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87223B1 - Portable phone with direction-variable microphone - Google Patents

Portable phone with direction-variable micropho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87223B1
KR100487223B1 KR10-2002-0048668A KR20020048668A KR100487223B1 KR 100487223 B1 KR100487223 B1 KR 100487223B1 KR 20020048668 A KR20020048668 A KR 20020048668A KR 100487223 B1 KR100487223 B1 KR 1004872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microphone
folder
rotatable
camera le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866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40016477A (en
Inventor
권태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486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87223B1/en
Publication of KR200400164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647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72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7223B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3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e.g. telephone hand-sets
    • H04M1/035Improving the acoustic characteristics by means of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housing, e.g. ribs, walls, resonating chambers or cav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rotatable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1Transducers incorporated or for use in hand-held devices, e.g. mobile phones, PDA's, camer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에는 지향 방향을 가변할 수 있는 마이크 장치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가 개시된다. 개시된 휴대용 단말기는 (a) 다 수의 키들의 배열로 이루어진 키패드과, 상기 키패드와 근접하게 제공되는 고정성 마이크 장치를 구비하는 본체와, (c) 스피커 장치와, 상기 스피커 장치와 근접하게 제공되는 표시 장치를 구비한 폴더와, (c) 상기 본체와 폴더를 회전가능하게 연결시키는 힌지 장치로 구성된 폴더형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힌지 장치와 동축 일단쪽으로 제공되어 원하는 각도 만큼 회전가능한 카메라 렌즈를 구비한 회전성 카메라 렌즈 하우징; 및 상기 카메라 렌즈 하우징과 동축으로 이웃하게 제공되어 지향 방향이 가변될 수 있는 마이크 장치를 구비한 회전성 마이크 하우징으로 구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microphone device capable of varying the directing direction. The disclosed portable terminal comprises (a) a main body having a keypad composed of an array of keys, a fixed microphone device provided in proximity to the keypad, (c) a speaker device, and a display provided in proximity to the speaker device. A folder-type terminal comprising a folder provided with a device, and (c) a hinge device for rotatably connecting the main body and the folder, comprising: a rotation having a camera lens provided coaxially with the hinge device and rotatable by a desired angle; Sex camera lens housing; And a microphone unit provided coaxially with the camera lens housing and having a microphone device capable of varying a direction of orientation.

Description

지향 방향을 가변할 수 있는 마이크 장치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PORTABLE PHONE WITH DIRECTION-VARIABLE MICROPHONE} PORTABLE PHONE WITH DIRECTION-VARIABLE MICROPHONE}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지향 방향을 가변할 수 있는 마이크 장치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microphone device capable of varying the direction of orientation.

통상적으로 "휴대용 단말기"라 함은 사용자가 휴대하면서 상대방과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장치를 의미한다. 이러한 휴대용 통신 장치는 외형상으로 여러 타입으로 분류된다. 예를 들어, 무선 단말기는 외형에 따라서 바-형(bar-type), 플립-형(flip-type) 또는 폴더-형(folder-type) 무선 단말기로 분류된다. 바-형 무선 단말기는 단일 하우징이 바-형으로 구성된 것을 의미하고, 플립-형 무선 단말기는 바-형의 하우징에 힌지장치에 의해 플립이 회전가능하게 구성된 것을 의미하며, 폴더-형 무선 단말기는 단일의 바-형 하우징에 폴더가 힌지장치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접는 방식으로 구성된 것을 의미한다.In general, the term “portable terminal” refers to a device that a user can carry and wirelessly communicate with a counterpart. Such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s are classified into various types in appearance. For example, wireless terminals are classified as bar-type, flip-type, or folder-type wireless terminals according to their appearance. The bar-type wireless terminal means that the single housing is configured as the bar-type, the flip-type wireless terminal means that the flip is rotatably configured by the hinge device in the bar-type housing, It means that the folder is configured to be rotatably connected and folded by a hinge device in a single bar-shaped housing.

또한, 휴대용 단말기는 신체 착용위치 또는 착용 방식에 따라서 목걸이-형(neck wearable-type) 또는 손목착용-형(wrist-type)으로 분류되기도 한다. 목걸이-형 무선 단말기는 끈을 이용하여 단말기를 목에 착용하는 휴대방식을 의미하고, 손목착용-형 무선 단말기는 손목에 단말기를 착용하는 휴대방식을 의미한다.In addition, the mobile terminal may be classified into a neck wearable type or a wrist wear type according to a body wearing position or a wearing method. A necklace-type wireless terminal refers to a portable method of wearing a terminal around a neck using a string, and a wrist-type wireless terminal refers to a portable method of wearing a terminal to a wrist.

또한, 무선 단말기는 개폐 방식에 따라서 회전-형(rotation-type) 또는 슬라이딩-형(sliding-type) 무선 단말기로 분류되기도 한다. 회전-형 무선 단말기는 두개의 하우징이 마주보면서 대면한 상태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개폐되는 것을 의미하고, 슬라이딩-형 무선 단말기는 두 개의 하우징이 길이방향 슬라이딩이동으로대면한 상태로 개폐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열거된 다양하게 분류된 무선 단말기는 당해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the wireless terminal may be classified into a rotation-type or sliding-type wireless terminal according to an opening and closing method. The rotation-type wireless terminal means that the two housings are rotatably connected and opened in a facing state facing each other, and the sliding-type wireless terminal means that the two housings are opened and closed in a facing state by longitudinal sliding movements. do. The variously classified wireless terminals listed above will be readi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도 1, 도 2에 종래의 휴대용 단말기 중, 가장 대중화된 폴더형 단말기의 구성이 도시되었다. 폴더형 단말기를 예를 들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폴더가 닫힌 상태를 도시하고, 도 2는 폴더가 열린 상태를 도시한다. 도 1,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휴대용 단말기는 본체 하우징(10)과, 폴더(20)와, 상기 본체 하우징(10)과 폴더(20)를 회전가능하게 연결시키는 힌지 하우징(27)와, 상기 힌지 하우징(27)과 이웃하게 동축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카메라 렌즈 하우징(25)으로 구성된다.1 and 2, the configuration of the most popular foldable terminal among the conventional portable terminals is shown. A folder type terminal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1 shows a closed state of the folder, and FIG. 2 shows a opened state of the folder. 1 and 2, the conventional portable terminal has a hinge housing 27 for rotatably connecting the main body housing 10, the folder 20, and the main body housing 10 and the folder 20. And a camera lens housing 25 rotatably connected coaxially with the hinge housing 27.

상기 본체 하우징(10)은 그의 상면(10a)에 다수 개의 키들의 배열로 이루어져 손가락 누름 동작으로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는 키패드(12)와, 상기 키패드와 근접한 곳에 위치한 고정성 마이크 장치(14)를 구비한다. 상기 폴더(20)는 그의 하면(20b)에 고정성 스피커 장치(22)와, 상기 고정성 스피커 장치(22)와 근접하게 입력된 데이터가 디스플레이되는 표시 장치(24)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본체 하우징(10)과 폴더(20)사이에 힌지 장치의 원통형 힌지 하우징(27)과, 원통형 카메라 렌즈 하우징(25)이 형성된다. 상기 카메라 렌즈 하우징(25)은 카메라 렌즈(26)를 구비하며, 상대방과 화상 통화를 하거나, 원하는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상기 카메라 렌즈 하우징(25)이 회전가능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편리하게 휴대용 단말기를 사용할 수 있었다. 상기 힌지 하우징은 미 도시된 힌지 모듈이 내장된다. 물론, 상기 고정성 스피커 장치(22)와 마이크 장치(14)는 사용자의 귀와 입간의 거리를 고려하여 배치되며, 상기 카메라 렌즈(26)는 미 도시된 씨씨디 소자와 연결된 상태로 구성되고, 카메라 렌즈의 씨씨디 소자는 미 도시된 연성 회로를 이용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참조부호11은 본체 하우징 길이방향으로 인입/인출이 가능한 안테나 장치를 지칭한다.The main body housing 10 includes a keypad 12 that is arranged in a plurality of keys on its upper surface 10a for inputting data by a finger pressing operation, and a fixed microphone device 14 positioned close to the keypad. Equipped. The folder 20 includes a fixed speaker device 22 on its lower surface 20b and a display device 24 on which data input in proximity to the fixed speaker device 22 is displayed. A cylindrical hinge housing 27 of the hinge device and a cylindrical camera lens housing 25 are formed between the main body housing 10 and the folder 20. The camera lens housing 25 includes a camera lens 26 and is used to make a video call with the other party or to photograph a desired subject. Since the camera lens housing 25 is rotatable, the user can conveniently use the portable terminal. The hinge housing includes a hinge module (not shown). Of course, the fixed speaker device 22 and the microphone device 14 are disposed in consideration of the distance between the user's ear and the mouth, the camera lens 26 is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the CD device not shown, the camera The CD elements of the lens are electrically connected using a flexible circuit not shown. Reference numeral 11 denotes an antenna device capable of drawing in / ou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housing.

그러나, 종래의 휴대용 단말기는 녹화 기능이 있거나, 화상 전화 시 경우에 따라서 카메라 렌즈가 향하는 방향과 고정성 마이크 장치의 지향 방향이 서로 상이해야 할 필요성이 발생된다. 즉, 사용자는 고정성 마이크의 지향 방향을 가변할 필요성을 느낄때가 있는 것이다. 하지만, 종래의 휴대용 단말기로는 마이크 장치의 지향 방향을 가변할 수 없는 사용 상의 불편함이 발생된다.However, the conventional portable terminal has a recording function, or there is a need for the direction in which the camera lens faces and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xed microphone device is different depending on the video call. In other words, the user may feel the need to change the direction of orientation of the fixed microphone. However, in the conventional portable terminal, inconvenience in use does not allow the direction of the microphone device to be changed.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고정성 마이크 장치와 가변성 마이크 장치를 구비하여 모드 전환에 따른 선택된 하나의 마이크 장치를 사용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함에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fixed microphone device and a variable microphone device that can use a selected microphone device according to mode switching.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지향 방향을 가변할 수 있는 가변성 마이크 장치를 힌지 축에 구비하여 사용하기에 편리한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rtable terminal that is convenient for use with a variable microphone device that can change the direction of orientation on the hinge axis.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회전성 렌즈 하우징과 회전성 마이크 하우징이 일체형으로 형성된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함에 있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rtable terminal in which the rotatable lens housing and the rotatable microphone housing are integrally formed.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a) 다 수의 키들의 배열로 이루어진 키패드과, 상기 키패드와 근접하게 제공되는 고정성 마이크 장치를 구비하는 본체와, (c) 스피커 장치와, 상기 스피커 장치와 근접하게 제공되는 표시 장치를 구비한 폴더와, (c) 상기 본체와 폴더를 회전가능하게 연결시키는 힌지 장치로 구성된 폴더형 단말기에 있어서,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ain body including (a) a keypad composed of an array of keys, a fixed microphone device provided in proximity to the keypad, (c) a speaker device, and the speaker device. A folder comprising a folder provided with a display device provided in close proximity to (c) and a hinge device for rotatably connecting the main body and the folder.

상기 힌지 장치와 동축 일단쪽으로 제공되어 원하는 각도 만큼 회전가능한 카메라 렌즈를 구비한 회전성 카메라 렌즈 하우징; 및A rotatable camera lens housing having a camera lens provided coaxially with the hinge device and rotatable by a desired angle; And

상기 카메라 렌즈 하우징과 동축으로 이웃하게 제공되어 지향 방향이 가변될 수 있는 마이크 장치를 구비한 회전성 마이크 하우징으로 구성된다. And a rotatable microphone housing provided coaxially with the camera lens housing and having a microphone device capable of varying the direction of orientation.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well-known functions or configurations are omitted in order not to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는 두 개의 마이크 장치(34,62)를 구비한다. 하나의 고정성 마이크 장치(34)는 본체 하우징 상면(30a) 소정위치에 고정되고, 다른 하나의 가변성 마이크 장치(62)는 힌지 축(A1)과 동축으로 그의 외주면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는 고정성 마이크 장치(34)와, 가변성 마이크 장치(62)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임에 유의하여야 한다.As shown in Figs. 3 to 5,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two microphone devices 34 and 62. One stationary microphone device 34 is fix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n the body housing upper surface 30a, and the other variable microphone device 62 is rotatably mounted on its outer peripheral surface coaxially with the hinge axis A1. That is, it should be noted that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portable terminal capable of selectively using the fixed microphone device 34 and the variable microphone device 62.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는 본체 하우징(30)과, 폴더(40)와, 본체 하우징(30)과 폴더(40)를 회전가능하게 연결시키는 힌지 장치의 힌지 하우징(35)과, 상기 힌지 하우징(35) 일측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회전성 카메라 렌즈 하우징(50)과, 상기 회전성 카메라 렌즈 하우징(50)과 이웃하게 형성된 회전성 마이크 하우징(60)으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 하우징(30)은 원하는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하여 다수 개의 키들의 배열로 이루어진 키패드(32)와, 상기 키패드(32) 하측으로 배치된 고정성 마이크 장치(34)를 포함한다.Specifically,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housing 30, a folder 40, a hinge housing 35 of a hinge device for rotatably connecting the main housing 30 and the folder 40, and the hinge. The rotatable camera lens housing 50 rotatably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housing 35 and the rotatable microphone housing 60 formed adjacent to the rotatable camera lens housing 50. The body housing 30 includes a keypad 32 composed of an arrangement of a plurality of keys for inputting desired data, and a fixed microphone device 34 disposed below the keypad 32.

상기 폴더(40)는 그의 하면(40b)에 고정성 스피커 장치(42)와, 상기 고정성 스피커 장치(42) 하측으로 입력된 데이터가 디스플레이되는 표시 장치(44)를 구비한다.The folder 40 includes a fixed speaker device 42 on its lower surface 40b and a display device 44 on which data input below the fixed speaker device 42 is displayed.

상기 힌지 장치는 본체 하우징(30)과 폴더(20)를 회전가능하게 연결시키며, 일측으로 회전성 렌즈 하우징(50)과 회전성 마이크 하우징(60)이 제공되고, 그의 내부에 미 도시된 힌지 모듈이 장착된다. 상기 회전성 렌즈 하우징(50)은 이웃하게 회전성 마이크 하우징(60)을 구비한다. 상기 회전성 렌즈 하우징(50)은 카메라 렌즈(52)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성 마이크 하우징(60)은 회전하기 때문에 발생되는 가변성 마이크 장치(62)를 구비한다.The hinge device rotatably connects the main body housing 30 and the folder 20, and a rotatable lens housing 50 and a rotatable microphone housing 60 are provided at one side thereof, and a hinge module not shown therein. Is fitted. The rotatable lens housing 50 has a rotatable microphone housing 60 adjacent thereto. The rotatable lens housing 50 includes a camera lens 52 and the rotatable microphone housing 60 includes a variable microphone device 62 which is generated because of rotation.

상기 회전성 마이크 하우징(60)은 회전성 렌즈 하우징(50)과 일체형으로 구성되짐으로서, 상기 회전성 렌즈 하우징(50)의 회전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구성된다. 상기 힌지 하우징은 힌지축(A1)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상기 회전성 마이크 하우징은 힌지축(A2)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상기 각각의 힌지축(A1,A2)은 동일한 회전축으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 상기 회전성 렌즈 하우징(50)과 회전성 마이크 하우징(A2)은 힌지축(A1,A2)을 따라서 설치되어져야 하기 때문에 원통형으로 구성된다. 물론, 사용자는 선택적으로 카메라 렌즈 작동 모드일 경우에 상기 회전성 카메라 렌즈 하우징(50)을 원하는 방향으로 회전시켜서 사용하게 된다. 또한, 상기 회전성 마이크 하우징(60)은 내장된 가변성 마이크 장치(62)의 지향 방향을 가변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그리고, 도면에는 미 도시되었으나, 카메라 렌즈 모듈과 가변성 마이크 장치(62)는 미 도시된 연성 회로를 이용하여 본체 하우징에 내장된 메인 보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데이터 송수신을 구현한다.The rotatable microphone housing 60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rotatable lens housing 50, so that the rotatable microphone housing 60 is rotatable in the same direction as that of the rotatable lens housing 50. The hinge housing rotates about a hinge axis A1, the rotatable microphone housing rotates about a hinge axis A2, and each of the hinge axes A1 and A2 has the same rotation axis. Preferably, the rotatable lens housing 50 and the rotatable microphone housing A2 are cylindrical because they must be installed along the hinge axes A1 and A2. Of course, the user selectively rotates the rotatable camera lens housing 50 in a desired direction in the camera lens operation mode. In addition, the rotatable microphone housing 60 provides a function of varying the direction of orientation of the built-in variable microphone device 62. 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camera lens module and the variable microphone device 62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a main board embedded in the main body housing using a flexible circuit (not shown) to implement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바람직하게, 상기 카메라 렌즈(52)와 가변성 마이크 장치(62)가 향하는 방향이 동일할 수도 있고, 상이하게 구성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회전성 렌즈 하우징(50)과 회전성 마이크 하우징(60)은 일체형으로 성형되어서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게 구성된다는 점에 유의하여야 한다.Preferably, the direction in which the camera lens 52 and the variable microphone device 62 face may be the same, or may be configured differently. However, it should be noted that the rotatable lens housing 50 and the rotatable microphone housing 60 are integrally molded so that they can be rotated in the same direction.

결과적으로, 사용자는 편의에 따라서 고정성 마이크 장치(34)를 사용하거나, 가변성 마이크 장치(62)를 모든 전환에 따라서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사용자는 키를 눌러서 선택된 마이크 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모드 전환을 임의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As a result, the user can use the fixed microphone device 34 for convenience, or the variable microphone device 62 can be used at every transition. The user can arbitrarily perform mode switching for operating the selected microphone device by pressing a key.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을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Meanwhile,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but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으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카메라 렌즈 하우징의 회전방향과 동일하게 회전하여 지향 방향을 가변할 수 있는 가변성 마이크 장치를 구비함으로써, 사용자의 입장에서 선택적으로 고정성 마이크 장치나 가변성 마이크 장치를 사용할 수 있게 되어 편리하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a variable microphone device that can be rotat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camera lens housing to change the direction of orientation, thereby selectively using a fixed microphone device or a variable microphone device from the user's point of view. It is convenient to be able to do it.

도 1은 종래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폴더가 닫힌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losed state of a folder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2는 종래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폴더가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pen state of a folder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폴더가 닫힌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losed state of the folder of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폴더가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pen state of a folder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폴더가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5 is a front view showing a folder opened state of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4)

(a) 다 수의 키들의 배열로 이루어진 키패드과, 상기 키패드와 근접하게 제공되는 고정성 마이크 장치를 구비하는 본체와, (c) 스피커 장치와, 상기 스피커 장치와 근접하게 제공되는 표시 장치를 구비한 폴더와, (c) 상기 본체와 폴더를 회전가능하게 연결시키는 힌지 장치로 구성된 폴더형 단말기에 있어서,(a) a main body having a keypad composed of an array of keys, a fixed microphone device provided in proximity to the keypad, (c) a speaker device, and a display device provided in proximity to the speaker device; A folder type terminal comprising: a folder; and (c) a hinge device for rotatably connecting the main body and the folder. 상기 힌지 장치와 동축 일단쪽으로 제공되어 원하는 각도 만큼 회전가능한 카메라 렌즈를 구비한 회전성 카메라 렌즈 하우징; 및A rotatable camera lens housing having a camera lens provided coaxially with the hinge device and rotatable by a desired angle; And 상기 카메라 렌즈 하우징과 동축으로 이웃하게 원통형으로 제공되어 지향 방향이 가변될 수 있는 가변성 마이크 장치를 구비한 회전성 마이크 하우징으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And a rotatable microphone housing having a variable microphone device provided in a cylindrical shape coaxially with the camera lens housing and having a variable direction of orient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성 마이크 하우징은 상기 카메라 렌즈 하우징의 회전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The portable terminal of claim 1, wherein the rotatable microphone housing rotates in the same direction as that of the camera lens housing.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성 마이크 장치나 가변성 마이크 장치는 선택적으로 사용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The portable terminal of claim 1, wherein the fixed microphone device or the variable microphone device is selectively used.
KR10-2002-0048668A 2002-08-17 2002-08-17 Portable phone with direction-variable microphone KR10048722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8668A KR100487223B1 (en) 2002-08-17 2002-08-17 Portable phone with direction-variable micropho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8668A KR100487223B1 (en) 2002-08-17 2002-08-17 Portable phone with direction-variable micropho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6477A KR20040016477A (en) 2004-02-25
KR100487223B1 true KR100487223B1 (en) 2005-05-03

Family

ID=373224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8668A KR100487223B1 (en) 2002-08-17 2002-08-17 Portable phone with direction-variable micropho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87223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04560A (en) * 2003-03-31 2004-10-28 Fujitsu Ltd Electronic apparatus
KR20050081495A (en) * 2004-02-13 2005-08-19 엘지전자 주식회사 Uni-directional microphone apparatus for mobile phon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94030A (en) * 1995-04-19 1996-11-05 Hitachi Ltd Video camera integrated with portable telephone set
JP2000253124A (en) * 1999-03-01 2000-09-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Information portable terminal provided with image- pickup function
KR20030026652A (en) * 2001-09-26 2003-04-03 엘지전자 주식회사 Potable image phone
JP2003273988A (en) * 2002-03-13 2003-09-26 Toshiba Corp Radio communication terminal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94030A (en) * 1995-04-19 1996-11-05 Hitachi Ltd Video camera integrated with portable telephone set
JP2000253124A (en) * 1999-03-01 2000-09-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Information portable terminal provided with image- pickup function
KR20030026652A (en) * 2001-09-26 2003-04-03 엘지전자 주식회사 Potable image phone
JP2003273988A (en) * 2002-03-13 2003-09-26 Toshiba Corp Radio communication termi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6477A (en) 2004-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499094B1 (en) Bi-directional sliding-type portable terminal comprising a camera
EP1610530B1 (en) Dual-axis rotation folder-type portable apparatus
KR100532334B1 (en) Sliding/folding type portable digital communication device
KR20040034346A (en)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KR20060047118A (en) Sliding and folding combination typ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KR20040021366A (en) Portable information phone with expansion data inputting unit
KR20050082753A (en) Portable digital communication device
KR100584398B1 (en) Ear wearable-type teltphone
KR100566282B1 (en) Game/communication combination portable device with stick function
KR100703497B1 (en) Portable game/communication combination device
KR100539934B1 (en) Portable communication apparatus
KR20050031662A (en) Sliding type portable digital communication device
KR100487223B1 (en) Portable phone with direction-variable microphone
KR20040074294A (en) Scent bottle-type mobile phone
KR100526528B1 (en) Portable communication apparatus with data inputting expansion
KR20050075561A (en) Portable digital communication device
KR100474678B1 (en) Portable communication apparatus with data inputting expansion
KR100658207B1 (en) Personal portable device
KR100442659B1 (en) Portable phone with stereo sound
KR100506223B1 (en) Portable phone
KR100663501B1 (en) Portable digital communication device
KR100469855B1 (en)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KR100584349B1 (en) Pop up type speaker / mic apparatus for mobile phone
KR20050080336A (en) Portable digital communication device with improved grip
KR100532272B1 (en) Sliding type portable digital communicatio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