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88364B1 - 채널 맵 작성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채널을 설정하는 통신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채널 맵 작성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채널을 설정하는 통신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88364B1
KR100488364B1 KR10-2002-0058401A KR20020058401A KR100488364B1 KR 100488364 B1 KR100488364 B1 KR 100488364B1 KR 20020058401 A KR20020058401 A KR 20020058401A KR 100488364 B1 KR100488364 B1 KR 1004883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nnel
channel map
communication
station
ope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84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26807A (ko
Inventor
김대수
남구현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584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88364B1/ko
Publication of KR200400268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68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83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836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8Configuration management of networks or network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12Discovery or management of network topolog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22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comprising specially adapted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채널 맵 작성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채널을 설정하는 통신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유선통신 백본망에 설치된 다수의 운용국 간에 통신 채널을 설정하기 위한 채널 맵을 작성하는 프로그램을 이용하는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운용국에 설치되어 다른 운용국과 통신 채널을 형성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전송장비; 상기 각각의 운용국에 설치되어 상기 전송장비의 동작 상태를 체크하고, 채널 맵을 작성하기 위한 채널 맵 작성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있는 컴퓨터; 및 상기 전송장비와 연결되어 상기 각각의 운용국 사이에서 송수신되는 상기 데이터의 경로를 설정해 주는 라우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맵 작성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채널을 설정하는 통신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채널 맵 작성 프로그램이 설치된 컴퓨터를 이용하여 짧은 시간에 정확하고 통일된 형태의 채널 맵을 자동으로 작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채널 맵 작성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채널을 설정하는 통신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Making Channel by Using Channel Map Program in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채널 맵(Channel Map)을 자동으로 작성하는 프로그램을 이용하는 통신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통신 시스템상에 각 지역별로 설치된 각각의 전송장비간에 형성되는 채널 현황을 알려주는 채널 맵을 신속하게 자동으로 생성하는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신 시스템의 운용국에서 각 지역별 전송장비간에 통신 채널을 정확하게 형성해 주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정보통신 기술의 급속한 발전은 현재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유선 통신망의 형태를 크게 변화시켜 가고 있다. 일반적으로, 통신망이란 2인 이상의 사용자간에 정보를 교환하기 위해 상호 연결된 통신 회선의 구조를 말한다. 이러한, 유선 통신망을 통해 통신 상대방을 상호 연결하기 위한 데이터 전송 경로, 즉 채널의 접속 형태에는 점 대 점(Point to Point) 방식, 다점(Multipoint)방식, 교환 방식 등이 있다.
'점 대 점' 접속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2 개의 단말 또는 컴퓨터를 전용회선으로 항상 접속하여 두는 방식으로서 송수신하는 데이터의 양이 많을 경우에 적합하다. '다점' 접속은 하나의 회선에 여러 개의 단말을 접속하는 방식으로서 각 단말에서 송수신하는 데이터 양이 적을 때 효과적이다. '교환 방식'은 교환기를 통해 연결된 여러 개의 단말에 대해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방식으로 우리가 많이 이용하는 전화망을 통한 데이터 전송이 바로 교환 방식이다. 이는 통신 상대를 자유롭게 선택할 수는 있으나 데이터를 전송하기 전에 교환기로 상대방과의 접속을 형성하기 위한 절차가 요구된다.
이러한, 교환 방식을 통해 형성된 채널을 이용하여 수신측과 송신측 간에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해서는 7 계층으로 정의되어 있는 개방형 시스템간 상호접속(OSI : Open System Interconnection, 이하 'OSI'라 칭함) 규격을 따라야 한다. 이 OSI에 정의 된 7 계층(Layer) 중 전송 장비들 사이의 전기적인 채널을 설정하는 작업은 제 1 계층인 물리 계층과 제 2 계층인 데이터 링크 계층에 해당된다.
현재 이러한 전송 장비들 사이의 전기적인 채널을 설정하는 작업은 지역별로 설치되어 있는 전송장비 운용국의 관리자 간에 서로 전화 통화를 하여 채널 설정의 가능 여부를 상의하여 채널을 설정하고 있다. 예컨대, 대전과 분당 간에 채널을 설정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하면 대전과 분당에 있는 전송장비 운용국의 관리자 상호간에 전화 통화 등의 방법을 통해 채널의 설정 가부를 결정하고 있다. 이 때, 양쪽의 운용국의 관리자가 채널의 설정 가부 결정의 근거 자료로서 이용하는 것이 바로 채널 맵이다.
채널 맵이란 전국에 형성되어 있는 다수 개의 링(Ring)을 기준으로 관리자가 쉽게 알 수 있도록 각 지역별 전송장비 운용국 간에 사용되고 있는 채널과 사용되고 있지 않는 채널을 그려놓은 지도를 말한다. 여기서, 링이란 전송 장비를 운용하는 전송장비 운용국이 있는 일정 범위의 지역들을 연결한 폐곡선을 말한다.
도 1은 전송장비 운용국이 위치된 지역들을 연결한 다수 개의 링을 나타내는 예시 화면이다.
도 1을 보면 8 개의 링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예컨대, 도 1의 '링#2513'에서 수원에서 천안 간에 통신 채널을 형성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하면 수원의 전송장비 운용국의 관리자가 전화 통화 등의 방법으로 천안의 전송장비 운용국의 관리자와 협의하여 통신 채널을 형성한다. 이 과정에서 각 지역의 관리자가 사용되고 있지 않은 채널이 어떤 것인지를 판별할 때 사용하는 것이 채널 맵이다.
하지만, 현재 사용되고 있는 채널 맵은 각 지역 전송장비 운용국마다 관리하는 방식이 다를 뿐만 아니라 수작업으로 채널 맵이 작성되는 관계로 오류를 범할 우려가 높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도 1예서 보여지는 것과 같은 링 하나당 채널 맵을 수작업으로 작성하는데 걸리는 통상 2시간 이상의 장시간이 소요되는데, 현재 전국의 통신 시스템을 원활하게 운용하기 위해 대략 30 개 정도의 링이 형성되어 있는 점을 감안하면 전국적인 채널 맵의 작성에는 30개 링 × 2시간 = 60시간이 소요된다. 이는 전송장비 운용국에서 통상적으로 한 명의 인원이 채널 맵을 작성하는 점을 감안한다면 일주일 이상의 시간이 걸리게 된다.
따라서, 채널 맵의 갱신이 자주 이루어지기 매우 어려워 전국에 있는 다수 개의 링 중 어느 하나의 링에 변화가 생겨 채널 맵의 갱신이 필요한 경우에도 갱신 작업이 쉽게 이루어지기 힘들고, 갱신 작업을 한다고 하더라고 많은 기간이 걸리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한편, 현재 링 시스템은 각 지역 전송장비 운용국 사이에서 특정 통신 채널을 설정하면 각 링을 관리하는 중앙 운용국으로 통신 채널의 설정 사실을 통보해 주고, 이를 통보받은 중앙 운용국이 채널 맵을 갱신하는 방식으로 운용되고 있다. 하지만, 통신 채널을 설정한 각 지역 전송장비 운용국에서 통신 채널의 설정 사실을 통보해 주지 않는 경우가 간혹 발생하여 문제점을 야기하고 있다.
예컨대, 도 1의 '링#2513'에서 청주와 진천의 전송장비 운용국에서 특정 통신 채널을 설정하였지만 이러한 사실을 중앙 운용국인 대전 운용국에 통보하지 않은 경우 대전에서 충주 사이에 통신 채널을 형성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대전 운용국은 청주 운용국과 진천 운용국 사이에서 새롭게 통신 채널이 형성된 사실을 알지 못하므로, 이미 통신 채널이 설정되어 사용되고 있는 회선을 갱신되지 않은 채널 맵을 보고 사용되고 있지 않는 회선으로 판단하여 새롭게 통신 채널을 설정하는 오류를 범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종래 청주 운용국과 진천 운용국 사이에서 사용되고 있던 통신 채널이 끊겨 버리는 사고가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이, 종래 채널 맵은 전송장비 운용국의 관리자가 수작업으로 작성해야 하는 단점으로 인하여 채널 맵 작성시 오류를 범하기가 쉽고, 갱신 작업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등 전송장비의 원활한 운용에 별다른 도움을 주지 못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통신 시스템상에 각 지역별로 설치된 각각의 전송장비간에 형성되는 채널 현황을 알려주는 채널 맵을 신속하게 자동으로 생성하는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신 시스템의 운용국에서 각 지역별 전송장비간에 통신 채널을 정확하게 형성해 주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유선통신 백본망에 설치된 다수의 운용국 간에 통신 채널을 설정하기 위한 채널 맵을 작성하는 프로그램을 이용하는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운용국에 설치되어 다른 운용국과 통신 채널을 형성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전송장비; 상기 각각의 운용국에 설치되어 상기 전송장비의 동작 상태를 체크하고, 채널 맵을 작성하기 위한 채널 맵 작성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있는 컴퓨터; 및 상기 전송장비와 연결되어 상기 각각의 운용국 사이에서 송수신되는 상기 데이터의 경로를 설정해 주는 라우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맵 작성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채널을 설정하는 통신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에 의하면,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전송장비 및 상기 전송장비의 동작 상태를 체크하고, 채널 맵 작성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있는 컴퓨터가 라우터와 연결되어 있는 유선통신 백본망에서의 통신 채널 설정 방법으로서, (a) 상기 컴퓨터가 유선통신 백본망 중앙 운용국 관리자의 명령을 입력받고, 상기 채널 맵 작성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채널 맵을 주기적으로 작성하고 관리하는 단계; (b) 상기 중앙 운용국이 임의의 지역 운용국으로부터 새로운 통신 채널의 설정에 관한 요청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c) 상기 중앙 운용국이 수신된 상기 요청 데이터에 따라 이미 작성된 상기 채널 맵을 그대로 이용하거나 새로운 채널 맵을 작성하여 사용 가능한 회선 정보를 파악하는 단계; (d) 상기 중앙 운용국은 상기 회선 정보를 통신망을 통해 해당 지역 운용국들로 통보하는 단계; 및 (e) 상기 해당 지역 운용국들은 수신한 상기 회선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통신 채널의 설정을 완료하고 상기 중앙 운용국으로 통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맵 작성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채널을 설정하는 통신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선통신 백본(Backbone)망을 간략하게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2와 같이 구성된 망을 일반적으로 DCN(Data Core Network)이라고 한다.
도 2를 보면, 유선통신 백본망은 여러 지역의 운용국들을 연결하는 링 구조로 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하, 각 운용국의 내부 구성 및 각 장치들의 기능은 운용국 A(200)를 예로 설명하겠다. 운용국 A(200)는 고속의 데이터 전송을 지원하는 전송장비(204), 통신 채널을 설정하기 위한 컴퓨터(202), 허브(Hub)(205), 라우터(Router)(206) 및 채널 서비스 유닛(CSU : Channel Service Unit: 이하, 'CSU'라 칭함)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컴퓨터(202)는 운용국 A(200)의 관리자가 전송장비(204)의 동작 상태를 확인 및 감시하고, 다른 지역의 운용국(210, 220)과 새로운 통신 채널을 형성하기 위한 데이터를 입력하는 데 사용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202)에는 채널 맵을 자동으로 작성하기 위한 소정의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운용국 A(200)의 관리자는 전송장비(204)에서 현재 사용되고 있는 채널의 현황 등을 나타내는 로그(Log) 파일을 전송장비(204)로부터 수신하고, 내장된 채널 맵 작성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채널 맵을 작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로그 파일과 채널 맵 작성 프로그램에 대해서는 도3과 도 4a 내지 도 4c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전송장비(204)는 광 케이블과 같은 전송매체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데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송장비(204)는 2.5 Gbps의 전송속도를 지원하는 광전송 장비로서, 비동기식 신호인 DS-3(45 Mbps) 신호와 동기식 신호인 STM(Synchronous Transport Module)-1(155 Mbps) 신호를 전송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송장비(204)는 DS3 신호 48개를 다중화하여 사용할 수 있다. 각 운용국(200, 210, 220)에 설치되는 전송장비(204, 214, 224)끼리는 광 케이블을 통해 P2P(Peer to Peer) 방식으로 직접 연결되어 채널이 설정되고, 2.5 Gbps급의 데이터가 송수신된다.
또한, 전송장비(204)는 자신이 사용중인 채널의 현황을 알려주는 로그 파일을 자동으로 생성하여 저장한다. 물론, 각 운용국(200, 210, 220)에는 전송장비(204)는 하나가 아닌 다수 개가 설치될 수도 있다.
허브(205)는 컴퓨터(202)와 같은 터미널에 접속되는 장치로서, 컴퓨터(202)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라우터(206)로 전송하거나 라우터(206)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컴퓨터(202)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라우터(206)는 물리적 네트워크를 상호 연결하는 네트워크 장비로서, 여러 개의 네트워크 사이에 연결하여 한 네트워크에서 다른 네트워크로 통신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하드웨어나 장치를 말한다. 즉, 허브(205)를 통해 컴퓨터(202)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가 목적지로 정확하게 전송될 수 있도록 하는 중계기 기능을 한다.
CSU(208)는 T1(1.544 Mbps)급이나 E1(2.048 Mbps)급 트렁크(Trunk)를 수용할 수 있는 장비로서, 트렁크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여 전송 속도에 따라 다수 개의 채널로 데이터를 분할하여 전송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여기서, 트렁크란 일반적으로 통신 시스템에서 다수 개의 통신 회선의 묶음을 말한다.
도 2에 예시된 DCN을 통해 송수신되는 데이터는 전송장비(204, 214, 224)나 전송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각종 상황에 관련된 것들이다. 예컨대, 전송장비(204, 214, 224)에서 장애가 발생하여 알람 메시지가 생성되거나, 전송 시스템에 회선 단절이나 불량 문제가 발생하거나 회선 설정에 변화가 발생하는 등을 나타내는 데이터가 DCN을 통해 송수신된다.
한편, 도 2와 같은 링 구조에서 운용국 A(200)에서 운용국 C(220)로 통신 채널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운용국 A(200)의 관리자는 운용국 A(200), 운용국 B(210) 및 운용국 C(220)로 이루어지는 링의 채널 맵을 컴퓨터(202)를 이용하여 새로 작성하거나, 기존에 이미 작성되어 있는 채널 맵을 가지고 사용되고 있는 않는 채널을 확인하여 새로운 통신 채널을 설정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송장비에서 생성되는 로그 파일을 나타낸 예시 화면이다.
도 3을 보면, 첫번째 라인의 'BD-DG2'는 전송장비 사이에서 형성되는 회선의 이름이고, '2140'은 데이터 시발지의 운용국(노드)명이고, 'DAEJEON_2503'은 노드명 2140의 지역명이 대전임을 나타내고, 회선의 최대 데이터 전송 속도는 2.5 Gbps임을 나타낸다. 마찬가지로, 다음의 '2190'은 목적지나 경유지의 운용국(노드)명이고, 'TAEGU'는 노드명 2190의 지역명이 대구임을 나타내고, 'STS-1'은 전송되는 데이터가 155 Mbps의 전송속도를 가지는 신호 형식임을 나타내고, 'Bidirectional'은 양방향으로 데이터의 송수신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나타낸다. 이와 같이 전송장비에서 생성되는 로그 파일에 관한 상세한 내용은 통상의 당업자에게 널리 알려진 공지의 내용이므로 이에 대한 더욱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이렇게 각 운용국의 전송장비에서 생성되는 로그 파일은 각 운용국의 관리자 컴퓨터로 전송되어 관리자가 로그 파일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의 링으로 연결되어 있는 다수의 운용국은 전송장비에서 생성되는 로그 파일을 링마다 있는 중앙 운용국으로 통신망을 통해 전송한다. 따라서, 중앙 운용국의 관리자는 각 지역 운용국으로부터 전송받은 로그 파일을 이용하여 주기적으로(주당 1회 등) 또는 링의 구성에 변화가 있을 경우에 새로운 채널 맵을 생성하여 관리한다.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운용국 A(200)가 중앙 운용국이라고 가정하면 운용국 A(200)는 운용국 B(210) 및 운용국 C(220)로부터 로그 파일을 전송받아 주기적으로 채널 맵을 작성하여 관리한다. 따라서, 운용국 B(210)와 운용국 C(220) 사이에 새로운 채널을 설정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하면 운용국 A(200)의 관리자는 가지고 있는 채널 맵을 이용하여 운용국 B(210)와 운용국 C(220) 사이에 사용되고 있지 않은 회선을 확인하여, 이를 운용국 B(210)와 운용국 C(220)에 통보함으로써 운용국 B(210)와 운용국 C(220)가 새로운 채널을 설정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채널 맵 작성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채널 맵을 작성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예시 화면이다.
운용국의 관리자가 채널 맵을 작성하기 위해서 컴퓨터에 설치되어 있는 채널 맵 작성 프로그램을 구동하여야 한다. 채널 맵 작성 구동 프로그램을 구동하면 도 4a의 배경창이 컴퓨터에 디스플레이된다. 이 때, 관리자는 'FILE' 메뉴를 클릭하여 '로그 파일 열기'를 선택하고, 도 3에서 설명한 특정 로그 파일을 선택한다. 관리자가 특정 로그 파일을 선택하면 선택된 로그 파일에 포함되어 모든 노드명이 도 4a와 같이 팝업(Pop-up)창으로 디스플레이된다. 도 4a를 보면, 해당 로그 파일이 생성된 운용국은 대전, 대구, 둔산, 전주, 광주 및 부산으로 형성되는 링에 속해 있음을 알 수 있다.
관리자는 도 4a 화면에서 일정한 순서대로 노드를 선택해야 한다. 여기서, 일정한 순서는 로그 파일을 생성한 전송장비에 표시되어 있는 순서를 말한다. 즉, 대전을 먼저 선택하든 전주를 먼저 선택하든 특정 노드를 선택하면 다음에 선택해야 하는 노드가 이미 정해여 있다. 이 노드의 입력 순서는 도 1에서 설명한 링에 설치된 운용국의 순서이다. 예컨대, 수원, 천안, 둔산, 대전 청주로 구성되는 링의 채널 맵을 작성하고자 한다면 어느 지역이 먼저 선택되든 수원 다음에는 천안, 둔산 다음에는 대전의 순으로 노드가 입력되어야 한다.
도 4a에서 순서대로 노드를 선택하면 도 4b에 보여지는 것처럼 선택된 노드의 순서가 차례대로 디스플레이된다. 따라서, 관리자는 노드가 순서대로 선택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물론, 노드의 순서가 잘못 입력되었다면 도 4b에서 확인 버튼을 누르지 말고, 노드를 새롭게 입력해야 한다. 도 4b에서 노드가 제대로 입력되었다고 확인을 한 관리자가 채널 맵을 생성하기 위해서는 확인 버튼을 눌러야 한다.
도 4c는 채널 맵 작성 프로그램이 작성한 하나의 링에 대한 채널 맵을 나타낸 예시 화면이다. 도 4c를 보면, 도 4a에서 선택한 여섯 개의 노드명이 직사각형의 노드 박스로 표현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노드 박스는 좌측과 우측 모두 24개의 회선을 사용할 수 있다. 이는 도 2에서 설명하였듯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송장비가 48개의 DS3 신호 채널을 가지기 때문이다.
여기서, 도 3에서 설명한 로그 파일을 이용하여 도 4c와 같은 채널 맵을 작성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로그 파일을 읽어 들인 채널 맵 작성 프로그램은 로그 파일에 포함된 노드의 개수를 파악하여 먼저 노드 박스부터 차례대로 생성한다. 그런 다음, 로그 파일의 첫번째 라인부터 해석하여 사용중인 회선은 실선으로, 사용되고 있지 않은 회선은 점선으로 표시한다.
예컨대, 첫번째 라인의 회선명 'BD-DG2'는 대전(2140)에서 대구(2190) 사이에 형성되는 회선으로 쌍방향(Bidirectional)이고, 21번째 포트(포트명 G16)를 사용하고 있다. 도 4c를 보면, 대전 노드박스(2140)의 좌측의 21번째 포트(G16)에서 출발하는 실선이 바로 회선명 'BD-DG2'이고 둔산 노드박스(2360), 전주 노드박스(2351), 광주 노드박스(2310) 및 부산 노드박스(2240)을 거쳐 대구 노드박스(2190)으로 연결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 3의 마지막 라인의 회선명 'BR-BS6'은 대전(2140)에서 부산(2240) 사이에 형성되는 회선으로 쌍방향이고, 24번째 포트를 사용하고 있다. 도 4c를 보면, 대전 노드박스(2140)의 우측의 24번째 포트에서 출발하는 실선이 바로 회선명 'BR-BS6'이고, 대구 노드박스(2190)을 거쳐 부산 노드박스(2240)로 연결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종래에는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방법으로 관리자가 채널 맵을 수작업으로 일일이 작성하였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동일한 방법으로 채널 맵을 작성하지만 채널 맵 작성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작성함으로 채널 맵 작성 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할 수 효과가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채널 맵 작성 프로그램을 이용한 채널 설정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각 링에 있는 중앙 운용국의 관리자는 채널 맵 작성 프로그램과 전송장비에서 생성되는 로그 파일을 이용하여 주기적으로 채널 맵을 작성하여 관리한다(S500).
유선통신 백본망의 특정 지역 운용국 간에 새로운 통신 채널을 설정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한다(S502).
새로운 통신 채널을 설정해야 하는 경우 시발지 운용국의 관리자는 중앙 운용국으로 통신 채널을 설정 상황이 발생하였음을 통보한다(S504).
지역 운용국으로부터 통신 채널의 설정 상황을 통보받은 중앙 운용국의 관리자는 채널 맵을 새로 작성할 것인지 기존에 작성한 채널 맵을 그대로 사용할 것인지를 판단한다(S506).
단계 S506에서 채널 맵을 새로 작성하고자 한다면 컴퓨터에 설치되어 있는 채널 맵 작성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채널 맵을 자동으로 작성한다(S508).
그렇지 않고, 기존에 작성되어 있는 채널 맵을 그대로 이용하는 경우에는 관리자는 채널 맵을 보고 채널 설정 요청이 발생한 운용국 사이에 사용되고 있지 않는 회선 정보(포트 번호)를 파악한다(S510).
중앙 운용국의 관리자는 통신망을 통해 파악한 회선 정보를 시발지, 경유지 및 목적지 운용국에 통보한다(S512).
중앙 운용국으로부터 회선 정보를 전달받은 각 지역 운용국의 관리자는 수신한 회선 정보를 이용하여 통신 채널 설정 작업을 수행한다(S514).
시발지 운용국과 목적지 운용국 사이에 통신 채널의 설정 작업이 완료되어 새로운 통신 채널이 설정되면 해당 사실을 중앙 운용국으로 통보한다(S516). 한편, 지역 운용국으로부터 통신 채널의 설정 완료 통보를 받은 중앙 운용국의 관리자는 새롭게 설정된 통신 채널의 정보를 포함시켜 기존의 채널 맵을 갱신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종래 각 지역 운용국의 관리자가 수작업으로 일일이 채널 맵을 작성하는 방법은 매우 많은 시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채널 맵 작성에 오류가 발생하였지만 본 발명에 의하면 채널 맵 작성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짧은 시간에 자동으로 채널 맵을 작성할 수 있고, 전자적인 방법을 사용하므로 채널 맵 작성에 오류가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종래 유선통신 망에서 새로운 통신 채널을 설정하는 경우 해당 지역 운용국 간에 채널을 설정하고 중앙 운용국에 통보하지 않는 경우 통신망에 큰 문제점을 야기할 수 있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각 링의 중앙 운용국에서 채널 설정을 총괄하여 관리하므로 채널 설정시 오류를 범할 위험이 획기적으로 개선될 수 있다.
도 1은 전송장비 운용국이 위치된 지역들을 연결한 다수 개의 링을 나타내는 예시 화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선통신 백본망을 간략하게 나타낸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송장비에서 생성되는 로그 파일을 나타낸 예시 화면,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채널 맵 작성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채널 맵을 작성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예시 화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채널 맵 작성 프로그램을 이용한 채널 설정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0 : 운용국 202 : 컴퓨터
204 : 전송장비 205 : 허브
206 : 라우터 208 : 채널 서비스 유닛

Claims (15)

  1. 유선통신 백본망에 설치된 다수의 운용국 간에 통신 채널을 설정하기 위한 채널 맵을 작성하는 프로그램을 이용하는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운용국에 설치되어 다른 운용국과 통신 채널을 형성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전송장비;
    상기 각각의 운용국에 설치되어 상기 전송장비의 동작 상태를 체크하고, 상기 각각의 운용국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통신 채널의 시발지 운용국과 목적지 운용국의 관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로그 파일을 이용하여 상기 채널 맵을 작성하기 위한 채널 맵 작성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있는 컴퓨터; 및
    상기 컴퓨터와 연결되어 상기 각각의 전송장비에서 생성되는 전송 관련 메시지 데이터의 경로를 설정해 주는 라우터(Router)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맵 작성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채널을 설정하는 통신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장비는 광전송장비로서 DS3 신호를 48개까지 수용하여 2.5 Gbps의 전송속도를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맵 작성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채널을 설정하는 통신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는 상기 전송장비와 연결되고, 허브(Hub)를 통해 상기 라우터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맵 작성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채널을 설정하는 통신 시스템.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라우터에는 상기 컴퓨터로부터 송수신되는 상기 전송 관련 메시지 데이터를 다수 개의 채널에 분할하여 전송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채널 서비스 유닛(CSU : Channel Service Unit)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맵 작성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채널을 설정하는 통신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운용국은 상기 데이터를 광케이블을 통해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맵 작성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채널을 설정하는 통신 시스템.
  8.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전송장비 및 상기 전송장비의 동작 상태를 체크하고, 채널 맵 작성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있는 컴퓨터가 라우터와 연결되어 있는 유선통신 백본망에서의 통신 채널 설정 방법으로서,
    (a) 상기 컴퓨터가 유선통신 백본망의 중앙 운용국 관리자의 명령을 입력받고, 상기 전송장비에서 생성되고 저장되어 있는 로그 파일을 이용하여 상기 채널 맵을 자동으로 작성하는 상기 채널 맵 작성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채널 맵을 주기적으로 작성하고 관리하는 단계;
    (b) 상기 중앙 운용국이 임의의 지역 운용국으로부터 새로운 통신 채널의 설정할 시발지 운용국과 목적지 운용국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요청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c) 상기 중앙 운용국이 수신된 상기 요청 데이터에 따라 이미 작성된 상기 채널 맵을 그대로 이용하거나 새로운 채널 맵을 작성하여 사용 가능한 회선 정보를 파악하는 단계;
    (d) 상기 중앙 운용국은 상기 회선 정보를 통신망을 통해 해당 지역 운용국들로 통보하는 단계; 및
    (e) 상기 해당 지역 운용국들은 수신한 상기 회선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통신 채널의 설정을 완료하고 상기 중앙 운용국으로 통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맵 작성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채널을 설정하는 통신 방법.
  9. 삭제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에서
    상기 컴퓨터는 관리자의 명령에 따라 상기 채널 맵 작성 프로그램을 구동하고, 상기 로그 파일을 선택한 후 디스플레이되는 운용국 입력창에서 관리자가 기설정된 순서대로 입력하는 상기 운용국 선택 정보를 수신 및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맵 작성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채널을 설정하는 통신 방법.
  11. 제 8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기설정된 순서는 링(Ring)형 백본망에서 상기 각각의 운용국이 연결된 순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맵 작성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채널을 설정하는 통신 방법.
  12. 삭제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에서
    상기 회선 정보는 상기 채널 맵에서 점선으로 표시되는 사용되고 있지 않은 회선의 포트(Port) 번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맵 작성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채널을 설정하는 통신 방법.
  14.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d)에서
    상기 해당 운용국들은 상기 통신 채널을 새로 설정해야 하는 시발지 운용국과 목적지 운용국 및 상기 시발지 운용국과 상기 목적지 운용국의 경로에 있는 경유지 운용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맵 작성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채널을 설정하는 통신 방법.
  15.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e)에서
    상기 통신 채널의 설정 완료 통보를 수신한 상기 중앙 운용국은 새롭게 형성된 상기 통신 채널의 정보를 포함하여 상기 채널 맵을 갱신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맵 작성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채널을 설정하는 통신 방법.
KR10-2002-0058401A 2002-09-26 2002-09-26 채널 맵 작성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채널을 설정하는 통신방법 및 시스템 KR1004883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8401A KR100488364B1 (ko) 2002-09-26 2002-09-26 채널 맵 작성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채널을 설정하는 통신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8401A KR100488364B1 (ko) 2002-09-26 2002-09-26 채널 맵 작성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채널을 설정하는 통신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6807A KR20040026807A (ko) 2004-04-01
KR100488364B1 true KR100488364B1 (ko) 2005-05-11

Family

ID=373294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8401A KR100488364B1 (ko) 2002-09-26 2002-09-26 채널 맵 작성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채널을 설정하는 통신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88364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14959A (en) * 1996-10-31 1999-06-22 Glenayre Electronics, Inc. Digital communications system having an automatically selectable transmission rate
EP1026916A2 (en) * 1999-02-03 2000-08-09 Lucent Technologies Inc. Automatic telecommunications link identification system
JP2001086119A (ja) * 1999-07-27 2001-03-30 Lucent Technol Inc ユーザに情報を表示する方法および装置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製品
KR20010086774A (ko) * 2000-03-03 2001-09-15 윤종용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 맵 상에서 링크 상태 반영 및링크에서의 이벤트 처리 방법
KR20020028609A (ko) * 2000-10-11 2002-04-17 오길록 라인 정합 시스템에서의 연결정보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KR20020091956A (ko) * 2001-06-01 2002-12-11 삼성전자 주식회사 분산처리환경에서의 노드 및 프로세스 관리방법
KR20040000762A (ko) * 2002-06-25 2004-01-07 주식회사 케이티 비동기 전송망의 경로 제공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14959A (en) * 1996-10-31 1999-06-22 Glenayre Electronics, Inc. Digital communications system having an automatically selectable transmission rate
EP1026916A2 (en) * 1999-02-03 2000-08-09 Lucent Technologies Inc. Automatic telecommunications link identification system
JP2001086119A (ja) * 1999-07-27 2001-03-30 Lucent Technol Inc ユーザに情報を表示する方法および装置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製品
KR20010086774A (ko) * 2000-03-03 2001-09-15 윤종용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 맵 상에서 링크 상태 반영 및링크에서의 이벤트 처리 방법
KR20020028609A (ko) * 2000-10-11 2002-04-17 오길록 라인 정합 시스템에서의 연결정보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KR20020091956A (ko) * 2001-06-01 2002-12-11 삼성전자 주식회사 분산처리환경에서의 노드 및 프로세스 관리방법
KR20040000762A (ko) * 2002-06-25 2004-01-07 주식회사 케이티 비동기 전송망의 경로 제공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6807A (ko) 2004-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89333B2 (en) Provisioning a network element using custom defaults
US7633952B2 (en) Discovery of physically adjacent neighbor devices using a unidirectional in-band process coupled with an out-of-band follow-up process
JP3169541B2 (ja) 同期通信システムのパス自動設定装置
EP2075966A1 (en) A calculating method and apparatus of service path
CN107104832B (zh) 跨洋复用段环网上自动发现跨节点业务拓扑的方法和设备
US6944657B1 (en) Automatic network synchronization of the network configuration with the management information database
CN101888573B (zh) 一种自动发现相邻节点间资源状态的方法和系统
CN103108347A (zh) 有线网络和无线网络的关联告警方法及装置
WO2017215383A1 (zh) 网元配置方法及装置、网元管理方法及装置
KR100488364B1 (ko) 채널 맵 작성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채널을 설정하는 통신방법 및 시스템
JP4673532B2 (ja) マルチマネージャ環境における包括アライメントプロセス
CN114422420B (zh) 路由信息处理方法及网络数据管理系统
JP2007528165A (ja) 光ネットワークアプリケーション用のスケルチテーブルの自動更新
CA2244564C (en) Capability modeling using templates in network management system
US8127042B1 (en) Data driven connection rule/constraint engine applied to trail management
CN109743112B (zh) Otn组网方法、装置、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EP0923270A2 (en) State machine for trail management system
JP5035120B2 (ja) 伝送装置、伝送方法および伝送プログラム
JP5223611B2 (ja) マイクロ波無線通信システム、そのパス設定制御方法、マイクロ波無線通信装置、及び制御端末
CN112104437B (zh) 一种roadm业务创建方法、装置及计算机存储介质
KR100757873B1 (ko) 가상 oid를 이용한 snmp 관리 시스템 및 그제어방법
KR101930900B1 (ko) 광 네트워크 장비들의 연결 정보 구축 장치 및 방법
US11277307B2 (en) Configuring managed devices when a network management system (NMS) is not reachable
CN107528660B (zh) 传输公务电话业务的方法和sdh终端设备
CN117251478A (zh) 数据处理方法、装置、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1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