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80463B1 - 용지후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용지후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80463B1
KR100480463B1 KR10-1998-0038424A KR19980038424A KR100480463B1 KR 100480463 B1 KR100480463 B1 KR 100480463B1 KR 19980038424 A KR19980038424 A KR 19980038424A KR 100480463 B1 KR100480463 B1 KR 1004804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upper tray
fixing
moving bar
po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84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20022A (ko
Inventor
정재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신도리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신도리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신도리코
Priority to KR10-1998-00384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80463B1/ko
Priority to DE19944523A priority patent/DE19944523B4/de
Priority to GB9922067A priority patent/GB2341598B/en
Priority to JP26350099A priority patent/JP4544667B2/ja
Priority to US09/397,522 priority patent/US6231039B1/en
Publication of KR200000200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00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04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046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1/00Pile receivers
    • B65H31/30Arrangements for removing completed piles
    • B65H31/3009Arrangements for removing completed piles by dropping, e.g. removing the pile support from under the pi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1/00Pile receivers
    • B65H31/30Arrangements for removing completed pi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CBOOKBINDING
    • B42C1/00Collating or gathering sheets combined with processes for permanently attaching together sheets or signatures or for interposing inserts
    • B42C1/12Machines for both collating or gathering and permanently attaching together the sheets or sign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1/00Pile receivers
    • B65H31/02Pile receivers with stationary end support against which pile accumul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1/00Pile receivers
    • B65H31/04Pile receivers with movable end support arranged to recede as pile accumulates
    • B65H31/08Pile receivers with movable end support arranged to recede as pile accumulates the articles being piled one above another
    • B65H31/10Pile receivers with movable end support arranged to recede as pile accumulates the articles being piled one above another and applied at the top of the pi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1/00Pile receivers
    • B65H31/20Pile receivers adjustable for different article siz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1/00Pile receivers
    • B65H31/30Arrangements for removing completed piles
    • B65H31/3009Arrangements for removing completed piles by dropping, e.g. removing the pile support from under the pile
    • B65H31/3018Arrangements for removing completed piles by dropping, e.g. removing the pile support from under the pile from opposite part-support elements, e.g. operated simultaneous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3/00Forming counted batches in delivery pile or stream of articles
    • B65H33/06Forming counted batches in delivery pile or stream of articles by displacing articles to define batches
    • B65H33/08Displacing whole batches, e.g. forming stepped pi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2Piling, depiling, handling piles
    • B65H2301/421Forming a pile
    • B65H2301/4212Forming a pile of articles substantially horizon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2Piling, depiling, handling piles
    • B65H2301/421Forming a pile
    • B65H2301/4213Forming a pile of a limited number of articles, e.g. buffering, forming bun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2Piling, depiling, handling piles
    • B65H2301/421Forming a pile
    • B65H2301/4219Forming a pile forming a pile in which articles are offset from each other, e.g. forming stepped pile
    • B65H2301/42192Forming a pile forming a pile in which articles are offset from each other, e.g. forming stepped pile forming a pile of articles in zigzag fash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2Piling, depiling, handling piles
    • B65H2301/422Handling piles, sets or stacks of articles
    • B65H2301/4226Delivering, advancing piles
    • B65H2301/42261Delivering, advancing piles by drop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5/00Parts for hol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5/10Cassettes, holders, bins, decks, trays, supports or magazines for sheets stacked substantially horizontally
    • B65H2405/11Parts and details thereof
    • B65H2405/111Bottom
    • B65H2405/1115Bottom with surface inclined, e.g. in width-wise direction
    • B65H2405/11151Bottom with surface inclined, e.g. in width-wise direction with surface inclined upwardly in transport dir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5/00Parts for hol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5/30Other features of supports for sheets
    • B65H2405/35Means for moving support
    • B65H2405/351Means for moving support shifting transversely to transport direction, e.g. for handling stepped pi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8/00Specific machines
    • B65H2408/10Specific machines for handling sheet(s)
    • B65H2408/12Specific machines for handling sheet(s) stapler arrangement
    • B65H2408/121Specific machines for handling sheet(s) stapler arrangement stationary stapl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801/00Application field
    • B65H2801/03Image reproduction devices
    • B65H2801/06Office-type machines, e.g. photocopi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801/00Application field
    • B65H2801/24Post -processing devices
    • B65H2801/27Devices located downstream of office-type mach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ile Receivers (AREA)
  • Folding Of Thin Sheet-Like Materials, Special Discharging Devices, And Others (AREA)
  • Discharge By Other Means (AREA)
  • Forming Counted Batches (AREA)
  • Collation Of Sheets And Web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화상형성장치에 장착되어 옵셋기능을 수행하는 용지후처리장치에 관한 기술임.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옵셋기능을 상트레이가 수평이동하여 구현하므로서, 기기의 소형화가 가능하고, 용지다발을 자유낙하에 의해 하트레이에 적재하므로서 별도의 이동수단이 필요하지 않으며, 저용량의 모터를 사용하도록 함.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배지되는 용지를 이송하는 용지이송수단; 용지 이송방향과 직각의 수평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배출용지 크기에 따라 용지수납간격을 형성하며, 수평이동에 의해 정열하는 두 개의 상트레이수단; 상트레이수단의 이동 구동력을 제공하며, 수평이동 거리와 방향을 제한하는 상트레이 구동수단; 상트레이 구동수단의 구동력을 상트레이수단에 전달하는 상트레이 구동전달수단; 상트레이수단에서 낙하되는 용지다발을 수납하는 하트레이수단; 상트레이수단과 하트레이수단 최상단과의 간격이 일정하도록 하트레이수단을 상하 이동시키는 하트레이 구동수단을 제공한다.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화상형성장치에 장착되는 용지후처리장치에 사용됨.

Description

용지후처리장치
본 발명은 복사기, 프린터, 팩시밀리 등의 화상형성장치 용지배지부에 장착되어 배지되는 화상이 형성된 용지를 스태플링 등의 후처리를 하는 용지후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의 화상형성장치는 아날로그 방식에서 디지털 방식으로 발전하면서 복사기능, 프린터기능, 팩시밀리기능 등을 하나 또는 두가지 이상 복합적으로 갖게 되며, 이러한 디지털 방식의 화상형성장치는 장치 자체에서 화상이 형성된 용지의 배출을 선택적으로 배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종래 아날로그 방식의 화상형성장치에서는 자동원고 급지장치등에 의해 순차적으로 원고를 필요한 매수만큼 복사를 반복하여 그때마다의 용지를 배출하므로서, 이를 정열하기 위한 용지후처리장치는 분류하고자 하는 매수만큼의 용지수납 트레이를 구비하여 배출되는 용지 각각을 구별되게 수납하기 위하여 다수의 용지수납트레이가 상하로 이동하면서 용지를 수납하였다.
그러나, 디지털 방식의 화상형성장치에서는 복사나 기록하고자 하는 화상정보를 본체에서 기억하고 있으므로, 이를 사용자가 원하는 순서로 기록하여 배출하는 것이 가능해 졌으며, 이에 따라 용지후처리장치에 있어서도, 다수개의 용지수납 트레이를 구비하지 않고서도 용지를 분류하여 수납하는 구조로 변경되어 제안되고 있다.
이러한, 새로운 방식의 용지후처리장치는 일 예로서, 여러장으로 구성되는 한질의 원고를 다수매 복사하거나, 용지에 기록하여 출력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화상형성장치 본체에서 한질의 원고를 순차적으로 기록하여 배출하는 것을 반복하여 수행하게 되며, 이에따라 용지후처리장치에서는 한질의 기록용지가 모두 배출될 때 까지 임시적으로 수납하는 용지수납 트레이가 구비되며, 한질의 용지가 모두 배출되면 필요에 따라서 스태플링 또는 펀칭 등을 한 후에, 스태커 기능을 갖는 하나의 트레이에 수납하게 된다.
이때, 임시적으로 용지를 수납하는 용지수납 트레이에는 한질의 용지다발이 배출된 상태에서 필요에 따라 실시되는 스태플링 또는 펀칭등의 후처리 또는 정열된 상태에서 용지를 수납하고 있도록 하기 위한 용지정열기능을 필요로하게 되며, 스태커 기능을 갖는 하나의 트레이에는 후처리된 용지다발을 수납하되 다음에 배출되는 용지다발과 구별되게 수납되도록 용지다발이 지그재그식으로 구별되게 수납되는 옵셋(offset)기능을 필요로 하게 된다.
이러한 새로운 방식의 용지후처리장치는 일본 특허공고 평8-9451호, 일본특허등록 제2583594호 등에서 제안되어 있으며, 이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반적으로 용지후처리장치는 도 1 에서와 같이 복사기, 팩시밀리, 프린터 등의 화상형성장치(1)의 용지배지구(2)측에 장착되어, 배지되는 화상이 형성된 용지를 용지이송부(4)를 통해 용지배출구(9)로 배출하게 되며, 배출된 용지는 먼저 경사지게 구성된 정열트레이(5)에 수납되어 용지의 내측단이 경사 저면에 위치한 용지밀침부(8)에 지지되어 정열되며, 이때, 이를 보다 정확하게 정열되도록 하기 위하여 반송벨트(7) 등을 구비하여 상기 정열트레이(5)에 수납된 용지를 경사 저면으로 이동시키고 있으며, 상기의 과정을 반복하여 한질의 용지가 배출 완료되면 상기 정열트레이(5)에 연결된 솔레노이드(5a)가 작동하여 수납된 한질의 용지의 측면을 정열하고, 용지가 정열된 상태에서 스태플러(10) 또는 펀치(도시되지 않았음) 등을 작동시켜 용지후처리를 실행한 후에, 용지의 저면을 지지하고 있는 용지밀침부(8)를 용지밀침모터(8a)에 의해 앞으로 이동시켜 수납트레이(6)에 적재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수납트레이(6)는 한질의 용지가 수납되면, 수납된 용지의 최상단이 적정한 위치에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수납트레이(6) 하단 또는 화상형성장치(1) 내부에 수납트레이 모터(6a)를 구비하여 하측으로 이동시키게 되며, 이러한 과정을 용지가 수납될 때마다 반복적으로 수행하므로서, 항상 수납트레이(6)의 최상단이 다음의 용지가 적재되기에 적정한 위치에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수납트레이(6)에 적재되는 용지들이 스태플러 핀 등에 의해서 한부분이 더 높게 쌓여지는 것을 방지하며, 한질의 용지와 다른 한질의 용지들이 구별되게 수납되어 사용자가 쉽게 수납된 용지를 구별하여 사용하기 위하여 지그재그로 엊갈여 수납되는 옵셋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상기 수납트레이(6)의 하단에 수납트레이 수평이동모터(6b)를 구비하여 도 2 에서와 같이 한질의 용지가 수납트레이(6)에 수납이 완료되면 상기 수평이동모터(6b)가 작동하여 상기 수납트레이(6)를 수평으로 이동시킨 후에 다음의 용지를 수납하도록 구성되어 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작동하는 용지후처리장치는 정열트레이에 수납된 용지를 솔레노이드를 이용하여 측면정열을 수행하므로서 일정한 크기의 용지만을 대상으로 하게 되며, 한질의 용지수납이 완료되어 후처리를 한 상태에서 용지를 수납트레이로 이동시키기 위해 별도의 모터에 의해 작동되는 용지밀침부를 구비하여야 하며, 특히, 옵셋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용지를 적재하고 있는 수납트레이를 수평으로 이동함에 있어서, 적재된 용지가 많은 경우에 용지의 무게에 의해 수납트레이 수평이동모터의 구동부하가 매우 크게되기 때문에 용량이 높은 고가의 모터를 사용하여야 하고, 모터를 포함한 수납트레이의 수평이동을 위한 기구적 구성을 수납트레이 하단에 구비하여야 하므로 기기의 소형화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수평이동이 가능한 상트레이를 구성하므로서 화상형성장치에서 배출되는 용지의 크기에 따라 용지수납폭이 조절되어 여러크기의 용지수납이 가능하고, 수납된 한질의 용지를 상트레이의 수평이동에 의해 용이하게 정열할 수 있으며, 정열된 상태에서 필요에 따라 스태플링이나 펀칭 등의 후처리를 가능하게 하며, 상트레이에 있는 용지다발을 하트레이로 이동시킴에 있어서, 자중에 의해 하측으로 이동하도록 구성하므로서 용지다발의 이동을 위한 별도의 구성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용지다발의 이동 위치를 상가이드가 이동하여 지그재그로 엊갈리도록 하므로서 하트레이를 수평으로 이동시키지 않으면서 옵셋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상트레이의 이동중에 스프링수단을 구비하여 용지다발의 정열시에 발생하는 충격을 완충하므로서 안정된 용지의 정열을 가능하게 하는 용지후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화상형성장치의 배지부에 장착되어 배지되는 용지를 후처리하는 용지후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장치에서 배지되는 용지를 이송하는 용지이송수단과; 상기 용지의 이송방향과 직각으로 교차되는 수평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고, 상기 용지이송수단에서 배출되는 용지의 크기에 따라 용지수납간격을 형성하여 용지를 수납하며, 수평이동에 의해 수납된 용지다발을 정열하는 두 개의 상트레이수단과; 상기 상트레이수단에 각각 연결되어 수평방향 이동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며, 수평이동의 거리와 방향을 제한하는 상트레이 구동수단과; 상기 상트레이 구동수단의 구동력을 상기 상트레이수단에 전달하는 상트레이 구동전달수단과; 상기 상트레이수단으로부터 낙하되는 용지다발을 수납하여 적재하는 하트레이수단; 및 상기 상트레이수단과 용지다발이 적재되는 상기 하트레이수단의 최상단과의 간격이 일정한 범위 안에서 유지되도록, 상기 하트레이수단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하트레이 구동수단을 구비하는 용지후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용지후처리장치의 상기 상트레이 구동전달수단을, 상기 상트레이수단의 수평이동방향으로 연장된 제1이동바와 제2이동바가 일체로 형성된 구동부 베이스판과; 상기 상트레이 구동수단에 연결되어 이동하되, 상기 제1이동바와 일정한 간격을 갖고 평행하게 이동하는 벨트와; 상기 상트레이수단에서 상측으로 연장되어 구성되며, 상기 제1이동바와 제2이동바에 이동이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두 개의 제1고정편과 제2고정편; 및 일측에는 상기 벨트가 고정되는 벨트고정홈이 형성되고, 몸통부에는 상기 제1이동바가 삽입되는 이동바 삽입홀이 구비되어, 상기 두 개의 제1고정편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상트레이수단을 이동시키는 위치고정수단; 으로 구성되는 용지후처리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 3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용지후처리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한 용지후처리장치의 상트레이 구동부 구성도이며, 도 5 는 본 발명에 의한 용지후처리장치의 위치고정구 구성도, 도 6 은 본 발명에 의한 용지후처리장치의 위치고정구 결합단면도, 도 7 은 본 발명에 의한 용지후처리장치의 완충기능을 갖는 위치고정구 구성도, 도 8 은 본 발명에 의한 용지후처리장치의 완충기능을 갖는 위치고정구 결합단면도, 도 9 는 본 발명에 의한 용지후처리장치의 용지수납 상태도, 도 10 은 본 발명에 의한 용지후처리장치의 용지정열 상태도, 도 11 은 본 발명에 의한 용지후처리장치의 스태플링 상태도, 도 12 는 본 발명에 의한 용지후처리장치의 하트레이 용지다발 적재상태도, 도 13 은 본 발명에 의한 용지후처리장치의 하트레이 다음 용지다발 적재상태도이다.
도면에서 30은 용지후처리장치, 31은 용지이송부, 32는 용지배출구, 33은 상트레이, 33a는 제1고정편, 33b는 제2고정편, 33c는 고정편홀, 34는 하트레이, 35, 35'는 상트레이 모터, 36은 하트레이 모터, 37은 상트레이 구동전달부, 38은 스태플러, 39는 배출용지, 39a는 용지다발, 40은 구동부 베이스판, 41은 제1이동바, 42는 제2이동바, 43은 위치고정구, 43a,는 몸통부, 43b는 벨트고정홈, 43c는 센서편, 43d는 이동바 삽입홀, 44, 44'는 벨트풀리, 45, 45'은 벨트, 46, 46'는 위치감지센서, 47, 47'은 센서편 지지가이드, 48, 48'은 위치고정구 지지가이드, 50은 몸통, 51은 제1연장부, 52는 제2연장부, 53은 위치결정구, 55는 스프링을 각각 나타낸다.
화상형성장치(1)에서 화상이 형성된 용지는 용지배지구(2)를 통해서 외부로 배출되어 지며, 상기 배출된 용지의 스태플링 또는 펀칭, 옵셋 등의 후처리를 위하여, 도 3 에서와 같이 상기 용지배지구(2)측에 용지후처리장치(30)를 장착하되, 상기 용지배지구(2)에 용지이송부(31)가 위치하도록 구성하므로서 화상형성장치(1)의 용지배지구(2)에서 배지되는 용지를 더욱 이송하여 용지배출구(32)에 의해서 밖으로 배출되도록 하며, 상기 용지배출구(32)를 통해서 배출된 배출용지(39)는 상트레이(33, 33')에 수납되도록 구성하되, 상기 상트레이(33, 33')가 상기 용지이송부(31)에 의해서 이송되는 용지의 진행방향과 직각으로 교차되는 수평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하므로서 상기 배출용지(39)의 폭방향 크기에 따라서 상기 상트레이(33, 33')가 수평이동하여 용지수납에 적정한 간격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며, 수납된 용지다발(39a)을 일정하게 정열하기 위하여 상기 상트레이(33, 33')가 수평방향으로 왕복이동을 통해서 정열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상트레이(33, 33') 각각에는 상트레이 구동모터(35, 35')를 연결하여 수평방향으로 이동되는 구동력을 제공하되, 상기 상트레이(33, 33')의 수평이동에 있어서 이동거리와 방향을 제한하도록 구성하며, 상기 상트레이 모터(35, 35')의 구동력을 상기 상트레이(33, 33')에 전달하기 위하여 상트레이 구동전달수단(37)을 구비하며, 상기 상트레이(33, 33')에서 정열되어 필요에 따라서 스태플링 또는 펀칭 등의 후처리 과정을 거치는 용지다발(39a)을 상기 상트레이(33, 33')가 외측방향으로 동시에 이동하면 수납되어 있던 상기 용지다발(39a)이 자유낙하를 하게되며, 상기 상트레이(33, 33') 하측으로 하트레이(34)를 위치시켜서 자유낙하하는 상기 용지다발(39a)이 수납되어 적재되도록 구성하되, 상기 용지다발(39a)의 안정된 수납을 위하여 종래에서와 같이 센서(도시되지 않았음) 등을 이용하여 상기 하트레이(34)의 최상단 위치를 검지하여 상기 하트레이(34)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하트레이 구동모터(36)를 구성하여, 상기 하트레이(34)에 용지다발(39a)이 적재되면 상기 용지다발(39a)의 두께만큼 상기 하트레이(34)를 하측으로 이동시키고, 만약 사용자가 상기 하트레이(34)에 적재된 용지다발(39a)을 제거하는 경우에는 상기 하트레이 구동모터(36)를 반대방향으로 회동시켜 제거된 용지다발(39a)의 두께만큼 상기 하트레이(34)를 상측으로 이동시키게 하므로서, 상기 상트레이(33, 33')와 상기 하트레이(34)와의 간격이 일정한 범위 안에서 유지되어 자유낙하하는 상기 용지다발(39a)을 안정되게 수납하도록 구성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용지수납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트레이 구동전달수단(37)의 구성은 도 4 에서와 같이, 구동부 베이스판(40)에 상기 상트레이수단(33, 33')의 수평이동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연장된 제1이동바(41)와 제2이동바(42)를 일체로 구성하고, 그 후단의 상기 제2이동바(42) 전방위치 또는 필요에 따라 다른 위치에 설치되는 상기 상트레이 구동모터(35, 35')에 연결되어 이동하는 벨트(45)를 구성하되, 다수개의 벨트풀리(44, 44') 등을 이용하여 상기 벨트(45)가 상기 제1이동바(41)와 일정한 간격을 갖고 평행하게 이동하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상트레이(33, 33')에는 상측으로 연장된 두 개의 제1고정편(33a)과 제2고정편(33b)을 일체로 구성하되, 그 각각이 상기 제1이동바(41)와 제2이동바(42)에 삽입되어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하며, 상기 두 개의 제1고정편(33a) 사이에 위치하는 위치고정수단(43)을 구성하되, 몸통부(43a)에는 상기 제1이동바(41)가 삽입되는 이동바 삽입홀(43d)이 구비되어 상기 제1이동바(41)에 이동이 가능하게 삽입되며, 일측에는 상기 벨트(45)가 고정되는 벨트고정홈(43b)이 형성되어 상기 벨트(45)의 이동에 따라서 함께 이동되도록 하고, 상기 몸통부(43a)에 의해서 상기 두 개의 제1고정편(33a)이 지지되어 함께 이동되도록 하여 상기 상트레이수단(33, 33')을 이동시키도록 구성한다.
이때, 상기 상트레이(33, 33')의 수평이동 위치를 검지하기 위하여, 상기 위치고정수단(43)의 일측으로 센서편(43c)을 연장되게 일체로 구성하고, 상기 제1이동바(41)의 양측으로는 상기 센서편(43c)을 검지하는 위치검지센서(46, 46')를 구비하므로서, 상기 상트레이(33, 33')가 대기하고 있는 상태, 즉, 배출용지(39)의 폭방향 크기정보 또는 스태플링, 펀칭 등의 후처리 정보 등에 따라서, 상기 상트레이모터(35)의 구동시간과 이동방향을 결정하는 기준점이 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위치고정수단(43)의 벨트에 의한 이동 과정중에 외부의 영향에 의해서 일측으로 기울어져 상기 센서편(43c)이 상기 위치검지센서(46, 46')의 검지영역에서 이탈되어 위치가 검지되지 않거나, 상기 센서편(43c)이 상기 위치검지센서(46, 46')에 부딪쳐 손상되는 등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상기 위치검지센서(46, 46')가 위치하는 부분의 구동부 베이스판(40)에 상기 위치고정구(43)의 센서편(43c)의 하단에 접하여 상기 센서편(43c)의 처짐을 방지하는 센서편지지가이드(47)를 구성하고, 상기 센서편지지가이드(47)와 대응되는 위치, 즉, 그 반대측에는 상기 위치고정구(43)의 하단에 접하여 지지하므로서 상기 센서편(43c)이 상측으로 회동되어 위치검지센서(46, 46')의 검지영역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위치고정구 지지가이드(48)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용지후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트레이수단(33, 33')이 적재된 용지를 정열하기 위하여 수평방향의 왕복이동을 통해 용지와의 접촉이 이루어지나, 일반적으로 용지의 제조과정 또는 제조회사 등에 따라서 용지크기의 편차가 발생되어 용지정열 과정에서 충격이 발생되므로, 이를 완충하기 위하여 상기 위치고정수단(43)에 스프링수단을 더 부가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위치고정수단(43)의 상기 몸톰부(43a) 구성에 있어서, 조립을 용이하게 하고, 양측으로 위치하여 대칭되게 이동하되 하나의 부품으로 공용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도 5 또는 도 7 에서와 같이, 내부에 상기 이동바 삽입홀(43d)이 형성되며, 상기 제1고정편(33a)에 형성된 고정편홀(33c)보다 크게 형성된 몸통(50)과, 상기 이동바 삽입홀(43d)을 따라 상기 몸통(50)의 양측으로 상기 고정편홀(33c)에 삽입 가능하게 구성된 제1연장부(51) 및 제2연장부(52)를 일체로 구성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위치고정수단(43)을 상기 제1고정편(33a)에 위치고정함에 있어서는, 도 6 또는 도 8 에서와 같이, 일측의 제1고정편(33a)에는 상기 제1연장부(51) 또는 제2연장부(52)를 상기 고정편홀(33c)에 삽입하여 상기 몸통(50)에 의해 상기 제1고정편(33a)과 접하여 지지되도록 구성하고, 타측의 제1고정편(33a)에는 상기 고정편홀(33c)에 삽입 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제1연장부(51) 또는 제2연장부(52)에 접하도록 연장된 위치결정구(53)가 E링(54) 등에 의해 체결되어 위치가 고정되도록 구성한다.
이때, 상트레이(33, 33')의 수평이동에 있어서, 용지정열의 충격을 완충하기 위하여 스프링수단을 더 포함하는 경우에는, 도 7 내지 도 8 에서와 같이,
일측의 제1고정편(33a)에는 외측으로 스프링(55)이 감겨진 제1연장부(51)를 삽입하므로서, 상기 스프링(55)의 일단이 상기 몸통(50)에 접하여 지지되고, 타단은 상기 제1고정편(33a)에 의해서 지지되도록 구성하며, 타측의 제1고정편(33a)에는 상기 고정편홀(33c)에 삽입되는 상기 제2연장부(52)에 접하도록 연장된 위치결정구(53)가 E링(54) 등에 의해 체결되어 위치가 고정되도록 구성하며,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제1연장부(51)와 제2연장부(52)를 반대로 구성하여 체결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작동과정을 첨부된 도 9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9 는 본 발명에 의한 용지후처리장치의 용지수납상태도로서, 화상형성장치(1)의 용지배지구(2)에서 배지된 용지가 용지후처리장치(30)의 용지이송부(31)를 통과하여 용지배출구(32)로 배출되는 배출용지(39)를 상트레이(33, 33')에 수납함에 있어서, 화상형성장치로부터의 용지 폭방향 크기 정보가 인터페이스 등을 통해 화상형성장치(30)로 전달되어지면, 중앙제어장치(도시되지 않았음) 등에 의해서 상트레이 모터(35, 35')가 구동되도록 하여 상기 상트레이(33, 33')를 용지수납에 적합한 간격을 갖는 위치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상트레이(33, 33')의 위치를 초기위치, 즉, 위치고정구(43)의 센서편(43c)이 위치검지센서(46)에 위치하여 검지되고 있는 위치에서, 용지크기에 따라 이미 설정되어 있는 거리만큼 상기 상트레이(33, 33')가 이동되도록 상기 상트레이 모터(35, 35')가 구동하여 상기 상트레이(33, 33')가 배출되는 용지를 수납하기에 적정한 간격을 갖는 위치로 이동시켜 배출용지(39)를 수납하도록 한다.
이러한 수납상태에서 일정한 매수의 배출용지(39), 즉 한질의 원고 또는 지정된 매수 등에 의해 한정되는 용지다발(31a)의 수납이 완료되면, 도 10 에서와 같이 상트레이 모터(35, 35')가 각각 정회전과 역회전(도면의 A, B방향)을 반복하여, 상트레이(33, 33')를 왕복이동(도면의 C, D방향)시켜 상기 용지다발(31a)을 정열하게 되며, 이때, 상기 일측의 상트레이(33, 33')와 연결되어 구동력을 전달하는 상트레이 구동부(37)의 위치고정구(43)에는 스프링(55)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상기 상트레이(33, 33')가 용지다발(31a)을 구성하고 있는 용지의 크기편차에 의해 정열하는 과정중에 발생되는 충격, 즉, 용지다발(31a)의 저항을 완충하므로, 정열과정에서 용지의 구겨짐 발생이나, 기기의 고장발생을 예방하게 된다.
용지다발(39a)의 정열이 완료된 이후, 스태플링 또는 펀칭 등의 후처리를 하는 경우에는, 스태플러(38) 등이 용지의 이송중에 장애를 주지 않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일측으로 비켜져 위치하고 있으므로, 수납되어 정열된 용지다발(39a)을 보지한 상태에서 도 11 에서와 같이 상기 스태플러(38)가 위치한 방향으로 상트레이 모터(35, 35')가 동시에 회전하여(도면의 B방향) 상기 상트레이(33, 33')를 이동(도면의 D방향)시켜서 용지후처리를 한다.
상기와 같이 일측에서 용지후처리를 완료하였거나, 또는 용지후처리의 과정을 필요로하지 않는 경우에는 도 10 에서와 같이 용지다발(39a)의 정열을 종료한 경우에는 도 12 에서와 같이 상트레이 모터(35, 35')가 동시에 서로 반대되는 방향(도면의 A, B방향), 즉, 상기 상트레이(33, 33')가 외측(도면의 C, D방향)으로 이동하는 방향으로 구동하여 용지다발(39a)을 아래의 하트레이(34)로 떨어지게 하며, 이 과정에서, 용지다발(39a)간의 구별 및 스태플링의 후처리된 경우에는 스태플러침 등에 의해 두께가 일정하지 않게 되므로, 이를 평활하게 유지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과정에 앞서서, 상기 상트레이(33, 33')가 일측으로 일부 이동된 상태에 위치하도록 상트레이 모터(35, 35')가 동시에 같은 방향(도면의 B방향)으로 이동한 후에 용지다발(39a)을 떨어지게 한다.
그리고, 그 다음의 용지다발(39a)을 하트레이(34)에 수납하는 경우에는 도 13에서와 같이 상트레이 모터(35, 35')가 동시에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되, 이전에 이동하였던 방향(도 12의 B방향)과 반대되는 방향(A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가이드(33, 33')를 반대방향으로 일정한 거리만큼 이동(C방향)한 후에, 용지다발(39a)이 떨어지도록 하므로서, 하가트레이(34)에 적재되는 용지다발(39a)이 서로 엊갈린 위치에 위치하여 적재되므로서 서로 구별되고, 스태플러칩 등에 의해서 한 부분이 부풀려 오르는 등의 문제가 발생되지 않는다.
이때, 상기 하트레이(34)의 위치는, 적재되는 용지다발(39a)의 높이에 따라서 하트레이 모터(36)가 정회전, 역회전하여 상기 하트레이(34)를 상·하로 이동시키므로서, 상기 상트레이(33, 33')와 상기 하트레이(34)와의 간격이 일정한 범위 안에서 유지하도록 하여, 안정된 용지다발(39a)의 수납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작동하는 본 발명에 의한 용지후처리장치는, 상트레이가 수평이동하여 배출되는 용지의 크기에 따라, 적정한 용지수납 폭을 형성하므로서, 여러크기의 용지수납이 가능하고, 수납된 용지의 정열을 상트레이의 왕복이동에 의해서 가능하도록 하므로서, 종래에서와 같이 조거바 등의 용지정열수단이 필요하지 않으며, 상트레이에 수납된 용지다발을 자유낙하에 의해 하트레이로 떨어지도록 하므로서, 종래에서와 같이 용지다발을 위치이동 시키기 위한 별도의 구성이 요구되지 않고, 상트레이에서 한질의 용지다발을 보지한 상태에서 수평이동하여 하트레이에 지그재그로 적재(옵셋)되도록 하므로서, 하트레이에 옵셋기능을 위해 수평으로 이동하기 위한 기구적 구성이 필요하지 않아 기기의 소형화가 가능하며, 모터의 구성에 있어서도, 종래 다매의 용지다발 들이 적재된 상태에서 하트레이가 수평이동하기 위한 대용량의 모터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며, 상트레이와 상트레이 모터와의 사이, 즉, 위치고정구에 스프링수단을 구비하므로서 용지다발의 정열시에 발생하는 충격을 완충하므로서 안정된 용지의 정열 및 기기의 손상을 방지하며, 양측으로 대칭되게 위치하는 위치고정구를 겸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므로서 제조비용을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종래 용지후처리장치의 구성도,
도 2 는 종래 용지후처리장치의 용지수납 작동도,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용지후처리장치의 구성도,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한 용지후처리장치의 상트레이 구동부 구성도,
도 5 는 본 발명에 의한 용지후처리장치의 위치고정구 구성도,
도 6 은 본 발명에 의한 용지후처리장치의 위치고정구 결합단면도,
도 7 은 본 발명에 의한 용지후처리장치의 완충기능을 갖는 위치고정구 구성도,
도 8 은 본 발명에 의한 용지후처리장치의 완충기능을 갖는 위치고정구 결합단면도,
도 9 는 본 발명에 의한 용지후처리장치의 용지수납 상태도,
도 10 은 본 발명에 의한 용지후처리장치의 용지정열 상태도,
도 11 은 본 발명에 의한 용지후처리장치의 스태플링 상태도,
도 12 는 본 발명에 의한 용지후처리장치의 하트레이 용지다발 적재상태도,
도 13 은 본 발명에 의한 용지후처리장치의 하트레이 다음 용지다발 적재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화상형성장치 2 : 용지배지구
3, 30 : 용지후처리장치 4, 31 : 용지이송부
32 : 용지배출구 33 : 상트레이
33a : 제1고정편 33b : 제2고정편
33c : 고정편홀 34 : 하트레이
35, 35' : 상트레이 모터 36 : 하트레이 모터
37 : 상트레이 구동전달부 38 : 스태플러
39 : 배출용지 39a : 용지다발
40 : 구동부 베이스판 41 : 제1이동바
42 : 제2이동바 43 : 위치고정구
43a,: 몸통부 43b : 벨트고정홈
43c : 센서편 43d : 이동바 삽입홀
44, 44' : 벨트풀리 45, 45' : 벨트
46, 46' : 위치감지센서 47, 47' : 센서편 지지가이드
48, 48' : 위치고정구 지지가이드 50 : 몸통
51 : 제1연장부 52 : 제2연장부
53 : 위치결정구 55 : 스프링

Claims (8)

  1. 화상형성장치의 배지부에 장착되어 배지되는 용지를 후처리하는 용지후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장치에서 배지되는 용지를 이송하는 용지이송수단;
    상기 용지의 이송방향과 직각으로 교차되는 수평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고, 상기 용지이송수단에서 배출되는 용지의 크기에 따라 용지수납간격을 형성하여 용지를 수납하며, 수평이동에 의해 수납된 용지다발을 정열하는 두 개의 상트레이수단;
    상기 상트레이수단에 각각 연결되어 수평방향 이동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며, 수평이동의 거리와 방향을 제한하는 상트레이 구동수단;
    상기 상트레이 구동수단의 구동력을 상기 상트레이수단에 전달하는 상트레이 구동전달수단;
    상기 상트레이수단으로부터 낙하되는 용지다발을 수납하여 적재하는 하트레이수단; 및
    상기 상트레이수단과 용지다발이 적재되는 상기 하트레이수단의 최상단과의 간격이 일정한 범위 안에서 유지되도록, 상기 하트레이수단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하트레이 구동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후처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트레이 구동전달수단은,
    상기 상트레이수단의 수평이동방향으로 연장된 제1이동바와 제2이동바가 일체로 형성된 구동부 베이스판;
    상기 상트레이 구동수단에 연결되어 이동하되, 상기 제1이동바와 일정한 간격을 갖고 평행하게 이동하는 벨트;
    상기 상트레이수단에서 상측으로 연장되어 구성되며, 상기 제1이동바와 제2이동바에 이동이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두 개의 제1고정편과 제2고정편; 및
    일측에는 상기 벨트가 고정되는 벨트고정홈이 형성되고, 몸통부에는 상기 제1이동바가 삽입되는 이동바 삽입홀이 구비되어, 상기 두 개의 제1고정편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상트레이수단을 이동시키는 위치고정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후처리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트레이수단의 위치를 검지하기 위하여,
    상기 위치고정수단의 일측으로 연장된 센서편을 구성하고,
    상기 제1이동바의 양측으로 상기 센서편을 검지하는 위치검지센서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후처리장치.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고정수단은 상트레이수단이 적재된 용지를 정열함에 있어, 용지와의 접촉을 완충하기 위하여 스프링수단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후처리장치.
  5.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고정수단의 몸통부는,
    내부에 상기 이동바 삽입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1고정편에 형성된 고정편홀보다 크게 형성된 몸통; 및
    상기 이동바 삽입홀을 따라 상기 몸통의 양측으로 상기 고정편홀에 삽입 가능하게 구성된 제1연장부와 제2연장부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후처리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바 삽입홀에 삽입되는 상기 위치고정수단과 상기 제1고정편과의 위치고정은,
    일측의 제1고정편에는 상기 제1연장부 또는 제2연장부를 상기 고정편홀에 삽입하여 상기 몸통에 의해 지지되도록 하고,
    타측의 제1고정편에는 상기 고정편홀에 삽입되어 상기 제1연장부 또는 제2연장부에 접하도록 연장된 위치결정구가 체결되어 위치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후처리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바 삽입홀에 삽입되는 상기 위치고정수단과 상기 제1고정편과의 위치고정은,
    일측의 제1고정편에는 외측으로 스프링이 감겨진 상기 제1연장부 또는 제2연장부를 삽입하여 상기 스프링에 의해 지지되도록 하고,
    타측의 제1고정편에는 상기 고정편홀에 삽입되어 상기 제1연장부 또는 제2연장부에 접하도록 연장된 위치결정구가 체결되어 위치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후처리장치.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편의 상하회동을 제한하기 위하여,
    상기 위치검지센서가 위치하는 부분에 상기 위치고정구의 센서편 하단과 접하여 상기 센서편의 처짐을 방지하는 센서편지지가이드; 및
    상기 센서편지지가이드와 대응되게 위치하며, 상기 위치고정구의 하단과 접하여 상기 센서편의 상측 회동을 방지하는 위치고정구 지지가이드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후처리장치.
KR10-1998-0038424A 1998-09-17 1998-09-17 용지후처리장치 KR1004804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8424A KR100480463B1 (ko) 1998-09-17 1998-09-17 용지후처리장치
DE19944523A DE19944523B4 (de) 1998-09-17 1999-09-16 Blattsortiervorrichtung
GB9922067A GB2341598B (en) 1998-09-17 1999-09-17 Sheet post-processing apparatus
JP26350099A JP4544667B2 (ja) 1998-09-17 1999-09-17 シート後処理装置
US09/397,522 US6231039B1 (en) 1998-09-17 1999-09-17 Sheet post-process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8424A KR100480463B1 (ko) 1998-09-17 1998-09-17 용지후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0022A KR20000020022A (ko) 2000-04-15
KR100480463B1 true KR100480463B1 (ko) 2005-09-12

Family

ID=195509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8424A KR100480463B1 (ko) 1998-09-17 1998-09-17 용지후처리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231039B1 (ko)
JP (1) JP4544667B2 (ko)
KR (1) KR100480463B1 (ko)
DE (1) DE19944523B4 (ko)
GB (1) GB2341598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9592B1 (ko) * 2012-10-24 2014-11-12 대한민국 효모영양제 첨가 허니와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40280B2 (ja) * 1998-05-20 2006-02-01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処理装置及びこれを備える画像形成装置
JP4154088B2 (ja) * 1999-08-05 2008-09-24 グラドコ株式会社 シート後処理装置
US6549935B1 (en) * 1999-05-25 2003-04-15 Silverbrook Research Pty Ltd Method of distributing documents having common components to a plurality of destinations
JP3437495B2 (ja) * 1999-07-09 2003-08-18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1310859A (ja) 2000-04-27 2001-11-06 Canon Inc シート後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4626901B2 (ja) * 2000-05-01 2011-02-09 リコーエレメックス株式会社 シート整合装置
JP4763898B2 (ja) 2000-06-20 2011-08-31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処理方法、シート処理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DE60135587D1 (de) * 2000-11-30 2008-10-09 Ricoh Kk Vorrichtung zum Ausrichten von einem bogenförmigen Medium
JP3973836B2 (ja) * 2000-12-15 2007-09-12 株式会社リコー シート状媒体処理装置、画像形成装置、シート状媒体後処理装置
JP2002241033A (ja) * 2001-02-15 2002-08-28 Canon Inc シート処理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US6832759B2 (en) * 2001-03-30 2004-12-21 Ricoh Company, Ltd. Sheet-shaped medium aligning apparatus, image forming apparatus, and sheet-shaped medium after-treatment apparatus
US6942206B2 (en) * 2001-08-31 2005-09-13 Canon Kabushiki Kaisha Sheet treat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US6533265B1 (en) * 2001-10-11 2003-03-18 Hewlett-Packard Company Neat job offset
JP3802426B2 (ja) * 2002-01-22 2006-07-26 ニスカ株式会社 シ−ト後処理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US6722646B2 (en) * 2002-02-19 2004-04-20 Canon Kabushiki Kaisha Sheet treat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7448615B2 (en) * 2002-10-23 2008-11-11 Canon Kabushiki Kaisha Sheet processing apparatus featuring relatively-displaced stapled sheet bundles and related method
US6908079B2 (en) * 2003-06-20 2005-06-21 Xerox Corporation Compiling platform to enable sheet and set compiling and method of use
JP2006044899A (ja) * 2004-08-06 2006-02-16 Nisca Corp シート後処理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4748959B2 (ja) * 2004-08-06 2011-08-17 ニスカ株式会社 シート後処理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2006096453A (ja) * 2004-09-28 2006-04-13 Toshiba Tec Corp シート後処理装置及び処理トレイ
JP2006096461A (ja) * 2004-09-28 2006-04-13 Toshiba Tec Corp シート後処理装置
JP4034300B2 (ja) * 2004-09-28 2008-01-16 東芝テック株式会社 シート後処理装置及び待機トレイ
US7300045B2 (en) * 2004-09-28 2007-11-27 Toshiba Tec Kabushiki Kaisha Waiting tray for sheet processing tray
JP4293446B2 (ja) 2004-09-28 2009-07-08 東芝テック株式会社 シート後処理装置
JP4471207B2 (ja) * 2004-09-28 2010-06-02 東芝テック株式会社 シート後処理装置
JP4021888B2 (ja) * 2004-09-28 2007-12-12 東芝テック株式会社 シート後処理装置
JP4057575B2 (ja) * 2004-09-28 2008-03-05 東芝テック株式会社 シート後処理装置
JP4291243B2 (ja) * 2004-09-28 2009-07-08 東芝テック株式会社 シート後処理装置
JP2006096467A (ja) 2004-09-28 2006-04-13 Toshiba Tec Corp シート後処理装置
JP4057574B2 (ja) * 2004-09-28 2008-03-05 東芝テック株式会社 シート後処理装置及び待機トレイ
JP2006096466A (ja) * 2004-09-28 2006-04-13 Toshiba Tec Corp シート後処理装置
JP2006096454A (ja) * 2004-09-28 2006-04-13 Toshiba Tec Corp シート後処理装置
JP4250132B2 (ja) * 2004-09-28 2009-04-08 東芝テック株式会社 シート後処理装置及び待機トレイ
JP2006096444A (ja) * 2004-09-28 2006-04-13 Toshiba Tec Corp シート後処理装置
JP4280220B2 (ja) * 2004-09-28 2009-06-17 東芝テック株式会社 シート後処理装置及び待機トレイ
JP2006096451A (ja) * 2004-09-28 2006-04-13 Toshiba Tec Corp シート後処理装置及び待機トレイ
JP2006096468A (ja) 2004-09-28 2006-04-13 Toshiba Tec Corp シート後処理装置
JP4164058B2 (ja) * 2004-09-28 2008-10-08 東芝テック株式会社 シート後処理装置及び待機トレイ
JP2006096470A (ja) * 2004-09-28 2006-04-13 Toshiba Tec Corp シート後処理装置
JP4297361B2 (ja) * 2004-09-28 2009-07-15 東芝テック株式会社 シート後処理装置
JP4018683B2 (ja) * 2004-09-28 2007-12-05 東芝テック株式会社 シート後処理装置及び待機トレイ
JP2006096459A (ja) * 2004-09-28 2006-04-13 Toshiba Tec Corp シート後処理装置
JP2006096447A (ja) * 2004-09-28 2006-04-13 Toshiba Tec Corp シート後処理装置及び待機トレイ
JP2006096443A (ja) * 2004-09-28 2006-04-13 Toshiba Tec Corp シート後処理装置
JP2006096464A (ja) * 2004-09-28 2006-04-13 Toshiba Tec Corp シート後処理装置
JP2006124164A (ja) 2004-09-29 2006-05-18 Toshiba Tec Corp 用紙後処理装置
JP4315343B2 (ja) 2004-09-29 2009-08-19 東芝テック株式会社 用紙後処理装置
JP2006124154A (ja) * 2004-09-29 2006-05-18 Toshiba Tec Corp 用紙後処理装置
JP2006124169A (ja) * 2004-09-29 2006-05-18 Toshiba Tec Corp 用紙後処理装置
JP2006124171A (ja) * 2004-09-29 2006-05-18 Toshiba Tec Corp 用紙後処理装置
JP2006124166A (ja) * 2004-09-29 2006-05-18 Toshiba Tec Corp 用紙後処理装置
JP2006124173A (ja) * 2004-09-29 2006-05-18 Toshiba Tec Corp 用紙後処理装置
JP4034306B2 (ja) * 2004-09-29 2008-01-16 東芝テック株式会社 シート後処理装置
JP4034307B2 (ja) * 2004-09-29 2008-01-16 東芝テック株式会社 用紙後処理装置
JP2006124170A (ja) * 2004-09-29 2006-05-18 Toshiba Tec Corp 用紙後処理装置
JP2006168921A (ja) * 2004-12-16 2006-06-29 Kyocera Mita Corp 後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DE502004008328D1 (de) * 2004-12-20 2008-12-04 Mueller Martini Holding Ag Einrichtung zur Beschickung einer Verarbeitungsvorrichtung mit in einem Förderstrom transportierten Druckprodukten
US7364149B2 (en) * 2005-03-22 2008-04-29 Toshiba Tec Kabushiki Kaisha Sheet finishing apparatus
US7328894B2 (en) 2005-03-22 2008-02-12 Toshiba Tec Kabushiki Kaisha Sheet finishing apparatus
US20060214346A1 (en) * 2005-03-22 2006-09-28 Toshiba Tec Kabushiki Kaisha Sheet finishing apparatus
US7407156B2 (en) 2005-03-22 2008-08-05 Toshiba Tec Kabushiki Kaisha Sheet finishing apparatus
US20060214343A1 (en) * 2005-03-22 2006-09-28 Toshiba Tec Kabushiki Kaisha Sheet finishing apparatus
JP2007022745A (ja) * 2005-07-15 2007-02-01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用紙整合装置及び用紙後処理装置
JP4556805B2 (ja) * 2005-08-11 2010-10-06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冊子集積装置
EP1762386A3 (en) * 2005-09-02 2008-09-24 Komori Corporation Delivery device in sheet-fed offset rotary printing press
JP2007106597A (ja) * 2005-09-15 2007-04-26 Ricoh Co Ltd シート揃え装置、シート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DE102005055890B4 (de) * 2005-11-22 2013-03-28 Eastman Kodak Company Vorrichtung mit Führungsflächen zur Ablage von Bögen für eine Druckmaschine
US20090096157A1 (en) * 2006-03-20 2009-04-16 Thiele Technologies, Inc. Laterally adjustable side guide assembly for use with friction sheet feeding machines
US20090206542A1 (en) * 2006-03-20 2009-08-20 Thiele Technologies, Inc. Feed belt positioning assembly
US8336876B2 (en) * 2006-03-20 2012-12-25 StreamPeeder, LLC. Side guide assembly with vertically repositionable side guides for use with friction sheet feeding machines
JP4777839B2 (ja) * 2006-07-07 2011-09-21 株式会社リコー シート整合装置、シート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4338739B2 (ja) * 2007-02-06 2009-10-07 シャープ株式会社 排紙トレイ装置
JP2007204281A (ja) * 2007-03-23 2007-08-16 Ricoh Elemex Corp シートスタック装置
JP4645633B2 (ja) * 2007-09-28 2011-03-09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排紙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4450053B2 (ja) * 2007-11-13 2010-04-14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記録材後処理装置および画像形成システム
FR2926541B1 (fr) * 2008-01-17 2010-03-26 Neopost Technologies Dispositif de taquage automatique d'articles de courrier
JP4580431B2 (ja) * 2008-03-07 2010-11-10 シャープ株式会社 後処理装置
JP2010164612A (ja) * 2009-01-13 2010-07-29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後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システム
JP4799649B2 (ja) * 2009-08-03 2011-10-26 リコーエレメックス株式会社 シート整合装置
JP2013508241A (ja) * 2009-10-23 2013-03-07 オセ−テクノロジーズ ビーブイ 紙処理装置
JP5716353B2 (ja) * 2010-11-02 2015-05-13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排紙トレイ装置並びに画像形成システム
TWI424949B (zh) * 2011-05-27 2014-02-01 Primax Electronics Ltd 紙張整列裝置
CN102807122A (zh) * 2011-06-03 2012-12-05 致伸科技股份有限公司 纸张整列装置
JP2013142029A (ja) * 2012-01-11 2013-07-22 Canon Inc シート処理装置
JP5145584B1 (ja) * 2012-07-02 2013-02-20 グラドコジャパン株式会社 シート後処理装置
KR101410456B1 (ko) * 2013-06-21 2014-06-25 (주)케이알디씨 용지후처리장치
JP6262525B2 (ja) * 2013-12-27 2018-01-17 キヤノンファインテックニスカ株式会社 シート処理装置、画像形成装置並びに画像形成システム
US9745164B1 (en) * 2014-09-09 2017-08-29 Superior Paper Handling Solutions, Inc. Dual-stage sheet stacking and dropping apparatus
JP6579785B2 (ja) * 2015-04-17 2019-09-25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積載装置及び画像形成システム
KR20180084847A (ko) * 2015-12-09 2018-07-25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매체 출력 시스템
EP3677102A4 (en) * 2017-12-13 2021-04-21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ROCESS AND SYSTEM FOR STACKING PRINTED SUBSTRATES
JP7073096B2 (ja) * 2017-12-26 2022-05-23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排出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7238431B2 (ja) * 2019-01-28 2023-03-14 株式会社リコー シート積載装置、画像形成システム
JP7371420B2 (ja) * 2019-09-30 2023-10-3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排紙装置、処理装置及び記録システム
US11565903B2 (en) 2020-07-07 2023-01-31 Canon Kabushiki Kaisha Sheet alignment apparatus, sheet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system
JP2022125835A (ja) * 2021-02-17 2022-08-29 富士フイルムビジネスイノベーション株式会社 後処理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44370A (ja) * 1988-11-26 1990-06-04 Canon Inc シート後処理装置
KR960029918A (ko) * 1995-01-12 1996-08-17 우석형 복사기용 소터, 배지정렬장치, 스태플링 장치 및 이들을 이용한 스태플링 소터
JPH08277059A (ja) * 1995-04-06 1996-10-22 Shinko Seisakusho Co Ltd フィニッシャ
JPH1045317A (ja) * 1996-08-06 1998-02-17 Fuji Xerox Co Ltd 画像形成装置のシート後処理装置
JPH10194569A (ja) * 1996-12-27 1998-07-28 Canon Inc シート処理装置及びこれを備える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10424A (en) * 1967-02-27 1968-11-12 George F. Rooney Jr. Rack for holding a stack of printed sheets
US4473425A (en) * 1982-05-24 1984-09-25 Eastman Kodak Company Binding apparatus and method
US4611741A (en) * 1985-01-24 1986-09-16 Eastman Kodak Company Booklet finishing apparatus
DE3763262D1 (de) * 1986-03-14 1990-07-19 Sharp Kk Kassette fuer kopien.
DE68919915T2 (de) * 1988-06-14 1995-05-04 Canon Kk Blattnachbearbeitungsvorrichtung.
DE68923066T4 (de) 1988-11-26 1996-02-15 Canon Kk Vorrichtung zur Bogenweiterverarbeitung und Vorrichtung zur Bilderzeugung.
JP2941502B2 (ja) * 1991-07-31 1999-08-25 株式会社東芝 紙葉類の集積装置
US5285249A (en) * 1992-09-10 1994-02-08 Eastman Kodak Company Finishing apparatus for stapling sheets stacked first-to-last or last-to-first
JP3234009B2 (ja) * 1992-09-25 2001-12-04 株式会社リコー 画像記録装置
JP3273451B2 (ja) 1992-10-27 2002-04-08 株式会社リコー 用紙処理装置
JPH07314813A (ja) * 1994-05-25 1995-12-05 Fuji Xerox Co Ltd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H082768A (ja) * 1994-06-15 1996-01-09 Fuji Xerox Co Ltd シート排出装置
JPH089451A (ja) 1994-06-16 1996-01-12 Fujitsu Ltd 発信地表示方式
JPH0826558A (ja) * 1994-07-15 1996-01-30 Canon Inc 記録装置
JPH08259073A (ja) * 1995-03-24 1996-10-08 Canon Inc 排紙積載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3466376B2 (ja) * 1995-06-07 2003-11-10 株式会社リコー 用紙後処理装置
KR0147925B1 (ko) * 1995-08-10 1998-12-01 우석형 스태플러 소터의 용지정렬 및 스태플링장치
DE19546389C2 (de) * 1995-12-12 2002-02-14 Windmoeller & Hoelscher Palettiervorrichtung zum Palettieren von Stapeln aus flachen Gegenständen
NL1003847C2 (nl) * 1996-08-21 1998-02-26 Boral B V Inrichting voor het stapelen van plaatvormige elementen.
JP3744636B2 (ja) * 1997-03-06 2006-02-15 コニカミノルタ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シート後処理装置の後処理方法
JPH10296966A (ja) * 1997-04-25 1998-11-10 Nec Niigata Ltd インクジェット式画像形成装置
US6106219A (en) * 1999-01-20 2000-08-22 John Robert Newsome Stack forming and conveying apparatu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44370A (ja) * 1988-11-26 1990-06-04 Canon Inc シート後処理装置
KR960029918A (ko) * 1995-01-12 1996-08-17 우석형 복사기용 소터, 배지정렬장치, 스태플링 장치 및 이들을 이용한 스태플링 소터
JPH08277059A (ja) * 1995-04-06 1996-10-22 Shinko Seisakusho Co Ltd フィニッシャ
JPH1045317A (ja) * 1996-08-06 1998-02-17 Fuji Xerox Co Ltd 画像形成装置のシート後処理装置
JPH10194569A (ja) * 1996-12-27 1998-07-28 Canon Inc シート処理装置及びこれを備える画像形成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9592B1 (ko) * 2012-10-24 2014-11-12 대한민국 효모영양제 첨가 허니와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544667B2 (ja) 2010-09-15
GB2341598A (en) 2000-03-22
GB2341598B (en) 2002-10-09
JP2000095420A (ja) 2000-04-04
DE19944523A1 (de) 2000-03-23
US6231039B1 (en) 2001-05-15
DE19944523B4 (de) 2011-06-30
GB9922067D0 (en) 1999-11-17
KR20000020022A (ko) 2000-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80463B1 (ko) 용지후처리장치
US7731187B2 (en) Sheet medium adjustment apparatus and image formation system capable of sorting sheet media
US6422801B1 (en) Automatic plate feeding system
US5384634A (en) Sheet post-processing apparatus having trays for receiving sets of sheets
CA2122499C (en) Integrated job mailboxing and sets stacking system
KR940005167B1 (ko) 화상형성 후처리 장치
JP3278044B2 (ja) シート処理装置及びこれを備える画像形成装置
JP2006124052A (ja) 用紙積載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20090295074A1 (en) Sheet ejection device, image forming apparatus and post-processing apparatus
JPS63147775A (ja) 画像形成装置
JP4468140B2 (ja) 用紙積載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S62282988A (ja) 用紙丁合装置
JP3658476B2 (ja) 紙片位置揃え機構を備えた紙片ソート装置
JP3325193B2 (ja) ソータ
JPH11255414A (ja) シート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システム
US9522558B2 (en) Tamper and rotatable stapler for post-processing device
JP3413058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2087685A (ja) 画像形成装置の用紙排出装置
JP3343043B2 (ja) スタッカ
US5695181A (en) Sheet sorting apparatus
KR200306298Y1 (ko) 용지후처리시스템의 용지수납장치
JP3689459B2 (ja) シート束スタック装置を備えるシート分類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KR200180496Y1 (ko) 화상형성기기의 용지 적재장치
JP3933874B2 (ja) 記録材送り出し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3039695B2 (ja) シート後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