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4695B1 - 파장분할다중 광통신망을 위한 양방향 광 분기/결합다중화기 - Google Patents

파장분할다중 광통신망을 위한 양방향 광 분기/결합다중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4695B1
KR100474695B1 KR10-2003-0029891A KR20030029891A KR100474695B1 KR 100474695 B1 KR100474695 B1 KR 100474695B1 KR 20030029891 A KR20030029891 A KR 20030029891A KR 100474695 B1 KR100474695 B1 KR 1004746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
wavelength division
optical
path
waveleng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298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97559A (ko
Inventor
김종권
이기철
황성택
고준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298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4695B1/ko
Priority to US10/754,030 priority patent/US7277639B2/en
Priority to CNA2004100068161A priority patent/CN1551548A/zh
Publication of KR200400975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75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46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469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26Optical coupling means
    • G02B6/28Optical coupling means having data bus means, i.e. plural waveguides interconnected and providing an inherently bidirectional system by mixing and splitting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4/00Optical multiplex systems
    • H04J14/02Wavelength-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14/0201Add-and-drop multiplexing
    • H04J14/0202Arrangements therefor
    • H04J14/0213Groups of channels or wave bands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4/00Optical multiplex systems
    • H04J14/02Wavelength-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14/0201Add-and-drop multiplexing
    • H04J14/0202Arrangements therefor
    • H04J14/021Reconfigurable arrangements, e.g. reconfigurable optical add/drop multiplexers [ROADM] or tunable optical add/drop multiplexers [TOADM]
    • H04J14/0212Reconfigurable arrangements, e.g. reconfigurable optical add/drop multiplexers [ROADM] or tunable optical add/drop multiplexers [TOADM] using optical switches or wavelength selective switches [W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4/00Optical multiplex systems
    • H04J14/02Wavelength-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14/0201Add-and-drop multiplexing
    • H04J14/0215Architecture aspects
    • H04J14/0216Bidirectional architectures

Abstract

본 발명에 따라 파장분할다중 광통신망 내에서 다중화된 광신호의 전송을 위한 광섬유에 연결되며, 상기 광신호에 대한 채널 분기 또는 결합을 수행하기 위한 양방향 광 분기/결합 다중화기는, 순방향 또는 역방향 광신호의 통로가 되는 다중화 포트와, 각각 역다중화된 채널의 통로가 되는 다수의 역다중화 포트를 구비하는 제1 파장분할 다중화기와; 각각 기설정된 채널의 결합 또는 분기를 수행하며, 상기 제1 파장분할 다중화기의 역다중화 포트들과 일대일 연결된 다수의 분기/결합부와; 상기 다수의 분기/결합부와 일대일 연결되며 각각 역다중화된 채널의 통로가 되는 다수의 역다중화 포트와, 상기 순방향 또는 역방향 광신호의 통로가 되는 다중화 포트를 구비하는 제2 파장분할 다중화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파장분할 다중화기는 동일한 자유 스펙트럼 영역을 가지며, 상기 순방향 광신호의 파장 대역은 한 주기의 자유 스펙트럼 영역에 포함되고, 상기 역방향 광신호의 파장 대역은 다른 한 주기의 자유 스펙트럼 영역에 포함된다.

Description

파장분할다중 광통신망을 위한 양방향 광 분기/결합 다중화기{BIDIRECTOINAL OPTICAL ADD/DROP MULTIPLEXER FOR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 OPTICAL NETWORKS}
본 발명은 파장분할다중 광통신망(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 optical network: WDM optical network)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상기 광통신망 내에서 순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진행하는 다중화된 광신호에 대하여 채널 결합 또는 분기(channel add/drop)를 수행하기 위한 양방향 광 분기/결합 다중화기(bidirectional optical add/drop multiplexer)에 관한 것이다.
최근 단심 광섬유(optical fiber)를 통해 서로 다른 파장을 갖는 다수의 채널을 전송하는 파장분할다중 기술이 실용화됨에 따라 초고속 대용량의 광신호 전송이 가능하게 되었다. 뿐만 아니라, 광 소자 기술의 발달로 인해 광학적으로 광신호의 경로를 설정 또는 스위칭(switching)하거나 광신호를 분기 또는 결합하는 일이 가능해짐으로써, 파장분할다중 기술에 기반한 광통신망의 구축이 가능하게 되었다.
통상적으로 광 애드/드롭 다중화기는 한 쌍의 파장분할 다중화기와, 다수의 광 스위치(optical switch)를 포함한다. 파장분할 다중화기로는 채널의 확장이 용이하고, 제어가 간단하며, 집적도(integration)가 우수한 배열 도파로형 격자(arrayed-waveguide grating: AWG)가 많이 사용된다. 광 스위치로는 2x2 광 공간 스위치 (space switch)나 파장 의존성을 갖는 광섬유 브래그 격자(optical fiber Bragg grating: FBG)가 많이 사용된다.
도 1은 종래에 따른 양방향 광 분기/결합 다중화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광분기/결합 다중화기(100)는 제1 및 제2 써큘레이터(circulator: CIR, 120,130)와, 8×8 배열 도파로형 격자(150)와, 제1 내지 제6 광 스위치(141~146)와, 제1 및 제2 광 대역 통과 필터(optical band pass filter: OBPF, 160,17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 써큘레이터, 배열 도파로형 격자, 제1 내지 제6 광 스위치는 각각 다수의 포트를 포함하는데, 해당 소자의 참조 부호가 "###"라고 한다면, 상기 소자의 제n(또는 n') 포트는 "n"(또는 "n'")의 참조 부호로서 도시함과 더불어 "###n"(또는 "###n'")으로 표기하기로 한다. 이 때, n은 자연수이다.
상기 제1 써큘레이터(120)는 그 상위 포트에 입력된 광신호를 그 인접한 하위 포트로 출력하도록 구성된 제1 내지 제3 포트(1201~1203)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써큘레이터(120)는 제2 포트(1202)에 입력된 순방향 광신호를 제3 포트(1203)로 출력하고, 제1 포트(1201)로 입력된 역방향 광신호를 제2 포트(1202)로 출력한다. 상기 제1 써큘레이터(120)의 제2 포트(1202)는 다중화된 광신호의 전송을 위한 광섬유(110)와 연결된다. 상기 순방향 광신호는 서로 다른 파장을 갖는 제1 내지 제3 채널(λ1~λ3)을 포함하며, 상기 역방향 광신호는 서로 다른 파장을 갖는 제5 내지 제7 채널(λ5~λ7)을 포함한다.
상기 제2 써큘레이터(130)는 그 상위 포트에 입력된 광신호를 그 인접한 하위 포트로 출력하도록 구성된 제1 내지 제3 포트(1301~1303)를 구비하며, 상기 제2 써큘레이터(130)는 제2 포트(1302)에 입력된 역방향 광신호를 제3 포트(1303)로 출력하고, 제1 포트(1301)로 입력된 순방향 광신호를 제2 포트(1302)로 출력한다. 상기 제2 써큘레이터(130)의 제2 포트(1302)는 다중화된 광신호의 전송을 위한 광섬유(110)와 연결된다.
상기 배열 도파로형 격자(150)는 그 일단에 제1 내지 제8 포트(1501~1508)를 구비하며, 그 타단에 제1' 내지 제8' 포트(1501'~1508')를 구비한다. 상기 제4, 8, 4' 및 8' 포트(1504,1508,1504',1508')는 각각 다중화된 광신호의 통로가 되고, 제1 내지 제3 포트(1501~1503), 제5 내지 제7 포트(1505~1507), 제1' 내지 제3' 포트(1501'~1503') 및 제5' 내지 제7' 포트(1505'~1507')는 각각 역다중화된 채널의 통로가 된다. 상기 배열 도파로형 격자(150)의 제4 포트(1504)는 상기 제1 써큘레이터(120)의 제3 포트(1203)와 연결되고, 제4' 포트(1504')는 상기 제2 써큘레이터(130)의 제3 포트(1303)와 연결된다. 상기 배열 도파로형 격자(150)는 제4 포트(1504)에 입력된 순방향 광신호를 파장분할 역다중화한 후 역다중화된 제1 내지 제3 채널(λ1~λ3)을 제1' 내지 제3' 포트(1501'~1503')로 출력하고, 제5' 내지 제7' 포트(1505'~1507')에 입력된 제1 내지 제3 채널(λ1~λ3)을 파장분할다중화한 후 다중화된 순방향 광신호를 제8 포트(1508)로 출력한다. 또한, 상기 배열 도파로형 격자(150)는 제4' 포트(1504')에 입력된 역방향 광신호를 파장분할 역다중화한 후 역다중화된 제5 내지 제7 채널(λ5~λ7)을 제5 내지 제7 포트(1505~1507)로 출력하고, 제1 내지 제3 포트(1501~1503)에 입력된 제5 내지 제7 채널(λ5~λ7)을 파장분할다중화한 후 다중화된 역방향 광신호를 제8' 포트(1508')로 출력한다.
상기 제1 내지 제6 광 스위치(141~146)는 각각 그 일측에 배치된 제1 및 제2 포트(1411,1412; 1421,1422; 1431,1432; 1441,1442; 1451,1452; 1461,1462)와 그 타측에 배치된 제3 및 제4 포트(1413,1414; 1423,1424; 1433,1434; 1443,1444; 1453,1454; 1463,1464)를 구비하며, 바(bar) 상태에서는 제1 및 제3 포트(1411,1413; 1421,1423; 1431,1433; 1441,1443; 1451,1453; 1461,1463)가 서로 연결되고, 제2 및 제4 포트(1412,1414; 1422,1424; 1432,1434; 1442,1444; 1452,1454; 1462,1464)가 서로 연결된다. 크로스(cross) 상태에서는 제1 및 제4 포트(1411,1414; 1421,1424; 1431,1434; 1441,1444; 1451,1454; 1461,1464)가 서로 연결되고, 제2 및 제3 포트(1412,1413; 1422,1423; 1432,1433; 1442,1443; 1452,1453; 1462,1463)가 서로 연결된다. 상기 제1 광 스위치(141)는 상기 배열 도파로형 격자(150)의 제1' 및 제5' 포트(1501',1505')와 연결되며, 상기 제2 광 스위치(142)는 상기 배열 도파로형 격자(150)의 제2' 및 제6' 포트(1502',1506')와 연결되고, 상기 제3 광 스위치(143)는 상기 배열 도파로형 격자(150)의 제3' 및 제7' 포트(1503',1507')와 연결된다. 상기 제4 광 스위치(144)는 상기 배열 도파로형 격자(150)의 제1 및 제5 포트(1501,1505)와 연결되며, 상기 제5 광 스위치(145)는 상기 배열 도파로형 격자(150)의 제2 및 제6 포트(1502,1506)와 연결되고, 상기 제6 광 스위치(146)는 상기 배열 도파로형 격자(150)의 제3 및 제7 포트(1503,1507)와 연결된다.
상기 제1 광 대역 통과 필터(160)는 잡음을 제거하기 위하여 상기 순방향 광신호의 파장 대역을 포함하는 기설정된 파장 통과 대역을 가지며, 상기 배열 도파로형 격자(150)의 제8 포트(1508)와 상기 제2 써큘레이터(130)의 제1 포트(1301)와 연결된다.
상기 제2 광 대역 통과 필터(170)는 잡음을 제거하기 위하여 상기 역방향 광신호의 파장 대역을 포함하는 기설정된 파장 통과 대역을 가지며, 상기 배열 도파로형 격자(150)의 제8' 포트(1508')와 상기 제1 써큘레이터(120)의 제1 포트(1201)와 연결된다.
상기 광 분기/결합 다중화기(100)가 제1 내지 제3 채널(λ1~λ3)을 포함하는 순방향 광신호에서 제1 채널(λ1)을 분기시키는 제1 경우와, 제6 및 제7 채널(λ6,λ7)을 포함하는 역방향 광신호에 제5 채널(λ5)을 결합시키는 제2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하기하는 바와 같다.
제어부(미도시)는 제1 및 제4 광 스위치(141,144)를 크로스 상태로, 나머지 광 스위치(142~143,145,146)를 바 상태로 제어한다. 먼저 제1 경우를 보면, 상기 제1 써큘레이터(120)의 제2 포트(1202)에 입력된 순방향 광신호는 제3 포트(1203)로 출력되고, 상기 배열 도파로형 격자(150)는 제4 포트(1504)에 입력된 상기 순방향 광신호를 파장분할 역다중화하며, 역다중화된 제1 내지 제3 채널(λ1~λ3)을 제1' 내지 제3' 포트(1501'~1503')로 출력한다. 상기 제1 광 스위치(141)는 제2 포트(1412)에 입력된 상기 제1 채널(λ1)을 제3 포트(1413)로 출력함으로써 상기 제1 채널(λ1)을 분기시킨다. 상기 제2 및 제3 광 스위치(142,143)는 제2 포트들(1422,1432)에 입력된 제2 및 제3 채널(λ2,λ3)을 제4 포트들(1424,1434)로 출력한다. 상기 배열 도파로형 격자(150)는 제6' 및 제7' 포트(1506',1507')에 입력된 제2 및 제3 채널(λ2,λ3)을 파장분할 다중화한 후 다중화된 순방향 광신호를 제8 포트(1508)로 출력한다. 상기 제1 광 대역 통과 필터(160)를 통과한 순방향 광신호는 상기 제2 써큘레이터(130)의 제1 포트(1301)에 입력되며, 상기 제2 써큘레이터(130)는 제1 포트(1301)에 입력된 상기 순방향 광신호를 제2 포트(1302)로 출력한다.
다음으로 제2 경우를 보면, 상기 제2 써큘레이터(130)의 제2 포트(1302)에 입력된 역방향 광신호는 제3 포트(1303)로 출력되고, 상기 배열 도파로형 격자(150)는 제4' 포트(1504')에 입력된 상기 역방향 광신호를 파장분할 역다중화하며, 역다중화된 제6 및 제7 채널(λ6,λ7)을 제6 내지 제7 포트(1506,1507)로 출력한다. 상기 제4 광 스위치(144)는 제1 포트(1441)에 입력된 제5 채널(λ5)을 제4 포트(1444)로 출력하고, 상기 제5 및 제6 광 스위치(145,146)는 제2 포트들(1452,1462)에 입력된 제6 및 제7 채널(λ6,λ7)을 제4 포트들(1454,1464)로 출력한다. 상기 배열 도파로형 격자(150)는 제1 내지 제3 포트(1501~1503)에 입력된 제5 내지 제7 채널(λ5~λ7)을 파장분할 다중화한 후 다중화된 역방향 광신호를 제8' 포트(1508')로 출력한다. 상기 제2 광 대역 통과 필터(170)를 통과한 순방향 광신호는 상기 제1 써큘레이터(120)의 제1 포트(1201)에 입력되며, 상기 제1 써큘레이터(120)는 제1 포트(1201)에 입력된 상기 순방향 광신호를 제2 포트(1202)로 출력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n×n 배열 도파로형 격자를 이용한 양방향 광 분기/결합 다중화기는 각 측면의 (n-2) 개의 포트들을 2 개씩 서로 연결하는 폴드백(fold-back) 형태를 취하고, 각 측면의 2 개의 포트들은 다중화된 광신호의 통로로 사용함으로써, 실제 처리 가능한 채널의 수는 (n-2) 개로 제한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에 비하여 처리 가능한 채널의 수를 확장할 수 있는 파장분할다중 광통신망을 위한 양방향 광 분기/결합 다중화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라 파장분할다중 광통신망 내에서 다중화된 광신호의 전송을 위한 광섬유에 연결되며, 상기 광신호에 대한 채널 분기 또는 결합을 수행하기 위한 양방향 광 분기/결합 다중화기는, 순방향 또는 역방향 광신호의 통로가 되는 다중화 포트와, 각각 역다중화된 채널의 통로가 되는 다수의 역다중화 포트를 구비하는 제1 파장분할 다중화기와; 각각 기설정된 채널의 결합 또는 분기를 수행하며, 상기 제1 파장분할 다중화기의 역다중화 포트들과 일대일 연결된 다수의 분기/결합부와; 상기 다수의 분기/결합부와 일대일 연결되며 각각 역다중화된 채널의 통로가 되는 다수의 역다중화 포트와, 상기 순방향 또는 역방향 광신호의 통로가 되는 다중화 포트를 구비하는 제2 파장분할 다중화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파장분할 다중화기는 동일한 자유 스펙트럼 영역을 가지며, 상기 순방향 광신호의 파장 대역은 한 주기의 자유 스펙트럼 영역에 포함되고, 상기 역방향 광신호의 파장 대역은 다른 한 주기의 자유 스펙트럼 영역에 포함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광 분기/결합 다중화기 또는 광 분기/결합부는 다수의 포트를 구비하는 소자를 포함하는데, 해당 소자의 참조 부호가 "###"라고 한다면, 상기 소자의 제n 포트는 "n"의 참조 부호로서 도시함과 더불어 "###n"으로 표기하기로 한다. 이 때, n은 자연수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파장분할다중 광통신망을 위한 양방향 광 분기/결합 다중화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양방향 광 분기/결합 다중화기에서 사용되는 파장 대역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광 분기/결합 다중화기(200)는 제1 및 제2 파장분할 다중화기(wavelength division multiplexer: WDM, 220,260)와, 상기 제1 및 제2 파장분할 다중화기(220,260)의 사이에 연결된 제1 내지 제n 광 분기/결합부(add/drop part: ADP, 230~25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파장분할 다중화기(220)는 다중화된 광신호 전송을 위한 광섬유(210)와 연결되는 제1 다중화 포트(multiplexing port: MP, 221)와, 각각 역다중화된 채널의 통로가 되는 제11 내지 제1n 역다중화 포트(demultiplexing port: DP, 222~224)를 구비한다. 상기 제1 파장분할 다중화기(220)는 제1 다중화 포트(221)에 입력된 다중화된 순방향 광신호를 파장 분할 역다중화하며, 역다중화된 각 채널을 해당 파장에 대응하는 역다중화 포트(222~224)로 출력한다. 역으로, 상기 제1 파장분할 다중화기(220)는 상기 제11 내지 제1n 역다중화 포트(222~224)에 입력된 채널들을 파장분할 다중화하며, 다중화된 역방향 광신호를 제1 다중화 포트(221)로 출력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파장분할 다중화기(220)는 제2 채널(λ2)을 제12 역다중화 포트(223)로 출력하고, 제n 채널(λn)을 제1n 역다중화 포트(224)로 출력한다. 이 때, 상기 순방향 광신호는 제1 내지 제n 채널(λ1~λn)을 포함하며, 상기 역방향 광신호는 제(n+1) 내지 제2n 채널(λ(n+1)~λ2n)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 파장분할 다중화기(220,260)는 각각 그 통과 파장 대역이 주기적으로 반복되는데, 한 주기의 통과 파장 대역을 자유 스펙트럼 영역(free spectral range: FSR)이라고 칭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1 및 제2 파장분할 다중화기(220,260) 각각이 갖는 한 주기의 자유 스펙트럼 영역(310)은 상기 순방향 광신호의 파장 대역(320)을 포함하고, 다른 한 주기의 자유 스펙트럼 영역(310)은 상기 역방향 광신호의 파장 대역(330)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 파장분할 다중화기(220,260)로서는 채널의 확장이 용이하고, 제어가 간단하며, 집적도(integration)가 우수한 배열 도파로형 격자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n 분기/결합부(230)는 상기 제1 파장분할 다중화기(320)의 제11 내지 제1n 역다중화 포트(322~324)와 일대일 연결되며, 각각 한 쌍의 결합기(coupler: C, 232,234; 242,244; 252,254)와 한 쌍의 광 스위치(optical switch: SW, 236,238; 246,248; 256,258)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내지 제n 분기/결합부(230~250)는 모두 동일한 구성을 가지므로, 이하 상기 제1 분기/결합부(250)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1 분기/결합부(230)의 제11 결합기(232)는 제1 내지 제3 포트(2321~2323)를 포함하며, 제1 포트(2321)는 상기 제1 파장분할 다중화기(220)의 제11 역다중화 포트(222)와 연결된다. 상기 제11 결합기(232)의 제2 포트(2322)는 제11 광 스위치(236)의 제2 포트(2362)와 연결되고, 제3 포트(2323)는 제12 광 스위치(238)의 제4 포트(2384)와 연결된다. 상기 제11 결합기(232)는 제1 포트(2321)에 입력된 제1 채널(λ1)을 제2 포트(2322)로 출력하고, 제3 포트(2323)에 입력된 제(n+1) 채널(λ(n+1))을 제1 포트(2321)로 출력한다.
상기 제1 분기/결합부(230)의 제11 광 스위치(236)는 그 일측에 배치된 제1 및 제2 포트(2361,2362)와 그 타측에 배치된 제3 및 제4 포트(2363,2364)를 구비하며, 바(bar) 상태에서 제1 및 제3 포트(2361,2363)가 서로 연결되고, 제2 및 제4 포트(2362,2364)가 서로 연결된다. 상기 제11 광 스위치(236)는 크로스(cross) 상태에서 제1 및 제4 포트(2361,2364)가 서로 연결되고, 제2 및 제3 포트(2362,2363)가 서로 연결된다. 제11 광 스위치(236)의 제2 포트(2362)는 상기 제11 결합기(232)의 제2 포트(2322)와 연결되고, 제4 포트(2364)는 상기 제12 결합기(234)의 제3 포트(2342)와 연결된다. 상기 제11 광스위치(236)는 크로스 상태에서 제2 포트(2362)에 입력된 제1 채널(λ1)을 제3 포트(2363)로 출력함으로써 상기 제1 채널(λ1)을 상기 순방향 광신호에 결합시키고, 제2 포트(2362)에 입력된 제1 채널(λ1)을 제3 포트(2363)로 출력함으로써 상기 제1 채널(λ1)을 분기시킨다. 상기 제11 광스위치(236)는 바 상태에서 제2 포트(2362)에 입력된 제1 채널(λ1)을 제4 포트(2364)로 출력함으로써 상기 제1 채널(λ1)을 그대로 통과시킨다.
상기 제1 분기/결합부(230)의 제12 광 스위치(238)는 그 일측에 배치된 제1 및 제2 포트(2381,2382)와 그 타측에 배치된 제3 및 제4 포트(2383,2384)를 구비하며, 바(bar) 상태에서 제1 및 제3 포트(2381,2383)가 서로 연결되고, 제2 및 제4 포트(2382,2384)가 서로 연결된다. 상기 제12 광 스위치(238)는 크로스(cross) 상태에서 제1 및 제4 포트(23811,2384)가 서로 연결되고, 제2 및 제3 포트(2382,2383)가 서로 연결된다. 제12 광 스위치(238)의 제2 포트(2382)는 상기 제12 결합기(234)의 제2 포트(2342)와 연결되고, 제4 포트(2384)는 상기 제11 결합기(232)의 제3 포트(2323)와 연결된다. 상기 제12 광스위치(238)는 크로스 상태에서 제1 포트(2381)에 입력된 제(n+1) 채널(λ(n+1))을 제4 포트(2384)로 출력함으로써 상기 제(n+1) 채널(λ(n+1))을 상기 역방향 광신호에 결합시키고, 제2 포트(2382)에 입력된 제(n+1) 채널(λ(n+1))을 제3 포트(2383)로 출력함으로써 상기 제(n+1) 채널(λ(n+1))을 분기시킨다. 상기 제12 광스위치(238)는 바 상태에서 제2 포트(2382)에 입력된 제(n+1) 채널(λ(n+1))을 제4 포트(2384)로 출력함으로써 상기 제(n+1) 채널(λ(n+1))을 그대로 통과시킨다.
상기 제1 분기/결합부(230)의 제12 결합기(234)는 제1 내지 제3 포트(2341~2343)를 포함하며, 제1 포트(2341)는 상기 제2 파장분할 다중화기(260)의 제21 역다중화 포트(262)와 연결된다. 상기 제12 결합기(234)의 제3 포트(2343)는 제11 광 스위치(236)의 제4 포트(2364)와 연결되고, 제2 포트(2342)는 제12 광 스위치(238)의 제2 포트(2382)와 연결된다. 상기 제12 결합기(234)는 제3 포트(2343)에 입력된 제1 채널(λ1)을 제1 포트(2341)로 출력하고, 제1 포트(2341)에 입력된 제(n+1) 채널(λ(n+1))을 제2 포트(2342)로 출력한다.
상기 제2 파장분할 다중화기(260)는 상기 광섬유(210)와 연결되는 제2 다중화 포트(261)와, 각각 역다중화된 채널의 통로가 되는 제21 내지 제2n 역다중화 포트(262~264)를 구비한다. 상기 제2 파장분할 다중화기(260)는 상기 제21 내지 제2n 역다중화 포트(262~264)에 입력된 다수의 채널을 파장분할 다중화하며, 다중화된 광신호를 제2 다중화 포트(261)로 출력한다.
상기 광 분기/결합 다중화기(200)가 제1 내지 제n 채널(λ1~λn)을 포함하는 순방향 광신호에서 제1 채널(λ1)을 제거하는 제1 경우와, 상기 제(n+1) 내지 제(2n-1) 채널을 포함하는 역방향 광신호에 제2n 채널(λ2n)을 추가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하기하는 바와 같다.
제어부(미도시)는 제11 광 스위치(236)와 제n2 광 스위치(258)를 크로스 상태로, 나머지 광 스위치를 바 상태로 제어한다. 먼저 제1 경우를 설명하면, 상기 제1 파장분할 다중화기(220)는 제1 다중화 포트(221)에 입력된 순방향 광신호를 파장분할 역다중화하며, 역다중화된 제1 내지 제n 채널(λ1~λn)을 제11 내지 제1n 역다중화 포트(222~224)로 출력한다. 상기 제1 분기/결합부(230)의 제11 결합기(232)는 제1 포트(2321)에 입력된 상기 제1 채널(λ1)을 제2 포트(2322)로 출력한다. 상기 제11 광 스위치(236)는 제2 포트(2362)에 입력된 상기 제1 채널(λ1)을 제3 포트(2363)로 출력함으로써, 상기 제1 채널(λ1)을 분기시킨다. 상기 제2 내지 제n 분기/결합부(240,250)는 입력된 제2 내지 제n 채널(λ2~λn)을 그대로 통과시키고, 상기 제2 파장분할 다중화기(260)는 제22 내지 제2n 역다중화 포트(263,264)에 입력된 제2 내지 제n 채널(λ2~λn)을 파장분할 다중화하며, 다중화된 광신호를 제2 다중화 포트(261)로 출력한다.
다음으로 제2 경우를 설명하면, 상기 제2 파장분할 다중화기(260)는 제2 다중화 포트(261)에 입력된 역방향 광신호를 파장분할 역다중화하며, 역다중화된 제(n+1) 내지 제(2n-1) 채널(λ(n+1)~λ(2n-1))을 제21 내지 제(2n-1) 역다중화 포트로 출력한다. 상기 제n 분기/결합부(250)의 제n2 광 스위치(258)는 제1 포트(2581)에 입력된 제2n 채널(λ2n)을 제4 포트(2584)로 출력하고, 상기 제n1 결합기(252)는 제3 포트(2523)에 입력된 상기 제2n 채널(λ2n)을 제1 포트(2521)로 출력한다. 상기 제1 내지 제(n-1) 분기/결합부(240,250)는 입력된 제1 내지 제(n-1) 채널(λ1~λ(n-1))을 그대로 통과시키고, 상기 제1 파장분할 다중화기(220)는 제21 내지 제2n 역다중화 포트(222~224)에 입력된 제(n+1) 내지 제2n 채널(λ(n+1)~λ2n)을 파장분할 다중화하며, 다중화된 광신호를 제1 다중화 포트(221)로 출력한다.
이하, 도 2에 도시된 양방향 광 분기/결합 다중화기(200)에 적용될 수 있는 제n 분기/결합부를 다수의 실시예들로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n 분기/결합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제n 분기/결합부(400)는 제n1 및 제n2 파장분할다중 필터(WDM filter: WDM FT, 410,420)와, 제n1 및 n2 광 스위치(430,440)를 포함한다. 이하,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제n1 및 제n2 파장분할다중 필터(410,420)는 각각 제1 내지 제3 포트(4101~4103; 4201~4203)를 포함하며, 제1 포트(4101,4201)를 통해 입력된 제n 및 제2n 채널(λn,λ2n)을 파장에 따라 공간적으로 분리하여 제2 및 제3 포트(4102,4103; 4202,4203)로 출력한다. 상기 제n1 및 제n2 파장분할다중 필터(410,420) 각각의 제2 및 제3 포트(4102,4103; 4202,4203)에 각각 할당될 수 있는 파장의 대역폭이 크며, 경제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상기 제n 분기 결합부(400)가 제n 채널(λn)을 분기시킨 후 새로운 제n 채널(λn)을 결합하는 제1 과정과, 제2n 채널(λ2n)을 분기시킨 후 새로운 제2n 채널(λ2n)을 결합하는 제2 과정을 예로 들어 설명하면 하기하는 바와 같다.
제어부(미도시)는 제n1 광 스위치(430)와 제n2 광 스위치(440)를 크로스 상태로 제어한다. 먼저 제1 경우를 설명하면, 상기 제n1 파장분할다중 필터(410)는 제1 포트(4101)에 입력된 제n 채널(λn)을 제2 포트(4102)로 출력한다. 상기 제n1 광 스위치(430)는 제2 포트(4302)에 입력된 상기 제n 채널(λn)을 제3 포트(4303)로 출력함으로써, 상기 제n 채널(λn)을 분기시킨다. 그리고, 상기 제n1 광 스위치(430)는 제1 포트(4301)에 입력된 제n 채널을 제4 포트(4304)로 출력하고, 상기 제n2 파장분할다중 필터(420)는 제3 포트(4203)에 입력된 상기 제n 채널(λn)을 제1 포트(4201)로 출력한다.
다음으로 제2 경우를 설명하면, 상기 제n2 파장분할다중 필터(420)는 제1 포트(4201)에 입력된 제2n 채널(λ2n)을 제2 포트(4202)로 출력한다. 상기 제2n 광 스위치(440)는 제2 포트(4402)에 입력된 상기 제2n 채널(λ2n)을 제3 포트(4403)로 출력함으로써, 상기 제2n 채널(λ2n)을 분기시킨다. 그리고, 상기 제n2 광 스위치(440)는 제1 포트(4401)에 입력된 제2n 채널(λ2n)을 제4 포트(4404)로 출력하고, 상기 제n1 파장분할다중 필터(410)는 제3 포트(4103)에 입력된 상기 제2n 채널(λ2n)을 제1 포트(4201)로 출력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제n 분기/결합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제n 분기/결합부(500)는 제n1 및 제n2 써큘레이터(510,520)와, 제n1 및 n2 광 스위치(530,540)를 포함한다. 이하,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제n1 및 제n2 써큘레이터(510,520)는 각각 제1 내지 제3 포트(5101~5103; 5201~5203)를 포함하며, 각각 그 상위 포트에 입력된 제n 또는 제2n 채널(λ2n)을 그 인접한 하위 포트로 출력한다. 상기 제n1 및 제n2 써큘레이터(510,520)는 파장 무의존성 소자들이기 때문에, 호환성이 보장된다는 이점이 있다.
상기 제n 분기 결합부(500)가 제n 채널(λn)을 분기시킨 후 새로운 제n 채널(λn)을 결합하는 제1 과정과, 제2n 채널(λ2n)을 분기시킨 후 새로운 제2n 채널(λ2n)을 결합하는 제2 과정을 예로 들어 설명하면 하기하는 바와 같다.
제어부(미도시)는 제n1 광 스위치(530)와 제n2 광 스위치(540)를 크로스 상태로 제어한다. 먼저 제1 경우를 설명하면, 상기 제n1 써큘레이터(510)는 제1 포트(5101)에 입력된 제n 채널(λn)을 제2 포트(5102)로 출력한다. 상기 제n1 광 스위치(530)는 제2 포트(5302)에 입력된 상기 제n 채널(λn)을 제3 포트(5303)로 출력함으로써, 상기 제n 채널(λn)을 분기시킨다. 그리고, 상기 제n1 광 스위치(530)는 제1 포트(5301)에 입력된 제n 채널(λn)을 제4 포트(5304)로 출력하고, 상기 제n2 써큘레이터(520)는 제3 포트(5203)에 입력된 상기 제n 채널(λn)을 제1 포트(5201)로 출력한다.
다음으로 제2 경우를 설명하면, 상기 제n2 써큘레이터(520)는 제1 포트(5201)에 입력된 제2n 채널(λ2n)을 제2 포트(5202)로 출력한다. 상기 제n2 광 스위치(540)는 제2 포트(5402)에 입력된 상기 제2n 채널(λ2n)을 제3 포트(5403)로 출력함으로써, 상기 제2n 채널(λ2n)을 분기시킨다. 그리고, 상기 제n2 광 스위치(540)는 제1 포트(5401)에 입력된 제2n 채널(λ2n)을 제4 포트(5404)로 출력하고, 상기 제n1 써큘레이터(510)는 제3 포트(5103)에 입력된 상기 제2n 채널(λ2n)을 제1 포트(5101)로 출력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제n 분기/결합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제n 분기/결합부(600)는 제n1 파장분할다중 필터(610)와, 제n2 써큘레이터(620)와, 제n1 및 n2 광 스위치(630,640)를 포함한다. 도 6에 개시된 구성은 양방향 광 분기/결합 다중화기의 내부, 또는 이와 연결된 광증폭기의 내부, 또는 그 둘 사이의 연결부에서 발생하는 반사광, 자발 방출광(amplified spentaneous emission: ASE) 등으로 이루어진 상대강도잡음(relative intensity noise: RIN)으로 인한 누화(cross-talk)를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제n 분기 결합부(600)가 외부에서의 반사에 의해 재입력된 제n 채널(λn)을 제거하는 제1 과정과, 외부에서의 반사에 의해 재입력된 제2n 채널(λ2n)을 제거하는 제2 과정을 예로 들어 설명하면 하기하는 바와 같다.
제어부(미도시)는 제n1 광 스위치(630)와 제n2 광 스위치(640)를 바 상태로 제어한다. 먼저 제1 경우를 설명하면, 상기 제n1 파장분할다중 필터(610)는 제1 포트(6101)에 입력된 제n 채널(λn)을 제2 포트(6102)로 출력한다. 상기 제n1 광 스위치(630)는 제2 포트(6302)에 입력된 상기 제n 채널(λ2)을 제4 포트(6304)로 출력하고, 상기 제n2 써큘레이터(620)는 제3 포트(6203)에 입력된 상기 제n 채널(λn)을 제1 포트(6201)로 출력한다. 외부에서의 반사에 의해 상기 제n2 써큘레이터(620)의 제1 포트(6201)에 재입력된 상기 제n 채널(λn)은 제2 포트(6202)로 출력되고, 상기 제n2 광 스위치(640)는 제2 포트(6402)에 입력된 제n 채널(λn)을 제4 포트(6404)로 출력한다. 상기 제n1 파장분할다중 필터(610)의 제3 포트(6103)에 입력된 상기 제n 채널(λn)은 그 파장이 상기 제3 포트(6103)에 할당된 파장 대역을 벗어나므로 내부의 진행 경로를 찾지 못하고 소멸된다.
다음으로 제2 경우를 설명하면, 상기 제n2 써큘레이터(620)는 제1 포트(6201)에 입력된 제2n 채널(λ2n)을 제2 포트(6202)로 출력한다. 상기 제n2 광 스위치(640)는 제2 포트(6402)에 입력된 상기 제2n 채널(λ2n)을 제4 포트(6404)로 출력하고, 상기 제n1 파장분할다중 필터(610)는 제3 포트(6103)에 입력된 상기 제2n 채널(λ2n)을 제1 포트(6101)로 출력한다. 외부에서의 반사에 의해 상기 제n1 파장분할다중 필터(610)의 제1 포트(6101)에 재입력된 상기 제2n 채널(λ2n)은 제3 포트(6103)로 출력되고, 상기 제n2 광 스위치(640)는 제4 포트(6404)에 입력된 제2n 채널(λn2)을 제2 포트(6402)로 출력한다. 상기 제n2 써큘레이터(620)는 제2 포트(6202)에 입력된 상기 제2n 채널(λ2n)을 제3 포트(6203)로 출력한다. 상기 제n1 광 스위치(630)는 제4 포트(6304)에 입력된 상기 제2n 채널(λ2n)을 제2 포트(6302)로 출력하고, 상기 제n1 파장분할다중 필터(610)의 제2 포트(6102)에 입력된 상기 제2n 채널(λ2n)은 그 파장이 상기 제2 포트(6102)에 할당된 파장 대역을 벗어나므로 내부의 진행 경로를 찾지 못하고 소멸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제n 분기/결합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제n 분기/결합부(700)는 제n1 써큘레이터(710)와, 제n2 파장분할다중 필터(720)와, 제n1 및 n2 광 스위치(730,740)를 포함한다. 도 7에 개시된 구성은 양방향 광 분기/결합 다중화기의 내부, 또는 이와 연결된 광증폭기의 내부, 또는 그 둘 사이의 연결부에서 발생하는 반사광, 자발 방출광 등으로 이루어진 상대강도잡음으로 인한 누화를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제n 분기 결합부(700)가 외부에서의 반사에 의해 재입력된 제n 채널(λn)을 제거하는 제1 과정과, 외부에서의 반사에 의해 재입력된 제2n 채널(λ2n)을 제거하는 제2 과정을 예로 들어 설명하면 하기하는 바와 같다.
제어부(미도시)는 제n1 광 스위치(730)와 제n2 광 스위치(740)를 바 상태로 제어한다. 먼저 제1 경우를 설명하면, 상기 제n1 써큘레이터(710)는 제1 포트(7101)에 입력된 제n 채널을 제2 포트(7102)로 출력한다. 상기 제n1 광 스위치(730)는 제2 포트(7302)에 입력된 상기 제n 채널(λn)을 제4 포트(7304)로 출력하고, 상기 제n2 파장분할다중 필터(720)는 제3 포트(7303)에 입력된 상기 제n 채널(λn)을 제1 포트(7201)로 출력한다. 외부에서의 반사에 의해 상기 제n2 파장분할다중 필터(720)의 제1 포트(7201)에 재입력된 상기 제n 채널(λn)은 제3 포트(7203)로 출력되고, 상기 제n1 광 스위치(730)는 제4 포트(7304)에 입력된 제n 채널(λn)을 제2 포트(7302)로 출력한다. 상기 제n1 써큘레이터(710)의 제2 포트(7102)에 입력된 상기 제n 채널(λn)은 제3 포트(7103)로 출력되고, 상기 제n2 광 스위치(740)는 제4 포트(7404)에 입력된 상기 제n 채널(λn)을 제2 포트(7402)로 출력한다. 상기 제 n2 파장분할다중 필터(720)의 제2 포트(7202)에 입력된 상기 제n 채널(λn)은 그 파장이 상기 제2 포트(7202)에 할당된 파장 대역을 벗어나므로 내부의 진행 경로를 찾지 못하고 소멸된다.
다음으로 제2 경우를 설명하면, 상기 제n2 파장분할다중 필터(720)는 제1 포트(7201)에 입력된 제2n 채널(λ2n)을 제2 포트(7202)로 출력한다. 상기 제n2 광 스위치(740)는 제2 포트(7402)에 입력된 상기 제2n 채널(λ2n)을 제4 포트(7404)로 출력하고, 상기 제n1 써큘레이터(710)는 제3 포트(7103)에 입력된 상기 제2n 채널(λ2n)을 제1 포트(7101)로 출력한다. 외부에서의 반사에 의해 상기 제n1 써큘레이터(710)의 제1 포트(7101)에 재입력된 상기 제2n 채널(λ2n)은 제2 포트(7102)로 출력되고, 상기 제n1 광 스위치(730)는 제2 포트(7302)에 입력된 제2n 채널(λ2n)을 제4 포트(7304)로 출력한다. 상기 제n2 파장분할다중 필터(720)의 제3 포트(7203)에 입력된 상기 제2n 채널(λ2n)은 그 파장이 상기 제3 포트(7203)에 할당된 파장 대역을 벗어나므로 내부의 진행 경로를 찾지 못하고 소멸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광 분기/결합 다중화기는 제1 및 제2 파장분할 다중화기 각각이 갖는 한 주기의 자유 스펙트럼 영역이 순방향 광신호의 파장 대역을 포함하고, 다른 한 주기의 자유 스펙트럼 영역이 역방향 광신호의 파장 대역을 포함하도록 함으로써, 종래에 비하여 처리 가능한 채널의 수를 확장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에 따른 양방향 광 분기/결합 다중화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파장분할다중 광통신망을 위한 양방향 광 분기/결합 다중화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양방향 광 분기/결합 다중화기에서 사용되는 파장 대역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n 분기/결합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제n 분기/결합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제n 분기/결합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제n 분기/결합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Claims (6)

  1. 파장분할다중 광통신망 내에서 다중화된 광신호의 전송을 위한 광섬유에 연결되며, 상기 광신호에 대한 채널 분기 또는 결합을 수행하기 위한 양방향 광 분기/결합 다중화기에 있어서,
    순방향 또는 역방향 광신호의 통로가 되는 다중화 포트와, 각각 역다중화된 채널의 통로가 되는 다수의 역다중화 포트를 구비하는 제1 파장분할 다중화기와;
    각각 기설정된 채널의 결합 또는 분기를 수행하며, 상기 제1 파장분할 다중화기의 역다중화 포트들과 일대일 연결된 다수의 분기/결합부와;
    상기 다수의 분기/결합부와 일대일 연결되며 각각 역다중화된 채널의 통로가 되는 다수의 역다중화 포트와, 상기 순방향 또는 역방향 광신호의 통로가 되는 다중화 포트를 구비하는 제2 파장분할 다중화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파장분할 다중화기는 동일한 자유 스펙트럼 영역을 가지며, 상기 순방향 광신호의 파장 대역은 한 주기의 자유 스펙트럼 영역에 포함되고, 상기 역방향 광신호의 파장 대역은 다른 한 주기의 자유 스펙트럼 영역에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파장분할다중 광통신망을 위한 양방향 광 분기/결합 다중화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기/결합부는,
    상기 제1 파장분할 다중화기의 해당 역다중화 포드와 연결된 제1 결합기와;
    상기 제2 파장분할 다중화기의 해당 역다중화 포드와 연결되며, 상기 제1 결합기와 함께 순방향으로 진행하는 해당 채널의 경로와 역방향으로 진행하는 해당 채널의 경로를 형성하는 제2 결합기와;
    순방향으로 진행하는 해당 채널의 경로 상에 배치되며, 해당 채널을 결합시키거나 분기시키는 제1 광 스위치와;
    역방향으로 진행하는 해당 채널의 경로 상에 배치되며, 해당 채널을 결합시키거나 분기시키는 제2 광 스위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파장분할다중 광통신망을 위한 양방향 광 분기/결합 다중화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기는 해당 역다중화 포트와 연결되는 제1 포트와, 상기 순방향으로 진행하는 해당 채널의 경로를 형성하기 위한 제2 포트와, 상기 역방향으로 진행하는 해당 채널의 경로를 형성하기 위한 제3 포트를 구비하는 파장 의존성 제1 파장분할다중 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결합기는 해당 역다중화 포트와 연결되는 제1 포트와, 상기 순방향으로 진행하는 해당 채널의 경로를 형성하기 위한 제3 포트와, 상기 역방향으로 진행하는 해당 채널의 경로를 형성하기 위한 제2 포트를 구비하는 파장 의존성 제2 파장분할다중 필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파장분할다중 광통신망을 위한 양방향 광 분기/결합 다중화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기는 해당 역다중화 포트와 연결되는 제1 포트와, 상기 순방향으로 진행하는 해당 채널의 경로를 형성하기 위한 제2 포트와, 상기 역방향으로 진행하는 해당 채널의 경로를 형성하기 위한 제3 포트를 구비하는 파장 무의존성 제1 써큘레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결합기는 해당 역다중화 포트와 연결되는 제1 포트와, 상기 순방향으로 진행하는 해당 채널의 경로를 형성하기 위한 제3 포트와, 상기 역방향으로 진행하는 해당 채널의 경로를 형성하기 위한 제2 포트를 구비하는 파장 무의존성 제2 써큘레이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파장분할다중 광통신망을 위한 양방향 광 분기/결합 다중화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기는 해당 역다중화 포트와 연결되는 제1 포트와, 상기 순방향으로 진행하는 해당 채널의 경로를 형성하기 위한 제2 포트와, 상기 역방향으로 진행하는 해당 채널의 경로를 형성하기 위한 제3 포트를 구비하는 파장 의존성 파장분할다중 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결합기는 해당 역다중화 포트와 연결되는 제1 포트와, 상기 순방향으로 진행하는 해당 채널의 경로를 형성하기 위한 제3 포트와, 상기 역방향으로 진행하는 해당 채널의 경로를 형성하기 위한 제2 포트를 구비하는 파장 무의존성 써큘레이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파장분할다중 광통신망을 위한 양방향 광 분기/결합 다중화기.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기는 해당 역다중화 포트와 연결되는 제1 포트와, 상기 순방향으로 진행하는 해당 채널의 경로를 형성하기 위한 제2 포트와, 상기 역방향으로 진행하는 해당 채널의 경로를 형성하기 위한 제3 포트를 구비하는 파장 무의존성 써큘레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결합기는 해당 역다중화 포트와 연결되는 제1 포트와, 상기 순방향으로 진행하는 해당 채널의 경로를 형성하기 위한 제3 포트와, 상기 역방향으로 진행하는 해당 채널의 경로를 형성하기 위한 제2 포트를 구비하는 파장 의존성 파장분할다중 필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파장분할다중 광통신망을 위한 양방향 광 분기/결합 다중화기.
KR10-2003-0029891A 2003-05-12 2003-05-12 파장분할다중 광통신망을 위한 양방향 광 분기/결합다중화기 KR1004746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9891A KR100474695B1 (ko) 2003-05-12 2003-05-12 파장분할다중 광통신망을 위한 양방향 광 분기/결합다중화기
US10/754,030 US7277639B2 (en) 2003-05-12 2004-01-08 Bi-directional optical add/drop multiplexer for WDM optical networks
CNA2004100068161A CN1551548A (zh) 2003-05-12 2004-02-24 用于波分复用光网络的双向光分插复用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9891A KR100474695B1 (ko) 2003-05-12 2003-05-12 파장분할다중 광통신망을 위한 양방향 광 분기/결합다중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7559A KR20040097559A (ko) 2004-11-18
KR100474695B1 true KR100474695B1 (ko) 2005-03-10

Family

ID=334116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9891A KR100474695B1 (ko) 2003-05-12 2003-05-12 파장분할다중 광통신망을 위한 양방향 광 분기/결합다중화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277639B2 (ko)
KR (1) KR100474695B1 (ko)
CN (1) CN1551548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6040B1 (ko) * 2006-05-19 2007-12-17 한국과학기술원 높은 스펙트럼 효율을 구비한 전송 포맷을 이용하여 고속광신호 전송이 가능한 파장 분할 다중방식 수동형 광가입자망
KR100870968B1 (ko) * 2007-03-26 2008-12-01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재구성 가능한 양방향 광 분기 및 결합 다중화기
AU2012262258B2 (en) * 2011-05-31 2015-11-26 Lightlab Imaging, Inc. Multimodal imaging system, apparatus, and methods
US8891971B1 (en) * 2012-06-20 2014-11-18 Google Inc. Signal quality in bi-directional optical links using optical circulators
ES2855574T3 (es) * 2014-05-14 2021-09-23 Deutsche Telekom Ag Construcción y funcionamiento de estructuras de redes jerárquicas ópticas modulares y transparentes utilizando AWG
US9608757B2 (en) * 2015-04-20 2017-03-28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Bi-directional optical transmission system with coherent detection
CN109802743B (zh) * 2017-11-17 2020-08-07 海思光电子有限公司 一种上下载滤波器和光分插复用器
WO2019191874A1 (zh) * 2018-04-02 2019-10-10 华为技术有限公司 光分插复用器及光信号传输方法
US20220286221A1 (en) * 2019-09-06 2022-09-0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Optical Node and Optical Transceiver for Auto Tuning of Operational Wavelength
US11888583B2 (en) * 2020-12-07 2024-01-30 Nec Corporation Integrated 3-way branching unit switch module having small footprint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1283372B1 (it) * 1996-07-31 1998-04-17 Pirelli Cavi S P A Ora Pirelli Dispositivo per l'inserimento e l'estrazione di segnali ottici
KR100366056B1 (ko) * 2000-08-12 2002-12-27 한국과학기술원 4단자 파장선택 광경로 설정기 및 그를 이용한 양방향 애드/드롭 장치
US7330659B2 (en) * 2001-03-02 2008-02-12 Lucent Technologies Inc. Wavelength filter that operates on sets of wavelength channels
US6307986B1 (en) * 2001-04-24 2001-10-23 Seneca Networks Protection switching in bidirectional WDM optical communication networks with transponders
IL143368A (en) * 2001-05-24 2006-07-05 Shlomo Orbach Multiply up and down optical signals
CN100459477C (zh) 2001-05-25 2009-02-04 北京邮电大学 支持端口——波长指配的光分插复用设备
CN1119680C (zh) 2001-06-01 2003-08-27 清华大学 单纤双向光分插复用模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277639B2 (en) 2007-10-02
US20040228630A1 (en) 2004-11-18
KR20040097559A (ko) 2004-11-18
CN1551548A (zh) 2004-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67323B2 (ja) 光パスネットワークの光終端装置
KR100422372B1 (ko) 채널 확장된 파장분할 다중기/역다중기 및 이를 이용한 파장 채널 선택기
JPH10164021A (ja) 波長多重通信用光回路及びこれを含む光伝送通信システム
KR100474695B1 (ko) 파장분할다중 광통신망을 위한 양방향 광 분기/결합다중화기
JP4278628B2 (ja) 光伝送システム
JP2003198485A (ja) クロスコネクト装置及び光通信システム
JP2004364027A (ja) 光アッドドロップ装置および方法
JPH10213710A (ja) 光波長フィルタ及び光デマルチプレクサ
KR100442663B1 (ko) 광 회선분배 시스템
JP4102392B2 (ja) 双方向光アッド−ドロップ多重化器
JP3480544B2 (ja) 波長多重通信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2000224108A (ja) 波長分割多重合分波装置
JPH11109147A (ja) アレイ導波路格子素子
US6400861B1 (en) Optical demultiplexer architecture
KR20040099921A (ko) 재구성 가능한 애드/드롭 모듈
JP2003315570A (ja) 光波長合分波器
JP2000147281A (ja) 光合分波器
KR100547780B1 (ko) 순환기와 반사기를 이용한 광 분기/결합기
JPH09153861A (ja) 波長多重通信方式用光海底ケーブル分岐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波長多重光海底ケーブルネットワーク
KR20040094223A (ko) 광 애드/드롭 다중화기
JP3555860B2 (ja) 光分波器及び波長変換装置
JP2000206362A (ja) 光ADM(Add/DropMultiplexing)ノ―ド装置
KR100687043B1 (ko) 재구성이 가능한 광 분기 및 결합장치
US20020145784A1 (en) Optical wavelength switching system with wavelength selective splitters and combiners
JP2002174741A (ja) 光合分波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3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