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51077B1 - method for managing downloaded menu picture based on moving image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Google Patents

method for managing downloaded menu picture based on moving image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1077B1
KR100551077B1 KR1020040039067A KR20040039067A KR100551077B1 KR 100551077 B1 KR100551077 B1 KR 100551077B1 KR 1020040039067 A KR1020040039067 A KR 1020040039067A KR 20040039067 A KR20040039067 A KR 20040039067A KR 100551077 B1 KR100551077 B1 KR 1005510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nu screen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menu
bas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906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50113922A (en
Inventor
박기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웰게이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웰게이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웰게이트
Priority to KR10200400390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1077B1/en
Publication of KR200501139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392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10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107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72Means for inserting a foreground image in a background image, i.e. inlay, outla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메뉴화면 위에 외부로부터 장식을 위해 다운로드받은 메뉴화면을 오버레이시켜 디스플레이하되 임의의 키이벤트의 발생시 기본메뉴화면의 변화에 연계하여 장식메뉴화면이 동적으로 변화될 수 있도록 관리하는 기술적 토대를 제공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적 이미지를 기반으로 한 다운로드 메뉴화면 관리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overlays and displays the downloaded menu screen for decoration from the outside on the menu screen basically provid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ut the decoration menu screen is dynamically changed in connection with the change of the basic menu screen when any key event occur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managing a download menu screen based on a dynamic imag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provides a technical foundation for managing the information.

본 발명은 단말기 제조사에서 제공하는 기본메뉴화면 이미지데이터 및 외부로부터 다운로드받고 상기 기본메뉴화면에 포함된 메뉴항목의 내용, 항목수 및 순서와 일치하는 메뉴항목의 내용, 항목수 및 순서를 갖는 장식메뉴화면으로 사용될 동적 이미지파일을 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동적 이미지파일을 실행하는 재생기 프로그램을 갖춘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상기 기본메뉴화면 위에 상기 장식메뉴화면이 오버레이되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상기 재생기 프로그램에 의해 이루어지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적 이미지를 기반으로 한 메뉴화면 관리 방법에 있어서, 임의의 키이벤트의 발생시 상기 동적 이미지파일을 실행시켜 상기 키이벤트에 따른 상기 기본메뉴화면의 변화에 연계하여 변화될 상기 장식메뉴화면을 상기 기본메뉴화면 위에 오버레이시켜 디스플레이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asic menu screen image data provided by a terminal manufacturer and a decorative menu having contents of a menu item corresponding to the contents, the number and the order of the menu items downloaded from the outside and included in the basic menu scree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toring a dynamic image file to be used as a screen and having a player program for executing the dynamic image fil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eing made by the player program in a state in which the decorative menu screen is overlaid and displayed on the basic menu screen. A method of managing a menu screen based on a dynamic imag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hod comprising: executing the dynamic image file when a random key event occurs and executing the decorative menu screen to be changed in association with the change of the basic menu screen according to the key event. Overlay on the menu screen It characterized in that the display to light up.

이동통신, 단밀기, 키이벤트, 메뉴화면, 동적, 이미지, 플래시Mobile communication, press, key event, menu screen, dynamic, image, flash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적 이미지를 기반으로 한 다운로드 메뉴화면 관리방법{method for managing downloaded menu picture based on moving image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Method for managing downloaded menu picture based on moving image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1은 종래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뉴화면 관리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기능 구성 기반의 흐름도,1 is a flow chart based on a functional configuration for explaining a menu screen management method of a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적 이미지를 기반으로 한 다운로드 메뉴화면 관리방법에서 플래시파일을 다운로드받는 다양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2A to 2C are flowcharts for describing various embodiments of downloading a flash file in a download menu screen management method based on a dynamic imag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적 이미지를 기반으로 한 다운로드 메뉴화면 관리방법의 여러 실시예를 그 기능 구성과 관련하여 설명한 흐름도,3A and 3B are flowcharts illustrating various embodiments of a method for managing a download menu screen based on a dynamic imag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spect to its functional configuration;

도 4a 내지 도 4e는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적 이미지를 기반으로 한 다운로드 메뉴화면 관리방법에서 장식메뉴화면이 기본메뉴화면에 오버레이되는 양태를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4A to 4E are screen views illustrating an aspect in which a decoration menu screen is overlaid on a basic menu screen in a download menu screen management method based on a dynamic imag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적 이미지를 기반으로 한 메뉴화면 관리방법을 O/S 프로그램을 주체로 하여 설명한 흐름도이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nu screen management method based on a dynamic imag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ainly using an O / S program.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 ***

10: 키이벤트 처리모듈, 12: 데이터 저장부,10: key event processing module, 12: data storage,

14, 14a, 14b: O/S 프로그램, 16: 디스플레이 구동모듈,14, 14a, 14b: O / S program, 16: Display drive module,

18: 플래시 재생기18: flash player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메뉴화면 위에 외부로부터 장식을 위해 다운로드받은 메뉴화면을 오버레이시켜 디스플레이하되 임의의 키이벤트의 발생시 기본메뉴화면의 변화에 연계하여 장식메뉴화면이 동적으로 변화될 수 있도록 관리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적 이미지를 기반으로 한 다운로드 메뉴화면 관리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overlays and displays the downloaded menu screen for decoration from the outside on the menu screen basically provid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ut the decoration menu screen is dynamically changed in connection with the change of the basic menu screen when any key event occur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managing a download menu screen based on a dynamic imag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anaged so as to be managed.

근래 들어 통신 및 반도체 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이하 통신기능을 갖춘 PDA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사용한다)가 전 국민의 필수 휴대품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이러한 이동통신 단말기에는 호(Call)와 관련된 각종 신호음이나 폴더를 펼쳤을 때 나타나는 대기화면 및 단말기에 구비된 각종 기능을 변경하는데 사용되는 메뉴화면의 이미지나 아이콘(이하 "이미지"로 총칭한다)이 다수개가 구비되어 있는데, 사용자는 이 중에서 자기의 취향에 맞는 신호음이나 이미지를 선택할 수가 있다.In recent years,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communication and semiconductor technology,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hereinafter referred to as PDAs with communication functions) have become an essential portable device for the whole nation. Thes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have a large number of images or icons (hereinafter collectively referred to as "images") of menu screens used to change various functions provided in the terminal and standby screens displayed when various signals or folders related to a call are unfolded. Dogs are provided, and the user can select a tone or an image according to his or her taste.

한편 이동통신 단말기를 끼고 사는 젊은 층의 경우에 이동통신 단말기가 또래 사이에서 주된 대화나 관심의 대상이 되기 때문에 자기만의 개성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꾸미고자 하는 욕구가 매우 강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동통신 단말기 제조사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신호음이나 이미지만으로는 이들의 욕구가 충족되지 못하기 때문에 이러한 현상을 반영하여 최신의 신호음이나 이미지를 이동통 신 단말기에 다운로드 시켜주는 서비스가 성업 중에 있고, 단말기 제조사에서도 이러한 서비스를 고려하여 단말기에 외부로부터 신호음이나 이미지를 다운로드받을 수 있는 기능과 저장 공간을 마련해 두고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young people living with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the desire to decorate their own uniqu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very strong becaus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the main subject of conversation or interest among peers. However, because the signal or image basically provided by the mobile terminal manufacturer does not satisfy their desires, the service to download the latest signal or image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eflecting this phenomenon is in progress. In consideration of these services, the terminal has a function and a storage space for downloading a beep or an image from the outside.

도 1은 종래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뉴화면 관리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기능 구성 기반의 흐름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뉴화면 관리방법이 구현되는 기능 구성은 크게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패드를 통해 선택된 키코드를 발생시키는 키이벤트 처리모듈(10), 프로그램 메모리(미도시)에 탑재되고 마이크로 프로세서(미도시)에 의해 수행되어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O/S 프로그램(14), 메뉴화면을 구성하는 이미지 및 사용자가 설정한 각종 메뉴관련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 저장부(12) 및 O/S 프로그램(14)의 지시에 따라 하드웨어인 디스플레이 유닛(미도시)을 구동하는 디스플레이 구동모듈(16)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1 is a flowchart of a functional configuration for explaining a menu screen management method of a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s shown in FIG. 1, a functional configuration in which a menu screen management method of a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implemented is largely a key event processing module 10 for generating a selected key code through a keypa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program memory (not shown). O / S program (14) mounted on the board and executed by a microprocessor (not shown) to control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terminal, an image constituting the menu screen, and data storage for storing various menu related information set by the user. According to the instructions of the unit 12 and the O / S program 14, it may include a display driving module 16 for driving a display unit (not shown) that is hardware.

전술한 구성에 있어서, 단말기의 폴더가 펼쳐지면 나타나는 대기화면 상태에서 사용자가 '메뉴키'를 입력하게 되면, 키이벤트 처리모듈(10)에서는 이에 해당하는 키코드를 발생시켜서 O/S 프로그램(14)에 전달(S2)하고, O/S 프로그램(14)은 이렇게 전달받은 키코드에 대응하여 단말기 제조사에서 기본값으로 제공하거나 사용자 설정의 상위 기본메뉴화면 이미지데이터를 데이터 저장부(12)로부터 독출(S4)한 후에 디스플레이 구동모듈(16)에 전달(S6)하여 상위 기본메뉴화면이 액정 패널에 표시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단말기의 키패드에서 이동키를 조작하여 원하는 메뉴항목을 지정한 후에 원하는 기능을 설정을 할 수가 있다. 그리고 이와 같 이 이동키를 조작하는 키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에 O/S 프로그램(14)에서는 예를 들어 지정된 메뉴항목 이미지의 색상을 반전시키도록 디스플레이 구동모듈(16)에 지시하여 사용자가 자기가 지정한 메뉴항목을 알 수 있도록 하고,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확인키'를 누르는 경우에는 당해 메뉴항목에 종속된 하위 기본메뉴화면을 출력하도록 디스플레이 구동모듈(16)에 지시하게 된다.In the above configuration, when the user enters the 'menu key' in the standby screen state that appears when the folder of the terminal is unfolded, the key event processing module 10 generates a corresponding key code to generate the O / S program 14 S2, and the O / S program 14 provides the default value from the terminal manufacturer or reads the upper basic menu screen image data of the user setting from the data storage unit 12 in response to the received key code. After S4), the display is transferred to the display driving module 16 (S6) so that the upper basic menu screen is displayed on the liquid crystal panel. In this state, the user can set the desired function after designating the desired menu item by operating the navigation key on the keypad of the terminal. In the event of a key event for manipulating the movement key as described above, the O / S program 14 instructs the display driving module 16 to invert the color of the designated menu item image, for example, by the user. In order to know the menu item, and in this state, when the user presses the 'OK', the display driving module 16 is instructed to output the lower basic menu screen dependent on the menu item.

한편 근래에 들어서 웹 문서에서는 동적 이미지를 사용하여 다양하고 풍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현하는 것이 유행하고 있는데, 이러한 동적 이미지를 저작하는 도구로 대표적인 것이 플래시(Flash)이다. 플래시는 Macromedia사에서 만든 웹기반의 애니메이션 저작도구로 이를 한마디로 정의한다면 대화식 벡터 무비 저작도구라 할 수 있다. 이러한 플래시에서는 트위닝(Tweening)과 같이 처음 프레임과 마지막 프레임만 만들어 주면 그 사이의 프레임들을 자동으로 만들어 주는 명령 등이 마련되어 있어서 키의 움직임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하는 동적 이미지를 쉽게 제작할 수가 있다. 플래시파일의 확장자로는 "FLA"나 "SWF" 등이 사용되고 있다.On the other hand, in recent years, it is popular to implement various and rich user interfaces using dynamic images in web documents, and Flash is the representative tool for authoring such dynamic images. Flash is a web-based animation authoring tool created by Macromedia, which, in short, is an interactive vector movie authoring tool. In Flash, such as Tweening, the first frame and the last frame are created to automatically create frames between them, and so on, it is easy to create dynamic images that vary with key movement. "FLA" or "SWF" is used as the extension of the flash file.

한편 이러한 추세를 반영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에서도 플래시로 제작된 파일(이하 간단히 '플래시파일'이라 한다)을 재생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탑재하여 기본메뉴화면을 동적 이미지로 표현할 수 있도록 계획하고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제조사에서 제공하는 기본메뉴만으로는 사용자의 개성 표출 욕구를 충족시킬 수 없어서 외부에서 다양한 동적 이미지를 다운로드받을 필요성이 대두되는 바, 현재까지는 외부로부터 동적 이미지를 다운로드받아 메뉴화면을 장식하되 제조사에서 제공하는 키이벤트 발생시 기본메뉴화면과 연계하여 동작할 수 있도록 한 기술적 기 반이 마련되어 있지 않는 실정에 있다.On the other hand, reflecting this tre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planning to display a basic menu screen as a dynamic image by loading a program that can play a file (hereinafter simply referred to as a 'flash file') produced by flash. However, even in this case, the basic menu provided by the manufacturer alone does not satisfy the user's desire to express personality.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download various dynamic images from the outside. Up to now, the menu screen is decorated by downloading the dynamic image from the outside. There is no technical basis to operate in conjunction with basic menu screen when key event provided by.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메뉴화면 위에 외부로부터 장식을 위해 다운로드받은 메뉴화면을 오버레이시켜 디스플레이하되 임의의 키이벤트의 발생시 기본메뉴화면의 변화에 연계하여 장식메뉴화면이 동적으로 변화될 수 있도록 관리하는 기술적 토대를 제공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적 이미지를 기반으로 한 다운로드 메뉴화면 관리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the overlay of the menu screen downloaded for decoration from the outside on the menu screen basically provid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isplayed on the display, but the change of the basic menu screen when any key event occurs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ownload menu screen management method based on a dynamic imag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ich provides a technical basis for managing the decorative menu screen to be dynamically changed in connection with the.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단말기 제조사에서 제공하는 기본메뉴화면 이미지데이터 및 외부로부터 다운로드받고 상기 기본메뉴화면에 포함된 메뉴항목의 내용, 항목수 및 순서와 일치하는 메뉴항목의 내용, 항목수 및 순서를 갖는 장식메뉴화면으로 사용될 동적 이미지파일을 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동적 이미지파일을 실행하는 재생기 프로그램을 갖춘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상기 기본메뉴화면 위에 상기 장식메뉴화면이 오버레이되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상기 재생기 프로그램에 의해 이루어지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적 이미지를 기반으로 한 메뉴화면 관리 방법에 있어서, 임의의 키이벤트의 발생시 상기 동적 이미지파일을 실행시켜 상기 키이벤트에 따른 상기 기본메뉴화면의 변화에 연계하여 변화될 상기 장식메뉴화면을 상기 기본메뉴화면 위에 오버레이시켜 디스플레이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the basic menu screen image data provided by the terminal manufacturer and the contents of the menu items that are downloaded from the outside and included in the basic menu screen, the contents of the menu items matching the number and order, the items The player having a dynamic image file to be used as a decoration menu screen having a number and order, and having the decoration program screen overlaid and displayed on the basic menu screen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player program for executing the dynamic image file. A method of managing a menu screen based on a dynamic imag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ade by a program, wherein the dynamic image file is executed when an arbitrary key event occurs to be changed in association with the change of the basic menu screen according to the key event. Recall the decoration menu screen The display is overlaid on the basic menu screen.

이하에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동적 이미지를 기반으로 한 다운로드 메뉴화면 관리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는데, 동적 이미지파일로 플래시파일을 예로 들어 설명을 진행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download menu screen management method based on the dynamic image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scription will be given taking a flash file as an example of the dynamic image file.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적 이미지를 기반으로 한 다운로드 메뉴화면 관리방법에서 플래시파일을 다운로드받기 위한 다양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2A to 2C are flowcharts illustrating various embodiments for downloading a flash file in a download menu screen managing method based on a dynamic imag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자신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원하는 플래시파일을 다운로드받기 위해서는 PC에서 인터넷을 통해 플래시파일 제공 웹서버에 접속한 상태에서 상기 웹서버에서 제공하는 플래시파일을 검색하여 선택(S10)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웹서버에서는 이에 응답하여 선택된 플래시파일을 상기 PC에 다운로드(S12)하게 되는데,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PC와 자기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케이블로 연결하여 PC를 통해 다운로드받은 플래시파일을 이동통신 단말기로 옮기게 된다(S14). 물론 이러한 다운로드가 가능하기 위해서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외부로부터 다운로드받은 플래시 파일이 저장되는 공간이 미리 지정되어 있어야 할 것이다.First, as illustrated in FIG. 2A, in order to download a desired flash file to a user'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user searches for a flash file provided by the web server while accessing a flash file providing web server through the Internet from a PC. It is selected (S10). Then, in response to the web server, the selected flash file is downloaded to the PC (S12). In this state, the user connects the PC and hi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a cable and downloads the flash file downloaded through the PC. It is moved to the terminal (S14). Of course, in order to enable such a download, a space in which a flash file downloaded from an external device is stored must be specified in advance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다른 실시예로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자기의 PC에서 인터넷을 통해 플래시파일 제공 웹서버에 접속한 후에 상기 웹서버에서 제공하는 플래시파일을 검색하여 선택(S20)한 상태에서 자기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제공하여 검색된 플래시파일을 SMS로 다운로드해줄 것을 요청(S24)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웹서버에서는 상기 전화번호를 전달하여 SMS 센터(S26)로 다운로드를 요청하고, 상 기 SMS 센터에서는 단계 S20에서 선택된 플래시파일이 위치한 콜백 URL이 링크된 SMS를 상기 전화번호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S28)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통화버튼을 누르게 되면 단말기가 플래시파일 제공 왑서버(S30)에 접속되고, 이어서 선택된 플래시파일을 다운로드(S32)받게 된다.In another embodiment, as shown in FIG. 2B, after a user accesses a flash file providing web server through the Internet from his PC, the user searches for and selects a flash file provided by the web server (S20). By providing the phone numb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request to download the retrieved flash file by SMS (S24). Then, the web server transfers the phone number to request a download to an SMS center (S26), and the SMS center sends an SMS linked to the callback URL where the flash file selected in step S20 is loca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phone number. Transfer (S28). In this state, when the user presses the call button, the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flash file providing swap server S30, and then the selected flash file is downloaded (S32).

또 다른 실시예로 도 2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자기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왑브라우저를 실행시킨 상태에서 플래시파일 제공 왑서버에 접속을 한 후에 플래시파일 리스트를 요청(S40)하면, 상기 왑서버에서는 이에 응하여 플래시파일 리스트를 제공(S42)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리스트에서 다운로드받고자 하는 플래시파일을 선택(S44)하면, 왑서버에서는 이렇게 선택된 플래시파일을 이동통신 단말기로 다운로드(S46)하게 된다.In another embodiment, as shown in FIG. 2C, when a user requests a flash file list (S40) after accessing a flash file providing swap server in a state where a user's mobile terminal executes a swap browser, the swap is performed. In response, the server provides a flash file list (S42). In this state, when the user selects the flash file to be downloaded from the list (S44), the swap server downloads the selected flash file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46).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적 이미지를 기반으로 한 다운로드 메뉴화면 관리방법의 여러 실시예를 그 기능 구성과 관련하여 설명한 흐름도인 바, 도 3a는 기본메뉴화면을 구성하는 이미지가 플래시파일과 같은 동적 이미지가 아닌, 정적 이미지로 구현된 예에 대한 것이고, 도 3b는 동적 이미지로 구현된 예에 대한 것이다.3A and 3B are flowcharts illustrating various embodiments of a method of managing a download menu screen based on a dynamic imag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spect to its functional configuration, and FIG. 3A is an image constituting a basic menu screen. Is for an example implemented as a static image, rather than a dynamic image such as a flash file, and FIG. 3B is for an example implemented as a dynamic image.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메뉴화면 관리방법이 구현되는 기능 구성은, 플래시 재생기(18) 프로그램이 더 구비되고 이에 대응하여 O/S 프로그램(14a)이 일부 변경된 것을 제외하면 도 1의 구성과 동일하다. 전술한 구성에 있어서, 사용자가 단말기의 폴더를 펼친 대기화면 상태에서 '메뉴키'를 입력하게 되면, 키이벤트 처리모듈(10)에서는 이에 해당하는 키코드를 발생시켜서 O/S 프 로그램(14a)에 전달(S150)하고, O/S 프로그램(14a)은 이렇게 전달받은 키코드에 대응하여 단말기 제조사에서 기본값으로 제공하거나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상위 기본메뉴화면의 이미지데이터를 데이터 저장부(12)로부터 독출(S152)한 후에 디스플레이 구동모듈(16)에 전달(S154)하여 상위 기본메뉴화면을 액정 패널에 표시하게 된다.As shown in FIG. 3A, the functional configuration in which the menu screen management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is one except that a flash player 18 program is further provided and correspondingly, the O / S program 14a is partially changed. Is the same as the configuration. In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when the user inputs the 'menu key' in the standby screen state in which the folder of the terminal is opened, the key event processing module 10 generates the corresponding key code to generate the O / S program 14a. In step S150, the O / S program 14a provides image data of the upper basic menu screen set by the user or default value set by the user in response to the received key code from the data storage unit 12. After reading (S152), the display is transferred to the display driving module 16 (S154) to display the upper basic menu screen on the liquid crystal panel.

다음으로, O/S 프로그램(14a)은 사용자가 다운로드받아 지정한 장식메뉴용 플래시파일이 존재하는 지를 확인한 후에 존재하는 경우에는 플래시 재생기(18)에 단계 S150에서 전달받은 키이벤트의 내용을 전달(S156)하게 된다. 그러면 플래시 재생기(18)는 데이터 저장부(12)에 저장되어 있는 장식메뉴용 플래시파일을 실행(S160)하고, 실행 결과 얻어진 장식메뉴 이미지데이터를 디스플레이 구동모듈(16)에 전달(S162)하여 해당 장식메뉴화면이 단계 S154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기본메뉴화면 위에 오버레이된 채로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Next, the O / S program 14a checks whether the user-downloaded and designated decoration menu flash file exists, and if present, delivers the contents of the key event received in step S150 to the flash player 18 (S156). ) Then, the flash player 18 executes the decoration menu flash file stored in the data storage unit 12 (S160), and transmits the decoration menu image data obtained as a result of the execution to the display driving module 16 (S162). The decorative menu screen is displayed while being overlaid on the basic menu screen displayed in step S154.

그리고 오버레이되는 형태는 장식메뉴화면이 기본메뉴화면의 전체 영역을 가려서 기본메뉴화면이 안보이게 하거나, 일부 영역만을 가려서 가려지지 않은 부분이 보이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데, 후자의 경우에는 기본메뉴화면의 노출 부분에 대응되는 장식메뉴화면을 투명 이미지로 처리하여 구현할 수가 있을 것이다.And the overlay form may be implemented in such a way that the decorative menu screen covers the entire area of the main menu screen so that the main menu screen is invisible, or only a part of the area shows the unobscured part. The decorative menu screen corresponding to the part may be implemented as a transparent image.

도 4a 내지 도 4f는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적 이미지를 기반으로 한 다운로드 메뉴화면 관리방법에서 장식메뉴화면이 기본메뉴화면에 오버레이되는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이다. 먼저, 도 4a의 화면은 기본메뉴화면을 예시하는데, 여기에는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의 메뉴항목이 마련되어 있으며 현재 사 용자가 지정한 '북마크' 메뉴항목은 나머지의 메뉴항목에 대해 색상이 반전되어 표시되고 있다.4A to 4F are exemplary views illustrating a form in which a decoration menu screen is overlaid on a basic menu screen in the method for managing a download menu screen based on a dynamic imag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First, the screen of FIG. 4A illustrates a basic menu screen. Here, as illustrated, a plurality of menu items are provided, and the 'bookmark' menu item currently designated by the user is displayed in inverted colors for the remaining menu items. have.

도 4b는 도 4a에 도시한 기본메뉴화면에 장식메뉴화면이 오버레이되어 디스플레이된 화면을 도시하고 있는데, 기본메뉴화면의 우하단에 소녀 모양의 동적 이미지(아바타)가 추가되어 있고 나머지는 기본메뉴화면이 노출되는 형태로 구현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이동키를 조작하여 '북마크' 메뉴항목을 지정하게 되면 도 4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녀 모양의 아바타가 '북마크' 메뉴항목을 손에 쥔 막대기를 들어 가리키도록 동적으로 변화된다. 물론 이에 더하여 '북마크' 메뉴 항목을 안내하는 풍선 도움말과 같은 객체를 출현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FIG. 4B shows a screen displayed by overlaying a decorative menu screen on the basic menu screen shown in FIG. 4A. A dynamic image (avatar) of a girl shape is added to the lower right of the basic menu screen, and the rest of the basic menu screen is displayed. This is implemented in an exposed form. In this state, when the user operates the navigation key to designate the 'bookmark' menu item, as shown in FIG. 4C, the girl-shaped avatar is dynamically changed to point to the stick holding the 'bookmark' menu item. Of course, in addition to this, objects such as balloon tips that guide the 'bookmark' menu item may appear.

도 4d는 장식메뉴화면(아래 화면)이 도 4a에 도시한 기본메뉴화면의 전체 영역에 걸쳐서 오버레이되는 양태를 예시하고 있는데,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이동키를 조작하여 '북마크' 메뉴항목을 지정하게 되면 도 4e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녀 모양의 아바타가 '북마크' 메뉴항목을 손에 쥔 막대기를 들어 가리키도록 동적으로 변화된다. 물론 이에 더하여 '북마크' 메뉴 항목을 안내하는 풍선 도움말과 같은 객체를 출현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동적 이미지의 변화 양태는 이외에도 아바타 객체가 그 위치를 상하로 이동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을 것이다.FIG. 4D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a decorative menu screen (the lower screen) is overlaid over the entire area of the basic menu screen shown in FIG. 4A. In this state, when a user operates a navigation key to designate a 'bookmark' menu item, FIG. As shown in FIG. 4E, the girl-shaped avatar is dynamically changed to point to a stick holding a 'bookmark' menu item. Of course, in addition to this, objects such as balloon tips that guide the 'bookmark' menu item may appear. In addition, the changing aspect of the dynamic image may be implemented in such a manner that the avatar object moves its position up and down.

한편 이러한 실시예가 가능하기 위해서는 기본메뉴화면의 메뉴항목의 내용, 항목수 및 순서와 이에 대응되는 장식메뉴화면의 메뉴화면의 내용, 항목수 및 순서는 정확하게 일치해야 하는데, 내용의 경우에는 실질적으로 동일하면 된다. 그리고 이러한 일치는 플래시파일 제공 서버가 이동통신 단말기 제조사가 제공한, 각 기종 에 따른 기본메뉴화면 구성소스에 의거하여 실현할 수가 있을 것이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enable such an embodiment, the contents, number and order of the menu items of the basic menu screen and the contents, number and order of the menu screens of the decorative menu screen corresponding thereto must be exactly the same. Just do it. And this coincidence can be realized by the flash file providing server based on the basic menu screen composition source provided by the mobile terminal manufacturer.

다시 도 3b로 돌아가서, 사용자가 단말기의 폴더를 펼친 대기화면 상태에서 '메뉴키'를 입력하게 되면, 키이벤트 처리모듈(10)에서는 이에 해당하는 키코드를 발생시켜서 O/S 프로그램(14b)에 전달(S170)하고, O/S 프로그램(14b)은 이렇게 전달받은 키코드를 플래시 재생기(18)에 전달(S172)하여 기본메뉴화면 및 장식메뉴화면의 디스플레이를 위탁한다. 그러면, 플래시 재생기(18)에서는 단계 S172에서 전달받은 키이벤트에 대응하여 데이터 저장부(12)에 저장되어 있는 기본메뉴용 플래시파일을 실행(S174)하여 얻어진 기본메뉴 이미지데이터를 디스플레이 구동모듈(16)에 전달(S176)하여 해당 기본메뉴화면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하고, 이어서 장식메뉴용 플래시파일을 실행(S180)하여 얻어진 장식메뉴 이미지데이터를 디스플레이 구동모듈(16)에 전달(S182)하여 장식메뉴화면이 기본메뉴화면 위에 오버레이된 채로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3B again, when the user inputs the 'menu key' in the standby screen state in which the folder of the terminal is unfolded, the key event processing module 10 generates a corresponding key code to the O / S program 14b. In operation S170, the O / S program 14b transmits the received keycode to the flash player 18 in operation S172 to entrust the display of the basic menu screen and the decoration menu screen. Then, the flash player 18 displays the basic menu image data obtained by executing the basic menu flash file stored in the data storage unit 12 in response to the key event received in step S172 (S174). ) To display the corresponding basic menu screen, and then execute the flash file for the decorative menu (S180), and transmit the decorative menu image data obtained to the display driving module 16 (S182) to display the decorative menu screen. It is displayed overlaid on the main menu screen.

도 5는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적 이미지를 기반으로 한 다운로드 메뉴화면 관리방법을 O/S 프로그램을 주체로 하여 설명한 흐름도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계 S100에서는 대기화면 상태에서 메뉴기능이 선택되었는지를 판단하는데, 메뉴기능이 선택된 경우에는 단계 S102로 진행하여 데이터 저장부(12)로부터 상위 기본메뉴 이미지데이터를 독출하고, 다시 단계 S104에서 이렇게 독출된 상위 기본메뉴 이미지데이터를 디스플레이 구동모듈(16)에 전달하여 상위 기본메뉴화면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managing a download menu screen based on a dynamic imag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ainly using an O / S program. As shown in Fig. 5, in step S100, it is determined whether a menu function is selected in the idle screen state. If the menu function is selected,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102, where the upper basic menu image data is read out from the data storage unit 12; In step S104, the upper basic menu image data thus read is transferred to the display driving module 16 so that the upper basic menu image is displayed.

다음으로 단계 S106에서는 사용자에 의해 다운로드되고 장식메뉴로 지정된 플래시 파일이 존재하는 지를 판단하는데, 사용자가 어떠한 장식메뉴도 지정하지 않은 경우에는 다시 단계 S120에서 임의의 키이벤트가 발생했는 지를 판단한다. 단계 S120에서의 판단 결과, 키이벤트가 발생한 경우에는 발생된 키이벤트의 종류에 따른 연산을 수행하고, 그 결과에 따라 기본메뉴화면을 변경시켜 디스플레이한다. 이후에 단계 S124에서는 메뉴기능 종료 요건이 성숙했는 지를 판단하는데, 성숙하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S120으로 복귀하고 성숙한 경우에는 프로그램을 종료시킨다.Next, in step S106, it is determined whether there is a flash file downloaded by the user and designated as a decoration menu. If the user does not specify any decoration menu, it is again determined whether any key event has occurred in step S120.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120, when a key event occurs, the operation is performed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generated key event, and the basic menu screen is changed and displayed according to the result. Subsequently, in step S124,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menu function termination requirement has matured. If not, the process returns to step S120, and if it matures, the program is terminated.

한편 단계 S106에서의 판단 결과, 사용자가 다운로 받은 플래시파일 중에서 임의의 파일을 장식메뉴로 지정한 경우에는 단계 S108를 수행하는데, 단계 S108에서 O/S 프로그램은 플래시 재생기(18)에 상위 장식메뉴화면을 상위 기본메뉴화면에 오버레이시켜 디스플레이하도록 처리를 위탁하는데, 이후에 플래시 재생기(18)는 도 3a 또는 도 3b에서 설명한 과정을 거쳐서 상위 장식메뉴화면이 상위 기본메뉴화면에 오버레이되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determination result in step S106 indicates that any file among the downloaded flash files is designated as a decoration menu, step S108 is performed. In step S108, the O / S program displays the upper decoration menu screen on the flash player 18. The process is entrusted to overlay and display on the upper basic menu screen, after which the flash player 18 causes the upper decorative menu screen to be overlaid on the upper basic menu screen through the proces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A or 3B.

다음으로 단계 S110에서는 임의의 키이벤트가 발생했는 지를 판단하는데, 키이벤트가 발생한 경우에는 단계 S112로 진행하여 발생된 키이벤트의 종류에 따른 연산을 수행하고, 다시 단계 S114에서는 연산 수행 결과에 따라 기본메뉴화면을 변화시켜 디스플레이한다. 그리고 단계 S116에서는 단계 S112에서의 연산 결과에 따른 처리를 플래시 재생기(18)에 위탁하는데, 플래시 재생기(18)에서는 이후에 도 3a 또는 도 3b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과정을 거쳐서 변화된 장식메뉴화면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Next, in step S110, it is determined whether an arbitrary key event has occurred. If a key event occurs, the operation proceeds to step S112, and the operation is performed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generated key event, and in step S114, the basic operation is performed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calculation. Change and display the menu screen. In step S116, the processing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operation in step S112 is entrusted to the flash player 18. In the flash player 18, the changed decoration menu screen is subsequently displayed through the proces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A or 3B. do.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적 이미지를 기반으로 한 다운로드 메뉴화면 관리방법에서는 메뉴화면 상에서 메뉴항목을 지정하는 키이벤트 또는 상위 메뉴화면과 하위 메뉴화면 사이의 변환을 명령하는 키이벤트의 발생시에 이를 움직이는 아바타나 애니메이션 이미지를 통해 표시함으로써 메뉴항목의 변경을 사용자가 더욱 손쉽게 알 수 있도록 하고, 풍선 도움말 이미지로 이를 안내하여 책자의 형태로 제공되는 매뉴얼을 숙지하지 않고도 메뉴항목의 기능을 알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메뉴화면에서 키이벤트가 소정의 시간 동안 발생하지 않은 경우에도 동적 이미지가 발생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키입력을 재촉할 수가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method of managing a download menu screen based on a dynamic imag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a key event for designating a menu item on a menu screen or a key event for instructing a conversion between an upper menu screen and a lower menu screen. When it occurs, it is displayed through moving avatar or animated image to make it easier for the user to know the change of the menu item, and guides it with the balloon help image so that the function of the menu item can be read without reading the manual provided in the form of a booklet. You can tell. Furthermore, even if a key event does not occur for a predetermined time on the menu screen, a dynamic image can be generated to prompt the user for key input.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적 이미지를 기반으로 한 다운로드 메뉴화면 관리방법은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예를 들어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동적이미지파일로 플래시파일을 언급하였지만,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다른 파일도 가능할 것이다.The method of managing the download menu screen based on the dynamic imag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can be modified in various ways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 flash file is referred to as a dynamic image file, but other files may be used.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적 이미지를 기반으로 한 다운로드 메뉴화면 관리방법에 따르면, 사용자가 자기만의 개성 있는 메뉴화면을 꾸밀 수 있도록 기술적인 뒷받침을 할 수가 있어서 관련 서비스 산업을 활성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발휘된다.According to the download menu screen management method based on the dynamic imag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provide technical support for the user to decorate his own unique menu screen, so that the related service industry The effect that can be activated is exerted.

Claims (5)

삭제delete 삭제delete 단말기 제조사에서 제공하는 기본메뉴화면 이미지데이터 및 외부로부터 다운로드받고 상기 기본메뉴화면에 포함된 메뉴항목의 내용, 항목수 및 순서와 일치하는 메뉴항목의 내용, 항목수 및 순서를 갖는 장식메뉴화면으로 사용될 동적 이미지파일을 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동적 이미지파일을 실행하는 재생기 프로그램을 갖춘 이동통신 단말기에서,Basic menu screen image data provided by the terminal manufacturer and menu items that are downloaded from the outside and included in the basic menu screen, and that match the contents, number and order of the menu items to be used as a decorative menu screen.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toring a dynamic image file and having a player program for executing the dynamic image file, 임의의 키이벤트 발생시 이동통신 단말기의 O/S 프로그램은 상기 임의의 키이벤트를 상기 재생기 프로그램에 전달하고,When any key event occurs, the O / S program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livers the random key event to the player program. 상기 재생기 프로그램은 상기 키이벤트에 따른 상기 기본메뉴화면의 변화에 연계하여 변화될 상기 장식메뉴화면을 상기 기본메뉴화면 위에 오버레이시켜 디스플레이하도록 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적 이미지를 기반으로 한 메뉴화면 관리방법.The player program is a menu screen management method based on a dynamic imag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display the decorative menu screen to be changed in connection with the change of the basic menu screen according to the key event on the basic menu screen.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메뉴화면이 상기 기본메뉴화면의 전체 영역에 걸쳐 오버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적 이미지를 기반으로 한 메뉴화면 관리방법.4.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decoration menu screen is overlaid over the entire area of the basic menu screen.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메뉴화면이 상기 기본메뉴화면의 일부 영역에 걸쳐 오버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적 이미지를 기반으로 한 메뉴화면 관리방법.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decoration menu screen is overlaid over a portion of the basic menu screen. 5.
KR1020040039067A 2004-05-31 2004-05-31 method for managing downloaded menu picture based on moving image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55107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9067A KR100551077B1 (en) 2004-05-31 2004-05-31 method for managing downloaded menu picture based on moving image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9067A KR100551077B1 (en) 2004-05-31 2004-05-31 method for managing downloaded menu picture based on moving image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3922A KR20050113922A (en) 2005-12-05
KR100551077B1 true KR100551077B1 (en) 2006-02-09

Family

ID=372883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9067A KR100551077B1 (en) 2004-05-31 2004-05-31 method for managing downloaded menu picture based on moving image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51077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6043B1 (en) * 2005-08-03 2006-06-08 주식회사 네오엠텔 Contents display method in wap browser of mobile terminal using plug-in, and apparatus thereof
KR100764787B1 (en) * 2005-09-14 2007-10-11 엘지전자 주식회사 A method and a mobile terminal for sending/receiving active contents
KR101221891B1 (en) * 2006-01-02 2013-01-15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for displaying menu o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of
KR101306702B1 (en) * 2006-07-25 2013-09-10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for Constructing Menu Screen in Communication Terminal
KR100835210B1 (en) * 2007-03-12 2008-06-05 삼성전자주식회사 Display method of file and apparatus for portable device u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3922A (en) 2005-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525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action with a user interface
US7844916B2 (en) Multimedia reproducing apparatus and menu screen display method
RU2414087C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enu navigation i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JP2006343884A (en) Screen display program,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storing screen display program, screen display device, portable terminal device and screen display method
US20090322690A1 (en) Screen display
EP2478430B1 (en) System and methods for a run time configurable user interface controller
US20060294464A1 (en) User interface apparatus capable of providing support to user
JP4181211B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startup program executed therein
KR100620741B1 (e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a Mobile Flash
KR100708265B1 (en) Information equipment remote operation system, and information equipment
JP2008521136A (en) Input system and electronic system configuration method
KR100558910B1 (en) Mobile phone having a fuction of making/transmitting multimedia message contents
KR100551077B1 (en) method for managing downloaded menu picture based on moving image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JP5753240B2 (en) Electronic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program
JP2009098727A (en) Image display device and image viewer program
KR100394975B1 (en) A method for transforming an user interface of mobile phone
JPH11352947A (en) Method and device for displaying switching direction of image to be displayed on display means, and video game device
KR100723711B1 (en) Method and System for changing Menu list by contents dynamic in wireless terminal
KR102323719B1 (en) Snap Action Senario
JP4657647B2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386289B1 (en) Character display method
KR101452758B1 (en) Scre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U2364919C2 (en) Device and way of data execution
JP2002319998A (en) Portable telephone set and image browsing system using portable telephone set
Hodges et al. Designing Applications for 3G Mobile Devi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23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