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9584B1 - A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touch panel and a double input type sliding cover - Google Patents

A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touch panel and a double input type sliding cov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9584B1
KR100569584B1 KR1020030076394A KR20030076394A KR100569584B1 KR 100569584 B1 KR100569584 B1 KR 100569584B1 KR 1020030076394 A KR1020030076394 A KR 1020030076394A KR 20030076394 A KR20030076394 A KR 20030076394A KR 100569584 B1 KR100569584 B1 KR 1005695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main body
cover
sliding cover
touch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639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50041274A (en
Inventor
정찰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to KR10200300763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9584B1/en
Publication of KR200500412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127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95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958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04M1/0268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including a flexible display pa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치패널과 이중 입력식 슬라이딩 커버가 구비된 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슬라이딩 커버를 본체와 전기.신호적으로 연결하지 않고도 입력키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단말기의 크기와 두께를 줄여 단말기의 소형화를 가능케 함과 아울러, 본체와 커버를 전기.신호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신호선을 없애 단말기의 구조를 단순하게 하면서 전기.신호선의 손상에 의한 단말기 수명 단축 현상도 없앨 수 있는 터치패널과 이중 입력식 슬라이딩 커버가 구비된 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munication terminal provided with a touch panel and a dual input sliding cover, and more particularly, to perform the role of an input key without connecting the sliding cover to the main body electrically or signally. A touch that can reduce the thickness and make the terminal smaller, and also simplify the structure of the terminal by eliminating the signal line for connecting the main body and the cover to the signal. A communication terminal provided with a panel and a dual input sliding cover.

본 발명에 있어서는,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의 상면에 미끄럼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딩 커버(200)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100)의 상면 일측에는 다수의 본체측 입력키 버튼(112)들을 가지는 본체측 키버튼부(110)가 배치되고, 상기 본체측 키버튼부(110)에 인접하여서는 상기 본체측 키버튼부(110)보다 길이가 길고, 입력 기능 및 디스플레이 기능을 수행하는 터치 패널(120)이 배치되며, 상기 슬라이딩 커버(200)는, 상기 본체측 키버튼부(110)에 대응한 크기를 가지고, 상기 본체측 키버튼부(110)를 덮는 닫힘 위치와, 상기 닫힘 위치로부터 미끄럼 이동하여 상기 터치 패널(120)의 일부분을 덮는 열림 위치로 왕복 이동가능하며, 상기 본체측 입력키 버튼(112)들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커버측 입력키 버튼(212)들을 가지는 커버측 키버튼부(210)가 구비되어, 상기 슬라이딩 커버(200)가 닫힘 위치에 있을 때에는, 상기 슬라이딩 커버(200)의 커버측 입력키 버튼(212)들을 누르면, 상기 커버측 입력키 버튼(212)들 각각은 그에 대응하는 본체측 입력키 버튼(112)을 눌러 입력 동작이 수행되고, 상기 터치 패널(120)은 터치 펜(2)이나 사용자의 손 등에 의한 또 다른 입력 기능과 디스플레이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슬라이딩 커버(200)가 열림 위치에 있을 때에는, 노출된 상기 본체측 키버튼부(110)의 본체측 입력키(112)들을 누르면 그에 대응하는 입력 동작이 수행되고, 상기 슬라이딩 커버(200)의 커버측 입력키 버튼(212)들을 누르면, 상기 커버측 입력키 버튼(212)들 각각은 그에 대응하는 터치 패널(120)의 입력 지점을 눌러 입력 동작이 수행되고, 상기 슬라이딩 커버(200)에 의해 가려지지 않은 상기 터치 패널(120)의 나머지 부분은 디스플레이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과 이중 입력식 슬라이딩 커버가 구비된 통신 단말기가 제공 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body 100 and a sliding cover 200 is slidably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0, a plurality of main body side input key buttons on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0 A main body side key button unit 110 having 112 is disposed, and is longer in length than the main body side key button unit 110 adjacent to the main body side key button unit 110, and performs an input function and a display function. The touch panel 120 is disposed, the sliding cover 200 has a size corresponding to the main body button button 110, the closed position covering the main button button 110, and the The cover side input key buttons 212 are slidably moved from the closed position to the open position covering a part of the touch panel 120 and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s of the main body side input key buttons 112. The cover side key button unit 210 is provided When the sliding cover 200 is in the closed position, when the cover side input key buttons 212 of the sliding cover 200 are pressed, each of the cover side input key buttons 212 may have a corresponding body side input. An input operation is performed by pressing a key button 112, and the touch panel 120 performs another input function and a display function by the touch pen 2 or the user's hand, and the sliding cover 200 is opened. When it is in the position, pressing the main body side input keys 112 of the exposed main body button button 110, the corresponding input operation is performed, the cover side input key button 212 of the sliding cover 200 When each of the cover side input key buttons 212 is pressed, an input operation is performed by pressing an input point of the touch panel 120 corresponding thereto, and the touch panel 120 which is not covered by the sliding cover 200 is performed. The rest of the It is provided with a communication terminal provided with a touch panel and a double input type sliding cover, characterized in that for performing the display function.

슬라이딩, 휴대폰, 단말기, 커버, 터치패널 Sliding, Mobile Phone, Terminal, Cover, Touch Panel

Description

터치패널과 이중 입력식 슬라이딩 커버가 구비된 통신 단말기{A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touch panel and a double input type sliding cover} A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touch panel and a double input type sliding cover}             

도 1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1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b는 도 1a에서 슬라이딩 커버를 터치패널 측으로 이동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FIG. 1B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sliding cover is moved to the touch panel side in FIG. 1A

도 2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기의 슬라이딩 커버를 설명하기 위한 분리 사시도 Figure 2a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sliding cover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슬라이딩 커버의 조립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Figure 2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ssembled state of the sliding cover shown in Figure 2a

도 2c는 도 2b를 뒤집은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FIG. 2C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of inverting FIG. 2B

도 2d는 도 2b의 A-A 단면도 FIG. 2D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2B

도 2e는 도 2d의 B-B 단면도로서, 슬라이딩 커버와 본체의 미끄럼 운동 결합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FIG. 2E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2D, illustrating a sliding motion coupling structure of the sliding cover and the main body;

도 2f는 슬라이딩 커버와 본체의 미끄럼 운동 결합 구조를 나타내는 요부 측면도 Figure 2f is a main portion side view showing a sliding motion coupling structure of the sliding cover and the main body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2 : 입력 펜 100 : 본체 2: input pen 100: body

110 : 본체측 키버튼부 112 : 본체측 키버튼 110: main body side key button portion 112: main body side key button

120 : 터치패널 130,220 : 센서 120: touch panel 130, 220: sensor

140 : 안내 홈 150 : 탄성돌기 140: guide groove 150: elastic projection

200 : 슬라이딩 커버 210 : 커버측 키버튼부 200: sliding cover 210: cover side key button portion

212 : 커버측 키버튼 230 : 안내돌기 212: key button on the cover side 230: guide protrusion

300 : 외부 커버 302 : 통공 300: outer cover 302: through hole

304 : 삽입돌기 400 : 내부커버 304: insertion protrusion 400: inner cover

402 : 통공 404 : 삽입공 402: through hole 404: insertion hole

500 : 키 조립체 502 : 탄성 가요성 패드 500: key assembly 502: elastic flexible pad

504 : 돌기 506 : 돌출부 504: protrusion 506: protrusion

본 발명은 터치패널과 이중 입력식 슬라이딩 커버가 구비된 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슬라이딩 커버를 본체와 전기.신호적으로 연결하지 않고도 입력키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단말기의 크기와 두께를 줄여 단말기의 소형화를 가능케 함과 아울러, 본체와 커버를 전기.신호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신호선을 없애 단말기의 구조를 단순하게 하면서 전기.신호선의 손상에 의한 단 말기 수명 단축 현상도 없앨 수 있는 터치패널과 이중 입력식 슬라이딩 커버가 구비된 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munication terminal provided with a touch panel and a dual input sliding cover, and more particularly, to perform the role of an input key without connecting the sliding cover to the main body electrically or signally. By reducing the thickness, the terminal can be miniaturized, and the structure of the terminal can be simplified by eliminating the signal lines for connecting the main body and the cover to the electrical and signal, while eliminating the shortening of the terminal life due to the damage of the electrical and signal lines. A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touch panel and a dual input sliding cover is provided.

휴대폰, 피디에이(PDA) 단말기 등의 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슬라이딩 타입 단말기는, 종래의 폴더형 통신 단말기에서 커버를 본체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힌지하여 커버를 회동개폐시키던 것과는 달리, 본체에 대해 커버를 미끄럼 운동시킴으로써 커버의 개폐가 구현되도록 한 형태이다. In a communication terminal such as a mobile phone or a PDA device, the sliding type terminal slides the cover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unlike the conventional folding type communication terminal which hinges the cover to the main body so that the cover is rotated and opened. By opening and closing the cover is implemented to implement.

이러한 슬라이딩 타입 통신 단말기는, 통상적으로, 본체측에는 입력키 버튼을 구비하고, 커버의 표면에는 대형 엘씨디 화면을 구비하고 있어, 커버를 닫은 상태에서도 대형 엘씨디 화면을 활용할 수 있음과 아울러, 입력키가 본체와 커버에 분산배치됨으로써 기존의 바(Bar) 타입 단말기에 비하여 길이를 줄일 수 있고, 엘씨디 화면을 크게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Such a sliding type communication terminal typically has an input key button on the main body side, and a large LCD screen on the surface of the cover, so that the large LCD screen can be utilized even when the cover is closed. By distributing to the cover and the cover can be reduced in length compared to the existing bar type terminal,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LCD screen can be enlarged.

그러나, 상기와 같은 슬라이딩 타입 단말기에 있어서는, 미끄럼운동하는 커버에 엘씨디 화면과 입력키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슬라이딩 커버 내부에 상기 엘씨디 화면과 입력키의 동작을 위한 많은 회로 및 기구적 부품들을 필요로 하게 되어 단말기의 두께가 증가될 수 밖에 없었다. 예를들어, 엘씨디 화면과 입력키의 동작을 위한 인쇄회로기판이 내장되어야 하고, 또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에프피씨비(FPCB,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를 통해 본체측의 메인 인쇄회로기판에 전기.신호적으로 연결하여야 한다. 그러한 까닭에 커버의 두께가 증가되어 단말기를 소형화 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구조가 복잡해지며 비용도 상승된다는 단점이 있었다. However, in the sliding type terminal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sliding screen is provided with an LCD screen and an input key, the sliding cover requires many circuits and mechanical components for the operation of the LCD screen and the input key. As a result, the thickness of the terminal was inevitably increased. For example, a printed circuit board for the operation of the LCD screen and the input keys should be built-in, and the printed circuit board is connected to the main printed circuit board on the main body through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 Should be connected as For this reason, the thickness of the cover is increased, and there are many difficulties in miniaturizing the terminal, as well as the complexity and the cost.

또한, 커버를 완전히 슬라이딩시켜 개방하더라도, 커버의 안정적인 개폐를 위해 커버와 본체가 중첩되는 부분이 차지하는 면적을 크게할 수 밖에 없어 슬라이딩 방식의 이점을 충분히 활용할 수 없었을 뿐만 아니라, 상기한 에프피씨비가 커버의 이동에 따라 굴곡운동을 반복하여 쉽게 손상됨으로써 단말기의 수명이 단축된다는 단점이 있었다. In addition, even if the cover is completely slid to open, the area occupied by the overlapping portion of the cover and the main body can be enlarged for stable opening and closing of the cover, so that the advantages of the sliding method cannot be fully utilized. There was a disadvantage in that the life of the terminal is shortened by repeatedly damaging the bending motion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슬라이딩 커버를 본체와 전기.신호적으로 연결하지 않고도 닫혀있을 때나 열려 있을때나 모두 입력키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단말기의 크기와 두께를 줄여 단말기의 소형화를 가능케 함과 아울러, 본체와 커버를 전기.신호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신호선을 없애 단말기의 구조를 단순하게 하면서 전기.신호선의 손상에 의한 단말기 수명 단축 현상도 없앨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was develop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performing the role of the input key, both when closed or open without connecting the sliding cover to the main body and electrical and signal, By reducing the size and thickness of the terminal,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size of the terminal, and also to simplify the structure of the terminal by eliminating the signal line for connecting the main body and the cover to the signal. To get rid of it.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면에 미끄럼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딩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의 상면 일측에는 다수의 본체측 입력키 버튼들을 가지는 본체측 키버튼부가 배치되고, 상기 본체측 키버튼부에 인접하여서는 상기 본체측 키버튼부보다 길이가 길고, 입력 기능 및 디스플레이 기능을 수행하는 터치 패널이 배치되며, 상기 슬라이딩 커버는, 상기 본체측 키버튼부에 대응한 크기를 가지고, 상기 본체측 키버튼부를 덮는 닫힘 위치와, 상기 닫힘 위치로부터 미끄럼 이동하여 상기 터치 패널의 일부분을 덮는 열림 위치로 왕복 이동가능하며, 상기 본체측 입력키 버튼들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커버측 입력키 버튼들을 가지는 커버측 키버튼부가 구비되어, 상기 슬라이딩 커버가 닫힘 위치에 있을 때에는, 상기 슬라이딩 커버의 커버측 입력키 버튼들을 누르면, 상기 커버측 입력키 버튼들 각각은 그에 대응하는 본체측 입력키 버튼을 눌러 입력 동작이 수행되고, 상기 터치 패널은 터치 펜이나 사용자의 손 등에 의한 또 다른 입력 기능과 디스플레이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슬라이딩 커버가 열림 위치에 있을 때에는, 노출된 상기 본체측 키버튼부의 본체측 입력키들을 누르면 그에 대응하는 입력 동작이 수행되고, 상기 슬라이딩 커버의 커버측 입력키 버튼들을 누르면, 상기 커버측 입력키 버튼들 각각은 그에 대응하는 터치 패널의 입력 지점을 눌러 입력 동작이 수행되고, 상기 슬라이딩 커버에 의해 가려지지 않은 상기 터치 패널의 나머지 부분은 디스플레이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과 이중 입력식 슬라이딩 커버가 구비된 통신 단말기가 제공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and a sliding cover which is slidably coupl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a main body side key button having a plurality of main body side input key buttons on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a touch panel configured to have a length longer than that of the main body side key button unit and to perform an input function and a display function, wherein the sliding cover is disposed on the main body side key button unit. It has a corresponding size, and can be reciprocated to a closed position covering the main body side key button portion, and a sliding position from the closed position to an open position covering a portion of the touch panel,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main body side input key buttons A cover side key button portion having cover side input key buttons in a position is provided, so that the sliding cover is closed When the cover side input key buttons of the sliding cover are pressed, each of the cover side input key buttons presses a corresponding body side input key button to perform an input operation, and the touch panel is operated by a touch pen or a user. Another input function and a display function by a hand, etc. are performed, and when the sliding cover is in the open position, pressing the exposed main body input keys of the key button portion of the main body side performs the corresponding input operation, and the sliding cover When the cover side input key buttons are pressed, each of the cover side input key buttons presses an input point of a touch panel corresponding thereto, and an input operation is performed, and the remaining portion of the touch panel not covered by the sliding cover is displayed. Touch panel and dual input sliding cursor, characterized in that performing the function A communication terminal is provided.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은, 슬라이딩 커버의 커버측 입력키 버튼을 누름에 따라 본체측 키버튼이 눌려 동작되거나, 터치 패널이 눌려져 동작되므로, 본체와 슬라이딩 커버를 전기,신호적으로 연결할 필요가 없고, 그에 따라 단말기의 크기와 두께를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그렇기 때문에 본체와 커버를 전기.신호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신호선이 필요없으므로 단말기의 구조가 단순하게 이루어지면서 전기.신호선의 손상에 의해 단말기의 수명이 단축되는 현상도 발생치 않게 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the main body key button is pressed or operated by pressing the cover side input key button of the sliding cover, or the touch panel is pressed, it is necessary to connect the main body and the sliding cover electrically, signally Thereby,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size and thickness of the terminal accordingly. In addition, since there is no need for a signal line for electrically and signally connecting the main body and the cover, the structure of the terminal is simplified and the life of the terminal is shortened due to the damage of the electric / signal line.

상기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커버가 닫힘 위치에 있을 때에는, 제1입력수단인 상기 본체측 키버튼부에 대하여는 상기 본체측 키버튼부에 고유하게 설정된 제1입력모드로부터 제3입력수단인 상기 커버측 키버튼부에 고유하게 설정된 제3입력모드로 전환되어, 상기 슬라이딩 커버의 커버측 입력키 버튼에 의하여 상기 본체측 입력키 버튼이 눌려져 입력동작이 수행되면 단말기는 상기 커버측 입력키 버튼에 대응하는 제3입력신호로 판단하여 처리하고, 제2입력수단인 상기 터치 패널에 대하여는 그에 고유하게 설정된 제2입력모드로 전환되어 상기 터치 패널의 입력 지점을 터치 펜이나 손가락 등으로 누르면 상기 터치 패널에 대응하는 제2입력신호로 판단하여 처리하며,
상기 슬라이딩 커버가 열림 위치에 있을 때에는, 제1입력수단인 상기 본체측 키버튼부에 대하여는 본체측 키버튼부에 고유하게 설정된 제1입력모드로 전환되어 상기 본체측 입력키 버튼을 누르면 단말기는 상기 본체측 입력키 버튼에 대응하는 제1입력신호로 판단하여 처리하고, 터치 패널에 대하여는 제2입력모드로부터 제3입력모드로 전환되어 상기 슬라이딩 커버의 커버측 입력키 버튼에 의하여 터치 패널의 입력 지점이 눌려져 입력동작이 수행되면 단말기는 상기 커버측 입력키 버튼에 대응하는 제3입력신호로 판단하여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when the sliding cover is in the closed position, the main body side key button portion, which is the first input means, is the third input means from the first input mode set uniquely to the main body side key button portion. When the main body side input key button is pressed by the cover side input key button of the sliding cover and the input operation is performed by switching to the third input mode uniquely set to the cover side key button part, the terminal inputs the cover side input key button. The touch panel, which is determined as a third input signal corresponding to, is processed, and the touch panel, which is a second input means, is switched to a second input mode uniquely set therein, and when the input point of the touch panel is touched with a touch pen or a finger, Determine and process the second input signal corresponding to the panel;
When the sliding cover is in the open position, the main body side key button portion, which is the first input means, is switched to a first input mode uniquely set to the main body side key button portion, and when the main body side input key button is pressed, the terminal is operated. It is determined by the first input signal corresponding to the main body side input key button, and processed. The touch panel is switched from the second input mode to the third input mode, and the input point of the touch panel is controlled by the cover side input key button of the sliding cover. When the input operation is pressed when the terminal is pressed, the terminal determines that the third input signal corresponding to the cover side input key button is processed.

여기서, 상기 슬라이딩 커버는, 상기 다수의 커버측 키버튼에 대응하는 다수의 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외부 커버와; 상기 외부 커버 내측에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본체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다수의 본체측 키버튼에 대응하는 다수의 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내부 커버와; 상기 외부 커버와 내부 커버 사이에 개재되며, 탄성 가요성의 패드 상면에 상기 다수의 커버측 키버튼이 형성되고, 상기 커버측 키버튼에 대응하는 가요성 패드의 하면에 상기 내부 커버의 통공을 통과하여 상기 본체측 키버튼을 눌러 동작시킴과 더불어 상기 터치 패널을 눌러 입력시킬 수 있는 다수의 돌기를 가지는 키 조립체로 구성될 수 있다. The sliding cover may include: an outer cover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cover side key buttons; An inner cover coupled to the inner cover and slidably coupled to the main body and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main body side key buttons; The cover is interposed between the outer cover and the inner cover, the plurality of cover side key buttons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elastic flexible pad, and through the through hole of the inner cover through the lower surface of the flexible pad corresponding to the cover side key button The key assembly may include a key assembly having a plurality of protrusions which can be operated by pressing the key button on the main body side and pressing the touch panel.

그리고, 상기 키 조립체의 탄성 가요성 패드 하면에는 다수의 돌출부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탄성 가요성 패드로 하여금 상기 내부 커버로부터 일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다수의 돌기가 눌려졌다가 원활히 복귀되도록 할 수 있다. In addition, a plurality of protrusions ar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elastic flexible pad of the key assembly, thereby allowing the elastic flexible pad to maintai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inner cover, so that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can be pressed and returned smoothly. have.

또한, 상기 본체와 상기 슬라이딩 커버에는, 상기 슬라이딩 커버가 닫힘 위치와 열림 위치에 있음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main body and the sliding cover, may be provided with a sensor for detecting that the sliding cover in the closed position and the open position.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대한 상기 슬라이딩 커버의 미끄럼 이동 구성은, 상기 본체의 양측면에 안내 홈이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 커버에는 안내 돌 기가 형성되어, 상기 안내돌기를 상기 안내 홈에 미끄럼운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방식으로 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liding structure of the sliding cover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guide grooves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main body, guide protrusions are formed on the sliding cover, and the guide protrusion can slide on the guide groove. Can be combined in a simple manner.

여기서, 상기 안내 홈에는 상기 슬라이딩 커버가 닫힘 위치와 열림 위치에서 소정의 힘으로 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탄성돌기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슬라이딩 커버의 안내 돌기가 상기 탄성돌기를 탄성적으로 타고넘어 닫힘위치와 열림위치에 안정적으로 걸려 있도록 할 수 있다. Here, the guide groove is formed in the guide groove to the elastic cover to be fixed with a predetermined force in the sliding position and the closed position, the guide protrusion of the sliding cover elastically rides over the elastic protrusion in the closed position and open It can be reliably hung in position.

이하,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첨부도면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기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도 1a에는 전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b에는 도 1a에서 슬라이딩 커버를 터치패널 측으로 이동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1 is a view illustrating a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FIG. 1A is an overall perspective view, and FIG. 1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liding cover is moved to the touch panel side in FIG. 1A. have.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단말기는, 본체(100) 및 이 본체(100)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딩 커버(200)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S. 1A and 1B, th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100 and a sliding cover 200 slidably coupled to the main body 100.

상기 본체(100)의 상면에는, 임의의 제1입력수단으로서 다수의 본체측 입력키 버튼(112)을 가지는 본체측 키버튼부(110)가 배치되고, 상기 본체측 키버튼부(110)에 인접하여서는 임의의 제2입력수단 및 디스플레이 수단으로서의 터치 패널(120)이 배치된다.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0, a main body side key button portion 110 having a plurality of main body side input key buttons 112 as an arbitrary first input means is disposed, and on the main body side key button portion 110; Adjacent second input means and touch panel 120 as display means are arranged.

상기 슬라이딩 커버(200)는, 상기 본체측 키버튼부(110)에 대응한 크기를 가져 상기 본체(100)에 미끄럼 이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슬라이딩 커버(200)는, 상기 본체측 키버튼부(110)를 덮는 닫힘 위치와, 상기 터치 패널(120)의 일부분을 덮는 열림 위치로 미끄럼 왕복 이동된다. The sliding cover 200 has a size corresponding to the main body side key button unit 110 and is slidably coupled to the main body 100. The sliding cover 200 is slidably reciprocated to a closed position covering the main body side key button unit 110 and an open position covering a portion of the touch panel 120.

상기 슬라이딩 커버(200)에는, 상기 본체측 입력키 버튼(112)들의 위치에 각각 대응하는 제3입력수단으로서의 커버측 입력키 버튼(212)들을 가지는 커버측 키버튼부(210)가 구비된다. The sliding cover 200 is provided with a cover side key button portion 210 having cover side input key buttons 212 as third input means respectively corresponding to positions of the main body side input key buttons 112.

상기 슬라이딩 커버(200)가 본체측 키버튼부(110)위에 위치하는 닫힘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커버측 입력키 버튼(212)들을 누르면, 상기 커버측 입력키 버튼(212)들 각각은 그에 대응하는 본체측 입력키 버튼(112)을 눌러 입력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슬라이딩 커버(200)가 상부로 미끄럼 이동하여 터치 패널(120)의 일부를 덮고 있는 열림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커버측 입력키 버튼(212)들을 누르면, 상기 커버측 입력키 버튼(212)들 각각은 그에 대응하는 터치 패널(120)의 입력 지점을 눌러 입력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When the sliding cover 200 is in the closed position positioned on the main body side key button unit 110, when the cover side input key buttons 212 are pressed, each of the cover side input key buttons 212 corresponds to it. The main body side input key button 112 is pressed to perform an input operation. In addition, when the sliding cover 200 is in an open position that slides upward and covers a part of the touch panel 120, when the cover side input key buttons 212 are pressed, the cover side input key button 212 is pressed. Each of them is configured to perform an input operation by pressing an input point of the touch panel 120 corresponding thereto.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슬라이딩 커버(200)가 닫힘 위치에 있을 때에는, 상기 슬라이딩 커버(200)의 커버측 키버튼부(210)는 상기 본체측 키버튼부(110)가 고유하게 가지는 제1입력수단에 대한 입력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본체측 키버튼부(110)를 매개로 상기 제1입력수단과는 다른 임의의 제3입력수단에 대한 입력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고, 상기 터치 패널(120)은 터치 펜(2)이나 손가락 등을 통한 그 고유의 제2입력수단에 대한 입력 기능과 디스플레이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다. Preferably, when the sliding cover 200 is in the closed position, the cover side key button portion 210 of the sliding cover 200 may have the first input means unique to the body side key button portion 110. Rather than performing an input function for the third input means other than the first input means via the main body side key button unit 110, the touch panel 120 is performed. ) Is to perform an input function and a display function for its own second input means through the touch pen 2 or a finger.

또한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슬라이딩 커버(200)가 열림 위치에 있을 때에는, 노출되어 있는 상기 본체측 키버튼부(110)는 그 고유의 제1입력수단에 대한 입력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슬라이딩 커버(200)의 커버측 키버튼부(210)는 그가 덮고 있는 상기 터치 패널(120)의 일부분을 사용하여 상기 제3입력수단에 대한 입력 역할을 수행함과 동시에, 상기 슬라이딩 커버(200)에 의해 가져지지 않은 터치 패널(120)의 나머지 부분은 디스플레이 역할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다. Also preferably, when the sliding cover 200 is in the open position, the exposed main body side key button unit 110 performs an input function for its own first input means, and the sliding cover ( The cover side key button portion 210 of the 200 serves as an input to the third input means by using a portion of the touch panel 120 covered by the cover side, and is not carried by the sliding cover 200. The remaining part of the touch panel 120 is to serve as a display.

즉, 상기 슬라이딩 커버(200)가 상기 본체측 키버튼부(110)에 위치하는 닫힘 위치에 있을 때에는, 단말기는 제1입력수단인 본체측 키버튼부(110)에 해당하는 제1입력모드로부터 상기 제3입력수단인 커버측 키버튼부(210)에 해당하는 제3입력모드로 전환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하면, 슬라이딩 커버(200)의 커버측 입력키 버튼(212)에 의하여 본체측 입력키 버튼(112)이 눌려질 때, 단말기는 상기 본체측 입력키 버튼(112)이 고유하게 가지는 입력신호(제1입력신호라고 함)가 아닌(즉, 본체측 입력키 버튼(112)에 설정된 제1입력신호와는 다른) 상기 커버측 입력키 버튼(212)이 고유하게 가지는 입력신호(제3입력신호라고 함)로 받아들이게 된다. 예를들어, 상기 본체측 입력키 버튼(112)들이 숫자와 문자키로 이루어지고(제1입력수단/제1입력모드), 슬라이딩 커버(200)의 커버측 입력키 버튼(212)들이 네비게이션 키(Navigation key) 및 기능키(Funtion key)(제3입력수단/제3입력모드)로 이루어져 있다고 가정할 때, 상기 커버측 입력키 버튼(212)을 누르는 경우, 최종적으로는 본체측 입력키 버튼(112)이 눌려지게 되지만, 본체측 키버튼부(210)에 대한 입력모드가 제1입력모드로부터 제3입력모드로 전환되어 있으므로, 단말기는 네비게이션 키 및 기능키에 대한 입력으로 판단하여 처리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터치 패널(120)은 제2입력수단에 대한 제2입력모드로 전환되어 상기 터치 패널(120)의 입력지점을 터치 펜(2)이나 손가락 등으로 누르는 경우 터치 패널(120)이 가지는 고유의 제2입력수단에 의한 제2입력신호로 받아들여 처리함과 아울러 디스플레이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That is, when the sliding cover 200 is in the closed position located in the main body side key button unit 110, the terminal is moved from the first input mode corresponding to the main body side key button unit 110 as the first input means. Switch to the third input mode corresponding to the cover side key button unit 210 which is the third input means. With such a configuration, when the main body side input key button 112 is pressed by the cover side input key button 212 of the sliding cover 200, the terminal has the main body side input key button 112 uniquely. An input signal unique to the cover side input key button 212 that is not an input signal (referred to as a first input signal) (i.e., different from the first input signal set on the main body side input key button 112). 3 input signal). For example, the main body side input key buttons 112 are composed of numeric and letter keys (first input means / first input mode), and the cover side input key buttons 212 of the sliding cover 200 are navigation keys ( Assuming that the cover side input key button 212 is pressed, assuming that the navigation key) and a function key (third input means / third input mode) are used, the main body side input key button ( 112 is pressed, but since the input mode for the main body key button unit 210 is switched from the first input mode to the third input mode, the terminal determines that the input to the navigation key and the function key is processed. .
In addition, when the touch panel 120 is switched to the second input mode for the second input means and presses the input point of the touch panel 120 with the touch pen 2 or the finger, the touch panel 120 has It accepts and processes the second input signal by the unique second input means and performs a display function.

마찬가지로, 상기 슬라이딩 커버(200)가 상기 터치 패널(120) 위로 이동된 열림 위치해 있을 때에는, 상기 본체측 키버튼부(110)에 대하여는 그 고유의 제1입력모드로 전환하여 제1입력수단에 의한 입력기능을 수행하도록 하고, 단말기는 본체측 입력키 버튼(112)으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전술한 제3입력수단에 대한 제3입력모드로부터 제1입력수단에 대한 제1입력모드로 전환된다.
그리고, 터치 패널(120)은 제2입력수단에 대응한 제2입력모드에서 제3입력수단에 대응한 제3입력모드로 전환된다. 따라서, 터치 패널(120)위로 이동된 슬라이딩 커버(200)의 커버측 입력키 버튼(212)중 하나를 누르면, 그 지점에 해당되는 터치 패널(120) 부분이 커버측 입력키 버튼(212)에 의해 터치되고(눌려져), 단말기는 그 터치되는 신호를 커버측 키버튼부(210)에 설정된 제3입력수단에 해당되는 제3입력신호로 받아들인다.
Similarly, when the sliding cover 200 is positioned in an open position moved above the touch panel 120, the main button button 110 of the main body side is switched to its own first input mode and is moved by the first input means. In order to perform an input function, the terminal switches the signal input from the main body side input key button 112 from the above-described third input mode for the third input means to the first input mode for the first input means.
The touch panel 120 is switched from the second input mod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input means to the third input mode corresponding to the third input means. Therefore, when one of the cover side input key buttons 212 of the sliding cover 200 moved on the touch panel 120 is pressed, a portion of the touch panel 120 corresponding to the point is applied to the cover side input key button 212. Touched (pressed), the terminal receives the touched signal as a third input signal corresponding to the third input means set on the cover side key button unit 210.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기와 같은 입력모드의 전환을 위하여 상기 본체(100)와 상기 슬라이딩 커버(200)에 센서(130)(220)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슬라이딩 커버(200)가 닫힘 위치에 있는지, 아니면 열림 위치에 있는지를 감지하여 단말기의 제어부(도시생략)에 감지 신호를 인가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센서(130)(220)는 마그네틱 센서, 리미트 스위치, 광센서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In the embodiment shown in the figure, the sensor 130, 220 is provided in the main body 100 and the sliding cover 200 to switch the input mode as described above, the sliding cover 200 is closed position It is detected whether or not in the open position or to apply a detection signal to the control unit (not shown) of the terminal. Here, the sensor 130, 220 may be made of a magnetic sensor, a limit switch, an optical sensor.

첨부도면 도 2a 내지 도 2f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커버(200)의 구조 및 상기 슬라이딩 커버(200)의 본체(100)에 대한 미끄럼 이동 결합 구조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도 2a에는 분리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b에는 도 2a에 조립 상태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2c에는 도 2b를 뒤집은 상태에 대한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2d에는 도 2b의 A-A 단면도가, 도 2e는 도 2d의 B-B 단면도가, 그리고 도 2f에는 슬라이딩 커버와 본체의 미끄럼 운동 결합 구조를 나타내는 요부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2A to 2F illustrate a structure of a sliding cover 200 and a sliding movement coupling structure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100 of the sliding cover 2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B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assembled state in FIG. 2A, FIG. 2C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inverted state of FIG. 2B, FIG. 2D is a cross-sectional view of FIG. 2B, and FIG. 2E is FIG. 2D BB is a cross-sectional view, and FIG. 2F shows a main portion side view showing the sliding structure of the sliding cover and the main body.

도 2a 내지 도 2f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커버(200)는, 외부 커버(300), 내부 커버(400) 및 키 조립체(5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As shown in FIGS. 2A to 2F, the sliding cover 200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outer cover 300, an inner cover 400, and a key assembly 500.

상기 외부 커버(300)에는, 상기 다수의 커버측 입력키 버튼(212)에 대응하는 다수의 통공(302)이 형성되어 있다. The outer cover 300 has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302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cover side input key buttons 212.

상기 내부 커버(400)는, 상기 외부 커버(300) 내측에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본체(100)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다수의 본체측 입력키 버튼(112)에 대응하는 다수의 통공(402)이 형성되어 있다. The inner cover 400 is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outer cover 300 and slidably coupled to the main body 100, and includes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main body side input key buttons 112 ( 402 is formed.

상기 키 조립체(500)는, 상기 외부 커버(300)와 내부 커버(400) 사이에 개재되며, 탄성 가요성의 패드(502) 상면에 상기 다수의 커버측 입력키 버튼(212)이 형성되고, 상기 커버측 입력키 버튼(212)에 대응하는 탄성 가요성 패드(502)의 하면에 상기 내부 커버(400)의 통공(402)을 통과하여 상기 본체측 입력키 버튼(112)을 눌러 동작시킴과 더불어 상기 터치 패널(120)을 눌러 입력시킬 수 있는 다수의 돌기(504)가 형성되어 있다. The key assembly 500 is interposed between the outer cover 300 and the inner cover 400, the plurality of cover side input key button 212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elastic flexible pad 502, Passing through the through hole 402 of the inner cover 400 to the lower surface of the elastic flexible pad 502 corresponding to the cover side input key button 212, and press the main body side input key button 112 to operate A plurality of protrusions 504 are formed to press and input the touch panel 120.

여기서, 상기 탄성 가요성 패드(502)는 탄성을 가지는 고무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커버측 키버튼(212)은 상기 탄성 가요성 패드(502)에 본딩 등의 방법으로 접착될 수 있다. The elastic flexible pad 502 may be formed of a rubber material having elasticity, and the cover side key button 212 may be bonded to the elastic flexible pad 502 by bonding or the like.

또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키 조립체(500)의 탄성 가요성 패드(502) 하면에 돌출부(506)가 형성되어 있다. 이 돌출부(504)는, 상기 탄성 가요성 패드(502)로 하여금 상기 내부 커버(400)로부터 일정 간격을 유지함으로써 상기 다수의 돌기(504)가 눌려졌다가 원활히 복귀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In addition, in the embodiment shown in the figure, the protrusion 506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elastic flexible pad 502 of the key assembly 500. The protrusion 504 serves to allow the elastic flexible pad 502 to be pressed and returned smoothly by maintaining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inner cover 400.

그리고, 상기 본체(100)에 대한 상기 슬라이딩 커버(200)의 미끄럼 이동 구성은, 상기 본체(100)의 양측면에 안내 홈(140)이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 커버(200)에는 상기 안내 홈(140)에 미끄럼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안내 돌기(230)가 형성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안내 돌기(230)는 상기 내부커버(400)의 측면 내측에 형성되어 있다. In the sliding configuration of the sliding cover 200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100, guide grooves 140 are formed at both side surfaces of the main body 100, and the guide groove 140 is formed in the sliding cover 200. It consists of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guide protrusion 230 is coupled to be slidably). In the embodiment shown in the figure, the guide protrusion 230 is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inner cover 400.

또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안내 홈(140)에는 상기 슬라이딩 커버(200)가 닫힘 위치와 열림 위치에서 소정의 힘으로 고정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슬라이딩 커버(200)의 안내 돌기(230)가 탄성적으로 타고넘어 걸리도록 하는 탄성돌기(150)가 형성되어 있다. In addition, in the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 the guide projections 230 of the sliding cover 200 in order to be fixed to the guide groove 140 with a predetermined force in the closed position and the open position. The elastic protrusion 150 is formed to hang over elastically.

한편, 상기 외부 커버(300)와 내부 커버(400)의 결합은, 외부 커버(300)의 양측에 삽입 돌기(304)가 형성되고, 상기 내부 커버(400)의 양측에는 삽입공(404)이 형성되어, 상기 삽입공(404)에 상기 삽입돌기(304)가 삽입되는 방식으로 결합된다. On the other hand, the coupling of the outer cover 300 and the inner cover 400, the insertion projections 304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outer cover 300, the insertion hole 404 on both sides of the inner cover 400 Is formed, is coupled in such a way that the insertion protrusion 304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404.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슬라이딩 커버(200)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닫혀 있는 닫힘 위치에서, 슬라이딩 커버(200)를 터치 패널(120)이 있는 방향으로 밀면, 슬라이딩 커버(200)의 안내돌기(230)가 본체(100)의 안내 홈(140)을 따라 미끄럼 이동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패널(120)을 덮는 열림 위치로 이동된다. 구체적으로는, 슬라이딩 커버(200)의 내부 커버(400)에 형성된 안내 돌기(230)가 본체(100)의 안내 홈(140)을 따라 이동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liding cover 200 is push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touch panel 120 is located in the closed position in which the sliding cover 200 is closed as shown in FIG. The guide protrusion 230 slides along the guide groove 140 of the main body 100 and moves to an open position covering the touch panel 120, as shown in FIG. 2. Specifically, the guide protrusion 230 formed on the inner cover 400 of the sliding cover 200 moves along the guide groove 140 of the main body 100.

이때, 상기 슬라이딩 커버(200)가 이동되는 말미에서는, 상기 슬라이딩 커버(200)의 일측 안내돌기(230)가 본체(100)의 안내홈(140) 일측에 형성된 탄성돌기(150)를 탄성적으로 타고 넘어가 걸리게 됨으로써, 슬라이딩 커버(200)로 하여금 임의적 이탈없이 안정적인 열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In this case, at the end of the sliding cover 200 is moved, one side guide protrusion 230 of the sliding cover 200 elastically elastically elastic protrusion 150 formed on one side of the guide groove 140 of the main body 100 By riding over, the sliding cover 200 is to maintain a stable open state without any departure.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슬라이딩 커버(200)를 다시 본체측 키버튼부(110) 방향으로 밀면, 상기 슬라이딩 커버(200)의 안내돌기(230)가 본체(100)의 안내홈(140)에 형성된 탄성돌기(150)를 반대 방향으로 타고 넘어, 상기 안내홈(140)을 역방향으로 이동하여 본체측 키버튼부(110)로 이동된다. 상기 슬라이딩 커버(200)의 이동 말미에서는,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슬라이딩 커버(200)의 타측 안내돌기(230)가 안내홈(140)의 타측에 형성된 탄성돌기(150)를 타고 넘어가 안정적으로 걸리게 된다. In the above state, when the sliding cover 200 is pushed in the direction of the main body button button 110 again, the guide protrusion 230 of the sliding cover 200 is formed in the guide groove 140 of the main body 100. Riding the elastic protrusion 150 in the opposite direction, the guide groove 140 is moved in the reverse direction to the main body button button 110. At the end of the movement of the sliding cover 200, as described above, the other guide projection 230 of the sliding cover 200 is stably hung over the elastic protrusion 150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guide groove 140. .

그리고, 상기 커버측 입력키 버튼(212)를 누르면, 도 2d를 통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탄성 가요성 패드(502)의 돌기(504)가 아래로 눌려져서 내부커버(400)의 통공(402)으로부터 돌출된다. 또한 상기 커버측 입력키 버튼(212)에 대한 누름을 해제하면 탄성 가요성 패드(502)의 하면에 형성된 돌출부(506)의 지지에 따른 탄성 가요성 패드(502)의 복원력에 의해 원상태로 복귀된다. When the cover side input key button 212 is pressed, as shown in FIG. 2D, the protrusion 504 of the elastic flexible pad 502 is pushed down so that the through hole 402 of the inner cover 400 is pressed. Protrude from). In addition, when the cover side input key button 212 is released, the restoring force of the elastic flexible pad 502 according to the support of the protrusion 506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elastic flexible pad 502 is returned to its original state. .

상기와 같이 돌기(504)가 눌려져서 내부커버(400)의 통공(402)으로부터 돌출되면, 상기 돌기(504)는 본체측 입력키 버튼(112)을 눌러 입력 동작을 행하거나, 터치 패널(120)의 해당 지점을 눌러 입력 동작을 행할 수 있게 된다. When the protrusion 504 is pressed as described above to protrude from the through hole 402 of the inner cover 400, the protrusion 504 presses the main body side input key button 112 to perform an input operation or the touch panel 120. The input operation can be performed by pressing the corresponding point of).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는, 본체(100)와 슬라이딩 커버(200)를 전기,신호적으로 연결할 필요가 없어, 그에 따라 단말기의 크기와 두께를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은 이유로 인해, 본체와 커버를 전기.신호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신호선이 필요 없으므로 단말기의 구조가 단순하게 이루어지면서 전기.신호선의 손상에 의해 단말기의 수명이 단축되는 현상도 발생치 않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body 100 and the sliding cover 200 do not need to be electrically and signally connected, thereby reducing the size and thickness of the terminal. In addition, since the signal line for connecting the main body and the cover to the electrical and signal is not necessary, the structure of the terminal is simplified and the life of the terminal is not shortened due to the damage of the electrical and signal lines. .

한편, 상기 슬라이딩 커버(200)의 닫힘 위치와 열림 위치는 본체(100)와 슬라이딩 커버(200)에 구비된 센서(130)(220)에 의하여 감지된다. Meanwhile, the closed position and the open position of the sliding cover 200 are detected by the sensors 130 and 220 provided in the main body 100 and the sliding cover 200.

만일, 상기 슬라이딩 커버(200)가 닫힘 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센서(130)(220)에 의한 감지신호가 단말기의 제어부로 인가되면, 제어부는 상기 본체측 입력키 버튼(112)으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제3입력수단인 커버측 입력키 버튼(212)에 해당하는 입력 신호로 인식하도록, 제1입력수단에 대한 제1입력모드에서 제3입력수단에 대한 제3입력모드로 전환한다. If the detection signal by the sensors 130 and 220 is applied to the control unit of the terminal when the sliding cover 200 is in the closed position, the control unit receives a signal input from the main body side input key button 112. Is switched from the first input mode for the first input means to the third input mode for the third input means so as to be recognized as an input signal corresponding to the cover side input key button 212 that is the third input means.

예를들어, 제1입력수단인 상기 본체측 입력키 버튼(112)들이 숫자와 문자키로 이루어지고, 제1입력모드는 해당 숫자와 문자키를 인식하도록 설정되어 있으며, 또한, 제3입력수단인 상기 슬라이딩 커버(200)의 커버측 입력키 버튼(212)들이 네비게이션 키(Navigation key) 및 기능키(Funtion key)로 이루어지고, 제3입력모드는 해당 네비게이션 및 기능 들을 인식하도록 설정되어 있다고 가정할 때, 상기 커버측 입력키 버튼(212)을 누르는 경우, 커버측 입력키 버튼(212)에 의해 물리적으로는 본체측 입력키 버튼(112)이 눌려지게 되지만, 본체측 키버튼부(210)에 대한 입력모드가 제1입력모드로부터 제3입력모드로 전환되어 있으므로, 단말기는 네비게이션 키 및 기능키에 대한 입력 즉, 제3입력수단에 의한 입력으로 판단하여 처리하게 된다. For example, the main body side input key buttons 112, which are first input means, are composed of numbers and letter keys, and the first input mode is set to recognize the corresponding numbers and letter keys. It is assumed that the cover side input key buttons 212 of the sliding cover 200 are composed of a navigation key and a function key, and the third input mode is set to recognize corresponding navigation and functions. In this case, when the cover side input key button 212 is pressed, the main body side input key button 112 is physically pressed by the cover side input key button 212, but the main body side key button unit 210 is pressed. Since the Korean input mode is switched from the first input mode to the third input mode, the terminal determines that the input to the navigation key and the function key, that is, the input by the third input means, is processed.

이 때, 상기 터치 패널(120)은 제2입력모드로 전환되어 터치 펜(2)이나 사용자의 손가락 등의 접촉수단을 통한 임의의 제2입력수단에 대한 입력 기능을 수행하고, 동시에 디스플레이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At this time, the touch panel 120 is switched to the second input mode to perform an input function for any second input means through the contact means such as the touch pen 2 or the user's finger, and at the same time, serves as a display. Will be performed.

이와는 달리, 상기 슬라이딩 커버(200)가 열림 위치에 있을 때에는, 단말기는 상기 본체측 입력키 버튼(112)을 통하여 입력되는 신호를, 그에 고유하게 부여된 제1입력수단에 대한 제1입력신호로 인식하도록 사전에 설정된 제1입력모드로 전환한다. 이와 동시에 상기 터치 패널(12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는, 제2입력수단인 터치 패널(120)에 대한 제1입력신호가 아니라, 상기 슬라이딩 커버(200)에 고유하게 부여된 제3입력수단에 대한 제3입력신호로 인식하도록 사전에 설정된 제3입력모드로 전환한다. 따라서, 슬라이딩 커버(200)의 커버측 입력키 버튼(212)을 누르면, 커버측 입력키 버튼(212)은 터치 패널(120)의 해당 지점을 누르게 되고, 터치 패널(120)의 해당 지점이 눌려져서 발생한 신호는, 터치 패널(120)에 고유하게 부여된 제2입력신호가 아니라 제3입력모드에 따른 제3입력신호로 판단하여 처리한다. On the contrary, when the sliding cover 200 is in the open position, the terminal transmits a signal input through the main body side input key button 112 as a first input signal to the first input means uniquely assigned thereto. Switch to the first input mode that is set in advance to recognize. At the same time, the signal input from the touch panel 120 is not the first input signal to the touch panel 120 which is the second input means, but to the third input means uniquely provided to the sliding cover 200. Switch to the third input mode which is set in advance so as to be recognized as the third input signal. Accordingly, when the cover side input key button 212 of the sliding cover 200 is pressed, the cover side input key button 212 presses a corresponding point of the touch panel 120, and a corresponding point of the touch panel 120 is pressed. The generated signal is determined as a third input signal according to the third input mode, not a second input signal uniquely provided to the touch panel 120, and processed.

예를들어, 제1입력수단인 상기 본체측 입력키 버튼(112)들이 숫자와 문자키로 이루어지고, 그에 따라 제1입력모드는 해당 숫자와 문자키를 인식하도록 설정되어 있으며, 상기 슬라이딩 커버(200)측 입력키 버튼(212)들이 네비게이션 키 및 기능키로 이루어지고, 그에 따라 제3입력모드는 해당 네비게이션 및 기능키들에 의한 신호로 인식하도록 설정되어 있다고 가정할 때, 단말기는 상기 본체측 입력키 버튼(112)들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는 숫자와 문자키에 대한 제1입력신호로 판단하여 처리한다. 또한, 상기 커버측 입력키 버튼(212)을 누르는 경우, 커버측 입력키 버튼(212)에 의해 물리적으로는 터치 패널(120)의 해당 지점이 눌려지게 되지만, 터치 패털(120)에 대한 입력모드가 제2입력모드로부터 제3입력모드로 전환되어 있으므로, 단말기는 네비게이션 키 및 기능키에 대한 입력 즉, 제3입력수단에 의한 입력으로 판단하여 처리하게 된다. For example, the main body-side input key buttons 112, which are first input means, are composed of numbers and letter keys. Accordingly, the first input mode is set to recognize the corresponding numbers and letter keys, and the sliding cover 200 Assuming that the side input key buttons 212 are composed of a navigation key and a function key, and thus the third input mode is set to recognize the signals by the corresponding navigation and function keys, the terminal inputs the main body side input key button. The signals inputted from 112 are determined to be first input signals for numbers and character keys and processed. In addition, when the cover side input key button 212 is pressed, the corresponding point of the touch panel 120 is physically pressed by the cover side input key button 212, but the input mode for the touch panel 120 is pressed. Since is switched from the second input mode to the third input mode, the terminal determines that the input to the navigation key and the function key, that is, the input by the third input means, is processed.

이상에서는 첨부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가 상세하게 설명되었으나, 이는 하나의 예시에 불과한 것이며,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가 가능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는 본 발명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In the foregoing description,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but this is only an example and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n additio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withi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uch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It goes without saying that it belongs to the appended claims of the invention.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는, 슬라이딩 커버에 구비되는 커버측 입력키 버튼들이 단순히 본체측의 입력키 버튼과 터치 패널을 눌러주어, 본체측의 입력키 버튼과 터치패널을 매개로 입력 기능이 수행되도록 되어 있으므로, 본체와 슬라이딩 커버를 전기,신호적으로 연결할 필요가 없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ver-side input key buttons provided on the sliding cover simply press an input key button and a touch panel on the main body side, and an input function is provided through the input key button and the touch panel on the main body side. Since it is to be carried out, there is no need to electrically and signally connect the main body and the sliding cover.

종래의 슬라이딩 타입 통신 단말기에는, 슬라이딩 커버에 엘씨디 화면과 입력키(네비게이션 키 또는/및 기능키)가 구비되어 있었으므로, 슬라이딩 커버 내부에 상기 엘씨디 화면과 입력키의 동작을 위한 인쇄회로기판 등의 회로적 및 기구적 부품들을 내장하여야 하고, 이들은 본체측과 전기,신호적으로 연결하여야 함으로써, 단말기의 두께가 증가되고, 구조가 복잡해지며 비용도 상승된다는 단점이 있었다. In the conventional sliding type communication terminal, an LCD screen and an input key (navigation key and / or a function key) are provided on the sliding cover, so that a printed circuit board for operating the LCD screen and the input key is provided inside the sliding cover. The circuit and mechanical parts must be embedded, and they must be electrically and signally connected to the main body side, thereby increasing the thickness of the terminal, increasing the complexity of the structure, and increasing the cost.

그러나, 본 발명에 있어서는, 본체와 슬라이딩 커버를 전기,신호적으로 연결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종래에 슬라이딩 커버에 내장되었던 인쇄회로기판 등의 부품이 필요 없게 됨으로써, 단말기의 구조가 단순해 지고, 단말기의 크기와 두께를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main body and the sliding cover do not need to be electrically and signally connected, components such as a printed circuit board, which are conventionally incorporated in the sliding cover, are not required, thereby simplifying the structure of the terminal.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reduced in size and thickness.

또한, 상기와 같은 이유로 인해, 본체와 커버를 전기.신호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신호선도 필요 없으므로, 전기.신호선의 손상에 의해 단말기의 수명이 단축되는 현상도 발생치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입력 모드와 입력 수단이 확대되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because of the above-mentioned reason, since a signal line for electrically and signally connecting the main body and the cover is not necessary,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life of the terminal is shortened due to the damage of the electric / signal line.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the input mode and the input means is expanded.

Claims (7)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의 상면에 미끄럼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딩 커버(200)를 포함하며, It includes a main body 100, the sliding cover 200 is slidably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0, 상기 본체(100)의 상면 일측에는 다수의 본체측 입력키 버튼(112)들을 가지는 본체측 키버튼부(110)가 배치되고, A main body side key button unit 110 having a plurality of main body side input key buttons 112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0, 상기 본체측 키버튼부(110)에 인접하여서는 상기 본체측 키버튼부(110)보다 길이가 길고, 입력 기능 및 디스플레이 기능을 수행하는 터치 패널(120)이 배치되며, The touch panel 120 having a length longer than that of the main body button button 110 and performing an input function and a display function is disposed adjacent to the main body button button 110. 상기 슬라이딩 커버(200)는, 상기 본체측 키버튼부(110)에 대응한 크기를 가지고, 상기 본체측 키버튼부(110)를 덮는 닫힘 위치와, 상기 닫힘 위치로부터 미끄럼 이동하여 상기 터치 패널(120)의 일부분을 덮는 열림 위치로 왕복 이동가능하며, 상기 본체측 입력키 버튼(112)들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커버측 입력키 버튼(212)들을 가지는 커버측 키버튼부(210)가 구비되어, The sliding cover 200 has a size corresponding to that of the main body side key button unit 110, and the sliding cover 200 slides from the closed position and the closed position covering the main body side key button unit 110. A cover side key button unit 210 having a cover side input key button 212 is provid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main body side input key buttons 112 and reciprocating to an open position covering a portion of the 120. Became, 상기 슬라이딩 커버(200)가 닫힘 위치에 있을 때에는, 상기 슬라이딩 커버(200)의 커버측 입력키 버튼(212)들을 누르면, 상기 커버측 입력키 버튼(212)들 각각은 그에 대응하는 본체측 입력키 버튼(112)을 눌러 입력 동작이 수행되고, 상기 터치 패널(120)은 터치 펜(2)이나 사용자의 손 등에 의한 또 다른 입력 기능과 디스플레이 기능을 수행하며, When the sliding cover 200 is in the closed position, when the cover side input key buttons 212 of the sliding cover 200 are pressed, each of the cover side input key buttons 212 has a corresponding body side input key. An input operation is performed by pressing a button 112, and the touch panel 120 performs another input function and a display function by the touch pen 2 or the user's hand, 상기 슬라이딩 커버(200)가 열림 위치에 있을 때에는, 노출된 상기 본체측 키버튼부(110)의 본체측 입력키(112)들을 누르면 그에 대응하는 입력 동작이 수행되고, 상기 슬라이딩 커버(200)의 커버측 입력키 버튼(212)들을 누르면, 상기 커버측 입력키 버튼(212)들 각각은 그에 대응하는 터치 패널(120)의 입력 지점을 눌러 입력 동작이 수행되고, 상기 슬라이딩 커버(200)에 의해 가려지지 않은 상기 터치 패널(120)의 나머지 부분은 디스플레이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과 이중 입력식 슬라이딩 커버가 구비된 통신 단말기. When the sliding cover 200 is in the open position, pressing the main body side input keys 112 of the exposed main body button button 110, the corresponding input operation is performed, and the sliding cover 200 When the cover side input key buttons 212 are pressed, each of the cover side input key buttons 212 is pressed by an input point of the touch panel 120 corresponding thereto, and an input operation is performed by the sliding cover 200. The remaining portion of the touch panel 120 which is not covered performs a display function. The communication terminal provided with a touch panel and a dual input sliding cover.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슬라이딩 커버(200)가 닫힘 위치에 있을 때에는, 제1입력수단인 상기 본체측 키버튼부(110)에 대하여는 상기 본체측 키버튼부(110)에 고유하게 설정된 제1입력모드로부터 제3입력수단인 상기 커버측 키버튼부(210)에 고유하게 설정된 제3입력모드로 전환되어, 상기 슬라이딩 커버(200)의 커버측 입력키 버튼(212)에 의하여 상기 본체측 입력키 버튼(112)이 눌려져 입력동작이 수행되면 단말기는 상기 커버측 입력키 버튼(212)에 대응하는 제3입력신호로 판단하여 처리하고, 제2입력수단인 상기 터치 패널(120)에 대하여는 그에 고유하게 설정된 제2입력모드로 전환되어 상기 터치 패널(120)의 입력 지점을 터치 펜(2)이나 손가락 등으로 누르면 상기 터치 패널(120)에 대응하는 제2입력신호로 판단하여 처리하며, When the sliding cover 200 is in the closed position, the third input from the first input mode uniquely set to the main body side key button unit 110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side key button unit 110 as the first input means. The main body side input key button 112 is switched to the third input mode uniquely set in the cover side key button unit 210, which is a means, by the cover side input key button 212 of the sliding cover 200. When it is pressed and the input operation is performed, the terminal determines that the third input signal corresponding to the cover side input key button 212 is processed, and a second input uniquely set to the touch panel 120 as a second input means. When the mode is switched to the input point of the touch panel 120 by pressing the touch pen 2 or the finger, it is determined as a second input signal corresponding to the touch panel 120 and processed. 상기 슬라이딩 커버(200)가 열림 위치에 있을 때에는, 제1입력수단인 상기 본체측 키버튼부(110)에 대하여는 본체측 키버튼부(110)에 고유하게 설정된 제1입력모드로 전환되어 상기 본체측 입력키 버튼(112)을 누르면 단말기는 상기 본체측 입력키 버튼(112)에 대응하는 제1입력신호로 판단하여 처리하고, 터치 패널(120)에 대하여는 제2입력모드로부터 제3입력모드로 전환되어 상기 슬라이딩 커버(200)의 커버측 입력키 버튼(212)에 의하여 터치 패널(120)의 입력 지점이 눌려져 입력동작이 수행되면 단말기는 상기 커버측 입력키 버튼(212)에 대응하는 제3입력신호로 판단하여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과 이중 입력식 슬라이딩 커버가 구비된 통신 단말기. When the sliding cover 200 is in the open position, the main body button button 110, which is the first input means, is switched to a first input mode uniquely set in the main button button 110 on the main body, and thus the main body is turned on. When the side input key button 112 is pressed, the terminal determines and processes the first input signal corresponding to the main body side input key button 112, and the touch panel 120 moves from the second input mode to the third input mode. When the input point of the touch panel 120 is pressed by the cover side input key button 212 of the sliding cover 200 and the input operation is performed, the terminal corresponds to the cover side input key button 212. A communication terminal provided with a touch panel and a dual input sliding cover,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cessing as determined by the input signal.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슬라이딩 커버(200)는, The sliding cover 200, 상기 다수의 커버측 키버튼(212)에 대응하는 다수의 통공(302)이 형성되어 있는 외부 커버(300)와; An outer cover 300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302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cover side key buttons 212; 상기 외부 커버(300) 내측에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본체(100)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다수의 본체측 키버튼(112)에 대응하는 다수의 통공(402)이 형성되어 있는 내부 커버(400)와; An inner cover which is coupled to the inner cover 300 and slidably coupled to the main body 100 and has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402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main body side key buttons 112 ( 400); 상기 외부 커버(300)와 내부 커버(400) 사이에 개재되며, 탄성 가요성의 패드(502) 상면에 상기 다수의 커버측 키버튼(212)이 형성되고, 상기 커버측 키버튼(212)에 대응하는 상기 탄성 가요성 패드(502)의 하면에 상기 내부 커버(400)의 통공(402)을 통과하여 상기 본체측 키버튼(112)을 눌러 동작시킴과 더불어 상기 터치 패널(120)을 눌러 입력시킬 수 있는 다수의 돌기(504)를 가지는 키 조립체(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과 이중 입력식 슬라이딩 커버가 구비된 통신 단말기. Interposed between the outer cover 300 and the inner cover 400, the cover side key button 212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elastic flexible pad 502, and corresponds to the cover side key button 212 Pass the through-hole 402 of the inner cover 400 on the lower surface of the elastic flexible pad 502 to press the main body side key button 112 and press the touch panel 120 to be input.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touch panel and a dual input sliding cov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key assembly (500) having a plurality of protrusions (504). 제3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3, 상기 키 조립체(500)의 탄성 가요성 패드(502)의 하면에는, 상기 가요성 패드(502)로 하여금 상기 내부 커버(400)로부터 일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다수의 돌기(504)가 눌려졌다가 원활히 복귀하도록 하기 위한 다수의 돌출부(506)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과 이중 입력식 슬라이딩 커버가 구비된 통신 단말기. On the bottom of the resilient flexible pad 502 of the key assembly 500,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504 were pressed by causing the flexible pad 502 to be spaced apart from the inner cover 400. A communication terminal provided with a touch panel and a dual input sliding cover,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protrusions (506) are formed to smoothly return.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본체(100)와 상기 슬라이딩 커버(200)에는, 상기 슬라이딩 커버(200)가 닫힘 위치와 열림 위치에 있음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130)(22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과 이중 입력식 슬라이딩 커버가 구비된 통신 단말기. The main body 100 and the sliding cover 200, the touch panel and dual, characterized in that the sensor 130, 220 for detecting that the sliding cover 200 is in the closed position and the open position is provided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an input sliding cover.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본체(100)에 대한 상기 슬라이딩 커버(200)의 미끄럼 이동 구성은, 상기 본체(100)의 양측면에 안내 홈(140)이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 커버(200)에는 상기 안내 홈(140)에 미끄럼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안내 돌기(230)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과 이중 입력식 슬라이딩 커버가 구비된 통신 단말기. In the sliding configuration of the sliding cover 200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100, guide grooves 140 are formed on both side surfaces of the main body 100, and the sliding cover 200 is provided in the guide groove 140. Communication terminal provided with a touch panel and a dual input sliding cover, characterized in that the guide projection 230 is formed to be slidably coupled. 제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안내 홈(140)에는 상기 슬라이딩 커버(200)가 닫힘 위치와 열림 위치에서 소정의 힘으로 고정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슬라이딩 커버(200)의 안내 돌기(230)가 탄성적으로 타고넘어 걸리도록 하는 탄성돌기(15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과 이중 입력식 슬라이딩 커버가 구비된 통신 단말기. In order to fix the sliding cover 200 to the guide groove 140 with a predetermined force in the closed position and the open position, the guide protrusion 230 of the sliding cover 200 to ride over the elastically Communication terminal provided with a touch panel and a dual input sliding cover, characterized in that the elastic protrusion 150 is formed.
KR1020030076394A 2003-10-30 2003-10-30 A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touch panel and a double input type sliding cover KR10056958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6394A KR100569584B1 (en) 2003-10-30 2003-10-30 A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touch panel and a double input type sliding cov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6394A KR100569584B1 (en) 2003-10-30 2003-10-30 A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touch panel and a double input type sliding cov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1274A KR20050041274A (en) 2005-05-04
KR100569584B1 true KR100569584B1 (en) 2006-04-10

Family

ID=372427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6394A KR100569584B1 (en) 2003-10-30 2003-10-30 A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touch panel and a double input type sliding cov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9584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1659A (en) * 2014-10-08 2016-04-18 엘지전자 주식회사 Slide cover and mobile terminal us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7379B1 (en) * 2004-11-03 2007-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Input device of portable terminal
KR100732398B1 (en) * 2006-06-29 2007-06-27 (주) 엘지텔레콤 Keypad assembly of which input mode can be changed and mobile terminal comprising the same
KR100781996B1 (en) * 2006-07-05 2007-12-06 주식회사 엠투시스 A cellular phone of slide-down opening and closing type
KR100799623B1 (en) 2006-12-29 2008-01-31 주식회사 엠투시스 Cellular phone of slide-down opening and closing type
KR101015711B1 (en) * 2010-07-16 2011-02-22 정영훈 Button adopter kit for touch screen
KR101951479B1 (en) * 2011-12-27 2019-02-22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having a hard key modul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1659A (en) * 2014-10-08 2016-04-18 엘지전자 주식회사 Slide cover and mobile terminal using the same
KR101629267B1 (en) 2014-10-08 2016-06-10 엘지전자 주식회사 Slide cover and mobile terminal u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1274A (en) 2005-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58432B2 (en) Pointing device and mobile telephone
KR100931615B1 (en) Fingertip tactile input device and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using the same
EP1168396B1 (en) Tactile electromechanical data input mechanism
US7010333B2 (en) Radiotelephone terminal with dual-sided keypad apparatus
KR101265914B1 (en) Mobile terminal device
FI98968C (en) Keyboard and key
KR100904887B1 (en) Portable terminal
GB2387988A (en) Mobile phone having three units movable into several positions
US20080018607A1 (en) Input device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KR20090103185A (en) Mobile terminal having a moving keypad
KR100569584B1 (en) A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touch panel and a double input type sliding cover
KR20040053171A (en) Data entry pad and an electronic apparatus incorporating it
KR20030001354A (en) Control device for an electronic apparatus
KR101072026B1 (en) Portable terminal having movable touch screen
KR100797673B1 (en) Modular input unit and portable handset and remote controller provided with the same
JP2011517833A (en) Multi-directional slide input device for portable terminal
KR20150031968A (en) Terminal
US7579560B2 (en) Input device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KR20020053004A (en) Electronic apparatus comprising a display device which forms a control button
KR100686103B1 (en) Liquid crystal display for portable terminal
KR20060073202A (en) A display apparatus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50062287A (en) Key input device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625454B1 (en) Dome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switching contacts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ing the same dome switch
JP2000243181A (en) Pressed-type switch structure
KR20040080748A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sliding key pa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