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71428B1 - Wearable Interface Device - Google Patents

Wearable Interface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71428B1
KR100571428B1 KR20030096967A KR20030096967A KR100571428B1 KR 100571428 B1 KR100571428 B1 KR 100571428B1 KR 20030096967 A KR20030096967 A KR 20030096967A KR 20030096967 A KR20030096967 A KR 20030096967A KR 100571428 B1 KR100571428 B1 KR 1005714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put
interface device
signal
sensor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3009696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50065197A (en
Inventor
양웅연
장병태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200300969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71428B1/en
Publication of KR200500651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6519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14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142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06F3/015Input arrangements based on nervous system activity detection, e.g. brain waves [EEG] detection, electromyograms [EMG] detection, electrodermal response dete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Wearable computers, e.g. on a bel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6Input arrangements with force or tactile feedback as computer generated output to the u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1
    • G06F2203/013Force feedback applied to a game

Abstract

본 발명은 팔과 손 부분에 착용하여 소프트웨어 컨텐츠에 관련된 입출력 명령을 수행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 장치에 관련된 것으로, 팔과 손의 움직임을 추적하는 센서로부터 얻은 입력 값을 일정한 명령으로 처리하는 수단과, 소프트웨어 컨텐츠의 출력 값을 일정한 시각, 청각, 촉각 자극으로 출력하는 수단, 그리고, 활동적 신체 부분에 대한 착용성을 고려한 인터페이스 설계를 제시한다. 본 발명의 인터페이스 장치는 다양한 입출력 수단을 팔과 손 부분에 통합하여, 게임과 같은 임의의 소프트웨어 컨텐츠를 대상으로 상호작용성이 높은 범용적 인터페이스로 활용 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erface device that can be worn on the arm and hand to perform input and output commands related to the software content, means for processing the input value obtained from the sensor for tracking the movement of the arm and hand as a constant command, software Means for outputting the output value of the content as a constant visual, auditory and tactile stimulus, and the interface design considering the wearability of the active body parts. The interfac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tegrates various input / output means into the arm and hand portion, and can be utilized as a highly interactive universal interface for any software content such as a game.

인터페이스, 상호작용, 게임, 3D 트래킹Interface, Interaction, Gaming, 3D Tracking

Description

착용형 인터페이스 장치{WEARABLE INTERFACE DEVICE} Wearable interface device {WEARABLE INTERFACE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인터페이스 장치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1 is a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the wearable interfac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인터페이스 장치의 입력 데이터 처리부를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2 is a view showing in detail the input data processing unit of the wearable interfac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인터페이스 장치의 출력 데이터 처리부를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3 is a view showing in detail the output data processing unit of the wearable interfac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인터페이스 장치의 입출력 통합 처리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n input / output integrated processing unit of a wearable interface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인터페이스 장치의 활용 예를 나타낸 도면.5 is a view showing an application example of the wearable interfac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착용형 인터페이스 장치(wearable interface device)에 관한 것으 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착용성을 고려하여 인간의 다양한 감각 자극을 이용한 입출력 인터페이스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earable interface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nput / output interface device using various sensory stimuli of a human being in consideration of a user's wearability.

인간이 수용하는 감각 자극을 정형화된 데이터로 변환하여 입출력 인터페이스에 이용하는 센서 기술은 다양하며, MEMS(Micro-Electro Mechanical System) 기술 같은 소형화 기술의 발전으로 센서 장비를 사용자 신체 부분에 가볍게 착용하는 구조가 개발되고 있다. 그리고, 시각, 청각, 촉각에 관련된 출력용 소형 부품 기술의 개발로 착용성이 높은 인터페이스의 설계가 용이한 상태이다. 그러나, 앞의 기술들은 개별적으로 적용되어 측정 및 오락 게임의 부수적인 인터페이스로 한정된 분야에서만 사용되고 있는 상태이다.Sensor technology that converts sensory stimuli accepted by humans into standardized data and uses them for input / output interfaces is diverse, and due to the development of miniaturization technology such as MEMS (Micro-Electro Mechanical System) technology, the structure of lightly wearing sensor equipment on the user's body part Is being developed. In addition, the design of a highly wearable interface is easy due to the development of a small component technology for output related to vision, hearing, and touch. However, the foregoing techniques are used only in a field that is applied separately and limited to the secondary interface of measurement and entertainment games.

본 발명은 상기 설명한 종래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다양한 특성을 가지고 있는 입출력 인터페이스 부품을 착용성 그리고 이동성을 가진 특성을 고려하여 사용자의 손과 팔 부분에 장착하여 자유로운 신체적 활동을 보장하면서 다양한 상호작용을 수행할 수 있는 형태의 착용형 인터페이스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described technical problem, and is equipped with an input / output interface component having various characteristics in consideration of wearability and mobility, and is mounted on the user's hand and arm to ensure free physical activit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earable interface device of a type capable of performing an interactio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착용형 인터페이스 장치는,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팔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정보와 장치 본체의 3차원 움직임을 검출하기 위한 다수의 입력 센서; 상기 각 입력 센서에서 수집된 정보에 대해 소정의 신호 처리를 수행하여 소프트웨어 컨텐츠를 실행하는 통합 처리 시스템에 무선으로 전송하는 입력 데이터 처리부; 상기 통합 처리 시스템에서의 소프트웨어 컨텐츠의 실행에 의해 시각, 청각, 촉각의 감각 자극을 사용자에게 전달하기 위한 출력 데이터를 무선으로 수신하여 소정의 신호 처리를 수행하는 출력 데이터 처리부; 상기 출력 데이터 처리부에서 전달된 신호에 따라 광학 효과, 음향 효과 및 진동 효과를 사용자에게 전달하기 위한 출력 장치; 및, 장치 본체를 사용자의 손 및 팔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Wearable interfac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plurality of input sensors for detect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of the user's finger or arm and the three-dimensional movement of the device body; An input data processing unit which performs a predetermined signal processing on the information collected by each input sensor and wirelessly transmits the integrated data to an integrated processing system that executes software contents; An output data processor for wirelessly receiving output data for transmitting visual, auditory, and tactile sensory stimuli to a user by executing software content in the integrated processing system to perform predetermined signal processing; An output device for transmitting an optical effect, a sound effect, and a vibration effect to a user according to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output data processor; And fixing means for fixing the device body to a user's hand and arm.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인터페이스 장치는 사용자의 손과 팔을 이용한 신체적 활동으로부터 움직임 정보를 검출하는 다수의 입력 센서와, 입력 센서에서 수집된 움직임 정보를 통합 처리 시스템에 전달하기 위한 입력 데이터 처리부와, 상기 통합 처리 시스템에서의 소프트웨어 컨텐츠 실행에 의해 시각, 청각, 촉각과 같은 감각 자극을 이용해서 소프트웨어 컨텐츠의 내용을 사용자에게 전달하기 위한 출력 데이터를 처리하는 출력 데이터 처리부와, 상기 출력 데이터 처리부의 신호에 따라 사용자에게 시각, 청각 및 촉각을 통해 컨텐츠의 내용을 전달하기 위한 출력 장치로 구성되어 있다. The wearable interfac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input sensors that detect motion information from physical activity using a user's hand and arm, and input data for delivering motion information collected from the input sensor to an integrated processing system. An output data processor for processing output data for delivering the content of software content to a user using sensory stimuli such as sight, hearing, and touch by executing software content in the integrated processing system; and the output data processor It is composed of an output device for delivering the content of the content through the visual, auditory and tactile to the user according to the signal.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인터페이스 장치의 외관을 설명한다. 상기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인터페이 스 장치는 사용자의 손과 팔 동작에 의해서 발생되는 정보를 수집하는 다수의 센서와, 소프트웨어 컨텐츠의 출력 정보를 사용자에게 시각, 청각 및 촉각을 통해 전달하기 위한 출력 장치로 구성되어 있다. First, an appearance of a wearable interface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The wearable interface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llustrated in FIG. 1 includes a plurality of sensors for collecting information generated by a user's hand and arm motion, and output information of software content to a user. It consists of an output device for transmitting through the tactile sense.

상기 도 1에 도시된 착용형 인터페이스 장치에서, 입력 센서(10, 18) 및 3D 트래킹 센서(15)는 상기 입력 센서를 구성하고, 광학 효과 발생기(11), 음향 효과 발생기(12), 진동 효과 발생기(13)는 출력 데이터를 인간이 지각할 수 있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으로 전달하기 위한 상기 출력 장치를 구성한다. In the wearable interface device illustrated in FIG. 1, the input sensors 10 and 18 and the 3D tracking sensor 15 constitute the input sensor, the optical effect generator 11, the sound effect generator 12, and the vibration effect. The generator 13 constitutes the output device for delivering output data to a visual, auditory or tactile sense that can be perceived by humans.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입력 센서(10, 18)는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팔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정보를 검출하며, 상기 광학 효과 발생기(11)는 발광 부품의 조합으로 시각 정보를 사용자에게 전달한다. 상기 음향 효과 발생기(12)는 소리 효과를 발생하여 사용자에게 전달하며, 상기 진동 효과 발생기(13)는 진동을 발생하여 촉각 정보를 사용자에게 전달한다. 본 발명의 착용형 인터페이스 장치는 전원 장치를 내장함과 동시에 무선 통신 기능을 갖춘 전원 및 통신 모듈(14)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상기 착용형 인터페이스 장치 본체의 3차원 움직임을 추적할 수 있는 센서들(광학 센서, 가속도 센서, 방위 센서, 중력 센서)를 내장하고 있는 3D 트래킹 센서(15)를 포함하고 있다. 그 외 기구적인 부품으로서, 착용형 인터페이스 장치의 본체가 항상 지정된 위치 즉, 사용자의 손에 부착되도록 하는 고정용 벤딩부(16)와 연결부(17)가 구비되어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input sensors 10 and 18 detec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of the user's finger or arm, and the optical effect generator 11 transmits visual information to the user in combination of light emitting components. The sound effect generator 12 generates a sound effect and transmits the sound effect to the user, and the vibration effect generator 13 generates vibration to transmit tactile information to the user. The wearable interfac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ower supply and communication module 14 with a built-in power supply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In addition, the wearable interface device includes a 3D tracking sensor 15 that incorporates sensors (optical sensor, acceleration sensor, orientation sensor, gravity sensor) that can track the three-dimensional movement of the main body. In addition, as a mechanical part, a fixing bending part 16 and a connection part 17 are provided so that the main body of the wearable interface device is always attached to a designated position, that is, the user's hand.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인터페이스 장치의 입력 데이터 처리부를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2 is a view illustrating in detail an input data processor of a wearable interface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2에 도시된 입력 데이터 처리부는 착용형 인터페이스 장치의 각종 센서로부터 수집된 정보를 목적에 적합하게 변환하여 통합 처리 시스템(30)에 무선으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The input data processor illustrated in FIG. 2 performs a function of converting information collected from various sensors of the wearable interface device to suit the purpose and wirelessly transmitting the information to the integrated processing system 30.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인터페이스 장치의 입력 데이터 처리부는 도 1에서 설명된 각 센서로부터 각종 움직임 정보를 수집하는 버튼 상태 처리부(21), 생체 신호(근전도, 바이오임피던스 등) 검출 센서부(23), 압력 검출 센서부(24) 및 관성 변위량 측정 센서부(25)를 포함한다. 상기 버튼 상태 처리부(21)의 출력은 다중 버튼 입력 처리부(22)에 의해 신호처리되어 송신 데이터 처리부(28)로 보내지고, 상기 생체 신호(근전도, 바이오임피던스 등) 검출 센서부(23), 압력 검출 센서부(24) 및 관성 변위량 측정 센서부(25)의 출력은 신호 증폭기(26)에 의해 증폭된 후,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27)에 의해 디지털 신호로 변환되어 상기 송신 데이터 처리부(28)로 전송된다. 상기 송신 데이터 처리부(28)의 신호들은 무선 데이터 송신부(29)로 전송되어 무선으로 통합 처리 시스템(30)으로 전송된다. 상기 다중 버튼 입력 처리부(22)는 상기 도 1에 도시된 착용형 인터페이스 장치의 다수의 입력 버튼으로 구성된 입력 센서(10)의 상태를 송신에 적합한 형태로 인코딩(Encoding)한다. 상기 생체 신호(근전도, 바이오임피던스 등) 검출 센서부(23)는 인터페이스 장치에 내장된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신체적 움직임을 통해서 발생되는 생체 신호를 검출한다. 상기 압력 검출 센서부(24)는 사용자의 신체적 움직임(팔목 변형, 손 모양 변형)으로부터 발생되는 힘(압력)의 세기를 측정하는 센서를 사용한다. 상기 관성 변위량 측정 센서부(25)는 3차원 움직임 을 측정하는 센서이다. 이런 신호의 크기는 매우 작으므로, 신호 증폭기(26)와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27)를 거친 후에 송신한다. 송신 데이터 처리부(28)는 다양한 채널을 통하여 수집된 정보를 유무선 네트웍 송신에 효율적인 형태로 변환한다. 상기 무선 데이터 송신부(29)에서는 생성된 데이터 패킷을 실시간으로 통합 처리 시스템(30)으로 무선 전송한다.The input data processor of the wearable interface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button state processor 21 which collects various motion information from each sensor described in FIG. 1, a biosignal (electromyogram, bioimpedance, etc.) detection sensor unit ( 23), the pressure detection sensor unit 24 and the inertial displacement measurement sensor unit 25. The output of the button state processing unit 21 is signaled by the multi-button input processing unit 22 and sent to the transmission data processing unit 28, and the biosignal (electromyography, bioimpedance, etc.) detection sensor unit 23, pressure The outputs of the detection sensor section 24 and the inertial displacement measurement sensor section 25 are amplified by the signal amplifier 26 and then converted into digital signals by the analog / digital converter 27 to transmit the data processing section 28. Is sent to. The signals of the transmission data processor 28 are transmitted to the wireless data transmitter 29 and wirelessly transmitted to the integrated processing system 30. The multi-button input processing unit 22 encodes the state of the input sensor 10 composed of a plurality of input buttons of the wearable interface device shown in FIG. 1 into a form suitable for transmission. The biosignal (electromyography, bioimpedance, etc.) detection sensor unit 23 detects a biosignal generated through physical movement of the user using a sensor built in the interface device. The pressure detection sensor unit 24 uses a sensor for measuring the strength of the force (pressure) generated from the user's physical movement (cuff deformation, hand shape deformation). The inertial displacement sensor 25 is a sensor for measuring three-dimensional movement. Since the magnitude of this signal is very small, it is transmitted after passing through the signal amplifier 26 and the analog-to-digital converter 27. The transmission data processing unit 28 converts the information collected through various channels into an efficient form for wired and wireless network transmission. The wireless data transmitter 29 wirelessly transmits the generated data packet to the integrated processing system 30 in real time.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인터페이스 장치의 출력 데이터 처리부를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출력 데이터 처리부는 통합 처리 시스템으로부터 무선으로 사용자의 감각 자극을 통해 소프트웨어 컨텐츠의 내용을 전달하기 위한 출력 데이터를 수신하여 도 1의 착용형 인터페이스 장치의 출력 장치에 전달한다. 3 is a view showing in detail the output data processing unit of the wearable interfac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put data processor receives the output data for delivering the contents of the software content wirelessly through the sensory stimulation of the user from the integrated processing system and delivers the output data to the output device of the wearable interface device of FIG. 1.

도 3을 참조하면, 통합 처리 시스템(30)에서 출력된 데이터는 무선으로 무선 데이터 수신부(40)에 수신되어 수신 데이터 처리부(50)에 전송된다. 상기 수신 데이터 처리부(50)에서는 수신된 데이터를 디코딩(Decoding)하여 각각의 감각 출력기에 적합한 정보를 추출한다. 분리 추출된 제어 정보는 광원 출력 제어부(51), 음향 효과 제어부(52) 및 진동기 제어부(53)에 전달되어 각각 출력기의 On/Off 및 강도를 제어하는 정보로 변환된다. 상기 각 제어부(51, 52, 53)에서 얻어진 디지털 제어 명령은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54)를 통해 적합한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되어 증폭기(55)를 거쳐 각 출력 장치(56, 57, 58)에 전달된다. Referring to FIG. 3, data output from the integrated processing system 30 is wirelessly received by the wireless data receiver 40 and transmitted to the received data processor 50. The received data processor 50 decodes the received data and extracts information suitable for each sensory output device. The separated and extracted control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light source output control unit 51, the sound effect control unit 52, and the vibrator control unit 53 and converted into information for controlling the on / off and intensity of the output unit, respectively. The digital control commands obtained by the controllers 51, 52, and 53 are converted into suitable analog signals through the digital-to-analog converter 54 and transmitted to the respective output devices 56, 57, 58 via the amplifier 55. .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인터페이스 장치의 입출력 통합 처리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n input / output integrated processing unit of a wearable interface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 도시된 착용형 인터페이스 장치의 입출력 통합 처리부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구성요소를 재구성하고 추가적으로 저작 기능과 일반화 특성을 부가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인터페이스의 범용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The integrated input / output processing unit of the wearable interface device illustrated in FIG. 4 i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reconfigures the components illustrated in FIGS. 2 and 3 and additionally adds an authoring function and a generalization characteristic. It shows a configuration for.

본 발명의 착용형 인터페이스 장치에 부착된 다양 종류의 센서로부터 얻는 정보(다양한 범위와 특성을 지닌 입력 값)를 컨텐츠와 연동하여 다양한 형태의 감각 자극으로 제시하는 과정을 일반화한다. 도 4에서, 버튼 명령 입력 처리부(81), 생체 신호(근전도, 바이오임피던스 등) 처리부(82), 압력 신호 처리부(83), 3차원 추적 정보 처리부(84), 광 효과 처리부(85), 소리 효과 처리부(86) 및 진동 효과 처리부(87)는 개개의 입출력 센서 및 작동기에 대한 기초적인 제어 기능만을 가진다. The process of presenting information (input values having various ranges and characteristics) obtained from various types of sensors attached to the wearable interfac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various types of sensory stimuli in conjunction with contents is generalized. In FIG. 4, the button command input processor 81, the biosignal (electromyogram, bioimpedance, etc.) processor 82, the pressure signal processor 83, the three-dimensional tracking information processor 84, the light effect processor 85, the sound The effect processor 86 and the vibration effect processor 87 have only basic control functions for individual input / output sensors and actuators.

또한, 입출력 신호 이벤트 저작 모듈(90)은 저작 툴을 제시하여 다양한 수단의 입출력을 조합하여 특정 의미를 부여할 수 있도록 한다. 착용형 인터페이스 장치 API(100)는 일반 컨텐츠(예; 게임)에서 본 착용형 인터페이스 장치를 사용하고, 컨텐츠 내용에 적합한 상호작용 효과를 인터페이스 장치를 통해서 얻을 수 있도록 지원하는 프로그램 인터페이스이다.In addition, the input / output signal event authoring module 90 may present an authoring tool to give a specific meaning by combining input and output of various means. The wearable interface device API 100 is a program interface for using the wearable interface device in general content (eg, a game) and obtaining an interactive effect suitable for the content content through the interface device.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인터페이스 장치의 활용 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HMD : Head Mount Display)를 착용한 사용자가 착용형 인터페이스 장치를 조작하는 모습을 설명하고 있다. 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using a wearable interface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a user wearing a head mount display (HMD) manipulates the wearable interface device.

이상과 같이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착용형 인터페이스 장치는 기존의 마우스와 키보드 중심의 인터페이스 장치가 가지고 있는 단점을 보완하여, 사용자의 신체적 활동성과 이동성이 중요시 되는 소프트웨어 컨텐츠에 대한 범용적 인터페이스 장치로 활용될 수 있다.The wearable interfac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compensates for the shortcomings of the existing mouse and keyboard-oriented interface device and utilizes it as a universal interface device for software contents in which physical activity and mobility of the user are important. Can be.

이상으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착용형 인터페이스 장치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의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미친다고 할 것이다.What has been described above is only one embodiment for implementing the wearable interfac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claimed in the following clai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o the extent tha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Claims (6)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팔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정보와 장치 본체의 3차원 움직임을 검출하기 위한 다수의 입력 센서;A plurality of input sensors for detect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movement of a user's finger or arm and three-dimensional movement of the apparatus main body; 상기 각 입력 센서의 신호 레벨을 증폭시키는 신호 증폭기, 상기 신호 증폭기에서 출력된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에서 얻어진 디지털 데이터에 대해 신호 전송에 적합하게 신호 처리를 수행하는 송신 데이터 처리부 및 상기 송신 데이터 처리부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무선으로 상기 통합 처리 시스템에 전송하는 무선 데이터 송신부로 이루어져, 상기 각 입력 센서에서 수집된 정보에 대해 소정의 신호 처리를 수행하여 소프트웨어 컨텐츠를 실행하는 통합 처리 시스템에 무선으로 전송하는 입력 데이터 처리부;A signal amplifier for amplifying the signal level of each input sensor, an analog / digital converter for converting the signal output from the signal amplifier into a digital signal, and digital data obtained from the analog / digital converter for signal processing suitable for signal transmission A transmission data processing unit to perform and a wireless data transmission unit wirelessly transmitting a signal output from the transmission data processing unit to the integrated processing system, An input data processing unit which performs a predetermined signal processing on the information collected by each input sensor and wirelessly transmits the integrated data to an integrated processing system that executes software contents; 상기 통합 처리 시스템에서 출력된 데이터를 무선으로 수신하는 무선 데이터 수신부, 수신된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상기 각 출력 장치에 적합한 정보를 추출하는 수신 데이터 처리부 및 상기 추출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각 출력 장치의 온/오프 신호 및 강도를 제어하는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각 출력 장치에 전달하는 광원/음향 효과/진동기 제어부로 이루어져, 상기 통합 처리 시스템에서의 소프트웨어 컨텐츠의 실행에 의해 시각, 청각, 촉각의 감각 자극을 사용자에게 전달하기 위한 출력 데이터를 무선으로 수신하여 소정의 신호 처리를 수행하는 출력 데이터 처리부; A wireless data receiver for wirelessly receiving the data output from the integrated processing system, a reception data processor for decoding the received data to extract information suitable for each output device, and the on of each output device using the extracted information. It consists of a light source / acoustic effect / vibrator control unit which generates a signal for controlling the on / off signal and the intensity and transmits it to the respective output devices, and executes the software content in the integrated processing system to stimulate visual, auditory, and tactile senses. An output data processor for wirelessly receiving output data for transmission to a user and performing predetermined signal processing; 상기 출력 데이터 처리부에서 전달된 신호에 따라 광학 효과, 음향 효과 및 진동 효과를 사용자에게 전달하기 위한 출력 장치; 및An output device for transmitting an optical effect, a sound effect, and a vibration effect to a user according to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output data processor; And 장치 본체를 사용자의 손 및 팔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Fastening means for securing the device body to a user's hand and arm 착용형 인터페이스 장치.Wearable interface devic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착용형 인터페이스 장치는 전원 장치를 내장함과 동시에 무선 통신 기능을 갖춘 전원 및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he wearable interface device further includes a power supply and a communication module having a built-in power supply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착용형 인터페이스 장치.Wearable interface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센서는,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input sensor,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팔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정보를 검출하는 센서와, 상기 착용형 인터페이스 장치 본체의 3차원 움직임을 추적할 수 있는 광학 센서, 가속도 센서, 방위 센서 및 중력 센서를 내장하고 있는 3D 트래킹 센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tracking sensor that includes a sensor for detect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of a user's finger or arm, and an optical sensor, an acceleration sensor, an orientation sensor, and a gravity sensor that can track three-dimensional movement of the main body of the wearable interfac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착용형 인터페이스 장치.Wearable interface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장치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output device, 상기 출력 데이터 처리부에서 전달된 신호에 따라 발광 동작에 의한 시각 정보, 음향 효과 및 진동 효과를 각각 사용자에게 전달하기 위한 광학 효과 발생기, 음향 효과 발생기 및 진동 효과 발생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ptical effect generator, sound effect generator and vibration effect generator for transmitting visual information, sound effect and vibration effect by the light emission operation to the user according to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output data processor, respectively 착용형 인터페이스 장치.Wearable interface devic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20030096967A 2003-12-24 2003-12-24 Wearable Interface Device KR10057142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30096967A KR100571428B1 (en) 2003-12-24 2003-12-24 Wearable Interface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30096967A KR100571428B1 (en) 2003-12-24 2003-12-24 Wearable Interface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5197A KR20050065197A (en) 2005-06-29
KR100571428B1 true KR100571428B1 (en) 2006-04-17

Family

ID=372567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30096967A KR100571428B1 (en) 2003-12-24 2003-12-24 Wearable Interface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71428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0792B1 (en) 2004-12-07 2007-01-1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Virtual manufacturing system using hand interface and method thereof
WO2009151998A2 (en) * 2008-06-13 2009-12-17 Microsoft Corporation Controller lighting activation by proximity and motion
US10248208B2 (en) 2015-04-23 2019-04-02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Tactile transmission device and user interface system having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4553B1 (en) * 2006-12-18 2009-02-19 한국과학기술연구원 System and Method of Transmitting Data in a Multiplex Computing Network
KR101284797B1 (en) * 2008-10-29 2013-07-1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Apparatus for user interface based on wearable computing environment and method thereof
KR101302138B1 (en) * 2009-12-18 2013-08-3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Apparatus for user interface based on wearable computing environment and method thereof
KR101871359B1 (en) 2010-12-21 2018-08-02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providing sensitivity information and sensitivity
US10423214B2 (en) 2012-11-20 2019-09-24 Samsung Electronics Company, Ltd Delegating processing from wearable electronic device
US11157436B2 (en) 2012-11-20 2021-10-26 Samsung Electronics Company, Ltd. Services associated with wearable electronic device
US11237719B2 (en) 2012-11-20 2022-02-01 Samsung Electronics Company, Ltd. Controlling remote electronic device with wearable electronic device
US11372536B2 (en) 2012-11-20 2022-06-28 Samsung Electronics Company, Ltd. Transition and interaction model for wearable electronic device
US9477313B2 (en) 2012-11-20 2016-10-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User gesture input to wearable electronic device involving outward-facing sensor of device
US10185416B2 (en) * 2012-11-20 2019-01-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User gesture input to wearable electronic device involving movement of device
US9030446B2 (en) * 2012-11-20 2015-05-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Placement of optical sensor on wearable electronic device
US10551928B2 (en) 2012-11-20 2020-02-04 Samsung Electronics Company, Ltd. GUI transitions on wearable electronic device
US8994827B2 (en) 2012-11-20 2015-03-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Wearable electronic device
KR101501661B1 (en) 2013-06-10 2015-03-12 한국과학기술연구원 Wearable electromyogram sensor system
US10691332B2 (en) 2014-02-28 2020-06-23 Samsung Electronics Company, Ltd. Text input on an interactive display
CN110215658A (en) * 2019-06-10 2019-09-10 南京比特互动创意科技有限公司 A kind of immersion Sea World experience platform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0792B1 (en) 2004-12-07 2007-01-1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Virtual manufacturing system using hand interface and method thereof
WO2009151998A2 (en) * 2008-06-13 2009-12-17 Microsoft Corporation Controller lighting activation by proximity and motion
WO2009151998A3 (en) * 2008-06-13 2010-03-04 Microsoft Corporation Controller lighting activation by proximity and motion
US10248208B2 (en) 2015-04-23 2019-04-02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Tactile transmission device and user interface system hav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5197A (en) 2005-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71428B1 (en) Wearable Interface Device
US11157080B2 (en) Detection device, detection method, control device, and control method
US20070233318A1 (en) Follow Robot
US8044766B2 (en) Tongue operated magnetic sensor based wireless assistive technology
US9372534B2 (en) Interactive wearable videogame through the use of wireless electronic sensors and physical objects
US698420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nsing body gesture, posture and movement
US7980998B2 (en) Training and instructing support device
JP4936479B2 (en)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KR101501661B1 (en) Wearable electromyogram sensor system
US8242880B2 (en) Tongue operated magnetic sensor systems and methods
US20170119553A1 (en) A haptic feedback device
KR101559288B1 (en) Haptic actuator integrated with sensor electrode and wearable device comprising the same
WO2008140780A1 (en) Periodic evaluation and telerehabilitation systems and methods
KR102048551B1 (en) System and Method for Virtual reality rehabilitation training using Smart device
CN102755745A (en) Whole-body simulation game equipment
CN115364327A (en) Hand function training and evaluation rehabilitation glove system based on motor imagery
CN107928679A (en) The diagnostic device of disturbances in patients with Parkinson disease freezing of gait
US20220296455A1 (en) Clothing item
RU2670649C1 (en) Method of manufacturing virtual reality gloves (options)
GB2589700A (en) System for transferring haptic information
CN111610857A (en) Gloves with interactive installation is felt to VR body
WO2009026538A1 (en) Oral controller apparatus and methods
KR100209423B1 (en) Improved virtual reality interface having force feed-back function
KR20140106309A (en) Input device for virual reality having the fuction of forth-feedback
KR102464818B1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sensor for measuring biometric inform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0

Year of fee payment: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