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23894B1 - 착탈가능한 액정모듈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 Google Patents

착탈가능한 액정모듈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3894B1
KR100523894B1 KR10-2003-0037839A KR20030037839A KR100523894B1 KR 100523894 B1 KR100523894 B1 KR 100523894B1 KR 20030037839 A KR20030037839 A KR 20030037839A KR 100523894 B1 KR100523894 B1 KR 1005238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crystal module
case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78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107050A (ko
Inventor
연규진
전인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to KR10-2003-00378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3894B1/ko
Publication of KR200401070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70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38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389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6Mem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8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착탈가능한 액정모듈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본체부 또는 폴더부에 구비되는 액정모듈을 탈착가능하게 하여, 액정모듈 장착위치에 메모리카드나 커플액세서리 등을 장착시켜 다른 기기의 메모리카드 등을 호환할 수 있도록 하고, 단말기의 공간활용성을 높힌 착탈가능한 액정모듈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단말기의 본체의 외형을 이루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형성되는 안착부; 상기 안착부에 탈착가능하게 구비되는 액정모듈; 상기 안착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액정모듈의 양단부가 삽입되어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지지홈; 상기 액정모듈의 상면에 탈착가능하게 구비되는 투명재질의 윈도우; 및 상기 윈도우를 케이스 상에서 고정시키기 위한 록킹수단을 포함하는 착탈가능한 액정모듈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착탈가능한 액정모듈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n attachable LCD module}
본 발명은 착탈가능한 액정모듈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본체부 또는 폴더부에 구비되는 액정모듈을 탈착가능하게 하여, 액정모듈 장착위치에 메모리카드나 커플액세서리 등을 장착시켜 다른 기기의 메모리카드 등을 호환할 수 있도록 하고, 단말기의 공간활용성을 높힌 착탈가능한 액정모듈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셀룰러 폰이나 PCS 등의 이동통신 단말기에는 크게 플립형과 폴더형이 있으며, 이 중 플립형은 본체부에 액정모듈이 구비되고,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는 폴더부에 액정모듈이 구비된 것으로, 플립형 단말기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로 만들 수 있으면서도 디스플레이의 대형화가 용이하여 근래에 들어 널리 사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최근 널리 사용되고 있는 듀얼 폴더형 단말기는, 단말기 폴더부의 내측면에 일반적으로 장착되는 메인디스플레이 외에 폴더부 외측면에 서브디스플레이를 추가로 장착하여 폴더부를 열지 않고도 상기 서브디스플레이를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소정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와 같은 플립형, 폴더형, 듀얼 폴더형 단말기의 액정모듈은 본체부나 폴더부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단순히 데이터를 표시하는 단순한 기능만을 제공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최근 MP3나 사진, 동영상 등을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카드 등을 구비할 수 있는 단말기의 경우, 메모리카드 등을 장착하기 위한 별도의 공간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설계가 복잡해지고, 상대적으로 컴팩트한 단말기를 제공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체부 또는 폴더부에 구비되는 액정모듈을 탈착가능하게 하여, 액정모듈 장착위치에 별도의 장착부재, 예를 들면 메모리카드나 커플액세서리 등을 장착시켜 별도의 장착공간 구비없이 별도의 장착부재를 구비할 수 있도록 하여 다른 기기와의 호환성을 향상시키고, 활용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착탈가능한 액정모듈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별도의 장착부재, 예를 들면 메모리카드 등을 장착하기 위한 별도의 공간이 필요없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컴팩트한 단말기를 제공할 수 있는 착탈가능한 액정모듈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단말기의 본체의 외형을 이루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형성되는 안착부; 상기 안착부에 탈착가능하게 구비되는 액정모듈; 상기 안착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액정모듈의 양단부가 삽입되어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지지홈; 상기 액정모듈의 상면에 탈착가능하게 구비되는 투명재질의 윈도우; 및 상기 윈도우를 케이스 상에서 고정시키는 록킹수단을 포함하는 착탈가능한 액정모듈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한다.
상기 안착부의 상면에는 상기 액정모듈과 전기 및 회로적으로 접속되기 위한 접지단자가 구비된다.
상기 지지홈은 상기 케이스의 길이방향 또는 폭방향으로 안착부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1지지홈부; 및 상기 제1지지홈부가 형성된 측에 대향하는 측에 형성되는 제2지지홈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록킹수단은, 상기 액정모듈의 일단부에 형성되는 돌기; 상기 돌기가 삽입되도록 케이스에 형성되는 안내홈; 상기 돌기가 형성된 측에 대향하는 케이스에 길이방향 탄성지지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윈도우가 안착될 때 윈도우의 윗면을 고정시키는 록킹노브로 이루어진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착탈가능한 액정모듈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2a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액정모듈이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2b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액정모듈이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착탈가능한 액정모듈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단말기의 본체의 외형을 이루는 케이스(10)와; 상기 케이스(10)의 내부에 형성되는 안착부(11)와; 상기 안착부에 탈착가능하게 구비되는 액정모듈, 특히 보조액정모듈(20)과; 상기 안착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액정모듈(20)의 양단부가 삽입되어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지지홈(30)과; 상기 액정모듈(20)의 상면에 탈착가능하게 구비되는 투명재질의 윈도우(40); 및 상기 윈도우(40)를 케이스(10) 상에서 고정시키는 록킹수단(미도시)을 포함한다.
상기 안착부(11)는 케이스(10)의 상면으로부터 소정깊이 홈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안착부의 상면에는 상기 액정모듈(20)과 전기 및 회로적으로 접속되기 위한 접지단자(12)가 구비된다.
상기 지지홈(30)은 케이스의 길이방향으로 안착부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1지지홈과, 상기 지지홈이 형성된 측에 대향하는 측에 형성되는 제2지지홈으로 이루어진다. 이는 상기 액정모듈(20)이 안착부에 안착될 때, 일단부가 상기 제1지지홈으로 끼워지면서 안착부(11)에 수평상태로 놓인 상태에서 다시 액정모듈(20)의 타단부를 제2지지홈으로 끼워 액정모듈(20)의 양단부가 삽입된 상태로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에서, 상기 지지홈(30)은 케이스(10)의 길이방향이 아닌 케이스(10)의 폭방향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 때에는 액정모듈(20)의 일측단부가 먼저 끼워지고 타측단부에 나중에 끼워지는 방식으로 안착된다.
상기 액정모듈(20)의 상면을 보호하면서 안착되는 윈도우(40)를 고정시키기 위한 록킹수단은, 상기 윈도우(40)를 케이스(10)에 탈착가능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방식이라면 어떠한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 일예로, 상기 액정모듈(20)의 일단부에 형성되는 돌기와, 상기 돌기가 삽입되도록 케이스(10)에 형성되는 안내홈과, 상기 돌기가 형성된 측에 대향하는 케이스(10)에 길이방향 탄성지지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윈도우(40)가 안착될 때 윈도우(40)의 윗면을 고정시키는 록깅노브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착탈가능한 액정모듈(20)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 상기 액정모듈(20)을 케이스(10)의 안착부(11)로부터 제거하고, 그 안착부(11)에 메모리카드나 커플 악세서리 등을 안착시키는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록킹수단을 해제하여 케이스(10)로부터 윈도우(40)를 제거한다. 상기 일예의 록킹수단이 적용된 경우의 동작을 일예로 하여 설명하면, 상기 윈도우(40)의 상면에서 록킹노브를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윈도우(40)의 일단부를 잡고 상측으로 분리한다. 상기 윈도우(40)가 분리되면 상기 록킹노브는 탄성력에 의하여 원위치로 복구된다.
상기 윈도우(40)가 제거되면, 먼저 액정모듈(20)을 잡고 케이스(1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액정모듈(20)의 일단부는 제2지지홈으로부터 빠져나오게 되고, 액정모듈(20)을 제2지지홈으로부터 빼낸 상태에서 다시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제2지지홈으로부터 빠져나오게 되어 액정모듈(20)의 제거도 완료된다.
상기와 같이 액정모듈(20)이 제거된 안착부(11)에 메모리카드를 안착시키기 위해서는, 먼저 메모리카드의 일단부를 제1지지홈으로 밀어넣은 다음 다시 케이스(10)의 길이방향으로 소정 이동시켜 메모리카드의 타단부를 제2지지홈으로 밀어놓어 지지시킨다.
이러한 상태에서, 케이스(10) 안착부(11)에 형성된 장착홈으로 윈도우(40)의 돌기를 삽입시킨 다음, 안착부 일측의 록킹노브를 이동시킨 상태에서 윈도우(40)를 케이스(10)의 상면과 동일 평면상에 위치시킨다. 그런 다음, 상기 록킹노브는 탄성적으로 윈도우의 상면으로 이동되어 윈도우(40)를 안정적으로 고정시켜, 액정모듈(20)이 제거된 안착부(11)에 메모리카드를 안착시킬 수 있다.
상기 설명에서, 액정모듈(20) 대신에 메모리카드가 안착되는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안착부(11)에 더미를 안착시키고, 그 상면에 사용자가 넣고자 하는 사진(51)을 위치시킬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되는 액정모듈, 특히 보조액정모듈을 본체에 착탈가능하도록 하여, 그 액정모듈이 제거된 안착부에 메모리카드나, 커플 액세사리 또는 사진등을 장착할 수 있도록 하고, 기존의 고정된 보조액정모듈의 공간을 활용하여 다른 기기에서 저장된 MP3나 사진, 동영상 등을 상용화된 메모리카드를 활용하여 다른 여과장치없이 단말기에서 바로 활용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된 MP3나 사진, 동영상 주소록, 메모, 일정 등을 다른 기기에서 활용할 수 있으며, 다른 사람과도 간단한 메모리카드 교환만으로 저장된 정보를 공유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단말기의 액정모듈은 본체부나 폴더부에서 착탈가능하게 하여 그 안착부에 MP3나 사진, 동영상 등을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카드 등을 구비할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또한, 메모리카드 등을 장착하기 위한 별도의 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컴팩트한 단말기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착탈가능한 액정모듈을 도시한 단면도.
도2a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액정모듈이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2b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액정모듈이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착탈가능한 액정모듈이 안착되는 안착부에 사진이 안착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케이스 11: 안착부
20: 액정모듈 30: 지지홈
40: 윈도우 51: 사진

Claims (6)

  1. 단말기의 본체의 외형을 이루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형성되는 안착부;
    상기 안착부에 탈착가능하게 구비되는 액정모듈;
    상기 안착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액정모듈의 양단부가 삽입되어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지지홈;
    상기 액정모듈의 상면에 탈착가능하게 구비되는 투명재질의 윈도우; 및
    상기 윈도우를 케이스 상에서 고정시키기 위한 록킹수단을 포함하는
    착탈가능한 액정모듈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의 상면에는 상기 액정모듈과 전기 및 회로적으로 접속되기 위한 접지단자가 구비되는
    착탈가능한 액정모듈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홈은
    상기 케이스의 길이방향으로 안착부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1지지홈부; 및
    상기 제1지지홈부가 형성된 측에 대향하는 측에 형성되는 제2지지홈으로 이루어지는
    착탈가능한 액정모듈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홈은 케이스의 폭방향으로 형성되는
    착탈가능한 액정모듈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수단은,
    상기 액정모듈의 일단부에 형성되는 돌기;
    상기 돌기가 삽입되도록 케이스에 형성되는 안내홈;
    상기 돌기가 형성된 측에 대향하는 케이스에 길이방향 탄성지지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윈도우가 안착될 때 윈도우의 윗면을 고정시키는 록킹노브로 이루어지는
    착탈가능한 액정모듈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6. 단말기의 본체의 외형을 이루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형성되는 안착부;
    상기 안착부에 탈착가능하게 구비되는 모듈화된 부품;
    상기 안착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모듈화된 부품의 양단부가 삽입되어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지지홈;
    상기 모듈화된 부품의 상면에 탈착가능하게 구비되는 투명재질의 윈도우; 및
    상기 윈도우를 케이스 상에서 고정시키기 위한 록킹수단을 포함하는
    착탈가능한 모듈화된 부품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KR10-2003-0037839A 2003-06-12 2003-06-12 착탈가능한 액정모듈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KR1005238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7839A KR100523894B1 (ko) 2003-06-12 2003-06-12 착탈가능한 액정모듈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7839A KR100523894B1 (ko) 2003-06-12 2003-06-12 착탈가능한 액정모듈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7050A KR20040107050A (ko) 2004-12-20
KR100523894B1 true KR100523894B1 (ko) 2005-10-25

Family

ID=373813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7839A KR100523894B1 (ko) 2003-06-12 2003-06-12 착탈가능한 액정모듈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2389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06866A3 (ko) * 2014-07-07 2016-05-19 홍용표 이-페이퍼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제어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34707A (ko) 2005-09-26 2007-03-29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0688884B1 (ko) * 2005-10-11 2007-03-02 엘지전자 주식회사 Ic카드 홀딩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06866A3 (ko) * 2014-07-07 2016-05-19 홍용표 이-페이퍼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제어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7050A (ko) 2004-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41338C2 (ru) Мобильный терминал
EP2887179B1 (en) Protective cover for electronic device
KR100523894B1 (ko) 착탈가능한 액정모듈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JP2002044202A (ja) 携帯電話機の画像表示装置
KR200382503Y1 (ko) 이동통신단말기용 홀더
KR100660397B1 (ko) 디스플레이창 확장형 핸드폰
JP2004297337A (ja) 携帯端末
KR20010076296A (ko) 휴대용 이동 단말기
KR101946952B1 (ko) 휴대폰 케이스
KR200174763Y1 (ko) 폴더형 휴대폰의 카메라 렌즈 장착장치
KR200261459Y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보조 메모리 장치
JP3897166B2 (ja) 携帯情報端末
KR20050068341A (ko) 표시부가 거치되는 이동 통신 단말기
KR200362458Y1 (ko) 폴더형 휴대폰용 확대경
KR100535643B1 (ko)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
KR200259001Y1 (ko) 휴대폰의 포토 플립커버
KR100367758B1 (ko) 휴대용 표시 장치 케이스
KR200292164Y1 (ko) 카메라를 구비한 슬라이딩 타입 휴대폰
KR101113871B1 (ko) 이동 통신 단말기
KR200429531Y1 (ko) 돋보기를 갖는 휴대폰용 액세서리
KR100628147B1 (ko) 이동통신 단말기
KR200288054Y1 (ko) 외부 확장 메모리 슬롯이 구비된 컴팩트 플래시 타입 카드
KR200342559Y1 (ko) 다기능 폴더형 휴대폰
KR100663614B1 (ko) 폴더형 이동전화단말기
KR20140035220A (ko) 휴대 사용이 편리한 슬림 3단형 휴대폰 화면 확대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