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11385B1 - Apparatus for diagnosing anomia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diagnosing anomia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1385B1
KR100511385B1 KR10-2003-0078084A KR20030078084A KR100511385B1 KR 100511385 B1 KR100511385 B1 KR 100511385B1 KR 20030078084 A KR20030078084 A KR 20030078084A KR 100511385 B1 KR100511385 B1 KR 1005113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ject
task
aphasia
pictur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808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50043250A (en
Inventor
남기춘
편성범
임희석
김동휘
정재범
Original Assignee
학교법인고려중앙학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학교법인고려중앙학원 filed Critical 학교법인고려중앙학원
Priority to KR10-2003-00780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11385B1/en
Publication of KR200500432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325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13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1385B1/en

Links

Abstract

명칭성 실어증 검사장치가 개시된다. 저장부에는 복수의 과제에 속하는 제시문제 및 각각의 과제에 대한 평가기준이 저장된다. 입력부는 피검자로부터 제시문제에 대한 답을 입력받는다. 출력부는 피검자에게 제시문제를 출력한다. 과제수행부는 시각자극 입력에서부터 발화까지의 과정에 대한 피검자의 수행능력을 검사하기 위한 그림명명과제, 그림에 맞는 이름에 대한 피검자의 응답능력을 측정하기 위한 그림-단어일치과제, 피검자의 어휘집에 제시된 그림에 해당되는 단어의 보전여부 및 피검자의 제시단어에 대한 파악여부를 측정하기 위한 어휘판단과제, 피검자의 읽기속도를 측정하기 위한 단어명명과제, 및 피검자의 언어외적인 의미처리과정에 대한 능력을 측정하기 위한 의미판단과제 각각에 속하는 제시문제를 소정의 순서에 의해 피검자에 제시하고, 피검자로부터 입력받은 답의 정오여부 및 반응시간을 기초로 평가기준에 따라 피검자의 과제수행능력의 유무를 측정한다. 진단부는 과정수행부에 의해 측정된 과제별 피검자의 과제수행능력을 기초로 소정의 환자유형분류기준에 따라 피검자에 대한 명칭성 실어증 발생여부 및 명칭성 실어증 유형을 진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언어처리 모형에 기반을 둔 증상위주의 진단을 수행함으로써, 임상현장에서 언어장애중에 특히 여러 명칭성 실어증 환자를 심도있고 정밀하게 진단 및 분류할 수 있다. A nodular aphasia test apparatus is disclosed. The storage unit stores presentation problems belonging to a plurality of tasks and evaluation criteria for each task. The input unit receives an answer to the presentation problem from the subject. The output unit outputs the presentation problem to the subject. The task execution unit presents the picture name task to examine the subject's performance in the process from visual stimulus input to utterance, the picture-word match task to measure the subject's response ability to the name that fits the picture, and the vocabulary of the subject's vocabulary. Measures vocabulary determination to measure the preservation of words corresponding to the picture and the identification of the subject's suggested words, word name assignment to measure the subject's reading speed, and the ability of the subject's non-verbal semantic processing. The presenting problems belonging to each of the semantic judgment tasks to be presented are presented to the subject in a predetermined order, and the subject's ability to perform the task is measured according to the evaluation criteria based on the noon and the response time of the answers input from the subject. The diagnosis unit diagnoses whether or not acute aphasia and types of naming aphasia for a subject are determined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patient type classification criteria based on the task performance ability of each subject measured by the process perform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performing symptom-oriented diagnosis based on a speech processing model, it is possible to diagnose and classify patients with speech disorders, especially in the clinical field, in depth and precisely.

Description

명칭성 실어증 검사장치{Apparatus for diagnosing anomia}Apparatus for diagnosing anomia}

본 발명은 언어장애 중 명칭성 실어증을 가지고 있는 환자를 진단하고 분류하는 검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일반인의 언어정보처리 모형에 기초하여 처리모형의 하위 요소들을 측정하여 명칭성 실어증을 검사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st apparatus for diagnosing and classifying a patient with cognitive aphasia in a speech disorder. It relates to a device for inspecting.

뇌출혈이나 뇌경색 또는 광범위한 뇌손상으로 인해 언어장애가 생길 경우 실어증이라고 한다. 언어장애의 경우 신체의 장애와 달리 재사회화에 큰 장애가 있으나 신체 장애처럼 진단, 치료, 및 재활의 방법이 거의 전무한 것이 현실이다. 특히 언어의 경우 민족의 특성과 언어의 특성이 매우 크기 때문에 학문이 발달한 선진국의 검사도구나 치료도구를 그대로 도입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이러한 문제로 인해 현재 국내에서 사용되고 있는 명칭성 실어증을 진단하기 위한 검사도구에는 KBNT(Boston naming task)의 한국판이 있으나, 이는 단지 빈도순에 의한 오프라인 검사이므로, 명칭성 실어증의 타입이나 차이를 보여주는 측면보다는 단지 명칭성 실어증의 정보에 대한 정보만 제공한다. If a language disorder occurs due to cerebral hemorrhage, cerebral infarction or extensive brain injury, it is called aphasia. In the case of speech impairment, unlike the physical impairment, there is a big impairment in resocialization, but in reality, there are almost no methods of diagnosis, treatment, and rehabilitation. In particular, since the characteristics of ethnicity and language are very large in the case of language, it is difficult to introduce test instruments or treatment tools of advanced countries with advanced studies. Due to this problem, there is a Korean version of KBNT (Boston naming task) as a test tool for diagnosing naming aphasia, which is currently used in Korea. Rather, it only provides information on naming aphasia.

명칭성 실어증이라 함은 언어장애의 일부로서, 특히, 친숙한 사물의 이름을 명명하지 못하는 장애를 의미한다. 명칭성 실어증 환자는 개념적인 지시대상은 있으나 단어를 인출하는데 장애를 가지고 있다. 명칭성 실어증은 실어증 중에서 가장 발생률이 높으며, 발생빈도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선행연구에서는 명칭성 실어증의 특징에 따라 여러 하위 개념에 따른 손상을 보고하고 있다. Semenza, Zettin(1989), Damasio(1991) 등은 고유명사와 일반명사의 차이에 관한 결과를 보여주었다. McCarthy 및 Warrington(1988)은 인공물과 자연물에 대한 차이를 보이는 명칭성 실어증 환자를 보고하였고, 다수의 연구가 사물의 카테고리에 따른 선택적 손상을 보고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연구 결과들이 기존의 명칭성 실어증 환자를 진단하기 위한 도구에는 반영되어있지 않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기존의 연구들은 모두 여러 증상(symptom)이 아닌 증후군(Syndrome)위주의 진단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명칭성 실어증 환자에 대한 진단이 구체적인 증상이 아닌 넓은 범주의 증후군을 기초로 이루어지므로 명칭성 실어증 환자를 정확하게 진단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Nominal aphasia is part of a language disorder, especially a disorder in which the name of a familiar thing cannot be named. Patients with namely aphasia have conceptual indications but have difficulty withdrawing words. Nameless aphasia is the highest incidence of aphasia, and the frequency of occurrence is steadily increasing. Previous studies have reported impairments according to several subconcepts,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naming aphasia. Semenza, Zettin (1989), and Damasio (1991) have shown results of differences between proper and common nouns. McCarthy and Warrington (1988) reported a patient with nomenclature aphasia with differences between artifacts and natural objects, and many studies have reported selective damage according to categories of objects. However, there is a problem that these findings are not reflected in the existing tools for diagnosing patients with aphasia. In addition, the existing studies all relate to the diagnosis of syndrome rather than symptom. However,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accurately diagnose the patient with aphasia because the diagnosis of the patient with aphasia is based on a broad range of syndromes, not specific symptoms.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한국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명칭성 실어증 환자의 구체적인 증상을 기초로 명칭성 실어증을 검사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paratus for testing naming aphasia based on the specific symptoms of a patient with nasal aphasia using Korean as the native language.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명칭성 실어증 검사장치는, 복수의 과제에 속하는 제시문제 및 각각의 과제에 대한 평가기준이 저장되는 저장부; 피검자로부터 상기 제시문제에 대한 답을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피검자에게 상기 제시문제를 출력하는 출력부; 시각자극 입력에서부터 발화까지의 과정에 대한 상기 피검자의 대응능력을 검사하기 위한 그림명명과제, 제시되는 그림에 맞는 이름에 대한 상기 피검자의 응답능력을 측정하기 위한 그림-단어일치과제, 상기 피검자의 어휘집에 제시된 그림에 해당되는 단어가 잘 보전되어 있는지 여부 및 상기 피검자가 제시된 단어를 정확히 단어라고 파악하는지 여부를 파악하기 위한 어휘판단과제, 상기 피검자의 읽기속도를 측정하기 위한 단어명명과제, 및 상기 피검자의 언어외적인 순수 의미처리과정에 대한 능력을 측정하기 위한 의미판단과제에 속하는 제시문제를 소정의 순서에 의해 상기 피검자에 제시하고, 상기 각각의 과제에 대해 피검자로부터 입력받은 답의 정오여부 및 반응시간을 기초로 상기 평가기준에 따라 상기 피검자의 과제수행능력의 유무를 측정하는 과제수행부; 및 상기 과정수행부에 의해 측정된 상기 과제별 피검자의 과제수행능력을 기초로 소정의 환자유형분류기준에 따라 상기 피검자에 대한 명칭성 실어증 발생여부 및 명칭성 실어증 유형을 진단하는 진단부;를 구비한다.In accordance with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naming aphasia test apparatus comprising: a storage unit for storing a presentation problem belonging to a plurality of tasks and an evaluation criterion for each task; An input unit for receiving an answer to the presentation problem from a subject; An output unit which outputs the presentation problem to the examinee; Picture title task to test the subject's ability to respond to the process from visual stimulus input to speech, Picture-word matching task to measure the subject's response ability to the name that matches the presented picture, Vocabulary of the subject Vocabulary judgment task to determine whether the word corresponding to the picture shown in the figure is well preserved and whether the subject correctly identifies the word presented, a word name task for measuring the reading speed of the subject, and the subject The presenting questions belonging to the semantic judgment task for measuring the ability of the non-verbal pure semantic processing process are presented to the subject in a predetermined order, and whether the answer received from the subject for each task is noon and the response time. Based on the evaluation criteria, the subject's ability to perform the task Measuring task execution unit that; And a diagnosing unit for diagnosing whether or not nausea aphasia and type of aphasia aphasia for the subject are based on a predetermined patient type classification criteria based on the task performing ability of the subject for each task measured by the process performing unit. do.

이에 의해, 언어처리 모형에 기반을 둔 증상위주의 진단을 수행함으로써, 임상현장에서 언어장애중에 특히 여러 명칭성 실어증 환자를 심도있고 정밀하게 진단 및 분류할 수 있다. As a result, by performing symptom-oriented diagnosis based on the speech processing model, it is possible to diagnose and classify patients with speech disorders in a clinical setting in depth and precisely.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명칭성 실어증 검사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aphasia aphasia tes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명칭성 실어증 검사장치는 다음과 같은 특징적인 요소를 기초로 설계된다. 첫째, 기존의 언어심리학에서 밝혀진 언어처리 이론을 바탕으로 제작되었다. 도 1은 Ellis와 Young이 제안한 읽기에 관련된 언어처리 모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청각에 의해 인지된 음성단어(heard word)는 청각분석시스템(100)에 의해 음소수준(170)으로 해석되어 발화되며, 시각에 의해 인지된 시각단어(written word)는 시각분석시스템(110)에 의해 자소-음소의 대응관계(160)가 분석된 후 음소수준(170)으로 해석되어 발화된다. 이 때, 청각분석시스템(100)과 시각분석시스템(110)은 각각 청각입력어휘집(120)과 시각입력어휘집(130)을 참조하며, 청각입력어휘집(120)과 시각입력어휘집(130)은 공통의 의미시스템(140)을 참조한다. 또한, 의미시스템(140)은 음성출력어휘집(150)을 참조한다.The nominal aphasia tes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esigned based on the following characteristic elements. First, it is produced based on the theory of language processing revealed in the existing language psychology.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language processing model related to reading proposed by Ellis and Young. Referring to FIG. 1, a sound word recognized by hearing is interpreted as a phoneme level 170 by the auditory analysis system 100, and a written word recognized by time is visualized. After the correspondence relationship 160 of the phoneme-phone is analyzed by the analysis system 110, the phoneme level 170 is interpreted and uttered. In this case, the auditory analysis system 100 and the visual analysis system 110 refer to the auditory input vocabulary 120 and the visual input vocabulary 130, respectively, and the auditory input vocabulary 120 and the visual input vocabulary 130 are common. Reference is made to the semantic system 140. In addition, the semantic system 140 refers to the voice output vocabulary 150.

본 발명에 따른 명칭성 실어증 검사장치는 언어처리 이론을 바탕으로 구성되었기 때문에 명칭성 실어증이라는 증후군을 언어처리모형에 의거하여, 언어처리모형을 구성하는 요소중에서 어느 부분에 손상 또는 장애가 생겨서 글을 읽지 못하는지 파악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단순히 그림을 보여주고 명명에 장애가 있어 명칭성 실어증이라는 진단에서 더욱 발전시켜 동일한 단어를 그림으로도 보여주고 어휘판단(lexical decision task) 등을 이용하면, 동일한 명칭성 실어증이라도 의미 시스템이나 어휘집이 손상이 있는지 아니면 의미시스템과 어휘집은 온전하나 그 연결이 불완전하여 명칭성 실어증 증상이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진단에 쓰이는 재료는 모두 선행연구에 의해 타당성과 신뢰성이 검증된 한글재료를 사용한다. 대부분의 언어관련 연구가 외국에서 이루어졌기 때문에, 한국어 화자를 진단하는 상황에서는 기존의 한국어 연구결과를 참조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Since the nomenclature aphasia tes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structed on the basis of the theory of language processing, the syndrome of nomenclature aphasia is based on the language processing model, so that any part of the elements constituting the language processing model may be damaged or disabled to read. You can figure out if you can't. For example, if you simply show a picture and develop a diagnosis of naming aphasia because you have a naming disorder, you can show the same word as a picture and use a lexical decision task.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vocabulary is damaged or if the semantic system and the vocabulary are intact but the connection is incomplete and there are symptoms of naming aphasia. In addition, all materials used for diagnosis use Hangul materials whose validity and reliability have been verified by previous studies. Since most language-related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verseas, it is essential to refer to the results of existing Korean studies in diagnosing Korean speakers.

둘째, 기존의 검사도구에 없었던 피검자에 대한 반응시간의 측정에 의한 검사를 실시한다. 즉, 단어어휘판단이나, 읽기과제에서의 정오판단에 기초하여 명칭성 실어증을 검사하는 방식을 발전시켜 각각의 어휘판단이나 읽기, 의미판단 등의 반응시간을 측정함으로써 정오판단으로 알 수 없는 언어장애의 여러 특징들을 발견하고 분류할 수 있다. 셋째, 이러한 검사의 결과를 분석에 용이하도록 정량화하고, 컴퓨터에 의해 실시간으로 자료 제시, 결과 수집, 분석 및 데이터베이스화를 수행함으로써 원할한 진단이 가능하다. 넷째, 증후가 아닌 증상위주의 진단장치이므로 명칭성 실어증에 대한 더욱 자세하고, 정밀한 진단이 가능하다. Second, the test is performed by measuring the reaction time for the subject who did not exist in the existing test tool. In other words, the development of a method of testing naming aphasia based on word vocabulary judgments and noon judgments in reading tasks, and by measuring the reaction time of each vocabulary judgment, reading and semantic judgments Discover and classify different features Third, the results of these tests can be quantified to facilitate analysis, and smooth diagnosis can be performed by performing data presentation, result collection, analysis, and database in real time by a computer. Fourth, because it is a symptom-oriented diagnostic device rather than a symptom, a more detailed and precise diagnosis of naming aphasia is possible.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명칭성 실어증 검사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Figure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naming aphasia tes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명칭성 실어증 검사장치(200)는 저장부(210), 입력부(220), 출력부(230), 제어부(240), 과제수행부(250), 및 진단부(260)를 구비한다.Referring to FIG. 2, the naming aphasia test apparatus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orage unit 210, an input unit 220, an output unit 230, a control unit 240, a task performing unit 250, and a diagnosis unit. The unit 260 is provided.

저장부(210)에는 각각의 과제에 속하는 제시문제 및 제시문제의 정답이 저장된다. 또한, 저장부(210)에는 각각의 과제에 대한 평가기준이 저장된다. 평가기준은 각각의 과제에 대한 답의 정오여부를 기초로 피검자의 어휘판독능력의 유무를 판정하기 위한 기준 및 피검자의 반응속도를 기초로 피검자의 어휘판독능력의 유무를 판정하기 위한 기준을 포함한다. The storage 210 stores the presentation problem belonging to each task and the correct answer of the presentation problem. In addition, the storage unit 210 stores the evaluation criteria for each task. The evaluation criteria include a criterion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re is a vocabulary reading ability of the subject based on noon of answer to each task, and a criterion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subject has a vocabulary reading ability based on the response speed of the subject. .

입력부(220)는 키보드, 마우스, 마이크 등과 같은 정보의 입력수단이며, 입력부(220)를 통해 피검자로부터 입력된 정보는 과제수행부(250)로 전달된다. 출력부(230)는 모니터, 스피커 등과 같은 정보의 출력수단이며, 과제수행부(250)는 제시과제를 출력부(230)를 통해 피검자에게 제시한다. 제어부(240)는 입력부(220)를 통해 검사수행자로부터 검사진행명령이 입력되면, 설정되어 있는 과제수행순서에 기초하여 과제수행부(250)를 제어한다. 이 때, 제어부(240)는 피검자에게 제시되는 정보의 형태에 해당하는 입력부(220)의 구성요소(예를 들면, 피검자로부터 답을 음성으로 입력받을 과제는 마이크를 활성화하고, 모니터에 출력된 보기중에서 답을 선택하는 유형의 과제는 키보드 및 마우스를 활성화함) 및 피검자로부터 입력받을 정보의 형태에 해당하는 출력부(230)의 구성요소(예를 들면, 그림으로 제시되는 과제는 모니터를 활성화하고, 음성으로 제시되는 과제는 스피커를 활성화함 )를 활성화한다. The input unit 220 is an input means for inputting information such as a keyboard, a mouse, a microphone, and the like, and information input from the subject through the input unit 220 is transmitted to the task performing unit 250. The output unit 230 is a means for outputting information such as a monitor, a speaker, etc., and the task performing unit 250 presents the presentation to the examinee through the output unit 230. When the inspection progress command is input from the inspection performer through the input unit 220, the controller 240 controls the task performing unit 250 based on the set task execution order.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240 is a component of the input unit 220 corresponding to the type of information presented to the examinee (for example, the task to receive a voice input from the examinee to activate the microphone, the view output to the monitor The task of selecting an answer among the above is to activate the keyboard and mouse) and the component of the output unit 230 corresponding to the type of information to be input from the subject (for example, the task shown in the figure activates the monitor). For example, the task presented by voice activates the speaker.

과제수행부(250)는 피검자에게 그림명명과제(Picture Naming Task : PNT), 그림-단어일치과제(Picture-word Matching Task : PMT), 어휘판단과제(Lexical Decision Task : LDT), 의미판단과제(Semantic Decision Task : SDT), 및 명명과제(Word Naming Task : WNT)를 정해진 순서에 의해 제시하고, 피검자로부터 입력받은 답의 정오여부 및 반응시간을 측정한다. 과제수행부(250)는 과제의 수행순서에 따라 저장부(240)에 저장되어 있는 과제별 제시문제와 제시자극을 출력부(230)를 통해 출력한다. 도 3에는 그림명명과제에서 피검자에게 제시되는 제시문제의 일예가 도시되어 있다. 피검자는 출력부(230)를 통해 제시된 각각의 그림의 명칭을 입력부(220)에 구비된 입력키를 이용해 입력하거나 입력부(220)에 구비된 마이크를 통해 음성으로 입력한다. 과제수행부(250)는 입력부(220)를 통해 입력된 피검자의 반응에 대한 정오여부와 반응시간을 기록한다. 아울러, 과제수행부(250)는 각각의 과제에 대해 피검자로부터 입력받은 답의 정오여부 및 반응시간을 기초로 각각의 과제에 대한 올바른 수행여부를 판단하여 진단부(260)에 제공한다. The task performing unit 250 provides the subject with a picture naming task (PNT), a picture-word matching task (PMT), a lexical decision task (LDT), a semantic judgment task ( The Semantic Decision Task (SDT) and the Word Naming Task (WNT) are presented in a prescribed order and the noon and response time of the answers received from the subject are measured. The task performing unit 250 outputs, through the output unit 230, a presentation problem and a presentation stimulus for each task, which are stored in the storage unit 240, according to a task execution order. Figure 3 shows an example of the presentation problem presented to the subject in the picture title task. The examinee inputs the name of each figure presented through the output unit 230 using an input key provided in the input unit 220 or inputs a voice through a microphone provided in the input unit 220. The task performing unit 250 records whether or not the noon and the reaction time for the reaction of the subject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220. In addition, the task performing unit 250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correct performance of each task is provided to the diagnosis unit 260 based on whether noon and response time of the answer received from the subject for each task.

먼저, 그림명명과제는 피검자에게 그림을 제시하고 힌트없이 명명하게 하는 과제이다. 과제수행부(250)는 피검자로부터 소정시간 내에 답을 입력받지 못하거나 입력받은 답이 오답일 경우에 피검자에게 그림에 나타나 있는 것의 사용용도나 의미를 입력하도록 지시한다. 이러한 과정에서도 피검자로부터 정해진 시간내에 정답을 입력받지 못하면, 과제수행부(250)는 피검자에게 의미적인 힌트 및 음운적인 힌트를 순차적으로 피검자에게 제시하고 명명하게 한다. 이러한 방법은 이후에 실시되어질 실험과 그 결과들에 일종의 지표 역할을 하게 된다. 즉, 사용용도나 의미 설명을 잘 못할 경우에 의미적인 힌트 및 음운적인 힌트가 제시된 후에도 피검자로부터 정답을 입력받지 못할 확률이 높고, 이후의 의미판단과제에서도 정확하지 않은 반응이 나올 수 있다. 그림명명과제는 인간 언어정보처리 모형 중 시각자극 입력에서부터 발화까지 모든 과정을 측정한다. 이러한 과정 중에서 어느 한 부분이라도 손상이 있을 경우 이 과제의 수행은 잘 이루어지지 않는다. First, the picture title task is to present a picture to a subject and to name it without a hint. The task performing unit 250 instructs the examinee to input the usage or meaning of what is shown in the figure when the answer is not received within a predetermined time from the examinee or the received answer is incorrect. In this process, if the correct answer is not received from the subject within a predetermined time, the task performing unit 250 causes the subject to present and name the meaningful and phonological hints to the subject sequentially. This method serves as an indicator of the experiments and results that will be conducted later. In other words, if the usage or meaning explanation is not good, there is a high probability that the correct answer is not received from the subject even after the semantic hints and the phonological hints are presented, and inaccurate responses may occur in the subsequent meaning determination task. The picture title task measures all processes from visual stimulus input to speech in the human language information processing model. If any part of this process is damaged, this task is not well accomplished.

그림명명과제의 수행시 과제수행부(250)에 의해 출력부(230)에 출력되는 그림은 라인드로잉으로 된 100개의 그림에 대해 50개의 그림으로 2개의 동종이형 세트를 구성하고, 각각의 세트는 10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구성된다. 예를 들면, 각 세트는 구체(자연/인공)와 추상(직업,활동)으로 대분되고, 자연물은 식물, 동물, 신체일부, 비생물로 구성된다. 또한, 인공물은 가전제품, 가구, 교통기관, 의복, 도구 등의 하위 카테고리로 나누어져 있다. 그림의 카테고리를 나눔으로써 기존의 검사도구와는 다르게 명칭성 실어증 환자의 특정 카테고리 손상을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다. The figure output to the output unit 230 by the task performer 250 when performing the task of the figure name constitutes two allotype sets with 50 figures for 100 figures in line drawing, each set being It consists of more than 10 categories. For example, each set is divided into spheres (nature / artificial) and abstracts (occupation, activity), and natural objects are composed of plants, animals, parts of the body, and abiotic creatures. In addition, artefacts are divided into subcategories such as household appliances, furniture, transportation, clothing, and tools. By dividing the categories of pictures, it is easy to measure damage to specific categories of patients with aphasia as opposed to the existing test tools.

한편, 과제수행부(250)는 그림명명과제의 수행중에 피검자가 특정한 카테고리에 속하는 과제에 대한 오답의 입력횟수가 소정의 기준값을 초과하거나 반응시간이 소정의 기준시간보다 높으면 해당 카테고리의 하위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과제를 피검자에게 제시한다. 예를 들어, 인공물 세트에 속하는 과제에 대한 응답과정에서 피검자에게 문제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과제수행부(250)는 인공물 세트의 하위 카테고리인 가전제품에 대한 그림만을 피검자에게 출력한다. 각각의 그림은 고빈도와 저빈도로 나누어져 있어서 기존 KBNT와 높은 신뢰도를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그림명명과제는 기존의 연구와 임상장면에서 기본적으로 사용되었던 것을 그룹화하여 새로이 구성되었다. 또한 동종이형의 세트를 구성함으로써 추적검사시에 같은 자극을 반복함으로 인해 생기는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task performing unit 250, if the subject enters an incorrect answer for a task belonging to a specific category during the execution of the picture title task, exceeds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or the response time is higher than the predetermined reference time, Present the task to the subject. For exampl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a problem with the subject in response to the task belonging to the artifact set, the task performer 250 outputs only the picture of the home appliance, which is a subcategory of the artifact set, to the subject. Each figure is divided into high frequency and low frequency, so it is expected to show high reliability with existing KBNT. The picture title task was newly constructed by grouping the basic ones used in the existing research and clinical scene. Also, by constructing a set of allotypes, problems caused by repeating the same stimulus during follow-up can be minimized.

그림-단어일치과제는 피검자가 그림명명과제와 동일한 그림에 맞는 이름에 대한 탐지능력을 측정하기 위한 과제이다. 그림-단어일치과제는 그림명명과제와는 달리 단어의 인출 및 명명에 관한 처리를 요구하지 않으며, 시각입력의 처리와 그에 맞는 적절한 단어를 인출하는 어휘접근에 대한 처리능력을 측정한다. 도 4에는 그림-단어일치과제에서 피검자에게 제시되는 제시문제의 일예가 도시되어 있다. 과제수행부(250)는 출력부(230)를 통해 저장부(240)로부터 독출한 그림-단어일치과제에 속하는 제시문제를 피검자에게 제공하며, 입력부(220)를 통해 피검자로부터 입력받은 답의 정오여부 및 반응시간을 체크한다. 제시되는 각각의 과제의 난이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세개의 보기는 제시되는 그림에 해당하는 단어, 제시되는 단어와 동일한 카테고리에 속하는 단어, 및 제시되는 단어와 상이한 카테고리에 속하는 단어로 구성된다. The picture-word matching task is for the subject to measure the ability to detect a name that matches the same picture as the picture name task. Unlike picture naming tasks, picture-word matching does not require the processing of word retrieval and naming, and measures the processing of visual input and the processing of the lexical access to retrieve the appropriate word. Figure 4 shows an example of the presentation problem presented to the subject in the picture-word matching task. The task performing unit 250 provides the subject with a presentation problem belonging to the picture-word matching task read out from the storage unit 240 through the output unit 230, and the noon of the answer received from the subject through the input unit 220. Check the status and reaction time. To keep the difficulty of each task presented constant, the three examples consist of words that correspond to the picture being presented, words that belong to the same category as the word being presented, and words that belong to a different category than the word being presented.

어휘판단과제는 피검자에게 그림명명과제의 그림에 해당되는 단어와 동수의 비단어를 제시하여 피검자가 제시된 단어의 비단어여부를 파악하는 능력을 측정하기 위한 과제이다. 어휘판단과제를 통해 피검자의 어휘집에 제시된 그림에 해당되는 단어가 잘 보전되어 있는지 여부 및 피검자가 제시된 단어를 정확히 단어라고 파악하는지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만약, 피검자가 어휘판단과제를 잘 수행하지 못하면, 심성어휘집에 저장되어있는 일부 단어가 손상되어 명칭성 실어증 장애가 발생한 것이라고 추정할 수 있다. 앞의 실험과 동일하게 on-line task로 진행되며, 반응시간과 오류율을 측정한다. 과제수행부(250)는 저장부(210)로부터 어휘판단과제에 속하는 제시문제를 독출하여 출력부(230)에 출력하며, 입력부(220)를 통해 피검자로부터 입력된 답의 정오여부 및 반응시간을 체크한다.The Vocabulary Judgment Task is a task to measure the ability of a subject to grasp the nonwords of a given word by presenting the words corresponding to the pictures of the picture title task and the same nonwords. The lexical judgment task can determine whether the words corresponding to the pictures presented in the subject's vocabulary are well preserved and whether the subject identifies the words correctly. If the subject fails to perform the vocabulary determination task well, it may be assumed that some words stored in the mental vocabulary are damaged and a naming aphasia disorder has occurred. In the same way as the previous experiment, the on-line task is used to measure the response time and error rate. The task performing unit 250 reads out a presentation problem belonging to the lexical judgment task from the storage unit 210 and outputs it to the output unit 230, and outputs a noon and response time of an answer input from the subject through the input unit 220. Check it.

단어명명과제는 피검자의 읽기속도를 측정하기 위한 과제이다. 이를 위해 과제수행부(250)는 그림명명과제에서 제시된 그림의 이름을 출력부(230)를 통해 피검자에게 제시하고 피검자에게 제시된 그림의 이름을 읽도록 지시한다. 피검자의 음성은 입력부(220)에 구비된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며, 과제수행부(250)는 입력된 피검자의 음성을 기초로 발음의 정확성 및 읽기속도를 측정한다. 어휘판단과제가 피검자의 단어/비단어에 대한 판단능력을 측정하기 위한 과제인 반면, 단어명명과제는 피검자의 심성어휘집에서 단어를 탐색한 후 조음 및 음성적인 처리까지의 능력을 측정하기 위한 과제이다. 만약, 피검자가 어휘판단과제는 제대로 수행하나 단어명명과제를 잘 수행하지 못한다면, 피검자의 심성어휘집의 단어는 모두 잘 보전되어 있으나 그것을 음성자극으로 바꾸거나 산출하는데 문제가 생긴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The word naming task is a task to measure the reading speed of a subject. To this end, the task performing unit 250 presents the name of the picture presented in the picture name task to the examinee through the output unit 230 and instructs the subject to read the name of the picture presented. The voice of the examinee is input through a microphone provided in the input unit 220, and the task performer 250 measures the accuracy of the pronunciation and the reading speed based on the input voice of the examinee. While the lexical judgment task is a task for measuring the subject's ability to judge words / nonwords, the word naming task is a task for measuring the ability to search for words in the mental vocabulary of the subject and then to articulation and voice processing. . If the subject performs the vocabulary determination task correctly but does not perform the word naming task well, all the words of the subject's mental vocabulary are well preserved, but it may be assumed that there is a problem in converting or calculating the speech stimulus.

의미판단과제는 피검자의 언어외적인 순수 의미처리과정에 대한 능력을 측정하기 위한 과제이다. 도 5에는 출력부(230)에 출력된 의미판단과제에 속하는 제시문제의 일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피검자는 입력부(220)에 구비된 버튼 또는 마우스를 이용하여 보기중에 제시된 그림과 동일한 카테고리에 속하는 그림을 선택한다. 의미 판단 과제는 피검자의 언어처리와 관련된 부분을 배제한 순수한 의미처리만을 측정한다는 점에서 의미 분류 과제와 차이가 있다. 만약 피검자가 의미 판단 과제를 수행하는 능력이 부족하면, 의미처리부분에 문제가 생겼기 때문에 명칭성 실어증이 발생했다고 추정할 수 있다.The semantic judgment task is to measure the subject's ability to process non-verbal pure semantic processing. 5 illustrates an example of a presentation problem belonging to a semantic determination task output to the output unit 230. Referring to FIG. 5, a subject selects a picture belonging to the same category as the picture presented in the view by using a button or a mouse provided in the input unit 220. The semantic judgment task differs from the semantic classification task in that it only measures pure semantic processing that excludes the subject's language processing. If the subject lacks the ability to perform the semantic judgment task, it may be assumed that a naming aphasia has occurred because of a problem in the semantic processing part.

진단부(260)는 과제수행부(250)에 의해 도출된 검사결과를 각각의 과제에 대해 설정되어 있는 기준값과 비교하여 피검자의 명칭성 실어증에 대한 진단결과를 생성한다. 상술한 과제수행부(250)에 의한 검사결과에 따라 명칭성 실어증 환자는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분류될 수 있다. 따라서, 진단부(260)는 각각의 과제에 대응하는 검사결과를 기초로 피검자가 속하는 환자타입을 판정하여 출력한다.The diagnosis unit 260 generates a diagnosis result for the subject's name aphasia by comparing the test result derived by the task performing unit 250 with a reference value set for each task. According to the test result by the task performing unit 250 described above, patients with aphasia aphasia may be classified as described in Table 1. Therefore, the diagnosis unit 260 determines and outputs the patient type to which the examinee belongs based on the test result corresponding to each task.

PNTPNT PMTPMT LDTLDT SDTSDT WNTWNT AA XX OO OO OO OO BB XX XX OO OO XX CC XX XX XX OO XX DD XX XX OO XX XX EE XX XX OO OO OO

표 1에 기재된 기준에 의해 분류된 명칭성 실어증 환자의 유형별 특징은 다음과 같다.The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of patients with nasal aphasia classified by the criteria listed in Table 1 are as follows.

A타입의 명칭성 실어증 환자는 의미시스템과 음운출력어휘집(phonological output lexicon)의 연결이 완전하지 않고, 의미시스템과 음운출력어휘집(phonological output lexicon) 자체가 손상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B타입의 명칭성 실어증 환자는 어휘집 자체는 어느 정도 완전하나, 음운출력어휘집(phonological output lexicon)에 문제가 있어서 적절한 단어를 찾는데 어려움을 겪는 환자이다. C타입의 명칭성 실어증 환자는 의미시스템에 문제가 있어서 단어를 찾는데 곤란을 겪는 환자일 가능성이 높다. D타입의 명칭성 실어증 환자는 의미시스템과 심성어휘집의 연결이 완전하지 않아 단어를 찾는데 곤란을 겪는 환자일 가능성이 높다. E타입의 명칭성 실어증 환자는 시각입력 시스템과 의미시스템의 연결이 완전하지 않아 단어를 찾는데 곤란을 겪는 환자일 가능성이 높다. 이밖에도 환자의 특성과 과제의 수행정도에 따라 명칭성 실어증 환자를 다른 많은 타입으로 구분할 수 있다. Patients with type A naming aphasia may not have a complete connection between the semantic system and the phonological output lexicon, and the semantic system and the phonological output lexicon itself may be damaged. Patients with type B naming aphasia are somewhat lexical, but have difficulty in finding proper words due to problems with the phonological output lexicon. Type C patients with aphasia are more likely to have problems with the semantic system and have difficulty finding words. Patients with type D aphasia are more likely to have difficulty finding words because the connection between the semantic system and the mental vocabulary is incomplete. Patients with type E aphasia are more likely to have difficulty finding words due to incomplete connection between visual input system and semantic system. In addition, many patients can be classified into patients with aphasia aphasia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patient and the performance of the task.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shown and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preferred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claimed in the claims.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such change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본 발명에 따른 명칭성 실어증 검사장치에 따르면, 언어처리 모형에 기반을 둔 증상위주의 진단을 수행함으로써, 임상현장에서 언어장애중에 특히 여러 명칭성 실어증 환자를 심도있고 정밀하게 진단 및 분류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를 이용하여 일정한 형식으로 DB를 구축할 수 있으므로 진단뿐만 아니라, 치료 및 재활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고, 다른 실어증 검사도구의 기초 모형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phasia aphasia tes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performing a symptom-oriented diagnosis based on the speech processing model, it is possible to diagnose and classify patients with aphasia, especially in the clinical field, in depth and precisely. . In addition, since the DB can be constructed in a certain format using a computer, it can be used as a basic data for treatment and rehabilitation as well as diagnosis, and can provide a basic model of other aphasia test tools.

도 1은 Ellis와 Young이 제안한 읽기에 관련된 언어처리 모형을 도시한 도면,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language processing model related to reading proposed by Ellis and Young.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명칭성 실어증 검사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device for testing aphasia aphrodisiac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그림명명과제에서 피검자에게 제시되는 제시문제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presentation problem presented to a subject in a figure title task;

도 4는 그림-단어일치과제에서 피검자에게 제시되는 제시문제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 그리고,4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presentation problem presented to a subject in a picture-word matching task; and

도 5는 출력부(230)에 출력된 의미판단과제에 속하는 제시문제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presentation problem belonging to a semantic determination task output to the output unit 230.

Claims (5)

복수의 과제에 속하는 제시문제 및 각각의 과제에 대한 평가기준이 저장되는 저장부;A storage unit for storing a presentation problem belonging to a plurality of tasks and an evaluation criterion for each task; 피검자로부터 상기 제시문제에 대한 답을 입력받는 입력부;An input unit for receiving an answer to the presentation problem from a subject; 상기 피검자에게 상기 제시문제를 출력하는 출력부;An output unit which outputs the presentation problem to the examinee; 시각자극 입력에서부터 발화까지의 과정에 대한 상기 피검자의 반응능력을 검사하기 위한 그림명명과제, 제시되는 그림에 맞는 이름에 대한 상기 피검자의 응답능력을 측정하기 위한 그림-단어일치과제, 상기 피검자의 어휘집에 제시된 그림에 해당되는 단어가 잘 보전되어 있는지 여부 및 상기 피검자가 제시된 단어를 정확히 단어라고 파악하는지 여부를 파악하기 위한 어휘판단과제, 상기 피검자의 읽기속도를 측정하기 위한 단어명명과제, 및 상기 피검자의 언어외적인 순수 의미처리과정에 대한 능력을 측정하기 위한 의미판단과제에 속하는 제시문제를 소정의 순서에 의해 상기 피검자에 제시하고, 상기 각각의 과제에 대해 피검자로부터 입력받은 답의 정오여부 및 반응시간을 기초로 상기 평가기준에 따라 상기 피검자의 과제수행능력의 유무를 측정하는 과제수행부; 및 Picture title task to test the subject's reaction ability to the process from visual stimulus input to utterance, Picture-word matching task to measure the subject's response ability to the name that fits the presented picture, Vocabulary of the subject Vocabulary judgment task to determine whether the word corresponding to the picture shown in the figure is well preserved and whether the subject correctly identifies the word presented, a word name task for measuring the reading speed of the subject, and the subject The presenting questions belonging to the semantic judgment task for measuring the ability of the non-verbal pure semantic processing process are presented to the subject in a predetermined order, and whether the answer received from the subject for each task is noon and the response time. Based on the evaluation criteria, the subject's ability to perform the task Measuring task execution unit that; And 상기 과정수행부에 의해 측정된 상기 과제별 피검자의 과제수행능력을 기초로 소정의 환자유형분류기준에 따라 상기 피검자에 대한 명칭성 실어증 발생여부 및 명칭성 실어증 유형을 진단하는 진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명칭성 실어증 검사장치.A diagnosing unit for diagnosing whether or not nausea aphasia and type of aphasia aphasia for the subject based on a predetermined patient type classification criteria based on the task performing ability of the subject for each task measured by the process performing unit; Nominal aphasia test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과제수행부는 상기 그림명명과제의 수행시 상기 출력부를 통해 소정의 그림을 출력하고 상기 피검자로부터 소정의 제1기준시간내에 정답이 입력되지 않으면 상기 피검자에게 상기 출력된 그림의 사용용도나 의미를 입력하도록 지시하고, 상기 그림의 사용용도나 의미를 입력하도록 지시한 후에 상기 피검자로부터 소정의 제2기준시간내에 정답이 입력되지 않으면 상기 피검자에게 상기 출력된 그림에 대한 의미적인 힌트 및 음운적인 힌트를 순차적으로 피검자에게 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명칭성 실어증 검사장치.The task performing unit outputs a predetermined figure through the output unit when the figure name task is performed, and inputs the use or meaning of the outputted figure to the subject if the correct answer is not input within the first reference time from the subject. And if the correct answer is not input within the second reference time from the subject after instructing the user to input the usage or meaning of the figure, the subject is sequentially given a semantic hint and a phonological hint about the printed figure. An aphasia aphasia test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presented to the subject.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그림명명과제의 수행시 상기 과제수행부에 의해 상기 출력부에 출력되는 그림은 50개의 그림으로 2개의 동종이형 세트를 구성되고 각각의 세트는 10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구성되며,The picture outputted to the output unit by the task performing unit when performing the picture title task consists of 50 sets of two allomorphic sets, each set consisting of 10 or more categories, 상기 과제수행부는 상기 그림명명과제의 수행중에 특정한 카테고리에 속하는 과제에 대한 상기 피검자의 오답 입력횟수가 소정의 기준값을 초과하거나 상기 피검자의 반응시간이 소정의 기준시간보다 높으면 상기 특정한 카테고리의 하위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과제들을 상기 피검자에게 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명칭성 실어증 검사장치.The task performing unit is assigned to a sub-category of the specific category when the number of incorrect answer inputs of the subject for a task belonging to a specific category exceeds the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or the response time of the subject is higher than a predetermined reference time during the execution of the picture title task. Apparatus for identification of aphasia aphasia, characterized in that to present the subject to the subject.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환자유형분류기준에 따른 환자유형은 의미시스템과 음운출력어휘집(phonological output lexicon)의 연결이 완전하지 않고 상기 의미시스템과 상기 음운출력어휘집이 손상된 환자에 해당하는 제1타입, 어휘집 자체는 완전하나 상기 음운출력어휘집에 문제가 있어서 적절한 단어를 찾는데 어려움을 겪는 환자에 해당하는 제2타입, 상기 의미시스템에 문제가 있어서 단어를 찾는데 곤란을 겪는 환자에 해당하는 제3타입, 상기 의미시스템과 심성어휘집의 연결이 완전하지 않아 단어를 찾는데 곤란을 겪는 환자에 해당하는 제4타입, 및 시각입력 시스템과 상기 의미시스템의 연결이 완전하지 않아 단어를 찾는데 곤란을 겪는 환자에 해당하는 제5타입으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명칭성 실어증 검사장치. The patient type according to the patient type classification criteria is not completely connected to the semantic system and the phonological output lexicon, and the first type corresponding to the patient with the damaged semantic system and the phonological output lexicon is complete. A second type corresponding to a patient having a problem in phonological output vocabulary and having difficulty in finding an appropriate word, a third type corresponding to a patient having a problem in finding a word due to a problem in the semantic system, the semantic system and a mental vocabulary Is divided into a fourth type corresponding to a patient having difficulty in finding a word due to incomplete connection, and a fifth type corresponding to a patient having difficulty in finding a word due to incomplete connection between the visual input system and the semantic system. Nominal aphasia test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과제수행부는 상기 그림명명과제의 수행시에 상기 출력부를 통해 상기 피검자에게 제시된 그림과 동일한 그림을 상기 그림-단어일치과제의 수행시 및 상기 어휘판단과제의 수행시에 상기 출력부를 통해 상기 피검자에게 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명칭성 실어증 검사장치. The task performing unit sends the same picture as the picture presented to the examinee through the output unit when performing the figure name task to the examinee through the output unit when the figure-word matching task is performed and when the vocabulary determination task is performed. Nominal aphasia test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presenting.
KR10-2003-0078084A 2003-11-05 2003-11-05 Apparatus for diagnosing anomia KR10051138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8084A KR100511385B1 (en) 2003-11-05 2003-11-05 Apparatus for diagnosing anomia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8084A KR100511385B1 (en) 2003-11-05 2003-11-05 Apparatus for diagnosing anomia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3250A KR20050043250A (en) 2005-05-11
KR100511385B1 true KR100511385B1 (en) 2005-08-30

Family

ID=372440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8084A KR100511385B1 (en) 2003-11-05 2003-11-05 Apparatus for diagnosing anomia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11385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4424B1 (en) * 2015-07-01 2016-12-20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Apparatus and System and Method of Social Language Assessment of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KR101693161B1 (en) * 2015-07-15 2017-01-05 대한민국 The method for determining the type of aphasia and the apparatus for determining the type of aphasia
KR102511388B1 (en) * 2021-02-10 2023-03-17 휴브알엔씨 주식회사 A automatic analysis method of articulation disord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3250A (en) 2005-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ight et al. Direct and indirect measures of memory for modality in young and older adults.
CN112750465B (en) Cloud language ability evaluation system and wearable recording terminal
JP4002401B2 (en) Subject ability measurement system and subject ability measurement method
Mirheidari et al. Computational cognitive assessment: Investigating the use of an intelligent virtual agent for the detection of early signs of dementia
US20120323573A1 (en) Non-Scorable Response Filters For Speech Scoring Systems
CN106725532A (en) Depression automatic evaluation system and method based on phonetic feature and machine learning
Stegmann et al. Repeatability of commonly used speech and language features for clinical applications
Roberts et al. Information content and efficiency in the spoken discourse of individuals with Parkinson's disease
WO2006109268A1 (en) Automated speech disorder detection method and apparatus
US20150272485A1 (en) System and methods for automated hearing screening tests
CN110876611A (en) Remote evaluation method for neurocognitive disorder of old people
US20090275005A1 (en)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Speech Assessment
Shirali-Shahreza et al. MOS Naturalness and the quest for human-like speech
Fergadiotis et al. Algorithmic classification of five characteristic types of paraphasias
Prange et al. Multimodal speech-based dialogue for the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KR100511385B1 (en) Apparatus for diagnosing anomia
JP7022921B2 (en) Cognitive function evaluation device, cognitive function evaluation system, cognitive function evaluation method and program
Jing et al. Speech-language pathologists' ratings of speech accuracy in children with speech sound disorders
Bartee et al. Confirming the reliability of a theory-based questionnaire
Gong et al. Towards an Automated Screening Tool for Developmental Speech and Language Impairments.
US20240023877A1 (en) Detection of cognitive impairment
Gelfand et al. Large-corpus phoneme and word recognition and the generality of lexical context in CVC word perception
JP7307507B2 (en) Pathological condition analysis system, pathological condition analyzer, pathological condition analysis method, and pathological condition analysis program
Chenery Semantic priming in Alzheimer's dementia
Rex et al. A preliminary validation of a dynamic speech motor assessment for Swedish-speaking children with childhood apraxia of speec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4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