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01325B1 - The apparatus and method for data service using wireless VOIP terminal - Google Patents

The apparatus and method for data service using wireless VOIP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1325B1
KR100501325B1 KR10-2003-0000148A KR20030000148A KR100501325B1 KR 100501325 B1 KR100501325 B1 KR 100501325B1 KR 20030000148 A KR20030000148 A KR 20030000148A KR 100501325 B1 KR100501325 B1 KR 1005013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data service
voip terminal
data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014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40062339A (en
Inventor
배학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001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1325B1/en
Publication of KR200400623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233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13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1325B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데이타 서비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무선 VOIP 단말장치를 이용하여 데이터 서비스를 확장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무선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유선 데이터망 사용과 마찬가지로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별도의 장치가 필요하며 무선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인터페이스가 없는 장치나 단말은 무선 데이터 서비스를 받을 수 없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무선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인터페이스가 없는 장치나 단말의 경우에도 무선 VOIP 단말장치를 무선 송수신 어댑터로 전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데이터 서비스 인터페이스가 없는 장치와 연동한 데이터망의 확장을 용이하게 하고 이동성을 보장할 뿐 아니라 모드선택에 의한 다양한 서비스 구현이 가능하도록 하였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wireless data services,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extending data services using a wireless VOIP terminal. In order to use the wireless data service, a separate device for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is required, similar to the use of a wired data network, and a device or a terminal without an interface for the wireless data service cannot receive the wireless data service. In the present invention, even in the case of a device or a terminal that does not have an interface for a wireless data service, the wireless VOIP terminal device can be switched to a wireless transmit / receive adapter, thereby facilitating the expansion of a data network linked with a device without a data service interface and providing mobility. In addition to guaranteeing, various services can be implemented by mode selection.

Description

무선 브이오아이피 단말 장치를 이용한 데이터 서비스 장치 및 방법{The apparatus and method for data service using wireless VOIP terminal} Apparatus and method for data service using wireless VIP terminal device

본 발명은 무선 데이타 서비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무선 VOIP 단말장치를 이용하여 데이터 서비스를 확장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wireless data services,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extending data services using a wireless VOIP terminal.

무선 데이타 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블루투스, 홈 RF, 무선LAN (WLAN) 등이 이용된다. 블루투스(bluetooth) 란 핸드폰, PDA, 노트북과 같은 포터블(portable)한 장치들간의 양방향 근거리 통신을 복잡한 전선 없이도 저가격으로 구현하기 위한 표준, 근거리무선통신 기술, 제품을 총칭하여 일컫는다. 블루투스는 자체 보안 기능을 가지고 있어 전자상거래와 같은 높은 보안이 필요한 통신 매체로도 활용할 수 있다. 또한 휴대전화 사용의 경우 무선 귀걸이형 전화(HandSet)만 있으면 전화가 어디 있든 언제든지 전화할 수도 있고, 전화기 한 대로 사무실과 가정에서 전화비용을 낼 필요 없이 무선 인터넷폰으로 전화를 사용할 수 있다. 일반전화(PSTN), 휴대전화(Cellular, PCS)까지 사용할 수 있어 한가지 전화로 3가지 전화를 쓰는 효과가 있다. 또한 데스크탑이나 노트북 컴퓨터 내에 있는 정보와 신속하게 동기화 할 수 있으며 팩스를 보내거나 받을 수도 있고 프린트 출력을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모든 휴대용 및 고정식 컴퓨터 장치들과 완전한 공동작용이 가능하다. 블루투스 기술을 이용하려면 각 장치마다 저가의 트랜시버 칩이 장착되어야 한다. As a method for implementing a wireless data service, Bluetooth, home RF, wireless LAN (WLAN), and the like are used. Bluetooth refers to a standard,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products for implementing bidirectional short-range communication between portable devices such as mobile phones, PDAs, and notebook computers at low cost without complicated wires. Bluetooth has its own security features and can be used as a high security communication medium such as e-commerce. In addition, if you use a handset, you can call anytime, wherever you are, and you can use your phone as a wireless Internet phone without paying for your office and at home. You can use PSTN and cellular phones (Cellular, PCS), so you can use three phones with one phone. You can also quickly synchronize with information on your desktop or laptop computer, send and receive faxes, or print out. In general, full cooperation with all portable and stationary computer devices is possible. Bluetooth technology requires that each device be equipped with a low-cost transceiver chip.

각 장치는 이전에는 사용되지 않아 전세계적으로 가용 주파수 대역인 2.45 GHz에서 송수신할 수 있는 마이크로칩 트랜시버를 장착한다 (일부 국가에서 다소 다른 주파수 대역이 있을 수 있다). 데이터 외에도 음성채널을 최대 3개까지 사용할 수 있다. 각 장치는 IEEE 802 표준으로부터 나온 고유한 48 비트 주소를 가지고 있다. 접속은 점대점이나 멀티포인트가 가능하다. 통신이 가능한 최대 범위는 10m 이다. 데이터는 전송은 1 Mbps의 속도에서 이루어진다 (2세대 기술에서는 최고 2 Mbps까지 가능함). 주파수 홉 설계는 장치들이 엄청난 량의 전자기 장애가 있는 지역에서도 통신할 수 있게 해주며 내장 암호화 및 검증 기능이 제공된다. Each device is equipped with a microchip transceiver that is not used previously and can transmit and receive at 2.45 GHz, the world's available frequency band (some countries may have slightly different frequency bands). In addition to data, up to three voice channels can be used. Each device has a unique 48-bit address from the IEEE 802 standard. Connections can be point-to-point or multipoint. The maximum range of communication is 10m. Data is transmitted at 1 Mbps (up to 2 Mbps in 2nd generation technology). The frequency hop design enables devices to communicate even in areas with enormous amounts of electromagnetic disturbances and provides built-in encryption and verification.

홈 RF 는 동작영역이 50 m 로 블루투스보다 길고 속도도 2 Mbps로 빠르다. 음성채널 4개와 데이터채널 1개로 데이터와 음성을 동시에 전송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하지만 휴대기기에 이용 시 블루투스와 간섭현상이 생길 수 있다. 무선 LAN은 IEEE 802.11 관련 규칙을 따른다. 내에 하나 이상의 접근점을 설치하고 수십 ~ 수백 m 범위의 기기들과 무선 LAN 으로 연결하는 방식이다.Home RF has a 50m operating range, which is longer than Bluetooth and is 2 Mbps faster. Four voice channels and one data channel have the advantage of transmitting data and voice simultaneously. However, when used in a mobile device may interfere with Bluetooth. Wireless LANs follow IEEE 802.11 rules. One or more access points are installed in the network and connected to a wireless LAN with devices ranging from tens to hundreds of meters.

한편 VoIP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는 종래의 회선교환 방식의 전화와는 달리 인터넷망의 근간인 IP 네트워크에 음성을 패킷 형태로 실어서 음성서비스를 제공하는 음성처리 기술을 뜻하는 용어이다. 일반적으로 이것은 공중교환전화망인 PSTN 처럼 회선에 근거한 전통적인 프로토콜들이 아니라 불연속적인 패킷들 내에 디지털 형태로 음성정보를 보낸다는 것을 의미한다. VoIP와 인터넷 전화기술의 주요 장점은 기존 IP 네트웍을 그대로 활용해 전화서비스를 통합 구현함으로써 전화 사용자들이 시내전화 요금만으로 인터넷, 인트라넷 환경에서 시외 및 국제전화 서비스를 받을 수 있게 된다는 점이다. On the other hand, VoIP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is a term for a voice processing technology that provides a voice service by putting voice in the form of packets in an IP network, which is the basis of the Internet network, unlike a conventional circuit switched telephone. In general, this means that voice information is sent in digital form within discrete packets, rather than traditional protocols based on circuits such as PSTN, a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The main advantage of VoIP and Internet telephony technology is that it integrates telephone service by utilizing existing IP network so that telephone users can receive long distance and international phone service in internet and intranet environment with only local call charge.

또한 VoIP 는 음성(PSTN)과 데이터(IP Network)의 결합을 위한 네트워크에서 가입자 단말까지의 통합 기술로서 보다 저렴한 음성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며 음성 이외의 문자, 멀티미디어 등의 다양한 통신 수단과 결합하여 유연한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다. VoIP는 원래의 IP 기능에 더하여 패킷들이 적시에 도착하도록 지원하기 위해 RTP를 사용한다. 공중 네트웍을 사용하면 현재 서비스 품질(QoS)을 보장하기에 어렵다. 독자적인 기업이나 인터넷 전화서비스 공급자 (ITSP)에 의해 관리되는 사설 네트웍을 사용하면 더 나은 서비스가 가능하다. VoIP를 사용하려면 기업은 게이트웨이에 VoIP 장비를 설치해야한다. 게이트웨이는 회사내의 사용자들로부터 패킷으로 나뉘어진 음성전달을 받아서 그것을 인트라넷의 다른 부분으로 발송하거나 T-1 또는 E1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PSTN으로 전송한다. In addition, VoIP is an integrated technology from the network to the subscriber terminal for combining voice (PSTN) and data (IP network) to provide cheap voice services, and flexible services in combination with various communication means such as text and multimedia other than voice. It can be provided. VoIP uses RTP to support packets arriving in time, in addition to the original IP functionality. Using public networks makes it difficult to guarantee current quality of service (QoS). Better service can be achieved by using a private network managed by an independent company or an Internet telephony service provider (ITSP). To use VoIP, companies must install VoIP equipment at the gateway. The gateway receives the voice transmission divided into packets from users in the company and sends it to other parts of the intranet or to the PSTN using the T-1 or E1 interface.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은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데이터의 송수신을 가능하게 하는 별도의 장치가 필요하다. 또한 종래의 경우 유선 데이터망을 사용하여 사무실이나 가정에 있어서 한정된 데이터 라인을 이용하는 경우 다수의 인원이 동시에 서비스를 받는데 한계가 있으며 데이터 서비스를 다른 장소로 이동하여 이용하기 위해서는 어려움이 따른다. 이때 유선 데이터망이 아닌 무선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유선 데이터망 사용과 마찬가지로 별도의 장치가 필요하다. 따라서 데이터 서비스 사용을 위한 인터페이스가 없는 장치나 단말은 데이터 서비스를 받을 수 없기 때문에 무선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인터페이스가 없는 장치나 단말은 무선 데이터 서비스를 받을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Meanwhile, in order to use the data service as described above, a separate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is required. In addition, in the conventional case, when a limited data line is used in an office or a home by using a wired data network, a number of people receive a service at the same time, and there is a difficulty in moving a data service to another place. In this case, in order to use a wireless data service instead of a wired data network, a separate device is required as in the use of a wired data network. Therefore, a device or a terminal without an interface for using a data service cannot receive a data service, so a device or a terminal without an interface for a wireless data service cannot receive a wireless data service.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한 무선 VOIP 단말장치를 WLAN 이나 블루투스 어댑터로 전환시켜 데이터 서비스 인터페이스가 없는 장치와 연동함으로써 데이터망의 확장을 용이하게 하고 이동성의 편리를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by converting the wireless VOIP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to a WLAN or Bluetooth adapter and interworking with a device without a data service interface, it is easy to expand the data network and provide convenience of mobility. For the purpose.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무선 VOIP 단말장치는 RF(Radio Front End)부(100), MAC/베이스밴드(Baseband)처리부(103), 제어부(104), 유선 인터페이스 부(105), 메모리부(106), 입출력부(107,10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wireless VOIP termina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adio front end (RF) unit 100, a MAC / baseband processing unit 103, a control unit 104, a wired interface unit 105, The memory unit 106 and the input / output units 107 and 108 are configured.

무선 어댑터 모드는 무선 VOIP단말이 무선 접속을 위하여 사용하는 무선 송/수신 방법 즉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블루투스등의 무선 접속방법을 사용하여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인터페이스가 없는 장치와 유선 인터페이스로 연결하여 데이터 서비스를 받도록 하는 모드(Mode) 이다. 무선 VOIP 단말과 데이터 서비스 인터페이스가 없는 장치와의 연결은 USB나 IEEE1394와 같은 유선 인터페이스로 연결한다.The wireless adapter mode uses a wireless transmission / reception method used by a wireless VOIP terminal for wireless connection, that is,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Bluetooth, etc., to connect to a wired interface with a device without an interface for data service. Mode to receive data service. The connection between a wireless VOIP terminal and a device without a data service interface is connected by a wired interface such as USB or IEEE1394.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present invention.

도 1 은 무선 VOIP 단말장치의 내부 구성도이다. 내부에는 무선 송/수신을 하기 위한 RF 부(100)가 있으며 아날로그 데이타를 처리할 수 있는 MAC/베이스밴드(Baseband)처리부(103)가 있다. 이때 송/수신 방법에는 WLAN 이나 블루투스 등을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인터페이스가 없는 단말이나 장치와 무선 VOIP 단말을 유선으로 연결시켜주는 역할을 수행하는 유선 인터페이스부(105)가 있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wireless VOIP terminal device. There is an RF unit 100 for wireless transmission / reception, and there is a MAC / baseband processing unit 103 capable of processing analog data. In this case, WLAN or Bluetooth may be used as a transmission / reception method. In addition, there is a wired interface unit 105 that performs a role of connecting a terminal or a device having no interface for data service and a wireless VOIP terminal by wire.

RF(Radio Front End) 부는 내부적으로 송신을 담당하는 전송(transmitter)부(101)와 수신을 담당하는 수신(receiver)부(102)로 나뉜다. 송신을 담당하는 전송(transmitter)부(101)는 베이스밴드의 낮은 디지털 신호를 IF(Intermediate Frequency)를 거쳐 RF(Radio Frequency)로 변조한 다음 PA(Power Amplifier)를 통해 출력을 높여 송신한다. WLAN 에 의한 전송시는 2.4 GHz 수준으로 송신한다. 수신을 담당하는 수신(receiver)부(102)는 전송되어온 신호에 대해 LNA(Low Noise Amplifier)와 IF 부를 거쳐 베이스밴드의 낮은 디지털 신호로 복조 한다.The RF (Radio Front End) part is divided into a transmitter 101 which is in charge of transmission internally and a receiver 102 which is in charge of reception. Transmitter 101 in charge of the transmission modulates the baseband low digital signal through RF (Intermediate Frequency) to RF (Radio Frequency) and then transmits the output by increasing the power through the PA (Power Amplifier). When transmitting by WLAN, transmit at 2.4 GHz level. The receiver 102 responsible for reception demodulates the transmitted signal into a low digital signal of the baseband through a low noise amplifier (LNA) and an IF unit.

MAC/베이스밴드부 (Baseband Part)(103)는 각각 별개의 소자로 구현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단일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베이스밴드부(103)는 RF 부(100)를 제어하는 역할을 담당하여 AGC(Automatic Gain Control)기능 등이 수행될 수 있으며, MAC 부는 무선 프로토콜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담당한다.Each of the MAC / baseband part 103 may be implemented as a separate device, and in some cases, may be implemented as a single chip. The baseband unit 103 plays a role of controlling the RF unit 100 so that an AGC (Automatic Gain Control) function may be performed, and the MAC unit plays a role of allowing a wireless protocol to be performed.

제어부(104)는 MAC/베이스밴드부(103) 등과 같은 무선 물리계층을 제어하는 기능을 담당하며 CPU로 이루어진다. 모드전환시 제어부(104)는 유선 인터페이스부(105)의 온/오프를 통하여 모드 선택이 가능하도록 한다. The controller 104 is responsible for controlling a radio physical layer such as the MAC / baseband unit 103 and the like and is composed of a CPU. When switching modes, the controller 104 enables mode selection through on / off of the wired interface unit 105.

메모리부(106)는 램 또는 롬 등으로 구성되며 제어부(104)를 운용하기 위한 프로그램인 유저 인터페이스 프로그램 및 기타 데이타등이 저장된다. 상기 메모리부는 제어부내에 포함될 수도 있으며 또한 별도의 메모리부로 구현할 수도 있다. 유선 인터페이스부(105)를 위하여 시리얼 포트(Serial Port)나 USB, IEEE 1394 등이 이용 될 수 있다. The memory unit 106 is composed of a RAM, a ROM, and the like, and stores a user interface program and other data, which are programs for operating the control unit 104. The memory unit may be included in the control unit or may be implemented as a separate memory unit. A serial port, USB, IEEE 1394, or the like may be used for the wired interface unit 105.

입출력부(107,108)는 사용자에 의한 모드 선택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키 입력부(107), 그리고 서비스 이용 상황등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해주는 디스플레이부(108)등으로 이루어 진다.The input / output units 107 and 108 may include a key input unit 107 for inputting a command such as a mode selection by a user, and a display unit 108 for identifying a service usage situation.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인터페이스가 없는 장치로 데이터 서비스망 즉 LAN망과 접속을 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무선 VOIP 단말로 동작하고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무선 어댑터 모드로 선택하여 사용하고자 할 경우 제어부(104)에서는 무선 VOIP 단말을 무선 어댑터 모드로 전환한다. 이때 제어부(104)는 유선 인터페이스부의 차폐를 통하여 모드를 선택할 수 있게 한다. USB등과 같이 단말의 자체 전원이 필요 없는 경우에는 단말의 전원을 차단한다. 사용자는 무선 VOIP 단말을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인터페이스가 없는 장치와 유선 케이블로 연결한다.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인터페이스가 없는 장치를 본 발명에 따라 이용하기 위해서는 무선 VOIP 단말을 무선 어댑터로서 구동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소프트웨어가 반드시 필요하다. 즉 무선 VOIP 단말을 사용자가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유저 인터페이스 프로그램이 설치되어야 한다. A device that does not have an interface for data service is connected to the data service network or LAN network as follows. When the user wants to select and use the wireless adapter mode while operating as the wireless VOIP terminal, the controller 104 switches the wireless VOIP terminal to the wireless adapter mode.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104 may select a mode through shielding of the wired interface unit. If you do not need the terminal's own power supply, such as USB, power off the terminal. The user connects the wireless VOIP terminal with a wired cable with a device that does not have an interface for data service. In order to use a device without an interface for data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oftware for controlling the wireless VOIP terminal to be operated as a wireless adapter is necessary. That is, a user interface program that allows a user to control a wireless VOIP terminal should be installed.

상기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데이터 서비스를 사용하다가 유저 인터페이스 프로그램이나 무선 VOIP 단말을 통하여 다시 무선 VOIP 단말 모드(노말 모드)로 선택할 경우 무선 VOIP 단말의 제어부는 단말의 전원을 ON 시키고 무선 VOIP 단말로서 동작하도록 한다. 이때 제어부는 유선 인터페이스부를 턴 오프(off) 상태로 전환 한다. 만일 제어부에서 유선 인터페이스부를 턴 온(on) 상태로 유지하는 경우 무선 VOIP 단말은 유선 인터페이스부가 동작되는 상태인 무선 어댑터 모드로 동작하게 되며, 유선 인터페이스부를 턴 오프(off) 상태로 유지하는 경우는 유선 인터페이스부의 동작 정지상태로서 노말 모드인 무선 VOIP 단말로 기능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user uses the data service and selects the wireless VOIP terminal mode (normal mode) again through the user interface program or the wireless VOIP terminal, the controller of the wireless VOIP terminal turns on the power of the terminal and operates as a wireless VOIP terminal. do. At this time, the controller switches the wired interface unit to the off state. If the control unit maintains the wired interface unit in the on state, the wireless VOIP terminal operates in the wireless adapter mode in which the wired interface unit is in operation, and in the case of maintaining the wired interface unit in the off state. As an operation stop state of the interface unit, it functions as a wireless VOIP terminal in normal mode.

도 2 는 무선 데이터서비스 동작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무선 VOIP 단말(200)은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인터페이스가 없는 단말 또는 장치에 대해서도 데이터 서비스망 즉 LAN 망(204)과 접속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즉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인터페이스가 없는 단말 또는 장치의 경우 유선 케이블(201) 등을 통하여 무선 VOIP 단말(200)의 유선 인터페이스부(105)에 연결하는 경우 필요한 데이터를 WLAN 이나 블루투스등을 통하여 기지국(access point)(203)에 전송할 수 있게 된다. 2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a wireless data service. As shown, the wireless VOIP terminal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ble to connect to the data service network, that is, the LAN network 204, even for a terminal or device that does not have an interface for data service. That is, in the case of a terminal or a device without an interface for data service, when connecting to the wired interface unit 105 of the wireless VOIP terminal 200 through a wired cable 201 or the like, the base station (access) via WLAN or Bluetooth is required. point 203 can be transmitted.

전송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말이나 장치는 기지국(access point)(203)에 연결된 LAN(204)을 통하여 원하는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가령 네트웍 장치가 없는 노트북과 같은 송신측 단말(202)로부터 원하는 자료를 무선 송신방법에 의하여 원격의 수신측 단말(205)인 피시 또는 프린터 등을 통하여 출력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네트웍 장치가 없는 노트북이라 해도 본 발명에 의한 무선 VOIP 단말(200)과 연결함으로써 데이터를 송신할 경우 수신기지국(203)에 연결된 LAN(204)을 통하여 IP 가 지정되어 있는 수신단말측(205)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게 된다.The terminal or device receiving the transmitted data may receive the desired data through the LAN 204 connected to the access point 203.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output desired data from a transmitting terminal 202 such as a laptop without a network apparatus through a remote receiving terminal 205, such as a fish or a printer, by a wireless transmission method. Therefore, even when a laptop without a network device is connected to the wireless VOIP terminal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data is transmitted, the receiving terminal side 205 to which an IP is designated through the LAN 204 connected to the receiver station 203 is transmitted. It is possible to transfer data.

결국 본 발명에 의하면 데이터 서비스 인터페이스가 없는 장치에 대하여도 데이터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하여 데이터 서비스망의 확장을 용이하게 하며 무선 데이터 망 구성이 가능하도록 함에 따라 이동성을 용이하게 한다. 아울러서 무선 VOIP 단말(200)을 다른 장치와 연동 가능하게 함으로써 자체적인 기능의 한계를 폭 넓게 확장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예를 들면 데스크 탑이나 노트 북 피시 등과 같은 장치와 연동할 경우 PC 의 다양한 기능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유선 인터페이스(USB, IEEE1394 등)가 있는 프린터, 복사기, 팩스등 사무자동화 장비와 연동할 경우 사무자동화 장비의 이동성 담보 및 다수 사용자의 장비 공용을 가능하도록 한다. As a resul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ata service is possible even for a device without a data service interface, thereby facilitating the expansion of the data service network and the mobility according to the wireless data network. In addition, by enabling the wireless VOIP terminal 200 to be interoperable with other devices, it is possible to broadly extend the limits of its own functions. For example, when connected with devices such as desktop or notebook fish, various functions of PC can be used. In addition, when interlocked with office automation equipment such as printers, copiers, and fax machines with wired interfaces (USB, IEEE1394, etc.), it enables mobility security of office automation equipment and common use of equipment by multiple users.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모드 전환 방법 흐름도이다. 우선 초기 모드는 노말 모드로서 통상적인 무선 VOIP 단말로 동작한다(S1). 즉 통상적인 무선 음성 송수신이 이루어진다. 이때 본 발명에 의한 무선 VOIP 단말을 무선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무선 어댑터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모드를 변환하여야 한다. 즉 무선 VOIP 단말모드가 아닌 무선 어댑터 모드를 선택(S2)함으로써 무선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별도의 인터페이스가 없는 단말에서도 무선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해진다. 무선 어댑터 모드 선택시 제어부에서는 유선 인터페이스부가 동작하도록 제어함으로써 무선 VOIP 단말 기능이 동작하지 않도록 한다(S3). 이때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인터페이스가 없는 단말 또는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서는 유선 케이블등을 통하여 무선 VOIP 단말장치에 연결하여야 한다(S4). 상기 단말 또는 장치로부터 연결된 유선 케이블은 무선 VOIP 단말장치의 유선 인터페이스부에 연결되어 무선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한다(S5). 만일 다시 통상적인 무선 VOIP 기능을 사용하고 싶은 경우는 무선 VOIP 모드를 선택한다(S6). 이때 제어부는 유선 인터페이스부가 동작하지 않도록 하여 무선 VOIP 모드인 무선 VOIP 단말의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한다(S7). 이에따라 통상적인 무선 VOIP 송수신이 이루어진다.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ode switch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rst, the initial mode is a normal mode and operates as a normal wireless VOIP terminal (S1). That is, normal wireless voice transmission and reception are performed. At this time, in order to use the wireless VOIP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a wireless adapter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wireless data, the mode must be changed. That is, by selecting a wireless adapter mode other than the wireless VOIP terminal mode (S2), wireless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are possible even in a terminal without a separate interface for wireless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When the wireless adapter mode is selected, the controller controls the wired interface unit to operate so that the wireless VOIP terminal function does not operate (S3). In this case, in order to transmit data from a terminal or a device that does not have an interface for a data service, a wireless VOIP terminal device must be connected through a wired cable (S4). The wired cable connected from the terminal or the device is connected to the wired interface of the wireless VOIP terminal device to enable wireless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S5). If the user wants to use the normal wireless VOIP function again, the wireless VOIP mode is selected (S6).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does not operate the wired interface unit to perform the operation of the wireless VOIP terminal in the wireless VOIP mode (S7). As a result, conventional wireless VOIP transmission and reception is performed.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is is by way of example only and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it is obvious that any person skilled in the art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imit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서는 무선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인터페이스가 없는 장치나 단말의 경우에도 무선 VOIP 단말장치를 무선 송수신 어댑터로 전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데이터 서비스 인터페이스가 없는 장치와 연동한 데이터망의 확장을 용이하게 하고 이동성을 보장할 뿐 아니라 모드선택에 의한 다양한 서비스 구현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In the present invention, even in the case of a device or a terminal that does not have an interface for a wireless data service, the wireless VOIP terminal device can be switched to a wireless transmit / receive adapter, thereby facilitating the expansion of a data network linked with a device without a data service interface and providing mobility. In addition to guaranteeing, various services can be implemented by mode selection.

도 1은 무선 VOIP 단말장치 구성도1 is a block diagram of a wireless VOIP terminal device

도 2는 무선 데이터서비스 동작 구성도2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wireless data service opera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모드 전환 방법 흐름도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ode switch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 *********

100: RF(Radio Front End)부 101: 송신부100: RF (Radio Front End) section 101: transmitter

102: 수신부 103: MAC/베이스밴드(Baseband)처리부102: receiver 103: MAC / baseband processing unit

104: 제어부 105: 유선 인터페이스 부104: control unit 105: wired interface unit

106: 메모리부 107: 키 입력부106: memory unit 107: key input unit

108: 디스플레이부 200: 무선 VOIP 단말108: display unit 200: wireless VOIP terminal

201: 유선 케이블 202: 송신측 단말201: wired cable 202: transmitting terminal

203: 기지국 204: LAN203: base station 204: LAN

205: 수신측 단말205: receiving terminal

Claims (9)

무선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무선 VOIP 단말장치에 있어서,In the wireless VOIP terminal providing a wireless data service, 무선 송수신을 위해 변조 및 복조를 수행하는 RF 부;RF unit for performing modulation and demodulation for wireless transmission and reception; 상기 RF 부를 제어하고 무선 프로토콜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아날로그 데이타를 처리하는 MAC/베이스밴드 처리부;A MAC / baseband processor for processing analog data by controlling the RF unit and allowing a wireless protocol to be performed;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의하여 전원공급 여부가 결정되며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단말이나 장치와 연결되는 유선 인터페이스부;A wired interface unit connected to a terminal or a device for determining a power supply based on an input control signal and providing a data service; 무선 VoIP 단말 모드 선택시 상기 유선 인터페이스부로의 전원을 차단하고, 무선 어댑터 모드 선택시 상기 유선 인터페이스부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등의 신호를 상기 MAC/베이스밴드 처리부, 상기 유선 인터페이스부 등으로 출력하는 제어부;When the wireless VoIP terminal mode is selected, the power to the wired interface unit is cut off, and when the wireless adapter mode is selected, a signal such as controlling to supply power to the wired interface unit is outputted to the MAC / baseband processor, the wired interface unit, and the like. A control unit;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VOIP 단말장치.Wireless VOIP terminal device comprising a. 제 1항에 있어서, 제어부를 운용하기 위한 프로그램인 유저 인터페이스 프로그램 및 기타 데이터등을 저장하는 별도의 메모리부;The apparatus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separate memory unit for storing a user interface program and other data which are programs for operating the control unit;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VOIP 단말장치.Wireless VOIP terminal device further comprising. 삭제delete 삭제delete 무선 VOIP 단말장치를 이용한 데이터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In the data service method using a wireless VOIP terminal device, 사용자가 무선 어댑터 모드를 선택한 경우 유선 인터페이스부에 전원을 공급하여 구동하도록 제어하는 단계;If the user selects a wireless adapter mode, controlling to supply power to the wired interface unit and to drive the wired interface unit;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단말기 또는 장치와 무선 VOIP 단말장치를 연결하고 무선 VoIP 단말기를 통하여 무선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단계;Connecting a wireless VOIP terminal with a terminal or device for providing a data service and transmitting and receiving wireless data through the wireless VoIP terminal; 사용자가 무선 VOIP 모드를 선택하는 경우 유선 인터페이스부로의 전원을 차단하여 동작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단계;Controlling not to operate by cutting off power to the wired interface unit when the user selects the wireless VOIP mode;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서비스 방법.Data service method comprising a.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무선 송수신은 WLAN, 블루투스 등의 무선 네트워크 통신 방법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VoIP 단말장치.The wireless transmission and reception is a wireless VoIP termina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using a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method such as WLAN, Bluetooth.
KR10-2003-0000148A 2003-01-02 2003-01-02 The apparatus and method for data service using wireless VOIP terminal KR10050132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0148A KR100501325B1 (en) 2003-01-02 2003-01-02 The apparatus and method for data service using wireless VOIP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0148A KR100501325B1 (en) 2003-01-02 2003-01-02 The apparatus and method for data service using wireless VOIP termin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2339A KR20040062339A (en) 2004-07-07
KR100501325B1 true KR100501325B1 (en) 2005-07-18

Family

ID=373537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0148A KR100501325B1 (en) 2003-01-02 2003-01-02 The apparatus and method for data service using wireless VOIP termi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01325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658019B (en) 2007-04-13 2015-05-27 交互数字技术公司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grating a soft mobile voip client in a cellular PC car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2339A (en) 2004-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hepherd Bluetooth wireless technology in the home
US7782876B2 (en) Wireless voice data gateway
KR100703511B1 (en) Method for communication terminal's automatic entrance of mobile to home network using bluetooth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JP2000183977A5 (en)
US20050113943A1 (en) Wireless network controller communicating with household appliances
US20020061744A1 (en) Controlling wireless, low-power radio frequency network
US8316119B2 (en) Method for switching connections between an IP-only phone and a soft phone to a server
EP1290829B1 (en) Call handling device for connecting a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 to a communications network
US8095078B2 (en)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WO2004093348A1 (en) Radio communication system
EP2424308A1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mobile network shar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KR20080023465A (en) Wireless gateway in home network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WO2005083960A1 (en) Lan-to-lan voip system and related user interface
WO2010019182A1 (en) Cell phone having air card and/or wifi card
US20050159149A1 (en) Network mobile communication device
KR20020046772A (en) Bluetooth access point for the interface of the communication network
JP2004515933A (en) Call processing equipment
US20020049036A1 (en) Wireless phone/data jack using 49 mhz rf technology
US20060240817A1 (en) Multi-wireless connection device
KR20010060287A (en) Communication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KR20020042107A (en) Internet phone for voice communication and data transmission on wireless internet
KR100501325B1 (en) The apparatus and method for data service using wireless VOIP terminal
JP4974465B2 (en) Wireless terminal device
US8243698B2 (en) Device for converting UMTS signals to another signal standard
KR100565179B1 (en) Data interface device using telephone l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7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