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06380B1 - A portable display - Google Patents

A portable displa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6380B1
KR100506380B1 KR10-2002-0064864A KR20020064864A KR100506380B1 KR 100506380 B1 KR100506380 B1 KR 100506380B1 KR 20020064864 A KR20020064864 A KR 20020064864A KR 100506380 B1 KR100506380 B1 KR 1005063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s
display
communication device
portable communication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486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40036071A (en
Inventor
정석홍
Original Assignee
정석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석홍 filed Critical 정석홍
Priority to KR10-2002-00648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6380B1/en
Priority to PCT/KR2003/002213 priority patent/WO2004038941A1/en
Priority to AU2003273086A priority patent/AU2003273086A1/en
Publication of KR200400360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607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63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6380B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22Foldable in two directions, i.e. using a two degree of freedom hin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47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omprising more than two body pa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7Sliding mechanism with one degree of freedo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8Displ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6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more than one display un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휴대용 통신기기에 결합된 표시장치의 크기를 확장하여 사용이 편리한 구조를 가지는 휴대용 표시장치를 개시한다.Disclosed is a portable display device having an easy-to-use structure by expanding the size of a display device coupled to a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이러한 휴대용 표시장치는 휴대용 통신기기에 결합될 수 있는 적어도 2개 이상의 디스플레이가 구비되며, 상기 디스플레이들이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거나 상기 디스플레이들의 화면이 동일한 방향을 향하면서 겹쳐지도록 디스플레이들을 연결하는 연결수단을 포함한다.Such a portable display device includes at least two or more displays that can be coupled to a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and includes connecting means for connecting the displays such that the displays are arranged next to each other or the screens of the displays overlap in the same direction. do.

따라서 본 발명은 표시 장치가 접혀진 상태에서도 휴대용 통신기기가 작동되면서 표시장치의 화면에 출력 내용이 표시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고, 표시장치가 펼쳐진 상태에서는 더욱 넓은 화면을 볼 수 있기 때문에 소비자의 다양한 취향에 대응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convenient to use because the output contents can be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device while th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is operated even when the display device is folded, and the wider screen can be seen in the expanded state of the consumer. Has an effect that can respond to your taste.

Description

휴대용 표시장치{A portable display}Portable display {A portable display}

본 발명은 휴대용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용 통신기기에 결합된 표시장치의 크기를 확장하여 사용이 편리한 구조를 가지는 휴대용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display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portable display device having an easy-to-use structure by expanding the size of a display device coupled to a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일반적으로 셀룰러 폰, PDA 등 무선 통신 단말기(이하, 휴대용 통신기기라 함) 등에 결합된 휴대용 표시장치는 소형화 추세에 따라 그 크기가 점점 작아지게 된다. 그러나 상기 휴대용 통신기기 등에 장착된 표시장치는 그 크기가 작아짐에 따라 화면 역시 작아져 사용이 불편한 단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두 개의 디스플레이를 접을 수 있는 휴대용 표시장치가 개발되어 왔다.In general, portable display devices coupled to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such as a cellular phone and a PDA become smaller in size in accordance with the miniaturization trend. However, as the size of the display device mounted on th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decreases, the display also has a disadvantage that it is inconvenient to use. Therefore, in order to solve this disadvantage, a portable display device that can fold two displays has been developed.

상기 접거나 펼쳐짐이 가능한 휴대용 표시장치는 화면이 서로 마주하도록 접혀지는 구조를 가지며, 휴대용 통신기기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화면이 서로 마주하여 겹쳐진 상태로 보관되고, 휴대용 통신기기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디스플레이가 서로 연결되도록 펼쳐진 상태로 사용하게 된다. 상기한 휴대용 통신기기는 전화, 인터넷 등 복합적인 기능이 적용되고 있는 추세이며, 전화 등 간단한 기능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일부의 표시 장치의 화면에 영상 등이 출력될 필요가 있고, 인터넷 등의 큰 화면이 필요한 기능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확장된 전체의 화면에 영상 등이 출력될 필요가 있으나, 사용자의 이러한 요구 조건에 충분히 만족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The portable display device that can be folded or unfolded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screens are folded to face each other, and when th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is not used, the screens are stored to overlap each other and the display is used when th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is used. Are used in unfolded state to connect to each other. In th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a complex function such as a telephone and the Internet is being applied. When using a simple function such as a telephone, an image or the like needs to be output on the screen of some display devices and a large screen such as the Internet. In the case of using this necessary function, an image or the like needs to be output on the entire expanded screen, bu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user's requirements are not sufficiently satisfied.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표시장치의 화면이 접혀진 상태에서도 휴대용 통신기기가 작동되어 표시장치의 화면에 출력 내용이 표시될 수 있도록 구성됨과 아울러 표시장치가 펼쳐진 상태에서는 더욱 넓은 화면이 제공될 수 있는 휴대용 표시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display the output content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device by operating th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even when the display device is folded.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rtable display device that can provide a wider screen in the expanded state.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휴대용 통신기기에 결합되는 휴대용 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통신기기에 결합될 수 있으며, 영상 등이 출력될 수 있는 적어도 2개 이상의 디스플레이; 상기 디스플레이들이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거나 상기 디스플레이들의 화면이 동일한 방향을 향하면서 겹쳐지도록 디스플레이들을 연결하는 연결수단을 포함하는 휴대용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ortable display device coupled to a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comprising: at least two displays that can be coupled to th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and can output an image or the like; It provides a portable display device comprising a connecting means for connecting the displays so that the displays are arranged next to each other or the screens of the displays overlap in the same direction.

또한, 본 발명은 영상 등이 출력될 수 있는 제1 디스플레이; 영상 등이 출력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디스플레이에 결합되는 제2 디스플레이; 상기 제1, 2 디스플레이가 나란하게 배치되거나 상기 제1, 2 디스플레이의 화면이 동일한 방향을 향하는 상태로 겹쳐지도록 상기 제1, 2 디스플레이를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결링크; 상기 연결 링크가 회전 가능하게 상기 연결 링크의 중간부에 결합되는 휴대용 통신기기를 포함하는 휴대용 표시장치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display that can output an image; A second display coupled to the first display, such as an image; At least one connection link connecting the first and second displays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displays are arranged side by side or overlap with the screens of the first and second displays facing in the same direction; A portable display device comprising a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wherein the connection link is rotatably coupled to an intermediate portion of the connection link.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제1, 2 디스플레이 또는 3개 이상의 디스플레이가 연결수단 또는 연결 링크에 의하여 서로 나란하게 펼쳐지거나 또는 영상이 출력되는 면이 상면을 향하도록 서로 겹쳐질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들이 서로 겹쳐진 상태에서도 디스플레이가 작동하여 영상의 출력이 가능하여 사용이 매우 편리하고, 디스플레이들이 나란하게 펼쳐진 상태에서는 영상이 출력되는 면이 넓어져 넓은 화면을 볼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may allow the first, second display, or three or more displays to be unfold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by the connecting means or the connecting link, or may be overlapped with each other such that the image output surface faces the upper surface. Therefore, even when the displays overlap with each other, the display operates to output an image, which is very convenient to use, and when the displays are unfolded side by side, the image output is widened and a wide screen can be seen.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휴대용 표시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로, 휴대용 통신기기(1), 상기 휴대용 통신기기(1)에 결합되는 제1 디스플레이(3), 상기 제1 디스플레이(3)에 연결수단으로 결합되는 제2 디스플레이(5)를 도시하고 있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display device for explaining a first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1, which is coupled to th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1 and th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1. 1 shows a display 3, a second display 5 which is coupled to the first display 3 by means of connection.

상기 휴대용 통신기기(1)는 셀룰러 폰이나 PDA 등이 적용될 수 있으며, 기타 휴대용 통신 단말기 등이 적용될 수 있다.Th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1 may be a cellular phone or a PDA, or other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상기 제1 디스플레이(3)는 상기 휴대용 통신기기(1)에 접혀질 수 있는 구조(도 1의 화살표 방향으로 접혀질 수 있는 구조)로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힌지 결합되는 부분은 상기 휴대용 통신기기(1)에 상기 제1, 2 디스플레이(3, 5)가 겹쳐진 상태에서 접혀질 수 있는 정도로 상기 휴대용 통신기기(1)의 일면에서 돌출된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디스플레이(3)는 도 2 기준으로 보아 상면 측으로 영상 등이 출력될 수 있는 화면(3a)이 구비된다. 상기 제1, 2 디스플레이(3, 5)가 서로 나란하게 펼쳐지는 경우 화면이 서로 근접한 위치에 배치되도록 상기 화면(3a)은 일측 모서리 쪽으로 치우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irst display 3 may be hinged to a structure that can be folded (the structure that can be folded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in FIG. 1) to th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1. In this case, the hinge-coupled portion is installed at a position protruding from one surface of th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1 to the extent that the first and second displays 3 and 5 overlap th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1. It is preferable. In addition, the first display 3 is provided with a screen 3a for outputting an image or the like to the upper side as shown in FIG. 2. When the first and second displays 3 and 5 exten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the screen 3a may be disposed to be biased toward one side so that the screens are disposed in close proximity to each other.

상기 제2 디스플레이(5)는 연결수단에 의하여 상기 제1 디스플레이(3)에 결합되며, 상기 제2 디스플레이(5) 역시 영상 등이 출력될 수 있는 화면(5a)이 구비된다. 상기 제2 디스플레이(5)의 화면(5a)은 제1 디스플레이(3)의 상부에 포개진 상태로 상면을 향하도록(도 2 기준) 배치된다. 즉, 상기 제2 디스플레이(5)의 화면(5a)은 제1 디스플레이(3)의 화면(3a)과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이다.The second display 5 is coupled to the first display 3 by connecting means, and the second display 5 is also provided with a screen 5a through which an image or the like can be output. The screen 5a of the second display 5 is disposed to face the top surface in a state of being superim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display 3 (see FIG. 2). That is, the screen 5a of the second display 5 is arrang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screen 3a of the first display 3.

상기 제1, 2 디스플레이(3, 5)의 화면(3a, 5a)이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겹쳐지고, 또 제1, 2 디스플레이(3, 5)가 나란하게 펼쳐지도록 상기 제1, 2 디스플레이(3, 5)를 연결하는 연결수단은, 링크(7)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링크(7)는 상기 제1, 2 디스플레이(3, 5)의 일측면(도 2 기준)에 각각 나사(9) 등에 의하여 힌지 결합될 수 있다. The first and second displays 3 and 5 overlap the screens 3a and 5a of the first and second displays 3 and 5 so as to be disposed in the same direction, and the first and second displays 3 and 5 extend in parallel. The connecting means for connecting 3, 5 may be made of a link (7). The link 7 may be hinged to one side (see FIG. 2) of the first and second displays 3 and 5 by screws 9 or the like, respectively.

상기 링크(7)는, 도 1에서, 제1, 2 디스플레이(3, 5)의 아래쪽 측면에 결합되는 예를 도시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2 디스플레이(3, 5)의 상부 측면에 제공될 수도 있으며, 또는 상, 하부 측면에 모두 제공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링크(7)는 하나 또는 2개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FIG. 1, an example in which the link 7 is coupled to the lower side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displays 3 and 5 is illustrat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first and second displays 3 and 5 may be used. It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or may be provided on both the upper and lower sides. The link 7 may consist of one or two or more.

상기 링크(7)는, 도 4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힌지 결합점에서의 링크 거리(c)가 제1 디스플레이(3)의 힌지점에서 서로 마주하는 모서리(제1, 2 디스플레이가 병렬로 나란하게 배치된 경우의 중앙부측으로 배치되는 모서리)까지의 거리(a) 및 제2 디스플레이(5)의 힌지점에서 서로 마주하는 모서리까지의 거리(b)의 합과 같거나 더 크게 이루어질 수 있다.As shown in FIG. 4, the link 7 has corners where the link distance c at the hinge coupling point faces each other at the hinge point of the first display 3 (the first and second displays are in parallel). It may be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sum of the distance (a) to the center portion side when the side by side) and the distance (b) from the hinge point of the second display (5) to each other facing each other.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제1 실시예의 작동 과정을 도 1, 도 3 및 도 4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of the first embodiment made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3, and 4 as follows.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2 디스플레이(3, 5)가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하여 휴대용 통신기기(1)에서 펼쳐진 경우, 제2 디스플레이(5)의 화면(5a)이 위쪽면(도 1 기준)을 향하는 형태로 배치된다. 따라서 휴대용 통신기기(1)를 사용할 수 있으며, 제2 디스플레이(5)의 화면(5a)에 나타나는 영상 등을 볼 수 있는 것이다.As shown in FIG. 1, when the first and second displays 3 and 5 are rotated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to be unfolded in th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1, the screen 5a of the second display 5 is upward (FIG. 1). Reference). Therefore, th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1 can be used, and an image or the like appearing on the screen 5a of the second display 5 can be viewed.

그리고 화면(3a, 5a)을 확장시키고자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제2 디스플레이(5)를 일측(도 3에서 점선 화살표 방향)으로 민다(도 4에서 점선 화살표 방향). 그러면 링크(7)는 각각의 디스플레이(3, 5)의 일측에 힌지 결합되어 있어 두 개의 디스플레이(3, 5)가 나란한 위치로 펼쳐진다. 이러한 상태에서 화면(3a, 5a)을 작동시키는 것으로 더욱 넓은 화면을 볼 수 있는 것이다.When the screens 3a and 5a are to be expanded, the user pushes the second display 5 to one side (in the direction of the dotted arrow in FIG. 3) (in the direction of the dotted arrow in FIG. 4). The link 7 is then hinged to one side of each display 3, 5 so that the two displays 3, 5 unfold in parallel positions. By operating the screens 3a and 5a in this state, a wider screen can be seen.

이러한 본 발명은 복수의 디스플레이의 화면이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향하도록 배치한 구성을 통하여 디스플레이가 접혀져 있는 상태에서도 화면에 출력되는 영상 또는 문자 등을 볼 수 있으며, 또한, 디스플레이가 펼치는 것으로 더욱 넓은 화면을 이용할 수 있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een to display the image or text output on the screen even when the display is folded through the configuration arranged so that the screens of the plurality of displays in the same direction to each other, and further expands the display by spreading the display It is available.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작동 과정을 상세하게 보여주는 도면으로, 제1, 2 디스플레이(3, 5)를 연결하는 링크(7)가 두 개로 이루어지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제2 실시예는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작용 효과는 동일하나, 더욱 안정적인 구조로 제1, 2 디스플레이(3, 5)를 결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링크(7)의 개수에 제한되지 않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기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작용 효과의 설명은 제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상술한 제1 실시예의 설명으로 대치한다.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view showing in detail the operation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link connecting the first, second display (3, 5) (7) shows an example consisting of two pieces. As described in the first embodiment, the second embodiment has the same effect, but can combine the first and second displays 3 and 5 in a more stable structure. In additio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s that the number of links 7 is not limited. Other descriptions of the operation and effect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and therefore replaced by the description of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3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8은 도 7의 작동 과정을 상세하게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9는 도 8의 A-A부의 단면도로, 제1 디스플레이(3)의 아래측면(도 7 기준) 또는 상측면에 가이드 홈(3b)이 제공되고, 상기 가이드 홈(3b)을 따라 이동하면서 힌지 결합되는 링크(7)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링크(7)는 타단이 제2 디스플레이(5)의 일측면에 힌지 결합된다.7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thir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view showing in detail the operating process of FIG. 7, FIG. 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AA portion of FIG. 8, the first display 3 A guide groove 3b is provided on the lower side (see FIG. 7) or on the upper side thereof, and shows a link 7 hinged while moving along the guide groove 3b. The other end of the link 7 is hinged to one side of the second display 5.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구조는, 링크(7)의 일단이 디스플레이들 중의 어느 하나에 제공된 가이드 홈을 따라 미끄럼 이동하면서 동시에 회전 운동을 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며, 링크(7)의 타단은 상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단지 또 다른 디스플레이에 힌지 결합되는 구조를 가지는 것이다.The structure of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in which one end of the link 7 can slide along a guide groove provided in any one of the displays, and at the same time, make a rotary motion, and the other end of the link 7 is described above. As in one embodiment, it has a structure that is hinged to only another display.

이러한 제3 실시예는 상기 제1, 2 실시예와 비교하여 다른 부분만을 설명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3, 5)들의 화면을 넓게 사용하기 위하여 제2 디스플레이(5)를 점선화살표 방향(도 7 기준)으로 밀면 링크(7)의 일단이 가이드 홈(3b)을 따라 이동한다. 그리고 가이드 홈(3b)의 끝단에서 회전하면서 제1, 2 디스플레이(3, 5)가 나란하게 배치되는 것이다. 이러한 제3 실시예는 제1, 2 실시예와 비교하여 볼 때 역시 작용 효과는 동일하지만, 링크(7)의 크기를 줄일 수 있어 설계 자유도를 증대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This third embodiment describes only the different parts compared with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In order to make wide use of the screens of the displays 3 and 5, when the second display 5 is pushed in the dotted arrow direction (see FIG. 7), one end of the link 7 moves along the guide groove 3b. The first and second displays 3 and 5 are arranged side by side while rotating at the end of the guide groove 3b. Compared to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this third embodiment also has the same effect, bu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reduce the size of the link 7 and increase the design freedom.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제4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작동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으로, 제1, 2 디스플레이(3, 5)에 힌지 결합되는 링크(7)들이 구비되고, 상기 링크(7) 들의 중심부분이 휴대용 통신기기(1)에 힌지 결합되는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물론, 본 발명의 제4 실시예는 힌지 결합 되는 부분은 상술한 예와 마찬가지로 나사(9) 등으로 회전 가능하게 링크(7)들이 힌지 결합될 수 있는 통상의 구조를 가지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를 도 10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링크(7)들의 양측에는 구멍(7a)들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구멍(7a)들에 나사(9) 등의 결합 수단이 삽입되어 상기 제 1, 2 디스플레이(3, 5)에 결합된다. 물론 상기 제 1, 2 디스플레이(3, 5)에는 상술한 나사(9)가 결합될 수 있는 나사홈이 제공된다. 상기 링크(7)와 제 1, 2 디스플레이(3, 5)를 결합하는 수단으로 사용되는 나사(9)는 선단부 일부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나사산이 형성된 부분과 나사머리 사이의 부분은 상기 링크(7)에 제공되는 구멍의 내주면에 미끄럼 접촉될 수 있도록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는 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링크(7)와 제 1, 2 디스플레이를 결합함과 아울러 링크(7)들이 상기 제 1, 2, 디스플레이(3, 5)에 대하여 회전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링크(7)와 상기 제 1, 2 디스플레이(3, 5)가 힌지 결합되는 구조는 나사를 예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링크(7)들과 제 1, 2 디스플레이(3, 4)를 고정하면서 링크가 제 1, 2 디스플레이(3, 5)에 대하여 상대 회전이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면 어느 것이나 가능하다.그리고 휴대용 통신기기(1)는 상기 링크(7)의 중간부분에 제공된 구멍(7b)에 상술한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한 나사(9) 등의 체결 수단에 의하여 링크(7)의 중간부분이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 제 1, 2 디스플레이(3, 5) 또는 휴대용 통신기기(1)의 링크 결합 부분에는 나사홈(도시생략)이 형성되어, 상기 링크(7)들과 제 1, 2 디스플레이(3, 5), 그리고 상기 링크(7)들과 휴대용 통신기기(1)가 힌지 결합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상기 링크(7)의 중간부에는 구멍(7b)이 형성되고 이 구멍(7b)에 나사(9) 등이 삽입되어 상기 링크(7)의 중간부와 상기 휴대용 통신기기(1)를 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편의상 다수의 나사(9)들은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하였다. 다시말하면, 상기 휴대용 통신기기(1)에 상기 링크(7)들의 중간부분이 회전 가능하게 각각 힌지 결합되고, 상기 링크(7)들의 양 측은 또 다른 나사(9)들에 의하여 상기 제 1, 2 디스플레이(3, 5)에 힌지 결합되어 제 1, 2 디스플레이(3, 5)의 접혀짐과 펼쳐짐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의 설명에서는 편의 상 두개의 링크(7)들로 이루어지는 예를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하나의 링크(7)로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FIG. 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fourth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1 is a view illustrating an operation process of FIG. 10, and a link 7 hinged to the first and second displays 3 and 5. And a central portion of the links 7 are hinged to th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1. Of course,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hinge-coupled portion has a conventional structure in which the links 7 can be hinged rotatably with screws 9 or the like as in the above-described example. Referring to FIG. 10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10, holes 7a are formed at both sides of the links 7, and coupling means such as screws 9 and the like are formed in the holes 7a. It is inserted and coupled to the first and second displays 3 and 5. Of course, the first and second displays 3 and 5 are provided with screw grooves to which the above-described screws 9 can be coupled. The screw 9, which is used as a means for joining the link 7 and the first and second displays 3 and 5, has a thread formed on a portion of the tip, and a portion between the threaded portion and the screw head is formed by the link ( A screw thread is not formed so as to be in sliding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le provided in 7). The link 7 is coupled to the first and second displays, and the links 7 are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displays. It rotates about (3, 5). In the present invention, a structure in which the link 7 and the first and second displays 3 and 5 are hinged is described as an exampl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link 7 and the first and second displays are not limited thereto. If the link is coupled in a structure capable of relative rotation with respect to the first and second displays 3 and 5, while fixing (3, 4), any one is possible. And th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1 is in the middle of the link 7. The intermediate portion of the link 7 is engaged by a fastening means such as a screw 9 or the like as described above in the hole 7b provided in the portion. A screw groove (not shown) is formed in the link coupling portion of the first and second displays 3 and 5 or th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1, so that the links 7 and the first and second displays 3 and 5 are formed. And it is possible that the links 7 and th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1 are hingedly coupled. That is, a hole 7b is formed in the middle portion of the link 7 and a screw 9 or the like is inserted into the hole 7b to fix the middle portion of the link 7 and th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1. You can do it.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screws 9 are described with the same reference numerals for convenience. In other words, intermediate portions of the links 7 are rotatably hinged to th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1, respectively, and both sides of the links 7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first and second screws 9. The hinges are coupled to the displays 3 and 5 to allow the first and second displays 3 and 5 to be folded and unfolded. In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xample consisting of two links 7 is described for convenienc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combined into one link 7.

본 발명의 따른 제4 실시예의 작동 과정은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휴대용 통신기기(1)를 중심으로 제1, 2 디스플레이(3, 5)가 서로 동시에 회전 이동하면서 제 1, 2 디스플레이(3, 5)의 확장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제 1 내지 제 3 실시예에서는 확장되거나 펼쳐진 디스플레이들이 휴대용 통신기기(1)를 중심을 기준으로 편중되어 배치되는데 비하여, 본 발명의 제4 실시예는 휴대용 통신기기(1)를 중심(링크 7의 구멍 7b를 중심)으로 제1, 2 디스플레이(3, 5)가 회전(도 11에서 화살표 방향)하면서 제 1, 2 디스플레이(3, 5)가 펼쳐져 화면(3a, 5a)이 넓어지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4 실시예는 상술한 실시 예들에 비하여 상품성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는 구성을 가지는 것이다.As shown in FIG. 11, the operation process of the fourth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erformed by rotating the first and second displays 3 and 5 simultaneously with th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1 while simultaneously rotating the first and second displays. 3, 5) extension is made. Therefore, in the first to third embodiments, the expanded or unfolded displays are arranged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1, whereas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entered on th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1. The first and second displays 3 and 5 are unfolded while the first and second displays 3 and 5 are rotated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in FIG. 11) around the hole 7b of the seventh to widen the screens 3a and 5a. . This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onfiguration that can further increase the commerciality compar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제5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 휴대용 통신기기(1)에 접혀지거나 펼쳐질 수 있는 제1 디스플레이(3)가 결합되고, 상술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연결수단에 의하여 상기 제1 디스플레이(3)의 좌, 우 측으로 펼쳐질 수 있는 또 다른 두 개의 제2, 3 디스플레이(5, 13)가 연결되는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즉, 제2 디스플레이(5)는 제1 디스플레이(3)에 접힘 및 펼쳐짐이 가능하도록 링크(7) 등에 의하여 결합되고, 제3 디스플레이(13)는 제1 디스플레이(3)에 접힘 및 펼쳐짐이 가능하도록 또 다른 링크(7)에 의하여 결합되는 구조를 가진다.12 and 13 illustrate a fifth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first display 3 that can be folded or unfolded is coupled to th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1, and the connecting means described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structure of connecting two second and third displays 5 and 13 which can be extended t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irst display 3 is shown. That is, the second display 5 is coupled by the link 7 or the like so that the first display 3 can be folded and unfolded, and the third display 13 can be folded and unfolded on the first display 3. To have a structure joined by another link 7.

물론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서도 상술한 실시예들과 마찬가지로, 제2 디스플레이(5)의 화면(5a)이 상면(도 12 및 도 13 기준)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들이 접혀진 상태에서도 화면에 출력되는 영상들을 볼 수 있으며, 휴대용 통신기기(1)를 정상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3에 도시하고 있음).Of course, in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lik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the screen 5a of the second display 5 is disposed to face the upper surface (refer to FIGS. 12 and 13) so that the screen is folded even when the displays are folded. The images outputted to the user can be seen, and th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1 can be used normally (shown in FIG. 13).

이러한 본 발명의 제5 실시예는 상술한 실시예들에 비하여 더욱 넓은 화면으로 확장시킬 수 있는 것이다.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xtended to a wider screen tha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상술한 제1 내지 제5 실시예 중에서 제1, 2 디스플레이(3, 5) 또는 3개의 디스플레이들이 서로 확장되도록 연결 수단이 링크를 이용하여 사용되는 예를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디스플레이가 모아진 경우 가장 상면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의 화면이 상면 측으로 노출되어 통신기기의 작동이 이루어지면서 화면에 출력되는 영상을 볼 수 있는 연결 수단은 어느 것이나 가능하다. 예를 들면 모터 및 모터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기어를 사용하여 본 발명의 연결 수단을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In the above-described first to fifth embodiments, an example in which a connecting means is used by using a link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displays 3 and 5 or three displays are extended to each other is describ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Is collected, any of the connecting means for viewing the image output on the screen while the operation of the communication device is performed by the screen of the display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is exposed to the upper surface. For example, it is also possible to configure the connection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using a motor and a power transmission gear that transmits the driving force of the motor.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제6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중요 부분을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로, 디스플레이가 탄성력에 의하여 오픈될 수 있는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제6 실시예는 탄성부재인 스프링(21)이 제1 디스플레이(3)에 대하여 제2 디스플레이(5)가 펼쳐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하도록 배치되고, 또 상기 제1, 2 디스플레이(3, 5)의 측면에 걸림수단을 마련하여 상기 제1, 2 디스플레이(3, 5)가 모아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구성을 더 포함하고 있다.FIG. 1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important parts of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llustrates a structure in which a display may be opened by an elastic force. In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pring 21, which is an elastic member, is disposed so that the elastic force acts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second display 5 is unfolded with respect to the first display 3, and the first and second displays ( It further comprises a configuration to maintain the state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display (3, 5) is collected by providing the locking means on the side of the 3,5.

상기 스프링(21)은 일단이 상기 제1 디스플레이(3)에 탄성적으로 지지되도록 결합되고, 타단이 링크(7)의 일단을 지지하되, 링크(7)가 제1 디스플레이(3)에 대하여 제2 디스플레이(5)가 펼쳐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하도록 결합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One end of the spring 21 is coupled to the first display 3 so as to be elastically supported, and the other end supports one end of the link 7, but the link 7 is provided with respect to the first display 3. 2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elastic force is applied to the display 5 in the unfolding direction.

또한 상기 걸림 수단은 제1 디스플레이(3)의 일측면에 걸림턱(23a)이 제공된 버튼부(23)가 구비되고, 상기 버튼부(23)의 걸림턱(23a)에 걸릴 수 있도록 상기 제2 디스플레이(5)에 걸림 홈(25a)이 제공되는 걸림부(25)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걸림 수단은 어느 정도 탄성력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통상의 구조의 것이 사용되어도 무방하다.In addition, the locking means is provided with a button portion 23 provided with a locking step 23a on one side of the first display 3, and the second locking so as to be caught by the locking step 23a of the button portion 23; A locking portion 25 provided with a locking groove 25a may be provided in the display 5. The locking means may be made of a material having a certain elastic force, and may have a conventional structure.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는 버튼부(23)를 가압하면 걸림턱(23a)과 걸림 홈(25a)의 결합 상태가 해제된다. 이때 스프링(21)은 링크(7)를 탄성적으로 가압하여 제1 디스플레이(3)에 대하여 제2 디스플레이(5)가 오픈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상기 제1, 2 디스플레이(3, 5)는 화면이 넓어질 수 있도록 확장되는 것이다.In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hen the button unit 23 is pressed, the engagement state of the locking step 23a and the locking groove 25a is released. At this time, the spring 21 elastically presses the link 7 to move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second display 5 is opened with respect to the first display 3. Therefore, the first and second displays 3 and 5 extend to widen the screen.

이러한 본 발명의 제6 실시예는 상술한 제1 내지 5의 구성에서 단지 스프링 구조를 채용하여 더욱 편리하게 제1, 2 디스플레이(3, 5)의 오픈이 이루질 수 있도록 한 기술적 구성을 가지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의 효과는 상술한 실시예의 설명과 동일하므로 상술한 실시예의 설명으로 대치한다.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technical configuration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displays 3 and 5 can be opened more conveniently by adopting only the spring structure in the above-described first to fifth configurations. . Since the effects of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y are replaced by the description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표시 장치가 접혀진 상태에서도 휴대용 통신기기가 작동되어 표시장치에 출력 내용이 표시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고, 표시장치가 펼쳐진 상태에서는 더욱 넓은 화면을 볼 수 있는 소비자의 다양한 취향에 대응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convenient to use because th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is operated even when the display device is folded and the output contents can be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It has a corresponding effec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first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주요부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main part of FIG.

도 3은 도 1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operating state of FIG. 1.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4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first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5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secon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6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secon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3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7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thir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3 실시예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8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thir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도 8의 A-A 부분을 절개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FIG. 9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8.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제4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fourth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제4 실시예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1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fourth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제5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12 and 13 are perspective views for explaining a fifth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4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1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8)

삭제delete 삭제delete 휴대용 통신기기에 결합되는 휴대용 표시장치에 있어서,A portable display device coupled to a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상기 휴대용 통신기기에 결합될 수 있으며, 영상 등이 출력될 수 있는 적어도 2개 이상의 디스플레이;At least two displays coupled to th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and capable of outputting images and the like; 상기 디스플레이들이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거나 상기 디스플레이들의 화면이 동일한 방향을 향하면서 겹쳐지도록 디스플레이들을 연결하는 연결수단을 포함하며;Connecting means for connecting the displays such that the displays are arranged next to each other or the screens of the displays overlap while facing in the same direction;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어느 하나의 디스플레이 일측면에 가이드 홈이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 홈을 따라 이동함과 동시에 회전하도록 힌지 결합되고, 상기 디스플레이에 겹쳐지거나 또는 인접하여 배치되는 또 다른 디스플레이 일측면에 타단이 힌지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링크를 구비한 휴대용 표시장치.The connecting means is provided with a guide groove on one side of the display, hinged to rotate at the same time as moving along the guide groove, the other end on the other side of the display overlapping or disposed adjacent to the display A portable display device having at least one link coupled to the hing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영상 등이 출력될 수 있는 제 1 디스플레이;A first display capable of outputting an image or the like; 영상 등이 출력될 수 있으며, 상기 제 1 디스플레이에 결합되는 제 2 디스플레이;A second display coupled to the first display, such as an image; 상기 제 1, 2 디스플레이가 나란하게 배치되거나 상기 제 1, 2 디스플레이의 화면이 동일한 방향을 향하는 상태로 겹쳐지도록 상기 제 1, 2 디스플레이에 양단이 힌지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연결링크; 그리고One or more connecting links arranged at side by side of the first and second displays or hinged at both ends to the first and second displays so that the screens of the first and second displays overlap in the same direction; And 상기 연결 링크의 중간부에 힌지 결합되는 휴대용 통신기기A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hinged to an intermediate portion of the connection link 를 포함하는 휴대용 표시장치.Portable display device comprising a.
KR10-2002-0064864A 2002-10-23 2002-10-23 A portable display KR100506380B1 (en)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4864A KR100506380B1 (en) 2002-10-23 2002-10-23 A portable display
PCT/KR2003/002213 WO2004038941A1 (en) 2002-10-23 2003-10-21 A portable display
AU2003273086A AU2003273086A1 (en) 2002-10-23 2003-10-21 A portable displa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4864A KR100506380B1 (en) 2002-10-23 2002-10-23 A portable displa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6071A KR20040036071A (en) 2004-04-30
KR100506380B1 true KR100506380B1 (en) 2005-08-04

Family

ID=321715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4864A KR100506380B1 (en) 2002-10-23 2002-10-23 A portable display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0506380B1 (en)
AU (1) AU2003273086A1 (en)
WO (1) WO2004038941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3422B1 (en) * 2004-12-21 2007-01-02 삼성전자주식회사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CN1941793B (en) * 2005-09-30 2010-05-05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camera head
KR100662442B1 (en) * 2005-12-12 2007-0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Slide type mobile telecommunication device
US7627337B2 (en) * 2006-04-17 2009-12-01 Nokia Corporation Dual lever slide mechanism for extendible device housings
US7580726B2 (en) * 2006-04-18 2009-08-25 Nokia Corporation Dual level slide mechanism for extendible device housings
CN102497480A (en) * 2011-12-21 2012-06-13 范尚伦 Mobile terminal and display method for same
KR101479842B1 (en) * 2013-05-21 2015-01-26 주식회사 베프스 Multi Display Type Communication Terminal of Two Step Fold Structure and Drive Method of the Same
KR101686740B1 (en) * 2015-06-02 2016-12-16 고영상 Electronic having foldable multi display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49596A (en) * 1998-03-06 1999-09-17 Sony Corp Portable information processor
KR19990078832A (en) * 1999-08-11 1999-11-05 서치교 Extended Display Device
KR20010055072A (en) * 1999-12-09 2001-07-02 김순택 Personal portable communications system
JP2001237933A (en) * 2000-02-23 2001-08-31 Nec Telecom Syst Ltd Portable telephone set
KR200239537Y1 (en) * 2001-04-10 2001-10-11 인포뱅크 주식회사 Mobile-Terminal Of Large Displayer
KR20020012880A (en) * 2000-08-09 2002-02-20 정석홍 Folder type portable flat display device
JP2002118628A (en) * 2000-10-05 2002-04-19 Zenji Tsuchikawa Portable telephone
KR20020036183A (en) * 2000-11-08 2002-05-16 송문섭 Cellular phone having double lcd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11737A (en) * 1996-05-24 1997-12-02 Sony Corp Display device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49596A (en) * 1998-03-06 1999-09-17 Sony Corp Portable information processor
KR19990078832A (en) * 1999-08-11 1999-11-05 서치교 Extended Display Device
KR20010055072A (en) * 1999-12-09 2001-07-02 김순택 Personal portable communications system
JP2001237933A (en) * 2000-02-23 2001-08-31 Nec Telecom Syst Ltd Portable telephone set
KR20020012880A (en) * 2000-08-09 2002-02-20 정석홍 Folder type portable flat display device
JP2002118628A (en) * 2000-10-05 2002-04-19 Zenji Tsuchikawa Portable telephone
KR20020036183A (en) * 2000-11-08 2002-05-16 송문섭 Cellular phone having double lcd
KR200239537Y1 (en) * 2001-04-10 2001-10-11 인포뱅크 주식회사 Mobile-Terminal Of Large Display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03273086A1 (en) 2004-05-13
WO2004038941A1 (en) 2004-05-06
KR20040036071A (en) 2004-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97040B1 (en) Infolding Hinge Structure for Flexible Display Panel
CN110544428B (en) Folding display device
KR101814067B1 (en) Foldable Display Device
KR102014445B1 (en) Wearable device
KR20180062277A (en) Folding Device of Foldable Display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EP1699208A4 (en) Folding portable terminal
US20210263565A1 (en) Foldable electronic device
US11435785B2 (en) Foldable display device
US7512428B2 (en) Twist-type mobile terminal and hinge device thereof
KR20110100936A (en) Portable terminal with flexible display element
KR20070103393A (en) Hinge device
KR20200005148A (en) Hinge Structure for folding Terminal in two ways
KR100506380B1 (en) A portable display
CN111885859B (en) Foldable housing assembly and foldable electronic device
JP7407739B2 (en) Rotating shaft and electronic equipment
US20230393632A1 (en) Hinge device of portable terminal with foldable structure
KR100930137B1 (en) Mobile terminal
CN218934999U (en) Hinge assembly and foldable electronic device
CN213365988U (en) Bendable display device
KR100461918B1 (en) A Portable Display Device
KR20020046056A (en) Folder type mobile phone
KR100530618B1 (en) Hinge device
KR100540746B1 (en) Portable apparatus having display for communication
KR101260044B1 (en) Folder type portable terminal for wide display
KR102085234B1 (en) Foldable Displa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72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