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9251B1 - 데이터송수신시스템 - Google Patents

데이터송수신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9251B1
KR100569251B1 KR1019980032466A KR19980032466A KR100569251B1 KR 100569251 B1 KR100569251 B1 KR 100569251B1 KR 1019980032466 A KR1019980032466 A KR 1019980032466A KR 19980032466 A KR19980032466 A KR 19980032466A KR 100569251 B1 KR100569251 B1 KR 1005692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recording
information
server
comm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24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23495A (ko
Inventor
히라쿠 이노우에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199900234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34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92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925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2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separate auxiliary tracks of the same or an auxiliary record carrier
    • G11B27/327Table of contents
    • G11B27/329Table of contents on a disc [VTOC]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16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devices exhibiting advertisements, announcements, pictures or the lik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G11B27/031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25Magneto-optical [MO] disc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Reverberation, Karaoke And Other Acoustic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Management Or Editing Of Information On Record Carrier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에 의해 생성된 데이터파일이 서버로 업로드되고, 업로드된 데이터파일이 다른 사용자에게 다운로드될 수 있는 송수신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송수신시스템은 일반적인 사용자들이 자신의 작품을 공개할 수 있고 그 작품을 판매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데이터 송수신시스템
본 발명은 고객 측에서 장전된 기록매체에 기록된 데이터를 기록매체에서 서버 측으로 업로드하고, 오디오데이터 등을 서버 측에서 기록매체로 다운로드할 수 있는 데이터 송수신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기록 및 재생이 가능한 기록매체로서는, 카트리지 내에 수납되는 직경 약 64mm의 디스크 형태의 기록매체인 미니디스크(상표)라고 불리는 광자기디스크가 알려져 있다.
광자기디스크는 오디오압축방식으로서 오디오용 적응변화부호화방식(ATRAC: Adaptive Transform Acoustic Coding 방식)을 사용하여 스테레오로 약 74분간 오디오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다.
광자기디스크는 소형이며 휴대가 쉽기 때문에 실외로 운반하기 쉽다. 또한 광자기디스크는 기록이 가능하며, 또한 기록된 오디오데이터의 복제가 가능하다는 점에서 종래의 디지털 오디오디스크 즉, 컴팩트디스크(상표)와는 다르다.
그런데, 광자기디스크에 약 1/5로 압축된 오디오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해 오디오서버시스템은 압축된 오디오데이터를 그대로 서버에 저장하고, 데이터는 압축처리를 위한 어떤 복호기 또는 부호기도 통하지 않고 고객 측으로 송신되어 고객 측에서 장전한 광자기디스크에 다운로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오디오서버시스템에서는 압축된 데이터가 압축해제되지 않고 그대로 기록되기 때문에, 압축해제처리 후 압축처리가 행해지는 경우의 기록의 비하여 기록에 필요한 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오디오서버시스템이 사용자가 지참한 광자기디스크를 상기 오디오서버시스템에 장전하고 서버 내에 오디오데이터로서 기록되어 있는 복수의 곡 중에서 하나 또는 다수를 광자기디스크로 복제할 수 있도록 구성될 경우, CD(컴팩트디스크) 등의 팩키지미디어와는 다른 악곡 등의 새로운 판매/서비스형태를 실현할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오디오서버시스템에 의해 제공되는 음악컨텐트는 레코드회사로부터 일방적으로 제공되어 일반적인 사용자들은 수동적인 위치에 있게 된다.
상술한 오디오서버시스템을 사용하는 일반적인 사용자들 중 일부는 작곡 또는 작사능력을 갖고 있어, 이와 같은 사용자들에게 그런 능력을 공표하거나 판매할 수 있는 장소를 제공하는 것은 셀프-어필링(self-appealing)의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일반적인 사용자가 상기의 시스템에 의해 제공되는 정보를 단지 수신하기만 하는 위치를 넘어 그 이상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데이터송수신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정보센터로부터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해 정보센터와 접속된 데이터송수신 시스템이 제공되는 데, 상기 시스템은 사용자에 의해 생성된 컨텐트데이터(content data)가 기록된 기록매체가 장전될 수 있는 장전수단과, 사용자에 의해 생성되어 기록매체에 저장된 컨텐트데이터를 재생하기 위한 재생수단과, 재생수단에 의해 재생된 컨텐트데이터와 컨텐트데이터에 대한 관리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송신수단과, 정보센터의 대용량의 저장장치로부터 원하는 데이터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수단과, 선택수단에 의해 선택된 원하는 데이터 및 정보센터로부터 송신된 원하는 데이터의 관리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수단과, 수신수단에 의해 수신된 상기 데이터와 관리정보를 기록하고, 장전수단에 의해 장전된 기록매체에 수신데이터 및 관리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기록수단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단말기장치와의 데이터통신을 위해 정보센터와 접속된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 장치를 포함하는 정보센터가 제공되며, 상기 정보센터는 복수의 컨텐트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수단과, 단말기장치 측에 의해 선택되어 메모리수단에 저장된 컨텐트데이터 중 하나와, 하나의 컨텐트데이터에 대한 관리정보를 가산하고, 그 결과 얻은 데이터를 단말기장치에 송신하는 송신수단과, 단말기장치 측에서 송신되고 생성된 컨텐트데이터에 대한 컨텐트정보와 관리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수단으로 구성되며, 상기의 컨텐트데이터는 수신신호에 의해 수신되고 메모리수단에 저장된 관리정보에 기초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상기의 목적 및 다른 목적과 특징, 이점들은 참조부호로 표시된 발명의 각 부분과 구성요소가 도시된 첨부도면을 참조로 이하의 설명 및 첨부되는 청구항으로부터 명백하게 될 것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의 형태로서 미니디스크시스템을 사용하여 구성되는 오디오서버시스템이 다음의 순서로 설명된다.
1. 오디오서버시스템의 구성개념
2. 오디오서버시스템의 구성
3. 미니디스크의 클러스터 포맷
4. U-TOC
5. 업로드/다운로드를 위한 데이터송신시스템
6. 업로드/다운로드 처리
7. 다운로드 조작의 예
8. 업로드 조작의 예
9. 네트워크를 사용한 오디오서버시스템
1. 오디오서버시스템의 구성개념
우선, 본 발명이 적용된 오디오서버시스템의 구성개념이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된다.
도 1은 오디오서버시스템의 개념을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오디오서버시스템은 기본구성으로서 업로드부(200), 서버부(201) 및 다운로드부(203)를 포함한다.
업로드부(200)는 예를 들면, 미니디스크 시스템으로 사용되는 미니디스크(광자기디스크)(D1)에 기록된 오디오데이터와 그에 부수되는 문자정보, 화상정보, 관리정보 및 기타 정보를 재생하는 기능을 갖는다.
서버부(201)는 예를 들면, 하드디스크드라이브 등으로 형성되는 서버(202)를 포함하며, 오디오데이터로서 다수의 악곡 및 그것에 부수되는 각종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다운로드부(203)는 미니디스크시스템으로 사용되는 미니디스크(광자기디스크)(D2)에 오디오데이터와 그것에 부수되는 문자정보, 화상정보, 관리정보 및 기타 정보 등을 기록하는 기능을 갖는다.
다운로드부(200)와 업로드부(203)는, 예를 들면 미니디스크 기록재생장치로서 단일한 구성요소로 형성될 수 있다. 데이터 송수신시스템의 구체적인 구성예로서 이하에서는 업로드부(200)와 다운로드부(203)를 모두 포함하는 기록재생부가 사용되는 경우가 설명된다.
업로드부(200)와 서버부(201)에는 오디오 데이터용 인터페이스 및 각종 명령 및 부수적인 정보용 인터페이스가 구축되어 있어 디스크(D1)로부터 재생되는 오디오데이터 및 부수정보를 업로드부(200)에 의해 서버(201)에 업로드할 수 있다.
또 다운로드부(203)와 서버부(201)에도 오디오데이터용 인터페이스 및 각종 명령과 부수정보용 인터페이스가 구축되어 있어 서버(202)에 저장되어 있는 오디오데이터 및 부수정보가 다운로드부(203)로 송신되어, 다운로드부(203)가 이를 디스크(D2)에 기록하여 다운로드가 실행되도록 한다.
특히, 상기 오디오서버시스템은 어떤 사용자가 자신이 가져온 디스크(D1)를 업로드부(200)에 장전하고 미리 디스크(D1)에 기록된 사용자의 자작곡을 서버(202)에 업로드하도록 할 수 있다.
악곡 등에 부수되는 관련정보로서의 문자정보나, 화상정보도 또한 서버부(201)에 업로드할 수 있다.
또한 또 다른 어떤 사용자가 녹음가능한 디스크(D2)를 가져와 이를 다운로드부(204)에 장전하고 서버(202) 내에 저장되어 있는 악곡 중에서 원하는 악곡 등을 선택하여 선택된 악곡을 디스크(D2)에 복사하여 다운로드를 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오디오데이터만이 아닌 오디오데이터에 부수되어 저장되어 있는 문자정보 및/또는 화상정보도 다운로드될 수 있다.
상술한 오디오서버시스템에 의하면, 사용자는 자신이 소유한 정보(악곡 등)를 불특정다수의 사람들에게 제공(업로드)할 수 있다.
또 사용자는 서버(202)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를 유료 또는 무료로 얻을 수 있다.
서버(202) 내에는 업로드 정보가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일구조로 저장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구조는 단지 일예일 뿐이라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예를 들면, 업로드된 하나의 정보가 하나의 컨텐트로 저장되어 있다. 설명의 편의상 컨텐트 번호(#1, #2 ···, #n)가 각 컨텐트에 부여된다.
각 컨텐트에서는 우선 업로드를 행한 사용자의 사용자명이 등록된다. 또 그 사용자(또는 각 컨텐트에 대한)의 패스워드가 등록된다. 그리고 실제 데이터의 컨텐트로서 악곡 등의 오디오데이터(ATRAC압축방식에 의한 오디오데이터: 이하, ATRAC데이터라고 한다)가 그 타이틀(악곡 등의 명칭)과 같이 저장되어 있다.
또 문자데이터(텍스트데이터)나, 화상데이터(비트 맵 데이터 또는 압축화상데이터)가 ATRAC데이터에 부수되어 업로드되는 경우는 그들이 대응하는 관계대로 저장된다.
설명의 편의 상 ATRAC데이터, 문자데이터, 화상데이터를 나타내기 위하여 컨텐트번호(#n)의 말미에 각각 "#n.atc""#n.txt""#n.gif"와 같이 덧붙여서 표시한다.
문자데이터는 예를 들면, 곡의 가사, 작사자 및 작곡자, 연주자, 메시지, 해설, 기타 개인정보 등, 업로드 사용자에 의해 임의로 작성된 정보이다.
화상데이터 역시 그 곡에 관한 이미지화상이나 업로드 사용자의 사진 등과 같이 업로드 사용자에 의해 임의로 작성된 정보이다.
또 서버(202)에서는 업로드된 정보에 부수하여 정보가 다운로드되는 다운로드조작의 회수가 관리된다.
또 업로드 사용자가 유료제공을 희망할 경우 그 다운로드에 따른 요금지불의 상황이, 예를 들면 미지불회수로서 관리된다.
또한 업로드 등이 될 때 업로드 사용자가 자신의 인터넷 홈페이지 등을 표시하고자 할 경우 입력된 URL(Uniform resource locator) 주소 등도 등록된다.
또 예를 들면, 1회의 다운로드 조작에 대하여 받는 금액도 업로드 사용자의 입력 등에 의해 설정되어 등록된다. 업로드등록을 행한 일시도 또한 관리된다.
2. 오디오서버시스템의 구성
상술한 오디오서버시스템의 구체적인 구성예로서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인 오디오서버시스템(1)이 이하에 설명된다.
도 3은 오디오서버시스템(1)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오디오서버시스템(1)은 업로드 및 다운로드동작을 행하기 위한 기본적인 구성으로서 서버부(10)와 기록재생부(20)를 포함한다.
서버부(10)는 주제어기(11), 서버(12), 조작입력부(13), 표시부(14) 등을 포함한다.
기록재생부(20)는 휴대용 기록매체인 디스크(D)에 오디오데이터 등을 기록하고 또 디스크(D)로부터 재생하는 기능을 갖는다.
서버부(10)와 기록재생부(20)는 접속케이블(2)에 의해 서로 접속된다. 접속케이블(2)은 예를 들면 IEEE1394 인터페이스 등일 수 있다.
서버부(10)의 서버(12)는 주제어기(11)와 서버 사이에 송신선으로서 ISDN(integrated service digital network), 공중네트워크 등이 사용될 경우 멀리 떨어진 곳에 위치할 수 있다.
오디오서버시스템(1)에서 사용자는 기록재생부(20)에 장전된 디스크(D)에서 업로드된 오디오데이터 등을 도 2를 참조하여 상술한 파일구조로 서버부(10) 측에 저장한다.
그리고 다운로드사용자가 디스크(D)를 기록재생부(20)에 장전하고, 서버(12)에 저장된 오디오데이터 중에서 원하는 오디오데이터를 선택하면, 상기 오디오데이터 등은 기록재생부(20)로 송신되어 디스크(D)로 다운로드된다.
기록재생부(20)는 도 1의 업로드부(200) 및 다운로드부(203)에 상당하며, 서버부(10)는 도 1의 서버부(201)에, 서버(12)는 도 1의 서버(202)에 각각 상당한다.
즉, 상기 오디오서버시스템(1)은 컴팩트디스크나 오디오테이프 등의 매체에 오디오데이터를 저장하는 형태로 컨텐트(악곡 등)를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가 소유하는 기록매체(디스크(D))에 오디오데이터를 기록하는 형태로 음악의 컨텐트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면, 역, 점포 등에 오디오서버시스템(1)을 설치하여 음악의 컨텐트를 사용자에게 유료 또는 무료로 제공하거나 또는 음악스튜디오 등에 오디오서버시스템(1)을 설치하여 컨텐트관리에 이용할 수도 있다.
또 서버에 저장되는 컨텐트는 불특정다수의 사용자(업로드 사용자)에 의해 임의로 손쉽게 제공(업로드)될 수 있다.
따라서 CD 등의 팩키지미디어로는 일반적으로 쉽게 제공될 수 없는 정보, 예를 들면, 아마츄어뮤지션의 오리지널 악곡 등도 일반 사용자에게 손쉽게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자유도가 높은 정보제공시스템이 실현될 수 있다.
상기 오디오서버시스템(1)의 서버(12)에서는 수 분마다 악곡의 컨텐트가 오디오데이터로서 업로드되어 저장되어 있다.
저장되는 컨텐트는 사용자에 의한 업로드로부터 비롯되야 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레코드회사 등이 제공하는 최신의 히트차트 중 탑 100 까지의 음악 등도 포함될 수 있다.
저장된 컨텐트는 전술한 ATRAC방식에 의한 압축데이터로서 기록되어 있다.
다운로드사용자는 오디오서버시스템(1)에 의해 제공되는 컨텐트를 표시부(14)에 의해 확인하고, 희망하는 컨텐트가 하나 이상 있는 경우, 조작입력부(13)를 이용하여 하나 또는 복수의 컨텐트를 선택한다. 그리고 사용자는 자기가 소유하는 디스크(D)를 기록재생부(20)에 장전하고, 조작입력부(13)를 이용하여 기록시작의 조작을 행한다.
사용자에 의해 기록시작의 조작이 행해지면, 서버부(10)의 주제어기(11)는 서버(12)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트 중에서 소정 컨텐트의 오디오데이터를 기록재생부(20)에 공급한다.
기록재생부(20)는 서버부(10)에서 공급된 오디오데이터를 디스크(D)의 비어 있는 영역에 기록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희망하는 컨텐트의 오디오데이터를 디스크(D)에 기록하는 것이 종료되면, 오디오서버시스템(1)은 컨텐트의 제공을 종료시킨다.
본 예에서는 디스크(D)는 광자기디스크이고, 데이터량이 원래의 오디오 데이터량의 약 1/5로 압축된 ATRAC오디오데이터가 디스크(D)에 기록되어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따라서 서버(12)에 저장된 ATRAC방식의 오디오데이터의 압축신호는 압축 및 압축해제처리를 위한 복호화 또는 부호화회로를 통하지 않고 서버(12)에서 디스크(D)로 직접 더빙기록될 수 있으며, 압축된 데이터는 그대로 직접 기록되기 때문에, 더빙기록에 필요한 시간은 압축데이터의 압축을 해제하여 재생한 다음 기록하는 경우에 비하여 짧게 된다.
또 사용자는 오디오서버시스템(1)에 제공되는 악곡 등이 기록되어 있는 자신이 소유하는 디스크(D)를 가져와, 기록재생부(20)에 장전한다. 그리고 사용자는 조작입력부(13)를 이용하여 업로드되는 트랙(트랙은 디스크(D)에 기록되어 있는 각 악곡 등의 단위)으로 들어가 업로드를 위한 조작을 행한다.
사용자에 의해 업로드시작의 조작이 행해지면 서버부(10)의 주제어기(11)는 기록재생부(20)에 재생을 지시하고, 재생된 오디오데이터 및 관련정보를 서버(12)에 저장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희망하는 오디오데이터나 관련정보를 디스크(D)에서 서버(12)로 저장하는 것이 종료되면, 오디오서버시스템(1)은 업로드를 종료한다.
이 경우도 디스크(D)에 저장된 ATRAC방식의 오디오데이터는 압축/압축해제처리를 위한 복호화 및 부호화회로를 통하지 않고 서버(12)에 저장될 수 있고, 압축된 데이터가 그대로 기록되기 때문에 업로드를 위해 필요한 시간은 재생을 위하여 오디오데이터의 압축을 해제하고 다시 압축하여 기록하는 경우에 비하여 짧게 된다.
상기 오디오서버시스템(1)은 또 도 3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재생부(41), 관련정보재생부(46), 통신용 인터페이스(44), 입금/출금블록(50)을 포함한다.
재생부(41)는 복호기(42), 재생처리부(43) 등을 포함한다.
관련정보재생부(46)는 프린터장치(47), 표시장치(48), 스피커(49) 등을 포함한다.
상기 오디오서버시스템(1)은 오디오데이터의 디스크(D)로의 다운로드 외에도 재생부(41), 관련정보재생부(46), 통신용 인터페이스(55)를 이용하여 각종 동작을 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크(D)로 다운로드되는 오디오데이터를 재생부(41)에 의해 재생하여 스피커 혹은 헤드폰으로 출력하거나, 또는 기록되는 오디오데이터의 일부를 모니터할 수 있다.
또 기록되는 오디오데이터의 관련정보는 관련정보재생부(46)로부터 출력된다.
재생부(41)에서는 복호기(42)가 주제어기(11)에서 공급되는 ATRAC데이터의 압축을 해제하고, 오디오데이터를 생성한다. 이 오디오데이터는 복호기(42)에서 재생처리부(43)로 공급된다.
재생처리부(43)는 디지털신호를 아날로그신호로 변환하는 처리, 증폭처리 등을 행하여, 아날로그의 오디오신호를 생성한다.
재생처리부(43)에 의해 생성된 아날로그 오디오신호는 스피커 또는 헤드폰 등에 공급되어 오디오신호로서 출력된다.
재생부(41)에 의해 예를 들면, 복제된 오디오 데이터의 일부가 사용자에게 모니터신호로서 제공될 수 있다.
통신용 인터페이스(44)는 예를 들면, 모뎀이나 ISDN(Integrated Service Digital Network)회선용의 단말기 어댑터 등이다.
주제어기(11)는 통신용 인터페이스(44)를 통하여 인터넷의 WWW(World Wide Web)사이트에서 화상정보나 오디오정보, 텍스트정보 등을 취득할 수 있다.
관련정보재생부(46)의 프린터장치(47)는 주제어기(11)에서 공급되는 화상정보나 텍스트정보를 프린트한다.
표시장치(48)는 주제어기(11)에서 공급되는 화상정보나 텍스트정보를 표시한다.
표시장치(48)는 서버부(10)의 표시부(14)와 공통된 것이어도 좋다.
스피커(49)는 주제어기(11)에서 공급되는 오디오정보를 출력한다. 스피커(49)는 재생부(41)에서 출력되는 오디오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나 헤드폰과 공통의 것이어도 좋다.
서버(12)에는 상술한 방식으로 업로드된 복수 컨텐트의 ATRAC데이터와 상기 컨텐트에 대응하여 프로듀서의 사진, 그 악곡 등의 이미지화상의 화상데이터, 컨텐트로서 악곡의 가사나 아티스트의 이력을 나타내는 문자데이터 등이 저장되어 있다.
또 상술한 프로듀서의 사진이나 동화상이 접근될 수 있는 홈페이지가 이용될 수 있으면, 서버(12)는 URL주소를 저장할 수도 있다.
따라서 주제어기(11)는 각 컨텐트에 관하여 관련정보로서 화상정보, 문자정보를 얻을 수 있고, 또한 이를 관련정보재생부(46)에서 인쇄, 화상표시, 오디오출력 등의 형태로 출력하여, 다운로드사용자에 대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 다운로드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컨텐트를 디스크(D)에 기록하기 위해 주제어기(11)가 ATRAC데이터를 서버(12)에서 판독하여 기록재생부(20)로 공급할 때, 주제어기(11)는 기록재생부(20)로 공급되는 트랙의 ATRAC데이터 중 소정부분의 ATRAC데이터를 재생부(41)에 공급한다.
이것은 기록재생부(30)가 ATRAC데이터를 기록하는 동안, 기록된 트랙을 다운로드하는 사용자가 ATRAC데이터를 들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그러나 ATRAC데이터는 원래의 데이터에서 약 1/5정도로 압축된 상태이기 때문에 기록이 처리되는 동안 트랙의 전 영역이 재생되는 것은 불가능하고, 주제어기(11)는 기록된 ATRAC데이터의 일부를 잘라 내어 그들을 기록재생부(41)에 공급한다.
예를 들면, 주제어기(11)는 곡의 시작 부분 또는 종료 부분 등과 같이 곡의 다이제스트를 파악할 수 있는 ATRAC데이터의 일부를 잘라 내어 재생부(41)에 공급한다.
잘라진 부분은 미리 서버(12)에 저장된다. 또 기록되는 ATRAC데이터와는 직접적으로 관계없는 데이터를 재생부(41)에 공급하여 오디오로 출력하여도 좋다. 예를 들면, 다운로드되는 컨텐트와 관계없는 새로운 곡의 정보 등이 제공되어도 좋다.
또 업로드 사용자는 업로드가 행해지는 때에 재생음이 출력되는 부분을 임의로 설정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다이제스트가 재생되도록 하여 재생부분의 주소의 목록이 서버(12)에 저장되도록 하여도 좋다.
그리고 다운로드 시에는 업로드를 행하는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부분이 재생부(41)에 의해 재생출력된다.
일반적으로 업로드를 수행하는 사용자의 오리지널악곡 등은 무명의 곡인 경우가 않고, 따라서 다운로드를 수행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일단 악곡을 재생해 본 다음에 다운로드하고자 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므로 서버(12)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트는 사용자에 의해 재생될 수 있다. 특히, 조작입력부(13)에서의 조작에 따라 선택된 곡의 시작 부분이나 종료 부분과 같이 곡의 다이제스트를 파악할 수 있는 곡의 일부 또는 곡의 전체가 재생부(41)에서 재생출력된다.
따라서 다운로드사용자는 정말 원하는 악곡 등을 정확하게 선택하여 자신의 디스크(D)에 다운로드할 수 있다.
또, 재생부(41)에 의한 재생출력의 모니터는 업로드 시에 행해질 수 있다.
즉, 업로드 시에, 주제어기(11)는 서버(12)에 저장된 오디오데이터의 일부(곡의 시작 부분 등)를 재생부(41)에 공급하여 재생, 모니터하도록 한다. 따라서 업로드 사용자는 원하는 악곡이 정확하게 업로드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물론, 화상데이터나 문자데이터가 업로드되는 경우에도, 그 모니터출력은 표시장치(48)에 의해 행해진다.
입금/출금블록(50)은 다운로드사용자로부터의 요금징수와 업로드 사용자에 대한 요금지불을 행한다.
예를 들면, 업로드 사용자는 업로드된 컨텐트에 대한 다운로드 요구에 따라 수취금액을 설정할 수 있다.
서버부(10)는 등록된 금액을 예를 들면 도 2와 같이 각 컨텐트에 대한 관계에 따라 관리하고, 다운로드요구를 받을 때 다운로드사용자에 대하여 요금지불을 요구한다. 물론, 다운로드사용자에게 부가되는 금액은 컨텐트를 업로드한 사용자가 수취하고자 등록한 금액과 일치될 필요는 없다.
또 서버부(10)는 각 컨텐트에 대하여 수행된 다운로드 회수를 관리하고 다운로드 회수와 등록된 수취희망 금액에 기초하여 산출된 금액을 업로드 사용자에게 지불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업로드 사용자가 정기적으로 조작입력부(13)를 이용하여 지불요구조작을 행하는 경우, 다운로드 회수에 기초한 금액이 입금/출금블록(50)에서 업로드 사용자에게 지불된다.
상기 경우에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미지불된 다운로드 회수 등이 관리된다.
3. 미니디스크의 클러스터 포맷
여기서는 이 오디오서버시스템(1)에서 취급하는 기록매체(디스크(D))로서 즉, "미니디스크"라는 포맷으로 규정된 기록과 재생이 가능한 광자기디스크가 설명된다.
본 예에서 디스크(D)로서 이용되는 미니디스크라고 불리는 광자기디스크는 카트리지 내에 수납되는 직경 약 64mm의 디스크 형태의 기록매체이고, 오디오압축방식으로서 ATRAC(Adaptive Transform Acoustic Coding)방식을 이용하여 스테레오신호로 약 74분간 오디오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다.
또, 오디오서버시스템(1)은 ATRAC방식으로 압축된 오디오데이터를 디스크(D)에 다운로드 및 기록할 수 있으므로, 업로드 시에 디스크(D)에서 서버(12)로 업로드된 오디오데이터는 오디오서버시스템(1)에서 ATRAC방식의 압축형태로 저장된다.
즉, 디스크(D)에서 서버(12)로 업로드되고, 서버(12)에서 디스크(D)로 다운로드될 때, 오디오데이터는 모든 처리에서 ATRAC압축데이터의 형태로 처리된다.
따라서 서버부(10)와 기록재생부(20)의 사이에서 오디오데이터를 송신하는 접속케이블(2)은 ATRAC데이터를 송신한다.
또, 접속케이블(2)은 이하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제어명령나 디스크(D)의 TOC정보 등의 명령데이터 등도 송신한다.
오디오서버시스템(1)에서 이용되는 디스크(D)(미니디스크)의 데이터 포맷에 대해서 설명한다.
디스크(D)에 기록되는 데이터는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클러스터라고 불리는 단위로 관리된다. 데이터는 클러스터의 정수 배의 단위로 디스크(D)에 기입된다. 하나의 클러스터에 기록된 ATRAC데이터가 재생되면, 약 2.04초의 오디오신호가 얻어진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클러스터는 3개의 연결섹터(linking sector)와 하나의 서브데이터섹터(subsector), 32개의 메인섹터(ATRAC로 압축된 오디오데이터나 TOC정보의 기록에 이용되는 섹터)를 포함하는 총 36개의 섹터로 구성된다.
하나의 섹터는 2,352바이트의 데이터로 구성되는 단위이다.
연결섹터는 디스크(D)의 포맷이 ACIRC(Advanced Cross Interleave Reed Solomon Code)방식의 에러정정처리를 이용하기 때문에, 에러정정처리의 인터리브가 클러스터 내에서 완료되도록 할당된 것이다. 즉, 연결섹터는 데이터의 재기입을 클러스터단위로 할 수 있도록 에러정정처리에 있어서의 인터리브를 고려하여 삽입된 더미섹터이다. 서브섹터는 예약영역(reserved area)을 구성한다.
디스크(D)에서 ATRAC방식으로 압축된 424바이트의 데이터는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운드그룹이라는 단위로 취급된다. 사운드그룹에서는 좌우채널마다에 212바이트의 데이터가 할당된다.
사운드그룹단위로 압축된 데이터의 압축이 해제되면,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2개의 채널을 합하여 512샘플에 상당하게 된다. 이 512샘플의 데이터는 즉, 2,048바이트의 데이터에 상당한다.
즉, 512샘플×16비트×2채널÷8비트 = 2,048바이트이다.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11개의 사운드그룹은 2개의 섹터를 형성한다.
4.U-TOC
디스크(D)의 기록영역은 ATRAC방식으로 압축된 오디오데이터가 기록되는 프로그램영역과, 이 프로그램영역에 기록된 오디오데이터의 관리를 위한 관리데이터가 기록되는 관리영역인 U-TOC(User Table of Contents)와 판독영역인 P-TOC(Pre-mastered Table of Contents)로 분할되어 있다.
디스크(D)에서는 실제의 음악데이터가 재기입(rewrite)되지 않아도, U-TOC의 정보를 재기입함으로써 곡을 소거하거나 편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5곡이 기록되어 있는 디스크(D)에 대하여 3번째 곡의 시작주소 및 종료주소가 기록가능영역으로서 관리되면, 3번째 곡은 더이상 재생될 수 없다.
즉, 디스크(D)에 ATRAC데이터를 기록하는 경우는, U-TOC정보도 동시에 재기입되어야 한다.
이하, U-TOC에 대해서 설명한다. 디스크(D)에 기록되는 오디오데이터의 단위는 "트랙"으로 칭한다. 이 트랙은 예를 들면, 곡의 단위 등이고, 상술한 오디오서버시스템(1)에 저장되는 악곡의 컨텐트에 대응하는 단위이다.
디스크(D)의 U-TOC에 대하여 U-TOC섹터 0 ∼ U-TOC섹터 31까지 32섹터 를 이용할 수 있다. 이들 섹터 중에서 섹터 0∼4가 이미 정의되어 있다. 따라서 섹터 0, 섹터 1, 섹터 2, 섹터 4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은 U-TOC섹터 0에 기록되는 데이터를 도시한다. 여기서 U-TOC섹터 0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는 1바이트씩 분리(delimit)되는데,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슬롯으로 칭한다. 각 슬롯은 도 6에 도시된 종축 방향에서 0∼587의 수치(x)로, 횡축방향에서 왼쪽으로부터 1∼4번의 슬롯번호(열번호)에 의해 (x행, y열)으로 표시된다. 이것은 U-TOC섹터 1 등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U-TOC섹터 0에서는 12바이트의 헤더데이터(header data)에 이어서 슬롯(3행, 1열)으로부터 3바이트로 기록된 섹터 0의 주소정보를 나타내는"Cluster H", "Cluster L", "Sector"가 기록된다. 또 슬롯(3행, 4열)에서 미니디스크시스템을 나타내는 식별부호가 "Mode"로서 기록된다.
또 슬롯(7행, 1열)에서부터 디스크(D)의 제조자를 나타내는 "Maker code"와, 디스크(D)의 최초의 트랙의 트랙번호를 나타내는 "First TNO"와, 마지막 트랙의 트랙번호를 나타내는 "Last TNO"가 연속적으로 기록된다.
또 슬롯(8행, 4열)에 섹터의 사용 상황을 나타내는 "Used Sectors"가, 슬롯(10행, 1열)에 디스크의 일련번호를 나타내는 "Disc Serial No"가 기록된다.
또 슬롯(11행, 1열)에서부터 디스크의 ID번호를 나타내는 "Disc ID"와, 디스크(D)에 나타나는 결함주소정보를 기록하는 영역의 시작주소가 기록되어 있는 슬롯을 나타내는 포인터인 "P-DFA"(Pointer for defective area)와, 슬롯의 사용상황을 나타내는 포인터인 "P-EMPTY"(Pointer for empty slot)와, 기록가능영역을 관리하는 영역의 시작주소가 저장되어 있는 슬롯을 나타내는 포인터인 "P-FRA(Pointer for freely area)"가 기록되어 있다. 계속하여 디스크(D)에 기록되어 있는 트랙의 시작주소가 기록되어 있는 슬롯을 나타내는 포인터인 "P-TNOn"이 슬롯(75행, 4열)까지 기록되어 있다. 여기서 n은 각 트랙의 트랙번호를 나타내고 있다. n은 1∼255까지의 정수를 나타낸다.
트랙관리를 위한 포인터 P-TNOn로서 "P-TNO0"∼ "P-TNO255"까지가 준비되어 있어, 디스크(D)에는 최고 255트랙을 기록할 수 있다.
또, 슬롯(78행, 1열)에서부터 8바이트의 테이블로서 각 트랙의 시작주소와, 종료주소, 연결정보(Link-P), 트랙모드(Track mode)가 기록되어 있다.
U-TOC섹터 0에는 시작주소와 종료주소 등이 기록되는 255×4×2슬롯(255테이블)이 제공되고, 각 트랙에 대응하는 포인터에 의해 표시되는 테이블에는 각 트랙의 시작주소와 종료주소 등이 기록되어 있다.
상술한 각 포인터(P-DFA, P-EMPTY, P-FRA)에 기록되는 값은 255개의 테이블 중에서 하나를 나타낸다.
각 테이블에서 시작주소와 종료주소는 도 7에 도시한 것과 같이 3바이트 = 24비트의 데이터로 표시된다. 시작주소와 종료주소에는 최초의 14비트에 클러스터주소가 기록되고, 다음의 6비트에 섹터주소가 기록되고, 마지막 4비트에 사운드그룹의 주소가 기록되어 있다.
또, 트랙모드(Track mode)는 도 8에 도시되는 것과 같이 1바이트 = 8비트의 데이터로 표시되어 있다.
이 트랙모드(Track mode)에서는 제 1비트에 기록보호정보가 기록되고; 복제보호정보는 제 2비트에 기록되고; 세대정보는 제 3비트에 기록되고; 오디오정보는 제 4비트에 기록되고; 소거보존정보는 제 5 및 제 6비트에 기록되고; 모노 또는 스테레오 정보는 제 7비트에 기록되고; 강조정보는 제 8비트에 기록된다.
즉, 트랙모드(Track mode)에서 각 트랙에 고유한 관련정보가 기록된다.
연결정보(P-Link)는 동일한 트랙이 연속적인 데이터스트림(data stream)으로 디스크(D)에 기록되지 않는 경우, 즉 동일한 트랙의 데이터가 디스크(D) 상의 기록영역에 이산적으로(discretely) 기록되어 있는 경우, 다음 데이터가 어떤 시작주소로부터 기록되는가를 나타내는 포인터이다. 예를 들면, 1개의 트랙이 재생될 때, 슬롯(586행, 1열)의 테이블의 시작주소에서의 데이터가 슬롯(78행, 1열)의 테이블로 표시되는 종료주소에 이어서 재생되어야 하는 경우, 슬롯(80행, 4열)의 연결정보(Link-P)는 슬롯(586행, 1열)을 나타낸다.
즉, 디스크(D)가 사용되는 경우, 데이터는 기록매체 상에서 연속적인 형태로 기록될 필요는 없으며, 즉, 데이터는 반드시 연속적인 데이터스트림으로 기록되지 않아도 되며, 연속적인 데이터열(data train)은 이산적으로 기록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데이터가 이산적으로 기록되는 경우에도, 데이터의 연속성은 연결정보(L-Link)에 의해 표시되기 때문에, 재생 시에 판독된 데이터는 일단 판독속도보다 빠른 기입속도로 메모리로 기입되어 연속적인 데이터는 방해없이 재생될 수 있다.
또한, 이미 기록된 데이터에 기록된 프로그램보다 짧은 데이터가 중복기입(overwrite)되는 경우에도, 잉여분은 소거되지 않고 기록가능영역(P-FRA)으로서 지정될 수 있기 때문에 효율적인 기록이 가능하다.
기록가능영역을 나타내는 포인터(P-FRA)의 예를 이용하여 이산적으로 존재하는 영역의 결합방식이 도 9를 참조하여 설명된다.
예를 들면 03h(hexia-decimal)가 U-TOC섹터 0의 기록가능영역을 관리하는 슬롯의 선두위치를 나타내는 포인터(P-FRA)에 기록되고, 03h에 해당하는 슬롯이 우선 접근되는 경우로 설명한다.
슬롯(03h)은 슬롯(82행, 1열)에서 시작되는 8바이트의 영역(테이블)을 지정한다.
포인터의 값은 상기 값을 이용한 소정의 연산처리에 의해 특정 슬롯을 지정한다.
즉, 포인터의 값이 "P"인 경우, 그것은 304 + P×8로서 바이트위치를 나타낸다. 따라서 상술한 "03h"는 304 + 3×8 = 328을 나타내고, 이는 슬롯(82행, 1열)(82×4 = 328)의 바이트위치에 해당한다.
각 포인터와 연결정보는 상기 방식으로 특정 슬롯을 지정한다.
슬롯(03h)에 기록되는 시작주소와 종료주소의 데이터는 디스크에 기록된 트랙에서 시작주소와 종료주소의 일부를 나타낸다.
슬롯(03h)에 기록된 연결정보는 다음에 계속될 슬롯의 번호를 나타내고, 이 경우 18h가 연결정보로서 기록된다.
슬롯(18h)에 기록되는 연결을 추적함으로써 슬롯(2Bh)이 접근되고, 슬롯(2Bh)에 기록되는 연결정보를 추적함으로써 슬롯(E3h)이 접근된다. 상기 방식으로 연결정보는 연결정보로서 데이터(00h)가 나타날 때까지 계속해서 추적된다. 각 슬롯이 접근될 때 판독된 시작주소와 종료주소에 의해 각기 정의된 구간은 모두 비어 있는 영역(free area)으로서 관리된다.
상기 방식으로 포인터(P-FRA)에 의해 지시되는 슬롯을 Null (= 00h)의 연결정보가 검출될 때까지 추적될 수 있고, 이에 의해 디스크 상에 이산적으로 존재하는 비어 있는 영역으로서의 부분을 메모리 상에 연결할 수 있다.
상기에서 연결은 포인터(P-FRA)를 일예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산적으로 존재하는 부분들은 각 포인터(P-DFA, F-EMPTY, P-TNO0∼P-TNO25)의 경우에도 동일한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P-TNO(255)에 대해 디스크 상에 이산적으로 기록되어 단일트랙을 형성하는 부분들이 메모리에 연결될 수 있다.
U-TOC섹터 1에 기록되는 데이터는 도 10에 도시된다.
U-TOC섹터 1에서는 프로그램 영역에 기록되는 트랙의 타이틀과 디스크 전체의 타이틀이 관리된다.
오디오데이터가 트랙에 기록되는 경우, 디스크(D) 전체의 타이틀은 앨범타이틀, 연주자 등의 정보이고, 각 트랙의 타이틀은 곡명에 해당된다.
각 트랙의 문자정보는 슬롯(12행, 2열)을 시작으로 포인터(P-TNAn)(n은 1∼255의 범위)에 의해 지정되는 슬롯에 기록되고, 문자의 수가 많으면, 연결정보를 사용하여 다수의 슬롯이 문자정보를 기록하기 위해 연결된다.
U-TOC섹터 2에 기록된 데이터는 도 11에 도시된다.
U-TOC섹터 2에서는 프로그램영역에 기록된 각 프로그램의 기록일시가 상술한 U-TOC섹터 0의 경우와 동일한 방식으로 관리된다.
즉, 슬롯(12행, 2열)에서 시작되어 포인터(P-TRDn)(n은 1∼255의 범위)에 의해 지정되는 슬롯에는 각 트랙의 기록일시 등이 기록된다.
도 12는 U-TOC섹터 4에 기록되는 데이터를 나타낸다.
U-TOC섹터 4에서는, 프로그램영역에 기록된 각 트랙의 타이틀과, 전체 디스크의 타이틀이 U-TOC섹터 1에서와 동일하게 기록된다. 그러나, 상기 섹터 4는 폰트로서 한자문자, 유럽문자 등이 사용된 문자정보를 위한 기록영역으로 설정된다.
관리의 형식은 상술한 U-TOC섹터 1의 경우와 동일하다.
또한 U-TOC섹터 4에는, 기록을 위해 사용된 문자타입을 나타내기 위해 슬롯(10행, 4열)에 "char code"가 기록된다.
U-TOC섹터 0, 섹터 1, 섹터 2, 섹터 4가 상술한 방식으로 정의되는 반면, 다른 섹터(5∼31)들은 소정 포맷을 정의하기 위해 각기 사용될 수 있다.
본 예에서는, 예를 들면, 문자데이터는 섹터 5에 기록되고, 화상데이터는 섹터 6에 기록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예를 들면, 섹터5에서는 텍스트데이터가 어떤 바이트위치(예를 들면, 섹터주소에 이어서 (4행, 1열)에서 시작되는)로부터 임의로 기록될 수 있다.
텍스트데이터는 디스크 전체에 대응되는 문자정보이거나, 또는 임의의 트랙에 대응하는 문자정보일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섹터 6에서는 CCD카메라에 의한 사진데이터를 읽어들임으로써 화상데이터 등이 디스크 또는 임의의 트랙에 대응하는 정보로서 기록될 수 있다.
특히, 본 예에 의한 오디오시스템을 사용하여 업로드를 행하는 사용자는 악곡 등에 수반되는 문자정보나 화상정보 등을 기록하여 U-TOC섹터 5 또는 6에 업로드되도록 한다. 따라서 어떤 트랙의 업로드 시에 오디오서버시스템은 U-TOC섹터 5 및/또는 U-TOC섹터 6에 기록된 문자정보 및/또는 화상정보를 읽어, 이를 서버(12)에 저장할 수 있다. 즉, 오디오서버시스템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ATRAC데이터에 대응하여 파일링(filing)을 할 수 있다.
한편, 다운로드 사용자에 대해서는 오디오서버시스템은 어떤 컨텐트의 ATRAC데이터가 디스크에 다운로드되어 기록될 때, 부수되는 문자정보 및/또는 화상정보를 디스크(D)의 U-TOC섹터 5 및/또는 U-TOC섹터 6에 기록할 수 있다. 즉, 오디오서버시스템은 악곡 등에 더하여 악곡 등의 제공자가 제공하는 문자나 화상도 다운로드 사용자가 소유하는 디스크(D)에 다운로드할 수 있다.
섹터 5 섹터 6을 사용하여 설명하였지만, 물론 다른 섹터들도 문자나 화상의 저장에 사용될 수 있다.
5. 업로드/다운로드를 위한 송신방식
이하에서는 오디오서버시스템(1)의 업로드/다운로드를 위한 데이터 송신시스템이 설명된다. 설명을 위해 도 3에 도시된 기록재생부(20)의 상세한 구조가 도 13에 도시된다.
도 13을 참조하면, 도시된 기록재생부(20)는 서버부(1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 RAM(Random Access Memory)(22)을 제어하기 위한 메모리제어기(21)와, 데이터의 복호화 및 부호화를 위한 부호화-복호화회로(23)와, 자기헤드(25)를 구동하기 위한 자기헤드 구동회로(24)와, 디스크(D)에 레이저빔을 조사하고 반사광을 검출하기 위한 광픽업(optical pickup)(26)과, 상기 광픽업(26)에 의해 검출된 반사광에서 포커싱에러신호(FE), 트랙킹에러신호(TE), 광자기재생신호(MO)를 재생하기 위한 RF(radio frequency)증폭기(27)와, RF증폭기(27)로부터의 푸쉬풀(push-pull)신호(PP)에 기초하여 광디스크의 안내구에 형성되어 있는 글루브워블(groove wobble)에 대응한 신호를 재생하여 절대주소를 복호화하는 주소복호기(28)와, 디스크(D)를 회전구동시키는 스핀들모터(29)와, 광픽업(26)을 디스크(D)의 반경방향으로 움직이도록 구동시키는 스레드기구(thread mechanism)(30)를 구비한다.
기록재생부(20)는 RF증폭기(27)로부터의 포커싱에러신호(FE), 트랙킹에러신호(TE)에 기초하여 포커싱서보, 트랙킹서보, 스레드서보, 스핀들서보 등을 제어하는 서보회로(31)와, 메모리제어기(21), 부호화-복호화회로(23), 서보회로(31) 등을 제어하는 시스템제어기(32)와를 구비한다.
광픽업(26)은 대물렌즈를 통해 레이저다이오드로부터 광디스크(D)에 레이저빔을 조사한다. 또, 광픽업(26)은 디스크(D)의 반사광을 포토디텍터에 의해 검출하여 검출전류를 RF증폭기(27)에 공급한다.
RF증폭기(27)는 광픽업(26)으로부터의 검출전류에 기초하여 포커싱에러신호(FE), 트랙킹에러신호(TE), 광자기재생신호(MO), 푸쉬풀신호(PP)를 생성한다.
RF증폭기(27)는 생성된 포커싱에러신호(FE)와, 트랙킹신호신호(TE)를 서보회로(30)에 공급하고, 푸쉬풀신호(PP)를 주소복호기(28)에 공급하고, 광자기재생신호(MO)를 부호화-복호화회로(23)에 공급한다.
서보회로(31)는 공급된 포커싱에러신호(FE), 트랙킹에러신호(TE)에 기초하여 광픽업(26)의 2축기구(bniaxial mechanism)를 통하여 대물렌즈를 구동하여, 광자기디스크(D)에 조사되는 레이저빔의 트랙킹 및 포커싱의 서보제어를 행한다.
또, 서보회로(31)는 트랙킹에러신호(TE)에 기초하여 스레드기구(31)를 구동하여 광픽업(26)을 디스크(D)의 반경방향으로 구동하도록 스레드서보제어를 행한다.
또 서보회로(31)는 도시하지 않은 디스크(D)에 대한 회전검출회로로부터의 스핀들에러신호에 기초하여 디스크(D)가 일정한 선속(CLV, constant linear velocity)으로 회전하도록 스핀들모터(29)를 구동하는 스핀들서보제어를 행한다.
주소복호기(29)는 광디스크(D)의 안내구에 형성된 글루브워블에 의해 제공되는 워블신호(푸쉬풀신호(PP))로부터 주소정보를 재생한다.
디스크(D)의 재생 시(업로드 시)에 부호화-복호화회로(23)는 디스크(D)로부터 재생된 신호의 처리로서, RF증폭기(27)에서 공급되는 광자기재생신호(MO)를 2진 수치화(binary digitize)하고, EFM(eight to fourteen modulation)방식으로 2진 수치화된 광자기재생신호를 복조하고, CIRC(Cross interleaved Reed Solomon Coding)방식으로 에러정정의 복호화처리를 한다.
한편, 디스크(D)의 기록 시(다운로드 시), 부호화-복호화회로(23)는 디스크(D)에 대한 기록신호처리로서 메모리제어기(21)에서 공급되는 기록신호에 에러정정부호를 부가하고, EFM방식으로 기록신호를 변조하여 자기헤드 구동회로(24)에 변조된 기록신호를 공급한다.
자기헤드 구동회로(24)는 부호화-복호화회로(23)에서의 기록신호에 따라 자기헤드(25)를 구동하여, 디스크(D)에 변조자기장(modulated magnetic field)을 적용함으로써 디스크(D)에 신호를 기록한다.
상기 기록동작 시에 광픽업(26)은 자기헤드(25)의 자기장정보가 디스크(D)의 기록면에 보존되도록 하기 위해 고레벨의 레이저빔을 출력한다.
메모리제어기(21)는 RAM(22)에 저장되는 ATRAC데이터를 제어한다. 메모리제어기(21)는 서버부(10)에서 공급되는 ATRAC데이터를 일시적으로 RAM(22)에 저장한 후 부호화-복호화회로(23)에 공급한다.
한편, 디스크(D)의 재생 시에 메모리제어기(21)는 부호화-복호화회로(23)에 의해 복호화된 ATRAC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고, 서버부(10)로부터의 데이터요구에 응하여 ATRAC데이터를 판독하고 서버부(10)에 송신한다.
시스템제어기(32)는 기록재생부(20) 전체를 제어하고, 예를 들면, 메모리제어기(21), 부호화-복호화회로(23), 서보회로(31) 등을 제어한다.
또 시스템제어기(32)는 서버부(10)와 제어데이터의 교환을 행하는 각 회로를 제어한다. 이는 이하에 상세하게 설명된다.
오디오서버시스템의 기록재생부(20)는 상술한 구성을 갖기 때문에 다운로드 시에 서버부(10)에서 송신되는 ATRAC데이터를 디스크(D)에 기록하고, 또 업로드 시에는 디스크(D)에서 재생된 ATRAC데이터를 서버부(10)에 공급한다.
오디오서버시스템(1)은 상술한 바와 같이 서버부(10)와 기록재생부(20)를 접속하는 접속케이블(2)을 포함한다. 접속케이블(2)은,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서버부(10)와 기록재생부(20)(메모리제어기(21))의 사이에서 ATRAC데이터를 송신하는 ATRAC선(2A)과, 서버부(10)와 기록재생부(20)(시스템제어기(32)) 사이에서 명령데이터, TOC데이터 등을 송신하는 명령선(2C)을 갖는다.
다운로드 및 업로드 시에 서버부(10)와 기록재생부(20) 사이의 데이터송신방식에 대해서 도 14 내지 도 17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4는 다운로드 시에 각종 신호의 흐름을, 도 15a 내지 15i는 다운로드 시 각종 신호의 인터페이스상황을 나타낸다. 한편, 도 16은 업로드 시 각종 신호의 흐름을 , 도 17a내지 17i는 업로드 시 각종 신호의 인터페이스상황을 나타낸다.
도 14와 도 16은 ATRAC선(2A) 및 명령선(command line)(2C)을 통한 신호의 흐름을 나타낸다. 다운로드 시에는 ATRAC선(2A)이 이용되어 서버부(10)로부터 다운로드부로서 기능하는 기록재생부(20)로 ATRAC데이터가 송신된다.
한편, 업로드 시에는 ATRAC선(2A)을 이용하여 ATRAC데이터가 업로드부로서 기능하는 기록재생부(20)에서 서버부(1))로 송신된다.
반면, 요구신호(Data Req), 명령신호(Command), RTS/CTS신호를 명령선(2A)을 통해 서버부(10)와 기록재생부(20) 사이에서 송신된다.
특히, 다운로드 시에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록재생부(20)가 서버부(10)에 대하여 ATRAC데이터를 요구하는 요구신호(Data Req)를 출력한다. 또 기록재생부(20)와 서버부(10)는 상호 간에 명령신호(Command), RTS/CTS신호를 교환한다.
한편, 업로드 시에 서버부(10)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록재생부(20)에 대하여 ATRAC데이터를 요구하는 요구신호(Data Req)를 출력한다. 또, 기록재생부(20)와 서버부(10)는 상호 간에 명령신호(Command), RTS/CTS신호를 교환한다.
도시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각 신호의 참조기호로 서버부(10)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대해서는 "S"를 부가하고, 기록재생부(20)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대해서는 "UD"를 부가하였다.
우선, 다운로드 및 업로드 시의 ATRAC데이터 송신에 대하여 설명한다.
다운로드 시, 서버(12)에 저장된 컨텐트에 대응하는 ATRAC데이터(ATRAC(S))는 ATRAC선(2A)을 통해 서버부(10)의 주제어기(11)에서 기록재생부(20)의 메모리제어기(21)로 송신된다.
송신되는 ATRAC데이터는 기록재생부(20)의 RAM(22)의 용량에 따라 소정 용량 단위로 송신된다.
또, ATRAC데이터(ATRAC(S))의 요구를 나타내는 요구신호(Data Req(UD))는 명령선(2C)을 통해 기록재생부(20)의 시스템제어기(32)에서 서버부(10)의 주제어기(11)로 송신된다.
특히, ATRAC데이터(ATRAC(S))는 소정 용량 단위로 송신되기 때문에, 이미 송신되어 RAM(22)에 판독되어 있는 ATRAC데이터(ATRAC(S))가 모두 디스크(D)에 기입되어 있는 경우에는, 기록재생부(20)는 다음 데이터를 요구하기 위하여 서버부(10)에 요구신호(Data Req(UD))를 공급한다.
즉, ATRAC데이터(ATRAC(S))와 요구신호(Data Req(UD)) 사이의 관계는 도 15a 및 15b의 타임차트에 도시된다.
기록재생부(20)의 기록상황이 정상이면, 기록재생부(20)는 먼저 시각(t11)에서 요구신호(Data Req(UD))를 서버부(10)로 공급한다. 요구신호(Data Req(UD))가 수신되면, 서버부(10)는 시각(t12)에서 소정 용량 분의 ATRAC데이터(ATRAC(S))를 기록재생부(12)로 공급하기 시작한다.
ATRAC데이터(ATRAC(S))가 수신되면, 기록재생부(20)는 시각(t13)에서 요구신호(Data Req(UD))의 공급을 정지한다.
기록재생부(20)의 기록상태가 정상이 아니면, 시각(t14)에서 시각(t15)까지에 나타난 바와 같이 기록재생부(20)는 요구신호(Data Req(UD))를 서버부(10)로 공급하지 않고, 따라서 ATRAC데이터(ATRAC(S))는 서버부(10)에서 기록재생부(20)로 공급되지 않는다.
기록재생부(20)에서 요구신호(Data Req(UD))가 공급되지 않으면, 기록처리는 중단된다.
또한 기록재생부(20)는 시각(t16)에서 시각(t17)까지에 나타난 바와 같이 요구신호(Data Req(UD))가 공급되더라도 소정 시간 동안 서버부(10)로부터 ATRAC데이터(ATRAC(S))를 수신받지 못하면, 데이터 기입을 위한 데이터 대기상태, 예를 들면, 기록 일시중지(recording pause) 상태로 되어 ATRAC데이터(ATRAC(S))를 기다린다.
그리고 기록재생부(20)는 ATRAC데이터(ATRAC(S))가 공급되면, 시각(t17)에 나타난 바와 같이 기입동작을 시작한다.
또 오디오서버시스템(1)은, 기입 대기상태가 일정 시간 동안 계속되면, 어떤 문제점이 발생했다고 판단하여 처리를 중단한다.
기록재생부(20)는 서버부(10)에 ATRAC데이터에 대한 요구신호(Data Req(UD))를 공급하고, 서버부(10)는 상기의 방식으로 요구신호(Data Req(UD))에 대응하여 ATRAC데이터(ATRAC(S))를 기록재생부(20)로 송신함으로써 ATRAC데이터의 다운로드가 확실하게 행해질 수 있다.
그리고 업로드 시에는, 디스크(D)에 기록된 트랙에 기록하여 ATRAC데이터(ATRAC(UD))가 ATRAC선(2A)을 통하여 기록재생부(20)의 메모리제어기(21)에서 서버부(10)의 주제어기(11)로 송신된다.
송신되는 ATRAC데이터(ATRAC(S))는 서버부의 버퍼링성능이나 서버(12)의 기입능력에 따라 소정 용량의 단위로 송신된다.
또한 ATRAC데이터(ATRAC(UD))에 대한 요구를 나타내는 요구신호(Data Req(S))는 명령선(2C)을 통하여 서버부(10)의 주제어기(11)에서 기록재생부(20)의 시스템제어기(32)로 송신된다.
특히, 서버부(10)는 서버(12)로의 기입동작상태에 따라 요구신호(Data Req(S))를 기록재생부(20)에 공급하여 다음의 데이터를 요구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ATRAC데이터(ATRAC(UD))와 요구신호(Data Req(S)) 사이의 관계는 도 17a와 17b의 타임차트에 도시된다.
우선, 서버부(10)는 시각(t21)에서 요구신호(Data Req(S))를 기록재생부(20)에 공급한다. 요구신호(Data Req(S))가 수신되면, 기록재생부(20)는 시각(t22)에서 소정 용량의 ATRAC데이터(ATRAC(UD))를 서버부(10)로 공급하기 시작한다.
ATRAC데이터(ATRAC(UD))가 수신되면, 서버부(10)는 시각(t23)에서 요구신호(Data Req(S))의 출력을 정지한다.
서버부(10)의 기록상태가 정상이 아니면, 시각(t24)에서 시각(t25)까지에 나타난 바와 같이 서버부(10)에서 요구신호(Data Req(S)가 출력되지 않고, 따라서 ATRAC데이터(ATRAC(UD)) 역시 기록재생부(20)에서 서버부(10)로 공급되지 않는다.
또 서버부(10)에서 요구신호(Data Req(S))를 공급하더라도, 일정 시간동안 기록재생부(20)에서 ATRAC데이터(ATRAC(UD))가 수신되지 않으면 서버부(10)는 시각(t26)에서 시각(t27)까지에 나타난 바와 같이 ATRAC데이터(ATRAC(UD))를 대기하기 위한 데이터기입 대기상태가 된다.
그리고, ATRAC데이터(ATRAC(UD))가 공급되면, 서버부(10)는 시각(t2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서버(12)로의 기입동작을 시작한다.
기입대기상태가 일정 시간동안 계속되면, 서버부(10)는 어떤 문제가 발생했다고 판단하여 처리를 중단한다.
서버부(10)에서 ATRAC데이터에 대한 요구신호(Data Req(S))를 기록재생부(20)로 공급하고, 서버부(10)는 상기 방식으로 ATRAC데이터(ATRAC(UD))를 기록재생부(20)로 송신하기 때문에, ATRAC데이터의 업로드는 확실하게 행해질 수 있다.
다음에, 상술한 바와 같은 ATRAC데이터의 송신 및 수신 동작제어와, TOC정보의 업로드와 다운로드 등을 위해, 서버부(10)의 주제어기(11)와 기록재생부(20)의 시스템제어기(32) 사이에서 교환되는 각종 명령신호(Command(S)), Command(UD))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4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버부(10)와 기록재생부(20)는 상호 간에 명령신호(Command(S)), Command(UD))를 교환하고, 명령에 해당하는 처리의 기간에 대하여 RTS/CTS신호에 의하여 상호 점유상황을 설정, 확인한다.
특히, 업로드와 다운로드 시에, 도 15d 내지 15i, 17d 내지 17i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버부(10)에서 기록재생부(20)로 어떤 명령신호(Command(S))가 공급되면, 기록재생부(20)는 명령신호에 대응하는 처리를 수행하고 신호(RTS/CTS(UD))를 되돌려 보낸다.
한편, 어떤 명령신호(Command(UD))가 기록재생부(20)에서 서버부(10)로 공급되면, 서버부(10)는 명령신호(Command(UD))에 대응하는 처리를 수행하고 신호(RTS/CTS(S))를 되돌려 보낸다.
접속케이블(2)을 통하여 서버부(10)의 주제어기(11)와 기록재생부(20)의 시스템제어기(32) 사이에서 교환되는 명령신호는 표 1에 도시된다. 표 1의 예에서 명령은 1바이트의 값으로 설정된다.
[표 1]
셋업명령(SETUP)은 서버부(10)가 기록재생부(20)를 기록대기 상태, 즉 기록 일시중지상태로 만들도록 하기 위한 명령이다. 셋업명령(SETUP)이 공급되면, 기록재생부(20)는 기록 일시중지상태가 된다. 셋업명령(SETUP)은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1바이트의 "01h"이다.
다운로드기록명령(DOWNLOAD REC)은 기록재생부(20)에 대해 디스크(D)에 ATRAC데이터(ATRAC(S))의 기록을 시작하도록 지시하는 명령이다.
다운로드기록명령(DOWNLOAD REC)이 공급되면, 기록재생부(20)는 디스크(D)에 ATRAC데이터(ATRAC(S))의 기록을 시작한다. 다운로드기록명령(DOWNLOAD REC)은 예를 들면, "02h"이다.
정지명령(STOP)은 서버부(10)의 명령에 기초하여 기록재생부(20)의 처리를 정지하도록 지시하거나 또는 기록재생부(20)의 명령에 기초하여 서버부(10)의 처리를 정지하도록 지시하는 명령이다.
예를 들면, 정지명령(STOP)이 서버부(10)에서 기록재생부(20)로 공급되면, 기록재생부(20)는 다운로드기록명령(DOWNLOAD REC)에 기초한 기록처리 등을 정지한다. 정지명령(STOP)은 예를 들면, "03h"이다.
TOC0정보명령(TOC0 INFO)은 서버부(10)가 U-TOC섹터 0의 정보를 기록재생부(20)로 송신하도록 하거나 기록재생부(20)가 상기 정보를 서버부(10)로 송신하도록 하는 명령이다.
다운로드 시에, 서버부(10)가 TOC0정보명령(TOC0 INFO)과 그에 이어서 인수로서 트랙번호(다운로드한 순서로서의 번호)와, 트랙크기 및 트랙모드의 정보를 기록재생부(20)에 공급하면, 기록재생부(20)는 트랙크기로부터 기록된 ATRAC데이터의 시작주소와 종료주소를 판단하고, 디스크(D)의 U-TOC섹터 0에 TOC데이터를 기록한다.
한편, 업로드 시에, 기록재생부(20)가 TOC0정보명령(TOC0 INFO)과 그에 이어서 인수로서 트랙번호(업로드한 순서로서의 번호)와, 트랙크기 및 트랙모드의 정보를 서버부(10)에 공급하면, 서버부(10)는 트랙크기로부터 기록된 ATRAC데이터의 시작주소와 종료주소를 판단하고, 디스크(D)의 U-TOC섹터 0에 TOC데이터를 기록한다.
예를 들면, 다운로드 시에, U-TOC섹터 0의 정보는 기록재생부(20) 측에서 실행되는 기록동작에 기초하여 독자적으로 생성되어 디스크(D)에 기록되어야 한다.
그러나, 예를 들면, 복수의 컨텐트의 ATRAC데이터가 서버부(10)에서 공급되는 경우, 그들은 하나의 데이터스트림(data stream)으로서 기록재생부(20)에 공급되기 때문에 기록재생부(20)는 TOC섹터 0의 트랙정보를 정확하게 생성할 수 없다.
즉, 송신되는 데이터가 압축된 데이터이기 때문에 하나의 곡이 끝나는 부분을 판단할 수 없다.
따라서 본 실시의 형태에서, 각 컨텐트에 해당하는 데이터의 스트림길이를 나타내는 데이터크기와 트랙모드는 서버부(10)에서 TOC0정보명령(TOC0 INFO)으로서 공급된다. 그리고 기록재생부(20)는 TOC0정보명령(TOC0 INFO)에 기초하여 디스크(D)에 기록될 U-TOC섹터 0의 정보를 생성한다.
또한 업로드 시에, U-TOC섹터 0의 정보는 동일한 상황에서 기록재생부(20)에서 서버부(10)로 송신된다.
TOC0정보명령(TOC0 INFO)은 "04h"이다.
트랙번호명령(TNO)은 업로드 또는 다운로드되는 ATRAC데이터의 트랙번호를 지정하는 명령이다. 트랙번호명령(TNO)과 이에 계속되는 트랙번호(로드되는 순서로서의 번호)가 공급되면, 기록재생부(20) 또는 서버부(10)는 트랙번호의 트랙(컨텐트)에 대하여 예를 들면, 타이틀명령(Title) 등의 트랙번호에 계속되는 명령에 대응하는 처리를 행한다. 트랙번호명령(TNO)은 "05h"이다.
업로드트랙번호명령(UPLOAD TNO)은 업로드 시에 서버부(10)가 기록재생부(20)에 대하여 디스크(D)의 트랙 중 업로드될 트랙을 지정하는 명령이다. 업로드트랙번호명령(UPLOAD TNO)과 그에 계속되는 트랙 수, 트랙번호의 값으로 1 또는 복수의 트랙을 업로드대상으로서 지정한다.
이 업로드 트랙번호명령(UPLOAD TNO)은 예를 들면, "11h"이다.
업로드재생명령(UPLOAD PLAY)는 업로드 시에 서버부(10)가 기록재생부(20)에 대하여 디스크(D)로부터 ATRAC데이터의 재생시작를 지시하는 명령이다. 이 업로드재생명령(UPLOAD PLAY)이 공급되면, 기록재생부(20)는 디스크(D)로부터 ATRAC데이터(ATRAC(UD))의 재생을 시작한다. 업로드재생명령(UPLOAD PLAY)는 예를 들면, "12h"이다.
업로드종료 명령(UPLOAD FIN)은 서버부(10)가 기록재생부(20)에 업로드 종료를 지시하는 명령이다. 업로드종료 명령(UPLOAD FIN)은 예를 들면, "13h"이다.
TOC요구 명령(TOC REQ)는 업로드 시에 서버부(10)가 기록재생부(20)에 TOC정보의 송신을 요구하는 명령이다. 이 TOC요구 명령(TOC REQ)에 계속되는 값은 U-TOC섹터의 번호이고, 필요한 U-TOC섹터 정보의 송신을 요구하는 것이다. TOC요구 명령(TOC REQ)은 예를 들면, "14h"이다.
상태명령(UD STATUS)은 기록재생부(20)가 서버부(10)에 동작상태를 알리는 명령이다. 상태명령(UD STATUS)에 계속되는 값은 기록재생부(20)의 동작상태를 나타낸다, 예를 들면, 계속되는 값 "00h"는 정지상태를 나타내고, "01h"는 업로드 시의 재생상태를 나타내고, "02h"는 다운로드 시의 기록상태를 나타내고, "03h"는 기록일시중지상태를 나타내고, "FDh"는 에러발생상태를 나타낸다. 상태명령(UD STATUS)의 값은 예를 들면, "20h"이다.
타이틀명령(Title)은 디스크(D)의 U-TOC섹터 1과 섹터 4에 기록될 타이틀정보의 송신을 위한 명령이다. 타이틀명령(Title) 다음에 문자열정보, 문자데이터가 공급된다. 다운로드 시에 서버부(10)에서 이들이 공급되면, 기록재생부(20)는 디스크(D)의 U-TOC섹터 1과 섹터 4에 각 트랙에 해당하는 타이틀정보를 기록한다. 한편, 업로드 시에 기록재생부(20)에서 서버부(10)로 이들이 공급되면, 서버부(10)는 이들을 업로드된 ATRAC데이터에 대응하는 타이틀정보로서 읽어들인다.
타이틀명령(Title)의 값은 예를 들면, "83h"이다.
6. 업로드/다운로드 처리
이하에서는, 업로드 및 다운로드를 위한 오디오서버시스템(1)의 처리내용이 도 18 내지 20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된다. 흐름도는 서버부(10)의 주제어기(11)의 처리를 나타낸다.
스텝(S101)에서 서버부(10)(주제어기(11))는 예를 들면, 업로드 또는 다운로드의 조작이 되지 않는 구간에서는 그 시점에서의 서버(12)에 등록된 컨텐트의 리스트를 표시부(14)에 의해 표시한다.
예를 들면, 도 2와 같이 각 컨텐트가 등록된 경우, 컨텐트에 대해서 필요한 정보를 추출하고, 도 21과 같은 리스트를 표시한다.
즉, 각 컨텐트에 대해서 타이틀, 곡의 길이, 등록자(업로드한 사람), 등록일(업로드 일), 지금까지 다운로드된 회수, 다운로드 시에 다운로드사용자에게 요구될 금액(즉, 그 악곡 등의 판매가격이고, 이것은 예를 들면 업로드 사용자가 지불받기를 희망하는 금액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등이 표시되어 다운로드하고자 하는 사용자에게 제시된다.
또,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리스트표시와 함께 조작메뉴가 표시된다.
단계(S101)에서의 리스트표시는 조작메뉴에 의해 다운로드가 선택될 때(스텝(S104)의 직전)에 행해진 것이다.
조작메뉴에서는 다운로드, 업로드 및 다운로드하기 전의 시연(audition)을 위한 조작 등이 준비되어 있다. 여기서는 다운로드 조작 및 업로드 조작에 대하여만 설명한다.
사용자가 표시부(14)를 보면서 조작입력부(13)를 조작하여 다운로드를 선택하면, 제어는 단계(S102)에서 단계(S104)로 진행하여 다운로드를 위한 처리가 시작된다.
한편, 사용자가 조작메뉴에서 업로드를 선택하면 제어는 단계(S103)에서 단계(S112)로 진행하여 업로드를 위한 처리가 시작된다.
우선, 다운로드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단계(S104)에서는 서버부(10)가 사용자에게 다운로드될 컨텐트를 선택하도록 요구한다. 서버부(10)는 사용자에게 예를 들면,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리스트의 표시 중에서 하나 이상의 원하는 컨텐트를 선택하도록 요구한다.
선택이 완료되면, 서버부(10)는 선택된 조작정보를 읽어들이고, 제어는 단계(S105)에서 단계(S106)로 진행하여 서버부(10)는 사용자에게 기록재생부(20)로 디스크(D)를 장전하도록 요구한다.
사용자가 지참한 디스크(D)를 기록재생부(20)로 장전하면, 제어는 단계(S107)에서 단계(S108)로 진행한다.
경우에 따라서 사용자가 지참한 디스크(D)의 비어 있는 영역(기록되지 않은 영역)의 시간량(기록가능한 잔여시간)과 선택된 컨텐트의 총 시간길이를 비교할 때, 비어 있는 영역이 다운로드를 수행할 만큼 충분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러므로 실제 단계(S107)에서는 다운로드될 ATRAC데이터의 양과 디스크(D)의 기록가능한 잔여시간이 서로 비교되어, 기록가능한 잔여시간이 충분하지 못하면, 사용자에게 디스크(D) 등의 교체를 요구하고 다운로드처리가 불가능한 것으로 처리를 종료한다.
기록재생부(20)의 시스템제어기(32)에 의해 디스크(D)의 장전 시에 판독된 U-TOC섹터 0의 정보를 서버부(10)가 상술한 TOC요구명령(TOC REQ)를 사용하여 송신을 요구하는 등의 방법으로 장전된 디스크(D)의 기록가능한 잔여시간은 서버부(10)에 의해 확인될 수 있다.
디스크(D)가 장전된 후, 단계(S108)에서 서버부(10)는 다운로드의 대상으로서 선택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컨텐트에 대한 총 금액을 산출하고 사용자에게 지불을 요구한다.
사용자가 요구에 응하여 입금/출금블록(50)으로 요금을 지불하면, 제어는 단계(S109)와 (S110)으로 진행하여 실제 다운로드 처리가 시작된다.
무료로 제공되는 컨텐트의 다운로드 시에는 단계(S108)와 (S109)의 처리는 당연히 불필요하다.
다운로드 처리가 시작되고 나면, 서버부(10)는 우선 단계(S201)에서 표시부(14)를 사용하여 사용자에게 에러조사를 행할 것인가를 묻는다. 사용자가 조작입력부(13)를 사용하여 에러조사를 할 것이라거나 혹은 하지 않을 것이라고 입력하면, 제어는 단계(S202)로 진행한다. 에러조사는 이하에 설명된다.
단계(S202)에서는 서버부(10)가 명령선(2C)을 통하여 기록재생부(20)에 셋업명령(SETUP)을 공급한다. 셋업명령(SETUP)이 서버부(10)로부터 수신되면, 기록재생부(20)는 조작상태를 디스크(D)에 대한 기록중지상태로 설정한다.
단계(S203)에서는 서버부(10)기 기록재생부(20)의 조작상태로서 기록일시중지의 설정이 수행되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설정이 되었음이 확인되면, 제어는 단계(S205)로 진행한다. 반면, 소정 시간 내에 기록일시중지상태로의 설정이 확인되지 않으면, 제어는 단계(S204)로 진행한다. 후술하는 구체적인 동작예에서도 설명하지만, 서버부(10)가 기록재생부(20)로부터 상태명령(UD STATUS)을 수신하면 기록재생부(20)의 조작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단계(S204)에서는 서버(10)가 기록재생부(20)가 어떤 문제로 인하여 디스크(D)에 대한 기록이 불가능하다고 판단하고, 표시부(14)에 에러메시지 등을 표시하고 처리를 종료한다.
제어가 단계(S205)로 진행하면, 서버(10)는 기록재생부(20)에 다운로드기록 명령(DOWNLOAD REC)을 공급한다.
다운로드기록 명령(DOWNLOAD REC)이 수신되면, 기록재생부(20)는 서버부(10)에 요구신호(Data Req(UD))를 공급한다. 요구신호(Data Req(UD))가 수신되면, 서버부(10)는 기록재생부(20)에 대하여 소정 용량의 ATRAC데이터(ATRAC(S))를 공급한다. 그리고, ATRAC데이터(ATRAC(S))가 공급되면, 기록재생부(20)는 디스크(D)의 비어있는 영역에 데이터를 기록한다. 즉, ATRAC데이터의 다운로드가 단계(S205)에서 시작된다.
사용자에 의해 복수의 컨텐트가 지정되더라도, 서버부(10)는 ATRAC데이터(ATRAC(S))를 단일스트림으로서의 기록재생부(20)에 공급한다.
또한 , 기록재생부(20)는 외부 메모리 등에 미리 디스크의 U-TOC정보를 저장하고 있어 디스크(D)에의 기록이 정상적으로 행해지지 않는 경우, 디스크(D)의 상태는 다운로드 되기 전의 디스크의 상태로 되돌아갈 수 있다.
ATRAC데이터의 기록이 단계(S205)에서 시작된 후, 제어는 단계(S206)와 (S207)의 루프로 진행한다.
단계(S206)에서, 서버부(10)는 기록재생부(20)에서의 상태명령(UD STATUS)을 감시하여 상태명령(UD STATUS)이 나타내는 이상상태, 즉 기록상태 이외의 상태값이나 에러의 상태값이 발생하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상기 상태 값 중 어느 것도 발생하지 않고 기록상태가 정상이면, 서버부(10)는 단계(S207)에서 다운로드되는 ATRAC데이터의 송신 및 그들의 디스크(D)에 대한 기록이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검출한다.
즉, 단계(S206)와 (S207)에서, 기록재생부(20)는 일정 시간마다 기록이 정상인가의 여부 및 기록이 종료했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기록재생부(20)에서 기록이 정상적으로 행해지지 않았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제어는 단계(S206)와 단계(S204)로 진행하여 기록처리의 중단처리가 행해진다. 이 경우, 디스크(D)를 기록 전의 상태로 되돌리기 위하여, 미리 외부 메모리 등에 저장된 U-TOC정보를 디스크(D)로 반환하여 기입하는 처리를 행한다.
기록재생부(20)에 의해 기록이 정상적으로 수행되었고 기록이 종료되었다고 판단되면, 제어는 단계(S207)에서 단계(S208)로 진행한다.
단계(S208)에서는 서버부(10)가 기록재생부(20)에 정지명령(STOP)을 공급하다. 정지명령(STOP)이 수신되면, 기록재생부(20)는 ATRAC데이터의 기록처리를 종료한다. 정지명령(STOP)의 송신 후에 제어는 단계(S209)로 진행한다.
단계(S209)에서는 서버부(10)는 트랙번호명령(TNO)과 함께 TOC0정보(TOC0 INFO)명령 및 TOC0정보(TOC0 INFO)명령의 인수로서 트랙크기 정보와, 타이틀명령(Title) 및 타이틀의 문자수, 문자데이터 등의 필요한 TOC0정보를 공급한다.
상기 TOC정보가 서버부(10)에서 수신되면, 기록재생부(20)는 공급된 TOC정보에 기초하여 디스크(D)의 U-TOC섹터 0 내지 4에 필요한 데이터를 기록한다.
U-TOC섹터 0에 기록된 각 트랙의 시작주소와 종료주소는 TOC0정보명령(TOC0 INFO)에 계속하여 공급된 트랙크기의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다. 특히, ATRAC데이터는 단일 데이터스트림으로서 공급되기 때문에, 데이터스트림은 각 트랙마다 데이터크기로 분할되어 TOC정보를 생성한다.
또한, 다운로드의 대상인 컨텐트로서 문자데이터 및/또는 화상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 그들은 예를 들면, U-TOC섹터 5 또는 섹터 6에 기록될 정보로서 송신된다. 기록재생부(20)는 상기 문자정보 및 화상정보를 다운로드 대상으로서 기록된 ATRAC데이터에 대응되도록 디스크(D)의 U-TOC섹터 5와 6 등에 기록한다.
단계(S209)에서 필요한 TOC정보가 송신된 후, 제어는 단계(S210)로 진행한다.
단계(S210)에서 서버부(10)는 사용자가 단계(S201)에서 미리 에러조사 수행을 설정하였는지를 판단한다. 사용자가 에러조사를 하도록 설정하였다면, 제어는 단계(S211)로 진행하지만, 사용자가 에러조사를 하도록 설정하지 않은 경우 제어는 단계(S213)로 진행한다.
에러조사를 행하는 경우, 서버부(10)는 단계(S211)에서 명령선(2C)을 통해 기록재생부(20)로 에러조사명령을 공급한다. 에러조사명령이 공급되면, 기록재생부(20)는 기록된 ATRAC데이터를 판독하고, 기록된 데이터에 에러가 포함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기록재생부(20)에 의한 에러조사가 시작된 후, 서버부(10)는 단계(S212)에서 에러조사가 완료될 때까지 대기하고, 에러조사가 완료된 후 제어는 단계(S213)로 진행한다.
단계(S213)에서는 서버부(10)가 표시부(14)에 기록의 결과를 표시한다. 예를 들면, 에러조사의 결과로서 기록된 데이터에 에러가 포함되었다고 판단된 경우, 서버부(10)는 표시부(14)에 에러메시지 등을 표시한다. 에러조사의 결과 기록된 데이터에 에러가 포함되었음이 밝혀진 경우에는, 미리 외부메모리 등에 저장되어 있는 기록 전의 TOC정보를 디스크(D)에 기록하여, 디스크(D)를 더빙동작 전의 상태로 되돌리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계(S213)에서 기록결과가 표시된 후, 다운로드된 각 컨텐트에 대한 다운로드의 결과가 단계(S214)에서 갱신된다. 특히, 도 2에 도시된 파일구조 중에서 다운로드된 각 컨텐트의 다운로드 회수가 재기입된다(하나씩 증가된다).
또한, 미지불 회수의 수치도 하나씩 증가한다. 단계(S214)에서의 처리가 종료된 후, 제어는 도 18의 단계(S111)로 진행하여, 서버부(10)는 기록재생부(20)에 디스크(D)의 배출을 수행하도록 지시함으로써 일련의 다운로드처리 조작이 종료한다.
이제, 업로드처리가 설명된다.
사용자가 조작메뉴 중에서 업로드를 선택하면, 제어는 단계(S103) 내지 단계(S112)로 진행하여 업로드처리가 시작된다.
단계(S112)에서는 서버부(10)가 사용자에게 사용자명, 패스워드 등을 입력하도록 요구한다. 패스워드는 예를 들면, 업로드된 악곡 등의 다운로드 결과에 기초한 요금지불 시의 대조에 사용된다.
패스워드의 설정은 사용자에 의한 입력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가 고려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서버부(10)는 자동적으로 패스워드를 설정하고, 프린터장치(47)의 인쇄에 의해 패스워드를 출력함으로써 업로드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또 자동발생된 패스워드를 업로드를 위해 장전된 디스크(D)의 소정의 영역에 기입하는 방식도 고려될 수 있다. 이 경우, 예를 들면, 업로드 사용자조차도 패스워드를 제시하지 않아도 좋으며, 예를 들면 요금지불 시 사용자에게 디스크자체의 장전을 요구하여 패스워드를 대조하여도 좋다.
또한 사용자가 미리 디스크(D)의 소정의 영역에 패스워드를 기록해 두는 시스템을 구성하여도 좋다.
또한 업로드 사용자가 악곡 등을 유료제공하고자 하는 경우는 단계(S112)에서, 다운로드마다 지불될 금액을 입력하여도 좋다. 복수의 트랙을 업로드하고, 각 트랙마다 다른 금액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경우는 예를 들면, 단계(S116)에서 업로드 트랙이 지정될 때, 각 트랙마다 금액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하여도 좋다.
지불될 금액을 사용자가 입력할 필요는 없으며, 서버부(10)가 자동적으로 설정(예를 들면, 일률 요금으로)하여도 좋다.
업로드 사용자는 단계(S112)에서의 요구에 응하여 사용자명, 패스워드 등을 입력하도록 조작입력부(3)를 조작하게 된다. 입력이 완료되면, 제어는 단계(S113) 내지 단계(S114)로 진행하여, 서버부(10)는 사용자에게 디스크(D)를 기록재생부(20)로 장전할 것을 요구한다.
사용자가 지참한 디스크(D), 즉 업로드될 악곡 등이 기록된 디스크(D)를 기록재생부(20)로 장전하면, 제어는 단계(S115) 내지 단계(S116)로 진행한다.
단계(S116)에서는 서버부(10)가 사용자에게 장전된 디스크(D)에 기록된 트랙 중에서 업로드될 트랙을 지정하도록 요구한다.
사용자가 트랙지정 조작을 행하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트랙을 지정하면, 서버부(10)는 지정조작 정보를 읽어 들이고, 제어는 단계(S117) 내지 단계(S118)로 진행한다.
단계(S116)에서의 트랙지정 시에, 디스크(D)에 기록되어 있는 트랙의 트랙번호 및/또는 트랙명을 표시부(14)에 표시하도록 하여, 지정조작이 표시되도록 하여도 좋다. 장전된 디스크(D)의 트랙번호, 트랙명의 정보 등은 서버부(10)의 시스템제어기(32)에 의해 디스크(D)의 장전 시에 판독된 U-TOC섹터 0, 섹터 1 등의 정보를 서버부(10)가 상술한 TOC요구명령(TOC REQ)을 사용하여 송신을 요구하는 등의 방법으로 서버부(10)에 공급될 수 있다.
또, 사용자가 잘못된 디스크(D)를 장전하였기 때문에, 업로드될 트랙이 지정될 수 없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디스크(D)의 교체 등을 조작할 필요가 있다.
상술한 절차의 준비가 완료되면, 제어는 단계(S117) 내지 단계(S118)로 진행하여 업로드처리가 시작된다. 단계(S118)에서의 처리는 도 20에 도시된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업로드처리가 시작된 후, 서버부(10)는 먼저 단계(S301)에서 업로드트랙번호 명령(UPLOAD TNO)을 기록재생부(20)에 송신한다. 특히, 서버부(10)는 업로드트랙번호 명령(UPLOAD TNO)과 업로드트랙번호 명령(UPLOAD TNO)에 계속되는 트랙수, 트랙번호의 값에 의해 기록재생부(20)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트랙이 업로드 대상으로서 설정되었음을 알린다.
그리고 나서 단계(S302)에서, 서버부(10)가 기록재생부(20)에 업로드재생명령(UPLOAD PLAY)을 송신한다.
업로드재생명령(UPLOAD PLAY)이 수신되면, 기록재생부(20)는 업로드트랙번호 명령(UPLOAD TNO)에 의해 지정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트랙의 재생조작을 시작한다.
그리고 나서, 이 시점으로부터, 서버부(10)는 기록재생부(20)에 요구신호(Data Req(S))를 공급하고, 요구신호(Data Req(S))에 응하여 기록재생부(20)로부터 연속적으로 송신된 ATRAC데이터(ATRAC(UD))를 서버부(10)에 연속적으로 기록한다. 즉, ATRAC데이터의 업로드가 단계(S302)에서 시작된다.
단계(S302)에서 ATRAC데이터의 업로드가 시작된 후, 제어는 단계(S303)와 단계(S304)의 루프로 진행한다.
단계(S303)에서는 서버부(10)가 기록재생부(20)에서의 상태명령(UP STATUS)을 감시하여 이상 상태가 발생되었는지, 즉 에러로서의 상태값이 발생하였는지의 여부가 검출된다. 이상상태가 검출되지 않고, 재생상태가 정상이면, 서버부(10)는 단계(S305)에서 기록재생부(20)로부터 상태명령(UD STATUS)을 감시하여 정지상태에 도달하였는가, 즉 기록재생부(20)가 지정된 트랙의 ATRAC데이터의 재생 및 송신을 완료하였는가를 검출한다.
즉, 단계(S303)와 단계(S305)에서 일정 시간마다 재생이 정상인가 및 재생이 완료되었는가가 확인된다.
기록재생부(20)에 의한 재생이 정상적으로 행해지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제어는 단계(S303)와 단계(S304)로 진행하여, 업로드 처리의 중단처리가 수행된다.
기록재생부(20)에 의한 재생이 정상적으로 행해지고, 서버(10)로의 기록이 완료되면, 제어는 단계(S305)와 단계(S306)로 진행한다.
단계(S306)에서는 서버부(10)가 기록재생부(20)로 TOC요구명령(TOC REQ)을 송신하여 TOC정보의 송신을 요청한다.
예를 들면, 서버부(10)는 TOC요구명령(TOC REQ)과 함께 인수 "00h"를 송신하여 업로드된 트랙에 대한 U-TOC섹터 0의 정보를 요구한다.
상기 요구에 응하여, 기록재생부(20)는 TOC0정보명령(TOC0 INFO)과 TOC0정보명령(TOC0 INFO)의 인수로서 트랙크기 정보 등을 송신한다. 그리고 기록재생부(20)는 정지명령(STOP)을 사용하여 서버부(10)에 송신의 종료를 알린다.
서버부(10)는 상기 방식으로 송신된 U-TOC 섹터 0의 정보를 읽어들이고, 그들을 업로드된 트랙에 대응되도록 한다. 특히, 하나 또는 그 이상의 ATRAC데이터가 단일 데이터스트림으로서 업로드되기 때문에, 서버부(10)는 읽어들인 U-TOC섹터 0의 정보에 기초하여 데이터스트림을 각 트랙에 대한 데이터크기로 분할하여 업로드된 트랙을 각 컨텐트로서 정확하게 관리되도록 하여도 좋다.
그리고 나서, 정지명령(STOP)이 수신되면, 제어는 단계(S307)에서 단계(S308)로 진행한다. 그리고 나서, 단계(S308)에서 송신이 요구되는 TOC정보가 남아 있는지가 판단되고, 제어는 단계(S306)로 되돌아간다.
그리고 나서, 서버부(10)는 예를 들면, TOC요구명령(TOC REQ)과 함께 인수 "01h"를 송신하여 업로드된 트랙에 관한 U-TOC섹터 1의 정보를 요구한다.
상기 요구에 대하여, 기록재생부(20)는 타이틀명령(Title)과 타이틀명령(Title)의 인수로서 문자수와 문자를 서버부(10)로 송신한다. 그리고, 기록재생부(20)는 정지명령(STOP)을 사용하여 송신의 완료를 송신한다.
서버부(10)는 상기 방식으로 송신된 U-TOC섹터 1의 정보를 읽어들이고, 이를 트랙 중 하나와 대응되도록 한다. 그리고, 정지명령(STOP)이 수신되면, 제어는 단계(S307)와 단계(S308)로 진행한다. 그리고, 단계(S308)에서 송신이 요구되는 TOC정보가 아직 남아 있는가를 판단하고, 제어는 단계(S306)로 되돌아간다.
상술한 상기 처리는 업로드된 트랙 예를 들면, U-TOC섹터 0, 섹터 1, 섹터 4, 섹터 5, 섹터 6 등에 관한 정보를 순차적으로 반복하여 읽어들인다. 그리고 상기 방식으로 업로드된 트랙으로서 ATRAC데이터에 부가하여 타이틀정보, 문자정보, 화상정보 등을 순차적으로 업로드한다.
따라서, 이들에 의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컨텐트에 대응하여 각종 정보가 리스트된 파일형태가 생성된다.
필요한 모든 정보가 업로드된 후, 제어는 단계(S309)로 진행하여, 서버부(10)는 업로드종료명령(UPLOAD FIN)을 송신하여 기록재생부(20)에 업로드의 종료를 알린다.
단계(S310)는 사용자가 조작입력부(13) 등을 이용하여 관련정보 등을 등록한 경우의 대응처리를 제공한다. 예를 들면, 단계(S310)에서는 사용자가 ATRAC데이터와의 관계에 대응하는 문자정보를 등록하고자 하는 경우에 디스크(D)에 미리 문자정보가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의 대응처리를 제공한다. 특히, 사용자가 업로드를 하고자 할 때 문자메시지 등의 입력을 원하는 경우, 단계(S310)에서는 입력요구조작이 수행되고, 이 경우 서버부(10)의 제어는 단계(S311)로 진행한다. 단계(S311)에서 서버부(10)는 업로드된 ATRAC데이터와의 관계에 대응하는 조작입력부(13)에서 입력된 문자를 등록한다.
또 이 시점에서 URL정보가 입력될 수 있다.
오디오서버시스템(1)은 부가적으로 이미지스캐너, CCD카메라 등을 포함함으로써 업로드 사용자가 그 장소에서 화상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여도 좋다.
단계(S310)와 단계(S311)에서의 처리가 종료된 후, 제어는 도 18의 단계(S319)로 진행하여, 서버부(10)는 기록재생부(20)가 디스크(D)를 배출하도록 하여 업로드처리의 일련의 조작을 종료한다.
상술한 상기 처리에 의하여 오디오서버시스템(1)은 업로드/다운로드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처리에서는 다운로드 시에 모든 ATRAC데이터가 기록된 후에 필요한 TOC정보가 기록재생부로 공급되는 처리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TOC정보는 서버부(10)가 기록재생부(20)에 ATRAC데이터를 공급하기 전에 공급되어도 좋다.
특히, 단계(S209)에서의 처리는 셋업이 완료된 후 시작명령(START)이 공급되기 전에, 즉 단계(S203)와 단계(S205)의 사이에서 수행된다. 기록재생부(20)는 ATRAC데이터가 디스크(D)에 기록된 후 TOC정보를 기록하기 때문에, 먼저 공급된 TOC정보는 외부메모리 등에 보존된다.
또한, 오디오서버시스템(1)에서 서버부(10)는 기록재생부(20)에 ATRAC데이터를 공급하는 동안, 동시에 TOC데이터를 공급하여도 좋다.
특히, ATRAC데이터와 명령이 공급되는 데이터선은 ATRAC선(2A)과 명령선(2C)으로 구별되기 때문에, 단계(S206)와 단계(S207)에서의 처리와 단계(S209)에서의 처리는 병행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다운로드 처리의 일련의 단계를 위한 데이터송신시간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기록재생부(20)에 대하여 TOC정보 등을 외부메모리 등에 보존하고, ATRAC데이터를 전부 기록한 후 TOC정보를 디스크(D)에 기록할 필요가 있다.
또한, 단계(S201)와 단계(S213)의 처리에서는 복수의 컨텐트에 해당하는 ATRAC데이터가 단일 데이터스트림으로 취급되고, TOC정보의 생성에 필요한 정보가 별도로 서버부(10)로부터 기록재생부(20)로 공급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와 같은 처리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복수의 컨텐트가 사용자에 의해 지정되면, 하나의 컨텐트에 대응하는 ATRAC데이터를 디스크(D)에 기록하고 기록된 ATRAC데이터의 TOC정보를 생성, 기록한 후, 다음의 컨텐트에 대응하는 ATRAC데이터를 기록하도록 처리하는 것도 가능하다.
특히, 상기 처리는 단계(S205) 내지 단계(S209)에서의 처리를 하나의 컨텐트마다 처리가 반복되는 루프로 형성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ATRAC데이터의 송신과 TOC정보의 송신을 위한 각종 처리는 송신의 순서에 따라 이용되거나 병렬처리로서 이용될 수 있으며, 이것은 업로드에도 적용된다. 즉, ATRAC데이터의 업로드 전에 미리 TOC정보를 업로드하거나, TOC정보와 ATRAC데이터를 병렬적으로 업로드하거나, 1트랙마다 ATRAC데이터와 TOC정보를 업로드할 수 있다.
7. 다운로드의 동작예
상술한 다운로드 처리에 의해 실행된 다운로드 동작의 예는 이하에서 도 22 내지 도 27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여기서는 2곡에 대한 음악컨텐트가 디스크(D)에 다운로드되는 경우의 동작예를 타이밍차트 등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서버(12)에는 도 22(a)에 도시된 바와 같은 타이틀이 "ByeBye", 트랙모드(trmd)가 "a6 ", 트랙크기가 "0002.00.00"인 컨텐트 #1, 타이틀이 "Hello", 트랙모드(trmd)가 "a6 ", 트랙크기가 "0010.2f.0a"인 컨텐트 #2, 타이틀이 "Morning", 트랙모드(trmd)가 "86 ", 트랙크기가 "0020.1e.00"인 컨텐트 #3 등 다수의 컨텐트가 등록되어 있다.
한편, 사용자에 의해 지참되고 다운로드가 행해질 디스크(D)에는 도 2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이틀이 "Emotion", 트랙모드(trmd)가 "e6 ", 트랙크기가 "0011.05.02"인 제 1트랙(Trl)과, 타이틀이 "Dream", 트랙모드(trmd)가 "e6 ", 트랙크기가 "0022.1f.0a"인 제 2트랙(Trl)의 2곡이 기록되어 있다.
여기서 사용자가 기록재생부(20)에 디스크(D)를 장전하고, 서버(12)에서 컨텐트 #2와 #3을 선택하고, 다운로드조작을 수행하면, 서버(12)에 저장된 컨텐트#2(타이틀이 "Hello"인 ATRAC데이터 등)와 컨텐트 #3(타이틀이 "Morning"인 ATRAC데이터 등)이 디스크(D)에 기록된다. 이 경우, 도 23a 내지 23e, 24a 내지 24e, 25a 내지 25e 및 26a 내지 26d에 도시된 처리가 수행된다.
도 23a 내지 23e는 ATRAC데이터가 다운로드될 때 서버부(10)와 기록재생부(20) 사이에서 교환되는 명령데이터의 타임차트이다. 도 23a 내지 23e에서, RTS/CTS신호는 생략되었다.
우선, 도 2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버부(10)는 시각(t31)에서 기록재생부(20)에 셋업명령(SETUP)"01h"을 공급한다.
셋업명령(SETUP)이 수신되면, 기록재생부(20)는 도 23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각(t32)에서 기록일시중지상태로 들어가 상태명령(UD STATUS)과 기록일시중지를 나타내는 수치 "03h"를 서버부(10)로 송신하여 서버부(10)에 셋업상태로 되었음을 알린다.
기록재생부(20)의 셋업이 확인된 후, 서버부(10)는 도 2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록재생부(20)에 다운로드 기록명령(DOWNLOAD REC) "02h"을 공급한다.
다운로드기록 명령(DOWNLOAD REC)의 공급은 상술한 단계(S205)의 처리에 대응한다.
다운로드 기록명령(DOWNLOAD REC)가 수신되면, 기록재생부(20)는 기록조작을 시작하고, 도 2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태명령(UD STATUS) "20h"과 함께 기록상태를 나타내는 값 "02h"을 서버부(10)에 송신하여 서버측의 기록상태를 알린다.
서버부(10)는 시각(t34) 이후에 기록재생부(20)로부터 송신된 도 23b에 도시된 요구신호(Data Req(UD))에 기초하여 소정 용량의 ATRAC데이터, 즉 서버(12)에 저장된 컨텐트 #2와 컨텐트 #3의 ATRAC데이터(ATRAC(S))를 기록재생부(20)에 공급시작한다.
그리고, 서버부(10)는 소정 용량에 대한 ATRAC데이터(ATRAC(S))를 공급하기 때문에, 도 2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순차적으로 발생된 요구신호(Data Req(UD))에 기초하여 데이터를 기록재생부(20)에 순차적으로 공급한다.
한편, 서버부(10)는 상태명령(UD STATUS)이 기록재생부(20)에서 송신되었는가를 검출하여, 기록재생부(20)의 기록상태가 정상인가를 확인한다. 이는 상술한 단계(S206)의 처리에 대응한다.
기록재생부(20)는 동작상태가 변화할 때마다 상태명령(UD STATUS) "20h" 및 상태명령(UD STATUS)의 인수를 이용하여 그 상태를 송신하지만, 예를 들면, 동작상태가 변화하지 않아도 기록재생부(20)는 정기적으로 상태명령(UD STATUS) "20h" 및 상태명령(UD STATUS)의 인수를 이용하여 그 상태를 송신할 수 있다.
서버부(10)가 모든 ATRAC데이터를 기록재생부(20)에 공급하였다고 판단하면, 도 2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각(t35)에서 정지명령(STOP) "03h"을 기록재생부(20)에 공급한다.
정지명령(STOP)을 공급하는 처리는 상술한 단계(S208)의 처리에 대응한다.
정지명령(STOP)이 공급되고, 공급된 모든 ATRAC데이터가 디스크(D)에 기록되면, 도 2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록재생부(20)는 시각(t36)에서 기록처리를 종료하고, 상태명령(UD STATUS)"20h" 및 정지상태를 나타내는 "00h"를 이용하여 정지상태가 된 것을 서버부(10)에 알린다.
도 24a 내지 도 24d는 상술한 단계(S209)에서 서버부(10)에서 기록재생부(20)로 공급되는 TOC0정보명령(TOC0 INFO)의 교환을 나타내는 타임차트이다.
도 24a 내지 24c는 서버부(10)와 기록재생부(20)의 사이의 송신데이터 및 그 처리의 타임차트를 나타내고, 도 24d는 각 시각에서 디스크(D)의 U-TOC섹터의 기록상태를 나타낸다.
우선, TOC0정보명령(TOC0 INFO)가 공급되기 전인 시각(t41)에서, 미리 기록된 제 1(Tr1) 및 제 2트랙(Tr2)(타이틀이 각각 "Emotion"과 "Dream"인 트랙)의 시작주소, 종료주소, 트랙모드가 디스크(D)의 U-TOC섹터 0에 기록된다.
도 2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버부(10)는 시각(t42)에서 다운로드가 수행된 2개의 컨텐트 중에서 제 1컨텐트(이 경우 컨텐트 #2)의 트랙모드와 트랙크기를 공급한다. 특히, 서버부(10)는 TOC0정보명령(TOC0 INFO) "04"과 함께 컨텐트 #2의 ATRAC데이터의 로드 순서로서의 컨텐트번호 "01h"("01h"는 2개의 다운로드 트랙 중 제 1 다운로드 트랙임을 나타낸다)와, 도 22에 도시한 컨텐트#2의 트랙모드 "a6h"와, 이 컨텐트#2의 트랙크기 "0010h. 2fh. 0ah"를 공급한다.
다운로드가 행해진 복수의 컨텐트 중 제 1컨텐트(#2)의 트랙모드와 트랙크기가 수신되면, 기록재생부(20)는 공급된 정보에 기초하여 U-TOC섹터 0의 정보를 생성하고, 그것을 디스크(D)에 기록하는 처리를 행한다.
처리가 실행되는 동안 기록재생부(20)는 도 2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RTS/CTS(UD))를 반환한다.
따라서, 시각(t43)에서 다운로드된 제 1컨텐트(#2)에 해당하는 트랙모드와 시작주소, 종료주소가 디스크(D)의 U-TOC섹터 0에 기록된다.
여기서 다운로드된 컨텐트 중 제 1컨텐트(#2)는 다운로드 전에 2개의 트랙이 이미 디스크(D)에 기록되어 있기 때문에 U-TOC섹터 0에서 제 2트랙(Tr3)으로서 관리된다.
시각(t43) 후에, 도 2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버부(10)는 다운로드된 제 2컨텐트(이 경우 컨텐트 #3)의 트랙모드와 트랙크기를 공급한다. 특히, 서버부(10)는 TOC0정보명령(TOC0 INFO)과 함께 타이틀이 "Morning"인 ATRAC데이터의 로드순서로서의 컨텐트번호("02h"; 이는 제 2다운로드 트랙을 나타낸다)와, 컨텐트 #3의 트랙모드 "86h", 트랙크기 "0020h. 1eh. 00h"를 공급한다.
다운로드된 제 2컨텐트(#3)의 트랙모드와 트랙크기가 수신되면, 기록재생부(20)는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U-TOC섹터 0의 정보를 생성하고 그것을 디스크(D)에 기록하는 처리를 수행한다. 따라서 시각(t44)에서 컨텐트(#3)에 해당하는 트랙모드와 시작주소, 종료주소가 디스크(D)의 U-TOC섹터 0에 기록된다. 다운로드된 제 2컨텐트(#3)는 디스크(D)의 제 4트랙(Tr4)으로서 관리된다.
그리고 나서 서버부(10)는 도 2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각(t45)에서 정지명령(STOP) "03h"을 공급한다. 정지명령(STOP)가 수신되면, 기록재생부(20)는 전에 공급된 TOC0정보명령(TOC0 INFO)에 해당하는 처리가 종료되었는지를 판단하고, 복사된 제 2컨텐트(#3)에 대응하는 종료주소 이후의 주소에는 어떤 데이터도 없음을 결정하는 잔여 데이터의 삭제처리를 행한다.
따라서 시각(t46)에서, 이미 기록된 제 1(Tr1) 및 제 2트랙(Tr2)의 데이터와 함께, 컨텐트(#2, #3)의 트랙은 U-TOC섹터 0에 의해 관리된다.
도 25a 내지 25d, 도 26a 내지 도 26d는 상술한 단계(S209)에서 서버부(10)에서 기록재생부(20)로 공급된 타이틀 정보 등의 처리를 나타내는 타임차트이다.
도 25a, 25b, 25c와 26a, 26b, 26c는 서버부(10)와 기록재생부(20) 사이의 데이터교환과 처리를 나타내는 타임차트이고, 도 25d와 26d는 각 시각의 디스크의 U-TOC섹터 1과 섹터 4의 기록상태를 나타내는 타임차트이다.
우선 도 2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떤 타이틀명령(Title)도 수신되기 전인 시각(t51)에서는 이미 기록된 제 1트랙(Tr1)과 제 2트랙(Tr2)의 타이틀만이 디스크(D)의 U-TOC섹터 1과 섹터 4에 기록된다.
서버부(10)는 시각(t52) 이후에 다운로드된 컨텐트로서 제 1컨텐트(#2)의 타이틀을 공급한다.
특히, 서버부(10)는 타이틀명령(Title)과 함께, ATRAC데이터의 컨텐트번호, 공급되는 문자수, 컨텐트의 타이틀 "Hello"의 문자데이터를 공급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도 2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시각 (t52)에서 서버부(10)는 트랙번호명령(TNO)"05h"에 이어서 트랙번호"01h"를 송신하여 기록재생부(20)에 다운로드된 컨텐트 중 제 1컨텐트(#2)의 정보가 송신되었음을 알린다.
기록재생부(20)에 의해 트랙번호명령(TNO)에 대응하는 처리가 수행되었음이 신호(RTS/CTS(UD))로부터 확인되면, 서버부(10)는 시각(t53)에서 타이틀명령(Title)"83h"과 함께 문자수와 문자열데이터의 정보를 송신한다.
다운로드된 컨텐트로서 제 1컨텐트(#2)의 타이틀이 수신되면, 기록재생부(20)는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U-TOC섹터 1과 U-TOC섹터 4의 정보를 생성하고 이 정보를 디스크(D)에 기록하는 처리를 수행한다.
타이틀의 문자수가 규정된 수보다 큰 경우는 처리는 복수 회로 분할되어 수행된다.
즉, 1회의 송신에 의해 4문자에 대한 데이터만이 공급될 수 있는 경우, "Hell"의 4문자가 우선 시각(t53)에서 공급되고, 그리고 나서 하나의 문자"o"가 시각(t54)에서 공급된다.
따라서, 시각(t55)에서 다운로드된 컨텐트(#2)(디스크(D)의 제 3트랙(Tr3))에 해당하는 타이틀이 디스크(D)의 U-TOC섹터 1에 기록된다. 한자문자, 유럽문자 등에 의한 타이틀정보가 동일한 수신처리에 의해 공급되는 경우, 기록재생부(20)는 상기 정보에 기초하여 U-TOC섹터 4의 기록을 수행한다.
컨텐트(#2)의 타이틀정보에 대한 기록재생부(20)의 처리 후에, 서버부(10)는 도 2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각(t56)에서 다운로드된 제 2컨텐트(#3)의 타이틀을 공급한다.
즉, 서버부(10)는 우선, ATRAC데이터의 컨텐트번호로서 트랙번호명령(TNO)"05h"에 계속하여 트랙번호"02h"를 송신하여, 기록재생부(20)에 송신된 정보가 다운로드된 컨텐트 중 제 2컨텐트(#3)의 정보임을 알린다. 그리고 나서, 대응되는 처리가 기록재생부(20)에 의해 수행되면, 서버부(10)는 계속하여 타이틀명령(Title)"83h"과 함께 문자수와 문자열 데이터의 정보를 송신한다.
상기 경우 문자열 정보는 'Morning"이고, 4 이상의 문자를 포함하기 때문에 "Morn"과 "ing"로 분할되어 도 2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2회로 분할되어 송신된다.
다운로드된 제 2컨텐트(#3)의 타이틀이 상기 방식으로 공급되면, 기록재생부(20)는 U-TOC섹터 1(경우에 따라 섹터 1과 4)의 정보를 생성하고, 이것을 디스크(D)에 기록한다.
따라서 시각(t57)에서 다운로드된 제 2컨텐트(#3)(디스크(D)의 제 4트랙(Tr4))에 해당하는 타이틀은 디스크(D)의 U-TOC섹터 1에 기록된다.
그리고 나서, 기록재생부(20)가 도 2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든 타이틀의 기록처리를 종료하면, 서버부(10)는 정지명령(STOP)"03h"을 공급하여, 그 처리를 종료한다.
U-TOC섹터 5, 6 등에 기록될 정보가 남아있는 경우에는, 정보의 송신처리는 정지명령(STOP)"03h"이 공급되기 전과 동일한 방식으로 수행된다. 그리고 모든 TOC정보가 다운로드되는 시점에서 정지명령(STOP)"03h"이 공급된다.
상술한 상기의 처리를 수행함으로써 오디오서버시스템(1)은 다운로드되는 오디오데이터에 대한 U-TOC정보를 디스크(D)에 기록할 수 있다. 특히, 디스크(D)에는 이미 기록되어 있는 타이틀이 "Emotion"인 제 1트랙(Tr1)과 타이틀이 "Dream"인 제 2트랙(Tr2)과 함께, 서버(12)에서 다운로드된 타이틀이 "Hello"인 제 3트랙(Tr3)과 타이틀이 "Morning"인 제 4트랙(Tr4)의 TOC정보와 ATRAC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다.
또한 문자데이터 및/또는 화상데이터가 다운로드되면, 그들도 소정의 U-TOC섹터에 기록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오디오서버시스템(1)에서는 서버부(10)가 ATRAC데이터와 함께 각 트랙의 트랙크기를 송신하고, 기록재생부(20)가 트랙크기에 기초하여 디스크(D)에 기록된 데이터스트림을 분리하고 각 트랙의 시작주소와 종료주소를 디스크(D)의 U-TOC에 기록한다.
따라서, 오디오서버시스템(1)에 의하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하나 또는 복수의 트랙은 정확하게 디스크(D)에 다운로드될 수 있다. 또한 기록재생부(20)는 송신된 데이터스트림에 기초하여 ATRAC데이터를 단일한 트랙으로서 기록하고, 단일 트랙의 데이터 스트림이 분할되는 방식으로 각 트랙의 시작주소와 종료주소를 기록하여 디스크(D)의 효율적인 이용이 가능하다.
그런데, 상기 다운로드 시에, 재생부(41) 및/또는 관련정보재생부(46)를 이용하여 각종 동작을 행할 수 있다.
특히, 오디오서버시스템(1)에서, 기록재생부(20)가 ATRAC데이터를 기록하는 동안, 기록재생부(20)에 의해 기록되는 압축된 ATRAC데이터는 재생부(41)에 의해 압축해제되어 재생된다. 따라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트랙이 디스크(D)에 기록될 때, 사용자는 기록될 트랙에 해당하는 오디오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다운로드되는 데이터가 ATRAC방식으로 압축된 데이터이므로, 악곡으로 재생될 수 있는 데이터의 부분은 곡의 일부이다. 예를 들면, 데이터가 약 1/5로 압축된 경우, 전곡의 1/5에 대한 모니터재생이 가능하다.
모니터를 위해 재생될 위치는 예를 들면, 곡의 시작부분, 하이라이트부분 및 업로드 사용자에 의해 업로드 시에 설정되었던 부분 등의 몇 가지 부분 중에서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오디오서버시스템(1)에서는, 디스크(D)에 기록된 ATRAC데이터를 재생부(41)에 의해 모니터재생하는 것과 함께, 혹은 ATRAC데이터를 재생부(41)에 의해 재생하는 대신에 정지화상이나 동화상, 텍스트데이터 등이 디스크(D)에 기록된 ATRAC데이터의 관련정보로서 관련정보재생부(46)에 의해 재생될 수 있다.
특히, 서버부(10)의 주제어기(11)는 하나의 컨텐트로서의 ATRAC데이터와 함께 서버(12)에 저장된 문자데이터 및/또는 화상데이터의 파일을 서버(12)로부터 얻어, 관련정보재생부(46)의 프린터장치(47) 또는 표시장치(48)에 파일을 공급한다. 화상데이터가 공급되면, 관련정보재생부(46)의 프린터장치(47)는 예를 들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화상데이터를 종이에 인쇄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또, 화상데이터가 공급되면, 관련정보재생부(46)의 표시장치(48)는 예를 들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그 화상데이터를 표시한다.
또, WWW서버의 주소인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이 있는 경우, 서버부(10)의 주제어기(11)는 통신용 인터페이스(44)를 통하여 홈페이지 등에서의 관련정보를 얻고, 관련정보재생부(46)의 프린터장치(47), 표시장치(48), 스피커(49)로 이를 공급한다. WWW서버의 정보가 수신되면, 관련정보재생부(46)의 프린터장치(47), 표시장치(48) 등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동화상, 정지화상, 오디오, 문자정보 등을 출력한다.
이상과 같이 오디오서버시스템(1)에서는 디스크(D)에 ATRAC데이터를 다운로드하는 동안, 미리 서버(12)에 저장된 화상, 오디오 및 텍스트데이터나, 송신매체를 통한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에서 얻은 관련정보를 표시장치(48)에 표시하거나 프린터장치(47)에서 인쇄하여 다운로드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8. 업로드의 동작예
도 18 및 도 20을 참조하여 상술한 업로드처리에 의한 업로드 동작의 예는 도 28a와 28b, 도 29a 내지 29e, 도 30a 내지 30d, 도 31a 내지 31d, 도 32a 내지 32d, 도 33을 참조하여 이하에 설명된다.
여기서는 특히 2곡에 대한 트랙이 서버(12)로 업로드되는 경우가 타이밍차트 등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도 2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텐트#1, #2, #3, ... 등의 다수의 컨텐트가 서버(12)에 기록되어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또한 도 2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이틀이 "Woman"이고, 트랙모드(trmd)는 "e6", 트랙크기는 "0010.05.03"인 제 1트랙(Tr1), 타이틀이 "Street"이고, 트랙모드(trmd)는 "e6", 트랙크기는 "0012.10.3e"인 제 2트랙(Tr2), 타이틀이 "Night"이고, 트랙모드(trmd)는 "86", 트랙크기는 "0021.1e.06"인 제 3트랙(Tr3)의 세 곡이 업로드를 하고자 하는 사용자에 의해 지참된 디스크(D)에 기록된다.
여기서 사용자는 디스크(D)를 기록재생부(20)로 장전하고, 디스크(D)의 트랙(Tr2, Tr3)을 지정하고, 업로드 조작을 행한다.
도 29a 내지 29e는 ATRAC데이터가 업로드될 때, 서버부(10)와 기록재생부(20)사이에서의 명령데이터의 교환의 타임차트이다. 도 29a 내지 29e에서 RTS/CTS신호는 생략되었다.
우선, 서버부(10)는 도 2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각(t61)에서 업로드트랙번호 명령(UPLOAD TNO)을 공급한다. 특히, 서버부(10)는 업로드트랙번호 명령(UPLOAD TNO) "11h"와 계속되는 트랙수 "02h", 트랙번호 "02h", "03h"에 의해 트랙(Tr2, Tr3)이 업로드 대상으로 선택되었음을 기록재생부(20)에 송신한다. 이것은 상기의 스텝(S301)의 처리에 상당한다.
그리고 시각(t62)에서, 서버부(10)는 도 2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업로드재생명령(UPLOAD PLAY) "12h"을 기록재생부(20)에 송신한다. 이것은 상기의 스텝(S302)의 처리에 상당한다.
송신에 대하여 기록재생부(20)는 업로드트랙번호 명령(UPLOAD TNO)에 의해 지정된 트랙(Tr2, Tr3)의 재생조작을 시작한다. 그리고 도 29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록재생부는 업로드재생을 나타내는 값 "01h"를 상태명령(UD STATUS) "20h"과 함께 서버부(10)로 송신한다.
서버부(10)는 시각 (t63) 이후에 요구신호(Data Req(S))를 기록재생부(20)에 송신한다. 요구신호(Data Req(S))에 응하여 기록재생부(20)는 소정 용량의 ATRAC데이터, 즉 디스크(D)에서 재생된 트랙(Tr2, Tr3)의 ATRAC데이터(ATRAC(UD))의 공급을 시작한다.
그리고, 서버부(10)는 서버부(12)로의 기록동작에 따라 도 2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구신호(Data Req(UD))를 기록재생부(20)에 송신한다. 요구신호(Data Req(UD))에 응하여 기록재생부(20)는 도 2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ATRAC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서버부(10)에 공급한다.
한편, 서버부(10)는 상태명령(UD STATUS)이 기록재생부(20)로부터 송신되었는지를 감시하여 기록재생부(20)의 기록상태가 정상인가를 판단한다. 이것은 상술한 단계(S303)에 대응하는 처리이다.
기록재생부(20)가 모든 ATRAC데이터가 서버부(10)로 공급되었다고 판단하면, 도 29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각(t64)에서 재생동작을 정지하고, 상태명령(UD STATUS)"20h"과 정지상태를 나타내는 "00h"로 서버부(10)에 정지상태로 되었음을 알린다.
따라서 서버부(10)는 ATRAC데이터의 업로드 완료를 검출하고, ATRAC데이터의 서버(12)로의 기록을 종료한다.
도 30a 내지 30d는 상술한 단계(S306)에서 수행된 서버부(10)에서 기록재생부(20)로의 TOC정보요구의 타임차트이다.
ATRAC데이터를 서버(12)에 기록하는 것이 완료된 후, 도 3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버부(10)는 시각(t71)에서 TOC요구명령(TOC REQ)를 기록재생부(20)에 송신하여 TOC정보의 송신을 요청한다.
특히, 서버부(10)는 우선 TOC요구명령(TOC REQ) "14h"과 함께 인수 "00h"를 송신하여 업로드트랙에 대한 U-TOC섹터 0 정보를 요구한다.
상기 요청에 응하여, 기록재생부(20)는 시각(t72)에서, TOC요구명령(TOC REQ)과 그 인수, 즉 업로드된 2 개의 트랙 중 제 1트랙(이 경우, 트랙(Tr2))의 트랙모드와 트랙크기를 공급한다.
특히, 기록재생부(20)는 도 3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TOC0정보명령(TOC INFO)과 함께 트랙(Tr2)의 ATRAC데이터의 로드 순서로서의 트랙번호 "01h"(2개의 업로드트랙 중 제 1업로드 트랙인 것을 나타낸다)와, 도 2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트랙(Tr2)의 트랙모드"e6h"와, 트랙(Tr2)의 트랙크기 "0012h. 10h. 3eh"를 공급한다.
업로드된 제 1트랙(Tr2)의 트랙모드와 트랙크기가 수신되면, 서버부(10)는 공급된 정보에 기초하여 파일관리정보를 생성하고 서버 내의 ATRAC데이터를 정리한다. 처리의 수행 중에 서버부(10)는 신호(RTS/CTS(S))를 반환한다.
그리고 나서 시각(t73) 이후에, 기록재생부(20)는 제 2업로드트랙인 트랙(Tr3)의 트랙모드와 트랙크기를 공급한다. 특히, 기록재생부(20)는 TOC0정보명령(TOC 0 REQ)"04h"과 함께 트랙(Tr3)의 ATRAC데이터의 로드 순서로서의 트랙번호 "02h"(제 2업로드 트랙인 것을 나타낸다)와, 트랙(Tr3)의 트랙모드"86h"와, 트랙(Tr3)의 트랙크기 "0021h. 1eh. 06h"를 공급한다.
업로드된 제 2트랙(Tr3)의 트랙모드와 트랙크기가 수신되면, 서버부(10)는 공급된 정보에 기초하여 파일관리정보를 생성하고 서버 내의 ATRAC데이터를 정리한다.
모든 업로드트랙에 대한 U-TOC섹터 0의 정보가 송신된 후, 기록재생부(20)는 도 3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각(t74)에서 정지명령(STOP)"03h"을 사용하여 송신의 완료를 송신한다.
정지명령(STOP)이 수신되면, 서버부(10)는 시각(t75)에서 미리 공급된 TOC0정보명령(TOC0 INFO)"04h"에 대응하는 처리가 완료되었는가를 판단하고, 업로드된 제 2트랙(Tr3)에 해당하는 종료주소 다음의 주소에는 데이터가 없음을 결정하는 잔여데이터의 삭제처리를 행한다.
서버부(10)는 상기 방식으로 송신된 U-TOC섹터 0의 정보를 읽어들이고, 업로드된 트랙에 대응하는 정보를 만든다. 특히, 2개의 트랙의 ATRAC데이터는 단일 데이터스트림으로 업로드되기 때문에 데이터스트림은 읽어들인 U-TOC섹터 0의 정보에 기초하여 각 트랙마다 데이터크기로 분리되어 업로드트랙이 컨텐트로서 정확하게 각각 관리될 수 있는 상태를 만든다. 도 31a 내지 31d와 도 32a 내지 32d는 상술한 단계(S306)에서의 서버부(10)에서 기록재생부(20)로의 TOC정보요구의 타임차트를 나타낸다.
TOC정보요구는 타이틀정보(디스크(D)의 U-TOC섹터 1과 U-TOC섹터 4의 정보)에 대한 요구이다.
서버부(10)는 시각 (t81)에서, 기록재생부(20)로 TOC요구명령(TOC REQ)을 송신하여 TOC정보의 송신을 요구한다.
특히, 서버부(10)는 TOC요구명령(TOC REQ)"14h"과 함께 인수"01h"를 송신하여 업로드된 트랙에 대한 U-TOC섹터 1의 정보를 요구한다.
상기 요구에 응하여, 시각(t82)에서 기록재생부(20)는 업로드된 트랙으로서 제 1트랙(Tr2)의 타이틀을 공급한다.
특히, 기록재생부(20)는 타이틀명령(Title)과 함께, ATRAC데이터의 트랙번호, 공급되는 문자수, 트랙의 타이틀 "Street"의 문자데이터를 공급한다.
또한, 기록재생부(20)는 우선, 시각(t82)에서 트랙번호명령(TNO)"05h"에 이어 트랙번호"01h"를 공급하여 서버부(10)에 송신된 트랙의 정보가 업로드된 2개의 트랙 중 제 1트랙(Tr2)의 정보임을 알린다.
신호(RTS/CTS(S))에 의해 서버부가 트랙번호명령(TNO)에 해당하는 처리를 수행하였음이 확인되면, 시각(t83) 이후에 기록재생부(20)는 타이틀명령(Title) "83h"과 함께 문자수와 문자열 데이터의 정보를 공급한다.
업로드트랙으로서 제 1트랙(Tr2)의 타이틀이 수신되면, 기록재생부(20)는 트랙(Tr2)의 ATRAC데이터에 대한 관계에 대응하여 공급된 정보의 등록처리를 수행한다.
이 경우, 타이틀의 문자수가 규정된 수보다 많기 때문에, 서버부(10)는 우선 시각(t83)에서 4개의 문자 "Stre"를 공급하고, 그리고 나서 시각 (t84)에서 남은 두개의 문자 "et"를 공급한다.
따라서 시각(t85)에서 업로드트랙(Tr2)에 대응하는 타이틀이 서버(12)에 기록된다. 한자문자 또는 유럽문자에 의한 타이틀정보가 동일한 송신방식으로 수신되는 경우, 서버부(10)는 상기 정보에 기초하여 등록을 수행한다.
트랙(Tr2)의 타이틀정보에 대한 서버부(10)의 처리가 종료된 후, 서버부(10)는 도 3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업로드된 제 2트랙(Tr3)의 타이틀을 공급한다.
특히, 기록재생부(20)는 우선, ATRAC데이터의 트랙번호로서 트랙번호명령(TNO)"05h" 다음에 트랙번호"02h"를 송신하여 서버부(10)에 송신된 정보가 업로드된 2개의 트랙 중 제 2트랙(Tr3)의 정보임을 알린다. 그리고 나서, 서버부(10)에 의해 대응하는 처리가 수행되면, 기록재생부(20)는 타이틀명령(Title) "83h"과 함께 문자수와 문자열 데이터의 정보를 송신한다.
이 경우, 문자열 데이터는 "Night"이고, 문자수가 4보다 크기 때문에 "Nigh"와 "t"로 분할되어 2회로 나뉘어 송신된다.
업로드된 제 2트랙(Tr3)의 타이틀이 상기 방식으로 공급될 때, 서버부(1)는 공급된 정보를 트랙(Tr3)의 ATRAC데이터에 대한 관계에 대응하여 서버(12)에 등록하는 처리를 수행한다.
그리고 나서 서버부(10)가 모든 타이틀의 등록처리를 완료하면, 기록재생부(20)는 시각(t88)에서 서버부(10)에 정지명령(STOP)"03h"을 공급한다.
U-TOC섹터의 모든 정보를 읽어들이는 것이 완료되면, 서버부(10)는 기록재생부(20)에 업로드종료명령(UPLOAD FIN)"13h"을 송신하여 기록재생부(20)에 도 3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업로드의 종료를 알린다.
U0TOC섹터 0, 섹터 1과 섹터 4의 정보에 더하여, 문자데이터 및/또는 화상데이터가 U-TOC섹터 5 및/또는 섹터 6에 기록되는 경우, 상기 정보에 대한 송신요구는 업로드종료명령(UPLOAD FIN)"13h"이 공급되기 전과 동일한 방식으로 된다. 그리고 나서 모든 TOC정보가 업로드된 시점에서 서버부(10)는 업로드종료명령(UPLOAD FIN)"13h"을 기록재생부(20)로 송신한다.
상기 처리를 수행함으로써 오디오서버시스템(1)은 U-TOC에 기록된 오디오데이터와 관련정보를 디스크(D)로부터 서버(12)에 정확하게 업로드할 수 있다.
상술한 예에서는, 이미 기록된 컨텐트에 더하여 업로드된 타이틀 "Street"의 컨텐트 #m과, 타이틀"Night"의 컨텐트 #m+1이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련정보와 함께 서버(12)에 등록된다.
그런데, 상기 업로드 시에도, 재생부(41)와 관련정보재생부(46)를 이용하여 다양한 조작이 행해질 수 있다.
특히, 오디오서버시스템(1)에서는 서버부(10)가 ATRAC데이터를 기록하는 동안, 압축된 ATRAC데이터 역시 기록재생부(41)에 공급되어 압축해제 및 재생된다. 따라서 업로드 사용자는 업로드 사용자 자신이 원하는 악곡 등이 정확하게 업로드되었는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오디오서버시스템(1)에서는 또한 ATRAC데이터와 함께 업로드된 문자정보 및/또는 화상정보를 관련정보재생부(46)에 의해 출력하여 업로드 사용자가 표시출력이나 인쇄출력으로부터 업로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9. 네트워크를 이용한 오디오서버시스템
상기에서는 도 3과 같은 구성을 갖는 오디오서버시스템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오디오서버시스템은 또한 예를 들면 통신네트워크가 이용되는 경우에도 구성될 수 있다.
도 34는 그와 같이 변형된 오디오서버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34에서, 중앙서버(100)는 통신네트워크에 의해 각기 서버단말기를 갖는 CD숍(101, 102, 103)과 일반가정(104, 105, 106)과 접속된다.
각 서버단말기는 예를 들면, 상술한 기록재생부(20)와 같은 기능을 갖는다. 한편, 예를 들면 중앙서버(100)는 상술한 서버부(10)와 동일한 기능을 갖는다.
따라서, 가정이나 CD숍 등의 점포에서 서버단말기를 이용하여 중앙서버(100)로 통신네트워크를 통한 업로드를 수행할 수 있고, 또 중앙서버(100)로부터 통신네트워크를 통해 가정이나 CD숍 등의 점포로의 다운로드가 가능하다.
상술한 시스템을 구성함으로써 넓은 범위에서 손쉽게 음악 등의 제공형태가 실현될 수 있다.
지금까지 오디오데이터가 광자기디스크에 기록되는 실시의 형태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오디오데이터를 기록하는 시스템에 대해서만 적용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비디오데이터를 기록하는 장치에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이용가능한 기록매체는 미니디스크 등의 광자기디스크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랜덤 액세스가 가능하다면 다른 어떤 기록매체도 사용될 수 있다.
업로드, 다운로드 등을 위한 처리방식으로는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은 말할 것도 없다.
이상의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데이터송수신장치는 다음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송수신시스템은 사용자가 데이터송수신시스템 및 사용자 자신이 소유한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사용자 자신이 소유한 데이터 예를 들면, 오리지널악곡 등을 불특정 다수의 이용자들에게 쉽게 공개할 수 있으며, 또한 판매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데이터송수신시스템은 또한 불특정다수의 사용자들이 종래에는 얻기 어려웠던 개인정보, 예를 들면 아마츄어 뮤지션 등의 악곡 등을 쉽게 얻을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면, 통상 사용되는 미니디스크와 같은 기록매체가 업로드와 다운로드 양쪽에 동일하게 사용되기 때문에, 시스템의 사용의 편의성이 증대된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데이터송수신시스템은 어떤 사용자가 우선 업로드를 행하고 이어서 다운로드를 행하는 경우에도 편리하다. 또한, 동일한 기록매체가 이용되는 경우, 사용자에 의한 사용 상의 혼동을 피할 수 있다.
또한, 시스템의 구성으로서 기록수단과 재생수단으로 모두 기능하는 기록재생장치가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또한 구성의 단순화가 실현될 수 있다.
업로드를 수행하는 사용자는 압축된 오디오데이터와 함께 문자데이터 및/또는 화상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악곡에 부수되는 문자로서 가사, 메시지, 라이브일정, 해설 등이 제공될 수 있고, 화상으로서 사용자의 사진이나 이미지화상 등도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고부가가치의 정보송신이 가능하게 된다.
업로드를 수행하는 사용자는 정보입력수단을 이용하여 정보에 필요한 정보를 서버에 저장할 수 있다. 정보는 예를 들면, 불특정다수의 사람들에게 제공될 수 있는 메시지이거나, 업로드에 의해 제공되는 악곡 등에 대한 다운로드 시의 조건을 규정하는 정보 등이 될 수 있다. 특히, 업로드 시에 휴대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되는 정보에 부가되는 정보나, 그 업로드실행자가 시스템에 지시하고자 하는 정보 등을 임의로 입력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다양한 정보제공형태가 가능하게 된다.
또 다운로드요금의 수취나 각종 관리에 사용되는 패스워드 등도 사용자가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업로드실행자는 정보입력수단으로부터 업로드대상인 압축된 오디오데이터에 관하여 다운로드에 대한 요금(업로드 사용자가 1회의 다운로드조작에 대하여 수취하고자 하는 금액)을 설정할 수 있다. 즉, 유료로 정보가 제공되는 경우, 그 정보제공자는 그 개인적인 사정에 따라 요금설정이 가능하다.
업로드 시에 오디오서버시스템은 각종 필요한 정보를 발생하고, 업로드된 압축오디오데이터 등의 관리에 이를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오디오서버시스템이 업로드 일시나 데이터크기 등을 발생시키고, 업로드된 데이터에 대한 관계에 대응하여 이를 저장하는 경우, 다운로드 시에 표로 표시하거나 기타 저장된 데이터의 관리에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시스템동작의 유용성,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예를 들면, 업로드실행자의 패스워드를 자동적으로 설정할 수 있고, 이는 다운로드요금의 지불이나 소거지시를 할 때, 사용자의 특정에 이용될 수 있다.
다운로드를 행하는 사용자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오디오데이터에 부가하여 문자데이터 및/또는 화상데이터도 얻을 수 있어 부가가치가 높은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다운로드 시에, 다운로드 실행자에 대하여 적절한 요금청구를 할 수 있어, 데이터송수신장치는 유료정보제공시스템으로서 적절하게 기능할 수 있다.
저장된 압축오디오데이터에 대한 관계에 대응하여 다운로드실적이 관리되기 때문에 그 정보를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업로드실행자에 대한 요금지불의 근거로 이용될 수 있으며, 인기의 정도의 바로미터로서 이용될 수 있다. 또 다운로드실행자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인기가 높은 곡을 제시하거나, 오디오서버시스템에서 히트차트를 작성하거나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오디오서버시스템을 통신네트워크 상에 구성하는 경우 서버수단, 재생수단, 기록수단을 설치하여 예를 들면, 점포 등의 장소에서도 공중통신네트워크에 의해 압축오디오데이터 및 기타 정보의 업로드, 다운로드를 광범위하게 수행할 수 있다. 즉, 보다 효율적이고 광범위한 사용자에 의해 이용될 수 있는 오디오서버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오디오서버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오디오서버시스템의 서버에 저장된 파일구조를 설명하는 표이다.
도 3은 도 1의 오디오서버시스템의 상세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오디오서버시스템에 의해 광자기디스크에 기록된 데이터의 클러스터를 설명하기 위한 데이터구조에 대한 도면이다.
도 5a는 도 1에 도시된 오디오서버시스템에 의해 광자기디스크에 기록된 데이터의 클러스터를 설명하기 위한 데이터구조에 대한 도면이다.
도 5b는 도 5a에 도시된 클러스터에 포함된 섹터를 설명하는 데이터구조에 대한 도면이다.
도 5c는 11개의 사운드그룹이 2개의 섹터로부터 형성되는 사운드프레임을 나타내는 데이터구조의 도면이다.
도 5d는 도 5c에 도시된 하나의 사운드 그룹이 좌측 채널과 우측 채널에 대한 2개의 채널 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구조에 대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오디오서버시스템에서 사용된 광자기디스크의 관리영역인 U-TOC섹터 0을 나타내는 데이터구조의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U-TOC섹터 0에서 관리되는 시작주소와 종료주소를 나타내는 데이터구조에 대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6에 도시된 U-TOC섹터 0에서 관리되는 트랙모드를 나타내는 데이터구조에 대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6에 도시된 U-TOC섹터 0에서 슬롯의 연결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1에 도시된 오디오서버시스템에서 사용된 광자기디스크의 다른 관리영역인 U-TOC섹터 1을 나타내는 데이터구조에 대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1에 도시된 오디오서버시스템에서 사용된 광자기디스크의 또 다른 관리영역인 U-TOC섹터 2를 나타내는 데이터구조에 대한 도면이다.
도 12는 도 1에 도시된 오디오서버시스템에서 사용된 광자기디스크의 또 다른 관리영역인 U-TOC섹터 4를 나타내는 데이터구조에 대한 도면이다.
도 13은 도 1의 오디오서버시스템의 서버부와 기록재생부의 블록도이다.
도 14는 다운로드 시 도 13에 도시된 서버부와 기록재생부 사이에서의 신호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a는 도 14에 도시된 서버부 측에서 고객 측의 기록재생부로 송신되는 ATRAC데이터(ATRAC(S))의 타이밍차트이다.
도 15b는 도 14에 도시된 고객 측의 기록재생부에서 서버부 측으로 송신되는 데이터요구 데이터(DATA Req(UD))의 타이밍차트이다.
도 15c는 도 14에 도시된 기록재생부에 의한 기록의 타이밍을 나타내는 타이밍차트이다.
도 15d는 도 14에 도시된 서버부 측에서 고객 측의 기록재생부로 송신되는 명령데이터(Command(S))의 타이밍차트이다.
도 15e는 도 14에 도시된 고객 측의 기록재생부에서 서버부 측으로 송신되는 처리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RTS/CTS신호(RTS/CTS(UD))의 타이밍차트이다.
도 15f는 도 14에 도시된 기록재생부에 의한 처리의 타이밍을 나타내는 타이밍차트이다.
도 15g는 도 14에 도시된 고객 측의 기록재생부에서 서버부 측으로 송신되는 명령데이터(Command(UD))를 나타내는 타이밍차트이다.
도 15h는 도 14에 도시된 서버부 측에서 고객 측의 기록재생부로 송신되는 처리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RTS/CTS신호(RTS/CTS(S))의 타이밍차트이다.
도 15i는 도 14에 도시된 서버부 측 처리의 타이밍을 나타내는 타이밍차트이다.
도 16은 업로드 시 도 13에 도시된 서버부와 기록재생부 사이에서 신호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a는 도 16에 도시된 고객 측의 기록재생부에서 서버부 측으로 송신되는 ATRAC데이터(ATRAC(UD))의 타이밍차트이다.
도 17b는 서버부 측에서 고객 측의 기록재생부로 송신되는 데이터요구 데이터(DATA Req(S))의 타이밍차트이다.
도 17c는 도 16에 도시된 서버부에 의한 기록의 타이밍을 나타내는 타이밍차트이다.
도 17d는 도 16에 도시된 서버부 측에서 고객 측의 기록재생부로 송신되는 명령데이터(Command(S))의 타이밍차트이다.
도 17e는 고객 측의 기록재생부에서 서버부 측으로 송신되는 처리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RTS/CTS신호(RTS/CTS(UD))의 타이밍차트이다.
도 17f는 도 16에 도시된 기록재생부에 의한 처리의 타이밍을 나타내는 타이밍차트이다.
도 17g는 도 16에 도시된 고객 측의 기록재생부에서 서버부로 송신되는 명령데이터(Command(UD))의 타이밍차트이다.
도 17h는 도 16에 도시된 서버부로부터 고객 측의 기록재생부로 송신되는 처리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RTS/CTS신호(RTS/CTS(S))의 타이밍차트이다.
도 17i는 서버부 측에 의한 처리의 타이밍을 나타내는 타이밍차트이다.
도 18은 도 13에 도시된 서버부의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9는 다운로드 처리 시 도 13에 도시된 서버부의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0은 업로드 처리 시 도 13에 도시된 서버부의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1은 도 13에 도시된 서버 내에서 등록된 곡의 목록표시의 예를 나타내는 표이다.
도 22a는 다운로드 전에 도 16에 도시된 서버부에 의해 제공되는 곡의 리스트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2b는 다운로드 전에 도 16에 도시된 고객 측의 기록재생부에서 장전된 디스크에 미리 기록된 곡의 리스트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3a는 도 16에 도시된 서버부 측에서 고객 측의 기록재생부로 송신되는 ATRAC데이터(ATRAC(S))의 타이밍차트이다.
도 23b는 도 16에 도시된 고객 측의 기록재생부에서 서버부 측으로 송신되는 데이터요구 데이터(DATA Req(UD))의 타이밍차트이다.
도 23c는 도 16에 도시된 서버부 측에서 고객 측의 기록재생부로 송신되는 명령데이터(Command(S))의 타이밍차트이다.
도 23d는 도 16에 도시된 고객 측의 기록재생부에서 서버부 측으로 송신되는 명령데이터(Command(UD))의 타이밍차트이다.
도 23e는 업로드 시 도 16에 도시된 고객 측 기록재생부의 제어상태를 나타내는 타이밍차트이다.
도 24a는 관리정보인 U-TOC섹터 0의 정보가 갱신될 때 도 16에 도시된 서버부 측에서 고객 측의 기록재생부로 송신되는 명령데이터(Command(S))의 타이밍차트이다.
도 24b는 도 16에 도시된 고객 측의 기록재생부에서 서버부 측으로 송신되는 처리상태의 확인을 위한 RTS/CTS신호(RTS/CTS(UD))의 타이밍차트이다.
도 24c는 도 16에 도시된 기록재생부에 의한 처리의 타이밍을 나타내는 타이밍차트이다.
도 24d는 광자기디스크의 관리정보인 U-TOC섹터 0의 정보의 갱신상태의 타이밍차트이다.
도 25a는 관리정보인 U-TOC섹터 1의 정보가 갱신될 때 도 16에 도시된 서버부 측에서 고객 측의 기록재생부로 송신되는 명령데이터(Command(S))의 타이밍차트이다.
도 25b는 도 16에 도시된 고객 측의 기록재생부에서 서버부 측으로 송신되는 처리상태의 확인을 위한 RTS/CTS신호(RTS/CTS(UD))의 타이밍차트이다.
도 25c는 도 16에 도시된 기록재생부에 의한 처리의 타이밍을 나타내는 타이밍차트이다.
도 26a는 관리정보인 U-TOC섹터 1의 정보가 갱신될 때 도 16에 도시된 서버부 측에서 고객 측의 기록재생부로 송신되는 명령데이터(Command(S))의 타이밍차트이다.
도 26b는 도 16에 도시된 고객 측의 기록재생부에서 서버부 측으로 송신되는 처리상태의 확인을 위한 RTS/CTS신호(RTS/CTS(UD))의 타이밍차트이다.
도 26c는 도 16에 도시된 기록재생부에 의한 처리의 타이밍을 나타내는 타이밍차트이다.
도 26d는 광자기디스크의 관리정보인 U-TOC섹터 1의 정보의 갱신상태를 나타내는 타이밍차트이다.
도 27은 다운로드 후 광자기디스크에 기록된 곡의 리스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8a는 업로드 전에 도 13에 도시된 서버부 측에 저장된 곡의 리스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8b는 업로드 전에 도 13에 도시된 고객 측의 기록재생부에 장전된 디스크에 기록된 곡의 리스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9a는 도 16에 도시된 서버부 측에서 고객 측의 기록재생부로 송신되는 ATRAC데이터(ATRAC(S))의 타이밍차트이다.
도 29b는 도 16에 도시된 고객 측의 기록재생부에서 서버부 측으로 송신되는 데이터요구 데이터(DATA Req(UD))의 타이밍차트이다.
도 29c는 도 16에 도시된 서버부 측에서 고객 측의 기록재생부로 송신되는 명령데이터(Command(S))의 타이밍차트이다.
도 29d는 도 16에 도시된 고객 측의 기록재생부에서 서버부 측으로 송신되는 명령데이터(Command(UD))의 타이밍차트이다.
도 29e는 업로드 시 도 16에 도시된 고객 측의 기록재생부의 제어상태를 나타내는 타이밍차트이다.
도 30a는 관리정보인 U-TOC섹터 0의 정보가 갱신될 때 도 16에 도시된 서버부 측에서 고객 측의 기록재생부로 송신되는 명령데이터(Command(S))의 타이밍차트이다.
도 30b는 관리정보인 U-TOC섹터 0의 정보가 갱신될 때 도 16에 도시된 고객 측의 기록재생부에서 서버부 측으로 송신되는 명령데이터(Command(UD))의 타이밍차트이다.
도 30c는 도 16에 도시된 서버부 측에서 고객 측의 기록재생부로 송신되는 처리상태의 확인을 위한 RTS/CTS신호(RTS/CTS(S))의 타이밍차트이다.
도 30d는 도 16에 도시된 서버부에 의한 처리의 타이밍을 나타내는 타이밍차트이다.
도 31a는 관리정보인 U-TOC섹터 1의 정보가 업로드될 때 도 16에 도시된 서버부 측에서 고객 측의 기록재생부로 송신되는 명령데이터(Command(S))의 타이밍차트이다.
도 31b는 관리정보인 U-TOC섹터 1의 정보가 업로드될 때 도 16에 도시된 고객 측의 기록재생부에서 서버부 측으로 송신되는 명령데이터(Command(UD))를 나타내는 타이밍차트이다.
도 31c는 도 16에 도시된 고객 측의 기록재생부에서 서버부 측으로 송신되는 처리상태의 확인을 위한 RTS/CTS신호(RTS/CTS(S))의 타이밍차트이다.
도 31d는 도 16에 도시된 서버부에 의한 처리의 타이밍을 나타내는 타이밍차트이다.
도 32a는 관리정보인 U-TOC섹터 1의 정보가 업로드될 때 도 16에 도시된 서버부 측에서 고객 측의 기록재생부로 송신되는 명령데이터(Command(S))를 나타내는 타이밍차트이다.
도 32b는 관리정보인 U-TOC섹터 1의 정보가 업로드될 때 도 16에 도시된 고객 측의 기록재생부에서 서버부 측으로부터 송신되는 명령데이터(Command(UD))의 타이밍차트이다.
도 32c는 도 16에 도시된 고객 측의 기록재생부에서 서버부 측으로 송신되는 처리상태의 확인을 위한 RTS/CTS신호(RTS/CTS(S))의 타이밍차트이다.
도 32d는 도 16에 도시된 서버부에 의한 처리의 타이밍을 나타내는 타이밍차트이다.
도 33은 업로드 후 서버부 내의 하드디스크 내부의 관리상태를 나타내는 표이다.
도 34는 컴퓨터네트워크가 사용되는 경우의 도 1의 오디오서버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오디오서버시스템 2. 접속케이블
10. 서버부 11. 주제어기
12. 서버 13. 조작입력부
14. 표시부 20. 기록재생부
32. 시스템제어기 41. 재생부
46. 관련정보재생부 47. 프린터장치
48. 표시장치 49. 스피커
50. 입금/출금블록 100. 중앙서버
200. 업로드부 201. 서버부
203. 다운로드부

Claims (7)

  1. 정보센터로부터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하여 상기 정보센터와 접속된 데이터송수신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생성된 컨텐트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는 기록매체가 장전될 수 있는 장전수단과;
    상기 사용자에 의해 생성되어 기록매체에 저장된 컨텐트데이터를 재생하기 위한 재생수단과;
    상기 재생수단에 의해 재생된 컨텐트데이터 및 상기 컨텐트데이터에 대한 관리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송신수단과;
    상기 정보센터의 대용량 저장장치에 기억된, 상기 사용자와 다른 사용자로부터 전송되어 기록된 컨텐츠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 중에서 원하는 데이터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수단과;
    상기 선택수단에 의해 선택된 원하는 데이터 및 상기 정보센터에서 송신된 원하는 데이터에 대한 관리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수단과;
    상기 수신수단에 의해 수신된 데이터 및 관리정보를 상기 장전수단에서 장전된 기록매체에 기록하기 위한 기록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송수신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수단으로부터 상기 정보센터로 송신된 컨텐트데이터는 압축된 오디오데이터, 텍스트데이터 및 화상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송수신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수단으로부터 상기 정보센터로 송신된 관리정보는 컨텐트데이터에 대한 요금부과 관련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송수신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수단으로부터 상기 정보센터로 송신된 관리정보는 컨텐트데이터의 데이터타입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송수신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수단으로부터 상기 정보센터로 송신된 관리정보는 컨텐트데이터를 만든 사람을 확인하기 위한 인증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송수신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수단으로부터 상기 정보센터로 송신된 관리정보는 컨텐트데이터를 만든 사람의 이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송수신시스템.
  7. 단말기장치와 데이터를 교환하기 위해 정보센터와 접속된 적어도 하나의 상기 단말기장치를 포함하는 정보센터에 있어서,
    다수의 컨텐트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수단과;
    상기 단말기장치 측에 의해 선택된 상기 메모리수단에 저장된 컨텐트데이터 에, 그 컨텐트데이터에 대한 관리정보를 부가하고, 그 결과 얻은 데이터를 상기 단말기장치에 송신하기 위한 송신수단과;
    컨텐트데이터 및 상기 단말기장치 측에서 생성되고 송신된 컨텐트데이터에 대한 관리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수단으로 구성되며,
    상기 컨텐트데이터는 상기 수신수단에 의해 수신된 관리정보에 기초하여 관리되어 상기 메모리수단에 저장되고, 상기 단말기 장치측에서 생성되고 송신된 컨텐트데이터는 상기 단말기와 다른 단말기로 송신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센터.
KR1019980032466A 1997-08-15 1998-08-10 데이터송수신시스템 KR1005692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2036697A JPH1166824A (ja) 1997-08-15 1997-08-15 オーディオサーバシステム
JP97-220366 1997-08-15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9315A Division KR100609503B1 (ko) 1997-08-15 2005-09-26 데이터 송수신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3495A KR19990023495A (ko) 1999-03-25
KR100569251B1 true KR100569251B1 (ko) 2006-11-30

Family

ID=1675001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2466A KR100569251B1 (ko) 1997-08-15 1998-08-10 데이터송수신시스템
KR1020050089315A KR100609503B1 (ko) 1997-08-15 2005-09-26 데이터 송수신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9315A KR100609503B1 (ko) 1997-08-15 2005-09-26 데이터 송수신시스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567847B1 (ko)
EP (2) EP0898278A3 (ko)
JP (1) JPH1166824A (ko)
KR (2) KR100569251B1 (ko)
CN (2) CN101436164A (ko)
AU (1) AU742068B2 (ko)
TW (1) TW43677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6030907A1 (fr) 1995-03-30 1996-10-03 Yoshikatsu Niwa Dispositif et procede destines a commander un support d'enregistrement du type disque et support d'enregistrement du type disque
US7562392B1 (en) * 1999-05-19 2009-07-14 Digimarc Corporation Methods of interacting with audio and ambient music
US20030093790A1 (en) 2000-03-28 2003-05-15 Logan James D. Audio and video program recording, editing and playback systems using metadata
US7055166B1 (en) 1996-10-03 2006-05-30 Gotuit Media Corp. Apparatus and methods for broadcast monitoring
JPH1145548A (ja) * 1997-05-29 1999-02-16 Sony Corp オーディオデータの記録方法、記録装置、伝送方法
JPH11126186A (ja) 1997-10-22 1999-05-11 Sony Corp 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及び記録媒体
JP3906535B2 (ja) * 1997-11-07 2007-04-18 ソニー株式会社 ダウンロードシステム、及び記録媒体
US20020002039A1 (en) 1998-06-12 2002-01-03 Safi Qureshey Network-enabled audio device
JP3968875B2 (ja) 1998-06-24 2007-08-29 ソニー株式会社 ダウンロード装置、及び記録媒体
JP2000115163A (ja) * 1998-09-29 2000-04-21 Sony Corp 情報配信方法
JP2000156031A (ja) * 1998-11-17 2000-06-06 Sony Corp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WO2000058940A2 (en) * 1999-03-29 2000-10-05 Gotuit Media, Inc. Electronic music and programme storage, comprising the recognition of programme segments, such as recorded musical performances a nd system for the management and playback of these programme segments
US6791907B2 (en) * 1999-04-22 2004-09-14 Roxio, Inc. Automobile audio system for collection, management and playback of audio data
US7565294B2 (en) 1999-05-19 2009-07-21 Digimarc Corporation Methods and systems employing digital content
JP4848611B2 (ja) * 1999-08-25 2011-12-28 ソニー株式会社 データ処理システム
US20060212908A1 (en) * 1999-08-27 2006-09-21 Ochoa Optics Llc Video distribution system
EP1083686A3 (en) * 1999-09-10 2004-05-26 Psuedo Programs, Inc. System for providing interactive entertainment services to an audience using a communications network
JP2001093226A (ja) * 1999-09-21 2001-04-06 Sony Corp 情報通信システムおよび方法、ならびに、情報通信装置および方法
JP2003510693A (ja) * 1999-09-21 2003-03-18 メレ、ダニエル 簡素化されたアーティストとバイヤーとのトランザクションとの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JP2001195825A (ja) 1999-10-29 2001-07-19 Sony Corp 記録再生装置および方法
JP4881500B2 (ja) * 1999-12-09 2012-02-22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コンテンツ提供装置およびコンテンツ提供方法、再生装置および再生方法、並びに記録媒体
EP1119178B1 (en) 1999-12-28 2010-04-14 Sony Corporation Image commercial transactions system and method
JP2006099091A (ja) * 1999-12-28 2006-04-13 Sony Corp 携帯型再生装置及び携帯型再生装置の再生方法
EP1670233A1 (en) 1999-12-28 2006-06-14 Sony Corporation A photographic image commercial transaction system using a portable music player
JP2001250034A (ja) * 1999-12-28 2001-09-14 Sony Corp 画像商取引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JP2001251576A (ja) * 2000-03-03 2001-09-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番組受信装置および蓄積放送課金装置
JP4735913B2 (ja) * 2000-03-14 2011-07-27 ソニー株式会社 情報提供装置、プログラム格納媒体、およびプログラム
US8635160B2 (en) 2000-03-14 2014-01-21 Sony Corporation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and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program storage medium, program, and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EP1134643A3 (en) 2000-03-14 2007-01-17 Sony Corporation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and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program storage medium, program, and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JP4957935B2 (ja) * 2000-03-14 2012-06-20 ソニー株式会社 情報提供装置および方法、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プログラム格納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JP4433560B2 (ja) * 2000-04-11 2010-03-17 ソニー株式会社 端末装置、情報処理方法
JP2001325471A (ja) * 2000-05-12 2001-11-22 Tohoku Ricoh Co Ltd アーティスト支援方法、アーティスト支援システム、アーティスト支援装置、クライアント装置、著作物データ記録装置並びに記録媒体
JP3744313B2 (ja) 2000-06-06 2006-02-08 ノーリツ鋼機株式会社 画像プリント装置および方法、画像をプリントするため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ならびに、画像管理システム
US6769127B1 (en) 2000-06-16 2004-07-27 Minerva Networks, Inc. Method and system for delivering media services and application over networks
JP3322668B2 (ja) * 2000-06-22 2002-09-09 日立電子サービス株式会社 設備サービスサポートシステム及びサービスセンタ用コンピュータ並びに記録媒体
JP2002008115A (ja) * 2000-06-23 2002-01-11 Sony Corp 情報配信システム、端末装置、サーバ装置、記録媒体、情報配信方法
KR100595717B1 (ko) * 2000-07-28 2006-07-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컨텐츠의 재생 제어 방법
US20030061294A1 (en) * 2000-09-19 2003-03-27 Stennicke Michael B. Method and apparatus for digital media exchange
US7050376B2 (en) 2000-09-19 2006-05-23 Lg Electronics Inc. Optical disc player and method for reproducing thereof
JP2002108350A (ja) * 2000-09-28 2002-04-10 Internatl Business Mach Corp <Ibm> 音楽配信のための方法及びシステム
US20030126087A1 (en) * 2000-11-27 2003-07-03 Tomio Kakiuchi Method for supplying information, system for supplying information, recorder/reproducer, and recording medium
JP2002175479A (ja) * 2000-12-06 2002-06-21 D Works:Kk 電気通信回線を利用してアート情報を提供する方法およびそのシステム
KR100449497B1 (ko) * 2000-12-21 2004-09-21 주식회사 매직아이 실시간 정보 제공 장치 및 그 처리 방법
US20070156610A1 (en) * 2000-12-25 2007-07-05 Sony Corporation Digital data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data reproducing terminal apparatus, data processing terminal apparatus, and terminal apparatus
CA2443503A1 (en) * 2001-03-01 2002-09-12 Andy Vilcauskas Audio ownership system
JP4574050B2 (ja) * 2001-04-17 2010-11-04 興和株式会社 電子透かし加工サービス方法
WO2002089372A1 (en) * 2001-04-26 2002-11-07 Kochian Michael C System for the delivery of audio recordings
US20050005308A1 (en) 2002-01-29 2005-01-06 Gotuit Video,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recording and replaying sports broadcasts
JP2002366167A (ja) * 2001-06-12 2002-12-20 Music Gallery Inc 楽曲検索システム
GB0120134D0 (en) * 2001-08-17 2001-10-10 Nokia Corp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communication networks and methods of distributing information around the network
JP3775271B2 (ja) * 2001-09-20 2006-05-17 ヤマハ株式会社 自動演奏装置、情報配信サーバ装置、及びそれらに用いるプログラム
JP4887592B2 (ja) * 2001-09-28 2012-02-29 ソニー株式会社 データ記録及び/又は再生方法
JP4477822B2 (ja) * 2001-11-30 2010-06-0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情報変換装置
US7263562B2 (en) * 2002-03-21 2007-08-28 Microsoft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describing uploaded files statement regarding federally-sponsored research or development
JP3855862B2 (ja) * 2002-04-01 2006-12-13 ソニー株式会社 編集方法および装置
CA2486671C (en) 2002-05-31 2011-11-15 Onkyo Corporation Network type content reproducing system
US7958289B2 (en) * 2002-08-08 2011-06-0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storing memory compressed data onto memory compressed disks
KR20040019729A (ko) * 2002-08-29 2004-03-06 (주)토가비미디어 무선 인터넷망 기반의 음성 게시판 시스템 및 그 게시 방법
JP4209176B2 (ja) * 2002-11-14 2009-01-14 アルパイン株式会社 クライアント装置およびサーバ装置
US20040117859A1 (en) * 2002-12-16 2004-06-17 Hagai Ohel Multiple channel data recorder and method for recording data on multiple channels
JP2005115868A (ja) 2003-10-10 2005-04-28 Sony Corp 私的情報蓄積装置及び私的情報蓄積方法、並びに、私的情報管理装置及び私的情報管理方法
JP2005122840A (ja) * 2003-10-17 2005-05-12 Sony Corp 情報処理装置、情報管理システムおよび光ディスク
JP2005244576A (ja) * 2004-02-26 2005-09-08 Sony Corp コンテンツ処理システム及びコンテンツ処理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8028323B2 (en) 2004-05-05 2011-09-27 Dryden Enterprises, Llc Method and system for employing a first device to direct a networked audio device to obtain a media item
US8028038B2 (en) 2004-05-05 2011-09-27 Dryden Enterprises, Llc Obtaining a playlist based on user profile matching
JP4552540B2 (ja) * 2004-07-09 2010-09-29 ソニー株式会社 コンテンツ記録装置、コンテンツ再生装置、コンテンツ記録方法、コンテンツ再生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060080275A1 (en) * 2004-10-12 2006-04-13 Christal Dean V Digital file consumer information methods and devices
US20060080261A1 (en) * 2004-10-12 2006-04-13 Christal Dean V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ed play of digital downloads
US20060080258A1 (en) * 2004-10-12 2006-04-13 Christal Dean V Method and system for distribution of digital downloads
US7735101B2 (en) 2006-03-28 2010-06-08 Cisco Technology, Inc. System allowing users to embed comments at specific points in time into media presentation
US8903843B2 (en) 2006-06-21 2014-12-02 Napo Enterprises, Llc Historical media recommendation service
US8059646B2 (en) 2006-07-11 2011-11-15 Napo Enterprises, Llc System and method for identifying music content in a P2P real time recommendation network
US8327266B2 (en) 2006-07-11 2012-12-04 Napo Enterprises, Llc Graphical user interface system for allowing management of a media item playlist based on a preference scoring system
US7970922B2 (en) 2006-07-11 2011-06-28 Napo Enterprises, Llc P2P real time media recommendations
US9003056B2 (en) 2006-07-11 2015-04-07 Napo Enterprises, Llc Maintaining a minimum level of real time media recommendations in the absence of online friends
US8620699B2 (en) 2006-08-08 2013-12-31 Napo Enterprises, Llc Heavy influencer media recommendations
US8090606B2 (en) 2006-08-08 2012-01-03 Napo Enterprises, Llc Embedded media recommendations
JP2008158912A (ja) * 2006-12-26 2008-07-10 Funai Electric Co Ltd オーディオサーバ
JP4933932B2 (ja) 2007-03-23 2012-05-16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
US9224427B2 (en) 2007-04-02 2015-12-29 Napo Enterprises LLC Rating media item recommendations using recommendation paths and/or media item usage
US8112720B2 (en) 2007-04-05 2012-02-07 Napo Enterprises, Llc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and graphically associating programmatically-generated media item recommendations related to a user's socially recommended media items
US9164993B2 (en) 2007-06-01 2015-10-20 Napo Enterprises, Llc System and method for propagating a media item recommendation message comprising recommender presence information
US8285776B2 (en) 2007-06-01 2012-10-09 Napo Enterprises, Llc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a received media item recommendation message comprising recommender presence information
US9037632B2 (en) 2007-06-01 2015-05-19 Napo Enterprises, Llc System and method of generating a media item recommendation message with recommender presence information
US20090049045A1 (en) 2007-06-01 2009-02-19 Concert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sorting media items in a playlist on a media device
US9060034B2 (en) 2007-11-09 2015-06-16 Napo Enterprises, Llc System and method of filtering recommenders in a media item recommendation system
US9224150B2 (en) 2007-12-18 2015-12-29 Napo Enterprises, Llc Identifying highly valued recommendations of users in a media recommendation network
US8396951B2 (en) 2007-12-20 2013-03-12 Napo Enterprises, Llc Method and system for populating a content repository for an internet radio service based on a recommendation network
US9734507B2 (en) 2007-12-20 2017-08-15 Napo Enterprise, Llc Method and system for simulating recommendations in a social network for an offline user
US8316015B2 (en) 2007-12-21 2012-11-20 Lemi Technology, Llc Tunersphere
US8060525B2 (en) 2007-12-21 2011-11-15 Napo Enterprises, Llc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media recommendations in a distributed environment based on tagging play history information with location information
US8117193B2 (en) 2007-12-21 2012-02-14 Lemi Technology, Llc Tunersphere
US8959199B2 (en) * 2008-03-18 2015-02-17 Reduxio Systems Ltd. Network storage system for a download intensive environment
US8880599B2 (en) 2008-10-15 2014-11-04 Eloy Technology, Llc Collection digest for a media sharing system
US8700072B2 (en) 2008-12-23 2014-04-15 At&T Mobility Ii Llc Scalable message fidelity
US8200602B2 (en) 2009-02-02 2012-06-12 Napo Enterprises, Llc System and method for creating thematic listening experiences in a networked peer media recommendation environment
WO2013077983A1 (en) 2011-11-01 2013-05-30 Lemi Technology, Llc Adaptive media recommendation systems, methods, and computer readable media
US10674191B2 (en) 2012-04-06 2020-06-02 Minerva Networks, Inc Systems and methods to remotely synchronize digital data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89863A (en) * 1985-10-02 1988-12-06 Bush Thomas A Pay per view entertainment system
DE4011134C2 (de) * 1989-08-25 1995-08-24 Nsm Ag Wiedergabegerät für das Abspielen von Schallplatten bzw. Kompaktplatten
US5355302A (en) * 1990-06-15 1994-10-11 Arachnid, Inc. System for managing a plurality of computer jukeboxes
JPH04265592A (ja) * 1991-02-21 1992-09-21 Pioneer Electron Corp 情報再生装置
US5445295A (en) * 1992-01-17 1995-08-29 Brown; Graham Automated vending machine system for recorded goods
JP2783941B2 (ja) * 1992-05-29 1998-08-06 三洋電機株式会社 音声データダビング制御回路
JPH06162646A (ja) * 1992-11-19 1994-06-10 Kenwood Corp 光ディスクへのダビング装置
KR960012885B1 (ko) * 1992-11-30 1996-09-25 삼성전자 주식회사 인트로 플레이중 곡 기억 방법 및 장치
KR100299400B1 (ko) * 1993-06-14 2001-10-22 이데이 노부유끼 기록매체관리방법
US5418713A (en) * 1993-08-05 1995-05-23 Allen; Richard Apparatus and method for an on demand data delivery system for the preview, selection, retrieval and reproduction at a remote location of previously recorded or programmed materials
DE4413451A1 (de) * 1994-04-18 1995-12-14 Rolf Brugger Vorrichtung zum Vertrieb von Musikinformationen in digitaler Form
US5555441A (en) * 1994-08-02 1996-09-10 Interim Design Inc. Interactive audiovisual distribution system
US5619247A (en) * 1995-02-24 1997-04-08 Smart Vcr Limited Partnership Stored program pay-per-play
US5748485A (en) * 1995-04-11 1998-05-05 Laservend, Inc. Software vending machine having CD-ROM storage
US5841979A (en) * 1995-05-25 1998-11-24 Information Highway Media Corp. Enhanced delivery of audio data
US6181867B1 (en) * 1995-06-07 2001-01-30 Intervu, Inc. Video storage and retrieval system
US5822216A (en) * 1995-08-17 1998-10-13 Satchell, Jr.; James A. Vending machine and computer assembly
DE19536396A1 (de) * 1995-09-29 1997-04-03 Thomson Brandt Gmbh Wiedergabe- und/oder Aufzeichnungsgerät für optische Aufzeichnungsträger unterschiedlicher Speicherdichte
JPH09265731A (ja) * 1996-01-24 1997-10-07 Sony Corp 音声再生装置及び方法、音声録音装置及び方法、音声録音再生システム、音声データの転送方法、情報受信装置、記録媒体
US5930768A (en) * 1996-02-06 1999-07-27 Supersonic Boom, Inc. Method and system for remote user controlled manufacturing
US5633839A (en) * 1996-02-16 1997-05-27 Alexander; Gregory Music vending machine capable of recording a customer's music selections onto a compact disc
US5732216A (en) * 1996-10-02 1998-03-24 Internet Angles, Inc. Audio message exchange system
US6011758A (en) * 1996-11-07 2000-01-04 The Music Connection System and method for production of compact discs on demand
US5959944A (en) * 1996-11-07 1999-09-28 The Music Connection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production of customized compact discs on demand
JPH1145556A (ja) * 1997-05-29 1999-02-16 Sony Corp オーディオデータの記録装置及びオーディオデータの記録方法
US6038601A (en) * 1997-07-21 2000-03-14 Tibco,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toring and delivering documents on the internet
JPH1166823A (ja) * 1997-08-08 1999-03-09 Sony Corp オーディオダビング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08930A (zh) 1999-02-24
AU7869098A (en) 1999-02-25
KR19990023495A (ko) 1999-03-25
US6567847B1 (en) 2003-05-20
EP0898278A2 (en) 1999-02-24
TW436772B (en) 2001-05-28
EP1713076A3 (en) 2006-10-25
KR20050109410A (ko) 2005-11-21
EP1713076A2 (en) 2006-10-18
KR100609503B1 (ko) 2006-08-08
AU742068B2 (en) 2001-12-13
CN100403336C (zh) 2008-07-16
JPH1166824A (ja) 1999-03-09
EP0898278A3 (en) 2003-11-12
CN101436164A (zh) 2009-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69251B1 (ko) 데이터송수신시스템
US6529290B2 (en) Dubbing apparatus
US6993567B1 (en)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data reproducing method, and data recording/reproducing method
KR100570741B1 (ko) 분산시스템, 분산방법, 수신장치 및 수신방법
US7141732B2 (en) Storing apparatus and storing method for music data
US6993536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delivery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JP3353382B2 (ja) 記録又は再生装置、及びメモリ制御装置
WO2002075741A1 (fr) Gestionnaire de donnees
KR100583760B1 (ko) 기록매체에압축오디오데이터를기록하는방법과장치및압축오디오데이터를송신하는방법
JPH11312175A (ja) 情報配信システム及び方法
KR100474377B1 (ko) 기록매체에압축음성데이터를기록하는방법과장치및압축음성데이터를전송하는방법
JP3921783B2 (ja) オーディオダビング装置
KR100509706B1 (ko) 송신방법 및 송신시스템
JP2008097816A (ja) 情報処理装置及びプリントデータ生成方法
JPH11213546A (ja) 送受信システム及びデータ送受信方法
JPH11213639A (ja) 配信システム、配信方法、受信装置及び受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3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