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39933B1 - 그룹 sms전송에서의 수신자 정보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그룹 sms전송에서의 수신자 정보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39933B1
KR100539933B1 KR20030048886A KR20030048886A KR100539933B1 KR 100539933 B1 KR100539933 B1 KR 100539933B1 KR 20030048886 A KR20030048886 A KR 20030048886A KR 20030048886 A KR20030048886 A KR 20030048886A KR 100539933 B1 KR100539933 B1 KR 1005399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rt message
group
recipient
recipient list
me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300488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09811A (ko
Inventor
고영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0300488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39933B1/ko
Publication of KR200500098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98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99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9933B1/ko

Links

Abstract

본발명은 그룹 단문메시지에 대한 수신자 정보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MS가 그룹 단문메시지를 수신시, 그룹 단문메시지에 대한 수신자 공개 여부를 표시하는 상기 그룹 단문메시지내의 수신자 리스트 공개 플래그를 체크하는 단계, 상기 단계에서 수신자 리스트 공개 플래그가 수신자 정보 공개로 활성화되어 있을 경우, 상기 그룹 단문메시지에 대한 수신자 리스트 요청 플래그 체크하는 제단계, 상기 단계에서 수신자 리스트 요청 플래그가 활성화되어 있을 경우, 단문메시지센터(SMSC)로 상기 그룹 단문메시지에 대한 수신자 리스트를 요청하는 단계, 단문메시지센터(SMSC)로부터 수신자 리스트를 전송 받아 이를 상기 MS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그룹 SMS전송에서의 수신자 정보 제공 방법{Receiver's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in Group SMS Transmission}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단문메시지 전송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그룹 단문메시지 전송 방법에 관한 발명이다.
도1은 단문메시지 전송을 위한 이동통신시스템에 대한 구성 예시도이다. 도1을 참조하여 단문메시지 전송에 관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에서 단문메시지 센터(103)는 이동통신망(106)을 통해 제어국(102, 104)과 연결되어 단문메시지 데이터저장 및 전송을 담당한다. 이동통신가입자가 단문메시지를 전송하려 할 경우,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해 단문메시지를 만들면 이는 가입자가 속한 기지국(108)으로 전송된다. 그리고, 기지국(108)은 상기 수신한 단문메시지를 제어국(102)으로 전송하며, 제어국(102)은 수신한 신호가 단문메시지임을 파악하여, 이를 단문메시지센터(103)로 전송한다. 그리고, 단문메시지센터(103)는 수신된 단문메시지를 분석하여 수신 이동단말기의 위치를 파악하여 해당 이동통신단말기로 단문메시지를 전송한다. 한편, 상기에서 설명한 단문메시지는 다수의 수신자에게 동일한 내용의 메시지 내용을 한번의 조작에 의해 전송할 수 있다. 이를 그룹 단문메시지라고 하며 이동통신 가입자가 다수의 사람에게 동일 내용의 메시지를 전송할 때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기능이다.
그런데, 기존의 이동통신망에서는 다수의 수신자에 대한 메시지 전송은 즉 그룹 단문메시지 전송은 가능하여, 상기 메시지를 받게되는 다수의 수신자들은 동일한 메시지를 받게 된다. 하지만 각각의 수신자 입장에서는 전송 받은 단문메시지가 그룹 발송된 단문메시지인지를 알 수 없으며 또한 그룹 메시지인지를 단문메시지의 내용 등을 통해 알 수 있을 지라도 상기 단문메시지를 전송 받은 다른 수신자들에 대한 정보(전화번호 등...)에 대해서는 전혀 알 수 없는 상황이었다.
예컨대, 이동통신 사용자(A)가 모임(A, B, C, D를 포함하는 모임)에 대한 공지를 단문메시지를 통해서 다수의 사람(B, C, D)에게 모임에 대해 공지하였을 경우, 상기 단문메시지를 전송 받은 수신자(B, C, D)는 전송 받은 단문메시지가 그룹 단문메시지로 발신된 것인지를 모를 수 있으며, 또한 상기 단문메시지의 내용을 통해 모임이 있다는 정보로부터 그룹 메시지임을 안다고 할지라도 이 메시지가 누구에게 전송되었는지는 상기 메시지를 전송한 사람(A)만이 알 수 있다. 그러나, 수신자 중 한 사람(B)이 일정에 변경이 되어서 상기 단문메시지에 의해 모임에 대한 공지를 받은 사람들(A, B, C, D)에게 모임에 대한 재공지를 하고자 할 경우, 재공지를 위해서는 처음 모임의 공지를 한 사람(A)에게 연락을 취하여 재 공지 메시지에 대한 요청을 하거나, 공지할 사람들(C, D)에 대한 정보를 요청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그룹 단문메시지 전송에 있어서는 해당 단문메시지가 그룹 단문메시지인지 여부와 해당 그룹 단문메시지의 그룹 수신자들에 대한 정보를 메시지 송수신시에 알리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요청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요청에 부응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그룹 단문메시지의 송수신시에 그룹 단문메시지 여부와 그룹 수신자들에 대한 정보를 각각의 그룹 수신자들이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그룹 발송된 단문메시지에 대한 수신자 리스트를 수신하여 그를 재편집한 후 재전송 단문메시지를 발송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그룹 단문메시지 전송방법에 있어서, MS(Mobile station)가, 그룹 단문메시지를 수신시, 상기 그룹 단문메시지에 대한 수신자 공개 여부를 체크하는 제1단계, 상기 제1단계에서 수신자 리스트 공개로 설정된 경우, 상기 그룹 단문메시지에 대한 수신자 리스트 요청 여부를 체크하는 제2단계, 상기 제2단계에서 수신자 리스트 요청이 있는 경우, 단문메시지센터(SMSC)로 상기 그룹 단문메시지에 대한 수신자 리스트를 요청하는 제3단계, 상기 단문메시지센터(SMSC)로부터 수신자 리스트를 전송 받아 이를 출력하는 제4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그룹 단문메시지 전송방법에 있어서, MS(Mobile Station)에서, 단문메시지를 작성하는 제1단계, 상기 작성한 단문메시지에 대해서 적어도 2 이상의 수신번호를 입력하는 제2단계, 상기 입력한 수신번호에 대한 수신자 리스트 공개 여부를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결정하는 제3단계, 상기 입력된 수신번호로 그룹 단문메시지를 전송하는 제4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그룹 단문메시지 전송방법에 있어서, 단문메시지센터(SMSC)가, 단문메시지를 수신하여 상기 단문메시지의 메시지 타입을 확인하는 제 1 단계, 상기 제1단계의 확인 결과, 상기 단문메시지가 그룹 단문메시지인 경우, 상기 그룹 단문 메시지의 수신자들에 대한 정보 공개 여부를 확인하여 수신자 리스트를 생성하고 상기 단문메시지를 전송하는 제 2 단계, 상기 제1단계의 확인 결과, 상기 단문메시지가 수신자 리스트에 대한 요청메시지인 경우, 해당하는 수신자 리스트를 전송하는 제 3 단계를 수행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장치의 내부구성을 도시한 블록 구성도이다.
우선, 제어부(201)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그리고, 메모리(204)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장치의 제어 프로그램 및 상기 제어부(201)의 제어에 따라 발생하는 제어 데이터를 저장한다.
그리고, 키입력부(202)는 다수의 다이얼링 디지트 키와, 메뉴(MENU)키 및 송출(SEND)키 등을 구비하며, 사용자가 선택한 키에 해당하는 키신호를 발생시켜 상기 제어부(201)로 전달한다.
그리고, 음성처리부(208)는 상기 제어부(201)의 제어에 따라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처리하여 스피커(미도시)를 통해 송출하며, 또한 마이크(미도시)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아날로그 음성을 디지털 신호로 처리한다.
그리고, 송신부(206)는 상기 음성처리부(208)에서 발생한 신호를 입력받아 디지털 무선 변조하여 상기 제어부(201)의 제어에 따라 듀플렉서(207)로 전달한다. 상기 듀플렉서(207)는 상기 송신부(206)로부터 전달받은 무선 신호를 안테나를 통해 송출하며,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를 수신부(205)로 전달한다. 상기 수신부(205)는 상기 듀플렉서(207)로부터 전달받은 무선 신호를 복조하여 상기 제어부(201)의 제어에 따라 음성처리부(208)로 전달한다.
그리고, 표시부(203)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Unit) 및 LED등으로 구현되며, 상기 제어부(201)의 제어에 따라 수행되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장치의 제어 데이터 및 입력되는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한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단문메시지센터(105)의 내부구성을 도시한 블록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105)는, 이동통신망의 제어국(103)으로부터의 메시지를 받아 제어부(305)로 전달하고 제어부(305)로부터의 메시지를 이동통신망의 제어국(106)으로 전달하는 입출력 인터페이스(303), 제어부(305)의 제어에 따라 입력된 단문메시지에 포함된 그룹 수신자 정보를 통해 수신자 리스트를 생성하고 수신자 리스트 DB(301)에 전달하는 수신자 리스트 처리부(302), 수신자 리스트를 저장하고 제어부(305)의 요청에 따라 출력하는 수신자 리스트 DB(301), 제어부(305)의 제어에 따라 단문메시지를 저장하고 출력하는 단문메시지 DB(304), 제어부(305)의 제어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제어부(305)에서의 메시지 처리를 위한 버퍼링 동작을 수행하는 메모리(306) 및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 내의 각각의 기능블록에 대한 제어를 위한 제어부(305)를 포함한다.
각각의 구성부분에 대해 좀 더 상세히 살펴보면, 우선 제어부(305)는 상기 단문메시지센터(105)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된 전송 단문메시지의 수신자리스트 공개 여부를 확인하여 수신자리스트가 공개되어 있는 경우 수신자 리스트 처리부(302)로 전달하여 수신자 리스트를 생성하도록 하고 수신자로부터의 수신자 리스트 요청시 수신자 리스트 DB(301)로부터 수신자 리스트를 호출하여 전송한다.
우선, 메모리(306)는 상기 단문메시지센터(105)의 제어 프로그램 및 상기 제어부(305)의 제어에 따라 발생하는 제어 데이터를 저장한다.
그리고, 입출력인터페이스(303)는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전송되어 오는 단문메시지를 전달받아 상기 제어부(305)로 전달하며, 상기 제어부(305)로부터 전달되어온 단문메시지를 이동통신망의 제어국(106)으로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단문메시지DB(304)는 상기 입출력인터페이스(303)로부터 전달되어온 단문메시지를 제어부(305)의 제어에 의해서 저장한다.
그리고, 수신자 리스트 처리부(302)는 제어부(305)로부터 수신자 리스트 공개 플래그가 활성화로 체크된 그룹 단문메세지를 입력받아 해당 그룹 단문메시지의 그룹 수신자들의 수신자 정보를 입력된 그룹 단문메시지의 특유의 특징을 요소로 하는 ID를 이용한 인덱스로 리스트를 생성하고 이를 수신자 리스트 DB(301)로 보내 저장토록 한다. 여기서 특유의 특징이라 함은 전송된 그룹 단문메시지를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Message_ID와 MC Time Stamp 값을 이용하는 것을 예로 하고 있다.
이상과 같은 수신자 리스트 처리부(302)는 본 도면에 있어서는 제어부(305)와는 다른 구성 부분으로 표현되고 있으나, 본 발명의 설명에 있어서는 본 발명에서의 특징을 강조하기 위하여 표현된 것으로 제어부(305)의 하나의 기능으로 소프트웨어적으로 처리될 수 있다. 물론, 하드웨어적인 구성 부분으로써 상기의 기능을 수행하는 슬롯을 제작하여 처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수신자 리스트 처리부(302)는 이에 대한 결과를 제어부(305)로 전달한다. 수신자 리스트 요청 플래그가 활성화되어 있으면, 이 결과를 제어부(305)에 전달하고 제어부(305)에서는 수신자 리스트 DB(301)을 검색하여 해당되는 식별자와 일치하는 수신자 리스트를 입출력인터페이스(303)로 전달한다.
그리고, 수신자 리스트 DB(301)는 상기 수신자 리스트 처리부(302)의 체크 결과에 따른 제어부(305)의 제어에 의해 그룹 단문메시지의 수신자 리스트를 저장하며, 제어부(305)의 전달한 식별자를 통해서 검색한 후, 검색된 수신자 리스트를 제어부(305)를 통해 입출력인터페이스(303)로 전달한다.
도 4는 기존의 IS-637 프로토콜에 따른 단문메시지 포맷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우선, Message_ID(1001)은 단문메시지의 종류를 식별하기 위한 필드값이다. 그리고, User Data(1002)는 단문메시지의 데이터 내용을 저장하고 있는 부분으로 사용자에게 표시되는 부분의 데이터를 담고 있다. 그리고, User Response code(1003)는 사용자 응답코드에 대한 식별 값을 저장하고 있다. 그리고, MC Time Stamp(1004)는 단문메시지 수신 시간에 대한 날짜, 시간 데이터 값을 저장하고 있다. 그리고, Validity Period(Absolute)(1005)는 단문메시지에 대한 처리기간을 기간을 저장하고 있다. 즉, 설정된 기간 이후에도 메시지가 목적지에 전달되지 않으면 메시지가 폐기되는 시간을 저장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Reserved(1006)필드는 다른 설정을 위한 여분의 필드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변경 단문메시지 포맷을 도시한 테이블이다.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단문메시지 포맷은, 도 4 에 도시된 종래의 단문메시지 포맷에 그룹 단문메시지에 대한 수신자 정보를 공개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수신자 리스트 공개 플래그(1106)와 수신자 리스트 요청 플래그(1107)를 더 포함하도록 한다.
우선, 상기 Reserved(1006)필드에 추가된 수신자 리스트 공개 플래그(1106)는 그룹 단문메시지 송신시 송신자가 그룹 단문메시지에 대한 수신자 정보를 다른 수신자들에게 공개할 경우 사용되는 필드이다.
또한, 상기 Reserved(1006)필드에 추가된 수신자 리스트 요청 플래그(1107)는 상기 그룹 메시지를 전송 받은 수신자가 다른 수신자에 대한 정보를 요청할 때 사용되는 필드이다. 본 발명에서 추가된 상기 수신자 리스트 공개 플래그(1106)는 1bit의 크기를 가지고 있어,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여부에 따라 공개와 비공개로 구분된다. 수신자 리스트 요청 플래그(1107)의 경우도 상기 수신자 리스트 공개 플래그(1106)와 구성 및 동작이 동일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단문메시지센터(105)에 저장된 수신자 리스트를 검색할 때 사용되는 식별값으로 MC Time Stamp(1104)와 Message_ID(1101) 사용하였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수신자 리스트 공개를 위한 단말기 인터페이스 예시도이다.
여기서, 도6은 그룹 메시지 송신시, 송신MS(101)사용자가 수신자 리스트를 공개할 경우, 이에 대한 MS의 인터페이스를 구현한 도면이고, 도7은 단문메시지 수신시, 수신MS(108)에 표시된 그룹 메시지로서 그룹 수신자에 대한 정보가 공개된 메시지임을 표시하는 MS의 인터페이스를 구현한 도면이며, 도8은 상기 수신MS(108)사용자가 상기 수신된 메시지에 대한 회신 메시지를 작성할 경우, 수신자 리스트를 요청에 대한 MS의 인터페이스를 구현한 도면이다.
도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룹 단문메시지에 대한 송신측 MS(101)에서의 그룹 단문메시지에 대한 수신자 정보 공개 설정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먼저, 송신MS(101) 사용자가 키입력부(202)를 통해 송신할 그룹 단문메시지 내용을 입력한다(301). 그룹 단문메시지이므로 2 이상의 수신자 정보를 입력한다(302). 상기 수신자 정보는 전화번호가 될 수도 있으며 상기 송신MS(101)에 저장된 수신자 이름, 주소, 기타 정보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작성한 수신자 정보 공개 여부에 대한 결정을 사용자에 의해 입력받는다(303). 도6에서는 수신자 정보공개 설정에 대한 인터페이스에 대한 일실시예를 보여주고 있다.
그리고, 303단계에서 사용자가 수신자 정보 공개를 선택하게 되면 송신MS(101)의 제어부에 의해 단문메시지 포맷내의 수신자 리스트 공개 플래그(1106)가 활성화된다(304). 상기 작성된 단문메시지를 전송한다(305). 만약 303단계에서 사용자가 수신자 정보 공개를 선택하지 않을 경우, 단문메시지 내의 수신자 리스트 정보 플래그(1106)를 활성화시키지 않고 통상의 그룹 단문메시지 전송방법과 같이 전송한다.
도10은 단문메시지센터(105)에서 단문메시지를 전송 받거나 전송할 경우의 처리 흐름도이다.
우선, 단문메시지센터(105)에서 단문메시지를 입출력인터페이스(303)를 통해 입력받으면(701), 수신자 리스트 처리부(302)에서 단문메시지내의 포맷을 검사하여 수신자 리스트 요청 플래그가 활성화되어 있는지를 체크한다(702).
그리고, 702단계에서 수신자 리스트 요청 플래그가 활성화되어 있지 않을 경우, 수신자 리스트 처리부(302)에서 단문메시지내의 수신자 리스트 공개 플래그에 대한 활성화 여부를 체크한다(705).
그리고, 705단계에서 수신자 리스트 공개 플래그가 활성화되어 있으면,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전송되어 온 그룹 단문메시지에 대한 수신자 정보를 수신자 리스트 DB(301)에 저장하는 동시에 단문메시지 내에 포함된 수신번호에 따라 상기 그룹 단문메시지를 해당 수신MS(108)로 전송한다. 이 때 수신자 정보를 수신자 리스트 DB에 저장하는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단문메시지 내에 포함된 Message_ID(1101)와 MC Time Stamp(1104)값을 이용하여 상기 전송되어온 수신자 정보를 그룹 수신자 리스트DB에 저장한다. 즉, Message_ID(1101)와 MC Time Stamp(1104)값을 인덱스(Index)로 하여 수신자 리스트 DB(301)에 상기 전송되어 온 그룹 수신자 정보를 저장한다.
본 발명에서는 각 수신자 정보에 대한 인덱스로 Message_ID(1101)와 MC Time Stamp(1104)값을 이용했지만, 단문메시지내의 다른 필드값과 MC Time Stamp를 조합하여 사용하거나 다른 필드값 단독(MS의 ESN번호 등)으로 본 발명의 인덱스로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에게는 자명한 사항일 것이다.
또한, 송신자 정보에 대해서도 수신자 리스트에 저장을 할 수 있다. 이는 수신자 리스트를 이용하여 재전송 메시지를 작성할 경우, 상기 단계에서 송신자에 대해서 저장을 하면 재전송 메시지 작성자가 다시 송신자를 추가시키는 번거로움을 없앨 수 있다.
한편, 705단계에서 단문메시지내의 수신자 리스트 공개 플래그가 활성화되어 있지 않을 경우, 통상의 방법과 같이 상기 수신된 그룹 단문메시지를 수신번호에 따라 전송한다(706).
그리고, 702단계에서 수신자리스트 처리부(302)에서 단문메시지내의 수신자 리스트 요청 플래그가 활성화된 경우, 상기 단문메시지센터(105)내의 제어부(305)의 제어에 의해 수신자 리스트 DB를 검색한다(703). 703단계를 상세히 설명하면, 수신된 리스트 요청 플래그 내에 포함된 Message_ID(1101)과 MC Time Stamp(1104)을 이용하여 수신자 리스트DB(301)을 검색한다.
여기서, 수신자 리스트 요청 플래그 포맷 구조는 통상의 단문메시지 구조와 동일하다. 별도의 데이터 포맷을 정의하여 시스템의 구성을 변경하기 보다 기존의 단문메시지 데이터 구조와 동일한 형태이면서 수신자 리스트 요청 플래그(1107)를 추가하는 것이 구현이나 동작 실행시 더욱더 효율적이라는 것은 당업자에게는 자명한 사실일 것이다. 물론 수신자 리스트 요청 메시지는 별도의 데이터 포맷으로도 동작 가능하다.
그리고, 수신자리스트DB(301)에서 상기 송신된 수신자리스트 요청 메시지와 부합되는 수신자 리스트 정보를 발견하면 이를 입출력 인터페이스(303)를 통해 상기 수신자 리스트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 이동 통신단말로 전송한다(704).
도11은 수신MS(108)에서 그룹 단문메시지를 전송 받거나 수신자 리스트를 요청할 경우의 처리 흐름도이다.
우선, 듀플렉서(207)와 수신부(205)를 통해 단문메시지를 전송 받는다(801). 전송 받은 단문메시지내에 포함된 수신자 리스트 공개 플래그 활성화 여부를 제어부(201)를 통해 체크한다(803).
여기서, 803단계를 상세히 설명하면, 수신자 리스트 공개 플래그가 활성화되어 있으면, 이를 제어부(201)의 제어에 의해서 표시부(203)에 "수신자 리스트 공개"라는 문구를 표시한다. 물론 수신자 리스트 공개 여부를 표시하는 방법에는 문자 또는 소리음, 아이콘 표시, 진동 등 여러 가지 수단으로 수신MS(108)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803단계에서 수신자 리스트 공개 플래그가 활성화되어 있지 않을 경우, 통상의 단문메시지 표시를 수행한다.
이후, 제어부(201) 제어에 의해 단문메시지 내의 수신자 리스트 요청 플래그 활성화 여부를 체크한다(804). 804단계를 상세히 설명하면, 사용자가 단문메시지를 전송 받은 후, 상기 수신된 단문메시지의 수신자 리스트가 필요한 경우, 이동 통신 단말의 조작을 통해, 상기 수신된 단문메시지의 수신자 리스트 요청을 설정한다.
그리고, 상기 804단계의 결정에 따라, 제어부(201)는 수신자 리스트 요청 메시지를 상기 단문메시지를 전송한 단문메시지센터(105)로 요청한다. 이때 사용되는 요청 포맷은 통상의 단문메시지의 형태와 동일하며 요청 단말에 대한 회신 번호와 상기 수신된 단문메시지에 대한 수신자 리스트 검색에 필요한 Message_ID와 MC Time Stamp값을 입력하여 전송한다(805).
그리고, 단문메시지센터(105)로부터 수신자 리스트 요청에 따른 수신자 리스트를 수신한다(806). 이를 통해 사용자는 자신이 받은 단문메시지에 대한 타수신자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806단계에서 수신자 리스트의 데이터 크기가 통상의 단문메시지 크기보다 클 경우, 이를 분할하여 수신MS(108)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서 수신자 정보 내용을 단문메시지센터(105)로부터 수신 즉시 표시부(203)에 표시되게 할 수 있다. 또한 수신자 정보를 문자, 소리, 아이콘, 진동 등의 방법을 통해서 사용자에게 수신자 정보 도달에 대한 알림을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수신된 수신자 정보를 이용하여 재전송 메시지를 작성하려 할 경우(807) 키입력부(202)의 조작에 의해 재전송 메뉴를 선택한다.
그리고, 사용자는 수신된 수신자 리스트를 이용하여 재전송 메시지에 대한 발신자 편집을 키입력부(202)의 조작을 통해 수행한다(808). 상기 808 단계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약속장소에 대한 공지를 전달받은 수신 MS(108) 사용자가 사정이 생겨 다른 장소로 약속 장소를 변경해야 될 필요가 생긴 경우, 수신 MS(108) 사용자는 전송 받은 수신자 정보를 이용하여 변경장소에 대한 재전송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수신자 중에 필요 없는 번호에 대해서는 수신자 편집 과정을 통해서 재전송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808 단계를 통해 작성된 재전송 단문메시지는 제어부(201)의 제어에 의해 송신부(206)와 듀플렉서(207)를 거쳐 수신자 번호에 따라 발송된다(809).
도12는 수신MS2가 그룹 단문메시지를 수신하여 그룹에 포함된 MS1에 재전송 메시지를 송신하고자 하는 경우에 대한 신호 흐름도이다.
우선, 송신MS에서 수신자로 수신MS1과 수신MS2로 설정한 그룹 단문메시지를 발송한다(901). 이때, 송신MS 사용자는 수신자 정보 공개로 설정(수신자 리스트 공개 플래그 활성화)하여 그룹 단문메시지를 작성한다.
그리고, 발송된 그룹 단문메시지는 단문메시지센터(105)로 전송되며(901), 상기 단문메시지센터에서 수신된 그룹 단문메시지내의 수신자 리스트 공개 플래그 체크를 통해서 수신자 정보 공개 여부를 판단하여 수신MS1과 수신MS2로 상기 전송된 그룹 단문메시지를 전송한다(902). 이와 동시에 단문메시지센터내의 제어부(305)의 제어에 의해 전송된 그룹 단문메시지내의 MC Time Stamp와 Message_ID 값을 인덱스로 하여 수신자 정보를 수신자 리스트 DB(301)에 저장한다.
상기 단문메시지를 전송 받은 수신MS1은 이를 표시부(203)에 표시한다. 수신MS1의 사용자가 전송받은 단문메시지에 대한 수신자 정보를 원할 경우, 수신자 리스트 요청 플래그를 활성화시킨 수신자 리스트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903).
그리고, 상기 수신자 리스트 요청 메시지를 전송받은 단문메시지센터(105)는 상기 메시지가 일반적인 단문메시지인지 아니면 수신자 리스트 요청 메시지인지를 판단하기 위해서 메시지에 포함된 수신자 리스트 요청 플래그(1107)를 체크한다. 체크 결과, 수신자 리스트 요청 메시지인 경우, 상기 메시지 안에 포함된 MC Time Stamp와 Message_ID값 을 이용하여 제어부(305)의 제어에 의해 수신자 리스트DB를 검색한다. 요청된 수신자 리스트 정보가 검색된 경우, 상기 검색된 정보를 이를 상기 수신자 리스트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 수신MS1로 전송한다(904).
그리고, 상기 수신자 리스트 정보를 전송받은 수신MS1은 사용자에게 이를 표시한다. 여기서,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는 방법으로는 문자 표시, 소리, 진동, 아이콘 표시등이 될 수 있다.
이때, 수신MS1사용자가 전송받은 수신자 정보를 이용하여 재전송 메시지를 작성할 경우, 수신자 정보를 편집하여 원하는 상대에게만 재전송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수신MS2로 재전송메시지를 전송한다(905).
그리고, 재전송메시지를 전송받은 단문메시지센터(105)는 상기 메시지 안에 포함된 수신자 정보에 따라 수신MS2로 상기 재전송 단문메시지를 전송한다(906).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그룹 단문메시지에 대한 수신자 정보를 수신자에게 제공하여 자신이 수신한 단문메시지가 그룹 전송된 단문메시지라는 것에 대한 정보와 상기 단문메시지를 수신한 다른 수신자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어 사용자 편리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상기 수신자가 상기 수신받은 단문메시지에 대한 재전송을 할 필요가 있을 경우, 기존의 방법에서는 발신자에게 일일이 수신자에 대한 정보를 얻어서 재전송메시지를 작성해야 했으나 수신자 스스로가 다른 수신자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어 메시지 작성시 편리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단문메시지 서비스 업자의 경우, 본 발명을 통해 수신자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서비스 이용자의 수신자 정보 요청에 대한 과금을 통해 또 다른 수익을 창출 할 수 있다.
도1은 일반적인 SMS전송을 위한 이동통신시스템에 대한 구성 예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장치의 내부구성을 도시한 블록 구성도.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단문메시지센터의 내부구성을 도시한 블록 구성도.
도4는 기존의 IS-637 프로토콜에 따른 단문메시지 포맷을 도시한 구조도.
도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변경 단문메시지 포맷을 도시한 구조도.
도6 내지 도7은 본 발명에 의한 수신자 리스트가 공개된 메시지 송수신시의 MS의 인터페이스를 구현한 도면.
도8은 본 발명에 의한 수신자 리스트 정보 요청시의 MS의 인터페이스를 구현한 도면.
도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룹 단문메시지에 대한 송신측 MS에서의 그룹 단문메시지 수신자 정보 공개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문메시지센터에서 단문메시지를 전송 받거나 전송할 경우의 처리 흐름도.
도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신MS(108)에서 그룹 단문메시지를 전송 받거나 수신자 리스트를 요청할 경우의 처리 흐름도.
도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신MS1이 그룹 단문메시지를 수신하여 그룹에 포함된 MS2에게 재전송 메시지를 송신하고자 하는 경우에 대한 신호 흐름도.

Claims (10)

  1. 그룹 단문메시지 전송시 그룹 수신자 정보를 제공하는 단문메시지 전송방법에 있어서, MS(Mobile station)가,
    그룹 단문메시지를 수신시, 상기 그룹 단문메시지에 대한 수신자 리스트 공개 여부를 체크하는 제1단계;
    상기 제1단계에서 수신자 리스트 공개로 설정된 경우, 상기 그룹 단문메시지에 대한 수신자 리스트 요청 여부를 체크하는 제2단계;
    상기 제2단계에서 수신자 리스트 요청이 있는 경우, 단문메시지센터(SMSC)로 상기 그룹 단문메시지에 대한 수신자 리스트를 요청하는 제3단계; 및
    상기 단문메시지센터(SMSC)로부터 수신자 리스트를 전송 받아 이를 출력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는 수신자 정보 공개가 가능한 그룹 단문메시지 전송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문메시지센터(SMSC)로 상기 그룹 단문메시지에 대한 수신자 리스트를 전송받은 후, 상기 그룹 단문메시지에 대한 재전송메시지를 작성하는 제5단계; 및
    상기 작성한 재전송메시지를 상기 수신자 리스트에 포함된 수신 번호로 전송하는 제6단계를 더 포함하는 수신자 정보 공개가 가능한 그룹 단문메시지 전송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단계에서 상기 그룹 단문메시지에 대한 수신자 공개 여부를 체크하기 위하여, 상기 그룹 단문메시지에 대한 수신자 공개 여부를 표시하기 위한 수신자 리스트 공개 여부 플래그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자 정보 공개가 가능한 그룹 단문메시지 전송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에서 상기 그룹 단문메시지에 대한 수신자 리스트 요청 여부를 체크하기 위하여, 상기 그룹 단문메시지에 대한 수신자 리스트 요청 여부를 표시하기 위한 수신자 리스트 요청 플래그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자 정보 공개가 가능한 그룹 단문메시지 전송방법.
  5. 그룹 단문메시지 전송시 그룹 수신자 정보를 제공하는 단문메시지 전송방법에 있어서, MS(Mobile Station)에서,
    단문메시지를 작성하는 제1단계;
    상기 작성한 단문메시지에 대해서 적어도 2 이상의 수신번호를 입력하는 제2단계;
    상기 입력한 수신번호에 대한 수신자 리스트 공개 여부를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결정하는 제3단계; 및
    상기 입력된 수신번호로 그룹 단문메시지를 전송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는 수신자 정보 공개가 가능한 그룹 단문메시지 전송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에서 상기 입력한 수신번호에 대한 수신자 리스트 공개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그룹 단문메시지 내의 수신자 리스트 공개 여부 플래그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자 정보 공개가 가능한 그룹 단문메시지 전송방법.
  7. 그룹 단문메시지 전송시 그룹 수신자 정보를 제공하는 단문메시지 전송방법에 있어서, 단문메시지센터(SMSC)가,
    단문메시지를 수신하여 상기 단문메시지의 메시지 타입을 확인하는 제 1 단계;
    상기 제1단계의 확인 결과, 상기 단문메시지가 그룹 단문메시지인 경우, 상기 그룹 단문 메시지의 수신자들에 대한 정보 공개 여부를 확인하여 수신자 리스트를 생성하고 상기 단문메시지를 전송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제1단계의 확인 결과, 상기 단문메시지가 수신자 리스트에 대한 요청메시지인 경우, 해당하는 수신자 리스트를 전송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하는 수신자 정보 공개가 가능한 그룹 단문메시지 전송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는,
    상기 제1단계의 확인 결과, 상기 단문메시지가 그룹 단문메시지인 경우, 상기 그룹 단문 메시지의 수신자들에 대한 정보 공개 여부를 확인하는 제 4 단계;
    상기 제4단계의 확인 결과, 상기 그룹 단문 메시지의 수신자들에 대한 정보 공개를 하는 경우, 상기 그룹 단문 메시지의 수신자들에 대한 정보가 담긴 수신자 리스트를 생성하는 제 5 단계;
    상기 제 5 단계에서 생성된 수신자 리스트를, 상기 그룹 단문 메시지 내에 포함된 식별자를 이용하여 인덱싱하여 저장하는 제 6 단계; 및
    상기 그룹 단문 메시지를 그룹 단문 메시지의 수신자들에게 전달하는 제 7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자 정보 공개가 가능한 그룹 단문메시지 전송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6 단계에서 상기 수신자 리스트를 인덱싱하기 위하여 이용하는 상기 그룹 단문 메시지 내에 포함된 식별자는,
    메시지의 시간 정보인 "MC Time Stamp"와 메시지 식별을 위한 "Message_ID" 정보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자 정보 공개가 가능한 그룹 단문메시지 전송방법.
  10.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는,
    상기 제1단계의 확인 결과, 상기 단문메시지가 수신자 리스트 요청 메시지인 경우, 수신자 정보 리스트를 검색하는 제 8 단계; 및
    상기 검색된 수신자 정보 리스트를 전송하는 제 9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자 정보 공개가 가능한 그룹 단문메시지 전송방법.
KR20030048886A 2003-07-16 2003-07-16 그룹 sms전송에서의 수신자 정보 제공 방법 KR1005399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30048886A KR100539933B1 (ko) 2003-07-16 2003-07-16 그룹 sms전송에서의 수신자 정보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30048886A KR100539933B1 (ko) 2003-07-16 2003-07-16 그룹 sms전송에서의 수신자 정보 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9811A KR20050009811A (ko) 2005-01-26
KR100539933B1 true KR100539933B1 (ko) 2005-12-28

Family

ID=372224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30048886A KR100539933B1 (ko) 2003-07-16 2003-07-16 그룹 sms전송에서의 수신자 정보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3993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7147B1 (ko) * 2006-12-26 2008-09-05 주식회사 엘지텔레콤 다자간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 및 제공 방법
US8194922B2 (en) 2007-07-13 2012-06-05 Observera, Inc. System and methods for dynamically generating earth position data for overhead images and derived information
KR101036706B1 (ko) * 2008-11-18 2011-05-24 이형석 휴대폰 참조번호 입력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9811A (ko) 2005-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06308B2 (en)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for identifying and indicating short message types using indicator icons and method thereof
KR100878900B1 (ko) 메시지의 사이즈 제한을 표시하는 방법 및 장치
US10136285B2 (en) Bluetooth alert notification service
US8208946B2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transmitting messages
JP4584583B2 (ja) 移動体通信環境においてメッセージを処理する方法および装置
US20050020289A1 (en) Method for blocking spam messages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20080167058A1 (en) Method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Providing Function of Integration Management of Short Message Service
JP5542298B2 (ja) 伝送フレーム及び送受信機
US7333804B2 (en) Message transmitting scheme of mobile terminal
KR20010049041A (ko) 단문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한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멀티미디어 데이터 송수신 방법
US20030236769A1 (en) Method and device for mobile communication
JP2009503674A (ja) Smsメッセージ受信確認サービスの方法と、これを行うための移動通信端末機、及びサービスシステム
WO2004060003A1 (en) Method for presenting location information on a mobile terminal
KR20030033232A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대상자의 현상태 표시 및 간편정보전송방법
KR100539933B1 (ko) 그룹 sms전송에서의 수신자 정보 제공 방법
KR20030097427A (ko) 메시지 수신 확인 방법
KR100606766B1 (ko) 단문 메시지 처리 방법
KR100838016B1 (ko) 이동통신 단말에서 메시지 구분 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이동통신 단말
US2006019956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questing and providing stored data
JP5663622B2 (ja) 携帯端末装置、画面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04060004A1 (en) Method of controlling the status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1276873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텍스트 디스플레이 방법 및 이를수행하기 위한 이동통신단말기
KR100752546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메시지 관리 방법 및 그 이동 통신단말기
KR100640425B1 (ko) 단문메시지 송수신을 태스크 단위로 관리하는 방법
KR100983269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메시지 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7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