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0263B1 - Computer with illuminator for keyboard - Google Patents

Computer with illuminator for keyboar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0263B1
KR100470263B1 KR10-2001-7016318A KR20017016318A KR100470263B1 KR 100470263 B1 KR100470263 B1 KR 100470263B1 KR 20017016318 A KR20017016318 A KR 20017016318A KR 100470263 B1 KR100470263 B1 KR 1004702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d
keyboard
opening
computer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1631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20010721A (en
Inventor
다카하시도모유키
야마자키가즈히코
요시다시게루
나카자와유키후미
가와시마노무유키
Original Assignee
인터내셔널 비지네스 머신즈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1191780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1022470A/en
Application filed by 인터내셔널 비지네스 머신즈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인터내셔널 비지네스 머신즈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200107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072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02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0263B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62Details related to the integrated keyboar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Auxiliary Devices For Music (AREA)
  • Power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LED 홀더(150)가 LCD(109)의 윗 부분에 설치되고 LED가 LED 홀더(150) 내에 부착되는 휴대용 컴퓨터(100)를 제공한다. LED에서 방사되는 빛은 LED 홀더(150)의 밑 부분에 만들어진 개구부를 통과하여 키보드(103)를 조명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ortable computer 100 in which an LED holder 150 is install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LCD 109 and an LED is attached within the LED holder 150. The light emitted from the LED passes through an opening made at the bottom of the LED holder 150 to illuminate the keyboard 103.

Description

키보드용 조명기를 구비한 컴퓨터 {COMPUTER WITH ILLUMINATOR FOR KEYBOARD}Computer with Illuminator for Keyboard {COMPUTER WITH ILLUMINATOR FOR KEYBOARD}

휴대용 컴퓨터는 작고, 가볍기 때문에 휴대성이 뛰어나며, 배터리 충전기를 컴퓨터 내부에 장착함으로써 상업용 전원(commercial power source)과는 독립적으로 어떠한 장소에서도 사용 가능하다. 통상적으로, 휴대용 컴퓨터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키보드 및 포인팅 디바이스(pointing device)를 갖추고 있으며, 배터리의 소비 전력을 절약하기 위해 다수의 장치가 제작되었다. 최근 몇 년간 컴퓨터는 사무실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는 장소에서 널리 사용되어 왔기 때문에, 조명이 약한 환경, 예컨대 기차 또는 거실에서 컴퓨터를 사용하는 일이 더욱 더 증가하고 있다.Portable computers are small, lightweight, and portable, and can be used anywhere in a computer independent of a commercial power source by mounting a battery charger inside the computer. Typically, portable computers have liquid crystal displays (LCDs), keyboards and pointing devices, and a number of devices have been fabricated to save battery power consumption. In recent years, computers have been widely used in locations far away from offices, so the use of computers in poorly lit environments, such as trains or living rooms, is increasing.

컴퓨터를 사용하기 위해, 사용자는 LCD를 보면서 키보드와 포인팅 디바이스를 조작해야한다. 대부분의 LCD는 백 라이트(back light)를 갖추고 있기 때문에, 주위가 어두운 경우라도 사용자는 스크린을 볼 수 있다. 그러나, 키보드 및 포인팅 디바이스가 형광 도료 또는 형광 재료를 사용하지 않는 한 빛을 방사할 수 없으므로, 사용자는 어두운 곳에서 키 위치 또는 키 표면상의 스크립트(script)를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없다. 따라서, 키보드 및 포인팅 디바이스를 보지 않고 컴퓨터를 다룰 수 있는 숙련자가 아닌 사용자는 그러한 환경에서 컴퓨터를 충분히 사용할 수 없다. 더욱이, LCD의 백 라이트는 키보드를 조작하기에 충분한 조명을 제공하지 않는다.To use a computer, the user must operate the keyboard and pointing device while looking at the LCD. Most LCDs have a back light, so the user can see the screen even in low light. However, since the keyboard and pointing device cannot emit light unless they use fluorescent paint or fluorescent material, the user cannot visually recognize the key position or script on the key surface in the dark. Thus, a user who is not an expert in working with a computer without seeing a keyboard and pointing device may not be able to use the computer sufficiently in such an environment. Moreover, the backlight of the LCD does not provide enough illumination to operate the keyboard.

일본 실용신안 공개 공보 제59-4493호(고안자 Suganuma 및 Yajima)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 예컨대 전자식 레지스터(electronic register) 내에 조명기를 설치하고 그 키보드를 조명하는 기술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조명기가 상기 레지스터의 전면 디스플레이부의 윗 부분에 설치되므로, 상기 레지스터를 사용하는 경우에 키보드를 조명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전자식 레지스터는 휴대형이 아닌 설치형이며, 상업용 전원이 사용 가능하다는 가정에 근거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응용은 광원을 휴대용 컴퓨터 내의 동일한 위치에 배치하는 방식에 대해서는 개시하고 있지 않다. 즉, 광원을 휴대용 컴퓨터의 LCD 윗 부분에 배치하는 구체적인 방법에 대해서는 설명하고 있지 않다. 더욱이, 도 1에 도시된 광원은 백열 전등으로 간주된다.Japanese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59-4493 (Designers Suganuma and Yajima) discloses a technique for installing a illuminator in an electronic device such as an electronic register and illuminating the keyboard as shown in FIG. have. Since the illuminator is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ront display of the register, the keyboard can be illuminated when the register is used. However, these electronic resistors are installed rather than portable and are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commercial power supplies are available. Thus, the application does not disclose a way of placing the light source at the same location in the portable computer. That is, the specific method for arranging the light source above the LCD of the portable computer is not described. Moreover, the light source shown in FIG. 1 is considered to be an incandescent lamp.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8-314598호(발명자 Sugawara)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인용 컴퓨터(PC)의 키보드를 조명하는 기술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광원은 키보드와 디스플레이부 사이에 설치되고 PC의 본체에 부착된다. 그러나, 광원을 상기 위치에 설치하면 몇 가지 문제점이 발생할 것이다. 첫 번째, 휴대용 컴퓨터에서, 사용자가 키보드를 조작할 때 사용자의 손바닥을 지지하는 팜 레스트부(palmrest portion)를 확보하기 위해 많은 면적이 키보드가 있는 면에 사용된다. 이러한 이유로, 많은 경우에 광원을 도 2에 도시된 위치에 설치하기 위해 공간을 확보하는 것은 어렵다. 더욱이, 도 2에 도시된 광원의 위치로부터 키보드 전체를 조명하도록, 광원을 키보드의 키 윗면 보다 높게 제작하고 커버(cover)를 설치하여야 한다. 이러한 이유로, LCD를 포함하는 커버를 닫는 경우에, 컴퓨터는 상당히 두꺼워질 것이다. 더욱이, 키보드 전체는 도 2에 도시된 위치에 설치된 광원에 의해 조명되기 때문에, 복수 개의 점 광원 또는 선 광원을 설치해야 하므로 배터리의 소비 전력과 관련된 문제가 발생한다.Japanese Patent Laid-Open No. 8-314598 (inventor Sugawara) discloses a technique for illuminating a keyboard of a personal computer (PC), as shown in FIG. The light source is installed between the keyboard and the display portion and attached to the main body of the PC. However, installing the light source in this position will cause some problems. First, in a portable computer, a large area is used on the side where the keyboard is located to secure a palm rest portion that supports the user's palm when the user operates the keyboard. For this reason, in many cases it is difficult to secure space for installing the light source in the position shown in FIG. Furthermore, in order to illuminate the entire keyboard from the position of the light source shown in FIG. 2, the light source must be made higher than the upper surface of the key of the keyboard and a cover must be installed. For this reason, when the cover containing the LCD is closed, the computer will be considerably thick. Moreover, since the entire keyboard is illuminated by a light source installed at the position shown in FIG. 2, a plurality of point light sources or line light sources must be provided, which causes problems related to power consumption of the battery.

더욱이, 광원은 부분적으로 덮혀있어 빛이 키보드 이외의 곳으로는 방사되지 않는다. 또한, 전술한 공개 공보 제8-314598호의 명세서에는 "더욱이, 광원이 액정부에 부착되어 있는 경우에, 어두운 곳에서 키보드를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으나, ⅰ) 액정부와 키보드를 조명하기 때문에 큰 용량의 광원이 필요하고, ⅱ) 백 라이트를 갖춘 액정부의 경우에, 빛이 상기 액정부로 들어가서 시야를 어지럽게하는 문제점이 있다" 라고 기재되어 있다. 따라서, 전술한 공개 공보 제8-314598호의 명세서로부터 광원의 용량과 시야에 관한 측면에서 문제가 있으므로, 광원을 액정부에 부착하는 방법은 포기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Moreover, the light source is partially covered so that light does not radiate outside the keyboard. In addition, the specification of the above-mentioned Publication No. 8-314598 discloses, "In addition, when the light source is attached to the liquid crystal unit, the keyboard can be visually recognized in a dark place. A light source with a capacitance is required, and ii) in the case of a liquid crystal portion with a backlight, there is a problem that light enters the liquid crystal portion and disturbs the field of view. Accordingly, it can be seen from the specification of the above-mentioned Publication No. 8-314598 that there is a problem in terms of the capacity and the field of view of the light source, so that the method of attaching the light source to the liquid crystal part has been abandoned.

일본 실용신안 공개 공보 제7-25415호 (고안자 Shinomura 및 Sasaki)는 분리 가능한 광원을 노트북 크기의 PC에 설치하여 키보드를 조명하는 기술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이 간행물에서, 광원은 PC의 본체에 부착되지 않고 분리된(즉, 분리 가능한) 장치로서 설치된다. 이러한 방법에서 광원은 컴퓨터에서 분리되어 휴대되어야 하므로, PC의 휴대성을 보완하지 않는다. 또한, 분리 가능하게 광원을 부착하는 작업은 사용자를 번거롭게 할 것이다Japanese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7-25415 (designers Shinomura and Sasaki) discloses a technique for illuminating a keyboard by installing a detachable light source in a notebook-sized PC. In this publication, the light source is installed as a separate (ie detachable) device without being attached to the main body of the PC. In this way, the light source must be carried separately from the computer, and thus does not complement the portability of the PC. Also, detachably attaching the light source will be cumbersome for the user.

본 발명은 컴퓨터의 키보드를 조명하기 위한 광원을 구비하는, 배터리로서 구동되는(battery-driven) 컴퓨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ttery-driven computer having a light source for illuminating a keyboard of the computer.

도 1은 키보드용 조명기를 구비하고 있는 종래의 레지스터를 나타낸 개략도.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conventional register having an illuminator for a keyboard.

도 2는 키보드용 광원을 구비하고 있는 종래의 개인용 컴퓨터를 나타낸 개략도.2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conventional personal computer having a light source for a keyboard.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컴퓨터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나타낸 투시도.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a portable compu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따라 도 3에 나타난 백 커버, LCD 및 LED 홀더의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분해도.Figure 4 is an exploded view showing the separated state of the back cover, LCD and LED holder shown in Figure 3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도 4에 도시된 LED 홀더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나타낸 상세도.5 is a detailed view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LED holder shown in FIG.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따라 LED 홀더가 부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ED holder is attached in accordance with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따라 LED 홀더에 포함된 LED에서 방사되는 빛의 분포 특성을 나타낸 도면.7 is a view showing a distribution characteristic of light emitted from an LED included in an LED hold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따라 빛의 분포 특성을 나타낸 도면.8 illustrates light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in accordance with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따라 셔터를 구비하고 있는 LED 홀더의 단면도.9 is a sectional view of an LED holder with a shutter in accordance with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LED 홀더를 온 및 오프 상태로 스위칭하는 조명 제어 회로(lighting contrl circuit)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나타낸 회로도.10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a lighting control circuit for switching the LED holders on and off.

제1 특징으로, 본 발명은 키보드(103) 및 디스플레이(109)를 갖추고 있으며, 개구부(161)가 형성된 벽을 구비하고 디스플레이의 상측 가장자리 근처에 설치된 LED 홀더(150)와, 상기 LED 홀더(holder)의 상기 벽 내부에 설치된 LED를 포함하고, 상기 LED에서 방사되는 빛은 상기 개구부를 통과하여 상기 키보드를 조명하는 것인 배터리 전력으로 작동 가능한 컴퓨터를 제공한다.In a first aspect, the invention comprises a keyboard 103 and a display 109, an LED holder 150 having a wall formed with an opening 161 and installed near an upper edge of the display, and the LED holder. And a LED installed inside the wall, wherein the light emitted from the LED passes through the opening to illuminate the keyboard.

바람직하게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가 키보드 조명용 광원으로서 선택된다. 통상적으로, LED는 전자 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었고, 조명용 장치로 사용되기보다는 상태 표시용 장치로서 사용되었다. 그러나, 최근 몇 년간 조명에 적합한 비교적 높은 광도를 갖는 LED가 개발되었으므로, LED는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휴대용 컴퓨터의 키보드를 조명하는 데 사용되어 종래 기술에서 해결하지 못한 문제점을 해결한다. LED는 작아서 그 LED가 부착되는 컴퓨터의 휴대성을 떨어뜨리지 않으므로, LED는 배터리로 구동 가능한 컴퓨터 상에 장착되는 키보드용 조명기로서 적당하다. 또한, LED는 전력 소모가 낮아 배터리의 작동 시간을 거의 단축시키지 않는다.Preferably a light emitting diode (LED) is selected as the light source for keyboard illumination. Typically, LEDs have been used to indicate the operating status of electronic devices and have been used as status indicators rather than as lighting devices. However, in recent years, LEDs having relatively high brightness suitable for lighting have been developed, so that LEDs are used to illuminate the keyboard of a portable computer in a preferred embodiment to solve problems not solved in the prior art. Since LEDs are small and do not compromise the portability of the computer to which they are attached, LEDs are suitable as keyboard illuminators mounted on battery-powered computers. In addition, the LED's low power consumption rarely shortens battery operating time.

더욱이,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따른 LED 홀더가 디스플레이의 상측 가장자리 부근에 설치되고 LED가 LED 홀더 내에 설치된다. 이 위치가 키보드를 조명하는 데 아무런 장애물이 없으므로 광원을 부착하기에 가장 적합하다. 더욱이, 광원을 이곳에 설치함으로써, 하나의 점 광원으로도 키보드 전체를 조명할 수 있으므로 복수 개의 점 광원, 선 광원 또는 면 광원을 준비할 필요가 없다. LED 홀더의 벽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이 LED에서 방사된 빛은 그 개구부를 통과하여 키보드에 도달한다. 개구부를 통과한 빛의 분포는 LED 홀더가 부착되는 위치와 LED 홀더의 벽 내의 개구부의 크기 및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Moreover, the LED holder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is installed near the upper edge of the display and the LED is installed in the LED holder. This position is perfect for attaching a light source, since there is no obstacle to illuminating the keyboard. Furthermore, by installing the light source here, it is possible to illuminate the entire keyboard even with a single point light source, so that there is no need to prepare a plurality of point light sources, line light sources or surface light sources. An opening is formed in the wall of the LED holder, and the light emitted from the LED passes through the opening to reach the keyboard. The distribution of light passing through the opening is preferably controlled by adjusting the position where the LED holder is attached and the size and position of the opening in the wall of the LED holder.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LED에서 방사되는 빛의 일부는 LED 홀더의 벽에 의해 가려지고, 개구부를 통과하는 나머지 빛은 상기 디스플레이를 직접 조명하지 않는다. 이것은 예컨대, 상기 홀더의 형태, 상기 홀더가 부착된 위치, 상기 개구부의 위치, 상기 개구부의 크기 등을 적절하게 선택함으로써 실현 가능하다. 이것은 광원이 상기 디스플레이의 윗 부분에 설치되는 경우에, 광원에서 방사되는 빛이 디스플레이를 시각적으로 인식하는 것을 교란시키는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한다.In a preferred embodiment, some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LEDs is obscured by the walls of the LED holders and the remaining light through the openings does not directly illuminate the display. This can be realized, for example, by appropriately selecting the shape of the holder, the position to which the holder is attached, the position of the opening, the size of the opening, and the like. This overcomes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where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disturbs the visual perception of the display when the light source is installed on top of the display.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디스플레이가 본체에 대해 약 90°가 되도록 열려있는 경우에, LED에서 방사되는 빛이 개구부를 통과하여 실질적으로 키보드만을 조명하게 된다. 약 90°의 각도는 사용자가 컴퓨터를 사용하기에 가장 작은 각도로 간주된다. 키보드 전체가 이 각도에서 조명되면, 백 커버(back cover)가 더 열려지는 경우에도 키보드 전체가 조명되는 것이 충분히 보장된다. 이것 역시 예컨대, 개구부에 관련된 매개 변수를 적절하게 선택함으로써 실현 가능하다.In a preferred embodiment, when the display is open to about 90 ° relative to the body, the light emitted from the LED passes through the opening to substantially illuminate only the keyboard. An angle of about 90 ° is considered to be the smallest angle for the user to use the computer. If the entire keyboard is illuminated at this angle, it is fully ensured that the entire keyboard is illuminated even if the back cover is opened further. This can also be realized, for example, by appropriately selecting the parameters related to the openings.

바람직하게, LED 홀더에는 개구부가 열리는 정도(opening degree of the aperture)를 조절하는 셔터가 설치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셔터의 위치를 수동으로 조정함으로써 빛 분포를 디스플레이가 경사진 상태와 일치하도록 조절할 수 있다.Preferably, the LED holder is provided with a shutter for adjusting the opening degree of the aperture. Thus, the user can manually adjust the position of the shutter to adjust the light distribution to match the tilted state of the display.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의하면, LCD가 디스플레이로서 선택되고 휴대용 컴퓨터가 컴퓨터로서 선택된다. 특히, 본 발명은 휴대용 컴퓨터에 적용 가능한대, 이는 설치형 컴퓨터에 비하여 키보드 조명이 필요한 경우가 많이 때문이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the LCD is selected as the display and the portable computer is selected as the computer.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cable to a portable computer, because keyboard lighting is often required as compared to an installed computer.

바람직하게, 백 커버가 닫히는 경우에 LED는 오프 상태로 스위칭된다. 이러한 방식에서, LED를 오프 상태로 스위칭하지 않은 채 백 커버를 닫음으로써 배터리가 소모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Preferably, the LED is switched off when the back cover is closed. In this way, closing the back cover without switching the LEDs off can prevent battery drain.

따라서, LED를 디스플레이, 예컨대 LCD의 상부에 설치하여 우수한 키보드의 조명을 실현하는 배터리로 구동 가능한 컴퓨터가 바람직하게 제공된다. 낮은 소비 전력(조명기가 켜져 있는 경우에도)을 가지며 많은 공간을 차지하는 일없이 배터리로 구동되는 동작으로 사용 가능하고, 디스플레이를 시각적으로 인식하는 데 역효과를 가져오는 일없이 키보드를 효과적으로 조명할 수 있는 컴퓨터가 제공된다. 또한, 휴대성이 떨어지지 않는다.Thus, a battery-powered computer is preferably provided that provides LEDs on top of a display, such as an LCD, to realize good keyboard illumination. A computer that has low power consumption (even when the light is on), can be used as battery-powered operation without taking up a lot of space, and can effectively illuminate the keyboard without adversely affecting the visual recognition of the display. Is provided. In addition, portability does not fall.

LCD의 윗 부분에 설치된 광원을 구비하는 휴대용 컴퓨터의 키보드를 조명하는 기술은 지금까지 어려웠고 실현되지 않았다. 그러나, 휴대용 컴퓨터를 사용하기 위하여 LCD가 펼쳐져 있는 경우에, LCD의 윗 부분과 키보드 사이에서 빛을 차단할 장애물이 없으므로 LCD의 상부가 키보드를 조명하는 위치로 가장 효율적이다. 그러나, 광원에서 키보드까지의 간격이 더 커지므로, 광원으로서의 조명기는 큰 광도와 더 낮은 에너지 소모량을 갖는 것이 중요하게 된다. 더욱이, 키보드가 LCD의 상부로부터 조명되는 경우에, LCD의 시각적 인식이 LCD에 입사되는 직사 광에 의해 교란되지 않도록 계획을 조절해야 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들을 바람직하게 해결하고 종래기술에서 달성하지 못한 휴대용 컴퓨터의 키보드를 조명하는 기술을 실현한다.The technology of illuminating the keyboard of a portable computer with a light source installed on top of the LCD has been difficult and not realized until now. However, when the LCD is unfolded to use a portable computer, there is no obstacle to block the light between the upper portion of the LCD and the keyboard, so the upper portion of the LCD is the most efficient position to illuminate the keyboard. However, since the distance from the light source to the keyboard becomes larger, it becomes important for the illuminator as the light source to have a large brightness and a lower energy consumption. Moreover, when the keyboard is illuminated from the top of the LCD, the plan should be adjusted so that the visual perception of the LCD is not disturbed by the direct light incident on the LCD. The present invention preferably solves these problems and realizes a technique of illuminating a keyboard of a portable computer that has not been achieved in the prior art.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노트북 크기의 휴대용 컴퓨터(100)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도시한다. 키보드(103)는 본체(101)의 상부 표면에 배치되고, 키보드를 조작할 때 사용자의 손을 지지해 주는 팜 레스트(111)는 키보드가 있는 면에 배치된다. 개폐(開閉)가 가능하도록 백 커버(105)의 한 쪽 끝이 본체(101)의 한 쪽 부근에 부착된다. 백 커버(105)는 컴퓨터를 사용하지 않을 때 키보드(103)와 팜 레스트(111) 모두를 덮는 역할을 한다. LCD(109)는 상기 백 커버(105)에 부착되고, 테두리(bezel)(107)도 상기 백 커버(105)에 부착되어 LCD(109)의 주변부와 상기 백 커버의 주변부를 덮는다. 컴퓨터(100)를 사용하는 경우에, 백 커버(105)를 본체(101)에 대해 90°또는 그 이상 회전시켜 LCD를 보면서 키보드(103)를 조작한다.3 illustrates a preferred embodiment of a notebook sized portable computer 100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The keyboard 103 is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1, and the palm rest 111 that supports the user's hand when operating the keyboard is disposed on the side where the keyboard is located. One end of the back cover 105 is attached near one side of the main body 101 to open and close. The back cover 105 serves to cover both the keyboard 103 and the palm rest 111 when the computer is not in use. An LCD 109 is attached to the back cover 105, and a bezel 107 is also attached to the back cover 105 to cover the periphery of the LCD 109 and the periphery of the back cover. When using the computer 100, the back cover 105 is rotated 90 degrees or more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101 to operate the keyboard 103 while looking at the LCD.

컴퓨터(100)에는 키보드 조명용 LED를 포함하고 있는 LED 홀더(150)와 LED 스위치(113)가 내부에 더 설치된다. 백 커버(105)가 열린 상태에서, 사용자가 LED 스위치(113)를 작동하여 LED를 켜면, 이로써 키보드(103)에 빛이 조명된다.The computer 100 further includes an LED holder 150 and an LED switch 113 including an LED for keyboard lighting. With the back cover 105 open, when the user operates the LED switch 113 to turn on the LED, the light is illuminated on the keyboard 103.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따라 백 커버(105), LCD(109), 테두리(107) 및 LED 홀더(150)의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다. 백 커버(105)에는 실이 내부에 연결된 돌출부(116)가 설치되고, LED 홀더(150)가 테두리(107)의 개구부(117)를 통과하여 나사(115)에 의해 상기 돌출부(116)에 부착된다. 백 커버(105)에는 LCD(109)를 백 커버(105)에 부착시키는 돌출부(120)가 형성된다. 테두리(107)에는 스위치(113)가 설치된다.4 illustrates a separated state of the back cover 105, LCD 109, rim 107 and LED holder 150 in accordance with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ack cover 105 is provided with a protrusion 116 having a thread connected therein, and the LED holder 150 passes through the opening 117 of the rim 107 and is attached to the protrusion 116 by a screw 115. do. The back cover 105 is formed with a protrusion 120 for attaching the LCD 109 to the back cover 105. The switch 113 is installed in the edge 107.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따른 LED 홀더(150)의 확대도를 도시한다. 도 5a에서, LED 홀더(150)의 고정부(151)가 상기 돌출부(116)에 부착된다. 도 5b는 도 5a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5c는 도 5b에 도시된 돌출부(116)의 저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5b는 바람직하게 측벽(157)으로부터 안쪽으로 설치되어 있는 LED 고정부(159)와, 개구부가 형성되어 LED(155)를 삽입 및 고정할 수 있는 LED 고정부(159)의 중심 부분을 도시한다. LED(155)는 윗 부분으로부터 이 개구부로 삽입되어 LED 홀더(150)에 고정된다. 더욱이,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LED 홀더(150)의 밑 부분(153)에 개구부(161)가 형성된다. LED(155)에서 방사되는 빛의 일부가 밑 부분(153)에 의해 차단되는 반면에, 나머지는 상기 개구부(161)를 통하여 LED 홀더(150) 밖으로 방사된다.5 shows an enlarged view of the LED holder 150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FIG. 5A, the fixing part 151 of the LED holder 150 is attached to the protrusion 116. FIG. 5B shows a cross section along line A-A in FIG. 5A. FIG. 5C shows a bottom view of the protrusion 116 shown in FIG. 5B. FIG. 5B shows the LED fixture 159, which is preferably installed inwardly from the sidewall 157, and the central portion of the LED fixture 159 through which an opening can be formed to insert and secure the LED 155. . The LED 155 is inserted into this opening from the upper portion and fixed to the LED holder 150. Furthermore, as shown in FIG. 5C, an opening 161 is formed in the bottom portion 153 of the LED holder 150. Some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LED 155 is blocked by the bottom portion 153, while the rest is emitted out of the LED holder 150 through the opening 161.

본 바람직한 실시 형태는 광원으로서 LED를 채택한다. LED(155), 예컨대 NSPWF50BS(Nicha Chemical Industries, Ltd에서 제작됨)가 사용될 수 있다. 이 LED(155)는 광도 0.18cd와 소비 전력 252mW을 가지므로, 키보드를 조명하기에 충분한 광도 및 낮은 소비 전력의 특성을 갖는다. 더욱이, 빛이 방사되는 부분의 크기는 2 ×4mm 정도로 작아서 도 5에 도시된 LED 홀더 크기 내에 수용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컴퓨터(100)의 배터리 용량은 4800mAh이고, 상기 배터리 용량에 대한 LED의 전력 소비율은 약 1.6%이다. 따라서, LED(155)가 꺼져 있는 컴퓨터(100)는 표준 작동 조건하에서 3시간 동안 작동할 수 있고, 심지어 동일한 조건하에서 LED(155)가 켜져있는 경우에도, 상기 컴퓨터(100)의 작동 시간은 약 3분 정도만 단축될 것이다.This preferred embodiment adopts LED as a light source. LED 155 may be used, such as NSPWF50BS (manufactured by Nicha Chemical Industries, Ltd.). This LED 155 has a brightness of 0.18 cd and a power consumption of 252 mW, and thus has characteristics of brightness and low power consumption sufficient to illuminate the keyboard. Moreover, the size of the portion where light is radiated is as small as 2 x 4 mm so that it can be accommodated in the LED holder size shown in FIG. 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battery capacity of the computer 100 is 4800 mAh and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LED to that battery capacity is about 1.6%. Thus, the computer 100 with the LED 155 off may operate for 3 hours under standard operating conditions, and even if the LED 155 is on under the same conditions, the operating time of the computer 100 may be about Only three minutes will be shortened.

도 6은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따라 LED 홀더(150)가 백 커버(105)에 부착된 상태를 도시한다. LED 홀더(150) 및 LCD(109)는 돌출부(116) 및 돌출부들(120)에 의해 백 커버(105)에 각각 부착된다. 테두리(107)는 LCD(109)의 주변부와 백 커버(105)의 끝 부분을 덮으며, LED 홀더(150)가 부착된 부분에서, 테두리(107)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LED 홀더의 밑 부분(153)이 테두리 밖으로 나오도록 한다.6 shows a state in which the LED holder 150 is attached to the back cover 105 in accordance with a preferred embodiment. The LED holder 150 and the LCD 109 are attached to the back cover 105 by the protrusion 116 and the protrusions 120, respectively. The edge 107 covers the periphery of the LCD 109 and the end of the back cover 105, and at the portion where the LED holder 150 is attached, an opening is formed in the edge 107 so that the bottom portion of the LED holder ( 153) out of the border.

도 6b에서,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따라, 개구부(161)의 크기, LCD(109)의 표면에서 개구부(161)까지의 간격 및 LCD 표면에 대한 밑 부분(153)의 각도가 중요하다. 이것은 상기 매개 변수들이 LED 홀더(150)에서 아래쪽으로 방사되는 빛의 분포 특성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이 되기 때문이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개구부(161)의 크기는 4mm ×2mm이고, LCD 표면에서 개구부(161)까지의 간격은 5mm이며, LCD 표면에 대한 밑 부분(153)의 각도는 약 90°이다. 이러한 빛 분포는 LED(155)에서 방사되는 빛이 LCD 표면을 직접 조명하는 것을 방지하며, 이로써 LCD의 시각적 인식이 방해되지 않게 된다. 더욱이, 빛 분포 특성은 컴퓨터를 사용하는 동안에, 키보드 전체가 소정의 백 커버(105)의 경사각의 범위 내에서 효과적으로 조명되도록 결정된다. 빛 분포 특성의 설정은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된다.In FIG. 6B,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the size of the opening 161, the spacing from the surface of the LCD 109 to the opening 161, and the angle of the bottom portion 153 relative to the LCD surface are important. This is because these parameters are an important factor in determining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 of light emitted downward from the LED holder 150. 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size of the opening 161 is 4 mm x 2 mm, the distance from the LCD surface to the opening 161 is 5 mm, and the angle of the base 153 relative to the LCD surface is about 90 degrees. This light distribution prevents the light emitted from the LED 155 from directly illuminating the LCD surface, thereby preventing visual recognition of the LCD. Moreover, the light distribution characteristic is determined so that while using the computer, the entire keyboard is effectively illuminated within the range of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predetermined back cover 105. The setting of the light distribution characteristic is described in detail below.

도 7은 휴대용 컴퓨터(100)에서,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따라 LED(155)를 수납하는 LED 홀더(150)에서 방사되는 빛 분포 특성을 도시한다. 도 7a는 본체(101)에 대해 약 90°를 유지하도록 열려 있는 것을 도시하고 있는 측면도이다. LCD가 경사져 있는 상태에서, LCD(109)에 가장 가까운 광선(131)은 LCD에 가장 가까운 키보드의 끝 부분을 조명한다. 상기 광선(131)은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LCD 표면과 LED 홀더(159)의 밑 부분(153)이 이루는 각도, 개구부(161)의 크기, LCD 표면과 개구부(161)의 간격에 의해 결정된다. 도 7a에서, 상기 광선(131)이 LCD(109)에 가장 가까운 키보드(103) 부분을 조명하도록 도시되어 있으나, 광선이 키보드를 조명하기 충분한 조도(照度)를 갖는지에 대해서는 도시되어 있지 않다. 실제로, 개구부(161)에서 LCD(109)쪽으로 갈 수록 약한 광선이 방사된다.FIG. 7 illustrates light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emitted from the LED holder 150 containing the LEDs 155 in the portable computer 100,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FIG. 7A is a side view illustrating the body 101 being opened to maintain about 90 °. With the LCD tilted, the light ray 131 closest to the LCD 109 illuminates the end of the keyboard closest to the LCD. As shown in FIG. 6B, the light ray 131 is formed by the angle formed between the LCD surface and the bottom portion 153 of the LED holder 159, the size of the opening 161, and the gap between the LCD surface and the opening 161. Is determined. In FIG. 7A, the light ray 131 is shown to illuminate the portion of the keyboard 103 closest to the LCD 109, but it is not shown whether the light ray has sufficient illuminance to illuminate the keyboard. Indeed, weak light rays are emitted from the opening 161 toward the LCD 109.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이러한 약한 광선의 분포가 도 8에 설명되어 있다. LED 홀더(150)에서 방사되는 빛의 일부는 광선(131)과 같이 LCD(109) 방향으로 진행하는 약한 광선을 포함한다. 그러나, 이러한 실시 형태에서 전술한 매개 변수, 예컨대 개구부(161)의 크기 등은 상기 광선(131)이 백 커버(105)와 본체(101) 사이의 결합부(137)를 넘어 LCD 면으로 진행하지 않도록 결정된다. 따라서, 백 커버가 어떠한 각도에서 사용되는 경우에도, 빛이 LCD(109)를 직접 조명할 가능성은 없으므로, LCD의 시각적 인식이 방해될 가능성은 없다.In a preferred embodiment, this weak light distribution is illustrated in FIG. 8. Some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LED holder 150 includes weak light that travels in the direction of the LCD 109, such as light 131. However, in this embodiment, the above-described parameters, such as the size of the opening 161, do not propagate the light beam 131 beyond the coupling portion 137 between the back cover 105 and the main body 101 to the LCD surface. Is determined not to. Thus, even when the back cover is used at any angle, there is no possibility that light will illuminate the LCD 109 directly, so there is no possibility that the visual perception of the LCD will be disturbed.

도 7로 돌아가서, 전술한 매개 변수, 예컨대 개구부(161)의 크기 등은 백 커버(109)가 90°로 열려있는 경우에, LCD(109)에서 가장 멀리 떨어진 광선(133)이 LCD에서 가장 멀리 떨어진 키보드(103)의 끝 부분을 조명하도록 결정된다.Returning to FIG. 7, the above-described parameters, such as the size of the opening 161, indicate that the farthest ray 133 farthest from the LCD 109 is farthest from the LCD when the back cover 109 is opened at 90 °. It is determined to illuminate the end of the remote keyboard 103.

도 7b는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따라 도 7a에 나타난 컴퓨터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빛 분포 특성은 백 커버가 90°로 열려 있는 경우에, 키보드 전체가 조명되도록 결정된다. 통상적으로, 컴퓨터(100)는 110° 내지 135°에서 사용된다. 따라서, 컴퓨터는 종종 백 커버를 본체(101)에 대해 도 7a에 나타난 위치 보다 더 열어 놓은 채로 사용된다. 백 커버(105)의 경사각이 점차 커지는 경우에, 광선(133)은 본체(101)가 있는 면으로 이동하여 본체(101)를 넘어갈 것이다. 그러나, 키보드 전체(103)가 여전히 조명되어 어두운 환경에서 키보드를 조작하는데 어려움은 없다. 광선(131) 끝 부분의 이동량은 매우 적기 때문에, LCD 근처의 키보드(103) 끝 부분을 조명하는데 어려움은 없다.7B shows a top view of the computer shown in FIG. 7A in accordance with a preferred embodiment. As shown in FIG. 7B, the light distribution characteristic is determined such that when the back cover is opened at 90 °, the entire keyboard is illuminated. Typically, computer 100 is used at 110 ° to 135 °. Thus, the computer is often used with the back cover open more than the position shown in FIG. 7A with respect to the body 101. In the case where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back cover 105 gradually increases, the light ray 133 will move to the surface where the main body 101 is located and cross the main body 101. However, the entire keyboard 103 is still illuminated and there is no difficulty in operating the keyboard in a dark environment. Since the amount of movement of the end of the light ray 131 is very small, there is no difficulty in illuminating the end of the keyboard 103 near the LCD.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따라 광선(133)이 본체(101)를 넘어가는 것과 백 커버(105)의 경사가 점차 커지는 경우에 불필요한 부분을 조명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LED 홀더 내에 설치된 셔터(163)를 도시하고 있다. 셔터(163)는 수동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LED 홀더(150) 내에 설치된다. 셔터(163)를 수동으로 움직이는 메카니즘은 셔터 고정용 샤프트(shaft)를 LED 홀더(150)의 측벽(157)(도 5b 참조)으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하고, 제어 다이얼(control dial)을 상기 샤프트에 부착하는 메카니즘이거나, 기지의 다른 어떠한 메카니즘도 채용할 수 있다. 슬라이드 셔터(163)에 그 셔터(163)를 임의의 위치에 고정시키는 고정 메카니즘(locking mechanism)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셔터(163)는 개구부(161)가 열리는 정도를 백 커버(105)의 경사각과 일치하도록 조절하는 역할을 수행한다.FIG. 9 shows a shutter installed in the LED holder to prevent the light beam 133 from crossing the main body 101 and illuminating unnecessary portions when the inclination of the back cover 105 gradually increase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3 is shown. The shutter 163 is installed in the LED holder 150 to be manually moved. The mechanism for manually moving the shutter 163 extends the shutter fixing shaft outward from the side wall 157 of the LED holder 150 (see FIG. 5B), and attaches a control dial to the shaft. This mechanism may be employed, or any other known mechanism may be employed. It is preferable to provide the slide shutter 163 with a locking mechanism for fixing the shutter 163 to an arbitrary position. The shutter 163 adjusts the opening degree of the opening 161 to match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back cover 105.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따라 LED의 온, 오프 스위칭의 제어는 도 3에 도시된 스위치(113)에 의해 수행된다. 스위치(113)가 온 상태일 때 LED(155)가 항상 온상태에 있다면, LED(155)가 온 상태에 있는 채로 백 커버(105)를 닫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러한 경우를 방지하기 위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백 커버의(105)의 개폐(開閉) 조작과 연결되어 있는 제2 스위치(114)가 조명 제어 회로에 추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LED(155), 스위치(113) 및 제2 스위치가 전원에 직렬로 연결된다. 제2 스위치(114)는 백 커버가 열려 있는 경우에만 온 상태로 된다. 이 상태에서, 스위치(113)는 온 또는 오프 상태로 스위칭될 수 있으며, 이로써 LED(155)가 온 또는 오프 상태로 스위칭될 수 있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the control of the on and off switching of the LED is performed by the switch 113 shown in FIG. If the LED 155 is always in the on state when the switch 113 is in the on state, the case occurs in which the back cover 105 is closed with the LED 155 in the on state. In order to prevent such a case, as shown in FIG. 10, it is preferable that a second switch 114 connected to the opening / closing operation of the back cover 105 is added to the lighting control circuit. The LED 155, the switch 113, and the second switch are connected in series with the power source. The second switch 114 is turned on only when the back cover is open. In this state, the switch 113 may be switched on or off, whereby the LED 155 may be switched on or off.

Claims (6)

키보드(103) 및 디스플레이(109)를 구비하고, 배터리 전력으로 작동 가능한 컴퓨터(100)에 있어서,In a computer 100 having a keyboard 103 and a display 109 and operable on battery power, 개구부(161)가 형성된 벽을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의 상측 가장자리 부근에 장착된 LED 홀더(150)와,An LED holder 150 including a wall having an opening 161 formed therein, and mounted near an upper edge of the display; 상기 LED 홀더의 벽 내부에 부착된 LED를 포함하고,An LED attached inside the wall of the LED holder,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LED에서 방사되는 빛은 상기 키보드를 직접 조명하는 것인 컴퓨터.Light emitted from the LED through the opening directly illuminates the keyboard.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LED 홀더의 벽은 상기 방사된 빛이 상기 디스플레이의 표면을 직접 조명하지 않도록 상기 LED에서 방사되는 빛의 일부를 차단하는 것인 컴퓨터.And the wall of the LED holder blocks some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LED such that the emitted light does not directly illuminate the surface of the display.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LED 홀더의 벽은 상기 디스플레이가 상기 키보드에 대해 약 90°를 유지하도록 열려있는 경우에,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LED로부터 방사되는 빛이 상기 키보드를 실질적으로 조명하도록 상기 LED로부터 방사되는 빛의 일부를 차단하는 것인 컴퓨터.The wall of the LED holder is a portion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LED so that the light emitted from the LED through the opening substantially illuminates the keyboard when the display is open to maintain about 90 ° relative to the keyboard. To block the computer.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LED 홀더는 상기 개구부의 일부를 가로막도록 수동으로 조절 가능한 셔터(163)를 더 포함하는 것인 컴퓨터.The LED holder further comprises a manually adjustable shutter (163) to obstruct a portion of the opening. 윗면에 키보드를 탑재한 본체와, 열었을 때에 하측 가장자리가 되는 부분이 상기 본체의 후방 가장자리에 회전 운동할 수 있도록 부착된 개폐 가능한 후방부 커버와 상기 후방부 커버의 내측면에 부착된 액정 표시 장치를 구비하는 구동 가능한 컴퓨터에 있어서,The main body is equipped with a keyboard on the upper side, the rear cover is attached to the rear edge of the main body to be rotated to the rear edge of the main body when opened and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ttached to the inner side of the rear cover In the driveable computer provided, 상기 커버를 열었을 때, 상기 커버의 상측 가장자리의 중앙에 부착되고, 개구부가 형성된 벽을 포함하는 LED 홀더와,An LED holder attached to the center of an upper edge of the cover when the cover is opened, the LED holder including a wall having an opening; 상기 LED 홀더의 벽의 내부에 부착된 LED를 구비하고,An LED attached to the interior of the wall of the LED holder, 상기 LED 홀더는 상기 LED에서 방사된 빛이 상기 개구부를 통과하여 상기 키보드를 조사하며, 또한 상기 액정 표시 장치의 표면을 직접 조사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는 컴퓨터.And the LED holder is configured such that light emitted from the LED irradiates the keyboard through the opening and does not directly irradiate the surface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제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백 커버를 닫았을 때에 상기 LED를 오프(off) 상태로 전환하는 스위치(113)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And a switch (113) for switching said LED to an off state when said back cover is closed.
KR10-2001-7016318A 1999-07-06 2000-07-03 Computer with illuminator for keyboard KR100470263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1191780A JP2001022470A (en) 1999-07-06 1999-07-06 Computer with illuminator for keyboard
JPJP-P-1999-00191780 1999-07-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0721A KR20020010721A (en) 2002-02-04
KR100470263B1 true KR100470263B1 (en) 2005-02-07

Family

ID=162804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16318A KR100470263B1 (en) 1999-07-06 2000-07-03 Computer with illuminator for keyboard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KR (1) KR100470263B1 (en)
AT (1) ATE230856T1 (en)
CA (1) CA2377052C (en)
DE (1) DE60001172T2 (en)
HK (1) HK1045386A1 (en)
HU (1) HU223784B1 (en)
IL (2) IL143889A0 (en)
MX (1) MXPA01011811A (en)
MY (1) MY125523A (en)
PL (1) PL200010B1 (en)
RU (1) RU2234120C2 (en)
TW (1) TW494295B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9601Y1 (en) * 2010-04-13 2010-07-22 김태형 a notebook computer mous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86466B2 (en) * 2007-04-24 2010-03-30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Electronic device illuminator
DE102008008636A1 (en) 2008-02-12 2009-08-13 Christian Nolde Illumination device for illuminating keyboard of e.g. notebook, has adjustable glare cover attached above device, where device is integrated in centre of display screen and accommodates illuminant e.g. surface mounted device LED
BR112012000532A2 (en) * 2009-07-09 2019-09-24 Sharp Kk lighting device, display device, and television receiver
WO2011010492A1 (en) 2009-07-23 2011-01-27 シャープ株式会社 Illuminating device and display device
TWI422926B (en) 2011-11-01 2014-01-11 Wistron Corp Portable electronic device, plane display device and backlight modul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9601Y1 (en) * 2010-04-13 2010-07-22 김태형 a notebook computer mous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0001172T2 (en) 2003-09-25
IL143889A0 (en) 2002-04-21
PL200010B1 (en) 2008-11-28
MY125523A (en) 2006-08-30
DE60001172D1 (en) 2003-02-13
TW494295B (en) 2002-07-11
KR20020010721A (en) 2002-02-04
RU2234120C2 (en) 2004-08-10
HU223784B1 (en) 2005-01-28
ATE230856T1 (en) 2003-01-15
PL352924A1 (en) 2003-09-22
IL143889A (en) 2007-09-20
HK1045386A1 (en) 2002-11-22
HUP0202343A2 (en) 2002-11-28
CA2377052C (en) 2007-02-13
MXPA01011811A (en) 2004-10-14
CA2377052A1 (en) 2001-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192523B1 (en) Computer with illuminator for keyboard
JP4230632B2 (en) Computer with keyboard luminaire and portable computer with keyboard luminaire
US7717607B2 (en) System and apparatus for keyboard illumination
US5406268A (en) Portable microcomputer with power-sparing system of illuminated indicators
KR100470263B1 (en) Computer with illuminator for keyboard
US6674832B2 (en) Pedometer with an illumination lamp
US6626552B2 (en) Mobile information terminal
JPH10246886A (en) Device provided with reflection type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JP5725998B2 (en) Display device
US20060028792A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illumination indication for input
RU2002102562A (en) Keyboard backlit computer
JP2003197022A (en) Lighting system for operation part of apparatus
JPH0648544Y2 (en) Electric cooker display
KR100324284B1 (en) Assistant Light Source Unit For Reflective Type Liquid Crystal Display
US20040027325A1 (en) Liquid crystal display unit
GB2375504A (en) Keyboard illumination device releasably attached to an upper edge of a laptop computer
KR20070113627A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ounted a display apparatus combined lightning of user input apparatus
JP2000122053A (en) Reflectio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ovable type information terminal
JP3188252B2 (en) Portable equipment and lighting body used for the same
CN204887135U (en) Mobile phone with currency examination function
KR200191154Y1 (en) Keyboard of lcd projection apparatus
KR19990003516U (en) Notebook PC Keyboard Lighting
KR19980020821U (en) Portable computer
JP2002278697A (en) Pen input type information processor
JPH11338364A (en) Electronic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