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87203B1 - Display method of video display device - Google Patents

Display method of video display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87203B1
KR100487203B1 KR1019970053236A KR19970053236A KR100487203B1 KR 100487203 B1 KR100487203 B1 KR 100487203B1 KR 1019970053236 A KR1019970053236 A KR 1019970053236A KR 19970053236 A KR19970053236 A KR 19970053236A KR 100487203 B1 KR100487203 B1 KR 1004872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additional information
image
area
display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5323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9990032251A (en
Inventor
주필상
이형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700532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87203B1/en
Publication of KR199900322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225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72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720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1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vision System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end.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belongs

액티브 영상영역이외의 빈 영역을 포함하는 영상 디스플레이장치에서 화면상에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displaying an image on a screen in an image display apparatus including a blank region other than an active image region.

나.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I. Th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invention

액티브 영상영역이외의 빈 영역을 포함하는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때 시각적인 효율을 향상시키고 화면 낭비를 방지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방법을 제공한다.Provided is a display method for improving visual efficiency and preventing screen waste when displaying a screen including a blank area other than the active image area.

다.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All. Summary of Solution of the Invention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할 영상 소스가 레터박스 포맷 영상인 경우나 4:3 화면에 16:9 영상 소스를 디스플레이할 때, 화면상에서 액티브 영상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을 부가정보들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부가정보영역으로 할당한다.When the image source to be displayed on the screen is a letterbox format image or when a 16: 9 image source is displayed on a 4: 3 screen, the remaining region except the active image region on the screen is used as an additional information region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Assign.

라. 발명의 중요한 용도la. Important uses of the invention

영상 디스플레이장치에서 화면을 효율적으로 이용하는데 이용한다.It is used to efficiently use the screen in the video display device.

Description

영상 디스플레이장치의 디스플레이방법Display Method of Video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영상 디스플레이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액티브 영상영역이외의 빈 영역을 포함하는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영상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화면상에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of displaying an image on a screen in an image display apparatus displaying a screen including a blank region other than an active image region.

지금까지 사용되어 왔던 대부분의 텔레비젼장치의 디스플레이 포맷은 프로젝션(projection) 텔레비젼장치를 위한 화면뿐만아니라 통상적인 음극선관(cathode ray tube)에 의해 구현된 디스플레이수단에 있어서도 4:3의 화면비(aspect ratio)를 가진다. 또한 대부분의 비디오 소스(video source)들의 화면비도 4:3이다.The display format of most television devices that have been used so far is 4: 3 aspect ratio not only for the screen for the projection television device, but also for the display means implemented by a typical cathode ray tube. Has The aspect ratio of most video sources is also 4: 3.

그러나 모든 영상 소스들이 4:3 화면비로 만들어지는 것은 아니다. 예를들어 영화는 텔레비젼신호로서 재생 또는 전송하기 위해 필름 포맷으로부터 비디오테이프 포맷으로 전환되어진다. 이러한 영화 소스들을 비디오 포맷으로 변환할때 관습적으로 화면비를 4:3, 즉, 대부분의 텔레비젼 장치들에 적합한 화면비로 변경하여 왔었다. 이와같은 영화 소스의 일예로서 16:9 화면비의 디스플레이 포맷을 가지는 와이드 스크린 소스들이 있다. 상기와 같은 영화 소스들을 비디오테이프 포맷으로 변환할때, 예를 들어 16:9 화면비의 영화 소스로부터 4:3 화면비로 변환된 영상신호는 필름 영상에서 잘라낸 만큼의 좌우 부분이 유실되게 된다.However, not all video sources are made in 4: 3 aspect ratio. For example, movies are converted from film format to videotape format for playback or transmission as television signals. When converting these movie sources to video format, it has customarily changed the aspect ratio to 4: 3, the aspect ratio suitable for most television devices. An example of such a movie source is wide screen sources having a 16: 9 aspect ratio display format. When converting such movie sources into a videotape format, for example, a video signal converted from a 16: 9 aspect ratio movie source to a 4: 3 aspect ratio is lost as much as left and right portions cut out from the film image.

만일 와이드 스크린 영상을 수평 폭이 4:3 화면비의 화면의 좌우 경계선과 일치할때까지 축척에 있어 감소시킨다면, 영상의 수직 크기가 보다 작아진다. 이러한 결과로서, 4:3 화면비의 화면에 필름 소스 영상이 완전히 나타나게 되나, 이때 4:3 화면비 화면의 상부 및 하부에는 영상이 채워지지 않는 부분이 생긴다. 이와같이 영상이 나타나지 않는 부분에 있어서 발생할 수 있는 스퓨리어스(spurious)신호를 피하기 위해 4:3 화면비로 변환된 영상의 상부 및 하부에 흑대(dark bar)를 전송한다. 이와같이 처리된 특별한 디스플레이 포맷을 통상적으로 레터박스(letter box) 포맷이라 칭한다. 이에따라 레터박스 영상이라 하면 통상적인 비디오신호의 영상보다 작은 액티브 화면 부분을 가지는 영상으로서 생각될 수 있다. 예를들어 레터박스 포맷의 영상을 4:3 화면비의 화면에 디스플레이할때의 디스플레이 상태를 보이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다. 상기 도 1에 보인 바와 같이 화면(100)상에서 액티브 영상(102)이 중앙에 디스플레이되고 상,하 흑대(104,106)를 가지는 것을 알 수 있다.If the wide screen image is reduced in scale until the horizontal width matches the left and right borders of the 4: 3 aspect ratio screen, the vertical size of the image is smaller. As a result of this, the film source image appears completely on the 4: 3 aspect ratio screen, but at this time,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4: 3 aspect ratio screen are not filled with the image. In order to avoid spurious signals that may occur in areas where no image appears, a dark bar is transmitted to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image converted to the 4: 3 aspect ratio. The particular display format thus processed is commonly referred to as letter box format. Accordingly, a letterbox image may be considered as an image having an active screen portion smaller than that of a normal video signal. For example, a display state when displaying a letterbox format image on a 4: 3 aspect ratio screen is shown in FIG. 1. As shown in FIG. 1, it can be seen that the active image 102 is displayed at the center and has upper and lower black bands 104 and 106 on the screen 100.

이와 같이 종래에는 레터박스 포맷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때 화면상의 빈 영역을 흑대로 처리하였으나, 이는 시각적으로 보기 좋지 않았고 그만큼 화면을 낭비하는 결과를 초래하였었다. 이러한 점은 4:3 화면을 가지는 영상 디스플레이장치에서 4:3 화면에 16:9 영상 소스를 디스플레이할 때에도 화면상에 액티브 영상영역이외의 빈 영역이 나타나게 되므로 마찬가지 결과를 초래하였었다.As described above, when displaying a letterbox-format image, the blank area on the screen is treated as black, but this is not visually good and results in wasting the screen. This resulted in the same result when a 16: 9 image source is displayed on a 4: 3 screen in a video display device having a 4: 3 screen, because a blank area other than the active image area appears on the screen.

상술한 바와 같이 레터박스 포맷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경우나 4:3 화면에 16:9 영상 소스를 디스플레이할 때와 같이 액티브 영상영역이외의 빈 영역을 포함하는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경우 시각적으로 보기 좋지 않았고 그만큼 화면을 낭비하는 결과를 초래하였었다.As described above, when displaying a letterbox format image or displaying a screen including a blank area other than the active image area, such as when displaying a 16: 9 image source on a 4: 3 screen, it is not visually satisfactory. It was a waste of the screen.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액티브 영상영역이외의 빈 영역을 포함하는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때 시각적인 효율을 향상시키고 화면 낭비를 방지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splay method for improving visual efficiency and preventing screen waste when displaying a screen including a blank area other than the active image area.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할 영상 소스가 레터박스 포맷 영상인 경우나 4:3 화면에 16:9 영상 소스를 디스플레이할 때 화면상에서 액티브 영상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을 부가정보들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부가정보영역으로 할당함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adds a region other than the active image region on the screen when the image source to be displayed on the screen is a letterbox format image or when displaying a 16: 9 image source on a 4: 3 screen. And an additional information area for displaying the informa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많은 구체적인 처리흐름이나 화면 예시와 같은 특정 상세들이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다. 이들 특정 상세들없이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the annexed drawings, specific details, such as many specific processing flows or screen examples, are shown to provide a more general understanding of the invention.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acticed without these specific details. In addi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well-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that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영상 디스플레이장치의 예로서 HDTV(High Definition Television) 수상기의 블록 구성도를 보인 것이다. 상기 도 2에서 튜너(tuner)(202)는 안테나(200)를 통한 방송 수신신호에서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224)의 제어에 따라 RF(Radio Frequency) 채널을 선국한다. 이에따라 튜너(202)에서는 채널 선국된 IF(Intermediate Frequency)신호가 출력되고 IF 모듈(module)(204)에서 베이스밴드(baseband)신호로 변환되어 채널 디코더(decoder)(206)로 출력된다. 채널 디코더(206)는 IF 모듈(204)로부터 입력하는 베이스밴드신호를 채널 복호화하여 데이터 비트열을 재생해 낸다. 이와같이 재생된 데이터 비트열은 TS(Transport Stream) 디코더(208)에 의해 오디오 데이터, 비디오 데이터, 부가 데이터로 각각 분리된다.2 is a block diagram of a high definition television (HDTV) receiver as an example of an image display apparatus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n FIG. 2, a tuner 202 tunes a radio frequency (RF) channel according to the control of a microprocessor 224 in a broadcast reception signal through the antenna 200. Accordingly, the tuner 202 outputs a channel tuned intermediate frequency (IF) signal, and is converted into a baseband signal by the IF module 204 and output to a channel decoder 206. The channel decoder 206 performs channel decoding on the baseband signal input from the IF module 204 to reproduce the data bit stream. The data bit stream reproduced in this manner is separated into audio data, video data, and additional data by the TS (Transport Stream) decoder 208, respectively.

상기 오디오 데이터는 오디오 디코더(210)에 인가되어 MPEG(Moving Picture Expert Group) 규격 또는 돌비(Dolby) AC-3 규격에 따라 디코딩되고 오디오 처리 및 출력부(212)에서 처리된후 스피커(214)를 통해 음성으로 출력된다. 그리고 비디오 데이터는 비디오 디코더(216)에 인가되어 MPEG 규격에 따라 디코딩되고 OSG 믹서(mixer)(218)에 인가되어 마이크로 프로세서(224)의 제어에 따른 OSG 데이터와 합쳐져 비디오 처리 및 출력부(220)에서 처리된후 수상관(222)을 통해 화면상에 출력된다. 여기서 OSG 데이터는 마이크로 프로세서(224)가 화면상에 메뉴를 포함한 각종 정보를 그래픽(graphic)이나 텍스트(text)로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데이터이다. 또한 부가데이터는 마이크로 프로세서(224)에 인가된다.The audio data is applied to the audio decoder 210, decoded according to the Moving Picture Expert Group (MPEG) standard or the Dolby AC-3 standard, processed by the audio processing and output unit 212, and then the speaker 214 is processed. Is output through voice. The video data is applied to the video decoder 216 to be decoded according to the MPEG standard, and applied to the OSG mixer 218 to be combined with the OSG data under the control of the microprocessor 224 to process the video and output unit 220. After processing in the water through the water pipe 222 is output on the screen. The OSG data is data for the microprocessor 224 to display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including a menu on a screen in graphic or text. The additional data is also applied to the microprocessor 224.

그리고 HDTV 수상기의 제어부인 마이크로 프로세서(224)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228)를 통해 키패드(keypad)(230)와 IR(Infrared) 수신부(234)가 접속된다. 마이크로 프로세서(224)는 키패드(230)나 IR 수신부(234)를 통해 마우스(232)로부터 입력되는 명령에 따른 동작을 메모리부(226)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따라 수행한다. 마우스(232)는 사용자에 의한 이동이나 키 입력에 따른 신호를 무선 송신하는 무선 마우스가 사용되는데, 무선 마우스는 통상적으로 IR신호를 사용한다. 마우스(232)로부터 송신되는 IR신호는 IR 수신부(234)에 수신되어 사용자 인터페이스(228)를 통해 마이크로 프로세서(224)에 인가된다.The keypad 230 and the IR receiver 234 are connected to the microprocessor 224, which is a control unit of the HDTV receiver, through a user interface 228. The microprocessor 224 performs an operation according to a command input from the mouse 232 through the keypad 230 or the IR receiver 234 according to a program stored in the memory unit 226. The mouse 232 is a wireless mouse that wirelessly transmits a signal according to a movement or a key input by a user, and a wireless mouse typically uses an IR signal. The IR signal transmitted from the mouse 232 is received by the IR receiver 234 and applied to the microprocessor 224 through the user interface 228.

또한 메모리부(226)는 마이크로 프로세서(224)의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롬(ROM: Read Only Memory)과, 마이크로 프로세서(224)의 프로그램 수행에 따른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기 위한 램(RAM: Random Access Memory)과, 각종 참조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을 구비한다.In addition, the memory unit 226 may include a read only memory (ROM) for storing a program of the microprocessor 224 and a random access memory (RAM) for temporarily storing data according to program execution of the microprocessor 224. Memory) and EEPROM (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for storing various reference data.

상기한 튜너(202), IF 모듈(204), 채널 디코더(206), TS 디코더(208), 오디오 디코더(210), 오디오 처리 및 출력부(212), 비디오 디코더(216), OSG 믹서(218), 비디오 처리 및 출력부(220), 메모리부(226)는 마이크로 프로세서(224)에 연결되는 버스(236)를 통해 접속된다.The above-described tuner 202, IF module 204, channel decoder 206, TS decoder 208, audio decoder 210, audio processing and output unit 212, video decoder 216, OSG mixer 218. ), Video processing and output 220, and memory 226 are connected via a bus 236 connected to the microprocessor 224.

상기한 HDTV를 포함한 TV 수상기는 통상적으로 각종 기능들을 사용자가 보다 쉽게 이해하고 이용할 수 있도록 OSD(On Screen Display), OSG(On Screen Graphic) 등의 온 스크린(on screen)기능을 이용하여 각종 메뉴를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되는 메뉴의 위치는 고정적이었다. 즉, 메뉴마다 각각 고유의 위치가 설정되어 있어 사용자가 임의로 변경할 수 없었다. 이에따라 메뉴가 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될 때 캡션(caption) 위치나 화면상에 현재 디스플레이되는 화상의 주요 부분과 중복됨으로써 시청에 방해가 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되어 왔었다.The TV receiver including the above-described HDTV typically uses various menus using on screen functions such as OSD (On Screen Display) and OSG (On Screen Graphic) so that users can easily understand and use various functions. It is displayed on the screen for visual confirmation. Thus, the position of the menu displayed on the screen was fixed. In other words, each menu has its own location, and the user cannot change it arbitrarily. Accordingly, when the menu is displayed on the screen, there have been frequent occurrences that interfere with viewing by overlapping the caption position or the main part of the image currently displayed on the screen.

따라서 레터박스 포맷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경우나 4:3 화면에 16:9 영상 소스를 디스플레이하는 경우에 화면상의 빈 영역을 부가정보영역으로 활용한다면 시각적인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아니라 화면상의 영상이 부가정보와 중복됨으로 인한 시청 방해를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Therefore, when displaying letterbox-format video or displaying 16: 9 video source on a 4: 3 screen, using a blank area on the screen as an additional information area not only improves visual efficiency but also displays on-screen video. It may be possible to prevent viewing interruption due to duplicat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도 3은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처리 흐름도를 보인 것으로, 레터박스 포맷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경우에 적용예를 보인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기한 도 2에 적용하는 경우 도 3의 흐름도에 따른 동작은 마이크로 프로세서(224)에 의해 수행된다. 그러므로 도 3의 흐름도에 따른 기능은 마이크로 프로세서(224)에 의해 수행되도록 메모리부(226)의 롬에 프로그램한다. 이제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마이크로 프로세서(224)는 (300)단계에서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할 영상 소스가 레터박스 포맷인가를 확인한다. 이때 디스플레이할 영상의 포맷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는 것은 통상적인 경우와 동일하다. 만일 레터박스 포맷 영상이라면, 마이크로 프로세서(224)는 (302)단계에서 화면상에서 액티브 영상을 도 4a 또는 도 4b와 같이 화면상의 상,하부중 미리 설정된 위치로 쉬프트시키고, (304)단계에서 액티브 영상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 즉 도 4a 또는 도 4b에 보인 영역(404)을 부가정보들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부가정보영역으로 할당한다. 이때 액티브 영상을 쉬프트시키는 것은 OSG 믹서(218)에서 디스플레이할 화면의 비디오신호와 OSG 화면의 비디오신호를 혼합할 때 화면 위치가 도 4a 또는 도 4b와 같이 되도록 하면 된다.3 shows a processing flowch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this purpose, and shows an application example when displaying a letterbox format image. Whe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FIG. 2 described above, an operation according to the flowchart of FIG. 3 is performed by the microprocessor 224. Therefore, the functions according to the flowchart of FIG. 3 are programmed into the ROM of the memory unit 226 to be performed by the microprocessor 224. Referring now to FIG. 3, first, the microprocessor 224 checks whether the image source to be displayed on the screen is a letterbox format in operation 300. At this time, checking information on the format of the image to be displayed is the same as in the conventional case. If it is a letterbox format image, the microprocessor 224 shifts the active image on the screen to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screen as shown in FIG. 4A or 4B in step 302, and the active image in step 304. The remaining area except the area, that is, the area 404 shown in FIG. 4A or 4B is allocated as the additional information area for displaying the additional information. In this case, shifting the active image may be performed such that the screen position is as shown in FIG. 4A or 4B when the OSG mixer 218 mixes the video signal of the screen to be displayed with the video signal of the OSG screen.

상기 도 4a는 화면(400)상에서 액티브 영상 영역(402)을 상부로 쉬프트시킨 예로서, 이러한 경우 전술한 도 1과 같이 화면(100)상의 상,하부에 있었던 흑대(104,106)만큼의 빈 영역(404)이 화면(400)상의 하부에 위치된다. 이와달리 상기 도 4b는 화면(400)상에서 액티브 영상 영역(402)을 하부로 쉬프트시킨 예로서, 이러한 경우 전술한 도 1과 같이 화면(100)상의 상,하부에 있었던 흑대(104,106)만큼의 빈 영역(404)이 화면(400)상의 상부에 위치된다.4A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the active image region 402 is shifted upward on the screen 400. In this case, as shown in FIG. 404 is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screen 400. In contrast, FIG. 4B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the active image region 402 is shifted downward on the screen 400. In this case, as shown in FIG. Area 404 is located at the top of screen 400.

이후 마이크로 프로세서(224)는 (306)단계에서 현재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할 부가정보가 있는지 여부를 검사하여 있다면 (308)단계에서 도 5a 또는 도 5b와 같이 부가정보영역(404)에 부가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한 (300)단계를 다시 수행한다. 상기 도 5a는 부가정보영역(404)을 메뉴(menu)(406)를 디스플레이하는데 사용하는 예를 보인 것이고, 도 5b는 EPG(Electronic Program Guide) 정보(408)를 디스플레이하는데 사용하는 예를 보인 것이다. 통상적으로 EPG는 HDTV와 같은 디지털 다채널 TV방송에서 프로그램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사용된다. 즉, 방송국에서 각 RF 채널마다 EPG 정보를 송출하고, TV 수상기에서는 EPG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있다가 사용자가 요구할 때 화면에 표시한다. 이러한 EPG의 예로서 미국 ATSC(United States Advanced Television System Committee) 규격(standard)을 들 수 있으며, 방송 예정된 프로그램들에 대해 제목, 방송 시간, 방송 시작시각 등의 정보도 포함한다. 그리고 EPG 정보는 TS 디코더(208)에서 디코딩되는 부가정보에 포함되어 마이크로 프로세서(224)에 제공된다.Thereafter, if the microprocessor 224 checks whether there is additional information to be displayed on the current screen in step 306, the microprocessor 224 displays the additional information in the additional information area 404 as shown in FIG. 5A or 5B in step 308. And, the step (300) described above is performed again. FIG. 5A illustrates an example of using the additional information area 404 to display a menu 406, and FIG. 5B illustrates an example of using the EPG (Electronic Program Guide) information 408. . EPGs are typically used to enable program selection in digital multichannel TV broadcasts such as HDTV. That is, the broadcasting station transmits EPG information for each RF channel, and the TV receiver receives and stores the EPG information and displays it on the screen when the user requests. An example of such an EPG is the United States Advanced Television System Committee (ATSC) standard, and includes information such as a title, a broadcast time, and a broadcast start time for programs to be broadcast. The EPG information is included in the additional information decoded by the TS decoder 208 and provided to the microprocessor 224.

따라서 레터박스 포맷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경우 화면상의 빈 영역을 부가정보영역으로 활용함으로써 시각적인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화면상의 영상이 부가정보와 중복됨으로 인한 시청 방해를 방지할 수 있다.Therefore, when displaying a letterbox format image, visual efficiency may be improved by using a blank area on the screen as an additional information area.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viewing disturbance caused by overlapping the image on the screen with additional information.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을 HDTV 수상기에 적용하는 예를 보였으나, 액티브 영상영역이외에 빈 영역을 포함하는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게 되는 모든 영상 디스플레이장치에 모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액티브 영상영역이외에 빈 영역을 포함하는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경우로서 레터박스 포맷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경우에 적용하는 예를 들었으나, 4:3 화면에 16:9 영상 소스를 디스플레이하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다만 이경우에는 도 3의 (300)단계에서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할 영상 소스가 레터박스 포맷인가를 확인하는 대신에 16:9 영상인가를 확인하도록 하면 된다. 또한 부가정보영역에 메뉴, EPG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캡션 데이터와 같은 다른 부가정보들을 디스플레이하거나 PIP(Picture In Picture)를 하는데 이용할 수도 있다. 따라서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하여져야 한다.Meanwhile, in 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bu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particular, although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s an example of applying the present invention to an HDTV receiver, it can be equally applied to all image display apparatuses that display a screen including a blank area in addition to the active video area. In addition, in the case of displaying a letterbox format image as a case of displaying a screen including a blank area other than the active image area, the same applies to displaying a 16: 9 image source on a 4: 3 screen. do. In this case, however, instead of checking whether the image source to be displayed on the screen is letterbox format in step 300 of FIG. In addition, although the menu and EPG information are displayed in the additional information area, other additional information such as caption data may be displayed or used for picture in picture (PIP). Therefore, the scope of the invention should not be defined by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fined by the equivalent of claims and claims.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액티브 영상영역이외의 빈 영역을 포함하는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경우 화면상의 빈 영역을 부가정보영역으로 활용함으로써 시각적인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잇점이 있다. 또한 화면상의 영상이 부가정보와 중복됨으로 인한 시청 방해를 방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of improving visual efficiency by using a blank area on the screen as an additional information area when displaying a screen including a blank area other than the active image area.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viewing disturbance caused by overlapping the image on the screen with additional information.

도 1은 통상적인 레터박스 포맷 영상을 4:3 화면비의 화면에 디스플레이할때의 예시도,1 is an exemplary diagram when a conventional letterbox format image is displayed on a 4: 3 aspect ratio screen.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HDTV 수상기의 블록구성도,2 is a block diagram of an HDTV receiver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처리흐름도,3 is a process flow diagra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레터박스 포맷 영상을 4:3 종횡비의 화면에 디스플레이할 때 액티브 영상을 상,하로 쉬프트한 예시도,4A and 4B illustrate an example of shifting an active image up and down when displaying a letterbox format image on a 4: 3 aspect ratio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가정보 디스플레이 예시도.5A and 5B are exemplary diagrams of additional information displ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1)

영상 디스플레이장치의 디스플레이방법에 있어서,In the display method of the video display device,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할 영상 소스가 레터박스 포맷인가를 확인하는 과정과,Checking whether the video source to be displayed on the screen is in letterbox format; 상기 레터박스 포맷 영상인 경우 상기 화면상에서 액티브 영상영역을 미리 설정된 위치로 쉬프트 시키는 과정과,Shifting the active image area to a preset position on the screen in the case of the letterbox format image; 상기 액티브 영상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부가정보들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부가정보영역으로 할당하는 과정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방법.And assigning it to an additional information area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in the remaining areas except the active image are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정보영역이, 상기 레터박스 포맷 영상의 상,하 흑대 중 하나에 해당하는 영역임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방법.The display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additional information area corresponds to one of upper and lower black bands of the letterbox-format imag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할 부가정보가 있는 경우 상기 부가정보영역에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방법.The display method as claimed in claim 2, further comprising displaying in the additional information area when there is additional information to be displayed on the screen.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정보영역에 디스플레이되는 부가정보가, 메뉴, 캡션 데이터, EPG 정보중 적어도 한가지 이상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방법.The display method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additional information displayed in the additional information area includes at least one of menu, caption data, and EPG information. 4:3 화면을 가지는 영상 디스플레이장치의 디스플레이방법에 있어서,In the display method of the video display device having a 4: 3 screen, 상기 4:3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할 영상 소스가 16:9 영상인가를 확인하는 과정과,Checking whether an image source to be displayed on the 4: 3 screen is a 16: 9 image; 상기 16:9 영상인 경우 상기 화면상에서 액티브 영상영역을 미리 설정된 위치로 쉬프트 시키는 과정과,Shifting the active image area to a preset position on the screen in the case of the 16: 9 image; 상기 액티브 영상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부가정보들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부가정보영역으로 할당하는 과정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방법.And assigning it to an additional information area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in the remaining areas except the active image area.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정보영역이, 상기 16:9 영상의 상,하에 해당하는 빈 영역 중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방법.The display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additional information area is one of blank areas corresponding to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16: 9 imag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할 부가정보가 있는 경우 상기 부가정보영역에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방법.The display method as claimed in claim 6, further comprising displaying in the additional information area when there is additional information to be displayed on the screen.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정보영역에 디스플레이되는 부가정보가, 메뉴, 캡션 데이터, EPG 정보중 적어도 한가지 이상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방법.The display method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additional information displayed in the additional information area includes at least one of menu, caption data, and EPG information. 영상 디스플레이장치의 디스플레이방법에 있어서,In the display method of the video display device,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할 영상 소스가 레터박스 포맷인가를 확인하는 과정과,Checking whether the video source to be displayed on the screen is in letterbox format; 상기 레터박스 포맷 영상인 경우 상기 화면상에서 액티브 영상을 상기 화면상의 상,하부중 미리 설정된 위치로 쉬프트시키는 과정과,Shifting the active image on the screen to a preset position among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letter box format image; 상기 액티브 영상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을 부가정보들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부가정보영역으로 할당하는 과정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방법.And allocating the remaining area excluding the active image area as an additional information area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할 부가정보가 있는 경우 상기 부가정보영역에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방법.The display method as claimed in claim 9, further comprising displaying in the additional information area when there is additional information to be displayed on the screen.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정보영역에 디스플레이되는 부가정보가, 메뉴, 캡션 데이터, EPG 정보중 적어도 한가지 이상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방법.The display method according to claim 10, wherein the additional information displayed in the additional information area includes at least one of menu, caption data, and EPG information.
KR1019970053236A 1997-10-17 1997-10-17 Display method of video display device KR10048720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3236A KR100487203B1 (en) 1997-10-17 1997-10-17 Display method of video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3236A KR100487203B1 (en) 1997-10-17 1997-10-17 Display method of video display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2251A KR19990032251A (en) 1999-05-15
KR100487203B1 true KR100487203B1 (en) 2005-08-17

Family

ID=373040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53236A KR100487203B1 (en) 1997-10-17 1997-10-17 Display method of video display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87203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7098B1 (en) * 1999-11-12 2002-10-19 엘지전자 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 of data information in data broadcasting reciever
KR20060008672A (en) * 2004-07-23 2006-01-27 엘지전자 주식회사 Caption display position control method by screen ratio for digital broadcasting receiver
KR101245158B1 (en) * 2011-01-24 2013-03-19 주식회사 디지털스트림테크놀로지 Automatic display setting system for digital broadcast receiver and method thereof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74449A (en) * 1989-09-08 1993-12-28 Deutsche Thomson-Brandt Gmbh Letterbox television signal with edge regions containing transformed pixel values
JPH06292143A (en) * 1992-04-21 1994-10-1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Method and processor for processing television signal
JPH06311446A (en) * 1993-04-27 1994-11-04 Mitsubishi Electric Corp Closed caption decoder system and circuit
JPH07115624A (en) * 1993-10-18 1995-05-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Television signal demodulator
KR970004801A (en) * 1995-06-09 1997-01-29 김광호 Video display device that can move subtitle display area according to aspect ratio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74449A (en) * 1989-09-08 1993-12-28 Deutsche Thomson-Brandt Gmbh Letterbox television signal with edge regions containing transformed pixel values
JPH06292143A (en) * 1992-04-21 1994-10-1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Method and processor for processing television signal
JPH06311446A (en) * 1993-04-27 1994-11-04 Mitsubishi Electric Corp Closed caption decoder system and circuit
JPH07115624A (en) * 1993-10-18 1995-05-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Television signal demodulator
KR970004801A (en) * 1995-06-09 1997-01-29 김광호 Video display device that can move subtitle display area according to aspect rati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2251A (en) 1999-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17629B1 (en) How to Display Subchannel Information on a Digital Television Receiver
US603467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an electronic program guide
US611161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an electronic menu having components with differing levels of transparency
US7050117B2 (en) Channel selection device used in digital/analog broadcasting receiver
KR101026398B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741271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channel information and selecting channel on digital television
JP2002223400A (en) Broadcast receiver having on-screen display function for channel information
US6888576B2 (en) Digital/analog broadcast receiving device capable of limiting change in setting in operation setting menu thereof
US7546620B2 (en) Channel selection device for use in digital/analog broadcasting receiver and digital/analog broadcasting receiver equipped with the same
JP200719522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electronic program guide
US20040239809A1 (en) Method and apparatus to display multi-picture-in-guide information
US7154564B2 (en) Method for controlling channel tuning of digital TV
KR100487203B1 (en) Display method of video display device
KR100279119B1 (en) Method for selecting channel in digital television receiver and device thereof
US20020021309A1 (en) Future program action indication display
KR100488818B1 (en) How to display the standby screen on a video device receiving digital broadcasting
KR100350770B1 (en) Next generation monitor and a method for displaying electronic program guide to the monitor
KR100687935B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0246761B1 (en) Channel displaying method of hdtv
JP2001078109A (en) Digital broadcast receiver
KR100307595B1 (en) Method for processing display when aspect rate between broadcasting signal and receiver is different and apparatus therefor
KR100315395B1 (en) Method for setting screen according to the aspect ratio
KR19990016086A (en) How to Display Menu Screen of Satellite Broadcasting Receiver
KR100320732B1 (en) Method of displaying channel information in digital television receiver
KR20000010256A (en) Screen control method for a televis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30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