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83021B1 - 무선랜과 셀룰러 망의 연동 시스템 및 방법, 그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무선랜과 셀룰러 망의 연동 시스템 및 방법, 그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83021B1
KR100483021B1 KR10-2002-0080313A KR20020080313A KR100483021B1 KR 100483021 B1 KR100483021 B1 KR 100483021B1 KR 20020080313 A KR20020080313 A KR 20020080313A KR 100483021 B1 KR100483021 B1 KR 1004830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llular network
wireless
wireless terminal
network
acc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803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53858A (ko
Inventor
성낙운
박남훈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2-00803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83021B1/ko
Publication of KR200400538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38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30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302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8Selecting a network or a communication ser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40Network security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단말기나 무선 단말기와 핵심망 사이에서 유기적으로 연결되는 셀룰러 망의 무선접속망에 적용되는 무선랜과 셀룰러 망의 연동 시스템 및 방법, 그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 셀룰러 망의 무선 접속망은 무선 접속망 내에서 동일한 인터페이스로 접속하고, 무선랜을 위한 규격을 이용하여 상기 무선 단말기와 무선 접속하여 데이터 및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다수의 접속장치, 다수의 접속 장치와 연결되어 접속장치로부터의 데이터 및 제어신호를 전달받아 이를 상기 핵심망으로 전달하고, 핵심망과 무선접속망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접속하는 접속 제어장치를 포함함으로써, 무선랜을 위해 IEEE 802.11 물리계층과, 서비스 품질 기능을 향상시킨 802.11e MAC 프로토콜에 따라 무선 접속 구간을 운용함으로써 서비스의 이동성을 지원할 수 있고, 서비스에 따라 무선랜과 셀룰러 망에 선택적 연동할 수 있어 듀얼 모드 지원이 가능하고, 또한 호 설정을 위한 제어 신호의 실시간 전송 및 사용자 트래픽의 서비스 품질을 보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무선랜과 셀룰러 망의 연동 시스템 및 방법, 그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 system for linking of wireless and cellular network and method thereof, its program storing recording medium}
본 발명은 무선랜과 셀룰러 망의 연동 시스템 및 방법, 그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IEEE 802.11를 이용하여 무선랜과 셀룰러 망을 연동하기 위한 무선랜과 셀룰러 망의 연동 시스템 및 방법, 그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패킷 서비스를 제공하는 W-CDMA 네트워크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이동통신 가입자는 노트북이나 일반 개인용 컴퓨터와 같은 종단 장치(Terminal Equipment)(10)를 사용하여 이동 전화기(Mobile Terminal, MT)(20)에 접속하여 인터넷 등의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받는다.
이동 전화기(20)는 에어 인터페이스(Air Interface)를 통해 무선 접속망(UMTS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 UTRAN)(30)에 접속하고, UTRAN(30)은 ATM(Asynchronous Transfer Mode) 또는 인터넷 프로토콜 망(IP)을 통하여 SGSN(Serving GPRS Support Node)(40)에 접속하며, SGSN(40)은 GGSN(Gateway GPRS Support Node)(50)를 통하여 외부 공중망(Public Data Network, PDN)(70)과 접속된다.
여기서, UMTS는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의 약어이고, GPRS는 General Packet Radio Service의 약어이다.
또한, 이동교환기(Mobile Switching Center, MSC)(60)는 UTRAN(30), SGSN(40), GGSN(50)과 통신하면서 이동통신 가입자에게 회선 교환 서비스를 제공하고, 이동 전화기(20)의 위치를 추적한다. 이때, MSC(60)는 이동 전화기(20)의 위치 추적을 위해 가입자 및 이동 전화기(20) 정보를 보관하는 방문자 위치 등록기(Visitor Location Register, VLR)와 연동된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실시예의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11 네트워크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를 참고하면, 다수의 무선 단말기(Mobile Station, STA1)(110)는 노트북이나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을 이용하여 하나의 CF(Coordination Function)에 의해서 제어되는 BSS(Basic Service Set)(130)를 이루고, 이는 다시 AP(Access Point)(120)를 통하여 다른 BSS와 DS(Distribution System)(140)를 거쳐 연결된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종래의 셀룰러(Cellular) 망과 802.11 무선랜 망은 현재 별개의 망으로 중복 구축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는 셀룰러 망이 넓은 서비스 영역과 높은 이동성을 지원하지만 서비스 속도가 느리고 비용이 고가인 반면에, 무선랜 망은 좁은 서비스 영역과 낮은 이동성을 지원하지만 비교적 높은 서비스 속도와 저렴한 서비스 비용으로 급속히 확산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셀룰러 망과 802.11 무선랜 망의 장점을 이용하여 연동할 수 있는 방안이 아직 제시되지 않고 있으며, 기존의 802.11a/b 망은 셀룰러 망에서 요구하는 QoS(서비스 품질, Quality of Service)를 제공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실시예에서 무선랜 망과 셀룰러 망간의 실시간 호 설정이 지원되지 않으며, 서비스의 이동성도 지원되지 않는다는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은 위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셀룰러 망의 무선 접속망을 무선랜으로 대체하여 셀룰러 망과 무선랜이 연동하여 망간 서비스 이동성과 서비스 품질을 보장하기 위한 무선랜과 셀룰러 망의 연동 시스템 및 방법, 그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무선랜과 셀룰러 망의 연동 시스템의 특징은, 이동단말기나 무선 단말기와 핵심망 사이에서 유기적으로 연결되는 셀룰러 망의 무선접속망에 적용되는 데이터 통신을 위한 무선랜과 셀룰러 망의 연동 시스템으로서, 상기 무선 접속망 내에서 동일한 인터페이스로 접속하고, 무선랜을 위한 규격을 이용하여 상기 무선 단말기와 무선 접속하여 데이터 통신을 위한 데이터 및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다수의 접속장치; 및 상기 다수의 접속 장치와 연결되어 상기 접속장치로부터의 데이터 통신을 위한 데이터 및 제어신호를 전달받아 이를 상기 핵심망으로 전달하고, 상기 핵심망과 셀룰러 망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데이터 통신을 위한 경로를 설정하며 무선 자원을 관리하는 접속 제어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무선 단말기는 상기 셀룰러 망 접속을 위해 필요한 프로파일 정보를 상기 이동 단말기와 같은 정보 형태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무선 단말기는 무선랜을 위한 규격에서 사용하는 특정 프로토콜 기능과 셀룰러 망에서 사용하는 프로토콜 기능, 및 인터넷 통신 프로토콜 기능을 가진다.
상기 무선 단말기의 프로토콜 중에서 무선 접속구간에서 이용되는 계층(Layer)2 이하의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RRC(Radio Resource Control), RLC(Radio Link Control)/MAC(Media Access Control) 프로토콜이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11e MAC(Medium Access Control) 프로토콜로 대체하고, 나머지 PMM(Packet Mobility Management) 및 SM(Session Management) 프로토콜은 그대로 채용한다.
상기 무선 단말기의 프로토콜 중에서 무선 접속 구간에 이용되는 RRM(Radio Resource Management) 기능을 추가하여 무선 자원관리 및 이동성을 지원하도록 한다.
상기 무선 단말기는 상기 셀룰러 망에 연동하여 운용되거나 무선랜에 접속하여 운용되도록 듀얼 모드(Dual mode)를 지원한다.
삭제
상기 접속장치의 무선랜을 위한 규격은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11 물리계층과 802.11e MAC(Medium Access Control) 계층을 이용한다.
상기 접속장치와 접속 제어장치는 유선으로 접속한다. 상기 접속 제어장치는, 상기 무선접속망의 RNC(Radio Network Controller) 기능을 포함한다. 상기 접속 제어장치는, 상기 셀룰러 망과의 연동에 필요한 정보를 유지하며 상기 셀룰러 망 내의 MSC(Mobile Switching Center)/VLR(Visitor Location Register)에 접속한다.
상기 접속장치와 접속 제어장치간의 제어신호는, 상기 무선랜을 위한 규격인 IEEE 802.11e MAC의 기능 중 HCF(Hybrid Coordination Function) 기능 중 HCF Controlled channel access 기능, 또는 PCF(Point Coordination Function) 기능을 이용하여 실시간 전송되도록 한다.
상기 접속장치와 접속 제어장치간의 데이터 전송은, 사용자의 서비스 품질을 고려하여 HCF contention-based channel access(EDCF) 기능을 이용하여 전송한다.
상기 접속장치와 접속 제어장치간의 데이터 전송은, 사용자의 서비스 품질을 고려하지 않고 DCF(Distributed Coordination Function) 기능을 이용하여 전송한다.
상기 접속 제어장치와 무선 단말기는 무선랜과 상기 셀룰러 망간의 이동성을 지원하기 위해 버티컬 핸드오프(Vertical Hand-off) 기능을 지원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무선랜과 셀룰러 망의 연동 방법의 특징은, 이동단말기나 무선 단말기와 핵심망 사이에서 유기적으로 연결되는 셀룰러 망의 무선접속망에 적용되는 데이터 통신을 위한 무선랜과 셀룰러 망의 연동 방법으로서, a) 상기 무선 단말기를 초기화하고 상기 무선 단말기와 셀룰러 망, 또는 상기 무선 단말기와 무선랜 간 데이터 통신을 위한 경로 설정을 수행하는 단계; b) 상기 a) 단계에서 데이터 통신을 위한 경로 설정 후, 상기 무선 단말기와 셀룰러 망간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 및 c) 상기 b) 단계에서 데이터 통신이 완료되면, 설정된 데이터 통신을 위한 경로를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무선 단말기는 상기 셀룰러 망 접속을 위해 필요한 프로파일 정보를 상기 이동 단말기와 같은 정보 형태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a) 단계 내지 c) 단계는, 상기 무선 단말기와 무선 접속하여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접속장치가 무선랜을 위해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11 물리계층과 802.11e MAC(Medium Access Control) 계층을 이용하며, 데이터 통신을 위한 상위의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접속장치는 802.11e 스펙에 의해 CP(Contention Period) 또는 CFP(Contention Free Period)에 상관없이 CCI(Controlled Contention Interval)을 야기하기 위해 부정기적으로 "CC(Controlled Contention) Control Frame"을 상기 무선 단말기로 전송한다.
상기 CC에는 CCI 내의 CCOP(Controlled Contention OPportunity)의 수(Nccop)와, 각 CCOP의 주기 시간(Duration time) 값을 포함한다.
상기 a) 단계는,
가) 상기 무선 단말기가 메시지 전달을 위해 상기 셀룰러 망에서 야기되는 "CC Control Frame"의 수신을 대기하는 단계; 나) 상기 무선 단말기가 "CC Control Frame"을 수신하면, "RR(Reservation Request) Frame"을 상기 셀룰러 망으로 전송하여 무선 자원을 예약하는 단계; 다) 상기 나) 단계를 통해 CCI(Controlled Contention Interval) 동안 다수의 무선 단말기로부터"RR Frame"를 전송받은 셀룰러 망은 다음 CCI에 전송하는 "CC Frame"에 해당 무선 단말기의 무선 자원 예약 알림(Ack)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라) 상기 셀룰러 망이 "RR Frame"을 승인한 무선 단말기에 대하여 무선 전송 기회를 부여하는 단계; 마) 상기 라) 단계에서 무선 전송 기회를 부여받은 무선 단말기는 상기 셀룰러 망의 핵심망에 등록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 및 바) 상기 마) 단계에서 등록 절차가 완료된 무선 단말기는 데이터 전송을 위해 상기 셀룰러 망과의 세션 연결 설정을 요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나) 단계에서 "RR Frame"은 TID(Traffic ID)와 무선 전송 기회 기간 값을 포함한다.
상기 다) 단계에서 "Ack 메시지"를 전송받은 무선단말기는 "CC Frame"의 피드백 필드(Feedback Filed) 내 자신의 식별 값으로 무선 자원 예약 요구의 승인을 확인한다.
상기 마) 단계에서 무선 단말기의 등록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는, ㄱ) 상기 셀룰러 망의 무선접속망 내에서 상기 무선 단말기와 무선 접속되는 접속장치에 전송된 무선 단말기의 "Attach Request"메시지가 상기 접속장치와 접속되는 접속 제어장치에 전송되는 단계; ㄴ) 상기 ㄱ) 단계에서 "Attach Request"메시지를 전송받은 접속 제어장치는 이 메시지를 상기 핵심망으로 전달하고, 상기 핵심망으로부터 전달되는 "Attach Request/Reject"메시지를 상기 접속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및 ㄷ) 상기 ㄴ) 단계를 통해 접속장치는 "Attach Request/Reject"메시지를 "(QoS Data+)CF-Poll+CF-Ack Frame"을 통하여 상기 무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마) 상기 바) 단계를 통해 상기 무선 단말기의 세션 연결 절차와 등록 절차 사이에 일정 시간 이상이 소요되면, 상기 무선 단말기는 이전의 무선 전송 기회를 종료하고 다시 상기 셀룰러 망으로 다른 무선 전송 기회를 부여받기 위해 세션 연결 제어 메시지를 상기 셀룰러 망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바) 단계에서 무선 단말기의 세션 연결 설정 단계는, ㄱ) 상기 무선 단말기는 "QoS Data Frame"을 이용하여 "Active PDP Context Request" 메시지를 상기 셀룰러 망의 무선 접속망으로 전송하는 단계; ㄴ) 상기 ㄱ) 단계를 통해 무선접속망에 전달된 메시지는 핵심망의 SM(Session Management) 계층에 전달되어 데이터 경로 설정에 대한 준비가 이루어지는 단계; 및 ㄷ) 상기 ㄴ) 단계를 통해 핵심망의 SM 계층은 "Activate PDP Context Accept/Reject" 메시지를 상기 무선 접속망을 거쳐 "CF-Poll-Ack Frame"을 통해 상기 무선 단말기로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ㄷ) 단계에서 "Activate PDP Context Accept"메시지를 수신한 무선 단말기는 데이터 경로 설정 요구가 이루어졌음을 확인하고, 무선접속망에 설정된 무선 전송의 기회를 해제한다.
상기 b) 단계는,
상기 a) 단계에서 호 설정이 이루어지면, 상기 무선 단말기는 IEEE 802.11의 DCF(Distributed Coordination Function) 기능, 또는 사용자의 서비스 품질을 고려하여 HCF contention-based channel access(EDCF) 기능을 이용하여 상기 셀룰러 망으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상기 무선 단말기와 셀룰러 망 내에서 무선으로 접속되는 접속장치 간의 데이터 전송은, IEEE 802.11e 스펙에 규정된 CSMA/CA(Carrier Sensing Multiple Access/Collision Avoidance) 알고리즘에 따라 이루어지고, 각 데이터 트래픽에 대한 우선순위는 MAC 계층의 스케줄러에 의해 제어된다.
상기 c) 단계는,
가) 상기 b) 단계에서 데이터 전송이 종료되면, 상기 무선 단말기와 셀룰러 망의 핵심망간 설정된 세션을 종료하기 위해 무선접속망의 호 설정을 예약하는 단계; 나) 상기 가) 단계를 통해 핵심망은 이전에 설정된 데이터 경로를 해제하여 셀룰러 망의 세션을 종료하는 단계; 및 다) 상기 나) 단계에서 세션이 종료되면, 상기 무선 단말기는 전송할 데이터의 유무에 따라 세션을 재설정하거나 등록 해제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을 포함한다.
상기 가) 단계는,
ㄱ) 상기 무선 단말기가 메시지 전달을 위해 상기 셀룰러 망에서 야기되는 "CC Control Frame"의 수신을 대기하는 단계; ㄴ) 상기 무선 단말기가 "CC Control Frame"을 수신하면, "RR(Reservation Request) Frame"을 상기 셀룰러 망으로 전송하여 무선 자원을 예약하는 단계; ㄷ) 상기 ㄴ) 단계를 통해 CCI(Controlled Contention Interval) 동안 다수의 무선 단말기로부터"RR Frame"를 전송받은 셀룰러 망은 다음 CCI에 전송하는 "CC Frame"에 해당 무선 단말기의 무선 자원 예약 알림(Ack)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ㄹ) 상기 셀룰러 망이 "RR Frame"을 승인한 무선 단말기에 대하여 무선 전송 기회를 부여하는 단계; 및 ㅁ) 상기 ㄹ) 단계에서 무선 전송 기회를 부여받은 무선 단말기는 상기 셀룰러 망의 핵심망에 등록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나) 단계는, ㄱ) 상기 무선 단말기는 셀룰러 망의 핵심망으로부터 "Deactivate PDP Context Request"메시지를 전달받아 "QoS Data Frame"을 통해 무선접속망으로 전달하는 단계; ㄴ) 상기 ㄱ) 단계에서 무선접속망으로 전달된 메시지는 다시 핵심망으로 전달되므로 상기 핵심망이 이전에 설정된 데이터 경로를 해재한 후에 "Deactivate PDP Context Accept"메시지를 무선접속망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 ㄷ) 상기 ㄴ) 단계에서 메시지를 전송받은 무선 접속망은 "CF-Poll+CF-Ack"을 이용하여 상기 무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다) 단계는, 상기 무선 단말기가 전송할 데이터가 있을 경우에 세션을 재설정하기 위한 절차를 수행하고, 상기 무선 단말기가 전송할 데이터가 없을 경우에 상기 셀룰러 망과의 접속을 종료하기 위해 등록 해제 절차를 수행한다.
상기 무선단말기의 등록 해제 절차는, 상기 무선 단말기의 "Detach Request"메시지가 핵심망으로 전달하여 상기 핵심망으로부터 "Detach Accept"메시지가 상기 무선 접속망으로 수신되면, 상기 무선 접속망이 제어 메시지 전달을 위한 무선 전송의기회가 종료되었음을 상기 무선 단말기로 알린다.
상기 무선 단말기가 셀룰러 망에 연동하여 운영되거나, 무선랜에 접속하여 운영되는 듀얼 모드로 동작한다. 상기 듀얼 모드 지원과 선택은 자동으로 설정 가능하고, 비콘(beacon) 프레임을 이용하여 방송될 수 있다.
무선랜과 셀룰러 망의 연동을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의 특징은, 이동단말기나 무선 단말기와 핵심망 사이에서 유기적으로 연결되는 셀룰러 망의 무선접속망에 적용되는 데이터 통신을 위한 무선랜과 셀룰러 망의 연동을 위해, 상기 무선 단말기를 초기화하고 상기 무선 단말기와 셀룰러 망, 또는 상기 무선 단말기와 무선랜 간 데이터 통신을 위한 경로 설정을 수행하는 제1 기능; 상기 데이터 통신을 위한 경로 설정 후, 상기 무선 단말기와 셀룰러 망간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제2 기능; 및 상기 데이터 통신이 완료되면, 설정된 데이터 통신을 위한 경로를 해제하는 제3 기능을 포함하며, 상기 무선 단말기가 상기 셀룰러 망 접속을 위해 필요한 프로파일 정보를 상기 이동 단말기와 같은 정보 형태로 유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셀룰러 망 중에서 광대역 코드분할 다중접속(W-CDMA) 망의 접속 인터페이스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에서, Iu는 핵심망(Core Network, CN)과 무선접속망(UTRAN) 사이의 인터페이스이고, Iur은 UTRAN의 RNC(Radio Network Controller) 사이의 논리적인 인터페이스이며, Iub는 RNC와 노드B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각각 나타낸다. 한편, Uu는 UTRAN과 이동국(User Equipment, UE) 사이의 무선 인터페이스를 나타낸다.
여기서, 노드B(Node B)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셀에서 UE로부터 무선 송수신을 책임지고 있는 논리적인 노드로서, 각각의 셀들을 제어하는 셀 제어장치(Cell Controller)가 포함되어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무선랜과 셀룰러 망의 연동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시스템은 이동단말기나 무선단말기(Mobile Station, STA)와 핵심망(CN) 사이에서 유기적으로 연결되는 셀룰러 망의 무선접속망에 적용되고, 무선 접속망 내에 노드B, RNC, 외에 접속장치(Access Point)(320)와 접속 제어장치(Access Point Controller)(330)를 포함하고 있다.
이때, 접속장치(320)는 노드B를 대체한 것이고, 접속 제어장치(330)는 무선접속망 내의 RNC를 대체하거나, 기존의 RNC 기능에 접속 제어 기능을 포함하도록 RNC를 재설계한 것일 수도 있다.
또한, 접속장치(320)와 접속 제어장치(330)는 유선으로 접속된다.
무선 단말기(310)는 IEEE 802.11 물리계층과 802.11e MAC 계층 프로토콜 기능을 가지며, 계층 3에서 셀룰러 프로토콜 기능(예를 들어, W-CDMA의 PMM, SM 등)을 가지며, 그 상위에 일반적인 인터넷 통신 프로토콜 기능을 갖는다.
한편, 무선 단말기(310)는 셀룰러 망 접속을 위해 필요한 프로파일 정보를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와 같은 정보 형태로 유지고, 무선 단말기(310)는 셀룰러 망에 연동하여 운용되거나 무선랜에 접속하여 운용되도록 듀얼 모드(Dual mode)를 지원한다.
무선 단말기(310)가 호 설정을 요구하고 호 설정 이후의 데이터를 송수신하면, 접속장치(320)는 무선 단말기(310)와 802.11 물리 계층과 802.11e MAC 기능을 이용하여 무선 접속하여 데이터 및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접속 제어장치(330)에 전달한다.
이때, 접속장치(320)는 접속 제어장치(330)와 셀룰러 망의 BTS와 BSC 간, 노드 B와 RNC간의 Iub 접속처럼 ATM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접속할 수 있으며, 다른 인터넷 망을 이용하여 접속할 수도 있다.
접속 제어장치(330)는 접속장치와 접속하여 셀룰러 망과의 연동에 필요한 정보를 유지하며 필요시 셀룰러 망의 MSC/VLR(350), SGSN(340) 등에 접속할 수 있다.
이러한 접속 제어장치(330)는 핵심망과 무선접속망간의 인터페이스와 동일한 방식으로 접속하여 다수의 접속장치(320)로부터 데이터 및 제어신호를 전달받아 이를 핵심망으로 전달한다.
한편, 접속 제어장치와 무선 단말기는 무선랜과 상기 셀룰러 망간의 이동성을 지원하기 위해 버티컬 핸드오프(Vertical Hand-off) 기능을 지원한다.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무선 접속 구간이 기존의 셀룰러 망에서 이용되던 프로토콜을 대신하여 802.11 MAC의 기능에 서비스 품질(QoS) 기능을 향상시킨 802.11e MAC 프로토콜에 따라 운용되고 있다.
도 5는 도 3에 의한 W-CDMA 프로토콜의 제어평면 구조를 도시한 것이고, 도 6은 도 3에 의한 W-CDMA 프로토콜의 사용자 평면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7은 도 4에 의한 802.11e 무선랜과 셀룰러 망 중 W-CDMA 망 연동 네트워크의 제어평면 프로토콜 구조를 도시한 것이고, 도 8은 도 4에 의한 802.11e 무선랜과 셀룰러 망 중 W-CDMA 망 연동 네트워크의 사용자 평면 프로토콜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5 내지 도 8에 나탄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노드B와 이동단말기(MT)간 인터페이스, 즉 Uu 인터페이스만이 802.11e를 사용하는 무선랜 구간으로 대체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무선 단말기(310)의 프로토콜 중에서 무선 접속구간에서 이용되는 계층(Layer)2 이하의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RRC(Radio Resource Control), RLC(Radio Link Control)/MAC(Media Access Control) 프로토콜이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11e MAC(Medium Access Control) 프로토콜로 대체하고, 나머지 PMM(Packet Mobility Management) 및 SM(Session Management) 프로토콜은 그대로 채용한다.
그리고 무선 단말기(310)의 프로토콜 중에서 무선 접속 구간에 이용되는 RRM(Radio Resource Management) 기능을 추가하여 무선 자원관리 및 이동성을 지원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무선랜과 셀룰러 망의 연동 시스템의 서비스 이용은 제어 신호를 이용한 호 설정 과정과 호 설정 이후의 데이터 전송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먼저, 제어 신호는 실시간 전송을 위해 IEEE 802.11e MAC의 기능 중 HCF(Hybrid Coordination Function) 기능 중 HCF Controlled channel access 기능, 또는 PCF(Point Coordination Function) 기능을 이용하도록 한다.
다음, 데이터 전송 과정은 사용자의 서비스 품질을 고려하여 HCF contention-based channel access(EDCF) 기능을 이용하여 전송하거나, 또는 사용자의 서비스 품질을 고려하지 않고 DCF(Distributed Coordination Function) 기능을 이용하여 전송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무선랜과 셀룰러 망의 연동 방법에 따른 신호 및 데이터 전송 절차를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무선단말기(STA)와 HC(Hybrid Coordinator) 사이의 신호 및 데이터 전송 절차에 관한 것으로서, 802.11e 무선랜에서 HC의 기능은 일반적으로 AP의 기능에 포함된 것으로 간주하고, 도 9에서 무선랜의 호 설정 절차는 이미 이루어져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먼저, HC는 802.11e 스펙에 의하면 CP(Contention Period)나 CFP(Contention Free Period)에 상관없이 CCI(Controlled Contention Interval)를 야기하기 위하여 부정기적으로 "CC(Controlled Contention) Control Frame"을 전송한다.
이때 CC에는 CCI내의 CCOP(Controlled Contention OPportunity)의 수(Nccop)와 각 CCOP의 "duration time" 값을 포함하고 있다(S100).
한편, 셀룰러 망에 접속하고자 하는 무선단말기(STA)는 HC에 의해 야기되는 CC Control Frame의 수신을 대기한다. CC Control Frame을 수신한 경우에, 무선 단말기(310)는 RR(Reservation Request) frame을 HC로 전송한다.
이때, RR Frame은 TID(Traffic ID)와 TXOP(Transmission OPportunity) duration 값 등을 포함하고 있다(S110).
CCI 동안 여러 무선 단말기(STA)로부터 RR Frame을 수신한 HC는 다음 CCI에 전송하는 CC Frame을 이용하여 ACK 메시지를 전송하게 된다. 이때 무선 단말기는 CC Frame의 Feedback Field 내의 자신의 AID 값으로 무선 자원 예약 요구가 승인된 것을 확인한다(S120).
HC는 RR을 승인한 무선 단말기(STA)에 대하여 (QoSData+)CF-Poll 메시지를 전송하여 TXOP, 즉 무선 전송의 기회를 부여한다. 이를 수신한 무선 단말기는 QoS Data 프레임을 이용하여 셀룰러 망의 핵심망에 무선 단말기의 등록 절차를 수행한다.
접속장치(320)에 전송된 셀룰러 망 제어 메시지인 Attach Request 메시지는 접속 제어장치(330)를 거쳐 핵심망에 전달된다. 그리고 핵심망으로부터 응답된 Attach Accept 또는 Attach Reject 메시지는 다시 접속 제어장치(330)를 거쳐 접속장치(320)로 전달되며, 여기서 전달된 메시지는 (QoS Data+)CF-Poll+CF-Ack Frame을 통하여 무선단말기로 전송된다.(S130~S150).
무선 단말기(STA)는 등록 절차 이후 데이터 전송의 필요가 있을 때마다 셀룰러 망과의 세션 연결 설정을 요구한다. 이때 세션 연결 절차와 무선 단말기 등록 절차 사이에 시간이 길어질 경우에, 기존의 TXOP를 종료하고 다시 S110~S940의 절차를 거쳐 다른 TXOP를 이용하여 세션 연결 제어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무선 단말기(310)는 접속장치(320)로 세션 연결 설정을 위하여 QoS Data Frame을 이용하여 Activate PDP Context Request 메시지를 전송한다. 접속장치(320)로 전달된 메시지는 접속 제어장치(330)를 거쳐 핵심망의 SM(Session Management) 계층까지 전달되어 데이터 경로 설정이 되도록 한다.
데이터 경로 설정에 대한 준비가 이루어지며, SGSN의 SM 계층은 Activate PDP Context Accept 또는 Reject 메시지를 응답한다. 응답된 메시지는 다시 접속 제어장치(330)를 거쳐 접속장치(320)로 전달되며, 다시 CF-Poll-Ack Frame을 통하여 무선단말기(310)로 최종 전달된다.
이때 무선단말기는 Activate PDP Context Accept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데이터 경로 설정 요구가 이루어졌음을 확인하고, 무선접속망에 설정된 TXOP를 해제한다. 이는 CF-End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이루어진다(S160~S190).
앞에서의 절차로 호 설정이 이루어지면, 무선단말기(STA)는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데, 무선 단말기는 802.11의 DCF 기능에 따라 전송 될 수 있으며 또는 QoS의 보장을 위하여 EDCF 기능에 의해 전송될 수 있다.
이때 무선접속망 ,즉 무선 단말기와 AP간의 데이터 전송은 802.11e 스펙에 규정된 CSMA/CA(Carrier Sensing Multiple Access/Collision Avoidance) 알고리즘에 따라 이루어지며, QoS를 보장하기 위하여 EDCF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 각 데이터 트랙픽에 대한 우선순위는 MAC 계층의 스케줄러(scheduler)에 의해 제어되는 것으로 본다(S200).
데이터 전송을 종료하고, 현재 셀룰러 망의 핵심망과 설정된 세션을 종료하고자 하는 경우에, 이를 위하여 다시 무선 접속망의 호 설정을 예약해야 하며, 이때 호 설정의 과정은 S100~S130의 과정과 동일하다(S210~S240).
셀룰러 망의 세션 종료를 위하여 무선 단말기는 SM 계층으로부터 Deactivate PDP Context Request 메시지를 전달받아 QoSData Frame에 담아 접속장치(320)로 전송한다.
접속장치(320)로 전달된 메시지는 접속 제어장치(330)를 거쳐 핵심망의 SM 계층으로 전달된다. 이 메시지를 수신한 핵심망의 SGSN은 기존에 설정된 데이터 경로를 해제하고, Deactivate PDP Context Accept로 응답한다. 이 메시지는 접속 제어장치(330)를 거쳐 접속장치(320)로 전달되며, 다시 CF-Poll+CF-Ack Frame을 이용하여 무선단말기로 전달된다(S260~S270).
한편, 세션을 종료한 무선 단말기는 다시 전송할 데이터가 있을 경우 S110에서 S210까지의 절차를 통해 세션을 재설정하고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만약 셀룰러 망과의 접속을 종료하고자 하는 경우에, 무선단말기는 등록 해제 절차를 수행한다.
이때 등록 해제 메시지, 즉 Detach Request 메시지는 핵심망으로 전달되고, 이에 대한 응답 메시지 즉 Detach Accept 메시지를 수신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마지막으로 HC는 제어 메시지 전달을 위한 TXOP가 종료되었음을 CF-End Frame을 전송하여 알린다(S280~S310).
한편 무선 단말기는 기존의 802.11e MAC은 기존의 802.11 MAC의 기능에 QoS 기능을 더한 것이므로 도 4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기존의 무선랜에 접속하여 필요한 서비스를 지원 받을 수 있다.
이러한 이중 모드 지원과 선택은 사용자의 관여 없이 자동적으로 설정 가능하다. 이러한 서비스의 유형은 비콘(Beacon) 프레임을 이용하여 방송(broadcasting)될 수 있다.
상기 도면과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무선랜과 셀룰러 망의 연동 시스템 및 방법, 그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는 무선랜을 위해 IEEE 802.11 물리계층과, 서비스 품질 기능을 향상시킨 802.11e MAC 프로토콜에 따라 무선 접속 구간을 운용함으로써 서비스의 이동성을 지원할 수 있고, 서비스에 따라 무선랜과 셀룰러 망에 선택적 연동할 수 있어 듀얼 모드 지원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무선랜과 셀룰러 망의 연동 시스템 및 방법, 그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는 호 설정을 위한 제어 신호의 실시간 전송 및 사용자 트래픽의 서비스 품질을 보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패킷 서비스를 제공하는 W-CDMA 네트워크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실시예의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11 네트워크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셀룰러 망 중에서 광대역 코드분할 다중접속(W-CDMA) 망의 접속 인터페이스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무선랜과 셀룰러 망의 연동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도 3에 의한 W-CDMA 프로토콜의 제어평면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도 3에 의한 W-CDMA 프로토콜의 사용자 평면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도 4에 의한 802.11e 무선랜과 셀룰러 망 중 W-CDMA 망 연동 네트워크의 제어평면 프로토콜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도 4에 의한 802.11e 무선랜과 셀룰러 망 중 W-CDMA 망 연동 네트워크의 사용자 평면 프로토콜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무선랜과 셀룰러 망의 연동 방법에 따른 신호 및 데이터 전송 절차를 도시한 것이다.

Claims (35)

  1. 이동단말기나 무선 단말기와 핵심망 사이에서 유기적으로 연결되는 셀룰러 망의 무선접속망에 적용되는 데이터 통신을 위한 무선랜과 셀룰러 망의 연동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무선 접속망 내에서 동일한 인터페이스로 접속하고, 무선랜을 위한 규격을 이용하여 상기 무선 단말기와 무선 접속하여 데이터 통신을 위한 데이터 및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다수의 접속장치; 및
    상기 다수의 접속 장치와 연결되어 상기 접속장치로부터의 데이터 통신을 위한 데이터 및 제어신호를 전달받아 이를 상기 핵심망으로 전달하고, 상기 핵심망과 셀룰러 망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데이터 통신을 위한 경로를 설정하며 무선 자원을 관리하는 접속 제어장치
    를 포함하며,
    상기 무선 단말기는 상기 셀룰러 망 접속을 위해 필요한 프로파일 정보를 상기 이동 단말기와 같은 정보 형태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랜과 셀룰러 망의 연동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단말기는 무선랜을 위한 규격에서 사용하는 특정 프로토콜 기능과 셀룰러 망에서 사용하는 프로토콜 기능, 및 인터넷 통신 프로토콜 기능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랜과 셀룰러 망의 연동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단말기의 프로토콜 중에서 무선 접속구간에서 이용되는 계층(Layer)2 이하의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RRC(Radio Resource Control), RLC(Radio Link Control)/MAC(Media Access Control) 프로토콜이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11e MAC(Medium Access Control) 프로토콜로 대체하고, 나머지 PMM(Packet Mobility Management) 및 SM(Session Management) 프로토콜은 그대로 채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랜과 셀룰러 망의 연동 시스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단말기의 프로토콜 중에서 무선 접속 구간에 이용되는 RRM(Radio Resource Management) 기능을 추가하여 무선 자원관리 및 이동성을 지원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랜과 셀룰러 망의 연동 시스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단말기는 상기 셀룰러 망에 연동하여 운용되거나 무선랜에 접속하여 운용되도록 듀얼 모드(Dual mode)를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랜과 셀룰러 망의 연동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장치의 무선랜을 위한 규격은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11 물리계층과 802.11e MAC(Medium Access Control) 계층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랜과 셀룰러 망의 연동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장치와 접속 제어장치는 유선으로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랜과 셀룰러 망의 연동 시스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제어장치는,
    상기 무선접속망의 RNC(Radio Network Controller) 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랜과 셀룰러 망의 연동 시스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제어장치는, 상기 셀룰러 망과의 연동에 필요한 정보를 유지하며 상기 셀룰러 망 내의 MSC(Mobile Switching Center)/VLR(Visitor Location Register)에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랜과 셀룰러 망의 연동 시스템.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장치와 접속 제어장치간의 제어신호는,
    상기 무선랜을 위한 규격인 IEEE 802.11e MAC의 기능 중 HCF(Hybrid Coordination Function) 기능 중 HCF Controlled channel access 기능, 또는 PCF(Point Coordination Function) 기능을 이용하여 실시간 전송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랜과 셀룰러 망의 연동 시스템.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장치와 접속 제어장치간의 데이터 전송은, 사용자의 서비스 품질을 고려하여 HCF contention-based channel access(EDCF) 기능을 이용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랜과 셀룰러 망의 연동 시스템.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장치와 접속 제어장치간의 데이터 전송은, 사용자의 서비스 품질을 고려하지 않고 DCF(Distributed Coordination Function) 기능을 이용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랜과 셀룰러 망의 연동 시스템.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제어장치와 무선 단말기는 무선랜과 상기 셀룰러 망간의 이동성을 지원하기 위해 버티컬 핸드오프(Vertical Hand-off) 기능을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랜과 셀룰러 망의 연동 시스템.
  15. 이동단말기나 무선 단말기와 핵심망 사이에서 유기적으로 연결되는 셀룰러 망의 무선접속망에 적용되는 데이터 통신을 위한 무선랜과 셀룰러 망의 연동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무선 단말기를 초기화하고 상기 무선 단말기와 셀룰러 망, 또는 상기 무선 단말기와 무선랜 간 데이터 통신을 위한 경로 설정을 수행하는 단계;
    b) 상기 a) 단계에서 데이터 통신을 위한 경로 설정 후, 상기 무선 단말기와 셀룰러 망간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 및
    c) 상기 b) 단계에서 데이터 통신이 완료되면, 설정된 데이터 통신을 위한 경로를 해제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무선 단말기는 상기 셀룰러 망 접속을 위해 필요한 프로파일 정보를 상기 이동 단말기와 같은 정보 형태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랜과 셀룰러 망의 연동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 내지 c) 단계는,
    상기 무선 단말기와 무선 접속하여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접속장치가 무선랜을 위해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11 물리계층과 802.11e MAC(Medium Access Control) 계층을 이용하며, 데이터 통신을 위한 상위의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랜과 셀룰러 망의 연동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장치는 802.11e 스펙에 의해 CP(Contention Period) 또는 CFP(Contention Free Period)에 상관없이 CCI(Controlled Contention Interval)을 야기하기 위해 부정기적으로 "CC(Controlled Contention) Control Frame"을 상기 무선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랜과 셀룰러 망의 연동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CC에는 CCI 내의 CCOP(Controlled Contention OPportunity)의 수(Nccop)와, 각 CCOP의 주기 시간(Duration time) 값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랜과 셀룰러 망의 연동 방법.
  19.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가) 상기 무선 단말기가 메시지 전달을 위해 상기 셀룰러 망에서 야기되는 "CC Control Frame"의 수신을 대기하는 단계;
    나) 상기 무선 단말기가 "CC Control Frame"을 수신하면, "RR(Reservation Request) Frame"을 상기 셀룰러 망으로 전송하여 무선 자원을 예약하는 단계;
    다) 상기 나) 단계를 통해 CCI(Controlled Contention Interval) 동안 다수의 무선 단말기로부터"RR Frame"를 전송받은 셀룰러 망은 다음 CCI에 전송하는 "CC Frame"에 해당 무선 단말기의 무선 자원 예약 알림(Ack)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라) 상기 셀룰러 망이 "RR Frame"을 승인한 무선 단말기에 대하여 무선 전송 기회를 부여하는 단계;
    마) 상기 라) 단계에서 무선 전송 기회를 부여받은 무선 단말기는 상기 셀룰러 망의 핵심망에 등록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 및
    바) 상기 마) 단계에서 등록 절차가 완료된 무선 단말기는 데이터 전송을 위해 상기 셀룰러 망과의 세션 연결 설정을 요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무선랜과 셀룰러 망의 연동 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나) 단계에서 "RR Frame"은 TID(Traffic ID)와 무선 전송 기회 기간 값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랜과 셀룰러 망의 연동 방법.
  21.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다) 단계에서 "Ack 메시지"를 전송받은 무선단말기는 "CC Frame"의 피드백 필드(Feedback Filed) 내 자신의 식별 값으로 무선 자원 예약 요구의 승인을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랜과 셀룰러 망의 연동 방법.
  22.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마) 단계에서 무선 단말기의 등록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는,
    ㄱ) 상기 셀룰러 망의 무선접속망 내에서 상기 무선 단말기와 무선 접속되는 접속장치에 전송된 무선 단말기의 "Attach Request"메시지가 상기 접속장치와 접속되는 접속 제어장치에 전송되는 단계;
    ㄴ) 상기 ㄱ) 단계에서 "Attach Request"메시지를 전송받은 접속 제어장치는 이 메시지를 상기 핵심망으로 전달하고, 상기 핵심망으로부터 전달되는 "Attach Request/Reject"메시지를 상기 접속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및
    ㄷ) 상기 ㄴ) 단계를 통해 접속장치는 "Attach Request/Reject"메시지를 "(QoS Data+)CF-Poll+CF-Ack Frame"을 통하여 상기 무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무선랜과 셀룰러 망의 연동 방법.
  23. 제 19 항에 있어서,
    마) 상기 바) 단계를 통해 상기 무선 단말기의 세션 연결 절차와 등록 절차 사이에 일정 시간 이상이 소요되면, 상기 무선 단말기는 이전의 무선 전송 기회를 종료하고 다시 상기 셀룰러 망으로 다른 무선 전송 기회를 부여받기 위해 세션 연결 제어 메시지를 상기 셀룰러 망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랜과 셀룰러 망의 연동 방법.
  24.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바) 단계에서 무선 단말기의 세션 연결 설정 단계는,
    ㄱ) 상기 무선 단말기는 "QoS Data Frame"을 이용하여 "Active PDP Context Request" 메시지를 상기 셀룰러 망의 무선 접속망으로 전송하는 단계;
    ㄴ) 상기 ㄱ) 단계를 통해 무선접속망에 전달된 메시지는 핵심망의 SM(Session Management) 계층에 전달되어 데이터 경로 설정에 대한 준비가 이루어지는 단계; 및
    ㄷ) 상기 ㄴ) 단계를 통해 핵심망의 SM 계층은 "Activate PDP Context Accept/Reject" 메시지를 상기 무선 접속망을 거쳐 "CF-Poll-Ack Frame"을 통해 상기 무선 단말기로 전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무선랜과 셀룰러 망의 연동 방법.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ㄷ) 단계에서 "Activate PDP Context Accept"메시지를 수신한 무선 단말기는 데이터 경로 설정 요구가 이루어졌음을 확인하고, 무선접속망에 설정된 무선 전송의 기회를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랜과 셀룰러 망의 연동 방법.
  2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a) 단계에서 호 설정이 이루어지면, 상기 무선 단말기는 IEEE 802.11의 DCF(Distributed Coordination Function) 기능, 또는 사용자의 서비스 품질을 고려하여 HCF contention-based channel access(EDCF) 기능을 이용하여 상기 셀룰러 망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랜과 셀룰러 망의 연동 방법.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단말기와 셀룰러 망 내에서 무선으로 접속되는 접속장치 간의 데이터 전송은, IEEE 802.11e 스펙에 규정된 CSMA/CA(Carrier Sensing Multiple Access/Collision Avoidance) 알고리즘에 따라 이루어지고, 각 데이터 트래픽에 대한 우선순위는 MAC 계층의 스케줄러에 의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랜과 셀룰러 망의 연동 방법.
  2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가) 상기 b) 단계에서 데이터 전송이 종료되면, 상기 무선 단말기와 셀룰러 망의 핵심망간 설정된 세션을 종료하기 위해 무선접속망의 호 설정을 예약하는 단계;
    나) 상기 가) 단계를 통해 핵심망은 이전에 설정된 데이터 경로를 해제하여 셀룰러 망의 세션을 종료하는 단계; 및
    다) 상기 나) 단계에서 세션이 종료되면, 상기 무선 단말기는 전송할 데이터의 유무에 따라 세션을 재설정하거나 등록 해제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
    을 포함하는 무선랜과 셀룰러 망의 연동 방법.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가) 단계는,
    ㄱ) 상기 무선 단말기가 메시지 전달을 위해 상기 셀룰러 망에서 야기되는 "CC Control Frame"의 수신을 대기하는 단계;
    ㄴ) 상기 무선 단말기가 "CC Control Frame"을 수신하면, "RR(Reservation Request) Frame"을 상기 셀룰러 망으로 전송하여 무선 자원을 예약하는 단계;
    ㄷ) 상기 ㄴ) 단계를 통해 CCI(Controlled Contention Interval) 동안 다수의 무선 단말기로부터"RR Frame"를 전송받은 셀룰러 망은 다음 CCI에 전송하는 "CC Frame"에 해당 무선 단말기의 무선 자원 예약 알림(Ack)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ㄹ) 상기 셀룰러 망이 "RR Frame"을 승인한 무선 단말기에 대하여 무선 전송 기회를 부여하는 단계; 및
    ㅁ) 상기 ㄹ) 단계에서 무선 전송 기회를 부여받은 무선 단말기는 상기 셀룰러 망의 핵심망에 등록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랜과 셀룰러 망의 연동 방법.
  30.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나) 단계는,
    ㄱ) 상기 무선 단말기는 셀룰러 망의 핵심망으로부터 "Deactivate PDP Context Request"메시지를 전달받아 "QoS Data Frame"을 통해 무선접속망으로 전달하는 단계;
    ㄴ) 상기 ㄱ) 단계에서 무선접속망으로 전달된 메시지는 다시 핵심망으로 전달되므로 상기 핵심망이 이전에 설정된 데이터 경로를 해재한 후에 "Deactivate PDP Context Accept"메시지를 무선접속망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
    ㄷ) 상기 ㄴ) 단계에서 메시지를 전송받은 무선 접속망은 "CF-Poll+CF-Ack"을 이용하여 상기 무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무선랜과 셀룰러 망의 연동 방법.
  31.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다) 단계는,
    상기 무선 단말기가 전송할 데이터가 있을 경우에 세션을 재설정하기 위한 절차를 수행하고, 상기 무선 단말기가 전송할 데이터가 없을 경우에 상기 셀룰러 망과의 접속을 종료하기 위해 등록 해제 절차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랜과 셀룰러 망의 연동 방법.
  32.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단말기의 등록 해제 절차는,
    상기 무선 단말기의 "Detach Request"메시지가 핵심망으로 전달하여 상기 핵심망으로부터 "Detach Accept"메시지가 상기 무선 접속망으로 수신되면, 상기 무선 접속망이 제어 메시지 전달을 위한 무선 전송의기회가 종료되었음을 상기 무선 단말기로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랜과 셀룰러 망의 연동 방법.
  33.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단말기가 셀룰러 망에 연동하여 운영되거나, 무선랜에 접속하여 운영되는 듀얼 모드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랜과 셀룰러 망의 연동 방법.
  34.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듀얼 모드 지원과 선택은 자동으로 설정 가능하고, 비콘(beacon) 프레임을 이용하여 방송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랜과 셀룰러 망의 연동 방법.
  35. 이동단말기나 무선 단말기와 핵심망 사이에서 유기적으로 연결되는 셀룰러 망의 무선접속망에 적용되는 데이터 통신을 위한 무선랜과 셀룰러 망의 연동 방법을 구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무선 단말기를 초기화하고 상기 무선 단말기와 셀룰러 망, 또는 상기 무선 단말기와 무선랜 간 데이터 통신을 위한 경로 설정을 수행하는 제1 기능;
    상기 데이터 통신을 위한 경로 설정 후, 상기 무선 단말기와 셀룰러 망간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제2 기능; 및
    상기 데이터 통신이 완료되면, 설정된 데이터 통신을 위한 경로를 해제하는 제3 기능
    을 포함하며,
    상기 무선 단말기가 상기 셀룰러 망 접속을 위해 필요한 프로파일 정보를 상기 이동 단말기와 같은 정보 형태로 유지하도록 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
KR10-2002-0080313A 2002-12-16 2002-12-16 무선랜과 셀룰러 망의 연동 시스템 및 방법, 그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 KR1004830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0313A KR100483021B1 (ko) 2002-12-16 2002-12-16 무선랜과 셀룰러 망의 연동 시스템 및 방법, 그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0313A KR100483021B1 (ko) 2002-12-16 2002-12-16 무선랜과 셀룰러 망의 연동 시스템 및 방법, 그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3858A KR20040053858A (ko) 2004-06-25
KR100483021B1 true KR100483021B1 (ko) 2005-04-15

Family

ID=373470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80313A KR100483021B1 (ko) 2002-12-16 2002-12-16 무선랜과 셀룰러 망의 연동 시스템 및 방법, 그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8302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60464A (ja) * 2004-08-19 2006-03-02 Fujitsu Ltd 無線ネットワーク通信制御装置及び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KR100661181B1 (ko) * 2004-09-23 2006-12-26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통신규격 자동변경기능을 지원하는 무선단말장치 및그 방법
KR100612698B1 (ko) * 2005-02-15 2006-08-16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무선랜 및 휴대 인터넷을 이용하여 cdma 패킷 데이터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프로토콜 구조, 서비스 제공 방법및 이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
KR100747696B1 (ko) * 2005-10-24 2007-08-08 주식회사 영 3세대 이동통신에서 무선망제어장치간의 상호작용 시험을지원하기 위한 핵심망 시뮬레이터의 동적 구성 방법
KR100938658B1 (ko) * 2008-01-16 2010-01-25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무선 메쉬 네트워크 구조 및 무선 메쉬 네트워크상에서의데이터 전송방법
US8832777B2 (en) 2009-03-02 2014-09-09 Headwater Partners I Llc Adapting network policies based on device service processor configuration
US8346225B2 (en) 2009-01-28 2013-01-01 Headwater Partners I, Llc Quality of service for device assisted services
US8406748B2 (en) 2009-01-28 2013-03-26 Headwater Partners I Llc Adaptive ambient services
US8275830B2 (en) 2009-01-28 2012-09-25 Headwater Partners I Llc Device assisted CDR creation, aggregation, mediation and billing
US8589541B2 (en) 2009-01-28 2013-11-19 Headwater Partners I Llc Device-assisted services for protecting network capacity
US8583781B2 (en) 2009-01-28 2013-11-12 Headwater Partners I Llc Simplified service network architecture
US8402111B2 (en) 2009-01-28 2013-03-19 Headwater Partners I, Llc Device assisted services install
US8391834B2 (en) 2009-01-28 2013-03-05 Headwater Partners I Llc Security techniques for device assisted services
US10237757B2 (en) 2009-01-28 2019-03-19 Headwater Research Llc System and method for wireless network offloading
US11985155B2 (en) 2009-01-28 2024-05-14 Headwater Research Llc Communications device with secure data path processing agents
US11218854B2 (en) 2009-01-28 2022-01-04 Headwater Research Llc Service plan design, user interfaces,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s, and device management
US9270559B2 (en) 2009-01-28 2016-02-23 Headwater Partners I Llc Service policy implementation for an end-user device having a control application or a proxy agent for routing an application traffic flow
US10264138B2 (en) 2009-01-28 2019-04-16 Headwater Research Llc Mobile device and service management
KR101940815B1 (ko) * 2009-01-28 2019-01-21 헤드워터 리서치 엘엘씨 장치 보조 서비스를 위한 서비스 품질
US9572019B2 (en) 2009-01-28 2017-02-14 Headwater Partners LLC Service selection set published to device agent with on-device service selection
US10841839B2 (en) 2009-01-28 2020-11-17 Headwater Research Llc Security, fraud detection, and fraud mitigation in device-assisted services systems
US10492102B2 (en) 2009-01-28 2019-11-26 Headwater Research Llc Intermediate networking devices
US10798252B2 (en) 2009-01-28 2020-10-06 Headwater Research Llc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user notifications
US10200541B2 (en) 2009-01-28 2019-02-05 Headwater Research Llc Wireless end-user device with divided user space/kernel space traffic policy system
US9706061B2 (en) 2009-01-28 2017-07-11 Headwater Partners I Llc Service design center for device assisted services
US9392462B2 (en) 2009-01-28 2016-07-12 Headwater Partners I Llc Mobile end-user device with agent limiting wireless data communication for specified background applications based on a stored policy
US11973804B2 (en) 2009-01-28 2024-04-30 Headwater Research Llc Network service plan design
US9565707B2 (en) 2009-01-28 2017-02-07 Headwater Partners I Llc Wireless end-user device with wireless data attribution to multiple personas
US9955332B2 (en) 2009-01-28 2018-04-24 Headwater Research Llc Method for child wireless device activation to subscriber account of a master wireless device
US9954975B2 (en) 2009-01-28 2018-04-24 Headwater Research Llc Enhanced curfew and protection associated with a device group
US10248996B2 (en) 2009-01-28 2019-04-02 Headwater Research Llc Method for operating a wireless end-user device mobile payment agent
US10715342B2 (en) 2009-01-28 2020-07-14 Headwater Research Llc Managing service user discovery and service launch object placement on a device
US10779177B2 (en) 2009-01-28 2020-09-15 Headwater Research Llc Device group partitions and settlement platform
US10484858B2 (en) 2009-01-28 2019-11-19 Headwater Research Llc Enhanced roaming services and converged carrier networks with device assisted services and a proxy
US9980146B2 (en) 2009-01-28 2018-05-22 Headwater Research Llc Communications device with secure data path processing agents
US10326800B2 (en) 2009-01-28 2019-06-18 Headwater Research Llc Wireless network service interfaces
US10783581B2 (en) 2009-01-28 2020-09-22 Headwater Research Llc Wireless end-user device providing ambient or sponsored services
WO2012134567A1 (en) 2011-04-01 2012-10-04 Intel Corporation Opportunistic carrier aggregation using short range extension carriers
US8923816B2 (en) * 2011-07-28 2014-12-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seamless service between a cellular network and wireless local area network for a mobile user
WO2014159862A1 (en) 2013-03-14 2014-10-02 Headwater Partners I Llc Automated credential porting for mobile devices
WO2014171786A1 (ko) * 2013-04-19 2014-10-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복수의 통신 시스템이 연동하는 네트워크에서 상기 복수의 통신 시스템과의 연결 동작을 수행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3858A (ko) 2004-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83021B1 (ko) 무선랜과 셀룰러 망의 연동 시스템 및 방법, 그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
US7764660B2 (en) Registration of a WLAN as a UMTS routing area for WLAN-UMTS interworking
US7092373B2 (en) Advanced method and arrangement for transferring information in a packet radio service
JP4870319B2 (ja) パケット無線サービスにおける情報転送の改良された方法及び装置
US8218503B2 (en) Call setup procedure in an evolved third generation radio access network
US7561547B2 (en) Automatic and seamless vertical roaming betwee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and wireless wide area network (WWAN) while maintaining an active voice or streaming data connection: systems, methods and program products
US7139829B2 (en) Identification of unused resources in a packet data network
US8995261B2 (en) Method and apparatus of network traffic offloading
US2006011113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SMS message between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WLAN and system using the same
US9497691B2 (en) Communication method in wireless LAN system
US20050059396A1 (en) Communications protocol between a gateway and an access point
JP2002539680A (ja) パケット無線サービスおける資源割当てに関する方法及び構成
US7483436B2 (en) System and method for establishing mobile station-to-mobile station packet data calls directly between base stations of a wireless network
US20050089007A1 (en) System and method for performing handoffs of mobile station-to-mobile station packet data calls in a wireless network
JP4371344B2 (ja) プリページタイマ
US7133674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activating multiple packet data sessions in a wireless network
KR100489893B1 (ko) 무선랜 셀룰러 시스템 및 그의 동작 방법
US20220338063A1 (en) Method of dynamic transceiver configuration
KR100624693B1 (ko) 이동 통신 서비스 시스템의 패킷 처리 방법 및 장치
KR100475241B1 (ko) 이동통신망의 활성 핸드오프 처리 방법 및 그 이동통신시스템
KR100579808B1 (ko) 비동기 이동통신망으로부터 동기 이동통신망으로의핸드오버를 위한 무선자원정보 처리방법
WO2007015084A1 (en) Transmitting information from a mobile terminal directly to other mobile terminals
Kurose et al. Wireless and Mobile Network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40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