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57065B1 - Mobile phone with rotational camera lens housing - Google Patents

Mobile phone with rotational camera lens hous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7065B1
KR100557065B1 KR1020030056031A KR20030056031A KR100557065B1 KR 100557065 B1 KR100557065 B1 KR 100557065B1 KR 1020030056031 A KR1020030056031 A KR 1020030056031A KR 20030056031 A KR20030056031 A KR 20030056031A KR 100557065 B1 KR100557065 B1 KR 1005570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camera lens
hinge
hinge axis
portab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5603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40089425A (en
Inventor
위종천
송현명
김홍배
김재식
김태중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JP2004097017A priority Critical patent/JP4188867B2/en
Priority to US10/819,430 priority patent/US20040203535A1/en
Priority to EP04008781A priority patent/EP1469656A3/en
Priority to CNB2004100329871A priority patent/CN100409649C/en
Publication of KR200400894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942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70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706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전성 카메라 렌즈 하우징을 구비한 휴대용 통신 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휴대용 통신 장치는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a) 제1 하우징; (b) 제2 하우징; (c) 상기 제1,2 하우징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시키는 힌지 하우징; (d) 상기 힌지 하우징 내부에 수용된 회전성 카메라 렌즈 하우징; 및 (e) 상기 힌지 하우징에 형성되며, 상기 수용된 카메라 렌즈 하우징의 회전에 따라서 카메라 렌즈가 적어도 두 번 이상 노출되게 하는 개방 수단으로 구성된다.

Figure 112003029868459-pat00001

휴대용 단말기, 회전, 카메라 렌즈 하우징, 동영상.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having a rotatable camera lens housing. The disclosed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comprises: (a) a first housing; (b) a second housing; (c) a hinge housing rotatably connecting the first and second housings; (d) a rotatable camera lens housing housed inside the hinge housing; And (e) an opening means formed in the hinge housing and allowing the camera lens to be exposed at least twice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accommodated camera lens housing.

Figure 112003029868459-pat00001

Handheld terminal, rotating, camera lens housing, video.

Description

회전성 카메라 렌즈 하우징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MOBILE PHONE WITH ROTATIONAL CAMERA LENS HOUSING} MOBILE PHONE WITH ROTATIONAL CAMERA LENS HOUSING}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제2 하우징이 제1 하우징에 닫힌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second housing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losed to a first housing;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의 제2 하우징이 제1 힌지축을 중심으로 제1 하우징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완전히 회전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FIG.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second housing of the portable terminal illustrated in FIG. 1 is completely rotate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first housing about a first hinge axis.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의 제2 하우징이 제2 힌지축을 중심으로 제1 하우징에서 뒤틀리는 방향으로 90° 회전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second housing of the portable terminal illustrated in FIG. 1 is rotated by 90 ° in a twisting direction from the first housing about a second hinge axis.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의 제2 하우징이 약간 열린 상태에서 그의 하면을 나타내는 사시도.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lower surface of the portable terminal of FIG. 1 in a state in which the second housing is slightly open;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의 제2 하우징이 약간 열린 상태에서 그의 상면을 나타내는 사시도.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upper surface of the portable terminal illustrated in FIG. 1 in a state in which the second housing is slightly open;

도 6은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의 제2 하우징이 제2 힌지축을 중심으로 180° 회전한 후, 상기 제1 하우징에 닫힌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FIG. 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second housing of the portable terminal illustrated in FIG. 1 is closed by the first housing after the second housing is rotated 180 ° about the second hinge axis.

도 7은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의 제2 하우징이 제1 하우징에서 완전히 열린 상태에서, 채용된 회전성 렌즈 하우징을 수동으로 회전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수단을 일부 절개하여 나타내는 후면도.FIG. 7 is a rear view partially showing cutaway means for manually adjusting the rotation angle of the adopted rotatable lens housing in a state in which the second housing of the portable terminal shown in FIG. 1 is fully opened in the first housing; FIG.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제2 하우징이 제1 하우징에 닫힌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8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second housing of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losed in the first housing.

도 9는 도 8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의 제2 하우징이 제1 힌지축을 중심으로 제1 하우징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완전히 회전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9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second housing of the portable terminal illustrated in FIG. 8 is completely rotate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first housing about the first hinge axis.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의 제2 하우징 제1 힌지축을 중심으로 제1 하우징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완전히 회전한 후면을 나타내는 사시도.FIG. 10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rear surface of the portable terminal illustrated in FIG. 8, which is completely rotate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first housing about the second housing first hinge axis of the portable terminal illustrated in FIG. 8.

도 11은 도 8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의 제2 하우징이 제2 힌지축을 중심으로 제1 하우징에서 뒤틀리는 제1 방향으로 90° 회전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FIG. 1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second housing of the portable terminal illustrated in FIG. 8 is rotated 90 ° in a first direction twisted from the first housing about a second hinge axis.

도 12는 도 8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의 제2 하우징이 제2 힌지축을 중심으로 제1 하우징에서 뒤틀리는 제2 방향으로 90° 회전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1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second housing of the portable terminal illustrated in FIG. 8 is rotated 90 ° in a second direction twisted from the first housing about a second hinge axis.

도 13은 도 8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FIG. 1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amera lens assembly of the portable terminal shown in FIG. 8.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를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1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amera lens assembly of the portable terminal illustrated in FIG. 13 viewed from another angle;

도 15는 도 13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가 조립된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15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assembly state of the camera lens assembly of the portable terminal shown in FIG.

도 16은 도 8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에 설치되는 다른 형태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FIG. 1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camera lens assembly installed in the portable terminal illustrated in FIG. 8.

도 17은 도 16에 도시된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분리 사 시도.FIG. 17 is an exploded view showing an enlarged view of the camera lens assembly shown in FIG. 16. FIG.

도 18은 도 16에 도시된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조립 사시도.FIG. 18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camera lens assembly of FIG. 16. FIG.

도 19는 도 18에 도시된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의 카메라 렌즈 하우징이 제3 힌지축에 대하여 회전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FIG. 19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camera lens housing of the camera lens assembly of FIG. 18 is rotated about a third hinge axis; FIG.

본 발명은 음성 통신이나 영상 통신을 수행하는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회전성 렌즈 하우징을 구비하여 피사체 촬영이 편리한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terminal for performing voice communication or video communica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rotatable lens housing for convenient photographing of a subject.

통상적인 개념의 "휴대용 단말기"라 함은 사용자가 휴대하면서 상대방과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장치를 의미한다. 이러한 휴대용 단말기는 휴대성을 고려하여 소형화 및 경량화되어 가는 추세에 있으며, 보다 다양한 기능을 추구할 수 있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는 추세에 있다. 특히, 점점 추후의 휴대용 단말기는 소형화, 경량화, 다기능, 다목적으로 사용될 것이며, 다양한 멀티 미디어 환경이나 인터넷 환경에 적응되도록 변형될 것이다. 아울러, 휴대용 단말기는 남녀노소, 전세계 어디에서도 통용되는 전자 장치로서, 항시 휴대하고 다녀야 할 필수품으로 인식되어 가고 있는 추세에 있다.The term "portable terminal" of a conventional concept refers to a device that a user can carry and perform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 counterpart. Such portable terminals are becoming smaller and lighter in consideration of portability, and are tending to pursue more various functions. In particular, more and more portable terminals will be used for miniaturization, light weight, multifunction, and versatility, and will be modified to adapt to various multimedia environments or the Internet environment. In addition, the portable terminal is an electronic device commonly used anywhere in the world, men and women, and is being recognized as a necessity to carry around at all times.

보편화된 종래의 휴대용 단말기는 외관상으로 여러 타입으로 분류된다. 예를 들어, 휴대용 단말기는 외형에 따라서 바-형(bar-type), 플립-형(flip-type) 또는 폴더-형(folder-type) 무선 단말기로 분류된다. 바-형 무선 단말기는 단일 하우징이 바-형으로 구성된 것을 의미하고, 플립-형 무선 단말기는 바-형의 하우징에 힌지장치에 의해 플립이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 것을 의미하며, 폴더-형 무선 단말기는 단일의 바-형 하우징에 폴더가 힌지장치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접는 방식으로 구성된 것을 의미한다.Conventional portable terminals are classified into various types in appearance. For example, portable terminals are classified as bar-type, flip-type, or folder-type wireless terminals according to their appearance. The bar-type wireless terminal means that the single housing is configured in the bar-type, the flip-type wireless terminal means that the flip is rotatably configured by the hinge device in the bar-type housing, It is meant that the folder is configured to be rotatably connected and folded by a hinge device in a single bar-shaped housing.

또한, 휴대용 단말기는 신체 착용위치 또는 착용 방식에 따라서 목걸이-형(neck wearable-type) 또는 손목착용-형(wrist-type)으로 분류되기도 한다. 목걸이-형 무선 단말기는 끈을 이용하여 단말기를 목에 착용하는 휴대 방식을 의미하고, 손목착용-형 무선 단말기는 손목에 단말기를 착용하는 휴대 방식을 의미한다.In addition, the mobile terminal may be classified into a neck wearable type or a wrist wear type according to a body wearing position or a wearing method. A necklace-type wireless terminal refers to a portable method of wearing a terminal around a neck using a string, and a wrist-type wireless terminal refers to a portable method of wearing a terminal to a wrist.

또한, 무선 단말기는 개폐 방식에 따라서 회전-형(rotation-type) 또는 슬라이딩-형(sliding-type) 무선 단말기로 분류되기도 한다. 회전-형 무선 단말기는 두개의 하우징이 마주보면서 대면한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개폐되는 것을 의미하고, 슬라이딩-형 무선 단말기는 두 개의 하우징이 길이방향 슬라이딩이동으로 대면한 상태로 개폐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열거된 다양하게 분류된 무선 단말기는 당해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the wireless terminal may be classified into a rotation-type or sliding-type wireless terminal according to an opening and closing method. Rotational-type wireless terminal means that the two housings are rotatably connected to open and close facing each other, sliding-type wireless terminal means that the two housings are opened and closed in the state facing the longitudinal sliding movement. do. The variously classified wireless terminals listed above will be readi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아울러, 종래의 휴대용 단말기는 음성 통신 기능 이외에 고속의 데이터를 통신할 수 있는 구조로 변환되고 가고 있다. 즉, 소비자의 욕구가 증대됨에 따라서 고속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할 것이다. 현 재에는 종래의 휴대용 단말기에 카메라 렌즈가 채용되어져서 영상 신호 등의 전송이 이루어져 가고 있는 추세에 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portable terminal is being converted into a structure that can communicate high-speed data in addition to the voice communication function. That is, as the needs of consumers increase, the service will be provided u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that transmits high speed data. Currently, a camera lens is adopted in a conventional portable terminal and the transmission of an image signal and the like is in progress.

한편, 현재 휴대용 단말기는 카메라 렌즈 모듈을 외장형이나 내장형으로 구비하여 상대방과의 영상 통화나 원하는 피사체 촬영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되었다.On the other hand, the current portable terminal is equipped with a camera lens module in the external or built-in it is possible to perform a video call with the other party or a desired subject shooting function.

그러나, 종래의 내장형 카메라 렌즈 모듈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는 2개 이상의 방향으로 피사체를 각각 촬영하기 위해서는 2개 이상의 카메라 렌즈 모듈이 장착되어져야 했다. 따라서, 종래의 카메라 렌즈 모듈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는 제품 원가의 증가 요인이 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However, the conventional portable terminal having a built-in camera lens module had to be equipped with two or more camera lens modules in order to photograph each subject in two or more directions. Therefore, the conventional portable terminal having a camera lens module has a problem that increases the cost of the product.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3축 방향으로 개방되게 카메라 렌즈를 노출시킬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함에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rtable terminal capable of exposing a camera lens to be open in three axes.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한 개의 카메라 렌즈 모듈을 이용함으로써, 원가 절감에 효과적인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rtable terminal effective in cost reduction by using one camera lens module.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ortable terminal,

(a) 제1 하우징;(a) a first housing;

(b) 제2 하우징;(b) a second housing;

(c) 상기 제1, 2 하우징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시키는 힌지 하우징;(c) a hinge housing rotatably connecting the first and second housings;

(d) 상기 힌지 하우징 내부에 수용된 회전성 카메라 렌즈 하우징; 및 (d) a rotatable camera lens housing housed inside the hinge housing; And                         

(e) 상기 힌지 하우징에 형성되며, 상기 수용된 카메라 렌즈 하우징의 회전에 따라서 카메라 렌즈가 적어도 두 번 이상 노출되게 하는 개방 수단으로 구성된다.(e) an opening means formed in the hinge housing and configured to expose the camera lens at least twice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accommodated camera lens housing.

또한,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portable terminal,

(a) 제1 하우징;(a) a first housing;

(b) 상기 제1 하우징에서 대면한 상태에서 제1 힌지축을 중심으로 가깝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제1 힌지축과 수직 방향으로 향하는 제2 힌지축을 중심으로 뒤틀리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제2 하우징;(b) a second housing rotating in a direction close to or away from the first hinge axis in a state facing the first housing, and rotating in a twisting direction about a second hinge axis perpendicular to the first hinge axis; ;

(c) 상기 제1, 2 하우징 사이에 제공되어 상기 제1 힌지축 방향으로 연장된 힌지 하우징;(c) a hinge housing provid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housings and extending in the first hinge axis direction;

(d) 상기 힌지 하우징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며, 상기 제1 힌지축의 수직 방향임과 동시에 상기 제2 힌지축과 이격된 제3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회전성 카메라 렌즈 하우징; 및(d) a rotatable camera lens housing rotatably housed in the hinge housing and rotatably mounted about a third hinge axis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hinge axis in a vertical direction of the first hinge axis; And

(e) 상기 힌지 하우징에 형성되며, 상기 수용된 카메라 렌즈 하우징의 상기 제3 힌지축의 회전에 따라서 카메라 렌즈가 적어도 두 번 이상 노출되게 하는 개방 수단으로 구성된다.(e) an opening means formed in the hinge housing and configured to expose the camera lens at least twice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third hinge axis of the accommodated camera lens housing.

또한,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에 있어서,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camera lens assembly of a portable terminal,

(a)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일측에 구비되고,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제1 힌지축과, 상기 제1 힌지축의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제3 힌지축을 제공하는 실린더 형상의 카메라 렌즈 힌지 암; (a) a cylindrical camera lens hinge arm provided on one side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providing a first hinge axis extending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third hinge axis extending in a vertical direction of the first hinge axis;                         

(b)상기 카메라 렌즈 힌지 암 내에 수용되어 상기 제1 힌지축과 상기 제3 힌지축 각각에 대하여 회전하는 카메라 렌즈 하우징;(b) a camera lens housing accommodated in the camera lens hinge arm and rotating about each of the first hinge axis and the third hinge axis;

(c)상기 카메라 렌즈 힌지 암의 일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카메라 렌즈 하우징을 상기 제1 힌지축에 대하여 회전시키는 제1 조절 노브(knob); 및(c) a first adjustment knob rotatably coupled to one end of the camera lens hinge arm to rotate the camera lens housing about the first hinge axis; And

(d)상기 카메라 렌즈 힌지 암의 외주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카메라 렌즈 하우징을 상기 제3 힌지축에 대하여 회전시키는 제2 조절 노브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를 개시한다.and (d) a second adjustment knob rotatably coupled to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mera lens hinge arm to rotate the camera lens housing about the third hinge axis. .

또한,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에 있어서,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camera lens assembly of a portable terminal,

(a)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일측에 구비되고,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제1 힌지축과, 상기 제1 힌지축의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제3 힌지축을 제공하는 실린더 형상의 카메라 렌즈 힌지 암;(a) a cylindrical camera lens hinge arm provided on one side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providing a first hinge axis extending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third hinge axis extending in a vertical direction of the first hinge axis;

(b)상기 카메라 렌즈 힌지 암 내에 상기 제1 힌지축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회동 부재;(b) a first pivot member rotatably coupled to the first hinge axis within the camera lens hinge arm;

(c)상기 제3 힌지축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제1 회동 부재에 결합되는 카메라 렌즈 하우징; 및(c) a camera lens housing coupled to the first pivot member to be rotatable about the third hinge axis; And

(d)상기 카메라 렌즈 하우징을 통해 상기 제1 회동 부재와 링크 결합되어 상기 제1 힌지축 방향으로 출몰하고, 상기 제1 힌지축 방향으로 출몰함에 따라 상기 카메라 렌즈 하우징을 상기 제3 힌지축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2 회동 부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를 개시한다.(d) coupled to the first pivot member through the camera lens housing to be retracted in the first hinge axis direction, and to be retracted in the first hinge axis direction to move the camera lens housing in the third hinge axis direction. Disclosed is a camera lens assembly of a portable terminal comprising a second rotating member for rotating.

또한,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portable terminal,                         

(a) 제1 하우징;(a) a first housing;

(b) 일 방향으로 연장된 힌지축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제1 하우징에 연결된 제2 하우징;(b) a second housing connected to the first housing to be rotatable about a hinge axis extending in one direction;

(c) 상기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시키는 힌지 하우징; 및(c) a hinge housing rotatably connecting the first housing and the second housing; And

(d) 상기 힌지 하우징 내부에 수용된 회전성 카메라 렌즈 하우징을 구비하고, (d) a rotatable camera lens housing housed inside the hinge housing,

상기 카메라 렌즈 하우징은 상기 힌지 하우징 내부에서 회전함으로써 상기 힌지축 방향 및 상기 힌지축의 수직방향으로 촬영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를 개시한다.
The camera lens housing discloses a portable terminal capable of photographing in the hinge axis direction and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hinge axis by rotating inside the hinge housing.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well-known functions or configurations are omitted in order not to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폴더형 단말기에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모든 휴대용 단말기에 채용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는 영상 통화나 피사체 촬영을 하는데 편리한 휴대용 단말기임에 유의하여야 한다.It should be noted that the present invention need not be limited to the foldable terminal, but may be employed in all portable terminals. In addition, it should be noted that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venient portable terminal for making a video call or photographing a subject.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는 제1 하우징(10)과, 상기 제1 하우징(10)에서 멀어지는 방향 및 뒤틀리는 방향으로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하우징(20)과, 상기 제1, 2 하우징(10, 20)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 하우징(30)과, 상기 힌지 하우징(30)의 일 방향으로 일단에 수용된 회전성 카메라 렌즈 하우징(40) 및 상기 카메라 렌즈 하우징(40)에 제공되어 카메라 렌즈를 적어도 두 번 이상 외부로 노출시키는 개방 수단으로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수용된 회전성 카메라 렌즈 하우징(40)을 사용자의 조작으로 수동으로 그의 회전 각도를 소정의 힌지축을 따라서 조절하기 위한 수단이 더 구비된다.As shown in FIGS. 1 to 5,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otatable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first housing 10 and in a twisting direction from the first housing 10, respectively. A second housing 20 to be connected, a hinge housing 30 rotatably connecting the first and second housings 10 and 20, and a rotatable camera accommodated at one end in one direction of the hinge housing 30. It is composed of a lens housing 40 and the opening means provided in the camera lens housing 40 to expose the camera lens to the outside at least twice. In addition, there is further provided means for manually adjusting the accommodated rotatable camera lens housing 40 along a predetermined hinge axis by a user's manipulation.

구체적으로, 상기 제2 하우징(20)은 제1 하우징(10)에서 제1 힌지축(A1)을 중심으로 대면한 상태에서 가깝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1 힌지축(A1)과 수직 방향으로 향하는 제2 힌지축(A2)을 중심으로 뒤틀리는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힌지 하우징(30)은 상기 제1, 2 하우징(10, 20)의 제1, 2 힌지축(A1, A2)을 구비하도록 원통형으로 연장되고, 상기 카메라 렌즈 하우징(40)을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수용한다. 또한, 상기 카메라 렌즈 하우징(40)은 제3 힌지축(A3)을 중심으로 상기 힌지 하우징(30)에 회전 가능하게 제공된다.Specifically, the second housing 20 is rotatably connected in a direction closer to or farther away from the first housing 10 in a state facing the first hinge axis A1, and the first hinge axis A1. ) Is rotatably connected in a twisting direction about the second hinge axis A2 fac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hinge housing 30 extends in a cylindrical shape to include the first and second hinge axes A1 and A2 of the first and second housings 10 and 20, and the camera lens housing 40 is disposed therein. It accommodates rotatably. In addition, the camera lens housing 40 is rotatably provided to the hinge housing 30 about the third hinge axis A3.

여기서 상기 제1, 2, 3 힌지축(A1, A2, A3)의 상호 관계에 대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제2 힌지축(A2)은 제1 힌지축(A1)을 중심으로 회전함과 동시에 상기 제1 힌지축(A1)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향한다. 상기 제3 힌지축(A3)은 상기 제1 힌지축(A1)으부터 수직 방향으로 향함과 동시에 상기 제2 힌지축(A2)으로부터 이격된 상태에서 평행하거나 수직 방향 또는 경사진 엇갈린 방향으로 향한다. Her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irst, second and third hinge axes A1, A2 and A3 will be described. The second hinge axis A2 rotates about the first hinge axis A1 and faces the vertical direction from the first hinge axis A1. The third hinge axis A3 faces in the vertical direction from the first hinge axis A1 and in the parallel, vertical direction, or inclined staggered direction in a state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hinge axis A2.

구체적으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기 제1, 2, 3 힌지축(A1, A2, A3)의 상호 관계에 대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하우징(10)에 상기 제2 하우징(20)이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제2 힌지축(A2)과 제3힌지축(A3)은 서로 이격된 상태에서 평행하고, 상기 제2, 3 힌지축(A2, A3)은 상기 제1 힌지축(A1)과 수직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하우징(10)에서 상기 제2 하우징(20)이 완전히 열린 상태에서는 상기 제2 힌지축(A2)과 제3 힌지축(A3)은 이격된 상태에서 엇갈린 상태로 경사진 방향으로 향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하우징(10)에서 상기 제2 하우징(20)이 90° 열린 상태에서는 상기 제2 힌지축(A2)과 제3 힌지축(A3)은 이격된 상태에서 서로 수직 방향으로 향하고, 상기 제2 힌지축(A2)은 상기 제1 힌지축(A1)과도 수직 방향으로 향한다. 도 4에 도시된 상태는 도 1에 도시된 상기 제1, 2, 3 힌지축(A1, A2, A3)의 관계와 동일하다.Specifically, the mutual relationship between the first, second, and third hinge axes A1, A2, and A3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As shown in FIG. 1, when the second housing 20 is closed in the first housing 10, the second hinge axis A2 and the third hinge axis A3 are parallel to each other. The second and third hinge axes A2 and A3 are perpendicular to the first hinge axis A1. As shown in FIG. 2, when the second housing 20 is completely opened in the first housing 10, the second hinge axis A2 and the third hinge axis A3 are staggered while being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inclined direction. As shown in FIG. 3, in a state where the second housing 20 is opened at 90 ° in the first housing 10, the second hinge axis A2 and the third hinge axis A3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y are perpendicular to each other, and the second hinge axis A2 is also perpendicular to the first hinge axis A1. The state shown in FIG. 4 is the same as the relationship of the said 1st, 2nd, 3rd hinge axes A1, A2, A3 shown in FIG.

이하에서는 상기 제1, 2 하우징(10, 20)과 힌지 하우징(30) 및 카메라 렌즈 하우징(40)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housings 10 and 20, the hinge housing 30, and the camera lens housing 40 will be described.

도 2,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하우징(10)은 그의 상면(10a)에 다수 개의 키들의 배열로 이루어진 키 어레이(11)와, 상기 키 어레이(11)와 근접하게 마이크 장치(12)가 배치되고, 그의 하면(10b)에 배터리 팩(14)이 착탈된다.As shown in FIGS. 2 and 5, the first housing 10 includes a key array 11 formed of an arrangement of a plurality of keys on an upper surface 10a thereof, and a microphone device in close proximity to the key array 11. 12 is disposed, and the battery pack 14 is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lower surface 10b thereof.

도 2,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하우징(20)은 그의 상면(20a)에 보조 표시 장치(23)가 장착되고, 그의 하면(20b)에 주 표시 장치(22)가 장착되며, 상기 주 표시 장치(22)와 근접하게 스피커 장치(21)가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2 하우징(20)과 힌지 하우징(30) 사이에 보조 프레임(25)이 구비된다. 상기 제2 하우징(20)은 상기 보조 프레임(25)에서 제2 힌지축(A2)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보조 프레임(25)은 상기 제1 힌지축(A1)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이다.As shown in FIGS. 2 and 4, the second housing 20 has an auxiliary display device 23 mounted on an upper surface 20a thereof, and a main display device 22 mounted on an lower surface 20b of the second housing 20. The speaker device 21 is disposed close to the main display device 22. In addition, an auxiliary frame 25 is provided between the second housing 20 and the hinge housing 30. The second housing 20 is rotatably connected with respect to the second hinge axis A2 in the auxiliary frame 25. The auxiliary frame 25 has a shape extending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direction of the first hinge axis A1.

도 1,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힌지 하우징(30)은 상기 제1 하우징(10)에 일체형으로 연결된 한 쌍의 사이드 힌지 암(31, 32)과, 상기 제2 하우징(20), 구체적으로 상기 보조 프레임(25)에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사이드 힌지 암(31, 32) 사이에 결합되는 센터 힌지 암(33)과, 상기 사이드 힌지 암(32)의 일측으로 카메라 렌즈 하우징(40)을 수용하는 카메라 렌즈 힌지 암(34)으로 구성된다. 이 때, 상기 센터 힌지 암(33)과 보조 프레임(25)에는 제1, 2 힌지축(A1, A2) 방향으로 상기 제2 하우징(20)이 각각 회전 가능하도록 미 도시된 힌지 모듈이 장착된다. 상기 제2 하우징은 상기 제1, 2 힌지축(A1, A2) 각각에 대하여 회전함으로써,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하우징(20)이 상기 제1 하우징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주 표시 장치(22)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As shown in FIGS. 1 and 4, the hinge housing 30 includes a pair of side hinge arms 31 and 32 integrally connected to the first housing 10, the second housing 20, Specifically, a center hinge arm 33 formed integrally with the auxiliary frame 25 and coupled between the side hinge arms 31 and 32, and the camera lens housing 40 toward one side of the side hinge arm 32. It consists of a camera lens hinge arm (34) for receiving. In this case, a hinge module (not shown) is mounted to the center hinge arm 33 and the auxiliary frame 25 so that the second housing 20 is rotatable in the first and second hinge axes A1 and A2, respectively. . The second housing rotates about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hinge shafts A1 and A2, so that the main housing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irst housing as shown in FIG. 6. The display device 22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상기 카메라 렌즈 힌지 암(34)은 카메라 렌즈 하우징(40)에 제공된 카메라 렌즈(41; 도 7에 도시됨)를 외부로 개방시키기 위한 개방 수단을 구비하는 바, 이하에서는 상기 개방 수단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개방 수단은 상기 카메라 렌즈 힌지 하우징(34)에 형성된 제1, 2, 3개구(35, 36, 37)로 구성된다. 상기 제1 개구(35)는 상기 카메라 렌즈 힌지 하우징의 측면(34a), 즉 상기 제1 힌지축(A1) 방향으로 향하는 면에 개방되고, 상기 제2 개구(36)는 상기 제2 하우징(20)이 제1 하우징(10)에 닫힌 경우(도 1과 같은 상태) 사용자와 대면하는 방향으로 개방되고, 상기 제3 개구(37)는 상기 제3 힌지축(A3)을 중심으로 상기 제2 개구(36)의 반대편에 위치하여 개방된다. 상기 제2, 3 개구(36, 37)는 상기 카메라 렌즈 힌지 하우징(34)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것이다.The camera lens hinge arm 34 is provided with opening means for opening the camera lens 41 (shown in FIG. 7) provided in the camera lens housing 40 to the outside. Hereinafter, the opening means will be described. Shall be. The opening means is composed of first, second and third openings 35, 36 and 37 formed in the camera lens hinge housing 34. The first opening 35 is open to the side surface 34a of the camera lens hinge housing, that is, the surface facing the first hinge axis A1, and the second opening 36 is open to the second housing 20. ) Is opened in a direction facing the user when the first housing 10 is closed (as shown in FIG. 1), and the third opening 37 is the second opening about the third hinge axis A3. It is located opposite to 36 and is open. The second and third openings 36 and 37 ar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mera lens hinge housing 34.

상기 제1 개구(35)의 직경 크기는 상기 제2, 3 개구(36, 37)보다 크게 개방되고, 상기 제2, 3 개구(36, 37)는 상기 제3 힌지축(A3)을 중심으로 이격된 곳에 위치하며, 동일한 형상으로 개방되며, 상기 제3 힌지축(A3)을 중심으로 대칭으로 구성된다.The diameter of the first opening 35 is larger than the second and third openings 36 and 37, and the second and third openings 36 and 37 are centered on the third hinge axis A3. Located in a spaced apart position, and open in the same shape, it is configured symmetrically about the third hinge axis (A3).

상기 카메라 렌즈 하우징(40)은 원통형 또는 구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면들에는 상기 카메라 렌즈 하우징(40)이 구형으로 구성된 것이 도시된다. 상기 카메라 렌즈 하우징(40)은 제3 힌지축(A3)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그의 외주면에 카메라 렌즈(41)가 노출된다. 그리고, 상기 카메라 렌즈 하우징(40)의 외주면은 상기 제1 개구(35)에 일부 노출된 상태로 장착되고, 상기 제3 힌지축(A3)의 회전에 따라서 카메라 렌즈(41)가 상기 제1, 2, 3 개구(35, 36, 37)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개구로 향하게 위치될 수 있다.The camera lens housing 40 may be cylindrical or spherical. In the drawings, the camera lens housing 40 is spherical. The camera lens housing 40 is rotatably mounted about the third hinge axis A3, and the camera lens 41 is expos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mera lens housing 40 is mounted in a state partially exposed to the first opening 35, and the camera lens 41 is mounted on the first, It may be positioned to face any one of the selected two or three openings 35, 36, 37.

바람직하게 상기 카메라 렌즈 하우징(40)은 소정의 제1 각도 내에서 상기 제3 힌지축(A3)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상기 제1 소정의 각도는 180°또는 그 이하의 각도가 될 수 있으며, 도면에는 상기 제1 소정의 각도가 180°인 것이 도시되었다. 그러나, 상기 제2, 3 개구(36, 37)의 위치가 변경된다면, 상기 소정의 제1 각도도 변경될 수 있다.Preferably, the camera lens housing 40 rotates about the third hinge axis A3 within a predetermined first angle. The first predetermined angle may be 180 degrees or less, and the drawing shows that the first predetermined angle is 180 degrees. However, if the positions of the second and third openings 36 and 37 are changed, the predetermined first angle may also be changed.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 채용된 회전성 카메라 렌즈 하우징(40)을 수동으로 조절하기 위한 조절 수단(50)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절 수단(50)은 상기 제1 하우징의 저면 에지(10c)에 형성되고, 구체적으로 상기 카메라 렌즈 힌지 하우징(34)에 근접하게 장착된다.Referring to Figure 7 will be described the configuration of the adjusting means 50 for manually adjusting the rotatable camera lens housing 40 employed in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7, the adjusting means 50 is formed at the bottom edge 10c of the first housing and is specifically mounted close to the camera lens hinge housing 34.

상기 조절 수단(50)은 상기 제1 하우징(10)의 저면 에지(10c)에 형성된 관통구멍에서 그의 일부가 돌출되게 위치하는 톱니형 기어(51)와, 상기 톱니형 기어(51)의 회전 동력을 상기 회전성 카메라 렌즈 하우징(40)에 전달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어들(52, 42)로 구성된다. 상기 톱니형 기어(51)는 제4힌지축(A4)을 중심으로 수동으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회전한다. 이 때, 상기 제3힌지축(A3)과 제4힌지축(A4)은 이격된 상태에서 평행하다.The adjustment means 50 is a toothed gear 51 and a rotational power of the toothed gear 51 is positioned so that a portion thereof protrudes from the through hole formed in the bottom edge 10c of the first housing 10. It is composed of at least one gear (52, 42) for transmitting to the rotatable camera lens housing (40). The toothed gear 51 is rotated manually by a user's operation about the fourth hinge shaft A4. At this time, the third hinge axis (A3) and the fourth hinge axis (A4) are parallel in the spaced apart state.

상기 톱니형 기어(51)는 그의 일부가 저면에서 돌출되게 위치하고, 그 나머지는 상기 제1 하우징(10) 내에 속하며, 상기 톱니형 기어(51)의 회전축(S1)의 단부에는 제2 기어(52)가 제공된다. 아울러, 상기 회전성 렌즈 하우징(40)은 제3 힌지축(A3) 방향으로 회전축(S2)이 각각 연장되고, 상기 회전축(S2)의 단에 제3 기어(42)가 제공된다. 상기 제2 기어(52)와 제3 기어(42)는 맞물리게 장착되며, 상기 톱니형 기어(51)의 회전에 따라서 상기 제2 기어(52)가 회전하고, 그와 동시에 상기 제3 기어(42)가 회전함으로서, 상기 회전성 렌즈 하우징(40)은 회전 동작이 수행된다. 상기 회전성 렌즈 하우징(40)의 회전에 따라서 상기 카메라 렌즈(41)는 상기 제1, 2, 3 개구(35, 36, 37)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개구와 동축으로 위치하 여 피사체 촬영이 수행된다.The toothed gear 51 is located so that a part thereof protrudes from the bottom surface, and the rest belongs to the first housing 10, and the second gear 52 is disposed at the end of the rotation shaft S1 of the toothed gear 51. ) Is provided. In addition, the rotatable lens housing 40 has a rotation shaft S2 extending in the direction of the third hinge axis A3, and a third gear 42 is provided at the end of the rotation shaft S2. The second gear 52 and the third gear 42 are engaged with each other, and the second gear 52 rotates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toothed gear 51, and at the same time, the third gear 42. By rotating), the rotatable lens housing 40 is rotated. As the rotatable lens housing 40 rotates, the camera lens 41 is positioned coaxially with any one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openings 35, 36, and 37. Is performed.

상기 카메라 렌즈 하우징(40) 내에는 미도시된 씨씨디 소자 등이 장착되며, 연성 회로(FPCB)에 의해 제1 하우징(10)의 메인 보드(미 도시됨)에 연결된다. 상기 연성 회로(FPCB)는 관통용 개구(38)를 지나, 상기 사이드 힌지 암(32)을 경유하여 상기 제1 하우징(10)으로 향한다.In the camera lens housing 40, a CD device and the like, which are not shown, are mounted and connected to a main board (not shown) of the first housing 10 by a flexible circuit (FPCB). The flexible circuit FPCB passes through the through opening 38 and faces the first housing 10 via the side hinge arm 32.

도 8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100)는 제1 하우징(101)과, 상기 제1 하우징(101)에서 멀어지는 방향 및 뒤틀리는 방향으로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하우징(102)과, 상기 단말기(100)의 일측에 구비되는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200)를 구비한다. 상기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200)는 회전성 카메라 렌즈 하우징(202; 도 13에 도시됨)과, 상기 단말기(100)의 일측,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1 하우징(101)의 상단 일측에 구비되어 회전성 카메라 렌즈 하우징(202)을 수용하는 카메라 렌즈 힌지 암(201)과, 상기 카메라 렌즈 힌지 암(201)에 제공되어 카메라 렌즈 하우징(202)을 적어도 두 번 이상 외부로 노출시키는 개방 수단(235, 213, 217)으로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200)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카메라 렌즈 하우징(202)의 회전 각도를 소정의 힌지축을 따라서 조절하기 위한 조절 수단(203, 204)이 더 구비된다.8 to 12, the portable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second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rotatable in a direction away from and distorted from the first housing 101 and the first housing 101, respectively. And a second housing 102 connected to each other, and a camera lens assembly 200 provided at one side of the terminal 100. The camera lens assembly 200 is provided on a rotatable camera lens housing 202 (shown in FIG. 13) and on one side of the terminal 100, specifically, on an upper side of the first housing 101. Camera lens hinge arm 201, which receives camera lens housing 202, and opening means 235,213 provided in the camera lens hinge arm 201 for exposing the camera lens housing 202 to the outside at least twice. , 217). In addition, the camera lens assembly 200 further includes adjustment means 203 and 204 for adjusting the rotation angle of the camera lens housing 202 along a predetermined hinge axis by a user's manipulation.

상기 제1 하우징(101)은 상면에 다수의 키들로 구성된 키 어레이(111)가 설치되고, 일 측면에 2-웨이(two-way) 키(113)가 구비된다. 상기 2-웨이 키(113)는 통화모드 또는 통화 대기모드에서 메뉴를 선택하거나 음향의 볼륨을 조절하는데 이 용될 수 있으며, 또한, 사진 또는 동영상 촬영시 줌-인(zoom-in) / 줌-아웃(zoom-out)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1 하우징(101)의 상단에는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서로 마주보게 형성된 한 쌍의 사이드 힌지 암(115)이 구비되고, 상기 카메라 렌즈 힌지 암(201)이 일측의 상기 사이드 힌지 암(115)으로부터 연장된다. The first housing 101 has a key array 111 composed of a plurality of keys on an upper surface thereof, and a two-way key 113 on one side thereof. The 2-way key 113 may be used to select a menu or adjust a volume of a sound in a call mode or a call standby mode, and also zoom-in / zoom-out when taking a picture or video. (zoom-out) function can be provided. The top of the first housing 101 is provided with a pair of side hinge arms 115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o face each other, the camera lens hinge arm 201 is one side of the side hinge arm 115 Extends from.

상기 제2 하우징(102)은 상면에 보조 표시 장치(125)가 설치되고, 하면에 주 표시 장치(121)가 설치되며, 상기 주 표시 장치(121)의 일측에 스피커 장치(123)가 설치된다. 상기 제2 하우징(102)은 상기 제1 하우징(101)에 대면한 상태로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동시에 상기 제1 하우징(101)에 대하여 뒤틀리는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제2 하우징(102)은 소정의 연결부재(103)를 통해 상기 제1 하우징(101)과 결합된다.In the second housing 102, an auxiliary display device 125 is installed on an upper surface, a main display device 121 is installed on a lower surface, and a speaker device 123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main display device 121. . The second housing 102 is rotatably coupled in a direction away from or close to the first housing 101 and at the same time rotatably coupled in a twisting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first housing 101. . The second housing 102 is coupled to the first housing 101 through a predetermined connecting member 103.

상기 연결부재(103)는 상기 제1 하우징(101)의 사이드 힌지 암(115) 사이에 결합되는 센터 힌지 암(131)을 구비하여 상기 제1 하우징(101)의 횡방향으로 연장된 제1 힌지축(A1)에 대하여 회전하고, 상기 센터 힌지 암(131)의 일측에 보조 프레임(133)을 구비하여 상기 제1 힌지축(A1)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힌지축(A2)을 제공한다. 상기 제2 하우징(102)은 그 일단부가 상기 보조 프레임(133)에 결합되어, 상기 제2 힌지축(A2)에 대하여 회전하게 된다. The connecting member 103 includes a center hinge arm 131 coupled between the side hinge arms 115 of the first housing 101 to extend the first hinge laterally in the first housing 101. The second hinge shaft A2 rotates about the axis A1 and includes an auxiliary frame 133 on one side of the center hinge arm 131 and extends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hinge axis A1. to provide. One end of the second housing 102 is coupled to the auxiliary frame 133 to rotate about the second hinge axis A2.

상기 카메라 렌즈 힌지 암(201)은 일측의 상기 사이드 힌지 암(115)으로부터 상기 제1 힌지축(A1) 방향으로 연장되며, 그 내부에 회전성 카메라 렌즈 하우징(202)이 수용된다. 상기 카메라 렌즈 하우징(202)은 상기 카메라 렌즈 힌지 암(201)의 내부에서 상기 제1 힌지축(A1)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며, 동시에 상기 제1 힌지축(A1)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제3 힌지축(A3)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다. 상기 카메라 렌즈 힌지 암(201)은 상기 카메라 렌즈 하우징(202)의 회전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 수단(203, 204)을 구비한다. 상기 조절 수단(203, 204)은 상기 카메라 렌즈 힌지 암(201)의 측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카메라 렌즈 하우징(202)을 상기 제1 힌지축(A1)에 대하여 회전시키는 제1 조절 노브(203)와, 상기 카메라 렌즈 힌지 암(201)의 외주면 소정 위치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카메라 렌즈 하우징(202)을 상기 제3 힌지축(A3)에 대하여 회전시키는 제2 조절 노브(204)로 구성된다. The camera lens hinge arm 201 extends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hinge axis A1 from the side hinge arm 115 on one side, and the rotatable camera lens housing 202 is accommodated therein. The camera lens housing 202 is rotatable about the first hinge axis A1 in the camera lens hinge arm 201 and extends in a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first hinge axis A1. 3 It can be rotated about the hinge axis A3. The camera lens hinge arm 201 has adjusting means 203, 204 for adjusting the rotation angle of the camera lens housing 202. The adjusting means 203, 204 is rotatably coupled to the side end of the camera lens hinge arm 201 to rotate the camera lens housing 202 about the first hinge axis A1. 203 and a second adjustment knob 204 rotatably coupled to a predetermined position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mera lens hinge arm 201 to rotate the camera lens housing 202 about the third hinge axis A3. It consists of.

상기 개방 수단(203, 204)은 상기 카메라 렌즈 힌지 암(201)의 측단부 방향으로 상기 카메라 렌즈 하우징(202)을 노출시키는 제1 개구(235; 도 13에 도시됨)와, 상기 단말기(100)의 전면 방향으로 상기 카메라 렌즈 하우징(202)을 노출시키는 제2 개구(213)와, 상기 단말기(200)의 후면 방향으로 상기 카메라 렌즈 하우징(202)을 노출시키는 제3 개구(217)를 포함한다. 즉, 상기 카메라 렌즈 하우징(202)은 상기 카메라 렌즈 힌지 암(201) 내에서 제1 및 제3 힌지축(A3) 각각에 대하여 회전함으로써, 상기 제1, 2 또는 3 개구(235, 213, 217)를 통해 사진 또는 동영상 촬영이 가능한 것이다. 한편, 상기 제2 개구(213)는 상기 제2 하우징(102)의 개방된 각도에 따라 사용자가 촬영각도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 쌍으로 구성되었다. The opening means 203 and 204 may include a first opening 235 (shown in FIG. 13) that exposes the camera lens housing 202 in a side end direction of the camera lens hinge arm 201, and the terminal 100. A second opening 213 exposing the camera lens housing 202 in the front direction of the front side, and a third opening 217 exposing the camera lens housing 202 in the rear direction of the terminal 200. do. That is, the camera lens housing 202 rotates about each of the first and third hinge axes A3 in the camera lens hinge arm 201, thereby allowing the first, second, or third openings 235, 213, 217. ), You can take a picture or video. On the other hand, the second opening 213 is configured in a pair so that the user can select the shooting angle according to the opening angle of the second housing 102.

도 9와 도 10은 상기 제2 하우징(102)이 상기 제1 하우징(101)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하여 완전히 열린 상태를 각각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상기 제2 하우징(102)이 상기 제1 하우징(101)으로부터 완전히 열린 상태에서, 상기 주 표시 장치(121)는 상기 단말기(100)의 전면을 향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가 사진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고자 하면, 사용자는 상기 카메라 렌즈 하우징(202)을 상기 제2 개구(213) 또는 제3 개구(217)를 통해 노출되도록 회전시키게 된다.9 and 10 are perspective views each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econd housing 102 is rotate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first housing 101 to be fully opened. In the state where the second housing 102 is completely opened from the first housing 101, the main display device 121 faces the front surface of the terminal 100. In this case, when the user wants to take a picture or video, the user rotates the camera lens housing 202 to be exposed through the second opening 213 or the third opening 217.

도 11과 도 12는 상기 제2 하우징(102)이 상기 제1 하우징(101)으로부터 소정 각도만큼 열린 상태에서, 뒤틀리는 방향으로 회전한 모습을 각각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상기 제2 하우징(102)은 상기 제1 하우징(101)으로부터 소정 각도, 구체적으로 90°에 근접하는 각도 이상 열리면 상기 제2 힌지축(A2)에 대하여 회전이 가능하여 상기 주 표시 장치(121)는 상기 단말기(100)의 양측 방향 중 선택된 하나의 방향으로 위치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사진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고자 하면, 사용자는 상기 카메라 렌즈 하우징(202)을 상기 제1 개구(235)를 통해 노출되도록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 카메라 렌즈 하우징(202)이 상기 제1 개구(235)를 통해 노출되고 상기 주 표시 장치(121)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한 상태에서, 사용자는 캠코더와 동일한 방식으로 상기 단말기(100)를 조작할 수 있다.11 and 12 are perspective views each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econd housing 102 is rotated in a twisting direction while being opened at a predetermined angle from the first housing 101. When the second housing 102 is opened from the first housing 101 by more than a predetermined angle, specifically, an angle close to 90 °, the second housing 102 can be rotated with respect to the second hinge axis A2 so that the main display device 121 is rotated. May be located in one direction selected from both sides of the terminal 100. In this case, when the user wants to take a picture or video, the user rotates the camera lens housing 202 to be exposed through the first opening 235. In a state where the camera lens housing 202 is exposed through the first opening 235 and the main display device 121 is located as shown in FIG. 11, the user can operate the terminal 100 in the same manner as a camcorder. Can be operated.

한편, 선행 실시 예에서의 단말기와 마찬가지로, 상기 단말기(100)의 제2 하우징(102)은 상기 제1, 2 힌지축(A1, A2) 각각에 회전 가능하므로, 상기 제2 하우징(102)이 상기 제1 하우징(101)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주 표시 장치(121)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like the terminal in the previous embodiment, the second housing 102 of the terminal 100 is rotatable to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hinge shafts (A1, A2), the second housing 102 is The main display device 121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while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first housing 101.

도 13 내지 도 15는 도 8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100)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200)를 각각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200)는 카메라 렌즈 힌지 암(201), 회전성 카메라 렌즈 하우징(202), 제1 및 제2 조절 노브(knob)(203, 204), 개방 수단(235, 213, 217)을 구비한다. 13 to 15 are views illustrating the camera lens assembly 200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illustrated in FIG. 8, respectively. The camera lens assembly 200 includes a camera lens hinge arm 201, a rotatable camera lens housing 202, first and second adjustment knobs 203 and 204, opening means 235, 213 and 217. It is provided.

상기 카메라 렌즈 힌지 암(201)은 상기 제1 하우징(101)의 일측 사이드 힌지 암(115)과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단말기(100)의 측단부 방향으로 개방된 수용공간(211)을 제공한다. 상기 카메라 렌즈 힌지 암(201)의 수용공간(211)에는 상기 카메라 렌즈 하우징(202)이 수용된다. 상기 카메라 렌즈 하우징(202)은 상기 수용공간(211) 내에서 상기 제1 힌지축(A1)과, 상기 제1 힌지축(A1)에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제3 힌지축(A3) 각각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카메라 렌즈 힌지 암(201)의 개방된 측단부는 상기 제1 조절 노브(203)에 의해 닫히게 된다. 상기 제1 조절 노브(203)는 상기 제1 힌지축(A1)에 대하여 회전하면서, 상기 카메라 렌즈 하우징(202)을 상기 제1 힌지축(A1)에 대하여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 제2 조절 노브(204)는 상기 카메라 렌즈 하우징(202)의 외주면 소정 위치, 구체적으로 상기 제3 힌지축(A3) 상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제2 조절 노브(204)는 상기 제3 힌지축(A3)에 대하여 회전하면서, 상기 카메라 렌즈 하우징(202)을 상기 제3 힌지축(A3)에 대하여 회전시키게 된다. The camera lens hinge arm 201 is formed integrally with one side hinge arm 115 of the first housing 101 and provides an accommodation space 211 that is open toward the side end portion of the terminal 100. . The camera lens housing 202 is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211 of the camera lens hinge arm 201. The camera lens housing 202 has respect to each of the first hinge axis A1 and the third hinge axis A3 extending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hinge axis A1 in the accommodation space 211. It is rotatably installed. The open side end of the camera lens hinge arm 201 is closed by the first adjustment knob 203. The first adjustment knob 203 rotates the camera lens housing 202 about the first hinge axis A1 while rotating about the first hinge axis A1. The second adjustment knob 204 is rotatably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mera lens housing 202, specifically, on the third hinge axis A3. The second adjustment knob 204 rotates the camera lens housing 202 about the third hinge axis A3 while rotating about the third hinge axis A3.

한편, 상기 카메라 렌즈 하우징(202)의 외주면에 원주 방향을 따라 각각 형성되어 상기 카메라 렌즈 하우징(202)의 회전궤적을 제공하는 한 쌍의 가이드 홈(223)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 홈(223)은 소정 위치에서 서로 교차하여 그 교차점(미도시)이 상기 제1, 제3 힌지축(A1, A3) 각각에 대하여 대칭되게 위치하게 된다. 상기 가이드 홈(223)은 그 교차점에서 서로 수직하게 교차됨이 바람직하다. 또 한, 상기 제1 및 제2 조절 노브(203, 204)에는 각각 상기 가이드 홈(223)에 상응하는 가이드 돌기(233, 243)가 구비된다. On the other hand, a pair of guide grooves 223 ar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mera lens housing 202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o provide a rotational trajectory of the camera lens housing 202. The guide grooves 223 cross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nd their intersection points (not shown) are symmetrically positioned with respect to each of the first and third hinge axes A1 and A3. The guide grooves 223 preferably cross perpendicular to each other at their intersections. In addition, the first and second adjustment knobs 203 and 204 are provided with guide protrusions 233 and 243 corresponding to the guide grooves 223, respectively.

상기 제1 조절 노브(203)는 상기 카메라 렌즈 하우징(202)과 대면하는 내측면에 지름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힌지축(A1) 방향으로 돌출되어 선택된 하나의 상기 가이드 홈(223)에 맞물리는 제1 가이드 돌기(233)와, 외주면에 다수의 돌기(231)를 구비한다. 상기 제2 조절 노브(204)는 상기 카메라 렌즈 힌지 암(201)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그 내측면이 상기 카메라 렌즈 하우징(202)과 대면하게 된다. 상기 제2 조절 노브(204)의 내측면에는 지름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3 힌지축(A3) 방향으로 돌출되어 선택된 다른 하나의 상기 가이드 홈(223)에 맞물리는 제2 가이드 돌기(243)가 구비된다. The first adjustment knob 203 extends in the radial direction on the inner surface facing the camera lens housing 202 and protrudes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hinge axis A1 to fit the selected guide groove 223. The physics includes a first guide protrusion 233 and a plurality of protrusions 231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 second adjustment knob 204 is install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mera lens hinge arm 201 so that an inner surface thereof faces the camera lens housing 202.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adjustment knob 204 is a second guide protrusion 243 extending in the radial direction and protruding in the direction of the third hinge axis A3 to engage with the other guide groove 223 selected. It is provided.

상기 제1 및 제2 조절 노브(203, 204)에 각각 형성되는 가이드 돌기(233, 243)는 상기 가이드 홈(223)과 맞물려, 사용자가 상기 제1 또는 제2 조절 노브(203, 204)를 회전시키면 그 회전력으로 상기 카메라 렌즈 하우징(202)을 회전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카메라 렌즈 하우징(202)이 회전함에 따라, 제1 또는 제2 가이드 돌기(233, 243)는 상기 카메라 렌즈 하우징(202)의 회전을 가이드하게 된다. Guide protrusions 233 and 243 formed on the first and second adjustment knobs 203 and 204 respectively engage with the guide groove 223 so that the user may move the first or second adjustment knobs 203 and 204. Rotating causes the camera lens housing 202 to rotate with the rotational force. In addition, as the camera lens housing 202 rotates, the first or second guide protrusions 233 and 243 guide the rotation of the camera lens housing 202.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제1 조절 노브(203)를 회전시키면, 상기 제1 가이드 돌기(233)는 상기 가이드 홈(223)에 맞물려 상기 카메라 렌즈 하우징(202)을 상기 제1 힌지축(A1)에 대하여 회전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제2 가이드 돌기(243)는 상기 카메라 렌즈 하우징(202)의 회전을 가이드하게 되며, 이는 상기 가이드 홈(223) 이 상기 제2 가이드 돌기(243)에 맞물려 있기 때문이다. For example, when the user rotates the first adjustment knob 203, the first guide protrusion 233 meshes with the guide groove 223 to move the camera lens housing 202 to the first hinge axis A1. Rotate about. In this case, the second guide protrusion 243 guides the rotation of the camera lens housing 202 because the guide groove 223 is engaged with the second guide protrusion 243.

상기 제2 조절 노브(204)를 설치하기 위하여, 상기 카메라 렌즈 힌지 암(201)의 외주면에는 소정 깊이로 함몰된 안착홈(215a)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215a)에는 상기 제2 조절 노브(204)의 제2 가이드 돌기(243)를 상기 수용공간(211) 내에 위치시키기 위한 회전 홀(215b)이 형성된다. 상기 안착홈(215a)은 그 중심이 상기 제3 힌지축(A3) 상에 위치되며, 상기 회전 홀(215b)은 상기 제3 힌지축(A3)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방향으로 소정 각도 범위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회전 홀(215b)은 상기 제2 조절 노브(204)의 회전 범위를 제한할 수 있는 것이다. In order to install the second adjustment knob 204, a mounting recess 215a recessed to a predetermined depth is formed i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mera lens hinge arm 201, and the second adjustment knob is formed in the mounting recess 215a. A rotation hole 215b for positioning the second guide protrusion 243 of 204 in the accommodation space 211 is formed. The seating groove 215a has a center thereof positioned on the third hinge axis A3, and the rotation hole 215b is formed in a predetermined angle range in a direction that rotates about the third hinge axis A3. Can be. That is, the rotation hole 215b may limit the rotation range of the second adjustment knob 204.

상기 개방수단(235, 213, 217)은 상기 카메라 렌즈 하우징(201)에 수용된 카메라 렌즈(221)를 촬영방향으로 노출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상기 제1 힌지축(A1) 방향으로 향하게 형성된 제1 개구(235)와, 상기 단말기(100)의 전면을 향하게 형성된 제2 개구(213)와, 상기 단말기(100)의 후면을 향하게 형성된 제3 개구(217)를 포함한다. 상기 제1 개구(235)는 상기 제1 힌지축(A1)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 조절 노브(203)를 관통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2 개구(213)는 상기 카메라 렌즈 힌지 암(201)의 외주면 상에 소정 각도 간격으로 형성된 한 쌍의 관통홀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3 개구(217)는 상기 카메라 렌즈 힌지 암(201)의 외주면 상에서 상기 제2 개구(213)와 대칭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즉, 상기 제2 개구(213)와 제3 개구(217)는 상기 카메라 렌즈 힌지 암(201) 상에서 상기 제1 및 제3 힌지축(A1, A2) 각각에 대하여 대칭인 위치에 형성된 것이다. 상기 제2 개구(213)는 상기 카메라 렌즈 힌지 암(201)의 원주 방향을 따라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 한 쌍의 관통홀로 구 성하였다. 상기 제2 개구(213)가 한 쌍의 관통홀을 구비함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하고자 할 때 더욱 다양한 각도에서 촬영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제1, 2, 3 개구(235, 213, 217)는 각각 투명한 재질의 아크릴 또는 유리 등으로 제작된 커버(291, 293, 295)로 밀폐됨이 바람직하다.The opening means 235, 213, and 217 are means for exposing the camera lens 221 accommodated in the camera lens housing 201 in the photographing direction. A first opening is formed toward the first hinge axis A1. 235, a second opening 213 formed to face the front surface of the terminal 100, and a third opening 217 formed to face the rear surface of the terminal 100. The first opening 235 extends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hinge axis A1 to penetrate the first adjustment knob 203, and the second opening 213 is the camera lens hinge arm 201. And a pair of through holes formed at predetermined angular intervals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nd the third opening 217 is positioned at a position symmetrical with the second opening 213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mera lens hinge arm 201. Is formed. That is, the second opening 213 and the third opening 217 are formed at positions symmetrical with respect to each of the first and third hinge axes A1 and A2 on the camera lens hinge arm 201. The second opening 213 is configured as a pair of through holes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camera lens hinge arm 201. Since the second opening 213 has a pair of through holes, when the user wants to photograph themselves by using the terminal 100, the user can take a photograph from more various angles. The first, second, and third openings 235, 213, and 217 are preferably sealed by covers 291, 293, and 295 made of acrylic, glass, or the like of transparent material, respectively.

한편, 상기 카메라 렌즈 하우징(202)이 회전을 정지한 상태에서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텐션 플레이트(205)가 상기 카메라 렌즈 힌지 암(201)의 내측에 고정된다. 상기 텐션 플레이트(205)는 그 자체에 축적되는 탄성력에 의해 상기 카메라 렌즈 하우징(202)의 일측면에 밀착되어 마찰력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카메라 렌즈 하우징(202)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텐션 플레이트(205)에 대면하는 상기 카메라 렌즈 하우징(202)의 일측면에 스토퍼 돌기(225)를 형성하고, 상기 스토퍼 돌기(225)의 회전 궤적을 따라 상기 텐션 플레이트(205)에는 소정 각도 간격으로 스토퍼 홀(251)을 형성하여 상기 카메라 렌즈 하우징(202)의 회전을 일정 간격으로 정지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스토퍼 돌기(225)가 상기 텐션 플레이트(205)에 형성되고, 그에 상응하는 스토퍼 홀(251)이 상기 카메라 렌즈 하우징(202)의 외주면에 소정 각도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On the other hand, the tension plate 205 for preventing the flow in the state in which the camera lens housing 202 stops rotating is fixed to the inside of the camera lens hinge arm 201. The tension plate 205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one side of the camera lens housing 202 by an elastic force accumulated in the tension plate 205 to provide a friction force to prevent the flow of the camera lens housing 202. In addition, a stopper protrusion 225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camera lens housing 202 facing the tension plate 205, and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tension plate 205 is formed along the rotational trajectory of the stopper protrusion 225. The stopper hole 251 may be formed at an angular interval to stop the rotation of the camera lens housing 202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n the other hand, the stopper protrusion 225 is formed in the tension plate 205, it is apparent that the corresponding stopper hole 251 may be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amera lens housing 202 at a predetermined angle interval.

상기와 같이 구성된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200)는 카메라 렌즈 하우징(202)이 카메라 렌즈 힌지 암(201) 내에서 두 개의 힌지축(A1, A3) 각각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다. 따라서, 다양한 방향으로의 촬영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단말기(100)의 주 표시 장치(121)을 단말기(100)의 측방향으로 향하게 하여 캠코더와 같은 방식으로 촬영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The camera lens assembly 20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configured such that the camera lens housing 202 is rotatable about each of the two hinge axes A1 and A3 in the camera lens hinge arm 201. Therefore, not only photographing in various directions is possible, but also the main display device 121 of the terminal 100 can be photographed in the same manner as a camcorder while facing the side of the terminal 100.

도 16 내지 19는 도 8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100)에 설치되는 다른 형태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300)를 각각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 내지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말기(100)에 설치되는 다른 형태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300)는 카메라 렌즈 힌지 암(301), 제1 및 제2 회동 부재(304, 305), 카메라 렌즈 하우징(302) 및 조절 노브(303)를 구비한다.16 to 19 are views illustrating different types of camera lens assemblies 300 installed in the portable terminal 100 shown in FIG. 8, respectively. 16 to 19, another type of camera lens assembly 300 installed in the terminal 100 includes a camera lens hinge arm 301, first and second pivot members 304 and 305, and A camera lens housing 302 and an adjustment knob 303.

상기 카메라 렌즈 힌지 암(301)은 상기 단말기(100) 일측의 사이드 힌지 암(115)으로부터 상기 제1 힌지축(A1) 방향으로 연장되어, 그 측단부가 개방된 수용공간(311)을 제공한다. 상기 카메라 렌즈 힌지 암(301)의 외주면에는 한 쌍의 관통홀로 구성된 제2 개구(313)와, 상기 제1 및 제3 힌지축(A1, A3)을 중심으로 상기 제2 개구(313)에 대칭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3 개구(미도시)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카메라 렌즈 힌지 암(301)의 개방수단은 선행 실시 예를 통해서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The camera lens hinge arm 301 extends from the side hinge arm 115 at one side of the terminal 100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hinge axis A1 to provide an accommodation space 311 having an open side end thereof. .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mera lens hinge arm 301 is symmetrical to the second opening 313 consisting of a pair of through holes and the second opening 313 around the first and third hinge axes A1 and A3. It is provided with the 3rd opening (not shown) formed in the position to become. The opening means of such a camera lens hinge arm 301 will be easily understood through the preceding embodiments.

상기 제1 회동 부재(304)는 상기 카메라 렌즈 힌지 암(301) 내에서 상기 제1 힌지축(A1)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수용된다. 상기 제1 회동 부재(304)의 일면에는 상기 제1 힌지축(A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링크 암(341)이 구비된다. 상기 제1 링크 암(341)의 단부에는 각각 링크 홀(343)이 형성된다. The first pivot member 304 is rotatably received in the camera lens hinge arm 301 about the first hinge axis A1. One surface of the first pivot member 304 is provided with at least one first link arm 341 extending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hinge axis A1. Link holes 343 are formed at ends of the first link arm 341, respectively.

상기 제2 회동 부재(305)는 상기 카메라 렌즈 힌지 암(301) 내에서 상기 제1 힌지축(A1)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며, 또한, 상기 제1 회동 부재(304)에 링크 결합되어 상기 제1 힌지축(A1) 방향으로 직선 왕복운동이 가능하다. 상기 제2 회동 부재(304)의 일면에는 상기 제1 힌지축(A1)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 링크 암(341)에 대면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링크 암(351)이 구비된다. 상기 제2 링크 암(351)의 단부에는 각각 링크 홀(353)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 링크 암(341) 단부의 링크 홀(343) 또는 제2 링크 암(351) 단부의 링크 홀(353) 중 선택된 하나의 링크 홀은 상기 제2 회동 부재(305)의 직선운동 방향, 즉 제1 힌지축(A1) 방향에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장공 형상이어야 함에 유의한다. 도 17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제2 링크 암(351)에 형성된 링크 홀(353)이 장공으로 형성되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제2 회동 부재(305)는 상기 카메라 렌즈 하우징(302)의 카메라 렌즈(321)를 노출시키기 위하여, 일 단부와 외주면 소정 위치에 각각 형성된 노출용 홀(355, 357)들이 구비된다. The second pivot member 305 is rotatably received with respect to the first hinge axis A1 within the camera lens hinge arm 301, and is also coupled to the first pivot member 304 by linkage to the first pivot member 304. Linear reciprocating motion is possible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hinge axis A1. One surface of the second pivot member 304 is provided with at least one second link arm 351 extending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hinge axis A1 to face the first link arm 341. Link holes 353 are formed at ends of the second link arm 351, respectively. At this time, one of the link holes selected from the link hole 343 at the end of the first link arm 341 or the link hole 353 at the end of the second link arm 351 is a linear movement of the second pivot member 305. Note that it should be a long hole shape extending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of the first hinge axis A1. Referring to FIG. 17, in the present embodiment, it can be seen that the link hole 353 formed in the second link arm 351 is formed as a long hole. In order to expose the camera lens 321 of the camera lens housing 302, the second rotation member 305 includes exposure holes 355 and 357 formed at predetermined positions at one end and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또한, 상기 제2 회동 부재(305)의 외주면에는 가이드 경사부(354a, 354b)가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 경사부(354a, 354b)의 일측은 상기 제2 회동 부재(305)의 단부까지 급경사(354a)로 연장되고, 타측은 상기 제2 회동 부재(305)의 단부까지 완만한 경사(354b)로 연장된다. 이후, 상세하게 설명하겠지만, 상기 가이드 경사부(354a, 354b)는 상기 제1 및 제2 회동 부재(304, 305)의 회전 범위를 제한하거나, 상기 제1 및 제2 회동 부재(304, 305)가 상기 카메라 렌즈 힌지 암(301)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In addition, guide inclined portions 354a and 354b ar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pivot member 305. One side of the guide inclined portion 354a, 354b extends to the steep slope 354a to the end of the second pivot member 305, the other side is a gentle slope 354b to the end of the second pivot member 305 Extends. Hereinafter, a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guide inclined portions 354a and 354b limit the range of rot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pivot members 304 and 305, or the first and second pivot members 304 and 305. Is prevented from escaping from the camera lens hinge arm 301.

상기 카메라 렌즈 하우징(302)은 상기 제3 힌지축(A3) 방향으로 연장된 실린더 형상으로 외주면 소정 위치에 카메라 렌즈(321)가 구비되고, 양 단부에 각각 한 쌍의 링크 돌기(323)들이 구비된다. 상기 링크 돌기(323)들은 상기 제1 및 제2 링크 암(341, 351)에 각각 형성된 링크 홀(343, 353)에 선택적으로 결합된다. 즉, 상 기 카메라 렌즈 하우징(302)에 의해 상기 제1 회동 부재(304)와 제2 회동 부재(305)가 링크 결합되는 것이며, 링크 결합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1 및 제2 링크 암(341, 351)은 각각 한 쌍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The camera lens housing 302 is provided with a camera lens 321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in a cylindrical shape extending in the direction of the third hinge axis A3, and has a pair of link protrusions 323 at each end thereof. do. The link protrusions 323 are selectively coupled to link holes 343 and 353 formed in the first and second link arms 341 and 351, respectively. That is, the first rotating member 304 and the second rotating member 305 are link-coupled by the camera lens housing 302, and in order to improve the stability of the link coupling, the first and second links are connected. The arms 341 and 351 are preferably formed in pairs, respectively.

상기와 같은 링크 결합이 구성됨으로써, 상기 제2 회동 부재(305)가 상기 제1 힌지축(A1) 방향으로 직선 운동하면 상기 카메라 렌즈 하우징(302)이 상기 제3 힌지축(A3)에 대하여 회전하게 된다. 도 18과 도 19를 참조하면, 상기 제1 회동 부재(304)와 상기 제2 회동 부재(305)가 최대한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카메라 렌즈 하우징(302)의 카메라 렌즈(321)는 상기 제2 회동 부재(305)의 외주면에 형성된 홀(355)을 통해 노출되며, 상기 제2 회동 부재(305)가 화살표 ①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카메라 렌즈(321)는 상기 제2 회동 부재(305)의 단부에 형성된 홀(357)을 통해 노출된다. 즉, 상기 제2 회동 부재(305)가 제1 힌지축(A1) 방향으로 직선 운동함으로써, 상기 카메라 렌즈 하우징(302)은 상기 제3 힌지축(A3)에 대하여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2 링크 암(351)의 링크 홀(353)은 장공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카메라 렌즈 하우징(302)의 회전에 의해 링크 돌기(323)의 위치가 달라져도 장공 형상의 링크 홀(353)에 의해 유동 공간이 제공된다. The link coupling is configured such that the camera lens housing 302 rotates with respect to the third hinge axis A3 when the second pivot member 305 linearly moves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hinge axis A1. Done. 18 and 19, the camera lens 321 of the camera lens housing 302 is rotated in the second rotation state in a state where the first rotation member 304 and the second rotation member 305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Exposed through the hole 355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ember 305, when the second pivot member 305 moves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①, the camera lens 321 at the end of the second pivot member 305 It is exposed through the formed hole 357. That is, the camera lens housing 302 rotates about the third hinge axis A3 by linearly moving the second pivot member 305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hinge axis A1. In addition, the link hole 353 of the second link arm 351 is formed in a long hole shape, even if the position of the link projection 323 is changed by the rotation of the camera lens housing 302, the long hole-shaped link hole 353 Is provided by the flow space.

상기 제2 회동 부재(305)의 단부 면에는 상기 조절 노브(303)가 결합되는 결합돌기(359)가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된다.At least one coupling protrusion 359 to which the adjustment knob 303 is coupled is provided at an end surface of the second pivot member 305.

상기 조절 노브(303)는 상기 제2 회동 부재(305)의 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제1 힌지축(A1) 방향으로 관통하는 제1 개구(335)와 외주면에 다수의 돌기(331)를 구비한다. 상기 카메라 렌즈 하우징(302)이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하였을 때, 상기 제1 개구(335)는 카메라 렌즈(321)의 노출을 위해 제공된 것이다. 즉, 상기 카메라 렌즈 하우징(302)은 상기 제1, 2, 3 개구(335, 313) 중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하나의 개구를 통해 촬영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상기 제1, 2, 3 개구(335, 313)는 각각 투명한 재질의 아크릴 또는 유리 등으로 제작된 커버(391, 393, 395)로 밀폐됨이 바람직하다.The adjustment knob 303 is coupled to an end of the second pivot member 305 and includes a first opening 335 passing through the first hinge axis A1 and a plurality of protrusions 331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do. When the camera lens housing 302 is positioned as shown in FIG. 19, the first opening 335 is provided for exposing the camera lens 321. That is, the camera lens housing 302 can photograph through one opening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openings 335 and 313. The first, second and third openings 335 and 313 are preferably sealed with covers 391, 393 and 395 made of acrylic or glass of transparent material, respectively.

상기 제1 및 제2 회동 부재(304, 305), 카메라 렌즈 하우징(302) 등이 상기 카메라 렌즈 힌지 암(301)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카메라 렌즈 힌지 암(301)의 단부에는 가이드 링(397)이 고정된다. 상기 가이드 링(397)은 내주면에 가이드 리브(397a)가 돌출된다. 상기 가이드 리브(397a)는 상기 제2 회동 부재(305)의 외주면에 형성된 가이드 경사면(354a, 354b)에 상응하게 형성된다. In order to prevent the first and second pivot members 304 and 305, the camera lens housing 302, and the like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camera lens hinge arm 301, a guide is provided at an end of the camera lens hinge arm 301. The ring 397 is fixed. The guide ring 397 protrudes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uide rib 397a. The guide rib 397a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guide inclined surfaces 354a and 354b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pivot member 305.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회동 부재(305)가 상기 제1 힌지축(A1) 방향으로 직선 운동하게 될 때, 상기 가이드 리브(397a)는 상기 제2 회동 부재(305)가 과도하게 이동하는 것을 제한한다. 또한, 상기 제2 회동 부재(305)가 회전하면, 상기 가이드 리브(397a)는 상기 가이드 경사부(354a, 354b)의 완만한 경사면(354b)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제2 회동 부재(305)를 상기 제1 회동 부재(304)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As shown in FIG. 19, when the second pivot member 305 linearly moves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hinge axis A1, the guide rib 397a causes the second pivot member 305 to become excessive. To restrict movement. In addition, when the second rotating member 305 rotates, the guide rib 397a moves along the gentle inclined surface 354b of the guide inclined portions 354a and 354b to move the second rotating member 305. The first rotation member 304 is moved in a direction close to the first rotation member 304.

또한, 상기 제1 회동 부재(304)의 외측에는 상기 카메라 렌즈 힌지 암(301)의 내부에 코일 스프링(399)이 수용되어 탄성력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제1 및 제2 회동 부재(304, 305)와 카메라 렌즈 하우징(302)이 제1 힌지축(A1)에 대하여 회전할 때 원활한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In addition, a coil spring 399 is received inside the camera lens hinge arm 301 outside the first pivot member 304 to provide an elastic force, thereby providing the first and second pivot members 304 and 305. When the camera lens housing 302 rotates with respect to the first hinge axis A1, smooth rotation is achieved.

본 실시 예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300)는 상기 제2 회동 부재(305)가 상기 제1 힌지축(A1) 방향으로 직선 운동함으로써, 상기 카메라 렌즈 하우징(302)은 상기 제1 개구(335) 또는 제2 개구(313)를 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조절 노브(303)를 상기 제1 회전축(A1)에 대하여 회전시키면, 상기 카메라 렌즈 하우징(302)은 제2 개구(313) 또는 제3 개구를 향하게 된다. 이때, 상기 카메라 렌즈 하우징(302)이 제1 개구(335)를 향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조절 노브(303)를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가이드 리브(397a)와 상기 가이드 경사부(354a, 354b)의 경사면(354b)에 의해 상기 카메라 렌즈(321)는 제3 개구를 향하게 된다. In the camera lens assembly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the second rotation member 305 linearly moves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hinge axis A1, so that the camera lens housing 302 may have the first opening 335 or the first movement. It faces the 2 opening 313. In addition, when the adjustment knob 303 is rotated about the first rotation axis A1, the camera lens housing 302 faces the second opening 313 or the third opening. At this time, when the adjustment knob 303 is rotated while the camera lens housing 302 faces the first opening 335, the inclined surfaces of the guide ribs 397a and the guide inclined portions 354a and 354b. 354b causes the camera lens 321 to face the third opening.

이상으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는 한 개의 카메라 렌즈 모듈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두 개 이상의 방향 중에서 촬영 방향을 선택할 수 있으므로, 사용이 편리하고 제품 원가 절감에 효과적이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을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select a shooting direction from two or more directions according to the user's needs by using one camera lens module, which is convenient to use and effective in reducing product cost. Meanwhile,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but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42)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In a portable terminal, (a) 제1 하우징;(a) a first housing; (b) 제2 하우징;(b) a second housing; (c) 상기 제1,2 하우징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시키는 힌지 하우징;(c) a hinge housing rotatably connecting the first and second housings; (d) 상기 힌지 하우징 내부에 수용된 회전성 카메라 렌즈 하우징; 및(d) a rotatable camera lens housing housed inside the hinge housing; And (e) 상기 힌지 하우징에 형성되며, 상기 수용된 카메라 렌즈 하우징의 회전에 따라서 카메라 렌즈가 적어도 두 번 이상 노출되게 하는 개방 수단으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e) a portable terminal, which is formed in the hinge housing and comprises opening means for exposing the camera lens at least twice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accommodated camera lens hous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 수단은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said opening means is 상기 힌지 하우징의 측면에 형성된 제1개구;A first opening formed at a side of the hinge housing; 상기 힌지 하우징의 외주면에 제공된 제2개구; 및A second opening provid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inge housing; And 상기 제2개구와 이격된 곳에 형성된 제3개구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And a third opening form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opening.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개구는 상기 제2,3개구보다 크게 개방되고, 상기 제1개구는 상기 회전성 카메라 렌즈 하우징의 일부가 노출될 정도의 크기로 개방되며, 상기 제2,3개구는 동일한 형상으로 개방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first opening is larger than the second and third openings, and the first opening is open to a size such that a part of the rotatable camera lens housing is exposed. A portab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opening is opened in the same shap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성 렌즈 하우징의 회전 각도를 수동으로 조절하기 위한 조절 수단이 더 구비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The portable terminal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djusting means for manually adjusting a rotation angle of the rotatable lens housing.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 수단은 상기 제1 하우징의 저면 에지에 형성되고, 상기 카메라 렌즈 힌지 하우징에 근접하게 장착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5.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said adjusting means is formed at the bottom edge of said first housing and is mounted in close proximity to said camera lens hinge housing.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 수단은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said adjusting means 상기 제1 하우징의 에지에서 수동으로 조작 가능하도록 일부가 돌출되게 위치하며, 상기 회전성 렌즈 하우징의 힌지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이격된 다른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제공된 톱니형 기어; 및A toothed gear positioned to protrude manually from an edge of the first housing and rotatably provided about another hinge axis spaced apart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hinge axis of the rotatable lens housing; And 상기 카메라 렌즈 힌지 하우징 내에 장착되어서 상기 톱니형 기어의 회전을 상기 카메라 렌즈 하우징에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어들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휴대용 단말기.And at least one gear mounted in the camera lens hinge housing to provide rotation of the toothed gear to the camera lens hous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성 카메라 렌즈 하우징은 구형으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The portable terminal of claim 1, wherein the rotatable camera lens housing has a spherical shap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은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first housing 그의 상면에 다수 개의 키들의 배열로 이루어진 키 어레이와, 상기 키 어레이와 근접하는 마이크 장치; 및 A key array having an array of a plurality of keys on an upper surface thereof, and a microphone device in close proximity to the key array; And 그의 하면에 장착된 배터리 팩으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A portable terminal comprising a battery pack mounted on the lower surface thereof.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하우징은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econd housing 그의 상면에 장착된 보조 표시 장치; 및 An auxiliary display device mounted on an upper surface thereof; And 그의 하면에 장착된 주 표시 장치와, 상기 주 표시 장치와 근접하는 스피커 장치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And a main display device mounted on the lower surface thereof, and a speaker device proximate the main display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하우징은The hinge housing of claim 1, wherein the hinge housing 상기 제1 하우징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한 쌍의 사이드 힌지 암;A pair of side hinge arms integrally formed in said first housing; 상기 제2 하우징에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한 쌍의 사이드 힌지 암 사이에 결합되는 센터 힌지 암; 및A center hinge arm integrally formed in the second housing and coupled between the pair of side hinge arms; And 상기 한 쌍의 사이드 힌지 암의 힌지축 방향으로 형성된 카메라 렌즈 힌지 암으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And a camera lens hinge arm formed in a hinge axis direction of the pair of side hinge arms.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렌즈 힌지 하우징 내부에 소정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소정의 제1각도 이내에서 상기 회전성 카메라 렌즈 하우징이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The portable terminal of claim 10, wherein the rotatable camera lens housing is rotatably received within the camera lens hinge housing within a predetermined first angle about a predetermined rotation axis.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제1각도는 180°이내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The portable terminal of claim 11, wherein the predetermined first angle is within 180 degrees.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In a portable terminal, (a) 제1 하우징;(a) a first housing; (b) 상기 제1 하우징에서 대면한 상태에서 제1 힌지축을 중심으로 가깝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제1 힌지축과 수직 방향으로 향하는 제2 힌지축을 중심으로 뒤틀리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제2 하우징;(b) a second housing rotating in a direction close to or away from the first hinge axis in a state facing the first housing, and rotating in a twisting direction about a second hinge axis perpendicular to the first hinge axis; ; (c) 상기 제1, 2 하우징 사이에 제공되어 상기 제1 힌지축 방향으로 연장된 힌지 하우징;(c) a hinge housing provid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housings and extending in the first hinge axis direction; (d) 상기 힌지 하우징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며, 상기 제1 힌지축의 수직 방향임과 동시에 상기 제2 힌지축과 이격된 제3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회전성 카메라 렌즈 하우징; 및(d) a rotatable camera lens housing rotatably received in the hinge housing and rotatably mounted about a third hinge axis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hinge axis in a vertical direction of the first hinge axis; And (e) 상기 힌지 하우징에 형성되며, 상기 수용된 카메라 렌즈 하우징의 상기 제3 힌지축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에 따라서 카메라 렌즈가 적어도 두 번 이상 노출되게 하는 개방 수단으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e) a portab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in the hinge housing and comprises opening means for exposing the camera lens at least twice in accordance with a rotation about the third hinge axis of the accommodated camera lens housing.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 수단은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opening means 상기 힌지 하우징의 제1 힌지축 방향으로 개방된 제1개구;A first opening opened in a first hinge axis direction of the hinge housing; 상기 제3힌지축으로부터 이격된 상기 힌지 하우징의 외주면에 이격된 곳에 형성된 제2개구; 및A second opening form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inge housing spaced from the third hinge shaft; And 상기 제3힌지축을 중심으로 상기 제2개구의 반대편에 형성된 제3개구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And a third opening formed at an opposite side of the second opening about the third hinge axis.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하우징이 제1 하우징에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제2 힌지축과 제3힌지축은 서로 이격된 상태에서 평행하고,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when the second housing is closed in the first housing, the second hinge axis and the third hinge axis are parallel to each other, 상기 제1 하우징에서 상기 제2 하우징이 완전히 열린 상태에서는 상기 제2 힌지축과 제3힌지축은 이격된 상태에서 엇갈린 방향으로 향하고, In a state in which the second housing is completely opened in the first housing, the second hinge axis and the third hinge axis face in a staggered direction while being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상기 제1 하우징에서 제2 하우징이 90° 열린 상태에서는 상기 제2 힌지축과 제3힌지축이 이격된 상태에서 서로 수직 방향으로 향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And a second hinge axis and a third hinge axis in a state where the second housing is opened at 90 ° from the first housing so as to face in a vertical direction to each other.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힌지축은 제1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함과 동시에 수직 방향으로 향하고,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second hinge axis is rotated about the first hinge axis and at the same time in the vertical direction, 상기 제3힌지축은 상기 제2 힌지축을 중심으로 이격된 상태에서 평행하거나, 수직방향으로 향하거나, 경사진 엇갈린 방향으로 향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The third hinge axis is a portab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facing in the parallel, vertical direction, or inclined staggered direction in a state spaced about the second hinge axis.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은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first housing 그의 상면에 다수 개의 키들의 배열로 이루어진 키 어레이; 및A key array composed of an arrangement of a plurality of keys on an upper surface thereof; And 상기 키 어레이와 근접하는 마이크 장치로 구성되고, 그의 하면에 배터리 팩이 착탈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And a microphone device proximate to the key array, wherein a battery pack is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a lower surface thereof.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하우징은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second housing 그의 상면에 장착된 보조 표시 장치; 및An auxiliary display device mounted on an upper surface thereof; And 그의 하면에 장착된 주 표시 장치와, 상기 주 표시 장치와 근접하게 장착된 스피커 장치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And a speaker device mounted in close proximity to the main display device.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하우징은The hinge housing of claim 13, wherein the hinge housing 상기 제1 하우징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한 쌍의 사이드 힌지 암;A pair of side hinge arms integrally formed in said first housing; 상기 제2 하우징에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한 쌍의 사이드 힌지 암 사이에 결합되는 센터 힌지 암; 및A center hinge arm integrally formed in the second housing and coupled between the pair of side hinge arms; And 상기 한 쌍의 사이드 힌지 암의 힌지축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2 하우징 사이에 제공된 카메라 렌즈 힌지 암으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And a camera lens hinge arm form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housings in a hinge axis direction of the pair of side hinge arms.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성 카메라 렌즈 하우징은 소정의 제1각도 이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The portable terminal of claim 13, wherein the rotatable camera lens housing is rotatably received within a predetermined first angle.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제1각도는 90° 내지 180°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The portable terminal of claim 20, wherein the predetermined first angle is 90 ° to 180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개구는 상기 제2,3개구보다 크게 개방되고, 상기 제1개구는 상기 회전성 카메라 렌즈 하우징의 일부가 노출되어 터치할 정도의 크기로 개방되며, 상기 제2,3개구는 동일한 형상으로 개방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15. The apparatus of claim 14, wherein the first opening is larger than the second and third openings, and the first opening is open to a size such that a part of the rotatable camera lens housing is exposed and touched. , The three openings are characterized in that the portable terminal is opened in the same shape.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성 카메라 렌즈 하우징은 구형으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The portable terminal of claim 13, wherein the rotatable camera lens housing has a spherical shape.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성 렌즈 하우징의 회전 각도를 수동으로 조절하기 위한 조절 수단이 더 구비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The portable terminal of claim 13, further comprising adjusting means for manually adjusting a rotation angle of the rotatable lens housing.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 수단은 상기 제1 하우징의 저면 에지에 형성되고, 상기 카메라 렌즈 힌지 하우징에 근접하게 장착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25.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claim 24, wherein said adjusting means is formed at the bottom edge of said first housing and is mounted in close proximity to said camera lens hinge housing.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 수단은The method of claim 24, wherein said adjusting means 상기 제1 하우징의 에지에서 일부가 돌출되게 위치하며, 상기 회전성 렌즈 하우징의 제3힌지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이격된 제4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제공된 톱니형 기어; 및A toothed gear positioned to protrude from an edge of the first housing and rotatably provided about a fourth hinge axis spaced apart in a direction parallel to a third hinge axis of the rotatable lens housing; And 상기 제1 하우징 내에 장착되어서 상기 톱니형 기어의 회전을 상기 카메라 렌즈 하우징에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어들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휴대용 단말기.And at least one gear mounted in the first housing to provide rotation of the toothed gear to the camera lens housing.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에 있어서,In the camera lens assembly of a portable terminal, (a)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일측에 구비되고,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제1 힌지축과, 상기 제1 힌지축의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제3 힌지축을 제공하는 실린더 형상의 카메라 렌즈 힌지 암;(a) a cylindrical camera lens hinge arm provided on one side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providing a first hinge axis extending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third hinge axis extending in a vertical direction of the first hinge axis; (b)상기 카메라 렌즈 힌지 암 내에 수용되어 상기 제1 힌지축과 상기 제3 힌지축 각각에 대하여 회전하는 카메라 렌즈 하우징;(b) a camera lens housing accommodated in the camera lens hinge arm and rotating about each of the first hinge axis and the third hinge axis; (c)상기 카메라 렌즈 힌지 암의 일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카메라 렌즈 하우징을 상기 제1 힌지축에 대하여 회전시키는 제1 조절 노브(knob); 및(c) a first adjustment knob rotatably coupled to one end of the camera lens hinge arm to rotate the camera lens housing about the first hinge axis; And (d)상기 카메라 렌즈 힌지 암의 외주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카메라 렌즈 하우징을 상기 제3 힌지축에 대하여 회전시키는 제2 조절 노브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and (d) a second adjustment knob rotatably coupled to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mera lens hinge arm to rotate the camera lens housing about the third hinge axis. 제2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7, 상기 제1 조절 노브는 상기 제1 힌지축 상에 위치되어 상기 제1 힌지축에 대하여 회전하고,The first adjustment knob is located on the first hinge axis and rotates about the first hinge axis, 상기 제2 조절 노브는 상기 제3 힌지축 상에 위치되어 상기 제3 힌지축에 대하여 회전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And the second adjustment knob is positioned on the third hinge axis and rotates about the third hinge axis.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조절 노브는,The method of claim 27, wherein the first adjustment knob, 상기 제1 힌지축 방향으로 관통하는 제1 개구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And a first opening penetrating in the first hinge axis direction.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렌즈 힌지 암은,The method of claim 27, wherein the camera lens hinge arm, 그 외주면에 서로 근접하게 형성된 한쌍의 제2 개구와, 상기 제3 힌지축을 중심으로 상기 제2 개구의 반대편에 형성된 제1 개구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And a pair of second opening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each other, and a first opening formed on an opposite side of the second opening about the third hinge axis. 제2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7, 상기 카메라 렌즈 하우징의 외주면에 원주 방향을 따라 각각 형성되어 상기 카메라 렌즈 하우징의 회전궤적을 제공하고, 소정 위치에서 서로 교차하여 그 교차점이 상기 제1, 제3 힌지축 각각에 대하여 대칭되게 위치하는 한 쌍의 가이드 홈;As long as they ar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mera lens housing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o provide a rotational trajectory of the camera lens housing, and intersect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nd their intersection points are symmetrically positioned with respect to the first and third hinge axes, respectively. Pair of guide grooves; 상기 제1 조절 노브의 내측면으로부터 상기 제1 힌지축 방향으로 돌출되어, 선택된 하나의 상기 가이드 홈에 맞물리는 제1 가이드 돌기; 및A first guide protrusion projecting from an inner side surface of the first adjustment knob in the first hinge axis direction to engage the selected one of the guide grooves; And 상기 제2 조절 노브의 내측면으로부터 상기 제3 힌지축 방향으로 돌출되어, 선택된 다른 하나의 가이드 홈에 맞물리는 제2 가이드 돌기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And a second guide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second adjustment knob in the third hinge axis direction to engage with the other guide groove selected. 제3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1, wherein 상기 카메라 렌즈 힌지 암의 외주면에 함몰 형성되는 안착홈;A seating recess formed i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mera lens hinge arm; 상기 제2 가이드 돌기에 상응하도록 상기 안착홈 상에 형성되어 상기 제2 가이드 돌기를 상기 카메라 렌즈 힌지 암 내측으로 돌출시키는 회전 홀을 더 구비하고,And a rotation hole formed on the seating groove so as to correspond to the second guide protrusion to protrude the second guide protrusion into the camera lens hinge arm. 상기 제2 조절 노브는 상기 제3 힌지축을 중심으로 대칭인 형상이며, 상기 회전 홀은 상기 제3 힌지축을 중심으로 상기 제2 조절 노브가 회전하는 방향으로 소정 각도범위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The second adjustment knob has a symmetrical shape with respect to the third hinge axis, and the rotating hole is formed in a predetermined angle range in a direction in which the second adjustment knob rotates around the third hinge axis. Camera lens assembly. 제2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7, 상기 제1 힌지축으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상기 카메라 렌즈 하우징의 일측면으로부터 상기 제1 힌지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스토퍼 돌기;A stopper protrusion spaced apart from the first hinge axis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extending from the one side surface of the camera lens housing in the first hinge axis direction; 상기 카메라 렌즈 힌지 암의 내측단에 고정되어 상기 카메라 렌즈 하우징에 대면하고, 자체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카메라 렌즈 하우징에 밀착되는 텐션 플레이트;A tension plate fixed to an inner end of the camera lens hinge arm to face the camera lens housing and in close contact with the camera lens housing by its elastic force; 상기 스토퍼 돌기의 회전궤적을 따라 상기 텐션 플레이트 상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토퍼 홀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하우징.And at least one stopper hole formed on the tension plate along a rotational trajectory of the stopper protrusion.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에 있어서,In the camera lens assembly of a portable terminal, (a)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일측에 구비되고,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제1 힌지축과, 상기 제1 힌지축의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제3 힌지축을 제공하는 실린더 형상의 카메라 렌즈 힌지 암;(a) a cylindrical camera lens hinge arm provided on one side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providing a first hinge axis extending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third hinge axis extending in a vertical direction of the first hinge axis; (b)상기 카메라 렌즈 힌지 암 내에 상기 제1 힌지축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회동 부재;(b) a first pivot member rotatably coupled to the first hinge axis within the camera lens hinge arm; (c)상기 제3 힌지축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제1 회동 부재에 결합되는 카메라 렌즈 하우징; 및(c) a camera lens housing coupled to the first pivot member to be rotatable about the third hinge axis; And (d)상기 카메라 렌즈 하우징을 통해 상기 제1 회동 부재와 링크 결합되어 상기 제1 힌지축 방향으로 출몰하고, 상기 제1 힌지축 방향으로 출몰함에 따라 상기 카메라 렌즈 하우징을 상기 제3 힌지축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2 회동 부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d) coupled to the first pivot member through the camera lens housing to be retracted in the first hinge axis direction, and to be retracted in the first hinge axis direction to move the camera lens housing in the third hinge axis direction. A camera lens assembly of a portable terminal comprising a second rotating member for rotating. 제3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4, wherein 상기 제1 회동 부재로부터 상기 제1 힌지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링크 암;At least one first link arm extending from the first pivot member in the first hinge axis direction; 상기 제2 회동 부재로 상기 제1 힌지축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링크 암과 마주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링크 암;At least one second link arm extending in the first hinge axis direction to the second pivot member and facing the first link arm; 상기 카메라 렌즈 하우징에 구비되어 상기 제1 및 제2 링크 암의 단부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적어도 한 쌍 이상의 링크 돌기들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And at least one pair of link protrusions provided in the camera lens housing and rotatably coupled to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link arms, respectively.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렌즈 하우징은,The method of claim 35, wherein the camera lens housing, 실린더 형상이며, 그 양 단부면에 각각 한 쌍의 상기 링크 돌기들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The cylindrical lens shape, the camera lens assembly of a portab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a pair of the link projections are provided on each end surface.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링크 암은,The method of claim 35,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link arms, 각각 한 쌍으로 연장되고, 그 단부에 각각 상기 링크 돌기들에 상응하는 링크 홀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Each of the camera lens assembly of the portab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extending in pairs, at each end of the link holes corresponding to the link projections are formed. 제3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7, 상기 제2 링크 암의 단부에 형성되는 링크 홀은 상기 제1 힌지축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장공형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Link hole formed in the end of the second link arm is a camera lens assembly of the portab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elongated shape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first hinge axis. 제34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34, wherein 상기 제2 회동 부재에는 상기 제1 힌지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노출용 개구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The second rotation member of the camera lens assembly of the portab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further provided with an opening for exposure extending in the first hinge axis direction. 제3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4, wherein 상기 제2 회동 부재의 일단에 결합되어 상기 제1 회동 부재, 카메라 렌즈 하우징 및 제2 회동 부재를 상기 제1 힌지축에 대하여 회전시키는 노브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And a knob coupled to one end of the second pivot member to rotate the first pivot member, the camera lens housing, and the second pivot member about the first hinge axis.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렌즈 힌지 암은,The method of claim 34, wherein the camera lens hinge arm, 그 외주면에 서로 근접하게 형성된 한쌍의 제2 개구와, 상기 제3 힌지축을 중심으로 상기 제2 개구의 반대편에 형성된 제1 개구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And a pair of second opening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each other, and a first opening formed on an opposite side of the second opening about the third hinge axis.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In a portable terminal, (a) 제1 하우징;(a) a first housing; (b) 일 방향으로 연장된 힌지축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제1 하우징에 연결된 제2 하우징;(b) a second housing connected to the first housing to be rotatable about a hinge axis extending in one direction; (c) 상기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시키는 힌지 하우징; 및(c) a hinge housing rotatably connecting the first housing and the second housing; And (d) 상기 힌지 하우징 내부에 수용된 회전성 카메라 렌즈 하우징을 구비하고, (d) a rotatable camera lens housing housed inside the hinge housing, 상기 카메라 렌즈 하우징은 상기 힌지 하우징 내부에서 회전함으로써 상기 힌지축 방향 및 상기 힌지축의 수직방향으로 촬영이 가능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And the camera lens housing is rotatable inside the hinge housing to photograph in the hinge axis direction and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hinge axis.
KR1020030056031A 2003-04-14 2003-08-13 Mobile phone with rotational camera lens housing KR100557065B1 (en)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097017A JP4188867B2 (en) 2003-04-14 2004-03-29 Portable terminal equipped with a rotating camera lens housing
US10/819,430 US20040203535A1 (en) 2003-04-14 2004-04-07 Mobile phone having a rotational camera lens housing
EP04008781A EP1469656A3 (en) 2003-04-14 2004-04-13 Mobile phone having a rotational camera lens housing
CNB2004100329871A CN100409649C (en) 2003-04-14 2004-04-14 Mobile phone having rotational camera lens hous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3301 2003-04-14
KR20030023301 2003-04-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9425A KR20040089425A (en) 2004-10-21
KR100557065B1 true KR100557065B1 (en) 2006-03-03

Family

ID=373709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6031A KR100557065B1 (en) 2003-04-14 2003-08-13 Mobile phone with rotational camera lens hous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57065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68397A (en) * 2012-10-17 2015-06-19 고어텍 인크 Built-In and Implementation Method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2581B1 (en) * 2005-05-13 2012-05-03 삼성전자주식회사 Camera lens assembly for portable terminal
KR100690768B1 (en) * 2005-05-26 2007-03-09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having speaker
KR102619948B1 (en) * 2019-04-09 2024-01-03 삼성전자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including rotational type optical modul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68397A (en) * 2012-10-17 2015-06-19 고어텍 인크 Built-In and Implementation Method Thereof
KR101714283B1 (en) * 2012-10-17 2017-03-08 고어텍 인크 Built-In and Implementation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9425A (en) 2004-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88867B2 (en) Portable terminal equipped with a rotating camera lens housing
KR100703495B1 (en) Bi-directional sliding-type portable phone
KR100663573B1 (en) Tri-hinge folder type portable communication apparatus
KR100842529B1 (en) Portable terminal with hinge apparatus
KR100842530B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100703402B1 (en) Mobile phone having camera lens module with multi-direction
KR100532334B1 (en) Sliding/folding type portable digital communication device
EP1653713B1 (en) Portable and foldab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606003B1 (en) Portable wireless terminal
US20050245297A1 (en)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with sliding and pop-up type keypads
KR100640395B1 (en) Dual hinge device for portable telephone and mounting mechanism thereof
KR100640342B1 (en) Swing-type portable digital communication device with step-compensated mechanism
KR100703496B1 (en) Sliding type portable device
KR20050050334A (en) Game/communication combination portable device with stick function
KR100557065B1 (en) Mobile phone with rotational camera lens housing
KR100539934B1 (en) Portable communication apparatus
KR100689472B1 (en)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KR20050075561A (en) Portable digital communication device
US20060132851A1 (en) Slide type portable device having an optical zoom assembly
KR100790089B1 (en) Mobile phone having stopper device
KR100681089B1 (en) Swing typ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for game and hinge apparatus thereof
KR100469855B1 (en)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KR100594091B1 (en) Sliding/swing type portable digital communication apparatus
KR20050080336A (en) Portable digital communication device with improved grip
KR100790169B1 (en) Swing hinge apparatus for portable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8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