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93104B1 - 전화번호를 이용한 전자우편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과이를 위한 전화기 - Google Patents

전화번호를 이용한 전자우편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과이를 위한 전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93104B1
KR100493104B1 KR10-2001-0061064A KR20010061064A KR100493104B1 KR 100493104 B1 KR100493104 B1 KR 100493104B1 KR 20010061064 A KR20010061064 A KR 20010061064A KR 100493104 B1 KR100493104 B1 KR 1004931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l
telephone
email
telephone number
trunk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10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28327A (ko
Inventor
한성익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610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93104B1/ko
Publication of KR200300283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83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31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310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382Text-based messaging services in telephone networks such as PSTN/ISDN, e.g. User-to-User Signalling or Short Message Service for fixed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화번호만을 주소로 하여 전자우편이나 SMS(Short Message Service) 메시지를 국선을 통해 발신 및 수신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전화기는 국설 교환기의 국선에 연결되고, 모뎀과 표시장치를 구비하며, 전화번호만을 주소로 하는 전자우편을 국선을 통해 발신 및 수신한다. 그리고 전자우편 서버는 데이터 통신망을 통해 국설 교환기에 연결되고, 전화기 각각에 대응되는 전화번호들의 가입자 데이터베이스를 가지며, 전화기로 부터 전화번호만을 주소로 하는 전자우편을 수신하는 경우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전화기를 호출하여 수신한 전자우편을 발송한다. 또한 전자우편 서버는 전화번호를 주소로 하는 발신자가 전자우편이나 SMS 메시지를 발신하는 경우에 회신을 받을 수 있도록 발신자의 전화번호에 전자우편 서버의 계정을 자동적으로 추가하여 발송한다. 또한 전자우편 서버는 전자우편 서버의 계정없이 전화번호만을 전자우편의 주소로 발신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전화기는 전화번호를 주소로 하지 않는 수신자에게 전화번호를 주소로 하여 전자우편이나 SMS 메시지를 발송하고자 시도하는 경우에는 발신자에게 이를 경고한다.

Description

전화번호를 이용한 전자우편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전화기{SYSTEM AND METHOD FOR E-MAIL SERVICE USING TELEPHONE NUMBER AND TELEPHONE THEREFOR}
본 발명은 전자우편(E-mail) 서비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전자우편 서비스를 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전자우편은 전자우편 서버(server)의 가입자에게 할당된 주소를 사용하여 주고 받도록 되어 있다. 예를 들어 전자우편 서버의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이 'www.samsung.com'이고 그 전자우편 서버에 가입된 가입자의 ID가 'hongkildong'인 경우의 전자우편 주소는 'hongkildong@samsung.com'과 같이 전자우편 서버를 나타내는 계정 'samsung.com'과 그 전자우편 서버에 가입된 가입자의 ID를 나타내는 계정 'hongkildong'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전자우편 주소는 다양한 문자나 숫자 또는 기호의 조합뿐만아니라 이들이 복합된 조합으로 이루어지게 되므로, 복잡하여 기억하기 어렵고, 주소를 입력하는데 있어서도 불편하다.
한편 전화번호를 전자우편의 주소로 이용하는 기술들이 제안되었다. 이러한 기술의 예를 들면, 1999년 8월 11일자로 등록된 국내 특허등록번호 10-0228551호 "전화번호를 이용한 메일서비스 제공방법", 2000년 1월 15일자로 공개된 국내 실용공개번호 실2000-0000724호 "전화번호를 메일주소로 갖는 메일 시스템", 2001년 6월 5일자로 공개된 국내 특허공개번호 특2001-0044237호 "전화번호를 메일주소로 지정 및 메일주소를 자동전화연결방법", 2001년 6월 15일자로 공개된 국내 특허공개번호 특2001-0048851호 "휴대전화번호를 이용한 전자메일 서비스 방법 및 그시스템" 등이 있다. 이들에 따르면 사람들에게 친숙한 전화번호를 전자우편 주소로 이용함으로써 전자우편 주소를 별도로 기억할 필요가 없으며 관리가 용이하고 간편하게 이용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기술들은 유선 전화기, 즉 전화 국선에 연결되어 사용되는 전화기가 아니라, PC(Personal Computer)나 휴대용 전화기를 사용하여 전자우편을 발신 및 수신할 수 밖에 없다. 한편 1999년 4월 26일자로 공개된 국내 실용공개번호 실1999-013996호 '전자메일 기능을 부가한 전화기'는 전화기에 디스플레이부와 모뎀(MODEM)을 구비하여 전자메일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에 따르면 비록 전화 국선에 연결되는 유선 전화기를 이용하여 전자우편을 사용할 수 있게 되나, 상기한 바와 같이 전화번호를 주소로 하는 전자우편을 발신 및 수신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상기한 기술들은 SMS(Short Message Service) 메시지에 대하여는 적용되고 있지 않다.
또한 전화번호만을 주소로 하는 것이 아니라 전화번호와 전자우편 서버의 계정이 포함된 주소로 하는 것이다. 또한 수신자로 부터 회신을 받기 위해 발신자가 자신의 전자우편의 계정을 수신자에게 알려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발신자의 전자우편 계정을 별도로 입력을 하여 전달해야만 한다. 그리고 전화번호를 주소로 하는 전자우편 서비스를 하기 위한 전자우편 서버의 계정없이 전화번호만을 전자우편의 주소로 발신하는 경우에는 해당 전자우편 서버에 수신되지 않으므로 수신자에게 전자우편이 발송되지 않게 된다.
만일 수신측이 상기한 특허공개번호 특2001-0044237호와 달리 휴대전화기가 아니거나 상기한 특허공개번호 특2001-0048851호와 달리 전화번호를 전자우편 주소로 하는 전자우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전자우편 서버에 가입되어 있지 않거나 상기한 특허등록번호 10-0228551호와 달리 통신처리 서비스망을 통하지 않는 경우에는 전화번호를 주소로 하여 전자우편을 발송하여도 수신자가 받을 수가 없게 된다. 그러므로 이와 같은 수신자에게 발신자가 전화번호를 주소로 하여 전자우편을 발송하고자 시도하는 경우에는 발신자에게 이를 경고하여 발신자가 수신자의 전자우편 주소를 정확히 확인하고 그에 따라 전자우편을 발송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화번호만을 주소로 하여 전자우편이나 SMS 메시지를 국선을 통해 발신 및 수신할 수 있는 전화번호를 이용한 전자우편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전화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화번호를 주소로 하여 전자우편이나 SMS 메시지를 발신하는 경우에 회신을 받을 수 있도록 발신자의 전화번호에 전자우편 서버의 계정을 자동적으로 추가하여 수신자에게 발송할 수 있는 전화번호를 이용한 전자우편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전화번호를 주소로 하는 전자우편 서비스를 하기 위한 전자우편 서버의 계정없이 전화번호만을 전자우편의 주소로 하는 발신자가 발신하는 경우에도 수신자에게 전자우편이나 SMS 메시지가 발송되도록 할 수 있는 전화번호를 이용한 전자우편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전화번호를 주소로 하지 않는 수신자에게 전화번호를 주소로 하여 전자우편이나 SMS 메시지를 발송하고자 시도하는 경우에는 발신자에게 이를 경고할 수 있는 전화번호를 이용한 전자우편 서비스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전화기는 국설 교환기의 국선에 연결되고, 모뎀과 표시장치를 구비하며, 전화번호만을 주소로 하는 전자우편을 국선을 통해 발신 및 수신한다. 그리고 전자우편 서버는 데이터 통신망을 통해 국설 교환기에 연결되고, 전화기 각각에 대응되는 전화번호들의 가입자 데이터베이스를 가지며, 전화기로 부터 전화번호만을 주소로 하는 전자우편을 수신하는 경우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전화기를 호출하여 수신한 전자우편을 발송한다. 또한 전자우편 서버는 전화번호를 주소로 하는 발신자가 전자우편이나 SMS 메시지를 발신하는 경우에 회신을 받을 수 있도록 발신자의 전화번호에 전자우편 서버의 계정을 자동적으로 추가하여 발송한다. 또한 전자우편 서버는 전자우편 서버의 계정없이 전화번호만을 전자우편의 주소로 발신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전화기는 전화번호를 주소로 하지 않는 수신자에게 전화번호를 주소로 하여 전자우편이나 SMS 메시지를 발송하고자 시도하는 경우에는 발신자에게 이를 경고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화번호를 이용한 전자우편 서비스 시스템의 블록구성도를 보인 도 1을 참조하면, 정보 전화기(100)들이 국설 교환기(102)의 국선에 연결되고, 전자우편 서버(106)가 데이터 통신망(104)을 통해 국설 교환기(102)에 연결됨과 아울러 인터넷(108)과 이동 통신망(112)에 연동되게 연결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정보 전화기(100)는 후술하는 도 2와 같이 전화번호를 주소로 하는 전자우편 또는 SMS 메시지를 국선을 통해 발신 및 수신하는 전화기로서, 전화번호를 주소로 하는 전자우편 또는 SMS 메시지를 국선을 통해 발신 및 수신한다. 또한 인터넷(Internet)(108)에는 PC와 같은 인터넷 서비스 단말(110)이 연결되며, 이동 통신망(112)에는 이동통신 단말기(114)가 무선 링크로 연결된다. 전자우편 서버(106)는 정보 전화기(100) 각각에 대응되는 전화번호들의 가입자 데이터베이스를 가지며, 인터넷(108) 또는 이동 통신망(112) 또는 정보 전화기(100)로 부터 전화번호만을 주소로 하는 전자우편 또는 SMS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정보 전화기(100)들 중에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정보 전화기(100)를 호출하여 수신한 전자우편 또는 SMS 메시지를 발송한다. 이와 같이 전자우편과 SMS 메시지를 모두 수신하여 수신자에게 발송하기 위해 전자우편 서버(106)는 전자우편 용과 SMS 메시지 용의 2가지 URL을 갖는다. 상기 가입자 데이터베이스는 전자우편 서버(106)가 전자우편 주소 필드에 전화번호만 있는 전자우편 또는 SMS 메시지를 수신했을 때, 전화번호에 해당하는 정보 전화기(100) 가입자를 검색하는데 사용된다. 또한 전자우편 서버(106)는 정보 전화기(100)로 부터 인터넷(108) 또는 이동 통신망(112)을 통해 전달되어야 할 전자우편 또는 SMS 메시지를 수신하여 인터넷(108) 또는 이동 통신망(112)으로 발송한다. 이동통신 단말기(114)의 SMS 서비스와 연동은 통상적인 이동통신사업자들의 서버 사이에 메시지를 주고 받는 방법을 전자우편 서버(106)와 연동하여 서비스하면, 통상적인 무선 SMS를 사용하는 방법과 동일하게 가입자 전화번호만으로 SMS 메시지를 주고 받을 수 있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정보 전화기(100)의 블록구성도를 보인 것으로, 도 1의 국설 교환기(102)의 국선에 연결되는 국선 접속부(214)에 SMS 처리부(216)와 오디오 DAA(Discrete Analog Access)(218)가 연결되고 모뎀 DAA(212)를 통해 모뎀(210)이 연결된다. 모뎀(210)은 CPU(Central Processing Unit)(200)에 연결되어 CPU(200)의 제어에 의해 국선을 통한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국선 접속부(214)는 통상적인 전화기와 마찬가지로 국선에 연결하기 위한 모듈러 잭(modular jack)과 극성 정렬을 위한 브릿지 다이오드(bridge diode) 회로를 가진다. 모뎀 DAA(212)은 모뎀(210)과 국선 접속부(214) 사이에 연결되어 모뎀(210)과 국선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모뎀 인터페이스이다. SMS 처리부(216)는 CPU(200)와 국선 접속부(214)에 연결되며 국선을 통한 SMS 메시지 통신을 수행한다. 이러한 SMS 처리부(216)는 예를 들어 국내 Telechips사의 SMS 칩(chip)인 TCC120이 사용된다. 오디오 DAA(218)는 국선 접속부(214)와 SMS 처리부(216)와 음성 입출력장치인 스피커(220) 및 마이크(222)에 연결되고 국선을 통한 전화 통화에 따른 음성신호 송수신 처리를 하는 오디오 인터페이스이다. 표시장치(204)는 CPU(204)의 제어에 의해 전자우편 및 SMS 메시지 통신과 전화 통화를 위한 각종 정보를 표시한다. 키 입력장치인 키보드(keyboard)(206) 및 키 패드(keypad)(208) 중에 키보드(206)는 문자 입력을 위한 키를 구비하는 문자 입력장치로서 사용자의 키 조작에 따른 키 입력을 CPU(200)에 제공하고, 키 패드(208)는 전화 통화를 위한 숫자키 등을 구비하여 사용자의 키 조작에 따른 키 입력을 CPU(200)에 제공한다. 이러한 키 입력장치는 사용자가 전자우편과 SMS 메시지 중에 어느 하나를 발신하기 위한 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키를 포함한다. CPU(200)는 도 2에 보인 정보 전화기(100)의 제어부로서, 메모리(202)와 모뎀(210)과 SMS 처리부(216)와 표시장치(204)와 키보드(206) 및 키 패드(208)에 연결되고, 키보드(206) 및 키 패드(208)를 통한 키 입력과 국선으로 부터의 착신에 따라 전자우편 및 SMS 메시지 통신과 전화 통화를 제어하고 그에 따른 각종 정보를 표시장치(204)를 통해 표시한다. 이러한 CPU(200)에 연결된 메모리(202)는 CPU(20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저장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도 1의 전자우편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정보 전화기(100) 간의 전자우편 또는 SMS 메시지 발송은 전화번호만을 입력한다. 만일 정보 전화기(100)를 가지고 있는 사용자가 발신자로서 전자우편 또는 SMS 메시지를 발송하고자 자신의 전화번호를 전자우편의 수신 주소로 입력하여 전자우편을 발송하면, 국설 교환기(102)는 전화선과 데이터망을 통하여 전자우편 서버(106)로 연결한다. 그러면 전자우편 서버(106)는 정보 전화기(100)에서 전자우편 주소로 발신한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가입자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정보 전화기(100)를 호출한다. 그리고 SMS 메시지이거나 정해진 크기보다 크지 않은 전자우편의 메시지일 경우 바로 착신자 정보 전화기(100)로 내용을 발송하고, 정해진 크기보다 큰 메시지는 메시지에 대한 간략정보, 예를 들어 제목, 발신자, 발신 일시, 수신 일시, 메시지 크기 등과 같은 항목들 중에 필요에 따라 정해진 항목을 포함한 간략정보만을 발송한다. 이때 SMS 메시지를 전달하는 경우에는 SMS 프로토콜을 사용하게 되고, 전자우편을 전달하는 경우에는 모뎀 프로토콜을 사용한다. 이와 같이 발송된 간략정보는 정보 전화기(100)의 CPU(200)에 의해 메모리(202)에 저장되고 표시장치(204)를 통해 표시되게 된다.
또한 정보 전화기(100)에서 발신한 전자우편 또는 SMS 메시지가 전화번호를 주소로 하지 않는 경우, 즉 인터넷(108)을 통하여 전달되어야 할 실제 전자우편 주소를 입력한 경우는 기존의 전자우편을 발송하는 방법과 동일하게 처리한다. 이때 회신 등을 받기 위해서는 발신자 계정이 상대편의 수신자에게 전달되어야 하는데 이 정보를 전달하는 방법은 다음의 두 가지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첫번째는 개인 식별을 위한 전화번호를 포함한 전자우편 서버(106)의 계정을 정보 전화기(100)내의 메모리(202)에 미리 저장하여 정보 전화기(100)가 발송하도록 하는 방법이다. 두번째는 전자우편 서버(106)에서 그 가입자의 전자우편 서버(106)의 계정을 자동적으로 추가하여 전자우편을 발송하도록 하는 방법이다.
그리고 PC나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와 같이 통상적인 전자우편 발신장치에서 정보 전화기(100)를 가지고 있는 가입자에게 전자우편 또는 SMS 메시지를 보내고자 한다면, 정보 전화기(100)의 전화번호를 포함한 전화기 전자우편 계정, 예를 들어 '02858xxxx@telnoeserv.com'로 송신하면, 해당 전자우편 서버(106)로 송신된다. 이를 수신한 전자우편 서버(106)는 계정에 포함된 전화번호가 등록된 정보 전화기(100)의 가입자인지 확인하기 위하여 가입자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고, 등록된 가입자라면 정보 전화기(100)를 호출하여 전달한다. 이때 상기한 바와 같이 SMS 메시지이거나 정해진 크기보다 크지 않은 메시지의 전자우편일 경우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정보 전화기(100)로 직접 내용을 송신하고, 정해진 크기보다 큰 메시지의 전자우편에 대하여는 상기한 바와 같은 간략정보만을 발신한다.
한편 전자우편 또는 SMS 메시지 발신자가 수신자의 전화번호만 알고 있고 수신자가 가입한 전자우편 서버를 알지 못한다면, 그냥 전화번호만 입력하고 발송할 수도 있다. 전자우편 서버(106)는 이와 같이 전화번호 뒤의 필드가 공백인 경우, 예를 들어 '0289xxx@xxx.com'가 정상적인 전자우편 주소이나, '0289xxx'만 주소로 썼을 경우에도 이 공백을 전자우편 주소로 인식하고, 가입자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등록된 전화번호라면 그 전화번호에 해당하는 가입자의 정보 전화기(100)에게 전화번호를 이용한 전자우편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제 상기한 바와 같은 전자우편 서버(106)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처리 흐름도를 (300)∼(318)단계로 보인 도 3을 참조하면, 전자우편 서버(106)는 (300)단계에서 정보 전화기(100) 또는 인터넷(108) 또는 이동 통신망(112)로 부터 전자우편 또는 SMS 메시지를 수신하면 (302)단계를 수행한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전자우편 발신자가 수신자의 전화번호만 입력하고 발송함에 따라 전화번호 뒤의 필드가 공백인 경우에도 전자우편 또는 SMS 메시지를 수신한다. 이에 따라 인터넷(108) 또는 이동 통신망(112)을 통해 정보 전화기(100)로 전자우편 또는 SMS 메시지를 발송하고자 하는 경우에, 전자우편 서버(106)의 계정없이 전화번호만을 전자우편의 주소로 발신할 수도 있게 된다.
상기 (302)단계에서는 전화번호만을 주소로 하는 전자우편 또는 SMS 메시지인가를 확인하여, 통상적인 전자우편 주소인 경우에는 (304)단계를 수행하고 전화번호만을 주소로 하는 경우에는 (306)단계를 수행한다. 이때 정보 전화기(100)에서 인터넷(108) 또는 이동 통신망(112)으로 발송하는 전자우편 또는 SMS 메시지인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통상적인 전자우편 주소를 가지게 되므로, 상기 (304)단계에서는 수신한 전자우편 또는 SMS 메시지를 통상적인 경우와 마찬가지로 인터넷(108) 또는 이동 통신망(112)으로 발송한다.
이와 달리 인터넷(108) 또는 이동 통신망(112)으로 부터 정보 전화기(100)로 발송하는 경우나 하나의 정보 전화기(100)에서 다른 정보 전화기(100)로 발송하는 전자우편 또는 SMS 메시지인 경우에는 전화번호만을 주소로 갖게 되거나 전화번호와 전자우편 서버(106)의 계정을 주소로 가지게 되므로, 상기 (306)단계에서는 가입자 데이터베이스에서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정보 전화기(100)를 검색하고, (308)단계에서 가입자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전화번호 여부를 확인하여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310)단계에서 에러 처리하고, 등록된 경우에는 (312)단계에서 전자우편 또는 SMS 메시지에 따라 (314)단계 또는 (318)단계를 수행한다.
상기한 (314)단계에서는 전자우편의 메시지 크기가 정해진 크기보다 큰가를 확인하여, 큰 경우에는 (316)단계를 수행하고, 크지 않은 경우에는 (318)단계를 수행한다. 상기한 (316)단계에서는 상기 (306)단계에서 검색된 정보 전화기(100)를 국설 교환기(102)를 통해 호출하여 전자우편에 대한 간략정보만을 발송하고, 상기한 (318)단계에서는 상기 (306)단계에서 검색된 정보 전화기(100)를 국설 교환기(102)를 통해 호출하여 전자우편 또는 SMS 메시지를 발송한다. 이에 따라 메시지 크기가 정해진 크기보다 큰 전자우편인 경우에는 메시지 내용을 정보 전화기(100)의 메모리(202)에 저장하지 않게 되므로 메모리(202) 용량을 크게 하지 않아도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전자우편 서버(106)를 통해 전자우편 또는 SMS를 발신 및 수신하는 정보 전화기(100)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CPU(200)의 처리 흐름도를 (400)∼(412)단계로 보인 도 4를 참조하면, CPU(200)는 (400)단계에서 정보 전화기(100)의 사용자가 전자우편 또는 SMS 메시지 발신을 시도하는 것에 응답하여 (402)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402)단계에서는 수신자를 지정하는 주소가 전화번호만을 주소로 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만일 전화번호만을 주소로 하는 경우, 즉 다른 정보 전화기(100)로 발송할 전자우편 또는 SMS 메시지인 경우에는 (404)단계를 수행한다. 이와 달리 통상적인 전자우편 주소인 경우, 즉 인터넷(108) 또는 이동 통신망(112)을 통해 전달되어야 할 전자우편 또는 SMS 메시지인 경우에는 (412)단계를 수행한다.
상기한 (404)단계에서는 국설 교환기(102)를 통해 전자우편 서버(106)에 접속하고 주소로 한 전화번호가 가입자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정보 전화기(100) 가입자의 전화번호인가를 검색한다. 만일 등록된 전화번호가 아닌 경우에는 (408)단계에서 표시장치(204)를 통해 경고 메시지를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알린다. 이에따라 전화번호를 주소로 하지 않는 수신자에게 전화번호를 주소로 하여 전자우편이나 SMS 메시지를 발송하고자 시도하는 경우에는 발신자에게 이를 알림으로써, 발신자가 수신자의 전자우편 주소를 다시 정확히 확인하고 그에 따라 전자우편을 발송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이와 달리 등록된 전화번호인 경우에는 (410)단계에서 모뎀(210) 또는 SMS 처리부(216)를 국선에 연결하고 전자우편 또는 SMS 메시지를 국설 교환기(102)를 통해 전자우편 서버(106)로 발신한다.
그리고 상기한 (412)단계에서는 인터넷(106) 또는 이동 통신망(112)을 통해 전달되어야 할 전자우편 또는 SMS 메시지를 발신하는 경우이므로, 메모리(202)에 저장된 전자우편 서버(106)의 계정을 추가하여 발송한다.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회신 등을 받기 위해 발신자 계정을 상대편의 수신자에게 전달하는 두가지 방법중에 개인 식별을 위한 전화번호를 포함한 전자우편 서버(106)의 계정을 정보 전화기(100)내의 메모리(202)에 미리 저장시켜 놓고 정보 전화기(100)가 발송하도록 하는 경우의 예이다. 이에 따라 전화번호를 주소로 하는 발신자가 전자우편이나 SMS 메시지를 발신하는 경우에도 전자우편 서버(106)의 계정을 자동적으로 추가하여 발송하므로 별도의 전자우편 서버(106)의 계정을 입력할 필요없이 회신을 받을 수 있게 된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정보 전화기(100), 인터넷 (108), 이동 통신망(112) 모두에 대하여 상호 간에 전자우편 또는 SMS 메시지를 발신 및 수신하는 예를 들었으나,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도 있다. 또한 전화번호만을 주소로 하는 경우나 통상적인 전자우편 주소에 대하여 모두 적용되는 예를 들었으나, 이 역시 선택적으로 응용될 수 있고, 전자우편이나 SMS 메시지 중에 어느 한가지에 대하여만 적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도 2에 보인 전화기에서 인터넷(108)에 접속할 수 있도록 브라우저(browser)를 탑재할 수도 있고, 마그네틱 카드 리더(reader) 또는 IC(Integrated Circuit) 카드 리더를 장착하여 전자 상거래를 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도 있다. 따라서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하여 정하여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전화번호만을 주소로 하여 전자우편뿐만 아니라 SMS 메시지를 국선을 통해 발신 및 수신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또한 전화번호를 주소로 하는 발신자가 전자우편이나 SMS 메시지를 발신하는 경우에도 전자우편 서버의 계정을 자동적으로 추가하여 발송하므로 별도의 전자우편 서버의 계정을 입력할 필요없이 회신을 받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전자우편 서버의 계정없이 전화번호만을 전자우편의 주소로 발신할 수도 있게 된다. 그리고 전화번호를 주소로 하지 않는 수신자에게 전화번호를 주소로 하여 전자우편이나 SMS 메시지를 발송하고자 시도하는 경우에는 이를 경고하여, 발신자가 수신자의 전자우편 주소를 다시 정확히 확인하고 그에 따라 전자우편을 발송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화번호를 이용한 전자우편 서비스 시스템의 블록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화기의 블록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우편 서버의 처리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화기의 처리 흐름도.

Claims (20)

  1. 전화번호를 이용한 전자우편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국설 교환기의 국선에 연결되고, 모뎀과 표시장치를 구비하며, 전화번호만을 주소로 하는 전자우편을 상기 국선을 통해 발신 및 수신하는 전화기와,
    데이터 통신망을 통해 상기 국설 교환기에 연결되고, 상기 전화기 각각에 대응되는 전화번호들의 가입자 데이터베이스를 가지며, 상기 전화기로 부터 상기 전화번호만을 주소로 하는 전자우편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전화기를 호출하여 상기 수신한 전자우편을 발송하는 전자우편 서버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번호를 이용한 전자우편 서비스 시스템.
  2. 전화번호를 이용한 전자우편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국설 교환기의 국선에 연결되고, 모뎀과 SMS(Short Message Service) 처리부와 표시장치를 구비하며, 전화번호만을 주소로 하는 전자우편 또는 SMS 메시지를 상기 국선을 통해 발신 및 수신하는 전화기와,
    데이터 통신망을 통해 상기 국설 교환기에 연결되고, 상기 전화기 각각에 대응되는 전화번호들의 가입자 데이터베이스를 가지며, 상기 전화기로 부터 상기 전화번호만을 주소로 하는 전자우편 또는 SMS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전화기를 호출하여 상기 수신한 전자우편 또는 SMS 메시지를 발송하는 전자우편 서버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번호를 이용한 전자우편 서비스 시스템.
  3. 전화번호를 이용한 전자우편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국설 교환기의 국선에 연결되고, 모뎀과 표시장치를 구비하며, 전화번호만을 주소로 하는 전자우편을 상기 국선을 통해 발신 및 수신하는 전화기와,
    인터넷에 연결되며 데이터 통신망을 통해 상기 국설 교환기에 연결되고, 상기 전화기 각각에 대응되는 전화번호들의 가입자 데이터베이스를 가지며, 상기 인터넷 또는 전화기로 부터 전화번호만을 주소로 하는 전자우편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전화기를 호출하여 상기 수신한 전자우편을 발송하며, 상기 전화기로 부터 상기 인터넷을 통해 전달되어야 할 전자우편을 수신하여 상기 인터넷으로 발송하는 전자우편 서버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번호를 이용한 전자우편 서비스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화기가, 상기 전화기 가입자의 식별을 위한 전화번호를 포함한 상기 전자우편 서버의 계정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구비하여, 상기 인터넷을 통해 전달되어야 할 전자우편을 발신하는 경우에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전자우편 서버의 계정을 추가하여 발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번호를 이용한 전자우편 서비스 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우편 서버가, 상기 전화기로 부터 상기 인터넷을 통해 전달되어야 할 전자우편을 수신하는 경우에 상기 전화기 가입자의 상기 전자우편 서버의 계정을 추가하여 상기 수신한 전자우편을 발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번호를 이용한 전자우편 서비스 시스템.
  6. 전화번호를 이용한 전자우편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국설 교환기의 국선에 연결되고, 모뎀과 표시장치를 구비하며, 전화번호를 주소로 하는 전자우편을 상기 국선을 통해 발신 및 수신하는 전화기와,
    인터넷에 연결되며 데이터 통신망을 통해 상기 국설 교환기에 연결되고, 상기 전화기 각각에 대응되는 전화번호들의 가입자 데이터베이스를 가지며, 상기 인터넷 또는 전화기로 부터 전화번호만을 주소로 하는 전자우편을 수신하거나 상기 인터넷으로 부터 상기 전화번호와 자신의 계정을 포함한 주소의 전자우편을 수신하여 상기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전화기를 호출하여 상기 수신한 전자우편을 발송하며, 상기 전화기로 부터 상기 인터넷을 통해 전달되어야 할 전자우편을 수신하여 상기 인터넷으로 발송하는 전자우편 서버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번호를 이용한 전자우편 서비스 시스템.
  7. 전화번호를 이용한 전자우편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국설 교환기의 국선에 연결되고, 모뎀과 SMS(Short Message Service) 처리부와 표시장치를 구비하며, 전화번호를 주소로 하는 전자우편 또는 SMS 메시지를 상기 국선을 통해 발신 및 수신하는 전화기와,
    인터넷과 이동 통신망에 연동되게 연결되며 데이터 통신망을 통해 상기 국설 교환기에 연결되고, 상기 전화기 각각에 대응되는 전화번호들의 가입자 데이터베이스를 가지며, 상기 인터넷 또는 이동 통신망 또는 전화기로 부터 전화번호만을 주소로 하는 전자우편 또는 SMS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전화기를 호출하여 상기 수신한 전자우편 또는 SMS 메시지를 발송하며, 상기 전화기로 부터 상기 인터넷 또는 이동 통신망을 통해 전달되어야 할 전자우편 또는 SMS 메시지를 수신하여 상기 인터넷 또는 이동 통신망으로 발송하는 전자우편 서버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번호를 이용한 전자우편 서비스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화기가, 상기 전화기 가입자의 식별을 위한 전화번호를 포함한 상기 전자우편 서버의 계정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구비하여, 상기 인터넷 또는 이동 통신망을 통해 전달되어야 할 전자우편 또는 SMS 메시지를 발신하는 경우에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전자우편 서버의 계정을 추가하여 발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번호를 이용한 전자우편 서비스 시스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우편 서버가, 상기 전화기로 부터 상기 인터넷 또는 이동 통신망을 통해 전달되어야 할 전자우편 또는 SMS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에 상기 전화기 가입자의 상기 전자우편 서버의 계정을 추가하여 상기 수신한 전자우편을 발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번호를 이용한 전자우편 서비스 시스템.
  10. 국설 교환기의 국선에 연결되고 모뎀과 표시장치를 구비하는 전화기와, 데이터 통신망을 통해 상기 국설 교환기에 연결되고 상기 전화기 각각에 대응되는 전화번호들의 가입자 데이터베이스를 가지는 전자우편 서버를 구비하는 전자우편 서비스 시스템의 전자우편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화기가 전화번호만을 주소로 하는 전자우편을 상기 국선을 통해 발신하는 과정과,
    상기 전자우편 서버가 상기 전화기로 부터 상기 전화번호만을 주소로 하는 전자우편을 수신하면 상기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전화기를 호출하여 상기 수신한 전자우편을 발송하는 과정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번호를 이용한 전자우편 서비스방법.
  11. 국설 교환기의 국선에 연결되고 모뎀과 SMS(Short Message Service) 처리부와 표시장치를 구비하는 전화기와, 데이터 통신망을 통해 상기 국설 교환기에 연결되고 상기 전화기 각각에 대응되는 전화번호들의 가입자 데이터베이스를 가지는 전자우편 서버를 구비하는 전자우편 서비스 시스템의 전자우편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화기가 전화번호만을 주소로 하는 전자우편 또는 SMS 메시지를 상기 국선을 통해 발신하는 과정과,
    상기 전자우편 서버가 상기 전화기로 부터 상기 전화번호만을 주소로 하는 전자우편 또는 SMS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전화기를 호출하여 상기 수신한 전자우편 또는 SMS 메시지를 발송하는 과정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번호를 이용한 전자우편 서비스방법.
  12. 국설 교환기의 국선에 연결되고 모뎀과 SMS(Short Message Service) 처리부와 표시장치를 구비하는 전화기와, 인터넷과 이동 통신망에 연동되게 연결되며 데이터 통신망을 통해 상기 국설 교환기에 연결되고 상기 전화기 각각에 대응되는 전화번호들의 가입자 데이터베이스를 가지는 전자우편 서버를 구비하는 전자우편 서비스 시스템의 전자우편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화기가 전화번호만을 주소로 하는 전자우편 또는 SMS 메시지를 상기 국선을 통해 발신하는 과정과,
    상기 전자우편 서버가 상기 인터넷 또는 상기 이동 통신망 또는 전화기로 부터 상기 전화번호만을 주소로 하는 전자우편 또는 SMS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전화기를 호출하여 상기 수신한 전자우편 또는 SMS 메시지를 발송하는 과정과,
    상기 전자우편 서버가 상기 전화기로부터 상기 인터넷 또는 이동 통신망을 통해 전달되어야 할 전자우편 또는 SMS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인터넷 또는 이동 통신망으로 발송하는 과정과,
    상기 전화기가 상기 전자우편 서버로 부터 상기 전자우편 또는 SMS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번호를 이용한 전자우편 서비스방법.
  13. 국설 교환기의 국선에 연결되고 모뎀과 SMS(Short Message Service) 처리부와 표시장치를 구비하는 전화기와, 인터넷과 이동 통신망에 연동되게 연결되며 데이터 통신망을 통해 상기 국설 교환기에 연결되고 상기 전화기 각각에 대응되는 전화번호들의 가입자 데이터베이스를 가지는 전자우편 서버를 구비하는 전자우편 서비스 시스템의 전자우편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화기가 전화번호망을 주소로 하는 전자우편 또는 SMS 메시지를 상기 국선을 통해 발신하는 과정과,
    상기 전자우편 서버가 상기 인터넷 또는 상기 이동 통신망 또는 전화기로 부터 상기 전화번호만을 주소로 하는 전자우편 또는 SMS 메시지를 수신하거나 상기 인터넷 또는 상기 이동 통신망으로 부터 상기 전화번호와 자신의 계정을 포함한 주소의 전자우편 또는 SMS 메시지를 수신하여 상기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전화기를 호출하여 상기 수신한 전자우편 또는 SMS 메시지를 발송하는 과정과,
    상기 전자우편 서버가 상기 전화기로부터 상기 인터넷 또는 이동 통신망을 통해 전달되어야 할 전자우편 또는 SMS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인터넷 또는 이동 통신망으로 발송하는 과정과,
    상기 전화기가 상기 전자우편 서버로 부터 상기 전자우편 또는 SMS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번호를 이용한 전자우편 서비스방법.
  14. 국설 교환기의 국선에 연결되고 모뎀과 표시장치를 구비하며 전화번호를 주소로 하는 전자우편을 상기 국선을 통해 발신 및 수신하는 전화기와, 데이터 통신망을 통해 상기 국설 교환기에 연결되고 상기 전화기 각각에 대응되는 전화번호들의 가입자 데이터베이스를 가지는 전자우편 서버를 구비하는 전화번호를 이용한 전자우편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전화기가 상기 전화번호만을 주소로 하는 전자우편을 발신하여야 할 경우에 상기 전화번호가 상기 전자우편 서버의 상기 가입자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가입자인가를 검색하는 과정과,
    상기 가입자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가입자인 경우에는 상기 전자우편을 상기 전자우편 서버로 발신하고, 상기 가입자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되지 않은 가입자인 경우에는 상기 전자우편을 발신하지 않고 경고 메시지를 표시하는 과정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번호를 이용한 전자우편 서비스 방법.
  15. 국설 교환기의 국선에 연결되고 모뎀과 SMS(Short Message Service) 처리부와 표시장치를 구비하며 전화번호를 주소로 하는 전자우편을 상기 국선을 통해 발신 및 수신하는 전화기와, 데이터 통신망을 통해 상기 국설 교환기에 연결되고 상기 전화기 각각에 대응되는 전화번호들의 가입자 데이터베이스를 가지는 전자우편 서버를 구비하는 전화번호를 이용한 전자우편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전화기가 상기 전화번호를 주소로 하는 전자우편 또는 SMS 메시지를 발신하여야 할 경우에 상기 전화번호가 상기 전자우편 서버의 상기 가입자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가입자인가를 검색하는 과정과,
    상기 가입자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가입자인 경우에는 상기 전자우편 또는 SMS 메시지를 상기 전자우편 서버로 발신하고, 상기 가입자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되지 않은 가입자인 경우에는 상기 전자우편 또는 SMS 메시지를 발신하지 않고 경고 메시지를 표시하는 과정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번호를 이용한 전자우편 서비스 방법.
  16. 국설 교환기의 국선에 연결되고 모뎀과 표시장치를 구비하며 전화번호를 주소로 하는 전자우편을 상기 국선을 통해 발신 및 수신하는 전화기와, 데이터 통신망을 통해 상기 국설 교환기에 연결되고 상기 전화기 각각에 대응되는 전화번호들의 가입자 데이터베이스를 가지는 전자우편 서버를 구비하는 전화번호를 이용한 전자우편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전자우편 서버가 상기 전화기로 발송할 전자우편의 메시지 크기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정해진 크기보다 크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전자우편을 상기 전화기로 그대로 발송하고, 상기 정해진 크기보다 큰 경우에는 상기 전자우편에 대한 간략 정보만을 상기 전화기로 발송하는 과정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번호를 이용한 전자우편 서비스 방법.
  17. 데이터 통신망을 통해 국설 교환기에 연결되고 전화번호를 이용한 전자우편 서비스를 위한 전화번호들의 가입자 데이터베이스를 가지는 전자우편 서버를 통한 전자우편 서비스를 위한 전화기에 있어서,
    국설 교환기의 국선에 연결되는 국선 접속부와,
    상기 국선을 통한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모뎀과,
    상기 모뎀과 상기 국선 접속부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모뎀과 상기 국선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모뎀 인터페이스와,
    상기 국선 접속부에 연결되며 상기 국선을 통한 SMS(Short Message Service) 메시지 통신을 수행하는 SMS 처리부와,
    상기 국선 접속부와 상기 SMS 처리부와 음성 입출력장치에 연결되고 상기 국선을 통한 전화 통화에 따른 음성신호 송수신 처리를 하는 오디오 인터페이스와,
    표시장치와,
    키 입력장치와,
    상기 모뎀과 SMS 처리부와 표시장치와 키 입력장치에 연결되고, 상기 키 입력장치의 키 입력과 상기 국선으로 부터의 착신에 따라 전자우편 및 SMS 메시지 통신과 전화 통화를 제어하고 그에 따른 각종 정보를 상기 표시장치를 통해 표시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키 입력장치가,
    문자 입력을 위한 키를 구비하는 문자 입력장치와,
    상기 전화 통화를 위한 숫자키를 구비하는 키패드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기.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키 입력장치가, 사용자가 상기 전자우편과 상기 SMS 메시지 중에 어느 하나를 발신하기 위한 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키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기.
  20. 제17항 내지 제19항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각종 정보는 상기 전자우편의 제목, 발신자, 발신 일시, 수신 일시, 메시지 크기 중에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기.
KR10-2001-0061064A 2001-09-29 2001-09-29 전화번호를 이용한 전자우편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과이를 위한 전화기 KR1004931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1064A KR100493104B1 (ko) 2001-09-29 2001-09-29 전화번호를 이용한 전자우편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과이를 위한 전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1064A KR100493104B1 (ko) 2001-09-29 2001-09-29 전화번호를 이용한 전자우편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과이를 위한 전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8327A KR20030028327A (ko) 2003-04-08
KR100493104B1 true KR100493104B1 (ko) 2005-06-02

Family

ID=295631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1064A KR100493104B1 (ko) 2001-09-29 2001-09-29 전화번호를 이용한 전자우편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과이를 위한 전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9310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0298B1 (ko) * 2001-10-13 2005-04-07 삼성전자주식회사 무 전원 전화 통화시 통화 안정화 전화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030063596A (ko) * 2002-01-23 2003-07-31 안용현 전화번호를 이용한 전자우편 송/수신 장치 및 방법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88422A (ja) * 1997-09-09 1999-03-30 Ricoh Co Ltd メールシステム
KR19990013996U (ko) * 1997-09-30 1999-04-26 구자홍 전자메일 기능을 부가한 전화기
KR200176473Y1 (ko) * 1999-10-16 2000-04-15 김병헌 전화번호를 e-메일 id로 발급하는 e-메일 시스템
KR20000049905A (ko) * 2000-05-04 2000-08-05 서민철 자동 이메일
JP2000253046A (ja) * 1999-03-04 2000-09-14 Alliance Plus One Kk ユーザー名に電話番号を用いる電子メールアドレス付与方式
KR20000064035A (ko) * 2000-08-17 2000-11-06 이두표 전화번호를 이용한 전자우편 접속시스템
KR20010035063A (ko) * 2000-12-12 2001-05-07 장충엽 전화번호를 이용한 전자메일 송수신 시스템 및 그 이용방법
KR20010044237A (ko) * 2001-01-19 2001-06-05 권혁대 전화번호를 메일주소로 지정 및 메일주소를 자동전화연결방법
KR20010048851A (ko) * 1999-11-30 2001-06-15 이주호 휴대전화번호를 이용한 전자메일 서비스 방법 및 그시스템
KR20020078266A (ko) * 2001-04-09 2002-10-18 고영만 기존 씨아이디단말기에 확장성을 부가한 확장형 씨아이디단말기 및 확장형 씨아디 단말기를 이용한 서비스 방법
KR20030013184A (ko) * 2001-08-07 2003-02-14 주식회사 사이버다인 전화번호를 이용한 이메일/팩스메일 서비스 제공방법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88422A (ja) * 1997-09-09 1999-03-30 Ricoh Co Ltd メールシステム
KR19990013996U (ko) * 1997-09-30 1999-04-26 구자홍 전자메일 기능을 부가한 전화기
JP2000253046A (ja) * 1999-03-04 2000-09-14 Alliance Plus One Kk ユーザー名に電話番号を用いる電子メールアドレス付与方式
KR200176473Y1 (ko) * 1999-10-16 2000-04-15 김병헌 전화번호를 e-메일 id로 발급하는 e-메일 시스템
KR20010048851A (ko) * 1999-11-30 2001-06-15 이주호 휴대전화번호를 이용한 전자메일 서비스 방법 및 그시스템
KR20000049905A (ko) * 2000-05-04 2000-08-05 서민철 자동 이메일
KR20000064035A (ko) * 2000-08-17 2000-11-06 이두표 전화번호를 이용한 전자우편 접속시스템
KR20010035063A (ko) * 2000-12-12 2001-05-07 장충엽 전화번호를 이용한 전자메일 송수신 시스템 및 그 이용방법
KR20010044237A (ko) * 2001-01-19 2001-06-05 권혁대 전화번호를 메일주소로 지정 및 메일주소를 자동전화연결방법
KR20020078266A (ko) * 2001-04-09 2002-10-18 고영만 기존 씨아이디단말기에 확장성을 부가한 확장형 씨아이디단말기 및 확장형 씨아디 단말기를 이용한 서비스 방법
KR20030013184A (ko) * 2001-08-07 2003-02-14 주식회사 사이버다인 전화번호를 이용한 이메일/팩스메일 서비스 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8327A (ko) 2003-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462945C (zh) 一种指示接收到电子消息的通信设备和方法以及一种用于提供计算机化图标订购服务的服务器、方法和计算机程序产品
US20050020289A1 (en) Method for blocking spam messages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N1606325B (zh) 基于web的事件通知的方法和系统
US20060046720A1 (en) Mobile communications terminal, system and method therefore
EP1216561A2 (en) Launching application from embedded indicator in short message service message
KR20050012813A (ko) 콘텍스트 관련 정보에 따라 이동 홈페이지를 생성하기위한 방법 및 장치
US7974612B2 (en) Transmission of database records betwe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US857106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ssigning a virtual address to and text-messaging to multiple text-capable destination entities
JP2001217861A (ja) いたずらメール防止システム及びメールセンタ装置
KR20010079195A (ko) 불완전 호에 대한 발신자 번호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
WO2000076231A1 (en) A method for implementing a chatline or a noticeboard service in a mobile telephone network
KR100493104B1 (ko) 전화번호를 이용한 전자우편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과이를 위한 전화기
JP4383637B2 (ja) 携帯電話機向けの音声/テキスト変換サービス装置
KR20000050036A (ko) 이메일을 sms 메시지와 음성으로 제공하는 시스템 및방법
US7009990B1 (en) Methods and systems for a telephone e-mail interface
JP3426204B2 (ja) 携帯電話機
KR100434647B1 (ko) 네트워크 상에서의 연락처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JP2003186804A (ja) 転送メール機能を有する電子メールシステム及びその転送メール方法
KR100717944B1 (ko) 유선전화에서 문자 메시지 정보 전송 방법
JP2000307724A (ja) ボタン電話装置、それを用いた電子メールシステム及びそのメール着信通知、転送方法
KR20030028326A (ko) 전자우편 기능을 구비하는 전화기의 착신 처리방법
JP2770796B2 (ja) 電子メールシステム
KR100393627B1 (ko) 통신 단말기에서의 이메일 전송 방법
KR101130672B1 (ko) 가상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웹 페이지에 연동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20006267A (ko) 번호를 이용한 네트웍 접속 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