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5245B1 - Heater for clothes dryer - Google Patents

Heater for clothes dry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5245B1
KR100565245B1 KR1020040040111A KR20040040111A KR100565245B1 KR 100565245 B1 KR100565245 B1 KR 100565245B1 KR 1020040040111 A KR1020040040111 A KR 1020040040111A KR 20040040111 A KR20040040111 A KR 20040040111A KR 100565245 B1 KR100565245 B1 KR 1005652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heater
clothes dryer
flow direction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011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50114974A (en
Inventor
정인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401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5245B1/en
Publication of KR200501149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497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52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524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06F58/04Detail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6Heating arrangements, e.g. gas heating equipmen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10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 H05B3/16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the conductor being mounted on an insulating bas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류건조기의 히터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에 공기의 유로가 형성되고 일측에 공기의 유입부가 형성된 바디와, 공기의 유동방향을 따라 상기 바디의 하류측에 상기 공기의 유동단면적이 점진적으로 감소되도록 형성되는 유출부를 구비한 케이스와; 상기 바디의 내부에 공기를 가열할 수 있도록 배치되는 열원과; 상기 바디의 내부에 상기 열원을 지지할 수 있도록 공기의 유동방향에 가로로 이격배치되는 복수의 지지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토출되는 공기의 속도 및 직진성을 향상시킴으로써 드럼의 내부에 가열된 공기가 원활하게 공급될 수 있는 의류건조기의 히터가 제공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ter of a clothes dryer, wherein an air flow path is formed therein and an air inlet is formed at one side, and a flow cross-sectional area of the air is gradually reduced downstream of the body along a flow direction of air. A case having an outlet formed to be formed; A heat source arranged to heat air in the body;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lurality of supports spaced apart horizontally in the flow direction of air to support the heat source inside the body. Thereby, the heater of the clothes dryer which can supply the heated air to the inside of the drum smoothly by improving the speed and the straightness of the discharged air is provided.

Description

의류건조기의 히터{HEATER FOR CLOTHES DRYER}Heater for clothes dryer {HEATER FOR CLOTHES DRYER}

도 1은 종래 의류건조기의 단면도, 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nventional clothes dryer,

도 2는 도 1의 의류건조기의 히터 설치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heater installation state of the clothes dryer of Figure 1,

도 3은 도 2의 히터의 사시도,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heater of FIG. 2, FIG.

도 4는 도 3의 히터의 지지대를 도시한 도면,4 is a view showing a support of the heater of FIG.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건조기의 히터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도면, 5 is a view showing an installation state of the heater of the clothes dry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도 5의 히터의 분리사시도,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heater of FIG. 5;

도 7은 도 5의 Ⅶ-Ⅶ선에 따른 단면도,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VII-VII of FIG. 5;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류건조기의 히터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도면, 8 is a view showing an installation state of the heater of the clothes dry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도 8의 히터의 분리사시도,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heater of FIG. 8;

도 10은 도 8의 Ⅹ-Ⅹ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10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VII-VII of FIG. 8.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31 : 흡입덕트 35 : 흡입팬31: suction duct 35: suction fan

52 : 케이스 53a : 바디52: case 53a: body

53b : 유출부 54 : 유입부53b: outlet 54: inlet

58 : 열원 60 : 지지대58: heat source 60: support

본 발명은, 의류건조기의 히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토출되는 공기의 속도 및 직진성을 향상시킴으로써 드럼의 내부에 가열된 공기가 원활하게 공급될 수 있도록 한 의류건조기의 히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ter of a clothes dry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heater of a clothes dryer which improves the speed and straightness of the discharged air so that heated air can be smoothly supplied into the drum.

도 1은 종래 의류건조기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의류건조기의 히터 설치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히터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의 히터의 지지대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류건조기는,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넷(11)과, 캐비넷(11)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드럼(21)과, 공기를 흡입하여 드럼(21)에 공급할 수 있도록 드럼(21)의 일측에 형성되는 흡입덕트(31)와, 흡입덕트(31)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흡입팬(35)과, 흡입덕트(31)의 내부에 배치되어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41)와, 드럼(21)의 일측에 배치되어 드럼(21) 및 흡입팬(35)을 구동시키는 구동모터(37)를 구비하고 있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nventional clothes dryer, FIG.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heater installation state of the clothes dryer of FIG. 1,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heater of FIG. 2, and FIG. 4 is a support of the heater of FIG. 3. One drawing. As shown in these figures, the clothes dryer includes a cabinet 11 forming a receiving space therein, a drum 21 rotatably disposed in the cabinet 11, and a drum 21 for sucking air. Suction duct 31 formed on one side of the drum 21, the suction fan 35 is rotatably disposed in the suction duct 31 and the suction duct 31 to be supplied to And a heater 41 for heating air and a drive motor 37 disposed on one side of the drum 21 to drive the drum 21 and the suction fan 35.

캐비넷(11)의 전면에는 건조될 세탁물이 출입할 수 있도록 도어(13)가 구비되어 있으며, 후면에는 내부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유입구(15)가 형성되어 있다.The front of the cabinet 11 is provided with a door 13 to allow the laundry to be dried in and out, and the inlet 15 is formed at the rear to allow the air to enter.

드럼(21)의 전면영역에는 내부의 공기가 배출될 수 있도록 배기구(23) 및 배 기덕트(25)가 형성되어 있으며, 후면에는 캐비넷(11)의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드럼(21)의 내부로 공급할 수 있도록 상하방향을 따라 흡입덕트(31)가 배치되어 있다.An exhaust port 23 and an exhaust duct 25 are formed in the front area of the drum 21 so that the air therein can be discharged. The rear side of the drum 21 sucks the air in the cabinet 11. The suction duct 31 is disposed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so as to be supplied inside.

흡입덕트(31)의 하부영역에는 흡입구(32)가 형성되어 있으며, 흡입덕트(31)의 내부 흡입구(32)영역에는 원통형상을 가지는 흡입팬(35)이 구비되어 있다. 흡입구(32)의 외부 일측에는 드럼(21) 및 흡입팬(35)을 회전구동시킬 수 있도록 구동모터(37)가 설치되어 있다.A suction port 32 is formed in the lower region of the suction duct 31, and a suction fan 35 having a cylindrical shape is provided in the internal suction port 32 of the suction duct 31. A drive motor 37 is installed at one outer side of the suction port 32 to rotate the drum 21 and the suction fan 35.

한편, 흡입덕트(31)의 내부 상부영역에는 흡입구(32)를 통해 흡입되어 상향 유동되는 공기를 가열할 수 있도록 히터(41)가 마련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heater 41 is provided in the upper upper region of the suction duct 31 to heat the air sucked through the suction port 32 and flows upward.

히터(41)는, 내부에 공기가 유동될 수 있도록 유로를 형성하는 케이스(42)와, 케이스(42)의 내부에 공기의 유동방향에 가로로 지그재그로 배치되어 공기를 가열하는 코일(44)과, 공기의 유동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케이스(42)의 폭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어 코일(44)을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대(45)를 구비하고 있다. The heater 41 includes a case 42 which forms a flow path so that air can flow therein, and a coil 44 which is disposed in a zigzag horizontally in the flow direction of the air inside the case 42 to heat the air. And a plurality of support members 45 arranged along the flow direction of air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case 42 to support the coils 44.

각 지지대(45)는 직육면체 형상의 긴 판상부재로 형성되어 있으며, 판면에는 코일(44)이 통과할 수 있도록 복수의 관통공(47)이 형성되어 있다. 폭방향을 따라 양 측 연부에는 케이스(42)에 형성된 결합공(43)에 삽입 결합될 수 있도록 돌출된 한 쌍의 돌출부(48)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Each support 45 is formed of an elongated rectangular parallelepiped member, and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47 are formed in the plate surface so that the coil 44 can pass therethrough. A pair of protrusions 48 protruding to be inserted into the coupling hole 43 formed in the case 42 is formed at both edges along the width direction.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의류건조기의 히터에 있어서는, 흡입팬(35)에 의해 흡입덕트(31)의 내부로 흡입되어 상향 유동되고, 케이스(42)의 내부를 통과하면서 코일(44)에 의해 가열된 공기는 상대적으로 큰 유동단면적을 가지는 드럼(21)의 내부로 유입될 경우, 속도가 현저하게 저하된다. 이에 기인하여, 드럼(21)의 축선방향을 따라 전방영역에는 가열된 공기가 원활하게 공급되지 못하게 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By the way, in the heater of the conventional clothes dryer, the suction fan 35 is sucked into the suction duct 31 and flows upward, and is heated by the coil 44 while passing through the case 42. When air enters the interior of the drum 21 having a relatively large flow cross section, the speed is significantly lowered. Due to this, there is a problem that heated air cannot be smoothly supplied to the front region along the axial direction of the drum 21.

또한, 지지대(45)는 직육면체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어, 상류측 단부영역은 공기의 유동저항을 증가시키고 하류측 단부영역에서는 와류 등에 의한 속도 저하가 발생되어 전반적으로 풍량 감소의 원인이 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support 45 is formed to have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so that the upstream end region increases the flow resistance of the air, and in the downstream end region, a decrease in speed due to vortices or the like is caused, thereby causing an overall decrease in air volume. There is a problem.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토출되는 공기의 속도 및 직진성을 향상시킴으로써 드럼의 내부에 가열된 공기가 원활하게 공급될 수 있는 의류건조기의 히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eater of a clothes dryer in which heated air can be smoothly supplied to a drum by improving the speed and the straightness of the discharged air.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내부에 공기의 유로가 형성되고 일측에 공기의 유입부가 형성된 바디와, 공기의 유동방향을 따라 상기 바디의 하류측에 상기 공기의 유동단면적이 점진적으로 감소되도록 형성되는 유출부를 구비한 케이스와; 상기 바디의 내부에 공기를 가열할 수 있도록 배치되는 열원과; 상기 바디의 내부에 상기 열원을 지지할 수 있도록 공기의 유동방향에 가로로 이격배치되는 복수의 지지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의 히터에 의해 달성된다. The object is,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so that the flow path of the air is formed on the downstream side of the body along the flow direction of the air and the body is formed in the flow path of air therein and the air in one side A case having an outlet portion; A heat source arranged to heat air in the body; It is achieved by the heater of the clothes dry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lurality of supports horizontally spaced apart in the flow direction of air to support the heat source inside the body.

여기서, 상기 바디는 공기의 유동방향을 따라 상류측에서 하류측으로 향할수록 점진적으로 공기의 유동단면적이 감소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body is preferably formed such that the flow cross-sectional area of the air gradually decreases from the upstream side to the downstream side along the flow direction of the air.

상기 지지대는 공기의 유동방향을 따라 상류측 단부 간의 간격이 하류측 단부 간의 간격에 비해 크도록 배치되는 것이 효과적이다.The support is effectively arranged such that the spacing between the upstream ends is greater than the spacing between the downstream ends along the flow direction of air.

상기 지지대는 공기의 유동방향을 따라 중앙에서 상류측 단부 및 하류측 단부로 향할수록 점진적으로 두께가 감소되는 유선형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upport is preferably formed to have a streamlined cross section whose thickness gradually decreases toward the upstream end portion and the downstream end portion from the center in the air flow direc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건조기의 히터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5의 히터의 분리사시도이며, 도 7은 도 5의 Ⅶ-Ⅶ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전술 및 도시한 구성과 동일 및 동일 상당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설명의 편의상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류건조기의 배면에는 캐비넷(11)의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드럼(21)의 내부로 공급할 수 있도록 흡입덕트(31)가 형성되어 있으며, 흡입덕트(31)의 상류측에는 흡입팬(35)이 설치되어 있다. 흡입덕트(31)의 내부 상부영역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건조기의 히터(51)가 설치되어 있다.5 is a view showing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heater of the clothes dry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heater of Figure 5, Figure 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VII-Ⅶ of FIG. . The same and equivalent parts as those described above and shown in the drawings will be described with the same reference numerals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s shown in these figures, a suction duct 31 is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clothes dryer to suck air in the cabinet 11 and supply the air to the drum 21. The suction fan 35 is provided on the upstream side. In the upper upper region of the suction duct 31 is provided a heater 51 of the clothes dry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의류건조기의 히터(51)는, 내부에 공기의 유로가 형성되고 일측에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유입부(54)가 형성된 바디(53a)와 바디(53a)의 일측에 공기의 유동방향을 따라 하류측으로 향할수록 점진적으로 공기의 유동단면적이 감소되도록 형성되는 유출부(53b)를 구비한 케이스(52)와, 케이스(52)의 내부에 공기를 가열할 수 있도록 배치되는 열원(58)과, 케이스(52)의 내부에 공기의 유동방향에 가로로 이격 배치되어 열원(58)을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대(6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The heater 51 of the clothes dryer has a flow direction of air at one side of the body 53a and the body 53a having the inflow portion 54 formed therein so that an air flow path is formed therein and air can be introduced at one side thereof. Accordingly, the case 52 having an outlet portion 53b which is formed to gradually decrease the flow cross-sectional area of the air toward the downstream side, and the heat source 58 arranged to heat the air inside the case 52; And a plurality of supports 60 arranged horizontally spaced apart in the flow direction of air inside the case 52 to support the heat source 58.

케이스(52)의 내부에는 공기의 유동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공기의 유동방향에 가로로 이격되어 열원(58)을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대(60)가 설치되어 있으며, 각 지지대(60)는 공기의 유동방향을 따라 중앙에서 상류측 단부(62a) 및 하류측 단부(62b)로 향할수록 점진적으로 두께(t)가 감소되는 유선형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다.Inside the case 52, a plurality of supports 60 are disposed along the flow direction of the air and are horizontally spaced apart in the flow direction of the air to support the heat source 58, and each support 60 is formed of air. It is formed to have a streamlined cross section in which the thickness t gradually decreases toward the upstream end 62a and the downstream end 62b from the center along the flow direction.

각 지지대(60)에는 서로 다른 발열용량을 가지는 코일 형태로 구현된 열원(58)이 각각 통과되도록 결합될 수 있게 복수의 관통공(63)이 형성되어 있으며, 폭방향을 따라 양측 연부에는 케이스(52)에 결합될 수 있도록 돌출된 복수의 돌출부(64)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Each support 60 has a plurality of through-holes 63 are formed to be coupled so as to pass through each of the heat source 58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coil having a different heating capacity, the case (on both sides along the width direction) A plurality of protrusions 64 protruding to be coupled to the 52 is formed, respectively.

한편, 케이스(52)는, 내부에 공기의 유로가 형성되도록 거의 사각 통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바디(53a)와, 공기의 유동방향을 따라 바디(53a)의 하류측 단부로부터 공기의 유동단면적이 점진적으로 감소되게 연장 형성되는 유출부(53b)를 구비하고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case 52 has a body 53a which is formed to have a substantially rectangular cylindrical shape so that an air flow path is formed therein, and a flow cross-sectional area of air from a downstream end of the body 53a along the air flow direction. The outlet portion 53b is formed to extend gradually.

바디(53a)의 두께방향을 따라 양 판면에는 지지대(60)의 각 돌출부(64)가 삽입 결합될 수 있도록 복수의 결합공(55)이 각각 관통형성되어 있으며, 유출부(53b)는 열원(58)에 의해 가열되어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속도를 증가시킴과 아울러 직진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바디(53a)의 하류측 단부로부터 폭이 점진적으로 감소되게 드럼(21)을 향해 소정 길이 구간 연장되게 형성되어 있다. A plurality of coupling holes 55 are formed in each of the plate surfaces along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body 53a so that the protrusions 64 of the support 60 can be inserted therein, and the outlet 53b is a heat source ( 58 is formed to extend a predetermined length section toward the drum 21 so as to increase the flow rate of air heated and discharged by the air and gradually reduce the width from the downstream end of the body 53a so that the straightness can be improved. It is.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흡입팬(35)이 회전을 개시하면 흡입덕트(31)의 내부에는 흡입구(32)를 통해 공기가 흡입되고, 흡입된 공기는 상향 유동되어 바디(53a) 의 내부로 유입된다. 바디(53a)의 내부에서 열원(58)에 의해 가열된 공기는 유동단면적이 점진적으로 감소되는 유출부(53b)를 통과하면서 속도가 증가됨과 아울러 공기의 진행방향에 경사지게 배치된 유출부(53b)의 양 측벽부(56)에 의해 안내됨으로써 직진성이 향상되어 드럼(21)의 내부 전면영역까지 원활하게 공급된다. By such a configuration, when the suction fan 35 starts to rotate, the air is sucked into the suction duct 31 through the suction port 32, and the sucked air flows upward to flow into the body 53a. . The air heated by the heat source 58 in the body 53a passes through the outlet portion 53b in which the flow cross-sectional area is gradually reduced, and the velocity is increased, and the outlet portion 53b is inclined in the direction of the air. By being guided by both side wall portions 56, straightness is improved and smoothly supplied to the inner front region of the drum 21.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류건조기의 히터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도 8의 히터의 분리사시도이며, 도 10은 도 8의 Ⅹ-Ⅹ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의류건조기의 히터(71)는, 내부에 하류측으로 향할수록 점진적으로 공기의 유동단면적이 감소되게 공기의 유로가 형성되는 바디(73a)와 바디(73a)의 하류측 단부로부터 점진적으로 유동단면적이 감소되게 형성되는 유출부(73b)를 구비한 케이스(72)와, 케이스(72)의 내부에 공기의 유동방향에 가로로 배치되어 공기를 가열하는 열원(78)과, 케이스(72)의 내부에 공기의 유동방향에 가로로 이격되게 배치되어 열원(78)을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대(8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8 is a view showing an installation state of the heater of the clothes dry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heater of FIG. 8, and FIG. 10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VII-VII of FIG. 8. . As shown in these figures, the heater 71 of the clothes dryer has a body 73a and a downstream of the body 73a in which an air flow path is formed such that the flow cross-sectional area of the air is gradually reduced toward the downstream side of the clothes dryer. Case (72) having an outlet (73b) formed to gradually reduce the flow cross-sectional area from the side end portion, and a heat source (78) arranged in the case 72 horizontally in the flow direction of air to heat the air And a plurality of support bases 80 arranged horizontally spaced apart in the flow direction of air in the case 72 to support the heat source 78.

열원(78)은 서로 다른 발열용량을 가지고 공기의 유동방향을 따라 지지대(80)의 상류측 및 하류측에 각각 배치되어 있으며, 지지대(80)는 공기의 유동방향을 따라 중앙에서 상류측 단부(82a) 및 하류측 단부(82b)로 향할수록 점진적으로 두께(t)가 감소되는 유선형 단면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다. The heat source 78 has different heat generating capacities and is disposed at an upstream side and a downstream side of the support 80 along the flow direction of air, and the support 80 is disposed at an upstream end portion at the center along the flow direction of air. It is formed so as to form a streamlined cross section whose thickness t gradually decreases toward 82a) and downstream end 82b.

각 지지대(80)에는 열원(78)이 통과되도록 결합될 수 있게 열원(78)의 직경에 대응되게 복수의 관통공(83)이 형성되어 있으며, 폭방향을 따라 양 측연부에는 케이스(72)에 삽입 결합될 수 있도록 돌출부(84)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Each support 80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through-holes 83 corresponding to the diameter of the heat source 78 so that the heat source 78 can be passed through, the case 72 in both side edges in the width direction Protrusions 84 are each formed to be inserted into and coupled to the.

한편, 케이스(72)는, 공기의 유동방향을 따라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부(74)에 비해 하류측으로 향할수록 점진적으로 공기의 유동단면적이 감소되도록 양 측 벽부가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바디(73a)와, 바디(73a)의 하류측 단부로부터 거의 직각되게 절곡됨과 아울러 하류측으로 향할수록 공기의 유동단면적이 감소되도록 양 측벽부(76)가 내측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유출부(73b)를 구비하고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case 72, the body (73a) formed with both side walls are inclined inward so that the flow cross-sectional area of the air gradually decreases toward the downstream side as compared to the inlet portion 74 where the air flows in the air flow direction And an outlet portion 73b in which both side wall portions 76 are inclined inwardly so as to be bent substantially perpendicularly from the downstream end of the body 73a and to decrease the flow cross sectional area of the air toward the downstream side.

두께방향을 따라 바디(73a)의 양 판면에는 각 지지대(80)의 상류측 단부 사이의 간격에 비해 하류측 단부 사이의 간격이 작아지게 배치되는 각 지지대(80)의 돌출부(84)가 삽입 결합될 수 있도록 판면을 관통하여 복수의 결합공(75)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On both plate surfaces of the body 73a along the thickness direction, the protrusions 84 of each support 80 are arranged to be smaller than the space between the upstream ends of each support 80 so as to have a smaller distance between the downstream ends. A plurality of coupling holes 75 are formed to penetrate through the plate surface, respectively.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흡입팬(35)이 회전을 개시하면 흡입덕트(31)의 내부에는 흡입구(32)를 통해 공기가 흡입되어 상향 유동된다. 상향 유동된 공기는 바디(73a)의 내부로 유입되어 열원(78)에 의해 가열되고, 점진적으로 유동단면적이 감소되도록 형성된 바디(73a) 및 유출부(73b)에 의해 속도 및 직진성이 향상되도록 안내됨으로써 드럼(21)의 내부 전역에 원활하게 공급된다. By this configuration, when the suction fan 35 starts to rotate, the air is sucked through the suction port 32 into the suction duct 31 and flows upward. The upwardly flowed air is introduced into the body 73a and heated by the heat source 78, and guided to improve speed and straightness by the body 73a and the outlet portion 73b, which are formed to gradually reduce the flow cross-sectional area. As a result, the entire inside of the drum 21 is smoothly supplied.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내부에 공기의 유로가 형성되고 일측에 유입부가 형성된 바디와 바디의 하류측 단부로부터 공기의 유동단면적이 점진적으로 감소되도록 연장 형성되는 유출부를 구비한 케이스와,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어 공기를 가열하는 열원과,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어 열원을 지지하는 지지대를 구비하도록 함으로써 토출되는 공기의 속도 및 직진성을 향상시켜 드럼의 내부에 가열된 공기가 원활하게 공급될 수 있는 의류건조기의 히터가 제공된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ase having an air passage formed therein and an outlet portion extending from the downstream end of the body, the outlet having an inflow portion formed thereon, so that the flow cross-sectional area of the air is gradually reduced; By providing a heat source disposed inside the case to heat the air and a support stand disposed inside the case to support the heat source, the speed and straightness of the discharged air can be improved to smoothly supply the heated air to the drum. There is provided a heater of the clothes dryer.

Claims (4)

내부에 공기의 유로가 형성되고 일측에 공기의 유입부가 형성된 바디와, 공기의 유동방향을 따라 상기 바디의 하류측에 상기 공기의 유동단면적이 점진적으로 감소되도록 형성되는 유출부를 구비한 케이스와;A case having a body in which an air flow path is formed and an air inlet is formed at one side, and an outlet portion formed to gradually reduce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air downstream of the body along a flow direction of air; 상기 바디의 내부에 공기를 가열할 수 있도록 배치되는 열원과;A heat source arranged to heat air in the body; 상기 바디의 내부에 상기 열원을 지지할 수 있도록 공기의 유동방향에 가로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지지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의 히터. The heater of the clothes dry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lurality of supports disposed horizontally spaced apart in the flow direction of air to support the heat source inside the body.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바디는 공기의 유동방향을 따라 상류측에서 하류측으로 향할수록 점진적으로 공기의 유동단면적이 감소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의 히터.The body heater of the clothes dryer, characterized in that the flow cross-sectional area of the air is gradually reduced from the upstream side to the downstream side along the flow direction of the air.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지지대는 공기의 유동방향을 따라 상류측 단부 간의 간격이 하류측 단부 간의 간격에 비해 크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의 히터.The support is a heater of the clothes dryer, characterized in that the interval between the upstream end in the flow direction of the air is arranged to be larg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downstream end.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상기 지지대는 공기의 유동방향을 따라 중앙에서 상류측 단부 및 하류측 단부로 향할수록 점진적으로 두께가 감소되는 유선형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의 히터. The support is a heater of the clothes drye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to have a streamlined cross-section is gradually reduced in thickness toward the upstream end portion and the downstream end portion in the center along the flow direction of the air.
KR1020040040111A 2004-06-02 2004-06-02 Heater for clothes dryer KR10056524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0111A KR100565245B1 (en) 2004-06-02 2004-06-02 Heater for clothes dry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0111A KR100565245B1 (en) 2004-06-02 2004-06-02 Heater for clothes dry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4974A KR20050114974A (en) 2005-12-07
KR100565245B1 true KR100565245B1 (en) 2006-03-30

Family

ID=372890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0111A KR100565245B1 (en) 2004-06-02 2004-06-02 Heater for clothes dry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5245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3865B1 (en) 2004-06-05 2011-12-13 엘지전자 주식회사 A guide apparatus of the circulated air in a dryer
KR101135776B1 (en) 2005-05-04 2012-04-16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Heater Structure for Clothing Drier
KR101256145B1 (en) 2007-11-05 2013-04-23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Dryer having indrawn tube with heater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3865B1 (en) 2004-06-05 2011-12-13 엘지전자 주식회사 A guide apparatus of the circulated air in a dryer
KR101135776B1 (en) 2005-05-04 2012-04-16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Heater Structure for Clothing Drier
KR101256145B1 (en) 2007-11-05 2013-04-23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Dryer having indrawn tube with hea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4974A (en) 2005-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69051B2 (en) Dryer for wall-mounted washing machine
US9896797B2 (en) Dryer for clothes
US8065816B2 (en) Dryer drum vane
KR20050017354A (en) Induction structure of cool air for clothing dryer
KR100565245B1 (en) Heater for clothes dryer
US7069669B2 (en) Clothes dryer
KR101014717B1 (en) structure of back cover in clothes dryer
JP6360616B2 (en) Clothes dryer
KR200466110Y1 (en) Outdoor unit of air conditioner
KR100638904B1 (en) Laundry dryer
KR100641418B1 (en) Thermo sensor assembling structure of laundry dryer
KR100565239B1 (en) Heater for clothes dryer
JP5826143B2 (en) Drum type washer / dryer
KR100648168B1 (en) Dehumidifier of drum type washing machine
JP2007120864A5 (en)
KR100565240B1 (en) Heater for clothes dryer
KR100638919B1 (en) Laundry dryer equipped with filtering structure to prevent fuzz from going into air inlet hole
CN100532696C (en) Heater in clothings drier
KR100710292B1 (en) drying device
KR100598564B1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CN220511910U (en) Air-out structure of pet drying box and pet drying box
KR100555764B1 (en) union structure of blower motor case and duct for a drum washing machine
KR100813587B1 (en) Dryer having guider type heater
KR100697198B1 (en) Indoor unit of air-conditioner
JP2003185216A (en) Fan filter un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6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