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10634B1 - 마이크로파음식물쓰레기처리기 - Google Patents

마이크로파음식물쓰레기처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0634B1
KR100510634B1 KR1019980019287A KR19980019287A KR100510634B1 KR 100510634 B1 KR100510634 B1 KR 100510634B1 KR 1019980019287 A KR1019980019287 A KR 1019980019287A KR 19980019287 A KR19980019287 A KR 19980019287A KR 100510634 B1 KR100510634 B1 KR 1005106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ying chamber
food waste
air
air discharge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92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86346A (ko
Inventor
김양경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800192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10634B1/ko
Publication of KR199900863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63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06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063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4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involving thermal treatment, e.g. evapo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20Method-related aspects
    • A61L2209/21Use of chemical compounds for treating air or the like
    • A61L2209/212Use of ozone, e.g. generated by UV radiation or electrical dischar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20Waste processing or separ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이크로파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에 관한 것으로서, 구조를 달라하여 건조실 내에서 음식물 쓰레기가 건조 처리될 때 발생되는 냄새가스를 상기 건조실 내에서 오존에 의해 직접 탈취하도록 하여 냄새가스가 건조실의 입구부 틈새를 통해 외부로 새어나가지 않도록 함에 따라 기기를 실내에서도 마음놓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함과 함께 음식물 쓰레기가 건조 처리되는 과정에서 계속적으로 섞이면서 잘개 절단되도록 하여 모든 음식물 쓰레기에 마이크로파가 골고루 전달되게 함에 따라 상기 모든 음식물 쓰레기의 건조가 완벽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본체(1)와, 상기 본체 내부에 고정되어 본체(1) 외부와 연통된 상태로 상부에는 투입구(2a)가 일체화 됨과 함께 하부에는 배출구(2b)가 일체화된 건조실(2)과, 상기 투입구(2a)를 통해 건조실(2) 내로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를 교반시켜 주는 교반수단과, 상기 건조실(2) 내로 마이크로파를 공급시켜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가 파이크로파에 의해 건조되도록 하는 마그네트론(10)과, 상기 건조실(2) 내로 오존을 공급시켜 음식물 쓰레기의 건조시 발생되는 냄새가스가 건조실 내에서 직접 탈취되도록 하는 오존발생기(12)와, 상기 오존발생기에 의해 냄새가스가 탈취된 건조실(2) 내의 공기를 본체(1) 외부로 배출시켜 주도록 건조실(2)에 연결된 공기배출관(13) 및 상기 공기배출관 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공기배출팬(14)으로 이루어진 공기 배출수단과, 상기 공기 배출수단에 의해 건조실(2) 내의 공기가 배출될 때 공기중에 포함된 수분을 응축시켜 외부로 배출시켜 주는 응축수단과, 상기 건조실(2) 내에서 건조 처리된 음식물 쓰레기가 배출구(2b)를 통해 배출되도록 상기 배출구를 선택적으로 개폐시켜 주는 개폐밸브(9)로 구성하여서 된 것이다.

Description

마이크로파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microwave garbage disposer}
본 발명은 마이크파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 처리하는 마이크로파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구조를 달리하여 건조실 내에서 음식물 쓰레기가 건조 처리될 때 발생되는 냄새가스가 완벽하게 탈취되도록 함과 함께 상기 냄새가스의 완벽한 탈취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의 건조 또한 완벽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는 가정이나 음식점의 주방에서 발생되는 쓰레기를 처리하는 기기로서, 그 처리방식은 주로 건조에 의하거나 발효에 의하고 있는데, 상기 건조에 의한 처리방식의 하나가 마이크로파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이다.
첨부된 도 1은 종래 마이크로파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를 나타낸 종단면도로서, 본체(101)와, 상기 본체 내부에 고정되어 입구부(102a)를 갖는 건조실(102)과, 상기 건조실에 입구부(102a)를 통해 내외측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트레이(103)와, 상기 트레이의 전면에 일체화되어 트레이의 내외측이동시 건조실(102)의 입구부(102a)를 개폐시켜 주는 도어(104)와, 상기 트레이(103)에 얹혀져 트레이의 내측이동시 처리하고자 하는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실(102) 내부로 이송시켜 주는 오븐(105)과, 상기 건조실(102)의 일측에 부착되어 건조실 내부로 음식물 쓰레기의 건조원인 마이크로파를 발진시켜 공급하여 주는 마그네트론(106) 및 공기를 공급시켜 주는 공기공급팬(107)과, 끝단이 상기 본체(101) 외부에 노출된 상태로 건조실(102)의 상부면에 연결된 공기배출관(108)과, 상기 공기배출관 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건조실(102) 내의 공기를 강제적으로 배출시켜 주는 공기배출팬(109)과, 상기 공기배출관의 공기배출팬(109) 후방에 설치되어 공기배출관(108)을 통해 배출되는 공기중의 냄새가스를 탈취하여 주는 탈취기(110)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도어(104)의 손잡이(104a)를 이용해 상기 도어(104)를 잡아당기면 도어가 트레이(103)에 일체화되어 있으므로 건조실(102)의 입구부(102a)가 개방됨과 동시에 트레이(103)는 상기 입구부(102a)를 통해 본체(101) 외측으로 이동되고, 이에따라 상기 트레이(103)에 얹혀진 오븐(105)이 건조실(102) 내부에서 본체(101) 외부로 일점쇄선과 같이 인출된다.
이후 오븐(105)에 처리하고자 하는 음식물 쓰레기를 넣은 다음 다시 도어(104)를 밀으면 트레이(103)는 건조실(102)의 입구부(102a)를 통해 본체(101) 내측으로 이동됨과 동시에 상기 입구부(102a)가 도어(104)에 의해 폐쇄되고, 이에따라 음식물 쓰레기가 넣어져 있는 오븐(105)이 상기 본체(101) 외부에서 건조실(102) 내부로 실선과 같이 인입된다.
이와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기기를 온(ON)시키면 건조실(102)의 일측에 부착된 마그네트론(106)이 발진함과 함께 공기공급팬(107)이 회전하므로 상기 마그네트론(106)의 발진에 의해 발생된 마이크로파와 공기공급팬(107)의 회전에 의해 발생된 공기가 상기 건조실(102) 내로 공급되고, 이에따라 오븐(105)에 넣어져 있는 음식물 쓰레기의 수분이 가열되므로 상기 음식물 쓰레기가 건조 처리되는데, 상기 음식물 쓰레기의 건조 처리후에는 다시 일점쇄선과 같이 오븐(105)을 건조실(102) 외부로 인출시킨 다음 상기 오븐(105) 내에서 건조 처리된 음식물 쓰레기의 처리 잔재물을 별도의 도구를 이용해 퍼내어 필요한 용도로 사용하거나 버리면 된다.
한편, 마그네트론(106)의 발진과 함께 공기공급팬(107)의 회전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가 건조 처리될 때 공기배출관(108) 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공기배출팬(109)이 회전하므로 상기 음식물 쓰레기가 건조 처리되는 과정에서 발생된 냄새가스는 건조실(102) 내의 공기와 함께 상기 공기배출관(108)을 통해 본체(101) 외부로 배출되는데, 이때 배출되는 공기중의 냄새가스는 공기배출관(108)의 공기배출팬(109) 후방에 설치된 탈취기(110)를 지나면서 상기 탈취기에 의해 탈취된다.
그러나 종래 이와같은 마이크로파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는 음식물 쓰레기의 건조 처리시 발생되는 냄새가스를 건조실 내의 공기와 함께 외부로 배출시키면서 탈취하는 구조이므로 탈취가 원활히 이루어지지 못함에 따라 건조실의 입구부가 도어에 의해 폐쇄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냄새가스의 일부는 상기 입구부의 미세한 틈새를 통해 본체 외부로 배출되면서 실내를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오븐에 넣어져 있는 음식물 쓰레기가 건조 처리될 때 상기 음식물 쓰레기를 잘개 절단하는 작업과 섞어주는 작업이 수행되지 않으므로 상기 음식물 쓰레기에 마이크로파가 골고루 전달되지 못함에 따라 일부의 음식물 쓰레기가 건조되지 못하고 부폐되어 악취를 발생시키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건조실 내에서 음식물 쓰레기가 건조 처리될 때 발생되는 냄새가스가 상기 건조실 내에서 오존에 의해 직접 탈취되도록 하여 냄새가스가 건조실의 입구부 틈새를 통해 외부로 새어나가지 않도록 함과 함께 음식물 쓰레기가 건조되는 과정에서 계속적으로 섞이면서 잘개 절단되도록 하여 모든 음식물 쓰레기에 마이크로파가 골고루 전달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형태에 따르면, 본체와, 상기 본체 내부에 고정되어 본체 외부와 연통된 상태로 상부에는 투입구가 일체화 됨과 함께 하부에는 배출구가 일체화된 건조실과, 상기 투입구를 통해 건조실 내로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를 교반시켜 주는 교반수단과, 상기 건조실 내로 마이크로파를 공급시켜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가 파이크로파에 의해 건조되도록 하는 마크네트론과, 상기 건조실 내로 오존을 공급시켜 음식물 쓰레기의 건조시 발생되는 냄새가스를 건조실 내에서 직접 탈취하는 오존발생기와, 상기 오존발생기에 의해 냄새가스가 탈취된 건조실 내의 공기를 본체 외부로 배출시켜 주도록 건조실에 연결된 공기배출관 및 상기 공기배출관 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공기배출팬으로 이루어진 공기 배출수단과, 상기 공기 배출수단에 의해 건조실 내의 공기가 배출될 때 공기중에 포함된 수분을 응축시켜 외부로 배출시켜 주는 응축수단과, 상기 건조실 내에서 건조 처리된 음식물 쓰레기가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도록 상기 배출구를 선택적으로 개폐시켜 주는 개폐밸브로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파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가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을 일 실시예로 도시한 첨부된 도 2를 참고로 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2는 본 발명 마이크로파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를 나타낸 종단면도로서, 본 발명은 본체(1) 내부에 건조실(2)을 고정하고, 상기 건조실의 상부에는 본체(1)의 전면 외부와 연통된 상태로 투입구(2a)를 형성함과 함께 하부에는 배출구(2b)를 형성하며, 상기 투입구에는 투입구(2a)를 개폐시켜 주도록 도어(3)를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설치하며, 상기 건조실(2)의 외측 적소에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도록 교반모터(4)를 부착하고, 상기 건조실(2) 내의 하부면 중심부에는 교반모터(4)의 구동력을 벨트(5)를 통해 전달받아 회전하도록 회전축(6)을 설치하며, 상기 회전축에는 복수개의 교반날개(7)를 고정하고, 상기 건조실(2)의 내측 둘레면에는 교반날개(7)와 약간 이격된 상태로 커터(8)를 고정하며, 상기 배출구(2b)에는 배출구를 개폐시켜 주도록 개폐밸브(9)를 설치한다.
또한 건조실(2)의 상부 적소에는 마이크로파를 발진시켜 건조실 내로 공급하여 주도록 마그네트론(10)을 설치함과 함께 공기를 발생시켜 건조실(2) 내로 공급하여 주도록 공기공급팬(11)을 설치하고, 상기 건조실(2)의 상부 적소에는 건조실 내부에서 오존을 발생시키도록 오존발생기(12)를 설치하며, 상기 건조실(2)의 후방에는 끝단이 본체(1) 외부와 연통된 상태로 공기배출관(13)을 연결하고, 상기 공기배출관에는 건조실(2) 내의 공기가 배출되도록 공기배출팬(14)을 회전가능하게 설치하며, 상기 공기배출관(13)에는 배출되는 공기중의 수분을 응축하도록 응축기(15)를 설치하고, 상기 응축기의 직하방에는 응축기(15)에 의해 응축된 응축수를 모으도록 집수통(16)을 설치하며, 상기 집수통에는 집수통(16)에 모아진 응축수를 본체(1) 외부로 배출시켜 주도록 응축수 배출관(17)을 연결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 마이크로파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 처리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도어(3)의 손잡이(3a)를 이용해 상기 도어(3)를 잡아당기면 도어가 도 2의 일점쇄선으로 도시한 바와같이 외측으로 이동하므로 건조실(2)의 투입구(2a)가 개방된다.
이후 투입구(2a)를 통해 본체(1) 내에 고정된 건조실(2)로 처리하고자 하는 음식물 쓰레기를 넣은 다음 다시 도어(3)를 밀으면 개방되어 있던 건조실(2)의 투입구(2a)가 상기 도어(3)에 의해 다시 폐쇄된다.
이와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기기를 온(ON)시키면 건조실(2)의 일측 외부에 부착된 교반모터(4)가 구동하므로 상기 건조실(2)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회전축(6)이 교반모터(4)의 구동력을 벨트(5)를 통해 전달받아 회전하고, 이에따라 상기 회전축(6)에 고정된 복수개의 교반날개(7)가 회전축(6)과 함께 회전하면서 건조실(2) 내로 넣어진 음식물 쓰레기를 골고루 섞어주는데, 상기 건조실의 내측둘레면에는 교반날개(7)와 약간 이격된 상태로 복수개의 커터(8)가 고정되어 있으므로 건조실(2) 내에서 교반되는 음식물 쓰레기중 비교적 큰 크기의 음식물 쓰레기는 상기 커터(8)에 의해 잘게 부수어 진다.
한편 건조실(2) 내의 음식물 쓰레기가 잘게 부수어지면서 섞어질 때 상기 건조실의 상부면 적소에 부착된 마그네트론(10)이 발진함과 함께 공기공급팬(11)이 회전하므로 상기 마그네트론(10)의 발진에 의해 발생된 마이크로파와 공기공급팬(11)의 회전에 의해 발생된 공기가 상기 건조실(2) 내로 공급되고, 이에따라 건조실 내에 있는 음식물 쓰레기의 수분이 가열에 의해 증발되므로 결국 음식물 쓰레기가 건조 처리되는데, 이때 상기 건조실(2) 내의 상부면 적소에 부착된 오존발생기(12)가 작동하여 건조실(2) 내부로 오존을 발생시켜 주므로 음식물 쓰레기가 건조되는 과정에서 발생된 냄새가스는 상기 건조실(2) 내부에서 오존에 의해 산화 분해되어 직접적으로 탈취됨은 물론 인체에 유해한 미생물 및 세균이 모두 살균된다.
상기에서 오존을 발생시키는 오존발생기(12)는 자외선 조사방식, 물 분해방식, 전기 방전방식 등 여러방식이 사용될 수 있는데, 이하에서 상기 전기 방전방식에 의해 오존을 발생하기 까지의 과정을 참고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고전압 발생장치(High Voltage Transformer)를 이용하여 전극에 고전압을 인가하면 상기 전극 주위에서 전자(e-)가 발생하고, 이 전자는 산소분자(O)와 충돌하여 오존(O3)을 생성한다.
즉, O2 + e- → e- + O + O → O2 + O → O3이다.
이와같이 건조실(2) 내의 공기가 오존에 의해 탈취된 후에는 상기 건조실에 연결된 공기배출관(13) 내의 공기배출팬(14)이 회전하므로 상기 건조실(2) 내의 탈취된 공기가 공기배출관(13)을 통해 본체(1) 외부로 배출되는데, 이때 상기 공기배출관에는 응축기(15)가 설치되어 있음을 감안할 때 공기배출관(13)을 통해 배출되는 탈취 공기중의 수분이 상기 응축기(15)에 의해 응축되고, 이 응축수는 응축기의 직하방에 설치된 집수통(16)에 모아진 다음 응축수 배출관(17)을 통해 본체(1)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한 일련의 모든 과정을 거쳐 음식물 쓰레기가 건조 처리된 후에는 건조실(2)에 일체화된 배출구(2b) 상의 개폐밸브(9)가 콘트롤러의 제어신호를 받아 일정시간 동안 열리므로 상기 건조실(2) 내의 건조 잔재물이 배출구(2b)를 통해 본체(1) 외부로 배출되고, 이에따라 사용자가 상기 배출된 건조 잔재물을 필요한 용도로 사용하거나 버리면 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의 건조 처리시 발생되는 냄새가스를 건조실 내에서 오존에 의해 직접 탈취하는 구조이므로 탈취가 원활히 이루어 짐에 따라 냄새가스가 건조실의 입구부 틈새를 통해 본체 외부로 배출되지 않아 기기를 실내에서도 마음놓고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실내가 냄새가스에 의해 오염되는 일이 없게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오븐에 넣어져 있는 음식물 쓰레기가 건조 처리될 때 상기 음식물 쓰레기를 잘개 절단하는 작업과 섞어주는 작업이 수행되는 구조이므로 상기 음식물 쓰레기에 마이크로파가 골고루 전달됨에 따라 모든 음식물 쓰레기의 건조가 완벽하게 이루어지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종래 마이크로파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2는 본 발명 마이크로파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본체 2. 건조실
2a. 투입구 2b. 배출구
3. 도어 4. 교반모터
5. 벨트 6. 회전축
7. 교반날개 8. 커터
9. 개폐밸브 10. 마그네트론
11. 공기공급팬 12. 오존발생기
13. 공기배출관 14. 공기배출팬
15. 응축기 16. 집수통
17. 응축수 배출관

Claims (3)

  1. 음식물 쓰레기가 건조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건조실과;
    상기 건조실 내부로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를 교반하는 교반수단과;
    상기 교반수단과 소정 거리를 유지하면서 상기 건조실의 내측 둘레면에 설치되어, 상기 교반수단에 의해 상기 건조실 내부로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를 교반시킬 때 상기 음식물 쓰레기를 잘게 절단하는 커터와;
    상기 건조실 내부로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에 마이크로파를 조사(照射)하는 마그네트론과;
    상기 건조실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음식물 쓰레기에서 발생되는 냄새를 건조실 내부에서 직접 제거하는 오존발생기와;
    상기 오존발생기에 의해 냄새가 제거된 건조실 내부의 공기가 배출되는 공기배출관과 상기 공기배출관 내부에 설치되는 공기배출팬을 가지는 공기 배출수단과;
    상기 공기 배출수단에 의해 배출되는 공기 중에 포함된 수분을 응축시키는 응축수단과;
    상기 건조실 내부의 음식물 쓰레기가 선택적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개폐밸브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마이크로파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2. 제 1 항에 있어서,
    교반수단은 건조실의 외측 적소에 부착되어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교반모터와,
    상기 건조실 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교반모터의 구동력을 벨트를 통해 전달받아 회전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고정되어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면서 건조실 내의 음식물 쓰레기를 섞어주는 복수개의 교반날개로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파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응축수단은 공기 배출수단을 구성하는 공기배출관에 설치되어 상기 공기배출관을 통해 배출되는 공기중의 수분을 응축시켜 주는 응축기와,
    상기 응축기의 직하방에 설치되어 응축기에 의해 응축된 응축수를 받아 모으는 집수통과,
    상기 집수통에 연결되어 집수통에 모아진 응축수를 본체 외부로 배출시켜 주는 응축수 배출관으로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파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KR1019980019287A 1998-05-27 1998-05-27 마이크로파음식물쓰레기처리기 KR1005106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9287A KR100510634B1 (ko) 1998-05-27 1998-05-27 마이크로파음식물쓰레기처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9287A KR100510634B1 (ko) 1998-05-27 1998-05-27 마이크로파음식물쓰레기처리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6346A KR19990086346A (ko) 1999-12-15
KR100510634B1 true KR100510634B1 (ko) 2005-10-24

Family

ID=373056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9287A KR100510634B1 (ko) 1998-05-27 1998-05-27 마이크로파음식물쓰레기처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1063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0314B1 (ko) 2009-02-18 2011-08-30 (주)씨에스아이엔씨 마이크로파 가열수단과 온풍 가열수단을 겸하여 수용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6778A (ko) * 2001-05-10 2002-11-20 주식회사 뉴그린테크 수분제거시스템
KR100455182B1 (ko) * 2001-07-31 2004-11-12 엘지전자 주식회사 고주파 가열방식 쓰레기 처리기의 증기 순환장치
KR20050046706A (ko) * 2005-04-28 2005-05-18 김수동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0882750B1 (ko) * 2008-10-27 2009-02-09 (주)아이엔탑 탈취 기능을 갖는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치
KR101051007B1 (ko) * 2009-09-07 2011-07-21 기만금 냉온장고식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33817A (ja) * 1982-02-02 1983-08-09 Brother Ind Ltd 廃棄物処理装置
KR960033678U (ko) * 1995-04-25 1996-11-19 주레기환경공업주식회사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배출장치
KR980000644A (ko) * 1997-12-17 1998-03-30 조명식 폐기물 처리장치
KR0127666Y1 (ko) * 1995-07-14 1998-10-15 김광호 음식쓰레기 처리기
KR19990060800A (ko) * 1997-12-31 1999-07-26 구자홍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KR19990081158A (ko) * 1998-04-27 1999-11-15 구자홍 마이크로 웨이브 쓰레기 처리기의 쓰레기 배출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33817A (ja) * 1982-02-02 1983-08-09 Brother Ind Ltd 廃棄物処理装置
KR960033678U (ko) * 1995-04-25 1996-11-19 주레기환경공업주식회사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배출장치
KR0127666Y1 (ko) * 1995-07-14 1998-10-15 김광호 음식쓰레기 처리기
KR980000644A (ko) * 1997-12-17 1998-03-30 조명식 폐기물 처리장치
KR19990060800A (ko) * 1997-12-31 1999-07-26 구자홍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KR19990081158A (ko) * 1998-04-27 1999-11-15 구자홍 마이크로 웨이브 쓰레기 처리기의 쓰레기 배출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0314B1 (ko) 2009-02-18 2011-08-30 (주)씨에스아이엔씨 마이크로파 가열수단과 온풍 가열수단을 겸하여 수용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6346A (ko) 1999-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742016B2 (ja) 水分含有率の高い有機物をコンポスト化する方法及び装置
KR100510634B1 (ko) 마이크로파음식물쓰레기처리기
KR100861002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및 그의 처리방법
KR100859973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살균 및 소취장치
KR20050101530A (ko)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KR200146614Y1 (ko) 실외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200146613Y1 (ko) 실내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0198405B1 (ko) 탈착가능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탈취장치
KR100216207B1 (ko) 투입보관 건조형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JPH1024280A (ja) 有機ごみ処理装置
KR200155149Y1 (ko) 분말탈취제 투입방식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0175768B1 (ko) 가정용 음식물처리기 탈취장치
JPH0747348A (ja) 生ゴミ処理機
KR200155148Y1 (ko) 간이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0856890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바스켓 조립체
KR200358423Y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KR100216182B1 (ko) 분말 탈취제 투입방식의 음식물쓰레기처리장치
JP2001300469A (ja) 生ごみ処理方法および装置
KR200155156Y1 (ko) 이중투입 도어구조의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JP2881429B2 (ja) 生ゴミ処理機
JP2008020080A (ja) 乾燥処理方法と装置
KR20050079981A (ko)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KR200155155Y1 (ko) 전방 투입조 구조의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200246471Y1 (ko) 음식물쓰레기 분해 처리장치
KR100387917B1 (ko) 유기폐기물 분해처리장치 및 분해처리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61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