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16181B1 - A system of service for mathematics teaching and a method of service thereby - Google Patents

A system of service for mathematics teaching and a method of service thereb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6181B1
KR100516181B1 KR10-2003-0068459A KR20030068459A KR100516181B1 KR 100516181 B1 KR100516181 B1 KR 100516181B1 KR 20030068459 A KR20030068459 A KR 20030068459A KR 100516181 B1 KR100516181 B1 KR 1005161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de
web
user
mathematics
ms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845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50032409A (en
Inventor
박홍준
전영국
Original Assignee
박홍준
전영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홍준, 전영국 filed Critical 박홍준
Priority to KR10-2003-00684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16181B1/en
Publication of KR200500324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240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61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6181B1/en

Links

Landscapes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온라인 상의 서비스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간단한 교육 컨텐츠의 작성이 가능하도록 하여 일선 수학 교수자와 같은 HTML에 대한 비전문가들도 손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온라인 상의 수학 교육용 서비스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nline service, and to provide a simple online educational service system and a service method for making it easier to use even non-experts such as HTML mathematics instructors to create simple educational content. will be.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온라인 상에 구축된 제1웹서버의 웹사이트를 통해 수학 교육용 컨텐츠의 제작 요청을 접수받는 제1단계; 특정 사용자에 의한 수학 교육용 컨텐츠의 제작 요청이 접수될 경우 메뉴얼 생성부와 연동하면서 기본적으로 입력되는 매스매티카 코드를 이용하여 교육용 컨텐츠 제작을 수행하는 제2단계; 상기 제작 완료된 교육용 컨텐츠를 위한 웹메뉴얼 페이지의 관련 정보를 통지하는 제3단계; 그리고, 상기 생성된 웹메뉴얼 페이지를 가지는 제2웹서버를 통해 각 수강자의 수학 교육을 수행하는 제4단계:가 포함되어 운영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학 교육용 서비스 시스템을 이용한 서비스 방법을 제시한다.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first step of receiving a request for the production of educational content for mathematics through the website of the first web server built online; A second step of, when a request for producing mathematics educational contents by a specific user is received, producing educational contents by using a massmatic code which is basically input while interworking with a manual generation unit; A third step of notifying relevant information of a web manual page for the produced educational content; In addition, a fourth step of performing mathematics education of each student through a second web server having the generated web manual page is provided, and a service method using a mathematics education service system is provided.

Description

수학 교육용 서비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방법{A SYSTEM OF SERVICE FOR MATHEMATICS TEACHING AND A METHOD OF SERVICE THEREBY}Service system for mathematics education and service method using same {A SYSTEM OF SERVICE FOR MATHEMATICS TEACHING AND A METHOD OF SERVICE THEREBY}

본 발명은 온라인 상에서의 서비스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구체적으로는 온라인을 기반으로한 수학관련 교육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온라인 상의 원격 교육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nline service system and a service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to an online distance education service system and a service method for providing an online-based math-related education service.

오늘날, 인터넷 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은 업무의 효율을 획기적으로 증진시킬 뿐만 아니라, 현대인들의 일상적인 생활 방식도 크게 변화시키고 있다.Today, the rapid development of Internet technology not only dramatically improves work efficiency, but also changes the daily way of life of modern people.

특히, 인터넷을 이용하는 각종 온라인 상에서의 서비스가 많이 제공되고 있으며, 원격 교육 서비스도 그 중 하나이다.In particular, many online services using the Internet are provided, and distance education services are one of them.

이러한 원격 교육 서비스는 온라인 상에서 각종 교육 컨텐츠에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그 서비스에 대한 영업 이익을 얻고 있다.Such distance education services have gained operating profits for the services by providing services related to various educational contents online.

이 때, 원격 교육 서비스를 제공하려고 할 경우 강의자는 교육 컨텐츠에 대한 작성을 수행한 후 이 작성된 교육 컨텐츠를 온라인 상에 등록시켜야 한다.At this time, if the distance education service is to be provided, the lecturer must create the education content and then register the created education content online.

여기서, 상기 교육 컨텐츠의 작성이라 함은 각종 교재나 강의물을 온라인 상에서 수강자가 시청할 수 있도록 하는 작업이다.Here, the creation of the educational content is a task to allow the learners to watch various textbooks or lectures online.

하지만, 전술한 종래의 교육 컨텐츠 작성은 국어나 영어 등과 같이 비교적 복잡한 컨텐츠가 부가되지 않을 경우에는 간단히 작성될 수 있지만 비교적 복잡한 컨텐츠가 부가되는 수학 등의 경우에는 그 작성 역시 상당히 복잡할 수 밖에 없었다.However,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educational content creation can be simply created when relatively complex contents such as Korean or English are not added, but in the case of mathematics, etc. to which relatively complex contents are added, the creation also has to be quite complicated.

특히, 수학의 경우 수치연산과 같이 간단한 조작에 의해 해답을 얻을 수 있는 연산이 있으나, 대수연산 및 그래픽 생성을 위한 연산 등과 같이 복잡한 과정을 통해 해답을 얻을 수 있는 연산은 종래의 수학관련 교육용 소프트웨어인 매스매티카(mathematica)가 이용된다.In particular, in the case of mathematics, there are operations that can be obtained by simple operations such as numerical operations. However, operations that can obtain answers through complex processes, such as operations for algebraic operations and graphics generation, are conventional educational software for mathematics. Mathematica is used.

이 때, 상기 매스매티카는 수치연산(Numeric Calculation)과, 대수연산(Symbolic Calculation)과, 그래픽(Graphics)과, 프로그래밍(Programming) 기능 등을 수행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로써 주로 대학이나 기업체의 연구소 등에서 사용되고 있다.At this time, the massmatica is a software that can perform numerical calculation, arithmetic calculation, graphics, programming, and the like, mainly in a university or a corporate research institute. It is used.

이하, 첨부된 도 1의 순서도를 참조하여 종래 수학관련 원격 교육 서비스의 제공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 process of providing a conventional mathematics related distance education servic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flowchart of FIG. 1.

우선, 강의자는 수학용 웹 컨텐츠(웹 메뉴얼)에 부가될 내용을 선정한다.First, the lecturer selects the content to be added to the web content (web manual) for mathematics.

그리고, 상기 웹 컨텐츠의 선정이 완료되면 상기 강의자는 매스매티카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상기 선정된 컨텐츠를 위한 매스매티카 코드를 작성함과 더불어 그에 대한 테스트를 수행한다.When the selection of the web content is completed, the lecturer prepares the massmatica code for the selected content using the massmatica software and tests the same.

그리고, 상기 강의자는 상기 작성된 매스매티카 코드를 웹상에 구축된 웹매스매티카(WebMathematica)가 알 수 있도록 하는 스크립트(MSP;Mathematica Server Page) 코드로 변환함과 더불어 내용 제시에 적절한 웹페이지를 제작한다.The lecturer converts the created massmatica code into a script (MSP; Mathematica Server Page) code that allows WebMathematica to be built on the web, and produces a web page suitable for presenting content. do.

이 때, 상기 웹페이지는 하이퍼텍스트 마크업 랭귀지(HTML;HyperText Markup Language) 문서로 제작된다.At this time, the web page is produced as a HyperText Markup Language (HTML) document.

또한, 상기 강의자는 변수입력이 가능하도록 MSP 코드를 조정함과 더불어 상기 HTML 문서에 상기 MSP 코드를 삽입한다.In addition, the lecturer adjusts the MSP code to enable variable input and inserts the MSP code into the HTML document.

이후, 웹매스매티카가 설치된 웹서버에 접속하여 최종문서를 저장함으로써 수학용 웹메뉴얼 페이지의 생성이 이루어진다.Subsequently, a web manual page for mathematics is generated by accessing a web server on which web massmatica is installed and storing the final document.

그리고, 상기 생성된 수학용 웹메뉴얼 페이지를 이용하여 온라인 상에서 수학관련 원격 교육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Then, the mathematics-related distance education service is provided online using the generated mathematics web manual page.

하지만,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온라인을 이용한 수학관련 원격 교육 서비스는 교육 컨텐츠의 제작 과정이 일반인으로는 접근이 어려워 많은 활용이 이루어지지 못하였던 문제점을 가진다.However, the above-mentioned mathematical related distance education service using online as described above has a problem that the production process of educational content is difficult to access by the general public, and thus many applications cannot be made.

즉, 강의자는 MSP 문법에 대한 지식을 습득하여 매스매티카 코드를 MSP 코드로 변환하는 작업을 할 수 있어야만 하고, 변수로 만들고 싶은 부분에 대하여는 웹상에서 값을 주고받을 수 있도록 HTML 문서에 MSP 코드를 삽입하여 주어야만 하였으며, 최종 적으로 작성된 웹 컨텐츠를 웹매스매티카가 설치된 웹서버에 저장하는 것도 서버에 관련된 많은 지식과 함께 파일 전송 프로토콜(FTP;File transfer Protocol)을 위한 소프트웨어나 원격저장이 가능한 웹 에디터 등이 필요하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던 것이다.In other words, the lecturer should be able to acquire knowledge of MSP grammar and convert the Mathematica code into MSP code, and put the MSP code in the HTML document to send and receive the value on the web for the part to be made into variable. In addition, storing the finally created web content on a web server with Web Massmatica is a software for file transfer protocol (FTP) or a web that can be stored remotely. I had a problem that I need an editor.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써, 보다 간단한 교육 컨텐츠의 작성이 가능하도록 하여 일선 수학 교수자와 같은 HTML에 대한 비전문가들도 손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온라인 상의 수학 교육용 서비스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roblems, it is possible to create a simpler educational content, online mathematics education service system that can be easily used by non-experts such as HTML mathematics instructors and The purpose is to provide a service method.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형태에 따르면 온라인 상에서 웹사이트를 운영하도록 구축되며, 사용자가 입력한 매스매티카 코드를 웹매스매티카에서 해석 가능한 스크립트(MSP;Mathematica Server Page)의 태그가 포함된 코드로 변환하는 번역 모듈과, 최종 웹페이지가 변수 입력이 가능하도록 파싱해주는 파서 모듈과, 사용자가 입력한 내용과 번역된 코드를 기 제작된 템플릿에 맞추어 최종 웹문서를 서버의 특정한 위치에 생성하여 주는 생성 모듈을 포함하는 메뉴얼 생성부를 가지는 제1웹서버; 그리고, 온라인 상에서 웹사이트를 운영하도록 구축되며, 상기 메뉴얼 생성부로부터 교육 컨텐츠를 수신받아 온라인 상의 매스매티카 교육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설치된 웹매스매티카를 가지는 제2웹서버:가 포함되어 구축됨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상의 수학 교육용 서비스 시스템을 제시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built to operate a website online, the tag of the script (MSP; Mathematica Server Page) that can interpret the Mathematica code entered by the user in WebMastica A translation module that translates the code into embedded code, a parser module that parses the final web page for variable input, and matches the user's input and translated code to a pre-made template to a specific location on the server. A first web server having a manual generation unit including a generation module for generating a generation module; And a second web server configured to operate a website online, the second web server having a web massmatic car installed to receive the educational content from the manual generation unit and to provide the online massmatic education service. We present an online mathematics education service system.

또한, 상기한 서비스 시스템을 이용한 본 발명의 서비스 방법에 따르면 온라인 상에 구축된 제1웹서버의 웹사이트를 통해 수학 교육용 컨텐츠의 제작 요청을 접수받는 제1단계; 특정 사용자에 의한 수학 교육용 컨텐츠의 제작 요청이 접수될 경우 메뉴얼 생성부와 연동하면서 기본적으로 입력되는 매스매티카 코드를 이용하여 교육용 컨텐츠 제작을 수행하는 제2단계; 상기 제작 완료된 교육용 컨텐츠를 위한 웹메뉴얼 페이지의 관련 정보를 통지하는 제3단계; 그리고, 상기 생성된 웹메뉴얼 페이지를 가지는 제2웹서버를 통해 각 수강자의 수학 교육을 수행하는 제4단계:가 포함되어 운영되는 방법을 제시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servic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using the service system described above, the first step of receiving a request for the production of educational content for mathematics through the website of the first web server built online; A second step of, when a request for producing mathematics educational contents by a specific user is received, producing educational contents by using a massmatic code which is basically input while interworking with a manual generation unit; A third step of notifying relevant information of a web manual page for the produced educational content; In addition, a fourth step: performing a mathematics education of each student through a second web server having the generated web manual page is presented.

여기서, 상기 제2단계에서 이루어지는 상기 메뉴얼 생성부의 동작 과정은 번역 모듈을 동작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매스매티카 코드를 MSP 코드로 번역하는 단계; 파셔 모듈을 동작하여 상기 MSP 코드 내의 변수를 구분하여 최종적인 MSP 코드로 제작하는 단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템플릿에 제시될 내용을 HTML 문서의 템플릿 내부에 입력하는 단계; 상기 파셔 모듈에 의해 제작된 MSP 코드를 상기 HTML 문서의 템플릿의 해당 위치에 삽입하여 상호작용이 가능한 수학용 웹메뉴얼 페이지를 위한 HTML 코드를 생성하는 단계; 그리고, 생성 모듈을 동작하여 상기 생성된 HTML 코드를 웹매스매티카가 설치되어 있는 제2웹서버의 특정 폴더에 파일로 저장함으로써 웹메뉴얼 페이지를 생성하는 단계:가 포함되어 동작됨을 그 특징으로 한다.In this case, the operation of the manual generating unit in the second step includes the steps of: translating the massmatica code received from the user to the MSP code by operating a translation module; Operating a parser module to separate variables in the MSP code to produce a final MSP code; Inputting contents to be presented in a template received from a user into a template of an HTML document; Inserting the MSP code produced by the parser module into a corresponding position of a template of the HTML document to generate HTML code for an interactive web manual page; And generating a web manual page by operating the generation module and storing the generated HTML code as a file in a specific folder of a second web server where web massica is installed. .

이하, 도시한 도 2 내지 도 7b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상의 수학 교육용 서비스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에 대한 실시예를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an online mathematics education service system and servic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2 to 7b.

우선, 도시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학 교육용 서비스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First, Figure 2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service system for mathematics edu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즉,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상의 수학 교육용 서비스 시스템은 크게 메뉴얼 생성부(110)를 가지는 제1웹서버(100) 및 웹매스매티카(210)를 가지는 제2웹서버(200)가 포함되어 구축된다.That is, the online mathematics education servic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web server 100 having a manual generation unit 110 and a second web server 200 having a web massica 210. do.

여기서, 상기 메뉴얼 생성부(110)는 번역 모듈(111)과, 파서 모듈(112) 및 생성 모듈(11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Here, the manual generation unit 110 includes a translation module 111, a parser module 112, and a generation module 113.

상기 번역 모듈(111)은 사용자가 입력한 매스매티카 코드를 제2웹서버의 웹매스매티카(210)에서 해석 가능한 스크립트(MSP;Mathematica Server Page 이하, MSP라 한다)의 태그가 포함된 코드로 변환하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translation module 111 includes a code including a tag of a script (MSP; hereinafter referred to as MSP) that can interpret the massmatic code input by the user in the webmassmatica 210 of the second web server. Converts to.

또한, 상기 파서 모듈(112)은 최종 웹페이지가 변수 입력이 가능하도록 파싱(parsing)해주는 역할을 수행한다.In addition, the parser module 112 parses the final web page to allow variable input.

또한, 상기 생성 모듈(113)은 사용자가 입력한 내용과 번역된 코드를 기 제작된 템플릿에 맞추어 최종 웹문서를 웹서버(200)의 특정한 위치에 생성하여 주는 역할을 수행한다.In addition, the generation module 113 serves to generate the final web document in a specific position of the web server 200 according to the template input by the user and the translated code.

상기와 같은 메뉴얼 생성부(110)는 PHP(Personal Home Page Tools)와 같은 인터프리터(interpreter)로 작성된 소프트웨어가 될 수 있으며, 상기 각각의 모듈(111,112,113) 역시 상기 소프트웨어에 포함되는 프로그램이 될 수 있다.The manual generation unit 110 may be software written in an interpreter such as PHP (Personal Home Page Tools), and each of the modules 111, 112, and 113 may also be a program included in the software.

그리고, 상기 제2웹서버(200)는 온라인 상에서 웹사이트를 운영하도록 구축되며, 상기 메뉴얼 생성부(110)로부터 교육 컨텐츠를 수신받아 온라인 상의 매스매티카 교육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설치된 웹매스매티카(2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In addition, the second web server 200 is constructed to operate a web site online, and receives the education content from the manual generation unit 110 and is installed to provide the online online Mathematica education service. 210).

이 때, 상기 제2웹서버(200)는 메뉴얼 생성부를 갖는 제1웹서버와 직접 연계되도록 구축된다.At this time, the second web server 200 is constructed to be directly associated with the first web server having a manual generation unit.

물론, 상기 메뉴얼 생성부(110)를 상기 제2웹서버(200)에 구축하여 상기 제2웹서버(200)를 통한 서비스의 제공이 직접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Of course, the manual generation unit 110 may be built in the second web server 200 to directly provide a service through the second web server 200.

이하, 전술한 일련의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수학 교육용 서비스 시스템에 의한 서비스 제공 과정을 첨부된 도 3 내지 도 7b의 순서도 및 상태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 service providing process by the mathematics education service system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flowcharts and state diagrams of FIGS. 3 to 7B.

먼저, 제1웹서버(100)는 온라인 상에서 운영되는 웹사이트를 통해 수학 교육용 컨텐츠의 제작 요청을 지속적으로 접수받는다.First, the first web server 100 continuously receives a request for producing mathematics education contents through a website operated online.

그리고, 상기의 상태에서 특정 사용자 즉, 강의를 수행하고자 하는 강의자에 의한 수학 교육용 컨텐츠의 제작 요청이 접수된다면 상기 제1웹서버(100)는 메뉴얼 생성부(110)와 연동하면서 기본적으로 입력되는 매스매티카 코드를 이용하여 교육용 컨텐츠 제작을 수행하게 된다.In the above state, if a request for producing mathematics education contents is received by a specific user, that is, a lecturer who wants to perform a lecture, the first web server 100 is connected to the manual generation unit 110 and is basically input. Educational content is produced using the Matica code.

이 때, 상기 제1웹서버(100)는 교육 컨텐츠의 생성을 위한 각종 정보를 입력받으며, 이는 첨부된 도 4a와 같은 웹페이지를 통해 수행된다.At this time, the first web server 100 receives a variety of information for the generation of education content, which is performed through a web page as shown in Figure 4a.

상기 도 4a는 상기 메뉴얼 생성을 위한 각종 정보의 입력화면이고, 도 4b는 메뉴얼 생성에 대한 결과의 미리보기를 위한 템플릿 화면이다.4A is an input screen of various information for generating a manual, and FIG. 4B is a template screen for previewing a result of manual generation.

여기서, 상기 메뉴얼 생성을 위한 각종 정보의 입력화면에서는 제목(타이틀), 템플릿에 제시될 내용(설명), 매스매티카 코드, 생성 파일 이름, 변수의 갯수 등을 입력하도록 요청함과 더불어 그 결과값의 종류에 따른 선택을 요청(S110)하게 된다.Here, the input screen of the various information for generating the manual request to input the title (title), the content (description) to be presented in the template, the massmatic code, the name of the generated file, the number of variables, etc. and the result value. The selection is requested according to the type (S110).

따라서, 상기한 각종 정보의 입력 및 선택이 이루어진 후 등록 버튼의 선택이 이루어진다면 상기 제1웹서버(100)는 상기 입력된 정보 및 선택 내용을 메뉴얼 생성부(110)로 제공하고, 상기 메뉴얼 생성부(110)는 상기 제공받은 각종 정보를 토대로 교육 컨텐츠(S120)의 생성을 수행한다.Therefore, when the registration button is selected after the input and selection of the above-mentioned information is made, the first web server 100 provides the input information and the selection contents to the manual generator 110 and generates the manual. The unit 110 generates the education content S120 based on the received various information.

상기 메뉴얼 생성부(110)에 의한 교육 컨텐츠의 생성 과정을 첨부된 도 5의 순서도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process of generating educational content by the manual generation unit 11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flowchart of FIG. 5.

우선, 상기 메뉴얼 생성부(110)를 구성하는 번역 모듈(111)에 의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매스매티카 코드가 MSP 코드로 번역된다.First, the massmatic code input from the user is translated into an MSP code by the translation module 111 constituting the manual generation unit 110.

이 때, MSP는 매스매티카 명령어를 제2웹서버(200)에 구비된 웹매스매티카에서 해석 가능하도록 한 스크립트이며, 상기 MSP 코드는 상기 웹매스매티카에서 해석 가능한 MSP 태그가 포함된 코드이다.At this time, the MSP is a script that can be interpreted by the massmatica command in the web mass mica provided in the second web server 200, the MSP code is a code containing the MSP tag that can be interpreted in the web mass mica to be.

또한, 상기의 과정에서 상기 번역 모듈(111)은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매스매티카 코드에 니드(Need) 명령이 포함되어 있는지,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결과 값의 종류가 그래픽 혹은, 문자형(심볼)인지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결과에 따른 번역이 이루어진다.In addition, in the above process, the translation module 111 determines whether the need for the Maedica code input from the user includes a Need command, and whether the type of the result value received from the user is a graphic or a symbol (symbol). Confirmation and translation are made according to the confirmed result.

즉, 상기 번역 모듈(111)은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매스매티카 코드에 니드(Need) 명령이 포함되어 있다면 니드(Need) 구문으로 번역되도록 하고,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결과 값의 종류가 그래픽으로 확인된다면 MSP 블럭(Block)문으로 번역되도록 하며,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결과 값의 종류가 문자형으로 확인된다면 MSP 포맷(Format)문으로 번역되도록 하는 것이다.That is, the translation module 111 translates to a need phrase if a need command is included in the massmatica code input from the user, and if the type of the result value received from the user is confirmed graphically. It translates into MSP Block statement, and if the type of the result value received from the user is confirmed as character type, it is translated into MSP Format statement.

또한, 상기의 과정이 수행되는 도중 상기 메뉴얼 생성부(110)를 구성하는 파서 모듈(112)은 상기 MSP 코드 내의 변수부분을 구분하면서 최종적인 MSP 코드를 생성하게 된다.In addition, the parser module 112 constituting the manual generation unit 110 generates the final MSP code while dividing the variable part in the MSP code.

즉, 상기 파서 모듈(112)에 의해 변수의 입력이 가능하도록 MSP 코드의 조정이 이루어지는 것이다.In other words, the parser module 112 adjusts the MSP code to enable the input of variables.

이 때, 상기 파서 모듈(112)은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변수의 갯수만큼 MSP 코드로 변환하는 과정을 반복되도록 하고, 상기 변환의 반복이 완료되면 웹상에서 변수 입력이 가능하도록 해주는 폼태그를 생성한다.At this time, the parser module 112 repeats the process of converting the MSP code by the number of variables input from the user, and generates a form tag that enables variable input on the web when the conversion is repeated.

만일, 전술한 일련의 과정 중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매스매티카 코드에 아무런 명령이 없고, 또한 결과 값의 종류에 따른 입력이 이루어지지 않았다면 상기 파서 모듈(112)에 의한 동작 수행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로써 MSP 코드의 번역이 완료된다.If there is no command in the massmatic code input from the user during the above-described series of processes, and no input is made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result value, the operation of the parser module 112 is not performed. Translation of the MSP code is complete.

그리고, 전술한 각 과정이 완료되면 상기 메뉴얼 생성부(110)는 미리 만들어져 있던 HTML 문서의 템플릿 내부에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템플릿에 제시될 내용을 입력하고, 계속해서 상기 템플릿의 해당 위치에 MSP 코드를 삽입하여 줌으로써 HTML 코드(문서)를 생성(S130)한다.When the above-described processes are completed, the manual generating unit 110 inputs contents to be presented in a template received from a user in a template of a pre-created HTML document, and continuously inputs an MSP code at a corresponding position of the template. By inserting it generates an HTML code (document) (S130).

그리고, 전술한 일련의 과정에 의해 상호 작용이 가능한 수학용 웹메뉴얼 페이지를 위한 HTML 코드가 생성된다면 상기 메뉴얼 생성부(110)를 구성하는 생성 모듈(113)은 상기 코드를 웹매스매티카가 설치되어 있는 제2웹서버(200)의 해당 폴더에 파일로 저장(S140)함으로써 교육 컨텐츠의 생성이 완료된다.If the HTML code for the interactive web manual page is generated by the above-described process, the generation module 113 constituting the manual generating unit 110 installs the code by the web mass mica. Generation of the educational content is completed by storing the file in a corresponding folder of the second web server 200 (S140).

이후, 제1웹서버(100)는 웹페이지상에 최종 결과에 대한 디스플레이(S150)를 수행한다.Thereafter, the first web server 100 performs the display (S150) for the final result on the web page.

이 때, 최종 결과란 제작 완료된 교육용 컨텐츠를 위한 웹메뉴얼 페이지의 관련 정보로써, 사용자가 입력하여 번역된 명령어에 대한 정보, 번역 과정에 대한 정보, 웹메뉴얼 페이지의 저장된 폴더에 대한 정보, 링크 주소에 대한 정보 등이 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nal result is the relevant information of the web manual page for the completed educational content, the information about the translated command input by the user, the information on the translation process, the information about the folder stored in the web manual page, and the link address. Information about the user.

예컨대, 첨부된 도 6과 같이 매스매티카 코드 입력창에 입력한 구문이 어떻게 해석 되었는지와, MSP 태그가 첨부된 결과가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것이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6, how the syntax entered in the massmatica code input window is interpreted, and the result of attaching the MSP tag is provided to the user.

따라서, 사용자는 일부의 정보(매스매티카 코드, 템플릿 내용, 변수 등)에 대한 입력만으로 웹매스매티카를 이용하는 온라인 교육용 교육 컨텐츠의 생성이 가능하게 된다.Therefore, the user can generate online educational education content using web massica only by inputting some information (massmatica code, template content, variable, etc.).

그리고, 전술한 메뉴얼 생성부(110)에 의해 생성되어 제2웹서버(200)에 저장된 교육 컨텐츠의 링크 주소로 각 수강자의 접속이 이루어진다면 생성된 웹메뉴얼 페이지를 통해 각 수강자의 수학 교육을 수행하게 된다.Then, when each learner is connected to the link address of the education content generated by the manual generation unit 110 and stored in the second web server 200, the mathematics education of each learner is performed through the generated web manual page. Done.

이 때, 첨부된 도 7a는 상기 웹메뉴얼 페이지의 초기 화면이고, 첨부된 도 7b는 상기 초기 화면의 변수 입력란에 변수를 입력한 후 실행 버튼의 선택이 이루어질 경우에 대한 결과물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이다.In this case, FIG. 7A is an initial screen of the web manual page, and FIG. 7B is a state in which a result of a case where a selection of an execution button is made after inputting a variable in a variable input box of the initial screen is displayed.

즉, 웹메뉴얼 페이지를 통한 변수의 입력이 이루어진다면 상기 입력된 변수는 제2웹서버의 웹매스매티카로 전송되어 그 문제의 처리가 이루어지고, 다시 상기 처리된 결과를 상기 제2웹서버가 반환받아 정답이 수학 기호일 경우 수학 기호로, 그래픽일 경우 그래픽으로 그 결과를 처리하여 보여주는 완전한 상호작용 수학용 웹 페이지가 생성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That is, if a variable is input through the web manual page, the inputted variable is transmitted to the web mass mica of the second web server, and the problem is processed. The second web server returns the processed result. When the correct answer is a mathematical symbol, it can be confirmed that a fully interactive mathematics web page has been created that shows the result of processing the result graphically.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상의 수학 교육용 서비스 시스템 및 서비스 제공 방법은 교육 컨텐츠의 생성을 위해 사용자가 행하는 행위를 최대한 간소화함으로써 사용자의 불편함을 저감시킬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As described above, the online mathematics education service system and the service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the effect of reducing the inconvenience of the user by simplifying the actions performed by the user for the generation of the educational content.

즉, 사용자는 단순히 기본적인 정보의 입력만을 통해 온라인 상의 수학용 교육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게 된 것이다.In other words, the user can generate online educational content for mathematics by simply inputting basic information.

특히, 일선 수학 교수자와 같이 HTML 및 서버에 대한 깊은 지식을 가지지 않은 비전문가들도 손쉽게 사용할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In particular, non-experts who do not have deep knowledge of HTML and servers, such as first-line math instructors, have the effect of being easily used.

도 1 은 종래 웹매스매티카의 사용을 위해 사용자가 수행하는 수학용 웹메뉴얼 페이지의 생성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과정도1 is a process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process of generating a mathematical web manual page performed by a user for use of a conventional web massica

도 2 는 본 발명의 수학 교육용 서비스 시스템의 구축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Figure 2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construction state of the service system for mathematics edu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 은 본 발명의 수학 교육용 서비스 시스템의 운영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Figure 3 is a flow chart schematically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mathematical education servic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a 및 도 4b 는 본 발명에 따른 메뉴얼 생성부의 주화면 및 템플릿 화면에 대한 일예를 나타낸 구성도4A and 4B are diagrams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main screen and a template screen of the manual generation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는 본 발명의 수학 교육용 서비스 시스템의 운영 과정 중 메뉴얼 생성부의 동작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process of a manual generation unit during an operation process of the mathematics education servic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 은 본 발명의 메뉴얼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웹메뉴얼 페이지에 대한 결과보고의 화면을 나타낸 구성도6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creen of a result report for a web manual page generated by the manual generation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a 및 도 7b 는 본 발명에 의해 생성된 교육 컨텐츠를 이용하여 교육을 수행하는 상태에 대한 일예의 화면을 나타낸 구성도7A and 7B are diagrams illustrating an example screen for a state of performing education using education content generated by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제1웹서버 110. 메뉴얼 생성부100. First Web Server 110. Manual Generator

111. 번역 모듈 112. 파서 모듈111. Translation Modules 112. Parser Modules

113. 생성 모듈 200. 웹서버113. Generation module 200. Web server

210. 웹매스매티카210.Webmassmatica

Claims (8)

온라인 상에서 웹사이트를 운영하도록 구축되며, 사용자가 입력한 매스매티카 코드를 웹매스매티카에서 해석 가능한 스크립트(MSP;Mathematica Server Page)의 태그가 포함된 코드로 변환하는 번역 모듈과, 최종 웹페이지가 변수 입력이 가능하도록 파싱해주는 파서 모듈과, 사용자가 입력한 내용과 번역된 코드를 기 제작된 템플릿에 맞추어 최종 웹문서를 서버의 특정한 위치에 생성하여 주는 생성 모듈을 포함하는 메뉴얼 생성부를 가지는 제1웹서버; 그리고,A translation module that is built to run a website online and converts the user's entered Mathematica code into code containing tags from scripts that can be interpreted by Mathematica (MSP; Mathematica Server Page), and the final web page. A parser module that parses the variable so that the user can input the variable, and a generation module that generates the final web document at a specific location of the server according to the template prepared by the user. 1 web server; And, 온라인 상에서 웹사이트를 운영하도록 구축되며, 상기 메뉴얼 생성부로부터 교육 컨텐츠를 수신받아 온라인 상의 매스매티카 교육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설치된 웹매스매티카를 가지는 제2웹서버:가 포함되어 구축됨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상의 수학 교육용 서비스 시스템.A second web server configured to operate a website online, the web server having a web mass matica installed to receive training content from the manual generation unit and to provide an online mass matic education service; Online mathematics education service system. 온라인 상에 구축된 제1웹서버의 웹사이트를 통해 수학 교육용 컨텐츠의 제작 요청을 접수받는 제1단계;A first step of receiving a request for producing mathematics education contents through a website of a first web server established online; 특정 사용자에 의한 수학 교육용 컨텐츠의 제작 요청이 접수될 경우 메뉴얼 생성부와 연동하면서 기본적으로 입력되는 매스매티카 코드를 이용하여 교육용 컨텐츠 제작을 수행하는 제2단계;A second step of, when a request for producing mathematics educational contents by a specific user is received, producing educational contents by using a massmatic code which is basically input while interworking with a manual generation unit; 상기 제작 완료된 교육용 컨텐츠를 위한 웹메뉴얼 페이지의 관련 정보를 통지하는 제3단계; 그리고,A third step of notifying relevant information of a web manual page for the produced educational content; And, 상기 생성된 웹메뉴얼 페이지를 가지는 제2웹서버를 통해 각 수강자의 수학 교육을 수행하는 제4단계:가 포함되어 운영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학 교육용 서비스 시스템을 이용한 서비스 방법.And a fourth step of performing mathematics education of each student through a second web server having the generated web manual page.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제2단계의 수행 도중 교육용 컨텐츠를 제작하기 위해 사용자로부터 매스매티카 코드, 템플릿에 제시될 내용, 결과값의 종류 및 변수의 갯수 등과 같은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입력받도록 요청하는 과정이 더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학 교육용 서비스 시스템을 이용한 서비스 방법.Requesting the user to input at least one or more of the information such as the massmatic code, the content to be presented in the template, the type of the result value, the number of variables, etc., in order to produce the educational content during the second step. Service method using a mathematics education service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ncluded. 제 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제2단계에서 이루어지는 상기 메뉴얼 생성부의 동작 과정은The operation of the manual generation unit in the second step is 번역 모듈을 동작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매스매티카 코드를 MSP 코드로 번역하는 단계;Operating the translation module to translate the massmatic code received from the user into an MSP code; 파셔 모듈을 동작하여 상기 MSP 코드 내의 변수를 구분하여 최종적인 MSP 코드로 제작하는 단계;Operating a parser module to separate variables in the MSP code to produce a final MSP code;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템플릿에 제시될 내용을 HTML 문서의 템플릿 내부에 입력하는 단계;Inputting contents to be presented in a template received from a user into a template of an HTML document; 상기 파셔 모듈에 의해 제작된 MSP 코드를 상기 HTML 문서의 템플릿의 해당 위치에 삽입하여 상호작용이 가능한 수학용 웹메뉴얼 페이지를 위한 HTML 코드를 생성하는 단계; 그리고,Inserting the MSP code produced by the parser module into a corresponding position of a template of the HTML document to generate HTML code for an interactive web manual page; And, 생성 모듈을 동작하여 상기 생성된 HTML 코드를 웹매스매티카가 설치되어 있는 제2웹서버의 특정 폴더에 파일로 저장함으로써 웹메뉴얼 페이지를 생성하는 단계:가 포함되어 동작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학 교육용 서비스 시스템을 이용한 서비스 방법.Generating a web manual page by operating the generation module and storing the generated HTML code as a file in a specific folder of a second web server where the web massica is installed; Service method using system. 제 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매스매티카 코드에 니드(Need) 명령이 포함되어 있을 경우 니드(Need) 구문으로 번역되도록 하는 과정이 더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학 교육용 서비스 시스템을 이용한 서비스 방법.If the Mathematica code received from the user includes a Need (Need) command, the service method using a service system for mathematics education, characterized in that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translating to Need phrase. 제 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결과 값의 종류가 그래픽으로 확인될 경우 MSP 블럭(Block)문으로 번역되도록 하는 과정이 더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학 교육용 서비스 시스템을 이용한 서비스 방법.When the type of the result value input from the user is confirmed graphically, the service method using a service system for mathematics education, characterized in that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translating to a MSP block (block) statement. 제 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결과 값의 종류가 문자형(심볼)으로 확인될 경우 MSP 포맷(Format)문으로 번역되도록 하는 과정이 더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학 교육용 서비스 시스템을 이용한 서비스 방법.If the type of the result value input from the user is confirmed as a character (symbol) service method using a service system for mathematics education, characterized in that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the translation to the MSP format (Format) statement. 제 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최종적인 MSP 코드를 제작하는 과정에서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변수의 갯수만큼 MSP 코드로 변환하는 과정이 반복되도록 하고, 상기 변환의 반복이 완료되면 웹상에서 변수 입력이 가능하도록 해주는 폼태그를 생성하는 단계가 더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학 교육용 서비스 시스템을 이용한 서비스 방법.In the process of producing the final MSP code, the process of converting the MSP code as many as the number of variables received from the user is repeated, and generating a form tag to enable the variable input on the Web when the conversion is repeated Service method using a service system for mathematics educa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KR10-2003-0068459A 2003-10-01 2003-10-01 A system of service for mathematics teaching and a method of service thereby KR10051618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8459A KR100516181B1 (en) 2003-10-01 2003-10-01 A system of service for mathematics teaching and a method of service thereb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8459A KR100516181B1 (en) 2003-10-01 2003-10-01 A system of service for mathematics teaching and a method of service thereb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2409A KR20050032409A (en) 2005-04-07
KR100516181B1 true KR100516181B1 (en) 2005-09-22

Family

ID=372369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8459A KR100516181B1 (en) 2003-10-01 2003-10-01 A system of service for mathematics teaching and a method of service thereb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16181B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2409A (en) 2005-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06022B2 (en) Equation editor
Maćkowski et al. Multimedia platform for mathematics’ interactive learning accessible to blind people
US6959417B2 (en) Question and answer generator
CN107515845A (en) A kind of conversion of interactive virtual teaching aid and implementation method based on file content identification
JP2009216816A (en) Learning support device and its method
Cavalcante et al. A visual and interactive automata theory course with JFLAP 4.0
Mejía et al. Casvi: Computer algebra system aimed at visually impaired people. experiments
KR101380692B1 (en) Apparatus for on-line study and method for the same
KR100516181B1 (en) A system of service for mathematics teaching and a method of service thereby
KR100460246B1 (en) Virtual education system and method for compiling programming language under internet environment
Raskind et al. Reaching accessibility: Guidelines for creating and refining digital learning materials
CN110852922A (en) Dynamic scenario-oriented language digital teaching method and system
Olney Using novices to scale up intelligent tutoring systems
Neuper et al. Towards accessible formal mathematics with ISAC and Isabelle/VSCode
LeLoup et al. Interactive and multimedia techniques in online language lessons: a sampler
KR20000036950A (en) A communications network system for teaching and test in english
Harrison Access to online learning: the role of the courseware authoring tool developer
Zinn et al. Intelligent information presentation for tutoring systems
Wang et al. Initial design of a web-based mathematics education framework
Shirai et al.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 web-based drill system to master basic math formulae using a new interactive math input method
KR100938742B1 (en) Method for creating a new study contents book in e-learning system
Cuartero-Olivera et al. Reading and writing mathematical notation in e-learning environments
Albano et al. How to achieve user-friendly interactivity in Mathematics Exercises on the web
Tscherter Exorciser: automatic generation and interactive grading of structured excercises in the theory of computation
Mikulowski Support for Teaching Mathematics of the Blind by Sighted Tutors Through Multisensual Access to Formulas with Braille Converters and Speec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