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30566B1 - Image compression coding and decoding apparatus using adaptive transformation method and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Image compression coding and decoding apparatus using adaptive transformation method and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30566B1
KR100530566B1 KR1019980051131A KR19980051131A KR100530566B1 KR 100530566 B1 KR100530566 B1 KR 100530566B1 KR 1019980051131 A KR1019980051131 A KR 1019980051131A KR 19980051131 A KR19980051131 A KR 19980051131A KR 100530566 B1 KR100530566 B1 KR 1005305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conversion
signal
inverse
transfo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113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00028531A (en
Inventor
주 희 문
철 수 박
준 호 송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to KR10199800511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30566B1/en
Priority to US09/448,820 priority patent/US6674910B1/en
Priority to JP33345099A priority patent/JP4226172B2/en
Publication of KR200000285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853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05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0566B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34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criterion affecting or controlling the adaptive coding
    • H04N19/136Incoming video signal characteristics or proper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24Quantis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6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 H04N19/17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 H04N19/176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the region being a block, e.g. a macroblo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6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transform 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6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transform coding
    • H04N19/625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transform coding using discrete cosine transform [D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iscrete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 Compression, Expansion, Code Conversion, And Deco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신분야 또는 멀티미디어분야에서 사용되는 영상압축 부호화 및 복호화 장치 및 그 방법, 특히 영상압축 부호화 및 복호화에서 입력영상신호블록의 변환 방향 순서에 따라 서로 다른 변환계수를 출력하는 경우 입력영상신호블록의 특성에 따라 변환 방향 순서를 선택하고 부호화 및 복호화 하는 적응적 변환방법을 이용하는 영상압축 부호화 및 복호화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의한 적응적 변환방법을 이용하는 영상압축 부호화 및 복호화 장치 및 그 방법에 의하면, 부호화된 블록의 정보나, 또는 부호화된 블록의 정보 및 현재 부호화하려는 블록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그 블록 내의 신호들이 세로방향으로 높은 상관도를 갖고 있는 지 또는 가로방향으로 높은 상관도를 갖고 있는 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상관도 높은 방향으로 직교변환한 후 상관도가 낮은 방향으로 직교변환하는 한편, 상기 직교변환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역직교변환을 수행하므로써 압축부호화 효율을 높일 수 있다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mage compression encoding and decod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used in a communication field or a multimedia field, and in particular, in case of outputting different transformation coefficients according to the conversion direction order of an input image signal block in image compression encoding and decoding. An image compression encoding and decoding apparatus using an adaptive transformation method that selects, encodes, and decodes a transform direction sequence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ethod thereof, comprising: an image compression encoding and decoding apparatus using an adaptive transform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method, whether the signals in the block have high correla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or high correlation in the horizontal direction by using the information of the coded block or the information of the coded block and the information about the block to be currently encoded. Determine whether you have a degree After orthogonal transform to the correlation direction is a great effect that can increase the efficiency of compression encoding By performing the orthogonal transform to a lower direction, an inverse orthogonal transformation by the orthogonal transformation in the opposite direction.

Description

본 발명은 통신분야 또는 멀티미디어분야에서 사용되는 영상압축 부호화 및 복호화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영상압축 부호화 및 복호화에서 입력영상신호블록의 변환 방향 순서에 따라 서로 다른 변환계수를 출력하는 경우 입력영상신호블록의 특성에 따라 변환 방향 순서를 선택하고 부호화 및 복호화 하는 적응적 변환방법을 이용하는 영상압축 부호화 및 복호화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age compression encoding and decoding apparatus and method for use in a communication field or a multimedia field.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image compression encoding and decoding, a different conversion coefficient is output according to the conversion direction order of an input image signal block.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age compression encoding and decoding apparatus using an adaptive transformation method of selecting, encoding, and decoding transformation direction orders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of an image signal block, and a method thereof.

일반적으로, 디지털영상을 압축 부호화 하는 방법에 있어서, 영상신호블록을 직교변환방법을 사용하여 변환계수로 변환한 후 그 변환계수를 부호화 하는 방식은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방식으로서 정지영상 압축 부호화 표준화 방식인 ISO/IEC JPEG, 동영상 압축 부호와 표준화 방식인 ISO/IEC MPEG, ITU-T의 H.261, H.263 등 의 모든 디지털 압축부호화에 대한 국제 표준에서도 널리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In general, in a method of compressing and encoding a digital image, a method of encoding an image signal block into a transform coefficient by using an orthogonal transform method and then encoding the transform coefficient is the most commonly used method. It is widely used in international standards for all digital compression encoding such as ISO / IEC JPEG, moving picture compression code and standardization method ISO / IEC MPEG, H.261 and H.263 of ITU-T.

종래의 변환기반 영상신호 압축기술은 입력되는 영상신호블록을 직교변환방법에 의해 변환하고 변환계수를 양자화 한 후 양자화된 변환계수를 가변길이 부호화 하여 전송하는 한편, 이의 역과정을 통하여 신호를 복원하는 방법을 사용하였고, 이에 대한 종래의 영상압축 부호화 및 복호화 시스템은 도 1에 도시한 바와같이, 입력영상신호블록을 압축기술을 이용하여 부호화 시키는 부호화 장치와, 그 부호화된 신호를 입력받아 부호화의 역과정을 통하여 신호를 복원하는 복호화 장치로 이루어져 있다.Conventional converter image signal compression technology converts an input image signal block by an orthogonal transform method, quantizes a transform coefficient, transmits the quantized transform coefficient by variable length coding, and restores the signal through the reverse process. In the conventional video compression encoding and decoding system, as shown in FIG. 1, an encoding apparatus for encoding an input image signal block by using a compression technique, and an inverse encoding of the encoded signal by receiving the encoded signal. It consists of a decoding apparatus for restoring a signal through the process.

상기 부호화 장치는 입력 영상신호블록과 복원된 영상신호블록을 감산하여 예측오차신호블록을 출력하는 감산기(1)와, 부호화에 도움을 주는 부가정보신호(예: 모양정보)와 가변길이 부호화된 모양정보신호를 출력하는 부가정보 부호기(9), 상기 감산기(1)에서 예측오차신호블록을 입력받는 동시에 상기 부가정보 부호기(9)에서 스위치(10a)의 스위칭 동작에 의해 선택적으로 모양정보를 입력받아 특정 변환방법에 의해 변환된 변환계수를 출력하는 직교변환기(2)와, 상기 직교변환기(2)에서 변환계수를 입력받아 양자화된 변환계수블록으로 변환하는 양자화기(3)와, 상기 양자화기(3)에서 양자화된 변환계수블록을 입력받아 가변길이 부호화된 변환계수 신호로 변환하는 가변길이 부호기(8)와, 상기 가변길이 부호기(8)에서 가변길이 부호화된 신호와 상기 부가정보 부호기(9)에서 스위치(10a)의 스위칭 동작에 의해 모양정보를 선택적으로 입력받아 그 두 신호를 멀티플레싱하여 전송매체(12)로 전송하는 다중화기(11)로 구성된다.The encoding apparatus includes a subtractor 1 for outputting a prediction error signal block by subtracting an input image signal block and a reconstructed image signal block, an additional information signal (eg, shape information) and a variable length coded shape to assist in encoding. The additional information encoder 9 which outputs an information signal and the subtractor 1 receive the prediction error signal block and the shape information is selectively received by the switching operation of the switch 10a in the additional information encoder 9. An orthogonal transformer 2 for outputting a transform coefficient converted by a specific transform method, a quantizer 3 for receiving a transform coefficient from the orthogonal transformer 2 and converting the transform coefficient into a quantized transform coefficient block, and the quantizer ( A variable length coder 8 that receives the transform coefficient block quantized in 3) and converts the transform coefficient signal into a variable length coded transform coefficient signal, and the variable length coded signal from the variable length coder 8 Consists of a sub information encoder 9, the switch (10a) the shape information by switching operation of the input to receive selectively multiplexing the two signals a multiplexer 11 which is sent to the transmission medium 12 at.

한편, 상기 양자화기(3)에서 양자화된 변환계수블록을 입력받아 역양자화 시키는 제 1 역양자화기(4)와, 상기 제 1 역양자화기(4)에서 역양자화된 변환계수블록을 입력받는 동시에 상기 부가정보부호기(9)에서 스위치(10b)의 스위칭 동작에 의해 선택적으로 모양정보를 입력받아 역직교변환된 신호블록으로 변환하는 역직교변환기(5)와, 상기 역직교변환기(5)에서 역직교변환된 신호블록과 후술되는 제 1메모리(7)에 저장되어 있던 복원된 영상신호블록을 가산하여 영상신호블록을 복원하는 가산기(6a)와, 상기 가산기(6a)에서 가산된 신호를 입력받아 저장하여 상기 감산기(1)로 그 복원된 영상신호블록을 출력하는 제 1메모리(7)가 추가로 구성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first inverse quantizer (4) for receiving and inverse quantization of the transform coefficient block quantized by the quantizer (3), and the inverse quantized transform coefficient block in the first inverse quantizer (4) An inverse orthogonal transformer 5 for receiving shape information selectively by the switching operation of the switch 10b in the additional information encoder 9 and converting the shape information into an inverse orthogonal transformed signal block; and an inverse orthogonal transformer 5 An adder 6a which adds an orthogonal transformed signal block and a reconstructed video signal block stored in the first memory 7 to be described later, and restores the video signal block, and receives a signal added by the adder 6a A first memory 7 is further constructed for storing and outputting the reconstructed video signal block to the subtractor 1.

또한, 상기 복호화장치는 상기 다중화기(11)에서 전송매체(12)를 통해 가변길이 부호화된 신호를 입력받아 가변길이 부호화된 모양정보 신호와 가변길이 부호화된 입력변환계수신호를 출력하는 디먹스부(13)와, 상기 디먹스부(13)에서 가변길이 부호화된 변환계수 신호를 입력영상블록을 입력받아 양자화된 변환계수 블록으로 변환하는 복호기(15)와, 상기 복호기(15)에서 양자화된 변환계수 블록를 입력받아 역양자화된 변환계수블록으로 변환하는 제 2역양자화기(16)와, 상기 디먹스부(13)에서 가변길이 부호화된 모양정보를 복원시키는 부가정보복호기(14)와, 상기 제 2역양자화기(16)에서 역양자화된 변환계수블록을 입력받는 동시에 스위치(19)의 스위칭동작에 의해 모양정보를 선택적으로 입력받아 역직교변환된 신호블록을 출력하는 역직교변환기(17)와, 상기 역직교변환기(17)에서 역직교변환된 신호블록을 입력받는 동시에 후술되는 제 2메모리(18)에 저장된 이전의 복원영상신호블록을 입력받아 그 두신호를 가산하여 복원된 영상신호블록을 출력하는 가산기(6b)와, 상기 가산기(6b)에서 출력되는 복원영상신호블록을 저장하고 필요시 상기 가산기(6b)로 출력하는 제 2메모리(18)로 구성되어 있다.The decoding apparatus receives a variable length coded signal from the multiplexer 11 through a transmission medium 12 and outputs a variable length coded shape information signal and a variable length coded input transform coefficient signal. (13), a decoder 15 for converting a variable length coded transform coefficient signal from the demux unit 13 into an input image block and converting the transform coefficient signal into a quantized transform coefficient block, and a quantized transform in the decoder 15 A second inverse quantizer 16 for receiving a coefficient block and converting the transform block into an inverse quantized transform coefficient block, an additional information decoder 14 for restoring variable length coded shape information in the demux unit 13, Inverse orthogonal transformer 17 receiving a dequantized transform coefficient block from two inverse quantizer 16 and selectively receiving shape information by a switching operation of switch 19 and outputting an inverse orthogonal transformed signal block At the same time, the inverse orthogonal transformer 17 receives the inverse orthogonal transformed signal block and at the same time receives the previous reconstructed image signal block stored in the second memory 18 to add the two signals to reconstruct the image signal block. An adder 6b for outputting, and a second memory 18 for storing the reconstructed video signal block outputted from the adder 6b and outputting the reconstructed video signal block to the adder 6b if necessary.

상기 모양정보는 영상을 물체영역과 비물체영역(배경)으로 구분하는 정보로서 부호기 및 복호기에서 전체 영상대신 물체영역을 중심으로 하는 신호처리를 가능하게 하며, 일반적인 이진 모양정보는 물체에 속하는 화소와 물체가 아닌 화소 (배경)에 서로 다른 값을 가지도록 하는 이진 마스크의 형태를 가진다.The shape information is information that divides an image into an object region and a non-object region (background). The shape information enables signal processing centering on an object region instead of the entire image in an encoder and a decoder. It takes the form of a binary mask that allows different values for pixels (backgrounds) rather than objects.

상기 구성을 가지는 종래의 영상압축부호화 및 복호화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The operation of the conventional video compression encoding and decoding apparatus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먼저, 감산기(1)에서 영상신호블록과 복원된 영상신호블록을 감산한 예측오차신호블록을 출력하면, 직교변환기(2)는 상기 예측오차신호블록을 입력받는 동시에 상기 부가정보부호기(9)에서 모양정보를 선택적으로 입력받아 직교변환방법에 의해 변환된 변환계수를 출력한다. 이때 감산기(1)은 제 1메모리(7)로 부터 예측된 신호와 현재 입력신호와의 예측 오차 뿐아니라 제 1메모리(7)의 신호로 부터의 예측 없이 현재 입력신호를 그대로 출력할 수 있는데 이경우 이를 위해서 제 1메모리(7)에 저장되있는 값을 0으로 초기화하여 감산기(1)로 부터의 신호와 입력영상 신호를 동일하게 만들 수 있다.First, when the subtractor 1 outputs the prediction error signal block obtained by subtracting the video signal block and the reconstructed video signal block, the quadrature converter 2 receives the prediction error signal block and at the same time the additional information encoder 9 receives the prediction error signal block. The shape information is selectively input, and the transform coefficient converted by the orthogonal transform method is output. At this time, the subtractor 1 may output the current input signal as it is without prediction from the signal of the first memory 7 as well as the prediction error between the signal predicted from the first memory 7 and the current input signal. To this end, the value stored in the first memory 7 may be initialized to 0 to make the signal from the subtractor 1 equal to the input image signal.

이때, 양자화기(3)는 상기 직교변환기(2)에서 변환계수를 입력받아 양자화된 변환계수블록으로 변환하고, 가변길이 부호기(8)에서는 상기 양자화된 변환계수블록을 입력받아 가변길이 부호화된 변환계수 신호로 변환하고, 그 가변길이 부호화된 신호를 다중화기(11)에 출력한다.In this case, the quantizer 3 receives the transform coefficient from the quadrature converter 2 and transforms the transform coefficient into a quantized transform coefficient block. The variable length encoder 8 receives the quantized transform coefficient block and converts the variable length coded transform into a quantized transform coefficient block. The signal is converted into a coefficient signal, and the variable length coded signal is output to the multiplexer 11.

상기 다중화기(11)는 상기 가변길이 부호화된 변환계수 신호와 상기 부가정보 부호기에서 가변길이 부호화 된 모양정보를 선택적으로 입력받아 그 두 신호를 멀티플레싱하여 전송매체(12)를 통해 출력한다.The multiplexer 11 selectively receives the variable length coded transform coefficient signal and the variable length coded shape information from the side information encoder and multiplexes the two signals to output them through the transmission medium 12.

이어서, 상기 디먹스부(13)에서는 상기 전송매체(12)로부터 부호화된 신호를 입력받아 가변길이 부호화된 모양정보와 가변길이 부호화된 변환계수 블록을 출력한다.Subsequently, the demux 13 receives the encoded signal from the transmission medium 12 and outputs variable length coded shape information and a variable length coded transform coefficient block.

복호기(15)는 상기 디먹스부(13)에서 가변길이부호화된 신호를 입력받아 양자화 된 변환계수 블록으로 변환하고, 제 2 역양자화기(16)는 상기 양자화 된 변환계수 블록를 입력받아 역양자화된 변환계수블록을 출력한다.The decoder 15 receives the variable length coded signal from the demux unit 13 and converts it into a quantized transform coefficient block, and the second dequantizer 16 receives the quantized transform coefficient block and dequantizes it. Output the transform coefficient block.

역직교변환기(17)는 제 2 역양자화기(16)에서 역양자화된 변환계수블록을 입력받는 동시에 상기 부가정보 복호기(14)에서 모양정보를 선택적으로 입력받아 역직교변환된 신호블록을 출력하고, 가산기(6b)는 역직교변환된 신호블록을 입력받는 동시에 제 2 메모리(18)에서 이전에 복원된 영상신호블록을 입력받아 그 두 신호를 가산하여 복원된 영상신호 블록을 출력한다.The inverse orthogonal transformer 17 receives the dequantized transform coefficient block from the second inverse quantizer 16 and selectively receives shape information from the side information decoder 14, and outputs an inverse orthogonal transformed signal block. The adder 6b receives the inversely orthogonally transformed signal block and simultaneously receives the previously restored video signal block from the second memory 18 and adds the two signals to output the restored video signal block.

한편, 상기 양자화기(3)에서 양자화된 변환계수블록은 제 1역양자화기(4)로 입력되어 역양자화된 변환계수블록으로 변환되고, 그 신호는 역직교변환기(5)에 입력된다.On the other hand, the transform coefficient block quantized by the quantizer 3 is input to the first inverse quantizer 4 and converted into a dequantized transform coefficient block, and the signal is input to the inverse orthogonal transformer 5.

이와 동시에 상기 부가정보 부호기(9)에서 모양정보가 선택적으로 상기 역직교변환기(5)에 입력되고, 이에 따라 역직교변환기(5)는 역직교변환된 신호블록을 출력하고, 가산기(6a)는 상기 역직교변환된 신호블록과 상기 제 1 메모리(7)에서 이전에 복원된 영상신호블록을 가산하여 복원된 영상신호블록으로 변환하고, 그 영상신호블록은 제 1메모리(7)에 저장되여 상기 감산기(1)에 입력된다.At the same time, shape information is selectively inputted from the side information encoder 9 to the inverse orthogonal transformer 5, whereby the inverse orthogonal transformer 5 outputs an inverse orthogonal transformed signal block, and the adder 6a The inverse orthogonal transformed signal block and the image signal block previously restored in the first memory 7 are added to be converted into a restored image signal block, and the image signal block is stored in the first memory 7 and the It is input to the subtractor 1.

그리고, 부가정보복호기(14)는 복원된 모양정보를 출력하며, 제 2 메모리(18)에는 예측을 위해 복원된 입력영상신호블록이 저장된다.The additional information decoder 14 outputs the reconstructed shape information, and the second image 18 stores the reconstructed input image signal block for prediction.

한편, 상기 직교변환기(2)에서 사용되는 변환방법에 대해 도 2a 내지 도 2e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빗금친 부분이 부호화 대상이 있는 부분으로 이 부분만을 변환하여 부호화 한다. 먼저, 영상신호블록이 입력되면(도 2a), 입력된 신호를 단위블록의 상단에 대해 정렬하고(도 2b), 세로방향으로 DCT변환한다(도 2c).On the other hand, the conversion method used in the quadrature converter 2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A to 2E. Only the hatched portion is converted to the portion to be encoded and encoded. First, when the video signal block is input (FIG. 2A), the input signal is aligned with respect to the upper end of the unit block (FIG. 2B), and DCT trans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FIG. 2C).

이어서, 좌측에 대해 정렬이 완료되면 가로방향으로 DCT변환하여(도 2d), 최종변환신호를 얻는다(도 2e).Subsequently, when alignment is completed with respect to the left side, DCT conversion is perform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Fig. 2D) to obtain a final converted signal (Fig. 2E).

도 3a 내지 도 3c는 도 1의 직교변환기(2)에서 직교변환하는 방향에 따라 변환계수가 상이하다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3a는 직교변환기(2)에 입력되는 신호블록이고, 여기서 숫자가 없는 부분은 부호화 대상이 없는 부분, 즉 배경영역으로 부호화를 수행하지 않는 부분을 나타내며, 숫자가 있는 부분이 변환되어 부호화 되는 부분이다.3A to 3C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at the transform coefficients are different according to the direction orthogonal transformed by the orthogonal transformer 2 of FIG. 1, and FIG. 3A is a signal block input to the orthogonal transformer 2, wherein the number The part without indicates the part without encoding, i.e., the part which does not perform encoding into the background area, and the part with the number is converted and encoded.

그리고, 도 3b는 세로방향으로 먼저 직교변환한 후 가로방향으로 직교변환 했을 때의 변환계수이며, 도 3c는 가로방향으로 먼저 직교변환한 후 세로방향으로 직교변환 했을 때의 변환계수이다.3B is a conversion coefficient when the first orthogonal transformation is per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n the orthogonal transformation is perform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FIG.

여기서 도 3b와 도 3c를 비교해보면 직교변환 방향순서에 따라 다른 결과 즉 다른 변환계수가 생성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Here, comparing FIG. 3B and FIG. 3C, it can be seen that different results, that is, different conversion coefficients are generated according to the orthogonal transformation direction order.

상기 세도면을 자세히 살펴보면, 도 3a와 같이 가로방향으로 유사도가 높은 입력신호블록에 대해서는 가로방향으로 먼저 직교변환 한 후 세로방향으로 직교변환한 도 3c의 결과가 세로방향으로 먼저 직교변환한 후 가로 방향으로 직교변환한 도 3b의 결과 보다 높은 에너지 집중효과를 보이며, 더적은 수의 변환계수들 만을 부호화 하므로 더 높은 압축성능을 보이게 된다.Looking at the details, the input signal block having a high similarity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s shown in FIG. 3A is orthogonally transform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first and then orthogonally trans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s a result of FIG. 3B orthogonal transformation, the energy concentration is higher than that of FIG. 3B. Since only a small number of transformation coefficients are encoded, a higher compression performance is obtained.

즉, 도 3b와 같이 세로방향으로 먼저 직교변환한 후 가로방향으로 직교변환 했을 경우 12가지의 다른 값의 변화계수를 부호화 해야 하나 가로 방향으로 직교변환한후 세로방향으로 직교변환 했을 경우 5가지의 다른 값의 변한 계수만을 부호화 하면 되므로 부호화 효율을 높일 수 있다.That is, when orthogonal transformation is performed first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n transversely orthogonally transformed as shown in FIG. 3B, 12 different values of coefficients of change must be encoded. Encoding efficiency can be increased because only coefficients having different values are encoded.

종래에는 도 3a 내지 도 3c에 도시한 바와같이 직교변환되는 입력신호의 유사성을 고려하지 않고, 일방적으로 가로직교변환후 세로직교변환하는 방법을 사용하거나 세로직교변환후 가로직교변환하는 방법을 사용하므로 입력신호의 특성에 대해 최적의 변환결과를 얻을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Conventionally, as shown in FIGS. 3A to 3C, without considering the similarity of an input signal that is orthogonally transformed, a method of unilaterally transforming after transverse orthogonal transformation or using a method of transverse orthogonal transformation after vertical orthogonal transformation There was a problem in that an optimum conversion result could not be obtained for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put signal.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압축부호화 효율을 높이기 위한 적응적 변환방법을 이용하는 영상압축 부호화 및 복호화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image compression encoding and decoding using an adaptive conversion method for increasing compression encoding efficiency.

이를 위해 본 발명에 의한 적응적 변환방법을 이용하는 영상압축 부호화 장치는 입력되는 영상신호블록을 직교변환하여 압축하는 부호화 장치에 있어서, 직교변환되어 얻어진 변환계수와 현재 부호화 하려는 영상신호블록을 선택적으로 입력받아 그 입력값들에 대한 가로 및 세로방향으로의 상관관계를 판단하여 입력되는 영상신호블록을 상관관계가 많은 방향으로 먼저 직교변환시킨 후 그와 다른 방향으로 직교변환시키도록 하는 변환방향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변환모드 제어수단과, 상기 변환모드 제어수단에서 변환방향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이에 상응하여 직교변환을 수행하는 직교변환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To this end, an image compression encoding apparatus using an adaptive transform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ncoding apparatus that orthogonally transforms an input image signal block and compresses the same, and selectively inputs a transform coefficient obtained by orthogonal transformation and a current image block to be encoded. A conversion direction control signal for judging the correlation 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with respect to the input values and orthogonally converting the input image signal block in a highly correlated direction first and then orthogonally in a different direction from the input image signal block. The conversion mode control means for outputting and the orthogonal conversion means for receiving the conversion direction control signal from the conversion mode control means and performs orthogonal conversion correspondingly.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적응적 변환방법을 이용하는 또 다른 영상압축 부호화 장치는 입력되는 영상신호블록을 직교변환하여 압축하는 부호화 장치에 있어서, 복원된 영상신호블록을 입력받고, 부호화 할 영상신호블록을 선택적으로 입력받으며, 상기 두 영상신호블록에 대한 모양정보를 선택적으로 입력받아 그 입력값들에 대한 가로 및 세로방향으로의 상관관계를 판단하여 상관관계가 많은 방향으로 먼저 직교변환시킨 후 그와 다른 방향으로 직교변환시키도록 하는 변환방향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변환모드 제어수단과, 상기 변환모드 제어수단에서 변환방향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이에 상응하여 직교변환을 수행하는 직교변환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모양정보내의 영상신호만을 이용하기 위해 복원된 영상신호블록들에 대한 부가정보 부호기로부터의 모양정보와 선택적으로 부호화 할 영상신호블록에 대한 부가정보 부호기로부터의 모양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변환모드 제어수단의 입력으로 사용한다.Another video compression encoding apparatus using an adaptive convers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ncoding apparatus that orthogonally transforms an input video signal block and compresses the received video signal block. Selectively receive the shape information of the two image signal blocks, and determine the correlation 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for the input values, and then orthogonally transform it in a direction having many correlations, and then A conversion mode control means for outputting a conversion direction control signal for performing orthogonal conversion in a direction; and an orthogonal conversion means for receiving a conversion direction control signal from the conversion mode control means and performing orthogonal conversion accordingly. . In this case, the conversion mode is controlled by receiving the shape information from the additional information encoder for the reconstructed video signal blocks and the shape information from the additional information encoder for the video signal block to be selectively encoded. Used as input to the means.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적응적 변환방법을 이용하는 영상압축 복호화 장치는 영상신호블록이 압축 부호화되어 전송되는 신호를 복호화하는 복호화장치에 있어서, 전송되는 압축 부호화된 영상신호를 수신하여 복호화하는 복호화장치에 있어서, 현재 전송되어 가변길이 복호화 과정을 거친 신호블록을 선택적으로 입력받고 이전에 가변길이 복호화된 신호블록을 입력받아 그 신호블록에 대한 가로 및 세로방향으로의 상관관계를 판단하여 상관관계가 적은 방향으로 먼저 역직교변환시킨 후 그와 다른 방향으로 역직교변환시키도록 하는 역변환방향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역변환모드제어수단과, 상기 역변환모드 제어수단에서 역변환방향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이에 상응하여 역직교변환을 수행하는 역직교변환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video compression decoding apparatus using the adaptive convers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decoding apparatus for decoding a signal transmitted by the compression coded video signal block, the decoding apparatus for receiving and decoding the transmitted compressed coded video signal In this case, a signal block that is currently transmitted and has undergone a variable length decoding process is selectively inputted, and a variable length decoded signal block is received previously a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ignal block is determined 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to determine the correlation. Inverse transform mode control means for outputting an inverse transform direction control signal for first inverse orthogonal transform and then inverse orthogonal transform in a different direction from the inverse transform mode;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inverse orthogonal transformation means to perform.

그리고,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의한 적응적 변환방법을 이용하는 영상압축 부호화 및 복호화 장치는 입력되는 영상신호블록과 복원된 영상신호블록을 감산하여 예측오차신호블록을 출력하는 감산기와, 부호화에 도움을 주는 모양정보와 가변길이 부호화된 모양정보 신호를 출력하는 부가정보 부호기와, 상기 감산기에서 부호화 하려는 예측오차신호블록과 모양정보내의 예측오차신호만을 이용하기 위한 상기 부가정보 부호기로 부터 모양정보 신호를 선택적으로 입력받아 이에 상응하는 변환방향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모드제어수단과, 상기 감산기에서 예측오차신호블록을 입력받고 상기 부가정보 부호기에서 가변길이 부호화된 모양정보를 선택적으로 입력받아 상기 모드제어수단에 의해 변환방향이 제어되어 상기 예측오차신호블록을 직교변환하므로써 변환계수를 출력하는 직교변환수단과, 상기 직교변환수단에서 변환계수를 입력받아 양자화시켜 이에 상응하는 양자화된 변환계수를 출력하는 양자화기와, 상기 양자화기에서 양자화된 변환계수를 입력받아 가변길이 부호화된 신호로 변환하는 가변길이부호기와, 상기 모드제어수단에서 변환방향제어신호를 입력받아 부호화시키는 제어신호부호기와, 상기 가변길이부호기에서 가변길이 부호화된 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부가정보 부호기에서 모양정보를 선택적으로 입력받으며, 상기 제어신호부호기에서 부호화된 변환방향제어신호를 입력받아 그 세 신호를 멀티플레싱하여 전송매체로 전송하는 다중화기로 구성된 부호화장치와; 부호화장치에서 전송매체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를 디멀티플레싱하여 가변길이 부호화된 모양정보, 가변길이 부호화 된 양자화된 변환계수 및 부호화된 변환방향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디먹스부와, 상기 디먹스부에서 부호화된 모양정보를 선택적으로 입력받아 복호화시키는 부가정보복호기와, 상기 디먹스부에서 가변길이 부호화된 양자화된 변환계수를 입력받아 가변길이 복호화시키는 복호기와, 상기 디먹스부에서 부호화된 변환방향제어신호를 입력받아 복호화시키는 제어신호복호기와, 상기 복호기에서 가변길이 복호화된 양자화 된 변환계수블록을 입력받아 역양자화시키는 제 2역양자화기와, 상기 제 2역양자화기에서 역양자화된 변환계수블록을 입력받고, 상기 부가정보복호기에서 모양정보를 입력받으며, 상기 제어신호복호기에서 변환방향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이에 상응하여 상기 역양자화된 변환계수블록을 상기 직교변환수단의 직교변환방향과 반대로 역직교변환하는 제 2역직교변환수단과, 상기 제 2역직교변환수단에서 역직교변환된 신호블록을 입력받는 동시에 이전에 복원된 영상신호블록을 입력받아 그 두신호를 가산하여 복원된 영상신호블록을 출력하는 가산기와, 상기 가산기에서 출력되는 복원된 영상신호블록을 저장한후 상기 가산기로 예측을 위해 출력시키는 메모리로 구성된 복호화장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An image compression encoding and decoding apparatus using an adaptive conversion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btractor for outputting a prediction error signal block by subtracting an input image signal block and a reconstructed image signal block, A shape information signal from the side information encoder for outputting shape information and a variable length coded shape information signal for assistance, and the additional information encoder for using only the prediction error signal block to be encoded in the subtractor and the shape information. Mode control means for selectively receiving a signal and outputting a corresponding conversion direction control signal, and receiving the prediction error signal block from the subtractor and selectively receiving variable length coded shape information from the side information encoder. The conversion direction is controlled to control the prediction error signal block. Orthogonal transform means for outputting a transform coefficient by performing an inter-transformation, a quantizer for receiving a quantized transform coefficient from the orthogonal transform means and outputting a quantized transform coefficient corresponding thereto, and receiving a variable quantized transform coefficient from the quantizer A variable length encoder for converting a length coded signal, a control signal encoder for receiving and encoding a conversion direction control signal from the mode control unit, a variable length coded signal from the variable length encoder, and receiving An encoder comprising a multiplexer which selectively receives shape information, receives a conversion direction control signal encoded by the control signal encoder, and multiplexes the three signals and transmits the three signals to a transmission medium; A demux unit for demultiplexing a signal input through a transmission medium in the encoding apparatus and outputting variable length coded shape information, a variable length coded quantized transform coefficient, and an encoded transform direction control signal; An additional information decoder for selectively receiving and decoding coded shape information, a decoder for variable length decoding receiving a variable length coded quantized transform coefficient from the demux unit, and a transform direction control signal encoded by the demux unit A control signal decoder to receive and decode a signal, a second inverse quantizer to dequantize the variable length decoded block by the decoder, and a dequantized transform coefficient block to receive the dequantized signal from the second inverse quantizer. Receiving shape information from the additional information decoder and converting the shape information from the control signal decoder A second inverse orthogonal transformation means for receiving a direction control signal and inversely orthogonally transforming the inverse quantized transform coefficient block in a direction opposite to an orthogonal transformation direction of the orthogonal transformation means, and inverse orthogonal transformation in the second inverse orthogonal transformation means An adder for receiving a previously restored video signal block and adding the two signals to output the restored video signal block, and storing the restored video signal block outputted from the adder and then storing the restored video signal block.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 decoding device consisting of a memory to output for prediction.

또한,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의한 적응적 변환방법을 이용하는 영상압축 부호화 및 복호화 장치는 입력되는 영상신호블록과 복원된 영상신호블록을 감산하여 예측오차신호블록을 출력하는 감산기와, 부호화에 도움을 주는 모양정보와 가변길이 부호화된 모양정보 신호를 출력하는 부가정보 부호기와, 상기 감산기에서 부호화 하려는 예측오차신호블록과 모양정보내의 예측오차신호만을 이용하기 위해 상기 부가정보 부호기에서 모양정보를 입력받아 이에 상응하는 변환방향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모드제어수단과, 상기 감산기에서 예측오차신호블록을 입력받고 상기 부가정보 부호기에서 모양정보를 선택적으로 입력받아 상기 모드제어수단에 의해 변환방향이 제어되어 상기 예측오차신호블록을 직교변환하므로써 변환계수를 출력하는 직교변환수단과, 상기 직교변환수단에서 변환계수를 입력받아 양자화시켜 이에 상응하는 양자화된 변환계수를 출력하는 양자화기와, 상기 양자화기에서 양자화된 변환계수를 입력받아 가변길이 부호화된 양자화된 변한계수 신호로 변환하는 가변길이부호기와, 상기 모드제어수단에서 변환방향제어신호를 입력받아 부호화시키는 제어신호부호기와, 직교변환 또는 역직교변환시 변환방향제어신호에 대한 사용여부에 따라 상기 모드제어수단 및 제어신호부호기의 온/오프 모드를 제어하기 위한 모드제어기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모드제어기 제어신호발생수단과, 상기 모드제어기 제어신호발생수단에서 모드제어기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부호화시키는 모드제어기 제어신호부호기와, 상기 가변길이부호기에서 가변길이 부호화된 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부가정보 부호기에서 모양정보를 선택적으로 입력받으며, 상기 제어신호부호기에서 부호화된 변환방향제어신호를 입력받으며, 상기 모드제어기 제어신호부호기에서 부호화된 모드제어기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멀티플레싱하여 전송매체로 전송하는 다중화기로 구성된 부호화장치와; 부호화장치에서 전송매체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를 디멀티플레싱하여 가변길이 부호화된 모양정보, 변환계수, 변환방향제어신호 및 모드제어기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디먹스부와, 상기 디먹스부에서 부호화된 모양정보를 선택적으로 입력받아 복호화시키는 부가정보복호기와, 상기 디먹스부에서 가변길이 부호화된 영상신호블록을 입력받아 가변길이 복호화시키는 복호기와, 상기 디먹스부에서 가변길이 부호화된 변환방향제어신호를 입력받아 복호화시키는 제어신호복호기와, 상기 디먹스부에서 부호화된 모드제어기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복호화시켜 상기 제어신호복호기의 온/오프 모드를 제어하는 모드제어기 제어신호복호기와, 상기 복호기에서 가변길이 복호화된 신호블록을 입력받아 역양자화시키는 제 2역양자화기와, 상기 제 2역양자화기에서 역양자화된 변환계수블록을 입력받고, 상기 부가정보복호기에서 모양정보를 입력받으며, 상기 제어신호복호기에서 변환방향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이에 상응하여 상기 역양자화된 변환계수블록을 상기 직교변환수단의 직교변환방향과 반대로 역직교변환하는 제 2역직교변환수단과, 상기 제 2역직교변환수단에서 역직교변환된 신호블록을 입력받는 동시에 이전에 복원된 영상신호블록을 입력받아 그 두신호를 가산하여 복원된 영상신호블록을 출력하는 가산기와, 상기 가산기에서 출력되는 복원된 영상신호블록을 저장한후 상기 가산기로 예측을 위해 출력시키는 메모리로 구성된 복호화장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video compression encoding and decoding apparatus using the adaptive conversion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btractor for outputting a prediction error signal block by subtracting the input image signal block and the reconstructed image signal block, Shape information is input from the side information encoder to use only the prediction error signal block to be encoded by the subtractor and the shape information signal for outputting shape information and variable length coded shape information signal. A mode control means for receiving a corresponding control direction control signal and a prediction error signal block received from the subtractor, and optionally receiving shape information from the additional information encoder to control the conversion direction by the mode control means. Outputs the conversion coefficient by orthogonally transforming the prediction error signal block A transform unit, a quantizer that receives a transform coefficient from the orthogonal transform unit and quantizes the transform coefficient, and outputs a quantized transform coefficient corresponding to the transform coefficient; A variable length encoder for converting, a control signal encoder for receiving and encoding a conversion direction control signal from the mode control means, and the mode control means and the control signal encoder according to whether to use the conversion direction control signal during orthogonal or inverse orthogonal conversion. A mode controller control signal generating means for generating a mode controller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on / off mode of the controller; a mode controller control signal encoder for receiving and encoding a mode controller control signal from the mode controller control signal generating means; Receiving a variable length coded signal from the length encoder, The shape information is selectively received from the side information encoder, the conversion direction control signal encoded by the control signal encoder is received, the mode controller control signal encoded by the mode controller control signal encoder is received, multiplexed, and transmitted to the transmission medium. An encoding device comprising a multiplexer; A demux unit for demultiplexing a signal input through a transmission medium in the encoding apparatus and outputting variable length coded shape information, a transform coefficient, a conversion direction control signal, and a mode controller control signal, and a shape encoded by the demux unit An additional information decoder to selectively receive and decode information, a variable length decoder to receive a variable length coded video signal block in the demux unit, and a variable length coded conversion direction control signal in the demux unit; A control signal decoder to receive and decode, a mode controller control signal decoder to receive and decode a mode controller control signal encoded by the demux unit, and to control an on / off mode of the control signal decoder, and to perform a variable length decoding on the decoder. A second inverse quantizer for receiving and inversely quantizing a signal block, and the second inverse quantizer An inverse quantized transform coefficient block, a shap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additional information decoder, a conversion direction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signal decoder, and the orthogonal transform means A second inverse orthogonal transform means for inverse orthogonal transform and a signal block that is inversely orthogonal transformed in the second inverse orthogonal transform means, and a previously reconstructed image signal block to receive the two signals; And a decoder configured to add and output the reconstructed image signal block, and a memory configured to store the reconstructed image signal block output from the adder and output the prediction signal to the adder for prediction.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적응적 변환방법을 이용하는 영상압축 부호화방법은 입력되는 영상신호블록을 직교변환하여 압축하는 부호화 방법에 있어서, 변환모드제어수단이 이전에 직교변환되어 얻어진 변환계수와 현재 부호화 하려는 영상신호블록을 선택적으로 입력받아 그 입력값들에 대한 가로 및 세로방향으로의 상관관계를 판단하여 상관관계가 많은 방향으로 먼저 직교변환시킨 후 그와 다른 방향으로 직교변환시키도록 하는 변환방향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변환방향제어신호 발생단계와, 직교변환수단이 상기 변환방향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이에상응하여 순차적으로 직교변환을 수행하는 직교변환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On the other hand, the video compression encoding method using the adaptive convers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ding method for orthogonally transforming an input video signal block, the transform mode control means is to perform the current encoding and the transform coefficient obtained by orthogonal transformation previously A conversion direction control signal for selectively receiving an image signal block and determining the correlation 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with respect to the input values, and performing orthogonal transformation in a direction having a high correlation, and then performing orthogonal transformation in a different direction. A conversion direction control signal generating step of outputting a; and orthogonal conversion means receives the conversion direction control signal,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n orthogonal conversion step of performing orthogonal conversion sequentially accordingly.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적응적 변환방법을 이용하는 영상압축 복호화방법은 전송되는 압축 부호화된 영상신호를 수신하여 복호화하는 방법에 있어서, 역변환모드제어수단이 현재 가변길이 복호화되는 신호블록을 선택적으로 입력받고 이전에 가변길이 복호화된 신호블록을 입력받아 그 신호블록들에 대한 가로 및 세로방향으로의 상관관계를 판단하여 상관관계가 적은 방향으로 먼저 역직교변환시킨 후 그와 다른 방향으로 역직교변환시키도록 하는 역변환방향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역변환방향 제어신호 발생단계와, 역직교변환수단이 상기 역변환방향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이에 상응하여 순차적으로 역 직교변환을 수행하는 역 직교변환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video compression decoding method using the adaptive convers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of receiving and decoding a compressed coded video signal transmitted, wherein the inverse transform mode control means selectively receives a signal block that is currently variable-length decoded. Receive the variable-length decoded signal block and determine the correlation 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for the signal blocks, and then inverse orthogonal transform in the direction with less correlation and inverse orthogonal transform in the other direction. Generating an inverse transform direction control signal for outputting an inverse transform direction control signal, and an inverse orthogonal transform step in which an inverse orthogonal transform means receives the inverse transform direction control signal and sequentially performs inverse orthogonal transform corresponding thereto; .

또한,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의한 적응적 변환방법을 이용하는 영상압축 부호화 및 복호화 방법은 입력되는 영상신호블록을 부호화 및 복호화 하는 방법에 있어서, 부호화 하려는 영상신호블록과 모양정보를 이용해 직교변환 및 역직교변환의 변환방향순서를 결정하는 변환방향제어신호를 발생하는 변환방향제어신호발생단계와, 상기 변환방향제어신호 발생단계에서 발생된 변환방향제어신호를 부호화 하는 한편, 상기 변환방향제어신호에 의해 부호화 하려는 영상신호블록을 직교변환하여 양자화 및 가변길이 부호화하는 부호화단계와, 상기 부호화단계에서 부호화된 변환방향제어신호와 가변길이 부호화된 영상신호블록을 멀티플레싱하여 전송하는 전송단계와, 상기 전송단계에서 전송된 부호화된 신호를 수신하고 디멀티플레싱하여 부호화된 변환방향제어신호와 가변길이 부호화된 영상신호블록을 분리하는 신호분리단계와, 상기 신호분리단계에서 분리된 부호화된 변환방향제어신호를 복호화 시키는 한편, 가변길이 부호화된 영상신호블록을 가변길이 복호화 시키고 역양자화시키는 복호화단계와, 상기 복호화단계에서 복호화된 변환방향제어신호에 의해 역직교변환 방향순서가 결정되어 역양자화된 변환계수블록을 역직교변환하고, 이를 이전에 복원된 영상신호블록을 이용해 초기에 입력된 영상신호블록을 복원시키는 신호복원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video compression encoding and decoding method using an adaptive conversion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of encoding and decoding an input video signal block, using orthogonal transformation using an image signal block to be encoded and shape information. And a conversion direction control signal generation step of generating a conversion direction control signal for determining a conversion direction order of the inverse orthogonal conversion, and a conversion direction control signal generated in the conversion direction control signal generation step, while converting the conversion direction control signal. An encoding step of orthogonally transforming an image signal block to be encoded by quantization and variable length encoding, a transmission step of multiplexing and transmitting the transform direction control signal and the variable length encoded image signal block encoded in the encoding step, and Receives and demultiplexes the encoded signal transmitted in the transmission step. A signal separation step of separating the encoded conversion direction control signal and the variable length coded video signal block, and decoding the encoded conversion direction control signal separated in the signal separation step, while variable length encoding the variable length coded video signal block A decoding step of decoding and inverse quantization, and an inverse orthogonal transform direction order is determined by the transform direction control signal decoded in the decoding step to inverse orthogonal transform the inverse quantized transform coefficient block and convert the previously reconstructed image signal block It is characterized by consisting of a signal recovery step for restoring the video signal block initially input.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적응적 변환방법을 이용하는 영상압축 부호화 및 복호화 장치 및 그 방법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n image compression encoding and decoding apparatus using an adaptive convers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ethod thereof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적응적 변환방법을 이용하는 영상압축 부호화 및 복호화 장치에 관한 제어블록도이다.4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an image compression encoding and decoding apparatus using an adaptive transform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의한 부호화 장치에 대해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A cod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감산기(1)는 영상신호블록과 복원된 영상신호블록를 감산하여 예측오차신호블록을 출력하는 역할을 하고, 부가정보 부호기(9)는 부호화에 도움을 주는 모양정보를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감산기(1)은 제 1메모리(7)로 부터 예측된 신호와 현재 입력신호와의 예측 오차 뿐아니라 제 1메모리(7)의 신호로 부터의 예측 없이 현재 입력신호를 그대로 출력할 수 있는데 이경우 이를 위해서 제 1메모리(7)에 저장되있는 값을 0으로 초기화하여 감산기(1)로 부터의 신호와 입력영상 신호를 동일하게 만들 수 있다.The subtractor 1 subtracts the image signal block and the reconstructed image signal block to output the prediction error signal block, and the side information encoder 9 outputs the shape information to help the encoding. At this time, the subtractor 1 may output the current input signal as it is without prediction from the signal of the first memory 7 as well as the prediction error between the signal predicted from the first memory 7 and the current input signal. To this end, the value stored in the first memory 7 may be initialized to 0 to make the signal from the subtractor 1 equal to the input image signal.

그리고, 직교변환수단(1000)은 상기 감산기(1)에서 예측오차신호블록을 입력받는 한편, 상기 부가정보 부호기(9)에서 모양정보를 선택적으로 입력받아 후술되는 변환제어수단(100)에 의해 직교변환모드가 제어되어 직교변환을 수행하므로써 변환계수를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In addition, the orthogonal transformation means 1000 receives a prediction error signal block from the subtractor 1, and selectively receives shape information from the additional information encoder 9, orthogonally by the conversion control means 100 to be described later. The conversion mode is controlled to perform orthogonal conversion and output the conversion coefficient.

상기 직교변환수단(1000)의 일실시예는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감산기(1)에서 예측오차신호블록을 선택적으로 입력받는 한편, 상기 부가정보 부호기(9)에서 모양정보를 선택적으로 입력받아 상기 예측오차신호블록을 세로방향으로 DCT변환한후, 가로방향으로 DCT변환하는 직교변환기 1(1120)과, 상기 감산기(1)에서 예측오차신호블록을 선택적으로 입력받는 한편, 상기 부가정보 부호기(9)에서 모양정보를 선택적으로 입력받아 상기 예측오차신호블록을 가로방향으로 DCT변환한 후, 세로방향으로 DCT변환하는 직교변환기 2(1140)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예측오차신호블록은 상기 제 1메모리(7)에 저장되있는 값을 0으로 초기화하여 입력영상신호블록과 동일하게 만들 수 있다.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orthogonal transformation means 1000, as shown in FIG. 5A, a prediction error signal block is selectively input by the subtractor 1, and shape information is selectively input by the additional information encoder 9. A DCT transformation of the prediction error signal block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DCT conversion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a prediction error signal block selectively received from the subtractor 1, and the additional information encoder An orthogonal transformer 2 (1140) which selectively receives shape information at (9) and performs DCT conversion on the prediction error signal block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n DCT convers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is case, the prediction error signal block may be initialized to 0 to be identical to the input image signal block.

그리고, 상기 직교변환수단(1000)에는 상기 변환모드 제어수단(100)으로부터 변환방향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스위칭동작되어 상기 감산기(1)에서 출력되는 예측오차신호블록이 상기 직교변환기 1(1120) 또는 직교변환기 2(1140)로 입력되는 것을 단속하는 제 1 스위치(1110)와, 상기 변환모드 제어수단(100)으로부터 변환방향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스위칭동작되어 상기 직교변환기 1(1120) 또는 상기 직교변환기 2(1140)에서 출력되는 변환계수가 상기 제 1 양자화기(3)로 입력되는 것을 단속하는 제 2스위치(1130)가 추가로 구성되어 있다.The orthogonal transform means 1000 receives a conversion direction control signal from the conversion mode control means 100 and performs a switching operation so that the predictive error signal block output from the subtractor 1 is the orthogonal transformer 1 1120 or the like. The first switch 1110 to control input to the quadrature converter 2 (1140) and the conversion direction control signal from the conversion mode control means 100 are switched to operate the quadrature converter 1 (1120) or the quadrature converter. A second switch 1130 is further configured to intercept the conversion coefficient output from 2 1140 to the first quantizer 3.

한편, 상기 직교변환수단(1000)의 또다른 실시예는, 도 6a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변환모드제어수단(100)에서 변환방향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온/오프모드가 제어되어 온 모드시 상기 감산기(1)에서 입력되는 예측오차신호블록을 반시계방향으로 90도 회전하고 오프모드시 예측오차신호블록을 그대로 출력하는 전처리기(1210)와, 상기 전처리기(1210)로 부터 입력받는 한편, 상기 부가정보부호기(9)에서 모양정보를 선택적으로 입력받아 세로/가로 방향으로 DCT 변환한후 가로/세로 방향으로 DCT변환하는 직교변환기(1220)와, 상기 변환모드제어수단(100)에서 변환방향 제어신호블록을 입력받아 온/오프모드가 제어되어 온 모드시 상기 직교변환기(1220)에서 변환계수를 입력받아 단위블록의 좌측상단과 우측하단을 잇는 축을 중심으로 180도 회전하고 오프모드시 변환 계수블록을 그대로 출력하는 후처리기(1230)로 이루어져 있다. 이때 상기 예측오차신호블록은 상기 제 1메모리에 저장되있는 값을 0으로 초기화하여 입력영상신호블록과 동일하게 만들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orthogonal conversion means 1000, the conversion mode control means 100 receives the conversion direction control signal from the conversion mode control means 100 as shown in FIG. While receiving the input from the preprocessor 1210 and the preprocessor 1210 which rotates the prediction error signal block input by the subtractor 1 by 90 degrees counterclockwise and outputs the prediction error signal block as it is in the off mode. An orthogonal converter 1220 for selectively receiving shape information from the additional information encoder 9 and performing DCT conversion in a vertical / horizontal direction and a DCT conversion in a horizontal / vertical direction; and a conversion direction in the conversion mode control means 100 When the on / off mode is controlled by receiving the control signal block, the quadrature converter 1220 receives the conversion coefficient and rotates 180 degrees around the axis connecting the upper left and lower right sides of the unit block. And a post processor 1230 for outputting the transform coefficient block as it is. In this case, the prediction error signal block may be initialized to 0 to be equal to the input image signal block.

또한, 제 1 양자화기(3)는 상기 직교변환수단(1000)에서 변환계수를 입력받아 양자화된 변환계수블록으로 변환하는 역할을 하고, 가변길이 부호기(8)는 상기 제 1 양자화기(3)에서 양자화된 변환계수블록을 입력받아 가변길이 부호화된 신호로 변환하는 역할을 하며, 다중화기(11)는 상기 가변길이 부호기(8)에서 가변길이 부호화된 신호를 입력받는 한편 상기 부가정보 부호기(9)에서 가변길이 부호화된 모양정보신호를 선택적으로 입력받아 그 두 신호를 멀티플레싱하여 전송매체로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In addition, the first quantizer 3 serves to receive the transform coefficient from the orthogonal transform means 1000 and convert the transform coefficient into a quantized transform coefficient block, and the variable length encoder 8 is the first quantizer 3. Converts the quantized transform coefficient block into a variable length coded signal, and the multiplexer 11 receives the variable length coded signal from the variable length coder 8 while the side information encoder 9 ) Selectively receives the variable-length coded shape information signal and multiplexes the two signals to transmit them to the transmission medium.

그리고, 변환모드제어수단(100)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1 양자화기(3)에서 양자화된 변환계수를 입력받는 한편, 상기 감산기(1)에서 예측오차신호를 선택적으로 입력받아 이에 상응하는 변환모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예측오차신호는 상기 제 1메모리에 저장되있는 값을 0으로 초기화하여 입력영상신호블록과 동일하게 만들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conversion mode control means 100, the first quantizer 3 receives a quantized transform coefficient, and the subtractor 1 selectively receives a prediction error signal corresponding thereto. Outputs the conversion mode control signal. In this case, the prediction error signal may be made equal to the input image signal block by initializing the value stored in the first memory to zero.

또한, 상기 변환모드제어수단(100)의 상세구성은 상기 제 1 양자화기(3)에서 양자화된 변환계수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메모리(110)와, 상기 메모리(110)에서 양자화된 변환계수를 입력받는 한편, 상기 감산기(1)에서 예측오차신호블록을 선택적으로 입력받아 이에 상응하는 변환방향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모드제어기(120)로 이루어져 있다. 이때 상기 예측오차신호블록은 상기 제 1메모리(7)에 저장되있는 값을 0으로 초기화하여 입력영상신호블록과 동일하게 만들 수 있다.In addition,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conversion mode control means 100 is a memory 110 for receiving and storing the quantized transform coefficients in the first quantizer 3, and inputs the quantized transform coefficients in the memory 110 On the other hand, it consists of a mode controller 120 for selectively receiving the prediction error signal block from the subtractor 1 and outputs a corresponding conversion direction control signal. In this case, the prediction error signal block may be initialized to 0 to be identical to the input image signal block.

한편, 상기 변환모드제어수단(100)은 또다른 실시예로서, 메모리(110)가 상기 제 1 양자화기(3)에서 양자화된 변환계수를 입력받는 구성대신에 후술되는 제 1 메모리(7)에서 복원된 영상신호블록과, 상기 감산기(1)에서 부호화하려는 예측오차신호블록을 선택적으로 입력받으며, 모양정보내의 예측오차신호만을 이용하기 위해 상기 부가정보부호기(9)에서 상기 복원된 영상신호블록과 부호화하려는 예측오차신호블록에 대한 모양정보를 스위치(10g)의 스위칭작용에 의해 선택적으로 입력받아 이에상응하여 변환방향 제어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예측오차신호블록은 상기 제 1메모리(7)에 저장되있는 값을 0으로 초기화하여 입력영상신호블록과 동일하게 만들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nversion mode control means 100 is another embodiment, in which the memory 110 receives a transform coefficient quantized by the first quantizer 3 in place of the first memory 7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he reconstructed video signal block and the prediction error signal block to be encoded by the subtractor 1 are selectively inputted, and the reconstructed video signal block by the additional information encoder 9 to use only the prediction error signal in the shape information. The shape information of the prediction error signal block to be encoded may be selectively input by the switching action of the switch 10g, and output a conversion direction control signal accordingly. In this case, the prediction error signal block may be initialized to 0 to be identical to the input image signal block.

또한, 제 1 역양자화기(4)는 상기 제 1 양자화기(3)에서 양자화된 변환계수블록을 입력받아 역양자화된 변환계수블록으로 변환하는 역할을 하고, 제 1 역직교변환수단(140)은 상기 제 1 역양자화기(3)에서 역양자화된 변환계수블록을 입력받는 한편, 상기 부가정보 부호기(9)에서 모양정보를 선택적으로 입력받아 상기 변환모드제어수단(100)에 의해 역변환모드가 제어되어 이에 상응하는 역변환계수를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In addition, the first inverse quantizer 4 receives the transform coefficient block quantized by the first quantizer 3 and converts the inverse quantized transform coefficient block into a first inverse orthogonal transform means 140. Receives an inverse quantized transform coefficient block from the first inverse quantizer 3, selectively receives shape information from the additional information encoder 9, and the inverse transform mode is changed by the conversion mode control means 100. It is controlled to output the corresponding inverse transform coefficient.

상기 제 1 역직교변환수단(140)의 일실시예는 도 5b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제 1역양자화기(4)에서 역양자화된 변환계수블록을 선택적으로 입력받는 한편, 상기 부가정보 부호기(9)에서 모양정보를 선택적으로 입력받아 상기 역양자화된 변환계수블록을 세로방향으로 DCT 역변환한 후, 가로방향으로 DCT 역변환하는 역직교변환기 1(2120)과, 상기 제 1 역양자화기(4)에서 역양자화된 변환계수블록을 선택적으로 입력받는 한편, 상기 부가정보 부호기(9)에서 모양정보를 선택적으로 입력받아 가로방향으로 DCT 역변환한 후, 세로방향으로 DCT 역변환하는 역직교변환기 2(2140)로 구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 5B, the first inverse orthogonal transform unit 140 selectively receives the dequantized transform coefficient block from the first inverse quantizer 4, and the additional information encoder ( 9) an inverse orthogonal transformer 1 (2120) and a first inverse quantizer (4) for selectively receiving shape information and inversely transforming the inverse quantized transform coefficient block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n inversely transforming the DC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verted orthogonal transformer 2 (2140) which selectively receives the inverse quantized transform coefficient block at the same time, inversely transforms the DC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fter selectively receiving shape information from the side information encoder 9 Consists of

또한, 상기 제 1 역직교변환수단(140)에는 상기 변환모드 제어수단(100)으로부터 변환방향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스위칭동작이 제어되어 상기 제 1 역양자화기(4)에서 출력되는 역양자화된 변환계수블록이 상기 역직교변환기 1(2120) 또는 역직교변환기 2(2140)로 입력되는 것을 단속하는 제 3 스위치(2110)와, 상기 변환모드 제어수단(100)으로부터 변환방향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스위칭동작이 제어되어 상기 역직교변환기 1(2120) 또는 상기 역직교변환기 2(2140)에서 출력되는 역변환계수가 상기 제 1 가산기(6a)로 입력되는 것을 단속하는 제 4 스위치(2130)가 추가로 구성되어 있다.In addition, the first inverse orthogonal transformation means 140 receives a conversion direction control signal from the conversion mode control means 100 so that a switching operation is controlled so that the inverse quantized transformation is output from the first inverse quantizer 4. A third switch 2110 for intermitting the coefficient block input to the inverse orthogonal transformer 1 (2120) or the inverse orthogonal transformer 2 (2140) and a switching direction control signal from the conversion mode control means (100) for switching The fourth switch 2130 is further configured to control an operation so that an inverse transform coefficient output from the inverse orthogonal transformer 1 (2120) or the inverse orthogonal transformer (2140) is input to the first adder (6a). It is.

한편, 상기 제 1 역직교변환수단(140)은 또다른 실시예로서 도 6b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변환모드제어수단(100)에서 변환방향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온/오프 모드가 제어되어 온 모드시 상기 제 1 역양자화기(4)에서 역양자화된 변환계수블록을 입력받아 단위블록의 좌측상단과 우측하단을 잇는 축을 중심으로 180도 회전하고 오프모드시 역양자화된 변환계수 신호 블럭을 그대로 출력하는 전처리기 1(2210)과, 상기 전처리기 1(2210)에서 입력받는 한편, 상기 부가정보부호기(9)에서 모양정보를 선택적으로 입력받아 세로/가로 방향으로 역 DCT 변환한 후 가로/세로 방향으로 역 DCT변환하는 역직교변환기 3(2220)과, 상기 변환모드제어수단(100)에서 변환방향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온/오프모드가 제어되어 온 모드시 상기 역직교변환기 3(2220)에서 역변환계수를 입력받아 시계방향으로 90도 회전하여 역변환계수를 출력하고 오프모드시 역변환 계수를 그대로 출력하는 후처리기 1(2230)로 이루어져 있다.On the other hand, the first inverse orthogonal conversion means 140 is a mode in which an on / off mode is controlled by receiving a conversion direction control signal from the conversion mode control means 100 as shown in FIG. 6B as another embodiment. The first inverse quantizer 4 receives the inverse quantized transform coefficient block and rotates 180 degrees around the axis connecting the upper left and lower right corners of the unit block and outputs the dequantized transform coefficient signal block as it is in the off mode. Preprocessor 1 (2210) and the preprocessor 1 (2210), while the additional information encoder (9) selectively receives the shape information inverted DCT conversion in the vertical / horizontal direction, and then the horizontal / vertical direction Inverted orthogonal converter 3 (2202) for inverse DCT conversion, and the inverse orthogonal converter 3 (2220) in the on mode when the on / off mode is controlled by receiving the conversion direction control signal from the conversion mode control means 100 Modulus Power take consists of one processor 2230 and then to a 90 degree rotation in the clockwise direction to output a reverse conversion factor and output as an off-mode when reverse conversion coefficient.

또한, 제 1 가산기(6a)는 상기 제 1 역직교변환수단(140)에서 역변환계수를 입력받는 동시에 후술되는 제 1 메모리(7)에 저장되어 있던 이전에 복원된 영상신호블록을 입력받아 그 두신호를 가산하여 영상신호블록을 복원하는 역할을 하고, 제 1 메모리(7)는 상기 가산기(6a)에서 복원영상신호블록을 입력받아 다음 예측을 위해 저장하여 상기 가산기(1)로 그 복원된 영상신호블록을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In addition, the first adder 6a receives the inverse transform coefficients from the first inverse orthogonal transformation means 140 and simultaneously receives the previously restored image signal blocks stored in the first memory 7 described later. Adds a signal to restore the image signal block, and the first memory 7 receives the reconstructed image signal block from the adder 6a, stores the image signal block for the next prediction, and restores the image signal to the adder 1 Outputs the signal block.

그리고, 상기 감산기(1)와 모드제어기(120) 사이에는 상기 감산기(1)에서 출력되는 예측오차신호블록이 상기 모드제어기(120)로 입력되는 것을 단속하는 스위치(10b)가 구성되어 있고, 상기 부가정보 부호기(9)와 직교변환수단(1000) 및 제 1역직교변환수단(140) 사이에는 상기 부가정보 부호기(9)에서 상기 직교변환수단(1000) 및 제 1 역직교변환수단(140)으로 모양정보가 입력되는 것을 단속하는 스위치(10c)가 구성되어 있다.In addition, a switch 10b is interposed between the subtractor 1 and the mode controller 120 to control the prediction error signal block output from the subtractor 1 from being input to the mode controller 120. Between the additional information encoder 9, the orthogonal transform means 1000, and the first inverse orthogonal transform means 140, the orthogonal transform means 1000 and the first inverse orthogonal transform means 140 in the additional information encoder 9 The switch 10c which controls an input of shape information is comprised.

또한, 상기 부가정보부호기(9)와 상기 다중화기(11)사이에는 상기 부가정보부호기(9)에서 출력되는 모양정보가 상기 다중화기(11)로 입력되는 것을 단속하는 스위치(10a)가 구성되어 있다.In addition, between the additional information encoder 9 and the multiplexer 11, a switch 10a for intermitting the shape information output from the additional information encoder 9 to the multiplexer 11 is configured. have.

한편, 본 발명에 의한 복호화장치에 대해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On the other hand, the decod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디먹스부(13)는 상기 부호화장치에서 부호화된 신호를 입력받아 디멀티플레싱하여 부호화된 모양정보와 부호화된 영상신호를 출력하는 역할을 하고, 복호기(15)는 상기 디먹스부(13)에서 부호화된 영상신호를 입력받아 가변길이 복호화된 신호로 변환하는 역할을 한다.The demux unit 13 receives the coded signal from the encoding device and demultiplexes the coded shape information and outputs the encoded shape information and the encoded image signal. The decoder 15 is connected to the demux unit 13. It receives the encoded video signal and converts it into a variable length decoded signal.

그리고, 제 2 역양자화기(200)는 상기 복호기(13)에서 가변길이 복호화된 신호를 입력받아 역양자화된 변환계수블록으로 변환하는 역할을 하고, 부가정보복호기(14)는 상기 디먹스부(13)에서 부호화된 모양정보를 선택적으로 입력받아 모양정보를 복원시키는 역할을 한다. The second inverse quantizer 200 receives a variable length decoded signal from the decoder 13 and converts the dequantized transform coefficient block into an inverse quantized transform coefficient block. 13) and selectively receives the shape information encoded in the function to restore shape information.

또한, 제 2 역직교변환수단(2000)은 상기 제 2 역양자화기(200)에서 역양자화된 변환계수블록을 입력받는 한편 상기 부가정보 복호화기(14)에서 복원된 모양정보를 선택적으로 입력받아 후술되는 역변환모드 제어수단(210)에 의해 역변환 모드가 제어되어 역직교변환을 수행하므로써 역변환계수를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In addition, the second inverse orthogonal transformation means 2000 receives the dequantized transform coefficient block from the second inverse quantizer 200 and selectively receives shape information restored from the side information decoder 14. The inverse transform mode is controlled by the inverse transform mode control means 21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nd performs inverse orthogonal transformation, thereby outputting an inverse transform coefficient.

상기 제 2역직교변환수단(2000)의 일실시예는 도 5b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제 2역양자화기(200)에서 역양자화된 변환계수블록을 선택적으로 입력받는 한편, 상기 부가정보 복호기(14)에서 복원된 모양정보를 선택적으로 입력받아 상기 역양자화된 변환계수블록을 세로방향으로 역 DCT 변환한 후, 가로방향으로 역 DCT 변환하는 역직교변환기 1'(2120)과, 상기 제 2 역양자화기(200)에서 역양자화된 변환계수블록을 선택적으로 입력받는 한편, 상기 부가정보 복호기(14)에서 복원된 모양정보를 선택적으로 입력받아 상기 역양자화된 변환계수블록을 가로방향으로 역 DCT 변환한 후, 세로방향으로 역 DCT 변환하는 역직교변환기 2'(2140)으로 구성되어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second inverse orthogonal transformation means 2000, as shown in FIG. 5B, the second inverse quantizer 200 selectively receives the dequantized transform coefficient block, and the additional information decoder ( An inverse orthogonal transformer 1 '(2120) for performing inverse DCT conversion on the inverse quantized transform coefficient block in a vertical direction and selectively inverse DC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by selectively receiving the shape information restored in (14); A quantizer 200 selectively receives an inverse quantized transform coefficient block, while selectively receiving shape information reconstructed by the side information decoder 14 to inversely transform the inverse quantized transform coefficient block in a horizontal direction. Then, it is composed of an inverse orthogonal transformer 2 '(2140) for inverse DCT convers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그리고, 상기 제 2 역직교변환수단(2000)에는 상기 역변환모드 제어수단(210)으로부터 역변환방향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스위칭동작이 제어되어 상기 제 2 역양자화기(200)에서 역양자화된 변환계수블록이 상기 역직교변환기 1'(2120) 또는 역직교변환기 2'(2140)로 입력되는 것을 단속하는 제 3' 스위치(2110)와, 상기 역변환모드 제어수단(210)으로부터 역변환방향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스위칭동작이 제어되어 상기 역직교변환기 1'(2120) 또는 상기 역직교변환기 2'(2140)에서 출력되는 역변환계수가 상기 제 2가산기(6b)로 입력되는 것을 단속하는 제 4'스위치(2130)가 추가로 구비되어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inverse orthogonal transformation means 2000 receives the inverse transformation direction control signal from the inverse transformation mode control means 210 and controls a switching operation to convert the quantized inverse quantized block in the second inverse quantizer 200. A third 'switch 2110 for controlling input to the inverse orthogonal transformer 1' (2120) or an inverse orthogonal transformer 2 '(2140), and an inverse conversion direction control signal from the inverse conversion mode control means 210; Switching operation is controlled to control the inverse transform coefficient output from the inverse orthogonal transformer 1 '(2120) or the inverse orthogonal transformer 2' (2140) 2140 (2b) 4 'switch (2130) Is further provided.

한편, 제 2역직교변환 수단(2000)의 또 다른 실시예는 도 6b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역변환모드제어수단(210)에서 역변환방향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온/오프모드가 제어되어 온 모드시 상기 제 2역양자화기(200)에서 입력되는 역양자화된 변환계수블록을 단위블록의 좌측상단과 우측하단을 잇는 축을 중심으로 180도 회전하고 오프모드시 입력되는 역양자화된 신호블록을 그대로 출력하는 전처리기 1'(2210)와, 상기 전처리기 1'(2210)에서 입력받는 한편, 상기 부가정보복호기(14)에서 현재 복원된 모양정보신호를 선택적으로 입력받아 세로/가로 방향으로 역 DCT 변환한후 가로/세로 방향으로 역 DCT 변환하는 역직교변환기 3'(2220)와, 상기 역변환모드제어수단(210)에서 역변환방향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온/오프모드가 제어되어 온 모드시 상기 역직교변환기 3'(2220)에서 역변환계수를 입력받아 시계방향으로 90도 회전하고 오프모드시 역변환계수를 그대호 출력하는 후처리기 1'(2230)로 이루어져 있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second inverse orthogonal transformation means 2000, the inverse transformation direction control signal is input from the inverse transformation mode control means 210 as shown in FIG. The inverse quantized transform coefficient block input from the second inverse quantizer 200 is rotated 180 degrees around the axis connecting the upper left and the lower right of the unit block and outputs the inverse quantized signal block input in the off mode as it is. The preprocessor 1 '2210 and the preprocessor 1' 2210 are input, while the additional information decoder 14 selectively receives the shape information signal currently restored, and performs reverse DCT conversion in the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The inverse orthogonal converter 3 '(2220) for inverse DCT conversion in the horizontal / vertical direction, and the inverse orthogonal converter when the on / off mode is controlled by receiving an inverse conversion direction control signal from the inverse conversion mode control means 210; 3 '(2220) ) Is a post-processor 1 '(2230) is rotated 90 degrees in the clockwise direction to receive the inverse transform coefficient in the output mode in the off mode.

그리고, 제 2 가산기(6b)는 상기 제 2 역직교변환수단(2000)에서 역변환된 신호블록을 입력받는 동시에 후술되는 복원된 영상신호블록을 입력받아 그 두신호를 가산하여 복원된 영상신호블록을 출력하는 역할을 하고, 제 2 메모리(18)는 예측을 위해 상기 복원된 입력영상신호블록을 저장하고, 그 신호블록은 상기 제 2 가산기(6b)로 다음 예측을 위해 출력된다. In addition, the second adder 6b receives a signal block inversely transformed by the second inverse orthogonal transformation means 2000 and simultaneously receives a reconstructed image signal block to be described later, and adds the two signals to reconstruct the image signal block. The second memory 18 stores the reconstructed input image signal block for prediction, and the signal block is output to the second adder 6b for the next prediction.

또한, 역변환모드 제어수단(210)은 상기 복호기(15)에서 가변길이 복호된 신호를 입력받아 이에 상응하는 역변환방향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역할을 하며, 그 구성은 상기 복호기(15)에서 가변길이 복호된 신호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메모리(211)와, 상기 메모리(211)에서 이전에 가변길이 복호된 신호를 입력받는 한편, 상기 복호기(15)에서 현재 가변길이 복호된 신호를 선택적으로 입력받아 이에 상응하는 역변환 모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모드제어기(213)로 이루어져 있다.In addition, the inverse transform mode control unit 210 receives a variable length decoded signal from the decoder 15 and outputs a corresponding inverse transform direction control signal. The configuration of the variable length decoding in the decoder 15 is performed. A memory 211 for receiving and storing the received signal and a variable length decoded signal previously received from the memory 211, and selectively receiving a current variable length decoded signal from the decoder 15 accordingly. And a mode controller 213 for outputting an inverse conversion mode control signal.

한편, 상기 역변환모드 제어수단(210)은 또다른 실시예로서, 메모리(211)가 상기 이전에 가변길이 복호된 신호를 입력받는 구성대신에 후술되는 제 2 메모리(18)에서 복원된 영상신호블록과 모양정보내의 예측오차신호만을 이용하기 위해 상기 부가정보 복호기에서 복원된 모양정보를 입력 받는 한편, 상기 복호기(15)에서 현재 가변길이 복호된 신호를 선택적으로 입력받아 이에 상응하는 역변환 모드 제어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inverse conversion mode control means 210 is another embodiment, the image signal block restored in the second memory 18 to be described later instead of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memory 211 receives the variable-length decoded signal previously In order to use only the prediction error signal in the shape information and the shape information restored by the additional information decoder, the decoder 15 selectively receives the current variable length decoded signal and receives the corresponding inverse transform mode control signal. Can be configured to output.

한편, 상기 부가정보 복호기(14)와 상기 제 2 역직교변환수단(2000)사이에는 상기 부가정보 복호기(14)에서 출력되는 모양정보가 상기 제 2 역직교변환 수단(2000)에 입력되는 것을 단속하는 스위치(16)가 추가로 구성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between the additional information decoder 14 and the second inverse orthogonal transformation means 2000, the shape information output from the additional information decoder 14 is intermittently inputted to the second inverse orthogonal transformation means 2000. The switch 16 is further comprised.

그리고, 상기 복호기(15)와 상기 모드제어기(213) 사이에는 상기 복호기(15)에서 모드제어기(213)로 가변길이 복호된 신호가 입력되는 것을 단속하는 스위치(17)가 추가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디먹스부(13)와 상기 부가정보 복호기(14)사이에는 상기 디먹스부(13)에서 출력되는 부호화된 모양정보가 상기 부가정보 복호기(14)로 입력되는 것을 단속하는 스위치(10e)가 추가로 구비되어 있다.Further, between the decoder 15 and the mode controller 213, a switch 17 for intermittently inputting a variable length decoded signal from the decoder 15 to the mode controller 213 is further configured. Between the demux 13 and the additional information decoder 14, a switch 10e intermittently intercepting the coded shape information output from the demux 13 to the additional information decoder 14. It is further provided.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적응적 변환방법을 이용한 영상압축 부호화장치 및 복호화 장치를 사용한 부호화 방법 및 복호화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An encoding method and a decoding method using an image compression encoding apparatus and a decoding apparatus using the adaptive transformation method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먼저, 부호화 방법에 대해 설명하면,First, the coding method will be described.

영상신호블록은 감산기(1)에 입력되고, 모양정보는 부가정보부호기(9)에 입력되어 부호화 된다.The image signal block is input to the subtractor 1, and the shape information is input to the additional information encoder 9 and encoded.

이때, 감산기(1)는 입력 영상신호블록과 제 1 메모리(7)에서 출력되는 복원된 영상신호블록을 감산하여 예측오차신호블록을 구하고, 직교변환수단(1000)에 그 신호를 출력한다. At this time, the subtractor 1 subtracts the input image signal block and the reconstructed image signal block output from the first memory 7 to obtain a prediction error signal block, and outputs the signal to the orthogonal transformation means 1000.

이때 감산기(1)는 제 1메모리(7)로 부터 예측된 신호와 현재 입력신호와의 예측 오차 뿐아니라 제 1메모리(7)의 신호로 부터의 예측 없이 현재 입력신호를 그대로 출력할 수 있는데 이경우 이를 위해서 제 1메모리(7)에 저장되있는 값을 0으로 초기화하여 감산기(1)로 부터의 신호와 입력영상 신호와 동일하게 만들 수 있다.In this case, the subtractor 1 may output the current input signal as it is without prediction from the signal of the first memory 7 as well as the prediction error between the signal predicted from the first memory 7 and the current input signal. To this end, the value stored in the first memory 7 may be initialized to 0 to make the same as the signal from the subtractor 1 and the input image signal.

직교변환수단(1000)은 상기 감산기(1)에서 예측오차신호블록을 입력받는 한편, 상기 부가정보 부호기(9)에서 모양정보를 선택적으로 입력받아 변환모드 제어수단(100)에 의해 변환모드가 제어되어 직교변환을 수행하므로써 변환계수를 출력한다.The orthogonal transformation means 1000 receives a prediction error signal block from the subtractor 1, and selectively receives shape information from the side information encoder 9, and the conversion mode is controlled by the conversion mode control means 100. Outputs the conversion coefficient by performing orthogonal transformation.

이후, 제 1 양자화기(3)는 상기 직교변환수단(1000)에서 출력되는 변환계수를 양자화된 변환계수블록으로 변환하고, 가변길이 부호기(8)는 상기 제 1 양자화기(3)에서 양자화된 변환계수블록을 입력받아 가변길이 부호화된 변환계수 신호로 변환하고, 다중화기(11)는 그 가변길이 부호화된 변환계수 신호를 입력받는 동시에 상기 부가정보부호기(9)에서 가변길이 부호화된 모양정보 신호를 선택적으로 입력받아 그 두신호를 멀티플레싱하여 전송매체(12)를 통해 전송시킨다. Thereafter, the first quantizer 3 converts the transform coefficient output from the orthogonal transform means 1000 into a quantized transform coefficient block, and the variable length coder 8 is quantized by the first quantizer 3. A transform coefficient block is received and converted into a variable length coded transform coefficient signal, and the multiplexer 11 receives the variable length encoded transform coefficient signal and at the same time the shape information signal variable length coded by the additional information encoder 9. Selectively receives and transmits the two signals through the transmission medium 12. FIG.

한편, 상기 제 1 양자화기(3)에서 출력된 양자화된 변환계수블록은 제 1 역양자화기(4)에 입력되어 역양자화된 변환계수블록으로 변환되고, 제 1 역직교변환수단(140)은 상기 제 1 역양자화기(4)에서 역양자화된 변환계수블록을 입력받는 한편, 상기 부가정보 부호기(9)에서 부호화된 모양정보를 선택적으로 입력받아 상기 변환모드제어수단(100)에 의해 역변환모드가 제어되어 역직교변환을 수행하므로써 역변환계수를 출력한다.Meanwhile, the quantized transform coefficient block output from the first quantizer 3 is converted into an inverse quantized transform coefficient block which is input to the first inverse quantizer 4 and the first inverse orthogonal transform means 140 The first inverse quantizer 4 receives an inverse quantized transform coefficient block, and selectively receives shape information encoded by the side information encoder 9 by an inverse transform mode by the conversion mode control means 100. Is controlled to output inverse transformation coefficient by performing inverse orthogonal transformation.

이어서, 제 1 가산기(6a)는 상기 제 1 역직교변환수단(140)에서 역변환계수를 입력받는 동시에 제 1 메모리(7)에서 복원된 영상신호블록을 입력받아 그 두신호를 가산하여 영상신호블록으로 복원하여 제 1 메모리(7)에 저장되고, 제 1 메모리(7)에서는 감산기(1)로 복원된 영상신호블록을 출력한다.Subsequently, the first adder 6a receives an inverse transform coefficient from the first inverse orthogonal transformation means 140 and receives an image signal block reconstructed from the first memory 7 and adds the two signals to add an image signal block. The image signal block is restored and stored in the first memory 7, and is restored to the subtractor 1.

그리고, 상기 변환모드제어수단(100)의 모드제어기(120)에서 변환방향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방법에 대해 두 가지로 실시가능 하다.In addition, the method for generating the conversion direction control signal in the mode controller 120 of the conversion mode control means 100 can be implemented in two ways.

첫 번째 방법은, 도면 7에 도시한 바와같이 블록단위 부호화 방법을 사용한 경우 변환방향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방법이다.The first method is a method of outputting a conversion direction control signal when the block unit coding method is used as shown in FIG.

여기서 블록단위 부호화 방법이란 입력 신호를 일정한 크기를 갖는 블록으로 구분한 후, 구분된 블록의 단위로 각각 변환 부호화 하는 방법을 말한다.Here, the block unit encoding method refers to a method of dividing an input signal into blocks having a predetermined size and then performing transform encoding on the basis of the divided blocks.

X는 감산기(1)에서 입력된 현재 부호화 하려는 블록으로서 여기서는 변환방향 제어신호를 발생하는데 관여하지 않으며, A, B 및 C는 제 1 양자화기(3)에서 출력되어 메모리(110)에 저장된 후 모드제어기(120)에 입력된 양자화된 변환계수로서, 상기 A는 상기 블록 X에서 왼쪽에 위치한 블록이며, B는 블록 X에서 왼쪽 위에 위치한 블록이며, C는 블록 X의 위쪽에 위치한 블록이다.X is a block to be encoded currently input from the subtractor 1, and is not involved in generating a conversion direction control signal. A, B, and C are output from the first quantizer 3 and stored in the memory 110. A quantized transform coefficient input to the controller 120, wherein A is a block located on the left side of the block X, B is a block located on the upper left side in the block X, and C is a block located above the block X.

Mode 결정을 위해서 각 블록의 변환 계수들 중 DC 값들의 변화율을 사용하고 Mode를 구하기 위해서 가로와 세로 방향의 변화율을 구하면 (수학식 1)과 같다.Using the rate of change of DC values among the transform coefficients of each block to determine the mode, and the rate of change 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to obtain the mode is expressed by Equation (1).

[수학식 1][Equation 1]

여기서, Grad_Vert는 세로 방향의 변화율을 나타내고, Grad_Hori는 가로 방향의 변화율을 나타낸다. Here, Grad_Vert represents the rate of change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Grad_Hori represents the rate of chang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여기서 ABS(a)는 a의 절대값을 나타내며, 최종적으로는 직교변환수단(1000)에 입력되는 변환방향 제어신호 변화율이 작은 방향에 대한 값을 출력한다.Here, ABS (a) represents the absolute value of a, and finally outputs a value for a direction in which the conversion direction control signal change rate input to the orthogonal transformation means 1000 is small.

즉, Grad_Vert 가 Grad_Hori 보다 작거나 같다면 세로 방향으로 먼저 직교변환 한 후 가로 방향으로 직교변환하도록 변환방향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반면에, Grad_Vert가 Grad_Hori 보다 크다면 가로 방향으로 먼저 직교변환한 후 세로 방향으로 직교변환 하도록 변환방향제어신호를 출력한다. That is, if Grad_Vert is less than or equal to Grad_Hori, orthogonal transformation is performed first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n the conversion direction control signal is output so as to be orthogonal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utputs a conversion direction control signal to orthogonally convert in the direction.

이 방법의 의미는 다음과 같다. 각 블록의 DC 값들은 각 블록들의 평균에 해당하는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현재 부호화 하려는 블록들의 평균값 사이의 변화율은 현재 블록의 성질 즉, 블록 내의 신호들이 가로 방향으로 높은 상관도를 갖고 있는 지 세로 방향으로 높은 상관도를 갖고 있는 지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주변 블록에 대한 정보를 사용하는 것 만으로도 변환 방향에 대한 MODE 결정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The meaning of this method is as follows. The DC values of each block mean the average of each block, and the rate of change between the average values of the blocks to be encoded is the property of the current block, that is, whether the signals in the block have a high correlation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t shows information about whether it has a high correlation. Therefore,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determine the mode for the conversion direction only by using information on the neighboring blocks.

또한 이 방법은 이미 부호화된 블록들에 대한 정보만을 이용하기 때문에 아주 간단한 연산만으로 현재 부호화 하려는 블록에 대한 변환방향제어 신호를 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is method uses only information on blocks that have already been encoded, there is an advantage that a transform direction control signal for a block to be currently encoded can be obtained by a simple operation.

또한, 이미 부호화 된 블록 만을 사용하기 때문에 복호기에 제어 신호를 부가적으로 전송할 필요 없이 복호기는 부호기에서 결정된 제어 신호를 동일하게 결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only the blocks that are already coded are used, the decoder has the advantage of determining the same control signal determined by the encoder without additionally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to the decoder.

또다른 방법은 현재 부호화 하려는 블록 주변에 이미 양자화된 변환계수들에 대한 정보만을 사용하는 도면 7의 방법대신에, 도면 8과 같이 더 정확히 제어 MODE를 결정 할 수 있도록 이미 양자화된 변환계수블록 외에 현재 부호화 하려는 블록에 대한 정보를 함께 이용한다는 차이점이 있다.Another method is to use the information of transform coefficients already quantized around the block to be encoded, instead of the method of FIG. 7, in addition to the transform coefficient block already quantized so that the control mode can be determined more accurately as shown in FIG. The difference is that the information about the block to be encoded is used together.

이때는, 제어 신호를 부가적으로 복호기에 전송하지 않도록 현재 부호화 하려는 블록의양자화된 DC 신호의 값을 사용한다.In this case, the value of the quantized DC signal of the block to be currently encoded is used so that the control signal is not additionally transmitted to the decoder.

도면 8에서 X는 감산기(1)에서 입력된 현재 부호화 하려는 블록이고, A, B 및 C는 제 1 양자화기(3)에서 출력되어 메모리(110)에 저장된 후 모드제어기(120)에 입력된 양자화된 변환계수 블록으로서, A는 블록 X에서 왼쪽에 위치한 블록이고, B는 블록 X에서 왼쪽 위에 위치한 블록이며, 그리고 C는 블록 X의 위쪽에 위치한 블록이다.In FIG. 8, X is a block to be encoded currently input from the subtractor 1, and A, B, and C are output from the first quantizer 3, stored in the memory 110, and then input into the mode controller 120. Is a block located on the left in block X, B is a block located in the upper left corner in block X, and C is a block located above block X.

Mode 결정을 위해서 각 블록의 변환 계수들 중 (수학식 2)와 같은 DC 값들의 변화율을 사용한다.For the mode decision, the rate of change of the DC values, such as Equation 2, among the transform coefficients of each block is used.

[수학식 2][Equation 2]

여기서 ABS(a)는 a의 절대값을 나타내며, Mode를 구하기 위해서 (수학식 3)과 같이 가로와 세로 방향의 변화율을 구한다.Here, ABS (a) represents the absolute value of a, and in order to obtain the mode, the rate of change 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is calculated as in Equation (3).

[수학식 3][Equation 3]

여기서 Grad_Vert는 세로 방향의 변화율을 나타내고, Grad_Hori는 가로 방향의 변화율을 나타낸다.Here Grad_Vert represents the rate of change in the vertical direction, Grad_Hori represents the rate of chang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최종적으로 직교변환기를 위한 변환방향 제어신호는 변화율이 작은 방향에 대한 값을 출력한다.Finally, the conversion direction control signal for the quadrature converter outputs a value for the direction in which the rate of change is small.

즉, Grad_Vert 가 Grad_Hori 보다 작거나 같다면 세로 방향으로 먼저 직교변환 한 후 가로 방향으로 직교변환하도록 변환방향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반면에, Grad_Vert가 Grad_Hori 보다 크다면 가로 방향으로 먼저 직교변환한 후 세로 방향으로 직교변환 하도록 변환방향 제어신호를 출력한다.That is, if Grad_Vert is less than or equal to Grad_Hori, orthogonal transformation is performed first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n the conversion direction control signal is output so as to be orthogonal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utputs a conversion direction control signal to orthogonally transform in the direction.

이 방법은 현재 블록에 대한 정보를 주변 블록에 대한 정보와 함께 사용하므로 도면 7보다 더 정확한 변환방향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는 장점이 있으나, 현재 블록의 DC를 구하고 변화율을 구하기 위해서는 도면 7보다 많은 연산이 필요한 단점이 있다. 변화율을 구하기 위해서는 가산연산 외에도 최대값, 감산연산 등 신호의 특성을 결정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This method uses the information of the current block together with the information of the neighboring blocks, which has the advantage of outputting a more accurate conversion direction control signal than in Fig. 7, but in order to obtain the DC of the current block and the rate of change, more operations are needed than in Fig. 7. There is a necessary disadvantage. In addition to the addition operation, various methods for determin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signal, such as a maximum value and a subtraction operation, may be used to obtain the change rate.

또한, 직교변환수단(1000)은 상술한 바와같이 두가지 실시예로서 실현가능하므로, 직교변환수단(1000)에서 이루어지는 변환방법을 실시예 마다 개별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In addition, since the orthogonal transformation means 1000 can be realized as two embodiments as described above, the conversion method performed by the orthogonal transformation means 1000 will be described individually for each embodiment.

첫 번째 실시예인 직교변환수단(도 5a)에서 이루어지는 직교변환방법은,Orthogonal transformation method made in the orthogonal transformation means (Fig. 5a) which is the first embodiment,

먼저, 상기 변환모드제어수단(100)이 변환모드를 결정하는 변환방향 제어신호를 제 1, 2 스위치(1110,1130)에 입력시키고, 이때, 만약, 변환방향 제어신호가 세로직교변환 후 가로직교변환 정보를 가지고 있으면, 제 1, 2 스위치(1110,1130)는 입, 출력단을 직교변환기 1(1120)로 스위칭 하고, 이에따라 직교변환기 1(1120)은 감산기(1)에서 예측오차신호블록을 입력받는 동시에 부가정보 부호기(9)에서 모양정보를 선택적으로 입력받아 입력된 예측오차신호블록을 세로 방향으로 직교변환 후 가로 방향으로 직교 변환한 변환계수신호를 출력한다. 이때 상기 예측오차신호블록은 상기 제 1메모리(7) 에 저장되있는 값을 0으로 초기화하여 입력영상신호블록과 동일하게 만들 수 있다.First, the conversion mode control means 100 inputs a conversion direction control signal for determining the conversion mode to the first and second switches 1110 and 1130. In this case, if the conversion direction control signal is vertical orthogonal, If the conversion information is included, the first and second switches 1110 and 1130 switch the input and output terminals to the quadrature converter 1 1120. Accordingly, the quadrature converter 1 1120 inputs the predictive error signal block from the subtractor 1. At the same time, the additional information encoder 9 selectively receives shape information, and outputs a transform coefficient signal obtained by orthogonal transformation of the inputted prediction error signal block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n orthogonally transform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this case, the prediction error signal block may be initialized to 0 to be equal to the input image signal block.

한편, 입력되는 변환방향 제어신호가 가로직교변환 후 세로직교변환 정보를 가지고 있으면, 상기 제 1, 2 스위치(1110,1130)는 입, 출력단을 직교변환기 2(1140)로 스위칭 하고, 이에 따라, 직교변환기 2(1140)는 감산기(1)에서 예측오차신호블록을 입력받는 동시에 부가정보 부호기(9)에서 모양정보를 선택적으로 입력받아 입력된 예측오차신호블록을 가로 방향으로 직교변환 후 세로 방향으로 직교 변환한 변환계수를 출력한다.On the other hand, if the input conversion direction control signal has the vertical orthogonal transformation information after the transverse orthogonal transformation, the first and second switches 1110 and 1130 switch the input and output terminals to the orthogonal transformer 2 (1140), accordingly, Orthogonal transformer 2 (1140) receives the prediction error signal block from subtractor 1 and selectively receives shape information from side information encoder (9). Outputs the orthogonal transform coefficient.

두 번째 실시예인 직교변환수단(도 6a)에서 이루어지는 직교변환방법은, Orthogonal transformation method made in the orthogonal transformation means (Fig. 6a) of the second embodiment,

먼저, 상기 변환모드제어수단(100)에서 변환모드를 결정하는 변환방향 제어신호가 입력되어 만약 그 모드정보가 가로직교변환 후 세로직교변환모드이면, 전처리기(1210)가 동작되어 감산기(1)에서 입력되는 신호를 반시계방향으로 90도 회전하고, 직교변환기(1220)는 그 회전된 신호를 입력받는 동시에 부가정보부호기(9)에서 모양정보를 선택적으로 입력받아 세로직교변환 후 가로직교변환하여 후처리기(1230)로 입력한다.First, a conversion direction control signal for determining a conversion mode is input by the conversion mode control means 100, and if the mode information is a vertical orthogonal conversion mode after horizontal orthogonal conversion, the preprocessor 1210 is operated to subtract the subtractor (1). Rotates the signal input at 90 degrees counterclockwise, and the orthogonal converter 1220 receives the rotated signal and at the same time selectively receives the shape information from the additional information encoder (9) vertical orthogonal transformation and then transverse orthogonal transformation Input to postprocessor 1230.

이때, 후처리기(1230)가 동작되어 상기 직교변환된 신호는 단위블록의 좌측상단과 우측하단을 잇는 축을 중심으로 180도 회전시켜 변환계수를 출력한다.At this time, the post-processor 1230 is operated to rotate the orthogonal signal 180 degrees around the axis connecting the upper left and lower right of the unit block to output a conversion coefficient.

반면에, 모드가 세로직교변환 후 가로직교변환이면, 전처리기(1210) 및 후처리기(1230)를 동작시키지 않고 신호를 그대로 출력하여, 상기 직교변환기(1220)만을 동작시켜 감산기(1)에서 입력되는 예측오차신호블록을 세로직교변환 후 가로직교변환한 변환계수를 출력한다. 이때 감산기 (1)은 제 1메모리로 부터 예측된 신호와 현재 입력신호와의 예측 오차 뿐아니라 제 1메모리 (7)의 신호로 부터의 예측 없이 현재 입력신호를 그대로 출력할 수 있는데 이경우 이를 위해서 제 1메모리에 저장되있는 값을 0으로 초기화하여 감산기로 부터의 신호와 입력영상 신호와 동일하게 만들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f the mode is a transverse orthogonal transformation after the vertical orthogonal transformation, the signal is output as it is without operating the preprocessor 1210 and the post processor 1230, and only the orthogonal transformer 1220 is operated to be input from the subtractor 1. A transform coefficient obtained by transverse orthogonal transformation after vertical orthogonal transformation of the predicted error signal block is output. In this case, the subtractor 1 may output the current input signal as it is without prediction from the signal of the first memory 7 as well as the prediction error between the signal predicted from the first memory and the current input signal. 1 The value stored in the memory can be initialized to 0 to make it the same as the signal from the subtractor and the input video signal.

한편, 제 1 역직교변환수단(140)은 상술한 바와같이 두가지 실시예로서 실현가능하므로, 역직교변환방법을 실시예 마다 개별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first inverse orthogonal transformation means 140 can be realized as two embodiments as described above, the inverse orthogonal transformation method will be described individually for each embodiment.

첫 번째 실시예인 제 1 역직교변환수단(140)에서 이루어지는 역직교변환방법은,The inverse orthogonal transformation method made by the first inverse orthogonal transformation means 140, which is the first embodiment,

먼저, 상기 변환모드제어수단(100)이 변환방향 제어신호를 제 3, 4 스위치(2110,2130)에 입력시키고, 이때, 만약, 변환방향 제어신호가 가로직교변환 후 세로직교변환 정보를 가지고 있으면, 제 3, 4 스위치(2110,2130)는 입, 출력단을 역직교변환기 1(2120)로 스위칭 하고, 이에따라 역직교변환기 1(2120)은 제 1 역양자화기(4)에서 역양자화된 변환계수블록을 입력받는 동시에 부가정보 부호기(9)에서 모양정보를 선택적으로 입력받아 입력된 역양자화된 변환계수블록을 세로 방향으로 역직교변환 후 가로 방향으로 역직교변환하여 이에 상응하는 역변환 계수를 출력한다.First, the conversion mode control means 100 inputs a conversion direction control signal to the third and fourth switches 2110 and 2130. If the conversion direction control signal has vertical orthogonal transformation information after horizontal orthogonal transformation, The third and fourth switches 2110 and 2130 switch the input and output terminals to the inverse orthogonal transformer 1 (2120). Accordingly, the inverse orthogonal transformer 1 (2120) is inversely quantized by the first inverse quantizer (4). At the same time as receiving the block, the side information encoder 9 selectively receives the shape information, and inversely orthogonally transforms the input inverse quantized transform coefficient block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inversely orthogonally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o output the corresponding inverse transform coefficient. .

한편, 입력되는 변환방향 제어신호가 세로 직교변환 후 가로 직교변환 정보를 가지고 있으면, 상기 제 3, 4 스위치(2110,2130)는 입, 출력단을 역직교변환기 2(2140)로 스위칭 하고, 이에 따라, 역직교변환기 2(2140)는 제 1 역양자화기(4)에서 역양자화된 변환계수블록을 입력받는 동시에 부가정보 부호기(9)에서 모양정보를 선택적으로 입력받아 입력된 역양자화된 변환계수블록을 가로 방향으로 역직교변환 후 세로 방향으로 역직교변환하여 이에 상응하는 역변환계수를 출력한다.On the other hand, if the input conversion direction control signal has transverse orthogonal transformation information after vertical orthogonal transformation, the third and fourth switches 2110 and 2130 switch the input and output terminals to the inverse orthogonal transformer 2 (2140). Inverse orthogonal transformer 2 (2140) receives the inverse quantized transform coefficient block from the first inverse quantizer (4) and simultaneously receives the shape information from the side information encoder (9). After the inverse orthogonal transformation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inverse orthogonal transforma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outputs the corresponding inverse transform coefficient.

두 번째 실시예인 역직교변환수단(도 6b)에서 이루어지는 역직교변환방법은, The inverse orthogonal transformation method made by the inverse orthogonal transformation means (FIG. 6B) of the second embodiment,

먼저, 상기 변환모드제어수단(100)에서 변환모드를 결정하는 변환방향 제어신호가 입력되어 만약 그 모드정보가 가로직교변환 후 세로직교변환모드이면, 전처리기1(2210)가 동작되어 제 1 역양자화기(4)에서 입력되는 역양자화된 변환계수블록을 단위블록의 좌측상단과 우측하단을 잇는 축을 중심으로 180도 회전시키고, 역직교변환기 3(2220)은 그 회전된 신호를 입력받는 동시에 부가정보부호기(9)에서 모양정보를 선택적으로 입력받아 가로 역직교변환 후 세로 역직교변환하여 후처리기 1(2230)로 입력한다.First, a conversion direction control signal for determining a conversion mode is input by the conversion mode control means 100, and if the mode information is the vertical orthogonal conversion mode after the transverse orthogonal conversion, the preprocessor 1 2210 is operated to operate the first reverse direction. The inverse quantized transform coefficient block input from the quantizer 4 is rotated 180 degrees about the axis connecting the upper left and lower right of the unit block, and the inverse orthogonal transformer 3 2220 receives the rotated signal and adds the same. The information encoder 9 selectively receives shape information, and then transverse inverse orthogonal transformation and vertical inverse orthogonal transformation to input the post-processor 1 (2230).

이때, 후처리기 1(2230)는 동작되어 상기 역직교변환된 신호블록을 시계방향으로 90도 회전한 역변환계수를 출력한다.In this case, the post processor 1 2230 is operated to output an inverse transform coefficient obtained by rotating the inverse orthogonal transformed signal block by 90 degrees clockwise.

반면에, 모드가 세로직교변환 후 가로직교변환이면, 전처리기 1 (2210) 및 후처리기(2230)를 동작시키지 않고, 상기 역직교변환기(2220)만을 동작시켜 제 1 역양자화기(4)에서 입력되는 역양자화된 변환계수블록을 가로역직교변환한 후 세로역직교변환시켜 형성된 역변환계수를 출력한다.On the other hand, if the mode is a transverse orthogonal transformation after the vertical orthogonal transformation, the first inverse quantizer 4 is operated by operating only the inverse orthogonal transformer 2220 without operating the preprocessor 1 2210 and the post processor 2230. An inverse transform coefficient formed by transverse inverse orthogonal transformation of the input inverse quantized transform coefficient block and then inverse inverse orthogonal transformation is output.

한편, 복호화방법에 대해 설명하면, Meanwhile, the decoding method will be described.

먼저, 디먹스부(13)는 전송매체(12)를 통해 부호화된 영상신호를 입력받아 디멀티플레싱하여 가변길이 부호화된 모양정보 및 가변길이 부호화된 변환계수신호를 출력하고, 복호기(15)는 상기 가변길이 부호화된 영상신호를 입력받아 양자화된 변환계수 신호로 변환하는 한편, 부가정보 복호기(14)는 상기 가변길이 부호화된 모양정보를 선택적으로 입력받아 원래의 모양정보로 복원시킨다.First, the demux 13 receives the decoded video signal through the transmission medium 12 to demultiplex and output variable length coded shape information and a variable length coded transform coefficient signal, and the decoder 15 The variable length coded image signal is received and converted into a quantized transform coefficient signal, while the additional information decoder 14 selectively receives the variable length coded shape information and restores the original shape information.

이때, 제 2 역양자화기(200)에서는 상기 복호기(15)에서 양자화된 변환계수 신호를 입력받아 역양자화된 변환계수블록으로 변환하고, 제 2 역직교변환수단(2000)은 상기 제 2 역양자화기(200)에서 역양자화된 변환계수블록을 입력받는 한편, 상기 부가정보 복호기(14)에서 복원된 모양정보를 선택적으로 입력받아 역변환모드제어수단(210)에서 역변환방향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역변환 모드가 제어되어 역직교변환을 수행하므로써 역직교변환된 신호블록을 출력한다.In this case, the second inverse quantizer 200 receives the transform coefficient signal quantized by the decoder 15 and converts the inverse quantized transform coefficient block, and the second inverse orthogonal transformation means 2000 performs the second inverse quantization. While receiving the inverse quantized transform coefficient block from the device 200, the shape information restored by the additional information decoder 14 is selectively received, and the inverse transform direction control signal is received from the inverse transform mode control means 210. Is controlled to output the inverse orthogonal transformed signal block.

이어서, 제 2 가산기(6b)는 상기 제 2 역직교변환수단(2000)에서 역직교변환된 신호블록과 제 2 메모리(18)에서 이전에 복원된 영상신호블록을 입력받아 그 두신호를 가산하여서 복원된 영상신호블록을 출력한다. Subsequently, the second adder 6b receives the signal block inversely orthogonally transformed by the second inverse orthogonal transformation means 2000 and the image signal block previously restored in the second memory 18, and adds the two signals. Output the reconstructed video signal block.

한편, 제 2 메모리(18)는 상기 제 2 가산기(6b)에서 출력되는 복원된 영상신호블록을 입력받아 저장하여 상기 제 2 가산기(6b)로 복원된 영상신호블록을 출력한다.Meanwhile, the second memory 18 receives and stores the reconstructed video signal block output from the second adder 6b and outputs the reconstructed video signal block to the second adder 6b.

상기 역변환모드제어수단(210)에서 역변환방향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방법은 상술한 변환모드제어수단(100)과 동일하며, 단지 상기 변환모드제어수단(100)에서 DC 값을 이용해 변환방향 제어신호를 발생하면 동일하게 역변환모드제어수단(210)에서도 DC 값을 이용해 역변환방향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한편, 상기 변환모드제어수단(100)에서 복원된 영상신호블록과 모양정보를 이용하면 역변환모드제어수단(210)에서도 복원된 영상신호블록과 모양정보를 이용해야 한다.The method of generating the inverse conversion direction control signal by the inverse conversion mode control means 210 is the same as the conversion mode control means 100 described above, and the conversion mode control means 100 uses only the DC value to convert the conversion direction control signal. In the same manner, the inverse transform mode control means 210 generates the inverse transform direction control signal using the DC value, while using the image signal block and the shape information restored by the transform mode control means 100. In 210, the restored video signal block and shape information should be used.

한편, 제 2 역직교변환수단(2000)에서 역직교변환하는 방법은 상술한 제 1 역직교변환수단(140)에서의 방법과 동일하다.Meanwhile, the method of inverse orthogonal transformation in the second inverse orthogonal transformation means 2000 is the same as the method of the first inverse orthogonal transformation means 140 described above.

한편, 도 9는 별모양의 모양정보를 갖는 입력영상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빗금친 부분이 입력영상의 물체부분이 되고, 나머지 부분이 입력영상의 배경부분이다.Meanwhile, FIG.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nput image having star shape information, in which a hatched portion becomes an object portion of the input image and the remaining portion is a background portion of the input image.

그리고, 도 10은 도 9의 모양정보를 갖는 입력영상의 부호화를 위한 블록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빗금친 블록만을 부호화 하고, 나머지 블록들은 부호화 대상에서 제외한다.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 block for encoding an input image having the shape information of FIG. 9. Only the hatched block is encoded, and the remaining blocks are excluded from the encoding target.

부호화 하려는 블록에 대한 변환방법을 선택하고 이에 대한 정보를 복호기에 전송하지 않기 위해서는 이미 부호화 된 블록에 대한 정보만을 사용하여 변환 방법을 선택해야 한다.In order to select a transform method for a block to be encoded and not transmit the information to the decoder, the transform method should be selected using only information on a block that is already encoded.

즉 현재 부호화 하려는 블록의 위쪽에 위치하는 블록들과 같은 행에서 왼쪽에 위치하는 블록만을 사용하여 변환 방법을 선택해야 한다.That is, the conversion method should be selected using only the blocks located on the left in the same row as the blocks located above the block to be encoded.

그러므로, 도 11에서 빗금친 블록과 같이 이미 부호화된 블록이 존재하지 않거나 변환방법을 선택하는 데 충분하지 않게 존재하는 경우 부호화 하려는 블록에 대한 변환 방법을 선택하지 못하게 된다. 이때 부호화 순서는 왼쪽 상단의 블록에서 시작하여 오른쪽 방향으로 실행하여 오른쪽 하단의 블록까지 수행한다고 가정한다.Therefore, if there is no already encoded block, such as a hatched block in FIG. 11 or insufficiently enough to select a transform method, the transform method for the block to be encoded cannot be selected. In this case, it is assumed that the encoding order starts from the upper left block and runs in the right direction to the lower right block.

따라서, 부호화 하려는 신호를 직접 사용하여 변환방법을 선택하는 경우에는 현재 부호화 하려는 신호를 직접 사용하여 분석하기 때문에 주변 신호만을 사용하여 변환 방법을 결정하는 방법보다 변환 방법을 선택하는 데 있어서 보다 높은 정확성을 보장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모드제어신호를 전송으로 인한 부가 비트의 발생에도 불구하고 현재 부호화 하려는 신호를 직접 사용함으로써 높은 부호화효율을 높일수 있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또한 주변 신호를 사용하여 변환 방법을 결정할 경우 후술되는 비트열에 대한 편집성 (bitstream editability)에 대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refore, when the conversion method is directly selected using the signal to be encoded, the current signal to be encoded is directly analyzed and thus the accuracy of selecting the conversion method is higher than the method of determining the conversion method using only the surrounding signals. I can guarantee it. Therefore, in spite of generation of additional bits due to transmission of the mode control signal, there is an excellent effect of increasing high coding efficiency by directly using a signal to be currently encoded. In addition, when determining the conversion method using the peripheral signal,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solve the problem of the bitstream editability (bitstream editability) described later.

도 12는 상기와 같은 점에 착안한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의한 적응적 변환방법을 이용하는 영상압축 부호화 및 복호화 장치에 관한 제어블록도로서, 종래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붙이고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12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an image compression encoding and decoding apparatus using an adaptive transform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cusing on the above points. Description is omitted.

제 2실시예에서는 제 1실시예에서 사용되던 변환방향제어신호를 발생하는 변환모드제어수단(100), 예측오차신호블록이 상기 변환모드제어수단(100)에 입력되는 것을 단속하는 스위치(10b), 역변환방향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역변환모드제어수단(210) 및 복호기(15)에서 가변길이 복호된 신호가 상기 역변환모드제어수단(210)에 입력되는 것을 단속하는 스위치(17) 대신에 다음과 같은 구성요소가 부가된다.In the second embodiment, the conversion mode control means 100 for generating the conversion direction control signal used in the first embodiment, and the switch 10b intermittently inputting the prediction error signal block to the conversion mode control means 100. Instead of the switch 17 which controls the inverse transform mode control means 210 for outputting the inverse transform direction control signal and the variable length decoded signal from the decoder 15 to the inverse transform mode control means 210 as follows: The component is added.

상기 제 2실시예에 부가되는 구성요소는 모양정보내의 예측오차신호만을 이용하기 위해 부가정보 부호기 (9)를 통해 입력되는 모양정보를 선택적으로 입력 받고, 감산기(1)를 통해 입력되는 예측오차신호블록을 입력받아 이를 이용해 직교변환방향순서를 결정하는 변환방향제어신호를 발생하는 모드제어수단(3000)과, 상기 모드제어수단(3000)에서 변환방향제어신호를 입력받아 부호화시키는 제어신호부호기(4000)와, 상기 제어신호부호기(4000)에서 출력되는 부호화된 변환방향제어신호를 다중화기(11), 전송매체(12) 및 디먹스부(13)를 통해 입력받아 가변길이 복호화시켜 상기 모드제어수단(3000)에서 발생한 변환방향제어신호를 상기 제 2역직교변환수단(200)에 입력시키는 제어신호복호기(5000)이다. The component added to the second embodiment selectively receives shape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additional information encoder 9 and uses the predictive error signal input through the subtractor 1 to use only the prediction error signal in the shape information. A mode control means 3000 for generating a conversion direction control signal for receiving a block and determining an orthogonal conversion direction order using the block; and a control signal encoder 4000 for receiving and encoding a conversion direction control signal from the mode control means 3000. And variable length decoding of the encoded transform direction control signal output from the control signal encoder 4000 through the multiplexer 11, the transmission medium 12, and the demux unit 13. A control signal decoder 5000 for inputting the conversion direction control signal generated at 3000 to the second inverse orthogonal conversion means 200.

이때 감산기 (1)은 제 1메모리 (7)로 부터 예측된 신호와 현재 입력신호와의 예측 오차 뿐아니라 제 1메모리(7)의 신호로 부터의 예측 없이 현재 입력신호를 그대로 출력할 수 있는데 이경우 이를 위해서 제 1메모리(7)에 저장되있는 값을 0으로 초기화하여 감산기(1)로 부터의 신호와 입력영상 신호와 동일하게 만들 수 있다.In this case, the subtractor 1 may output the current input signal as it is without prediction from the signal of the first memory 7 as well as the prediction error between the signal predicted from the first memory 7 and the current input signal. To this end, the value stored in the first memory 7 may be initialized to 0 to make the same as the signal from the subtractor 1 and the input image signal.

그리고, 상기 모드제어수단(3000)은 3가지 실시예로 구성가능하며 이를 도 13, 14 및 15를 참조하여 각각 설명하기로 한다.In addition, the mode control means 3000 may be configured in three embodiments, which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3, 14, and 15, respectively.

도 13은 모드제어수단의 실시예 1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실시예 1에 의한 모드제어수단은 상기 감산기(1)에서 입력되는 현재 부호화 하려는 예측오차신호블록을 입력받아 저장하는 2차원메모리(3100)와, 상기 2차원메모리(3100)에 저장된 예측오차신호블록의 한 행에 존재하는 화소값들 간의 차를 행별로 반복하여 구하는 다수의 수평감산기(3110)와, 상기 수평감산기(3110)에서의 구해진 감산값들의 합을 구하는 다수의 수평가산기(3120)와, 상기 수평가산기(3120)에서 출력되는 현재 구해진 한행에 대한 감산값의 합과 이전에 구해진 행들의 감산값의 합을 가산하는 최종수평가산기(3150)와, 상기 최종수평가산기(3150)에서 출력되는 행에 대한 가산값을 임시로 저장하는 제 1임시메모리(3160)와, 마지막 행에 대한 상기 최종 수평가산기 (3150)의 출력을 상기 제 1비교기(3190)의 입력으로 하기위해 스위칭 동작되는 스위치 (3115-a)를 구비하고 있다.FIG. 13 is a diagram illustrating Embodiment 1 of a mode control means. The mode control means according to Embodiment 1 receives a two-dimensional memory 3100 that receives and stores a prediction error signal block to be currently encoded, which is input from the subtractor 1. ), And a plurality of horizontal subtractors 3110 for repetitively obtaining the differences between pixel values existing in one row of the prediction error signal block stored in the two-dimensional memory 3100 and the horizontal subtractor 3110. A plurality of horizontal adders 3120 for calculating the sum of the obtained subtraction values, and a final evaluator for adding the sum of the subtraction values for the currently obtained one row output from the horizontal adder 3120 and the subtraction values of the previously obtained rows. (3150), a first temporary memory (3160) for temporarily storing the addition value for the row output from the final evaluator 3150, and the output of the last horizontal adder (3150) for the last row; 1 rain And a switch (3115-a) which is switched to operation as an input to the group (3190).

그리고, 실시예 1에 의한 모드제어수단은 상기 2차원메모리(3100)에 저장된 예측오차신호블록의 한 열에 존재하는 화소값들 간의 차를 열별로 반복하여 구하는 다수의 수직감산기(3130)와, 상기 수직감산기(3130)에서의 구해진 감산값들의 합을 구하는 다수의 수직가산기(3140)와, 상기 수직가산기(3140)에서 출력되는 현재 구해진 한열에 대한 감산값의 합과 이전에 구해진 열들의 감산값의 합을 가산하는 최종수직가산기(3170)과, 상기 최종수직가산기(3170)에서 출력되는 열에 대한 가산값을 임시로 저장하는 제 2임시메모리(3180)와, 마지막 열에 대한 상기 최종 수직가산기 (3140)의 출력을 상기 제 1비교기(3190)의 입력으로 하기위해 스위칭 동작하는 스위치 (3115-b)와, 상기 제 1, 2 임시메모리(3160, 3180)에서 출력되는 행에 대한 가산값과 열에 대한 가산값을 비교하여, 만약 행에 대한 가산값이 열에 대한 가산값보다 작으면 가로직교변환 후 세로직교변환 하도록 하는 동시에 역직교변환은 상기 직교변환과 반대로 수행되도록 하는 한편, 행에 대한 가산값이 열에 대한 가산값보다 크면 상기 과정과 직교변환 및 역직교변환이 반대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변환방향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 1비교기(3190)를 추가로 구비하고 있다. In addition, the mode control mean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includes a plurality of vertical subtractors 3130 for repeatedly calculating the difference between pixel values existing in one column of the prediction error signal block stored in the two-dimensional memory 3100 for each column; The sum of the plurality of vertical adders 3140 that calculate the sum of the obtained subtraction values in the vertical subtractor 3130, and the sum of the subtraction values for the currently obtained one row output from the vertical adder 3140 and the subtracted values of the previously obtained columns. A final vertical adder 3170 for adding the sum, a second temporary memory 3180 for temporarily storing an addition value for the column output from the final vertical adder 3170, and the final vertical adder 3140 for the last column A switch 3115-b for switching to make an output of the first comparator 3190 an input to the first comparator 3190, and an addition value for a row and a column for the rows output from the first and second temporary memories 3160 and 3180. Compare values For example, if the addition value for the row is smaller than the addition value for the column, the vertical orthogonal transformation is performed after the transverse orthogonal transformation, and the inverse orthogonal transformation is performed inversely to the orthogonal transformation, while the addition value for the row is the addition value for the column. If larger, a first comparator 3190 for outputting a conversion direction control signal to reverse the process and orthogonal transformation and inverse orthogonal transformation is further provided.

이때 상기 수평감산기 (3110)와 상기 수직감산기 (3130)는 상기 부가정보 부호기(9)로 부터 입력되는 모양정보를 선택적으로 입력받아 모양정보가 입력되는 경우 부호화 대상인 부분 즉 물체 부분 내에 존재하는 화소값들 만을 사용하여 화소값 간의 차를 구한다.In this case, the horizontal subtractor 3110 and the vertical subtractor 3130 selectively receive shape information input from the additional information encoder 9, and when the shape information is input, the pixel value existing in the part to be encoded, that is, the object part. Use only these to find the difference between pixel values.

도 14는 모드제어수단의 실시예 2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실시예 2에 의한 모드제어수단은 상기 부가정보부호기(9)에서 선택적으로 입력되는 모양정보신호와 상기 감산기(1)에서 입력되는 현재 부호화 하려는 예측오차신호블록을 입력받아 가로직교변환한 후 세로직교변환하여 이에 상응하는 변환계수를 출력하는 직교변환기 5(3200)와, 상기 직교변환기 5(3200)에서 변환계수를 입력받아 그 변환계수를 양자화하고가변길이 부호화 할 때 생성되는 부호량을 검사하는 제 1 비트스트림카운터(3220)와, 상기 부가정보부호기(9)에서 선택적으로 입력되는 모양정보신호와 상기 감산기(1)에서 예측오차신호블록을 입력받아 세로직교변환한 후 가로직교변환하여 이에 상응하는 변환계수를 출력하는 직교변환기 6(3210)와, 상기 직교변환기 6(3210)에서 변환계수를 입력받아 그 변환계수를 양자화하고 가변길이 부호화 할 때 생성되는 부호량을 검사하는 제 2 비트스트림카운터(3230)와, 상기 제 1, 2 비트스트림카운터(3220,3230)에서 계산된 부호량을 비교하여 적은 부호량을 발생시키는 직교변환을 수행하도록 하는 변환방향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 2비교기(3240)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감산기 (1)은 제 1메모리 (7)로 부터 예측된 신호와 현재 입력신호와의 예측 오차 뿐아니라 제 1메모리 (7)의 신호로 부터의 예측 없이 현재 입력신호를 그대로 출력할 수 있는데 이경우 이를 위해서 제 1메모리에 저장되있는 값을 0으로 초기화하여 감산기로 부터의 신호와 입력영상 신호와 동일하게 만들 수 있다.Fig. 14 is a diagram showing Embodiment 2 of mode control means, in which the mode control means according to Embodiment 2 is a shape information signal selectively inputted from the additional information encoder 9 and a current inputted from the subtractor 1; An orthogonal transformer 5 (3200) for receiving a prediction error signal block to be encoded, and then transversally orthogonally transform the vertical orthogonal transform, and outputs a transform coefficient corresponding to the orthogonal transformer. A first bit stream counter 3220 for quantizing the variable length and checking a code length generated by the variable length coding, a shape information signal selectively input from the additional information encoder 9, and a prediction error signal from the subtractor 1; Orthogonal transformer 6 (3210) and the orthogonal transformer 6 (3210) for outputting the transform coefficient corresponding to the transverse orthogonal transformation after the vertical orthogonal transformation to receive the block, the transform coefficient is input from the orthogonal transformer 6 (3210) The second bit stream counter 3230, which checks the code amount generated when the transform coefficient is quantized and variable length encoded, is compared with the code amounts calculated by the first and second bit stream counters 3220 and 3230. And a second comparator 3240 for outputting a conversion direction control signal for performing orthogonal transformation for generating a small amount of code. In this case, the subtractor 1 may output the current input signal as it is without prediction from the signal of the first memory 7 as well as the prediction error between the signal predicted from the first memory 7 and the current input signal. To this end, the value stored in the first memory may be initialized to 0 to make the same as the signal from the subtractor and the input image signal.

도 15는 모드제어수단의 실시예 3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실시예 3에 의한 모드제어수단은 상기 부가정보부호기(9)에서 선택적으로 입력되는 모양정보신호와 상기 감산기(1)에서 입력되는 현재 부호화 하려는 예측오차신호블록을 입력받아 세로직교변환한 후 가로직교변환하여 이에 상응하는 변환계수를 출력하는 직교변환기 7(3300)와, 상기 직교변환기 7(3300)에서 변환계수를 입력받아 양자화 시키는 제 5양자화기(3310)와, 상기 제 5양자화기(3310)에서 양자화된 변환계수블록을 입력받아 역양자화시키는 제 5역양자화기(3320)와, 상기 부가정보부호기(9)에서 선택적으로 입력되는 모양정보신호와 상기 제 5역양자화기(3320)에서 역양자화된 변환계수를 입력받아 가로 역직교변환한 후 세로 역직교변환하여 복원된 영상신호블록을 출력하는 역직교변환기 5(3330)와, 상기 직교변환기7(3300)에 입력되는 부호화 하려는 예측오차신호블록을 입력받는 동시에 상기 역직교변환기 5(3330)에서 복원된 영상신호블록을 입력받아 두 블록의 오차를 발생시키는 제 1 오차측정기(3340)를 구비하고 있다. 이때 상기 예측오차신호블록은 상기 제 1메모리(7) 에 저장되있는 값을 0으로 초기화하여 입력영상신호블록과 동일하게 만들 수 있다.Fig. 15 shows a third embodiment of the mode control means, in which the mode control means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is a shape information signal selectively inputted from the additional information encoder 9 and a current inputted from the subtractor 1; An orthogonal transformer 7 (3300) for receiving the prediction error signal block to be encoded and performing vertical orthogonal transformation and transverse orthogonal transformation, and outputting a corresponding transform coefficient; and a quantizing unit for receiving the transform coefficient from the orthogonal transformer 7 (3300). A fifth quantizer 3310, a fifth inverse quantizer 3320 for receiving and inversely quantizing a transform coefficient block quantized by the fifth quantizer 3310, and optionally input by the side information encoder 9 Inverted orthogonal transformer 5 (3330) for receiving the shape information signal and the inverse quantized transform coefficient from the fifth inverse quantizer 3320 and transversing the inverse orthogonal transformation and then outputting the reconstructed image signal block by performing the vertical inverse orthogonal transformation. And a first error for receiving an error signal of the two blocks by receiving the image signal block reconstructed by the inverse orthogonal transformer 5 (3330) while receiving the prediction error signal block to be encoded which is input to the quadrature transformer 7 (3300). The measuring device 3340 is provided. In this case, the prediction error signal block may be initialized to 0 to be equal to the input image signal block.

그리고, 상기 실시예 3에 의한 모드제어수단은 상기 감산기(1)에서 입력되는 현재 부호화 하려는 예측오차신호블록을 입력받아 가로직교변환한 후 세로직교변환하여 이에 상응하는 변환계수를 출력하는 직교변환기 8(3350)와, 상기 직교변환기 8(3350)에서 변환계수를 입력받아 양자화 시키는 제 6양자화기(3360)와, 상기 제 6양자화기(3360)에서 양자화된 변환계수블록을 입력받아 역양자화시키는 제 6역양자화기(3370)와, 상기 제 6역양자화기(3370)에서 역양자화된 변환계수를 입력받아 세로 역직교변환한 후 가로 역직교변환하여 복원된 영상신호블록을 출력하는 역변환기 6(3380)와, 상기 직교변환기8(3350)에 입력되는 부호화 하려는 예측오차신호블록을 입력받는 동시에 상기 역직교변환기 6(3380)에서 복원된 영상신호블록을 입력받아 두 블록의 오차를 발생시키는 제 2오차측정기(3390)와, 상기 제 1오차측정기(3340) 및 제 2오차측정기(3390)에서 계산된 오차를 비교하여 오차가 작은 노드에 사용되는 직교변환기에서 수행되는 직교변환 및 역직교변환을 수행하도록 하는 변환방향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 3비교기(3400)가 추가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감산기 (1)은 제 1메모리로 부터 예측된 신호와 현재 입력신호와의 예측 오차 뿐아니라 제 1메모리의 신호로 부터의 예측 없이 현재 입력신호를 그대로 출력할 수 있는데 이경우 이를 위해서 제 1메모리에 저장되있는 값을 0으로 초기화하여 감산기로 부터의 신호와 입력영상 신호와 동일하게 만들 수 있다.In addition, the mode control means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receives an prediction error signal block to be currently encoded from the subtractor 1, performs transverse orthogonal transformation, and then performs vertical orthogonal transformation to output a corresponding transform coefficient. A third quantizer 3360 for receiving and quantizing a transform coefficient from the quadrature converter 8 (3350), and an inverse quantizing unit for receiving a quantized transform coefficient block from the sixth quantizer 3360 (3350); An inverse transformer 6 that receives an inverse quantized transform coefficient from the six inverse quantizer 3370 and the sixth inverse quantizer 3370, outputs a reconstructed image signal block by performing vertical inverse orthogonal transformation and horizontal inverse orthogonal transformation. 3380 and the prediction error signal block to be encoded which are input to the quadrature converter 8 (3350) and the video signal block reconstructed by the inverse orthogonal transformer 6 (3380) to generate an error between the two blocks. Orthogonal and inverse transforms are performed on an orthogonal transformer used for a node having a small error by comparing the error calculated by the second error measuring device 3390 and the first error measuring device 3340 and the second error measuring device 3390. A third comparator 3400 for outputting a conversion direction control signal for performing orthogonal transformation is further configured. At this time, the subtractor 1 may output the current input signal as it is without prediction from the signal of the first memory as well as the prediction error between the signal predicted from the first memory and the current input signal. The stored value can be initialized to 0 to make it equal to the signal from the subtractor and the input video signal.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의한 적응적 변환방법을 이용하는 영상압축 부호화 및 복호화 장치를 이용한 부호화 방법 및 복호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An encoding method and a decoding method using an image compression encoding and decoding apparatus using the adaptive conversion method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먼저, 부호화 방법에 대해 설명하면,First, the coding method will be described.

영상신호블록은 감산기(1)에 입력되고, 모양정보는 부가정보부호기(9)에 입력되어 부호화 된다. 이때 감산기 (1)은 제 1메모리로 부터 예측된 신호와 현재 입력신호와의 예측 오차 뿐아니라 제 1메모리의 신호로 부터의 예측 없이 현재 입력신호를 그대로 출력할 수 있는데 이경우 이를 위해서 제 1메모리에 저장되있는 값을 0으로 초기화하여 감산기로 부터의 신호와 입력영상 신호와 동일하게 만들 수 있다.The image signal block is input to the subtractor 1, and the shape information is input to the additional information encoder 9 and encoded. At this time, the subtractor 1 may output the current input signal as it is without prediction from the signal of the first memory as well as the prediction error between the signal predicted from the first memory and the current input signal. The stored value can be initialized to 0 to make it equal to the signal from the subtractor and the input video signal.

이때, 감산기(1)는 입력 영상신호블록과 제 1 메모리(7)에서 출력되는 복원된 영상신호블록을 감산하여 예측오차신호블록을 구하고, 직교변환수단(1000)에 그 신호를 출력한다.At this time, the subtractor 1 subtracts the input image signal block and the reconstructed image signal block output from the first memory 7 to obtain a prediction error signal block, and outputs the signal to the orthogonal transformation means 1000.

한편, 모드제어수단(3000)은 상기 감산기(1)에서 예측오차신호블록을 입력받아 이를 이용해 직교변환 및 역직교변환 방향순서를 결정하는 변환방향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제어신호부호기(4000)는 상기 변환방향제어신호를 입력받아 부호화하여 다중화기(11)에 출력한다.On the other hand, the mode control means 3000 receives the prediction error signal block from the subtractor 1 and outputs a conversion direction control signal for determining the orthogonal transformation and the inverse orthogonal transformation direction order by using the same, and the control signal encoder 4000 The conversion direction control signal is received and encoded and output to the multiplexer 11.

상기 직교변환수단(1000)은 상기 감산기(1)에서 예측오차신호블록을 입력받는 한편, 상기 부가정보 부호기(9)에서 모양정보를 선택적으로 입력받아 모드제어수단(3000)에 의해 직교변환방향이 제어되어 이에 상응하는 변환계수신호를 출력한다.The orthogonal transformation means 1000 receives the prediction error signal block from the subtractor 1, and selectively receives shape information from the additional information encoder 9, and the orthogonal transformation direction is changed by the mode control means 3000. It is controlled to output a corresponding conversion coefficient signal.

이후, 제 1 양자화기(3)는 상기 직교변환수단(1000)에서 출력되는 변환계수를 양자화된 변환계수블록으로 변환하고, 가변길이 부호기(8)는 상기 제 1 양자화기(3)에서 양자화된 변환계수블록을 입력받아 가변길이 부호화된 신호로 변환한다.Thereafter, the first quantizer 3 converts the transform coefficient output from the orthogonal transform means 1000 into a quantized transform coefficient block, and the variable length coder 8 is quantized by the first quantizer 3. A transform coefficient block is input and converted into a variable length coded signal.

상기 다중화기(11)는 상기 가변길이 부호기(8)에서 가변길이 부호화된 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부가정보부호기(9)에서 가변길이 부호화된 모양정보신호를 선택적으로 입력받는 동시에 상기 제어신호부호기(4000)에서 부호화된 변환방향제어신호를 입력받아 그 신호들을 멀티플레싱하여 전송매체(12)를 통해 전송시킨다. The multiplexer 11 receives the variable length coded signal from the variable length encoder 8 and selectively receives the shape information signal of the variable length coded from the side information encoder 9 and simultaneously controls the control signal encoder ( The conversion direction control signal encoded at 4000 is received and the signals are multiplexed and transmitted through the transmission medium 12.

한편, 상기 제 1 양자화기(3)에서 출력된 양자화된 변환계수블록은 제 1 역양자화기(4)에 입력되어 역양자화된 변환계수블록으로 변환되고, 제 1 역직교변환수단(140)은 상기 제 1 역양자화기(4)에서 역양자화된 변환계수블록을 입력받는 한편, 상기 부가정보 부호기(9)에서 부호화된 모양정보를 선택적으로 입력받아 상기 모드제어수단(3000)에 의해 역직교변환 방향이 제어되어 이에 상응하는 역변환계수를 출력한다.Meanwhile, the quantized transform coefficient block output from the first quantizer 3 is converted into an inverse quantized transform coefficient block which is input to the first inverse quantizer 4 and the first inverse orthogonal transform means 140 The first inverse quantizer 4 receives an inverse quantized transform coefficient block, and selectively receives shape information encoded by the side information encoder 9 by inverse orthogonal transformation by the mode control means 3000. The direction is controlled to output the corresponding inverse transform coefficient.

이어서, 제 1 가산기(6a)는 상기 제 1 역직교변환수단(140)에서 역변환계수를 입력받는 동시에 제 1 메모리(7)에서 이전에 복원된 영상신호블록을 입력받아 그 두 신호를 가산하여 원래의 영상신호블록으로 복원하고, 이를 제 1 메모리(7)에 저장하고, 제 1 메모리(7)에서는 감산기(1)로 복원된 영상신호블록을 출력한다.Subsequently, the first adder 6a receives the inverse transform coefficient from the first inverse orthogonal transformation means 140 and simultaneously receives the image signal block previously restored from the first memory 7 and adds the two signals to the original. The video signal block is restored, and the video signal block is stored in the first memory 7, and the first memory 7 outputs the restored video signal block to the subtractor 1.

그리고, 상기 모드제어수단(3000)에서 변환방향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방법에 대해 상술한 실시예 별로 설명하기로 한다.And, the method for generating the conversion direction control signal in the mode control means 3000 will be described for each embodiment described above.

실시예 1에 의한 변환방향 제어신호 발생방법을 도면 1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먼저, 2차원메모리(3100)가 상기 감산기(1)에서 현재 부호화 하려는 예측오차신호블록을 입력받아 저장하고, 제1, 2 스위치 (3115-a, 3115-b)는 상기 제 1 비교기와 오프되어있고, 제 1, 2 임시메모리(3160, 3180)의 값은 0으로 초기화한다.A method of generating a conversion direction control signal according to Embodiment 1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3. First, the 2D memory 3100 receives and stores a prediction error signal block to be currently encoded by the subtractor 1, and then , 2 switches 3151-a and 3115-b are turned off with the first comparator, and the values of the first and second temporary memories 3160 and 3180 are initialized to zero.

이어서, 상기 2차원메모리(3100)에 저장된 예측오차신호블록은 수평, 수직 감산기(3110, 3130)에 의해 행과 열 방향으로 화소값들 간의 감산연산이 수행된 후 감산된 값의 크기값이 수평, 수직 가산기(3120, 3140)에 각각 전달되어 그 크기값의 합이 구해진다.Subsequently, the prediction error signal block stored in the 2D memory 3100 is horizontally subtracted by the horizontal and vertical subtractors 3110 and 3130, and then subtracted between pixel values in the row and column directions. And the vertical adders 3120 and 3140, respectively, to obtain the sum of their magnitude values.

그리고, 상기 크기값의 합은 최종 수평, 수직 가산기(3150, 3170)에 각각 전달되어 제 1, 2 임시메모리(3160, 3180)에 저장된 이전 크기값의 합과 가산되어 상기 제 1, 2 임시메모리(3160, 3180)에 각각 저장된다.The sum of the size values is transferred to the final horizontal and vertical adders 3150 and 3170, respectively, and is added to the sum of the previous size values stored in the first and second temporary memories 3160 and 3180, respectively. 3160 and 3180, respectively.

상기 예측오차신호블록의 다음 행과 열에 대해서 상기에 설명한 방식을 사용하여 모든 행과 열방향에 대해 화소간 오차값의 합이 계산되어, 최종적으로 제 1, 2 스위치가 제1 비교기에 대해 온되어 최종 수평, 수직 가산기 (3150, 3170)의 출력이 제 1 비교기 (3190)에 전달되어, 제 1비교기(3190)는 상기 행과 열 방향의 화소간 오차값의 합을 서로 비교하여 오차값의 합이 작은 방향의 유사도가 크다고 판단하고, 유사도가 큰 방향으로 먼저, 직교변환한 후 그와 다른 방향으로 직교변환하도록 하는 한편, 역직교변환은 상기 직교변환방향과 반대로 이루어 지도록 하는 변환방향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For the next row and column of the prediction error signal block, the sum of the error values between the pixels in all the row and column directions is calculated using the method described above, and finally the first and second switches are turned on for the first comparator. The outputs of the final horizontal and vertical adders 3150 and 3170 are transmitted to the first comparator 3190 so that the first comparator 3190 compares the sum of the error values between the pixels in the row and column directions with each other and adds up the error values. It is determined that the similarity of the small direction is large, and the first direction is orthogonally transformed into the direction of the similarity, and then orthogonally transformed to the other direction. Output

그리고, 실시예 2에 의한 변환방향 제어신호 발생방법을 도면 14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먼저, 감산기(1)에서 예측오차신호블록이 본 장치에 입력되면, 직교변환기 5(3200)는 상기 예측오차신호블록을 가로직교변환 후 세로직교변환하는 한편, 직교변환기 6(3210)은 상기 예측오차신호블록을 세로직교변환 후 가로직교변환한다.And, the method of generating the conversion direction control signal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4. First, when the prediction error signal block is input to the apparatus from the subtractor 1, the quadrature converter 5 (3200) is the prediction error. After the transverse orthogonal transformation of the signal block, the orthogonal transformer 6 3210 transversely orthogonally transforms the prediction error signal block after the vertical orthogonal transformation.

이후, 제 1, 2 비트스트림 카운터(3220, 3230)는 상기 직교변환기 5, 6(3200, 3210)에서 직교변환되어 구해진 변환계수를 각각 입력받아 부호발생량을 계산한다.Thereafter, the first and second bitstream counters 3220 and 3230 receive the conversion coefficients obtained by the orthogonal transformation in the quadrature converters 5 and 6 (3200 and 3210), respectively, and calculate a code generation amount.

이어서, 제 2비교기(3240)는 상기 제 1, 2 비트스트림 카운터(3220, 3230)에서 계산된 부호발생량을 서로 비교하여 부호발생량이 작은 방향의 직교변환기에서 수행되는 직교변환을 하도록 하는 한편, 역직교변환은 상기 직교변환과 반대방향으로 수행되도록 하는 변환방향제어신호를 출력한다.Subsequently, the second comparator 3240 compares the code generation amounts calculated by the first and second bitstream counters 3220 and 3230 with each other so as to perform an orthogonal transformation performed by an orthogonal transformer having a small code generation direction. The orthogonal transformation outputs a conversion direction control signal for performing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orthogonal transformation.

또한, 실시예 3에 의한 변환방향 제어신호 발생방법을 도면 15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먼저, 감산기(1)에서 예측오차신호블록이 본 장치에 입력되면, 직교변환기7(3300)은 상기 예측오차신호블록을 세로직교변환한 후 가로직교변환한다. 이때 감산기 (1)은 제 1메모리로 부터 예측된 신호와 현재 입력신호와의 예측 오차 뿐아니라 제 1메모리의 신호로 부터의 예측 없이 현재 입력신호를 그대로 출력할 수 있는데 이경우 이를 위해서 제 1메모리에 저장되있는 값을 0으로 초기화하여 감산기로 부터의 신호와 입력영상 신호와 동일하게 만들 수 있다.In addition, the method of generating the conversion direction control signal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5. First, when the prediction error signal block is input to the apparatus from the subtractor 1, the quadrature converter 7 (3300) performs the prediction error. After transverse orthogonal transformation of the signal block, transverse orthogonal transformation is performed. At this time, the subtractor 1 may output the current input signal as it is without prediction from the signal of the first memory as well as the prediction error between the signal predicted from the first memory and the current input signal. The stored value can be initialized to 0 to make it equal to the signal from the subtractor and the input video signal.

설명하면, 먼저, 감산기(1)에서 예측오차신호블록이 본 장치에 입력되면, 직교변환First, if the prediction error signal block is input to the apparatus in the subtractor 1, the orthogonal transformation

이어서, 제 5양자화기(3310)는 상기 직교변환기 7(3300)에서 변환계수를 입력받아 양자화 시키고, 제 5역양자화기(3320)는 상기 양자화된 변환계수블록을 입력받아 역양자화 시키며, 역직교변환기 5(3330)는 상기 역양자화된 변환계수블록을 입력받아 상기 직교변환기 7(3300)의 변환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역직교변환을 수행하여 복원된 신호블록을 출력한다.Subsequently, the fifth quantizer 3310 receives and quantizes the transform coefficient from the quadrature transformer 7 (3300), and the fifth inverse quantizer 3320 receives the quantized transform coefficient block and dequantizes it. The converter 53330 receives the inverse quantized transform coefficient block and performs inverse orthogonal transformation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conversion direction of the quadrature transformer 7 (3300) to output a restored signal block.

그리고, 제 1오차측정기(3340)는 상기 역직교변환기 5(3330)에서 복원된 신호블록과 상기 직교변환기 7(3300)에 입력된 예측오차신호블록 간의 오차를 계산하여 제 3비교기(3400)에 그 오차값을 출력한다.The first error measurer 3340 calculates an error between the signal block reconstructed by the inverse orthogonal transformer 5 3330 and the predicted error signal block input to the orthogonal transformer 7 3300 to the third comparator 3400. The error value is output.

한편, 다른 노드에 존재하는 직교변환기 8(3350)은 상기 예측오차신호블록을 가로직교변환한 후 세로직교변환하고, 제 6양자화기(3360)는 상기 직교변환기 8(3350)에서 변환계수를 입력받아 양자화 시키고, 제 6역양자화기(3370)는 그 양자화된 변환계수블록을 입력받아 역양자화 시키며, 역직교변환기 6(3380)는 그 역양자화된 변환계수블록을 입력받아 상기 직교변환기 8(3350)의 변환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역직교변환을 수행하여 복원된 신호블록을 출력한다.On the other hand, orthogonal transformer 8 (3350) existing in another node transversely orthogonally transforms the prediction error signal block and then orthogonally transforms it, and the sixth quantizer 3360 inputs a transform coefficient from the orthogonal transformer 8 (3350). And a sixth inverse quantizer 3370 receives and inverse quantizes the quantized transform coefficient block. An inverse orthogonal transformer 6 3380 receives the inverse quantized transform coefficient block and receives the inverse quantized transform coefficient block 8 (3350). Inverted orthogonal transformation is perform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transformation direction of the output signal).

그리고, 제 2오차측정기(3390)는 상기 역직교변환기 6(3380)에서 복원된 신호블록과 상기 직교변환기 8(3350)에 입력된 예측오차신호블록 간의 오차를 계산하여 제 3비교기(3400)에 그 오차값을 출력한다.The second error measurer 3390 calculates an error between the signal block reconstructed by the inverse orthogonal transformer 6 (3380) and the predicted error signal block input to the orthogonal transformer 8 (3350) to the third comparator 3400. The error value is output.

이때, 상기 제 3비교기(3400)는 상기 제 1, 2 오차측정기(3340, 3390)에서 오차값을 각각 입력받아 그 오차값을 비교하여 오차값이 작은 노드의 직교변환기 및 역변환기에서 수행되는 직교변환 및 역직교변환을 하도록 하는 변환방향 제어신호를 출력한다.In this case, the third comparator 3400 receives the error values from the first and second error measuring units 3340 and 3390, respectively, and compares the error values, and is performed by the quadrature and inverse transformers of the node having the smallest error value. Outputs a conversion direction control signal for conversion and inverse orthogonal conversion.

한편, 복호화방법에 대해 설명하면, Meanwhile, the decoding method will be described.

먼저, 디먹스부(13)는 전송매체(12)를 통해 부호화된 신호를 입력받아 디멀티플레싱하여 가변길이 부호화된 모양정보, 영상신호 및 변환방향제어신호를 출력하고, 복호기(15)는 상기 부호화된 가변길이 영상신호를 입력받아 양자화된 변환계수 신호로 변환하는 한편, 부가정보 복호기(14)는 상기 가변길이 부호화된 모양정보를 선택적으로 입력받아 모양정보로 복원시킨다.First, the demux unit 13 receives a coded signal through the transmission medium 12 and demultiplexes it to output variable length coded shape information, an image signal, and a conversion direction control signal. The coded variable length image signal is received and converted into a quantized transform coefficient signal, while the additional information decoder 14 selectively receives the variable length coded shape information and restores the shape information.

그리고, 제어신호복호기(5000)는 부호화된 변환방향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원래의 변환방향제어신호로 복원시킨다. The control signal decoder 5000 receives the encoded conversion direction control signal and restores the original conversion direction control signal.

이때, 제 2 역양자화기(200)는 상기 복호기(15)에서 양자화된 변환계수 신호를 입력받아 역양자화된 변환계수블록으로 변환하고, 제 2 역직교변환수단(2000)은 상기 제 2 역양자화기(200)에서 역양자화된 변환계수을 입력받는 한편, 상기 부가정보 복호기(14)에서 복원된 모양정보를 선택적으로 입력받고, 상기 제어신호복호기(5000)에서 복원된 변환방향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직교변환수단(1000)의 직교변환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역직교변환을 수행하므로써 역직교변환된 신호블록을 출력한다.In this case, the second inverse quantizer 200 receives the quantized transform coefficient signal from the decoder 15 and converts it into an inverse quantized transform coefficient block, and the second inverse orthogonal transform means 2000 performs the second inverse quantization. While receiving the inverse quantized conversion coefficient from the device 200, selectively receives the shape information restored from the additional information decoder 14, and receives the conversion direction control signal restored from the control signal decoder (5000) By performing inverse orthogonal transformation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orthogonal transformation direction of the orthogonal transformation means 1000, the inverse orthogonally transformed signal block is output.

이어서, 제 2 가산기(6b)는 상기 제 2 역직교변환수단(2000)에서 역직교변환된 신호블록과 제 2 메모리(18)에서 이전에 복원된 영상신호블록을 입력받아 그 두 신호블록을 가산하여서 복원된 원래의 영상신호블록을 출력한다. Subsequently, the second adder 6b receives the signal block de-orthogonally transformed by the second inverse orthogonal transformation means 2000 and the image signal block previously restored in the second memory 18, and adds the two signal blocks. To restore the original video signal block.

한편, 제 2 메모리(18)는 상기 제 2 가산기(6b)에서 출력되는 복원된 영상신호블록을 입력받아 저장하여 상기 제 2 가산기(6b)로 복원된 영상신호블록을 출력한다.Meanwhile, the second memory 18 receives and stores the reconstructed video signal block output from the second adder 6b and outputs the reconstructed video signal block to the second adder 6b.

상기 제어신호복호기(5000)에서 출력되는 변환방향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제 2역직교변환수단(200)이 역직교변환을 수행하는 동작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변환방향제어신호가 가로직교변환 후 세로직교변환 정보를 가지고 있으면 상기 제 2역직교변환수단(200)은 세로 역직교변환 후 가로 역직교변환을 수행하는 한편, 상기 변환방향제어신호가 세로직교변환 후 가로직교변환 정보를 가지고 있으면 가로 역직교변환후 세로 역직교변환이 수행된다.When the second inverse orthogonal transformation means 200 performs an inverse orthogonal transformation by the conversion direction control signal output from the control signal decoder 5000, the conversion direction control signal after the transverse orthogonal transformation When the vertical orthogonal transformation information is included, the second inverse orthogonal transformation means 200 performs horizontal inverse orthogonal transformation after vertical inverse orthogonal transformation, and when the conversion direction control signal has transverse orthogonal transformation information after vertical orthogonal transformation, After the inverse orthogonal transformation, longitudinal inverse orthogonal transformation is performed.

신호의 특성 또는 하드웨어 구현상의 복잡도 문제에 의해 변환 방향을 설정하기 위한 상기 모드제어기의 사용이 제한될 수 있다. 전자의 예로서 신호성분이 매우 균일하게 분포하는 경우 변환 방향의 변화로서 얻는 부호화 효율에 대한 이득이 없거나 미세한 이득만을 얻을 수 있다. 이 경우 제어신호의 전송으로 인한 부가적인 부호 발생으로 전체적인 부호화 효율을 떨어뜨리게 된다. 후자의 예로 휴대용 단말기의 경우 하드웨어 구현상의 복잡성이 부호화 효율보다 큰 문제가 될 수 있으므로 변환 방향의 적응적 설정으로 얻을 수 있는 부호화 효율의 증가를 희생하면서 하드웨어 구현을 간단히 해야 할 경우가 있다. 그러나 비트열의 호환성 측면에서 변환 방향을 적응적으로 설정하지 않은 부호화 장치에서 부호화 된 부호열도 변환 방향에 대한 제어신호를 포함하는 부호열을 복호화 하는 복호화기에서 이를 복호화 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변환 방향에 대한 제어신호의 사용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비트열내에 포함시켜야 한다. The use of the mode controller to set the conversion direction may be limited by the characteristics of the signal or the complexity of the hardware implementation. As an example of the former, when the signal components are very uniformly distributed, only a small gain or no gain for the coding efficiency obtained as a change in the transformation direction can be obtained. In this case, additional code generation due to transmission of the control signal lowers the overall coding efficiency. As the latter example, in the case of a portable terminal, the complexity of hardware implementation may be a problem greater than the coding efficiency, and there is a case where the hardware implementation should be simplified at the expense of an increase in the coding efficiency that can be obtained by adaptive setting of the conversion direction. However, in terms of compatibility of the bit strings, a coder that does not adaptively set the transform direction should also be able to decode the code string coded by a decoder that includes a control signal for the transform direction. To this end, information indicating whether the control signal for the conversion direction is used must be included in the bit string.

도 16은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은 모드제어기의 사용을 제한하기위한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의한 적응적 변환방법을 이용하는 영상압축 부호화 및 복호화 장치에 관한 제어블록도로서, 상술한 상기 도 12의 부호화 및 복호화 장치에 모드제어기 제어신호발생수단(6000), 모드제어기 제어신호부호기(7000) 및 모드제어기 제어신호복호기(8000)가 추가된 구성을 가진다.FIG. 16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an image compression encoding and decoding apparatus using an adaptive transform method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limiting the use of a mode controller as described above. And a mode controller control signal generator 6000, a mode controller control signal encoder 7000, and a mode controller control signal decoder 8000 are added to the decoding apparatus.

상기 모드제어기 제어신호발생수단(6000)은 직교변환수단(1000) 및 제 1, 2역직교변환수단(140)에서 변환방향제어신호를 사용하는지의 여부에 따라 상기 모드제어수단(3000), 제어신호부호기(4000) 및 제어신호복호기(5000)의 온/오프동작을 제어하는 모드제어기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역할을 한다.The mode controller control signal generating means 6000 controls the mode control means 3000 according to whether or not the orthogonal conversion means 1000 and the first and second inverse orthogonal conversion means 140 use the conversion direction control signal. It serves to generate a mode controller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on / off operation of the signal encoder 4000 and the control signal decoder 5000.

상기 모드제어수단(3000), 제어신호부호기(4000) 및 제어신호복호기(5000)의 온/오프동작은 부호화대상에 대한 모드제어기 제어신호발생수단에서 발생되는 모드제어기 제어신호에 따라 동일하게 적용된다. The on / off operation of the mode control means 3000, the control signal encoder 4000 and the control signal decoder 5000 is equally applied according to the mode controller control signal generated by the mode controller control signal generating means for the encoding target. .

상기 모드제어기 제어신호부호기(4000)는 상기 모드제어기 제어신호발생수단(6000)에서 모드제어기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부호화 시키고, 상기 다중화기(11)에 입력시켜 다른 신호들과 멀티플레싱되도록 한다.The mode controller control signal encoder 4000 receives and encodes a mode controller control signal from the mode controller control signal generating means 6000 and inputs the multiplexer 11 to multiplex with other signals.

상기 모드제어기 제어신호복호기(8000)는 상기 다중화기(11), 전송매체(12) 및 디먹스부(13)를 통해 부호화된 모드제어기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복호화 시켜, 그 복호화된 모드제어기 제어신호로서 상기 제어신호복호기(50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The mode controller control signal decoder 8000 receives and decodes the coded mode controller control signal through the multiplexer 11, the transmission medium 12, and the demux 13, and decodes the decoded mode controller control signal. As a function of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control signal decoder 5000.

상기의 구성을 가지는 도 16의 부호화 장치 및 복호화 장치에서 이루어지는 부호화 장치 및 복호화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An encoding device and a decoding method of the encoding device and the decoding device of FIG. 16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직교변환수단(1000) 및 제 1, 2역직교변환수단(140, 200)의 변환방향제어신호에 대한 사용여부에 따라 본 장치의 동작이 결정된다.The operation of the apparatus is determined by the use of the conversion direction control signals of the orthogonal transformation means 1000 and the first and second inverse orthogonal transformation means 140 and 200.

변환 방향 설정을 위한 변환방향제어신호의 사용 여부에 대한 정보인 모드 제어기 제어신호의 전송은 한 MB (Macro-block)의 시작위치, 한 화면의 시작 위치, 한 장면의 시작위치, 또는 전체 동영상의 시작위치에서 변환 방향 설정을 위한 제어신호의 사용여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게 한다. 모드제어기 제어신호의 전송으로 인해 부호량을 증돼지만 모드제어기 제어신호의 전송으로인한 부호량의 증가는 전체적인 부호량에 비해 무시할 수 있을 정도로 적은 양이다.The transmission of the mode controller control signal, which is information on whether or not to use the conversion direction control signal for setting the conversion direction, is performed by the start position of one MB (macro-block), the start position of one screen, the start position of a scene, or the entire video. Includes information on whether to use the control signal for setting the conversion direction at the start position. Although the code amount is increased due to the transmission of the mode controller control signal, the increase in the code amount due to the transmission of the mode controller control signal is negligible compared to the overall code amount.

만약, 상기 변환방향제어신호를 사용하는 경우는 모드제어기 제어신호발생수단(6000)에서 이에 상응하는 모드제어기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이에 따라 모드제어수단(3000) 및 제어신호부호기(4000)가 모두 동작하게 되며, 이때, 모드제어기 제어신호부호기(7000)는 상기 모드제어기 제어신호를 부호화 하고, 그 부호화된 제어신호는 다중화기(11), 전송매체(12) 및 디먹스부(13)를 통해 모드제어기 제어신호복호기(8000)에 입력되어 복호화 되고, 그 복호화된 모드제어기 제어신호는 제어신호복호기(5000)를 동작시킨다.If the conversion direction control signal is used, the mode controller control signal generating means 6000 outputs a mode controller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hereto, so that both the mode control means 3000 and the control signal encoder 4000 are used. In this case, the mode controller control signal encoder 7000 encodes the mode controller control signal, and the encoded control signal is transmitted through the multiplexer 11, the transmission medium 12, and the demux unit 13. The mode controller control signal decoder 8000 is input and decoded, and the decoded mode controller control signal operates the control signal decoder 5000.

이 후 부호화 및 복호화 과정은 상술한 도 12의 부호화 방법 및 복호화 방법과 동일하다.Subsequently, the encoding and decoding process is the same as the above-described encoding method and decoding method of FIG. 12.

한편, 상기 변환방향제어신호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모드제어기 제어신호발생수단(6000)에서 이에 상응하는 모드제어기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이에 따라 모드제어수단(3000) 및 제어신호부호기(4000)의 동작이 중지되며, 모드제어기 제어신호부호기(7000)는 상기 모드제어기 제어신호를 부호화 하며 그 부호화된 제어신호는 다중화기(11), 전송매체(12) 및 디먹스부(13)를 통해 모드제어기 제어신호복호기(8000)에 입력되어 복호화 되고, 그 복호화된 모드제어기 제어신호는 제어신호복호기(5000)의 동작을 중지시킨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conversion direction control signal is not used, the mode controller control signal generating means 6000 outputs a mode controller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hereto, and accordingly, the operation of the mode control means 3000 and the control signal encoder 4000 is performed. The mode controller control signal encoder 7000 encodes the mode controller control signal, and the encoded control signal is controlled by the multiplexer 11, the transmission medium 12, and the demux unit 13. The decoded mode controller control signal is inputted to the signal decoder 8000 and the operation of the control signal decoder 5000 is stopped.

상기 변환방향제어신호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직교변환수단(1000)은 부호화 하기 위한 예측오차신호블록을 가로직교변환 후 세로직교변환 및 세로직교변환 후 가로직교변환 중 이 경우에 대해 미리 정해진 변환방법을 수행한다. 또한 역직교변환수단은 직교변환수단 (1000)에 대응하는 역변환 방법을 수행한다. 즉 상기 변환방향제어신호를 사용하지 않을 때 상기 직교변환수단(1000)이 입력되는 예측오차신호블록을 세로직교변환 후 가로직교변환하는 경우 역직교변환수단은 입력되는 역양자화된 변환계수블록을 가로 역직교변환 후 세로 역직교변환하여 역직교변환된 신호블록을 출력한다.When the conversion direction control signal is not used, the orthogonal transformation means 1000 performs a predetermined conversion method for this case among the transverse orthogonal transformation and the transverse orthogonal transformation after transversal orthogonal transformation of the prediction error signal block for encoding. Perform. In addition, the inverse orthogonal transformation means performs an inverse transformation method corresponding to the orthogonal transformation means 1000. That is, when the orthogonal transform means 1000 transversely orthogonally transforms the predicted error signal block input after the vertical orthogonal transformation when the conversion direction control signal is not used, the inverse orthogonal transform means crosses the input dequantized transform coefficient block. After inverse orthogonal transformation, vertical inverse orthogonal transformation is performed to output an inverse orthogonal transformation signal block.

이때, 제 2 역양자화기(200)를 통해 입력되는 역양자화된 변환계수블록을 제 2역직교변환수단(2000)에서 상기 직교변환수단(1000)의 직교변환방향과 역방향으로 역직교변환을 수행하며, 나머지 과정은 도 12의 복호화 과정과 동일하다. In this case, the inverse quantized transform coefficient block input through the second inverse quantizer 200 is inversely orthogonally transformed by the second inverse orthogonal transform means 2000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orthogonal transform direction of the orthogonal transform means 1000. The rest of the process is the same as the decoding process of FIG.

한편, 모드제어기를 구성하는 방법은 상기의 실시예 외에도 여러 방법들이 사용될 수 있으며, 그 방법은 현재 블록을 포함한 주위의 블록들의 평균값 변화율을 이용하는 방법, 부호화 하는 블록에 대해 가로와 세로방향으로 각각 투사하여 투사된 값들의 변화율을 사용하는 방법, 부호화 하려는 블록의 주변 값 또는 중심의 일부분등 부호화 하려는 블록의 일부분 만을 이용하여 변환방식을 결정하는 방법등 다양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method of configuring the mode controller can be used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the method is a method using the average value change rate of the surrounding blocks including the current block, respectively projected horizontally and vertically to the coding block By using the rate of change of the projected values, the method of determining the transformation method using only a part of the block to be encoded, such as the peripheral value of the block to be encoded or a part of the center, can be used.

즉 변환방향 제어신호를 부가적으로 전송함으로서 변환방법을 매우 유연하게 결정할 수 있다.That is, by additionally transmitting the conversion direction control signal, the conversion method can be very flexibly determined.

변환방향 제어신호를 전송함으로써 변환방법의 결정은 부호기에서만 수행하고 복호화기에서는 전송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단지 변환방법 만을 변화시키면 되므로 복호기의 복잡도를 증가시키 않는다.Determination of the conversion method by transmitting the conversion direction control signal is performed only in the encoder and the decoder only changes the conversion method according to the transmitted control signal, thereby increasing the complexity of the decoder.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적응적 변환방법을 이용하는 영상압축 부호화 및 복호화 장치 및 그 방법에 의하면, 부호화된 블록의 정보나, 또는 부호화된 블록의 정보 및 현재 부호화하려는 블록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그 블록 내의 신호들이 세로방향으로 높은 상관도를 갖고 있는 지 또는 가로방향으로 높은 상관도를 갖고 있는 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상관도 높은 방향으로 직교변환을 먼저한 후 상관도가 낮은 방향으로 직교변환을 수행하는 한편, 그 직교변환 방향과 반대로 역직교변환을 수행 하므로써 압축부호화 효율을 높일 수 있다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video compression encoding and decoding apparatus using the adaptive transform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ethod, the information of the coded block, or the information of the coded block and information about the block to be currently encoded Whether the signals in the block have a high correla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or a high correlation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s judged, and orthogonal transformation is first performed in the direction of high correlation, and then the orthogonal transformation is performed in the direction of low correlation. On the other hand, the compression encoding efficiency can be improved by performing inverse orthogonal transformation as opposed to the orthogonal transformation direction.

현재 부호화 하려는 블록을 사용하여 부호화 하려는 블록의 변환 방향을 결정하는 방법은 부호화된 블록을 사용하여 변환방향을 결정하는 방법보다 압축 부호화 효율을 보다 높일 수 있다는 장점 외에 부호열에 대한 편집성 (editability)에서 나타난다. 이때 부호열에 대한 편집성이란 영상의 질감이나 색상 같은 영상의 속성을 부호열을 조작함으로써 쉽게 변화시킬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 The method of determining the transform direction of the block to be encoded using the current block to be encoded is more efficient than the method of determining the transform direction using the encoded block. appear. In this case, the editability of the code string refers to the ability to easily change an image property such as texture or color of the image by manipulating the code string.

즉 영상내에서 속성을 변화 시키고자 하는 부분에 대한 비트열을 변화된 속성을 반영하는 새로운 비트열로 대치하고 다른 부분은 이미 부호화 되어 생성된 비트열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 변환 상향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지 않는 방법의 경우 현재 부호화 하려는 부분에 대한 변환 방향을 구하기 위해서 이미 부호화 된 부분에 대한 정보를 계속적으로 이용하기 때문에 생성된 비트열은 서로 독립적이지 못하고 공간적으로 이전에 해당되는 비트열과 계속적으로 관계를 갖게 된다. 그러므로 영상내의 어느 한 부분에 대한 속성을 변화 시킬 경우 공간적으로 속성이 변화된 부분 이후의 모든 신호에 대한 부호열을 다시 생성해야 하는 단점이 생긴다. 그러나 변환 방향에 대한 정보를 부가적으로 전송하는 경우 부호화 하려는 신호 부분과 이미 부호화 되어진 신호 부분들에 대한 비트열을 각각 독립적으로 생성할 수 있고 신호 내의 한 부분에 대한 속성을 변화 시킨 경우 속성이 변화된 부분에 대한 비트열 만을 다시 부호화 하여 기존의 비트열의 동일 위치에 속하는 비트열을 대치하는 것 만으로도 신호내의 일부분의 속성만을 변화시키는 효과를 보이게 된다.That is, the ability to replace the bit string for the part to change the attribute in the image with a new bit string reflecting the changed attribute, and the other part is to use the bit string already generated and encoded as it is. In the case of not transmitting the information about the uplink, the bit streams generated are not independent of each other and are previously spatially applicable because the information about the already encoded part is continuously used to obtain a transform direction for the current encoding part. It continues to relate to the bit strings that become. Therefore, if you change the property of any part of the image,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you need to regenerate the code strings for all the signals after the part where the property is changed spatially. However, in case of additionally transmitting information on the transformation direction, the bit stream for the signal part to be encoded and the already encoded signal parts can be generated independently, and the property is changed when the property of one part in the signal is changed. By re-coding only the bit stream for the part and replacing the bit stream belonging to the same position of the existing bit stream, the effect of changing only the attributes of a part of the signal is shown.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영상압축 부호화 및 복호화 장치의 제어블록도,1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a video compression encoding and decod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a 내지 도 2e는 도 1의 직교변환기에서 모양정보를 이용하여 직교변환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2A to 2E are diagrams illustrating a process of orthogonal transformation using shape information in the orthogonal transformer of FIG. 1;

도 3a 내지 도 3c는 도 1의 직교변환기에서 직교변환하는 방향에 따라 변환계수가 상이하다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3A to 3C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at conversion coefficients are different according to a direction orthogonal transformation in the orthogonal transformer of FIG. 1;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적응적 변환방법을 이용하는 영상압축 부호화 및 복호화 장치에 관한 제어블록도,4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an image compression encoding and decoding apparatus using an adaptive transform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도 4의 직교변환수단 및 제 1, 2역직교변환 수단에 대한 제어블록도,FIG. 5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orthogonal transform means and first and second inverse orthogonal transform means of FIG. 4;

도 6은 도 4의 또다른 실시예에 의한 직교변환수단 및 제 1, 2역직교변환 수단에 대한 제어블록도,6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orthogonal transform means and first and second inverse orthogonal transform mean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FIG. 4;

도 7은 모드제어기의 실시예 1,7 shows a first embodiment of a mode controller;

도 8은 모드제어기의 실시예 2.8 shows Embodiment 2 of a mode controller.

도 9는 별모양의 모양정보를 갖는 입력영상을 도시한 도면,9 is a view showing an input image having star shape information;

도 10은 도 9의 모양정보를 갖는 입력영상의 부호화를 위한 블록을 도시한 도면,FIG. 10 illustrates a block for encoding an input image having the shape information of FIG. 9; FIG.

도 11은 도 9의 모양정보를 사용하고 블록단위 부호화 방법을 사용할 경우 주변 정보가 존재하지 않음으로 인해 부호화 하려는 신호에 대한 변환방법을 선택하지 못하는 경우에 대한 예를 도시한 도면,FIG. 1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a transform method for a signal to be encoded cannot be selected because no neighboring information exists when the shape information of FIG. 9 is used and the block unit coding method is used.

도 12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의한 적응적 변환방법을 이용하는 영상압축 부호화 및 복호화 장치에 관한 제어블록도,12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an image compression encoding and decoding apparatus using an adaptive transform method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은 도 12의 모드제어수단의 실시예 1,FIG. 13 shows an embodiment 1 of the mode control means of FIG. 12;

도 14는 도 12의 모드제어수단의 실시예 2,14 shows a second embodiment of the mode control means of FIG.

도 15는 도 12의 모드제어수단의 실시예 3, 15 shows a third embodiment of the mode control means of FIG.

도 16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의한 적응적 변환방법을 이용하는 영상압축 부호화 및 복호화 장치에 관한 제어블록도.16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an image compression encoding and decoding apparatus using an adaptive transform method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s>

100 : 변환모드제어수단 140 : 제 1역직교변환 수단100: conversion mode control means 140: first inverse orthogonal conversion means

210 : 역변환모드제어수단 1000 : 직교변환수단210: reverse conversion mode control means 1000: orthogonal conversion means

2000 : 제 2역직교변환 수단 3000 : 모드제어수단2000: second orthogonal transformation means 3000: mode control means

4000 : 제어신호부호기 5000 : 제어신호복호기4000: Control signal decoder 5000: Control signal decoder

Claims (6)

입력되는 영상신호블록을 직교변환하여 압축하는 부호화 장치에 있어서,A coding apparatus for compressing an input video signal block by orthogonal transform, 직교변환되어 얻어진 변환계수와 현재 부호화 하려는 영상신호블록을 선택적으로 입력받아 그 입력값들에 대한 가로 및 세로방향으로의 상관관계를 판단하여 입력되는 영상신호블록을 상관관계가 많은 방향으로 먼저 직교변환시킨 후 그와 다른 방향으로 직교변환시키도록 하는 변환방향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변환모드제어수단과,Orthogonal transform of the input image signal block into a highly correlated direction by selectively receiving the transform coefficient obtained by the orthogonal transformation and the video signal block to be currently encoded, and determin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input values 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A conversion mode control means for outputting a conversion direction control signal for performing orthogonal conversion in a direction different from that; 상기 변환모드 제어수단에서 변환방향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이에 상응하여 직교변환을 수행하는 직교변환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응적 변환방법을 이용하는 영상압축 부호화장치.And an orthogonal transform means for receiving a transform direction control signal from the transform mode control means and performing orthogonal transform corresponding thereto.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변환모드 제어수단은 직교변환 후 얻어진 변환계수를 저장하는 메모리와,The conversion mode control means includes a memory for storing a conversion coefficient obtained after orthogonal conversion; 상기 메모리에서 변환계수를 입력받고 부호화 하려는 영상신호블록을 선택적으로 입력받아 상기 직교변환수단의 변환방향순서를 제어하는 변환방향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모드제어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응적 변환방법을 이용하는 영상압축 부호화장치.And a mode controller for receiving a transform coefficient from the memory and selectively receiving an image signal block to be encoded, and outputting a transform direction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transform direction order of the orthogonal transform means. Image compression coding device. 제 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모드제어기는 현재 부호화하려는 영상신호블록 주변에 있는 이미 직교변환된 변환계수의 블록 평균값을 구하고, 그 평균값들의 세로방향의 변화율과 가로방향의 변화율을 구하여서 그 두 변화율의 절대값을 서로 비교하여 작은 방향에 대한 값을 출력하므로써 입력되는 영상신호블록을 변화율이 작은방향으로 먼저 직교변환한 후 그와 다른 방향으로 직교변환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응적 변환방법을 이용하는 영상압축 부호화장치.The mode controller obtains a block average value of an already orthogonally transformed transform coefficient around a video signal block to be encoded, obtains a rate of chang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rate of change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nd compares the absolute values of the two rate of change with each other. And an orthogonal transformation of an input image signal block by first outputting a value for a small direction, and then performing orthogonal transformation in a direction different from that of a small change rate. 제 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모드제어기는 현재 부호화하려는 영상신호블록과 그 주변에 있는 직교변환된 변환계수의 블록 평균값을 구하고, 그 평균값들의 세로방향 변화율과 가로방향 변화율을 구하여, 그 변화율의 절대값들을 세로 및 가로 두 방향으로 분리하고, 각 방향의 절대값들을 합산하며, 그 두 방향의 합산값들의 크기를 비교하여 작은 방향에 대한 값을 출력하므로써 입력되는 영상신호블록을 작은 방향으로 먼저 직교변환한 후 그와 다른 방향으로 직교변환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응적 변환방법을 이용하는 영상압축 부호화장치.The mode controller obtains a block average value of the video signal block to be encoded currently and the orthogonal transform coefficients in the periphery thereof, obtains the vertical change rate and the horizontal change rate of the average values, and stores the absolute values of the change rate in the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And then orthogonally transform the input image signal block into a smaller direction by comparing the magnitudes of the sums of the two directions and outputting the value for the smaller direction. And a video compression encoding apparatus using an adaptive transformation method.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직교변환수단은 부호화하려는 영상신호블록을 입력받고 모양정보를 선택적으로 입력받아 상기 부호화하려는 영상신호블록을 세로방향으로 직교변환한 후, 가로방향으로 직교변환하는 직교변환기 1과,The orthogonal transform means receives an image signal block to be encoded, selectively receives shape information, and orthogonally transforms the image signal block to be encoded in a vertical direction, and then orthogonally transforms in a horizontal direction; 상기 부호화하려는 영상신호블록을 입력받고 모양정보를 선택적으로 입력받아 상기 부호화하려는 영상신호블록을 가로방향으로 직교변환한 후, 세로방향으로 직교변환하는 직교변환기 2와,An orthogonal transformer 2 configured to receive the image signal block to be encoded, selectively receive shape information, and orthogonally transform the image signal block to be encoded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then orthogonally transform it in a vertical direction; 상기 변환모드 제어수단으로부터 변환방향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스위칭동작되어 상기 부호화하려는 영상신호블록이 상기 직교변환기 1 또는 직교변환기 2로 입력되는 것을 단속하는 제 1 스위치와,A first switch receiving a conversion direction control signal from the conversion mode control means and switching to intermittently input the video signal block to be encoded into the quadrature converter 1 or the quadrature converter 2; 상기 변환모드 제어수단으로부터 변환방향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스위칭동작되어 상기 직교변환기 1 또는 상기 직교변환기 2에서 변환계수가 출력되는 것을 단속하는 제 2스위치로 이루어 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응적 변환방법을 이용하는 영상압축 부호화 장치.And a second switch which receives a conversion direction control signal from the conversion mode control means and switches to control the output of the conversion coefficient from the quadrature converter 1 or the quadrature converter 2. Image compression coding device.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직교변환수단은 상기 변환모드 제어수단에서 변환방향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온/오프모드가 제어되어 온 모드시 부호화 하려는 영상신호블록을 입력받아 시계방향으로 90도 회전하는 전처리기와,The orthogonal transformation means includes a preprocessor which receives a conversion direction control signal from the conversion mode control means and receives an image signal block to be encoded in an on / off mode and rotates it 90 degrees clockwise; 상기 전처리기에서 90도 회전된 영상신호블록을 입력받고, 모양정보를 선택적으로 입력받아 세로/가로 방향으로 직교변환한 후 가로/세로 방향으로 직교변환하는 직교변환기와,An orthogonal converter receiving an image signal block rotated by 90 degrees from the preprocessor, receiving oral shape information, and orthogonally transforming in a vertical / horizontal direction and then orthogonally transforming in a horizontal / vertical direction; 상기 변환모드제어수단에서 변환방향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온/오프모드가 제어되어 온 모드시 상기 직교변환기에서 변환계수를 입력받아 2차원 블록의 좌측상단과 우측하단을 잇는 축을 중심으로 180도 회전하는 후처리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응적 변환방법을 이용하는 영상압축 부호화 장치.The conversion mode control means receives a conversion direction control signal and the on / off mode is controlled in the on mode, the conversion coefficient is received from the quadrature converter rotates 180 degrees around the axis connecting the upper left and lower right of the two-dimensional block An image compression encoding apparatus using an adaptive conversion method comprising a post processor.
KR1019980051131A 1998-10-02 1998-11-24 Image compression coding and decoding apparatus using adaptive transformation method and method thereof KR100530566B1 (en)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1131A KR100530566B1 (en) 1998-10-02 1998-11-24 Image compression coding and decoding apparatus using adaptive transformation method and method thereof
US09/448,820 US6674910B1 (en) 1998-11-24 1999-11-24 Apparatus and method for image-compression encoding and decoding using adaptive transform
JP33345099A JP4226172B2 (en) 1998-11-24 1999-11-24 Video compression encoding apparatus and decoding apparatus using adaptive conversion method and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1768 1998-10-02
KR19980041768 1998-10-02
KR1019980051131A KR100530566B1 (en) 1998-10-02 1998-11-24 Image compression coding and decoding apparatus using adaptive transformation method and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8531A KR20000028531A (en) 2000-05-25
KR100530566B1 true KR100530566B1 (en) 2006-05-17

Family

ID=266341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1131A KR100530566B1 (en) 1998-10-02 1998-11-24 Image compression coding and decoding apparatus using adaptive transformation method and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30566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6870B1 (en) 2006-07-06 2008-07-1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Apparatus and method of multi-stage, multi-dimensional transform based on multiple unit blocks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89290A (en) * 1992-09-09 1994-07-08 Daewoo Electron Co Ltd Video signal encoding device using 1d/2d dct
KR940017869A (en) * 1992-12-11 1994-07-27 배순훈 Video encoding device
KR960006595A (en) * 1994-07-29 1996-02-23 배순훈 Video signal compression device
JPH09135445A (en) * 1995-11-10 1997-05-2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Orthogonal transforming device
KR970032130A (en) * 1995-11-29 1997-06-26 배순훈 Object coding devic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89290A (en) * 1992-09-09 1994-07-08 Daewoo Electron Co Ltd Video signal encoding device using 1d/2d dct
KR940017869A (en) * 1992-12-11 1994-07-27 배순훈 Video encoding device
KR960006595A (en) * 1994-07-29 1996-02-23 배순훈 Video signal compression device
JPH09135445A (en) * 1995-11-10 1997-05-2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Orthogonal transforming device
KR970032130A (en) * 1995-11-29 1997-06-26 배순훈 Object cod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8531A (en) 2000-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26172B2 (en) Video compression encoding apparatus and decoding apparatus using adaptive conversion method and method thereof
JP3888597B2 (en) Motion compensation coding apparatus and motion compensation coding / decoding method
US6393059B1 (en) Conversion of video data bit stream
US7454071B2 (en) System and method for using pattern vectors for video and image coding and decoding
KR100253931B1 (en) Approximate mpeg decoder with compressed reference frames
US20050002458A1 (en) Spatial scalable compression
JP2007143176A (en) Compression method of motion vector
KR20040015477A (en) Motion Estimation Method and Apparatus Which Refer to Discret Cosine Transform Coefficients
EP3335425A1 (en) Vector quantization for video coding using codebook generated by selected training signals
AU2001293994A1 (en) Compression of motion vectors
JP5101818B2 (en) Residual coding compliant with video standards using non-standardized video quantization coder
KR100220582B1 (en) Image encoder having adaptive coding
KR100530566B1 (en) Image compression coding and decoding apparatus using adaptive transformation method and method thereof
JP2006191642A5 (en)
KR10021913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transform coefficient of transform encoding system
KR102020953B1 (en) Image Reencoding Method based on Decoding Data of Image of Camera and System thereof
KR100293369B1 (en) Digital video compression coding and decoding system using shape adaptive selection and thereof method
KR0130167B1 (en) Mpeg apparatus
KR100670459B1 (en) Video coding and decoding system
KR20070051294A (en) A method and apparatus for motion estimation
JP3948442B2 (en) Motion compensation decoding apparatus
KR100206924B1 (en) Encoder and decoder in image processing system
JP4140163B2 (en) Encoding method converter
KR100923029B1 (en) Recompression method for video frame
GB2368220A (en) Compression of motion vecto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02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