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01909B1 - 엠펙-4 데이터를 디지털 오디오 방송 데이터에 다중화하는 장치와 그 방법 및 그 역다중화 방법 - Google Patents

엠펙-4 데이터를 디지털 오디오 방송 데이터에 다중화하는 장치와 그 방법 및 그 역다중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1909B1
KR100501909B1 KR10-2003-0019639A KR20030019639A KR100501909B1 KR 100501909 B1 KR100501909 B1 KR 100501909B1 KR 20030019639 A KR20030019639 A KR 20030019639A KR 100501909 B1 KR100501909 B1 KR 1005019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mpeg
multiplexing
dab
stre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96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84508A (ko
Inventor
이봉호
양규태
이현
이수인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3-00196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1909B1/ko
Publication of KR200400845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45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19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1909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HSPINNING OR TWISTING
    • D01H13/00Other common constructional features, details or accessories
    • D01H13/28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for yar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HSPINNING OR TWISTING
    • D01H13/00Other common constructional features, details or accessories
    • D01H13/02Roller arrang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HSPINNING OR TWISTING
    • D01H13/00Other common constructional features, details or accessories
    • D01H13/04Guides for slivers, rovings, or yarns; Smoothing d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본 발명은, 엠펙-4 데이터를 디지털 오디오 방송 데이터에 다중화하는 장치 및 그 방법과 그 역다중화 방법 및 상기 방법들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엠펙-4(MPEG-4) 데이터를 직접 디지털 오디오 방송(DAB) 데이터에 다중화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과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음.
3. 발명의 해결 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엠펙-4(MPEG-4) 데이터를 디지털 오디오 방송(DAB) 데이터에 다중화하는 장치에 있어서, MPEG-4 데이터 패킷들을 발생시켜 메타데이터, 비동기 객체 데이터 및 동기 객체 데이터로 분리하여 스트리밍하기 위한 MPEG-4 스트리밍 수단; 상기 메타데이터를 패킷화에 적합한 형태로 변환시키고, 주서비스 채널과 멀티미디어 객체 데이터 간의 링크정보를 제공하는 링크정보테이블을 생성하기 위한 메타데이터 변환 수단; 상기 링크정보를 바탕으로, DAB 데이터 및 MPEG-4 데이터의 다중화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다중화정보 생성 수단; 상기 동기 객체 데이터를 MPEG-4 스트림 다중화 논리프레임으로 변환하기 위한 논리프레임 생성 수단; 상기 MPEG-4 스트림 다중화 논리프레임을 DAB 스트림모드 규격에 따라 서브채널로 다중화하기 위한 스트림모드 처리 수단; 상기 비동기 객체 데이터와, 상기 메타데이터 변환 수단에서 처리된 메타데이터를 DAB 패킷으로 변환하여 서브채널에 다중화하기 위한 패킷모드 처리 수단; 상기 MPEG-4 데이터를 상기 DAB 데이터에 다중화 제어하기 위한 다중화 제어 수단; 및 상기 다중화정보 생성 수단, 상기 패킷모드 처리 수단, 상기 스트림모드 처리 수단으로부터 전달된 MPEG-4 데이터를 외부로부터 입력받은 상기 DAB 데이터에 다중화하여 출력하기 위한 DAB 다중화 수단을 포함함.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디지털 오디오 방송(DAB) 등에 이용됨.

Description

엠펙-4 데이터를 디지털 오디오 방송 데이터에 다중화하는 장치와 그 방법 및 그 역다중화 방법{Apparatus and Its Method of Multiplexing MPEG-4 Data to DAB Data}
본 발명은, 엠펙-4(MPEG-4) 데이터를 디지털 오디오 방송 데이터에 다중화하는 장치 및 그 방법과 그 역다중화 방법 및 상기 방법들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멀티미디어 데이터란 엠펙-4 데이터, 엠펙-7 데이터, 엠펙-21 데이터 등과 같이 멀티미디어 정보를 표현하는 방식을 가진 데이터를 말하며, 이하의 일예에서는 엠펙-4 데이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엠펙(MPEG)-4는 전송 속도 64kbps 이하의 디지털 영상 및 오디오의 부호화·압축 방법의 국제 표준으로서, 이미 국제 표준으로 확정된 MPEG-1이나 MPEG-2에 비해서 초저속, 고압축률의 영상 및 비디오의 압축·부호화의 규격이며, 주로 이동 통신에서의 적용을 위한 것이다.
디지털 오디오 방송(DAB: Digital Audio Broadcasting)은 디지털 통신기술을 이용하여 콤팩트 디스크(CD : Compact Disc) 음질 수준의 고품질 방송을 제공하는 새로운 미디어로서, 주파수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하여 다채널 방송을 함으로써 종합편성 일변도에서 벗어나 청취자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전문방송을 가능하게 할뿐만 아니라, 데이터는 물론 텔레텍스트, 팩스, 전자신문, 광역페이저, 교통정보시스템 등과 같은 각종 데이터 서비스의 기능을 지원하는 차세대 방송기술이다.
이와 같은 디지털 오디오 방송은 유럽 유레카(Eureka)의 '147프로젝트'로 87년 개발이 시작되었다. 종래의 디지털 사운드 방송(Digital Sound Broadcast)은 12GHz 대역의 위성을 이용하여 특수 안테나로 고정하여 수신해야 했으나, 디지털 오디오 방송은 극초단파(UHF : Ultra High Frequency) 대역의 지상파나 위성에 의한 고정국, 이동국 모두를 이용하여 수신이 가능하다. 따라서, 디지털 오디오 방송을 이용하면 콤팩트 디스크(CD : Compact Disc) 음질 수준이나 연주실황 중계 등과 같은 고음질의 사운드를 디지털로 중계할 수 있고, 차량 등 이동체에서도 고음질의 수신이 가능하게 된다. 특히 모니터로 정지화면을 받아 볼 수도 있으며, 최신의 음성 부호화 방식을 사용함으로써 1개의 방송파로 콤팩트 디스크(CD : Compact Disc) 수준의 고품질 음성을 복수로 전송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디지털 오디오 방송은 두가지 채널을 제공하는데, 다중화 정보 및 서비스 정보의 제공을 위한 빠른정보채널(FIDC : Fast Information Data Channel)과 실제 서비스 콤포넌트 데이터들을 다중화하기 위한 주서비스채널(MSC : Main Service Channel)이다. 상기 빠른정보채널(FIDC : Fast Information Data Channel)은 다중화 설정 정보(MCI : Multiplex Configuration Information) 및 서비스 정보(SI : Service Information)를 포함하는데, 긴급경보 방송시스템(EWS : Emergency Warning System) 또는, 교통 및 여행 정보(TTI : Traffic and Travel Information) 등의 비교적 적은 양의 데이터를 빠르게 전송할 수 있는 채널이다.
그리고, 상기 주서비스채널(MSC : Main Service Channel)은 상기 다중화 설정 정보(MCI : Multiplex Configuration Information)에 따라 각 서비스 콤포넌트를 다중화하기 위한 주서비스 채널로서, 엠펙 오디오 데이터 및 다양한 부가 데이터들이 다중화된다. 이 때, 상기 주서비스채널(MSC : Main Service Channel)의 전송 모드는 패킷 모드와 스트림 모드 두가지가 있다.
먼저, 패킷 모드는 하나의 서브채널에 여러 서비스 컴포넌트를 다중화하여 전송할 수 있는 모드로서, 다중화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서비스채널 데이터 그룹 패킷(31)으로 먼저 구성한 후, 일정한 크기의 디지털 오디오 방송 데이터 패킷(32~34)으로 다시 분할하여 다중화한다. 이 때, 패킷 모드에서 하나의 서브채널로 다중화한 여러 서비스 콤포넌트는 10비트로 구성된 디지털 오디오 방송 패킷 주소로 구분이 되며, 최대 1023개의 서비스 콤포넌트를 하나의 서브채널에 다중화할 수 있다.
이에 비해, 스트림 모드는 엠펙(MPEG)-4 비디오 데이터와 같이 일정한 스트리밍이 요구되는 데이터의 투명한 전송을 위한 모드로서 24ms 당 8kbps의 배수로 일정한 데이터 구성이 요구된다. 이를 위해서 24ms 단위로 주서비스채널(MSC : Main Service Channel)에 다중화될 수 있는 논리프레임이 요구되며, 이에 따라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는 논리프레임 구조에 맞게 구성 또는 분할되어야 한다.
한편, 디지털 오디오 방송이 기존의 아날로그 방송에 비해 이로운 점 몇 가지를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우선, 디지털 오디오 방송은 18KHz의 콤팩트 디스크(CD : Compact Disc)와 같은 수준의 음질을 제공한다. 이보다도 더 중요한 이점은 다중경로에 대한 강인함을 들 수 있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아날로그 방송인 경우, 중파 방송(AM)은 임펄스 잡음(impulse noise)이나 정전기에 의해 방해를 받고, FM 방송은 건물들, 산 또는 다른 장애물에 의한 다중경로에 많은 영향을 받지만, 디지털 오디오 방송의 경우 이러한 영향을 상당히 감소시킬 수 있다.
그런데, 종래에 디지털 오디오 방송 시스템에서 콤팩트 디스크(CD : Compact Disc) 수준의 고품질 음악은 물론 문자, 동영상 등의 멀티미디어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멀티미디어 데이터(엠펙(MPEG)-4 데이터)를 다중화하고자 하면, 우선 엠펙-2 트랜스포트 스트림(MPEG-2 Transport Stream) 등을 이용하여 다중화를 수행한 후에, 디지털 오디오 방송(DAB: Digital Audio Broadcasting) 데이터와 다시 한번 다중화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멀티미디어 데이터(엠펙(MPEG)-4 데이터)를 디지털 오디오 방송 데이터에 다중화하는 데에는 오버 헤드가 따르고, 수신기의 구성이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엠펙-4(MPEG-4) 데이터를 직접 디지털 오디오 방송(DAB) 데이터에 다중화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과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엠펙-4(MPEG-4) 데이터가 다중화된 디지털 오디오 방송(DAB) 데이터를 역다중화하기 위한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엠펙-4(MPEG-4) 데이터를 디지털 오디오 방송(DAB) 데이터에 다중화하는 장치에 있어서, MPEG-4 데이터 패킷들을 발생시켜 메타데이터, 비동기 객체 데이터 및 동기 객체 데이터로 분리하여 스트리밍하기 위한 MPEG-4 스트리밍 수단; 상기 메타데이터를 패킷화에 적합한 형태로 변환시키고, 주서비스 채널과 멀티미디어 객체 데이터 간의 링크정보를 제공하는 링크정보테이블을 생성하기 위한 메타데이터 변환 수단; 상기 링크정보를 바탕으로, DAB 데이터 및 MPEG-4 데이터의 다중화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다중화정보 생성 수단; 상기 동기 객체 데이터를 MPEG-4 스트림 다중화 논리프레임으로 변환하기 위한 논리프레임 생성 수단; 상기 MPEG-4 스트림 다중화 논리프레임을 DAB 스트림모드 규격에 따라 서브채널로 다중화하기 위한 스트림모드 처리 수단; 상기 비동기 객체 데이터와, 상기 메타데이터 변환 수단에서 처리된 메타데이터를 DAB 패킷으로 변환하여 서브채널에 다중화하기 위한 패킷모드 처리 수단; 상기 MPEG-4 데이터를 상기 DAB 데이터에 다중화 제어하기 위한 다중화 제어 수단; 및 상기 다중화정보 생성 수단, 상기 패킷모드 처리 수단, 상기 스트림모드 처리 수단으로부터 전달된 MPEG-4 데이터를 외부로부터 입력받은 상기 DAB 데이터에 다중화하여 출력하기 위한 DAB 다중화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MPEG-4 데이터 패킷들을 발생시켜 메타데이터, 비동기 객체 데이터 및 동기 객체 데이터로 분리하여 스트리밍하는 MPEG-4 스트리밍 단계; 상기 메타데이터를 패킷화에 적합한 형태로 변환시키고, 주서비스 채널과 멀티미디어 객체 데이터 간의 링크 정보를 제공하는 링크정보테이블을 생성하는 메타데이터 변환 단계; 상기 링크 정보를 바탕으로 DAB 데이터 및 MPEG-4 데이터의 다중화 정보를 생성하는 다중화정보 생성 단계; 상기 동기 객체 데이터를 MPEG-4 스트림 다중화 논리프레임으로 변환하는 논리프레임 생성 단계; 상기 MPEG-4 스트림 다중화 논리프레임을 DAB 스트림모드 규격에 따라 서브채널로 다중화하는 스트림모드 처리 단계; 상기 비동기 객체 데이터와, 상기 메타데이터 변환 단계에서 처리된 메타데이터를 DAB 패킷으로 변환하여 서브채널로 다중화하는 패킷모드 처리 단계; 및 상기 다중화정보 생성 단계, 상기 패킷모드 처리 단계, 상기 스트림모드 처리 단계에서 처리된 MPEG-4 데이터를 외부로부터 입력받은 상기 DAB 데이터에 다중화하는 DAB 다중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엠펙-4(MPEG-4) 데이터가 다중화된 디지털 오디오 방송(DAB) 데이터를 역다중화하는 방법에 있어서, 다중화된 DAB 데이터에서 다중화 설정 정보(MCI) 및 서비스 정보(SI)를 분석하여 초기객체기술자(IOD) 데이터가 제공되고 있는 서브채널 및 서비스 콤포넌트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서브채널 및 서비스 콤포넌트 정보를 이용하여 주서비스채널(MSC)을 역다중화하여 초기객체기술자(IOD)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초기객체기술자(IOD)의 기본 스트림 식별자(ES_ID) 및 링크정보테이블(M4SLinkTable)을 이용하여 이진형태화면정보(BIFS) 및 객체기술자(OD) 스트림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이진형태화면정보(BIFS)에서 객체기술자(OD) 스트림에 대한 연결 정보인 객체기술자 식별자(OD_ID)를 추출하여 기본 스트림 식별자(ES_ID)와의 링크를 구성하는 단계; 및 상기 객체기술자(OD) 스트림의 링크정보테이블(M4SLinkTable)을 이용하여 상기 기본 스트림 식별자(ES_ID)와 디지털 오디오 방송 서브채널 또는 서비스 콤포넌트와의 링크를 구성하여 역다중화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은, 프로세서를 구비한, 엠펙-4(MPEG-4) 데이터와 디지털 오디오 방송(DAB) 데이터와의 다중화 장치에, MPEG-4 데이터 패킷들을 발생시켜 메타데이터, 비동기 객체 데이터 및 동기 객체 데이터로 분리하여 스트리밍하는 MPEG-4 스트리밍 기능; 상기 메타데이터를 패킷화에 적합한 형태로 변환시키고, 주서비스 채널과 멀티미디어 객체 데이터 간의 링크 정보를 제공하는 링크정보테이블을 생성하는 메타데이터 변환 기능; 상기 링크 정보를 바탕으로 DAB 데이터 및 MPEG-4 데이터의 다중화 정보를 생성하는 다중화정보 생성 기능; 상기 동기 객체 데이터를 MPEG-4 스트림 다중화 논리프레임으로 변환하는 논리프레임 생성 기능; 상기 MPEG-4 스트림 다중화 논리프레임을 DAB 스트림모드 규격에 따라 서브채널로 다중화하는 스트림모드 처리 기능; 상기 비동기 객체 데이터와, 상기 메타데이터 변환 단계에서 처리된 메타데이터를 DAB 패킷으로 변환하여 서브채널로 다중화하는 패킷모드 처리 기능; 및 상기 다중화정보 생성 기능, 상기 패킷모드 처리 기능, 상기 스트림모드 처리 기능에서 처리된 MPEG-4 데이터를 외부로부터 입력받은 상기 DAB 데이터에 다중화하는 DAB 다중화 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프로세서를 구비한, 엠펙-4(MPEG-4) 데이터와 디지털 오디오 방송(DAB) 데이터와의 역다중화 장치에, 다중화된 DAB 데이터에서 다중화 설정 정보(MCI) 및 서비스 정보(SI)를 분석하여 초기객체기술자(IOD) 데이터가 제공되고 있는 서브채널 및 서비스 콤포넌트 정보를 획득하는 기능; 상기 서브채널 및 서비스 콤포넌트 정보를 이용하여 주서비스채널(MSC)을 역다중화하여 초기객체기술자(IOD)를 추출하는 기능; 상기 초기객체기술자(IOD)의 기본 스트림 식별자(ES_ID) 및 링크정보테이블(M4SLinkTable)을 이용하여 이진형태화면정보(BIFS) 및 객체기술자(OD) 스트림을 추출하는 기능; 상기 이진형태화면정보(BIFS)에서 객체기술자(OD) 스트림에 대한 연결 정보인 객체기술자 식별자(OD_ID)를 추출하여 기본 스트림 식별자(ES_ID)와의 링크를 구성하는 기능; 및 상기 객체기술자(OD) 스트림의 링크정보테이블(M4SLinkTable)을 이용하여 상기 기본 스트림 식별자(ES_ID)와 디지털 오디오 방송 서브채널 또는 서비스 콤포넌트와의 링크를 구성하여 역다중화하는 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엠펙-4 데이터를 디지털 오디오 방송 데이터에 다중화하는 장치의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엠펙-4 데이터를 디지털 오디오 방송 데이터에 다중화하는 장치는, 엠펙-4 스트리밍부(11), 메타데이터 변환부(12), 논리프레임 생성부(13), 다중화정보 생성부(14), 패킷모드 처리부(15), 스트림모드 처리부(16), 다중화 제어부(17), 및 DAB 다중화부(18)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엠펙-4 스트리밍부(11)는 실시간 또는 비실시간으로 엠펙-4 데이터를 발생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 때, 실시간 엠펙-4 데이터 발생 기능은 외부(소스원)로부터 신호를 입력받아 압축한 후 동기화된 동기 계층(SL : Sync Layer) 패킷들을 실시간으로 스트리밍하는 기능이다. 그리고, 비실시간 엠펙-4 데이터 발생 기능은 저장장치(도시되지 않음)에 저장되어 있는 엠펙-4 데이터를 읽어들인 후 동기화된 동기 계층(SL : Sync Layer) 패킷들을 스트리밍하는 기능이다. 상기 엠펙-4 스트리밍부(11)는 엠펙-4 데이터를 발생시키는 기능 외에도 오디오-비주얼 데이터와 같은 엠펙-4 동기 객체 데이터와 비동기 객체 데이터 및 이와 관련된 메타데이터를 분리해서 상기 논리프레임 생성부(13), 상기 패킷모드 처리부(15) 및 상기 메타데이터 변환부(12)로 각각 스트리밍한다.
상기 메타데이터 변환부(12)는 상기 엠펙-4 스트리밍부(11)로부터 메타데이터를 입력받아 디지털 오디오 방송(DAB : Digital Audio Broadcasting) 패킷화가 용이한 형태로 변환해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상기 메타데이터 변환부(12)는 상기 엠펙-4 스트리밍부(11)로부터 입력받은 메타데이터, 즉 초기객체기술자(IOD : Initial Object Descriptor), 객체기술자(OD : Object Descriptor), 및 이진형태화면정보(BIFS-Command : BInary Format for Scene description)를 각각 표 1, 2, 3과 같이 버전 정보 및 섹션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필드로 변환하며, 주서비스 채널(MSC : Main Service Channel)과 엠펙-4 객체 데이터 간의 링크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아래의 표 4와 같은 링크정보테이블을 포함한다. 상기 링크정보테이블은 엠펙-4 기본 스트림 식별자(ES_ID)와 주서비스 채널(MSC : Main Service Channel)의 식별자에 해당하는 서비스 콤포넌트 식별자 및 서브 콤포넌트 식별자와의 실질적인 링크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테이블이다.
다음으로, 상기 패킷모드 처리부(15)는 상기 메타데이터 변환부(12)로부터 입력받은 메타데이터 및 상기 엠펙(MPEG)-4 스트리밍부(11)로부터 입력받은 비동기 객체 데이터를 디지털 오디오 방송(Digital Audio Broadcasting) 패킷으로 패킷화하여 각각 하나의 서브채널에 다중화한다. 즉, 상기 패킷모드 처리부(15)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받은 데이터를 주서비스 채널(MSC : Main Service Channel) 데이터 그룹(31)으로 변환한 후, 이를 다시 일정한 크기의 디지털 오디오 방송(DAB : Digital Audio Broadcasting) 패킷(32~34)으로 패킷화를 수행한다. 이 때, 상기 비동기 객체 데이터가 가변의 길이를 갖는 여러 객체 데이터로 구성되어 있으면, 먼저 엠펙-4 스트림 다중화(M4SMux) 논리프레임으로 다중화한 후에 패킷화를 수행할 수도 있다(굵은선 표시). 또한, 상기 메타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는 각 데이터는 그 특징에 따라 보호 레벨 및 반복 전송율을 개별적으로 적용하여 패킷화한다.
상기 논리프레임 생성부(13)는 첫째, 엠펙-4 스트리밍부(11)로부터 입력받은 엠펙-4 오디오-비주얼 객체 데이터와 동기가 요구되는 객체 데이터들(예를 들어, 참조 클럭, BIFS-Command 데이터 등)을 논리프레임으로 생성하고 둘째, 오류 내성을 위한 외부호화 및 인터리빙을 수행한다. 이 때, 엠펙-4 오디오-비주얼 객체 데이터와 동기가 요구되는 객체 데이터들을 논리프레임으로 생성하는 과정에 대하여서는 도 2, 및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이용되는 서브채널에 대한 일실시예 설명도로서, 엠펙-4 오디오-비주얼 객체 데이터와 같이 지속적인 스트리밍 및 동기가 요구되는 객체 데이터들을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별도의 서브채널(222,223)에 다중화한다. 이 때, 상기 데이터들을 스트림 모드 전송시 요구되는 일정한 크기의 논리프레임 내에 다중화하기 위하여 도 4와 같은 엠펙-4 스트림 다중화(MPEG-4 Stream Multiplexing : 이하, "M4SMux"라 한다.) 논리프레임을 사용한다. 도 4를 참조하여 M4SMux 논리프레임에 대하여 좀 더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이용되는 M4SMux 논리프레임의 일실시예 구조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이용되는 M4SMux 논리프레임은 크게 헤더(41)와 유료부하(Payload)(42)로 나뉘어진다.
먼저, 헤더(41)에는 확장 필드(416)의 존재 여부를 나타내기 위한 확장 필드 플래그(EF)(411), 랜덤 액세스 패킷의 존재 여부를 나타내기 위한 랜덤 액세스 플래그(RA Flag)(412), M4SMux 논리프레임의 전체 길이 정보를 나타내기 위한 프레임 길이(M4S_length) 필드(413), 유료부하(Payload)에 다중화된 동기 계층(SL : Sync Layer) 패킷의 총 갯수를 나타내기 위한 동기 계층 패킷 넘버(SLps_Num) 필드(414), 동기 계층(SL : Sync Layer) 패킷이 다중화된 순서대로 각각의 패킷 타입(오디오, 비디오, 참조 클럭, 기타 데이터 등)과 길이정보를 나타내기 위한 다중화 형상(Configuration) 필드(415) 및 제한 수신 정보를 나타내기 위한 확장 필드(416)를 포함한다. 이 때, 수신단에서는 상기 다중화 형상(Configuration) 필드(415)에 포함된 동기 계층(SL : Sync Layer) 패킷의 타입과 길이정보를 이용하여 동기 계층(SL : Sync Layer) 패킷들을 효율적으로 분리(역다중화)해 낼 수 있다.
한편, 유료부하(Payload)(42)에는 헤더(41)의 다중화 형상(configuration) 필드(415)의 정보에 따라 동기 계층(SL : Sync Layer) 패킷이 순차적으로 다중화된다.
이와 같이, 상기 M4SMux 논리프레임은 상기 엠펙-4 스트리밍부(11)에서 발생되는 여러 동기 계층(SL : Sync Layer) 패킷들을 다중화할 수 있으며, 255바이트 이상의 동기 계층(SL : Sync Layer) 패킷을 수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상기 M4SMux 논리프레임은 헤더 내에 다중화 정보를 표현할 수 있으므로 효율적이며, 비트 스터핑(stuffing)을 적용하여 스트림 모드 처리시 요구되는 정확한 논리프레임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M4SMux 논리프레임의 유연한 동기화를 위하여, 각 동기 계층(SL : Sync Layer) 패킷들은 도 5와 같이 유료부하(Payload)(52)의 시작 부분에 바이트 정렬되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M4SMux 논리프레임의 유료부하(Payload)(52)를 구성하는 마지막 동기 계층(SL : Sync Layer) 패킷의 길이가 정해진 논리프레임 길이를 초과할 경우에는 24ms 이후에 전송되는 M4SMux 논리프레임에 연속되기 위해서 ISO/IEC 14496-1 시스템에서 규정한 분할(fragmentation) 규격에 따라 분할한 후, 다음 M4SMux 논리프레임의 유료부하(Payload)(54)의 시작 부분에 바이트 정렬한다. 이 때, 오류 내성을 위한 외부호화(outer FEC : Forward Error Correction)를 적용할 경우에 추가되는 코드를 고려하여 분할하여야 한다.
다음으로, 상기 생성된 M4SMux 논리프레임에 대하여,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M4SMux 논리프레임에 외부호화와 인터리버를 적용하여 오류 내성을 강화한다.
먼저, 외부호화란 데이터를 일정 블록 단위로 외부호화를 수행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리드솔로몬(Reed-Solomon : 이하 "RS"라 한다.) 코드를 이용한다. 상기 RS 코드는 비트스트림을 블록으로 나누는데 있어서 보통 (n, k)형태로 표현되는데, k개 심벌 단위로 일단 블록화하고 거기에 오버헤드를 더하여 총 n개 심벌을 하나의 블록으로 만들게 됨을 의미한다. 즉, n-k개의 오버헤드를 추가하는 것과 같은데, 이 오버헤드를 어떠한 약속(Reed-Solomon의 약속)으로 만들어 같이 보내면, 수신측(재생측)에서는 일정한 수의 오류 심벌을 검출하거나 그보다 낮은 수효의 오류 심벌을 정정할 수 있게 되어, 전송품질을 일정수준 이상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인터리버란 데이터 스트림의 순서를 교란시켜 전송신호가 간섭에 강(둔감)하도록 시간축상에서 데이터를 분산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즉, 신호 대역의 어떤 부분에 노이즈가 발생하더라도 그 외의 대역에 있는 신호는 보존되고(Time Diversity), 수신기에서 역으로 처리됨으로써 정확한 값으로 복원된다.
상기 다중화정보 생성부(14)는 다중화된 엠펙(MPEG)-4 데이터들을 수신단에서 효과적으로 역다중화할 수 있도록 다중화 정보를 생성한다. 일반적으로, 다중화 정보는 빠른정보채널(FIDC : Fast Information Data Channel)의 다중화 설정 정보(MCI : Multiplex Configuration Information) 및 서비스 정보(SI : Service Information)에서 제공하고 있지만, 여러 개의 객체를 포함하는 엠펙(MPEG)-4 데이터들의 링크 정보를 제공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그러므로, 상기 빠른정보채널(FIDC : Fast Information Data Channel)의 다중화 설정 정보(MCI : Multiplex Configuration Information) 및 서비스 정보(SI : Service Information)에 아웃 오브 밴드(out of band)로 전송이 요구되는 초기객체기술자(IOD : Initial Object Descriptor) 데이터만 주콤포넌트로 규정하고, 기타 다른 엠펙(MPEG)-4 데이터는 부콤포넌트로 규정한다. 따라서, 수신단에서는 엠펙(MPEG)-4 서비스 시작시에 초기객체기술자(IOD : Initial Object Descriptor)의 접근만으로 기타 다른 엠펙(MPEG)-4 데이터에 대한 접근이 가능해진다.
먼저, 엠펙-4 데이터를 위한 다중화 설정 정보는 빠른정보채널(FIDC : Fast Information Data Channel)의 다중화 설정 정보(MCI : Multiplex Configuration Information) 및 서비스 정보(SI : Service Information)에서 제공되고 있는 FIG(Fast Information Group) 필드를 사용해서 추가적으로 제공한다. 즉, FIG 타입 0/1로 표현되는 서브채널 구조에서는 엠펙-4 데이터가 전송되는 서브채널에 대한 식별자와 관련 정보를 나타낸다. FIG 0/2로 구성되는 서비스 구조에서는 서비스 식별자와 서비스를 구성하는 서비스 콤포넌트들(엠펙-4 객체 데이터들)을 나타낸다. 다음으로, FIG 0/3으로 구성되는 패킷 모드 서비스 콤포넌트 구조체를 이용해서 패킷 모드 엠펙-4 데이터의 서비스 타입, 서브채널 식별자 및 패킷 주소 정보를 나타낸다. 마지막으로, FIG 0/7로 구성되는 확장 데이터 서비스 콤포넌트 타입 구조체를 이용해서 정의되지 않은 데이터 서비스 타입의 엠펙-4 데이터를 확장 데이터 서비스 콤포넌트 타입(ExtDCST)의 일반 항목(general entry)으로 규정한다.
이러한 정보를 이용해서 수신단에서는 쉽게 엠펙-4 객체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는데, 그 과정을 도 8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엠펙-4 데이터가 다중화된 디지털 오디오 방송 데이터를 역다중화하는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먼저, 디지털 오디오 방송 수신 장치가 다중화 설정 정보(MCI : Multiplex Configuration Information) 및 서비스 정보(SI : Service Information)를 분석하여 초기객체기술자(IOD : Initial Object Descriptor) 데이터가 제공되고 있는 서브채널 및 서비스 콤포넌트 정보를 획득한다(801). 그리고, 상기 서브채널 및 서비스 콤포넌트 정보를 이용하여 주서비스채널(MSC : Main Service Channel)을 역다중화하여 초기객체기술자(IOD : Initial Object Descriptor)를 추출한다(802). 이후, 상기 초기객체기술자(IOD : Initial Object Descriptor)의 기본 스트림 식별자(ES_ID) 및 링크정보테이블(M4SLinkTable)을 이용하여 이진형태화면정보(BIFS : BInary Format for Scene) 및 객체기술자(OD : Object Descriptor) 스트림을 파싱하여 추출한다(803). 그리고, 이진형태화면정보(BIFS : BInary Format for Scene descriptor)에서 객체기술자(OD : Object Descriptor) 스트림에 대한 연결 정보인 객체기술자 식별자(OD_ID : Object Descriptor ID)를 추출하여 기본 스트림 식별자(ES_ID)와의 링크를 구성하고(804), 상기 객체기술자(OD : Object Descriptor) 스트림의 링크정보테이블(M4SLinkTable)을 이용하여 상기 기본 스트림 식별자(ES_ID)와 디지털 오디오 방송 서브채널 및 서비스 콤포넌트와의 링크를 구성하여 역다중화한다(805).
한편, 상기 스트림모드 처리부(16)는 상기 논리프레임 생성부(13)로부터 생성된 M4SMux 논리프레임을 서브채널로 구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 때, 상기 스트림모드 처리부(16)는 디지털 오디오 방송 스트림 모드 규격을 따르며, 24ms, 8kbps 배수 단위의 논리프레임을 입력받아 서브채널을 구성한다.
상기 다중화 제어부(17)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오디오 방송 데이터에 엠펙-4 데이터를 다중화하는 장치에서 다중화를 수행하기 위하여 각 구성요소의 입출력 및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DAB 다중화부(18)는 상기 다중화정보 생성부(14), 상기 패킷모드 처리부(15), 및 상기 스트림모드 처리부(16)로부터 처리된 엠펙(MPEG)-4 데이터를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디지털 오디오 방송 데이터에 다중화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엠펙-4 데이터를 디지털 오디오 방송 데이터에 다중화하는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먼저, 상기 엠펙-4 스트리밍부(11)가 실시간 또는 비실시간으로 엠펙-4 데이터 패킷들을 발생시켜(701), 메타데이터, 비동기 객체 데이터 및 동기 객체 데이터로 분리하여 스트리밍한다. 이 때, 상기 엠펙-4 스트리밍부(11)에서 분리된 메타데이터, 비동기 객체 데이터, 및 동기 객체 데이터는 상기 메타데이터 변환부(12), 상기 패킷모드 처리부(15), 및 상기 논리프레임 생성부(13)로 각각 입력된다.
상기 메타데이터 변환부(12)는 상기 엠펙-4 스트리밍부(11)로부터 입력받은 메타데이터를 패킷화에 적합한 형태로 변환하고, 주서비스 채널과 엠펙-4 객체 데이터 간의 링크 정보를 제공하는 링크정보테이블을 생성한다(703). 그리고, 상기 다중화정보 생성부(14)는 상기 메타데이터 변환부(12)로부터 링크 정보를 입력받아 역다중화에 필요한 다중화 정보를 생성한다(704).
상기 패킷모드 처리부(15)는 상기 메타데이터 변환부(12)로부터 입력받은 메타데이터 및 상기 엠펙-4 스트리밍부(11)로부터 입력받은 비동기 객체 데이터를 디지털 오디오 방송 패킷으로 변환하여 각각 하나의 서브채널(21,23)로 다중화한다(705).
상기 논리프레임 생성부(13)는 상기 엠펙-4 스트리밍부(11)로부터 입력받은 동기 객체 데이터를 M4SMux 논리프레임으로 변환하고, 오류 내성을 위한 외부호화 및 인터리빙을 수행한 후 출력한다(706). 그러면, 상기 스트림모드 처리부(16)가 상기 외부호화 및 인터리빙을 거친 논리프레임을 입력받아 디지털 오디오 방송 스트림모드 규격에 따라 서브채널(222)로 다중화한다(707).
이후, DAB 다중화부(18)가 상기 다중화정보 생성부(14), 상기 패킷모드 처리부(15), 및 상기 스트림모드 처리부(16)로부터 입력받은 데이터를 외부로부터 입력된 디지털 오디오 방송 데이터에 다중화하여 출력한다(708).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형태로 기록매체(씨디롬, 램,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등)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므로 더 이상 상세히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엠펙(MPEG)-4 데이터를 디지털 오디오 방송 데이터에 직접 다중화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엠펙-2 트랜스포트 스트림(MPEG-2 Transport Stream)를 이용하여 다중화를 수행한 후에 다시 디지털 오디오 방송 데이터에 다시 다중화하는 종래 방법에 비하여 오버 헤드를 줄일 수 있고, 수신기의 구성을 단순하게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엠펙-4 데이터를 디지털 오디오 방송 데이터에 다중화하는 장치의 일실시예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이용되는 서브채널에 대한 일실시예 설명도.
도 3은 본 발명에 이용되는 엠펙-4 데이터를 디지털 오디오 방송 데이터에 다중화한 패킷의 일실시예 구조도.
도 4는 본 발명에 이용되는 M4SMux 논리프레임의 일실시예 구조도.
도 5는 본 발명에 이용되는 M4SMux 논리프레임에서 동기 계층(SL) 패킷들의 바이트 정렬에 대한 일실시예 설명도.
도 6은 본 발명에 이용되는 M4SMux 논리프레임에서 외부호화 및 인터리빙 적용에 대한 일실시예 설명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엠펙-4 데이터를 디지털 오디오 방송 데이터에 다중화하는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라 엠펙-4 데이터가 다중화된 디지털 오디오 방송 데이터를 역다중화하는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1 : 엠펙-4 스트리밍부 12 : 메타데이터 변환부
13 : 논리프레임 생성부 14 : 다중화정보 생성부
15 : 패킷모드 처리부 16 : 스트림모드 처리부
17 : 다중화 제어부 18 : DAB 다중화부

Claims (13)

  1. 엠펙-4(MPEG-4) 데이터를 디지털 오디오 방송(DAB) 데이터에 다중화하는 장치에 있어서,
    MPEG-4 데이터 패킷들을 발생시켜 메타데이터, 비동기 객체 데이터 및 동기 객체 데이터로 분리하여 스트리밍하기 위한 MPEG-4 스트리밍 수단;
    상기 메타데이터를 패킷화에 적합한 형태로 변환시키고, 주서비스 채널과 멀티미디어 객체 데이터 간의 링크정보를 제공하는 링크정보테이블을 생성하기 위한 메타데이터 변환 수단;
    상기 링크정보를 바탕으로, DAB 데이터 및 MPEG-4 데이터의 다중화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다중화정보 생성 수단;
    상기 동기 객체 데이터를 MPEG-4 스트림 다중화 논리프레임으로 변환하기 위한 논리프레임 생성 수단;
    상기 MPEG-4 스트림 다중화 논리프레임을 DAB 스트림모드 규격에 따라 서브채널로 다중화하기 위한 스트림모드 처리 수단;
    상기 비동기 객체 데이터와, 상기 메타데이터 변환 수단에서 처리된 메타데이터를 DAB 패킷으로 변환하여 서브채널에 다중화하기 위한 패킷모드 처리 수단;
    상기 MPEG-4 데이터를 상기 DAB 데이터에 다중화 제어하기 위한 다중화 제어 수단; 및
    상기 다중화정보 생성 수단, 상기 패킷모드 처리 수단, 상기 스트림모드 처리 수단으로부터 전달된 MPEG-4 데이터를 외부로부터 입력받은 상기 DAB 데이터에 다중화하여 출력하기 위한 DAB 다중화 수단
    을 포함하는 엠펙-4 데이터를 디지털 오디오 방송 데이터에 다중화하는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논리 프레임 생성 수단은, 상기 MPEG-4 스트리밍 수단에서 분리된 가변 길이를 갖는 여러 객체 데이터로 구성된 비동기 객체 데이터, 및 동기 객체 데이터를 입력받아 MPEG-4 스트림 다중화 논리프레임으로 변환하고,
    상기 패킷모드 처리 수단은, 상기 메타데이터 변환 수단에서 처리된 메타데이터와, 상기 MPEG-4 스트리밍 수단에서 직접 입력되는 비동기 객체 데이터 및 상기 논리 프레임 생성 수단에서 MPEG-4 스트림 다중화 논리프레임으로 변환된 비동기 객체 데이터를 입력받아 디지털 오디오 방송 패킷으로 변환하여 서브채널로 다중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엠펙-4 데이터를 디지털 오디오 방송 데이터에 다중화하는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정보테이블은,
    주서비스 채널(MSC)과 멀티미디어 객체 데이터 간의 링크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기본 스트림 식별자(ES_ID)와 주서비스 채널(MSC)의 식별자에 해당하는 서비스 콤포넌트 식별자 및 서브 콤포넌트 식별자와의 실질적인 링크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엠펙-4 데이터를 디지털 오디오 방송 데이터에 다중화하는 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화 정보 생성 수단은,
    빠른정보채널(FIDC)의 다중화 설정 정보(MCI) 및 서비스 정보(SI)에 아웃 오브 밴드(out of band)로 전송이 요구되는 초기객체기술자(IOD) 데이터를 주콤포넌트로 설정하고, 기타 다른 엠펙-4(MPEG-4) 데이터는 부콤포넌트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엠펙-4 데이터를 디지털 오디오 방송 데이터에 다중화하는 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모드 처리 수단은,
    상기 메타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는 각 데이터의 특징에 따라 보호 레벨 및 반복 전송율을 개별적으로 적용하여 패킷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엠펙-4 데이터를 디지털 오디오 방송 데이터에 다중화하는 장치.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논리프레임 생성 수단은,
    상기 변환된 MPEG-4 스트림 다중화 논리프레임에 오류내성을 위한 외부호화 및 인터리빙 기능을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엠펙-4 데이터를 디지털 오디오 방송 데이터에 다중화하는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논리프레임 생성 수단은,
    MPEG-4 스트림 다중화 논리프레임의 유연한 동기화를 위하여, 각 동기 계층(SL) 패킷들을 유료부하(Payload)의 시작 부분에 바이트 정렬시키고, 마지막 동기 계층(SL) 패킷의 길이가 정해진 논리프레임 길이를 초과할 경우에는 분할한 후, 다음 MPEG-4 스트림 다중화 논리프레임 유료부하(Payload)의 시작 부분에 바이트 정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엠펙-4 데이터를 디지털 오디오 방송 데이터에 다중화하는 장치.
  8. 엠펙-4(MPEG-4) 데이터를 디지털 오디오 방송(DAB) 데이터에 다중화하는 방법에 있어서,
    MPEG-4 데이터 패킷들을 발생시켜 메타데이터, 비동기 객체 데이터 및 동기 객체 데이터로 분리하여 스트리밍하는 MPEG-4 스트리밍 단계;
    상기 메타데이터를 패킷화에 적합한 형태로 변환시키고, 주서비스 채널과 멀티미디어 객체 데이터 간의 링크 정보를 제공하는 링크정보테이블을 생성하는 메타데이터 변환 단계;
    상기 링크 정보를 바탕으로 DAB 데이터 및 MPEG-4 데이터의 다중화 정보를 생성하는 다중화정보 생성 단계;
    상기 동기 객체 데이터를 MPEG-4 스트림 다중화 논리프레임으로 변환하는 논리프레임 생성 단계;
    상기 MPEG-4 스트림 다중화 논리프레임을 DAB 스트림모드 규격에 따라 서브채널로 다중화하는 스트림모드 처리 단계;
    상기 비동기 객체 데이터와, 상기 메타데이터 변환 단계에서 처리된 메타데이터를 DAB 패킷으로 변환하여 서브채널로 다중화하는 패킷모드 처리 단계; 및
    상기 다중화정보 생성 단계, 상기 패킷모드 처리 단계, 상기 스트림모드 처리 단계에서 처리된 MPEG-4 데이터를 외부로부터 입력받은 상기 DAB 데이터에 다중화하는 DAB 다중화 단계
    를 포함하는 엠펙-4 데이터를 디지털 오디오 방송 데이터에 다중화하는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논리프레임 생성 단계는,
    상기 MPEG-4 스트리밍 단계에서 분리된 가변 길이를 갖는 여러 객체 데이터로 구성된 비동기 객체 데이터, 동기 객체 데이터를 입력받아 MPEG-4 스트림 다중화 논리프레임으로 변환하고,
    상기 패킷모드 처리 단계는,
    상기 메타데이터 변환 단계에서 처리된 메타데이터와, 상기 논리 프레임 생성 단계에서 MPEG-4 스트림 다중화 논리프레임으로 변환된 비동기 객체 데이터를 입력받아 디지털 오디오 방송 패킷으로 변환하여 서브채널로 다중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엠펙-4 데이터를 디지털 오디오 방송 데이터에 다중화하는 방법.
  10.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논리프레임 생성 단계는,
    상기 MPEG-4 스트리밍 단계에서 분리된 객체 데이터를 입력받아 MPEG-4 스트림 다중화 논리프레임으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변환된 MPEG-4 스트림 다중화 논리프레임에 대하여 오류내성을 위한 외부호화 및 인터리빙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엠펙-4 데이터를 디지털 오디오 방송 데이터에 다중화하는 방법.
  11. 엠펙-4(MPEG-4) 데이터가 다중화된 디지털 오디오 방송(DAB) 데이터를 역다중화하는 방법에 있어서,
    다중화된 DAB 데이터에서 다중화 설정 정보(MCI) 및 서비스 정보(SI)를 분석하여 초기객체기술자(IOD) 데이터가 제공되고 있는 서브채널 및 서비스 콤포넌트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서브채널 및 서비스 콤포넌트 정보를 이용하여 주서비스채널(MSC)을 역다중화하여 초기객체기술자(IOD)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초기객체기술자(IOD)의 기본 스트림 식별자(ES_ID) 및 링크정보테이블(M4SLinkTable)을 이용하여 이진형태화면정보(BIFS) 및 객체기술자(OD) 스트림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이진형태화면정보(BIFS)에서 객체기술자(OD) 스트림에 대한 연결 정보인 객체기술자 식별자(OD_ID)를 추출하여 기본 스트림 식별자(ES_ID)와의 링크를 구성하는 단계; 및
    상기 객체기술자(OD) 스트림의 링크정보테이블(M4SLinkTable)을 이용하여 상기 기본 스트림 식별자(ES_ID)와 디지털 오디오 방송 서브채널 또는 서비스 콤포넌트와의 링크를 구성하여 역다중화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엠펙-4 데이터가 다중화된 디지털 오디오 방송 데이터를 역다중화하는 방법.
  12. 프로세서를 구비한, 엠펙-4(MPEG-4) 데이터와 디지털 오디오 방송(DAB) 데이터와의 다중화 장치에,
    MPEG-4 데이터 패킷들을 발생시켜 메타데이터, 비동기 객체 데이터 및 동기 객체 데이터로 분리하여 스트리밍하는 MPEG-4 스트리밍 기능;
    상기 메타데이터를 패킷화에 적합한 형태로 변환시키고, 주서비스 채널과 멀티미디어 객체 데이터 간의 링크 정보를 제공하는 링크정보테이블을 생성하는 메타데이터 변환 기능;
    상기 링크 정보를 바탕으로 DAB 데이터 및 MPEG-4 데이터의 다중화 정보를 생성하는 다중화정보 생성 기능;
    상기 동기 객체 데이터를 MPEG-4 스트림 다중화 논리프레임으로 변환하는 논리프레임 생성 기능;
    상기 MPEG-4 스트림 다중화 논리프레임을 DAB 스트림모드 규격에 따라 서브채널로 다중화하는 스트림모드 처리 기능;
    상기 비동기 객체 데이터와, 상기 메타데이터 변환 단계에서 처리된 메타데이터를 DAB 패킷으로 변환하여 서브채널로 다중화하는 패킷모드 처리 기능; 및
    상기 다중화정보 생성 기능, 상기 패킷모드 처리 기능, 상기 스트림모드 처리 기능에서 처리된 MPEG-4 데이터를 외부로부터 입력받은 상기 DAB 데이터에 다중화하는 DAB 다중화 기능
    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13. 프로세서를 구비한, 엠펙-4(MPEG-4) 데이터와 디지털 오디오 방송(DAB) 데이터와의 역다중화 장치에,
    다중화된 DAB 데이터에서 다중화 설정 정보(MCI) 및 서비스 정보(SI)를 분석하여 초기객체기술자(IOD) 데이터가 제공되고 있는 서브채널 및 서비스 콤포넌트 정보를 획득하는 기능;
    상기 서브채널 및 서비스 콤포넌트 정보를 이용하여 주서비스채널(MSC)을 역다중화하여 초기객체기술자(IOD)를 추출하는 기능;
    상기 초기객체기술자(IOD)의 기본 스트림 식별자(ES_ID) 및 링크정보테이블(M4SLinkTable)을 이용하여 이진형태화면정보(BIFS) 및 객체기술자(OD) 스트림을 추출하는 기능;
    상기 이진형태화면정보(BIFS)에서 객체기술자(OD) 스트림에 대한 연결 정보인 객체기술자 식별자(OD_ID)를 추출하여 기본 스트림 식별자(ES_ID)와의 링크를 구성하는 기능; 및
    상기 객체기술자(OD) 스트림의 링크정보테이블(M4SLinkTable)을 이용하여 상기 기본 스트림 식별자(ES_ID)와 디지털 오디오 방송 서브채널 또는 서비스 콤포넌트와의 링크를 구성하여 역다중화하는 기능
    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03-0019639A 2003-03-28 2003-03-28 엠펙-4 데이터를 디지털 오디오 방송 데이터에 다중화하는 장치와 그 방법 및 그 역다중화 방법 KR1005019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9639A KR100501909B1 (ko) 2003-03-28 2003-03-28 엠펙-4 데이터를 디지털 오디오 방송 데이터에 다중화하는 장치와 그 방법 및 그 역다중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9639A KR100501909B1 (ko) 2003-03-28 2003-03-28 엠펙-4 데이터를 디지털 오디오 방송 데이터에 다중화하는 장치와 그 방법 및 그 역다중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4508A KR20040084508A (ko) 2004-10-06
KR100501909B1 true KR100501909B1 (ko) 2005-07-26

Family

ID=373680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9639A KR100501909B1 (ko) 2003-03-28 2003-03-28 엠펙-4 데이터를 디지털 오디오 방송 데이터에 다중화하는 장치와 그 방법 및 그 역다중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0190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6194B1 (ko) 2004-09-03 2007-02-22 케이.디이.티이 전자주식회사 Dab/dmb 무선 송신부를 가진 휴대용 오디오신호재생 장치
KR101401746B1 (ko) 2009-10-29 2014-05-3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멀티미디어 데이터 다중화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7134B1 (ko) * 2004-11-03 2006-07-05 주식회사 엘지텔레콤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060119741A (ko) 2005-05-18 2006-1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소통상태의 추이정보를 제공하고 이를 이용하는 방법 및장치
KR20060119746A (ko) 2005-05-18 2006-1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교통상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이를 이용하는 방법 및장치
KR20060119742A (ko) 2005-05-18 2006-1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도로 정보를 제공하고 이를 이용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406843B1 (ko) * 2006-03-17 2014-06-13 한국과학기술원 멀티미디어 컨텐츠 부호화방법 및 장치와, 부호화된멀티미디어 컨텐츠 응용방법 및 시스템
KR101345284B1 (ko) * 2005-07-20 2013-12-27 한국과학기술원 멀티미디어 컨텐츠 부호화/재생 방법 및 장치
CN101401136B (zh) 2006-01-19 2010-06-23 Lg电子株式会社 提供和使用用于车辆行驶的信息的方法
KR100835179B1 (ko) * 2006-05-10 2008-06-0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디지털 방송에서 비디오 서비스와 연동된 tti 데이터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641200B1 (ko) * 2009-12-02 2016-07-20 주식회사 알티캐스트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트랜스포트 스트림 송/수신 장치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6194B1 (ko) 2004-09-03 2007-02-22 케이.디이.티이 전자주식회사 Dab/dmb 무선 송신부를 가진 휴대용 오디오신호재생 장치
KR101401746B1 (ko) 2009-10-29 2014-05-3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멀티미디어 데이터 다중화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4508A (ko) 2004-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85933B1 (ko)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552678B1 (ko) 데이터 패킷의 접근 지연 시간 단축을 위한 송/수신 장치및 그 방법
JP4828906B2 (ja) デジタルオーディオ放送でのビデオサービスの提供及び受信方法、並びにその装置
JP4907668B2 (ja) デジタルオーディオ放送でのビデオサービス提供及び受信方法及びその装置
US8275004B2 (en) Digital broadcasting transmitter, turbo stream processing method thereof, and digital broadcasting system having the same
KR20110086645A (ko) 방송 송신 방법 및 장치와 방송 수신 방법 및 장치
JP2005045819A (ja) Dmbサービスのための情報送受信装置及び方法
KR100501909B1 (ko) 엠펙-4 데이터를 디지털 오디오 방송 데이터에 다중화하는 장치와 그 방법 및 그 역다중화 방법
KR20060135246A (ko)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 수신 장치에서 채널 전환을 위한 재생 장치 및 방법
CN115767140A (zh) 接收装置、接收方法及传输系统中的传输单元
KR100753540B1 (ko) 비쥬얼 라디오의 방송방법, 이를 위한 인코더,디코더 및 이 디코더를 사용하는 수신기
EP2328287A2 (en) Relaying emergency broadcasts
WO2008016213A1 (en) Digital broadcasting system and method
KR101420188B1 (ko) 재난방송 제공 방법, 방송 중계 장치, 다중화기 및 다중화 방법
KR101320544B1 (ko) 재난 서비스 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재난 방송 제공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방송 중계 장치
KR101531510B1 (ko) 수신 시스템 및 오디오 데이터 처리 방법
KR101129900B1 (ko) 비디오 서비스의 유휴 대역을 이용해서 부가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dmb송수신 장치 및 그의 방법
JP2004129121A (ja) デジタル放送コンテンツの送信側装置、受信側装置、放送システム及び放送方法
US2008001940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id conversion in very high frequency digital radio broadcasting receiver
KR20060089508A (ko) 타이밍정보의 효율적 전송을 위한 전송스트림 생성 장치및 그 방법과, 그를 이용한 디엠비 전송 시스템
JP4146104B2 (ja) デジタル放送番組中継送出システム
KR101118265B1 (ko) 가변 비트율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WO2008016212A1 (en) Digital broadcasting system and method
KR100513795B1 (ko) 시스템 타임 클럭을 이용한 동기화 이벤트 서비스를제공하는 디지털 데이터 방송 송/수신 장치 및 그 방법
KR100950982B1 (ko) 디지털 방송방법, 이를 위한 인코더, 디코더 및 이디코더를 사용하는 수신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70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