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91999B1 - Menu- selectting apparatus using sub display module of mobile phone - Google Patents

Menu- selectting apparatus using sub display module of mobile pho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91999B1
KR100491999B1 KR10-2002-0088433A KR20020088433A KR100491999B1 KR 100491999 B1 KR100491999 B1 KR 100491999B1 KR 20020088433 A KR20020088433 A KR 20020088433A KR 100491999 B1 KR100491999 B1 KR 1004919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nu
display module
auxiliary display
communication terminal
mobil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8843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40062111A (en
Inventor
정진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to KR10-2002-00884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91999B1/en
Publication of KR200400621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211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19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1999B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더 타입 단말기의 서브 디스플레이 모듈 하부에 발광 다이오드와 수광 다이오드를 구비한 포토 리플렉터를 설치하고, 디스플레이 모듈에 원하는 만큼의 키버튼을 죠그셔틀방식으로 구현하여, 폴더를 열지 않고도 각종 메뉴를 선택하고 엔터키 입력을 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보조 디스플레이 모듈을 이용한 메뉴선택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nstalls a photo reflector including a light emitting diode and a light receiving diode under a sub display module of a folder type terminal, and implements as many key buttons as desired by a jog shuttle method to select various menus without opening a folde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nu selection apparatus using an auxiliary display modul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entering an enter key.

본 발명은, 듀얼(dual) 폴더타입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적용되는 메뉴선택장치에 있어서, 폴더 외면에 구비된 보조 디스플레이 모듈 일측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일측에 반사판이 구비된 메뉴지정수단; 상기 메뉴지정수단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반사판에 빛을 조사하여 투과여부에 따라 선택메뉴신호를 송출하는 감지수단; 상기 메뉴지정수단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감지수단의 감지동작에 의해 선택된 메뉴를 입력시키기 위해 구동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푸쉬버튼; 및 상기 푸쉬버튼의 구동에 따라 상기 감지수단에서 감지된 신호를 입력받아 선택메뉴를 인식하여 상기 보조 디스플레이 모듈에 메뉴를 팝업(pop up)시키도록 제어하는 키입력제어수단을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보조 디스플레이 모듈을 이용한 메뉴선택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nu selection apparatus applied to a dual folder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ing: menu designation means installed on one side of an auxiliary display module provided on an outer surface of a folder so as to be rotatable and provided with a reflecting plate on one side; Detection means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of the menu designation means and radiating light to the reflecting plate to transmit a selection menu signal according to whether or not the light is transmitted; At least one push button installed below the menu designation means and configured to drive a menu selected by the sensing operation of the sensing means; And a key input control means for receiving a signal sensed by the sensing means in response to driving of the push button to recognize a selection menu and to pop up a menu on the auxiliary display module. Provided is a menu selection device using an auxiliary display module.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의 보조 디스플레이 모듈을 이용한 메뉴선택장치{Menu- selectting apparatus using sub display module of mobile phone} Menu-selecting apparatus using sub display module of mobile phone}

본 발명은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뉴 선택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폴더를 개방하지 않은 상태에서 원하는 메뉴와 엔터키를 조작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보조 디스플레이 모듈을 이용한 메뉴선택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nu selection device of a folder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nu selection device using an auxiliary display modul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operating a desired menu and enter key without opening a folder. It is about.

근래에 들어와서, 휴대용 단말기는 소비자의 욕구에 맞추어 초소형화, 다기능화 추세로 발전되어 가고 있으며, 특히 카메라가 장착된다든지, 각종 기능성 악세사리를 단말기에 부가하여 편리성을 증대시키고 있다. 특히, 본 발명에 관련된 분야인 키패드 또는 네비게이션 키패드에 있어서도 편리성을 추구하기 위한 많은 연구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In recent years, portable terminals have been developed in a trend of miniaturization and multifunctionalization in accordance with the needs of consumers, and in particular, cameras and various functional accessories are added to the terminals to increase convenience. In particular, even in the keypad or navigation keypad which is a field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a lot of research and development for the convenience has been conducted.

일반적으로, 키패드는 휴대폰과 같은 통신단말기 등에 제공되어 신호 발생 및 여러 가지 기능설정을 하기 위한 스위치 장치로서 사용되는 것으로서, 이러한 키패드는 숫자 또는 문자 등이 인쇄된 키를 갖고 있으며, 이 키는 단말기의 프론트 하우징에 작동 가능한 상태로 조립된다.In general, the keypad is provided as a communication terminal such as a mobile phone is used as a switch device for signal generation and various function settings, such a keypad has a key printed with numbers or letters, this key of the terminal Assembled in an operable state in the front housing.

키패드의 구조에 대하여 도1을 참조하여 간략히 설명한다. The structure of the keypad will be briefly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폰, PDA 등과 같은 통신기기 등에 사용되어 신호 발생을 위한 스위칭 장치로서 사용되는 키패드는 숫자 또는 문자등의 인쇄면(52)이 형성된 키탑(51)과; 상기 키탑(51)을 지지하는 베이스(53)와; 상기 베이스(53)의 저부에 설치된 인쇄회로기판(54)과; 상기 인쇄회로기판(54)상에 위치된 돔 스위치(55) 및 상기 돔 스위치 하부에 설치된 접점(56)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키패드를 구성하는 키의 누름 작동에 의하여 돔 스위치(55)가 탄성적으로 변형되면서 인쇄회로기판(54)에 마련된 접점(56)과 접촉하여 문자가 입력되거나 휴대폰에 제공된 부가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As shown in the figure, a keypad used for a communication device such as a mobile phone, a PDA, or the like and used as a switching device for signal generation includes a key top 51 having a printing surface 52 such as numerals or letters; A base 53 supporting the key top 51; A printed circuit board 54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base 53; The dome switch 55 is position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54 and the contact 56 is provided below the dome switch. When the dome switch 55 is elastically deformed by pressing a key constituting the keypad, the dome switch 55 may be contacted with the contact 56 provid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54 so that a character may be input or an additional function provided in the mobile phone may be performed. It is supposed to be.

이와 같이 키패드는 휴대폰을 구성하는 부재중에서 매우 중요한 부품중의 하나인데, 종래의 폴더타입 휴대폰에서는 키입력을 위하여 반드시 폴더를 열고 키버튼을 눌러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종래의 키 입력방식은 돔스위치와 접점간의 기구적인 접촉에 의해 행해지기 때문에, 접촉이 불가능한 위치에서는 키입력을 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각 키 대응하는 돔스위치와 접점이 다수 필요한 문제점이 있었다. As such, the keypad is one of the very important parts among the members constituting the mobile phone. In the conventional folder type mobile phone, there is a troublesome problem of pressing a key button and opening a folder for key input. In particular, since the conventional key input method is performed by the mechanical contact between the dome switch and the contact, not only can the key be input at the position where the contact is impossible. There was a problem that a large number of dome switches and contacts corresponding to each key are required.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폴더 타입 단말기의 서브 디스플레이 모듈 하부에 발광 다이오드와 수광 다이오드를 구비한 포토 리플렉터를 설치하고, 디스플레이 모듈에 원하는 만큼의 키버튼을 죠그셔틀방식으로 구현하여, 폴더를 열지 않고도 각종 메뉴를 선택하고 엔터키 입력을 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보조 디스플레이 모듈을 이용한 메뉴선택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 photo reflector having a light emitting diode and a light receiving diode is installed below the sub display module of the folder type terminal, and the desired number of key buttons are provided on the display modul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nu selection device using an auxiliary display modul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can implement various types of menus and enter an enter key without opening a folder by implementing the jog shuttle method.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외면에 구비된 보조 디스플레이 모듈 일측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일측에 반사판이 구비된 메뉴지정수단; 상기 메뉴지정수단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반사판에 빛을 조사하여 투과여부에 따라 선택메뉴신호를 송출하는 감지수단; 상기 메뉴지정수단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감지수단의 감지동작에 의해 선택된 메뉴를 입력시키기 위해 구동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푸쉬버튼; 및 상기 푸쉬버튼의 구동에 따라 상기 감지수단에서 감지된 신호를 입력받아 선택메뉴를 인식하여 상기 보조 디스플레이 모듈에 메뉴를 팝업(pop up)시키도록 제어하는 키입력제어수단을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보조 디스플레이 모듈을 이용한 메뉴선택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provided, rotatably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auxiliary display module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the menu designation means provided with a reflecting plate on one side; Detection means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of the menu designation means and radiating light to the reflecting plate to transmit a selection menu signal according to whether or not the light is transmitted; At least one push button installed below the menu designation means and configured to drive a menu selected by the sensing operation of the sensing means; And a key input control means for receiving a signal sensed by the sensing means in response to driving of the push button to recognize a selection menu and to pop up a menu on the auxiliary display module. Provided is a menu selection device using an auxiliary display module.

여기서, 상기 메뉴지정수단은 보조 디스플레이 모듈 외면에 설치되며 원주면 소정위치에 관통된 투과창을 갖는 회전원판과, 상기 회전원판의 내주면에 설치되며 그 일부가 상기 회전원판의 투과창에 걸쳐지는 반사판을 포함하는 죠그셔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menu designation means is install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auxiliary display module, the rotating disk having a transmission window penetrat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and a reflecting plate install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ating disk, a part of which is over the transmission window of the rotating disk Characterized by consisting of a jog shuttle including.

이하, 첨부된 도2 내지 도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Figures 2 to 4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보조 디스플레이 모듈을 이용한 메뉴선택장치는 포토 리플렉터를 이용하여 폴더를 열지 않고도 메뉴를 선택하고 키입력을 할 수 있도록 구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듀얼폴더형(dual folder type) 이동통신 단말기에 적용된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The menu selection apparatus using the auxiliary display modul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so that a menu can be selected and a key input can be performed without opening a folder by using a photo reflector. As described above, an example applied to a dual folder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ll be described.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더 외면에 구비된 보조 디스플레이 모듈(1)의 외주면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원주면 소정위치에 관통된 투과창(11a)을 갖는 회전원판(11)과, 상기 회전원판(11)의 내주면에 설치되며 그 일부가 상기 회전원판(11)의 투과창(11a)에 걸쳐지는 반사판(12)을 포함하는 죠그셔틀(2)과; 상기 죠그셔틀(2)의 회전원판(11)에 형성된 투과창(11a)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반사판(12)에 빛을 조사하여 투과여부에 따라 선택메뉴신호를 송출하도록 상부에 발광다이오드(14)와 수광다이오드(15)를 구비하는 포토 리플렉터(photo reflector)(3)와; 상기 죠그셔틀(2)의 회전원판(11)의 원주면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포토 리플렉터(3)의 감지동작에 의해 선택된 메뉴를 입력시키기 위해 구동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푸쉬버튼(4); 및 상기 푸쉬버튼(4)의 구동에 따라 상기 포토 리플렉터(3)에서 감지된 신호를 입력받아 선택메뉴를 인식하여 상기 보조 디스플레이 모듈(1)에 메뉴를 팝업(pop up)시키는 키입력제어수단(미도시)으로 구성된다. As shown in the figure, the rotating disk 11 is install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uxiliary display module 1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older and has a transmission window 11a penetrat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nd the rotation. A jog shuttle (2) install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isc (11) and including a reflecting plate (12) whose part spans the transmission window (11a) of the rotating disc (11); The light emitting diode 14 is installed below the transmission window 11a formed in the rotating disk 11 of the jog shuttle 2 and irradiates light to the reflecting plate 12 to transmit a selection menu signal depending on whether the light is transmitted. A photo reflector (3) having a light emitting diode (15) and a light receiving diode (15); At least one push button (4) installed below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ating disc (11) of the jog shuttle (2) and driven to input a menu selected by the sensing operation of the photo reflector (3); And a key input control means for receiving a signal sensed by the photo reflector 3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push button 4 to recognize a selection menu and pop up a menu on the auxiliary display module 1 ( Not shown).

여기서, 상기 반사판(12)은 키입력 또는 종류를 정할 수 있도록 다수의 톱니가 형성된 판으로 형성되며, 상기 톱니수에 따라 회전반경에 따른 키입력 및 선택메뉴를 조정하게 된다. 즉, 상기 죠그셔틀(2)의 회전원판(11)을 회전시킴에 따라 포토 리플렉터(3)에서 감지하는 반사판(12)의 톱니수에 따라 메뉴가 지정되는 것이다. Here, the reflection plate 12 is formed of a plate having a plurality of teeth to determine the key input or type, and adjusts the key input and selection menu according to the rotation radius according to the number of teeth. That is, as the rotary disk 11 of the jog shuttle 2 is rotated, a menu is designat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teeth of the reflector 12 detected by the photo reflector 3.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메뉴의 선택을 위한 구조를 죠그셔틀(2)을 이용한 예를 제시하고 있으나, 이에 국한하는 것은 아니고, 카메라의 필름 인식방식이나, 휠마우스 구동방식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모듈에 메뉴를 팝업시킬 수 있다.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xample using the jog shuttle 2 as a structure for selecting a menu.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menu is displayed on the display module using a film recognition method or a wheel mouse driving method of the camera. Can pop up.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working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먼저, 폴더가 닫혀진 상태에서, 상기 보조 디스플레이 모듈(1)에 배터리 충전상태, 안테나 수신상태, 시계 및 날짜등이 표시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죠그셔틀(2)이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반사판(12)의 톱니 사이로 상기 포토 리플렉터(3)의 발광다이오드(14)에서 발광된 빛이 투과창(11a)을 통해 투과됨으로써 메뉴선택동작이 되지 않는다.First, in a state where the folder is closed and the battery charging state, antenna reception state, clock and date are displayed on the auxiliary display module 1, the jog shuttle 2 is fixed, and the reflector plate 12 Since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diodes 14 of the photo reflector 3 is transmitted through the transmission window 11a between the teeth of, the menu selection operation is not performed.

그러나, 상기 죠그셔틀(2)을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반사판(12)의 톱니가 포토 리플렉터(3)의 발광 다이오드(14)와 수광 다이오드(15)를 가리게 되고, 상기 발광다이오드(14)에서 발광된 빛은 반사판(12)의 톱니면에 반사되어 수광 다이오드(15)에 입사된다. 상기 수광 다이오드(15)에 입사된 신호는 키입력제어수단에 입력되어 메뉴를 인식하게 되고, 상기 메뉴가 디스플레이 모듈(1)에 팝업(pop up)된다. 이와 같이, 상기 반사판(12)의 톱니를 통과하는 수에 따라 디스플레이 모듈(1)에는 메뉴의 팝업(pop up) 기능이 구현되는 것이다.However, when the jog shuttle 2 is rotated, the teeth of the reflecting plate 12 cover the light emitting diode 14 and the light receiving diode 15 of the photo reflector 3, and the light emitting diode 14 emits light. The reflected light is reflected on the tooth surface of the reflecting plate 12 and is incident on the light receiving diode 15. The signal incident on the light receiving diode 15 is input to the key input control means to recognize a menu, and the menu is popped up on the display module 1. As such, a pop-up function of a menu is implemented in the display module 1 according to the number of teeth passing through the reflector 12.

또한,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메뉴가 디스플레이 모듈(1)에 팝업되었을 경우에 죠그셔틀(2)에 구비된 푸쉬버튼(4)을 누르게 되면, 이 키입력이 키입력제어수단에 전달되어 메뉴가 선택되는 것이다. In addition, when the user presses the push button 4 provided in the jog shuttle 2 when the menu desired by the user is popped up on the display module 1, this key input is transmitted to the key input control means so that the menu is selected. Will be.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폴더의 외부에 설치된 보조 디스플레이 모듈에 죠그셔틀을 설치하고, 포토 리플렉터를 이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메뉴가 팝업되도록 함으로써, 폴더를 열지 않은 상태에서도 사용자가 원하는 메뉴를 팝업시키고, 선택할 수 있는 편리성이 있으며, 또한 직접적인 접촉방식이 아닌 빛을 이용한 구조이기 때문에 지속적인 사용시에도 기구적인 마모에 의한 오인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jog shuttle is installed on an auxiliary display module installed outside of a folder, and a menu is popped up on the display module using a photo reflector, so that a user can select a menu without opening a folder. It is convenient to pop up and select, and also because it uses light instead of direct contact method, it has an effect of preventing misunderstanding due to mechanical wear even in continuous use.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보조 디스플레이 모듈을 이용한 메뉴선택장치의 일실시예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1 is a plan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menu selection device using an auxiliary display modul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2 내지 도4는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보조 디스플레이 모듈을 이용한 메뉴선택장치의 작용상태도. 2 to 4 are views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menu selection device using the auxiliary display modul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보조 디스플레이 모듈 2: 죠그셔틀1: secondary display module 2: jog shuttle

3: 포토 리플렉터 4: 푸쉬버튼3: photo reflector 4: pushbutton

11: 회전원판11: rotating disc

12: 반사판12: reflector

Claims (5)

외면에 구비된 보조 디스플레이 모듈 일측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일측에 반사판이 구비된 메뉴지정수단;Menu designation means is provided to be rotatable on one side of the auxiliary display module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the reflection plate is provided on one side; 상기 메뉴지정 수단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반사판에 빛을 조사하여 투과여부에 따라 선택메뉴신호를 송출하는 감지수단;Detection means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of the menu designation means and radiating light to the reflecting plate to transmit a selection menu signal according to whether or not the light is transmitted; 상기 메뉴지정수단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감지수단의 감지동작에 의해 선택된 메뉴를 입력시키기 위해 구동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푸쉬버튼; 및 At least one push button installed below the menu designation means and configured to drive a menu selected by the sensing operation of the sensing means; And 상기 푸쉬버튼의 구동에 따라 상기 감지수단에서 감지된 신호를 입력받아 선택메뉴를 인식하여 상기 보조 디스플레이 모듈에 메뉴를 팝업(pop up)시키도록 제어하는 키입력제어수단Key input control means for receiving a signal sensed by the sensing means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push button to recognize a selection menu and to pop up a menu on the auxiliary display module. 을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보조 디스플레이 모듈을 이용한 메뉴선택장치.Menu selection apparatus using the auxiliary display modul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ing a.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메뉴지정수단은 The menu designation means 보조 디스플레이 모듈 외면에 설치되며 원주면 소정위치에 관통된 투과창을 갖는 회전원판과, 상기 회전원판의 내주면에 설치되며 그 일부가 상기 회전원판의 투과창에 걸쳐지는 반사판을 포함하는 죠그셔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보조 디스플레이 모듈을 이용한 메뉴선택장치.A jog shuttle including a rotating disk install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auxiliary display module and having a transmission window penetrat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n a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nd a reflecting plate install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ating disk, and a part of which spans the transmission window of the rotating disk. Menu selection apparatus using the auxiliary display modul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메뉴지정수단이 휠마우스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보조 디스플레이 모듈을 이용한 메뉴선택장치.The menu selection device using the auxiliary display modul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menu designation means consisting of a wheel mouse.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반사판은 키입력 또는 종류를 정할 수 있도록 다수의 톱니가 형성된 판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보조 디스플레이 모듈을 이용한 메뉴선택장치.The reflective plate is a menu selection device using a secondary display modul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with a plurality of teeth formed plate to determine the key input or type.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상기 감지수단은 The sensing means 발광다이오드와 수광다이오드가 구비된 포토 리플렉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보조 디스플레이 모듈을 이용한 메뉴선택장치.A menu selection device using an auxiliary display modul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photo reflector provided with a light emitting diode and a light receiving diode.
KR10-2002-0088433A 2002-12-31 2002-12-31 Menu- selectting apparatus using sub display module of mobile phone KR10049199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8433A KR100491999B1 (en) 2002-12-31 2002-12-31 Menu- selectting apparatus using sub display module of mobile pho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8433A KR100491999B1 (en) 2002-12-31 2002-12-31 Menu- selectting apparatus using sub display module of mobile pho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2111A KR20040062111A (en) 2004-07-07
KR100491999B1 true KR100491999B1 (en) 2005-05-30

Family

ID=373535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88433A KR100491999B1 (en) 2002-12-31 2002-12-31 Menu- selectting apparatus using sub display module of mobile pho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91999B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2111A (en) 2004-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71992B1 (en) Portable telephone
US7058432B2 (en) Pointing device and mobile telephone
US6775206B2 (en) Communication device
WO1999026117A1 (en) Information processor
JP5100214B2 (en) Portable terminal
US20090051571A1 (en) Keypad
EP1024644A2 (en) Switch unit and portable terminal device using the switch unit
KR100763454B1 (en) A rotator with rim select functionality
EP1850211A2 (en) Keypad assembly for portable terminal
US7705838B2 (en) Movable user interface
JP4540511B2 (en) Compound input device
KR100491999B1 (en) Menu- selectting apparatus using sub display module of mobile phone
US20120249344A1 (en) Multi-color illuminated keyboard
JP5483803B2 (en) Folding portable terminal
US20110105191A1 (en) Portable Terminal
JP2011192413A (en) Operation switch and portable terminal
EP2332025B1 (en) Input device with rotary wheel
KR100813416B1 (en) Rotatable multi-key
JP2005235671A (en) Key button and portable radio with the same
JP2007104704A (en) Dial operating mechanism for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with dial operating mechanism
KR100747860B1 (en) directional key Assembly having encoder switch and contact switch
JPH07153344A (en) Key structure
JP2004354590A (en) Operating device
JP4044555B2 (en) Mobile phone
KR100524734B1 (en) Multi function side button assembly f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3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