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15688B1 - Method for controlling digital door-lock - Google Patents

Method for controlling digital door-loc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5688B1
KR100515688B1 KR10-2003-0030494A KR20030030494A KR100515688B1 KR 100515688 B1 KR100515688 B1 KR 100515688B1 KR 20030030494 A KR20030030494 A KR 20030030494A KR 100515688 B1 KR100515688 B1 KR 1005156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ssword
input
user
door lock
digital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049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40098201A (en
Inventor
배주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넥스템
배주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넥스템, 배주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넥스템
Priority to KR10-2003-00304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15688B1/en
Publication of KR200400982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820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56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5688B1/en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9/00Electric permutation locks; Circuits therefor ; Mechanical aspects of electronic locks; Mechanical keys therefor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817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where the code of the lock can be programmed
    • G07C2009/0083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where the code of the lock can be programmed by code input from switch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817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where the code of the lock can be programmed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도어록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비밀번호 입력시 타인에게 비밀번호 입력과정이 노출되어도 비밀번호를 인식하지 못하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controlling a digital door lock,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a password from being recognized even when a password input process is exposed to another person.

개시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도어록 제어 방법은, (S100) 비밀번호를 두 부분 이상으로 나누어 복수 부분으로 나뉜 비밀번호를 다수의 허수를 사이에 두고 정해진 비밀번호 입력자리에 입력하는 비밀번호 입력단계와; (S110) 상기 비밀번호 입력단계에서 입력된 암호들 중 비밀번호 입력자리의 사이에 입력된 허수는 무시하고, 비밀번호 입력 자리에 각각 입력된 암호를 비밀번호로 인식하여 이를 저장된 비밀번호와 비교하는 비교단계와; (S120) 상기 비교단계에서 비교된 입력번호와 비밀번호가 일치하면 구동부를 통해 잠금을 해정하고, 그렇지 않으면 잠금을 유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digital door lock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S100) a password input step of dividing a password into two or more parts and inputting a password divided into a plurality of parts into a predetermined password input digit with a plurality of imaginary numbers; (S110) a comparison step of ignoring the imaginary numbers entered between the password input digits among the passwords input in the password input step, recognizing each of the passwords entered at the password input digit as a password, and comparing the password with the stored password; (S120) If the input number and the password compared in the comparison step match the unlock through the drive unit, otherwise it comprises the step of maintaining the lock.

Description

디지털 도어록 제어 방법{METHOD FOR CONTROLLING DIGITAL DOOR-LOCK}Digital door lock control method {METHOD FOR CONTROLLING DIGITAL DOOR-LOCK}

본 발명은 디지털 도어록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타인에게 비밀번호 입력과정이 노출되어도 타인이 비밀번호를 도용하지 못하도록 한 디지털 도어록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gital door lock control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to a digital door lock control method that prevents another person from stealing a password even when a password input process is exposed to another person.

산업사회가 발달함에 따라 열쇠의 휴대/분실에 따른 불편함을 해소하고, 도난을 방지하기 위하여 대개 4~8자리 혹은 그 이상이나 그 이하의 자리 숫자나 문자로 이루어진 비밀번호를 입력함으로써 본인을 인증하는 기술의 선호가 높아지고 있다.As the industrial society develops, in order to solve the inconvenience of carrying / lost a key and to prevent theft, a user who authenticates himself or herself by entering a password consisting of 4 or 8 or more digits or letters Technology is on the rise.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정당한 사용자를 인증하는 기술은 디지털 도어록, ATM을 이용한 현금입/출금, 인터넷 뱅킹, 신용카드 결재 등 모든 분야에 적용되고 있다.The technology of authenticating a valid user by entering a password is applied to all fields such as digital door lock, cash withdrawal / withdrawal using ATM, internet banking, and credit card payment.

이하, 디지털 도어록을 예로 들어 비밀번호를 이용한 기술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a technology using a password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y taking a digital door lock as an example.

일반적으로 건물의 내부(옥내)에는 불법으로 외부인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도어 록 장치가 설치되는데, 이러한 도어 록 장치는 그 구조가 간편할 뿐만 아니라 도어 록에 대한 어느 정도의 상식을 가진자라면 쉽게 해정할 수 있어 보안성이 떨어지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Generally, a door lock device is installed inside the building (indoor) to prevent illegal entry of outsiders. Such a door lock device is not only simple in structure but also has some common sense about the door lock. It can be easily resolved and has the disadvantage of poor security.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 비밀번호 입력 방식의 디지털 도어록 장치이다.In order to solve this drawback, a digital door lock device of a password input method.

디지털 도어록 장치는 키뭉치의 록킹부재가 도어 외곽틀의 빗장홈으로 삽입되어 도어의 잠금 상태를 유지시키는 괘정기능과 록킹부재를 도어 외곽틀의 빗장홈으로부터 이탈시켜 도어의 잠금상태를 해정시키는 해정기능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The digital door lock device has a locking function in which the locking member of the key bundle is inserted into the latch groove of the door outer frame to keep the door locked and the unlocking function of releasing the locking state by releasing the locking member from the latch groove of the door outer frame. It consists of a.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록킹부재가 도어 외곽틀의 빗장홈에 대하여 작동하여 록킹부재를 해정시키는 종래 도어 록 장치의 작동과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가 도어의 실외측에 설치되는 외부몸체의 키버튼부를 통해 비밀번호를 선택하면, 제어부가 입력된 번호와 저장된 비밀번호를 비교하여 이들이 맞으면 구동부를 구동시켜 도어를 오픈시키는 한편, 이들이 맞지 않으면 도어를 잠금 상태로 유지시키게 된다.Meanwhile, as described above, the operation of the conventional door lock device for releasing the locking member by operating the locking member by operating on the latch groove of the door outer frame is as follows. First, when the user selects a password through the key button of the outer body installed on the outdoor side of the door, the control unit compares the input number with the stored password, and if they are correct, drives the driving unit to open the door, and if they do not match, the door Will remain locked.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디지털 도어록 제어 방법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digital door lock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prior art has the following problems.

비밀번호 입력 방식의 경우 대개 비밀번호가 4~8자리로 이루어지며, 비밀번호 판독부는 정해진 자리수의 비밀번호만 판독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반드시 정해진 자리수의 비밀번호만 입력하게 된다. 따라서, 비밀번호가 단순하기 때문에 타인이 주위에서 비밀번호 입력과정을 보게 되면, 입력키를 쉽게 확인할 수 있으므로 타인이 디지털 도어록을 해정하여 실내에 침입할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password input method, the password usually consists of 4 to 8 digits, and since the password reading unit can read only a predetermined number of passwords, the user must enter a password of a predetermined number. Therefore, because the password is simple, when the other person sees the password input process around, the input key can be easily confirmed, so that others can unlock the digital door lock and enter the room.

이때, 비밀번호를 수시로 바꿈으로써 타인의 도용을 막을 수 있지만, 비밀번호 변경이 어렵기 때문에 비밀번호를 수시로 변경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므로 타인으로부터의 도용을 막을 수 있는 방법이 없는 실정이다.At this time, by changing the password from time to time to prevent the theft of others, it is difficult to change the password from time to time because it is difficult to change the password, there is no way to prevent theft from other people.

그리고,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하여 디지털 도어록의 해정을 위한 비밀번호를 분실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비밀번호를 분실할 경우 디지털 도어록을 분해/부수지 않고는 도어를 열 수 없으므로 디지털 도어록이 파손되는 단점이 있다.In addition, due to user's negligence, the password for unlocking the digital door lock may be lost. If the password is lost, the door cannot be opened without disassembling / breaking the digital door lock.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비밀번호 입력과정을 주위에서 지켜보더라도 비밀번호를 인지할 수 없도록 한 디지털 도어록 제어 방법을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gital door lock control method that does not allow a user to recognize a password even when the password input process is observed around the user.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비밀번호의 분실시 디지털 도어록을 분해/파손하지 않고 도어를 열 수 있도록 하려는데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able a door to be opened without disassembling / breaking the digital door lock when the password is lost.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도어록 제어 방법은, (S100) 비밀번호를 두 부분 이상으로 나누어 복수 부분으로 나뉜 비밀번호를 다수의 허수를 사이에 두고 입력하는 비밀번호 입력단계와; (S110) 상기 비밀번호 입력단계에서 입력된 입력번호들 중 비밀번호 입력자리의 사이에 입력된 허수는 무시하고, 비밀번호 입력 자리에 각각 입력된 입력번호를 저장된 비밀번호와 비교하는 비교단계와; 그리고, (S120) 상기 비교단계에서 비교된 입력번호와 비밀번호가 일치하면 구동부를 통해 잠금을 해정하고, 그렇지 않으면 잠금을 유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ccordance with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igital door lock control method including: a password input step of inputting a password divided into two or more parts (S100) and having a plurality of imaginary numbers between them; (S110) a comparison step of comparing imaginary numbers input between password input digits among the input numbers input in the password input step and comparing the input numbers respectively input to the password input digits with the stored password; And, if the input number and the password matched in the comparing step (S120)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the step of unlocking through the drive unit, otherwise maintaining the lock.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도어록 제어 방법은, (S200) 디지털 도어를 잠그는 단계와; (S220) 키입력부를 통해 비밀번호를 변경하기 위한 암호화 숫자를 입력하는 단계와; 그리고, (S230) 상기 (S220) 단계에서 입력된 암호화 숫자와 기존 비밀번호를 컨트롤러에 셋팅된 비밀번호변경 법칙에 의해 연산하여 새로운 비밀번호를 생성한 후, 생성된 비밀번호를 1회 동안 유지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digital door lock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locking the digital door (S200); (S220) inputting an encryption number for changing the password through the key input unit; And (S230) generating a new password by calculating the encryption number inputted in the step (S220) and the existing password according to the password change rule set in the controller, and maintaining the generated password for one time. Characterized in that mad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도어록 제어 방법은, (S300) 비밀번호 분실 접수시 사용자 확인 후, 사용자에게 비밀번호 확인 키를 입력토록 하는 단계와; (S310) 상기 (S300) 단계에서 확인된 사용자의 비밀번호를 암호화하는 단계와; (S320) 상기 (S310) 단계에서 암호화된 코드를 사용자에게 알리는 단계와; (S330) 상기 (S320) 단계에서 얻어진 암호화 코드를 관리자에게 전송하는 단계와; (S340) 상기 (S330) 단계에서 사용자로부터 전송받은 암호화 코드를 비밀번호로 해독하는 단계와; 그리고, (S350) 상기 (S340) 단계에서 해독된 비밀번호를 사용자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method for controlling a digital door 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S300) a step of allowing a user to input a password confirmation key after confirming a user when a password is lost; Encrypting the password of the user identified in the step S300; (S320) informing the user of the encrypted code in the step (S310); (S330) transmitting the encryption code obtained in the step (S320) to the manager; (S340) decrypting the encryption code received from the user in the step (S330) with a password; And, (S350)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the step of transmitting the password decrypted in the step (S340) to the user.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The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based on the accompanying drawings. Prior to this, the terms or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are defined i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on the basis of the principle that the inventor can appropriately define the concept of the term in order to explain his invention in the best way. It must be interpreted to mean meanings and concepts.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도어록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전에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도어록 제어 방법이 적용된 디지털 도어록 제어 시스템을 설명하기로 한다.Before describing the digital door lock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digital door lock control system to which the digital door lock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will be described.

도 1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도어록 제어 방법이 적용된 시스템은, 비밀번호가 저장되는 메모리부(10)와, 비밀번호 입력부(20)와, 비밀번호 입력부(20)를 통해 입력되는 입력번호와 메모리부(10)에 저장된 비밀번호를 비교하는 비교부(30)와, 입력번호와 비밀번호가 일치하면 구동부(40)를 통해 록킹을 해정하고 그렇지 않으면 록킹을 유지시키는 처리부(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As shown in FIG. 1, the system to which the digital door lock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ncludes an input number input through a memory unit 10, a password input unit 20, and a password input unit 20 in which a password is stored. Comparing unit 30 for comparing the password stored in the memory unit 10, and if the input number and the password coincides with the unlocking through the drive unit 40, otherwise processing unit 50 is maintained.

메모리부(10)에는 사용자가 임의대로 정한 대개 4~8자리의 숫자로 된 비밀번호가 저장된다.The memory unit 10 stores a password of 4 to 8 digits, which is usually determined by the user.

비밀번호 입력부(20)는, 숫자와 특수 기호가 조합된 것일 수 있으며, 비밀번호가 예컨대, 4자리 숫자일 경우 비밀번호를 숨기기 위하여 비밀번호 입력시 비밀번호와 비밀번호와 무관한 허수(여기서 허수는 비밀번호와 무관한 임의의 숫자로 비밀번호를 숨기기 위한 번호로 정의한다)를 조합하여 입력한다. 비밀번호의 조합 방법으로는 비밀번호를 두 부분 이상으로 나누어 이들 사이에 허수를 입력하는 방법이 가능하다. 예컨대, 비밀번호 네 자리 숫자를 첫 번째 숫자와 나머지 세 자리 숫자로 나누어, 비밀번호 입력시 첫 번째 숫자를 첫 번째로 입력하고, 복수개의 허수를 입력한 후, 나머지 비밀번호 세 자리를 마지막으로 입력한다. 예를 들어, 비밀번호가 1,2,6,7일 경우 사용자는 비밀번호 첫 번 째 자리 숫자인 1을 먼저 선택하고, 사용자 임의대로 다수의 허수 3,7,4,9,8,2,7,3,9,3을 연속해서 선택한 후, 마지막으로 비밀번호 세자리 숫자인 2,6,7을 연속해서 선택한다.The password input unit 20 may be a combination of numbers and special symbols, and if the password is, for example, a four-digit number, a password and an imaginary imaginary number when the password is input to hide the password (where the imaginary number is arbitrary regardless of the password). And a password to hide the password). As a combination of passwords, passwords can be divided into two or more parts and an imaginary number can be entered between them. For example, four digits of the password are divided into the first digit and the remaining three digits. When the password is input, the first number is first input, a plurality of imaginary numbers are input, and the remaining three digits are finally input. For example, if the password is 1,2,6,7, the user first selects 1, the first digit of the password, and the user selects any number of imaginary numbers 3,7,4,9,8,2,7, Select 3, 9, 3 consecutively, and finally select 3, 2, 6, and 7 consecutive passwords.

비교부(30)는, 사용자가 입력한 입력번호 중 허수는 무시하고, 비밀번호 자리에 입력된 번호만 발췌하여 메모리부(10)에 저장된 비밀번호와 비교한다.The comparison unit 30 ignores the imaginary number among the input numbers input by the user, extracts only the number input in the place of the password, and compares it with the password stored in the memory unit 10.

처리부(40)는 비교부(30)에서 비교한 입력번호와 비밀번호가 일치하면 구동부(50)를 통해 잠금상태를 해정하고, 그렇지 않으면 잠금상태를 유지시킨다.The processing unit 40 releases the lock state through the driving unit 50 when the input number and the password matched by the comparison unit 30 match, otherwise maintains the lock state.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도어록 제어 시스템은, 비밀번호를 변경하기 위한 비밀번호 변경부(60)가 더 포함될 수 있다.The digital door lock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password change unit 60 for changing the password.

비밀번호 변경부(60)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비밀번호를 생성하고, 변경된 비밀번호를 1회만 저장한다. 비밀번호 변경방법으로는, 비밀번호 변경부(60)에는 비밀번호변경법칙 예컨대, 사칙연산 또는 다양한 방법 중 하나가 셋팅되어 있으며, 사용자가 비밀번호 입력부(20)를 통해 인코딩(encoding)용 단자리 숫자를 선택하면, 초기 비밀번호에 선택된 인코딩용 숫자를 셋팅된 비밀번호변경 법칙으로 연산하여 새로운 비밀번호를 생성하는 것이다.The password changing unit 60 generates a password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and stores the changed password only once. As a password change method, a password change rule, for example, arithmetic operation or one of various methods is set in the password change unit 60. When the user selects an encoding terminal number for encoding through the password input unit 20, For example, a new password is generated by calculating the encoding number selected in the initial password using the set password change rule.

사용자는 비밀번호를 변경한 후, 변경된 비밀번호를 선택하여야 록킹을 해정할 수 있으며, 변경된 비밀번호를 한번 사용하면 비밀번호는 초기 비밀번호로 자동 변경된다.After changing the password, the user can select the changed password to unlock the password, and once the changed password is used, the password is automatically changed to the initial password.

< 실시예 1 ><Example 1>

본 실시예 1에 따른 디지털 도어록 제어 방법에 의하면, 복수 자리로 이루어진 비밀번호를 적어도 두 부분 이상으로 나누어, 나뉜 복수 부분을 다수의 허수를 사이에 두고 입력하고, 비밀번호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암호 중 비밀번호 입력자리로 정해진 자리에 입력된 번호를 비밀번호로 간주하여 이를 기 저장된 비밀번호와 비교한 후, 도어의 괘정/해정을 결정함으로써 비밀번호를 숨길 수 있는 것이다.According to the digital door lock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a password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digits is divided into at least two parts, and a plurality of divided parts are input with a plurality of imaginary numbers between them, and a password is input among passwords inputted through a password input unit. It is possible to hide the password by considering the number entered in the designated place as a password, comparing it with the stored password, and then determining the rule / release of the door.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록 제어 방법을 설명한다.Hereinafter, the digital door lock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S100) 비밀번호를 입력한다. 사용자는 디지털 도어록을 해정하기 위하여 정해진 비밀번호를 입력한다. 비밀번호는 4자리 숫자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타인이 비밀번호를 확인할 수 없도록 비밀번호 입력시 비밀번호의 첫 번째 자리 숫자를 누르고, 비밀번호와 무관한 허수를 사용자 임의대로 선택한 후, 비밀번호의 두 번째, 세 번째 및 마지막 숫자를 선택한다. 예컨대, 비밀번호가 1,2,6,7일 경우 비밀번호 입력시 1,3,7,4,9,8,2,7,3,9,3,2,6,7을 입력한다. 즉, 비밀번호 입력자리는 첫 번째 자리, 마지막으로부터 첫 번째, 두 번째, 및 세 번째 자리인 것으로, 이 자리에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되는 것이며, 컨트롤러는 비밀번호 4자일 경우 사용자가 입력한 번호 중 첫 번째 자리, 마지막으로부터 세 자리에 입력되는 숫자를 연속된 숫자 조합으로 생성하여 저장된 비밀번호와 비교하는 것이다. 여기서, 네 자리 비밀번호를 양분함에 있어 비밀번호를 첫 자리 숫자와 나머지 세 자리 숫자로 나누었으나, 비밀번호를 양분하는 방법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네 자리 숫자를 두 자리씩으로 나눌 수도 있고, 세 자리와 한 자리로 나눌 수도 있을 것이다.(S100) Enter the password. The user enters a fixed password to unlock the digital door lock. The password can consist of 4 digits, press the first digit of the password when entering the password so that others cannot verify the password, select an imaginary imaginary number that is irrelevant to the password, and then enter the second, third and last of the password. Select a number. For example, if the password is 1,2,6,7, 1,3,7,4,9,8,2,7,3,9,3,2,6,7 is input when the password is input. In other words, the password input digits are the first digit, the first, second, and third digits from the last, and the password can be entered in this digit. If the controller has four digits, the first digit of the number entered by the user. In other words, the number entered from the last three digits is generated as a series of numbers and compared with the stored password. Here, in dividing the four-digit password, the password is divided into the first digit and the remaining three digits, but the method of dividing the password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four digits can be divided into two digits, or three and one digits. You can also share.

(S110) 입력된 입력번호와 저장된 비밀번호를 비교한다. 비밀번호 입력자리로 지정된 곳에 입력된 숫자, 즉, 입력번호 중 첫 번째 자리, 마지막으로부터 첫 번째 자리, 두 번째 자리 및 세 번째 자리에 입력된 숫자만 발췌하고 허수는 무시하여 발췌된 입력번호와 메모리부(10)에 저장된 비밀번호를 비교한다.(S110) Compare the input password and the stored password. Only the number entered in the designated place for password input, that is, the number entered in the first, last, first, second and third digits of the input number, ignoring the imaginary number, the input number and memory part Compare the password stored in (10).

(S120) 도어의 해정/괘정을 결정한다. 상기 (S110) 비교단계에서 입력번호와 비밀번호가 일치하면 잠금을 해정하고, 일치하지 않으면 비밀번호를 다시 입력하도록 루틴된다. 잠금의 해정시 LCD 창에 "오픈(open)" 이라는 문자 메시지 또는 음성 메시지 및 벨소리가 출력될 수 있고, 비밀번호가 일치하지 않을 경우에는 "비밀번호를 다시 입력하십시요"라는 문자 또는 음성메시지 및 벨소리가 출력될 수 있다. 비밀번호를 3회 이상 틀리면 해정의 권한을 부여받지 않은 타인으로 판단하여 일정 시간동안 해정하지 못하도록 하거나, 비상벨을 울린다.(S120) The door is determined to be unlocked. If the input number and password match in the comparing step (S110), the lock is released, and if not, the routine is input again. When the lock is unlocked, the text message or voice message “open” or voice message and ring tone may be displayed. If the password does not match, the text or voice message and ring tone “Retype password” will be displayed. Can be. If the password is wrong more than 3 times, it is judged as the other person who is not authorized to unlock, so that it cannot be releas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or an emergency bell is sounded.

< 실시예 2 ><Example 2>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록 제어 방법에 의하면, 비밀번호를 버튼을 조작하는 간단한 작업에 의해 사용자 임의대로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이때, 변경된 비밀번호는 1회만 사용된 후 초기 비밀번호로 초기화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method for controlling a digital door 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password can be changed and used by a user by a simple operation of operating a button. In this case, the changed password can be initialized to an initial password after being used only once.

도 3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비밀번호는 다음과 같은 방법에 의해 변경할 수 있다.As shown in Figure 3, the password can be changed by the following method.

(S200) 디지털 도어를 괘정한다. 실내에서 나온 후, 도어를 닫게 되면 도어록은 자동으로 잠기게 된다. (S200) Rub the digital door. After exiting the room, the door lock is automatically locked when the door is closed.

(S210) 비밀번호를 변경한다. 사용자는 비밀번호를 일시적으로 변경할 경우 비밀번호 변경버튼 예컨대, (*) 또는 (井)를 선택한다. 비밀번호 변경버튼을 선택하지 않으면 비밀번호는 초기 상태로 유지된다. 여기서 비밀번호 변경버튼은 선택사항인 것이다.(S210) Change the password. The user selects a password change button such as (*) or (井) when temporarily changing the password. If you do not select the Change Password button, the password will remain in its initial state. The Change Password button is optional.

(S220) 상기 (S210) 단계에서 비밀번호 변경 버튼을 선택하면 LCD 창에 "암호화코드 입력"이라는 문자 메시지 또는 음성 메시지 및 벨소리가 출력되며, 사용자는 암호화 코드로 단자리 숫자 하나를 선택한다. (S220) If the password change button is selected in the step (S210), a text message or voice message " Encryption code input " is output on the LCD window, and the user selects one terminal number as an encryption code.

(S230) 비밀번호를 변경한다. 비밀번호 변경부(60)는 비밀번호 변경시 암호화 코드로 입력된 숫자를 셋팅된 비밀번호변경 법칙에 의해 기존 비밀번호와 연산하여 새로운 비밀번호를 생성한다. 비밀번호변경 법칙은 제품에 셋팅되어 출시되는 것으로, 사칙연산 또는 다양한 방법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밀번호변경 법칙으로 더하기(+)가 셋팅되어 있다고 할 때, 사용자가 암호화코드로 5를 선택하면 비밀번호 변경부는 초기 비밀번호인 1,2,6,7에 각 번호에 5를 더한 6,7,1,2로 비밀번호를 변경 저장한다. 여기서, 6,7은 5를 더할 경우 단자리 숫자가 아니라 11, 12가 되며, 이처럼 두 자리 숫자일 경우 십자리 숫자는 무시하고 단자리 숫자로 변경된다. (S230) Change the password. The password change unit 60 generates a new password by calculating the number inputted by the encryption code when changing the password with the existing password by the set password change law. The password change law is released in the product, and arithmetic operation or various methods can be used. For example, if the plus (+) is set as the password change rule, if the user selects 5 as the encryption code, the password change part is the initial password 1,2,6,7 plus 6 to each number 6, Save and change your password to 7,1,2. Here, 6,7 becomes 11, 12 instead of the terminal number when 5 is added. In the case of two digits, the 10 digit is ignored and changed to the terminal number.

이러한 방법으로 비밀번호를 변경하면 초기 비밀번호와 변경된 비밀번호가 일시 저장되며, 사용자는 변경 비밀번호를 선택하여야 록킹을 해정할 수 있다.In this way, when the password is changed, the initial password and the changed password are temporarily stored, and the user must select the change password to unlock the lock.

변경된 비밀번호는 일회성이기 때문에 사용자가 한번 사용하고 난 후에는 비밀번호로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타인이 비밀번호를 확인하여도 타인이 록을 해정할 수 없으므로 비밀번호 입력시 전술한 바와 같이 허수를 함께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Since the changed password is a one-time use, it cannot be used as a password after the user has used it once. Therefore, even if another person checks the password, the other person cannot unlock the lock.

< 실시예 3 ><Example 3>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록 제어 방법에 따르면, 사용자가 비밀번호를 잊었을 경우 비밀번호를 확인할 수 있으며, 그 방법은 도 4에서 보이는 바와 같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digital door lock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 user forgets the password, the password can be checked, and the method is as shown in FIG. 4.

(S300) 사용자 본인 확인. 비밀번호 분실이 접수되면 사용자와 관리자는 전화를 통하여 사용자를 확인한 후, 사용자로 하여금 키입력부를 통하여 비밀번호 확인 키를 입력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본인 확인은 사용자 인적사항, 본인 확인을 위하여 정해진 문답(問答) 등의 확인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과정을 통해 본인이 확인되면 관리자는 비로소 사용자에게 키입력부를 통해 비밀번호 확인 키를 입력하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비밀번호 확인 키는 키입력부에 설정되는 키일 수도 있고, 관리자가 사용자에게 임의로 알려주는 키일 수도 있다. (S300) User Identification. When the forgot password is received, the user and the administrator confirm the user by phone, and then allow the user to input the password confirmation key through the key input unit. For example, identity verification can be done through verification of the user's personal information, questions and answers specified for identity verification, and when the identity is verified through this process, the administrator can provide the user with the password verification key through the key input section. To be entered. Here, the password confirmation key may be a key set in the key input unit, or may be a key that the administrator arbitrarily informs the user.

(S310) 사용자의 비밀번호를 암호화한다. 상기 (S300) 단계에서 사용자가 비밀번호 확인 키를 입력하면, 디지털 도어록에 내장된 컨트롤러가 비밀번호를 암호화한다. 비밀번호 암호화 법칙은 제품에 셋팅되어 출시되는 것이며, 그 비밀번호 암호화 방법으로는 사칙연산 또는 다양한 방법이 있고, 예컨대, 암호화 방법이 XOR(exclusive or)로 셋팅되어 있다고 할 때 비밀번호와 비밀번호를 암호화 코드로 생성하기 위한 암호화 코드값을 각각 16진수로 변환하여 두 값을 XOR하여 암호화 코드를 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밀번호 1267을 100으로 XOR하여 암호화하면 6097이 된다. 즉, 6097이 암호화 코드가 되는 것이다.(S310) The user's password is encrypted. When the user inputs the password confirmation key in step S300, the controller embedded in the digital door lock encrypts the password. The password encryption law is released in the product, and there are four methods for encrypting the password. For example, when the encryption method is set to XOR (exclusive or), the password and password are generated as encryption codes. The encryption code can be obtained by converting the encryption code values into hexadecimal numbers and XORing the two values. For example, encrypting XOR with password 1267 to 100 gives 6097. In other words, 6097 becomes an encryption code.

(S320) 암호화 코드 사용자에게 알림. 상기 (S310) 과정에서 생성된 암호화 코드는 디지털 도어록의 LCD 화면에 문자 메시지로 디스플레이되거나 음성 메시지로 출력되거나 벨소리로 출력될 수 있다. (S320) Notify the user of the encryption code. The encryption code generated in step S310 may be displayed as a text message, a voice message, or a ringtone on the LCD screen of the digital door lock.

(S330) 암호화코드 관리자에게 전송. 사용자는 (S320) 단계에서 출력된 암호화 코드를 관리자에게 알린다.(S330) Send to the encryption code manager. The user informs the administrator of the encryption code output in step S320.

(S340) 암호화 코드 해독. 관리자는 상기 (S330) 단계에서 사용자로부터 전송받은 암호화 코드를 해독하여 비밀번호를 생성한다. 예를 들면, 암호화 코드 6097을 다시 100으로 XOR하여 해독하면 1267이 된다.(S340) Encryption code decryption. The administrator decrypts the encryption code received from the user in step S330 to generate a password. For example, XORing the encryption code 6097 back to 100 yields 1267.

(S350) 비밀번호 사용자에게 전송. 관리자는 상기 (S340) 단계에서 암호화 코드를 해독하여 생성한 비밀번호를 사용자에게 알려준다.(S350) Send to password user. The administrator informs the user of the password generated by decrypting the encryption code in step S340.

지금까지 본 발명을 디지털 도어록에 한정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디지털 도어록에 한정되지 않고,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사용을 허용하는 모든 기술 분야에서 사용될 수 있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so far as being limited to the digital door lock, the technolog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gital door lock, and can be used in all technical fields that allow use by inputting a password.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도어록 제어 방법에 의하면, 사용자가 입력하는 번호가 지정 비밀번호와 비밀번호를 숨기기 위한 허수로 조합되어 타인이 비밀번호 입력과정을 보더라도 비밀번호를 인지할 수 없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method for controlling the digital door 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number input by the user is combined with a specified password and an imaginary number for hiding the password, so that even if another person sees the password input process, the password cannot be recognized.

아울러, 비밀번호를 간편한 작업에 의해 변경할 수 있으며, 이 변경된 비밀번호는 일회성이기 때문에 타인이 비밀번호를 확인하여도 이미 비밀번호가 다시 변경되어 비밀번호를 인지할 수 없으므로 타인으로부터의 침입을 막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password can be changed by a simple operation. Since the changed password is a one-time one, even if another person confirms the password, the password is already changed again so that the password cannot be recognized, thereby preventing intrusion from others.

그리고, 비밀번호 분실시 정당한 사용자를 확인하여 비밀번호를 알려줌으로써 도어 록을 부수지 않고 도어 록을 해정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password is lost, the user can unlock the door lock without breaking the door lock by notifying the right user.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While the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nd illustrated in connection with a preferred embodiment for illustrating the principles of the invention,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as such is shown and described. Rather,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many changes and modifications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ccordingly, all such suitable changes and modifications and equivalents should be considered to b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디지털 도어록 제어 방법이 적용된 시스템의 구성도.1 is a block diagram of a system to which the digital door lock control method according to Embodime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디지털 도어록 제어 방법의 흐름도.2 is a flowchart of a digital door lock control method according to Embodime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디지털 도어록 제어 방법의 흐름도.3 is a flowchart of a digital door lock control method according to Embodiment 2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디지털 도어록 제어 방법을 보인 흐름도.4 is a flowchart showing a digital door lock control method according to Embodiment 3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메모리부, 20 : 비밀번호 입력부10: memory part, 20: password input part

30 : 비교부, 40 : 처리부30: comparison unit, 40: processing unit

50 : 구동부, 60 : 비밀번호 변경부50: drive unit, 60: password change unit

Claims (5)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S300) 비밀번호 분실 접수시 사용자 확인 후, 사용자가 비밀번호 확인 키를 입력토록 하는 단계와; (S300) after confirming the user when the password is lost, allowing the user to input a password confirmation key; (S310) 상기 (S300) 단계에서 확인된 사용자의 비밀번호를 암호화하는 단계와;Encrypting the password of the user identified in the step S300; (S320) 상기 (S310) 단계에서 암호화된 코드를 사용자에게 알리는 단계와;(S320) informing the user of the encrypted code in the step (S310); (S330) 상기 (S320) 단계에서 얻어진 암호화 코드를 관리자에게 전송하는 단계와;(S330) transmitting the encryption code obtained in the step (S320) to the manager; (S340) 상기 (S330) 단계에서 사용자로부터 전송받은 암호화 코드를 해독하여 비밀번호를 생성하는 단계와; 그리고,(S340) generating a password by decrypting the encryption code received from the user in the step (S330); And, (S350) 상기 (S340) 단계에서 해독된 비밀번호를 사용자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디지털 도어록 제어 방법에 있어서,(S350) In the digital door lock control method comprising the step of transmitting the password decrypted in the step (S340) to the user, 상기 (S310) 비밀번호 암호화 단계에서는 비밀번호와 비밀번호를 암호화하기 위한 코드값을 각각 16진수로 변환하여 XOR에 의해 암호화 코드를 생성하며, 상기 (S340) 비밀번호 생성단계에서는 상기 (S310) 단계에서 생성된 암호화 코드를 XOR로 해독하여 비밀번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록 제어 방법.In the (S310) password encryption step, the password and the code value for encrypting the password are converted into hexadecimal numbers, respectively, to generate an encryption code by XOR, and in the (S340) password generation step, the encryption generated in the (S310) step Digital door lock control method characterized by generating a password by decrypting the code with XOR.
KR10-2003-0030494A 2003-05-14 2003-05-14 Method for controlling digital door-lock KR10051568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0494A KR100515688B1 (en) 2003-05-14 2003-05-14 Method for controlling digital door-loc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0494A KR100515688B1 (en) 2003-05-14 2003-05-14 Method for controlling digital door-lock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8201A KR20040098201A (en) 2004-11-20
KR100515688B1 true KR100515688B1 (en) 2005-09-16

Family

ID=373761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0494A KR100515688B1 (en) 2003-05-14 2003-05-14 Method for controlling digital door-loc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15688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5717B1 (en) * 2008-02-05 2008-09-03 (주)에버넷 Process of digital door lock system using for don't care condition
CN112446990A (en) * 2020-10-30 2021-03-05 重庆电子工程职业学院 Intelligent lock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8201A (en) 2004-1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20939A (en) Databaseless security system
JP3222110B2 (en) Personal identification fob
CN104537300B (en) Security password setting and verification mode
EP2320388A1 (en) Security system
CN104408363B (en) Security code system
KR101259546B1 (en) Method for smart-key service
CN101291225A (en) Authentication method adopting complex cryptographic technique
JP2010049490A (en) Authentication system
CN110163995B (en) Remote control electronic lock system
US20040103287A1 (en) Electronic device with time dependent access codes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those codes
KR101330113B1 (en) Authentication apparatus and method based on position value
CN110111464A (en) A kind of individual palpation key controller entrance guard safety system
CN1877060B (en) Digital cipher lock with secure secondary authorization unlocking function
CN1848726A (en) Dynamic identifying method
CN116527258B (en) Unlocking method, device,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of coded lock
CN108512858A (en) Realize the dynamic input system and method for static password
KR100515688B1 (en) Method for controlling digital door-lock
JP4928887B2 (en) Lock control device and lock control system
KR101255733B1 (en) Method of generating cyber key and system for the same
JP4008626B2 (en)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for entry / exit and equipment use
KR101218707B1 (en) Doorlock and control method of it
KR100790027B1 (en) A digital door lock
CN110335373A (en) Intelligent door lock and intelligent access control system
JPH0469791A (en) Information storage medium
JP2004084306A (en) Equipment control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O035 Opposition [patent]: request for opposition
O132 Decision on opposition [patent]
O132 Decision on opposition [patent]
O074 Maintenance of registration after opposition [patent]: final registration of opposi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