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39905B1 - 이동통신 단말의 보안 메시지 서비스 방법과 그 시스템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의 보안 메시지 서비스 방법과 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39905B1
KR100539905B1 KR20030084031A KR20030084031A KR100539905B1 KR 100539905 B1 KR100539905 B1 KR 100539905B1 KR 20030084031 A KR20030084031 A KR 20030084031A KR 20030084031 A KR20030084031 A KR 20030084031A KR 100539905 B1 KR100539905 B1 KR 1005399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sage
security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security me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300840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50323A (ko
Inventor
이현욱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0300840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39905B1/ko
Priority to US10/970,978 priority patent/US7392057B2/en
Publication of KR200500503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03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99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9905B1/ko

Links

Abstract

본 발명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이 메시지를 발송하는 경우에는, 발송할 메시지를 열람 가능한 위치를 지정하는 열람 위치정보를 사용하여 보안 설정하여 보안 메시지를 생성하고, 보안 메시지를 수신해야 할 이동통신 단말을 목적지로 지정하여 보안 메시지를 발송한다. 그리고 열람 가능한 위치를 지정하는 열람 위치정보에 의해 보안 설정된 보안 메시지를 수신한 이동통신 단말은 보안 메시지에 대한 사용자의 열람 요구가 있는 경우에는, 이동통신 단말의 현 위치정보를 사용하여 보안 메시지의 보안 설정을 해제하여, 해제된 메시지 내용을 표시한다. 이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에 있어서 보안 메시지 서비스의 보안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의 보안 메시지 서비스 방법과 그 시스템{SECURITY MESSAGE SERVICE METHOD IN MOBILE TERMINAL AND SYSTEM THEREOF}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의 메시지 서비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보안 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단말은 문자 메시지를 전송하거나 이동통신 단말에 대한 특별한 제어(control) 기능을 위해 이전부터 널리 사용되어왔던 단문 메시지 서비스(SMS: Short Message Service) 뿐만 아니라 근래에는 멀티미디어(multimedia) 메시지 서비스, 전자우편(E-mail) 서비스, 인스턴트 메신저(instant messenger) 서비스 등 각종 메시지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있거나 제공될 예정이다.
이러한 메시지 서비스 기능을 가지는 이동통신 단말은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통상적으로 메시지가 수신되었음을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만일 수신 메시지의 내용을 표시하는 기능이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어 있다면, 수신 메시지의 내용도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표시하게 된다. 이처럼 메시지가 수신되었을 때, 수신 메시지의 내용이 자동으로 표시되면, 이동통신 단말 사용자뿐만 아니라 타인도 메시지 내용을 볼 수 있게 된다. 이와 달리 수신 메시지 내용을 표시하는 기능이 해제되어 있는 경우라도,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을 타인이 볼 수 있는 곳에 놔두고 자리를 뜬 경우에는 타인이 이동통신 단말을 조작하여 메시지 내용을 열람할 수도 있다.
한편 이동통신 단말은 사용자가 정해 놓은 비밀번호를 모르는 타인이 조작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잠금(locking)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사용자가 잠금 기능을 설정해 놓으면,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을 타인이 볼 수 있는 곳에 놔두고 이석한 경우에 타인이 이동통신 단말을 조작하여 메시지 내용을 열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하지만 잠금 기능은 메시지 열람에 관한 잠금이 아니라 이동통신 단말의 조작에 대한 잠금이므로, 잠금 기능을 설정해 놓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을 사용할 때마다 비밀번호를 입력해야만 하며 사용 후 다시 잠금 기능을 설정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기 때문에 실제로는 거의 이용되고 있지 않은 실정이다.
이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에 있어서 사용자가 공개를 원치 않는 메시지 내용이 타인에게 노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메시지 보안이 필요하다. 메시지의 보안을 구현하는 기술로는 여러 가지 방안이 제시될 수 있는데,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기술로서, 2002년 10월 05일자로 공개된 국내 특허공개번호 2002-75472호 "단문 메시지 암호화 전송 방법 및 암호화 메시지 해독 수신방법"을 들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송신측 이동통신 단말은 송신측 사용자로부터 송신측 사용자와 수신측 사용자 간에 사전에 약속된 키 값인 암호화 키를 입력하고 이 암호화 키를 사용하여 메시지를 암호화한 후 송신한다. 그러면 수신측 이동통신 단말은 암호화 키와 동일한 암호 해독 키를 수신측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아 수신된 암호화 메시지를 해독하여 표시한다. 이에 따라 송신측 사용자와 사전에 약속된 수신측 사용자만이 메시지 내용을 열람할 수 있으므로, 메시지 보안이 실현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송신측 사용자와 수신측 사용자 간에 사전에 약속된 암호화 키 값을 사용하여 메시지 보안을 실현하는 기술은 송신측 사용자와 수신측 사용자 간에 암호화 키를 반드시 공유해야 한다. 이에 따라 암호화 키 공유 시에 암호화 키가 유출될 수도 있으며, 사용자가 암호화 키를 잊은 경우에는 암호화 메시지 내용을 확인할 수 없게 되는 상황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암호화 키만 알아내면 열람 장소에 제한을 받지 않고 어디서라도 메시지의 열람이 가능하므로, 이동통신 단말을 분실 또는 도난 당하는 경우에는 보안성을 확보하기 어렵게 된다.
그리고 비록 메시지가 암호화되었다 해도 수신측 사용자가 메시지를 삭제하기 전에는 송신측 사용자가 원치 않는 경우에도 영구 보존되므로, 메시지 내용이 불의의 사태로 인해 타인에게 노출될 가능성이 커지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에 있어서 메시지 서비스의 보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과 그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메시지 보안에 사용된 키를 수신측 사용자에게 알리지 않고서도 보안 메시지 서비스를 할 수 있는 방법과 그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지정된 위치에서만 보안 메시지를 열람할 수 있도록 하여 메시지 서비스의 보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과 그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수신측 이동통신 단말에 수신된 메시지를 송신측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제한적으로 보존하도록 하여 메시지 서비스의 보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과 그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이, 메시지를 발송하는 경우에는, 발송할 메시지를 열람 가능한 위치를 지정하는 열람 위치정보를 사용하여 보안 설정하여 보안 메시지를 생성하고, 보안 메시지를 수신해야 할 이동통신 단말을 목적지로 지정하여 보안 메시지를 발송한다.
본 발명에 따라, 열람 가능한 위치를 지정하는 열람 위치정보에 의해 보안 설정된 보안 메시지를 수신한 이동통신 단말은, 열람 가능한 위치를 지정하는 열람 위치정보에 의해 보안 설정되어 수신된 보안 메시지에 대한 사용자의 열람 요구가 있는 경우에는, 이동통신 단말의 현 위치정보를 확인하고, 현 위치정보를 사용하여 보안 메시지의 보안 설정을 해제하여, 해제된 메시지 내용을 표시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통상적인 이동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으로서, 예를 들어 2개의 이동통신 단말들(100,110)이 각각 자신이 위치한 이동통신 서비스 영역의 기지국들(102,108)과 무선 통신을 하여 이동통신 네크워크(104)를 통해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보인 것이다. 통상적으로 이동통신 네크워크(104)는 이동통신 서비스 사업자에 의해 제공되며, 이동통신 단말들(100,110)에게 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메시지 서버(106)를 구비한다. 메시지 서버(106)는 예를 들어 SMS(Short Message Service)를 메시지 서비스로 제공하는 경우라면 SMSC(Short Message Service Center)에 있는 서버에 해당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설명에서 편의상 상기한 이동통신 단말들(100,110) 중에 이동통신 단말(100)은 메시지를 발송하는 송신측 이동통신 단말이고, 이동통신 단말(110)은 송신측 사용자가 메시지를 수신해야 할 이동통신 단말로 지정한 목적지 이동통신 단말, 즉 수신측 이동통신 단말이라고 가정한다.
도 2는 이러한 송,수신측 이동통신 단말(100,110)의 구성 예로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를 이용한 위치 확인 기능을 가지는 이동 전화기의 블록 구성도를 보인 것이다. 도 2에서 MPU(Micro-processor Unit)(200)는 전화 통화, 데이터 통신, GPS 수신 및 위치 확인 등의 기능을 처리 및 제어하는 블록으로, 통상적인 기능에 더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보안 메시지 서비스 기능을 처리한다. 롬(Read Only Memory)(202)은 MPU(20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의 마이크로 코드와 각종 참조 데이터를 저장한다. 램(Random Access Memory)(204)은 MPU(200)의 워킹 메모리(working memory)로 제공된다. 플래시 램(flash RAM(Random Access Memory))(206)은 메시지뿐만 아니라 갱신 가능한 각종 보관용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영역을 제공한다. 키 입력부(208)는 0 ~ 9의 숫자 키들과, 메뉴(menu), 메일(mail), 선택, 통화, 지움, 전원/종료, *, #, 음량(volume) 등 다수 기능 키들을 구비하며 사용자가 누르는 키에 대응하는 키 입력 데이터를 MPU(200)에 제공한다. 디스플레이 장치(210)는 MPU(200)의 제어에 따른 화상정보를 화면상에 표시한다. MPU(200)와 연결된 코덱(CODEC: Coder-Decoder)(212)과, 코덱(212)에 접속된 마이크(214) 및 스피커(216)는 전화 통화 및 음성 녹음에 사용된다. RF(Radio Frequency) 모듈(220)은 안테나(218)를 통해 이동통신 기지국(102,108)과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는데, 베이스밴드 처리부(222)를 통해 MPU(200)로부터 입력되는 송신할 신호를 변조하여 RF신호를 안테나(218)를 통해 송신하고, 안테나(218)를 통해 수신되는 RF신호를 복조하여 베이스밴드 처리부(222)를 통해 MPU(200)에 제공한다. 베이스밴드 처리부(222)는 RF 모듈(220)과 MPU(200)간에 송,수신되는 베이스밴드 신호를 처리한다. GPS 모듈(226)은 안테나(224)를 통해 GPS 위성으로부터 위치 정보 신호를 수신하여 MPU(200)에 제공한다.
도 3은 상기한 도 2와 같은 이동통신 단말에 있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MPU(200)에 의해 실행되는 보안 메시지 송신을 위한 소프트웨어 모듈(software module) 구성도를 보인 것으로, 발송할 메시지를 작성하는 메시지 작성부(300), 발송할 메시지에 대하여 열람 위치정보를 사용하여 보안 설정하여 보안 메시지를 생성하는 보안 설정부(302), 보안 메시지에 열람 안내정보를 첨부하는 열람 안내정보 첨부부(304), 보안 메시지에 각종 삭제 조건을 설정하는 삭제 조건 설정부(306), 메시지를 발송하는 메시지 발송부(308)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도 2,3과 같은 송신측 이동통신 단말(100)의 MPU(200)가 처리하는 과정을 (400)∼(426)단계로 보인 도 4의 처리 흐름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보안 메시지 송신 처리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송신측 이동통신 단말(100)의 사용자가 메시지를 작성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키 입력부(208)를 통해 메시지 작성 메뉴 항목을 선택하고 메시지 내용을 입력하게 된다. 이에 따라 (400)단계에서 메시지 작성을 실행하게 된다. 이처럼 작성된 메시지는 통상적으로 사용자에 의해 바로 발송되거나 아니면 보관되었다가 나중에 사용자에 의해 발송되거나 예약 발송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작성된 메시지를 사용자가 발송하고자 정해진 키를 키 입력부(208)를 통해 입력하면, 보안 메시지의 설정 여부를 문의하는 문구나 메뉴를 디스플레이 장치(210)를 통해 디스플레이한다. 만일 사용자가 메시지를 보안 메시지로서 발송하기를 선택한다면 (404)∼(424)단계에 따라 보안 메시지를 생성하여 (426)단계에서 발송하게 되고, 통상적인 메시지로서 발송하기를 선택한다면 바로 (426)단계로 진행하여 메시지를 발송하게 된다.
상기한 (404)∼(424)단계에서는 사용자가 입력하는 열람 위치정보를 사용하여 발송할 메시지에 대하여 보안 설정함으로써 보안 메시지를 생성한 후, ESN(Electronic Serial Number) 암호화 요구를 설정하거나 열람 안내 정보를 첨부 또는 각종 삭제 조건을 설정한다.
상기한 (404)단계에서는 보안 설정에 사용할 열람 위치정보를 키 입력부(208)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고, 다음에 (406)∼(412)단계에서 열람 위치정보를 사용하여 보안 설정을 한다. 이때 보안 설정은 '잠금', '암호화'의 2가지 타입 중에 사용자가 선택하는 어느 한가지 타입으로 설정되거나 2가지 타입 모두로 설정된다. 상기한 열람 위치정보는 수신측 이동통신 단말(110)에 수신된 보안 메시지를 수신측 사용자가 열람 가능한 위치를 송신측 사용자가 지정하는 위치정보를 의미한다. 열람 위치정보로서는 예를 들어 열람 가능한 위치의 경도, 위도, 고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중에 고도의 경우에는 GPS를 이용하여도 정확도가 떨어지므로 경도와 위도를 위치정보로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송신측 사용자는 수신측 이동통신 단말(110)이 수신측 이동통신 단말(110)의 현 위치에 대하여 확인 가능한 위치정보의 오차, 정밀도 등을 고려하여 열람 위치정보를 정한다. 수신측 이동통신 단말(110)은 도 2에 보인 바와 같이 GPS 모듈(226)을 구비하는 경우에는 GPS 위성으로부터 수신하는 위치 신호에 근거하여 수신측 이동통신 단말(110)이 있는 곳의 위도 및 경도를 현 위치정보로서 확인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수신측 이동통신 단말(110)이 현재 위치한 이동통신 서비스 영역의 기지국(108)으로부터 기지국(108)의 경도 및 위도 정보를 수신하여 현 위치정보로서 확인하도록 할 수도 있다. 다만, 이러한 경우에 현 위치정보는 실제 수신측 이동통신 단말(110)의 위치가 아니라 기지국(108)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이므로, 송신측 사용자는 이를 고려하여 열람 위치정보의 정밀도를 정한다.
상기한 (406)단계에서는 디스플레이 장치(210)를 통해 사용자에게 보안 타입을 문의하여, 사용자가 메시지 암호화를 선택하면 (408)단계로 진행하며, 이와 달리 사용자가 메시지 잠금을 선택하면 (412)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408)단계에서는 사용자가 입력한 열람 위치정보를 암호화 키로 사용하여 메시지의 내용을 암호화한다. 이후 (410)단계에서 암호화된 메시지를 잠글 것인지 여부를 디스플레이 장치(210)를 통해 사용자에게 문의하여, 메시지 잠금이 선택되면 (412)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414)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412)단계에서는 암호화되지 않은 메시지 또는 암호화된 메시지를 열람 위치정보를 잠금 키로 사용하여 잠근 후, (414)단계로 진행한다. 이에 따라 발송할 메시지가 잠금, 암호화, 잠금 및 암호화 중에 한가지로 보안 설정됨으로써 보안 메시지로서 생성된다. 여기서 잠금, 암호화 등에 대하여는 여러 가지 기술이 공지되어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생성된 보안 메시지에 ESN 암호화 요구를 설정할 수도 있고,열람 안내 정보를 첨부하거나 삭제 조건을 설정할 수도 있으며, 열람 안내 정보를 첨부함과 아울러 삭제 조건을 설정할 수도 있다. ESN 암호화 요구는 수신측 이동통신 단말(110)의 ESN을 사용하여 암호화 및/또는 잠긴 보안 메시지의 내용을 암호화할 것을 이동통신 네트워크(104)에 요구하는 것을 의미한다. 열람 안내 정보는 수신측 사용자에게 열람 가능한 위치를 안내하기 위한 정보로서, 예를 들어 열람 안내 정보의 내용은 '집', '사무실', '업무 위치 1' 등으로 정할 수 있는데, 가능한 한 수신측 사용자만이 그 위치를 알 수 있는 곳을 알리는 정보로 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열람 가능한 위치에 대하여 송,수신측 사용자 간에 미리 약속된 경우라면 보안성을 높이기 위해 열람 안내 정보를 첨부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삭제 조건은 보안 메시지가 수신측 이동통신 단말(110)에 수신된 후 삭제되어야 할 조건을 지정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열람 횟수', '최초 열람 후 경과 시간', '비정상적인 열람 시도 횟수', '특정 시점', '재전송 시도', ‘열람 지역 이탈’ 등이 설정될 수 있으며, 이들 중에 하나만을 지정하도록 하거나 여러 가지를 함께 지정하도록 할 수 있다. 열람 횟수는 수신측 사용자가 보안 메시지를 정해진 횟수만큼 열람하면 자동으로 삭제하도록 하는 조건이다. 최초 열람 후 경과 시간은 수신측 사용자가 보안 메시지를 처음 열람한 시점부터 정해진 시간이 경과하면 자동으로 삭제하도록 하는 조건이다. 비정상적인 열람 시도 횟수는 수신측 사용자가 열람 가능한 위치가 아닌 곳에서 보안 메시지의 열람을 시도한 횟수, 즉 열람을 시도한 곳의 현 위치정보가 열람 위치정보와 다른 곳에서 열람을 시도한 횟수가 정해진 횟수가 되면 보안 메시지를 자동으로 삭제하도록 하는 조건이다. 특정 시점은 정해진 시점이 되면 보안 메시지를 자동으로 삭제하도록 하는 조건이다. 재전송 시도는 수신측 사용자가 보안 메시지를 제3자에게 재전송을 시도하는 경우 자동으로 삭제하도록 하는 조건이다. 열람 지역 이탈은 수신측 이동통신 단말(110)이 열람 가능 위치에 해당하는 지역을 이탈하는 경우 보안 메시지를 자동으로 삭제하도록 하는 조건이다. 이는 예를 들어 어떤 회의장 내를 열람 가능 위치로 지정하여 보안 메시지를 발송한 경우, 수신측 이동통신 단말(110)이 해당 회의장에서 보안 메시지를 수신한 후 해당 회의장을 벗어나는 경우에 보안 메시지가 자동으로 삭제되도록 함으로써 보안 메시지 내용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414)단계에서는 디스플레이 장치(210)를 통해 사용자에게 ESN 암호화 요구의 설정 여부를 문의한다. 이때 사용자는 보안 메시지가 ESN 암호화되어 수신측 이동통신 단말(110)에 수신되기를 원한다면 ESN 암호화 요구 설정을 선택하게 된다. 이처럼 사용자가 ESN 암호화 요구의 설정을 선택하면 (416)단계에서 보안 메시지에 ESN 암호화 요구를 설정한다.
상기 (414)단계에서 사용자가 ESN 암호화 요구를 설정하지 않는 것을 선택하였거나 상기 (416)단계를 실행한 다음에는 (418)단계에서 디스플레이 장치(210)를 통해 사용자에게 열람 안내 정보의 첨부 여부를 문의하여, 사용자가 열람 안내 정보를 첨부하기를 선택하면 (420)단계에서 사용자가 키 입력부(208)를 통해 입력하는 열람 안내 정보를 보안 메시지에 첨부한다. 상기 (418)단계에서 사용자가 열람 안내 정보를 첨부하지 않는 것을 선택하였거나 상기 (420)단계를 실행한 다음에는 (422)단계에서 디스플레이 장치(210)를 통해 사용자에게 삭제 조건 설정 여부를 문의하여, 사용자가 삭제 조건을 설정하기를 선택하면 (424)단계에서 키 입력부(208)를 통한 사용자의 키 입력에 따라 지정되는 삭제 조건을 보안 메시지에 설정한다. 상기 (422)단계에서 사용자가 삭제 조건을 설정하지 않는 것을 선택하였거나 상기 (424)단계를 실행한 다음에는 (426)단계를 실행한다.
상기한 (426)단계에서는 통상적인 메시지 또는 상기한 바와 같이 ESN 암호화 요구의 설정, 열람 안내 정보의 첨부, 삭제 조건의 설정이 선택적으로 이루어진 보안 메시지를 사용자가 지정하는 이동통신 단말, 즉 보안 메시지를 수신해야 할 수신측 이동통신 단말(110)을 목적지 이동통신 단말로 지정하여 발송한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은 보안 메시지 여부, 보안 타입, ESN 암호화 요구의 설정 여부, 열람 안내 정보의 첨부 여부, 열람 안내 정보, 삭제 조건의 설정 여부, 삭제 조건 등의 부가적인 정보는 이동통신 네트워크(104) 및/또는 수신측 이동통신 단말(110)에서 확인되어야 하므로 보안 메시지에 포함되어 전송된다. 이러한 부가적인 정보를 보안 메시지에 포함시켜 전송하기 위해서는 이 부가적인 정보의 전송을 위한 필드를 가지는 별도의 메시지 포맷을 정의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경우에는 통상적인 메시지 서비스와 호환이 되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을 적용하게 되는 이동통신 단말들(100,110)에 대하여는 통상적인 메시지 포맷에 있어서 메시지 내용을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사용자 데이터 필드의 일부를 상기한 부가적인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필드로서 정의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서버의 보안 메시지 서비스 처리 흐름도로서, 이동통신 네트워크(104)의 메시지 서버(106)가 실행하는 메시지 서비스 처리를 (500)~(508)단계로 보인 것이다. 메시지 서버(106)는 (500)단계에서 송신측 이동통신 단말(100)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면, (502)단계에서 ESN 암호화 요구가 설정되어 있는지 여부를 검사한다. 만일 수신된 메시지가 ESN 암호화 요구가 설정되어 있지 않은 보안 메시지 또는 통상적인 메시지라면 바로 (508)단계로 진행하여 수신된 메시지를 해당 메시지의 목적지로 지정된 수신측 이동통신 단말(110)로 전송한다.
이와 달리 수신된 메시지가 상기한 바와 같이 ESN 암호화 요구가 설정된 보안 메시지라면 (504)단계에서 이동통신 네트워크(104)가 저장하고 있는 목적지 이동통신 단말의 ESN, 즉 수신측 이동통신 단말(110)의 ESN을 확인한다. 이후 (506)단계에서 수신측 이동통신 단말(110)의 ESN을 암호화 키로 사용하여 메시지의 내용을 암호화한 후, (508)단계에서 목적지 이동통신 단말인 수신측 이동통신 단말(110)로 전송한다. 따라서 송신측 이동통신 단말(100)의 사용자가 보안 메시지에 ESN 암호화 요구를 설정해 놓은 경우에는 보안 메시지가 이동통신 네트워크(104)에서 수신측 이동통신 단말(110)의 ESN에 의해 암호화된 후 수신측 이동통신 단말(110)로 전송되게 된다.
도 6은 상기한 도 2와 같은 이동통신 단말에 있어서 MPU(200)에 의해 실행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안 메시지 수신을 위한 소프트웨어 모듈 구성도를 보인 것으로, 메시지를 수신하는 메시지 수신부(600), 수신된 메시지를 저장, 삭제 등 관리하는 메시지 관리부(602), 보안 메시지에 대하여 ESN 및/또는 위치 정보를 사용하여 보안 설정을 해제하는 보안 해제부(604), 메시지 내용을 출력하는 메시지 출력부(606)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도 2,6과 같은 수신측 이동통신 단말(110)의 MPU(200)가 처리하는 과정을 (700)∼(734)단계로 보인 도 7의 처리 흐름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보안 메시지 수신 처리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수신측 이동통신 단말(110)이 메시지를 수신하게 되면 MPU(200)는 통상적인 경우와 마찬가지로 메시지 수신 처리를 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MPU(200)는 (700)∼(702)단계에서 수신된 메시지 중에 상기한 바와 같이 송신측 사용자가 설정해 놓은 삭제 조건에 해당하는 보안 메시지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사함과 아울러, (704)단계에서 사용자가 수신된 메시지 중에 열람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선택하는지를 검사한다.
상기한 (700)∼(702)단계에서 검사 결과 만일 수신된 보안 메시지 중에 삭제 조건, 즉 전술한 바와 같은 열람 횟수, 최초 열람 후 경과 시간, 비정상적인 열람 시도 횟수, 특정 시점, 재전송 시도, 열람 지역 이탈 등 중에 송신측 사용자가 설정해 놓은 삭제 조건에 해당하는 보안 메시지가 존재한다면 해당하는 보안 메시지를 삭제한다. 예를 들어 송신측 사용자가 삭제 조건으로서 비정상적인 열람 시도 횟수를 3회로 설정하고 최초 열람 후 경과 시간을 즉시 파기로 설정하여 보안 메시지를 전송하였다면, 수신측 사용자가 지정된 열람 위치가 아닌 곳에서 3번 이상 메시지 열람을 시도하거나 정상적인 열람을 한 후에는 즉시 해당 보안 메시지를 삭제한다.
상기한 (700)∼(704)단계에서 사용자가 하나 또는 다수의 수신 메시지들 중에 어느 하나의 메시지를 키 입력부(208)를 통해 선택하게 되면, (706)단계에서 해당 메시지가 보안 메시지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만일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메시지가 보안 메시지가 아니라면, 즉 통상적인 메시지라면 (734)단계에서 메시지 내용을 디스플레이 장치(210)를 통해 표시하며 이후 메시지 내용 표시를 종료하게 되면 상기한 (700)∼(704)단계로 진행한다. 이와 달리 사용자가 선택한 메시지가 보안 메시지라면, 디스플레이 장치(210)를 통해 보안 메시지임을 표시하며, (708)단계에서 열람 안내 정보가 첨부되었는가를 확인한다. 만일 열람 안내 정보가 첨부되지 않았다면 (712)단계로 진행한다. 이와 달리 열람 안내 정보가 첨부되었다면 상술한 바와 같이 송신측 사용자가 첨부하였던 열람 안내 정보를 (710)단계에서 디스플레이 장치(210)를 통해 표시하고 (712)단계로 진행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어떤 메시지를 선택하였을 때, 디스플레이 장치(210)를 통해 해당 메시지가 보안 메시지라고 표시되면, 사용자가 정당한 사용자라면 미리 약속된 열람 가능한 위치로 이동통신 단말(110)을 가지고 이동한 후, 해당 보안 메시지에 대한 열람을 시도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는 송신측 사용자가 열람 안내 정보를 첨부함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210)를 통해 열람 안내 정보가 표시된다면 이를 참조하여 열람 가능한 위치로 이동한다.
상기한 (712)단계에서는 사용자의 메시지 열람 시도 여부를 확인하여, 사용자가 메시지 열람을 시도하지 않고 종료하면 상기한 (700)∼(704)단계로 진행한다. 이와 달리 사용자가 메시지 열람을 시도하면, (714)단계에서 해당 보안 메시지가 ESN 암호화되어있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ESN 암호화되지 않은 경우라면 (720)단계로 진행하고, ESN 암호화가 되어 있다면 (716)단계로 진행한다. 상기한 (716)단계에서는 자신의 ESN, 즉 수신측 이동통신 단말(110)의 ESN을 복호화 키로 사용하여 보안 메시지에 대한 복호화를 시도한다. 상기한 (716)단계에서 복호화는 암호화에 대한 해독의 성공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사용하며, 복호화를 시도한 다음에 (718)단계에서 해독의 성공 여부를 확인한다. 만일 해독을 성공하였다면 (720)단계로 진행하고,해독을 성공하지 못했다면 (736)단계로 진행한다.
상기한 (720)단계에서는 수신측 이동통신 단말(110)의 현 위치 정보를 확인한다. 이때 현 위치 정보의 확인은 전술한 바와 같이 GPS 모듈(226)에 의해 GPS 위성으로부터 수신하는 위치 신호에 근거하여 수신측 이동통신 단말(110)이 현재 있는 곳의 경도 및 위도를 현 위치정보로서 확인하도록 정해질 수도 있고, 기지국(108)으로부터 기지국(108)의 경도 및 위도 정보를 수신하여 현 위치정보로서 확인하도록 정해질 수도 있다.
이후 (722)단계에서 보안 메시지의 보안 설정이 잠김으로 되어있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잠김으로 되어 있다면 (724)단계에서 현 위치 정보를 해제 키로 사용하여 잠김 해제를 시도하고, 잠기지는 않고 암호화만 되어 있다면 (728)단계를 거쳐 (730)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724)단계에서 잠김 해제는 잠김 해제의 성공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사용하며, 잠김 해제를 시도한 다음에 (726)단계에서 잠김 해제의 성공 여부를 확인한다. 만일 잠김 해제를 성공하지 못하였다면 (736)단계로 진행하고, 잠김 해제를 성공하였다면 (728)단계로 진행하여 잠김 해제된 보안 메시지의 암호화 여부를 확인한다. 이때 잠김 해제된 보안 메시지가 암호화되어 있다면 (730)단계에서 현 위치정보를 복호화 키로 사용하여 보안 메시지의 암호화 내용에 대한 복호화를 시도하고, 암호화되지 않았다면 (734)단계로 진행한다. 상기한 (730)단계에서 복호화는 암호화에 대한 해독의 성공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사용하며, 복호화를 시도한 다음에 (732)단계에서 해독의 성공 여부를 확인한다. 만일 해독을 성공하였다면 (734)단계로 진행하고,해독을 성공하지 못했다면 (736)단계로 진행한다.
상기한 (734)단계에서는 잠김 해제 및/또는 복호화에 의해 해독된 메시지 내용을 디스플레이 장치(210)를 통해 표시하며, 이후 표시를 종료하면 상기한 (700)∼(704)단계로 진행한다. 이처럼 보안 해제, 즉 잠김 해제 및/또는 복호화에 따라 해독된 보안 메시지의 내용을 표시하지만, 이 메시지 내용이 저장되거나 해당하는 보안 메시지의 보안 설정 상태가 변경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수신측 사용자가 열람 가능 위치에서 보안 메시지를 열람한 후 다른 곳으로 이동하면, 메시지는 원래의 보안 설정 상태로 자동으로 돌아가게 되므로 해당 보안 메시지를 제3자에게 재전송하는 경우에도 보안성은 그대로 유지된 채 전송된다.
그리고 상기한(736)단계에서는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고, 상기한 (700)∼(704)단계로 진행한다. 이때 경고 메시지 출력의 예를 들면, 비정상적인 열람 시도에 대한 경고 문구를 디스플레이 장치(210)를 통해 표시함과 아울러 스피커(216)를 통해 경고음을 출력한다.
이에 따라 수신측 사용자는 이동통신 단말을 휴대하고 송신측 사용자가 지정한 열람 위치정보에 해당하는 곳에 있는 경우에만 수신된 보안 메시지의 내용을 볼 수 있게 된다.
이때 송신측 사용자가 보안 메시지를 보낼 때 ESN 암호화 요구를 설정해놓은 경우에는 송신측 사용자가 지정한 이동통신 단말을 통해서만 보안 메시지의 내용을 볼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불법 사용자가 수신측 이동통신 단말에서 보안 메시지를 강제로 추출하여 보고자 시도하는 경우나 송신측 사용자가 실수로 인해 원치 않은 이동통신 단말로 보안 메시지가 전송되는 경우에 보안 메시지의 내용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위치 정보를 키로 사용하여 메시지를 암호화하거나 잠금으로써 특정 장소에서만 메시지를 확인할 수 있게 되므로 의도하지 않은 정보의 유출을 막을 수 있다. 예를 들면 회사에서 직원들을 대상으로 보안성이 있는 메시지를 전송할 경우 직원들이 회사 내에 있을 때만 메시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특히 해당 지역이 물리적인 보안이 이루어지고 있는 경우라면 이동통신 단말의 분실 시에도 정보의 유출을 막을 수 있게 된다.
이처럼 본 발명은 송신측 사용자와 수신측 사용자 간에 실제 암호화 키를 공유하는 대신에 암호화 키에 관련된 정보만을 공유하면 되므로 메시지 서비스의 보안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위치 정보를 키로 사용함으로써 세계 전 지역에 대해 보안 메시지 서비스를 하는데 적용 가능하다.
아울러 송신측 사용자가 보안 메시지에 대하여 각종 삭제 조건을 설정하여 원하는 삭제 조건에 해당하게 되는 보안 메시지는 자동으로 삭제됨으로써, 보안 메시지에 대한 비 정상적인 열람 시도와 필요 이상의 보존 등을 방지할 수 있어 보안 정책의 운영에도 도움이 될 수 있다.
한편 수신측 이동통신 단말에서 전술한 바와 같은 수신 메시지의 내용을 표시하는 기능이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보안 메시지가 도착하였을 때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상에 메시지의 내용은 표시하지 않고 보안 메시지의 수신만을 알린다. 이때 해당 보안 메시지에 열람 안내 정보가 첨부된 경우에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열람 안내 정보를 표시하도록 한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추가적으로 ESN 암호화를 하거나 열람 안내 정보를 첨부하여 수신측 사용자가 참고할 수 있도록 하며, 삭제 조건을 설정하여 수신측 이동통신 단말에 보안 메시지가 수신된 이후 삭제 조건에 해당하게 될 때 자동으로 삭제하는 예를 들었으나, 이들은 실제 적용될 때 생략되거나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보안성을 더 높이기 위해 개인 신분 확인 등의 절차를 더 거칠 수도 있다. 그리고 보안 메시지에 대한 보안 해제의 성공 여부를 확인하여 성공한 경우에만 메시지 내용을 표시하는 예를 들었으나, 보안 해제 처리된 메시지 내용을 그대로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표시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 수신측 이동통신 단말이 열람 위치정보에 해당하는 위치가 아닌 곳에 있다면, 보안 해제 처리된 메시지 내용이 비록 화면상에 표시된다 해도 그 내용을 판독할 수 없는 상태가 되므로 보안성을 유지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하여 정하여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수신측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을 휴대하고 송신측 사용자가 지정한 열람 위치정보에 해당하는 곳에 있는 경우에만 수신된 보안 메시지의 내용을 볼 수 있도록 하며, 송신측 사용자와 수신측 사용자 간에 실제 암호화 키를 공유하는 대신에 암호화 키에 관련된 정보만을 공유하면 되므로, 메시지 서비스의 보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아울러 송신측 사용자가 보안 메시지에 대하여 각종 삭제 조건을 설정하여 수신측 이동통신 단말에 수신된 보안 메시지가 송신측 사용자가 원하는 삭제 조건에 해당하게 될 때 자동으로 삭제되도록 함으로써, 보안 메시지에 대한 비 정상적인 열람 시도와 필요 이상의 보존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동통신 시스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동통신 단말의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의 보안 메시지 송신을 위한 소프트웨어 모듈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의 보안 메시지 송신 처리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서버의 보안 메시지 서비스 처리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의 보안 메시지 수신을 위한 소프트웨어 모듈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의 보안 메시지 수신 처리 흐름도.

Claims (24)

  1. 이동통신 단말의 보안 메시지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발송할 메시지를 열람 가능한 위치를 지정하는 열람 위치정보를 사용하여 보안 설정하여 보안 메시지를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보안 메시지를 수신해야 할 이동통신 단말을 목적지로 지정하여 상기 보안 메시지를 발송하는 과정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메시지 서비스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송 과정이, 상기 열람 가능한 위치와 관련된 정보를 상기 목적지 이동통신 단말의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한 열람 안내 정보를 상기 보안 메시지에 첨부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메시지 서비스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송 과정이, 상기 보안 메시지가 상기 목적지 이동통신 단말에 수신된 후 삭제되어야 할 조건을 지정하는 삭제 조건을 상기 보안 메시지에 설정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메시지 서비스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삭제 조건이, 열람 횟수, 최초 열람 후 경과 시간, 비정상적인 열람 시도 횟수, 특정 시점, 재전송 시도, 열람 지역 이탈 중에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메시지 서비스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송 과정이, 상기 목적지 이동통신 단말의 ESN(Electronic Serial Number)을 사용하여 상기 보안 메시지의 내용을 암호화할 것을 이동통신 네트워크에 요구하는 ESN 암호화 요구를 설정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메시지 서비스 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보안 설정이, 상기 열람 위치정보를 암호화 키로 사용하여 상기 메시지의 내용을 암호화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메시지 서비스 방법.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보안 설정이, 상기 열람 위치정보를 잠금 키로 사용하여 상기 메시지에 대한 잠금을 설정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메시지 서비스 방법.
  8.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보안 설정이, 상기 열람 위치정보를 암호화 키로 사용하여 상기 메시지의 내용을 암호화함과 아울러 상기 열람 위치정보를 잠금 키로 사용하여 상기 메시지에 대한 잠금을 설정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메시지 서비스 방법.
  9. 이동통신 네트워크에서 이동통신 단말에게 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ESN(Electronic Serial Number) 암호화 요구가 설정된 보안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보안 메시지에 대한 목적지 이동통신 단말의 ESN을 암호화 키로 사용하여 상기 보안 메시지의 내용을 암호화하는 과정과,
    상기 ESN 암호화된 보안 메시지를 상기 목적지 이동통신 단말로 전송하는 과정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메시지 서비스 방법.
  10. 이동통신 단말의 보안 메시지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열람 가능한 위치를 지정하는 열람 위치정보에 의해 보안 설정된 보안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보안 메시지에 대한 사용자의 열람 요구가 있으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의 현 위치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보안 메시지의 보안 설정을 해제하는 과정과,
    상기 보안 설정이 해제된 메시지 내용을 표시하는 과정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메시지 서비스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보안 메시지의 보안 설정에 대한 해제를 실패하면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는 과정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메시지 서비스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 과정이,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위성으로부터 수신하는 위치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현 위치정보를 확인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메시지 서비스 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 과정이, 상기 이동통신 단말이 현재 위치한 이동통신 서비스 영역의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현 위치정보를 확인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메시지 서비스 방법.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열람 가능한 위치와 관련된 정보를 알리기 위한 열람 지역 정보가 상기 보안 메시지에 첨부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열람 지역 안내 정보를 표시하는 과정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메시지 서비스 방법.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보안 메시지가 수신된 후 삭제되어야 할 조건을 지정하는 삭제 조건이 상기 보안 메시지에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보안 메시지가 상기 삭제 조건에 해당되는가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삭제 조건에 해당하면 상기 보안 메시지를 삭제하는 과정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메시지 서비스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삭제 조건이, 열람 횟수, 최초 열람 후 경과 시간, 비정상적인 열람 시도 횟수, 특정 시점, 재전송 시도, 열람 지역 이탈 중에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메시지 서비스 방법.
  1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 과정이, 상기 보안 메시지가 ESN(Electronic Serial Number) 암호화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의 ESN을 복호화 키로 사용하여 상기 보안 메시지의 ESN 암호화 내용을 복호화하는 과정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메시지 서비스 방법.
  18. 제10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보안 메시지가, 상기 열람 위치정보가 잠금 키로 사용되어 잠긴 메시지이고,
    상기 해제가, 상기 현 위치정보를 해제 키로 사용하여 상기 보안 메시지의 잠김을 해제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메시지 서비스 방법.
  19. 제10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보안 메시지가, 상기 열람 위치정보가 암호화 키로 사용되어 암호화된 메시지이고,
    상기 해제가, 상기 현 위치정보를 복호화 키로 사용하여 상기 보안 메시지의 암호화 내용을 복호화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메시지 서비스 방법.
  20. 제10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보안 메시지가, 상기 열람 위치정보가 잠금 키로 사용되어 잠김과 아울러 상기 열람 위치정보가 암호화 키로 사용되어 암호화된 메시지이고,
    상기 해제가, 상기 현 위치정보를 해제 키로 사용하여 상기 보안 메시지의 잠김을 해제함과 아울러 상기 현 위치정보를 복호화 키로 사용하여 상기 보안 메시지의 암호화 내용을 복호화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메시지 서비스 방법.
  21. 이동통신 단말에게 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발송할 메시지를 열람 가능한 위치를 지정하는 열람 위치정보를 사용하여 보안 설정하여 보안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보안 메시지 내용에 대한 ESN(Electronic Serial Number) 암호화를 이동통신 네트워크에 요구하는 ESN 암호화 요구를 설정하여 상기 보안 메시지를 수신해야 할 이동통신 단말을 목적지 이동통신 단말로 지정하여 상기 보안 메시지를 발송하는 이동통신 단말과,
    상기 ESN 암호화 요구가 설정된 보안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보안 메시지에 대한 목적지 이동통신 단말의 ESN을 암호화 키로 사용하여 상기 보안 메시지의 내용을 암호화하여 상기 목적지 이동통신 단말로 전송하는 상기 이동통신 네트워크와,
    상기 보안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보안 메시지에 대한 사용자의 열람 요구가 있으면 자신의 ESN을 복호화 키로 사용하여 상기 보안 메시지의 내용을 복호화한 후 상기 이동통신 단말의 현 위치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보안 메시지의 보안 설정을 해제하여 메시지 내용을 표시하는 상기 목적지 이동통신 단말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보안 설정이, 상기 열람 위치정보를 암호화 키로 사용하여 상기 메시지의 내용을 암호화하는 것이고,
    상기 해제가, 상기 열람 위치정보를 복호화 키로 사용하여 상기 보안 메시지의 내용을 복호화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보안 설정이, 상기 열람 위치정보를 잠금 키로 사용하여 상기 메시지에 대한 잠금을 설정하는 것이고,
    상기 해제가, 상기 열람 위치정보를 해제 키로 사용하여 상기 보안 메시지의 잠김을 해제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
  24.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보안 설정이, 상기 열람 위치정보를 암호화 키로 사용하여 상기 메시지의 내용을 암호화함과 아울러 상기 열람 위치정보를 잠금 키로 사용하여 상기 메시지에 대한 잠금을 설정하는 것이고,
    상기 해제가, 상기 현 위치정보를 해제 키로 사용하여 상기 보안 메시지의 잠김을 해제함과 아울러 상기 현 위치정보를 복호화 키로 사용하여 상기 보안 메시지의 암호화 내용을 복호화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
KR20030084031A 2003-10-31 2003-11-25 이동통신 단말의 보안 메시지 서비스 방법과 그 시스템 KR1005399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30084031A KR100539905B1 (ko) 2003-11-25 2003-11-25 이동통신 단말의 보안 메시지 서비스 방법과 그 시스템
US10/970,978 US7392057B2 (en) 2003-10-31 2004-10-22 Message service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position inform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30084031A KR100539905B1 (ko) 2003-11-25 2003-11-25 이동통신 단말의 보안 메시지 서비스 방법과 그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0323A KR20050050323A (ko) 2005-05-31
KR100539905B1 true KR100539905B1 (ko) 2005-12-28

Family

ID=386658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30084031A KR100539905B1 (ko) 2003-10-31 2003-11-25 이동통신 단말의 보안 메시지 서비스 방법과 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3990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35823B2 (en) * 2003-08-12 2012-12-18 Research In Motion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encoded messages
KR101465686B1 (ko) * 2006-03-03 2014-11-26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시스템에서 메시지를 처리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0753325B1 (ko) * 2006-04-12 2007-08-29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암호화 방법
KR100753362B1 (ko) * 2006-06-23 2007-08-30 (주) 엘지텔레콤 이동단말기에서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 메시지박스를변경하는 방법
KR101259113B1 (ko) * 2006-09-22 2013-04-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것의 문자 표시 방법
KR101460614B1 (ko) * 2007-11-20 2014-11-13 삼성전자주식회사 호스트와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 및 보안 모듈, 보안 모듈과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 및 통신 장치, 보안 모듈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KR100895982B1 (ko) * 2007-12-12 2009-05-07 엠디에스테크놀로지 주식회사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이용한 tpeg 서비스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155887B1 (ko) * 2013-08-21 2020-09-14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타임캡슐 메시지 작성 장치, 타임캡슐 메시지 수신 장치 및 중계 장치
WO2015133777A1 (ko) 2014-03-07 2015-09-11 이혜근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1527053B1 (ko) * 2014-08-20 2015-06-09 주식회사 피엔지미디어 사생활 보호 통신 모드가 가능한 통신 시스템
KR102307524B1 (ko) * 2019-05-17 2021-09-30 반승환 히든메일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히든메일서비스 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0323A (ko) 2005-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92057B2 (en) Message service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position information
US7665146B2 (en) Password methods and systems for use on a mobile device
US8244210B2 (en) Method for destructive readout of data in case of mobile theft
US648009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ft deterrence and secure data retrieval in a communication device
KR100742362B1 (ko) 이동통신 네트워크에서 콘텐츠를 안전하게 송수신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EP2263185B1 (en) System for monitoring the unauthorized use of a device
US9807065B2 (en) Wireless device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storing a message in a wireless device
US8233901B2 (en) Method and system of providing personal information control service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20040030906A1 (en) System and method for SMS authentication
US2013009156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itigating the unauthorized use of a device
US20100020972A1 (en) Wireless mobile device that permits toggling of whether to transmit information contained in SMS messages as encrypted or clear text
JP2005531164A (ja) 通信システムにおいてユーザアイデンティティ及び特性のプライバシーを提供する方法及び装置
KR100539905B1 (ko) 이동통신 단말의 보안 메시지 서비스 방법과 그 시스템
US20140079219A1 (en) System and a method enabling secure transmission of sms
CA2702780A1 (en) Security measures for countering unauthorized decryption
KR101067146B1 (ko) 휴대용 단말의 암호화 메시지 처리 방법 및 그 휴대용 단말
US9648495B2 (en)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a verification request to an identification module
GB2377143A (en) Internet security
KR100610352B1 (ko) 분실된 휴대전화기에 저장된 개인정보 보호방법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
KR100416743B1 (ko) 단문 메시지 암호화 전송 방법 및 암호화 메시지 해독수신 방법
KR20060112597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모리를 리셋하는 서비스 방법, 그서비스 제공을 위한 시스템 및 이동통신 단말기
JP2002111858A (ja) 置き忘れ対策機能内蔵携帯電話機
KR100702514B1 (ko) 이동통신단말기에 있어서 개인 비밀 메시지 보호방법
KR100702142B1 (ko) 무선 단말기에서의 콘텐츠 저작권 보호 방법
US20230370438A1 (en) Method for transmitting dat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9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