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20618B1 - 다기능 이동 통신 단말의 사용 제한 방법 - Google Patents

다기능 이동 통신 단말의 사용 제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0618B1
KR100520618B1 KR10-2003-0002447A KR20030002447A KR100520618B1 KR 100520618 B1 KR100520618 B1 KR 100520618B1 KR 20030002447 A KR20030002447 A KR 20030002447A KR 100520618 B1 KR100520618 B1 KR 1005206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communication
function
public
privat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24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65467A (ko
Inventor
이동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024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0618B1/ko
Priority to US10/756,791 priority patent/US20040147255A1/en
Publication of KR200400654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54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06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061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8Client or end-user data management, e.g. managing client capabilities, user preferences or demographics, processing of multiple end-users preferences to derive collaborative data
    • H04N21/25808Management of client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6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to restrict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04N21/41407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embedded in a portable device, e.g. video client on a mobile phone, PDA, lapt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508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 H04N21/4524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involving the geographical location of the cli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5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client and server
    • H04N21/654Transmission by server directed to the client
    • H04N21/6543Transmission by server directed to the client for forcing some client operations, e.g. recor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8Access security
    • H04W12/082Access security using revocation of authoris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H04N7/142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terminal equipment, e.g. arrangements of the camera and the display
    • H04N2007/145Handheld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04Large scale networks; Deep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042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 H04W84/045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using private Base Stations, e.g. femto Base Stations, home Node 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설망 이동 통신 서비스 지역에서 단말에 따라 다기능 이동 통신 단말이 구비한 부가 기능 사용을 제한하는 것으로, 다수의 다기능 이동 통신 단말의 사설망 이동 통신 서비스 지원 여부와, 단말에 따른 부가 기능 사용 가능 여부가 미리 등록된 사설망의 공중/사설 통신 서비스장치가 임의의 다기능 이동 통신 단말의 위치 등록시 사설망 이동 통신 서비스 지원 여부와, 부가 기능 사용 가능 여부를 확인하여, 그 결과에 따른 상기 다기능 이동 통신 단말의 기능 제한 여부 코드를 위치 등록 응답 메시지에 포함시켜 다기능 이동 통신 단말로 전송한다.

Description

다기능 이동 통신 단말의 사용 제한 방법{METHOD FOR PROHIBITING USE OF FUNCTION IN MULTI FUNC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MENT}
본 발명은 다기능 이동 통신 단말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설 이동 통신망에서 다기능 이동 통신 단말의 정보 저장을 제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들어 다양한 종류의 이동 통신 단말이 개발됨 따라 단순 통화를 위한 단말 이외에도, TV를 시청할 수 있는 TV폰, PDA 기능이 결합된 PDA폰, 동영상 기능과 함께 카메라가 탑재된 카메라 폰등 다양한 다기능 이동 통신 단말이 개발되고 있다. 동시에 정보화시대의 도래와 함께 정보 보호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현실에서 기업내 보안이 기업에 있어서 중요한 사항으로 인식되어지고 있다. 그런데, 현재 카메라가 내장 또는 외장으로 설치되어 있는 다기능 이동 통신 단말 또는 PDA기능을 구비한 이동 통신 단말의 경우 구내 및 일반 기업의 보안 지역으로 자유롭게 휴대가 가능하다. 일반 카메라 또는 노트북의 경우에는 일부 기업에서 반입을 금지하고 있으며 사내에서 어떠한 촬영이나 정보의 다운로드도 허가하지 않는 경우가 많은데 다기능 이동 통신 단말의 경우 아무런 제재 없이 반입이 가능하며, 아직 차단할 방법이 없다.
이에 따라 다기능 단말의 일 부 기능에 대한 보안 지역 내 통제가 필요하다. 예를 들어, 카메라 폰인 경우 사진 촬영에 대한 통제가 필요하며, PDA 폰의 경우 대량의 데이터를 다운로드할 수 있는 기능에 대한 통제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일부 지역에서 부가 기능의 수행을 제한하기 위한 다기능 이동 통신 단말의 기능 제한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특정 지역에서 카메라 촬영 기능을 제한하기 위한 다기능 이동 통신 단말의 기능 제한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특정 지역에서 대량의 정보의 다운 로드를 제한하기 위한 다기능 이동 통신 단말의 기능 제한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공중망 이동 통신 서비스와 사설망 서비스가 동시에 지원되는 공중/사설 셀 영역에서 일반적인 통화 기능 이외에 부가 기능을 구비한 다기능 이동 통신 단말의 부가 기능 제한 방법에 있어서, 공중/사설 통신 서비스 장치가 상기 공중/사설 셀 영역에서 상기 사설망 이동 통신 서비스를 제공받는 단말 정보와 상기 단말에 있어서 상기 부가 기능 사용 여부에 대한 정보를 미리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다기능 이동 통신 단말이 상기 공중/사설 셀 영역으로 진입시 상기 공중/사설 통신 서비스 장치가 전송하는 시스템 파라미터 메시지에 대응하여 상기 부가 기능을 구비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된 위치 등록 요구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공중/사설 통신 서비스 장치가 상기 위치 등록 요구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다기능 이동 통신 단말이 상기 사설망 이동 통신 서비스를 제공받는 단말인지와 부가 기능 사용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부가 기능 사용이 제한된 단말이면 위치 등록 요구 응답 메시지에 부가 기능 제한 코드를 포함시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다기능 이동 통신 단말이 상기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부가 기능의 수행을 제한하는 모드를 설정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은 사설망 이동 통신 서비스 지역에서 단말에 따라 다기능 이동 통신 단말이 구비한 부가 기능 사용을 제한하는 것으로, 다수의 다기능 이동 통신 단말의 사설망 이동 통신 서비스 지원 여부와, 단말에 따른 부가 기능 사용 가능 여부가 미리 등록된 사설망의 공중/사설 통신 서비스장치가 임의의 다기능 이동 통신 단말의 위치 등록시 사설망 이동 통신 서비스 지원 여부와, 부가 기능 사용 가능 여부를 확인하여, 그 결과에 따른 상기 다기능 이동 통신 단말의 기능 제한 코드를 위치 등록 응답 메시지에 포함시켜 다기능 이동 통신 단말로 전송한다. 다기능 이동 통신 단말은 상기 위치 등록 응답 메시지에 포함된 기능 제한 코드에 따라 이동 통신 단말에 기능 제한 모드를 설정한다.
이하 상기한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먼저 일 실시예로서, 상기 다기능 이동 통신 단말은 디지털 카메라 촬영 기능을 구비한 이동 통신 단말이고, 임의의 사설용 이동 통신 서비스 지역에서 카메라 촬영기능이 제한되는 단말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이때 카메라 촬영 기능을 제한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존재하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촬영한 화상 데이터의 저장을 제한함으로써 카메라 촬영 기능을 제한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다기능 이동 통신 단말이 PDA 기능을 구비한 이동 통신 단말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상기 PDA 기능을 구비한 다기능 이동 통신 단말은 대량의 데이터를 다운로드받을 수 있으므로, 이러한 기능을 제한하기 위해 상기 일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데이터 입력포트를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의 저장을 제한하는 방법을 이용한다.
이하, 도1 내지 도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동 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동 통신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공중용 및 사설용 이동통신 서비스를 함께 제공하기 위해서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중용 및 사설용 공유 통신서비스 영역인 공중/사설 공유 셀 영역(20)을 가지고 있으며, 공중/사설 통신 서비스 장치(14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공중/사설 공유 셀 영역(20)은 특정 집단의 통신서비스 편의를 제공하는데 유익하도록 정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특정 회사가 하나의 빌딩을 사용하고 있다면 그 빌딩이 속한 영역(area)을 공중/사설 공유 셀 영역(20)으로 정할 수 있다. 공중/사설 공유 셀 영역(20)을 정하는 것은 사전에 공중용 이동통신서비스 사업자와의 협의 하에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공중/사설 공유 셀 영역(20)에 있는 사설 기지국(private BTS:130)이 공중용 이동통신 시스템의 관점에서 보았을 때 공중 기지국처럼 인식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사설 기지국(130)은 공중/사설 공유 셀 영역(20)에 속해 있는 다기능 이동 통신 단말(120)과 함께 무선통신로를 구성하고 무선자원을 관리하는 기능들을 수행하며, 공중/사설 통신 서비스 장치(140)를 통해 공중용 이동통신 시스템의 BSC(160)와 연결된다.
공중/사설 통신서비스 장치(140)는 공중용 이동통신시스템의 BSC(160), PSTN(190)과 접속된다. 상기 공중/사설 통신 서비스 장치(140)는 공중용 이동통신서비스 및 사설용 이동통신서비스가 공중/사설 공유 셀 영역(20)에 있는 이동 통신 단말에게 선택적으로 제공될 수 있도록 이동 통신 서비스를 수행한다. 만약 이동 통신 단말이 사설용 이동 통신 서비스 단말로 공중/사설 통신 서비스 장치(140)에 등록이 되어 있다면 이동 통신 단말은 공중용 이동 통신 서비스는 물론이고 사설용 이동 통신 서비스도 제공받을 수 있다. 하지만 상기 이동 통신 단말에 대한 사설용 이동 통신 서비스 등록이 상기 공중/사설 통신 서비스장치(140)에 되어 있지 않다면 이동 통신 단말은 공중용 이동 통신 서비스만을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공중/사설 통신 서비스 장치(140)는 PSTN(190)과의 유선 통신 서비스도 수행한다. 이는 본 발명의 다기능 이동 통신 단말(120)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상기 다기능 이동 통신 단말(120)은 통상적인 이동 통신 단말의 기능외에 부가 기능을 구비하는 단말이다. 예를 들어 TV를 시청할 수 있는 TV폰, PDA 기능이 결합된 PDA폰, 동영상 기능과 함께 카메라가 탑재된 카메라 폰등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다기능 이동 통신 단말(120)을 카메라가 탑재된 카메라 폰으로 한정되고, 다른 실시예에서는 PDA 기능을 구비한 PDA 폰으로 한정된다.
그리고 공중/사설 통신 서비스 장치(140)에는 본 발명에 따라 사설용 이동 통신 서비스 등록된 다기능 이동 통신 단말(이하 "카메라 폰" 이라 함.)(120)이 공중/사설 셀 영역(20)에서 부가 기능을 사용해도 되는 단말인지가 등록되어 있다. 즉, 공중/사설 통신 서비스 장치(140)는 카메라 폰(120)이 공중/사설 셀 영역(20)으로 진입하여 위치등록을 수행할 때, 현재 사설망에서 사설용 이동 통신 서비스를 받는 단말인지 확인하고, 카메라 폰(120)의 부가 기능 수행이 허여되어 있는지를 확인한다. 공중/사설 통신 서비스 장치(140)는 확인 결과에 따라 부가 기능 수행을 허여하는 메시지 또는 제한하는 메시지를 전송한다. 다시 말해, 공중/사설 통신 서비스 장치(140)는 상기 카메라 폰(120)이 상기 공중/사설 셀 영역(20)에서 카메라 촬영 기능 사용이 허가된 단말인지 확인하여, 사용이 불가능한 단말이라면 카메라 촬영 기능 사용을 제한시킨다.
상기 카메라 폰(120)의 구성은 도2에 도시되어 있다. 도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카메라 폰의 구성도이다. 도2를 참조하여 상기 카메라 폰(120)은 제어부(10), 무선부(20), 카메라부(30), 키입력부(40), 표시부(50), 메모리부(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어부(10)는 카메라 폰(120)의 전반적인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 키입력부(40)는 다수의 숫자키 및 기능키 등을 구비하고 있으며, 사용자가 누르는 키에 대응하는 키입력데이터를 제어부(10)로 출력한다. 무선부(20)는 제어부(10)의 제어 하에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음성 데이터 또는 제어 데이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무선 신호를 변, 복조하여 출력한다. 표시부(50)는 제어부(10)의 제어 하에 각종 메시지 등을 디스플레이 한다. 상기 카메라부(30)는 영상을 비트맵으로 분할하고, 각각의 휘도를 디지털량으로 기록하며, 촬영한 영상을 상기 메모리부(50)에 저장한다. 메모리부(50)는 이동 통신 단말 동작 제어에 필요한 프로그램데이터를 저장하고, 제어시 또는 사용자에 의해 수행도중 발생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며, 상기 카메라부(30)로부터 전송되는 화상 데이터를 저장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카메라 폰(120)이 도1에 도시된 바와같이 공중 셀 영역(10)에서 공중/사설 셀 영역(20)으로 이동하여 진입하면, 사설 기지국(130)으로부터 시스템 파라미터 메시지를 수신한다. 일반적으로 시스템 파라미터 메시지는 페이징 채널을 통해 기지국의 서비스 지역 전체에 브로드 개스팅되며, 공중/사설 셀 영역(20)의 사설 기지국(130)은 시스템 파라미터 메시지에 현 위치 지역이 공중/사설 셀 영역(20)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여 전송한다. 일반적으로 시스템 파라미터 메시지를 수신한 카메라 폰(120)이 사설용 무선 통신 서비스가 가능한 단말이면 통상의 위치 등록 메시지와 함께 도3에 도시된 위치 등록 메시지를 전송한다. 도3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위치 등록 메시지 구성도이다. 이에 따라 공중/사설 통신 서비스 장치(140)는 상기 위치 등록 메시지를 수신하면 해당 영역에서 단말이 사설용 이동 통신 서비스를 받도록 등록되어 있는지 조회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위치 등록 메시지의 LR_N_ZONE 필드(1)에 14번째와 15번째 비트를 추가하여 이동 통신 단말이 부가 기능을 구비하고 있음을 즉, 카메라 촬영 기능을 구비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시킨다. 이에 따라 공중/사설 통신 서비스 장치(140)는 상기 위치 등록 메시지를 수신하면 카메라 폰(120)에 구비된 기능이 공중/사설 셀 영역(20)에서 사용될 수 있도록 허여된 단말인지 확인한다. 상기 카메라 폰(120)이 카메라 촬영 기능이 허여된 단말이라면 상기 공중/사설 통신 서비스 장치(140)는 위치 등록 응답 메시지(feature notification message)에 기능 수행을 허여하는 코드를 포함시켜 전송한다. 그리고, 상기 카메라 폰(120)이 카메라 촬영 기능이 허여되지 않은 단말이라면 상기 공중/사설 통신 서비스 장치(140)는 위치 등록 응답 메시지에 기능 수행을 제한하는 코드를 포함시켜 전송한다. 상기 기능 수행을 제한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존재하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카메라부(30)에서 촬영을 통해 출력되는 데이터의 저장을 제한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즉, 카메라 폰(120)이 상기 기능 제한 코드를 포함하는 위치 등록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면, 데이터 저장 제한 모드를 설정한다. 이후, 카메라 폰(120)이 카메라 촬영을 하여도, 화상 데이터는 저장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은 동작과정에 따른 메시지 흐름을 도4에 도시하였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메시지 흐름도이다. 도4를 참조하여 카메라 폰(120)이 공중/사설 셀 영역(20)으로 진입하면 101단계에서 공중/사설 통신 서비스 장치(140)으로부터 시스템 파라미터 메시지를 수신한다. 카메라 폰(120)은 상기 시스템 파라미터 메시지에서 현재 위치한 지역이 사설망 이동 통신 서비스 지역임을 파악하고, 103단계에서 위치 등록 요구 메시지를 공중/사설 통신 서비스 장치(140)로 전송한다. 상기 위치 등록 요구 메시지는 카메라 폰(120)이 부가 기능, 즉 카메라 촬영 기능을 구비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공중/사설 통신 서비스 장치(140)는 105단계에서 상기 위치 등록 요구 메시지를 수신함에 따라 사설망 이동 통신 서비스 단말임을 확인하고, 부가 기능 수행 제한 단말인지를 확인한다. 확인 결과 부가 기능 수행 제한 단말이라면 공중/사설 통신 서비스 장치(140)는 107단계에서 부가 기능 제한 코드를 포함하는 위치 등록 응답 메시지를 전송한다. 상기 부가 기능 제한 코드는 종래의 위치 등록 응답 메시지의 CHARi bit를 이용하여 표현한다. 예를 들어, 단말이 고유 사설망에 속하고, 기능 수행 제한이 있으면 CHARi bit의 값이 Oxff가 되고, 단말이 고유 사설망에 속하고, 기능 수행 제한이 없으면 CHARi bit 값이 Oxfe가 되고, 단말이 다른 사설망에 속하고 기능 수행 제한이 있으면 CHARi bit 값이 Oxfd가 되고, 단말이 다른 사설망에 속하고 기능 수행 제한이 없으면 CHARi bit 값이 Oxfc가 된다. 즉, Oxff와 Oxfd가 기능 제한 코드가 된다.
이후 카메라 폰(120)은 109단계에서 기능 제한 코드를 검출하고, 데이터 저장 제한 모드를 설정한다.
상기와 같은 과정으로 정보 저장 모드가 설정이 결정되는 카메라 폰(120)이 공중/사설 셀 영역(20)에서의 동작 과정을 도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폰(120)의 동작 흐름도이다. 상기 공중/사설 셀 영역(20)에 위치한 카메라 폰(120)은 201단계에서 사진 촬영 요구가 있는지 확인하여 사진 촬영 요구가 있으면 203단계로 진행한다. 203단계에서 카메라 폰(120)은 데이터 저장 제한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지 확인하여, 데이터 저장 제한 모드가 설정되어 있으면 205단계로 진행하고, 데이터 저장 제한 모드가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207단계로 진행한다. 205단계에서 카메라 폰(120)은 촬영 데이터를 저장하지 않고 종료한다. 상기 207단계에서 카메라 폰(120)은 촬영 데이터를 저장하고 종료한다.
다음 실시예로 다기능 이동 통신 단말이 PDA 폰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PDA 폰인 경우에도 공중/사설 셀 영역(20)으로 진입하는 경우 시스템 파라미터 메시지를 통해 자신이 사설망 서비스 지역에 있음을 파악하고 위치 등록 요구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때 위치 등록 요구 메시지에는 부가 기능으로 PDA 기능을 구비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시킨다. 위치 등록 요구 메시지를 수신한 공중/사설 통신 서비스 장치(140)는 PDA 폰이 사설망 이동 통신 서비스를 제공받으면, 현재 사설망에서 부가 기능 사용을 제한 받는지 확인한다. 확인 결과 부가 기능 사용이 제한되는 단말이면 상기 공중/사설 통신 서비스 장치는 부가 기능 제한 코드를 포함하는 위치 등록 응답 메시지를 PDA폰으로 전송한다. 이를 수신한 PDA 폰은 데이터 저장 제한 모드를 설정한다. 이와 같은 과정으로 데이터 저장 제한 모드가 설정이 결정되는 PDA 폰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작한다. 도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이동 통신 단말의 동작 흐름도이다. 상기 도6을 참조하여 공중/사설 셀 영역(20)에 위치한 PDA폰은 301단계에서 데이터 다운로드 저장요구가 있으면 303단계로 진행한다. 303단계에서 PDA폰은 데이터 저장 제한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지 확인하여 데이터 저장 제한 모드가 설정되어있으면 305단계로 진행하고, 데이터 저장 제한 모드가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307단계로 진행한다. 305단계에서 PDA폰은 다운로드 데이터를 저장하지 않고 종료한다. 상기 307단계에서 PDA폰은 데이터 저장 제한 모드가 설정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다운로드 데이터를 저장하고 종료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 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공중/사설 통신 서비스장치가 임의의 다기능 이동 통신 단말의 위치 등록시 사설망 이동 통신 서비스 지원 여부와, 부가 기능 사용 가능 여부를 확인하여, 다기능 이동 통신 단말이 부가 기능을 제한함으로써, 특정 지역의 보안을 강화 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동 통신 시스템의 구성도,
도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다기능 이동 통신 단말의 구성도,
도3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위치 등록 메시지 구성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메시지 흐름도,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 동작 흐름도,
도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의 동작 흐름도.

Claims (8)

  1. 공중망 이동 통신 서비스와 사설망 서비스가 동시에 지원되는 공중/사설 셀 영역에서 일반적인 통화 기능 이외에 부가 기능을 구비한 다기능 이동 통신 단말의 부가 기능 제한 방법에 있어서,
    공중/사설 통신 서비스 장치가 상기 공중/사설 셀 영역에서 상기 사설망 이동 통신 서비스를 제공받는 단말 정보와 상기 단말에 있어서 상기 부가 기능 사용 여부에 대한 정보를 미리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공중/사설 셀 영역에 위치한 임의의 다기능 이동 통신 단말로 시스템 파라미터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시스템 파라미터 메시지에 대응되며 상기 부가 기능을 구비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된 위치 등록 요구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위치 등록 요구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임의의 다기능 이동 통신 단말이 상기 사설망 이동 통신 서비스를 제공받는 단말인지와 부가 기능 사용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부가 기능 사용이 제한된 단말이면 위치 등록 요구 응답 메시지에 부가 기능 제한 코드를 포함시켜 전송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등록 요구응답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다기능 이동 통신 단말은 상기 부가 기능 제한 코드를 해석하여 해당 부가 기능의 수행을 제한하는 모드를 설정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 기능 제한 코드는 디지털 사진 촬영 기능을 제한하는 코드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 기능 제한 모드는 디지털 사진 촬영 기능의 사용을 제하하는 모드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 기능 제한 모드는 상기 디지털 사진 촬영시 발생하는 데이터의 저장을 제한하는 모드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일반적인 통화 기능 이외에 부가 기능을 구비한 다기능 이동 통신 단말과, 공중망 이동 통신 서비스와 사설망 서비스가 동시에 지원되는 공중/사설 셀 영역에서 상기 사설망 이동 통신 서비스를 제공받는 단말 정보와 상기 단말에 있어서 상기 부가 기능 사용 여부에 대한 정보를 미리 저장하여 상기 부가 기능 사용 여부가 제한된 단말에 부가 기능 제한 코드를 전송하는 공중/사설 통신 서비스 장치를 구비한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상기 다기능 이동 통신 단말의 부가 기능 제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다기능 이동 통신 단말이 상기 공중/사설 셀 영역으로 진입시 상기 공중/사설 통신 서비스 장치가 전송하는 시스템 파라미터 메시지에 대응하여 상기 부가 기능을 구비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된 위치 등록 요구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공중/사설 통신 서비스 장치로부터 부가 기능 제한 코드가 포함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부가 기능의 수행을 제한하는 모드를 설정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공중망 이동 통신 서비스와 사설망 서비스가 동시에 지원되는 공중/사설 셀 영역에서 임의의 단말로부터 데이터를 다운로드하여 저장하는 기능을 구비한 다기능 이동 통신 단말의 부가 기능 제한 방법에 있어서,
    공중/사설 통신 서비스 장치가 상기 공중/사설 셀 영역에서 상기 사설망 이동 통신 서비스를 제공받는 단말 정보와 상기 단말에 있어서 상기 다운로드 저장 기능 사용 여부에 대한 정보를 미리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다기능 이동 통신 단말이 상기 공중/사설 셀 영역으로 진입시 상기 공중/사설 통신 서비스 장치가 전송하는 시스템 파라미터 메시지에 대응하여 상기 다운로드 저장 기능을 구비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된 위치 등록 요구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공중/사설 통신 서비스 장치가 상기 위치 등록 요구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다기능 이동 통신 단말이 상기 사설망 이동 통신 서비스를 제공받는 단말인지와 상기 다운로드 저장 기능 사용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다운로드 저장 기능 사용이 제한된 단말이면 위치 등록 요구 응답 메시지에 부가 기능 제한 코드를 포함시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다기능 이동 통신 단말이 상기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임의의 단말로부터 데이터 다운로드시 저장을 제한하는 모드를 설정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임의의 단말로부터 데이터를 다운로드하여 저장하는 기능을 구비한 다기능 이동 통신 단말과, 공중망 이동 통신 서비스와 사설망 서비스가 동시에 지원되는 공중/사설 셀 영역에서 상기 사설망 이동 통신 서비스를 제공받는 단말 정보와 상기 다운로드 저장 기능 사용 여부에 대한 정보를 미리 저장하여 상기 다운로드 저장 기능 여부가 제한된 단말에 부가 기능 제한 코드를 전송하는 공중/사설 통신 서비스 장치를 구비한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상기 다기능 이동 통신 단말의 부가 기능 제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다기능 이동 통신 단말이 상기 공중/사설 셀 영역으로 진입시 상기 공중/사설 통신 서비스 장치가 전송하는 시스템 파라미터 메시지에 대응하여 상기 다운로드 저장 기능을 구비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된 위치 등록 요구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공중/사설 통신 서비스 장치로부터 부가 기능 제한 코드가 포함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임의의 단말로부터 데이터 다운로드시 데이터의 저장을 제한하는 모드를 설정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3-0002447A 2003-01-14 2003-01-14 다기능 이동 통신 단말의 사용 제한 방법 KR1005206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2447A KR100520618B1 (ko) 2003-01-14 2003-01-14 다기능 이동 통신 단말의 사용 제한 방법
US10/756,791 US20040147255A1 (en) 2003-01-14 2004-01-12 Method for restricting additional function of multifunc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2447A KR100520618B1 (ko) 2003-01-14 2003-01-14 다기능 이동 통신 단말의 사용 제한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5467A KR20040065467A (ko) 2004-07-22
KR100520618B1 true KR100520618B1 (ko) 2005-10-10

Family

ID=327330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2447A KR100520618B1 (ko) 2003-01-14 2003-01-14 다기능 이동 통신 단말의 사용 제한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040147255A1 (ko)
KR (1) KR10052061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4642B1 (ko) * 2003-02-21 2005-09-1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전파를 이용한 휴대용 통신기기의 카메라 기능 원격 제어방법 및 시스템
US20050282559A1 (en) * 2003-02-25 2005-12-22 Boston Communications Group, Inc.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supervisory control over wireless phone data usage
WO2004077797A2 (en) * 2003-02-25 2004-09-10 Boston Communications Group, Inc.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supervisory control over wireless phone usage
KR100547712B1 (ko) * 2003-02-28 2006-01-31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를 가진 휴대용 단말기에서 카메라 잠금 설정 및해제 방법
US20040228460A1 (en) * 2003-05-15 2004-11-18 Cherif Keramane Portable communications devices providing selective inhibition of functionalities and related control devices and methods
JP4508753B2 (ja) * 2003-07-12 2010-07-21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携帯端末機のカメラ撮影制限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WO2005036899A2 (en) * 2003-10-10 2005-04-21 Enfora, L.P. Controlling the use of a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device
KR100542357B1 (ko) * 2003-11-03 2006-01-10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단말을 제어하는 장치 및 그 방법
US7693545B2 (en) * 2004-02-05 2010-04-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functions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a restricted zone
JP4438946B2 (ja) * 2004-09-08 2010-03-24 日本電気株式会社 付加機能制御システムおよび通信端末
US7869790B2 (en) 2004-09-24 2011-01-11 Scenera Technologies, Llc Policy-based controls for wireless cameras
WO2006035231A1 (en) * 2004-09-29 2006-04-06 Rafe Communications Llc Controlling portable digital devices
US7826835B2 (en) * 2004-12-16 2010-11-02 Intel Corporation Mobile phone policy management
CN100407863C (zh) * 2004-12-23 2008-07-30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实现场景保密功能的方法
KR20060080427A (ko) * 2005-01-05 2006-07-10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저장 기능을 제한하는 방법
KR100694217B1 (ko) * 2005-02-07 2007-03-14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설 무선 통신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단말 제어 방법
US7593728B2 (en) 2005-02-07 2009-09-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Privat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mobile station using the same
KR100640449B1 (ko) * 2005-04-20 2006-10-30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의 부가 기능 제한 방법 및 시스템
US8145241B2 (en) 2005-06-30 2012-03-27 Armstrong, Quinton Co. LLC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role- and locale-based mobile user device feature control
KR100693718B1 (ko) * 2005-08-29 2007-03-12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Wcdma 망에서 셀 id를 이용한 단말기 기능 제어방법 및 시스템
WO2007038281A2 (en) * 2005-09-23 2007-04-05 Ramesh Balwani Local area wireless airspace management
CN100448324C (zh) * 2005-12-01 2008-12-31 中国移动通信集团公司 限制移动终端功能的系统及方法
US20080020803A1 (en) * 2006-07-18 2008-01-24 Motorola, Inc. Methods and devices for restricting access to mobile communication device functionality
WO2008010806A1 (en) * 2006-07-21 2008-01-24 Wisor Robert A Wireless communications management system
KR100764477B1 (ko) * 2006-08-10 2007-10-09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비행모드 전환을 통한 안내멘트 제공 방법 및 시스템, 이를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KR100792673B1 (ko) * 2006-10-13 2008-01-09 서울통신기술 주식회사 사설 무선 통신 시스템의 단말 제어 방법 및 장치
JP2008193634A (ja) * 2007-02-08 2008-08-21 Fujitsu Ltd 無線端末装置、基地局制御装置、および無線端末制御方法
GB2452010B (en) * 2007-05-14 2010-03-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Wireless communication
CN101651754B (zh) * 2008-08-14 2012-03-21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用户输入信息的存储控制方法及装置、系统
AU2010207832B2 (en) * 2009-02-02 2015-03-05 Absolute Software Corporation Location dependent monitoring for stolen devices
US20110065375A1 (en) * 2009-04-29 2011-03-17 Boulder Cellular Labs, Inc. System for limiting mobile device functionality in designated environments
US20100279626A1 (en) * 2009-04-29 2010-11-04 Boulder Cellular Labs, Inc. System for limiting mobile device functionality in designated environments
KR101538523B1 (ko) * 2009-10-05 2015-07-22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m2m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의 지역 기반 접근 제어 방법
US8744492B2 (en) * 2011-11-30 2014-06-03 Mitac International Corp. Method of responding to incoming calls and messages while driving
US9307047B2 (en) * 2012-08-11 2016-04-05 Scott Lee Chung System and method for communication of an event through a call for media
US9319833B1 (en) 2013-09-16 2016-04-19 Ca, Inc. Methods providing configuration management for mobile devices based on location
CN105355012A (zh) * 2014-08-19 2016-02-24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对终端进行管理的系统和方法
KR101629925B1 (ko) * 2015-01-05 2016-06-13 주식회사 케이티 사설망 서비스 제공 방법과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장치
US11381459B2 (en) * 2019-08-05 2022-07-05 Sk Planet Co., Ltd. Service providing system and method for preventing hidden camera, service providing apparatus therefor,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having computer program recorded thereon
WO2024091152A1 (en) * 2022-10-28 2024-05-02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for enabling restriction of a sensor of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in a certain geographical location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78304A (en) * 1994-03-10 1998-07-07 Motorola, Inc. Method for providing communication services based on geographic location
KR100365790B1 (ko) * 2000-05-24 2002-12-26 삼성전자 주식회사 공중용 및 사설용 이동통신서비스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GB2371907A (en) * 2001-02-03 2002-08-07 Hewlett Packard Co Controlling the use of portable cameras
US20030008662A1 (en) * 2001-07-09 2003-01-09 Stern Edith H. Systems and methods wherein a mobile user device operates in accordance with a location policy and user device information
US7039431B2 (en) * 2001-10-04 2006-05-02 Telefonktiebolaget Lm Ericsson (Publ) System for providing subscriber features within a telecommunications network
JP3851554B2 (ja) * 2001-12-11 2006-11-2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携帯電話装置を制御する制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40147255A1 (en) 2004-07-29
KR20040065467A (ko) 2004-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20618B1 (ko) 다기능 이동 통신 단말의 사용 제한 방법
JP4537409B2 (ja) 移動端末の使用法を制御するための方法、システム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製品
EP2068536B1 (en) Operation limiting technique for a camera-equippe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8761716B2 (en) Device and method for processing emergency call in a portable terminal
US7554570B2 (en) Network support for remote mobile phone camera operation
EP3200421B1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accessing wireless local area network
KR101793621B1 (ko) 기지국 액세스 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저장매체
KR20070100077A (ko) 휴대 단말기에서 과금 서비스 제한 장치 및 방법
JP2010141838A (ja) 携帯端末、携帯端末のネットワーク制御方法、携帯端末のネットワーク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無線通信システム
WO2005104571A1 (fr) Procede permettant de mettre en oeuvre une fonction de protection de secret dans une zone donnee
JP2009525626A (ja) ユーザ機器機能を管理する方法及びそのシステム
US11252623B2 (en) Network switching method, device and storage medium
EP425083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paging reason, and storage medium
KR100436664B1 (ko) 화상통신단말기에서의 화상 송출 제어방법
KR101013673B1 (ko) 카메라가 구비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기능 제한 방법
CN112261698B (zh) 接入网络的方法及装置、终端、存储介质
KR20030073014A (ko) 화상통신 단말기에서 화상통신 설정방법
KR20050057884A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기능 사용 제한 방법
JP2003018282A (ja) 移動無線端末
KR20050028538A (ko) 카메라형 이동 통신 단말기의 사진 촬영 방법
WO2022082777A1 (zh) 信息上报方法及装置、存储介质
US20220104003A1 (en) Random access method and apparatus,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KR20040043341A (ko) 카메라작동 강제제어기능이 구비된 휴대용 영상단말기와그 제어방법
KR100631580B1 (ko) 카메라가 구비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기능 제한 방법
KR100678579B1 (ko) 이동통신단말기를 사설 인증하기 위한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