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96813B1 - Method for producing 3-dimensional digital map of facilities using gps measurement - Google Patents

Method for producing 3-dimensional digital map of facilities using gps measureme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96813B1
KR100496813B1 KR1020050017136A KR20050017136A KR100496813B1 KR 100496813 B1 KR100496813 B1 KR 100496813B1 KR 1020050017136 A KR1020050017136 A KR 1020050017136A KR 20050017136 A KR20050017136 A KR 20050017136A KR 100496813 B1 KR100496813 B1 KR 1004968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ilding
facility
digital map
coordinate values
gp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713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배상태
Original Assignee
(주)신한항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신한항업 filed Critical (주)신한항업
Priority to KR10200500171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96813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68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6813B1/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3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by movement of cleaning members over a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1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leaning tool
    • B08B1/12Brushes

Landscapes

  • Position Fixing By Use Of Radio Waves (AREA)
  •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설 건물 및 시설물 정보를 수록한 수치지도 제작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GPS를 통해 수신된 기준점 좌표값의 수회 측정으로 표준보정함수를 얻고, GPS 수신기로부터 획득한 신설 건물 또는 시설물의 좌표값 및 주변정보를 상기 표준보정함수로 보정하여 입력하여 수치지도를 제작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oducing a digital map containing information on new buildings and facilities, and more specifically, to obtain a standard correction function by measuring a reference point coordinate value received through GPS, and to obtain a new building or facility acquired from a GPS receiver. It relates to a method of producing a digital map by correcting the input of the coordinate value and the surrounding information with the standard correction function.

본 발명에 따른 방법으로 건물 및 시설물의 좌표값 및 변동상황 뿐만 아니라 주변 정보를 다양하게 포함하여 활용 용도가 다양하고 정밀한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수치지도를 제작할 수 있다. Th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duce a digital map that provides various location information and precise location information by including not only coordinate values and fluctuations of buildings and facilities, but also surrounding information.

Description

GPS를 이용한 시설구조물의 3차원 수치지도 제작방법{Method for Producing 3-Dimensional Digital Map of Facilities using GPS Measurement}Method for Producing 3-Dimensional Digital Map of Facilities using GPS Measurement

발명의 분야Field of invention

본 발명은 신설 건물 및 시설물 정보를 수록한 수치지도 제작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GPS를 통해 수신된 기준점 좌표값의 수회 측정으로 표준보정함수를 얻고, GPS 수신기로부터 획득한 신설 건물 또는 시설물의 좌표값 및 주변정보를 상기 표준보정함수로 보정하여 입력하여 수치지도를 제작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oducing a digital map containing information on new buildings and facilities, and more specifically, to obtain a standard correction function by measuring a reference point coordinate value received through GPS, and to obtain a new building or facility acquired from a GPS receiver. It relates to a method of producing a digital map by correcting the input of the coordinate value and the surrounding information with the standard correction function.

발명의 배경Background of the Invention

GPS는 1970년대 미 국방성에서 처음 개발한 위성 항법 시스템으로서 인공위성에 기반을 둔 전파 항법 시스템(Radio Navigation System)으로 처음에는 군사용으로 개발되었지만 민간용으로 급속히 확산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SA가 해제된 이후에는 그 사용 정도가 더 증가했다. GPS에 의한 위치결정은 정확한 위치를 알고 있는 인공 위성에서 발사된 전파가 수신기까지 도달하는 소요시간을 관측함으로써 미지점의 위치를 구할 수 있다.GPS was first developed by the US Department of Defense in the 1970s, and is a satellite-based radio navigation system.It was originally developed for military use, but has been rapidly spread to civilian use. The degree increased further. Positioning by GPS can determine the location of unknown point by observing the time required for the radio wave from the satellite which knows the exact position to reach the receiver.

GPS는 위성체 연구, 좌표계와 전파의 발사 및 수신 시간, 위성궤도의 향상 및 수신기술 개발 등이 접목되어 다양한 응용분야로 급속히 확산되고 있다. 물론 GPS 이전의 항행 및 위치결정체계인 미해군의 도플러 방식에 의한 TRANSIT도 존재하였으나 그 활용범위나 정확도 면에서 GPS보다 떨어진다고할 수 있다.GPS is rapidly spreading to various applications by combining satellite research, coordinate system and launch and reception time of radio waves, improvement of satellite orbit and development of reception technology. Of course, the US Navy's Doppler method of TRANSIT, which was a navigation and positioning system before GPS, existed, but it can be said to be lower than GPS in terms of its use range and accuracy.

GPS는 민간이 이용할 수 있도록 개방한 서비스로 C/A(Coarse-Acquisition)코드를 사용하는 신호는 누구나 받을 수 있지만 미 국방성에서 고의적으로 신호의 정밀도를 저하시킨 상황이며, 또한 대기의 상태 등에 따라 오차가 발생한다.GPS is a service that is open for private use and anyone can receive signals using the Coarse-Acquisition (C / A) code. Occurs.

GPS 위치측정의 정확성을 떨어뜨리는 요소들은 크게 3부분으로 나눌 수 있는데, 첫째 구조적 요인으로 생기는 오차로는 인공위성 시간 오차, 인공위성 위치 오차, 전리층과 대류층의 굴절, 잡음(Noise), 다중 경로(Multipath)등이 있다The factors that reduce the accuracy of GPS positioning can be divided into three parts. First, the errors caused by structural factors include satellite time error, satellite position error, ionospheric and convective refraction, noise, and multipath. There is

GPS를 이용하여 측량하는 방법 중, 현지에서 측량가능한 GPS 시스템으로서 실시간 이동측위(RTK)-GPS 방법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방법은 기지점의 보정정보를 실시간으로 미지점에 보내주는 것으로, 일반 GPS 측량에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보정정보를 알려줌으로써 두 점간의 거리, 방위 고도차를 실시간으로 측량할 수 있는 측량할 수 있는 측량 방식이다. 주로 방재나 건설분야에서 실시간 처리가 가능한 측량분야와 GIS 데이터 등의 대량 관측의 측량 방법으로서 그 이용가치가 높다. 도 1에는 실시간 이동 측위의 개요가 도시되어 있다. Among the methods of surveying using GPS, a real-time mobile positioning (RTK) -GPS method is generally used as a locally surveyable GPS system. This method sends the correction information of the known point to the unknown point in real time.The surveyor can measure the distance and azimuth difference between two points in real time by informing the general GPS survey using the wireless communication. That's the way. Its use value is high as surveying method for mass observation such as surveying field and GIS data which can be processed in real time in disaster prevention and construction field. 1 shows an overview of real time mobile positioning.

실시간 이동측위 방식은 일반 GPS측량에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보정정보를 알려줌으로써 두 점간의 거리, 방위, 고도차를 실시간으로 측량할 수 있는 측량방식이다. GPS의 신호체계상 반송파에 의한 위치결정 방법이 코드에 의한 위치결정보다 정밀도면에서 많은 향상이 있지만, 반송파에 의한 단독측량 역시 후처리 상대측량 기법보다는 정밀도가 떨어지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The real-time mobile positioning method is a surveying method that can measure the distance, azimuth, and altitude difference between two points in real time by informing the general GPS survey by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In the GPS signal system, the positioning method by the carrier has much improvement in accuracy than the positioning by code. However, the independent survey by the carrier also has the disadvantage of being less accurate than the postprocessing relative survey method.

이러한 목적을 위해 개발된 것이 고정밀 이동측량 기법인 RTK로서, 기본개념은 정밀한 위치를 확보한 기준점의 반송파 오차 보정값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실시간으로 수cm의 정밀도를 유지하는 관측치를 얻을 수 있게 하는 것이다. RTK, a high-precision mobile surveying technique, was developed for this purpose. The basic concept is to allow the user to obtain observations with several centimeters of precision in real time using the carrier error correction value of the reference point with precise positioning. .

RTK의 기본개념은 오차보정을 위해 기준국에서 전송되는 데이터가 반송파 수신자료라는 것이고, RTK가 각 위성에 대한 반송파측정값을 지속적으로 제공하여야 하고, 정보의 전송장애로 발생할 수 있는 오차의 한계가 DGPS보다 상대적으로 크기 때문에 보다 안정적이고도 신속한 정보전달 통신 시스템이 요구된다. 현재 GPS를 응용하는 여러 분야에서 주로 사용되고 있으며, GSIS나 측량, 항법 등 모든 응용분야가 RTK기법의 사용에 초점을 맞추어 실용화되고 있다. The basic concept of RTK is that the data transmitted from the reference station is carrier received data for error correction. Due to its relatively larger size than DGPS, a more stable and faster information delivery communication system is required. Currently, it is mainly used in various fields of GPS application, and all applications such as GSIS, surveying, and navigation have been put into practical use by focusing on the use of RTK technique.

인간이 땅에 대한 정보를 얻는데 전통적인 수단으로 지도가 이용되어 왔으며 지도는 중요지형, 시설물 등 땅에 대한 정보가 기록되어져 각각 해당분야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자료원이었다. 그러나, 지도는 수시로 변하는 내용들을 수록하기 어려워 이용에 한계를 느끼게 되고 컴퓨터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 처리, 분석하는 효과적인 이용방안을 제시하게 되었으며, 방대하고 다양한 자료를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종합적 공간처리 기술인 GIS가 발달하기에 이르렀다. Maps have been used as a traditional means for humans to obtain information about the land, and the map is a data source that records information about the land, such as important topography and facilities, and provides the necessary information for each field. However, it is difficult to record the contents that change from time to time, which makes it difficult to use the map, and suggests an effective method of collecting, processing, and analyzing data using a computer, and is a comprehensive space that can efficiently process vast and diverse data. GIS, a processing technology, has developed.

이러한 GIS를 개발하기 위한 가장 기초적인 자료로서 지도가 있는데 이들 지도는 지형도, 지질도, 토양도, 지적도 및 지하 시설물인 상·하수도, 지하 전화 배선, 지하 가스관 등을 표시한 지도들을 포함한다. 상기 지도들은 대개 항공촬영, 측량 등을 통해 제작되며 지형의 선형만을 얻을 수 있을 뿐, 이들을 GIS에 사용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측량해석을 통해서 도로의 상태를 수치화 하는 작업이 선행되어야 하며, 이들의 측량해석은 주로 2차원에 대해서만 이루어지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러나 현재 레저나 군사적인 목적 혹은 환경과 관련하여 3차원 좌표값(x, y, z)을 포함하는 지형도가 필요한 실정이다. The most basic data for developing such GIS are maps, which include topographic maps, geological maps, soil maps, cadastral maps and underground facilities such as water and sewage, underground telephone wiring and underground gas pipelines. These maps are usually produced by aerial photography, surveying, etc., and can only obtain the linearity of the terrain. In order to use them in GIS, it is necessary to quantify the state of roads through separate survey analysis. Is usually done only for two dimensions. However, there is a need for a topographic map including three-dimensional coordinate values (x, y, z) in relation to the current leisure, military purpose or environment.

최근 다양한 정보가 반영된 수치지도가 개발되고 있으나, 단시간 내에 새로운 건물이나 시설물이 신축되고, 기존의 건물이나 시설물이 폐쇄되는 실정을 빠르게 반영하면서도 정확한 정보를 수록한 수치지도의 필요성이 제기되어 왔다.Recently, a digital map reflecting various information has been developed. However, a need for a digital map containing accurate information has been raised while quickly reflecting the fact that new buildings or facilities are newly constructed and existing buildings or facilities are closed within a short time.

이에 본 발명자들은 측정 대상구역 내 신설건물 및 시설물의 좌표값을 GPS 수신기로 측정하고, 이를 보정함수를 통하여 보다 정밀하게 오차를 보정하여 수치지도를 제작할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ors have completed the present invention by confirming that the coordinate values of new buildings and facilities in the measurement target area can be measured by a GPS receiver, and that a digital map can be produced by correcting errors more accurately through a correction function. .

결국, 본 발명의 목적은 GPS를 통해 수신된 신설 건물 및 시설물의 좌표값을 보다 정밀하게 보정하고, 이를 셀 별로 분류하여 주변정보와 함께 저장하여 쉽게 검색이 가능한 수치지도를 제공하는데 있다. As a result,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gital map that can be easily retrieved by correcting the coordinates of new buildings and facilities received through GPS more precisely, classifying them by cell, and storing them with surrounding informatio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i) 위치측정을 위한 GPS 수신기 및 읽고 쓰기가 가능한 수치지도 데이터베이스를 준비하는 단계; ii) 상기 GPS 수신기로부터 수치지도를 제작하고자 하는 대상구역 내 건물 또는 시설물의 꼭지점에 해당하는 지점 또는 건물의 둘레에서 선택한 임의의 지점을 대표점으로 선택하여 좌표값(Xi, Yi, Zi : i=1,2,......,r)을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는 단계; iii) 상기 좌표값이 기존의 건물 또는 시설물에 있는 경우에는 기존 수치지도의 데이터를 삭제한 후 측정좌표값을 입력하고, 상기 좌표값이 신설 건물 또는 시설물에 있는 경우에는 측정좌표값을 입력하며, 기존의 수치지도에 있으나 폐쇄된 건물 또는 시설물의 좌표값은 삭제함으로써 수치지도 데이터로 변환하여 기록하는 단계; iv) 건물 또는 시설물의 면적, 주변공사현황, 주변 시설물 현황 및 신축연도를 포함하는 주변정보를 각 건물 또는 시설물에 대응되도록 데이터베이스에 입력하는 단계; 및 v) 수치지도 제작 대상구역을 k개의 셀로 분할(C1,C2,C3, ..., Ck)하여 각 셀에 속하는 건물 또는 시설물의 좌표값, 높이 및 주변정보를 셀별로 분류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신설 건물 및 시설물 정보를 수록한 수치지도 제작방법에 있어서, 상기 건물 또는 시설물의 측정 좌표값 값(Xi, Yi, Zi )은 다음 단계를 거쳐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을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i) preparing a GPS receiver for position measurement and a digital map database capable of reading and writing; ii) Coordinate values (X i , Y i , Z i) by selecting a point corresponding to a vertex of a building or a facility in a target area where the digital map is to be produced from the GPS receiver or any point selected from the perimeter of the building as a representative point write i = 1, 2, ..., r) to the database; iii) if the coordinate value is in an existing building or facility, delete the data of the existing numerical map and input the measurement coordinate value; if the coordinate value is in a new building or facility, enter the measurement coordinate value, Converting and recording the coordinate values of a closed building or facility in the existing digital map by converting the digital map data into the digital map data; iv) inputting the surrounding information including the area of the building or facility, the surrounding construction status, the current status of the surrounding facilities, and the new year into a database corresponding to each building or facility; And v) dividing the target area for digital mapping into k cells (C 1 , C 2 , C 3 , ..., C k ) to classify the coordinate values, heights, and surrounding information of buildings or facilities belonging to each cell by cell. In the digital map manufacturing method containing the new building and facility information including the step of storing in a database, the measured coordinate value (X i , Y i , Z i ) of the building or facility is corrected through the following steps It provides a method characterized by:

a) 수치지도를 제작하고자 하는 대상구역 내 n차 기준점 위치의 좌표값( Xbn, Ybn, Zbn, 여기서 n=1,2,3,........,m)을 얻는 단계;a) obtaining coordinate values (Xb n , Ybn, Zb n , where n = 1,2,3, ........, m) of the nth reference point position in the target area for which the digital map is to be produced; ;

b) GPS를 기준점으로 이동시켜 좌표값(Xan, Yan, Zan)을 획득하는 단계;b) moving the GPS to a reference point to obtain coordinate values (Xa n , Ya n , Za n );

c) n차 기준점의 좌표값(Xbn, Ybn, Zbn)과 GPS로부터 얻은 좌표값(Xan, Yan, Zan)으로부터 n차 보정함수(Xen=Xan-Xbn, Yen=Yan-Ybn, Zen=Zan-Zbn)를 얻는 단계;c) n-th order correction function (Xe n = Xa n -Xb n , Ye) from coordinate values (Xb n , Yb n , Zb n ) of the nth reference point and coordinate values (Xa n , Ya n , Za n ) obtained from GPS n = Ya n -Yb n , Ze n = Za n -Zb n );

d) a) 내지 c) 단계를 m회 반복하는 단계;d) repeating steps a) through c) m times;

e) 상기 n차 보정함수의 표준 보정함수를 구하는 단계(표준보정함수: , , ) ; 및e) obtaining a standard correction function of the n th order correction function (standard correction function: , , ); And

f) 상기 측량지점의 좌표값을 단계 e)의 표준보정함수로 보정하여 보정좌표값(Xei, Yei, Zei)을 획득하는(여기서 Xei=Xi-Xe, Yei=Yi-Ye, Zei=Zi-Ze) 단계.f) obtaining a correction coordinate value (Xe i , Ye i , Ze i ) by correcting the coordinate value of the survey point by the standard correction function of step e), where Xe i = X i -Xe, Ye i = Y i -Ye, Ze i = Z i -Ze) step.

본 발명에 있어서, v) 단계에서 셀별로 분류한 건물 또는 시설물의 좌표값 및 주변정보를 높이별로 분류하여 높이구간별로 레벨을 설정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거나, 각 건물 또는 시설물의 면적에 따라 레벨을 설정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ordinate values and surrounding information of buildings or facilities classified by cell in step v) are classified by height to set the level for each height section and stored in the database, or the level is set according to the area of each building or facility. It can be characterized in that the storage in the database.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On the basis of the accompanying drawing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features as described above in detail as follows.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신설 건물 또는 시설물의 GPS 좌표값을 측정하여 수치지도를 제작하는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roducing a digital map by measuring GPS coordinates of a new building or fac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즉, 위치측정을 위한 GPS 수신기 및 읽고 쓰기가 가능한 데이터베이스를 준비하고, GPS 수신기로부터 수치지도를 제작하고자 하는 대상구역 내 건물의 좌표값(Xi, Yi, Zi : i=1,2,......,r)을 획득하여(S101) 이를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한다. 상기 좌표값은 그 오차를 보정하여 보정좌표값을 얻어 수치지도에 반영하는데, 본 발명에서는 후술하는 표준보정함수를 통하여 보정한다(S102).That is, a GPS receiver and a read / write database for position measurement are prepared, and coordinate values (X i , Y i , Z i : i = 1,2, r) is obtained (S101) and recorded in the database. The coordinate value is corrected to obtain the corrected coordinate value by reflecting the error, and reflected in the numerical map, in the present invention is corrected through a standard correction function described later (S102).

상기 좌표값을 측정한 건물 또는 시설물이 기존의 것이면 수치지도의 데이터를 삭제한 후 측정좌표값을 입력하고, 신설건물 또는 시설물이면 측정좌표값을 입력하고, 기존의 수치지도에서 없어진 건물 또는 시설물의 좌표값은 삭제함으로써 수치지도 데이터로 변환하여 기록한다(S103, S104).If the building or facility measuring the coordinate value is an existing one, delete the data of the numerical map and input the measurement coordinate value, and if the new building or facility is the same, enter the measurement coordinate value, and remove the building or facility that has disappeared from the existing numerical map. The coordinate values are deleted, converted into numerical map data, and recorded (S103, S104).

다음으로 건물 또는 시설물의 면적, 주변공사현황, 주변 시설물 현황, 신축연도를 포함하는 주변정보를 각 건물 또는 시설물에 대응되도록 데이터베이스에 입력하고, 수치지도 제작 대상구역을 k개의 셀로 분할(C1,C2,C3, ..., Ck)하여 각 셀에 속하는 건물 또는 시설물의 좌표값, 높이 및 주변정보를 셀별로 분류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S105).Next, input the surrounding information including the area of the building or facility, the surrounding construction status, the surrounding facility status, and the new year into the database so as to correspond to each building or facility, and divide the target area for digital mapping into k cells (C 1 , C 2 , C 3 , ..., C k ) to classify the coordinate value, height and surrounding information of the building or facility belonging to each cell by cell to store in the database (S105).

상기 측정 좌표값을 보다 정밀하게 기록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오차를 보정하여 보정좌표값을 입력함으로써 수치지도를 제작한다. In order to record the measured coordinate values more precisely, the present invention produces a digital map by correcting errors and inputting corrected coordinate values.

즉, GPS 측정좌표가 포함하는 오차의 원인은 크게 주변 환경요인에 의한 오차와 GPS 자체가 가지는 요인에 의한 오차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오차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요인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리층의 오차와 대류층의 굴절에 의한 오차 및 인공위성의 시간오차이다. 그러나 좁은 지역에서 단시간에 GPS를 사용하여 좌표를 얻는다면, 그 획득 좌표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요인은 시간과 공간이 제한되었다는 점으로 미루어 무시할 수 있다. That is, the cause of the error included in the GPS measurement coordinates can be largely divided into the error due to the environmental factors and the error caused by the GPS itself. Environmental factors affecting the error are the error of the ionosphere, the error due to the refraction of the convective layer, and the time error of the satellite, as described above. However, if GPS is used to obtain the coordinates in a short time in a small area, the environmental factors affecting the acquired coordinates can be ignored because of the limited time and space.

본 발명에서는 각 건물의 측정 좌표값 값(Xi, Yi, Zi )을 보정하기 위하여 표준보정함수를 얻고 이를 반영하여 보정좌표값을 획득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correct the measured coordinate values (X i , Y i , Z i ) of each building, a standard correction function is obtained and reflected to obtain a corrected coordinate value.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라 수치지도를 제작하는 데 있어서, 측정좌표값을 보정하기 위한 표준보정함수를 획득하는 흐름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서 실시간으로 GPS로 측정한 좌표값에 포함되는 오차를 보정하기 위하여 사용한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2 is a flowchart of obtaining a standard correction function for correcting a measured coordinate value in producing a numerical ma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2, the method used to correct an error included in a coordinate value measured by GPS in real time will be described below.

수치지도를 제작하고자 하는 대상구역 내 n차 기준점 위치의 좌표값(Xbn, Ybn, Zbn, 여기서 n=1,2,3,........,m)을 얻고, GPS를 기준점으로 이동시켜 좌표값(Xan, Yan, Zan)을 획득한 후, n차 기준점의 좌표값(Xbn, Ybn, Zbn)과 GPS로부터 얻은 좌표값(Xan, Yan, Zan)으로부터 n차 보정함수(Xen=Xan-Xbn, Yen=Yan-Ybn, Zen=Zan-Zbn)를 얻는다.Obtain the coordinate values (Xb n , Yb n , Zb n , where n = 1,2,3, ........, m) of the nth reference point location in the target area for which the digital map is to be produced, and GPS After obtaining the coordinate values (Xa n , Ya n , Za n ) by moving to the reference point, the coordinate values (Xb n , Yb n , Zb n ) of the nth reference point and the coordinate values (Xa n , Ya n obtained from GPS) to obtain a n-order correction function (Xe n = Xa n n -Xb, Ye n = n -Yb Ya n, n = Ze Za -Zb n n) from n Za).

상기 n차 보정함수를 얻는 단계를 m회 반복한다. The step of obtaining the n-th order correction function is repeated m times.

m회 반복한 n차 보정함수의 표준 보정함수(Xe,Ye,Ze)를 하기의 계산식을 이용하여 구한다: The standard correction function (Xe, Ye, Ze) of the nth-order correction function repeated m times is obtained using the following formula:

. .

각 건물의 측량 좌표값을 단계 상기 표준보정함수로 보정하여 보정좌표값(Xei, Yei, Zei)을 획득하고(여기서 Xei=Xi-Xe, Yei=Yi-Ye, Zei=Zi-Ze), 이를 저장하여 수치지도를 제작한다.The survey coordinate values of each building are corrected by the standard correction function in the above step to obtain correction coordinate values (Xe i , Ye i , Ze i ), where Xe i = X i -Xe, Ye i = Y i -Ye, Ze i = Z i -Ze), and save it to create a digital map.

건물의 좌표값은 각 건물을 대표할 수 있는 최소한 하나 이상의 좌표를 대표좌표로 선정하여 기록하는데, 각 건물의 꼭지점에 해당하는 지점이나 건물의 둘레에서 선택한 임의의 지점을 대표점으로 선택한다. The coordinate value of a building is selected and recorded as at least one coordinate that can represent each building, and a representative point is selected at a point corresponding to a vertex of each building or a random point selected from the perimeter of the building.

또한, 측정대상 구역을 k개의 셀로 나누어 셀별 건물 또는 시설물 위치, 높이, 면적 및 주변정보를 기록하는데, 셀별로 분류한 건물 좌표값 및 주변정보는 건물의 높이별로 분류하거나, 면적별로 분류하여 레벨을 설정함으로써 높이별 또는 면적별 건물 구획을 검색할 수 있는 수치지도를 제공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area to be measured is divided into k cells to record the location, height, area, and surrounding information of each cell or facility. The building coordinate values and surrounding information classified by cell are classified by the height of the building, or classified by area. By setting it up, it is necessary to provide a digital map that can search for building divisions by height or area.

도 3은 신설 건물의 좌표를 측정하여 기록함으로써 수치지도에 새로이 추가된 건물을 점선으로 표현하여 수치지도에 나타낸 것이다. 도 3에서 ①,②는 기존의 수치지도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건물을 점선으로 표시한 것이다. 이때 추가된 신설 건물은 도 3과 같이 점선으로 표시할 수도 있지만, 선의 굵기를 다르게 하거나 색을 다르게 하여 기존의 건물과 다른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Figure 3 shows the measured value of the coordinates of the new building by adding a dotted line to the newly added building in the numerical map. In FIG. 3, ① and ② indicate the buildings which are not stored in the existing numerical map by dotted lines. In this case, the added new building may be displayed as a dotted line as shown in FIG. 3, but may be displayed in a different form from the existing building by changing the thickness of the line or changing the color.

도 4는 신설된 횡단보도를 점선으로 표시하여 나타낸 수치지도를 도시한 것이다. ③은 기존의 수치지도에 도시되어 있지 않던 횡단보도를 점선으로 표시한 것이다. 신설된 시설물임은 그림과 같이 점선으로 표시하여 나타낼 수도 있지만, 지도상 선의 굵기를 다르게 하거나 색을 다르게 표시할 수 있고, 텍스트를 입력하여 신설 시설물임을 표기할 수도 있다. FIG. 4 is a numerical map showing a newly formed pedestrian crossing in dotted lines. ③ is a dotted line showing the crosswalk not shown in the existing numerical map. The newly established facility may be indicated by a dotted line as shown in the figure, but the thickness or line of the line may be displayed differently on the map, or the text may be indicated by entering text.

이상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치지도 제작방법은 GPS 수신기로부터 신설 건물 또는 시설물의 좌표값 및 측량 데이터를 획득하여 기준점의 좌표값으로부터 계산한 표준보정함수로 보정하고, 측정구역을 수개의 셀로 나누어 각 셀 구역의 건물 주변 정보를 수치지도의 좌표값에 대응되도록 저장함으로써, 보다 정확하고 다양한 건물 정보뿐 아니라 건물의 높이값으로 분류된 정보를 포함하는 수치지도를 제공한다.As described above in detail, the method for producing a digital ma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btains coordinate values and survey data of a new building or facility from a GPS receiver, corrects them with a standard correction function calculated from coordinate values of a reference point, and measures a measurement area. By dividing the cell into several cells and storing the surrounding area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oordinates of the digital map, a digital map including the information classified by the height of the building as well as more accurate and various building information is provided.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 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The specific par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and it is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such specific descriptions are merely preferred embodiments, and thus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something to do. Thus, the substanti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본 발명에 따른 방법으로 신설 건물 및 시설물의 위치좌표 뿐 아니라 주변 정보를 다양하게 포함하여 활용 용도가 다양하고 정밀한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수치지도를 제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수치지도상의 신설 건물 또는 시설물을 높이별로 구간을 설정하여 분류하거나, 면적별로 분류함으로써 높이별 또는 면적별로 검색할 수 있는 수치지도를 제작하도록 한다.  Th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duce a digital map that provides various location information and precise location information by including not only the location coordinates of new buildings and facilities but also various surrounding information.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new buildings or facilities on the digital map are classified by setting sections by height, or classified by area to produce a digital map that can be searched by height or area.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신설 건물 또는 시설물의 GPS 좌표값을 측정하여 수치지도를 제작하는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roducing a digital map by measuring GPS coordinates of a new building or fac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수치지도를 제작하는 데 있어서, 측정좌표값을 보정하기 위한 표준보정함수를 획득하는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2 is a flowchart of obtaining a standard correction function for correcting a measured coordinate value in producing a numerical ma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신설 건물의 좌표를 측정하여 기록함으로써 수치지도에 새로이 추가된 건물을 점선으로 표현하여 수치지도에 나타낸 것이다. Figure 3 shows the measured value of the coordinates of the new building by adding a dotted line to the newly added building in the numerical map.

도 4는 신설된 횡단보도를 점선으로 표시하여 나타낸 수치지도를 도시한 것이다. FIG. 4 is a numerical map showing a newly formed pedestrian crossing in dotted lines.

Claims (3)

i) 위치측정을 위한 GPS 수신기 및 읽고 쓰기가 가능한 수치지도 데이터베이스를 준비하는 단계; ii) 상기 GPS 수신기로부터 수치지도를 제작하고자 하는 대상구역 내 건물 또는 시설물의 꼭지점에 해당하는 지점 또는 건물의 둘레에서 선택한 임의의 지점을 대표점으로 선택하여 좌표값(Xi, Yi, Zi : i=1,2,......,r)을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는 단계; iii) 상기 좌표값이 기존의 건물 또는 시설물에 있는 경우에는 기존 수치지도의 데이터를 삭제한 후 측정좌표값을 입력하고, 상기 좌표값이 신설 건물 또는 시설물에 있는 경우에는 측정좌표값을 입력하며, 기존의 수치지도에 있으나 폐쇄된 건물 또는 시설물의 좌표값은 삭제함으로써 수치지도 데이터로 변환하여 기록하는 단계; iv) 건물 또는 시설물의 면적, 주변공사현황, 주변 시설물 현황 및 신축연도를 포함하는 주변정보를 각 건물 또는 시설물에 대응되도록 데이터베이스에 입력하는 단계; 및 v) 수치지도 제작 대상구역을 k개의 셀로 분할(C1,C2,C3, ..., Ck)하여 각 셀에 속하는 건물 또는 시설물의 좌표값, 높이 및 주변정보를 셀별로 분류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신설 건물 및 시설물 정보를 수록한 수치지도 제작방법에 있어서,i) preparing a GPS receiver for positioning and a digital map database capable of reading and writing; ii) Coordinate values (X i , Y i , Z i) by selecting a point corresponding to a vertex of a building or a facility in a target area where the digital map is to be produced from the GPS receiver or any point selected from the perimeter of the building as a representative point. write i = 1, 2, ..., r) to the database; iii) if the coordinate value is in an existing building or facility, delete the data of the existing numerical map and input the measurement coordinate value; if the coordinate value is in a new building or facility, enter the measurement coordinate value, Converting and recording the coordinate values of a closed building or facility in the existing digital map by converting the digital map data into the digital map data; iv) inputting the surrounding information including the area of the building or facility, the surrounding construction status, the current status of the surrounding facilities, and the new year into a database corresponding to each building or facility; And v) dividing the target area for digital mapping into k cells (C 1 , C 2 , C 3 , ..., C k ) to classify the coordinate values, heights, and surrounding information of buildings or facilities belonging to each cell by cell. In the digital map production method containing the new building and facility information comprising the step of storing in a database, 상기 건물 또는 시설물의 측정 좌표값(Xi, Yi, Zi)은 다음 단계를 거쳐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The measured coordinate values (X i , Y i , Z i ) of the building or facility are corrected by the following steps: a) 수치지도를 제작하고자 하는 대상구역 내 n차 기준점 위치의 좌표값( Xbn, Ybn, Zbn, 여기서 n=1,2,3,........,m)을 얻는 단계;a) obtaining coordinate values (Xb n , Ybn, Zb n , where n = 1,2,3, ........, m) of the nth reference point position in the target area for which the digital map is to be produced; ; b) GPS를 기준점으로 이동시켜 좌표값(Xan, Yan, Zan)을 획득하는 단계;b) moving the GPS to a reference point to obtain coordinate values (Xa n , Ya n , Za n ); c) n차 기준점의 좌표값(Xbn, Ybn, Zbn)과 GPS로부터 얻은 좌표값(Xan, Yan, Zan)으로부터 n차 보정함수(Xen=Xan-Xbn, Yen=Yan-Ybn, Zen=Zan-Zbn)를 얻는 단계;c) n-th order correction function (Xe n = Xa n -Xb n , Ye) from coordinate values (Xb n , Yb n , Zb n ) of the nth reference point and coordinate values (Xa n , Ya n , Za n ) obtained from GPS n = Ya n -Yb n , Ze n = Za n -Zb n ); d) a) 내지 c) 단계를 m회 반복하는 단계;d) repeating steps a) through c) m times; e) 상기 n차 보정함수의 표준 보정함수를 구하는 단계(표준보정함수: , , ) ; 및e) obtaining a standard correction function of the n th order correction function (standard correction function: , , ); And f) 상기 측량지점의 좌표값을 단계 e)의 표준보정함수로 보정하여 보정좌표값(Xei, Yei, Zei)을 획득하는(여기서 Xei=Xi-Xe, Yei=Yi-Ye, Zei=Zi-Ze) 단계.f) obtaining a correction coordinate value (Xe i , Ye i , Ze i ) by correcting the coordinate value of the survey point by the standard correction function of step e), where Xe i = X i -Xe, Ye i = Y i -Ye, Ze i = Z i -Ze) step. 제1항에 있어서, v) 단계에서 셀별로 분류한 건물 또는 시설물의 좌표값 및 주변정보를 높이별로 분류하여 높이구간별로 레벨을 설정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ordinate values and surrounding information of the building or facility classified by cell in step v) are classified by height, and the level is set for each height section and stored in the database. 제1항에 있어서, v) 단계에서 셀별로 분류한 좌표값 및 주변정보를 각 건물 또는 시설물의 면적에 따라 레벨을 설정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ordinate values and surrounding information classified by cells in step v) are set according to the area of each building or facility and stored in a database.
KR1020050017136A 2005-03-02 2005-03-02 Method for producing 3-dimensional digital map of facilities using gps measurement KR10049681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7136A KR100496813B1 (en) 2005-03-02 2005-03-02 Method for producing 3-dimensional digital map of facilities using gps measure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7136A KR100496813B1 (en) 2005-03-02 2005-03-02 Method for producing 3-dimensional digital map of facilities using gps measuremen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96813B1 true KR100496813B1 (en) 2005-06-22

Family

ID=373031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7136A KR100496813B1 (en) 2005-03-02 2005-03-02 Method for producing 3-dimensional digital map of facilities using gps measureme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96813B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Łabuz A review of field methods to survey coastal dunes—experience based on research from South Baltic coast
KR100496814B1 (en) Method for obtaining road coordinates information and producing digital map using gps measurement
Lee et al. The performance of RTK-GPS for surveying under challenging environmental conditions
Sun et al. Pursuing precise vehicle movement trajectory in urban residential area using multi-GNSS RTK tracking
Taylor et al. Modelling and prediction of GPS availability with digital photogrammetry and LiDAR
Tsakiri et al. The use of low-cost, single-frequency GNSS receivers in mapping surveys
DARDANELLI et al. GNSS CORS NETWORK OF THE UNIVERSITY OF PALERMO: DESIGN AND FIRST ANALYSIS OF DATA.
Shouny et al. Evaluating the performance of using PPK-GPS technique in producing topographic contour map
KR100510835B1 (en) Method for constituting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applied digital map using real time measuring systems
Henning User guidelines for single base real time GNSS positioning
Bae et al. Performance analysis of Network-RTK techniques for drone navigation considering ionospheric conditions
Schloderer et al. Application of GNSS-RTK derived topographical maps for rapid environmental monitoring: a case study of Jack Finnery Lake (Perth, Australia)
Cobb et al. Centimeter-Level Recording for All: Field Experimentation with New, Affordable Geolocation Technology
Lange et al. Using GPS for GIS data capture
KR100529511B1 (en) Method for producing digital map by road boundary measuring and constituting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using the same
CN115616637A (en) Urban complex environment navigation positioning method based on three-dimensional grid multipath modeling
KR100496813B1 (en) Method for producing 3-dimensional digital map of facilities using gps measurement
Gond et al. Accuracy assessment of relative GPS as a function of distance and duration for CORS network
Sholarin et al.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GNSS)
KR100496811B1 (en) Method for obtaining height information of buildings and producing digital map using gps measurement
Taylor et al. Surface modelling for GPS satellite visibility
Farah et al. Accuracy assessment of digital elevation models using GPS
Ashkenazi Models for controlling national and continental networks
KR100510834B1 (en) Method for producing digital map by applying facilities information of each survey day and constituting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using the same
Celms et al. Research of national geodetic network elevations at Eastern part of Latvi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3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