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33835B1 - 네트워크 프린터 시스템 및 그 토너 카트리지 관리방법 - Google Patents

네트워크 프린터 시스템 및 그 토너 카트리지 관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33835B1
KR100533835B1 KR10-2004-0004739A KR20040004739A KR100533835B1 KR 100533835 B1 KR100533835 B1 KR 100533835B1 KR 20040004739 A KR20040004739 A KR 20040004739A KR 100533835 B1 KR100533835 B1 KR 1005338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ner
information
cartridge
network printer
toner cartri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47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76922A (ko
Inventor
황선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047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33835B1/ko
Priority to US11/030,910 priority patent/US7286772B2/en
Publication of KR200500769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69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38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383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0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 G03G15/5075Remote control machines, e.g. by a host
    • G03G15/5079Remote control machines, e.g. by a host for maintenanc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5Self-diagnostics; Malfunction or lifetime display
    • G03G15/553Monitoring or warning means for exhaustion or lifetime end of consumables, e.g. indication of insufficient copy sheet quantity for a jo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r Security For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네트워크 프린터 시스템 및 그의 토너 카트리지 관리방법이 개시된다. 본 네트워크 프린터 시스템은, 네트워크를 통해 각 단말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거나 타 네트워크 프린터와의 통신을 지원하기 위한 통신모듈, 네트워크 프린터에서 수행한 인쇄량에 따라 토너 카트리지의 토너잔량을 산출하는 토너잔량 산출부, 토너잔량 산출부에서 산출된 토너잔량을 포함하는 토너 카트리지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소정 조건에 도달하면, 토너잔량 산출부에서 산출된 토너잔량을 포함하는 토너 카트리지에 대한 정보를 각 네트워크 프린터 중 적어도 하나에 제공하도록 통신모듈을 제어하며, 타 네트워크 프린터로부터 제공된 토너 카트리지에 대한 정보 중 현재 장착된 토너 카트리지에 대한 최신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타 네트워크 프린터로부터 제공된 토너잔량을 포함하는 카트리지 정보를 메모리와 토너 카트리지 중 적어도 하나에 저장시키도록 제어하는 중앙처리장치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각 네트워크 프린터 간에 인쇄매수와 토너잔량을 포함하는 CRUM 정보를 공유함으로써, 토너 카트리지에 CRUM 정보가 업데이트되지 못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네트워크 프린터 시스템 및 그 토너 카트리지 관리방법{NETWORK PRINTER SYSTEM AND MANAGING METHOD FOR TONER CARTRIDGE THEREOF}
본 발명은 네트워크 프린터 시스템 및 그 토너 카트리지 관리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네트워크 프린터의 작업 중 수시로 토너 카트리지에 관한 정보를 브로드캐스트 함으로써, 인쇄작업 중 고의 또는 우연히 발생하는 전원오프시 토너 카트리지의 작업내역이 저장되지 아니하여 토너 카트리지의 토너잔량 파악에 오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네트워크 프린터 시스템 및 그 토너 카트리지 관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레이저 빔 프린터(Laser Beam Printer: 이하 '프린터'라 약칭함)는 전자 사진 프로세스 방식을 이용하여 인쇄 작업을 수행한다. 프린터에서, 인쇄 작업을 수행하는 과정을 보면, 대전 롤러가 회전하면서 감광 드럼의 표면에 상을 골고루 대전시키고, 대전된 감광 드럼의 표면에 디지털 신호를 빛으로 전환하는 LSU(Laser Scan Unit)에 의해 PC에서 출력되는 화상과 동일한 정전잠상(Electro-Static Latent Image)을 생성한다. 이와 같이 감광드럼에 생성된 정전잠상은 현상기를 지나면서 토너에 의해 현상되어 가시상으로 변하게 되고, 용지 카세트에 적재된 용지가 픽업 롤러에 의해 프린터 내부로 급지되면 용지는 전사 롤러를 통과하면서 그 뒷면에 반대의 전하가 대전되어 감광 드럼의 가시상이 용지위에 전사되며, 가시상이 전사된 용지는 히팅 롤러와 압착 롤러사이를 통과하면서 열과 압착에 의해 전사된 상이 정착된 후, 설정된 이송 경로에 따라 제1 배출 롤러 또는 제2 배출 롤러를 통해 상방향 또는 후방향으로 용지가 배출되어 인쇄 작업의 수행이 완료된다.
이러한 프린터에 장착되는 토너 카트리지(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트리지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카트리지 메모리(21)와, 카트리지 메모리(21)에 저장된 정보를 업데이트시키기 위한 메모리 모듈(23)을 구비하고 있다.
카트리지 메모리(21)에 저장되는 정보는 일반적으로 CRUM(Cartridge Replace Unit Memory) 정보라고 하며, 카트리지의 시리얼번호, 카트리지 공급자, 토너의 잔량, 토너의 상태 등이 포함된다. 여기서, 카트리지의 시리얼번호나 카트리지 공급자에 대한 정보는 카트리지 제작시 또는 공급시에 저장되는 정보이므로 변경되지 아니하나, 토너 카트리지(20)에 남은 토너량을 뜻하는 토너잔량은 사용자가 인쇄작업을 요청하여 인쇄작업이 이루어질 때마다 변경되고, 변경된 토너잔량은 메모리 모듈(23)에 의해 카트리지 메모리(21)에 업데이트된다.
이 때, 토너잔량은 프린터에서 산출되며, 토너 카트리지(20)를 관리하기 위해, 프린터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쇄된 인쇄용지의 수를 카운팅하는 인쇄매수 카운팅부(135), 인쇄매수에 따라 토너 카트리지(20)에 잔존하는 토너잔량을 산출하기 위한 토너잔량 산출부(137), 인쇄매수 카운팅부(135)에서 카운팅된 인쇄매수와 토너잔량 산출부(137)에서 산출된 토너잔량을 저장하기 위한 NVRAM(133), 장착된 토너 카트리지(20)가 정품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인증해주는 인증부(132), 토너잔량 산출부(137)에서 산출된 결과에 따라 토너잔량을 사용자에게 알려주거나 토너잔량이 없을 경우 인쇄작업을 중지시키는 중앙처리장치(131)가 구비되어 있다.
토너잔량 산출부(137)에서는, 인쇄용지 한 장을 인쇄하였을 때 평균적으로 소모되는 토너의 양과, 인쇄매수 카운팅부(135)에서 카운팅된 인쇄매수를 곱하여 토너의 사용량을 구한 다음, 초기에 토너 카트리지(20)에 충전된 토너의 양에서 토너의 사용량을 감하여 토너잔량을 구한다. 이 때, 인쇄용지 한 장을 인쇄하였을 때 소모되는 토너의 양은, 사전에 실험 등에 의해 산출되어 메모리 등에 저장되어 있는 값이다.
이러한 프린터의 작동과정을, 도 3을 참조하여 간단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프린터에 전원이 인가되면(S310), 중앙처리장치(131)에서는 토너 카트리지(20)로부터 CRUM 정보를 읽어들이고(S320), 인증부(132)에서는 CRUM 정보를 파악하여 토너 카트리지(20)가 정품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S330). 중앙처리장치(131)에서는 인증부(132)로부터 토너 카트리지(20)가 정품이라고 판단된 경우에만 인쇄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며(S340), 인증부(132)로 정품으로 인증받지 못한 경우에는 인쇄작업의 수행을 금지한다(S335).
인증부(132)로부터 인증을 받고, 인쇄작업이 진행되면, 중앙처리장치(131)에서는 인쇄매수 카운팅부(135)와 토너잔량 산출부(137)를 작동시켜 지속적으로 인쇄매수를 카운트해서 토너 카트리지(20)의 잔량을 산출하도록 한다(S350,S360). 중앙처리장치(131)에서는 산출된 토너잔량을 NVRAM(133)에 저장시킨다(S370). 그런 다음, 인쇄작업이 완료되어 프린터 엔진이 작동을 정지하면(S380), 중앙처리장치(131)에서는 산출된 토너잔량을 토너 카트리지(20)로 제공하고, 토너 카트리지(20)의 메모리 모듈(23)에서는 프린터로부터 제공된 토너잔량을 카트리지 메모리(21)에 저장시켜 토너잔량을 업데이트 시킨다(S390).
이렇게 카트리지 메모리(21)에 저장된 토너잔량에 대한 정보는 차기에 인쇄작업이 수행되어 업데이트될 때까지 유지되며, 토너 카트리지(20)를 프린터에서 탈착시키더라도 카트리지 메모리(21)에 저장된 CRUM 정보는 유지된다. 이에 반해, 프린터의 NVRAM(133)에 저장된 정보는 다른 토너 카트리지(20)가 장착되어 인쇄작업을 수행하게 되면 사라지게 된다. 즉, 프린터의 NVRAM(133)에는 새로이 장착된 토너 카트리지(20)에 대한 정보가 업데이트되고, 토너잔량 산출부(137)에서는 새로운 토너 카트리지(20)가 작업한 인쇄매수에 따라 새로운 토너잔량을 산출하며, 산출된 토너잔량은 프린터의 NVRAM(133)과 새로운 토너 카트리지(20)에 저장된다.
그런데, 이렇게 프린터는 현재 장착되어 사용되는 토너 카트리지(20)에 대한 정보만을 저장할 수 있으며, 프린터에서 인쇄작업중 지속적으로 토너잔량을 산출하더라도, 인쇄작업이 완료되어야 산출된 토너잔량을 토너 카트리지(20)에 제공하여 업데이트할 수 있기 때문에, 인쇄작업 중 갑자기 정전이 되거나 사용자가 고의로 전원을 오프시킨 다음, 토너 카트리지(20)를 교체시키는 경우에는 프린터에서 산출된 토너잔량에 대한 정보를 토너 카트리지(20)에 제공할 수 없게 된다.
한편, 최근에는 토너 카트리지(20)의 토너가 소진된 경우, 비교적 고가인 정품 토너 카트리지(20)를 사용하지 않고 아닌 불법으로 유통되는 토너나 타사의 리필전용 토너 등으로 리필시켜 사용하고 있다. 그런데, 이렇게 불법으로 유통되는 토너나 타사의 리필전용 토너를 사용할 경우, 각 제조사마다 토너의 성분이 다소 상이하기 때문에 정품 토너에 최적화된 프린터에서는 최적의 성능을 발휘할 수 없게 되고, 이에 따라, 인쇄 품질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불법으로 유통된 토너나 타사의 리필전용 토너를 사용할 경우, 정품 토너와는 달리 감광드럼에 잔존하는 폐토너의 양이 상당히 증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폐토너통에 수집되는 폐토너의 양이 증가하게 된다. 그러나, 폐토너통의 규격은 정품 토너에 의해 잔존하는 폐토너량에 맞추어 제작되므로, 폐토너통에 과도한 양의 폐토너가 수집되면 폐토너통이 넘치는 사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렇게 폐토너통이 넘치게 되면, 프린터내의 부속품이 폐토너에 의해 오염되어 부속품 및 프린터 자체의 수명을 단축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정품 토너를 사용하지 아니함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프린터와 각 부속품들의 수명 단축과, 인쇄 품질의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프린터에서는 전원이 인가되거나 토너 카트리지(20)가 교체되면 토너 카트리지(20)를 인증하는 절차를 두고 있다. 즉, 프린터에 전원이 인가되거나 토너 카트리지(20)가 교체되면, 프린터에서는 토너 카트리지(20)의 카트리지 메모리(21)로부터 CRUM 정보를 읽어들여 토너 카트리지(20)의 정품 여부와 함께 토너 카트리지(20)가 리필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토너 카트리지(20)가 정품이 아니거나 리필된 경우에는 인쇄작업을 수행할 수 없도록 제어하고 있다.
이 때, 토너 카트리지(20)가 정품인지 여부는 토너 카트리지(20)의 시리얼번호를 확인함으로써 가능하며, 토너의 리필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기준은 토너잔량에 대한 정보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토너 카트리지(20)를 사용하면, 프린터에서는 인쇄매수에 따라 토너잔량이 산출되고, 산출된 토너잔량을 토너 카트리지(20)의 카트리지 메모리(21)에 저장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토너 카트리지(20)를 리필하여 토너가 충진되어 있더라도 카트리지 메모리(21)에는 토너잔량이 없는 것으로 CRUM 정보가 저장되어 있게 된다. 따라서, 프린터의 중앙처리장치(131)에서는, 토너 카트리지(20)의 토너잔량이 없는 것으로 판단하여 인쇄작업의 수행을 금지하게 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인쇄작업 중 갑자기 정전이 되거나 사용자가 고의로 전원을 오프시키는 경우에는 프린터에서 산출된 토너잔량에 대한 정보를 토너 카트리지(20)에 제공할 수 없다.
이에 따라, 이러한 맹점을 아는 사용자가 토너 카트리지(20)를 리필시켜 사용하기 위해, 프린터의 인쇄작업이 거의 완료되었을 즈음해서 고의적으로 전원을 오프시키거나 토너 카트리지(20)를 프린터로부터 탈착시키고, 다른 토너 카트리지(20)로 교체하여 인쇄작업을 진행시키는 경우가 있다. 그러면, 토너 카트리지(20)에서는 인쇄작업에 따른 토너잔량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지 못할 뿐만 아니라, 프린터에 저장되어 있던 해당 토너 카트리지(20)에 대한 토너잔량을 포함하는 CRUM 정보도 지워지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토너 카트리지(20)에 토너잔량에 대한 정보를 기록하지 못하는 과정이 반복되면, 토너 카트리지(20)의 토너잔량이 남아있지 않은 상태에서도 토너 카트리지(20)의 카트리지 메모리(21)에서는 토너잔량이 상당량이 잔존하는 것으로 잘못 저장될 수 있다.
따라서, 이렇게 토너잔량이 상당량 잔존하는 것으로 정보가 저장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토너 카트리지(20)의 토너를 정품 토너가 아닌 불법으로 유통되는 토너나 타사의 리필전용 토너 등으로 리필시켜 프린터에 장착시키면, 프린터에서는 토너 카트리지(20)의 CRUM정보에 따라 토너잔량이 남아 있으므로 토너 카트리지(20)가 리필된 것을 파악하지 못하여 토너 카트리지(20)를 정품 토너로 인증하게 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불법으로 유통되는 토너나 타사의 리필전용 토너를 사용할 경우에는 프린터와 각 부속품들의 수명이 단축됨은 물론, 인쇄 품질이 저하되므로, 사용자가 인쇄작업 중 고의적으로 또는 우연히 전원이 차단되더라도 토너잔량을 업데이트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인쇄작업 중 고의 또는 우연히 발생하는 전원오프시에도 카트리지의 토너잔량을 파악하여 업데이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불법으로 유통되는 토너나 타사의 리필전용 토너를 사용할 경우에 발생하는 프린터와 각 부속품들의 수명 단축과, 인쇄 품질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네트워크 프린터 시스템 및 그 토너 카트리지 관리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와 상호 통신가능하게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프린터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프린터 시스템에 있어서,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각 단말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거나 타 네트워크 프린터와의 통신을 지원하기 위한 통신모듈; 상기 네트워크 프린터에서 수행한 인쇄량에 따라 토너 카트리지의 토너잔량을 산출하는 토너잔량 산출부; 상기 토너잔량 산출부에서 산출된 토너잔량을 포함하는 토너 카트리지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소정 조건에 도달하면, 상기 토너잔량 산출부에서 산출된 토너잔량을 포함하는 상기 토너 카트리지에 대한 정보를 상기 각 네트워크 프린터 중 적어도 하나에 제공하도록 상기 통신모듈을 제어하며, 타 네트워크 프린터로부터 제공된 토너 카트리지에 대한 정보 중 현재 장착된 토너 카트리지에 대한 최신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타 네트워크 프린터로부터 제공된 토너잔량을 포함하는 카트리지 정보를 상기 메모리와 상기 토너 카트리지 중 적어도 하나에 저장시키도록 제어하는 중앙처리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토너 카트리지에 대한 정보는, 상기 토너 카트리지의 시리얼번호를 더 포함하며; 상기 중앙처리장치는 상기 타 네트워크 프린터로부터 제공된 토너 카트리지의 시리얼번호와, 상기 장착된 토너 카트리지에 저장된 시리얼번호를 비교하여 상기 타 네트워크 프린터로부터 제공된 토너 카트리지에 대한 정보가 현재 장착된 토너 카트리지에 부합되는 것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중앙처리장치는, 상기 타 네트워크 프린터로부터 제공된 토너잔량과, 상기 장착된 토너 카트리지에 저장된 토너잔량을 비교하여, 상기 타 네트워크 프린터로부터 제공된 토너 카트리지에 대한 정보와 현재 장착된 토너 카트리지에 대한 정보 중 토너잔량이 적은 것을 최신의 정보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중앙처리장치는, 상기 네트워크 프린터에 전원이 공급되거나 상기 네트워크 프린터의 커버가 개방된후 폐쇄되면, 상기 토너잔량을 포함하는 카트리지에 대한 정보를 상기 각 네트워크 프린터에 제공하거나, 소정 시간마다 상기 토너잔량을 포함하는 카트리지에 대한 정보를 상기 각 네트워크 프린터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각 네트워크 프린터의 중앙처리장치는 브로드캐스트 패킷의 형태로 상기 카트리지에 대한 정보를 타 네트워크 프린터에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네트워크 프린터에서 인쇄작업시 인쇄되는 인쇄용지의 매수를 카운팅하는 인쇄매수 카운팅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중앙처리장치는 상기 토너잔량 대신 상기 인쇄매수를 사용하여 상기 타 네트워크 프린터로부터 제공된 정보가 최신인지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네트워크 프린터 시스템의 토너 카트리지 관리방법은, 상기 네트워크 프린터에서 수행된 인쇄량에 따라 각 토너 카트리지의 토너잔량을 산출하는 단계; 소정 조건에 도달하면, 상기 토너잔량을 포함하는 상기 카트리지에 대한 정보를 상기 각 네트워크 프린터 중 적어도 하나에 제공하는 단계; 타 네트워크 프린터로부터 제공된 카트리지에 대한 정보 중, 현재 장착된 카트리지에 부합되는 카트리지 정보가 있는지 판단하는 단계; 판단결과, 상기 타 네트워크 프린터로부터 제공된 카트리지에 대한 정보 중 상기 장착된 카트리지에 부합되는 카트리지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제공받은 카트리지에 대한 정보와, 현재 장착된 토너 카트리지에 저장된 정보 중 최신 정보를 선별하는 단계; 선별결과,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제공받은 카트리지에 대한 정보가, 현재 장착된 토너 카트리지에 저장된 카트리지에 대한 정보보다 최신인 경우,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제공받은 카트리지 정보로 상기 장착된 토너 카트리지에 저장된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토너 카트리지에 대한 정보는, 상기 토너 카트리지의 시리얼번호를 더 포함하며; 타 네트워크 프린터로부터 제공된 카트리지에 대한 정보 중, 장착된 카트리지에 부합되는 카트리지 정보가 있는지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타 네트워크 프린터로부터 제공된 토너 카트리지의 시리얼번호와, 상기 장착된 토너 카트리지에 저장된 시리얼번호를 비교하여 상기 타 네트워크 프린터로부터 제공된 토너 카트리지에 대한 정보가 현재 장착된 토너 카트리지와 동일한 것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제공받은 카트리지에 대한 정보와, 현재 장착된 토너 카트리지에 대한 정보 중 최신정보를 선별하는 단계는, 상기 타 네트워크 프린터로부터 제공된 토너잔량과, 상기 장착된 토너 카트리지에 저장된 토너잔량을 비교하여, 상기 타 네트워크 프린터로부터 제공된 토너 카트리지에 대한 정보와 현재 장착된 토너 카트리지에 대한 정보 중 토너잔량이 적은 것을 최신의 정보로 판단하는 단계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토너잔량을 포함하는 상기 카트리지에 대한 정보를 상기 각 네트워크 프린터 중 적어도 하나에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네트워크 프린터에 전원이 공급되거나 상기 네트워크 프린터의 커버가 개방된후 폐쇄되면 실행되거나, 소정 시간마다 실행될 수 있다.
상기 카트리지에 대한 정보는, 브로드캐스트 패킷의 형태로 타 네트워크 프린터에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네트워크 프린터에서 인쇄작업시 인쇄되는 인쇄용지의 매수를 카운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토너잔량 대신 상기 인쇄매수를 사용하여 상기 타 네트워크 프린터로부터 제공된 정보가 최신인지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후술할 실시예에서, 네트워크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가능한 거의 모든 형태의 통신망을 말하며, 예를 들면, 인터넷, 근거리 통신망(LAN), 원거리 통신망(WAN), 같거나 유사한 종류의 LAN이 브리지(bridge)에 의해 연결되어 형성된 통신망, 다른 종류의 LAN들이 게이트웨이(gateway)에 의해 연결되어 형성된 통신망, 블루투스와 같은 무선 통신망 등을 들 수 있다. 이에 따라, 후술할 네트워크 프린터는 동일한 LAN내에 설치된 네트워크 프린터 뿐만 아니라 원격지에 설치된 네트워크 프린터와도 통신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프린터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본 네트워크 프린터 시스템은, 네트워크 카드가 구비되거나 네트워크 카드의 기능이 보드에 일체로 내장되며 상호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가능하게 연결된 복수의 네트워크 프린터(10)와, 각 네트워크 프린터(10)와 통신가능하게 연결된 복수의 단말기(70)를 포함하며, 각 네트워크 프린터(10)와 각 단말기(70)는 하나의 허브(50)에 연결되어 상호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네트워크화되어 있고, 허브(50)에는 LAN이나 인터넷과 같은 외부의 네트워크와의 통신을 위한 라우터(60)가 연결되어 있다.
본 네트워크 프린터 시스템에서 네트워크를 통해 상호 통신가능하게 연결된 각 네트워크 프린터(10)는, 지속적인 통신을 통해 각 네트워크 프린터(10)에 장착된 토너 카트리지(20)의 CRUM 정보를 송수신하여 공유한다.
일반적으로 프린터에 장착되는 토너 카트리지(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트리지에 대한 정보인 CRUM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카트리지 메모리(21)와, 카트리지 메모리(21)에 저장된 CRUM 정보를 업데이트시키기 위한 메모리 모듈(23)을 구비하고 있다.
카트리지 메모리(21)에 저장되는 CRUM 정보로는, 카트리지의 시리얼번호, 카트리지 공급자, 인쇄매수, 토너잔량, 토너상태 등이 포함된다. 일반적으로 카트리지의 시리얼번호나 카트리지 공급자에 대한 정보는 카트리지 제작시 또는 공급시에 저장되는 정보이므로 변경되지 아니하나, 인쇄매수와 토너잔량은 사용자로부터 요청된 인쇄작업이 수행될 때마다 변경되고, 변경된 인쇄매수와 토너잔량은 메모리 모듈(23)에 의해 카트리지 메모리(21)에 업데이트된다.
이러한 토너 카트리지(20)를 관리하기 위해, 각 네트워크 프린터(10)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너 카트리지(20)의 CRUM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카트리지 관리블럭(40)과, 타 네트워크 프린터(10)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블럭(35)과, 카트리지 관리블럭(40)과 통신블럭(35)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블럭(30)이 구비되어 있다.
제어블럭(30)은, 네트워크 프린터(10)의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과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네트워크 프로토콜을 저장하는 ROM(32)과, 송수신한 인쇄 데이터 및 내부 데이터를 임시 저장하는 RAM(33)과, 후술할 인쇄매수 카운팅부(41)에서 카운팅된 인쇄매수와 토너잔량 산출부(45)에서 산출된 토너잔량을 포함하는 CRUM 정보가 저장되는 플래쉬 메모리인 NVRAM(34)과, 네트워크 프린터(10)의 연산 및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중앙처리장치(31)를 포함한다.
여기서, 네트워크 프로토콜로는, 주로 TCP/IP, IPX/SPX, Apple Talk, Socket, NETBIOS, NetBEUI 등이 사용되며, ROM(32)에는 상술한 네트워크 프로토콜중 현재 구축된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네트워크 프로토콜이 저장되어 있다.
통신블럭(35)은,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해 지원하는 통신모듈(37)과, 중앙처리장치(31)와 입출력장치간에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인터페이스하거나 네트워크 프린터(10) 간에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인터페이스하기 위한 인터페이스(36)를 포함한다.
통신모듈(37)은 다양한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각 네트워크 프린터(10)간에 데이터의 송수신을 지원하며, 통신모듈(37)을 통해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방식으로는 유니캐스트 방식, 멀티캐스트 방식, 브로드캐스트 방식이 있다. 각 방식들에 의해 데이터는 패킷 단위로 송수신되며, 유니캐스트 방식은 특정한 상대방을 선택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해 사용되는 방식으로서, 네트워크 프린터(10)에서는 단말기(70)로부터 특정 네트워크 프린터(10)를 지정하여 인쇄데이터를 송신할 때 주로 사용된다. 멀티캐스트 방식은 미리 지정된 그룹내에서 데이터를 공유하기 위해 사용되며, 브로드캐스트 방식은 네트워크에 연결된 모든 상대방에게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해 사용되는 방식으로서, 네트워크에 연결된 각 네트워크 프린터(10)나 각 단말기(70)에서 상대방의 위치를 파악하거나 자신의 위치를 알릴 때 주로 사용된다. 본 네트워크 프린터 시스템에서는 브로드캐스트 패킷을 이용하여 각 네트워크 프린터(10)들 간에 현재 장착되어 있는 토너 카트리지(20)에 대한 CRUM 정보를 송수신하도록 한다.
카트리지 관리블럭(40)은, 인쇄된 인쇄용지의 수를 카운팅하는 인쇄매수 카운팅부(41), 인쇄매수에 따라 토너 카트리지(20)에 잔존하는 토너의 잔량을 산출하기 위한 토너잔량 산출부(45), 토너 카트리지(20)가 정품인지 여부를 인증하기 위한 인증부(43)를 포함한다.
토너잔량 산출부(45)에서는, 인쇄용지 한 장을 인쇄하였을 때 평균적으로 소모되는 토너의 양과, 인쇄매수 카운팅부(41)에서 카운팅된 인쇄매수를 곱하여 토너의 사용량을 구한 다음, 토너 카트리지(20)에 최초로 충전된 토너의 양에서 산출된 토너의 사용량을 감하여 토너잔량을 구한다.
인증부(43)에서는, 전원이 공급되거나 프린터의 커버가 개방 및 폐쇄되어 토너 카트리지(20)가 교체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 토너 카트리지(20)로부터 읽어들인 시리얼번호와 미리 저장된 정품토너의 시리얼번호를 비교하여 장착된 토너 카트리지(20)가 정품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인증부(43)에서 토너 카트리지(20)가 정품이라고 판단되면, 중앙처리장치(31)는 인쇄작업을 허용하나, 그렇지 아니한 경우에는 인쇄작업의 수행을 금지한다.
중앙처리장치(31)에서는, 네트워크 프린터(10)의 인쇄작업이 진행되는 도중, 계속해서 인쇄매수를 카운트하고, 토너 카트리지(20)의 토너잔량을 산출하도록 제어하며, 산출된 토너잔량에 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NVRAM(34)에 저장한다. 그리고 인쇄작업이 완료되어 프린터 엔진의 작동이 정지되면, 중앙처리장치(31)는 산출된 토너잔량을 토너 카트리지(20)로 제공하며, 토너 카트리지(20)의 메모리 모듈(23)에서는 네트워크 프린터(10)로부터 제공된 토너잔량을 카트리지 메모리(21)에 저장시켜 토너잔량을 업데이트 시킨다.
한편, 중앙처리장치(31)는 특정 이벤트의 발생시 또는 일정 시간 간격으로 현재 네트워크 프린터(10)에 장착되어 있는 토너 카트리지(20)에 대한 CRUM 정보를 통신모듈(37)을 통해 브로드캐스트한다. 이 때, 브로드캐스트되는 정보는 NVRAM(34)으로부터 인출된 토너 카트리지(20)의 시리얼번호, 인쇄매수, 토너잔량, 토너상태, 공급자명 등이 포함된다. 여기서, CRUM 정보를 브로드캐스트하기 위한 특정 이벤트로는, 네트워크 프린터(10)에 전원을 인가하는 경우, 토너 카트리지(20)를 교체하기 위해 네트워크 프린터(10)의 커버를 개방하였다가 폐쇄한 경우 등을 들 수 있다.
이렇게 각 네트워크 프린터(10)로부터 각 토너 카트리지(20)에 대한 CRUM 정보가 브로드캐스트되면, 각 네트워크 프린터(10)의 중앙처리장치(31)에서는 타 네트워크 프린터(10)로부터 제공된 토너 카트리지(20)에 대한 CRUM 정보 중 현재 자신에게 장착되어 있는 토너 카트리지(20)에 대한 CRUM 정보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만약, 토너 카트리지(20)가 교체되지 아니한 경우에는, 타 네트워크 프린터(10)로부터 제공된 브로드캐스트 패킷에 자신의 네트워크 프린터(10)에 장착된 토너 카트리지(20)에 대한 CRUM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다. 그러나, 예를 들어, A-네트워크 프린터(10)에 장착되었던 토너 카트리지(20)(A)가 B 네트워크 프린터(10)에 장착된 경우에는, A-네트워크 프린터(10)로부터 제공된 브로드캐스트 패킷에 B-네트워크 프린터(10)에 현재 장착된 토너 카트리지(20)(A)에 대한 CRUM 정보가 존재하게 된다.
이렇게 현재 장착된 토너 카트리지(20)(A)에 대한 브로드캐스트 패킷을 제공받으면, B-네트워크 프린터(10)의 중앙처리장치(31)는 브로드캐스트 패킷으로 제공받은 토너 카트리지(20)(A)에 대한 CRUM 정보와, 현재 장착된 토너 카트리지(20)(A)에 저장된 CRUM 정보를 비교한다. CRUM 정보의 비교결과, A-네트워크 프린터(10)로부터 제공된 정보가 더 최신의 정보인 경우, B-네트워크 프린터(10)의 중앙처리장치(31)는 해당 정보를 NVRAM(34)에 저장하고, 이와 동시에, 토너 카트리지(20)(A)의 메모리 모듈(23)로 제공하여 카트리지 메모리(21)에 업데이트되도록 한다. 그러나, A-네트워크 프린터(10)로부터 제공된 정보가 B-네트워크 프린터(10)의 토너 카트리지(20)에 저장된 CRUM 정보보다 오래된 정보인 경우에는 네트워크를 통해 제공된 CRUM 정보를 무시한다.
여기서, A-네트워크 프린터(10)를 통해 제공된 CRUM 정보와, 현재 토너 카트리지(20)에 저장된 CRUM 정보 중 어느 쪽이 최신의 정보인지를 판단하는 방법은, 브로드캐스트 패킷에 포함된 토너잔량과, 현재 장착된 토너 카트리지(20)(A)의 카트리지 메모리(21)에 저장된 토너잔량을 비교하는 것이다. 비교결과, 브로드캐스트 패킷에 포함된 토너잔량이 적은 경우에는, 토너 카트리지(20)의 작업 중 고의적 또는 우연히 전원이 오프되어 토너 카트리지(20)에 인쇄작업에 대한 CRUM 정보가 업데이트되지 못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중앙처리장치(31)는 브로드캐스트 패킷에 저장된 정보를 카트리지 메모리(21)에 업데이트되도록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한 네트워크 프린터(10) 시스템에서의 토너 카트리지(20)의 CRUM 정보 관리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네트워크 프린터(10) 시스템에서는, 각 네트워크 프린터(10)에 전원이 공급되어 동작하고 있는 동안에는 각 토너 카트리지(20)에 대한 CRUM 정보가 실시간으로 각 네트워크 프린터(10)들 간에 브로드캐스트되며, 이와는 별도로 사용자로부터 인쇄가 요청되는 경우에는 인쇄작업을 수행한다. 인쇄작업이 수행되면, 인쇄매수 카운팅부(41)에서는 인쇄매수를 카운팅하고, 토너잔량 산출부(45)에서는 인쇄매수에 따라 토너잔량을 실시간으로 산출한다. 그러면, 중앙처리장치(31)에서는 인쇄매수와 토너잔량에 대한 CRUM 정보를 지속적으로 NVRAM(34)에 업데이트한다. 이렇게 중앙처리장치(31)에서 NVRAM(34)에 정보를 지속적으로 업데이트함에 따라, 인쇄작업이 종료되지 아니한 상태에서 전원이 차단되더라도 NVRAM(34)에는 전원이 차단되기 직전까지 카운팅된 인쇄매수와, 인쇄매수에 따라 산출된 토너잔량에 대한 CRUM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그리고 인쇄작업이 종료된 후 프린터 엔진이 정지하면, 중앙처리장치(31)에서는 인쇄작업시 카운팅된 인쇄매수와 산출된 토너잔량에 대한 CRUM 정보를 토너 카트리지(20)로 제공하여 카트리지 메모리(21)에 저장되도록 한다.
이렇게 각 네트워크 프린터(10)가 인쇄작업을 수행하던 중 전원이 차단되었다가 다시 인가되거나 커버가 개방되었다가 폐쇄되면(S610), 중앙처리장치(31)에서는 현재 장착되어 있는 토너 카트리지(20)의 카트리지 메모리(21)에 저장된 CRUM 정보를 메모리 모듈(23)로부터 제공받는다(S620). 이 때, 중앙처리장치(31)에서 제공받는 토너 카트리지(20)에 대한 CRUM 정보로는 토너 카트리지(20)의 시리얼번호, 인쇄매수, 토너잔량, 토너상태, 공급자명 등을 포함한다. 중앙처리장치(31)는 제공된 토너 카트리지(20)에 대한 CRUM 정보를 인증부(43)로 제공하고, 인증부(43)에서는 시리얼번호를 파악하여 장착된 토너 카트리지(20)가 정품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630).
이 때, 토너 카트리지(20)가 정품이 아니라고 판단되면, 중앙처리장치(31)는 프린터엔진의 작동을 금지시켜 인쇄작업이 수행되지 아니하도록 한다(S635). 그러나 토너 카트리지(20)가 정품이라고 판단된 경우, 중앙처리장치(31)는 토너 카트리지(20)로부터 제공받은 CRUM 정보를 네트워크로 연결된 각 네트워크 프린터(10)에 브로드캐스트한다(S640).
각 네트워크 프린터(10)의 중앙처리장치(31)에서는 타 네트워크 프린터(10)로부터 브로드캐스트된 CRUM 정보를 받게 되면, 브로드캐스트되어 수신된 CRUM 정보 중 현재 자신의 네트워크 프린터(10)에 장착된 토너 카트리지(20)에 대한 CRUM 정보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S650). 이 때, 중앙처리장치(31)는 브로드캐스트 패킷에 포함된 정보 중 토너 카트리지(20)의 시리얼번호와, 현재 장착된 토너 카트리지(20)의 시리얼번호를 비교함으로써 간편하게 알 수 있다.
비교결과, 타 네트워크 프린터(10)로부터 제공된 브로드캐스트 패킷 중 현재 장착되어 있는 토너 카트리지(20)에 대한 CRUM 정보를 갖는 브로드캐스트 패킷이 존재하지 아니하면, 토너 카트리지(20)가 교체되지 아니한 경우이다. 이런 경우 네트워크 프린터(10)는 S690 단계로 이동하여 일반적인 인쇄과정에 돌입함으로써, 사용자로부터 요청되는 인쇄작업을 수행한다.
그러나, 자신의 네트워크 프린터(10)에 장착된 토너 카트리지(20)에 대한 CRUM 정보가 브로드캐스트 패킷으로 제공되었다면 토너 카트리지(20)가 교체된 경우라고 볼 수 있다. 이 경우, 중앙처리장치(31)는, 브로드캐스트 패킷을 통해 제공된 CRUM 정보와, 현재 장착된 토너 카트리지(20)의 카트리지 메모리(21)로부터 제공받은 CRUM 정보 중 인쇄매수 또는 토너잔량을 비교한다(S660). 비교결과, 브로드캐스트 패킷을 통해 제공된 인쇄매수와 토너잔량이 토너 카트리지(20)로부터 제공된 인쇄매수보다 크거나 토너잔량보다 적은 경우(S670), 중앙처리장치(31)는 브로드캐스트 패킷으로부터 제공받은 인쇄매수 또는 토너잔량을 NVRAM(34)에 저장한다. 이와 동시에 인쇄매수 또는 토너잔량에 대한 정보를 장착된 토너 카트리지(20)의 메모리 모듈(23)로 제공하며, 메모리 모듈(23)에서는 인쇄매수 또는 토너잔량을 카트리지 메모리(21)에 업데이트한다(S680).
한편, 브로드캐스트 패킷으로 제공된 토너잔량이 토너 카트리지(20)에 저장된 토너잔량보다 많은 경우도 있을 수 있다. 이는 브로드캐스트 패킷을 제공한 네트워크 프린터(10)에서는 새로이 장착된 토너 카트리지(20)를 사용하지 않은 상태이기 때문에, 이전에 장착되었던 토너 카트리지(20)에 대한 CRUM 정보가 잔존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반면, 브로드캐스트 패킷을 받은 네트워크 프린터(10)에 새로이 장착된 토너 카트리지(20)는 정상적으로 모든 인쇄매수와 토너잔량에 대한 CRUM 정보가 업데이트되어 있고, 새로이 장착된 토너 카트리지(20)를 이용하여 이미 인쇄작업을 수행한 다음, 토너잔량에 대한 CRUM 정보를 토너 카트리지(20)의 카트리지 메모리(21)에 업데이트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렇게 각 네트워크 프린터(10)에서 토너 카트리지를 인증하고, 각 토너 카트리지에 대한 CRUM 정보를 교환하여 토너 카트리지(20)에 저장된 CRUM 정보를 업데이트하면, 중앙처리장치(31)는 정상적인 인쇄작업의 수행이 가능하도록 제어한다(S690).
이와 같이, 네트워크 프린터(10)에 전원이 공급되거나 커버가 개방되었다가 폐쇄된 경우, 그리고 일정 시간마다 각 네트워크 프린터(10)에서는 토너 카트리지(20)의 CRUM 정보를 담은 브로드캐스트 패킷을 송수신하게 된다. 따라서, 각 네트워크 프린터(10)는 새로운 토너 카트리지(20)가 장착되어 사용되기 전에 자신의 NVRAM(34)에 저장된 정보를 브로드캐스트함으로써, NVRAM(34)에 저장된 CRUM 정보를 이전에 장착되었던 토너 카트리지(20)가 장착된 타 네트워크 프린터(10)로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고의로 인쇄작업 중 전원을 차단하여 토너 카트리지(20)에 인쇄매수와 토너잔량에 대한 정보가 업데이트되지 못한 상황에서 토너 카트리지(20)를 다른 네트워크 프린터(10)에 장착시키더라도, 이전 네트워크 프린터(10)로부터 인쇄매수와 토너잔량을 포함하는 CRUM 정보를 브로드캐스트 패킷으로 제공받음으로써, 토너 카트리지(20)에 인쇄매수와 토너잔량에 대한 정보가 업데이트되지 못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종래에서처럼 토너 카트리지(20)에 저장된 인쇄매수와 토너잔량에 대한 정보를 왜곡하는 것이 불가능해지므로, 불법으로 제작된 토너나 타사의 토너를 리필하여 사용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불법으로 제작된 토너나 타사의 토너를 리필하여 네트워크 프린터(10)와 최적화된 상태를 유지할 수 없음으로 인해 발생하는 인쇄품질의 저하와, 폐토너통이 넘쳐서 발생하는 네트워크 프린터(10)의 부속품 및 네트워크 프린터(10) 자체의 수명이 단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레이저프린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잉크나 토너 등 이미지 형성시 리필 또는 교체가 될 수 있는 현상수단을 갖는 잉크젯 프린터 등과 같은 화상형성장치에 모두 적용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각 네트워크 프린터 간에 인쇄매수와 토너잔량을 포함하는 CRUM 정보를 공유함으로써, 토너 카트리지에 CRUM 정보가 업데이트되지 못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종래에서처럼 토너 카트리지에 저장된 인쇄매수와 토너잔량에 대한 정보를 왜곡하는 것이 불가능해지므로, 불법으로 제작된 토너나 타사의 토너를 리필하여 사용시 발생하는 인쇄품질의 저하와, 폐토너통이 넘쳐서 발생하는 부속품 및 네트워크 프린터 자체의 수명 단축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형태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받아들여져야 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형태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도 1은 종래의 토너 카트리지의 구성 블럭도,
도 2는 도 1의 토너 카트리지를 구비한 프린터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
도 3은 도 2의 프린터의 작동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프린터 시스템의 개략적 구성도,
도 5는 도 4의 각 네트워크 프린터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프린터 시스템에서 토너 카트리지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는 과정을 보인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네트워크 프린터 20 : 토너 카트리지
21 : 카트리지 메모리 23 : 메모리 모듈
31 : 중앙연산장치 34 : NVRAM
36 : 인터페이스 37 : 통신모듈
41 : 인쇄매수 카운팅부 43 : 인증부
45 : 토너잔량 산출부

Claims (14)

  1.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와 상호 통신가능하게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프린터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프린터 시스템에 있어서,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각 단말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거나 타 네트워크 프린터와의 통신을 지원하기 위한 통신모듈;
    상기 네트워크 프린터에서 수행한 인쇄량에 따라 토너 카트리지의 토너잔량을 산출하는 토너잔량 산출부;
    상기 토너잔량 산출부에서 산출된 토너잔량을 포함하는 토너 카트리지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소정 조건에 도달하면, 상기 토너잔량 산출부에서 산출된 토너잔량을 포함하는 상기 토너 카트리지에 대한 정보를 상기 각 네트워크 프린터 중 적어도 하나에 제공하도록 상기 통신모듈을 제어하며, 타 네트워크 프린터로부터 제공된 토너 카트리지에 대한 정보 중 현재 장착된 토너 카트리지에 대한 최신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타 네트워크 프린터로부터 제공된 토너잔량을 포함하는 카트리지 정보를 상기 메모리와 상기 토너 카트리지 중 적어도 하나에 저장시키도록 제어하는 중앙처리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프린터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토너 카트리지에 대한 정보는, 상기 토너 카트리지의 시리얼번호를 더 포함하며;
    상기 중앙처리장치는 상기 타 네트워크 프린터로부터 제공된 토너 카트리지의 시리얼번호와, 상기 장착된 토너 카트리지에 저장된 시리얼번호를 비교하여 상기 타 네트워크 프린터로부터 제공된 토너 카트리지에 대한 정보가 현재 장착된 토너 카트리지에 부합되는 것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프린터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처리장치는, 상기 타 네트워크 프린터로부터 제공된 토너잔량과, 상기 장착된 토너 카트리지에 저장된 토너잔량을 비교하여, 상기 타 네트워크 프린터로부터 제공된 토너 카트리지에 대한 정보와 현재 장착된 토너 카트리지에 대한 정보 중 토너잔량이 적은 것을 최신의 정보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프린터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처리장치는, 상기 네트워크 프린터에 전원이 공급되거나 상기 네트워크 프린터의 커버가 개방된후 폐쇄되면, 상기 토너잔량을 포함하는 카트리지에 대한 정보를 상기 각 네트워크 프린터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프린터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처리장치는, 소정 시간마다 상기 토너잔량을 포함하는 카트리지에 대한 정보를 상기 각 네트워크 프린터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프린터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네트워크 프린터의 중앙처리장치는 브로드캐스트 패킷의 형태로 상기 카트리지에 대한 정보를 타 네트워크 프린터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프린터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프린터에서 인쇄작업시 인쇄되는 인쇄용지의 매수를 카운팅하는 인쇄매수 카운팅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중앙처리장치는 상기 토너잔량 대신 상기 인쇄매수를 사용하여 상기 타 네트워크 프린터로부터 제공된 정보가 최신인지 여부를 파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프린터 시스템.
  8.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와 상호 통신가능하게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프린터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프린터 시스템의 토너 카트리지 관리방법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프린터에서 수행된 인쇄량에 따라 각 토너 카트리지의 토너잔량을 산출하는 단계;
    소정 조건에 도달하면, 상기 토너잔량을 포함하는 상기 카트리지에 대한 정보를 상기 각 네트워크 프린터 중 적어도 하나에 제공하는 단계;
    타 네트워크 프린터로부터 제공된 카트리지에 대한 정보 중, 현재 장착된 카트리지에 부합되는 카트리지 정보가 있는지 판단하는 단계;
    판단결과, 상기 타 네트워크 프린터로부터 제공된 카트리지에 대한 정보 중 상기 장착된 카트리지에 부합되는 카트리지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제공받은 카트리지에 대한 정보와, 현재 장착된 토너 카트리지에 저장된 정보 중 최신 정보를 선별하는 단계, 및;
    선별결과,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제공받은 카트리지에 대한 정보가, 현재 장착된 토너 카트리지에 저장된 카트리지에 대한 정보보다 최신인 경우,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제공받은 카트리지 정보로 상기 장착된 토너 카트리지에 저장된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프린터 시스템의 토너 카트리지 관리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토너 카트리지에 대한 정보는, 상기 토너 카트리지의 시리얼번호를 더 포함하며;
    타 네트워크 프린터로부터 제공된 카트리지에 대한 정보 중, 장착된 카트리지에 부합되는 카트리지 정보가 있는지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타 네트워크 프린터로부터 제공된 토너 카트리지의 시리얼번호와, 상기 장착된 토너 카트리지에 저장된 시리얼번호를 비교하여 상기 타 네트워크 프린터로부터 제공된 토너 카트리지에 대한 정보가 현재 장착된 토너 카트리지와 동일한 것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프린터 시스템의 토너 카트리지 관리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제공받은 카트리지에 대한 정보와, 현재 장착된 토너 카트리지에 대한 정보 중 최신정보를 선별하는 단계는, 상기 타 네트워크 프린터로부터 제공된 토너잔량과, 상기 장착된 토너 카트리지에 저장된 토너잔량을 비교하여, 상기 타 네트워크 프린터로부터 제공된 토너 카트리지에 대한 정보와 현재 장착된 토너 카트리지에 대한 정보 중 토너잔량이 적은 것을 최신의 정보로 판단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프린터 시스템의 토너 카트리지 관리방법.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토너잔량을 포함하는 상기 카트리지에 대한 정보를 상기 각 네트워크 프린터 중 적어도 하나에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네트워크 프린터에 전원이 공급되거나 상기 네트워크 프린터의 커버가 개방된후 폐쇄되면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프린터 시스템의 토너 카트리지 관리방법.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토너잔량을 포함하는 상기 카트리지에 대한 정보를 상기 각 네트워크 프린터 중 적어도 하나에 제공하는 단계는, 소정 시간마다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프린터 시스템의 토너 카트리지 관리방법.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에 대한 정보는, 브로드캐스트 패킷의 형태로 타 네트워크 프린터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프린터 시스템의 토너 카트리지 관리방법.
  14.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프린터에서 인쇄작업시 인쇄되는 인쇄용지의 매수를 카운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토너잔량 대신 상기 인쇄매수를 사용하여 상기 타 네트워크 프린터로부터 제공된 정보가 최신인지 여부를 파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프린터 시스템의 토너 카트리지 관리방법.
KR10-2004-0004739A 2004-01-26 2004-01-26 네트워크 프린터 시스템 및 그 토너 카트리지 관리방법 KR1005338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4739A KR100533835B1 (ko) 2004-01-26 2004-01-26 네트워크 프린터 시스템 및 그 토너 카트리지 관리방법
US11/030,910 US7286772B2 (en) 2004-01-26 2005-01-10 Toner monitoring network printer system and method of monitoring a toner cartridge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4739A KR100533835B1 (ko) 2004-01-26 2004-01-26 네트워크 프린터 시스템 및 그 토너 카트리지 관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6922A KR20050076922A (ko) 2005-07-29
KR100533835B1 true KR100533835B1 (ko) 2005-12-07

Family

ID=347933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4739A KR100533835B1 (ko) 2004-01-26 2004-01-26 네트워크 프린터 시스템 및 그 토너 카트리지 관리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286772B2 (ko)
KR (1) KR10053383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80343A1 (en) * 2019-03-06 2020-09-10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Controlling toner refill by using toner refill cartridg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40596B2 (ja) * 2004-04-27 2008-01-30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そのセットアップ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4650780B2 (ja) * 2004-05-17 2011-03-16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交換ユニットが装着された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システム及び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
KR100693341B1 (ko) * 2004-12-10 2007-03-09 삼성전자주식회사 리필토너 판별기능을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및 그 방법
US7221878B2 (en) * 2005-02-18 2007-05-2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Allowing image formation using consumable item where code of consumable item is identical to code of image-formation device
JP2006251180A (ja) * 2005-03-09 2006-09-21 Sharp Corp 画像形成装置
US7471905B2 (en) * 2005-06-16 2008-12-30 William Paul Cook Backup of replaceable device information in an image-forming apparatus
JP4449931B2 (ja) 2006-03-30 2010-04-14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管理装置、および管理システム
US7747180B2 (en) * 2007-05-30 2010-06-29 Lexmark International, Inc. Methods and apparatuses for determining the number of printed pages remaining in a toner cartridge
JP5104113B2 (ja) * 2007-08-03 2012-12-1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KR100997879B1 (ko) * 2008-03-03 2010-12-07 삼성전자주식회사 Crum 유닛, 교체가능유닛 및 이를 이용하는 화상형성장치와, 그 암호화 데이터 통신 방법
JP4492761B2 (ja) * 2008-06-16 2010-06-30 コニカミノルタ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におけるアクセス制御方法
CN101387816B (zh) * 2008-07-23 2010-09-08 珠海艾派克微电子有限公司 一种成像设备配套装置的信息录入方法、装置及系统
US9357091B2 (en) 2008-07-23 2016-05-31 Apex Microelectronics Co., Ltd. Information input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associated apparatus of imaging device
JP5213619B2 (ja) * 2008-10-01 2013-06-19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システム、画像処理方法、画像処理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EP2290463A3 (en) * 2009-08-24 2014-07-02 Kabushiki Kaisha Toshiba Image forming apparatus for managing replacement components
US8762716B2 (en) * 2009-10-15 2014-06-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Image forming apparatus
JP2011160300A (ja) * 2010-02-02 2011-08-18 Fujitsu Ltd ルータ、ルーティング方法、ルーティング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仮想マシン構築方法および仮想マシン構築プログラム
JP5760646B2 (ja) * 2011-04-26 2015-08-12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消耗品管理装置、消耗品管理システム、及び制御プログラム
US9465351B2 (en) * 2011-06-23 2016-10-11 Steven Miller Self-transforming imaging cartridge chip
JP5891852B2 (ja) * 2012-03-02 2016-03-2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の起動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9075372B2 (en) * 2013-03-15 2015-07-07 Xerox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employing a customer replaceable unit (CRU) to alter an installation type for the CRU in an image forming device
JP6218508B2 (ja) * 2013-08-30 2017-10-25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8004680A (ja) * 2016-06-27 2018-01-11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19158903A (ja) * 2018-03-07 2019-09-19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交換可能な部品を備えた装置
KR102266163B1 (ko) * 2021-04-06 2021-06-17 주식회사 틴텍 인쇄장치의 셋업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37225A (en) * 1997-07-21 1999-08-1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Pixel counting toner or ink use monitor and pixel counting method for monitoring the toner or ink use
JP3447595B2 (ja) * 1998-12-22 2003-09-16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KR100366029B1 (ko) 1998-12-30 2003-03-04 삼성전자 주식회사 토너잔량표시방법
JP3747705B2 (ja) 1999-09-01 2006-02-2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インク総使用量推定方式、ホスト装置、プリンタ、インクカートリッジ
US6549732B2 (en) * 2000-07-24 2003-04-15 Minolta Co., Ltd. Processing cartridge for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a non-volatile memory
JP3503605B2 (ja) * 2001-03-26 2004-03-08 ミノルタ株式会社 印刷システム
JP2002304268A (ja) 2001-04-04 2002-10-18 Seiko Epson Corp 印刷システム、プリンタ、および印刷制御装置
US6659662B2 (en) * 2001-10-31 2003-12-09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Internet distribution of print job to multiple print shops based on geographic location of document recipients
US6814512B2 (en) * 2001-12-21 2004-11-09 Kabushiki Kaisha Toshiba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image forming job
US6820972B2 (en) * 2002-03-29 2004-11-23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rinting cartridge pigment replenishment apparatus and method
JP3988591B2 (ja) * 2002-08-30 2007-10-1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ネットワークを介した印刷監視装置
JP2004206053A (ja) * 2002-10-29 2004-07-22 Seiko Epson Corp カートリッジ回収案内装置、その方法、そのプログラム及びカートリッジ
JP4306408B2 (ja) * 2002-12-12 2009-08-0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デバイス管理システム、プリンタ管理システム、プリンタ管理端末および端末用プログラム、並びにデバイス管理方法
US7469107B2 (en) * 2003-07-23 2008-12-23 Lexmark International, Inc. Method for providing imaging substance for use in an imaging device via a virtual replenishment
US7295787B2 (en) * 2003-08-22 2007-11-13 Ricoh Company, Ltd. Device unit, an image forming apparatus, a management system, and a recycling system capable of using non-genuine device unit as replacement product
US20050097198A1 (en) * 2003-10-08 2005-05-05 Getler Robert M. Printer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80343A1 (en) * 2019-03-06 2020-09-10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Controlling toner refill by using toner refill cartridge
US11442380B2 (en) 2019-03-06 2022-09-13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Controlling toner refill by using toner refill cartrid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6922A (ko) 2005-07-29
US20050163514A1 (en) 2005-07-28
US7286772B2 (en) 2007-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33835B1 (ko) 네트워크 프린터 시스템 및 그 토너 카트리지 관리방법
US9519449B2 (en) Network printer system
US9304435B2 (en) Network printer system
US10429764B2 (en) Network system comprising customer replaceable unit
US9229363B2 (en) Network printer system
US7505698B2 (en) Image formation device and cartridge which uses verification data stored in a memory of the cartridge
JP4791911B2 (ja) 画像形成装置
EP3077901B1 (en) Network printer system
JP5304743B2 (ja) 交換用トナーカートリッジの管理装置及び同システム、画像形成装置、交換用トナーカートリッジの管理方法並びに管理プログラム
EP2914437B1 (en) Network printer system
JP2008164891A (ja) 印刷制御装置および印刷制御方法
JP4600520B2 (ja) 画像形成装置
US20220035292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restricting usage of non-specific-color cartridge
EP3077900B1 (en) Network printer system
US8107828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JP2017211679A (ja)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4224934B2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プリンタシステム
JP2009020366A (ja) 画像形成装置、消耗品ユニットの管理方法及び管理プログラム
US7609403B2 (en) Printing device with multiple recording agent cartridges and corresponding print management method
JP2006250969A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システム
JP2010169821A (ja) 画像形成装置の代替方法およびそれに用いられる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02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