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89941B1 - 망관리장치 대리인과 교환기간의 알람상태 동기화 방법 - Google Patents

망관리장치 대리인과 교환기간의 알람상태 동기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89941B1
KR100489941B1 KR10-2002-0077098A KR20020077098A KR100489941B1 KR 100489941 B1 KR100489941 B1 KR 100489941B1 KR 20020077098 A KR20020077098 A KR 20020077098A KR 100489941 B1 KR100489941 B1 KR 1004899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arm
alarm state
agent
polling period
st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70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49232A (ko
Inventor
김학섭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770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89941B1/ko
Publication of KR200400492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92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99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994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6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 H04L41/0681Configuration of triggering cond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4Network management architectures or arrangements
    • H04L41/046Network management architectures or arrangements comprising network management agents or mobile agent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망관리장치(NMS)에 있어서 장애발생시의 알람(Alarm) 상태 동기화방법에 관한 것으로 장치(ATM 교환기)와 망관리장치(NMS) 대리인 (Agent)간 정확한 알람 상태 정보를 관리 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알람 상태 폴링(Polling)주기를 NMS 대리인 운용중에도 변경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운용자가 장치(ATM교환기)의 상황을 고려해서 수정한 폴링 주기를 바로 실시간으로 반영될 수 있도록 하였다. 따라서 알람상태 불일치 현상이 발생하더라도 망관리 장치 운용중 알람 불일치를 즉시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ATM 망관리 운용시 알람상태 불일치로 인한 운용 차질을 예방할 수 있으며, 또한 망관리 시스템의 안정성을 증가시켜 효율적이고 보다 더 편리한 ATM 망 운용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Description

망관리장치 대리인과 교환기간의 알람상태 동기화 방법 {The method for alarm status synchronization between NMS agent and network element}
본 발명은 망관리장치(NMS)에 있어서 장애발생시의 알람(Alarm) 상태 동기화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장치(ATM 교환기)와 망관리장치(NMS) 대리인 (Agent)간 의 정확한 알람 상태 동기화 방법에 관한 것이다.
NMS(Network Management System. 이하 NMS)라 함은 NMS 네트워크상의 전 장비들의 중앙 감시 체제를 구축하여 모티터링(Monitoring), 플래닝 (Planning) 및 분석이 가능하도록 하는 관리 시스템을 말하는 것으로, 관련 데이터를 보관하여 필요 즉시 활용 가능하도록 하며 전반에 걸친 정보를 수집 관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다시 말해 NMS는 시스템에 대한 구성관리, 성능관리, 장애관리를 수행하며, NMS 운용자에 대한 보안관리, 시스템에 대한 보안관리, 시스템에 연결된 가입자를 관리하는 가입자 관리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통해 네트워크 관리자는 네트웍을 콘트롤(control) 및 모니터(monitor)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서 각 관리 기능들은 전체 네트워크 지도(MAP)로 부터 시스템 구성요소 (시스템, 셀프, 포트) 별로 탑 다운(TOP-DOWN) 방식에 따라 관리할 수 있게 된다.
NMS 구동에는 SNMP(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CMIP(Common Management Information Protocol) 그리고 트래픽을 관철하기 위해 이용되는 RMON (Remote Network Monitoring)등과 같은 네트웍 관리 프로토콜이 이용된다. 먼저 SNMP 에 대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SNMP 시스템은 NMS, 대리인, MIB(Management Information Base)로 이루어진다. SNMP는 네트웍 디바이스(Network Device) 즉, 라우터(Routers), 브릿지(Bridges), 터미널 서버(Terminal Server), 호스트 피시(Host PC) 등에 직접 커리(Query)하는 트랜잭션 오리엔티드 프로토콜(Transaction-Oriented Protocol)이다. NMS는 대리인(Agent)에 정보를 의뢰함으로써 디바이스(Device)들을 감시 제어한다.
대리인은 NMS의 요구에 응답하고 네트웍상의 관리 대상 장비에 존재하는 S/W이다. SNMP를 사용한 통신은 SNMP 매니저와 SNMP 대리인 사이에서 MIB(Management Information Base : 관리정보 베이스)를 기초로, 여러 명령어를 사용해서 네트워크를 관리한다. MIB(Management Information Base)라 함은 관리되어야 할 특정한 정보, 자원인 객체들을 모아놓은 집합체를 말한다. 네트웍을 관리한다는 것은 관리대상인 장비(웍스테이션,프린터,파일서버,허브,라우터,스위칭장비)들이 제공하는 MIB중에서 특정값을 얻어와 그 장비의 상태를 파악하거나 그 값의 변경을 의미한다.
대리인에 존재하는 MIB(Routing Table Counter, status indication 등)는 대리인에 대한 NMS의 폴(Poll)과 커리(Query)에 대한 응답으로 NMS에 보내지고 이들은 다시 DB에 저장된다.
이때, SNMP는 다음의 3부분으로 구성된다.
1. 관리대상: 서비스 제공자, 대리인(Agent)
2. 네트워크 관리 스테이션(Station): 서비스 이용자, 매니저(Manager)
3. 네트워크 관리 프로토콜(Protocol)
SNMP 대리인측에서는 장애 등의 예상치 못한 사태가 발생했을 때 SNMP 매니저에게 예상치 못한 사태가 발생했음을 전하는 명령인 트랩을 통지한다. 한편 대리인이 검출한 문제(각종 초과치, 전문가에 의한 장해 및 장해 징후 검출)는 알람으로 표시된다. 이 알람은 대리인으로부터 트랩으로 송신되며 알람 매니저 이외에 네트웍 관리 스테이션상에 표시된다. 트랩은 SNMP와 같이 일정한 폴링주기에 의해 동작하는 것이 아니라 트랩이 인에이블(enable)되어 있는 장비가 장애 또는 트랩에 정의한 부분에 이상이 발생하면 SNMP 대리인인 NMS로 장애 또는 상태를 통보하게 된다. 즉, 트랩이 셋팅(Setting)되면 장애 또는 상태 변경시 곧 바로 이상유무를 NMS로 전송하므로 실시간으로 장애 및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CMIP은 관리정보를 전송하는 절차 즉, CMISE(Common Management Information Service Element)사이에 CMIS(Common Management Information Service)서비스를 완성시키기 위해서 교환하는 CMIP PDU(protocol data unit)를 만들고 전송하는 것에 대해 정의해 놓은 것이다.
양단의 CMISE 사용자(관리자와 대리인 또는 양단의 CMISE 어플리케이션)들이 정보교환을 위해서 시스템을 연결하기 위해 ACSE(Association Control Service)를 이용하는데, 이때는 CMIP이 이용되지 않는다. 관리 서비스를 위해서 CMISE는 PDU를 교환하기 위해서 CMIP를 채용한다. 그리고 CMIP는 CMIP PDU 전송을 위해서 ROSE(Remote Operations Service Element)를 이용한다.
CMIP는 CMIS 서비스를 처리하기 위해서 11개의 PDU를 정의해 놓았다. CMIP는 항상 ROSE 3를 이용한다. 그리고 확인 서비스를 위해서는 집합 2 또는 3을 이용하고 비확인 서비스를 위해서 집합 5를 이용한다.
CMIP는 SNMP에 비해 보안성, 이벤트 발생기능, OSI 7계층 사용 등과 같은 장점을 가진다. 우선, CMIP는 인증(authorization), 접근제어(access control), 보안 로그 (security log)등 관리정보에 대한 보안체제를 갖추고 있는 프로토콜이다. 따라서, CMIP를 채택한 관리 시스템은 SNMP를 채택하고 있는 관리 시스템에 비해 안정성이 뛰어나다고 말할 수 있다.
또한 SNMP를 사용하는 관리시스템에서는 어떤 관리대상의 장애내역을 파악 하려면 관리자가 해당 관리대상의 상태를 계속해서 감시하고 있어야 한다. 그러나, CMIP에서는 이벤트 발생기능을 지원하기 때문에, 관리 프로세스가 관리대상을 계속해서 감시할 필요가 없다. 즉, 관리대상에서 어떤 장애를 발생하면 그 내역을 CMIP의 서비스 중 하나인 이벤트 리포트(event report) 기능을 통해 전송해 주면 된다. 따라서, CMIP를 채택한 관리 시스템은 SNMP에 비해 보다 능률적으로 네트웍을 관리할 수 있다.
아울러 CMIP는 OSI(Open System Interconnection) 7계층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정보를 주고 받는데 비해, SNMP는 UPD/IP 프로토콜을 사용한다. 이것의 큰 차이점은 CMIP가 연결지향적 네트웍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데 반해 SNMP는 비연결 지향적 네트웍 프로토콜을 사용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SNMP를 사용하는 관리시스템은 네트웍상에서 관리정보가 유실될 수 있지만, CMIP를 사용할 경우는 관리정보 유실에 대한 처리가 되어 있는 것이다. 그리고 TCP/IP상에서 동작하는 CMIP 라이브러리 제품(CMOT)도 있다.
이에 반하여, CMIP 의 유일한 단점은 관리 프로세스가 운영되는 시스템의 리소스를 많이 소모한다는 것이다. 왜냐하면, SNMP에 비해 지원하는 기능이 훨씬 많고, OSI 7계층 통신 프로토콜 상에서 동작하기 때문에 프로세스 자체가 무겁기 때문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NMS 시스템의 기본 구조도로서 NMS 매니저, NMS 대리인, 시스템 즉, 교환기 S/W 블록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매니저는 관리프로토콜에 따른 명령 즉, 대리인에게 리퀘스트(Request)를 내리고 그 응답(Response)을 처리하며, 또 대리인으로부터 온 트랩을 분석하여 적당한 처리를 하는 시스템이다.
대리인은 매니저로부터 온 리퀘스트를 분석하여 시스템으로부터 그에 상응하는 결과를 요청하거나 자체적으로 처리하여 그 응답을 매니저로 보내고 또 시스템으로부터 어떤 상태 변화가 감지되었을 때 트랩을 발생시켜 매니저에게 보고하는 시스템이다.
한편, SNMP의 경우는 IP(Internet Protocol)에서 작동하는 UDP(User Datagram Protocol) 즉, 커넥션형 트랜스포트 프로토콜에 장치되어 있어서 SNMP통신을 하기 위해서는 매니저와 대리인 모두에게 가 IP 주소(Address)가 필요하다.
도 2는 종래 기술의 알람 상태 관리 흐름도이다. 일반적으로 망관리장치 대리인에서 장치 즉, 교환기의 알람 상태를 관리할 때는 일방적으로 장치(교환기)에서 전송해 주는 데이터만을 받아서 대리인 알람 상태를 반영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전송 도중 알람 정보가 유실되거나 또는 장치에서의 오류발생으로 인해 망관리장치 대리인에게 알람 상태 데이터를 송출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알람 상태가 장치와 대리인간에 서로 불일치되어 ATM 망관리 운용에 상당한 차질을 초래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하게 된다.
즉 대리인은 알람이 발생한 상태이나 장치 (ATM교환기)는 정상일 경우 알람상태는 서로 불일치하게 된다. 이 때 이 불일치를 해결하기 위해 기존에는 대리인을 재초기화 하거나, 해당 장치의 알람상태를 2회 이상 토글(toggle)해야 하는 등의 방법밖에 없기 때문에 망관리 서비스가 일시 중단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종래 기술은 망관리 서비스를 위한 알람 상태 관리는 장치로부터 일방적으로 전달되는 알람 상태 정보를 대리인이 수신하여, 대리인이 관리하고 있는 알람 상태 정보와 장치로부터 전달된 알람 상태 정보가 서로 상이할 경우에만 대리인의 알람 상태를 바꾸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예를 들면, 망관리장치 대리인이 초기화된 후(S202) 대기(waiting) 상태에서 장치로부터 장애 상태 메세지를 기다린 다음 장치로부터 알람 상태 정보가 전달되면(S203) 대리인의 물리적 형상(Board, ATM port, Lan cable등)의 장애상태와 장치로부터 수신된 물리적 형상 알람 정보를 서로 비교한다(S204). 만일 그 비교된 값이 서로 다른 경우에는 대리인의 물리적 형상의 장애 상태를 장치로부터 수신한 알람 상태로 변경한다(S205). 이 때 반드시 장애 상태 기준은 장치의 상태가 우선시 된다.
그러나 종래의 경우 장치의 알람 상태 정보를 관리할 때, 망관리장치 대리인은 장치에서 전송해 주는 데이터만을 받아서 대리인의 알람 상태를 반영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전송 도중 알람 상태의 정보가 유실되거나 또는 장치에서의 오류발생으로 인해 망관리장치 대리인에게 데이터를 송출하지 못하는 경우, 그리고 대리인 자체의 오류발생으로 인해 장치로부터 전송된 알람 상태 처리시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장치와 망관리장치 대리인의 동일한 형상에 대한 알람 상태가 서로 불일치되어 ATM 망관리 운용에 상당한 차질을 초래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ATM 포트(port)에 장애가 발생하게 되면 ATM 연결 설정이 불가능해지기 때문에 정확한 알람 상태 관리는 ATM 망관리 시스템 운용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부분이라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기존의 알람 상태 관리 방법과 더불어 망관리 장치 대리인이 주기적으로 장치의 장애 정보를 요구, 수집함으로서 장애 정보 불일치를 최소화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알람 상태 폴링 주기를 망관리장치 대리인 운용중에도 변경할 수 있게 함으로서, 운용자가 장치의 상황을 고려해서 수정한 폴링주기는 바로 실시간으로 반영될 수 있도록 하였다. 따라서 만약 알람 상태 불일치가 발생하더라도 폴링 주기를 짧게 변경하면, 빠른 시간 내에 불일치된 알람 상태를 복구할 수 있도록 하여 기존의 잦은 알람 상태 불일치 발생을 상당부분 해소하고자 하였으며, 불일치 발생시 즉시 복구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보다 더 효율적이고 편리한 ATM 망 운용방법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NMS 대리인(Agent)과 NMS 매니저(Manager) 및 이에 연결된 교환기 S/W 블록에 있어서 주기적인 알람 상태 검색 기능 및 검색 주기의 변경을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된다.
장애가 현실적으로 발생한 경우에만 알람이 발생하여 통보되는 종래 기술에 반하여 알람 발생 사실의 누락등과 같은 알람상태의 부정확한 판단을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은 주기적인 알람 상태 검색을 수행하도록 하고 있으며 이를 위한 주기 변경 가능 및 변경 주기의 실시간 반영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기존의 프로세스에 추가되는 별도의 프로세스인 스레드(Thread)를 포함하여 모두 세 가지의 프로세스가 병렬적으로 프로세싱 된다. 즉, 타이머에 의해 등록된 고정주기를 갖는 주 프로세스에 대하여 변경주기를 갖는 부 프로세스인 스레드에 의해 알람 상태의 확인이 병렬적으로 이루어지고, 만일 알람상태가 상호 불일치시에는 가장 최근의 값을 반영하도록 하고 있다.
다시 말해 제 1 프로세스는 기존의 통상적인 기능인 알람 수집기능을 포함하여 수행되는 단계로서 타이머에 의해 설정된 고정 주기의 알람 상태 검색이 수행된다. 한편 제 2 프로세스는 제 1 프로세스에 추가된 제 1스레드 및 제 2스레드 가운데 제 1 스레드로서, 제 1 프로세스와 병렬적으로 진행된다. 제 2 프로세스에서는 알람 상태 폴링 주기 변경을 감지하여 주기가 변경된 경우에는 제 2 스레드 즉, 제 3 프로세스에 이를 통보함으로써 즉시 주기 변경이 반영되도록 하였다. 마지막 제 3 프로세스는 제 1 프로세스에 추가된 제 2 스레드로서, 폴링 주기가 변경된 경우 이를 반영하여 장치로부터 수신된 알람 상태를 실시간적으로 처리하도록 하였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알람 상태 동기화 흐름도이다. 먼저 망관리장치 대리인 초기화 진행시에는 장치 형상에 대한 정보를 순차적으로 버퍼(Buffer)에 저장하도록 한다. 이때 형상이라 함은 ATM 교환기를 구성하는 물리적, 논리적 구성요소를 말한다. 한편, 대리인의 초기화가 완료된 후 발생되는 형상 추가, 삭제등의 변화에 관한 정보에 대해서도 버퍼에 반영되도록 한다. 한편 알람 상태 폴링 주기는 초기화가 완료되기 전에 등록한다.
대리인의 초기화가 완료된 후 알람 상태 폴링주기가 되면 알람 상태 출력 명령어를 교환기에 호출하며 버퍼에 저장된 ATM 장치의 형상이 저속인지, 고속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해당 알람 상태 출력 명령어를 호출한다. 이때 알람 상태 출력 명령어 결과와 대리인의 알람 상태가 서로 다른 경우에는 알람 상태 출력 명령어 결과를 대리인에 반영하도록 한다. 아울러 알람 상태 폴링 주기의 수정여부를 판단하여 만일 주기가 수정된 경우에는 이를 즉시 반영되도록 함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도록 하고 있다.
결국 본 발명은 기존의 프로세스에 추가된 2개의 멀티 스레드가 병렬로 동작하고 기존의 통상적인 프로세스에 의해 수집된 정보에 대하여 추가된 스레드로부터 주기적으로 수집된 정보를 반영함으로써 언제나 가장 최근의 알람 상태가 반영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에 따른 단계를 좀더 상세하게 살피면 다음과 같다. 먼저 망관리장치 대리인의 초기화 시작(S300)에 따라 초기화 진행시 형상, 연결, 성능등의 순으로 초기화를 진행한다(S301). 이때 대리인 형상 초기화 진행 중 형상에 대한 정보를 순차적으로 버퍼에 저장하고(S302) 알람상태 폴링 주기를 타이머로 등록한다(S303). 이 때 이 폴링 주기의 단위는 초 단위까지 설정 가능하며 설정된 주기에 따라 본 발명의 특징인 주기적인 알람상태 확인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로써 대리인 초기화가 완료된다(S304).
제 1프로세스는 기존의 통상적인 프로세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단계로서 다음과 같은 단계로 이루어진다. 우선 제 1프로세스는 대리인 운용중 일정시간 동안 대기(waiting) 상태에서 타이머에 의해 설정된 폴링 주기가 될 때까지 기다린다. 알람 상태 폴링 주기가 되면(S401) 대리인 초기화시 버퍼에 저장된 형상 정보를 검색하여, 형상 정보가 고속 ATM 형상인지, 저속 ATM 형상인지를 판단한다(S402). 한편, 이 부분은 장치에 따라 불필요할 수도 있다.
이때 버퍼에 저장된 형상 정보 순서대로 순차적으로 알람 상태 출력 명령어를 호출한다(S403). 알람 상태 출력 명령어 결과를 수신하여 폴링 주기에 따른 현재의 알람상태를 확인하게 된다.(S404) 확인된 현재의 알람상태는 대리인에 의해 보관되고 있는 기존의 알람 상태와 비교되어 진 다음(S405) 만일 확인된 현재의 알람 상태와 대리인에 의해 보관되고 있는 기존의 알람 상태가 서로 상이할 경우에는 확인된 현재의 알람 상태인 해당 형상의 알람 상태를 명령어 결과의 값으로 변경한다(S406). 상기 제 1 프로세스는 대리인이 운용되는 동안 반복하여 수행된다.
제 2 프로세스는 대리인 운용 중 추가된 제 1 스레드에 의해 진행된다. 제 2 프로세스는 알람 상태 폴링 주기의 수정여부를 감시한다(S501). 만일 알람 상태 폴링 주기의 수정이 이루어진 사실이 감지되면, 그 수정된 값을 인식하여 초기화시 설정된 알람 폴링 주기값에 반영함으로써 주기 변경이 즉시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한다(S502). 이때 이루어진 주기변경은 제 2 스레드에 의해 반영되어 제 3 프로세스의 알람 상태 폴링주기를 변경하게 되며 변경된 주기에 의해 확인된 알람상태는 제 1 프로세스에 의한 값과 비교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때 폴링 주기의 단위는 초 단위까지 설정 가능하며, 설정된 주기에 따라 본 발명의 특징인 주기적인 알람상태 확인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제 2 프로세스는 대리인이 운용되는 동안 반복하여 수행된다.
제 3 프로세스는 대리인 운용 중 추가된 제 2 스레드에 의해 진행된다. 제 2 스레드에 의해 주기 변경이 감지된 경우에는 변경된 주기가 반영되어 제 3 프로세스의 알람 상태 폴링주기를 변경하게 된다. 변경된 주기에 따라 제 3 프로세스는 교환기로부터 전송되는 알람 상태 정보를 기다린 다음(S601) 교환기로부터 변경된 주기에 따라 새로이 수신된 알람 상태 정보가 기존의 대리인의 알람 상태와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한다(S602). 만약 알람 상태가 동일하면 기존의 대리인의 알람 상태를 수정하지 않고 수신된 알람 상태를 무시하며, 알람 상태가 상이할 경우에는 수신된 알람 상태를 대리인이 관리하는 관리객체(Managed Object)에 반영한다(S603). 상기 제 3 프로세스는 대리인이 운용되는 동안 반복하여 수행된다.
한편 제 2 스레드에 의해 알람상태가 수정된 후에도 제 1 프로세스에 의해 또다른 새로운 알람상태값이 수신되는 경우는 수신된 값이 반영된다. 이에 따라 상기 프로세스를 통하여 제 1프로세스에 의한 고정 주기에 따른 알람 상태 정보와 스레드에 의해 진행되는 변경주기에 따른 별도의 프로세스에 의한 알람 상태 정보가 서로 다른 경우 가장 최근에 갱신된 알람 상태 정보가 반영될 수 있도록 하였다. 결국, 순차적으로 갱신되는 값, 즉 가장 정확한 알람상태가 매니저에게 통보되도록 함으로써 가장 최근의 알람 상태가 확인될 수 있도록 하였다.결국, 제1 프로세스는, 주기적으로 폴링 주기에 따라 교환기로부터 수신한 알람 상태를 검색하고, 알람상태의 변경이 있는 경우 상기 검색된 현재 알람 상태값으로 변경한다. 그리고 제2 프로세스는, 상기 제1 프로세스와 병렬적으로 진행되고, 알람 상태 폴링 주기의 수정여부를 감시하여 알람 상태 폴링 주기 수정시 수정된 값을 초기화시 설정된 알람 폴링 주기값에 반영하여 알람 폴링 주기를 변경하고 변경된 알람 폴링 주기값을 제3 프로세스로 제공한다. 따라서, 제3 프로세스는, 상기 제2 프로세스에서 제공되는 알람폴링 주기값이 변경된 경우, 변경된 폴링 주기에 따라 상기 제1프로세스에서 교환기로부터 수신한 알람 상태 정보와 대리인의 알람상태를 비교하여 서로 상이한 경우 제1 프로세스에서 수신한 알람 상태값으로 변경하는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기술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첨부된 청구 범위에 정의된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발명을 여러 가지로 변형 또는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 기술에서 자주 발생하는 망 관리장치의 알람 상태 불일치 문제점 발생을 보완하고 만약 알람 상태 불일치 현상이 발생하더라도 망 관리 장치 운용 중에 알람 불일치를 즉시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해 줌으로써 ATM 망 관리 운용시 알람 상태 불일치로 인한 운용 차질을 예방하며, 또한 망 관리 시스템의 안정성을 증가시켜 효율적이고 보다 더 편리한 ATM 망 운용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NMS 시스템 기본 구조도
도 2는 종래 기술의 알람 상태 관리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알람 상태 동기화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NMS 매니저
101 : NMS 대리인
102 : 교환기 S/W 블럭

Claims (5)

  1. 망관리 장치(NMS)에서의 장애 발생시 알람 상태 동기화 방법에 있어서,
    주기적으로 폴링 주기에 따라 교환기로부터 수신한 현재 알람 상태를 검색하고, 알람상태의 변경이 있는 경우 상기 검색된 현재 알람 상태값으로 변경하는 제1 프로세스와;
    상기 제1 프로세스와 병렬적으로 진행되고, 알람 상태 폴링 주기의 수정여부를 감시하여 알람 상태 폴링 주기 수정시 수정된 값을 초기화시 설정된 알람 폴링 주기값에 반영하여 알람 폴링 주기를 변경하는 제2 프로세스와;
    상기 제1 및 제2 프로세스와 병렬적으로 진행되고, 상기 제2 프로세스에서 알람폴링 주기가 변경된 경우, 변경된 폴링 주기에 따라 상기 제1프로세스에서 교환기로부터 수신한 알람 상태 정보와 대리인의 알람상태를 비교하여 서로 상이한 경우 제1 프로세스에서 수신한 알람 상태값으로 변경하는 제3 프로세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람 상태 동기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프로세스는
    형상, 연결, 성능 등의 순으로 대리인 초기화를 진행하는 단계;
    대리인 형상 초기화 진행 중 형상에 대한 정보를 순차적으로 버퍼에 저장하는 단계;
    알람 상태 폴링 주기를 타이머로 등록하는 단계;
    버퍼에 저장된 형상 정보 순서대로 순차적으로 알람 상태출력 명령어를 호출하는 단계;
    알람 상태 출력 명령어 결과를 수신한 후, 대리인의 알람 상태와 비교하여 서로 상이할 경우에는 해당 형상의 알람 상태를 명령어 결과의 값으로 변경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람 상태 동기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등록된 알람상태 폴링 주기가 되면, 형상정보를 검색하여 속도에 따른 형상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람 상태 동기화 방법.
  4. 삭제
  5. 삭제
KR10-2002-0077098A 2002-12-05 2002-12-05 망관리장치 대리인과 교환기간의 알람상태 동기화 방법 KR1004899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7098A KR100489941B1 (ko) 2002-12-05 2002-12-05 망관리장치 대리인과 교환기간의 알람상태 동기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7098A KR100489941B1 (ko) 2002-12-05 2002-12-05 망관리장치 대리인과 교환기간의 알람상태 동기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9232A KR20040049232A (ko) 2004-06-11
KR100489941B1 true KR100489941B1 (ko) 2005-05-17

Family

ID=373437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7098A KR100489941B1 (ko) 2002-12-05 2002-12-05 망관리장치 대리인과 교환기간의 알람상태 동기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8994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415026C (zh) * 2004-08-23 2008-08-27 华为技术有限公司 单板告警监测方法
KR100693034B1 (ko) * 2004-12-15 2007-03-12 삼성전자주식회사 네트워크 요소장치의 이벤트를 관리하기 위한 네트워크알람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네트워크 알람 관리 방법
KR20080063921A (ko) * 2007-01-03 2008-07-08 삼성전자주식회사 장애 관리 시스템에서 알람 동기화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9232A (ko) 2004-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831617B1 (en) Flexible SNMP trap mechanism
US8086721B2 (en) Network resource management in a network device
US6961768B2 (en) Status polling failover of devices in a distributed network management hierarchy
US6697845B1 (en) Network node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ing proxy by extensible agents
US6981036B1 (en) Network device managing apparatus and method
US8909758B2 (en) Physical server discovery and correlation
JP2510075B2 (ja) Snmpテ―ブルをモニタ及び維持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US8549119B1 (en) Error handling for device management configuration and operational data retrieval commands
US7516212B2 (en) Device status identification
US20160092537A1 (en) Polling based synchronization in managed networks
CN102215132A (zh) 基于数据库嵌入式snmp管理端数据采集装置、系统及方法
US20160094657A1 (en) Event-driven synchronization in snmp managed networks
US8489727B2 (en) Active storage area network discovery system and method
KR100489941B1 (ko) 망관리장치 대리인과 교환기간의 알람상태 동기화 방법
US20050193105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cessing network discovery data
EP1079566A2 (en) System management in a communications network comprising SNMP and CMIP agents
US20030163582A1 (en) Network device and network management device
KR100484492B1 (ko) 라우터 시스템의 장애 및 상태 관리를 위한 망 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Cisco Chapter 5, SNMP
Cisco Chapter 5, SNMP
Cisco Configuring 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SNMP)
JP2003015973A (ja) ネットワークデバイス管理装置、管理方法及び管理プログラム
KR100353860B1 (ko) 고속 라우터 시스템의 형상 및 인터페이스 정보 관리 방법
KR100628297B1 (ko) Snmp를 이용한 망 관리 방법
US11469981B2 (en) Network metric discove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9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