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27011B1 - 수도관로의 누수량 및 누수구간 자동 측정방법 - Google Patents

수도관로의 누수량 및 누수구간 자동 측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7011B1
KR100527011B1 KR10-2002-0031908A KR20020031908A KR100527011B1 KR 100527011 B1 KR100527011 B1 KR 100527011B1 KR 20020031908 A KR20020031908 A KR 20020031908A KR 100527011 B1 KR100527011 B1 KR 1005270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flow rate
block
customer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19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94664A (ko
Inventor
김범식
Original Assignee
김범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범식 filed Critical 김범식
Priority to KR10-2002-00319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7011B1/ko
Publication of KR200300946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946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70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701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of groups G01F1/00 - G01F13/00 insofar as such details or appliances are not adapted to particular types of such apparatus
    • G01F15/06Indicating or recording devices
    • G01F15/061Indicating or recording devices for remote indication
    • G01F15/063Indicating or recording devices for remote indication using electrical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of groups G01F1/00 - G01F13/00 insofar as such details or appliances are not adapted to particular types of such apparatus
    • G01F15/06Indicating or recording devices
    • G01F15/065Indicating or recording devices with transmission devices, e.g. mechanica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26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Examining Or Testing Airtightnes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도관로의 누수량 및 누수구간 자동 측정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상수도의 배수지 또는 정수장에서 부터 각 수용가에 이르기 까지 단위별로 블럭화하고, 각 블럭화의 유입관로와 배출관로에 정밀 전자 유량계와 이 유량정보를 송신하는 장치를 각각 장치하며, 이 각각 장치된 유량계 로 부터 송신된 유량정보를 상시감시하여 유입관로의 유량과 배출관로의 합산 유량을 대비, 누수량을 측정함과 동시에, 어느 블럭내의 어느 구간에서 얼마의 유량이 누수되는 지를 자동으로 측정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배수지 또는 정수장(P)에서 대블럭(LB), 중블럭(MB), 소블럭(SB) 및 수용가(H)로 세분된 수도관로를 이용함에 있어, 상기 각 블럭 및 수용가의 유입관로와 배출관로 상에 장치된 정밀 전자유량계(M)와, 이 전자유량계에 장치된 유량정보 송출장치를 통하고, 유무선중계, 공중망중계, 통신서버, DB서버를 통하여 감시PC로 연결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수도관로의 누수량 및 누수구간 자동 측정방법{The Process Of Autometic Measurement For A Water Leakage And A Section On A Water Pipe}
본 발명은 수도관로의 누수량 및 누수구간 자동 측정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상수도의 배수지 또는 정수장에서 부터 각 수용가에 이르기 까지 단위별로 블럭화하고, 각 블럭화의 유입관로와 배출관로에 정밀 전자 유량계와 이 유량정보를 송신하는 장치를 각각 장치하며, 이 각각 장치된 유량계로 부터 송신된 유량정보를 상시감시하여 유입관로의 유량과 배출관로의 유량을 대비, 누수량을 측정함과 동시에, 어느 블럭 어느 구간에서 얼마의 유량이 누수되는 지를 자동으로 측정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시행되고 있는 방법은 수용가 및 중, 소 블럭단위로 유입관로와 배출관로를 구분하여 수도계량기와 밸브가 각각 장치되어 있는바, 상기 유입관로와 배출관로의 밸브를 각각 잠근 다음, 상기 유입관로 상에 바이패스의 소형 유입관로를 별도 설치함과 동시에, 여기에 정밀도가 높은 소형 유량계를 장치하고, 상기 수용가의 수도물 소비가 없는 야간에 검침, 측정하여 누수여부를 판단하는 방식을 체택하고 있었다.
즉, 이상과 같은 방식은 야간 어느 시간에 그 블럭의 수용가에서 1개의 수용가도 물을 사용하지 않은 순간을 포착하고, 이때 측정된 유량에서 통상의 계측기 오차를 빼면 나머지가 누수로 측정하는 방식으로 하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 1개 블럭의 상기 측정에 소요되는 인원은 최소 3~4명이 되어야 하고, 이 인원이 하루에 1개소 이상할 수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이와 같은 블럭이서울시 만도 3000개 이상이 되는바, 평상시에는 거의 시행 불능상태의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더욱이, 야간 1회 실시간 검침, 측정된 데이터를 기준값으로 정함은 더큰 문제점으로 키우는 것이 된다.
또한, 상기 상수 급수유량계와 압력계를 동시에 설치하여 사용되는 경우도 있으나, 이는 오프라인에서 통용될 수 있는 것으로, 수돗물 수요의 패턴이 일정하지 않아 예측이 어려운 상황에서는 적용에 어려운 문제점이 있고, 이와 같은 방해요인을 갖고 있는 관로 시스템에서 소 블럭까지의 적용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문제점을 새로운 접근 방법으로 일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지하매설 수도관로의 누수량 및 누수구간 자동 측정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측정방법에 의하여 확인된 누수구간 만을 집중 공사하여 유수율을 향상시키는데 있고, 더불어 유수량 정책입안 자료제공에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배수지 또는 정수장에서 수도관로를 통하여 수용가에 이르기까지 유량정보를 일괄 관리, 집계, 분석하며 상시감시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수도의 배수지 또는 정수장에서 부터 각 수용가에 이르기 까지 단위별로 블럭화하고, 각 블럭화의 유입관로와 배출관로상에 정밀 전자 유량계와 이 유량정보를 송신하는 장치를 각각 장치하며, 이 각각 장치된 유량계의 정보 송신장치로 부터 송신된 각 유량정보를 자동 종합 집계, 관리, 분석하며, 실시간으로 감시하여 누수구간 및 누수량을 계측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도 1은 단위별로 구획하여 기 설치되어 있는 수도관로의 블럭 부분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각 수용가(수도 사용 가정) 및 대, 중, 소 블럭단위에 장치된 정밀 전자 유량계로 부터 계측된 유량정보를 유무선 통신을 통하여 상시감시 할 수 있는 단계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전달체계를 나타낸 개략적인 블럭도이다.
상기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배수지 또는 정수장(P)에서 부터 대블럭(LB), 중블럭(MB), 소블럭(SB) 및 수용가(H)로 세분된 수도관로를 이용함에 있어, 각 블럭 및 수용가의 유입관로와 배출관로 상에 밸브 및 정밀 전자유량계(M)가 각각 장치되어 있고, 이 유량계에는 상기 유량정보의 송출장치가 장치되어 있으며, 이 송출장치를 통한 상기 유량정보는 유무선중계, 공중망중계, 통신서버, DB서버를 통하여 상시감시 컴퓨터로 연결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이 장치되고, 연결되어 전달된 유량정보를 통한 본 발명의 측정방법을 각 단계별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론적으로는 정수장(P)에서 보낸 유량과 각 블럭을 통하여 각 수용가(H1- - -n)에서 합산된 유량이 일치되어야 한다. 그러나 현실적으로는 일치할 수가 없는바, 이는 누수가 없는 경우를 전제하더라도, 유량계의 불감( 극 저속 또는 극 미량이 흐르는 경우 유량계의 감지 기능 불능으로 오차가 있게됨)과 유량계의 노후 및 물 증발등의 오차가 있는바, 이들의 오차범위를 데이터화 한다.
또한, 각 수용가의 물 소비량이 일정 할 수가 없고, 한 수용가의 경우도 실시간과 일일의 물 소비량이 일정할 수가 없는바, 각 수용가 마다 계절별, 월별, 주별, 일별 및 시간별 물 소비량을 데이터화 한다.
상기 데이터는 해당 수도관로를 통하는 유량계와 연계하여 함께 컴퓨터내에 저장되고, 이 저장된 데이터 값보다 급격한 소비 변화가 있는 경우 자동으로 실시간 유량소비를 조사, 누수구간 및 누수량을 계측할 수 있고, 여기에 상기 데이터 값보다 임의 설정값 이상의 유량이 소비되면 자동 경고등 및 경고음이 켜지거나, 또한 상기 임의 설정값보다 임의 한계값 이상의 유량이 소비되면 자동 비상등 및 비상음이 켜져 유량감시를 자동으로 알려 주어 유입밸브를 차단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임의 설정값 및 한계값의 유량소비에 대한 경고등 및 비상등이 켜지며, 동시에 경고음 및 비상음이 발하는 경우, 소비유량 및 소비구간, 즉 누수량 및 누수구간이 자동입력 지시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경고등 및 비상등의 신호와 함께 이와 연계된 수도관로 밸브의 차단장치를 자동으로 구동케 할 수도 있다.
상기 각 정밀 전자유량계(M)를 통한 유량계 오차와, 정수장(P)에서 수용가(H)에 이르기 까지 물의 증발 오차 및 각 수용가(H)의 물 소비유량 데이터를 내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물 증발 오차 및 유량계 오차 데이터의 경우는 물의 최종 소비처인 수용가에서 임의 설정한 시간, 일자 또는 월 동안 물을 소비하지 않고, 계측된 수치의 각 합산(+)을 상기 소블럭(SB), 중블럭(MB) 및 대블럭(LB) 또는 정수장(P)의 정밀 전자유량계(M)에서 계측된 유량 수치에서 각각 감산(-)하고, 그 해당 정밀 전자유량계 숫자로 나누면 각 정밀 전자유량계에 해당하는 오차가 계산 측정된다.
그리고, 상기 합산(+)을 정수장(P)의 유입관로 유량에서 감산(-)한 나머지가 수도물의 유수율이 된다.
또한, 상기 각 수용가(H)의 소비 유량 데이터의 경우는 각 수용가 정밀 전자유량계(M)의 실시간, 일간, 월간으로 측정하여 평균치를 내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측정된 각 데이터는 감시PC에 저장되어, 이상적으로 물 소비량이 많아져 상기 경고등과 경고음 및 비상등과 비상음이 발생한 때에 수시로 출력하며, 상기 유량과 대비,확인하고, 실제 물소비를 확인하여 누수여부 및 누수량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동시에 누수구간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지하매설 수도관로의 누수량 및 누수구간을 용이하게 계측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이를 이용하여 임의 설정값 이상이 되면 자동 경보 및 비상보 되어 누수구간 및 누수량을 자동 측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이 효과로 누수구간을 집중 공사하여 공사비 절감은 물론이고, 유수율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더불어 유수량 정책입안 자료제공에 기여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배수지 또는 정수장에서 수도관로를 통하여 수용가에 이르기까지 유량정보를 일괄 관리, 집계, 분석하며 상시감시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이를 이용하여 수도요금 자동 계측 고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단위별로 구획하여 기 설치되어 있는 수도관로의 블럭 부분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각 수용가(수도 사용 가정) 및 대, 중, 소 블럭단위에 장치된 정밀 전자 유량계로 부터 계측된 유량 정보를 유무선 통신을 통하여 상시감시 할 수 있는 단계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전달체계를 나타낸 개략적인 블럭도

Claims (5)

  1. 수도관로의 누수구간 및 누수량 계측에 있어서, 배수지 또는 정수장(P)에서 대블럭(LB), 중블럭(MB), 소블럭(SB) 및 수용가(H)로 세분된 수도관로를 이용함에 있어, 상기 각 블럭 및 수용가의 유입관로와 배출관로 상에 장치된 정밀 전자유량계(M)와, 이 전자유량계에 장치된 유량정보 송출장치를 통하고, 유무선중계, 공중망중계, 통신서버, DB서버를 통하여 감시PC로 연결 되어 유수증발 및 유량계 오차 데이터와, 각 블럭 및 수용가의 계절별, 월별, 주별, 일별 및 시간별 전자유량계를 통과한 물 소비량 데이터가 저장된 상기 감시PC에 의해 상기 데이터와, 실시간 계측된 유량소비 정보를 대비, 각각 계측하며 수도관로 상의 누수량 및 누수구간을 자동으로 측정하는 방법.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PC에 의해 상기 데이터와 실시간 계측된 유량소비 정보를 대비함에 있어, 임의 설정값 또는 임의 한계값을 입력하여 상기 설정값 또는 한계값 이상 차이가 나게 되면 경보등이나 경보음 또는 비상등이나 비상보가 자동 발하도록 입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관로 상의 누수량 및 누수구간 자동측정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값보다 실시간 계측된 유량 소비가 상기 임의 설정값 또는 임의 한계값을 초과하여 경보등이나 경보음 또는 비상등이나 비상보를 발하는 경우, 이와 동시에 누수구간 관련 밸브의 차단장치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관로 상의 누수량 및 누수구간 자동측정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관로 및 배출관로상에 장치된 정밀 전자유량계(M)와 유량정보 송신장치를 통한 유수량정보를 요금고지 및 유수사용 패턴 계획정보로 이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수정보이용방법.
KR10-2002-0031908A 2002-06-07 2002-06-07 수도관로의 누수량 및 누수구간 자동 측정방법 KR1005270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1908A KR100527011B1 (ko) 2002-06-07 2002-06-07 수도관로의 누수량 및 누수구간 자동 측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1908A KR100527011B1 (ko) 2002-06-07 2002-06-07 수도관로의 누수량 및 누수구간 자동 측정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4664A KR20030094664A (ko) 2003-12-18
KR100527011B1 true KR100527011B1 (ko) 2005-11-09

Family

ID=323862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1908A KR100527011B1 (ko) 2002-06-07 2002-06-07 수도관로의 누수량 및 누수구간 자동 측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2701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1469B1 (ko) * 2014-12-30 2015-08-03 주식회사 드림워텍 상수도관망 누수구간 판단방법
KR102226301B1 (ko) * 2019-10-28 2021-03-10 (주)아이케이텍 누수 관리 자동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70438A (zh) * 2019-09-19 2019-11-19 济南瑞森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利用在线检测技术判断客栓给水管道漏水的检测方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81136A (en) * 1993-03-19 1995-01-10 Northern Illinois Gas Company Remote data collection and monitoring system for distribution line
JPH0923483A (ja) * 1995-07-06 1997-01-21 Hitachi Ltd 管路破断検知システム
JPH0943010A (ja) * 1995-08-01 1997-02-14 Hitachi Denshi Ltd センシングシステム
JPH10275292A (ja) * 1997-03-31 1998-10-13 Japan Metals & Chem Co Ltd 上下水道料金管理システム
JP2000112520A (ja) * 1998-10-09 2000-04-21 Yokogawa Electric Corp 水道事業システム
KR20020088856A (ko) * 2001-05-22 2002-11-29 대우정보시스템 주식회사 수(水) 운영 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81136A (en) * 1993-03-19 1995-01-10 Northern Illinois Gas Company Remote data collection and monitoring system for distribution line
JPH0923483A (ja) * 1995-07-06 1997-01-21 Hitachi Ltd 管路破断検知システム
JPH0943010A (ja) * 1995-08-01 1997-02-14 Hitachi Denshi Ltd センシングシステム
JPH10275292A (ja) * 1997-03-31 1998-10-13 Japan Metals & Chem Co Ltd 上下水道料金管理システム
JP2000112520A (ja) * 1998-10-09 2000-04-21 Yokogawa Electric Corp 水道事業システム
KR20020088856A (ko) * 2001-05-22 2002-11-29 대우정보시스템 주식회사 수(水) 운영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1469B1 (ko) * 2014-12-30 2015-08-03 주식회사 드림워텍 상수도관망 누수구간 판단방법
KR102226301B1 (ko) * 2019-10-28 2021-03-10 (주)아이케이텍 누수 관리 자동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4664A (ko) 2003-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arley et al. Leakage management and control: a best practice training manual
US20070021936A1 (en) System and method for fluid distribution
US7124036B2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demand in a water distribution system
Güngör et al. Increasing performance of water distribution network by using pressure management and database integration
Yerri et al. Empirical analysis of large diameter water main break consequences
KR102440285B1 (ko) 상수도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
MacDonald et al. DMA design and implementation, a North American context
KR100527011B1 (ko) 수도관로의 누수량 및 누수구간 자동 측정방법
CN108700487B (zh) 针对流体供应网络的离散区域的用于流体流量测量的方法
Trow et al. Developing a strategy for leakage management in water distribution systems
KR101035031B1 (ko) 수질측정 시스템
Asli et al. Minimum night flow (MNF) and corrosion control in compliance with internet of things (IoT) for water systems
Desalegn Water supply coverage and water loss in distribution systems: The case of Addis Ababa
KR102226301B1 (ko) 누수 관리 자동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Wegelin Guideline for a robust assessment of the potential savings from water conservation and water demand management
Chowdhury et al. Management of nonrevenue water in four cities of Bangladesh
Choi et al. Best management practices for water loss control in Seoul
Khalifa et al. Analysis and Assessment of Water Losses in Domestic Water Distribution Networks
Mix et al. Advanced Metering Infrastructure: Reducing Water Loss, Improving Security and Enhancing Resiliency
Akdeniz A case study on integrated management of water losses in Antalya, Turkey
KR20020088856A (ko) 수(水) 운영 시스템
Güçlü et al. The feasibility study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municipal water supply
KR102089847B1 (ko) 상수도 관망 관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상수도 운영 시스템
Kingston A Do‐lt‐Yourselff Leak Survey Benefit‐Cost Study
Cronje Appraisal of Active Water Distribution System Management for Resource Conservation in South Afric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