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6571B1 -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 compensating image sensor lens shading - Google Patents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 compensating image sensor lens shad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6571B1
KR100566571B1 KR1020050034112A KR20050034112A KR100566571B1 KR 100566571 B1 KR100566571 B1 KR 100566571B1 KR 1020050034112 A KR1020050034112 A KR 1020050034112A KR 20050034112 A KR20050034112 A KR 20050034112A KR 100566571 B1 KR100566571 B1 KR 1005665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xel
block
value
compensation value
compens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411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노요환
Original Assignee
엠텍비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엠텍비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엠텍비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341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6571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65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657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5/00Circuitry of solid-state image sensors [SSIS]; Control thereof
    • H04N25/60Noise processing, e.g. detecting, correcting, reducing or removing noise
    • H04N25/61Noise processing, e.g. detecting, correcting, reducing or removing noise the noise originating only from the lens unit, e.g. flare, shading, vignetting or "cos4"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3/00Geometric image transformations in the plane of the image
    • G06T3/40Scaling of whole images or parts thereof, e.g. expanding or contracting
    • G06T3/4007Scaling of whole images or parts thereof, e.g. expanding or contracting based on interpolation, e.g. bilinear interpol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3/00Geometric image transformations in the plane of the image
    • G06T3/40Scaling of whole images or parts thereof, e.g. expanding or contracting
    • G06T3/4015Image demosaicing, e.g. colour filter arrays [CFA] or Bayer patter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5/0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 G06T5/80Geometric corr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5/00Circuitry of solid-state image sensors [SSIS]; Control thereof
    • H04N25/60Noise processing, e.g. detecting, correcting, reducing or removing noise
    • H04N25/68Noise processing, e.g. detecting, correcting, reducing or removing noise applied to defe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Color Television Image Signal Gen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미지 센서에서의 렌즈 셰이딩 현상 보정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픽셀 위치에 따른 신호 크기의 감소를 자동으로 보정하여 원시 이미지의 품질을 유지할 수 있는 이미지 센서에서의 렌즈 셰이딩 현상 자동 보정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칼라 필터 각각의 특성을 고려한 RGB 각각의 자동 보상, 위치에 따른 빛의 투과율 차에 따른 각각의 게인(Gain) 및 레벨(Level) 자동 보상을 통해 원래의 색상을 최대한 유지하여 원시 이미지의 품질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correcting a lens shading phenomenon in an image sensor, and in particular, a method for automatically correcting a lens shading phenomenon in an image sensor capable of maintaining a quality of a raw image by automatically correcting a reduction of a signal size according to a pixel position. And to a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aw image is maintained by maintaining the original color as much as possible through automatic compensation of each RGB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color filter, and automatic compensation of each gain and level according to the light transmittance difference according to the posi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egradation of quality.

이미지 센서, 셰이딩 현상, 보정, 픽셀 Image sensor, shading phenomenon, correction, pixel

Description

이미지 센서에서의 렌즈 셰이딩 현상 자동 보정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auto compensating Image sensor lens shading}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compensating lens shading phenomenon in an image sensor

도 1은 투과율의 차이를 나타낸 도면.1 shows the difference in transmittance.

도 2는 픽셀 중심부로부터의 거리에 따른 신호 크기의 변화 그래프.2 is a graph of change in signal magnitude with distance from pixel center.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3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imag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보정 처리부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4 is a diagram show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n automatic correction process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셰이딩 이미지의 중심 픽셀 검출 방법을 나타낸 도면.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detecting a center pixel of a shading imag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보정 레지스터 테이블 생성 방법을 나타낸 도면. 6 illustrates a method of generating a correction register table in accordance with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잘못된 보정 레지스터 테이블을 예시한 도면.7 illustrates an incorrect calibration register table.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셰이딩 현상의 자동 보정 방법의 흐름을 나타낸 순서도. 8 is a flow chart showing the flow of the automatic correction method of the lens shading phenomen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임의의 블록에서의 보상값 산 출 방법을 나타낸 도면. 9 illustrates a method of calculating a compensation value in an arbitrary block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레벨 및 게인 조정 방법을 나타낸 도면.10 is a view showing a level and gain adjustmen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레벨 및 게인 조정 방법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11 is a view showing in detail the level and gain adjustmen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평활화된 투과율을 가지도록 설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 12 is a view showing a method for setting to have a smoothed transmitt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30 : 자동 보정 처리부130: automatic correction processing unit

200 : 픽셀값 분석부 210 : 자동 노출값 설정부200: pixel value analyzer 210: automatic exposure value setting unit

220 : 중심 위치 검출부 230 : 테이블 생성부220: center position detection unit 230: table generation unit

240 : 레벨 및 게인 조정부 250 : 픽셀 위치 계산부240: level and gain adjustment unit 250: pixel position calculation unit

260 : 보상 곡선 생성부 270 : 보정 수행부260: compensation curve generation unit 270: correction execution unit

본 발명은 이미지 센서에서의 렌즈 셰이딩 현상 보정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픽셀 위치에 따른 신호 크기의 감소를 자동으로 보정하여 원시 이미 지의 품질을 유지할 수 있는 이미지 센서에서의 렌즈 셰이딩 현상 자동 보정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correcting a lens shading phenomenon in an image sensor, and in particular, a method for automatically correcting a lens shading phenomenon in an image sensor capable of maintaining a quality of a raw image by automatically correcting a reduction in signal size according to a pixel position. And to an apparatus.

최근 이미지 센서를 구비한 휴대용 장치(예를 들어, 디지털 카메라, 이동 통신 단말기 등)가 개발되어 판매되고 있다. 이미지 센서는 픽셀(pixel)들 또는 포토사이트(Photosite)들로 불리는 작은 감광 다이오드들의 어레이로서 구성된다. 픽셀들 자체는 보통 광으로부터 컬러를 추출하지 않으며, 넓은 스펙트럼 밴드로부터의 광자들을 전자들로 변환할 뿐이다. 단일 센서를 가지고 컬러 이미지들을 기록하기 위해서, 센서는 상이한 픽셀들이 상이한 컬러 조명을 수신하도록 필터링된다. 이러한 타입의 센서는 컬러 필터 어레이 또는 CFA(Color Filter Array)로 알려져 있다. 상이한 컬러 필터들이 센서를 가로질러 미리 정의된 패턴으로 배열된다.Recently, portable devices (eg, digital camera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etc.) equipped with image sensors have been developed and sold. The image sensor is configured as an array of small photosensitive diodes called pixels or photosites. The pixels themselves usually do not extract color from light, but only convert photons from a broad spectral band into electrons. In order to record color images with a single sensor, the sensor is filtered so that different pixels receive different color illumination. This type of sensor is known as a color filter array or color filter array (CFA). Different color filters are arranged in a predefined pattern across the sensor.

그리고, 가장 흔한 패턴은 코닥에서 개발한 베이어(Bayer) 컬러 필터 어레이(CFA)이다. 컬러 이미지의 CFA는 일반적으로 베이어 패턴(Bayer Pattern)을 따른다. 즉, 픽셀들의 전체 개수의 절반은 녹색(G)이며, 전체 개수의 각 4분의 1은 적색(R)과 청색(B)에 할당된다. 컬러 정보를 얻기 위해, 컬러 이미지 픽셀들은 적색, 녹색 또는 청색 필터로 반복 패턴으로 이루어지며, 예를 들어 베이어 패턴의 경우 2 x 2 배열이라 할 수 있다.The most common pattern is the Bayer color filter array (CFA) developed by Kodak. The CFA of a color image generally follows the Bayer Pattern. That is, half of the total number of pixels is green (G), and each quarter of the total number is allocated to red (R) and blue (B). To obtain color information, the color image pixels are formed in a repeating pattern with a red, green or blue filter, for example a 2 x 2 array for Bayer patterns.

베이어 패턴은 사람의 눈이 장면의 녹색 내용으로부터 루미넌스(Luminance) 데이터의 대부분을 도출한다는 전제에 기초한다. 따라서, 픽셀들 중 보다 많은 픽셀이 녹색이 되도록 함으로써 적색, 녹색 및 청색 픽셀들이 동일한 개수인 상태에서 교번하는 RGB 컬러 필터에 비해 높은 해상도 이미지가 생성될 수 있다.The Bayer pattern is based on the premise that the human eye derives most of the luminance data from the green content of the scene. Thus, by allowing more of the pixels to be green, a higher resolution image can be produced compared to an alternate RGB color filter in the same number of red, green and blue pixels.

그러나, 최근 개발되어 판매되는 휴대용 장치에 구비된 종래의 이미지 센서는 픽셀 어레이 구성의 기하학적 배열에 의한 이미지 왜곡을 가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는 작은 외부 렌즈와 큰 f 번호(number)를 가지기 때문이다.However, the conventional image sensor included in the recently developed and sold portable device has a problem of image distortion due to the geometric arrangement of the pixel array configuration. This is because it has a small external lens and a large f number.

도 1에 투과율의 차이를 나타낸 도면이 도시되어 있고, 도 2에 중심부로부터의 거리에 따른 신호 크기의 변화 그래프가 도시되어 있다.A diagram showing the difference in transmittance is shown in FIG. 1, and a graph of the change in signal magnitude with distance from the center is shown in FIG. 2.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미지 센서의 CFA 중앙부의 픽셀들과 외곽의 픽셀들은 서로 다른 위치에서 광원에 노출된다. 이러한 미세한 위치 차이는 조도(illumination) 차이를 유발하며, 조도 차이는 빛의 파장 차이와 렌즈들의 굴절률 차이에 의해 색상에도 영향을 준다. 그 결과, 색상 왜곡과 픽셀의 위치에 의존한 신호 크기의 감소(도 2 참조)가 필연적으로 발생하며, 이는 원시 이미지의 품질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된다. As shown in FIG. 1, pixels at the center of the CFA of the image sensor and pixels at the outside are exposed to the light source at different positions. These minute positional differences cause illuminance (illumination) difference, and the illuminance difference also affects the color due to the wavelength difference of the light and the refractive index difference of the lenses. As a result, color distortion and a reduction in signal size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the pixel (see Fig. 2) inevitably occurs, which causes the quality of the raw image to deteriorate.

이를 극복하기 위해 렌즈 셰이딩 현상 보정을 통해 백색 영역의 이미지를 촬영하였을 때 전체적으로 동일한 루미넌스를 갖도록 하는 방법이 있었다. 하지만, 기존에는 전체적으로 동일한 루미넌스를 갖게 하는 데 있어서 사람의 눈으로 루미넌스의 동일 여부를 판단하는 수동방식인 바 잘못된 보정을 하거나 사람마다 각각 다른 값의 루미넌스로 세팅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order to overcome this problem, there was a method of correcting lens shading to have the same luminance as a whole when an image of a white region was taken. However, conventionally, in order to have the same luminance as a whole, it is a manual method of determining whether the luminance is the same with the human eye, and there is a problem of incorrect correction or setting of different luminance for each person.

따라서,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원시 이미지의 품질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이미지 센서에서의 렌즈 셰이딩 현상 자동 보정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correcting a lens shading phenomenon in an image sensor that can prevent deterioration of a raw imag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미지 센서의 전체적인 조도를 자동으로 보상, RGB 각각의 컬러 필터에 의한 색상 왜곡 및 픽셀 위치에 대한 신호의 크기 감소를 자동으로 보상할 수 있는 이미지 센서에서의 렌즈 셰이딩 현상 자동 보정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utomatically compensate for the overall illuminance of an image sensor, to automatically compensate for lens shading in an image sensor that can automatically compensate for color distortion due to each RGB color filter and signal size reduction for pixel position. It is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칼라 필터 각각의 특성을 고려한 RGB 각각의 자동 보상, 위치에 따른 빛의 투과율 차에 따른 각각의 게인(Gain) 및 레벨(Level)의 자동 보상을 통해 원래의 색상을 최대한 유지할 수 있는 이미지 센서에서의 렌즈 셰이딩 현상 자동 보정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aximize the original color through automatic compensation of each RGB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color filter, automatic compensation of each gain (Gain) and level according to the difference in light transmittance according to the pos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correcting a lens shading phenomenon in a sustainable image sensor.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셰이딩(Shading) 이미지의 중심 픽셀의 위치를 자동으로 보정할 수 있는 이미지 센서에서의 렌즈 셰이딩 현상 자동 보정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correcting a lens shading phenomenon in an image sensor capable of automatically correcting a position of a center pixel of a shading image.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a) 각 픽셀에 상응하여 센서부로부터 순차적으로 수신되는 디지털 영상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각 픽셀에 상응하는 분석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b) 상기 분석 정보를 통해 픽셀 어레이의 제1 중심 픽셀을 중심으로 소정 크기를 가지는 영역의 평균 밝기를 측정하여 자동 노출값으로 설정하는 단계; (c) 상기 디지털 영상 신호에 상응하는 셰이딩 이미지에서의 제2 중심 픽셀을 검출하는 단계; (d) 상기 제2 중심 픽셀에서의 거리에 따라 구분되고 상기 자동 노출값에 상응하는 블록별 보상값을 생성하여 저장하는 단계; (e) 임의의 보상 대상 픽셀과 상기 제2 중심 픽셀간의 거리를 산출하는 단계; (f) 상기 거리에 상응하는 블록별 보상값을 이용하여 상기 보상 대상 픽셀에 상응하는 보상값을 산출하는 단계; 및 (g) 상기 보상 대상 픽셀에 상응하는 분석 정보와 상기 보상값을 합하여 보정 픽셀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미지 센서에서의 렌즈 셰이딩 현상 자동 보정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generating the analysis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each pixel using a digital image signal sequentially received from the sensor unit corresponding to each pixel; (b) measuring an average brightness of an area having a predetermined size with respect to the first center pixel of the pixel array based on the analysis information and setting an automatic exposure value; (c) detecting a second center pixel in a shading image corresponding to the digital video signal; (d) generating and storing block-specific compensation values classified according to distances from the second center pixel and corresponding to the automatic exposure value; (e) calculating a distance between any compensation target pixel and the second center pixel; calculating a compensation value corresponding to the compensation target pixel by using a block-specific compensation value corresponding to the distance; And (g) generating correction pixel information by adding analysis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ompensation target pixel and the compensation value to provide automatic correction of the lens shading phenomenon in the image sensor.

바람직하게는, 상기 (e) 단계 내지 (g) 단계는 상기 순차적으로 수신되는 각 픽셀에 대해 순차적으로 수행되고, 상기 (c) 단계는 소정의 간격을 가지는 자동 노출 상한 및 자동 노출 하한이 상기 자동 노출값을 중간값으로 가지도록 설정하는 단계; 상기 자동 노출 상한 및 상기 자동 노출 하한을 조정하여 상기 자동 노출 상한 및 상기 자동 노출 하한과 제1 중심 픽셀을 지나는 수평 중심선 및 수직 중심선과의 교점 픽셀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교점 픽셀들을 이용하여 상기 제2 중심 픽셀을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d) 단계는 (d-1) 상기 제2 중심 픽셀에서의 거리에 따라 블록을 구분하는 단계; 및 (d-2) 상기 블록별 보상값을 변화시키고, 변화된 상기 블록별 보상값이 적용된 블록에 포함되는 픽셀 중 상기 자동 노출 상한 이하와 상기 자동 노출 하한 이상의 값을 가지는 픽셀 수를 카운트하는 단계; 및 (d-3) 상기 카운트 값이 가장 클 때의 블록별 보상값을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촬상된 전체 이미지 영역에 대해서 상기 (d-1) 단계 내지 (d-3) 단계를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Preferably, steps (e) to (g) are performed sequentially for each of the sequentially received pixels, and in step (c), an automatic exposure upper limit and an automatic exposure lower limit having a predetermined interval are automatically adjusted. Setting the exposure value to a median value; Adjusting the automatic exposure upper limit and the automatic exposure lower limit to detect intersection pixels between the automatic exposure upper limit and the automatic exposure lower limit and the horizontal center line and the vertical center line passing through the first center pixel; And detecting the second center pixel using the intersection pixels. Step (d) may include (d-1) dividing blocks according to the distance from the second center pixel; And (d-2) changing the compensation value for each block, and counting the number of pixels having a value equal to or less than the upper limit of the automatic exposure and higher than the lower limit of the automatic exposure among pixels included in the block to which the changed block-based compensation value is applied; And (d-3) storing the compensation value for each block when the count value is the largest, and repeating steps (d-1) to (d-3) for the entire image area photographed. Can be done.

또한, 상기 분석 정보는 루미넌스(Luminance) 정보, 레벨 정보, 게인 정보 및 이들의 결합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블록별 보상값은 상기 분석 정보에 상응하여 루미넌스 보상값, 레벨 보상값, 게인 보상값 및 이들의 결합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블록별 보상값은 각각의 블록 시작 위치 및 블록 종료 위치의 분석 정보와 상기 자동 노출값의 차를 이용하여 생성된 2개의 보상값이고, 상기 (f) 단계는 상기 거리에 상응하는 블록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블록에 상응하는 2개의 보상값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2개의 보상값을 지나고, 상기 거리를 변수로 가지는 일차 방정식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일차 방정식을 이용하여 상기 거리에 상응하는 보상값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The analysis information may include any one of luminance information, level information, gain information, and a combination thereof, and the compensation value for each block corresponds to the luminance information, level compensation value, and gain compensation according to the analysis information. And a compensation value for each block is two compensation values generated by us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analysis information of each block start position and block end position and the automatic exposure value, and the (f) ) The step of selecting a block corresponding to the distance; Extracting two compensation values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block; Generating a linear equation that passes the extracted two compensation values and has the distance as a variable; And calculating a compensation value corresponding to the distance using the linear equation.

그리고 상기 디지털 영상 신호는 베이어 패턴(Bayer pattern)의 영상 신호이며, 상기 블록별 보상값은 녹색(G)의 픽셀을 기준으로 루미넌스 성분을 중심으로 생성되고, 상기 (d) 단계는 상기 생성된 블록별 보상값의 오류를 검사하는 단계; 및 상기 검사 결과 오류가 있는 경우 새로이 블록별 보상값을 생성하고, 오류가 없는 경우 상기 블록별 보상값을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생성된 블록별 보상값의 오류를 검사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중심 픽셀에서의 거리가 가까운 블록의 보상값이 먼 블록의 보상값 이하이거나 보상값의 급격한 변화가 있는 경우 오류가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The digital video signal is a Bayer pattern video signal, and the block-specific compensation value is generated based on a luminance component based on the green (G) pixel, and the step (d) includes the generated block. Checking an error of a respective compensation value; And generating a compensation value for each block newly when there is an error, and storing the compensation value for each block if there is no error, and checking the error of the generated compensation value for each block. If the compensation value of the block having the closest distance from the second center pixel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compensation value of the far block,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re is an error.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이미지 센서에서의 렌즈 셰이딩 현상을 자동으로 보정하는 이미지 장치의 이미지 프로세서에 있어서-여기서, 상기 이미지 장치는 센서부, 상기 이미지 프로세서 및 표시부를 포함함-, 상기 센서부로부터 각 픽셀에 상응하여 순차적으로 입력되는 디지털 영상 신호에 상응하는 분석 정보를 생성하고, 픽셀 어레이의 제1 중심 픽셀을 중심으로 소정 크기를 가지는 영역의 평균 밝기를 측정하여 자동 노출값으로 설정하며, 상기 디지털 영상 신호에 상응하는 셰이딩 이미지에서의 제2 중심 픽셀을 검출하고, 상기 제2 중심 픽셀에서의 거리에 따라 구분되고 상기 자동 노출값에 상응하는 블록별 보상값을 생성하여 저장하며, 임의의 보상 대상 픽셀과 상기 제2 중심 픽셀간의 거리를 산출하고, 상기 거리에 상응하는 블록별 보상값을 이용하여 상기 보상 대상 픽셀에 상응하는 보상값을 산출하며, 상기 보상 대상 픽셀에 상응하는 분석 정보와 상기 보상값을 합하여 보정 픽셀 정보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자동 보정 처리부; 및 상기 보정 픽셀 정보가 상기 표시부를 통해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처리하는 후속 처리부를 포함하는 이미지 센서에서의 렌즈 셰이딩 현상을 자동으로 보정하는 이미지 프로세서가 제공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s,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image processor of an image device for automatically correcting a lens shading phenomenon in an image sensor, wherein the image device includes a sensor unit, the image processor and a display unit. And generating analysis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digital image signal sequentially input from the sensor unit corresponding to each pixel, and measuring average brightness of an area having a predetermined size around the first center pixel of the pixel array. Setting the automatic exposure value, detecting a second center pixel in a shading image corresponding to the digital image signal, generating a block-specific compensation value corresponding to the automatic exposure value, which is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istance from the second center pixel; And calculates a distance between an arbitrary compensation target pixel and the second center pixel, Compensation value corresponding to the pixel to be compensated is calculated by using a block-specific compensation value corresponding to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automatically corrected to generate and output correction pixel information by adding analysis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pixel to be compensated and the compensation value. Processing unit; And a subsequent processor configured to process the correction pixel information so that the corrected pixel information can be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unit.

바람직하게는, 상기 보정 픽셀 정보를 이용하여 보간(interpolation) 처리를 수행하는 보간 처리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후속 처리부는 상기 보간 처리된 보정 픽셀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Preferably, the apparatus further includes an interpolation processor that performs an interpolation process using the correction pixel information, and the subsequent processor may receive the interpolated correction pixel information.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이미지 센서에서의 렌즈 셰이딩 현상을 자동으로 보정하는 렌즈 셰이딩 현상 자동 보정 장치에 있어서, 피사체를 촬영하여 디지털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센서부로부터 순차적으로 입력되는 상기 디지털 영상 신호를 이용하여 각 픽셀에 상응하는 분석 정보를 생성하는 픽셀값 분석부; 상기 분석 정보를 통해 픽셀 어레이의 제1 중심 픽셀을 중심으로 소정 크기를 가지는 영역의 평균 밝기를 측정하여 자동 노출값으로 설 정하는 자동 노출값 설정부; 상기 디지털 영상 신호에 상응하는 셰이딩 이미지에서의 제2 중심 픽셀을 검출하는 중심 위치 검출부; 상기 제2 중심 픽셀에서의 거리에 따라 구분되고 상기 자동 노출값에 상응하는 블록별 보상값을 생성하여 저장하는 테이블 생성부; 임의의 보상 대상 픽셀과 상기 제2 중심 픽셀간의 거리를 산출하는 픽셀 위치 계산부; 상기 거리에 상응하는 블록별 보상값을 이용하여 상기 보상 대상 픽셀에 상응하는 보상값을 산출하는 보상 곡선 생성부; 및 상기 보상 대상 픽셀에 상응하는 분석 정보와 상기 보상값을 합하여 보정 픽셀 정보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보정 수행부를 포함하는 렌즈 셰이딩 현상 자동 보정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automatic lens shading phenomenon automatic correction device for automatically correcting the lens shading phenomenon in the image sensor, from the sensor unit for photographing the subject to generate a digital image signal A pixel value analyzer configured to generate analysis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each pixel by using the digital image signals sequentially input; An automatic exposure value setting unit configured to measure an average brightness of an area having a predetermined size based on the first center pixel of the pixel array based on the analysis information and set the automatic exposure value; A center position detector for detecting a second center pixel in a shading image corresponding to the digital image signal; A table generator configured to generate and store a compensation value for each block classified according to a distance from the second center pixel and corresponding to the automatic exposure value; A pixel position calculator configured to calculate a distance between an arbitrary compensation target pixel and the second center pixel; A compensation curve generator configured to calculate a compensation value corresponding to the compensation target pixel by using a block-specific compensation value corresponding to the distance; And a correction performing unit configured to generate and output correction pixel information by adding analysis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ompensation target pixel and the compensation value.

바람직하게는, 상기 렌즈 셰이딩 현상 자동 보정 장치는 상기 센서부와 후속 처리부 간에 구비되고, 상기 보정 수행부는 상기 보정 픽셀 정보를 상기 후속 처리부로 출력하며, 상기 후속 처리부는 상기 보정 픽셀 정보가 상기 표시부를 통해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처리할 수 있다. Preferably, the automatic lens shading phenomenon correction device is provided between the sensor unit and a subsequent processing unit, the correction performing unit outputs the correction pixel information to the subsequent processing unit, and the subsequent processing unit outputs the correction pixel information to the display unit. Can be processed to be displayed.

본 발명의 그 밖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Other objects, specific advantages and nove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nd the preferred embodiments associated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센서의 렌즈 셰이딩 현상 자동 보정 방법 및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상관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a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correcting a lens shading phenomenon of an image sen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components to b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duplicat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3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n image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장치(100)는 센서부(110), 이미지 프로세싱부(125), 표시부(180)를 포함한다. 물론, 이외에도 키 입력부, 메모리 등을 더 포함할 수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요지와는 무관한 사항이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Referring to FIG. 3, the image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nsor unit 110, an image processing unit 125, and a display unit 180. Of course, in addition to this may further include a key input unit, a memory, etc., which is not relevant to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센서부(110)는 CFA(Color Filter Array, 115) 및 A/D 컨버터(120)를 포함한다. 물론, 센서부(110)는 렌즈(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sensor unit 110 includes a color filter array (CFA) 115 and an A / D converter 120. Of course, the sensor unit 110 may further include a lens (not shown).

CFA(115)는 렌즈를 통해 입력되는 광학적 피사체 신호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이때, CFA(115)는 해상도 면에서 유리한 베이어 패턴(Bayer pattern)을 사용하며, 각 픽셀마다 하나의 색 정보를 가지는 영상 신호가 출력된다. 즉, R(red) 패턴에 해당하는 픽셀에서는 R 정보만을 가지는 영상 신호가 출력되고, G(green) 패턴에 해당하는 픽셀에서는 G 정보만을 가지는 영상 신호가 출력되며, B(blue) 패턴에 해당하는 픽셀에서는 B 정보만을 가지는 영상 신호가 출력된다. 베이어 패턴의 CFA(115)를 통해 얻어진 각 픽셀의 값은 보간 처리(Interpolation, 예를 들어 좌우의 2 픽셀의 값을 평균하거나, 상하좌우의 4 픽셀을 평균하여 결핍된 색 정보를 유추하는 등)하여 완전한 색 정보를 얻는다. 보간 처리는 보간 처리부(140)에 의해 수행된다.The CFA 115 converts the optical object signal input through the lens into an electrical signal and outputs the electrical signal. In this case, the CFA 115 uses a Bayer pattern, which is advantageous in terms of resolution, and an image signal having one color information is output for each pixel. That is, an image signal having only R information is output from a pixel corresponding to the R (red) pattern, and an image signal having only G information is output from a pixel corresponding to the G (green) pattern, and corresponding to a B (blue) pattern. In the pixel, an image signal having only B information is output. The value of each pixel obtained through the CFA 115 of the Bayer pattern is interpolated (interpolation, for example, averaging the values of 2 pixels on the left and right, or 4 pixels on the top, bottom, left, and right sides to infer missing color information). To get complete color information. The interpolation process is performed by the interpolation processor 140.

A/D 컨버터(120)는 CFA(115)에 의해 변환된 영상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자동 보정 처리부(130)로 전달한다.The A / D converter 120 converts the image signal converted by the CFA 115 into a digital signal and transmits the converted digital signal to the automatic correction processor 130.

이미지 프로세싱부(125)는 자동 보정 처리부(130), 보정 레지스터 테이블(135), 보간 처리부(140), 보간용 메모리(145), 색 조정부(150), 감마 변환부(155), 감마 테이블(160), 포맷 변환부(165) 및 포맷 변환 테이블(170)을 포함한다. 또한, 이미지 프로세싱부(125)는 CFA(115)의 구동에 이용된 수평 동기 신호(Hsync), 수직 동기 신호(Vsync) 및 화소 클락(PCLK)으로부터 각종 타이밍 신호를 생성하는 타이밍 발생부(도시되지 않음)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image processing unit 125 may include an automatic correction processor 130, a correction register table 135, an interpolation processor 140, an interpolation memory 145, a color adjuster 150, a gamma converter 155, and a gamma table ( 160, a format conversion unit 165, and a format conversion table 170. In addition, the image processing unit 125 may include a timing generator (not shown) for generating various timing signals from the horizontal synchronization signal Hsync, the vertical synchronization signal Vsync, and the pixel clock PCLK used to drive the CFA 115. Not) may be further included.

자동 보정 처리부(130)는 각 영상 신호의 루미넌스(Luminance) 분석, RGB 각각의 게인(Gain) 및 레벨(Level) 분석, 셰이딩 이미지의 중심 픽셀 검출 등을 수행하며, 미리 지정된 방식에 따라 자동으로 보정된 원래의 영상 신호를 보간 처리부(140)로 전달한다. The automatic correction processor 130 performs luminance analysis of each image signal, gain and level analysis of each RGB, center pixel detection of the shading image, and automatically corrects the image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method. The original image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interpolation processor 140.

상기 셰이딩 이미지의 중심 픽셀 검출, RGB 각각의 게인 및 레벨 분석을 통한 보정은 자동 노출값 설정을 통해 자동으로 이루어진다. 게인(Gain)은 프레임 내의 RGB 강도에 관계되는 것으로, 중심 픽셀과 외곽 픽셀 간에는 빛의 투과율의 차이가 존재하므로 RGB 강도의 차이가 발생할 수 있어 게인 분석이 필요하다. 레벨(Level)은 각 픽셀의 밝기에 관계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프레임 내의 모든 픽셀의 레벨이 10이라 할 때 화면 전체의 밝기가 10이라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보정 처리부(130)는 자동 노출값 설정에 의한 게인 및 레벨 값에 상응하도록 프레임 내부의 전체 픽셀의 영상 신호를 보정함으로써 원시 이미지의 품질을 저하시키지 않는 효과가 있다. 자동 보정 처리부(130)의 구성 및 기능에 대해서는 이후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Correction through detection of the center pixel of the shading image, gain of each RGB and level analysis is automatically performed through automatic exposure value setting. Gain is related to the RGB intensity in the frame. Since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transmittance of light between the center pixel and the outer pixel, a difference in the RGB intensity may occur, so a gain analysis is required. The level is related to the brightness of each pixel. For example, when the level of every pixel in the frame is 10, the brightness of the entire screen may be 10. As described above, the automatic correction processor 1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not degrading the quality of the raw image by correcting the image signal of all the pixels in the frame so as to correspond to the gain and the level value by the automatic exposure value setting. The configuration and function of the automatic correction processor 13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with reference to FIG. 4.

보정 레지스터 테이블(135)은 루미넌스 성분에 의해 생성되며 RGB 중 어느 하나의 값 및 셰이딩 이미지의 중심 픽셀을 기준으로 생성된다. 예를 들어, RGB 값 중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하고, 인간의 눈이 장면의 녹색 내용으로부터 루미넌스 데이터의 대부분을 도출한다는 전제하에 G 값을 기준하면, G 값과 다른 성분 값들(즉, R 값 및 B 값)의 차이가 계산되고, 그 차이는 자동 노출값에 상응하도록 설정된다. 보정 레지스터 테이블(135)은 중심 픽셀의 위치로부터의 거리에 따라 형성된 블록(Block) 단위(예를 들어, 16픽셀, 32픽셀, 64 픽셀 등)로 값을 가진다. 블록을 형성하는 간격을 넓게 할수록 블록값 경계의 문제로 인해 셰이딩이 정확치 않은 문제점이 발생된다. 실질적으로 16 픽셀로 하는 경우 정확한 셰이딩 보정을 할 수 있으나 레지스터가 많이 포함되어야 하므로, 32 픽셀이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그리고, 일정 픽셀 단위로 블록을 형성하는 이유는 시프트(Shift) 연산을 하기 때문에 셰이딩 보상시 나누기 연산을 생략하기 위한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보정 레지스터 테이블(135)은 생성된 보정 레지스터 테이블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 영역일 수 있다. 이후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후술한다. The correction register table 135 is generated by the luminance component and is generated based on the value of any one of RGB and the center pixel of the shading image. For example, given the largest number of RGB values, and assuming that the human eye derives most of the luminance data from the green content of the scene, the G value differs from the G value and other component values (ie, R value and B). Value) is calculated and the difference is set to correspond to the automatic exposure value. The correction register table 135 has a value in blocks (for example, 16 pixels, 32 pixels, 64 pixels, etc.) formed according to the distance from the position of the center pixel. As the spacing between blocks is wider, the shading problem becomes inaccurate due to the problem of block value boundary. If you use 16 pixels, you can get accurate shading correction. However, 32 pixels are generally used because many registers must be included. The reason for forming blocks in units of pixels is to omit the division operation when shading compensation because the shift operation is performed. The correction register table 135 shown in FIG. 3 may be a storage area for storing the generated correction register table.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 6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보간 처리부(140)는 각 픽셀마다 RGB의 픽셀 신호를 생성한다. CFA(115)에서 출력되는 영상 신호가 베이어(Bayer) 배열을 가지는 경우, 적색(R)에 대응하는 픽셀에는 녹색(G)이나 청색(B)의 픽셀 신호를 얻을 수 없다. 따라서, 보간 처리부(140)는 주위 픽셀의 신호를 보간 연산함으로써 적색(R)의 컬러 필터 픽셀에도 녹색(G)이나 청색(B)의 픽셀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보간용 메모리(145)에는 주위 픽셀의 픽셀 신호가 일시적으로 기록되며, 보간 처리부(140) 는 보간용 메모리(145) 내에 일시적으로 기록되어 있는 주위 픽셀의 픽셀 신호를 이용하여 보간 연산을 수행한다.The interpolation processor 140 generates a pixel signal of RGB for each pixel. When the video signal output from the CFA 115 has a Bayer array, a pixel signal of green (G) or blue (B) cannot be obtained for a pixel corresponding to red (R). Therefore, the interpolation processor 140 may generate a pixel signal of green (G) or blue (B) in the color filter pixel of red (R) by interpolating the signal of the surrounding pixel. To this end, pixel signals of surrounding pixels are temporarily recorded in the interpolation memory 145, and the interpolation processor 140 performs interpolation operations using pixel signals of surrounding pixels temporarily recorded in the interpolation memory 145. To perform.

색 조정부(150)는 색조(예를 들어, 푸르스름한 청색 등)를 조정하는 수단이고, 감마 변환부(155)는 표시부(180, 예를 들어, LCD, CRT 등)에 이미지를 출력하기 위해 디바이스 특성(감마 특성)에 맞추는 수단이다. 감마 테이블(160)에는 표시부(180)의 화상 출력 디바이스의 감마 특성으로 변환하기 위한 변환 테이블이 저장된다.The color adjuster 150 is a means for adjusting the color tone (for example, bluish blue, etc.), and the gamma converter 155 is a device characteristic for outputting an image to the display unit 180 (for example, LCD, CRT, etc.). It is a means to match (gamma characteristic). The gamma table 160 stores a conversion table for converting into gamma characteristics of the image output device of the display unit 180.

포맷 변환부(165)는 표시부(180)에 적합한 화상 신호의 포맷으로 변환하는 수단으로, 픽셀 신호를 NTSC나 YUV, YCbCr 등 디지털 성분의 포맷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포맷 변환 테이블(170)은 NTSC나 YUV 등의 표시 신호 포맷으로 변환하기 위한 테이블이다.The format converter 165 converts the pixel signal into a format of an image signal suitable for the display unit 180. The format converter 165 converts the pixel signal into a format of a digital component such as NTSC, YUV, or YCbCr and outputs the converted signal. The format conversion table 170 is a table for converting to a display signal format such as NTSC or YUV.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보정 처리부(130)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셰이딩 이미지의 중심 픽셀 검출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보정 레지스터 테이블(135)의 생성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잘못된 보정 레지스터 테이블(135) 생성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n automatic correction processor 13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detecting a center pixel of a shading imag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generating a correction register table 135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n incorrect correction register table 135 generation.

도 4를 참조하면, 자동 보정 처리부(130)는 픽셀값 분석부(200), 자동 노출값 설정부(210), 중심 위치 검출부(220), 테이블 생성부(230), 레벨 및 게인 조정부(240), 픽셀 위치 계산부(250), 보상 곡선 생성부(260) 및 보정 수행부(27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4, the automatic correction processor 130 may include a pixel value analyzer 200, an automatic exposure value setter 210, a center position detector 220, a table generator 230, a level and gain adjuster 240. , A pixel position calculator 250, a compensation curve generator 260, and a correction performer 270.

픽셀값 분석부(200)는 센서부(110)로부터 라인 단위로 수신되는 디지털 영상 신호를 이용하여 각각의 픽셀에 상응하는 루미넌스 정보, 게인 정보, 레벨 정보를 분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픽셀값 분석부(200)는 디지털 영상 신호의 분석을 라인 단위로 수행하거나 전체 프레임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거나 중심 라인에 대해서만 샘플링을 통한 분석을 수행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픽셀값 분석부(200)는 베이어 패턴을 가지는 영상 신호를 RGB 각 성분에 대해 분석을 수행하므로 출력 이미지의 변형이 전혀 없는 상태에서 분석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픽셀값 분석부(200)는 보간 처리 이전에 영상 신호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므로 분석되는 데이터의 수도 1/3로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픽셀값 분석부(200)가 입력되는 영상 신호의 비트 정보(예를 들어, 10 비트 또는 8 비트)에 상응하여 다른 옵션을 적용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픽셀값 분석부(200)는 입력되는 디지털 영상 신호가 RGB 베이어 패턴(Bayer pattern)로 입력되므로 RGB 각각에 대한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The pixel value analyzer 200 analyzes luminance information, gain information, and level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each pixel by using a digital image signal received in line units from the sensor unit 110. The pixel value analyzer 200 may analyze the digital image signal in units of lines, analyze the entire frame, or perform sampling analysis on only the center line. The pixel value analyzer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alyzes an image signal having a Bayer pattern with respect to each component of RGB, and thus may be analyzed in a state where there is no distortion of the output image. In addition, since the pixel value analyzer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alyzes the image signal before the interpolation process, the number of analyzed data may be reduced to 1/3. In addition, it is apparent that the pixel value analyzer 200 may apply other options corresponding to bit information (for example, 10 bits or 8 bits) of the input image signal. The pixel value analyzer 200 may analyze each of the RGB since the input digital image signal is input in an RGB Bayer pattern.

자동 노출값 설정부(210)는 촬상된 이미지의 픽셀 어레이 중심 영역 중 미리 설정된 크기의 영역(예를 들어, 200ㅧ200 픽셀 정도의 영역)을 선택하고, 선택 영역의 평균 루미넌스(밝기)가 자동 노출 상한(Up_limit) 및 자동 노출 하한(Down_limit)의 중간 값이 되도록 자동 노출값을 설정한다. 자동 노출 상한과 자동 노출 하한 간의 간격은 미리 설정되며, 이는 사용자가 설정할 수도 있다. 이를 이용하여 픽셀 어레이의 중심에서의 루미넌스를 고정시킨다. 그리고 고정된 중 심에서의 루미넌스를 기준으로 중심 외의 부분에 대한 루미넌스를 조정할 수 있다. 즉, 자동 노출값이 촬상된 이미지에서 보상하고자 하는 목표값이 된다.The automatic exposure value setting unit 210 selects an area of a predetermined size (for example, an area of about 200 × 200 pixels) from the center area of the pixel array of the captured image, and the average luminance (brightness) of the selected area is automatically exposed. The automatic exposure value is set so that it is an intermediate value between the upper limit (Up_limit) and the automatic exposure lower limit (Down_limit). The interval between the automatic exposure upper limit and the automatic exposure lower limit is preset, which may be set by the user. This is used to fix the luminance at the center of the pixel array. In addition, the luminance of the non-center part can be adjusted based on the luminance at the fixed center. That is, the automatic exposure value is a target value to be compensated for in the captured image.

중심 위치 검출부(220)는 백색 이미지로부터 셰이딩(shading) 이미지의 중심 픽셀을 찾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는 셰이딩 이미지의 중심이 픽셀 어레이의 중심이 아닌 경우 정확한 중심을 맞추기 위함이다. 또한 셰이딩 이미지의 중심이 맞지 않는 경우 이미지의 왜곡이 생길 수 있기 때문이다. 셰이딩 이미지의 중심 픽셀이 찾아지면 중심 픽셀의 위치를 보정 레지스터 테이블(135)에 저장하고, 그 중심 픽셀을 중심으로 셰이딩 보상 이미지가 생성되도록 한다. The center position detector 220 searches for the center pixel of the shading image from the white image. This is to ensure accurate centering if the center of the shading image is not the center of the pixel array. Also, if the shading image is not centered, the image may be distorted. When the center pixel of the shading image is found, the position of the center pixel is stored in the correction register table 135, and a shading compensation image is generated about the center pixel.

도 5에 도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중심 픽셀을 찾는 방법을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중심 위치 검출부(220)는 자동 노출 상한을 전체 픽셀 중 가장 밝은 부분의 값보다 작게 하고, 자동 노출 하한을 가장 어두운 부분의 값보다 크도록 자동 노출 상한 및 자동 노출 하한을 조정한다. 픽셀의 루미넌스가 자동 노출 상한 이하이고 자동 노출 하한 이상인 경우에 해당하는 픽셀로 이루어진 원형 띠가 생성되며, 원형 띠의 경계선과 픽셀 어레이의 수직 중심선(550) 및 수평 중심선(560)과 만나는 8개의 교점 픽셀(510 내지 516, 520 내지 526)을 찾는다. 여기서, 픽셀 어레이의 수직 중심선(550) 및 수평 중심선(560)은 미리 정해져 있다. 자동 노출 상한 경계에 의한 교점 픽셀 중 수직 중심선(550)과 만나는 교점 픽셀들(510, 512)의 수직 이등분선 및 수평 중심선(560)과 만나는 교점 픽셀들(514, 516)의 수직 이등분선의 교점이 셰이딩 이미지의 중심 픽셀이 된다. 이는 원형 띠의 경계선이 원형이며, 교점 픽셀들(510, 512 또는 514, 516)을 잇는 선분이 원의 현이 되는 바 현 의 수직 이등분선은 원의 중심을 지나는 원리에 기인한다. 이는 자동 노출 하한 경계에 의한 교점 픽셀(520 내지 526)에서도 마찬가지이다. A method of finding the center pixel will be briefly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 shown in FIG. 5. The center position detector 220 makes the upper limit of the automatic exposure lower than the value of the brightest part of all pixels, and adjusts the upper limit and the automatic exposure lower limit so that the lower limit of the automatic exposure is larger than the value of the darkest part. A circular band of pixels is created where the luminance of the pixel is below the auto-exposure upper limit and above the auto-exposure lower limit, and eight intersections meet the boundary of the circular band and the vertical center line 550 and horizontal center line 560 of the pixel array. Find pixels 510-516, 520-526. Here, the vertical center line 550 and the horizontal center line 560 of the pixel array are predetermined. The intersection of the vertical bisectors of the intersection pixels 514 and 516 that meets the vertical bisector and the horizontal center line 560 of the intersection pixels 510 and 512 among the intersection pixels due to the automatic exposure upper bound It is the center pixel of the image. This is due to the principle that the boundary of the circular band is circular and the segment connecting the intersection pixels 510, 512 or 514, 516 becomes the string of the circle, and thus the vertical bisector of the string passes through the center of the circle. The same applies to the intersection pixels 520 to 526 by the automatic exposure lower limit boundary.

상기 방법에 의해 중심 픽셀을 보정한 후에는 자동 노출 상한 및 자동 노출 하한을 자동 노출값 설정부(210)에서 설정된 자동 노출값에 상응하도록 재조정한다. 상기의 방법을 이용하여 셰이딩 이미지의 중심 픽셀을 찾을 수 있으며, 이 외에도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방법에 의해 셰이딩 이미지의 중심 픽셀을 찾을 수 있음은 물론이다. 중심 픽셀의 보정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색수차 현상이 발생하게 되어 전체적으로 이미지의 주변 부위에 다른 색이 나타나는 현상이 일어나고 이후 컬러 보정을 통해서 제대로 된 색을 찾기가 어려운 바 중심 픽셀의 보정은 중요하다.After correcting the center pixel by the above method, the automatic exposure upper limit and the automatic exposure lower limit are readjusted to correspond to the automatic exposure value set by the automatic exposure value setting unit 210. The center pixel of the shading image may be found using the above method, and in addition, the center pixel of the shading image may be foun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by various methods. If the correction of the center pixel is not done properly, chromatic aberration occurs, which causes different colors to appear around the entire area of the image, and it is difficult to find the right color through color correction.

테이블 생성부(230)는 픽셀값 분석부(200)에 의해 분석된 분석 정보(예를 들어, RGB 각각의 게인 및 레벨 값, 루미넌스 값 등), 자동 노출값 설정부(210)에 의해 설정된 자동 노출값, 중심 위치 검출부(220)에 의해 발견된 셰이딩 이미지의 중심 픽셀 위치 및/또는 보상값을 포함하는 보정 레지스터 테이블(135)을 생성하여 저장한다. The table generator 230 may analyze analysis information (for example, gains and level values of RGB, luminance values, etc.) analyzed by the pixel value analyzer 200, and an automatic exposure value set by the automatic exposure value setting unit 210. In addition, the correction register table 135 including the center pixel position and / or the compensation value of the shading image found by the center position detector 220 is generated and stored.

도 6을 참조하면, 중심 픽셀과 각 픽셀간의 거리는 블록으로서 구분된다. 보상값은 예를 들어 블록 단위(예를 들어, 특정 블록 시작 위치 및 특정 블록 종료 위치)에 상응하도록 생성될 수 있다. 블록 A 내지 블록 E에서 설정된 자동 노출값을 가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셰이딩 곡선에서 각각 (a, b) 내지 (e, f)(여기서, (블록 시작 위치 보상값, 블록 종료 위치 보상값))에 상응하는 보상값 이 더 합해져야 한다. Referring to FIG. 6, the distance between the center pixel and each pixel is divided as a block. The compensation value may be generated to correspond to, for example, a block unit (eg, a specific block start position and a specific block end position). In order to be able to have the automatic exposure value set in blocks A to E, in (a, b) to (e, f) (where (block start position compensation value, block end position compensation value)) in the existing shading curves, respectively, The corresponding compensation values should be further summed up.

상기 보상값의 생성을 위해 각 블록별로 자동 노출 상한(Up_limit)과 자동 노출 하한(Down_limit) 사이의 값을 가지는 픽셀 수를 카운트한다. 그리고 보상값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킴에 따라 자동 노출 상한과 자동 노출 하한 사이(튜닝 범위)의 값을 가지는 픽셀 수의 변화를 체크하여 가장 많은 픽셀 수를 가질 때의 보상값을 결정한다. 도 6에서는 블록 A의 경우 처음에는 튜닝 범위의 값을 가지는 픽셀이 없었으나, 보상값 a가 더해짐으로 인해 블록 A의 거의 모든 픽셀이 튜닝 범위의 값을 가지게 된다. 이 과정을 이미지의 모든 블록에 대해 수행하면 각 블록별로 보상값이 자동으로 결정된다. 여기서, 자동 노출값이 셰이딩 이미지의 중심 픽셀이 가지는 루미넌스 값보다 작은 경우에는 셰이딩 이미지의 중심 픽셀에서의 보상값이 마이너스(-)가 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In order to generate the compensation value, the number of pixels having a value between an automatic exposure upper limit (Up_limit) and an automatic exposure lower limit (Down_limit) is counted for each block. As the compensation value is increased or decreased, a change in the number of pixels having a value between the automatic exposure upper limit and the automatic exposure lower limit (tuning range) is checked to determine the compensation value when having the largest number of pixels. In FIG. 6, in the case of block A, there was no pixel having a tuning range value at first, but as a compensation value a is added, almost all pixels of block A have a tuning range value. If this process is performed for all blocks of the image, the compensation value is automatically determined for each block. Here, when the automatic exposure value is smaller than the luminance value of the center pixel of the shading image, it is obvious that the compensation value at the center pixel of the shading image may be negative.

상기 보상 레지스터 테이블의 생성 이후 저장을 하기 전에 오류 검사를 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셰이딩 곡선은 셰이딩 이미지의 중심 픽셀 위치를 축으로 포물선의 형태를 가진다. 따라서 보상값도 역시 포물선의 형태를 가지는 바 ① 해당 블록 보상값이 직전 블록 보상값보다 급격한 상승이 있었는지(예를 들어, 100 이상의 값인지) 및 ② 해당 블록 보상값이 직전 블록 보상값보다 작아졌는지(예를 들어, 블록 C의 보상값 c보다 블록 D의 보상값 d가 작은 경우)에 대하여 검사한다. 상기 조건을 하나라도 만족하지 못하면 보정 테이블에 오류가 있는 것인 바 새로이 보정 테이블을 생성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보상값도 점선의 포물선 형태를 가져야 하는 바 (a)는 해당 블록 보상값이 직전 블록 보상값보다 급격한 상승이 있는 ① 에 해당하는 경우이며, (b)는 해당 블록 보상값이 직전 블록 보상값보다 작이진 ② 에 해당하는 경우이어서 각각 오류가 있는 경우이다. 이와 같은 경우 보정 테이블을 새로이 생성한다. After generating the compensation register table, error checking may be performed before storage. Referring to FIG. 6, the shading curve has a parabolic shape based on the center pixel position of the shading image. Therefore, the compensation value also has the form of a parabola. ① Whether the block compensation value is a sharp rise (for example, 100 or more) than the previous block compensation value and ② The block compensation value is smaller than the previous block compensation value. It is checked whether it is lost (for example, when the compensation value d of the block D is smaller than the compensation value c of the block C). If any of the above conditions are not satisfied, there is an error in the calibration table and a new calibration table is generated. Referring to FIG. 7, the compensation value should also have a dotted parabolic shape (a) when the block compensation value corresponds to ① having a sharp rise than the previous block compensation value, and (b) indicates the block compensation value. This is the case that 2 is smaller than the previous block compensation value and each has an error. In this case, a new calibration table is created.

레벨 및 게인 조정부(240)는 각 블록의 RGB에 대해 게인(Gain)과 레벨(Level)을 세밀하게 조정함으로써 셰이딩 현상을 보정한다. 레벨 및 게인 조정부(240)는 소수점 레벨까지 게인을 조정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양의 방향 및 음의 방향으로 레벨을 조정할 수 있다(도 10 참조). 레벨 및 게인 조정 방법을 도 11을 참조하여 간략히 설명한다. The level and gain adjusting unit 240 corrects the shading phenomenon by finely adjusting the gain and level with respect to the RGB of each block. The level and gain adjusting unit 240 may adjust the gain not only to the decimal point level but also to adjust the level in the positive direction and the negative direction (see FIG. 10). The level and gain adjustment method will be briefly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상기 보정 테이블은 베이어 유형의 세가지 성분 중의 하나인 G 성분을 이용하여 생성되기 때문에 나머지 R, B 성분에 대해서는 최적화되어 있지 않다. 즉, RGB 강도는 셰이딩 이미지에서 전체적으로 불일치함이 일반적이다. 다만, 중심 픽셀의 위치에서는 RGB 강도가 일치(1110)함이 일반적이나 렌즈의 특성에 따라 중심 픽셀의 위치에서도 RGB 강도가 불일치(1120)할 수 있다. 이 경우 레벨 및 게인 조정부(240)는 RGB 각각의 성분에 대한 픽셀 어레이 중심의 중심값이 동일하고 주변픽셀의 값이 다른 경우(1110)에는 게인 보상을 통해 조정할 수 있고, 픽셀 어레이 중심의 중심값과 주변 픽셀의 값이 각각 다른 경우(1120)에는 레벨과 게인의 보상을 통해 조절할 수 있다. The correction table is generated using the G component, which is one of the three components of the Bayer type, and thus is not optimized for the remaining R and B components. In other words, the RGB intensity is generally inconsistent in the shading image. However, although the RGB intensity is generally 1110 at the position of the center pixel, the RGB intensity may be inconsistent 1120 even at the position of the center pixel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lens. In this case, the level and gain adjusting unit 240 may adjust through gain compensation when the center value of the pixel array center for each component of RGB is the same and the values of the surrounding pixels are different (1110), and the center value of the center of the pixel array. In the case where the values of and adjacent pixel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1120), the level and gain may be adjusted by compensation.

상기 보상의 방법은 테이블 생성부(230)에서 보정 테이블을 생성하는 방법과 유사하다. 우선 R 성분 및 B 성분에 대해서 블록별로 구분하고, 중심 픽셀을 포함하는 블록에서의 레벨이 G 성분의 레벨과 근사할 수 있도록 레벨 튜닝 범위에 포함 되는 픽셀 수를 카운트한다. 이후 레벨 보상값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킴으로써 레벨 튜닝 범위에 포함되는 픽셀 수를 카운트하여 가장 픽셀 수가 많은 경우의 레벨 보상값을 해당 블록의 레벨 보상값으로 설정한다. 이후 각 블록 별로 동일한 방법으로 레벨 보상값을 설정한다. 그리고 R 성분 및 B 성분의 게인을 조정하는데, 역시 G 성분의 게인을 기준으로 레벨 보상값을 설정하는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게인 보상값을 설정한다. The compensation method is similar to the method of generating the correction table in the table generator 230. First, the R component and the B component are divided by blocks, and the number of pixels included in the level tuning range is counted so that the level in the block including the center pixel can approximate the level of the G component. Thereafter, by increasing or decreasing the level compensation value, the number of pixels included in the level tuning range is counted to set the level compensation value when the largest number of pixels is the level compensation value of the corresponding block. Thereafter, the level compensation value is set for each block in the same manner. The gain of the R component and the B component is adjusted, and the gain compensation value is set in the same manner as the method of setting the level compensation value based on the gain of the G component.

픽셀 위치 계산부(250)는 중심 위치 검출부(220)에 의해 발견된 셰이딩 이미지의 중심 픽셀과 각 픽셀간의 거리를 계산한다. 예를 들어 자동 보정 처리부(130)는 수평, 수직 방향으로 들어오는 영상 신호를 카운트하며(이는 예를 들어 픽셀값 분석부(200) 또는 별도의 카운팅 수단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 카운트된 숫자는 상응하는 픽셀의 위치를 나타낸다. 이를 이용하여 픽셀 위치 계산부(250)는 각 픽셀과 중심 픽셀간의 거리를 계산할 수 있으며, 각 픽셀과 중심 픽셀간의 거리는 블록으로서 구분된다(도 6 참조). The pixel position calculator 250 calculates a distance between the center pixel and each pixel of the shading image found by the center position detector 220. For example, the automatic correction processor 130 counts image signals coming 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which may be performed by the pixel value analyzer 200 or a separate counting means, for example). Indicates the position of the corresponding pixel. Using this, the pixel position calculator 250 may calculate a distance between each pixel and the center pixel, and the distance between each pixel and the center pixel is divided as a block (see FIG. 6).

또한, 카운트된 숫자는 테이블 생성부(230)에서 생성되어 보정 레지스터 테이블(135)에 저장된 보상값, 레벨 및 게인 조정부(240)에서 생성되어 보정 레지스터 테이블(135)에 저장된 레벨 보상값 및 게인 보상값과 각 픽셀이 연동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counted number is generated in the table generator 230 and the compensation value, the level and the gain compensation unit 240 generated in the correction register table 135 and stored in the correction register table 135 and the level compensation Let each pixel be associated with a value.

보상 곡선 생성부(260)는 카운트된 숫자에 연동되도록 보정 레지스터 테이블(135)에 저장된 보상값을 추출하여 임의의 특정 픽셀에 대한 보상값을 산출한다. 보정 레지스터 테이블(135)의 값은 픽셀 어레이의 단위 블록(예를 들어, 16 픽셀, 32 픽셀, 64 픽셀)에 상응하도록 설정되며, 단위 블록 내의 보상 값들은 두개의 테이블 값(예를 들어, 블록 시작 위치의 보상 값과 블록 종료 위치의 보상 값)을 이용하여 생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이후 도 8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The compensation curve generator 260 extracts a compensation value stored in the compensation register table 135 to be linked to the counted number and calculates a compensation value for any particular pixel. The value of the correction register table 135 is set to correspond to the unit block (eg, 16 pixels, 32 pixels, 64 pixels) of the pixel array, and the compensation values within the unit block are two table values (eg, blocks). The compensation value of the start position and the compensation value of the block end position). Thi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with reference to FIGS. 8 to 9.

보정 수행부(270)는 각 픽셀별로 픽셀값 분석부(200)에 의해 분석된 분석 정보와 보상 곡선 생성부(260)에 의해 산출된 보상값을 합하여 보정 픽셀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보정 픽셀 정보를 보간 처리부(140)로 전달한다. 즉, 셰이딩 현상이 제거된 보정 이미지가 보간 처리부(140)로 전달된다.The correction performing unit 270 generates correction pixel information by adding the analysis information analyzed by the pixel value analyzer 200 and the compensation value calculated by the compensation curve generator 260 for each pixel, and generates the generated correction pixel. The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interpolation processor 140. That is, the corrected image from which the shading phenomenon is removed is transmitted to the interpolation processor 140.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셰이딩 현상 자동 보정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임의의 블록에서의 보상값 산출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레벨 및 게인 조정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레벨 및 게인 조정 방법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12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평활화된 투과율을 가지도록 설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automatically correcting a lens shading phenomeno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calculating a compensation value in an arbitrary block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view showing a level and gain adjustmen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1 is a view showing in detail a level and gain adjustmen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2 2 is a view showing a method for setting to have a smoothed transmitt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단계 810에서 픽셀값 분석부(200)는 센서부(110)로부터 백색 영역만을 촬영한 백색 이미지에 상응하는 디지털 영상 신호를 수신한다. 단계 810을 통해 입력된 백색 이미지에 상응하는 디지털 영상 신호는 렌즈의 기하학적 특성에 따라 촬상면의 중심으로부터 가장자리로 멀어질수록 어두워지는 셰이딩 이 미지 특성을 가진다. 각 픽셀에 대한 루미넌스 값, 게인 값 및 레벨 값 등을 분석하여 분석 정보를 생성한다. Referring to FIG. 8, in operation 810, the pixel value analyzer 200 receives a digital image signal corresponding to a white image obtained by photographing only a white region from the sensor unit 110. The digital imag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white image input through step 810 has a shading image characteristic that becomes darker from the center of the imaging surface to the edge according to the geome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lens. Analysis information is generated by analyzing luminance values, gain values, and level values for each pixel.

단계 815에서 자동 노출값 설정부(210)는 라인 단위로 입력되는 디지털 영상 신호를 이용하여 픽셀 어레이의 중심 픽셀을 중심으로 미리 설정된 크기의 영역의 평균 밝기를 측정한다. 그리고 단계 820에서 자동 노출값 설정부(210)는 상기 평균 밝기를 자동 노출값으로 설정한다. 그리고 자동 노출값이 미리 설정된 간격의 튜닝 범위(자동 노출 상한과 자동 노출 하한 간의 간격)의 중간값이 되도록 자동 노출 상한 및 자동 노출 하한을 정한다.In operation 815, the automatic exposure value setting unit 210 measures an average brightness of a region having a predetermined size centering on the center pixel of the pixel array using a digital image signal input in line units. In operation 820, the automatic exposure value setting unit 210 sets the average brightness as the automatic exposure value. The automatic exposure upper limit and the automatic exposure lower limit are determined so that the automatic exposure value is an intermediate value of the tuning range (the interval between the automatic exposure upper limit and the automatic exposure lower limit) of the preset interval.

단계 825에서 중심 위치 검출부(220)는 라인 단위로 입력되는 디지털 영상 신호를 이용하여 셰이딩 이미지의 중심 위치에 해당하는 중심 픽셀을 검출한다. In operation 825, the center position detector 220 detects a center pixel corresponding to the center position of the shading image by using the digital image signal input in line units.

단계 830에서 테이블 생성부(230)는 상기 분석 정보, 상기 자동 노출값, 상기 셰이딩 이미지의 중심 픽셀, 중심 픽셀과 각 픽셀간의 거리(블록으로 구분될 수 있음)를 이용하여 각 픽셀별 또는 블록별 보상값을 생성한다. 그리고 생성된 보상값 및/또는 분석 정보, 자동 노출값, 셰이딩 이미지의 중심 픽셀, 중심 픽셀과 각 픽셀간의 거리(또는 중심 픽셀에서의 각 블록에의 거리)를 보정 레지스터 테이블(135)에 저장한다. In step 830, the table generator 230 compensates for each pixel or block by using the analysis information, the automatic exposure value, the center pixel of the shading image, the distance between the center pixel and each pixel (which may be divided into blocks). Create a value. The compensation value and / or analysis information, the automatic exposure value, the center pixel of the shading image, the distance between the center pixel and each pixel (or the distance from the center pixel to each block) are stored in the correction register table 135.

단계 835에서 레벨 및 게인 조정부(240)는 각 블록의 RGB에 대해 게인과 레벨을 세밀하게 조정한다. 상기 보정 레지스터 테이블(135)에 저장된 보상값은 G 성분을 이용하여 생성되므로, 나머지 R 성분 및 B 성분에 대해서는 최적화되어 있지 않다. 상기 조정의 방법은 테이블 생성부(230)에서 보정 테이블을 생성하는 방법과 유사하다. 우선 R 성분 및 B 성분에 대해서 블록별로 구분하고, 중심 픽셀을 포함하는 블록에서의 레벨이 G 성분의 레벨과 근사할 수 있도록 레벨 튜닝 범위에 포함되는 픽셀 수를 카운트한다. 이후 레벨 보상값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킴으로써 레벨 튜닝 범위에 포함되는 픽셀 수를 카운트하여 가장 픽셀 수가 많은 경우의 레벨 보상값을 해당 블록의 레벨 보상값으로 설정한다. 이후 각 블록 별로 동일한 방법으로 레벨 보상값을 설정한다. 그리고 R 성분 및 B 성분의 게인을 조정하는데, 역시 G 성분의 게인을 기준으로 레벨 보상값을 설정하는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게인 보상값을 설정한다. In step 835, the level and gain adjustment unit 240 finely adjusts the gain and level for the RGB of each block. The compensation value stored in the correction register table 135 is generated using the G component, and thus is not optimized for the remaining R and B components. The adjustment method is similar to the method of generating the correction table in the table generator 230. First, the R component and the B component are divided by blocks, and the number of pixels included in the level tuning range is counted so that the level in the block including the center pixel can approximate the level of the G component. Thereafter, by increasing or decreasing the level compensation value, the number of pixels included in the level tuning range is counted to set the level compensation value when the largest number of pixels is the level compensation value of the corresponding block. Thereafter, the level compensation value is set for each block in the same manner. The gain of the R component and the B component is adjusted, and the gain compensation value is set in the same manner as the method of setting the level compensation value based on the gain of the G component.

단계 840에서 픽셀 위치 계산부(250)는 각각의 픽셀 위치를 나타내는 카운트된 숫자를 이용하여 셰이딩 이미지의 중심 픽셀과 각 픽셀간의 거리를 산출한다. In operation 840, the pixel position calculator 250 calculates a distance between the center pixel and each pixel of the shading image using the counted number representing each pixel position.

단계 845에서 보상 곡선 생성부(260)는 카운트된 숫자와 연동되도록 저장된 보정 레지스터 테이블(135)에서 임의의 테이블값(예를 들어, 해당 픽셀이 위치하는 블록에서 블록 시작 위치의 보상값과 블록 종료 위치의 보상값)을 추출하여 해당 픽셀에 상응하는 보상값을 산출한다. 여기서, 보상값은 게인 보상값 및 레벨 보상값을 포함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 보정하고자 하는 픽셀이 블록 C에 포함되는 경우 보상 곡선 생성부(260)는 블록 C의 시작 위치의 테이블 값(즉, 보상값 a)과 종료 위치의 테이블 값(즉, 보상값 b)을 보정 레지스터 테이블(135)에서 추출한다. 그리고 추출된 두 개의 보상값을 직선으로 연결하여 일차 방정식을 생성한 후, 해당 픽셀의 거리에 해당하는 일차 방정식 값을 보상값으로 결정한다. In operation 845, the compensation curve generator 260 performs an arbitrary table value (for example, the compensation value of the block start position and the block end in the block in which the corresponding pixel is located) in the stored compensation register table 135 to be interlocked with the counted number. The compensation value of the position) is extracted to calculate a compensation value corresponding to the pixel. Here, the compensation value may include a gain compensation value and a level compensation value. As shown in FIG. 9, when the pixel to be corrected currently is included in the block C, the compensation curve generator 260 performs a table value (ie, a compensation value a) of the start position of the block C and a table value of the end position (ie , The compensation value b) is extracted from the correction register table 135. The linear equations are generated by connecting the extracted two compensation values in a straight line, and then the first equation value corresponding to the distance of the corresponding pixel is determined as the compensation value.

단계 850에서 보정 수행부(270)는 단계 810을 통한 분석 정보와 단계 845를 통한 보상값을 합하여 보정 픽셀 정보를 생성하고, 단계 855로 진행하여 생성된 보정 픽셀 정보를 보간 처리부(140)로 전달한다. In operation 850, the correction performing unit 270 generates correction pixel information by adding the analysis information in operation 810 and the compensation value in operation 845, and proceeds to operation 855 to transfer the generated correction pixel information to the interpolation processor 140. do.

도 8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단계 845 내지 단계 850는 당해 프레임 내에 포함된 모든 픽셀들에 대해 반복적으로 수행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Although not shown in FIG. 8, it is apparent that steps 845 to 850 may be repeatedly performed for all pixels included in the fram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보정 처리부(130)는 각각의 RGB에 대해 게인과 레벨을 자동으로 세밀하게 조정함으로써 셰이딩 현상이 보정된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자동 보정 처리부(130)는 소수점 레벨까지 게인을 조정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양의 방향 및 음의 방향으로 레벨을 조정할 수 있다(도 10 참조). 레벨 및 게인 조정 방법을 도 11을 참조하여 간략히 설명한다. RGB 강도는 셰이딩 이미지의 전체적으로 불일치함이 일반적이다. 다만, 중심 픽셀의 위치에서는 RGB 강도가 일치(1110)함이 일반적이나 렌즈의 특성에 따라 중심 픽셀의 위치에서도 RGB 강도가 불일치(1120)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보정 처리부(130)는 RGB 각각의 성분에 대한 픽셀 어레이 중심의 중심값이 동일하고 주변픽셀의 값이 다른 경우(1110)에는 게인 보상을 통해 조정할 수 있고, 픽셀 어레이 중심의 중심값과 주변 픽셀의 값이 각각 다른 경우(1120)에는 레벨과 게인의 보상을 통해 조절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automatic correction processor 1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generate an image in which a shading phenomenon is corrected by automatically finely adjusting gain and level for each RGB. The automatic correction processor 130 may not only adjust the gain to the decimal point level but also adjust the level in the positive direction and the negative direction (see FIG. 10). The level and gain adjustment method will be briefly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RGB intensities are generally inconsistent throughout the shading image. However, although the RGB intensity is generally 1110 at the position of the center pixel, the RGB intensity may be inconsistent 1120 even at the position of the center pixel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lens. In this case, the automatic correction processing unit 1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adjust the gain through the compensation of the center when the center value of the pixel array center for each component of RGB is the same and the value of the surrounding pixels is different (1110). In the case where the center value of and the neighboring pixel value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1120), the level and gain compensation may be performed.

이와 같이, 사용자는 보상 곡선의 기울기를 조정하기 위한 게인 조정과 보상 곡선의 높낮이(level)를 조정하기 위한 레벨 조정을 통해 평활화된 투과율을 가지는 보정 이미지를 이용할 수 있다(도 12 참조).As such, the user may use the correction image having the smoothed transmittance through gain adjustment for adjusting the slope of the compensation curve and level adjustment for adjusting the level of the compensation curve (see FIG. 12).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센서에서의 렌즈 셰이딩 현상 자동 보정 방법 및 장치는 원시 이미지의 품질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correcting the lens shading phenomenon in the image sen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the degradation of the raw image.

또한, 본 발명은 이미지 센서의 전체적인 조도를 자동으로 보상, RGB 각각의 컬러 필터에 의한 색상 왜곡 및 픽셀 위치에 대한 신호의 크기 감소를 자동으로 보상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automatically compensate for the overall illuminance of the image sensor, the color distortion by the respective color filters of RGB, and the size reduction of the signal with respect to the pixel position.

또한, 본 발명은 칼라 필터 각각의 특성을 고려한 RGB 각각의 자동 보상, 위치에 따른 빛의 투과율 차에 따른 각각의 게인(Gain) 및 레벨(Level) 자동 보상을 통해 원래의 색상을 최대한 유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maintain the original color as much as possible through automatic compensation of each RGB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color filter, automatic gain and level according to the light transmittance difference according to the position. .

또한, 본 발명은 셰이딩(Shading) 이미지의 중심 픽셀의 위치를 자동으로 보정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automatically correct the position of the center pixel of the shading image.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below It will be appreciated that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Claims (21)

이미지 센서에서의 렌즈 셰이딩 현상 자동 보정 방법에 있어서, In the lens shading phenomenon automatic correction method in the image sensor, (a) 각 픽셀에 상응하여 센서부로부터 순차적으로 수신되는 디지털 영상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각 픽셀에 상응하는 분석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a) generating analysis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each pixel by using a digital image signal sequentially received from a sensor unit corresponding to each pixel; (b) 상기 분석 정보를 통해 픽셀 어레이의 제1 중심 픽셀을 중심으로 소정 크기를 가지는 영역의 평균 밝기를 측정하여 자동 노출값으로 설정하는 단계;(b) measuring an average brightness of an area having a predetermined size with respect to the first center pixel of the pixel array based on the analysis information and setting an automatic exposure value; (c) 상기 디지털 영상 신호에 상응하는 셰이딩 이미지에서의 제2 중심 픽셀을 검출하는 단계;(c) detecting a second center pixel in a shading image corresponding to the digital video signal; (d) 상기 제2 중심 픽셀에서의 거리에 따라 구분되고 상기 자동 노출값에 상응하는 블록별 보상값을 생성하여 저장하는 단계;(d) generating and storing block-specific compensation values classified according to distances from the second center pixel and corresponding to the automatic exposure value; (e) 임의의 보상 대상 픽셀과 상기 제2 중심 픽셀간의 거리를 산출하는 단계;(e) calculating a distance between any compensation target pixel and the second center pixel; (f) 상기 거리에 상응하는 블록별 보상값을 이용하여 상기 보상 대상 픽셀에 상응하는 보상값을 산출하는 단계; 및calculating a compensation value corresponding to the compensation target pixel by using a block-specific compensation value corresponding to the distance; And (g) 상기 보상 대상 픽셀에 상응하는 분석 정보와 상기 보상값을 합하여 보정 픽셀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미지 센서에서의 렌즈 셰이딩 현상 자동 보정 방법.and (g) generating correction pixel information by adding analysis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ompensation target pixel and the compensation value.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e) 단계 내지 (g) 단계는 상기 순차적으로 수신되는 각 픽셀에 대해 순차적으로 수행되는 이미지 센서에서의 렌즈 셰이딩 현상 자동 보정 방법.Step (e) to (g) is a method for automatically correcting the lens shading phenomenon in the image sensor is performed sequentially for each of the sequentially received pixel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step (c) 소정의 간격을 가지는 자동 노출 상한 및 자동 노출 하한이 상기 자동 노출값을 중간값으로 가지도록 설정하는 단계; Setting an automatic exposure upper limit and an automatic exposure lower limit having a predetermined interval to have the automatic exposure value as an intermediate value; 상기 자동 노출 상한 및 상기 자동 노출 하한을 조정하여 상기 자동 노출 상한 및 상기 자동 노출 하한과 제1 중심 픽셀을 지나는 수평 중심선 및 수직 중심선과의 교점 픽셀을 검출하는 단계; 및Adjusting the automatic exposure upper limit and the automatic exposure lower limit to detect intersection pixels between the automatic exposure upper limit and the automatic exposure lower limit and the horizontal center line and the vertical center line passing through the first center pixel; And 상기 교점 픽셀들을 이용하여 상기 제2 중심 픽셀을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미지 센서에서의 렌즈 셰이딩 현상 자동 보정 방법.And detecting the second center pixel using the intersection pixels. 제3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step (d) (d-1) 상기 제2 중심 픽셀에서의 거리에 따라 블록을 구분하는 단계; 및(d-1) dividing blocks according to the distance from the second center pixel; And (d-2) 상기 블록별 보상값을 변화시키고, 변화된 상기 블록별 보상값이 적용된 블록에 포함되는 픽셀 중 상기 자동 노출 상한 이하와 상기 자동 노출 하한 이상의 값을 가지는 픽셀 수를 카운트하는 단계; 및(d-2) changing the compensation value for each block and counting the number of pixels having a value equal to or less than the upper limit of the automatic exposure and higher than the lower limit of the automatic exposure among pixels included in the block to which the changed block-based compensation value is applied; And (d-3) 상기 카운트 값이 가장 클 때의 블록별 보상값을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되,(d-3) storing a compensation value for each block when the count value is the largest; 촬상된 전체 이미지 영역에 대해서 상기 (d-1) 단계 내지 (d-3) 단계를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이미지 센서에서의 렌즈 셰이딩 현상 자동 보정 방법.A method for automatically correcting a lens shading phenomenon in an image sensor which repeatedly performs the steps (d-1) to (d-3) for the entire image area photographed. 제1항, 제3항 또는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3 or 4, 상기 분석 정보는 루미넌스(Luminance) 정보, 레벨 정보, 게인 정보 및 이들의 결합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블록별 보상값은 상기 분석 정보에 상응하여 루미넌스 보상값, 레벨 보상값, 게인 보상값 및 이들의 결합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이미지 센서에서의 렌즈 셰이딩 현상 자동 보정 방법.The analysis information includes any one of luminance information, level information, gain information, and a combination thereof, and the compensation value for each block corresponds to the luminance compensation value, level compensation value, gain compensation value, and the like according to the analysis information. A method for automatically correcting a lens shading phenomenon in an image sensor including any one of these combinations.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별 보상값은 각각의 블록 시작 위치 및 블록 종료 위치의 분석 정보와 상기 자동 노출값의 차를 이용하여 생성된 2개의 보상값인 이미지 센서에서의 렌즈 셰이딩 현상 자동 보정 방법.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compensation value for each block is two compensation values generated by us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analysis information of each block start position and the block end position and the automatic exposure value.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f) 단계는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step (f) 상기 거리에 상응하는 블록을 선택하는 단계;Selecting a block corresponding to the distance; 상기 선택된 블록에 상응하는 2개의 보상값을 추출하는 단계;Extracting two compensation values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block; 상기 추출된 2개의 보상값을 지나고, 상기 거리를 변수로 가지는 일차 방정식을 생성하는 단계; 및Generating a linear equation that passes the extracted two compensation values and has the distance as a variable; And 상기 일차 방정식을 이용하여 상기 거리에 상응하는 보상값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미지 센서에서의 렌즈 셰이딩 현상 자동 보정 방법.And calculating a compensation value corresponding to the distance by using the linear equ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영상 신호는 베이어 패턴(Bayer pattern)의 영상 신호인 이미지 센서에서의 렌즈 셰이딩 현상 자동 보정 방법.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digital image signal is a Bayer pattern image signal.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별 보상값은 녹색(G)의 픽셀을 기준으로 루미넌스 성분을 중심으로 생성되는 이미지 센서에서의 렌즈 셰이딩 현상 자동 보정 방법.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compensation value for each block is generated based on a luminance component based on the green (G) pixe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step (d) 상기 생성된 블록별 보상값의 오류를 검사하는 단계; 및Checking an error of the generated compensation value for each block; And 상기 검사 결과 오류가 있는 경우 새로이 블록별 보상값을 생성하고, 오류가 없는 경우 상기 블록별 보상값을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미지 센서에서의 렌즈 셰이딩 현상 자동 보정 방법.And automatically generating a compensation value for each block if there is an error and storing the compensation value for each block if there is no error.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된 블록별 보상값의 오류를 검사하는 단계는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checking of the error of the generated block-by-block compensation value comprises: 상기 제2 중심 픽셀에서의 거리가 가까운 블록의 보상값이 먼 블록의 보상값 이하이거나 보상값의 급격한 변화가 있는 경우 오류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는 이미지 센서에서의 렌즈 셰이딩 현상 자동 보정 방법.And determining that there is an error when the compensation value of the block having a short distance from the second center pixel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compensation value of the far block or there is a sudden change in the compensation value. 이미지 센서에서의 렌즈 셰이딩 현상을 자동으로 보정하는 이미지 장치의 이미지 프로세서에 있어서-여기서, 상기 이미지 장치는 센서부, 상기 이미지 프로세서 및 표시부를 포함함-,An image processor of an image device for automatically correcting a lens shading phenomenon in an image sensor, wherein the image device includes a sensor unit, the image processor, and a display unit, 상기 센서부로부터 각 픽셀에 상응하여 순차적으로 입력되는 디지털 영상 신호에 상응하는 분석 정보를 생성하고, 픽셀 어레이의 제1 중심 픽셀을 중심으로 소정 크기를 가지는 영역의 평균 밝기를 측정하여 자동 노출값으로 설정하며, 상기 디지털 영상 신호에 상응하는 셰이딩 이미지에서의 제2 중심 픽셀을 검출하고, 상기 제2 중심 픽셀에서의 거리에 따라 구분되고 상기 자동 노출값에 상응하는 블록별 보상값을 생성하여 저장하며, 임의의 보상 대상 픽셀과 상기 제2 중심 픽셀간의 거리를 산출하고, 상기 거리에 상응하는 블록별 보상값을 이용하여 상기 보상 대상 픽셀에 상응하는 보상값을 산출하며, 상기 보상 대상 픽셀에 상응하는 분석 정보와 상기 보상값을 합하여 보정 픽셀 정보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자동 보정 처리부; 및The sensor unit generates analysis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digital image signal sequentially input corresponding to each pixel, measures an average brightness of a region having a predetermined size centering on the first center pixel of the pixel array, and sets the automatic exposure value. Detect a second center pixel in a shading image corresponding to the digital image signal, generate and store a block-specific compensation value according to the distance from the second center pixel and corresponding to the automatic exposure value, and optionally Calculating a distance between the pixel to be compensated and the second center pixel, calculating a compensation value corresponding to the pixel to be compensated by using a block-by-block compensation value corresponding to the distance, and analyz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pixel to be compensated An automatic correction processor for generating correction pixel information by adding the compensation value and the compensation value; And 상기 보정 픽셀 정보가 상기 표시부를 통해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처리하 는 후속 처리부를 포함하는 이미지 센서에서의 렌즈 셰이딩 현상을 자동으로 보정하는 이미지 프로세서.And a subsequent processing unit for processing the correction pixel information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제12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보정 픽셀 정보를 이용하여 보간(interpolation) 처리를 수행하는 보간 처리부를 더 포함하되, Further comprising an interpolation processing unit for performing an interpolation process using the correction pixel information, 상기 후속 처리부는 상기 보간 처리된 보정 픽셀 정보를 수신하는 이미지 센서에서의 렌즈 셰이딩 현상을 자동으로 보정하는 이미지 프로세서.And the subsequent processor automatically corrects lens shading in an image sensor that receives the interpolated corrected pixel information.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중심 픽셀은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second center pixel is 소정의 간격을 가지고 상기 자동 노출값을 중간값으로 가지도록 설정된 자동 노출 상한 및 자동 노출 하한을 조정하여 검출된 상기 자동 노출 상한 및 상기 자동 노출 하한과 제1 중심 픽셀을 지나는 수평 중심선 및 수직 중심선과의 교점 픽셀을 이용하여 검출되는 이미지 센서에서의 렌즈 셰이딩 현상을 자동으로 보정하는 이미지 프로세서.The automatic exposure upper limit and the automatic exposure lower limit detected by adjusting the automatic exposure upper limit and the automatic exposure lower limit set to have the automatic exposure value as the intermediate value at a predetermined interval with the horizontal center line and the vertical center line passing through the first center pixel. An image processor that automatically corrects lens shading in an image sensor detected using intersection pixels.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별 보상값은 15.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the compensation value for each block is 상기 제2 중심 픽셀에서의 거리에 따라 블록을 구분하고, 상기 블록별 보상값을 변화시키며, 변화된 상기 블록별 보상값이 적용된 블록에 포함되는 픽셀 중 상기 자동 노출 상한 이하와 상기 자동 노출 하한 이상의 값을 가지는 픽셀 수를 카운트하고, 상기 카운트 값이 가장 클 때의 블록별 보상값을 저장함으로 결정되는 이미지 센서에서의 렌즈 셰이딩 현상을 자동으로 보정하는 이미지 프로세서.A block is divided according to the distance from the second center pixel, the compensation value for each block is changed, and a value less than or equal to the upper limit of the automatic exposure and more than the lower limit of the automatic exposure among pixels included in the block to which the changed block-specific compensation value is applied. An image processor for automatically correcting the lens shading phenomenon in the image sensor is determined by counting the number of pixels having a number, and storing the block-by-block compensation value when the count value is the largest. 제12항, 제14항 또는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2, 14 or 15, 상기 분석 정보는 루미넌스 정보, 레벨 정보, 게인 정보 및 이들의 결합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블록별 보상값은 상기 분석 정보에 상응하여 루미넌스 보상값, 레벨 보상값, 게인 보상값 및 이들의 결합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이미지 센서에서의 렌즈 셰이딩 현상을 자동으로 보정하는 이미지 프로세서.The analysis information includes any one of luminance information, level information, gain information, and combinations thereof, and the compensation value for each block corresponds to the luminance information, a level compensation value, a gain compensation value, and a combination thereof. An image processor that automatically corrects lens shading in an image sensor comprising any of the following. 이미지 센서에서의 렌즈 셰이딩 현상을 자동으로 보정하는 렌즈 셰이딩 현상 자동 보정 장치에 있어서,In the lens shading phenomenon automatic correction device for automatically correcting the lens shading phenomenon in the image sensor, 피사체를 촬영하여 디지털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센서부로부터 순차적으로 입력되는 상기 디지털 영상 신호를 이용하여 각 픽셀에 상응하는 분석 정보를 생성하는 픽셀값 분석부;A pixel value analyzer configured to generate analysis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each pixel by using the digital image signal sequentially input from a sensor unit which photographs a subject to generate a digital image signal; 상기 분석 정보를 통해 픽셀 어레이의 제1 중심 픽셀을 중심으로 소정 크기 를 가지는 영역의 평균 밝기를 측정하여 자동 노출값으로 설정하는 자동 노출값 설정부;An automatic exposure value setting unit configured to measure an average brightness of an area having a predetermined size with respect to the first center pixel of the pixel array based on the analysis information and set an automatic exposure value; 상기 디지털 영상 신호에 상응하는 셰이딩 이미지에서의 제2 중심 픽셀을 검출하는 중심 위치 검출부;A center position detector for detecting a second center pixel in a shading image corresponding to the digital image signal; 상기 제2 중심 픽셀에서의 거리에 따라 구분되고 상기 자동 노출값에 상응하는 블록별 보상값을 생성하여 저장하는 테이블 생성부;A table generator configured to generate and store a compensation value for each block classified according to a distance from the second center pixel and corresponding to the automatic exposure value; 임의의 보상 대상 픽셀과 상기 제2 중심 픽셀간의 거리를 산출하는 픽셀 위치 계산부;A pixel position calculator configured to calculate a distance between an arbitrary compensation target pixel and the second center pixel; 상기 거리에 상응하는 블록별 보상값을 이용하여 상기 보상 대상 픽셀에 상응하는 보상값을 산출하는 보상 곡선 생성부; 및A compensation curve generator configured to calculate a compensation value corresponding to the compensation target pixel by using a block-specific compensation value corresponding to the distance; And 상기 보상 대상 픽셀에 상응하는 분석 정보와 상기 보상값을 합하여 보정 픽셀 정보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보정 수행부를 포함하는 렌즈 셰이딩 현상 자동 보정 장치.And a correction performing unit configured to generate and output correction pixel information by adding analysis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ompensation target pixel and the compensation value. 제17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7, 상기 렌즈 셰이딩 현상 자동 보정 장치는 상기 센서부와 후속 처리부 간에 구비되고, 상기 보정 수행부는 상기 보정 픽셀 정보를 상기 후속 처리부로 출력하며, 상기 후속 처리부는 상기 보정 픽셀 정보가 상기 표시부를 통해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처리하는 렌즈 셰이딩 현상 자동 보정 장치.The automatic lens shading phenomenon correction device may be provided between the sensor unit and a subsequent processing unit. The correction performing unit may output the correction pixel information to the subsequent processing unit, and the subsequent processing unit may display the corrected pixel information through the display unit. So that the lens shading phenomenon automatic correction device to process.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 위치 검출부는 The method of claim 17, wherein the center position detector 소정의 간격을 가지는 자동 노출 상한 및 자동 노출 하한이 상기 자동 노출값을 중간값으로 가지도록 설정하고, 상기 자동 노출 상한 및 상기 자동 노출 하한을 조정하여 상기 자동 노출 상한 및 상기 자동 노출 하한과 제1 중심 픽셀을 지나는 수평 중심선 및 수직 중심선과의 교점 픽셀을 검출하며, 상기 교점 픽셀들을 이용하여 상기 제2 중심 픽셀을 검출하는 렌즈 셰이딩 현상 자동 보정 장치.The auto exposure upper limit and the auto exposure lower limit having a predetermined interval are set to have the auto exposure value as an intermediate value, and the auto exposure upper limit and the auto exposure lower limit are adjusted to adjust the auto exposure upper limit and the auto exposure lower limit and the first center. And an intersection pixel between the horizontal center line and the vertical center line passing through the pixel, and detecting the second center pixel using the intersection pixels.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 생성부는 The method of claim 19, wherein the table generating unit 상기 제2 중심 픽셀에서의 거리에 따라 블록을 구분하고, 상기 블록별 보상값을 변화시키며, 변화된 상기 블록별 보상값이 적용된 블록에 포함되는 픽셀 중 상기 자동 노출 상한 이하와 상기 자동 노출 하한 이상의 값을 가지는 픽셀 수를 카운트하고, 상기 카운트 값이 가장 클 때의 블록별 보상값을 각 블록별로 저장하는 렌즈 셰이딩 현상 자동 보정 장치.A block is divided according to the distance from the second center pixel, the compensation value for each block is changed, and a value less than or equal to the upper limit of the automatic exposure and more than the lower limit of the automatic exposure among pixels included in the block to which the changed block-specific compensation value is applied. A lens shading phenomenon automatic correction device for counting the number of pixels having a number, and for each block stores the compensation value for each block when the count value is the largest. 제17항, 제19항 또는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7, 19 or 20, 상기 분석 정보는 루미넌스 정보, 레벨 정보, 게인 정보 및 이들의 결합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블록별 보상값은 상기 분석 정보에 상응하여 루미넌스 보상값, 레벨 보상값, 게인 보상값 및 이들의 결합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렌즈 셰이딩 현상 자동 보정 장치.The analysis information includes any one of luminance information, level information, gain information, and combinations thereof, and the compensation value for each block corresponds to the luminance information, a level compensation value, a gain compensation value, and a combination thereof. Automatic lens shading phenomenon correction device comprising any one of.
KR1020050034112A 2005-04-25 2005-04-25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 compensating image sensor lens shading KR10056657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4112A KR100566571B1 (en) 2005-04-25 2005-04-25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 compensating image sensor lens shad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4112A KR100566571B1 (en) 2005-04-25 2005-04-25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 compensating image sensor lens shadi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66571B1 true KR100566571B1 (en) 2006-03-31

Family

ID=371801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4112A KR100566571B1 (en) 2005-04-25 2005-04-25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 compensating image sensor lens shad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6571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492803A (en) * 2011-07-13 2013-01-16 Canon Kk Processing a Set of Electrical Signals Representing a Digital Imag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492803A (en) * 2011-07-13 2013-01-16 Canon Kk Processing a Set of Electrical Signals Representing a Digital Image
GB2492803B (en) * 2011-07-13 2013-09-04 Canon Kk Method and device for processing a set of electrical signals representing a digital imag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1527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mpensating Image sensor lens shading
KR100808493B1 (en) Lens shading compensation apparatus and method, and image processor using it
US7460728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recording medium, and program
US9055181B2 (en) Solid-state imaging device,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a camera module having an image synthesizer configured to synthesize color information
KR100816301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mpensating color, and image processor, digital processing apparatus, recording medium using it
US7764319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taking system, image processing method and image processing program
US8106976B2 (en) Peripheral light amount correction apparatus, peripheral light amount correction method, electronic information device, control program and readable recording medium
US8199229B2 (en) Color filter,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image-capture apparatus, image-capture method,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KR20150109177A (en) Photographing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JP4329409B2 (en) Electronic camera shading correction circuit
US20090256928A1 (en) Method and device for detecting color temperature
WO2007075066A1 (en) Image processor, apparatus and method for lens shading compensation
KR100731812B1 (en) Color deviation compensating apparatus and method, image processor using it, recorded medium
US8896731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camera module
KR10056657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 compensating image sensor lens shading
KR100747729B1 (en) Image processor, device for compensating of lens shading and the same method
JP2010041682A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JP4993275B2 (en) Image processing device
TWI449412B (en) Image data processing method for smear reduction
KR100843624B1 (en) Image processor, apparatus and method for lens shading compensation
KR100769553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mpensating hue declination, and image processor using it
KR20070099331A (en) A compensating apparatus and a compensating method for image
JP2005064684A (en) Detection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5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5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