피드로 작성되는 업데이트 컨텐츠를 수집하는 RSS 수집기, 상기 업데이트 컨텐츠 중에 태그를 부분적으로 추출하는 컨텐츠 수집기, 및 상기 추출된 태그가 전송되는 단말장치에 적용할 수 있도록 크기 및 데이터 형식 중 적어도 하나를 변환하여 사용자 컨텐츠를 생성하는 컨텐츠 변환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RSS 기반의 컨텐츠 추출 서버는 RSS 피드로 작성되는 업데이트 컨텐츠를 수집하는 RSS 수집기; 상기 업데이트 컨텐츠 중에 태그를 부분적으로 추출하는 컨텐츠 수집기; 및 상기 추출된 태그가 전송되는 단말장치에 적용할 수 있도록 크기 및 데이터 형식 중 적어도 하나를 변환하여 사용자 컨텐츠를 생성하는 컨텐츠 변환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RSS 기반의 컨텐츠 추출 방법은 RSS 피드로 작성되는 업데이트 컨텐츠를 수집하는 제 1 단계; 상기 업데이트 컨텐츠 중에 태그를 부분적으로 추출하는 제 2 단계; 상기 추출된 태그가 전송되는 단말장치에 적용할 수 있도록 크기 및 데이터 형식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자 컨텐츠로 변환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RSS 기반의 컨텐츠 추출 서버 관리장치는 컨텐츠 서버로부터 공급되는 RSS 피드로 작성된 업데이트 컨텐츠를 수집하고 분석 및 분류하여, 크기 및 데이터 형식 중 적어도 하나를 변환하여 사용자 컨텐츠를 생성하는 컨텐츠 메니지먼트 서버; 및 상기 컨텐츠 메니지먼트 서버를 관리하는 관리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관리 장치는 관리자를 위한 관리자 모듈, 컨텐츠 서버 관리를 위한 CP 관리 모듈, RSS 채널 및 컨텐츠 관리 모듈, 게시판/히스토리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상술한 목적 및 기타의 목적과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RSS 기반 이동통신 단말장치의 대기화면 제공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RSS 기반 이동통신 단말장치의 대기화면 제공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서버(99), 컨텐츠 추출 서버(100), 데이터 베이스(150), 대기화면 제공 서버(31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바람직하게는 컨텐츠 추출 서버 관리 장치(200), 이동통신 단말 장치 가입자 정보 서버(320) 및 메시지 서버(33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컨텐츠 서버(99), 컨텐츠 추출 서버(100), 데이터 베이스(150), 컨텐츠 추출 서버 관리 장치(200)는 도 3 내지 도 24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한편, 각 구성요소는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별도로 구현하거나, 단일 시스템으로 통합하여 구현할 수 있다.
대기화면 제공 서버(310)는, 각 기능이 최적의 연계성을 가지기 위해 무선 인터넷 푸쉬 및 풀 메시지 관리 솔루션을 제공하게 되며 그 구성은 대기화면 제어 시스템, 컨텐츠 관리 서버, PDM 서버, CRM 서버, 광고 서버, 풀 데이터 컨트롤러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대기화면 제어 시스템은 데이터 뷰어(Data Viewer), 컨피그레이션 매니저(Configuration Manager), 디스플레이 매니저(Display Manager), 이벤트 핸들러(Event Handler), 푸쉬 데이터 매니저(Push Data Manager), 풀 데이터 매니저(Pull Data Manager), 데이터 인터페이스 모듈(Data Interface module), 어드미니스트레이션 매니저(Administration Manager), 스케쥴러(Scheduler), 푸쉬 에이젼트(Push Agent), 풀 에이젼트(Pull Agent), 유저 프로필 시뮬레이터(User Profile Simulator), 유저 프로파일 매니저(User Profile Manager), 데이터 포맷 및 유틸리티(Data Formatter & Utility), 인포메이션 매치 메이커(Information Match Maker), 컨텐츠 서버 게이트웨이(Contents Server Gateway), 데이터베이스(Database)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RSS 기반 이동통신 단말장치의 대기화면 제공 시스템에서 대기화면 제공 서버(310), 이동통신 단말 장치 가입자 정보 서버(320) 및 메시지 서버(330) 등은 본 출원인이 출원한 출원번호 2004-7006278 특허출원에 기재된 대기화면 제공 서버, 이동통신 단말 장치 가입자 정보 서버 및 메시지 서버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임으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기화면 제공 시스템은 이동통신 단말 장치에 이미지 등을 전송하기 위한 메시지 서버(330)가 단문 메시지 서버 이외에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버 역할 까지 포함하여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RSS 기반의 이동통신 단말장치의 대기화면 제공 시스템은 이동통신 단말장치의 대기화면에 사용자가 요구하는 정보 중 새롭게 업데이트 된 정보 만을 사용자가 지정한 시기에 표시하고, 업데이트 정보를 획득하기 위하여 별도의 서핑이나 검색과정을 제거함으로써, 더 많은 정보를 더 빠르고 간편하게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게 되어, 고객 만족도를 개선할 수 있다.
한편,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RSS 기반의 컨텐츠 추출 서버를 도시한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RSS 기반의 컨텐츠 추출 서버 내에 각 구성 간에 전송되는 신호흐름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RSS 기반의 컨텐츠 추출 서버(Contents Management Server : CMS)(100)는 RSS 수집기(Aggregator)(110), 컨텐츠 수집기(Aggregator)(130), 컨텐츠 변환기(Transcoder)(14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업데이트 스케줄러(Scheduler)(120), 데이터 베이스(150), 표시부(16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RSS 수집기(110)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서버로부터 제공되며 RSS 피드를 포함하는 업데이트 컨텐츠(New_con)를 수집한다. 업데이트 컨텐츠(New_con)는 RSS 피드(Feed) 제공 및 RSS 지원 XML 기반으로 제작되어야 한다. 업데이트 컨텐츠(New_con)가 RSS 지원이 가능한 경우, RSS 수집기(110)는 컨텐츠 서버에 접속하여 컨텐츠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RSS 지원 가능한 RSS 피드를 포함하는 업데이트 컨텐츠(New_con)를 수집하게 된다. 이를 위해, RSS 수집기(110)는 컨텐츠 서버와 통신채널을 형성하게 된다. 통신채널은 네트워크로 연결되는 인터넷 망, 무선 랜으로 연결된 무선 망, 유비쿼터스로 연결된 유비쿼터스 망에 대하여 적응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RSS 수집기(110)는 컨텐츠 서버에 동기되도록 제작하고, 컨텐츠 서버가 제작하여 직접 배포되거나, 별도의 저장장치에 저장하여 배포할 수 있다. 또한, RSS 수집기(110)는 RSS 피드를 포함하는 업데이트 컨텐츠(New_con)를 수집하고, 적절한 형태로 분류한 후, 모바일 컨텐츠(Mobil_con1, Mobil_con2...)로 변환하기 위하여 현재까지 발표된 모든 버전의 RSS, ATOM 포맷을 지원할 수 있다. RSS 수집기(110)는 각각의 RSS채널에 대하여 적용 포맷을 설정 및 변경하는 기능을 제공하고, 컨텐츠 서버가 제공하는 RSS 파일의 모든 Element를 저장할 수 있으며, "Enclosure"가 포함되는 RSS 파일인 경우 링크된 바이너리를 저장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RSS 수집기(110)는 Element의 구성에 따라 실질적으로 사용해야 할 RSS 패턴을 정의하며, 컨텐츠 추출 서버 관리자의 지정에 의해 초단위로 RSS 피드를 수집할 수 있으되, 부하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설계된다.
컨텐츠 수집기(130)는 수집된 업데이트 컨텐츠(New_con)를 여러 가지 컨텐츠 패턴(Pat_con1, Pat_con2,...)으로 분류 인식하고, 인식된 컨텐츠 패턴(Pat_con1, Pat_con2,...)으로부터 수신될 단말장치의 요구 사항 및 특성에 따라 컨텐츠 패턴(Pat_con1, Pat_con2,...)에 포함된 태그를 부분적으로 추출하여 저장한다. 태그는 업데이트된 내용을 포함하며, 제목, 내용 등으로만 구성될 수도 있다. 내용은 이미지나, 동영상, 오디오, 텍스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컨텐츠 수집기(130)는 수집된 RSS 피드로부터 컨텐츠를 추출하는 동안 다음과 같은 사항들을 충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컨텐츠 수집기(130)는 RSS 피드에 있는 원문 Html내의 유효 컨텐츠를 추출하여 데이터 베이스(150)에 저장가능하다. 저장항목으로는 Html 원문과 유효 컨텐츠 및 RSS 파일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컨텐츠 수집기(130)는 패턴을 보다 세분화하여 패턴 적용으로 인한 운영상의 이슈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고, 패턴 적용을 가장 단순하고 쉽게 할 수 있도록 하며, 수동 패턴 적용 즉, 관리자가 RSS 피드에서 직접적으로 드래그하여 컨텐츠를 수집하는 패턴이 나오지 않도록 함으로써, 컨텐츠 수집이 자동수집이 되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패턴은 기본 컨텐츠 서버 패턴, 채널별 패턴, 컨텐츠별 패턴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이 패턴들은 텍스트 수정이 가능하다. 컨텐츠 수집기(130)는 광고성 리소스(Resource)들을 걸러내는 옵션 기능이 추가될 수 있고, 옵션과 별도로 자동으로 광고성 리소스를 걸러내는 기능을 제공하며, 패턴 적용 후 미리보기 기능, 최대 모듈화 및 최적 연동을 위한 각종 API를 제공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컨텐츠 수집기(130)에서 웹 스크랩핑(Web Scrapping) 성공률은 자동일 경우 90% 이상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컨텐츠 수집기(130)는 Html 원문의 파일 포맷 예를 들면, jpg, gif, Text 등을 지정하여 추출할 수 있는 필터링 기능 및 필터링된 파일들을 데이터 베이스(150)에 저장하는 기능, 유효 컨텐츠 저장시에 원문의 순서와 동일하게 컨텐츠 나열 기능, 채널 업데이트 실패 시 복구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컨텐츠 수집기(130)는 통계 기능 및 기타 기능을 가진다. 통계 기능은, 통계 검색 분류 기능과 통계항목으로 구분된다. 통계 검색 분류기능은 통계를 기간별, 컨텐츠 서버별, 채널별로 통계할 수 있도록 검색 분류 기준을 가지는 것이고, 통계항목은 총 컨텐츠 서버, 채널, 컨텐츠 수를 나타내는 제 1 항목과, 컨텐츠를 수집하는데 성공 및 실패 컨텐츠를 나타내는 제 2 항목, 및 기타 제 3 항목으로 구분될 수 있다. 기타 기능은 다국어 지원기능, 독립된 플랫폼, 시스템 확장 가능 기능, 안정성과 성능을 보장하는 시스템 퍼포먼스(System Performance)을 지원하는 기능이다.
이러한, 컨텐츠 수집기(130)를 이용하여 패턴을 추출하고, 분석 및 분류하는 과정에 관하여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컨텐츠 수집기(130)는 RSS 수집기(110)에 의하여 컨텐츠 서버로부터 수집된 업데이트 컨텐츠(New_con)의 RSS 피드를 분석한다.(S1)
S1 단계에서, 분석된 컨텐츠내에 디스크립션 필드(Description Filed)가 존재하는 여부를 검사한다.(S2)
S2 단계에서, 디스크립션 필드가 존재하는 경우, 업데이트 컨텐츠(New_con)를 제공하는 컨텐츠 서버로부터 퍼마링크(Permalink)를 통해 HTML 원문 내용을 수집한다.(S3)
S3 단계에서, 수집된 HTML 원문 안에 RSS 디스크립션 필드와 동일한 내용이 있는지 여부를 검사한다.(S4)
S4 단계에서, 수집된 HTML 원문 안에 RSS 디스크립션 필드와 동일한 내용이 존재하는 경우, 디스크립션 필드의 내용을 제 1 컨텐츠 패턴(Pat_con1)으로 분류한다.(S5)
S2 단계에서, 디스크립션 필드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RSS 피드가 RSS 타이틀(Title) 필드를 포함하는지 여부를 검사한다.(S6)
S6 단계에서, RSS 피드가 RSS 타이틀을 포함하는 경우, HTML 원문에 RSS 타이틀이 포함되는지 여부를 검사한다.(S7)
S7 단계에서, HTML 원문이 RSS 타이틀을 포함하는 경우 RSS 타이틀의 위치를 기준으로 컨텐츠를 추출하고, 추출된 컨텐츠를 제 2 컨텐츠 패턴(Pat_con2)으로 분류한다.(S8)
S4 단계에서, 수집된 HTML 원문 안에 RSS 디스크립션 필드와 동일한 내용이 없는 경우, RSS 디스크립션 필드 내에 HTML 태그가 들어있는지 여부를 검사한다.(S9)
S9 단계에서, RSS 디스크립션 필드 내에 HTML 태그가 들어있을 경우, HTML 원문에서 HTML 태그를 제거하고(S10), HTML 원문에 RSS 디스크립션 필드의 내용이 있을 경우(S11), S5 단계로 분기한다.
S6 단계 및 S7 단계에서 각각 RSS 타이틀 필드가 없는 경우, 태그 스코어링 모듈(Tag Scoring Module)을 이용하여 태그 값을 스코어링 한다.(S12)
태그 스코어링 모듈은 HTML에 포함된 각 태그의 특성에 관하여 여러가지 미리 정의된 조건에 따라 점수를 매김으로써 각 태그에 해당하는 점수를 매기게 된다.
다음으로, 태그 스코어링 모듈에 의하여 계산된 점수가 일정 수치 값을 넘는지 여부를 검사한다.(S13)
S13 단계에서, 태그의 계산된 점수가 일정 수치를 넘는 경우 해당 태그를 컨텐츠로 정의하고 제 3 컨텐츠 패턴(Pat_con3)으로 분류한다.(S14)
S13 단계에서, 태그의 계산된 점수가 일정 수치를 넘지 않는 경우, 컨텐츠 추출 서버 관리자가 직접적으로 패턴을 정의하여 제 4 컨텐츠 패턴(Pat_con4)으로 분류한다.(S15)
제 1 내지 제 4 컨텐츠 패턴(Pat_con1, Pat_con2, Pat_con3, Pat_con4)에 관한 설명은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상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컨텐츠 변환기(140)는, 컨텐츠 수집기(130)에 의해 분류된 각 컨텐츠 패턴(Pat_con1, Pat_con2, Pat_con3, Pat_con4)으로부터 추출된 태그를 모바일 컨텐츠(Mobil_con1, Mobil_con2,...)로 변환한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모바일 컨텐츠(Mobil_con1, Mobil_con2,...)는 해당 모바일의 특성에 따라 각기 다른 모바일 컨텐츠(Mobil_con1, Mobil_con2,...) 형식을 요구하게 된다. 예를 들면, 이동통신 단말장치의 사양에 따른 액정의 크기, 메모리의 종류, 호환 특성, 디스플레이 능력 등등 단말장치의 다양한 특성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장치가 수신할 수 있는 모바일 컨텐츠(Mobil_con1, Mobil_con2,...)의 데이터 양식과 크기 및 양은 각기 달라지게 된다. 이러한 각기 다른 모바일 컨텐츠(Mobil_con1, Mobil_con2,...)의 다양성을 만족시키기 위하여, 다종다양한 이동통신 단말장치에 각각 적용될 수 있는 모바일 컨텐츠(Mobil_con1, Mobil_con2,...)의 데이터 양식과 크기 및 양에 따른 포맷을 미리 획득하고, 획득된 정보에 따라 제 1 내지 제 4 컨텐츠 패턴(Pat_con1, Pat_con2, Pat_con3, Pat_con4)으로부터 추출된 태그를 다양한 모바일 컨텐츠(Mobil_con1, Mobil_con2,...)로 변환하게 된다. 변환된 다양한 모바일 컨텐츠(Mobil_con1, Mobil_con2,...)는 데이터 베이스(150)에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컨텐츠 변환기(140)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정해진 크기 및 데이터 형식을 벗어난 규격 요청 발생시, 데이터 베이스(150)에 저장된 업데이트 컨텐츠(New_con)를 불러들여 새로운 크기 및 데이터 형식에 맞도록 모바일 컨텐츠를 재생산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컨텐츠 변환기(140)는 컨텐츠 수집기(130)가 수집한 업데이트 컨텐츠(New_con)를 별도의 변환 없이 원본 그대로 또는 업데이트 컨텐츠(New_con)로부터 추출한 태그들을 태그 원본 그대로 데이터 베이스(150)에 저장할 수 있다.
도 5는 컨텐츠 변환기(140)의 컨텐츠 인식과 분류, 분석 변환 과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컨텐츠 변환 방법은 컨텐츠 변환기(140)가 업데이트 컨텐츠(New_con)를 요구하는 사용자 단말기의 요청 규격이 미리 정해진 크기 및 데이터 형식의 규격 내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사한다.(S21)
S21 단계에서, 컨텐츠 수집기(130)는 사용자 단말기의 요청 규격이 미리 정해진 규격 내에 존재하는 경우, 추가적인 작업이 발생하지 않으며, 사용자 단말기에 정보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서버가 사용자가 요청한 컨텐츠 즉, 데이터 베이스(150)에 저장된 해당 규격의 모바일 컨텐츠(Mobil_con)를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게 된다.(S22)
S21 단계에서, 사용자 단말기의 요청 규격이 미리 정해진 규격 내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컨텐츠 제공서버는 컨텐츠 변환기(140)에 새로운 사용자 요청 규격을 제공하고, 이에 따라, 컨텐츠 변환기(140)는 데이터 베이스(150)에 저장된 업데이트 컨텐츠(New_con) 원본 또는 태그 원본을 토대로 새로운 사용자 요청 규격에 맞는 모바일 컨텐츠(Mobil_con)를 생성한다.(S23)
다음으로, 생성된 모바일 컨텐츠(Mobil_con)를 데이터 베이스(150)에 저장한다.(S24)
업데이트 스케줄러(120)는, RSS 수집기(110)가 컨텐츠 서버로부터 업데이트 컨텐츠(New_con)를 수신하는 시기를 조절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RSS 수집기(110)는 업데이트 스케줄러(120)가 지정하는 시기에 컨텐츠 서버와 통신채널을 형성하고, 형성된 통신채널을 통하여 업데이트 컨텐츠(New_con)를 수집한다. 이때, 업데이트 컨텐츠(New_con)를 컨텐츠 서버로부터 수집하는 시기는 일정 시간 주기로 하거나, 컨텐츠 서버에 업데이트 컨텐츠(New_con)가 생성되는 경우에 수집하거나, 지정된 시간 예를 들면, 이동통신 단말장치가 활성화되는 경우 업데이트 컨텐츠(New_con)를 수집하도록 제어하는 시기로 결정될 수 있다.
데이터 베이스(150)는, 컨텐츠 추출 서버(100)가 컨텐츠 서버로부터 업데이트 컨텐츠(New_con)를 수집하여 분류하고, 분류된 컨텐츠를 모바일에 적용할 수 있도록 변환한 모바일 컨텐츠(Mobil_con1, Mobil_con2...)를 저장한다. 모바일 컨텐츠(Mobil_con1, Mobil_con2...)는 컨텐츠 제목을 나타내는 타이틀과, 사이즈 정의에 따른 이미지들과, 컨텐츠를 설명하는 해당 내용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데이터 베이스(150)는 원본 업데이트 컨텐츠(New_con) 및 업데이트 컨텐츠(New_con)로부터 수집된 원본 태그들을 별도로 저장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수집기(130)가 업데이트 컨텐츠(New_con)로부터 컨텐츠를 추출하기 위해 패턴을 정의하는 제 1 내지 제 4 컨텐츠 패턴(Pat_con1, Pat_con2, Pat_con3, Pat_con4)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 1 컨텐츠 패턴(Pat_con1)은 디스크립션 필드가 컨텐츠의 시작점인 패턴이다. 즉, RSS 피드의 디스크립션 필드 내용이 HTML 원문 안에 존재하는 디스크립션 필드의 내용과 동일한 내용이 있는 경우 컨텐츠로 인식하여 저장한다. 이때, 상위 테이블을 찾아 HTML 태그를 삭제한 후 컨텐츠로 저장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제 2 컨텐츠 패턴(Pat_con2)은 타이틀 필드의 내용이 HTML 원문의 타이틀과 동일한 경우, 다양한 유형의 테이블 구조를 고려하여 타이틀 필드 아래에 본문 컨텐츠를 제 2 컨텐츠 패턴(Pat_con2)으로 결정할 수 있다. 즉, 제 2 컨텐츠 패턴(Pat_con2)은 테이블 상에 분포되는 셀의 구조가 도면에서 설명하고 있는 바와 같이 다양한 형태로 표시될 수 있기 때문에, 타이틀을 중심으로 각 태그들 중 타이틀 아래에 배치된 컨텐츠 영역을 추출하게 된다. 여기서, 도 7은 타이틀과 컨텐츠가 가로로 나열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타이틀과 컨텐츠의 배열이 다양한 형태, 세로 및 세로와 가로의 조합, 또는 대각으로 배열될 수 있는 것은 자명한 것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제 3 컨텐츠 패턴(Pat_con3)은 태그들을 분석하여 각 태그에 점수를 주는 방식으로 컨텐츠 패턴을 정의하며, 합계가 일정한 수치 이상일 때 해당 텍스트를 컨텐츠로 판단함으로써 결정되는 패턴이다. 보다 상세히 하면, 제 3 컨텐츠 패턴(Pat_con3)은 도면에서와 같이, 테이블 구조를 분석했을 때, 타이틀 부분을 제외하고, 각 태그의 가로 길이가 가장 넓은 경우 일정 점수를 부여하고, 각 태그 내에 일정한 폰트로 일정 글자 이상으로 쓰여져 있는 경우 일정 점수를 더 부가하는 등등의 방법을 통하여 점수를 부여하며, 각 태그가 가지는 점수들을 서로 비교하여 특정 태그가 일정점수 이상일 경우에는 제 3 컨텐츠 패턴(Pat_con3)으로 인식하여 저장하게 된다.
도 9를 참조하면, 제 4 컨텐츠 패턴(Pat_con4)은 업데이트 컨텐츠(New_con)가 제 1 내지 제 3 컨텐츠 패턴(Pat_con1, Pat_con2, Pat_con3)에 속하지 않는 경우, 컨텐츠 추출 서버(100)의 관리자가 직접 패턴을 지정하고, 태그를 추출한 후, 추출된 태그를 데이터 베이스(150)에 저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4 컨텐츠 패턴(Pat_con4)은 업데이트 컨텐츠(New_con)로부터 관리자가 드래그한 부분의 태그를 분석하고, 이후 해당 컨텐츠 서버용 패턴을 생성하며, 해당 컨텐츠 서버의 컨텐츠 수집시 기 생성된 해당 컨텐츠 서버용 패턴을 적용하는 방식을 사용하는 것이다. 요약하자면, 제 4 컨텐츠 패턴(Pat_con4)은 업데이트 컨텐츠(New_con)에 포함된 컨텐츠를 새로운 특정패턴으로 정의하고, 정의된 패턴에 따라, 해당 컨텐츠 서버로부터 컨텐츠를 추출하기 위하여 정의된다.
도 10은 RSS 기반의 컨텐츠 추출 서버를 이용하여 업데이트 컨텐츠를 데이터 베이스(150)에 저장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RSS 기반의 컨텐츠 추출 서버의 운용방법은 먼저, RSS 수집기(110)가 컨텐츠 서버로부터 RSS 피드를 수집한다.(S31)
다음으로, 컨텐츠 수집기(130)는 RSS 수집기(110)가 수집한 RSS 피드를 분석한다.(S32)
컨텐츠 수집기(130)는 RSS 피드를 4개의 컨텐츠 패턴(Pat_con1, Pat_con2, Pat_con3, Pat_con4)으로 기준으로 분류하고, 분류된 각 컨텐츠 패턴(Pat_con1, Pat_con2, Pat_con3, Pat_con4)으로부터 태그를 부분적으로 추출한다.
다음으로, 컨텐츠 변환기(140)는 컨텐츠 수집기(130)에 의해 추출된 태그를 모바일 사이즈에 적용될 수 있도록 사용자 컨텐츠 예를 들면, 모바일 컨텐츠(Mobil_con1, Mobil_con2,...)로 변환한다.(S33)
다음으로, 업데이트 스케줄러(120)는 RSS 수집기(110)가 컨텐츠 서버로부터 RSS 피드를 수집하는 시기를 결정하게 된다.(S34)
마지막으로, 데이터 베이스(150)는 컨텐츠 변환기(140)에 의해 변환된 사용자 컨텐츠 즉, 모바일 컨텐츠(Mobil_con1, Mobil_con2,...)를 저장한다.(S35)
한편, 컨텐츠 추출 서버(100)는 업데이트 컨텐츠(New_con)로부터 생성되어 컨텐츠 변환기(140)에 의해 변환된 컨텐츠를 모바일에 적용할 수 있도록 모바일 컨텐츠(Mobil_con1, Mobil_con2...)로 변환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모바일 뿐만 아니라, 다양한 통신 단말기에 적용할 수 있는 사용자 컨텐츠 형식으로 변환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RSS 기반의 컨텐츠 추출 서버(100)를 운용하기 위한 관리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RSS 기반의 컨텐츠 추출 서버 관리 장치(200)는 관리자를 위한 관리자 모듈(210), 컨텐츠 서버 관리를 위한 CP(Contents Provider) 관리 모듈(220), RSS 채널 및 컨텐츠 관리 모듈(230), 게시판/히스토리 모듈(2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관리자 모듈(210)은 관리자 추가, 관리자 승인, 관리자 입력 테이블, 관리자 권한 항목을 가진다.
관리자 추가 항목에 있어서, 최초 관리자를 제외하고 모든 관리자는 가입 절차를 통하여 관리자로서 추가된다. 즉, CP도 권한의 차이가 있는 관리자의 일부이다.
관리자 승인에 있어서, 모든 관리자는 가입절차 이후, 최초 관리자의 승인 절차를 거친 이후, 관리 기능을 사용하게 된다. 그리고 최초 관리자는 시스템 인증자(Systerm Administrator)로 하되, 최고 등급을 가진다. 관리자의 가입절차 과정에서 승인이 필요한 사항은 승인 필요로, 불필요한 사항은 자동 승인으로 할 수 있는 이는 최상위 관리자가 지정할 수 있도록 하며, 디폴트(Default)는 자동 승인 없이 승인의 절차를 거치도록 한다.
관리자 입력 테이블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ID, 패스워드, Name, 소속 및 그룹, 전화번호, 휴대폰번호, 이메일, 등급, 등록일시, 탈퇴일시, 승인일시 등의 항목을 입력하는 테이블이며, 필수 입력항목으로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ID, 패스워드, Name, 소속 및 그룹, 전화번호 및 이메일번호로 지정할 수 있다. 소속 및 그룹은 관리자가 미리 설정한 그룹을 선택하도록 한다.
관리자 권한 항목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정관리, 그룹관리, CP관리, RSS 채널관리, 컨텐츠 관리, 카테고리 관리, 패턴, 게시판, 히스토리, 권한관리 등의 항목이 포함된다. 권한 관리 항목에서, 개별권한은 등급을 추가하여 추가된 등급에 권한을 부여하며, 그룹과 개인에게는 등급을 부여하는 방식으로 권한을 부여하되 개별권한을 부여하지 않는다. 관리자는 권한에 따라 등급을 생성하고 각 개별권한을 조합하여 권한 설정 및 권한 변경을 실행할 수 있다.
CP 관리 모듈(220)은 CP 추가, CP 승인, CP 입력 테이블, CP권한, CP 리스트, 서치(Search) 항목을 가진다.
CP 추가는 CP가 직접 가입할 수 있도록 CP 가입 인터뷰를 별도로 제공한다. CP는 관리자가 추가할 수 있으며, CP가 가입신청을 하고 승인을 통하여 추가될 수 있다. 단, 관리자가 추가할 경우는 자동 승인 처리된다.
CP 승인 항목에 있어서, CP는 승인의 권한을 가진 관리자가 승인을 함으로써 사용가능하게 되며, 관리자의 경우는 자동 승인 처리된다.
CP 입력 테이블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CP 어카운트(ID), 패스워드, 회사 이름, 대표전화, 국적, 회사주소, 컨텐츠 이름, 웹 사이트, 접속 이름, 담당자 연락처, 담당자 휴대폰 번호, 이메일, 디스크립션, 등록일, 만료일, 승인일, 현재상태의 항목들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필수 항목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CP 어카운트, 패스워드, 회사 이름, 대표전화, 국적, 회사주소, 컨텐츠 이름, 웹 사이트, 접속 이름, 담당자 연락처 및 이메일이며, 관리자가 등록하는 경우 CP 어카운트, 패스워드, 회사 이름 및 대표전화를 그 필수 항목으로 한다. 한편, 등록일은 자동으로 입력되며, 계약기간은 CP와 관리자가 설정할 수 있고, CP의 서비스기간 즉 승인일부터 만료일까지의 기간이 아닌 상태에서는 해당 CP의 RSS 피드를 수집하지 않는다.
CP권한은 관리자가 설정한 권한에 준하며 기본적으로 CP 정보 변경 권한을 가진다. 즉, CP가 CP정보를 변경하고자 할 때는 CP 입력 테이블 중 패스워드, 접속 이름, 담당자 연락처, 담당자 휴대폰 번호, 이메일 및 디스크립션 수정만 가능하도록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CP 리스트에 있어서, 정렬방법 중 디폴트 정렬방식은 알파벳순 또는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나다순으로 하며, 영문이 우선하고, 등록 순 정렬도 가능하다. 리스트의 항목으로 CP 입력 테이블 중 CP 어카운트, 회사 이름, 컨텐츠 이름 및 현재상태를 필수적으로 표시하는 항목으로 지정하는 것으로 바람직하다. 리스트 항목을 상세하게 보여주는 상세 페이지 기능은 CP 입력 테이블의 모든 항목을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현재 등록된 채널 리스트를 보여준다.
서치(Search)는 "and", "or" 검색이 가능하다.
RSS 채널/컨텐츠 관리 모듈(230)은 RSS 채널 관리, RSS 채널 입력 테이블, RSS 채널 리스트, RSS 채널 상태, 컨텐츠 입력 테이블, 컨텐츠 리스트, 서치, 자동 백업 항목을 가진다.
RSS 채널 관리 항목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등록, 등록시 미리보기, 패턴 적용 및 변경, 주기설정 및 변경, 수정, 삭제, 승인, 일시중단, 업데이트 주기설정, 경고 기능을 가진다. 등록은 채널을 등록하고, 삭제는 채널 삭제시 휴지통으로 이동하도록 제어되며, 휴지통에 버려진 채널은 관리자가 다시 복원시킬 수 있다. 승인은 관리자 또는 CP가 등록 및 수정한 채널을 승인 요청하는 것이며, 승인된 채널은 바로 수집설정한 주기에 따라 수집된다. 승인은 승인 필요와 불필요로 구분되어 승인 절차가 생략될 수 있다. 일시 중단은 관리자 및 CP가 채널 및 컨텐츠의 공급을 일시 중단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이며 일시중단한 채널 및 컨텐츠는 수집 및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되지 않는다. 업데이트 주기는 초단위로 설정가능하고, 최소 업데이트 주기를 관리자가 설정할 수 있으며, 카테고리 설정이 동시에 이루어진다. 경고 기능은 장애발생시 또는 유효하지 않은 컨텐츠 수집시 경고할 수 있는 기능이다.
RSS 채널 입력 테이블은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테고리, 채널 이름, URL, CP 이름, 업데이트 주기, 현재 상태, 등록일시, 승인일시, 중단일시, 최종 업데이트 완료 일시 항목을 가진다.
RSS 채널 리스트에 있어서, 채널 전체 리스트는 정렬 방법으로 알파벳순 정렬, CP별 정렬, 채널 등록 순 정렬 등의 방법을 가지고, 카테고리 선택 후 리스트의 정렬방법도 앞서 기재한 바와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리스트 항목은 RSS 채널 입력 테이블 중 채널 이름, CP 이름, 현재 상태를 필수적으로 표시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외 항목은 선택적으로 표시 가능하다. 리스트 항목에 대한 상세 페이지 항목은 RSS 채널 입력 테이블의 모든 항목이 표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RSS 채널 리스트는 새로 고침 없이 추가등록되는 컨텐츠가 업데이트 되는 상태가 보여질 수 있다.
RSS 채널 상태는 업데이트 중, 서비스 중, 일시 중단 중, 테스트 중의 네 가지 상태를 가질 수 있다. 업데이트는 자동으로 이루지며, 현재 수집, 웹 스크랩핑, 데이터 베이스 저장 단계를 가질 수 있다. 서비스 상태는 자동 또는 관리자 설정 등에 의해 채널 서비스가 진행중인 상태이다. 일시 중단 및 테스트는 관리자가 별도로 설정한다.
컨텐츠 입력 테이블은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테고리, 채널 이름, URL, CP 이름, 현재상태, 최종 업데이트 완료 일시 및 유효 컨텐츠 항목을 가진다.
컨텐츠 리스트에 있어서, 전체 컨텐츠 리스트를 볼 수 있도록 별도의 페이지 할당이 가능하다. 컨텐츠 리스트의 정렬 방법으로, 먼저 디폴트는 최근 업데이트 순으로 하며, CP별 정렬이 추가될 수 있다. CP별 정렬은 알파벳 순으로 보여지며, 영문 및 한글이 혼합될 수 있음으로 영문 우선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CP별 정렬 내에서 기본적으로 채널별 정렬이 이루어지며, 채널은 알파벳 순으로 정렬된다. 컨텐츠 리스트에는 새로 고침 없이 추가등록되는 컨텐츠의 업데이트 된 상태가 보여질 수 있다.
서치는 채널 검색과 컨텐츠 검색이 있으며, 각 검색은 기간별, 각 항목별 And 및 or 검색이 가능하다.
자동 백업 항목은 지정된 시점 또는 지정된 주기 예를 들면, 3개월 주기로 모든 채널 및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자동으로 백업하며, "이전 데이터 보기"와 같은 메뉴와 웹을 통하여 운영자가 접근하고 검색할 수 있다.
게시판/히스토리 모듈(240)은 게시판과 히스토리 항목을 가진다.
게시판은, 관리자 또는 운영자가 데이터 베이스에 변경을 가하는 행위를 할 경우 글을 남길 수 있는 운영일지의 성격으로서 일종의 전자 메모이다. 이러한 게시판 입력 테이블은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ID, 이름, 제목, 디스크립션, 등록일시, 분류 및 Hit 항목을 가진다. 관리자 및 운영자는 디스크립션 부분만 입력가능하도록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게시판 리스트는 "[분류]제목(Hit) 등록일시 설명"과 같은 덧글 형식으로 작성되며, 통합 게시판은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 게시판의 형식과 유사하고, 필드는 NO, Title, 작성자 이름, ID, 등록일이 표시된다. 통합게시판의 상세내용에는 게시판 입력 테이블의 모든 항목이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통합게시판의 정렬방법은 최근 등록 순으로 하고, 검색은 게시판 입력 테이블의 모든 검색 값에 and 및 or 검색이 가능하다. 통합게시판은 보기, 글쓰기, 삭제, 수정이 가능하다.
히스토리는, 관리자 또는 운영자 및 CP가 컨텐츠 추출 서버를 이용하면서 발생하는 모든 로그(log)를 게시판의 형식으로 보여주며, 이에 따라 문제 발생시 문제를 최다한 신속하게 해결할 수 있다. 이러한 히스토리 입력 테이블은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ID, 행위, 쿼리값 및 로그일시 항목이 포함된다. 이 히스토리 발생상황으로는 데이터 베이스에 활동이 발생하는 모든 경우이며, 히스토리 리스트의 정렬방법은 최근 로그발생순으로 한다. 히스토리 리스트 항목은 히스토리 입력 테이블에서 쿼리 값을 제외한 나머지 3가지 항목을 표시하도록 하고, 상세 페이지에서는 모든 항목을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검색은 쿼리 값을 제외한 and 및 or 검색이 가능하다.
도 2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RSS 기반의 컨텐츠 업데이트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RSS 기반의 컨텐츠 업데이트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서버(99), 컨텐츠 추출 서버(100), 데이터 베이스(150), 업데이트 컨텐츠 제공 서버(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RSS 기반의 컨텐츠 업데이트 시스템에 있어서, 컨텐츠 추출 서버(100) 중 컨텐츠 변환기, 업데이트 컨텐츠 제공 서버(400)를 제외한 구성은 앞서 기재한 구성들과 동일한 구성임으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컨텐츠 변환기는, 컨텐츠 서버로부터 수집되어 분석 및 분류된 컨텐츠를 무선 망 및 유비쿼터스 네트웍에 접속되는 무선 단말장치 및 네트웍 단말장치에 전송되기 위한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한다. 예를 들어, 무선 노트북의 경우, 인터넷망으로부터 수집한 업데이트 컨텐츠(New_con)가 별다른 변환 없이 전송이 가능하고, 무선 PDA인 경우에는 컨텐츠 변환기는 PDA 규격에 맞는 사이즈로 변환하여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한다. 유비쿼터스 네트웍에 접속되는 단말장치 예를 들면, 냉장고, 세탁기, 자동차, 스테레오, 복사기 등과 같은 단말장치에서, 컨텐츠 변환기는 각 단말장치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정보를 각 단말장치에 적용될 수 있는 데이터로 변환하여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게 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냉장고, 세탁기 등과 같은 유비쿼터스 네트웍에 접속되는 단말장치는 컨텐츠 추출 서버(100)로부터 업데이트되어야 할 소프트웨어 등을 자동으로 수신하여 업그레이드 및 업데이트가 이루어지게 된다.
업데이트 컨텐츠 제공 서버(400)는, 데이터 베이스(150)에 접속하여 무선망 및 유비쿼터스 네트웍망에 접속되어 업데이트 자료 및 업데이트 소프트 웨어 또는 패치 등을 필요로 하는 무선 단말장치 및 유비쿼터스 네트웍 단말장치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이때, 정보는 무선 단말장치 및 유비쿼터스 네트웍 단말장치에 적용되게 하기 위하여 컨텐츠 추출 서버(100)가 각 컨텐츠 서버(99)로부터 수집한 업데이트 컨텐츠(New_con)를 무선 단말장치 및 유비쿼터스 네트웍 단말장치에 맞도록 새롭게 가공한 정보이다. 이를 위해, 업데이트 컨텐츠 제공 서버(400)는 무선 단말장치 및 유비쿼터스 네트웍 단말장치와 통신채널을 형성해야 하며, 각 무선 단말장치 및 유비쿼터스 네트웍 단말장치에 적용될 수 있는 업데이트 컨텐츠의 크기 및 데이터 형식을 획득하여 컨텐츠 추출 서버(100)에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업데이트 컨텐츠의 크기 및 데이터 형식을 획득한 컨텐츠 추출 서버(100)는 컨텐츠 변환기를 이용하여 업데이트 컨텐츠의 크기 및 데이터 형식을 각각의 무선 단말장치 및 유비쿼터스 네트웍 단말장치에 맞도록 변환하고, 데이터 베이스(150)에 저장하게 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RSS 기반 이동통신 단말장치의 대기화면 제공 시스템은, 컨텐츠 서버로부터 RSS 피드를 수집하고, 수집된 RSS 피드를 각 이동통신 단말장치가 가지는 데이터 형식 및 크기에 맞게 가공하여 각 이동통신 단말장치의 대기화면에 제공함으로써, 이동통신 사용자가 원하는 시기에 손쉽게 업데이트 컨텐츠를 확인할 수 있고, 따라서, 더 많은 정보를 더욱 빠르고 간편하게 이동통신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고객 만족도를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RSS 기반의 컨텐츠 추출 서버 및 방법은, 컨텐츠 추출 서버가 RSS 피드로 작성되는 업데이트 컨텐츠를 수집하고, 업데이트 컨텐츠로부터 내용을 추출하고, 수신되는 단말장치의 특성에 따라 추출된 컨텐츠의 크기 및 데이터 형식을 변환하여 제공함으로써,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 상의 컨텐츠 서버의 업데이트 정보를 효율적으로 이동통신 등의 이종의 통신망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RSS 기반의 컨텐츠 추출 서버 및 방법은, 수집된 컨텐츠를 디스크립션 필드 내에 내용이 포함된 제 1 컨텐츠 패턴, 타이틀 위치를 기준으로 내용 추출이 가능한 제 2 컨텐츠 패턴, 다양한 태그에 일정한 점수를 부여하고, 일정 점수 이상을 획득한 태그로부터 내용 추출이 가능한 제 3 컨텐츠 패턴 및 수집된 컨텐츠를 직접적으로 드래그하여 태그를 추출하는 제 4 컨텐츠 패턴으로 구분함으로써, 업데이트 컨텐츠를 분류 및 분석하는데 있어서, 보다 보편화 되고, 일반화된 형식에 따라 정리함으로써, 업데이트 컨텐츠의 수집 및 분석 단계를 간소화하고 전문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RSS 기반의 컨텐츠 추출 서버 관리 장치는, 컨텐츠 추출 서버를 관리하는 관리 장치를 구비하여, 컨텐츠 추출 서버에 관리자 및 업데이트되는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서버 등을 등록하고, 등록된 이후, 수정 및 삭제 등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RSS 기반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대기화면 제공 시스템은, RSS 피드로 작성되는 업데이트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서버, 컨텐츠 서버로부터 수집되는 업데이트 컨텐츠를 분석, 분류하고 필요한 태그를 추출하여 수신될 단말장치에 적용되는 크기 및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하는 컨텐츠 추출 서버, 변환된 컨텐츠를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변환된 컨텐츠를 다종다양한 단말장치에 전송하는 업데이트 컨텐츠 서버를 구비하여 다종다양한 단말장치에 적응적으로 업데이트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RSS 기반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대기화면 제공 시스템은, RSS 피드로 작성되는 업데이트 컨텐츠를 단말장치가 이동통신 단말장치, 무선 단말장치, 유비쿼터스 네트웍 단말장치 등 통신채널을 형성할 수 있는 다양한 단말장치들에 적용될 수 있는 크기 및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함으로써, 인터넷 망에 접속되는 컴퓨터 단말기 뿐만 아니라, 이동이 가능한 이동 단말장치에 적절한 업데이트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아울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 등이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등은 이하의 특허청구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Claims (33)

  1. RSS 피드로 작성되는 업데이트 컨텐츠를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서버;
    상기 업데이트 컨텐츠를 수집하고 분석 및 분류하고 크기 및 데이터 형식 중 적어도 하나를 변환하여 모바일 컨텐츠를 생성하는 컨텐츠 추출 서버;
    상기 변환 컨텐츠를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 및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모바일 컨텐츠를 이동통신 단말장치에 제공하는 대기화면 제공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컨텐츠 추출 서버는 RSS 피드로 작성되는 업데이트 컨텐츠를 수집하는 RSS 수집기, 상기 업데이트 컨텐츠 중에 태그를 부분적으로 추출하는 컨텐츠 수집기, 및 상기 추출된 태그가 전송되는 단말장치에 적용할 수 있도록 크기 및 데이터 형식 중 적어도 하나를 변환하여 사용자 컨텐츠를 생성하는 컨텐츠 변환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에스에스 기반 이동통신 단말장치의 대기화면 제공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이동통신 단말장치에 따른 가입자 정보를 제공하는 가입자 정보 서버 및 상기 모바일 컨텐츠를 상기 각 이동통신 단말장치에 제공하는 메시지 서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에스에스 기반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대기화면 제공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장치는,
    상기 컨텐츠 추출 서버 관리를 위한 컨텐츠 추출 서버 관리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컨텐츠 추출 서버 관리 장치는 관리자를 위한 관리자 모듈, 상기 컨텐츠 서버 관리를 위한 CP 관리 모듈, RSS 채널 및 컨텐츠 관리 모듈, 게시판/히스토리 모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에스에스 기반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대기화면 제공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화면 제공 서버는
    무선 인터넷 푸쉬 및 풀 메시지 관리 솔루션을 제공하게 되며 그 구성은 대기화면 제어 시스템, 컨텐츠 관리 서버, PDM 서버, CRM 서버, 광고 서버, 풀 데이터 컨트롤러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에스에스 기반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대기화면 제공 시스템.
  5. RSS 피드로 작성되는 업데이트 컨텐츠를 수집하는 RSS 수집기;
    상기 업데이트 컨텐츠 중에 태그를 부분적으로 추출하는 컨텐츠 수집기; 및
    상기 추출된 태그가 전송되는 단말장치에 적용할 수 있도록 크기 및 데이터 형식 중 적어도 하나를 변환하여 사용자 컨텐츠를 생성하는 컨텐츠 변환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에스에스 기반의 컨텐츠 추출 서버.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수집기는,
    상기 업데이트 컨텐츠를 상기 RSS 피드 내에 디스크립션 필드가 포함되어 상기 디스크립션 필드를 상기 추출되는 태그로 결정하는 제 1 컨텐츠 패턴;
    상기 업데이트 컨텐츠 내에 타이틀의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태그를 추출하는 제 2 컨텐츠 패턴;
    상기 업데이트 컨텐츠 내에 각 태그들을 미리 정한 기준에 따라 점수를 부여하고, 상기 점수가 일정 수치 이상을 획득하는 태그를 추출하는 제 3 컨텐츠 패턴; 및
    상기 업데이트 컨텐츠 내에 일정 부분을 드래그하여 직접적으로 태그를 추출하는 제 4 컨텐츠 패턴으로 각각 분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에스에스 기반의 컨텐츠 추출 서버.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수집기는,
    상기 제 3 컨텐츠와 상기 제 4 컨텐츠 패턴을 분류하기 위하여 태그의 점수를 각각 부여하는 태그 스코어링 모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에스에스 기반의 컨텐츠 추출 서버.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태그는,
    상기 업데이트 컨텐츠에 포함된 제목과 내용 중 적어도 하나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에스에스 기반의 컨텐츠 추출 서버.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RSS 수집기가 상기 업데이트 컨텐츠를 수집하는 시점을 제어하는 업데이트 스케줄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에스에스 기반의 컨텐츠 추출 서버.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업데이트 스케줄러는,
    컨텐츠 서버에 상기 업데이트 컨텐츠가 생성되는 시점, 상기 컨텐츠 추출 서버가 정하는 일정 주기, 상기 단말장치가 활성화되는 시점 중 적어도 하나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에스에스 기반의 컨텐츠 추출 서버.
  11.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장치는 이동통신 단말장치이며,
    상기 사용자 컨텐츠는 모바일 사이즈에 적용되도록 생성되는 모바일 컨텐츠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에스에스 기반의 컨텐츠 추출 서버.
  12.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컨텐츠와 상기 RSS 수집기에 의해 수집된 RSS 피드 및 RSS 피드로부터 추출된 태그 원문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에스에스 기반의 컨텐츠 추출 서버.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변환기는,
    새로운 크기 및 데이터 형식의 사용자 컨텐츠가 필요한 경우,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RSS 피드 원문 및 상기 태그 원문 중 적어도 하나를 읽어들여 새로운 크기 및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하여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다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에스에스 기반의 컨텐츠 추출 서버.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추출 서버를 관리하기 위한 관리 장치를 더 구비하고,
    상기 관리 장치는 상기 관리 장치에 접근하기 위한 관리자 인증 모듈, 컨텐츠 서버/RSS 관리 및 검색을 위한 컨텐츠 서버/RSS 추출 모듈, 상기 컨텐츠 관리를 위한 컨텐츠 추출 모듈, 다수의 관리자를 제어하기 위한 관리자 추출 모듈, 및 상기 데이터 베이스와 직접적으로 접속되는 접속 모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에스에스 기반의 컨텐츠 추출 서버.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모듈과 상기 데이터 베이스 사이에 배치되는 웹 어플리케이션 서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에스에스 기반의 컨텐츠 추출 서버.
  16. 제 5 항에 있어서, RSS 수집기는,
    현재까지 발표된 모든 버전의 RSS, ATOM 포맷을 지원하는 기능, 각각의 RSS채널에 대하여 적용 포맷을 설정 및 변경하는 기능, 상기 RSS 파일의 모든 요소를 저장하는 기능, "Enclosure"가 포함되는 RSS 파일인 경우 링크된 바이너리를 저장하는 기능, 요소의 구성에 따라 실질적으로 사용해야 할 RSS 패턴을 정의하는 기능, 관리자의 지정에 의해 초단위로 RSS 피드를 수집할 수 있으되, 부하를 최소화하는 기능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에스에스 기반의 컨텐츠 추출 서버.
  17. 제 5 항에 있어서, 컨텐츠 수집기는,
    상기 RSS 피드에 있는 원문 Html내의 유효 컨텐츠를 추출하여 저장하는 기능, 컨텐츠 수집이 자동수집이 되도록 패턴 적용을 세분화하는 기능, 텍스트 수정이 가능한 기본 컨텐츠 서버 패턴, 채널별 패턴, 컨텐츠별 패턴으로 세분화 기능, 광고성 리소스들을 걸러내는 기능, 패턴 적용 후 미리보기 기능, 각종 API를 제공기능, Html 원문의 파일 포맷을 지정하여 추출할 수 있는 필터링 기능, 상기 필터링된 파일들을 저장하는 기능, 유효 컨텐츠 저장시에 원문의 순서와 동일하게 컨텐츠 나열하는 기능, 채널 업데이트 실패 시 복구 기능, 통계 기능 및 기타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에스에스 기반의 컨텐츠 추출 서버.
  18. RSS 피드로 작성되는 업데이트 컨텐츠를 수집하는 제 1 단계;
    상기 업데이트 컨텐츠 중에 태그를 부분적으로 추출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추출된 태그가 전송되는 단말장치에 적용할 수 있도록 크기 및 데이터 형식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자 컨텐츠로 변환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에스에스 기반의 컨텐츠 추출 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는,
    상기 업데이트 컨텐츠를 상기 RSS 피드 내에 디스크립션 필드가 포함되어 상기 디스크립션 필드를 상기 추출되는 태그로 결정하는 제 1 컨텐츠 패턴;
    상기 업데이트 컨텐츠 내에 타이틀의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태그를 추출하는 제 2 컨텐츠 패턴;
    상기 업데이트 컨텐츠 내에 각 태그들을 미리 정한 기준에 따라 점수를 부여하고, 상기 점수가 일정 수치 이상을 획득하는 태그를 추출하는 제 3 컨텐츠 패턴; 및
    상기 업데이트 컨텐츠 내에 일정 부분을 드래그하여 직접적으로 태그를 추출하는 제 4 컨텐츠 패턴에 따라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에스에스 기반의 컨텐츠 추출 방법.
  20. 제 18 항에 있어서,
    RSS 피드를 수집하는 시기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에스에스 기반의 컨텐츠 추출 방법.
  21.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컨텐츠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에스에스 기반의 컨텐츠 추출 방법.
  22. 컨텐츠 서버로부터 공급되는 RSS 피드로 작성된 업데이트 컨텐츠를 수집하고 분석 및 분류하여, 크기 및 데이터 형식 중 적어도 하나를 변환하여 사용자 컨텐츠를 생성하는 컨텐츠 추출 서버; 및
    상기 컨텐츠 추출 서버를 관리하는 관리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관리 장치는 관리자를 위한 관리자 모듈, 컨텐츠 서버 관리를 위한 CP 관리 모듈, RSS 채널 및 컨텐츠 관리 모듈, 게시판/히스토리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에스에스 기반의 컨텐츠 추출 서버 관리 장치.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자 모듈은,
    관리자 추가, 관리자 승인, 관리자 입력 테이블, 관리자 권한 항목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에스에스 기반의 컨텐츠 추출 서버 관리 장치.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자 입력 테이블은,
    ID, 패스워드, Name, 소속 및 그룹, 전화번호, 휴대폰번호, 이메일, 등급, 등록일시, 탈퇴일시, 승인일시 항목을 포함하며, ID, 패스워드, Name, 소속 및 그룹, 전화번호 및 이메일번호는 필수 항목으로 지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에스에스 기반의 컨텐츠 추출 서버 관리 장치.
  25.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자 권한 항목은,
    계정관리, 그룹관리, CP관리, RSS 채널관리, 컨텐츠 관리, 카테고리 관리, 패턴, 게시판, 히스토리, 권한관리 항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에스에스 기반의 컨텐츠 추출 서버 관리 장치.
  26.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CP 관리 모듈은,
    CP 추가, CP 승인, CP 입력 테이블, CP권한, CP 리스트, 서치(Search) 항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에스에스 기반의 컨텐츠 추출 서버 관리 장치.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CP 입력 테이블은,
    CP 어카운트, 패스워드, 회사 이름, 대표전화, 국적, 회사주소, 컨텐츠 이름, 웹 사이트, 접속 이름, 담당자 연락처, 담당자 휴대폰 번호, 이메일, 디스크립션, 등록일, 만료일, 승인일, 현재상태의 항목들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CP 어카운트, 패스워드, 회사 이름, 대표전화, 국적, 회사주소, 컨텐츠 이름, 웹 사이트, 접속 이름, 담당자 연락처 및 이메일은 필수 항목이고, 관리자 인 경우, CP 어카운트, 패스워드, 회사 이름 및 대표전화가 상기 필수 항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에스에스 기반의 컨텐츠 추출 서버 관리 장치.
  28. 제 22 항에 있어서, RSS 채널/컨텐츠 관리 모듈은,
    RSS 채널 관리, RSS 채널 입력 테이블, RSS 채널 리스트, RSS 채널 상태, 컨텐츠 입력 테이블, 컨텐츠 리스트, 서치, 자동 백업 항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에스에스 기반의 컨텐츠 추출 서버 관리 장치.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RSS 채널 관리 항목은,
    등록, 등록시 미리보기, 패턴적용 및 변경, 주기설정 및 변경, 수정, 삭제, 관리자 또는 CP가 등록 및 수정한 채널을 승인 요청하는 승인, 상기 관리자 및 CP가 채널 및 컨텐츠의 공급을 일시 중단할 수 있도록 하는 일시 중단, 업데이트를 초단위로 설정이 가능한 업데이트 주기설정, 장애 발생시 또는 유효하지 않은 컨텐츠 수집시 경고할 수 있는 경고 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에스에스 기반의 컨텐츠 추출 서버 관리 장치.
  30. 제 28 항에 있어서, RSS 채널 입력 테이블은,
    카테고리, 채널 이름, URL, CP 이름, 업데이트 주기, 현재 상태, 등록일시, 승인일시, 중단일시, 최종 업데이트 완료 일시 항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에스에스 기반의 컨텐츠 추출 서버 관리 장치.
  31. 제 28 항에 있어서, RSS 채널 상태는,
    자동으로 이루지며, 현재 수집, 웹 스크랩핑, 데이터 베이스 저장 상태를 가지는 업데이트 상태, 자동 또는 관리자 설정 등에 의해 채널 서비스가 진행중인 서비스 상태, 관리자가 별도로 설정하는 일시 중단 및 테스트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에스에스 기반의 컨텐츠 추출 서버 관리 장치.
  32.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입력 테이블은,
    카테고리, 채널 이름, URL, CP 이름, 현재상태, 최종 업데이트 완료 일시 및 유효 컨텐츠 항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에스에스 기반의 컨텐츠 추출 서버 관리 장치.
  33. 제 22 항에 있어서, 게시판/히스토리 모듈은,
    관리자 또는 운영자가 데이터 베이스에 변경을 가하는 행위를 할 경우 글을 남길 수 있는 운영일지이고, 입력 테이블에 ID, 이름, 제목, 디스크립션, 등록일시, 분류 및 Hit 항목이 포함되는 게시판; 및
    상기 관리자 또는 운영자 및 CP가 컨텐츠 추출 서버를 이용하면서 발생하는 모든 로그를 게시판의 형식으로 보여주며, 입력 테이블이 ID, 행위, 쿼리값 및 로그일시 항목을 포함하는 히스토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에스에스 기반의 컨텐츠 추출 서버 관리 장치.
KR1020050099226A 2005-10-20 2005-10-20 알에스에스 기반의 컨텐츠 추출 서버와 방법 및 그 서버관리 장치, 이를 이용하는 이동통신 단말장치의 대기화면 제공 시스템 KR1005730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9226A KR100573037B1 (ko) 2005-10-20 2005-10-20 알에스에스 기반의 컨텐츠 추출 서버와 방법 및 그 서버관리 장치, 이를 이용하는 이동통신 단말장치의 대기화면 제공 시스템
CNB2006800022733A CN100517293C (zh) 2005-10-20 2006-10-19 基于rss的内容提取方法、内容提取服务器和用于管理其的装置以及利用其来提供移动通信终端待机画面的系统
JP2008536495A JP2009512934A (ja) 2005-10-20 2006-10-19 Rss基盤のコンテンツ抽出サーバ、コンテンツ抽出方法及びそのサーバの管理装置、並びにこれを利用する移動通信端末装置の待機画面提供システム
US12/090,748 US8131276B2 (en) 2005-10-20 2006-10-19 Method for extracting content, content extraction server based on RSS and apparatus for managing the same and system for providing standby screen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the same
PCT/KR2006/004248 WO2007046638A1 (en) 2005-10-20 2006-10-19 Method for extracting content, content extraction server based on rss and apparatus for managing the same and system for providing standby screen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the same
EP06122567A EP1777632A3 (en) 2005-10-20 2006-10-19 Method and server for extracting content based on RS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9226A KR100573037B1 (ko) 2005-10-20 2005-10-20 알에스에스 기반의 컨텐츠 추출 서버와 방법 및 그 서버관리 장치, 이를 이용하는 이동통신 단말장치의 대기화면 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73037B1 true KR100573037B1 (ko) 2006-05-03

Family

ID=371808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9226A KR100573037B1 (ko) 2005-10-20 2005-10-20 알에스에스 기반의 컨텐츠 추출 서버와 방법 및 그 서버관리 장치, 이를 이용하는 이동통신 단말장치의 대기화면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131276B2 (ko)
EP (1) EP1777632A3 (ko)
JP (1) JP2009512934A (ko)
KR (1) KR100573037B1 (ko)
CN (1) CN100517293C (ko)
WO (1) WO2007046638A1 (ko)

Cited B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5791B1 (ko) 2006-07-13 2007-10-12 삼성전자주식회사 콘텐트 관리 방법 및 장치
WO2008016560A1 (en) * 2006-07-31 2008-02-07 Microsoft Corporation Two-way and multi-master synchronization over web syndications
KR100823270B1 (ko) 2006-06-15 2008-04-21 삼성전자주식회사 콘텐트를 저장하는 방법 및 장치
WO2008048926A1 (en) * 2006-10-17 2008-04-24 Yahoo! Inc. Supplemental display matching using syndication information
KR100827023B1 (ko) * 2006-06-16 2008-05-06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Rss 피드의 음성 서비스 시스템과 그 서비스 방법 및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
EP1933244A1 (fr) * 2006-12-13 2008-06-18 Bouygues Telecom Baladodiffusion sur téléphone mobile
WO2009014628A1 (en) * 2007-07-25 2009-01-29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Viewing of feeds
WO2010050638A1 (en) * 2008-10-30 2010-05-06 Korea Advanced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System and method of electronic-memo based on machine-processable knowledge structure
KR100971683B1 (ko) * 2008-09-22 2010-07-22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부품의 연관관계를 이용한 설계과정의 구독관계 표현 방법
KR20110054791A (ko) * 2009-11-18 2011-05-25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 화면 업데이트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휴대 단말기
KR101047958B1 (ko) 2010-11-01 2011-07-12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업데이트하는 방법 및 장치
WO2013048091A3 (en) * 2011-09-27 2013-05-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clipping and sharing content at a portable terminal
KR101415023B1 (ko) * 2007-04-26 2014-07-04 삼성전자주식회사 네트워크를 통한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WO2014112674A1 (ko) * 2013-01-18 2014-07-24 주식회사 노키온 어플리케이션 및 정보 간의 데이터 연동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인비서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460788B1 (ko) 2013-03-28 2014-11-14 주식회사 오비고 웹 어플리케이션의 화면 구성 방법, 서버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1538701B1 (ko) * 2013-05-28 2015-07-23 주식회사 쓰리에이치에스 실시간 데이터 업데이트 시스템
KR101575113B1 (ko) * 2008-10-14 2015-12-09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웹 페이지 내의 컨텐츠를 추출하기 위한 방법, 장치 및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57622B1 (ko) * 2019-04-30 2019-12-19 조형기 콘텐츠 관리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4473B1 (ko) * 2006-05-08 2007-08-01 삼성전자주식회사 Dlna 네트워크의 dms에서 디바이스 들의 rss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US20080021963A1 (en) * 2006-07-21 2008-01-24 At&T Corp. Content dissemination using a multi-protocol converter
US20080162507A1 (en) * 2006-12-28 2008-07-03 Theodore Papaioannou Really simple syndication (RSS) and database integration
JP5785688B2 (ja) 2007-01-05 2015-09-30 トムソン ライセンシングThomson Licensing シンジケーテッドデータフィードをカスタマイズ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JP4281017B2 (ja) * 2007-01-05 2009-06-17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表示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0906109B1 (ko) * 2007-06-20 2009-07-07 엔에이치엔(주) 3a 기반의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상태를 제공하는유비쿼터스 프리젠스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US8849922B1 (en) * 2007-09-28 2014-09-30 Symantec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aggregating notices and alerts into an aggregate machine readable feed
WO2009084758A1 (en) * 2007-12-31 2009-07-09 Dki Technology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dvertisements us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7822868B2 (en) * 2008-01-30 2010-10-26 Alcatel Lucent Method and apparatus for targeted content delivery based on RSS feed analysis
US20090210391A1 (en) * 2008-02-14 2009-08-20 Hall Stephen G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ed search for, and retrieval and distribution of, information
US8635321B2 (en) 2008-03-14 2014-01-21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Techniques for feed-based automatic transmission of content to a mobile terminal
US8108341B2 (en) * 2008-04-16 2012-01-31 Disney Enterprises, Inc. Method and system enabling identification of information content having enhanced desirability to a user
JP4626703B2 (ja) * 2008-10-28 2011-02-09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CN101783733B (zh) * 2009-01-16 2012-10-03 中国移动通信集团公司 一种通过终端设备实现信息聚合共享的方法及终端设备
US8838778B2 (en) * 2009-04-28 2014-09-1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utomated feed reader indexing
US20120151327A1 (en) * 2009-06-08 2012-06-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remote user interface
US20100318672A1 (en) * 2009-06-15 2010-12-16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Compatible Media Enclosures in Syndicated Feeds
EP2521955A4 (en) * 2010-01-07 2014-06-04 Divx Llc SYSTEMS AND METHOD FOR ACCESSING CONTENT WITH INTERNET CONTENT MANUAL
US20120150908A1 (en) * 2010-12-09 2012-06-14 Microsoft Corporation Microblog-based customer support
CN102566866B (zh) * 2010-12-27 2016-03-23 爱国者电子科技(天津)有限公司 一种动态桌面更新系统
CN102567037B (zh) * 2010-12-27 2016-08-03 爱国者电子科技(天津)有限公司 实现桌面素材定时更新的方法
US8163615B1 (en) * 2011-03-21 2012-04-24 Freescale Semiconductor, Inc. Split-gate non-volatile memory cell having improved overlap tolerance and method therefor
US9110739B2 (en) * 2011-06-07 2015-08-18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Subscribing to multiple resources through a common connection
CN102202102B (zh) * 2011-07-05 2014-08-13 施昊 基于云计算架构的网络服务聚合系统及其聚合方法
CN102955789A (zh) * 2011-08-22 2013-03-06 幻音科技(深圳)有限公司 资源展示方法和系统
US8751591B2 (en) 2011-09-30 2014-06-10 Blackberry Limited Systems and methods of adjusting contact importance for a computing device
US9596127B2 (en) * 2012-02-20 2017-03-14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Scalable data feed system
EP2677719A1 (en) * 2012-06-19 2013-12-25 Alcatel Lucent A method for interfacing a communication terminal with networked objects
US9401868B2 (en) * 2012-11-08 2016-07-26 Futurewei Technologies, Inc. Method of traffic engineering for provisioning routing and storage in content-oriented networks
CN103116458A (zh) * 2013-03-08 2013-05-22 北京奇虎科技有限公司 电子设备的壁纸显示方法、装置及电子设备
WO2015000176A1 (en) * 2013-07-05 2015-01-08 Google Inc. Providing dynamic content from social network webpages
CN103678511B (zh) * 2013-11-25 2016-11-16 北京奇虎科技有限公司 根据可视化模板进行网页内容抽取的方法及装置
CN104065562A (zh) * 2014-02-11 2014-09-24 周强 网络信息服务系统中信息即时推送的方法和系统
CA2961682C (en) * 2014-09-18 2021-09-07 Huawei Technologies Co., Ltd. Information display method, terminal, and server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13588B1 (en) 2000-07-13 2007-12-25 Biap Systems, Inc. Locally executing software agent for retrieving remote content and method for creation and use of the agent
US7043227B2 (en) * 2000-09-29 2006-05-0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ata conversion in telecommunication systems
US6976010B2 (en) * 2001-06-28 2005-12-1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for syndicating online content
JP2004102767A (ja) * 2002-09-11 2004-04-02 Nippon Hoso Kyokai <Nhk> メタデータ収集分配システム、メタデータ収集サーバ、メタデータ収集方法、メタデータ収集プログラム、及びメタデータ収集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US20050165615A1 (en) * 2003-12-31 2005-07-28 Nelson Minar Embedding advertisements in syndicated content
US8020106B2 (en) 2004-03-15 2011-09-13 Yahoo! Inc. Integration of personalized portals with web content syndication
US7933958B2 (en) * 2004-06-08 2011-04-2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Real-time blog interaction
US7406329B2 (en) * 2004-09-04 2008-07-29 Varun Khurana Method and apparatus for subscribing and receiving personalized updates in a format customized for handheld mobile communication devices
US7346341B2 (en) * 2004-12-10 2008-03-18 Nokia Corporation Providing mobile-specific services for mobile devices via ad-hoc networks
US7684815B2 (en) * 2005-04-21 2010-03-23 Microsoft Corporation Implicit group formation around feed content for mobile devices
US7702318B2 (en) * 2005-09-14 2010-04-20 Jumptap, Inc. Presentation of sponsored content based on mobile transaction event
US8433301B2 (en) * 2005-12-14 2013-04-30 Telecom Italia S.P.A.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ically providing contents from a service provider to a mobile telephonic terminal
US20070207782A1 (en) * 2006-03-06 2007-09-06 Tran Bao Q Multimedia telephone
US20070225047A1 (en) * 2006-03-21 2007-09-27 Nokia Corporation Automatic discovery and deployment of feed links to mobile terminals
US7574170B2 (en) * 2006-05-12 2009-08-11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Method and system for identifying sources of location relevant content to a user of a mobile radio terminal
US8401535B2 (en) * 2006-06-19 2013-03-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a method, and an apparatus for sharing an updated content with peers
KR100765791B1 (ko) * 2006-07-13 2007-10-12 삼성전자주식회사 콘텐트 관리 방법 및 장치
US7844215B2 (en) * 2006-08-08 2010-11-30 Accenture Global Services Gmbh Mobile audio content delivery system
US7913247B2 (en) * 2007-02-13 2011-03-2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oftware updates based on RSS feeds
GB2445438B (en) * 2007-07-10 2009-03-18 Cvon Innovations Ltd Messaging system and service

Cited B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3270B1 (ko) 2006-06-15 2008-04-21 삼성전자주식회사 콘텐트를 저장하는 방법 및 장치
KR100827023B1 (ko) * 2006-06-16 2008-05-06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Rss 피드의 음성 서비스 시스템과 그 서비스 방법 및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
US7774425B2 (en) 2006-07-13 2010-08-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ntent management method and apparatus
KR100765791B1 (ko) 2006-07-13 2007-10-12 삼성전자주식회사 콘텐트 관리 방법 및 장치
US7653640B2 (en) 2006-07-31 2010-01-26 Microsoft Corporation Two-way and multi-master synchronization over web syndications
WO2008016560A1 (en) * 2006-07-31 2008-02-07 Microsoft Corporation Two-way and multi-master synchronization over web syndications
WO2008048926A1 (en) * 2006-10-17 2008-04-24 Yahoo! Inc. Supplemental display matching using syndication information
FR2910208A1 (fr) * 2006-12-13 2008-06-20 Bouygues Telecom Sa Baladodiffusion sur telephone mobile
EP1933244A1 (fr) * 2006-12-13 2008-06-18 Bouygues Telecom Baladodiffusion sur téléphone mobile
KR101415023B1 (ko) * 2007-04-26 2014-07-04 삼성전자주식회사 네트워크를 통한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US10126920B2 (en) 2007-04-26 2018-11-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nformation through network
GB2463834A (en) * 2007-07-25 2010-03-31 Hewlett Packard Development Co Viewing of feeds
WO2009014628A1 (en) * 2007-07-25 2009-01-29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Viewing of feeds
KR100971683B1 (ko) * 2008-09-22 2010-07-22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부품의 연관관계를 이용한 설계과정의 구독관계 표현 방법
KR101575113B1 (ko) * 2008-10-14 2015-12-09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웹 페이지 내의 컨텐츠를 추출하기 위한 방법, 장치 및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WO2010050638A1 (en) * 2008-10-30 2010-05-06 Korea Advanced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System and method of electronic-memo based on machine-processable knowledge structure
KR101624137B1 (ko) 2009-11-18 2016-06-07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 화면 업데이트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휴대 단말기
KR20110054791A (ko) * 2009-11-18 2011-05-25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 화면 업데이트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휴대 단말기
KR101047958B1 (ko) 2010-11-01 2011-07-12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업데이트하는 방법 및 장치
WO2013048091A3 (en) * 2011-09-27 2013-05-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clipping and sharing content at a portable terminal
US11361015B2 (en) 2011-09-27 2022-06-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clipping and sharing content at a portable terminal
KR101501335B1 (ko) * 2013-01-18 2015-03-11 주식회사 노키온 어플리케이션 및 정보 간의 데이터 연동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인비서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14112674A1 (ko) * 2013-01-18 2014-07-24 주식회사 노키온 어플리케이션 및 정보 간의 데이터 연동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인비서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460788B1 (ko) 2013-03-28 2014-11-14 주식회사 오비고 웹 어플리케이션의 화면 구성 방법, 서버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1538701B1 (ko) * 2013-05-28 2015-07-23 주식회사 쓰리에이치에스 실시간 데이터 업데이트 시스템
KR102057622B1 (ko) * 2019-04-30 2019-12-19 조형기 콘텐츠 관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777632A2 (en) 2007-04-25
CN100517293C (zh) 2009-07-22
US8131276B2 (en) 2012-03-06
WO2007046638A1 (en) 2007-04-26
CN101103349A (zh) 2008-01-09
US20090042549A1 (en) 2009-02-12
JP2009512934A (ja) 2009-03-26
EP1777632A3 (en) 2007-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73037B1 (ko) 알에스에스 기반의 컨텐츠 추출 서버와 방법 및 그 서버관리 장치, 이를 이용하는 이동통신 단말장치의 대기화면 제공 시스템
RU2522103C2 (ru) Способ и браузер для уведомления об обновлении
CN100394428C (zh) 一种个性化替换网页主题的方法
US20020105539A1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displaying information on mobile communication devices
EP2985694A1 (en) Application program management method and apparatus, server, and terminal device
US7912933B2 (en) Tags for management systems
CN102917061B (zh) 资源同步方法和系统
US20050114760A1 (en) Workflow system and method
JP2006501558A (ja) ウェブ・アプリケーション用のウェブ・ページのセッションをユーザに表示する装置と方法
KR20050012881A (ko) 웹 브라우저 기반 알에스에스/에이티오엠 규격 문서실시간 구독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9523284A (ja) 探索プラットフォーム
US20230327942A1 (en) Data detection method and apparatus, electronic device, computer storage medium,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CN102904960A (zh) 一种基于rss的信息同步系统及方法
EP2521043A1 (en) Method for establishing a relationship between semantic data and the running of a widget
WO2016007178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xtual analytics data
US20080177707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CN114528473A (zh) 一种基于WebSocket的信息集成发布方法及系统
KR20130026558A (ko) 외곽 공간을 이용한 댓글 통합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JP4031264B2 (ja) フィルタリング管理方法、フィルタリング管理プログラム、フィルタリング装置のフィルタリング管理方法、およびフィルタリング装置用フィルタリング管理プログラム
JP2002183019A (ja) キャッシュ装置
CN105338091A (zh) 高传输效率的个性化信息界面显示方法和装置
CN102449609A (zh) 浏览信息收集系统、浏览信息收集方法、服务器和日志介质
WO2002017136A1 (en) System and method for digital information acquisition and distribution according to user profiles
CN111814090A (zh) 一种政务信息公开平台运维管理系统
KR102613616B1 (ko) 포털 솔루션 서비스 제공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40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