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22693B1 - Organic electro luminescence display device - Google Patents

Organic electro luminescence display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2693B1
KR100522693B1 KR10-2003-0047533A KR20030047533A KR100522693B1 KR 100522693 B1 KR100522693 B1 KR 100522693B1 KR 20030047533 A KR20030047533 A KR 20030047533A KR 100522693 B1 KR100522693 B1 KR 1005226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substrate
light emitting
front substrate
organ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753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50007902A (en
Inventor
류승윤
이관희
송승용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475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2693B1/en
Publication of KR200500079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790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26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2693B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9/87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including getter material or desiccan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02Details
    • H05B33/04Sealing arrangements, e.g. against humidity

Landscapes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기 전계 발광표시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배면 기판과; 배면 기판의 일면에 형성되고, 제1전극, 유기층, 제2전극 순으로 적층되어 이루어진 유기 전계 발광부와; 배면 기판과 밀봉재에 의하여 결합되어 유기 전계 발광부가 수용된 내부 공간을 밀봉하는 전면 기판과; 전면 기판의 내측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밀봉재로부터 전면 기판의 중앙측으로 밀봉재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내부 공간의 수분 등을 흡수하는 흡습제;를 구비하여, 유기층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According to the invention, the rear substrate; An organic electroluminescent unit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rear substrate and stacked in the order of the first electrode, the organic layer, and the second electrode; A front substrate coupled to the rear substrate and the sealing material to seal an inner space in which the organic electroluminescent unit is accommodated; It is provided on the inner side of the front substrate, and is disposed adjacent to the sealing material from the sealing material to the center side of the front substrate to absorb moisture in the internal space; and has an effect of preventing damage to the organic layer.

Description

유기 전계 발광표시장치{Organic electro luminescence display device}Organic 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유기 전계 발광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면발광의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도록 봉지 구조가 개선된 유기 전계 발광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having an improved encapsulation structure so that it can be applied even in the case of top emission.

통상적으로, 유기 전계 발광표시장치는 형광성을 가진 유기 화합물을 전기적으로 여기시켜 발광시키는 자발광형 디스플레이로서, 낮은 전압에서 구동이 가능하고, 박형화가 용이하며 광시야각, 빠른 응답속도 등 액정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문제점으로 지적되는 사항을 해결할 수 있는 차세대 디스플레이로 주목받고 있다.In general,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is a self-luminous display that electrically excites fluorescent organic compounds to emit light, and can be driven at a low voltage, is easy to thin, and can be used i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s such as wide viewing angles and fast response speeds. It is attracting attention as a next-generation display that can solve the problems pointed out by the problem.

이러한 유기 전계 발광표시장치는, 배면 기판과, 상기 배면 기판에 제1전극, 유기막, 제2전극 순으로 적층되어 이루어진 유기 전계 발광부와, 상기 유기 전계 발광부가 수용된 내부 공간을 밀봉하도록 상기 배면 기판과 결합되는 전면 기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includes a rear substrate, an organic electroluminescent unit formed by stacking the first electrode, the organic layer, and the second electrode on the rear substrate, and the rear surface to seal an internal space in which the organic electroluminescent unit is accommodated. And a front substrate coupled with the substrate.

상기와 같이 구성된 유기 전계 발광표시장치는 전극들에 양극 및 음극 전압이 인가됨에 따라 양극 전압이 인가된 전극으로부터 주입된 정공(hole)이 정공 수송층을 경유하여 유기막의 발광층으로 이동하고, 전자는 음극 전압이 인가된 전극으로부터 전자 수송층을 경유하여 발광층으로 주입된다. 상기 발광층에서 전자와 홀이 재결합하여 여기자(exciton)를 생성하고, 상기 여기자가 여기상태에서 기저상태로 변화함에 따라, 발광층의 형광성 분자가 발광함으로써 화상이 형성된다.In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s the anode and cathode voltages are applied to the electrodes, holes injected from the electrode to which the anode voltage is applied move to the light emitting layer of the organic layer via the hole transport layer, and the electrons are the cathode. The light is injected from the electrode to which the voltage is applied via the electron transport layer. Electrons and holes recombine in the light emitting layer to generate excitons, and as the excitons change from the excited state to the ground state, an image is formed by the fluorescent molecules of the light emitting layer emitting light.

한편, 배면 기판을 통하여 발광되는 배면 발광의 경우에는 제1전극이 투명 전극으로, 제2전극이 반사형 전극으로 이루어지며, 전면 기판을 통하여 발광되는 전면 발광의 경우에는 제1전극이 반사형 전극으로, 제2전극이 투명 전극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여기서, 제1전극은 배면 기판에 가깝게 배치되며, 제2전극은 전면 기판에 가깝게 배치된다.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back emission emitted through the back substrate, the first electrode is made of a transparent electrode, the second electrode is made of a reflective electrode, and in the case of the top emission emitted through the front substrate, the first electrode is a reflective electrode As a result, the second electrode is made of a transparent electrode. Here, the first electrode is disposed close to the rear substrate, and the second electrode is disposed close to the front substrate.

전술한 바와 같은 유기 전계 발광표시장치에 있어서, 유기막은 수분과 산소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는다. 즉, 수분과 산소는 유기막의 특성을 악화시키는 등 많은 문제를 수반할 뿐만 아니라 수명을 단축시키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수분 등이 유기 전계 발광표시장치 내로 침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봉지 구조를 필요로 한다. In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s described above, the organic film is greatly affected by moisture and oxygen. That is, moisture and oxygen not only have many problems such as deteriora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organic film but also shorten the lifespan. 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an encapsulation structure that can prevent such moisture or the like from penetrating into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이를 위하여 종래에 여러 가지 방안들이 강구되고 있는데, 그 일예로서, 전면 기판의 중앙부에 홈을 가공하고, 상기와 같이 가동한 홈에 흡습제를 파우더 형태로 탑재하거나 필름 형태로 제조하여 접착수단을 이용하여 접착하는 방법이 그것이다. To this end, various conventional methods have been devised. As an example, a groove is processed in the center of the front substrate, and a moisture absorbent is mounted in the form of a powder in the groove operated as described above or manufactured in the form of a film. That is how to glue.

그런데, 배면 기판을 통하여 발광되는 배면 발광의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전면 기판에 흡습제가 설치됨에 따라 발광 영역에 영향을 미치지 않게 되나, 전면 기판을 통하여 발광되는 전면 발광의 경우에는 불투명한 흡습제로 인하여 발광 영역이 간섭을 받게 되므로 상기와 같은 봉지 방법이 적용될 수 없게 된다. However, in the case of the back emission emitted through the rear substrate, as described above, the absorbent is installed on the front substrate so as not to affect the light emitting area, but in the case of the top emission emitted through the front substrate, due to the opaque absorbent Since the light emitting region is subjected to interference, the above encapsulation method cannot be applied.

이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일본 특개평5-335080호에 개시된 전계 발광소자의 보호막 형성방법이 있다. 개시된 바에 따르면, 적어도 한편이 투명한 양극과 음극의 사이에 적어도 한 종류의 유기 화합물을 포함한 전계 발광 물질층이 마련된 유기 박막 전계 발광소자의 표면에 무정형 실리카 보호막을 두껍게 도포함으로써, 외부로부터 수분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re is a method of forming a protective film of an electroluminescent device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Laid-Open No. 5-335080.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at least one surface of the organic thin film electroluminescent device having an electroluminescent material layer including at least one kind of organic compound provided between the transparent anode and the cathode is thickly coated with an amorphous silica protective film to thereby infiltrate moisture from the outside. It is structured to prevent the damage.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조는 단지 전계 발광 물질층으로 수분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 전계 발광소자 내에 존재하는 수분을 흡수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However, such a structure can only prevent moisture from penetrating into the electroluminescent material layer and has a problem in that it cannot absorb moisture present in the electroluminescent device.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전면 발광의 경우에도 유기층으로 수분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흡습제를 탑재할 수 있게 되어, 유기층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유기 전계 발광표시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even in the case of full emission, it is possible to mount an absorbent for preventing moisture from penetrating into the organic layer, thereby providing a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which can prevent damage to the organic layer. Its purpose is to.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유기 전계 발광표시장치는,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배면 기판과;A back substrate;

상기 배면 기판의 일면에 형성되고, 제1전극, 유기층, 제2전극 순으로 적층되어 이루어진 유기 전계 발광부와;An organic electroluminescent part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rear substrate and stacked in a first electrode, an organic layer, and a second electrode;

상기 배면 기판과 밀봉재에 의하여 결합되어 상기 유기 전계 발광부가 수용된 내부 공간을 밀봉하는 전면 기판과;A front substrate coupled to the rear substrate and a sealing material to seal an inner space in which the organic electroluminescent unit is accommodated;

상기 전면 기판의 내측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밀봉재로부터 상기 전면 기판의 중앙측으로 상기 밀봉재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내부 공간의 수분 등을 흡수하는 흡습제;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is provided on the inner side of the front substrate, it is disposed adjacent to the sealing material from the sealing material to the center side of the front substrate; and a moisture absorbent for absorbing moisture in the internal spa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상기 유기 전계 발광부의 제1전극은 반사형 전극으로, 제2전극은 투명 전극으로 이루어져, 상기 전면 기판을 통하여 발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first electrode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unit is a reflective electrode, the second electrode is made of a transparent electrode, it is preferable to emit light through the front substrate.

상기 흡습제는 상기 전면 기판의 비발광 영역과 상기 밀봉재 사이에 배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The moisture absorbent is preferably disposed between the non-light emitting region of the front substrate and the sealing material.

상기 전면 기판의 내측면에 수용부가 형성되며, 상기 수용부에 상기 흡습제가 수용된 것이 바람직하다. An accommodating part is formed on an inner side surface of the front substrate, and the moisture absorbent is preferably contained in the accommodating part.

상기 흡습제는 필름 형태로 되어 접착수단에 의하여 상기 전면 기판의 내측면에 접착된 것이 바람직하다. The moisture absorbent is preferably in the form of a film and adher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front substrate by an adhesive means.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유기 전계 발광표시장치는, Th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배면 기판과;A back substrate;

상기 배면 기판의 일면에 형성되고, 반사형 전극인 제1전극, 유기층, 투명 전극인 제2전극 순으로 적층되어 이루어진 유기 전계 발광부와; An organic electroluminescent unit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rear substrate and stacked in a first electrode as a reflective electrode, an organic layer, and a second electrode as a transparent electrode;

상기 배면 기판과 밀봉재에 의하여 결합되어 상기 유기 전계 발광부가 수용된 내부 공간을 밀봉하는 것으로, 상기 제2전극과 가깝게 배치되는 전면 기판과;A front substrate coupled to the rear substrate and a sealing material to seal an inner space in which the organic electroluminescent unit is accommodated, the front substrate disposed close to the second electrode;

상기 전면 기판의 내측면에 비발광 영역과 상기 밀봉재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내부 공간의 수분 등을 흡수하는 흡습제;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d a hygroscopic agent disposed between the non-light emitting region and the sealing member on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front substrate to absorb moisture in the internal space and the lik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도 3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전계 발광표시장치의 일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1 to 3 illustrate an embodiment of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면, 유기 전계 발광표시장치(10)는 배면 기판(11)과, 상기 배면 기판(11)의 일면에 형성된 유기 전계 발광부(12)와, 상기 유기 전계 발광부(12)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배면 기판(11)과 결합되어지는 상기 유기 전계 발광부(12)를 밀봉하는 전면 기판(1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10 includes a rear substrate 11, an organic electroluminescent unit 12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rear substrate 11, and an upper portion of the organic electroluminescent unit 12. And a front substrate 13 disposed at and sealing the organic electroluminescent portion 12 to be coupled to the rear substrate 11.

상기 배면 기판(11)은 유리 기판 또는 투명한 절연 기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back substrate 11 may be formed of a glass substrate or a transparent insulating substrate.

상기 배면 기판(11)과 전면 기판(13)에 의하여 밀봉되어 외부와 차단되는 유기 전계 발광부(12)는, 배면 기판(11)상에 제1전극, 발광층인 유기층, 제2전극의 순으로 적층되는데, 상기 제1전극, 유기층, 제2전극은 증착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전극이 양극으로, 제2전극이 음극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반대로 상기 제1전극이 음극으로, 제2전극이 양극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organic electroluminescent unit 12 sealed by the rear substrate 11 and the front substrate 13 and blocked from the outside is formed on the rear substrate 11 in order of the first electrode, the organic layer serving as the light emitting layer, and the second electrode. The first electrode, the organic layer, and the second electrode may be formed by deposition. Here, the first electrode may be an anode, the second electrode may be an anode, and conversely, the first electrode may be an anode, and the second electrode may be an anode.

한편, 상기 제1,2전극의 성질에 따라 배면 발광 또는 전면 발광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배면 기판(11)을 통하여 발광되어 화상이 표시되는 배면 발광의 경우, 상기 유기 전계 발광부(12)의 제1전극이 투명 전극으로, 제2전극이 반사형 전극으로 형성된다. 상기 전면 기판(13)을 통하여 화상이 표시되는 전면 발광의 경우, 상기 유기 전계 발광부(12)의 제1전극이 반사형 전극으로, 제2전극이 투명 전극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전극은 배면 기판(11)측에 가깝게 배치되며, 제2전극은 전면 기판(13)측에 가깝게 배치된다. Meanwhile, the bottom emission or the top emission may be performed according to the properties of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That is, in the case of back emission in which light is emitted through the rear substrate 11 to display an image, the first electrode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unit 12 is formed of a transparen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is formed of a reflective electrode. In the case of top emission in which an image is displayed through the front substrate 13, the first electrode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unit 12 may be a reflective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may be a transparent electrode. Here, the first electrode is disposed close to the rear substrate 11 side, and the second electrode is disposed close to the front substrate 13 side.

그리고, 상기 제2전극의 상면에는 내열성, 내화학성, 내투습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유기 전계 발광부(12)의 상면을 평탄하게 할 수 있는 무기물로 이루어진 보호막이 더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상기 보호막으로는 금속 산화물 또는 금속 질화물이 이용될 수 있다. In addition, a protective film made of an inorganic material that may flatten the top surface of the organic electroluminescent part 12 may be further formed on the top surface of the second electrode to provide heat resistance, chemical resistance, and moisture permeability. As the metal oxide or metal nitride may be used.

상기 전면 기판(13)과 배면 기판(11)에 의해 구획되는 내부공간은 진공으로 형성되거나 네온이나 아르곤 등과 같은 불활성기체로 충전되거나, 동일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액체가 이용될 수 있다. The inner space partitioned by the front substrate 13 and the rear substrate 11 may be formed by vacuum, filled with an inert gas such as neon or argon, or a liquid capable of performing the same role may be used.

상기 전면 기판(13)과 배면 기판(11) 사이의 결합은 통상적인 밀봉재(14 ,sealant)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전면 기판(13) 또는 배면 기판(11) 사이에 기판들(11)(13)의 가장자리를 따라 밀봉재(14)가 형성되며, 상기와 같이 밀봉재(14)가 형성된 상태에서, 자외선이나 가시광선, 또는 열을 이용하여 경화함으로써, 상기 전면 기판(13)과 배면 기판(11)이 결합됨으로써, 상기 유기 전계 발광부(12)가 형성된 내부 공간이 밀봉되어질 수 있다. The coupling between the front substrate 13 and the rear substrate 11 may be made by a conventional sealant 14. That is, the sealing material 14 is formed between the front substrate 13 or the rear substrate 11 along the edges of the substrates 11 and 13, and in the state where the sealing material 14 is formed as described above, ultraviolet rays or By curing with visible light or heat, the front substrate 13 and the rear substrate 11 are coupled, whereby the internal space in which the organic electroluminescent portion 12 is formed may be sealed.

상기 배면 기판(11)과 대향되는 전면 기판(13)은 절연체인 유리 기판 또는 투명한 절연 기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전면 기판(13)에는 흡습제(15)가 설치되어진다. 상기 흡습제(15)는 수분을 흡수할 수 있는 통상적인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The front substrate 13 facing the rear substrate 11 may be formed of a glass substrate or a transparent insulating substrate that is an insulator, and the front substrate 13 is provided with a moisture absorbent 15. The moisture absorbent 15 may be formed of a conventional material capable of absorbing moisture.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전면 기판(13)의 내측, 즉 상기 유기 전계 발광부(12)를 향하는 면에 흡습제(15)가 설치되어진다. According to one feature of the invention, the moisture absorbent 15 is provided on the inner side of the front substrate 13, that is, the surface facing the organic electroluminescent portion 12.

상기 흡습제(15)는 전면 기판(13)에 있어서, 전면 발광시 화상이 표시되는 영역인 발광영역(21)의 외측에 마련된 사공간에 배치된다. 즉, 상기 사공간은 화상이 표시되지 않는 비발광 영역(22)으로서, 화상 표시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영역이다. The moisture absorbent 15 is disposed in the dead space provided on the front substrate 13 outside the light emitting region 21, which is an area where an image is displayed during front emission. That is, the dead space is a non-light emitting area 22 in which no image is displayed and is an area which does not affect image display.

상기 흡습제(15)는 밀봉재(14)와 상기 발광영역(21) 사이의 비발광 영역(22)에 배치되며, 아울러, 상기 흡습제(15)는 비발광 영역(22)에 있어 발광 영역(21)에 보다 근접하게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흡습제(15)가 비발광 영역(22)에 위치됨에 따라, 발광영역(21)에서의 화상 표시가 전면 발광시에도 전면 기판(13)에 설치되는 흡습제(15)로 인하여 간섭받지 않게 된다. 아울러, 상기 흡습제(15)가 전면 기판(13)과 배면 기판(11) 사이의 공간 내에 배치될 수 있어, 상기 공간 내에 있는 수분 등에 의한 유기 전계 발광부(12)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어 장치의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The moisture absorbent 15 is disposed in the non-light emitting region 22 between the sealing material 14 and the light emitting region 21, and the absorbent 15 is in the non-light emitting region 22. It is preferably located closer to. As the moisture absorbent 15 is positioned in the non-light emitting region 22 as described above, the image display in the light emitting region 21 is prevented from being interfered by the moisture absorbent 15 installed on the front substrate 13 even during full emission. do. In addition, the moisture absorbent 15 may be disposed in a space between the front substrate 13 and the rear substrate 11, thereby preventing damage to the organic electroluminescent portion 12 due to moisture or the like in the space.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life of the.

상기와 같이 비발광 영역(22)에 배치되는 흡습제(15)를 전면 기판(13)에 설치하기 위해서, 상기 전면 기판(13)의 내측에는 흡습제(15)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가진 수용부(16)가 형성되어 있다. 도시된 바에 따르면, 상기 수용부(16)는 전면 기판(13)에 있어 3면에 걸쳐 소정 간격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홈들로 이루어져 있다. 한편, 상기 홈들이 형성되지 않은 일면으로는 상기 전극들에 전압 및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선들이 배설될 수 있다. In order to install the moisture absorbent 15 disposed on the non-light emitting region 22 on the front substrate 13 as described above, an accommodating part having a space in which the moisture absorbent 15 can be accommodated inside the front substrate 13. 16 is formed. As shown, the receiving portion 16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grooves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over three surfaces of the front substrate 13. Meanwhile, supply lines for supplying voltage and current to the electrodes may be disposed on one surface where the grooves are not formed.

상기 홈들은 에칭 등에 의해 패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홈들의 크기 및 개수는 수분을 충분히 흡수할 수 있도록 충분한 용량의 흡습제(15)가 설치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grooves may be patterned by etching or the like. In addition, the size and number of the grooves is preferably provided so that the absorbent 15 of sufficient capacity can be installed to sufficiently absorb moisture.

상기와 같이 형성된 홈들에 수용되는 흡습제(15)는 파우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와 같은 파우더 형태로 상기 홈들에 수용된 후에는, 상기 흡습제(15)가 홈들로부터 빠져나오지 않도록 메쉬 부재 등으로 홈들을 폐쇄할 수 있다. The moisture absorbent 15 accommodated in the grooves formed as described above may be formed in a powder form. After the moisture absorbent 15 is accommodated in the grooves in the powder form as described above, the grooves may be formed by a mesh member or the like so that the moisture absorbent 15 does not escape from the grooves. Can be closed.

한편, 전술한 바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방식으로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흡습제가 필름 형태로 이루어져 접착수단에 의하여 전면 기판에 접착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흡습제는 전술한 바와 같은 위치에 배치되어야함은 물론이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and may be installed in various ways. For example, the moisture absorbent may be formed in a film form and adhered to the front substrate by an adhesive means. At this time, the moisture absorbent should be disposed in the position as described above, of course.

도 4 및 도 5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 전계 발광표시장치를 나타내었다. 4 and 5 illustrate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에 따른 유기 전계 발광표시장치(40)는, 흡습제(45)가 설치되는 수용부(46)가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유기 전계 발광표시장치(10)에 있어서의 수용부(46)와 구조상 차이가 있다. 이하에서는 차이점에 대하여 상술하기로 한다. In th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4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accommodating part 46 in which the moisture absorbent 45 is installed is the accommodating part 46 in th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10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re is a structural difference. Hereinafter, the differenc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유기 전계 발광표시장치(40)의 수용부(46)는 전면 기판(43)의 3면에 대하여 연속적인 홈으로 이루어져 있다. As shown, the accommodating portion 46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40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is formed with continuous grooves on three surfaces of the front substrate 43.

상기 홈은 상기 전면 기판(43)의 내측인 유기 전계 발광부(42)를 향하는 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전면 기판(43)과 배면 기판(41)을 상호 결합시키는 밀봉재(44)와 발광 영역(51) 사이의 비발광 영역(52)에 배치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 홈은 비발광 영역(52)에 있어 발광 영역(51)에 보다 근접하게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와 같이 홈이 연속적으로 형성되어지게 되면, 상기 홈에 수용되는 흡습제(45)의 용량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게 되므로, 유기 전계 발광표시장치(40)의 크기 설계에 제약을 주지 않는 범위 내에서 소정의 수분 흡수 능력을 지닐 수 있다. The groove is formed on a surface of the front substrate 43 facing the organic electroluminescent portion 42, and more specifically, the sealing member 44 which mutually couples the front substrate 43 and the rear substrate 41 to each other. ) And the non-light emitting area 52 between the light emitting area 51. In addition, the groove is preferably located closer to the light emitting region 51 in the non-light emitting region 52. On the other hand, if the grooves are continuously formed as described above, the capacity of the absorbent 45 accommodated in the grooves can be sufficiently secured, and thus the size of th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40 is not limited. It may have a certain moisture absorption capacity within.

상기 홈은 에칭 등에 의해 패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홈의 폭은 수분을 충분히 흡수할 수 있도록 충분한 용량의 흡습제(45)가 설치될 수 있도록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홈이 형성되지 않은 일면으로는 상기 전극들에 전압 및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선들이 배설될 수 있다. The groove may be patterned by etching or the like, and the width of the groove is preferably set such that a moisture absorbent 45 having a sufficient capacity can be installed to sufficiently absorb moisture. Meanwhile, supply lines for supplying voltage and current to the electrodes may be disposed on one surface where the groove is not formed.

상기와 같이 비발광 영역(52)에 형성된 홈에는 흡습제(45)가 수용되어지며, 상기 흡습제(45)는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파우더 형태 또는 필름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moisture absorbent 45 is accommodated in the groove formed in the non-light emitting region 52 as described above, and the moisture absorbent 45 may be formed in a powder form or a film form a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기 전계 발광표시장치는, 흡습제가 비발광 영역에 설치됨에 따라, 발광영역에서의 화상 표시가 전면 발광시에도 전면 기판에 설치되는 흡습제로 인하여 간섭받지 않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moisture absorbent is installed in the non-light emitting area, the image display in the light emitting area is prevented from being interfered by the moisture absorbent installed on the front substrate even when the light is emitted from the front surface.

또한, 흡습제가 전면 기판과 배면 기판 사이의 공간 내에 설치될 수 있어, 상기 공간 내에 있는 수분 등에 의한 유기 전계 발광부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됨으로써, 장치의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moisture absorbent may be installed in the space between the front substrate and the rear substrate, thereby preventing damage to the organic electroluminescent unit due to moisture or the like in the space, thereby improving the life of the device.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one embodiment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is is merely exemplary, and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Could be.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protection of the invention should be defin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전계 발광표시장치에 대한 평면도. 1 is a plan view of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 있어서, Ⅱ-Ⅱ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II of FIG. 1. FIG.

도 3은 도 1에 있어서, Ⅲ-Ⅲ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I-III in FIG. 1;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 전계 발광표시장치에 대한 평면도. 4 is a plan view of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도 4에 있어서, Ⅴ-Ⅴ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VV of FIG. 4. FIG.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Brief description of the major symbols in the drawings>

11,41..배면 기판 12,42..유기 전계 발광부11,41 Back substrate 12,42 Organic electroluminescent unit

13,43..전면 기판 14,44..밀봉재13,43.Front substrate 14,44..Sealer

15,45..흡습제 16,46..수용부15,45..Hydraulic 16,46 ..

21,51..발광영역 22.52..비발광 영역21.51.Emitting area 22.52.Non-emitting area

Claims (8)

배면 기판과;A back substrate; 상기 배면 기판의 일면에 형성되고, 제1전극, 유기층, 제2전극 순으로 적층되어 이루어진 유기 전계 발광부와;An organic electroluminescent part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rear substrate and stacked in a first electrode, an organic layer, and a second electrode; 상기 배면 기판과 밀봉재에 의하여 결합되어 상기 유기 전계 발광부가 수용된 내부 공간을 밀봉하는 전면 기판과;A front substrate coupled to the rear substrate and a sealing material to seal an inner space in which the organic electroluminescent unit is accommodated; 상기 전면 기판의 내측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전면 기판의 발광 영역과 상기 밀봉재 사이에 필름 형태로 접착되어 배치됨으로써 상기 내부 공간의 수분 등을 흡수하는 흡습제;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 발광표시장치. An organic electric field installed on the inner side of the front substrate, the hygroscopic agent absorbing moisture in the internal space by being adhered in a film form between the light emitting region of the front substrate and the sealing member;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유기 전계 발광부의 제1전극은 반사형 전극으로, 제2전극은 투명 전극으로 이루어져, 상기 전면 기판을 통하여 발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 발광표시장치. And a first electrode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unit is a reflective electrode, and a second electrode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unit emits light through the front substra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전면 기판은 유리 기판 또는 투명한 절연 기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 발광표시장치. And the front substrate is a glass substrate or a transparent insulating substrate.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2전극의 상면에는 무기물로 이루어진 보호막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 발광표시장치. And a protective film made of an inorganic material is further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electrode. 삭제delete
KR10-2003-0047533A 2003-07-12 2003-07-12 Organic electro luminescence display device KR10052269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7533A KR100522693B1 (en) 2003-07-12 2003-07-12 Organic electro luminescence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7533A KR100522693B1 (en) 2003-07-12 2003-07-12 Organic electro luminescence display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7902A KR20050007902A (en) 2005-01-21
KR100522693B1 true KR100522693B1 (en) 2005-10-19

Family

ID=372212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7533A KR100522693B1 (en) 2003-07-12 2003-07-12 Organic electro luminescence display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22693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98624B2 (en) 2006-08-03 2012-06-12 L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KR100835256B1 (en) * 2007-09-13 2008-06-05 이현구 Oled cap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KR102009725B1 (en) * 2012-09-06 2019-08-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pparatus and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29717A (en) * 1998-05-15 1999-11-30 Sharp Corp Color el panel
US6081071A (en) * 1998-05-18 2000-06-27 Motorola, Inc. Electroluminescent apparatu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and encapsulating
JP2001126862A (en) * 1999-10-25 2001-05-11 Futaba Corp Electroluminescent element having color filter
JP2002151253A (en) * 2000-08-18 2002-05-24 Semiconductor Energy Lab Co Ltd Luminescent device and display device
KR20020081856A (en) * 2001-04-20 2002-10-30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Packaging Apparatus of Organic Electro luminescence Element
JP2003323975A (en) * 2002-04-30 2003-11-14 Seiko Epson Corp Electrooptical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29717A (en) * 1998-05-15 1999-11-30 Sharp Corp Color el panel
US6081071A (en) * 1998-05-18 2000-06-27 Motorola, Inc. Electroluminescent apparatu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and encapsulating
JP2001126862A (en) * 1999-10-25 2001-05-11 Futaba Corp Electroluminescent element having color filter
JP2002151253A (en) * 2000-08-18 2002-05-24 Semiconductor Energy Lab Co Ltd Luminescent device and display device
KR20020081856A (en) * 2001-04-20 2002-10-30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Packaging Apparatus of Organic Electro luminescence Element
JP2003323975A (en) * 2002-04-30 2003-11-14 Seiko Epson Corp Electrooptical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7902A (en) 2005-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44121B1 (en) Organic electro luminescence display device
KR100819864B1 (en)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s
KR20030044659A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WO2002007235A1 (en) Patterned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KR100522693B1 (en) Organic electro luminescence display device
KR20100032703A (en)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0858803B1 (en) Organic electro luminesence display
KR100570746B1 (en) Organic electro luminescence display device
KR200257245Y1 (en)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KR100736578B1 (en) Electro-Luminescence Panel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KR100641738B1 (en) Organic Electro Luminescence Display Device And Fabricating Method Thereof
KR100645716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KR101193177B1 (en) Flat panel display device
KR20050077923A (en) 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KR100647005B1 (en)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reof
KR100965094B1 (en) An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and the fabrication method thereof
KR100940020B1 (en) Organic Electro Luminescence Display Device And Fabricating Method Thereof
KR100413434B1 (en) Structure for sealing Organic Electro Luminescence Device
KR101157227B1 (en) top emission type Organic Electro luminescence Device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KR100641737B1 (en) Organic Electro Luminescence Display Device
KR100626000B1 (en) 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JP2005050706A (en) Image display device
KR100900445B1 (en) Organic Electro Luminescence Display Device And Fabricating Method Thereof
JP2006114405A (en) Electroluminescent element
KR101001994B1 (en) Organic Electro Luminescence Device And Fabricating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30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