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5573B1 - 휴대용 컴퓨터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휴대용 컴퓨터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5573B1
KR100475573B1 KR10-2003-0044389A KR20030044389A KR100475573B1 KR 100475573 B1 KR100475573 B1 KR 100475573B1 KR 20030044389 A KR20030044389 A KR 20030044389A KR 100475573 B1 KR100475573 B1 KR 1004755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auxiliary system
auxiliary
mounting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43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05339A (ko
Inventor
박성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443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5573B1/ko
Priority to US10/820,813 priority patent/US7231529B2/en
Priority to EP04102414A priority patent/EP1494107A3/en
Priority to CNB2004100465363A priority patent/CN1287253C/zh
Publication of KR200500053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53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55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557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2External expansion units, e.g. docking st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Power Sour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Stored Program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데이터저장부와, 상기 데이터저장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표시하는 메인디스플레이부를 갖는 메인시스템을 포함하는 휴대용 컴퓨터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휴대용 컴퓨터시스템은, 상기 메인시스템과 독립적인 운영체제 및 보조디스플레이부를 가진 보조시스템이 장착되며, 상기 보조시스템과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장착부와; 상기 장착부를 통한 상기 보조시스템의 장착여부를 감지하는 장착감지부와; 상기 보조시스템과 데이터를 무선으로 송수신하기 위한 무선송수신부와; 상기 데이터저장부에 저장된 데이터의 상기 보조디스플레이부로의 표시여부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부와; 상기 장착감지부를 통한 감지결과 및 상기 선택부를 통한 선택에 따라 상기 데이터저장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상기 장착부와 상기 무선송수신부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상기 보조시스템에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메인시스템의 데이터를 보조시스템의 보조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여 이동 중인 경우에도 빠른 정보 처리가 가능하다.

Description

휴대용 컴퓨터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PORTABLE COMPUTER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휴대용 컴퓨터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메인시스템의 데이터를 보조시스템의 보조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여 이동 중인 경우에도 빠른 정보 처리가 가능하도록 한 휴대용 컴퓨터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탁상용 컴퓨터와 대별되는 휴대용 컴퓨터에서 강조되는 것은 이동성과 단순성이다. 상술한 휴대용 컴퓨터는 랩탑 컴퓨터(laptop computer)와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그리고 팜탑 컴퓨터(palmtop computer) 등 휴대할 수 있는 컴퓨터를 모두 포함하여 일컫는 것이다.
이러한 휴대용 컴퓨터 중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의 경우 개인정보관리기능이 가장 기본적이고도 필수적인 기능이다. 일반적으로 PIMS(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라고 표현되며 일정관리, 주소록, 할일, 메모 등 일상생활 속에서 개인이 기억하고 관리해야 할 모든 업무를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처리할 수 있도록 돕는 기능이다. 주소록 등에 작성한 E-Mail 주소를 이용하여 바로 메일을 보낼 수도 있고, 업무 등으로 만난 사람들의 명함 관리와 함께 회의 내용 등을 기록해 놓을 수 있기 때문에 보다 능동적인 업무처리가 가능하다.
또한, PDA에서는 게임, 포토앨범, 음악감상에서부터 동영상 파일의 재생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멀티미디어 기능을 구현하거나 데스크탑 PC와의 데이터 교환 등이 가능하다.
그런데, PDA의 경우 멀티미디어 파일을 사용할 때 램의 용량이 문제시되며, 데스크탑 PC와의 데이터 교환을 위해 특정 케이블을 사용해야 하므로 사용자가 이동 중에도 케이블을 항상 구비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한편, 노트북 컴퓨터의 경우는 PDA의 기능을 수행할 수는 있으나, 이동 중에 사용하기에는 불편함이 있다. 예를 들어, 실시간으로 이메일을 확인하거나, 멀티미디어 파일을 사용하거나, PIMS 등의 간단한 작업을 수행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이동 중에 노트북 컴퓨터의 디스플레이패널을 열어 부팅과정을 거쳐야 하기 때문에 시간 및 전력을 낭비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메인시스템의 데이터를 보조시스템의 보조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여 이동 중인 경우에도 빠른 정보 처리가 가능하도록 한 휴대용 컴퓨터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보조시스템을 메인시스템의 네트워크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웹패드 기능을 하도록 하거나, 보조시스템 자체적으로 PIMS 기능을 하도록 하는 휴대용 컴퓨터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보조시스템의 입력장치를 통한 메인시스템의 제어가 가능한 휴대용 컴퓨터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데이터저장부와, 상기 데이터저장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표시하는 메인디스플레이부를 갖는 메인시스템을 포함하는 휴대용 컴퓨터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메인시스템과 독립적인 운영체제 및 보조디스플레이부를 가진 보조시스템이 장착되며, 상기 보조시스템과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장착부와; 상기 장착부를 통한 상기 보조시스템의 장착여부를 감지하는 장착감지부와; 상기 보조시스템과 데이터를 무선으로 송수신하기 위한 무선송수신부와; 상기 데이터저장부에 저장된 데이터의 상기 보조디스플레이부로의 표시여부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부와; 상기 장착감지부를 통한 감지결과 및 상기 선택부를 통한 선택에 따라 상기 데이터저장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상기 장착부와 상기 무선송수신부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상기 보조시스템에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컴퓨터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메인시스템의 배터리에 충전전원을 공급하는 충전부와, 상기 충전부의 충전전원을 상기 보조시스템의 배터리에 공급하거나 차단하도록 스위칭하는 스위칭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장착감지부를 통한 장착감지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장착부를 통해 상기 보조시스템의 배터리에 충전전원이 공급되도록 상기 스위칭부를 제어함으로써, 메인시스템을 통한 보조시스템의 배터리 충전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장착부는 상기 충전부의 충전전원을 상기 보조시스템의 배터리에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포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장착부는 DVO(Digital Video Output) 포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장착감지부를 통한 비장착감지신호 및 상기 선택부를 통한 데이터표시 비선택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보조시스템에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모드 동작신호를 제공하여, 보조시스템을 독립적인 PDA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여기서, 상기 보조시스템 내의 임베디드컨트롤러는 상기 메인시스템의 상기 무선송수신부의 온, 오프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결과 상기 무선송수신부가 턴온되어 있는 경우 상기 보조시스템에서의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무선송수신부를 통한 웹패드 모드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보조시스템을 메인시스템의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웹패드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보조시스템 내의 임베디드컨트롤러는 상기 메인시스템의 상기 무선송수신부의 온, 오프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결과 상기 무선송수신부가 턴오프되어 있는 경우 상기 보조시스템에서의 사용자 입력에 따라 PIMS(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모드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보조시스템을 이용하여 PIMS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장착감지부를 통한 장착감지신호 및 상기 선택부를 통한 데이터표시 비선택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장착부와 상기 무선송수신부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상기 보조시스템에 전원차단신호를 제공하여, 보조시스템의 전원을 턴오프시켜 불필요한 전력을 감소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보조시스템에서의 사용자 입력신호가 상기 무선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제어부에 전달됨으로써, 보조시스템의 입력장치를 통한 메인시스템의 제어가 가능하다.
한편, 상기 목적은 본 발명의 다른 분야에 따르면, 데이터저장부와, 상기 데이터저장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표시하는 메인디스플레이부를 갖는 메인시스템을 포함하는 휴대용 컴퓨터시스템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메인시스템과 독립적인 운영체제 및 보조디스플레이부를 가진 보조시스템이 장착되며, 상기 보조시스템과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장착부와, 상기 보조시스템과 데이터를 무선으로 송수신하기 위한 무선송수신부를 미리 마련하는 단계와; 상기 장착부를 통한 상기 보조시스템의 장착여부를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데이터저장부에 저장된 데이터의 상기 보조디스플레이부로의 표시여부를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감지결과 및 상기 선택에 따라 상기 데이터저장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상기 장착부와 상기 무선송수신부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상기 보조시스템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컴퓨터시스템의 제어방법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감지결과 상기 보조시스템이 상기 메인시스템에 장착된 경우, 상기 장착부를 통해 상기 메인시스템으로부터 상기 보조시스템의 배터리에 충전전원이 공급되도록 스위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으로써, 메인시스템을 통한 보조시스템의 배터리 충전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장착부는 상기 충전전원을 상기 보조시스템의 배터리에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포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장착부는 DVO(Digital Video Output) 포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비장착감지신호 및 비선택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보조시스템에 PDA 모드 동작신호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보조시스템을 독립적인 PDA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보조시스템이 상기 메인시스템의 상기 무선송수신부의 온, 오프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결과, 상기 무선송수신부가 턴온되어 있는 경우 상기 보조시스템에서의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무선송수신부를 통한 웹패드 모드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보조시스템을 메인시스템의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웹패드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보조시스템이 상기 메인시스템의 상기 무선송수신부의 온, 오프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결과, 상기 무선송수신부가 턴오프되어 있는 경우 상기 보조시스템에서의 사용자 입력에 따라 PIMS 모드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보조시스템을 이용하여 PIMS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장착감지신호 및 비선택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장착부와 상기 무선송수신부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상기 보조시스템에 전원차단신호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보조시스템의 전원을 턴오프시켜 불필요한 전력을 감소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보조시스템에서의 사용자 입력신호가 상기 무선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메인시스템에 전달되는 단계를 더 포함함으로써, 보조시스템의 입력장치를 통한 메인시스템의 제어가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컴퓨터시스템의 사시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휴대용 컴퓨터의 케이싱 일측에는 보조시스템(5)이 장착되기 위한 장착부(20)가 마련된다. 이로써, 보조시스템(5)은 장착부(20)에 장착된 채로 휴대용 컴퓨터와 함께 휴대가 가능하다.
여기서, 보조시스템(5)은 휴대용 컴퓨터의 메인시스템(3)과 독립적인 운영체제를 가지며, 메모리, 배터리(42), 디스플레이부(50) 등을 갖는 임베디드 시스템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시스템(5)의 디스플레이부(50)가 디스플레이패널(10)의 상측에 돌출되어 위치하도록 장착부(20)를 마련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혹은, 장착부(20)를 회전시키도록 구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보조시스템(5)의 디스플레이부(50)는 휴대용 컴퓨터의 디스플레이패널(10)이 오픈된 상태에서 멀티미디어파일의 조작패널의 표시 등 메인시스템(3)의 추가적인 디스플레이 기능을 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컴퓨터시스템의 제어블록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휴대용 컴퓨터시스템은 배터리(12)와, 배터리(12) 충전용 충전부(14)와, 데이터저장부(18)와, 디스플레이패널(10)과, 보조시스템(5)이 장착되고 보조시스템(5)과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장착부(20)와, 장착부(20)를 통한 보조시스템(5)의 장착여부를 감지하는 장착감지부(40)와, 보조시스템(5)과의 무선통신을 위한 무선송수신부(26)와, 데이터저장부(18)의 데이터를 보조시스템(5)의 디스플레이부(50)로의 표시여부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부(30)와, 충전부(14)의 충전전원을 보조시스템(5)으로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스위칭부(16)와, 제어기능을 담당하는 제어부(28)를 포함하는 메인시스템(3)을 갖는다.
그리고, 본 휴대용 컴퓨터시스템은 전원공급을 위한 배터리(42)와, 데이터 표시 및 터치스크린(56) 기능을 가진 디스플레이부(50)와, 디스플레이부(50)의 터치스크린(56)을 통한 사용자 입력신호를 처리하는 TSP(Touch Screen Panel) 컨트롤러(58)와, 메인시스템(3)과의 무선데이터 통신을 위한 무선송수신부(46)와, 보조시스템(5)을 총괄 제어하는 임베디드컨트롤러(44)를 포함하는 보조시스템(5)을 갖는다.
메인시스템(3) 내에는 부품의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12)가 마련되어 있으며, 제어부(28)는 도시되지 않은 배터리잔량감지부의 잔량감지신호에 기초하여 배터리(12)의 충전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충전부(14)를 통해 충전전원을 배터리(12)에 공급하도록 한다.
장착부(20)는 보조시스템(5)이 장착되는 부분으로서, DVO(Digital Video Output)포트(24)와 전원공급포트(22)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보조시스템(5)에도 DVO포트(24) 및 전원공급포트(22)에 접속되기 위한 DVO포트접속부(54)와 전원공급포트접속부(52)가 마련된다.
장착감지부(40)는 보조시스템(5)이 장착부(20)를 통해 메인시스템(3)에 장착시 전기신호가 발생되는 회로를 포함한다. 장착감지부(40)는 보조시스템(5)의 장착여부에 따라 각기 상이한 신호를 발생하여 제어부(28)에 전달한다.
메인시스템(3)의 무선송수신부(26)는 보조시스템(5)의 무선송수신부(46)와 함께 블루투스 혹은 UWB(Ultra Wideband) 인터페이스 등인 것이 바람직하며, 무선송수신부(26, 46)를 통해 메인시스템(3)과 보조시스템(5)이 무선으로 통신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메인시스템(3)은 무선송수신부(26)를 통해 웹서버에 접속이 가능하여 웹브라우징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의 보조시스템(5)의 무선송수신부(46)를 통해서는 웹서버에 접속이 불가능하고, 보조시스템(5)의 무선송수신부(46)는 메인시스템(3)과의 데이터 통신을 위해서만 마련된 것으로서, 보조시스템(5)의 웹브라우징 기능은 메인시스템(3)의 무선송수신부(26)를 통해 가능하다.
물론, 전술한 실시예와 달리, 보조시스템(5)의 무선송수신부(46)를 통해 웹서버에 접속가능하도록 구성하여, 보조시스템(5) 자체적으로 웹브라우징 기능을 수행하게 할 수도 있다.
선택부(30)는 보조시스템(5)의 디스플레이부(50)에 메인시스템(3)의 데이터 표시여부를 선택하기 위한 부분으로서, 소정의 버튼이거나 핫키, 혹은 선택프로그램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선택프로그램의 경우, 보조시스템(5)의 전원스위치가 온 된 경우, 보조시스템(5)으로부터 전원인가신호가 장착부(20) 혹은 무선송수신부(26)를 통해 메인시스템(3)으로 전달되면, 메인시스템(3)의 제어부(28)는 이를 감지하여 선택프로그램창을 띄우게 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스위칭부(16)는 충전부(14) 및 장착부(20)의 전원공급포트(2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충전부(14)의 충전전원이 전원공급포트(22)를 통해 보조시스템(5)으로 공급 및 차단되도록 스위칭하는 역할을 한다.
제어부(28)는 장착감지부(40)로부터 발생된 장착감지신호에 기초하여 보조시스템(5)의 장착여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보조시스템(5)이 장착된 것으로 판단되면, 스위칭부(16)를 온 시킴으로써 충전부(14)의 충전전원을 전원공급포트(22)를 통해 보조시스템(5)의 배터리(42)에 공급되게 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선택부(30)를 통해 보조시스템(5)의 디스플레이부(50) 표시를 선택하게 되면, 제어부(28)는 DVO포트(24)를 통해 데이터저장부(18)에 저장된 데이터를 보조시스템(5)에 전달한다. 그러면, 보조시스템(5)의 그래픽컨트롤러가 내장된 임베디드컨트롤러(44)는 DVO포트(24)를 통해 전달된 메인시스템(3)의 데이터를 도시되지 않은 신호처리부를 통해 신호처리되도록 하여 디스플레이부(50)에 표시한다.
사용자가 보조시스템(5)의 디스플레이부(50) 표시를 선택하지 아니한 경우, 제어부(28)는 장착부(20)와 무선송수신부(26) 중 어느 하나를 통해 보조시스템(5)에 전원차단신호를 제공한다.
보조시스템(5)의 임베디드컨트롤러(44)는 메인시스템(3)으로부터 전달된 전원차단신호에 따라 배터리(42)를 제어하여 보조시스템(5)의 전원을 턴오프시킨다. 이에, 사용자가 보조시스템(5)의 디스플레이부(50)에 데이터 표시를 원하지 않는 경우 보조시스템(5)의 전원을 턴오프시켜 불필요한 전력을 감소시킨다.
한편, 제어부(28)는 보조시스템(5)이 탈착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스위칭부(16)를 오프 시켜 보조시스템(5)의 배터리(42) 충전을 중단하며, 충전부(14)로의 누설전류를 방지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선택부(30)를 통해 보조시스템(5)의 디스플레이부(50) 표시를 선택하게 되면, 제어부(28)는 데이터저장부(18)에 저장된 데이터를 독출하여 무선송수신부(26)를 통해 보조시스템(5)에 전달한다.
사용자가 보조시스템(5)의 디스플레이부(50) 표시를 선택하지 않는 경우, 제어부(28)는 무선송수신부(26)를 통해 보조시스템(5)에 PDA 모드 동작신호를 제공한다.
PDA 모드 동작신호를 제공받은 보조시스템(5)의 임베디드컨트롤러(44)는 메인시스템(3) 무선송수신부(26)의 온, 오프 여부를 판단한다. 판단결과, 메인시스템(3)의 무선송수신부(26)가 턴온되어 있는 경우 보조시스템(5)의 터치스크린(56)을 통한 입력에 따라 무선송수신부(26)를 통한 웹브라우징 기능 등 웹패드 모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임베디드컨트롤러(44)가 메인시스템(3)의 무선송수신부(26)가 턴오프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하면, 보조시스템(5)의 터치스크린(56)을 통한 사용자입력에 따라 PIMS(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모드 기능을 수행한다. 이는, 보조시스템(5) 자체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기능이다.
이로써, 휴대용 컴퓨터를 열지 않고도 메인시스템(3)의 데이터를 보조시스템(5)의 디스플레이부(50)에 표시할 수 있어, 이동 중 빠른 정보 처리가 가능하며, 보조시스템(5)을 메인시스템(3)의 무선송수신부(26)를 통해 웹패드로 사용하거나, 보조시스템(5) 자체적으로 전자수첩과 같은 PIMS 모드로 동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보조시스템(5)의 터치스크린(56)을 통한 입력신호는 TSP 컨트롤러(58)의 제어에 의해 무선송수신부(26, 46)를 통해 메인시스템(3)의 제어부(28)에 전달되게 되어, 보조시스템(5)의 입력장치인 터치스크린(56)을 통한 메인시스템(3)의 제어가 가능하다.
여기서, 보조시스템(5)의 입력장치를 터치스크린(56)으로 상술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러한 구성에 따른 본 휴대용 컴퓨터시스템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어흐름을 도 4에 도시하였다. 먼저, 메인시스템(3)에 보조시스템(5)이 장착되기 위한 장착부(20) 및 보조시스템(5)과 무선통신하기 위한 무선송수신부(26)를 미리 마련한다(S10). 제어부(28)는 장착감지부(40)를 통한 감지결과 보조시스템(5)이 메인시스템(3)에 장착되었는지를 판단한다(S12). 판단 결과, 보조시스템(5)이 메인시스템(3)에 장착된 경우, 제어부(28)는 충전부(14)를 제어하여 보조시스템(5)의 배터리(42)에 충전전원을 공급한다(S14). 사용자가 선택부(30)를 통해 보조시스템(5)의 디스플레이부(50)에 메인시스템(3)의 데이터 표시를 선택하게 되면(S16), 제어부(28)는 데이터저장부(18)에 저장된 데이터를 장착부(20)를 통해 보조시스템(5)에 제공한다(S18). 반면, 선택하지 않으면(S16), 제어부(28)는 보조시스템(5)의 전원을 오프시키도록 무선송수신부(26) 혹은 장착부(20)를 통해 임베디드컨트롤러(44)를 제어한다. 이에, 임베디드컨트롤러(44)는 배터리(42)를 제어하여 전원을 오프시킨다(S20).
한편, 보조시스템(5)이 메인시스템(3)에 장착되지 아니한 경우(A)의 제어흐름을 도 5에 도시하였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보조시스템(5)의 디스플레이부(50)에 메인시스템(3)의 데이터 표시를 선택하게 되면(S30), 제어부(28)는 데이터저장부(18)에 저장된 데이터를 독출하여 무선송수신부(26)를 통해 보조시스템(5)에 제공한다(S32). 이로써, 보조시스템(5)의 디스플레이부(50)에 메인시스템(7)의 데이터가 표시되게 된다.
반면, 사용자가 메인시스템(3) 데이터의 디스플레이부(50)로의 표시를 비선택하게 되면, 제어부(28)는 무선송수신부(26)를 통해 PDA 동작모드신호를 임베디드컨트롤러(44)에 전달하여, 보조시스템(5)이 PDA 모드로 동작하도록 한다(S34).
여기서, 임베디드컨트롤러(44)는 메인시스템(3)의 무선송수신부(26)의 온, 오프 여부를 판단하고(S36), 판단결과 무선송수신부(26)가 턴온되어 있는 경우 보조시스템(5)을 웹패드 모드로 동작시키며(S38), 턴오프되어 있는 경우 보조시스템(5)을 PIMS 모드로 동작시킨다(S40).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보조시스템(5)이 메인시스템(3)에 장착시 메인시스템(3)의 데이터가 장착부(20)를 통해 보조시스템(5)에 제공되는 것으로 상술하였으나, 보조시스템(5)과 메인시스템(3)을 특정 케이블을 통해 연결하여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보조시스템(5)이 메인시스템(3)에 장착되지 아니하고, 디스플레이부(50)로의 데이터 표시를 선택하지 않는 경우, 메인시스템(3)의 무선송수신부(26)가 턴오프되어 있으면, 보조시스템(5)이 PIMS 모드로 동작하는 것으로 상술하였으나, 사용자 셋팅에 의해 보조시스템(5)이 메인시스템(3)에서 탈착시 자동으로 웹패드 모드에서 PIMS 모드로 변환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메인시스템(3)에 보조시스템(5)의 장착여부에 따라 장착부(20)와 무선송수신부(26) 중 어느 하나를 통해 메인시스템(3)의 데이터를 보조시스템(5)에 제공함으로써, 이동 중에 빠른 정보 처리가 가능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메인시스템의 데이터를 보조시스템의 보조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여 이동 중인 경우에도 빠른 정보 처리가 가능하도록 한 휴대용 컴퓨터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보조시스템을 메인시스템의 네트워크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웹패드 기능을 하도록 하거나, 보조시스템 자체적으로 PIMS 기능을 하도록 하는 휴대용 컴퓨터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보조시스템의 입력장치를 통한 메인시스템의 제어가 가능한 휴대용 컴퓨터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컴퓨터시스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컴퓨터시스템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컴퓨터시스템의 제어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컴퓨터시스템의 제어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컴퓨터시스템의 제어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 메인시스템 5 : 보조시스템
10 : 디스플레이패널 12 : 메인시스템측 배터리
14 : 충전부 16 : 스위칭부
18 : 데이터저장부 20 : 장착부
22 : 전원공급포트 24 : DVO포트
26 : 메인시스템측 무선송수신부 28 : 제어부
30 : 선택부 40 : 장착감지부
42 : 보조시스템측 배터리 44 : 임베디드컨트롤러
46 : 보조시스템측 무선송수신부 50 : 디스플레이부
52 : 전원공급포트접속부 54 : DVO포트접속부

Claims (18)

  1. 데이터저장부와, 상기 데이터저장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표시하는 메인디스플레이부를 갖는 메인시스템을 포함하는 휴대용 컴퓨터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메인시스템과 독립적인 운영체제 및 보조디스플레이부를 가진 보조시스템이 장착되며, 상기 보조시스템과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장착부와;
    상기 장착부를 통한 상기 보조시스템의 장착여부를 감지하는 장착감지부와;
    상기 보조시스템과 데이터를 무선으로 송수신하기 위한 무선송수신부와;
    상기 데이터저장부에 저장된 데이터의 상기 보조디스플레이부로의 표시여부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부와;
    상기 장착감지부를 통한 감지결과 및 상기 선택부를 통한 선택에 따라 상기 데이터저장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상기 장착부와 상기 무선송수신부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상기 보조시스템에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컴퓨터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시스템의 배터리에 충전전원을 공급하는 충전부와, 상기 충전부의 충전전원을 상기 보조시스템의 배터리에 공급하거나 차단하도록 스위칭하는 스위칭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장착감지부를 통한 장착감지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장착부를 통해 상기 보조시스템의 배터리에 충전전원이 공급되도록 상기 스위칭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컴퓨터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상기 충전부의 충전전원을 상기 보조시스템의 배터리에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포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컴퓨터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DVO(Digital Video Output) 포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컴퓨터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장착감지부를 통한 비장착감지신호 및 상기 선택부를 통한 데이터표시 비선택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보조시스템에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모드 동작신호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컴퓨터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시스템 내의 임베디드컨트롤러는 상기 메인시스템의 상기 무선송수신부의 온, 오프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결과 상기 무선송수신부가 턴온되어 있는 경우 상기 보조시스템에서의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무선송수신부를 통한 웹패드 모드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컴퓨터시스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시스템 내의 임베디드컨트롤러는 상기 메인시스템의 상기 무선송수신부의 온, 오프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결과 상기 무선송수신부가 턴오프되어 있는 경우 상기 보조시스템에서의 사용자 입력에 따라 PIMS(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모드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컴퓨터시스템.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장착감지부를 통한 장착감지신호 및 상기 선택부를 통한 데이터표시 비선택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장착부와 상기 무선송수신부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상기 보조시스템에 전원차단신호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컴퓨터시스템.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시스템에서의 사용자 입력신호가 상기 무선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제어부에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컴퓨터시스템.
  10. 데이터저장부와, 상기 데이터저장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표시하는 메인디스플레이부를 갖는 메인시스템을 포함하는 휴대용 컴퓨터시스템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메인시스템과 독립적인 운영체제 및 보조디스플레이부를 가진 보조시스템이 장착되며, 상기 보조시스템과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장착부와, 상기 보조시스템과 데이터를 무선으로 송수신하기 위한 무선송수신부를 미리 마련하는 단계와;
    상기 장착부를 통한 상기 보조시스템의 장착여부를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데이터저장부에 저장된 데이터의 상기 보조디스플레이부로의 표시여부를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감지결과 및 상기 선택에 따라 상기 데이터저장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상기 장착부와 상기 무선송수신부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상기 보조시스템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컴퓨터시스템의 제어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결과 상기 보조시스템이 상기 메인시스템에 장착된 경우, 상기 장착부를 통해 상기 메인시스템으로부터 상기 보조시스템의 배터리에 충전전원이 공급되도록 스위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컴퓨터시스템의 제어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상기 충전전원을 상기 보조시스템의 배터리에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포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컴퓨터시스템의 제어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DVO(Digital Video Output) 포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컴퓨터시스템의 제어방법.
  14. 제10항에 있어서,
    비장착감지신호 및 비선택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보조시스템에 PDA 모드 동작신호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컴퓨터시스템의 제어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시스템이 상기 메인시스템의 상기 무선송수신부의 온, 오프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결과, 상기 무선송수신부가 턴온되어 있는 경우 상기 보조시스템에서의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무선송수신부를 통한 웹패드 모드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컴퓨터시스템의 제어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시스템이 상기 메인시스템의 상기 무선송수신부의 온, 오프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결과, 상기 무선송수신부가 턴오프되어 있는 경우 상기 보조시스템에서의 사용자 입력에 따라 PIMS 모드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컴퓨터시스템의 제어방법.
  17.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장착감지신호 및 비선택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장착부와 상기 무선송수신부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상기 보조시스템에 전원차단신호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컴퓨터시스템의 제어방법.
  18.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시스템에서의 사용자 입력신호가 상기 무선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메인시스템에 전달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컴퓨터시스템의 제어방법.
KR10-2003-0044389A 2003-07-01 2003-07-01 휴대용 컴퓨터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04755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4389A KR100475573B1 (ko) 2003-07-01 2003-07-01 휴대용 컴퓨터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10/820,813 US7231529B2 (en) 2003-07-01 2004-04-09 Method of controlling power to an auxiliary system comprising a display part and a wireless sending/receiving part connected to a portable computer through a mounting part
EP04102414A EP1494107A3 (en) 2003-07-01 2004-05-28 A computer having a display
CNB2004100465363A CN1287253C (zh) 2003-07-01 2004-06-01 便携式计算机系统及其控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4389A KR100475573B1 (ko) 2003-07-01 2003-07-01 휴대용 컴퓨터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5339A KR20050005339A (ko) 2005-01-13
KR100475573B1 true KR100475573B1 (ko) 2005-03-14

Family

ID=334324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4389A KR100475573B1 (ko) 2003-07-01 2003-07-01 휴대용 컴퓨터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231529B2 (ko)
EP (1) EP1494107A3 (ko)
KR (1) KR100475573B1 (ko)
CN (1) CN1287253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198867A1 (en) 2011-12-09 2013-08-01 Z124 A Docking Station for Portable Devices Providing Authorized Power Transfer and Facility Access
US9507930B2 (en) 2003-04-25 2016-11-29 Z124 Physical key secure peripheral interconnection
IL159838A0 (en) 2004-01-13 2004-06-20 Yehuda Binder Information device
US7558884B2 (en) * 2004-05-03 2009-07-07 Microsoft Corporation Processing information received at an auxiliary computing device
US7660914B2 (en) 2004-05-03 2010-02-09 Microsoft Corporation Auxiliary display system architecture
US7577771B2 (en) * 2004-05-03 2009-08-18 Microsoft Corporation Caching data for offline display and navigation of auxiliary information
US7511682B2 (en) * 2004-05-03 2009-03-31 Microsoft Corporation Context-aware auxiliary display platform and applications
US7363525B2 (en) * 2004-10-07 2008-04-22 Cisco Technology, Inc. Bidirectional inline power port
US7502947B2 (en) * 2004-12-03 2009-03-10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a graphics controller
US7502221B2 (en) * 2005-04-22 2009-03-10 Microsoft Corporation Multiple-use auxiliary display
US8692816B2 (en) 2005-04-22 2014-04-08 Microsoft Corporation State-based auxiliary display operation
TWI293156B (en) * 2005-08-12 2008-02-01 Winbond Electronics Corp Embedded controller and a computer system with said embedded controller
TW200910060A (en) * 2007-08-27 2009-03-01 Inventec Corp Portable computer
KR101494010B1 (ko) * 2008-06-02 2015-02-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보조 출력 장치를 구비한 휴대용 컴퓨터 그리고 이를이용한 위치표시 방법
CN101661304B (zh) 2008-08-25 2011-07-27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计算机及其输入设备共用方法
US20100250818A1 (en) * 2009-03-27 2010-09-30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wireless connectivity between a portable computing device and a portable computing device docking station
US9128669B2 (en) 2009-03-27 2015-09-08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of managing security between a portable computing device and a portable computing device docking station
US9201593B2 (en) 2009-03-27 2015-12-01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of managing displays at a portable computing device and a portable computing device docking station
US20100251243A1 (en) * 2009-03-27 2010-09-30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of managing the execution of applications at a portable computing device and a portable computing device docking station
US20100250817A1 (en) * 2009-03-27 2010-09-30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of managing data communication at a portable computing device and a portable computing device docking station
US20100250789A1 (en) * 2009-03-27 2010-09-30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of managing memory at a portable computing device and a portable computing device docking station
US8630088B2 (en) 2009-03-27 2014-01-14 Qualcomm Incorporated Portable docking station for a portable computing device
US8653785B2 (en) 2009-03-27 2014-02-18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of managing power at a portable computing device and a portable computing device docking station
US8707061B2 (en) 2009-03-27 2014-04-22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scalable computing between a portable computing device and a portable computing device docking station
US9275166B2 (en) 2009-06-11 2016-03-01 Gilad Odinak Off-line delivery of content through an active screen display
CN103282894B (zh) * 2010-10-01 2016-10-05 Flex Electronics ID Co.,Ltd. 涉及用于对接便携式电子设备的用户界面的系统和方法
US8842429B2 (en) * 2011-01-04 2014-09-23 Motorola Mobility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securing portable electronic device to accessory device
US9383770B2 (en) 2011-08-31 2016-07-05 Z124 Mobile device that docks with multiple types of docks
US9244491B2 (en) 2011-08-31 2016-01-26 Z124 Smart dock for auxiliary devices
CN102855110A (zh) * 2012-07-25 2013-01-02 苏州佳世达电通有限公司 资讯提示装置及显示装置
USD741318S1 (en) 2013-10-25 2015-10-20 Intel Corporation Electronic device with a window
WO2020009698A1 (en) * 2018-07-03 2020-01-09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Receptacles for electronic devices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503894A (ja) * 1990-08-16 1994-04-28 ゼネラル・パラメトリックス・コーポレーション 補助表示装置を含む表示制御装置
JPH04333119A (ja) * 1991-05-09 1992-11-2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情報処理装置
JP3018050B2 (ja) 1991-11-15 2000-03-13 ローム株式会社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940009735B1 (ko) 1992-08-25 1994-10-17 삼성전자 주식회사 노우트 북 컴퓨터
EP0637793A1 (en) * 1993-07-28 1995-02-08 AT&T GLOBAL INFORMATION SOLUTIONS INTERNATIONAL INC. Docking station for portable computer
JPH0926832A (ja) 1995-07-07 1997-01-28 Seiko Epson Corp 情報処理装置および処理方法
KR19990030851A (ko) 1997-10-07 1999-05-06 윤종용 모니터 및 모니터가 설치된 휴대용 컴퓨터
KR100303082B1 (ko) * 1997-10-13 2001-11-22 윤종용 휴대용컴퓨터를이용한멀티미디어기기
JP3092560B2 (ja) * 1997-10-30 2000-09-25 日本電気株式会社 パーソナルコンピュータ
JPH11175187A (ja) 1997-12-15 1999-07-02 Tetsuro Kotani サブディスプレイ付ノート型パソコン
US6535199B1 (en) * 1999-02-04 2003-03-18 Palm, Inc. Smart cover for a handheld computer
JP2001142563A (ja) * 1999-11-09 2001-05-25 Internatl Business Mach Corp <Ibm> 機能補完型携帯情報装置
KR100761953B1 (ko) 2001-02-07 2007-09-28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컴퓨터
US6798647B2 (en) * 2001-07-16 2004-09-28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ortable computer with integrated PDA I/O docking crad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494107A2 (en) 2005-01-05
US20050005176A1 (en) 2005-01-06
US7231529B2 (en) 2007-06-12
KR20050005339A (ko) 2005-01-13
CN1287253C (zh) 2006-11-29
CN1577216A (zh) 2005-02-09
EP1494107A3 (en) 2007-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75573B1 (ko) 휴대용 컴퓨터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10884689B2 (en) State-based auxiliary display operation
RU2400802C2 (ru) Способ и система для обмена данными между компьютерными системами и вспомогательными дисплеями
EP2244157B1 (en) Terminal with standby state originating call on entry into normal working state
RU2406119C2 (ru) Расширяемая архитектура для вспомогательных дисплеев
TWI397302B (zh) 可攜式電子裝置與行動通訊裝置的組合
EP2000883A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20070130268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US7321975B2 (en)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supply to function modules selectively based on function modules necessary for predetermined program execution in mobile device
JP2007280115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制御方法
EP1519264A2 (en) Electronic apparatus that allows speaker volume control based on surrounding sound volume and method of speaker volume control
JP2007279438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制御方法
JP2005062537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録媒体
KR200290277Y1 (ko) 리모콘 제어 파워포인트 기능과 빔프로젝트 연결 기능이있는 개인 휴대 단말기
KR100548151B1 (ko) 원격제어가 용이한 휴대용 디스플레이장치의 입력장치
KR20030042877A (ko) 적외선 데이터통신을 이용한 데이터백업방법과 이를구현한 휴대용 백업장치
KR20100004208A (ko) 단말 및 그의 db 동기화 방법
JPH10254585A (ja) 電子機器
JP2003281057A (ja) 電子メール端末装置
JP2004038612A (ja) 携帯型情報システム
JP2001109685A (ja) 携帯機器操作装置
KR20050080353A (ko) 데이터 단말기의 컴퓨터 무선모뎀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5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30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0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