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98360B1 - 이동 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표시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표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98360B1
KR100498360B1 KR10-2003-0048671A KR20030048671A KR100498360B1 KR 100498360 B1 KR100498360 B1 KR 100498360B1 KR 20030048671 A KR20030048671 A KR 20030048671A KR 100498360 B1 KR100498360 B1 KR 1004983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displayed
area
terminal
data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86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09386A (ko
Inventor
강병용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486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98360B1/ko
Priority to CNB2003101243996A priority patent/CN100379310C/zh
Publication of KR200500093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93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83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836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표시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데이터를 표시할 때 단말기 표시창의 소정 영역만을 활성화시켜 표시하고, 네비게이션 키에 의해 데이터 표시 영역을 이동하여 표시함으로써, 사적인 정보가 타인에게 공개되는 것을 방지하는데 적당하도록 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표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동 통신 단말기는 데이터를 표시할 때 그 데이터에 대한 내용이 단말기 표시창에 전부 표시되기 때문에 표시된 전체 내용을 자신의 의도와는 상관없이 주변의 사람들이 볼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한 본 발명은 사용자로부터 데이터 표시 제한 관련 기능(설정, 해제)을 입력받는 단계와, 상기 데이터 표시 제한 관련 기능이 적용되는 메뉴로 진입시 그 데이터 표시 제한 관련 기능이 설정되어있는지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 결과, 데이터 표시 제한 기능이 설정되어 있으면, 단말기 표시창에 표시되는 데이터 영역에서 기 설정된 소정 영역만을 활성화시키고, 그 활성화된 영역에 해당하는 데이터만을 표시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으로써, 사적인 정보가 타인에게 공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이동 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표시 방법{METHOD FOR DISPLAYING DATA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표시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데이터를 표시할 때 단말기 표시창의 소정 영역만을 활성화시켜 표시하고, 네비게이션 키에 의해 데이터 표시 영역을 이동하여 표시함으로써, 사적인 정보가 타인에게 공개되는 것을 방지하는데 적당하도록 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표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 통신 단말기에는 사용자에 의해 저장된 많은 정보들이 존재한다. 예를 들어, 전화번호, 송수신 메시지, 일정 등 많은 정보들이 저장되어 있고, 그 저장된 정보 중에는 타인에게 노출되면 안 되는 중요한 정보들이 있을 수도 있다.
종래 이동 통신 단말기에는 이러한 중요한 정보들을 보호하기 위한 기능으로 사생활 보호 기능이 있다. 이 사생활 보호 기능은 단말기에 저장된 데이터를 확인할 때 뿐만 아니라 기본 기능(예를 들어, 통화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사용자 비밀번호를 요구하는 기능으로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비밀번호가 단말기에 저장된 사용자 비밀번호와 일치할 때만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단말기에 저장된 중요한 메시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문자메시지 관련 메뉴를 선택하면, 사용자 비밀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창이 표시되고, 그 입력창에 입력한 비밀번호가 사용자 비밀번호와 일치할 때 문자메시지 관련 메뉴로 진입하게 된다. 그 문자메시지 관련 메뉴에 진입하여 사용자가 확인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선택하면, 그 선택된 메시지에 대한 모든 것, 즉, 메시지 내용, 발신자 전화번호, 수신시간 등의 정보들이 단말기 표시창에 표시되어 모든 것을 한눈에 볼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종래 이동 통신 단말기는 데이터를 표시할 때 그 데이터에 대한 내용이 단말기 표시창에 전부 표시되기 때문에 표시된 전체 내용을 자신의 의도와는 상관없이 주변의 사람들이 볼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한 본 발명은 기 설정된 소정의 메뉴에 진입하여 데이터 표시시 단말기 표시창의 소정 영역만을 활성화시켜 그 활성화된 영역에 해당하는 데이터만 표시하고, 네비게이션 키를 이용한 데이터 활성 영역의 이동을 통해 나머지 데이터 내용을 확인함으로써, 사적인 정보가 타인에게 공개되는 것을 방지하기에 적당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표시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사용자로부터 데이터 표시 제한 관련 기능(설정, 해제)을 입력받는 단계와, 상기 데이터 표시 제한 관련 기능이 적용되는 메뉴로 진입시 그 데이터 표시 제한 관련 기능이 설정되어있는지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 결과, 데이터 표시 제한 기능이 설정되어 있으면, 단말기 표시창에 표시되는 데이터 영역에서 기 설정된 소정 영역만을 활성화시키고, 그 활성화된 영역에 해당하는 데이터만을 표시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데이터 표시 제한 기능이 설정된 상태에서 데이터 표시 제한 관련 기능이 적용된 메뉴로 진입하면, 사용자 비밀번호를 입력받는 입력창을 표시하는 단계와,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비밀번호가 단말기에 기 저장된 사용자 비밀번호와 일치할 때만 상기 진입한 메뉴의 데이터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활성화 영역이 아닌 영역(비활성화 영역)은 단색 또는 기 설정된 그림으로 표시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활성화 영역은 네비게이션 키(방향키)를 입력받아 이동되고, 그 이동된 활성화 영역에 해당하는 데이터가 표시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활성화 영역은 기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이동되고, 그 이동된 활성화 영역에 해당하는 데이터가 표시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 이동 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표시 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 이동 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표시 방법에 대한 일 실시예 흐름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표시 영역 제한 관련 메뉴에 진입하여 해당 기능(설정, 해제)을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데이터 표시 영역 제한 기능이 적용되는 메뉴로 진입시 상기 데이터 표시 제한 기능이 설정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 결과, 데이터 표시 제한 기능이 설정되어 있으면, 단말기 표시창의 소정 영역만을 활성화시키고, 그 활성화된 영역에 해당하는 데이터만을 표시하는 단계와, 네비게이션 키를 이용하여 상기 활성화된 영역을 이동시키고, 그 이동된 활성화 영역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표시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판단 결과, 데이터 표시 제한 기능이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즉 해제되어 있으면, 모든 데이터를 단말기 표시창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단계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대한 동작을 도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가 중요한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메뉴에 표시 제한 기능을 설정하기 위해 도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표시 영역을 제한할 수 있는 관련 메뉴(예를 들어, 표시 제한 기능)로 진입하고, 기 기능을 선택(설정 또는 해제)한다. 여기서, 상기 표시 제한 기능에 관련된 메뉴는 사업자에 의해 기 구성되어야 하고, 이 기능에서 선택된 기능(설정 또는 해제)에 대한 데이터는 단말기에 구비된 메모리의 소정 영역에 저장된다.
상기 표시 영역 제한 기능을 선택한 후, 그 표시 제한 기능이 적용되는 메뉴, 예를 들어, 폰북 메뉴, 메시지 관련 메뉴, 메모 관련 메뉴, 전화번호부 등과 같이 사생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메뉴에 진입하면 표시 제한 관련 기능이 설정되어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때, 표시 제한 관련 기능 설정 여부는 메모리의 소정 영역에 저장된 데이터를 읽고, 그 데이터가 표시 제한 기능의 설정에 대한 데이터 값인지 아니면 해제에 대한 데이터 값인지 판단을 통해 이루어진다.
상기 판단 결과, 표시 제한 기능이 설정되어 있으면, 그 진입한 메뉴의 소정 영역만을 활성화시키고, 그 활성화된 영역에 해당하는 데이터만을 단말기 표시창에 표시한다. 예를 들어, 메시지 관련 메뉴가 표시 제한 기능이 적용되는 메뉴이고, 사용자가 메시지 수신함에 진입하여 소정의 메시지를 선택하면, 도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시지 내용이 표시되는 표시 영역의 소정 부분만이 활성화되어 그 활성화된 영역에 해당하는 메시지 내용만을 표시한다. 이때, 데이터가 최초로 표시되는 영역은 데이터 내용이 있는 첫번째 영역, 가운데 영역, 마지막 영역 등이 될 수 있고, 이렇게 데이터가 최초 표시되는 활성화 영역은 사업자에 의해 기 설정되거나 그 데이터 표시 제한 기능 설정시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내용이 표시되지 않는 비활성화 영역은 단색으로 처리하거나 사용자에게 시각적인 즐거움을 주기 위해서 다양한 그림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렇게 사업자 또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활성화 영역에 데이터가 표시되면, 그 표시된 활성화 영역의 데이터 이외의 비활성화 영역의 데이터를 확인하기 위해 네비게이션 키(방향키) 또는 사이드 키를 이용하여 활성화 영역을 이동시킨다.
네비게이션 키에 의해 활성화 영역이 이동되면, 도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이동된 활성화 영역에 해당하는 데이터가 표시되고, 그 이동된 활성화 영역 이외의 나머지 영역은 비활성화되어 데이터가 표시되지 않는다. 또한, 비활성화된 영역의 데이터를 확인하기 위한 또 다른 방법으로 기 설정된 소정 시간 단위로 활성화 영역이 자동 이동되어 데이터 내용을 표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활성화 영역 이동시간이 3초로 설정되고, 최초 표시된 영역이 도2b와 같다면, 그 영역이 표시된 후 3초가 경과하면 자동으로 도2c와 같이 활성화 영역이 이동되어 데이터를 표시한다.
반면, 상기 판단 결과, 표시 제한 기능이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단말기 표시창의 모든 표시 영역을 활성화시키고, 사용자에 의해 진입한 메뉴의 모든 데이터를 단말기 표시창에 표시한다. 즉, 도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 표시창의 모든 영역이 활성화되고, 선택된 메시지에 대한 모든 내용을 표시창에 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에 의해 데이터 표시 제한 기능이 설정될 때 타인에 의한 그 데이터 표시 제한 기능이 적용되는 메뉴로의 진입을 방지하기 위해 잠금기능을 설정할 수 있다. 즉, 데이터 표시 제한 기능이 설정되고, 사용자가 그 데이터 표시 제한 기능이 적용되는 메뉴(예를 들어, 메시지 관련 메뉴)에 진입할 때, 사용자 비밀번호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창이 표시되고, 그 입력창에 단말기에 기 저장된 사용자 비밀번호와 일치되는 비밀번호를 입력할 때만 진입이 가능하게 하여 타인에 의한 사생활에 관련된 메뉴로의 진입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데이터 표시 제한 기능이 적용되는 범위는 사업자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상기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기 설정된 소정의 메뉴에 진입하여 데이터 표시시 단말기 표시창의 소정 영역만을 활성화시켜 그 활성화된 영역에 해당하는 데이터만 표시하고, 네비게이션 키를 이용한 데이터 활성 영역의 이동을 통해 나머지 데이터 내용을 확인함으로써, 사적인 정보가 타인에게 공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 이동 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표시 방법에 대한 일 실시예 흐름을 도시한 순서도.
도2는 본 발명이 적용된 일 실시예도.

Claims (5)

  1. 사용자로부터 데이터 표시 제한 관련 기능(설정, 해제)을 입력받는 단계와;
    상기 데이터 표시 제한 관련 기능이 적용되는 메뉴로 진입시 그 데이터 표시 제한 관련 기능이 설정되어있는지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 결과, 데이터 표시 제한 기능이 설정되어 있으면, 단말기 표시창에 표시되는 데이터 영역에서 기 설정된 소정 영역만을 활성화시키고, 그 활성화된 영역에 해당하는 데이터만을 표시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표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표시 제한 기능이 설정된 상태에서 데이터 표시 제한 관련 기능이 적용된 메뉴로 진입하면, 사용자 비밀번호를 입력받는 입력창을 표시하는 단계와;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비밀번호가 단말기에 기 저장된 사용자 비밀번호와 일치할 때만 상기 진입한 메뉴의 데이터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표시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화 영역이 아닌 영역(비활성화 영역)은 단색 또는 기 설정된 그림으로 표시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표시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화 영역은 네비게이션 키(방향키)를 입력받아 이동되고, 그 이동된 활성화 영역에 해당하는 데이터가 표시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표시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화 영역은 기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이동되고, 그 이동된 활성화 영역에 해당하는 데이터가 표시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표시 방법.
KR10-2003-0048671A 2003-07-16 2003-07-16 이동 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표시 방법 KR1004983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8671A KR100498360B1 (ko) 2003-07-16 2003-07-16 이동 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표시 방법
CNB2003101243996A CN100379310C (zh) 2003-07-16 2003-12-30 移动通信终端的数据显示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8671A KR100498360B1 (ko) 2003-07-16 2003-07-16 이동 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표시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9386A KR20050009386A (ko) 2005-01-25
KR100498360B1 true KR100498360B1 (ko) 2005-07-01

Family

ID=345878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8671A KR100498360B1 (ko) 2003-07-16 2003-07-16 이동 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표시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498360B1 (ko)
CN (1) CN100379310C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1106B1 (ko) 2007-06-29 2014-07-18 삼성전자주식회사 단말기의 정보 노출방지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2934B1 (ko) * 2004-11-02 2008-10-13 후지쓰 텐 가부시키가이샤 표시 제어 장치 및 표시 장치
KR100706365B1 (ko) * 2005-07-19 2007-04-10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문자 메시지 디스플레이 방법 및 그 장치, 이를 구비한휴대 단말
KR100691244B1 (ko) * 2005-12-16 2007-03-12 삼성전자주식회사 문자 메시지의 선택적 표시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방법
KR100765953B1 (ko) 2006-10-23 2007-10-12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사생활 보호 기능을 제공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및 이를이용한 문자 메시지 표시 방법
KR101418286B1 (ko) * 2007-12-26 2014-07-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개인정보 보호방법
CN102291486A (zh) * 2011-06-01 2011-12-21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屏幕控制方法和终端
KR101332811B1 (ko) 2012-02-24 2013-11-27 주식회사 팬택 메시지 숨김 기능을 갖는 단말과 그 메시지 숨김 및 복원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22319B1 (en) * 1998-02-09 2003-02-18 Seiko Epson Corporation Electro-optical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liquid crystal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circuit for driving electro-optical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US6684087B1 (en) * 1999-05-07 2004-01-27 Openwave System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images on mobile devices
JP2002330200A (ja) * 2001-04-27 2002-11-1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携帯無線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1106B1 (ko) 2007-06-29 2014-07-18 삼성전자주식회사 단말기의 정보 노출방지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379310C (zh) 2008-04-02
CN1578509A (zh) 2005-02-09
KR20050009386A (ko) 2005-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7426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문자 메시지 표시 방법
US6574471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handling incoming calls received by a portable intelligent communications device during a meeting
ES2306993T3 (es) Sistema y metodo en interfaz grafica de usuario de comunicacion acelerada.
JP3039619B2 (ja) 無線選択呼出受信機及びそのメッセージ表示方法
US6314306B1 (en) Text message originator selected ringer
US20200021967A1 (en) Communicatio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US20100227587A1 (en) Portable terminal apparatus and use restricting method
KR100498360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표시 방법
KR20040100153A (ko) 분실한 이동 통신 단말기 제어 방법
KR100630199B1 (ko) 잠금기능을 해제하는 단말기 및 그에 따른 방법
JP3732960B2 (ja) 通信端末
KR100594466B1 (ko) 개인 사생활 보호 기능을 가지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KR101002560B1 (ko)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의 수신 문자메시지 표시 방법
KR100778363B1 (ko) 단문 서비스의 수신 메시지 표시 방법
KR20060112555A (ko) 휴대폰의 착신정보를 컴퓨터에 알리는 방법
KR0174618B1 (ko) 무선 호출기의 개선된 수신정보 확인회로 및 방법
KR100712907B1 (ko) 메시지 미리보기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동작방법
KR100610488B1 (ko) 착/발신 메시지 임의 삭제 방지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KR100751937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수신 메시지 아이콘 표시 방법
KR101245182B1 (ko) 입력 문자에 대한 보안 설정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 및방법
GB2397467A (en) Theft prevention of mobile apparatus through restricted access to the memory where only a limited number of numbers are stored
JP2005217960A (ja) 携帯電話機
KR100762631B1 (ko) 이동 통신 단말의 키 입력 정보 저장 방법
KR100765541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기념일 알림 방법
KR20070010252A (ko) 통화 및 메시지 기록의 노출방지기능을 갖는 전화기시스템및 그 전화기시스템의 노출방지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4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